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3683B1 - Height-adjustable kitchen washing container water tank - Google Patents
Height-adjustable kitchen washing container water t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3683B1 KR102773683B1 KR1020220039813A KR20220039813A KR102773683B1 KR 102773683 B1 KR102773683 B1 KR 102773683B1 KR 1020220039813 A KR1020220039813 A KR 1020220039813A KR 20220039813 A KR20220039813 A KR 20220039813A KR 102773683 B1 KR102773683 B1 KR 1027736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guide plate
- moving guide
- washing container
- reservoi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량의 물이 투입되는 개방부(112)가 형성되고, 상부 둘레면을 따라 하향 절곡 형성되고, 그 하부면으로 연결홈(122)이 형성되는 연결 플랜지(120)와, 바닥면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기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용되는 유입홈(152)과, 상기 유입홈(152)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홈(154)측으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154)과, 상기 배수관(154)을 개폐시키는 배수밸브(156)로 구성되는 배수부재(150)를 포함하는 저수조 본체(110); 및 상기 저수조 본체(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조 본체(110)를 싱크대에 안착시키며, 상기 저수조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water storage tank body (110) including a drainage member (150) comprising: a connecting flange (120) in which an opening (112) for introduc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formed, a downwardly bent shape formed along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connecting groove (122)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 inlet groove (152)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a bottom surface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water so that it can be drained; a drainage pipe (154)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groove (152) to drain water introduced toward the inlet groove (154); and a drainage valve (15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age pipe (154); and a height adjustment member (200) coupled to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body (110) to place the water storage tank body (110) on a sink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storage tank body (110).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용 싱크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적 키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설겆이 등과 같은 세척 작업을 장시간 편안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허리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저비용 고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adjustable kitchen dishwashing container reservoir, and more specifically, to a height-adjustable kitchen dishwashing container reservoir which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kitchen sink and to be height-adjustable according to a user's physical height,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comfortably perform dishwashing and other washing tasks for a long time, and prevents back pain, and provides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since no separate installation cost is incurred.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적당량의 곡물과 야채, 생선, 과일 등을 준비해야 하며, 섭취전에 이들을 깨끗이 씻는 세척과정시 주방용 싱크대에서 작업을 실시하게 되고, 식사 후 설겆이를 할 때에도 싱크대에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In general, in order to prepare a meal at home, you need to prepare an appropriate amount of grains, vegetables, fish, fruits, etc., and when washing them thoroughly before eating, you do this at the kitchen sink. When washing the dishes after the meal, you also do this at the sink.
하지만, 싱크대는 일정한 높이로 시공되어 있기 때문에 키가 큰 사람이 사용하게 되는 경우, 허리를 숙여 낮은 자세로 실시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허리통증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 However, since sinks are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tall people have no choice but to bend over and use them in a low posture, which can inevitably lead to back pain.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0769호에는, 키가 큰 사용자가 싱크보울방향으로 허리를 구부리지 않은 상태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기세척 등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 공급부재의 세척수 공급관과 세척수 배출부재의 세척수 배출관이 상기 싱크보울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꼬일 우려가 없는 싱크대가 게재된 바 있다. Accordingl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80769 discloses a sink that not only allows tall users to wash dishes more easily without having to bend over toward the sink bowl, but also eliminates the risk of the wash water supply pipe of the wash water supply member and the wash water discharge pipe of the wash water discharge member becoming tangled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sink bowl.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은, 싱크대 프레임에 상당한 변형을 주어야만 하고, 이로 인해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싱크대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had a problem in that it required significant deformation of the sink fram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o an existing sink.
또한,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은 싱크보울 자체가 상하 이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싱크보울의 상하 이동을 위한 복잡한 장치들이 설치되어야만 하고, 특히 싱크보울의 수밀성에 대한 확보가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높은 설치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투자 비용 대비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ocu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ink bowl itself moves up and down, so complex devices must be installed for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sink bowl, and in particular, the watertightness of the sink bowl must be secured,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high installation costs were inevitably incurred, and the efficiency compared to the investment cost was significantly reduced.
