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3739B1 - Flexi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Flexi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3739B1 KR102773739B1 KR1020160182580A KR20160182580A KR102773739B1 KR 102773739 B1 KR102773739 B1 KR 102773739B1 KR 1020160182580 A KR1020160182580 A KR 1020160182580A KR 20160182580 A KR20160182580 A KR 20160182580A KR 102773739 B1 KR102773739 B1 KR 1027737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exible substrate
- flexible
- back plate
- bonded
- are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50—Forming devices by joining two substrates together, e.g. lamination techniqu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기판, 제1 및 제2 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판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다. 제1 백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 내에서, 표시영역을 덮는 위치에 합착된다. 제2 백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 내에서, 비표시영역의 일측을 덮는 위치에 합착된다. 플렉서블 기판은 제2 백 플레이트가 합착되는 영역의 양측 끝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서 모따기 형태로 파여진 얼라인 패턴을 갖는다.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first and second back plates. The flexible substrate has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defined. The first back plate is bonded to a position covering the display area within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second back plate is bonded to a position covering one side of the non-display area within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flexible substrate has an alignment pattern formed in a chamfered shape at at least one end among both ends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back plate is bon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display device.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the market for display devices, which are the connecting medium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is growing. Accordingly, the use of display devices such as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s (OLEDs),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nd plasma display panels (PDPs) is increasing.
그 중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낮고, 더 얇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대화면 양산 기술 수준까지 공정 기술이 발전되어 액정표시장치와 경쟁하면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Among them,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are self-luminous elements, so they consume less power and can be manufactured thinner than liquid crystal displays that require backlights. In additio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have the advantages of wide viewing angles and fast response speeds.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s are expanding their market by competing with liquid crystal displays as their process technology has advanced to the level of large-screen mass production technology.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픽셀들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한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재료의 종류, 발광방식, 발광구조, 구동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뉘어질 수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발광방식에 따라 형광발광, 인광발광으로 나뉠 수 있고, 발광구조에 따라 전면발광(Top Emission) 구조와 배면발광 (Bottom Emission) 구조로 나뉘어질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구동방식에 따라 PMOLED(Passive Matrix OLED)와 AMOLED(Active Matrix OLED)로 나뉘어질 수 있다.The pixels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LED"), which is a self-luminous element.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an be divid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type of light emitting material, light emitting method, light emitting structure, driving method, etc.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an be divided into fluorescent light emitting and phosphorescent light emitting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method, and can be divided into a top emission structure and a bottom emiss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n addi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an be divided into PMOLED (Passive Matrix OLED) and AMOLED (Active Matrix OLED) according to the driving method.
최근,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상용화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벤더블(Bendable) 표시장치, 폴더블(Folderable) 표시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 커브드(curved) 표시장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Recently, as flexible displays have become commercialized, various types of displays are being developed. Flexible display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bendable displays, foldable displays, rollable displays, and curved displays. These flexible displays can be applied not only to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but also to TVs, automobile displays, and wearable devices, and their application fields are expanding.
본 발명은 모듈 제작 과정에서 기판들 간의 정렬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display device that can easily check the alignment status between substrates during the module manufacturing process.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기판, 제1 및 제2 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플렉서블 기판은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이 정의된다. 제1 백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 내에서, 표시영역을 덮는 위치에 합착된다. 제2 백 플레이트는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 내에서, 비표시영역의 일측을 덮는 위치에 합착된다. 플렉서블 기판은 제2 백 플레이트가 합착되는 영역의 양측 끝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서 모따기 형태로 파여진 얼라인 패턴을 갖는다. A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first and second back plates. The flexible substrate has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defined. The first back plate is bonded to a position covering the display area within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second back plate is bonded to a position covering one side of the non-display area within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flexible substrate has an alignment pattern formed in a chamfered shape at at least one end among both ends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back plate is bonded.
본 발명은 플렉서블 기판의 끝단에 형성되는 얼라인 패턴을 이용하여, 곡면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커버 글라스에 합착한 상태에서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각 구성들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lignment pattern formed at the end of a flexible substrate to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each component of a flexible display panel having a curved surface while the flexible display panel is bonded to a cover glass.
도 1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픽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제1 예시도이다.
도 3은 픽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제2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커버 글라스에 탑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이 곡면형태로 굽어진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에 탑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A1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얼라인 마크가 없는 플렉서블 기판이 곡면 형태로 굽어진 상태의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Figure 2 is a first example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a pixel.
Figure 3 is a second example diagram showing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a pixel.
