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3263B1 - 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 Google Patents

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3263B1
KR102773263B1 KR1020220073317A KR20220073317A KR102773263B1 KR 102773263 B1 KR102773263 B1 KR 102773263B1 KR 1020220073317 A KR1020220073317 A KR 1020220073317A KR 20220073317 A KR20220073317 A KR 20220073317A KR 102773263 B1 KR102773263 B1 KR 102773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pattern
matte effect
base film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3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72755A (en
Inventor
이영민
최성문
Original Assignee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2007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3263B1/en
Publication of KR2023017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3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326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11Pre-treatment or treatment during printing of the recording material, e.g. heating,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54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film forming compositions cured by thermal means, e.g. infrared radiation,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2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reflected light, e.g. matt surfaces, lustrous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탁본 공법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이용한 패터닝 공법을 사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원자재, 공정 비용 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on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using a rubbing method, wherein the method uses a patterning method using a belt-type pattern slave,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d productivity and reduction in raw material and process costs.

Description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이용한 시트 전면 패터닝 공법{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탁본 공법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이용한 패터닝 공법을 사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원자재, 공정 비용 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coration fil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using a rubbing method, wherein the method uses a patterning method using a belt-type pattern slave,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d productivity and reduction in raw material and process costs.

일반적으로 가구ㆍ전자제품ㆍ건축자재 등은 인테리어 목적으로 다양한 문양이 인쇄된 데코레이션 필름(Decoration film)을 부착하고 있으며, 래핑 가공용ㆍ유리창용ㆍ각종 전자제품의 표면 마감용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In general, decoration films with various patterns printed on them are attached to furniture, electronic products, and building materials for interior purposes, and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wrapping, window treatments, and surface finishing of various electronic products.

예를 들면, 글래스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글래스를 통해 구현해 낼 수 있는 다양한 외관 미감 형성 등의 효과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글래스의 데코레이션 필름 또는 데코레이션 시트(이를 '장식 필름 또는 장식 시트'라 지칭하기도 함)에 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글래스에 데코레이션 필름을 부착하면, 전자기기의 외관을 통해 금속 질감 또는 입체감 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모바일, 자동차 디자인 분야는 점점 동적이며 극적인 효과를 구현하는 디자인을 요구하고 있다.For example, in electronic devices using glass, interest is increasing in the effects of forming various external aesthetics that can be implemented through glass. In particular, technology development is actively being conducted regarding decoration films or decoration sheets for glass (also referred to as 'decorative films or decorative sheets'). For example, if a decoration film is attached to glass, a metallic texture or three-dimensional effect can be imparted to th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particular, the fields of mobile and automobile design are increasingly demanding designs that implement dynamic and dramatic effects.

최근 스마트폰 또는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자인은 전면 윈도우는 단순하게 단일의 컬러(예: 블랙 등)로 하고, 백 커버(back cover) 디자인을 다양한 컬러와 다양한 입체 패턴 등으로 변화를 주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백 커버에 차별화를 주기 위한 다양한 데코레이션 구현 방법이 모색되고 있으나, 종래의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었다.Recently, the design of smartphones or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en trending toward having the front window be simply a single color (e.g., black, etc.) and changing the back cover design to various colors and three-dimensional patterns. In line with this trend, various decoration implementation methods have been sought to differentiate the back cover, but the conventional method has had limitations.

예컨대, 데코레이션 필름에 있어서, 배면에 성형된 각종 입체 패턴의 형상과 깊이감이 다양하게 구현되는 차별화된 장식 미감을 구현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For example, in decorative film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implement a differentiated decorative aesthetic in which the shape and depth of various three-dimensional patterns formed on the back surface ar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한편, 무광(matt) 필름은 외부의 빛을 난반사 시킴으로써, 유광 필름에서 보이는 눈의 피로함 및 포장된 내용물의 공개를 방지하고 제품의 우아함을 줄 수 있어, 점차 사용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Meanwhile, matte films are gradually being used because they can prevent eye fatigue and the disclosure of packaged contents that are seen in glossy films by reflecting external light, and they can also provide elegance to products.

기존의 무광 필름 제조를 위하여는 고가의 무광도료를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보다 경제적인 방법으로, 데코레이션 필름에 무광효과, 내지문 효과, 질감 효과, 디자인 헤이즈 효과를 낼 수 있는 패턴을 사용한 탁본 공법을 활용하고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existing matte films, expensive matte paints were used, but recently, a more economical method has been used, using a rubbing method that uses patterns to create matte effects, anti-fingerprint effects, texture effects, and design haze effects on decorative films.

기존의 무광 필름 제조를 위하여는 고가의 무광 도료를 사용하였지만, 최근에는 보다 경제적인 방법으로 데코레이션 필름에 무광효과, 내지문 효과, 질감 효과, 디자인 헤이즈 효과를 낼 수 있는 패턴을 사용한 탁본 공법을 활용하고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existing matte films, expensive matte paints were used, but recently, a rubbing method using patterns that can produce matte effects, anti-fingerprint effects, texture effects, and design haze effects on decorative films in a more economical way has been utilized.