여기서 전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r prior art described herein is mere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echnology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기술에 의해서 안출된 것으로, 주방용 싱크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적 키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설겆이 등과 같은 세척 작업을 장시간 편안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허리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저비용 고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background technology, and provides a kitchen dishwashing container reservoir with adjustable height, which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a kitchen sink and can be adjusted in heigh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height, so that washing tasks such as dishwashing can be comfortably performed for a long time, and can prevent back pain, and can provide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because no separate installation cost is incurred.
또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저수조들을 서로 다른 높이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고, 한 쪽 방향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채와 과일 등을 흐르는 물에서 세척이 가능하고, 물을 저수조에 받아서 사용하므로 사용할 물의 절약이 가능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chen washing container water tank with adjustable height, which can be configured to connect a plurality of water tanks at different heights and allows water to flow in one direction, thereby enabling washing of vegetables and fruits in running water, and saving water by collecting water in the water tank and using it.
또한, 본 발명은 세척 정도에 따라 점차적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흐르는 물에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여러 종류의 식품들을 각각 세척할 수 있어 세척에 필요한 시간의 낭비도 줄일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kitchen washing container reservoir with adjustable height, which can prevent waste of water by gradually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washing and washing in running water, and can simultaneously wash different types of food separately, thereby reducing waste of time required for washing.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Howev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purposes or effects that can be understood from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r the embodiment thereof are also included herewith, even if not explicitly stated.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량의 물이 투입되는 개방부(112)가 형성되고, 상부 둘레면을 따라 하향 절곡 형성되고, 그 하부면으로 연결홈(122)이 형성되는 연결 플랜지(120)와, 바닥면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기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용되는 유입홈(152)과, 상기 유입홈(152)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홈(154)측으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154)과, 상기 배수관(154)을 개폐시키는 배수밸브(156)로 구성되는 배수부재(150)를 포함하는 저수조 본체(110); 및 상기 저수조 본체(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수조 본체(110)를 싱크대에 안착시키며, 상기 저수조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such a task,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water storage tank body (110) including a drainage member (150) comprising an opening (112) into which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introduced, a connecting flange (120) formed by a downward bending along an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connecting groove (122)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 inlet groove (152)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of a bottom surface and configured to be received so that the water can be drained, a drainage pipe (154)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let groove (152) to drain water introduced toward the inlet groove (154), and a drain valve (15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age pipe (154); and a height adjustment member (200) coupled to each corn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tank body (110) to place the water storage tank body (110) on a sink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storage tank body (1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수조 본체(110)는, 상기 연결 플랜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112)로 투입되는 물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물의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물 유출부(140)와, 상기 물 유출부(14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유출되는 물이 일측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동 안내판(13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ervoir body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ater discharge port (14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flange (120) and formed through a penetration to allow water to flow out when water injected into the opening (112) exceeds a certain level, and a moving guide plate (13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port (140) and guiding the flowing water to flow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높이 조절부재(200)는, 저수조 본체(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다리 결합부(210)와, 상기 다리 결합부(210)에 나사 결합되는 제1지지다리(220)와, 상기 제1지지다리(220)의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중앙부로 관통되는 제1조절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다리(220)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작동하는 지지부재(230)와, 상기 제1조절홈(23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다리(240)와, 상기 제2지지다리(240)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승강 및 하강 작동하는 다리 조절부재(2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00)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leg coupling portion (210) coupled to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servoir body (110), a first support leg (220) screw-coupled to the leg coupling portion (210), a support member (230) having a first adjustment groove (232) formed through the center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leg (220) is screw-coupled and operates to rise and fall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leg (220), a second support leg (240)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djustment groove (232), and a leg adjustment member (250) that operates to rise and fall so that height adjustment is per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leg (24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용기 저수조(100)는, 제1 