KR102773972B1 -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3972B1 KR102773972B1 KR1020230034650A KR20230034650A KR102773972B1 KR 102773972 B1 KR102773972 B1 KR 102773972B1 KR 1020230034650 A KR1020230034650 A KR 1020230034650A KR 20230034650 A KR20230034650 A KR 20230034650A KR 102773972 B1 KR102773972 B1 KR 102773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ctrum
- image
- main lobe
- size
- lob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8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10 reflect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94 computer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85 ultrasound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96 correl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59 diagnostic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15 distribution fun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26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involving detection or reduction of artifa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132—Ultrasound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48—Transform domain processing
- G06T2207/20056—Discrete and fast Fourier transform, [DFT, F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초음파 영상 진단 장치의 일례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의료용 초음파 영상에서 부엽을 제거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가중치 처리를 한 결과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을 보정하는 방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초음파 신호가 수신 어레이에 theta(θ)의 입사각을 가지고 수신되는 경우 수신 채널에 나타나는 신호의 모양을 예시한 파형도이다.
도 6은 입사각에 따른 초음파 신호의 모양과 2차원 푸리에 변환의 스펙트럼을 비교한 파형도로서, (a) 및 (c)는 영상점에서 돌아온 신호의 경우와 스펙트럼을 예시한 파형도이고, (b) 및 (d)는 부엽(side lobe) 혹은 격자엽(grating lobe) 신호의 경우 초음파 신호의 입사각에 따라 스펙트럼 영역이 회전하는 것을 예시한 파형도이다.
도 7은 스펙트럼 영역에서 주엽과 부엽의 크기 및 위치를 정의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험에 따라 측정된 주엽 스펙트럼과 부엽 스펙트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d)는 각각 송신을 한 점 집속하고 수신을 동적 집속 적용한 기존의 점확산 영상(a), 채널 데이터에서 해밍창 처리를 한 영상(b), 가중치 처리를 한 영상(c,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주엽과 부엽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도 9에서 측방향 음장 크기를 구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 및 12는 크기 가중치()와 거리 가중치() 값에 따른 초음파 음장 특성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2 mm 간격으로 있는 두 개의 점반사체를 구별하기 위한 영상이며 기존의 집속 영상(a), 해밍창 처리를 한 영상(b), 가중치 처리를 한 영상 (c, 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측방향 음장 크기를 구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5의 (a)는 반사율이 다른 종양 팬텀을, (b)는 종양 및 배경 영역 내에서 이미지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창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a)는 송신 한 점 집속, 수신 동적 집속을 적용한 기존의 영상, (b)는 초음파 송수신 음장에서 주엽 신호만으로 만든 주엽 영상, (c)는 기존의 영상에 해밍창을 적용한 영상, (d)는 가중치 처리를 한 초음파 영상(, ), (e)는 가중치 처리를 한 초음파 영상(, )이다.
도 17은 병변 경계에서 대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20 dB의 밝기를 가지는 B 병변의 가운데를 지나는 가로축의 단면의 영상의 크기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210 : 집속 지연부 220 : 채널 선택부
230 : 복조부 300 : 영상 처리부
400 : 디스플레이 수단
Claims (6)
- (a) 영상점에서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어레이 트랜스듀서의 수신소자에서 수신하고 채널 신호로서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채널 신호를 각각 집속 지연하여 시간적으로 정렬하고 시간과 채널을 각각 축으로 하는 2차원 시간-채널 데이터로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영상점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소정 크기의 2차원 시간-채널 데이터 윈도우를 생성하고 상기 2차원 시간-채널 데이터 윈도우 내의 시간-채널 데이터를 푸리에 변환하는 단계;
(d) 상기 2차원 시간-채널 데이터 윈도우 내의 스펙트럼에서 주엽 스펙트럼과 부엽 스펙트럼의 상대적 관계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연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가중치를 이용하여 초음파 영상 픽셀을 보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시간-채널 데이터 윈도우의 크기는 수신 채널의 크기와 시간 축에서 샘플링한 데이터의 개수에 의해 규정되는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d-1) 상기 주엽 스펙트럼의 크기와 상기 부엽 스펙트럼의 크기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크기 가중치()를 연산하는 단계; 및
(d-2) 상기 주엽 스펙트럼과 상기 부엽 스펙트럼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해 정의되는 거리 가중치()를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수학식 1)
여기서, 는 스펙트럼 영역에서 주엽이 나타나는 위치의 한 화소의 크기값이며, 는 부엽이 나타나는 영역에서 스펙트럼의 최대값이며, 은 크기 가중치()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크기 척도값(scale factor)이다.