이와 같이, 패턴을 이용하는 탁본 공법을 통한 무광 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기술 대비 전반적인 물성적 특성을 유지 또는 향상시키면서도, 예를 들어, 공정 단계, 공정 시간 등의 단축을 통한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 및 장치 등의 연구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In this way, in the matte film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pattern-using rubbing method,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nd devices that can contribute to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through, for example, shortening of process steps and process times while maintaining or improving overall physical properties compared to existing technologie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31508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315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탁본 공법을 이용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이용한 패터닝 공법을 통하여, 생산성 향상 및 원자재, 공정 비용 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on film with a matte effect using a rubbing method, which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roductivity and reducing raw material and process costs through a patterning method using a belt-type pattern slave.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상기 목적은,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배면에 차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용제형 레진 코팅액을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1차 가경화시키는 단계; 1차 가경화된 코팅층에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구비하는 탁본 장치를 사용하여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탁본하는 단계; 및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이 탁본된 코팅층을 완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above object can be achieved by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which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a base film; forming a shielding printing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film using a solvent-based resin coating solution and performing primary curing; using a rubbing device having a belt-shaped pattern slave to rub a pattern exhibiting a matte effect onto the primary cured coating layer; and completely curing the coating layer from which the pattern exhibiting the matte effect is rubbed.

상기 베이스 필름은 PC(Polycarbonate) 시트 또는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0.5~0.8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 base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C (Polycarbonate) sheet or a PCPMMA (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sheet. The above base fil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thickness of 0.5 to 0.8 mm.

상기 용제형 레진 코팅액은, 올리고머 40 중량%, 모노머 3 중량%, 불소제 0.2 중량%, 용제 53.8 중량% 및 첨가제 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 solvent-based resin coating solution is characterized by containing 40 wt% of oligomer, 3 wt% of monomer, 0.2 wt% of fluorine, 53.8 wt% of solvent, and 3 wt% of additive.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is characterized by being 10 to 15 ㎛.

상기 1차 가경화는, IR(적외선)을 이용하여 60 내지 80℃에서 30초 내지 1.2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코팅층을 성형 가능한 젤 상태로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 primary curing is characterized by forming the coating layer into a moldable gel state by drying at 60 to 80°C for 30 seconds to 1.2 minutes using IR (infrared rays).

상기 탁본 장치는, LED 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탁본하는 단계 중에, 상기 코팅층은 LED 등을 이용하여 광량 100 내지 400 mJ/cm2 및 조도 50 내지 80 mW/cm2로 조사함으로써 2차 가경화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mentioned rubb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LED irradiation unit, and during the rubbing step, the coating layer is irradiated with an LED or the like at a light amount of 100 to 400 mJ/cm 2 and an illuminance of 50 to 80 mW/cm 2 , thereby performing secondary curing.

상기 완전 경화는, 수은등을 이용하여 광량 950 내지 1,200 mJ/cm2 및 조도 200 내지 250 mW/cm2로 조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bove complete curing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by irradiating with a mercury lamp at a light dose of 950 to 1,200 mJ/cm 2 and an illuminance of 200 to 250 mW/cm 2 .

본 발명에 따르면, 무광 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에 있어서,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이용한 패터닝 공법을 통하여, 다회성의 슬레이브 재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생산성 향상 및 원자재, 공정 비용 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nufacture of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a patterning method using a belt-shaped pattern slave enables multiple slave reuse,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d productivity and reduction of raw material and process cos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을 이용하는 탁본 공법을 통한 무광 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에 있어서, 슬롯 다이(Slot Die) 공정 시, 용제형 레진 사용을 통하여, IR 건조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고 공정 단계를 축소할 수 있어, 기존 공법 대비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nufacture of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through a rubbing method using a pattern, the IR drying time can be effectively shortened and the process steps can be reduced by using a solvent-based resin during the slot die process, thereby exhibiting the effect of increasing productivity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을 이용한 탁본 공정을 통해 무광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무광필름을 경제적으로 대량 양산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인 방법으로 데코레이션 필름의 전면에 무광효과에 따른 내지문 효과, 슬립성이 우수한 질감 효과, 디자인 헤이즈 효과 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패턴은 다양한 모양을 사용함으로써 무광효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xhibiting a matte effect through a rubbing process using a pattern, a matte film can be mass-produced economically. Therefore, an anti-fingerprint effect due to the matte effect, a texture effect with excellent slipperiness, a design haze effect, etc. can be exhibi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ecoration film in an economical manner, and the pattern can implement various designs as well as a matte effect by using various shapes.