내지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a, 100b, 100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container storage tank (100)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first to third washing container storage tanks (100a, 100b, 100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a, 100b, 100c)에 각각 구성되는 상기 이동 안내판(130)은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 플랜지(120)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이동 안내판(130)들 간의 높이차에 의한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guide plates (130)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first to third washing tanks (100a, 100b, 100c) ar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heights, and when connected by the connecting flange (120), a step is formed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guide plates (13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방용 싱크대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사용자의 신체적 키 높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설겆이 등과 같은 세척 작업을 장시간 편안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허리의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치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저비용 고효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k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a kitchen sink and to be height-adjustable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height, so that washing tasks such as dishwashing can be comfortably performed for a long time, and lower back pai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since no separate installation cost is incurre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개의 저수조들을 서로 다른 높이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여 단층지게 다단으로 형성하고, 한 쪽 방향으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채와 과일 등을 흐르는 물에서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ater tanks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different heights to form a single-tiered multi-tiered structure, and water can flow in one direction, thereby enabling the washing of vegetables, fruits, etc. in running wa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세척 정도에 따라 점차적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흐르는 물에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물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여러 종류의 식품들을 각각 세척할 수 있어 세척에 필요한 시간의 낭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gradually supplying wat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washing and allowing washing to be done in flowing water, waste of water can be prevented, and since several types of food can be washed simultaneously, waste of time required for washing can also be reduced.
더불어,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various beneficial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개의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adjustable kitchen dishwashing container reservo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adjustable kitchen washing container reservoi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kitchen washing container storage tanks are connec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symbo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below,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can be included,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n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can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100)는 싱크대에 안착되게 구성되어 과일, 야채의 세척이나 사용한 음식물 용기의 설겆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저수조 본체(110)와 이 저수조 본체(110)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 조절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height-adjustable kitchen dishwashing contain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a sink so that fruits and vegetables can be washed or used food containers can be washe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tank body (110) and a height-adjusting member (200) detach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ank body (110).
저수조 본체(110)는 내부에 물이 투입되며, 상기 과일, 야채, 음식물 용기가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개방부(112)가 형성되고, 상부 둘레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수조 본체(110)의 상측, 전후방 및 좌우측면에 하향 절곡 형성되어 다수개의 세척용기 저수조(100)가 서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연결 플랜지(120)가 형성된다.The water tank body (110) is formed with an opening (112) that opens at the top so that water is poured into the inside and the fruit, vegetable, and food containers can be accommodated, and a connecting flange (120) is formed in a downward bend on the upper circumferential surface, more preferably on the upper sid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ter tank body (110) so that a plurality of washing container water tanks (10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연결 플랜지(120)는 저수조 본체(110)의 상단부로부터 하향 절곡 형성되며, 그 하부면으로 다수개의 세척용기 저수조(100)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결홈(122)이 형성된다.The connecting flange (120) is formed by b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reservoir body (110), and a connecting groove (12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washing tank reservoirs (100).
또한, 저수조 본체(110)는 저수조 본체(110)의 일측부에 구성되며, 연결 플랜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개방부(112)로 투입되는 물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투입되는 경우, 이 물이 유출되면서 상기 저수조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동 안내판(130)이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reservoir body (110) is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reservoir body (110), and a moving guide plate (130) is configur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ng flange (120) so that when water injected into the opening (112) exceeds a certain level, the water flows out and flows in one direction of the reservoir body (110).
여기서, 이동 안내판(130)은 저수조 본체(110)의 일측부가 절개되는 패널로 이루어지며, 그 중앙부가 소정의 호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동 안내판(130)은 제1세척용기 저수조(100a)에 구성되는 제1이동 안내판(130a)과,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에 구성되는 제2이동 안내판(130b)과,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c)에 구성되는 제3이동 안내판(130c)으로 구성된다.Here, the moving guide plate (130) is formed as a panel in which one side of the reservoir body (110) is cut off, and its central part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arc.