Figure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Figure 6 is a drawing showing a cross-section of a flexible display panel.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display panel is mounted on a cover glass.
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on a cover glass in a curved state.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1 shown in Figure 9.
Figure 11 is a drawing showing a plane in which a flexible substrate without an alignment mark is bent into a curved shap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서두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names of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may be different from the names of parts of an actual product. In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substantially identical components may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and may be omitted in other embodiment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Display),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표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가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an electrophoresis display (EPD), etc. In the following,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s an example a case where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도 1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픽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Figs. 2 and 3 are drawings showing examples of pixels.
도 1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영상 처리부(10), 타이밍 제어부(20), 데이터 구동부(30), 게이트 구동부(40) 및 플렉서블 기판(PI)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n image processing unit (10), a timing control unit (20), a data driving unit (30), a gate driving unit (40), and a flexible substrate (PI).
영상 처리부(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와 더불어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출력한다. 영상 처리부(10)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외에도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으나 이 신호들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 도시한다. 영상 처리부(10)는 시스템 회로기판에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된다.The image processing unit (10) outputs a data enable signal (DE) and the like in addition to a data signal (DATA)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o the data enable signal (DE), the image processing unit (10) can output one or more of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clock signal, but these signals ar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C (Integrated Circuit) on a system circuit board.
타이밍 제어부(20)는 영상 처리부(10)로부터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또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을 포함하는 구동신호와 더불어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받는다.The timing control unit (20) receives a data signal (DATA)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0) along with a driving signal including a data enable signal (DE) or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a clock signal.
타이밍 제어부(20)는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 구동부(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 제어부(20)는 제어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된다.The timing control unit (20) outputs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ing unit (40) based on the driving signal and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ing unit (30). The timing control unit (20) is formed in an IC form on a control circuit board.
데이터 구동부(30)는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데이터신호(DATA)를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기판 상에 IC 형태로 부착된다.The data driving unit (30) samples and latches the data signal (DATA)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 unit (20) in response to the data timing control signal (D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 unit (20), converts it into a gamma reference voltage, and outputs it. The data driving unit (30) outputs the data signal (DATA) through the data lines (DL1 to DLn). The data driving unit (30) is attached to the substrate in the form of an IC.
게이트 구동부(40)는 타이밍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게이트라인들(GL1 ~ GLm)을 통해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게이트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되거나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The gate driver (40) outputs a gate signal while shifting the level of the gate voltage in response to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GDC)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 unit (20). The gate driver (40) outputs the gate signal through the gate lines (GL1 to GLm). The gate driver (40) is formed in an IC form on a gate circuit board or in a gate-in-panel manner on a flexible display panel (PNL).
플렉서블 기판(PI)은 데이터 구동부(30) 및 게이트 구동부(4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 및 게이트신호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플렉서블 기판(PI)은 영상을 표시하는 픽셀(P)들을 포함한다.The flexible substrate (PI) displays an image in response to the data signal (DATA) and gate signal supplied from the data driver (30) and the gate driver (40). The flexible substrate (PI) includes pixels (P) that display an image.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픽셀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보상회로(CC)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의해 형성된 구동 전류에 따라 빛을 발광하도록 동작한다.Referring to FIG. 2, one pixel includes a switching transistor (SW), a driving transistor (DR), a compensation circuit (CC),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operates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driving current formed by the driving transistor (DR).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 게이트 라인(GL1)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 라인(DL1)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가 커패시터에 데이터 전압으로 저장되도록 스위칭 동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R)는 커패시터에 저장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고전위 전원라인(VDD)과 저전위 전원라인(GND) 사이로 구동 전류가 흐르도록 동작한다. 보상회로(CC)는 구동 트랜지스터(DR)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한 회로이다.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SW)나 구동 트랜지스터(DR)에 연결된 커패시터는 보상회로(CC) 내부로 위치할 수 있다. The switching transistor (SW) performs a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a gate signal supplied through the first gate line (GL1) so that a data signal supplied through the first data line (DL1) is stored as a data voltage in a capacitor. The driving transistor (DR) operates so that a driving current flows between a high-potential power line (VDD) and a low-potential power line (GND)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stored in the capacitor. The compensation circuit (CC) is a circuit for compensating for a threshold voltage of the driving transistor (DR). In addition, a capacitor connected to the switching transistor (SW) or the driving transistor (DR) may be located inside the compensation circuit (CC).