(수학식 2)
여기서, 는 스펙트럼 영역에서 주엽 스펙트럼과 부엽 스펙트럼 사이의 거리이다. 는 거리 가중치()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거리 척도값이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4650A KR102773972B1 (ko) | 2023-03-16 | 2023-03-16 |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4650A KR102773972B1 (ko) | 2023-03-16 | 2023-03-16 |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0359A KR20240140359A (ko) | 2024-09-24 |
KR102773972B1 true KR102773972B1 (ko) | 2025-02-26 |
Family
ID=9292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4650A Active KR102773972B1 (ko) | 2023-03-16 | 2023-03-16 |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397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6668A (ja) | 2000-02-02 | 2001-08-10 | Ricoh Co Ltd | 光学機器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
US20060094962A1 (en) | 2004-10-29 | 2006-05-04 | Clark David W | Aperture shading estimation techniques for reducing ultrasound multi-line image distortion |
KR100971433B1 (ko) | 2007-10-25 | 2010-07-21 | 주식회사 메디슨 | 사이드 로브의 영향을 제거하는 방법 |
KR101552427B1 (ko) | 2014-03-04 | 2015-09-11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음파 영상의 스페클 저감장치 |
KR101569673B1 (ko) | 2014-10-14 | 2015-11-18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음파 영상의 부엽 저감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8823B1 (ko) | 2006-02-14 | 2007-11-22 | 주식회사 메디슨 | 초음파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CN110236682B (zh) * | 2014-03-17 | 2022-11-01 | 直观外科手术操作公司 | 用于对成像装置和输入控制装置重定中心的系统和方法 |
-
2023
- 2023-03-16 KR KR1020230034650A patent/KR10277397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6668A (ja) | 2000-02-02 | 2001-08-10 | Ricoh Co Ltd | 光学機器および光情報記録再生装置 |
US20060094962A1 (en) | 2004-10-29 | 2006-05-04 | Clark David W | Aperture shading estimation techniques for reducing ultrasound multi-line image distortion |
KR100971433B1 (ko) | 2007-10-25 | 2010-07-21 | 주식회사 메디슨 | 사이드 로브의 영향을 제거하는 방법 |
KR101552427B1 (ko) | 2014-03-04 | 2015-09-11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음파 영상의 스페클 저감장치 |
KR101569673B1 (ko) | 2014-10-14 | 2015-11-18 |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 초음파 영상의 부엽 저감 방법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A Fourier transform-based sidelobe reduction method in ultrasound imaging", in IEEE Transactions on Ultrasonics, Ferroelectrics, and Frequency Control, vol. 47, no. 3, pp. 759-763, May 2000 |
"Estimation of side lobes in ultrasound imaging systems", Biomed. Eng. Lett. 5, 229-239(2015) |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과 격자엽의 억제", 한국음향학회지, Vol. 41, Issue 5, pp. 525-533(2022.9.30.)* |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채널신호의 스펙트럼에서 거리 가중치를 이용한 부엽의 억제", 한국음향학회지 제42권 제3호 pp.203~213(202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0359A (ko) | 2024-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54654B2 (en) | Sidelobe suppression in ultrasound imaging using dual apodization with cross-correlation | |
Trahey et al. | Synthetic receive aperture imaging with phase correction for motion and for tissue inhomogeneities. II. Effects of and correction for motion | |
Matrone et al. | The delay multiply and sum beamforming algorithm in ultrasound B-mode medical imaging | |
Seo et al. | Sidelobe suppression in ultrasound imaging using dual apodization with cross-correlation | |
Xu et al. | Spatio-temporally smoothed coherence factor for ultrasound imaging [correspondence] | |
US6527720B1 (en) | Medical ultrasonic imaging method and system for spatial compounding | |
US20140378834A1 (en) | Continuous Transmit Focu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ltrasound Imaging System | |
EP2269091B1 (en) | Image forming method using ultrasound and aberration correction method | |
KR101552427B1 (ko) | 초음파 영상의 스페클 저감장치 | |
KR101643304B1 (ko) | 비선형 필터를 이용한 초음파 영상의 부엽 저감장치 | |
JP4575737B2 (ja) | 超音波撮像装置 | |
KR101569673B1 (ko) | 초음파 영상의 부엽 저감 방법 | |
WO2000057790A1 (en) | Medical ultrasonic system and method for synthetic aperture processing in elevation | |
Kim et al. | Efficient array beam forming by spatial filtering for ultrasound B-mode imaging | |
JP2006142026A (ja) | 超音波撮像における収差補正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Jeong et al. | A new method for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signal processing filters in suppressing the side lobe level | |
Seo et al. | Evaluating the robustness of dual apodization with cross-correlation | |
KR101858137B1 (ko) |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초음파 영상의 부엽 억제 필터 평가 방법 | |
KR102773972B1 (ko) |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 |
KR102700208B1 (ko) | 의료용 초음파 영상 시스템에서 부엽과 격자엽을 억제하는 방법 | |
CN113679418B (zh) | 一种基于压缩信噪比系数加权的超声成像方法 | |
JP6863817B2 (ja) | 超音波撮像装置 | |
US6110115A (en) | Medical diagnostic ultrasonic imaging system and method | |
KR102115446B1 (ko) | 의료용 초음파 영상에서 질량중심 위치의 가중치 연산을 이용하여 부엽을 억제하는 방법 | |
Lou et al. | Filtered delay multiply and sum combined with space-time smoothing coherence factor in ultrasound imag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2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