The moving guide plate (130) is composed of a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configured in the first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a), a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configured in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and a third moving guide plate (130c) configured in the thir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c).
여기서, 저수조 본체(110)는 이동 안내판(130)이 형성되는 일측부가 관통 형성되면서 물 유출부(140)를 형성하여 개방부(112)로 투입된 물의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믈 유출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세척용기 저수조(100a)에 구성되고, 제1이동 안내판(130a)이 형성되는 제1물 유출부(142)가 구성된다.
또한, 믈 유출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에 구성되고, 제1이동 안내판(130a)의 하부면이 안착되고, 이 제1이동 안내판(130a)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유입홀(144a)과, 제1유입홀(144a)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제1유입홀(144a)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제2이동 안내판(130b)이 형성되는 제1유출홀(144b)로 구성되는 제2물 유출부(144)가 구성된다.
또한, 믈 유출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c)에 구성되고, 제2이동 안내판(130b)의 하부면이 안착되고, 이 제2이동 안내판(130b)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유입홀(146a)과, 제2유입홀(146a)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제2유입홀(146a)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제3이동 안내판(130c)이 형성되는 제2유출홀(146b)로 구성되는 제3물 유출부(146)가 구성된다.Here, the reservoir body (110) is configured such that a water outlet (140) is formed by forming a penetrating portion on one side where a moving guide plate (130) is formed, so that water injected into the opening (112) can be discharged.
As shown in Fig. 3, the water outlet (140) is configured in the first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a), and the first water outlet (142) in which the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is formed is configured.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 the water outlet (140) is configured in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is secured, and the first inflow hole (144a) configured to allow the inflow of water moving through the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is configured, and the second water outlet (144) is configured with the first outlet hole (144b)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inflow hole (144a), and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first inflow hole (144a), and in which the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is formed.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 the water outlet (140) is configured in the thir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c),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is secured, and the second inflow hole (146a) configured to allow the inflow of water moving through the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is configured, and the third water outlet (146) is configured with the second outlet hole (146b)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inflow hole (146a) and lower than the second inflow hole (146a), and in which the third moving guide plate (130c) is formed.
이러한 이동 안내판(130) 및 물 유출부(140)는 연결 플랜지(120)의 하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ving guide plate (130) and water outlet (140) be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ng flange (120).
이때, 상기 다수개의 세척용기 저수조(100)들은 상기 이동 안내판(130)이 동일한 위치에 각각 구성되되, 그 높이는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연결 플랜지(120)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질 때, 상기 이동 안내판(130)들간의 높이차에 의한 단차가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단차에 의해 투입된 물이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washing container reservoirs (100) are configured so that the moving guide plates (130) are each configured at the same position, but have different heights, and when connected by the connecting flange (120), a step is formed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moving guide plates (130), and as a result, the water injected by the step moves in one direction.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세척용기 저수조(100)들은 제1 내지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a, 100b, 100c)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세척용기 저수조(100a)에 구성되는 이동 안내판(130)이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되고,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에 구성되는 이동 안내판(130)은 제1세척용기 저수조(100a)에 구성되는 이동 안내판(130)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c)에 구성되는 이동 안내판(130)은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에 구성되는 이동 안내판(130)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제1세척용기 저수조(100a)로 최초 투입된 물이 순차적으로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각각의 이동 안내판(130)을 따라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washing container reservoirs (100) can be configured as first to third washing container reservoirs (100a, 100b, 100c), and the moving guide plate (130) configured in the first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a) is formed at the highest position, the moving guide plate (130) configured in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ving guide plate (130) configured in the first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a), and the moving guide plate (130) configured in the thir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c) is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ving guide plate (130) configured in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so that water initially injected into the first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a) is sequentially formed at a lower position in each moving Movement is carried out following the guide sign (130).