보상회로(CC)는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로 구성된다. 보상회로(CC)의 구성은 보상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The compensation circuit (CC) consists of one or more thin film transistors and a capacitor. The configuration of the compensation circuit (CC)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compensation method, so specific examples and descriptions are omitte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경우 픽셀에는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함과 더불어 특정 신호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신호라인과 전원라인 등이 더 포함된다. 추가된 신호라인은 픽셀에 포함된 보상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제1-2 게이트 라인(GL1b)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추가된 전원라인은 픽셀의 특정 노드를 특정 전압으로 초기화하기 위한 초기화 전원라인(INIT)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a compensation circuit (CC) is included, the pixel further includes a signal line and a power line for supplying a specific signal or power in addition to driving the compensation thin film transistor. The added signal line may be defined as a first-second gate line (GL1b) for driving the compensation thin film transistor included in the pixel. And the added power line may be defined as an initialization power line (INIT) for initializing a specific node of the pixel to a specific voltage. However, this is only one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하나의 픽셀에 보상회로(CC)가 포함된 것을 일례로 하였다. 하지만, 보상의 주체가 데이터 구동부(30) 등과 같이 픽셀의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 보상회로(CC)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픽셀은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SW), 구동 트랜지스터(DR), 커패시터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하는 2T(Transistor)1C(Capacitor) 구조로 구성되지만, 보상회로(CC)가 추가된 경우 3T1C, 4T2C, 5T2C, 6T2C, 7T2C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S. 2 and 3, a compensation circuit (CC) is included in one pixel as an example. However, if the subject of compensation is located outside the pixel, such as in a data driver (30), the compensation circuit (CC) may be omitted. That is, one pixel is basically composed of a 2T (Transistor) 1C (Capacitor) structure including a switching transistor (SW), a driving transistor (DR), a capacitor,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but if a compensation circuit (CC) is added, it may be composed in various ways, such as 3T1C, 4T2C, 5T2C, 6T2C, and 7T2C.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보상회로(CC)가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구동 트랜지스터(DR)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동 트랜지스터(DR)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이에도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보상회로(CC)의 위치와 구조는 도 2와 도 3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mpensation circuit (CC) is depicted as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switching transistor (SW) and the driving transistor (DR) in FIGS. 2 and 3, it may also be positioned between the driving transistor (DR)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The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compensation circuit (CC) are not limited to FIGS. 2 and 3.
플렉서블 기판(PI)은 곡면부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곡면부를 갖는 플렉서블 기판을 이용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flexible substrate (PI) can be formed into a shape having a curved portion. Hereinafter, a flexible display device using a flexible substrate having a curved portion will be examined as follows.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플렉서블 기판(PI) 및 연성회로기판(LF)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PI) and a flexible circuit board (LF).
플렉서블 기판(PI)은 표시영역(AA) 및 비표시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AA)에는 복수의 픽셀들이 배치된다. The flexible substrate (PI) includes a display area (AA) and a non-display area (NA).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연성회로기판(LF)에는 구동회로부(DIC)가 실장되고, 구동회로부(DIC)는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콘트롤러(20), 데이터 구동부(30), 게이트 구동부(40)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구동부(40)는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비표시영역(NA) 상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G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 driving circuit unit (DIC) is mounted o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LF), and the driving circuit unit (DIC) includes a timing controller (20), a data driving unit (30), a gate driving unit (40), etc., as shown in Fig. 1. The gate driving unit (40) may be implemented in a gate-in-panel (GIP) form on a non-display area (NA) of a flexible display panel (PNL).
구동회로부(DIC)는 연성회로기판(LF)에 형성되는 범프(bump, 미도시)를 통해서 플렉서블 기판(PI)의 패드부(PAD)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회로기판(LF)의 범프는 이방성 도전필름(AnisotroSUBc LFnductive Film)을 통해 패드부(PAD)에 노출되는 패드전극에 각각 연결된다. The driving circuit part (DI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d part (PAD) of the flexible substrate (PI) through a bump (not shown) formed on the flexible circuit board (LF). The bumps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LF) are each connected to the pad electrodes exposed on the pad part (PAD) through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nisotroSUBc LFnductive Film).
링크 라인(RL)들은 패드부(PAD)와 표시영역(AA)의 데이터라인 및 데이터라인들을 연결시킨다.Link lines (RL) connect the data lines and data lines of the pad section (PAD) and the display area (AA).
도 5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PI)의 일측 가장자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배면(背面) 방향으로 벤딩된다. 플렉서블 기판(PI)의 일측 가장자리는 표시영역(AA)의 외측에 해당하며, 패드부(PAD)가 위치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PI)이 구부러짐에 따라, 패드부(PAD)는 표시영역(AA)의 배면 방향에서 표시영역(AA)과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전면에서 인지되는 베젤 영역은 최소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one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PI) is bent in the back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One edge of the flexible substrate (PI) corresponds to the outer side of the display area (AA) and may correspond to an area where a pad portion (PAD) is positioned. As the flexible substrate (PI) is bent, the pad portion (PAD)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the display area (AA)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display area (AA). Accordingly, a bezel area recognized on the front side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minimized.