다시말해, 본 발명은 제1세척용기 저수조(100a)에 최초로 물이 투입되고, 이후 제1세척용기 저수조(100a)에 투입된 물의 수위가 제1물 유출부(142)에 위치하는 제1이동 안내판(130a)의 위치에 도달하면, 이 제1이동 안내판(130a)을 따라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의 제1유입홀(144a)을 통해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로 이동하면서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의 개방부(112)로 투입되고, 이후,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에 투입된 물의 수위가 제1유출홀(144b)에 형성된 제2이동 안내판(130b)의 위치에 도달하면, 제2이동 안내판(130b)을 따라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c)의 제2유입홀(146a)을 통해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c)로 투입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water is first poured into a first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a), and th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poured into the first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a) reaches the position of the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located at the first water outlet (142), the water moves along the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to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through the first inlet hole (144a) of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and is poured into the opening (112) of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and then, when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poured into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reaches the position of the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formed at the first outlet hole (144b), the water flows along the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It is fed into the thir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c) through the second inlet hole (146a) of the thir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c).
또한, 저수조 본체(110)는 개방부(112)의 바닥면 중앙으로 투입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수부재(150)가 장착되는 배수홀(114)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servoir body (110) is formed with a drainage hole (114) in which a drainage member (150) is mounted so that water injected in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112) can be drained.
여기서, 배수부재(150)는 배수홀(11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면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개방부(112)로 투입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용되는 유입홈(152)과, 유입홈(152)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홈(154)측으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154)과, 배수관(154)을 개폐시키는 배수밸브(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Here, the drain member (15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drain hole (114), and includes an inlet groove (152) formed to be sunken in the upper surface so that water introduced into the opening (112) can be drained, a drain pipe (154)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let groove (152) to drain water introduced toward the inlet groove (154), and a drain valve (156) that opens and closes the drain pipe (154).
여기서, 유입홈(152)의 상단부 둘레면에는 개방부(112)에 수용된 물이 배수홀(114)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패킹부재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rubber packing member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flow groove (152) to prevent water contained in the opening (112)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drain hole (114).
높이 조절부재(200)는 저수조 본체(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 부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저수조 본체(110)가 싱크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상기 저수조 본체(10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다리 결합부(210), 제1 및 제2지지다리(220, 240), 지지부재(230) 및 다리 조절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height adjustment member (200)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tank body (110), supports the water tank body (110) so that it can be stably placed on the sink,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height of the water tank body (100) to be adjust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eg joint (210), first and second support legs (220, 240), a support member (230), and a leg adjustment member (250).
다리 결합부(210)는 저수조 본체(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부에 결합된다. 이때, 다리 결합부(210)는 그 상부면이 저수조 본체(110)의 하부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leg joint (210) is joined to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servoir body (110). At this time, the leg joint (210) is configured so that its upper surface can be integrally joi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servoir body (110).
다리 결합부(210)는 하부 중앙으로 제1지지다리(220)의 상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정홈(212)이 형성된다. The bridge joint (210) is formed with a fixing groove (212) configured to allow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upport leg (220) to be detachably joined to the lower center.
이때, 고정홈(212)은 내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지지다리(220)와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ed groove (212) may be configured to have screw thread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form a screw connection with the first support leg (220).
제1지지다리(220)는 나사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수조 본체(110)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한다. The first support leg (220) may be formed of a screw shaft and provides support for the load of the reservoir body (110).
지지부재(230)는 제1지지다리(220)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싱크대에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support member (230) is configured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upport leg (220) is joined and can be placed on the sink.
이러한 지지부재(230)는 중앙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제1지지다리(220)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조절홈(232)이 형성된다. This support member (230) is formed to penetrate the central portion, and a first adjusting groove (232) is formed to which the first support leg (220) is connected in a screw-joining manner.
여기서, 제1조절홈(232)은 관통된 하부로 제2지지다리(240)가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Here, the first adjustment groove (232)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econd support leg (240)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through a screw connection.