이를 구현하기 위해, 플렉서블 기판(PI)은 구부러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PI)은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연성의 성질을 갖는 기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링크 라인(RL)은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라인(RL)은 메탈 나노 와이어(metal nano wire), 메탈 메시(metal mesh), 탄소나노튜브(CNT)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o implement this, the flexible substrate (PI)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bent. For example, the flexible substrate (PI) may be formed using a substrate having a ductile property, such as polyimide. In addition, the link line (RL)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For example, the link line (RL)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metal nano wire, a metal mesh, or a carbon nanotube (CN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은 도 5에 도시된 I-I'의 절단 영역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플렉서블 기판(PI)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을 도시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플렉서블 기판(PI)의 전면 또는 배면에 합착되는 제1 및 제2 백 플레이트, 터치 스크린 패널(TNL), 편광 필름(POL) 및 연성회로필름 등을 포함한다. Fig. 6 is a drawing showing a cross-section of a cut area of I-I' shown in Fig. 5. Fig. 6 illustrates a flexible display panel (PNL) including a flexible substrate (PI), and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ncludes first and second back plates, a touch screen panel (TNL), a polarizing film (POL), and a flexible circuit film, which are bonded to the front or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PI).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플렉서블 기판(PI), 연성회로기판(LF), 편광 필름(POL) 및 커버층(MCL)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a flexible display panel (PN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PI), a flexible circuit board (LF), a polarizing film (POL), and a cover layer (MCL).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제1 평면부(FP1), 제2 평면부(FP2) 및 제1 평면부(FP1)와 제2 평면부(FP2) 사이에 위치하는 곡면부(BP)를 포함한다. 제1 평면부(FP1)는 복수의 픽셀들을 갖는 표시영역(AA)과 대응되며, 플랫(flat)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제2 평면부(FP2)는 연성회로기판(LF)와 접합되는 패드들을 갖는 패드부와 대응되며, 플랫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곡면부(BP)는 표시영역과 패드부를 연결하는 링크 라인들이 구비되는 영역과 대응되며, 소정의 곡률로 벤딩된 상태를 유지하는 영역이다. A flexible display panel (PNL) includes a first flat portion (FP1), a second flat portion (FP2), and a curved portion (BP)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lat portion (FP1) and the second flat portion (FP2). The first flat portion (FP1) corresponds to a display area (AA)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and is an area that maintains a flat state. The second flat portion (FP2) corresponds to a pad portion having pads that are joined to a flexible circuit board (LF), and is an area that maintains a flat state. The curved portion (BP) corresponds to an area where link lines connecting the display area and the pad portion are provided, and is an area that maintains a state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일 예로, 곡면부(BP)는 "⊃"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곡면부(BP)는 제1 평면부(FP1)로부터 연장되어 배면 방향으로 180˚ 벤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곡면부(BP)로부터 연장된 제2 평면부(FP2)는 제1 평면부(FP1)의 배면 방향에서 제1 평면부(FP1)와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평면부(FP2)에서 플렉서블 기판(PI)에 접합된 연성회로기판(LF)는 제1 평면부(FP1)의 플렉서블 기판(PI)의 배면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urved portion (BP) may have a “⊃” shape. That is, the curved portion (BP) may extend from the first flat portion (FP1) and may be bent 180° in the back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second flat portion (FP2) extending from the curved portion (BP) may be positioned to overlap the first flat portion (FP1)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first flat portion (FP1). That is, the flexible circuit board (LF) bonded to the flexible substrate (PI) in the second flat portion (FP2) may be positioned in the back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PI) of the first flat portion (FP1).
터치 스크린 패널(TNL)은 복수의 터치 센서들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터치 센서는 플렉서블 기판(PI)의 표시영역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상호 용량 센서, 및 자기 용량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panel (TNL)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sensors and detects a user's touch input. The touch sensors can b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of the flexible substrate (PI). The touch sensors can include at least one of a mutual capacitance sensor and a self-capacitance sensor.
편광 필름(POL)은 제1 평면부(FP1)의 플렉서블 기판(PI) 상에 배치된다. 편광 필름(POL)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의 반사를 줄임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 필름(POL)은,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투과시키고 그 외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을 흡수하거나 반사하는 역할을 하여, 표시장치로부터 방출되는 빛만을 투과시킬 수 있다. A polarizing film (POL) is placed on a flexible substrate (PI) of a first flat portion (FP1). The polarizing film (POL) can improve visibility by reducing reflection of light incident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polarizing film (POL) can transmit only light vibrat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olarization axis and absorb or reflect light vibrating in a different direction, thereby transmitting only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device.
커버층(MCL)은 플렉서블 기판(PI)의 곡면부(BP)를 덮으며, 곡면부(BP)가 굽어짐으로 인해서 외력에 취약할 수 있는 것을 보완한다. 커버층(MCL)은 점착성을 갖는 수지(resin)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층(MCL)은 곡면부(BP)를 커버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layer (MCL) covers the curved portion (BP) of the flexible substrate (PI) and compensates for the vulnerability of the curved portion (BP) to external force due to bending. The cover layer (MCL) may be made of a resin having adhesive properties. The cover layer (MCL) may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area to cover the curved portion (BP).
플렉서블 기판(PI)의 배면에는 제1 백 플레이트(BPT1) 및 제2 백 플레이트(BPT2)가 합착된다. 제1 백 플레이트(BPT1) 및 제2 백 플레이트(BPT2)는 플렉서블 표시기판(PI)의 배면을 지지한다. 제1 백 플레이트(BPT1) 및 제2 백 플레이트(BPT2)는 기판의 하부에 이물(異物)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백 플레이트(BPT1, BPT2)는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PC(poly carbonate), PEN(poly ethylene naphthalate)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first back plate (BPT1) and a second back plate (BPT2) are bonded to a back surface of a flexible substrate (PI). The first back plate (BPT1) and the second back plate (BPT2) support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substrate (PI). The first back plate (BPT1) and the second back plate (BPT2)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attach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can serve to cushion impact from the outside.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s (BPT1, BPT2) can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 carbonate (PC), or poly ethylene naphthalate (PEN).
제1 백 플레이트(BPT1)는 제1 평면부(FP1)의 강성을 보강하여, 제1 평면부(FP1)가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백 플레이트(BPT2)는 제2 평면부(FP2)의 강성을 보강하여, 제2 평면부(FP2)가 플랫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back plate (BPT1)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first flat portion (FP1) so that the first flat portion (FP1) can maintain a flat state. The second back plate (BPT2)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second flat portion (FP2) so that the second flat portion (FP2) can maintain a flat state.
도 7은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측이 곡면 형태로 굽어진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에 안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side of a flexible display panel bent into a curved shape and mounted on a cover glass.
도 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플렉서블 기판(PI) 곡면부(BP)가 굽어진 상태로 커버 글라스(CG)의 내부에 탑재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영상을 표시하는 전면이 커버 글라스(CG)의 밑면(Bot)과 대면하도록 커버 글라스(CG) 내부에 탑재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버 글라스(CG)는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여,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을 안착시킨다. 커버 글라스(CG)의 내부 공간(OA)은 편광필름(POL)과 대면하는 밑면(Bot)과, 밑면(Bot)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는 측면(S1)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커버 글라스(CG)의 측면은 바닥면(Bot)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도 7은 곡면부(BP)와 인접하는 제1 측면(S1) 만을 도시하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적어도 일부는 커버 글라스(CG)의 내부 공간(OA)에 탑재된다. 일례로 도 7에서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전체 면적은 커버 글라스(CG)의 내부 공간(OA)에 완전히 탑재될 수 있다. 그 결과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외부의 물리적 충격이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에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킨다. Referring to FIG. 7,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llustrated in FIG. 6 is mounted inside the cover glass (CG) with the curved portion (BP) of the flexible substrate (PI) bent.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mounted inside the cover glass (CG) so that the front surface displaying the image faces the bottom surface (Bot) of the cover glass (CG). The cover glass (C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cures a space inside to secure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The internal space (OA) of the cover glass (CG) can be defined as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Bot) facing the polarizing film (POL) and the side surface (S1)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Bot).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glass (CG) can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Bot), and FIG. 7 illustrates only the first side surface (S1) adjacent to the curved portion (BP). At least a portion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OA) of the cover glass (C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entire area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can be completely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OA) of the cover glass (CG). As a result,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can be reduced, and external physical impact applied to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reduced.