이러한 지지부재(230)는 제1조절홈(232)에 제1지지다리(220)만 결합되는 경우, 싱크대에 저수조 본체(110)을 안착시키는 안착 기능을 제공하고, 이와 동시에 제1지지다리(2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체결되면서 저수조 본체(11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This support member (230) provides a fixing function for fixing the water tank body (110) to the sink when only the first support leg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adjustment groove (232), and at the same tim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tank body (110) can be adjusted by fastening along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leg (220).
또한, 지지부재(230)는 제1조절홈(232)의 하부로 제2지지다리(240)가 결합되는 경우, 제1지지다리(220)와 제2지지다리(24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서의 기능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230) provides a function as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leg (220) and the second support leg (240) when the second support leg (24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djustment groove (232).
제2지지다리(240)는 그 상단부가 지지부재(230)의 제1조절홈(232)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제1지지다리(220)와 함께 저수조 본체(11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second support leg (240) has its upper part screw-joined to the first adjustment groove (232) of the support member (230), and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leg (220), it supports the reservoir body (110)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이러한 제2지지다리(240)는 하부로 다리 조절부재(250)가 결합되며, 이 다리 조절부재(250)의 승강 및 하강 작동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This second support leg (240) has a leg adjustment member (250)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rais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leg adjustment member (250).
이때, 제2지지다리(240)는 다리 조절부재(250)의 조절 나사부(254)가 체결되는 제2조절홈(242)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leg (240) is formed with a second adjustment groove (242) to which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254) of the leg adjustment member (250) is fastened.
다리 조절부재(250)는 제2지지다리(24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면서 저수조 본체(110)의 높이를 조절하는 한편, 이 저수조 본체(110)가 싱크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The leg adjustment member (250) is a component that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leg (240) in a screw-joint mann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reservoir body (110) and support the reservoir body (110) so that it can be stably placed on the sink.
이러한 다리 조절부재(250)는 제2지지다리(240)에 구성되는 제2조절홈(242)에 결합되는 조절 나사부(254)와, 이 조절 나사부(254)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저수조 본체(110)의 안정적인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안착부재(252)로 구성된다.This leg adjustment member (250) is composed of an adjustment screw portion (254) that is coupled to a second adjustment groove (242) formed in a second support leg (240), and a support member (252)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adjustment screw portion (254) and supports the reservoir body (110) so that it can be stably install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세척용기 저수조 110: 저수조 본체
112: 개방부 114: 배수홀
120: 연결 플랜지 122: 연결홈
130: 이동 안내판 140: 물 유출부
150: 배수부재 152: 유입홈
154: 배수관 156: 배수밸브
200: 높이 조절부재 210: 다리 결합부
212: 고정홈 220: 제1지지다리
230: 지지부재 232: 제1조절홈
240: 제2지지다리 242: 제2조절홈
250: 다리 조절부재 252: 안착부재
254: 조절 나사부 100: Washing tank reservoir 110: Reservoir body
112: Opening 114: Drain hole
120: Connecting flange 122: Connecting groove
130: Moving sign 140: Water outlet
150: Drainage 152: Inflow groove
154: Drain pipe 156: Drain valve
200: Height adjustment member 210: Leg joint
212: Fixed home 220: First support leg
230: Support member 232: First adjustment groove
240: 2nd support leg 242: 2nd adjustment home
250: Leg adjustment member 252: Fixing member
254: Adjusting screw part
Claims (1)
일정량의 물이 투입되는 개방부(112)가 형성되고, 저수조 본체(110)의 상측, 전후방 및 좌우측면에 하향 절곡 형성되고, 그 하부면으로 연결홈(122)이 형성되는 연결 플랜지(120)와, 상기 연결 플랜지(12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112)로 투입되는 물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투입되는 경우, 상기 물의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물 유출부(140)와, 상기 물 유출부(140)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유출되는 물이 일측 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이동 안내판(130)과, 바닥면 중앙부에 결합되고, 상기 물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용되는 유입홈(152)과, 상기 유입홈(152)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홈(154)측으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154)과, 상기 배수관(154)을 개폐시키는 배수밸브(156)로 구성되는 배수부재(150)를 포함하는 저수조 본체(110);