이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이 커버 글라스(CG)에 내부에 탑재된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각 구성들의 얼라인을 확인하기 위한 측면 검사가 불가능한다.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플렉서블 기판(PI)에 제1 및 제2 백 플레이트(BPT1,BPT2), 터치 스크린 패널(TNL) 및 편광 필름(POL) 등을 합착한 이후에, 각각의 구성들이 정렬된 상태를 확인하는 육안 검사 과정이 필요하다. 특히,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이 커버 글라스(CG)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각 구성들의 정렬 상태가 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커버 글라스(CG)에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을 안착하고 최외각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을 체결하기 이전에 얼라인을 검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In this way,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mounted internally on the cover glass (CG), the side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a side inspection to check the alignment of each component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impossible. After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s (BPT1, BPT2), the touch screen panel (TNL), and the polarizing film (POL) are bonded to the flexible substrate (PI),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requires a visual inspection process to check the alignment of each component. In particular, since the alignment of each component may be misaligned during the process of fix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to the cover glass (CG), a process for checking the alignment is required before fix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to the cover glass (CG) and fastening the outermost housing (not shown).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커버 글라스(CG)의 내측 공간에 완전히 탑재되기 때문에, 커버 글라스(CG)에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이 탑재된 상태에서는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배면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배면 상에는 제2 백 플레이트(BPT2)와 연성회로필름(LF)에 의해서 다른 구성들은 가려지기 때문에 플렉서블 기판(PI) 상에 배치된 구성들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기가 곤란하다. However, since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glass (CG), only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can be visually confirmed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mounted on the cover glass (CG). In addition, since other components on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are covered by the second back plate (BPT2) and the flexible circuit film (LF),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alignment state of the components arranged on the flexible substrate (PI).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기판(PI)은 얼라인 패턴을 이용하여 플랙서블 표시패널(PNL)이 커버 글라스(CG)에 탑재된 상태에서도 육안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The flexible substrate (P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a visual inspection even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mounted on a cover glass (CG) using an alignment patter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Figure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ck surface of a flexibl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PI)의 배면에는 제1 및 제2 백 플레이트(BPT2)가 합착된다. 제1 백 플레이트(BPT1)와 제2 백 플레이트(BPT2)는 곡면부(BP)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제2 백 플레이트(BPT2)의 끝단에는 모따기 형태로 파여진 얼라인 패턴(ALP)이 형성된다. 얼라인 패턴(ALP)은 도 8에서와 같이, 제2 백 플레이트(BPT2)가 합착되는 영역의 양 측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고, 어느 한 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에서 폼 플레이트 합착영역(FTA)은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곡면부(BP)가 굽어질 때, 제1 백 플레이트(BPT1)와 제2 백 플레이트(BPT2) 사이에 개재되는 폼 플레이트(FT)가 합착되는 영역이다. Referring to FIG. 8, first and second back plates (BPT2) are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PI). The first back plate (BPT1) and the second back plate (BPT2) are arranged with a curved portion (BP) therebetween. An alignment pattern (ALP) having a chamfered shape is formed at an end of the second back plate (BPT2). The alignment pattern (ALP)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an area where the second back plate (BPT2) is bonded, as shown in FIG. 8, or may be formed at one end. In FIG. 8, the foam plate bonding area (FTA) is an area where a foam plate (FT)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ck plate (BPT1) and the second back plate (BPT2) is bonded when the curved portion (BP)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bent.
제2 백 플레이트(BPT2)가 합착되는 영역의 최대 수평폭(W2)의 길이가 제1 백 플레이트(BPT1)가 합착되는 영역의 최대 수평폭(W1) 길이보다 크면, 제2 백 플레이트(BPT2)가 접힐 때 제1 백 플레이트(BPT1)를 완전히 덮기 때문에 제2 백 플레이트(BPT2)의 뒤틀림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플렉서블 기판(PI)에서 제2 백 플레이트(BPT2)가 합착되는 영역의 최대 수평폭(W2)의 길이는 제1 백 플레이트(BPT1)가 합착되는 영역의 최대 수평폭(W1)의 길이보다 같거나 작게 설정된다.If the length of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W2)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back plate (BPT2) is bonded is greater than the length of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W1) of the area where the first back plate (BPT1) is bonded,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second back plate (BPT2) is warped because the second back plate (BPT2) completely covers the first back plate (BPT1) when folded. Therefore, the length of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W2)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back plate (BPT2) is bonded in the flexible substrate (PI) is set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W1) of the area where the first back plate (BPT1) is bonded.
그리고 폼 플레이트(FT)의 수평폭(W3) 길이는 플렉서블 기판(PI)에서 제2 백 플레이트(BPT2)가 합착되는 영역의 최대 수평폭(W2) 길이보다 같거나 작게 설정된다. And the horizontal width (W3) of the foam plate (FT) is set to be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W2)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back plate (BPT2) is bonded to the flexible substrate (PI).