저수조 본체(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다리 결합부(210)와, 상기 다리 결합부(210)에 나사 결합되는 제1지지다리(220)와, 상기 제1지지다리(220)의 하단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중앙부로 관통되는 제1조절홈(232)이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다리(220)의 외주면을 따라 승강 및 하강 작동하는 지지부재(230)와, 상기 제1조절홈(232)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다리(240)와, 상기 제2지지다리(240)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승강 및 하강 작동하는 다리 조절부재(250)로 구성되는 높이 조절부재(200);를 포함하고,
세척용기 저수조(100)는, 제1 내지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a, 100b, 100c)로 구성되며,
이동 안내판(130)은, 상기 제1세척용기 저수조(100a)에 구성되는 제1이동 안내판(130a)과, 상기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에 구성되는 제2이동 안내판(130b)과, 상기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c)에 구성되는 제3이동 안내판(130c)으로 구성되고,
상기 믈 유출부(140)는,
상기 제1세척용기 저수조(100a)에 구성되고, 상기 제1이동 안내판(130a)이 형성되는 제1물 유출부(142);
상기 제2세척용기 저수조(100b)에 구성되고, 상기 제1이동 안내판(130a)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상기 제1이동 안내판(130a)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1유입홀(144a)과, 상기 제1유입홀(144a)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홀(144a)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 안내판(130b)이 형성되는 상기 제1유출홀(144b)로 구성되는 제2물 유출부(144); 및
상기 제3세척용기 저수조(100c)에 구성되고, 상기 제2이동 안내판(130b)의 하부면이 안착되어, 이 제2이동 안내판(130b)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제2유입홀(146a)과, 상기 제2유입홀(146a)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입홀(146a)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3이동 안내판(130c)이 형성되는 제2유출홀(146b)로 구성되는 제3물 유출부(1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 세척용기 저수조.
In a kitchen dish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 with adjustable height,
A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flange (120) in which an opening (112) for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formed, and is formed by a downward bend on the upper side, front and rear sides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10) of the water tank, and has a connecting groove (122) formed on its lower surface; a water outlet (14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flange (120) and formed through which water introduced into the opening (112) flows out when the water level exceeds a certain level; a movement guide plate (13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outlet (140) and guiding the flowing out water to flow in one direction; an inflow groove (152)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ccommodated so that the water can be drained; a drain pipe (154)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inflow groove (152) and draining the water introduced toward the inflow groove (154); and a drain valve (15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ipe (154). A reservoir body (110) including a drainage member (150);
A height adjustment member (200) comprising a leg joint (210) coupled to each corn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servoir body (110), a first support leg (220) screw-joined to the leg joint (210), a first adjustment groove (232) formed through the center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pport leg (220) is screw-joined, a support member (230) that operates to rise and fall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leg (220), a second support leg (240)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djustment groove (232), and a leg adjustment member (250) that operates to rise and fall so that the heigh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leg (240) is adjusted;
The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 is composed of first to third washing container reservoirs (100a, 100b, 100c).
The moving guide plate (130) is composed of a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configured in the first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a), a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configured in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and a third moving guide plate (130c) configured in the thir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c).