도 9는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이 곡면부(BP)의 곡면축(BPL)을 중심으로 소정 곡률로 벤딩 된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CG)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은 제1 및 제2 백 플레이트(BPT2)가 폼 플레이트(FT)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도록 곡면부(BP)가 휘어진다. 따라서,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이 곡면으로 휘어진 상태에서 전면부가 커버 글라스(CG)에 대면하도록 탑재되면, 플렉서블 표시패널(PNL)의 전면부에 합착된 연성회로필름(LF)이 배면으로 노출된다. FIG. 9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mounted on a cover glass (CG) while being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bout a curved axis (BPL) of a curved portion (BP). The curved portion (BP)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ben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s (BPT2) face each other with the form plate (FT) therebetween. Accordingly, when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mounted so that its front side faces the cover glass (CG) while being bent into a curved shape, the flexible circuit film (LF) bonded to the front side of the flexible display panel (PNL) is exposed to the back side.
폼 플레이트(FT)가 합착되는 영역(FTA)은 제2 백 플레이트(BPT2)가 대면하는 영역 내에 속한다. 그리고 폼 플레이트(FT)가 합착되는 영역(FTA)은 얼라인 패턴(ALP)을 통해서 노출된다. The area (FTA) where the foam plate (FT) is bonded is within the area where the second back plate (BPT2) faces. And the area (FTA) where the foam plate (FT) is bonded is exposed through the alignment pattern (ALP).
도 10은 얼라인 패턴에 노출된 폼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0 is a drawing showing a foam plate exposed to an alignment pattern.
도 10을 참조하면, 얼라인 패턴(ALP)에 의해서 폼 플레이트(FT)는 일부분이 노출되기 때문에, 검사자는 육안으로 노출되는 폼 플레이트(FT)의 수직높이(h1) 및 수평길이(l1)를 확인할 수 있다. 폼 플레이트(FT)의 노출되는 수직높이(h1) 및 수평길이(l1)는 폼 플레이트(FT)의 크기 및 얼라인 패턴(ALP)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요소는 미리 설계된 수치에 의해서 결정된다. Referring to Fig. 10, since a part of the foam plate (FT) is exposed by the alignment pattern (ALP), the inspector can visually check the vertical height (h1) and horizontal length (l1) of the foam plate (FT). The exposed vertical height (h1) and horizontal length (l1) of the foam plate (FT) can be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foam plate (FT) and the size of the alignment pattern (ALP), and these factors are determined by pre-designed values.
만약 얼라인 패턴(ALP)이 없다면, 도 11에서와 같이 폼 플레이트(FT)는 제1 백 플레이트(BPT1)가 합착되는 영역의 플렉서블 기판(PI)에 의해서 가려진다. 따라서, 플렉서블 기판(PI)이 접힌 상태에서, 폼 플레이트(FT)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폼 플레이트(FT)가 누락되어도 이를 확인하기 어렵다. If there is no alignment pattern (ALP), as in Fig. 11, the foam plate (FT) is covered by the flexible substrate (PI) in the area where the first back plate (BPT1) is bonded. Therefore, not only is it impossible to check the alignment status of the foam plate (FT) when the flexible substrate (PI) is folded, but it is also difficult to check if the foam plate (FT) is missing.
이에 반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렉서블 기판(PI)이 접힌 상태에서도, 폼 플레이트(FT)의 끝단 부위의 일정 영역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노출된다. 따라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폼 플레이트(FT)의 크기 및 위치를 미리 설계된 크기 및 위치와 확인하여 폼 플레이트(FT) 및 제1 백 플레이트(BPT1)가 접힌 영역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In contra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flexible substrate (PI) is folded, a certain area of the end portion of the foam plate (FT) is exposed so that i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Accordingly,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foam plate (FT) tha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can be confirmed with a pre-designed size and position, thereby confirming the alignment state of the folded area of the foam plate (FT) and the first back plate (BPT1).