The above water outlet (140) is
A first water discharge portion (142) configured in the first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a) and having the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formed therein;
A second water outlet (144) configured with a first inflow hole (144a) configured to be formed in the second washing container reservoir (100b) and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is secured so that water moving through the first moving guide plate (130a) is introduced, and a first outlet hole (144b)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inflow hole (144a) and lower than the first inflow hole (144a) and in which the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is formed; and
A kitchen washing container storage tank with adjustable height,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hird water outlet (146) configured with a second inflow hole (146a) configured to be configured in the third washing container storage tank (100c) and to have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secured thereto so that water moving through the second moving guide plate (130b) is introduced; and a second outlet hole (146b)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second inflow hole (146a),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second inflow hole (146a), and in which the third moving guide plate (130c)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813A KR102773683B1 (en) | 2022-03-30 | 2022-03-30 | Height-adjustable kitchen washing container water ta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9813A KR102773683B1 (en) | 2022-03-30 | 2022-03-30 | Height-adjustable kitchen washing container water tan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0938A KR20230140938A (en) | 2023-10-10 |
KR102773683B1 true KR102773683B1 (en) | 2025-02-25 |
Family
ID=8829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9813A Active KR102773683B1 (en) | 2022-03-30 | 2022-03-30 | Height-adjustable kitchen washing container water tan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3683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81404A (en) | 1998-01-29 | 1999-03-16 | Knight; Greg E. | Outdoorsman portable sink |
CN209162957U (en) | 2018-08-23 | 2019-07-26 |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adjustable sink of pond capacity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67482U (en) * | 1999-09-16 | 2000-04-07 | ニチワ電機株式会社 | sink |
KR100793816B1 (en) * | 2005-09-20 | 2008-01-10 | 주식회사에넥스 | Drain plug structure for sink |
KR101087758B1 (en) * | 2008-01-25 | 2011-11-30 | 최순녀 | Kitchen sink provided with multiple sinks and food waste disposal means |
KR100880769B1 (en) | 2008-07-28 | 2009-02-02 | 최낙영 | sink |
-
2022
- 2022-03-30 KR KR1020220039813A patent/KR1027736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81404A (en) | 1998-01-29 | 1999-03-16 | Knight; Greg E. | Outdoorsman portable sink |
CN209162957U (en) | 2018-08-23 | 2019-07-26 | 浙江欧琳生活健康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adjustable sink of pond capacity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P3067482 U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0938A (en) | 2023-10-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41604B2 (en) | Adjustable dishwasher conduit valve system | |
DE60315751T2 (en) | In a sink built-in dishwasher with a self-aligning Flüssigkeitszuführvorrichtung | |
DE102006003722A1 (en) | Kitchen sink, especially for household purposes | |
EP1994234A1 (en) | Dual capacity sink | |
KR102773683B1 (en) | Height-adjustable kitchen washing container water tank | |
CN209162957U (en) | A kind of adjustable sink of pond capacity | |
AU2003244281B2 (en) | Dishwasher with collecting means for receiving dish liquid and rinse liquid | |
CN205359399U (en) | Basin formula cleaning device's bottom plate subassembly | |
KR20030010172A (en) | Rice washing and conveying function of fully automatic unmanned pressure electric rice cooker Rice washing device with process water supply and waste water discharge function. | |
CN214964466U (en) | Easy-to-clean operating table of food material processing device | |
CN207462038U (en) | A kind of dish-washing machine water channel drain structure and dish-washing machine | |
CN210562463U (en) | Hidden water tank | |
US20090276951A1 (en) | Bubble generation assembly | |
CN209091252U (en) | Cleaning equipment | |
US6694542B2 (en) | Hip bath | |
KR100918952B1 (en) | Nozzle Digital Fully Automatic Semi Machine | |
CN208573630U (en) | Convenient cleaning machine | |
CN208892470U (en) | A kind of water tank type dish-washing machine | |
CN207760948U (en) | Anti-overflow washing basin | |
CN222194823U (en) | Dual-purpose cleaning machine | |
CN110960174B (en) | Lifting type water tank hidden bowl basket and dish washing machine using bowl basket | |
CN205530507U (en) | Multi -functional integrated sink | |
CN209295199U (en) | A kind of integrated form kitchen range | |
CN209489978U (en) | The trough body structure and dish-washing machine of dish-washing machine | |
CN110158715A (en) | Sink rinse piece and novel water tan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