또한, 이와 같이 얼라인 패턴(ALP)을 이용하기 위해서, 연성회로필름(LF)은 얼라인 패턴(ALP)을 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플렉서블 기판(PI)과 합착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utilize the alignment pattern (ALP) in this way, the flexible circuit film (LF) is bonded to the flexible substrate (PI)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obscure the alignment pattern (ALP).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PNL: 플렉서블 표시패널 FP1: 제1 평면부
FP2: 제2 평면부 BP: 곡면부
BP1, BP2: 백 플레이트 TNL: 터치 스크린 패널
LF: 회로 소자 ALP: 얼라인 패턴PNL: Flexible display panel FP1: First flat surface
FP2: Second plane BP: Curved surface
BP1, BP2: Back plate TNL: Touch screen panel
LF: Circuit Element ALP: Alignment Pattern
Claims (7)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 내에서, 상기 표시영역을 덮는 위치에 합착되는 제1 백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배면 내에서, 비표시영역의 일측을 덮는 위치에 합착되는 제2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제2 백 플레이트가 합착되는 영역의 양측 끝단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서 모따기 형태로 파여진 얼라인 패턴을 갖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A flexible substrate having defined display and non-display areas;
A first back plate bonded to a position covering the display area within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and
Including a second back plate bonded to a position covering one side of the non-display area within the back surface of the flexible substrate;
A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has an alignment pattern formed in a chamfered shape at at least one end among both ends of an area where the second back plate is bonded.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제1 백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백 플레이트 사이에서 곡면축을 중심으로 곡면부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굽어져서, 상기 제1 백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백 플레이트는 서로 대면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백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폼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In paragraph 1,
The flexible substrate is bent so that the curved portion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about the curved axis between the first back plate and the second back plate, so that the first back plate and the second back plate face each other,
A flexibl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oam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ack plates.
상기 플렉서블 기판에서, 상기 곡면축 방향으로 상기 제2 백 플레이트가 합착되는 영역의 최대 수평폭 길이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에서, 상기 곡면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백 플레이트가 합착되는 영역의 최대 수평복 길이보다 같거나 작은 플렉서블 표시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In the above flexible substrate,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of the area where the second back plate is bonded in the direction of the curved axis is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maximum horizontal length equal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area where the first back plate is bonded in the direction of the curved axis on the flexible substrate.
상기 곡면축 방향으로 상기 폼 플레이트의 수평폭 길이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에서, 상기 곡면축 방향으로 상기 제2 백 플레이트가 합착되는 최대 수평폭 길이 보다 같거나 작은 플렉서블 표시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horizontal width length of the foam plate in the direction of the above curved axis is,
A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maximum horizontal width length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maximum horizontal width length along the curved axis direc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상기 플렉서블 기판이 굽어졌을 때에, 상기 폼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얼라인 패턴 영역에 의해서 노출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In paragraph 4,
A flexible display device, wherein when the flexible substrate is b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foam plate is exposed by the alignment pattern area.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전면에서, 상기 제2 백 플레이트가 합착되는 맞은편의 끝단에는 연성회로필름이 합착되고,
상기 연성회로필름은 상기 얼라인 패턴을 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과 중첩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In paragraph 4,
On the front side of the above flexible substrate, a flexible circuit film is bonded to the end opposite to where the second back plate is bonded,
A flexible display devic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flexible circuit film overlaps the above-mentioned flexible substrat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obscure the above-mentioned alignment pattern.
곡면부가 굽어진 상태의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내부에 탑재하는 커버 글라스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In paragraph 1,
A flexibl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ver glass having the flexible substrate with the curved surface portion mounted therei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2580A KR102773739B1 (en) | 2016-12-29 | 2016-12-29 | Flexibl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82580A KR102773739B1 (en) | 2016-12-29 | 2016-12-29 | Flexibl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413A KR20180078413A (en) | 2018-07-10 |
KR102773739B1 true KR102773739B1 (en) | 2025-02-28 |
Family
ID=6291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2580A Active KR102773739B1 (en) | 2016-12-29 | 2016-12-29 | Flexibl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373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96036B1 (en) * | 2019-04-10 | 2024-08-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6813B1 (en) * | 2013-02-01 | 2017-11-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035462B1 (en) * | 2013-03-27 | 2019-10-2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Slit coater, method for driving the same, flexi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fabricating of the same |
KR102081650B1 (en) * | 2013-04-10 | 2020-02-2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393791B1 (en) * | 2015-03-17 | 2022-05-0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Back plate member for flexible display,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2016
- 2016-12-29 KR KR1020160182580A patent/KR10277373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8413A (en) | 2018-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04294B2 (en) | Display device | |
US10217406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10499493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285835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578589B1 (en) | Flexible display | |
KR102033625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KR102009670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US9576520B2 (en) | Display device with groove in a non-display area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200912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496467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KR102589902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of Flexible Display Devic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using thereof | |
US12094885B2 (en) | Display device hav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a pad portion | |
KR102773739B1 (en) | Flexible Display Device | |
KR20240091435A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panel | |
KR200444223Y1 (en) | Flexible multi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12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