또한, 베이스 필름 상에 무광효과 패턴을 갖는 코팅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생활 스크래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 필름 배면에 추가로 UV 몰딩 공정과 증착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무광효과와 UV 패턴층의 효과가 어우러져 새로운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coating layer having a matte effect pattern on the base film, the durability against scratches in daily life can be enhanced. Furthermore, by additionally performing a UV molding process and a deposition process on the back of the base film, the matte effect and the effect of the UV pattern layer can be combined to produce a new visual effect.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단계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층별 분해된 모습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을 스마트폰 백커버에 구현한 실제 사진들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part of the steps of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belt-type pattern slav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ayer-by-layer exploded view of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manufactu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actual photograph of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implemented on a smartphone back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se examples are presented only as examples to more specifica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n case of conflict, the description in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definitions, shall prevail.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invention proposed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have been omitted, and similar parts have been given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rather tha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In addition, a "par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single unit or block that performs a specific function.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s (1st, 2nd, etc.) for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stated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That is,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stat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본원의 일 측면은,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배면에 차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용제형 레진 코팅액을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1차 가경화시키는 단계; 1차 가경화된 코팅층에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구비하는 탁본 장치를 사용하여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탁본하는 단계; 및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이 탁본된 코팅층을 완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base film; forming a shielding printing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forming a coating lay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film using a solvent-based resin coating solution and performing primary curing; using a rubbing device having a belt-type pattern slave to rub a pattern exhibiting a matte effect onto the primary cured coating layer; and completely curing the coating layer from which the pattern exhibiting a matte effect is rubb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Hereinafter, implementation example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to these implementation examples and embodiments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단계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part of the steps of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을 참조하면, 먼저, 베이스 필름(200)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200)은 PC(Polycarbonate) 시트 또는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1(a), first, a base film (200) can be prepa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e film (200) is a PC (Polycarbonate) sheet or a PCPMMA (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sheet.

PC(Polycarbonate) 시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자기 소화성, 투명성 등의 특징이 있고, 강화 유리의 약 150배 이상의 충격도를 지니고 있어 유연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다. 잘 깨지고 변형되기 쉬운 아크릴의 대용재이자 일반 판유리의 보완재로 많이 쓰인다.PC (Polycarbonate) sheet is a type of thermoplastic plastic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impact resistance,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self-extinguishing, and transparency. It has an impact resistance of about 150 times that of tempered glass, so it has excellent flexibility and processability. It is widely used as a substitute for acrylic, which is easily broken and deformed, and as a supplement to general plate glass.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시트는 PC(Polycarbonate)와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압축하여 복합시트로 형성한 것으로 특수 수지(樹脂)의 일종이다.PCPMMA (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sheet is a type of special resin formed into a composite sheet by compressing PC (Polycarbonate) and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PMMA는 특수 수지(樹脂)의 일종으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폴리머(중합체) 성분이며, 뛰어난 광학 특성, 내후성, 표면강도, 경도, 성형성 등이 특징이다.PMMA is a type of special resin and is a polymer component of methyl methacrylate. It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weather resistance, surface strength, hardness, and moldability.

한편, 상기 베이스 필름(200)은 그 두께는 0.5~0.8 mm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가 벗어나는 경우에는 추후 포밍 공정시, 필름 외각의 성형 가능한 곡률반경이 제한되어 다양한 디자인 구현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200) is preferably 0.5 to 0.8 mm. If it is outside this range, the radius of curvature that can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m is limited during the subsequent forming process, which may cause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various designs.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필름(200)의 배면에 차폐 인쇄층(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Next, a shielding printing layer (not shown) can b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200).

상기 차폐 인쇄층(미도시)은 빛의 투과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어두운 색상을 인쇄하여 구현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상측에서 내려다 보았을때 차폐 인쇄층 하측이 투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차폐 인쇄층은 일례로서 실크 스크린 인쇄방식으로 형성된 실크 인쇄층일 수 있다. 상기 차폐 인쇄층은 15 내지 25 ㎛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shielding printing layer (not shown) has the function of blocking the transmission of light, and can be implemented by printing a dark color, and prevents the lower side of the shielding printing layer from being seen when looking down from the upper side of the decorat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ielding printing layer may be, for example, a silk printing layer formed by a silk screen printing method. The shielding printing layer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15 to 25 ㎛.

다음으로, 상기 베이스 필름(200)의 전면에 코팅층(3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00)은,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필름(200)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300)은 UV 패턴 성형용 레진(resin) 코팅액, 구체적으로, 용제형 레진(resin) 코팅액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UV 코팅층일 수 있다. Next, a coating layer (300) can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film (200). The coating layer (300) can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film (200) to form a pattern exhibiting a matte effect. The coating layer (300) can be a UV coating layer formed using a resin coating solution for UV pattern forming, specifically, a solvent-based resin coating solution.

상기 코팅층(300)은 슬롯 다이(slot die) 등의 코팅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above coating layer (300) may be formed through a coating method such as a slot di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using a coating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상기 코팅층(300)은 코팅을 위한 도포 후, 다음 공정인 탁본 단계에서 탁본이 가능하도록 성형 가능한 젤 상태로 1차 가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1차 가경화는 IR(적외선)을 이용하여 약 60 내지 80 ℃, 일례로, 70℃에서 열풍 건조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경화가 불충분하여 추후 패턴 슬레이브가 코팅층에 달라붙거나, 경화가 과하게 진행되어 탁본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The above coating layer (300) can be first cured into a moldable gel state so that a rubbing can be made in the next process, which is the rubbing step, after application for coating. The first curing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of hot air drying at about 60 to 80° C., for example, 70° C., using IR (infrared rays). If the temperature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ing is insufficient, causing the pattern slave to stick to the coating layer later, or the curing is excessive, causing the rubbing not to be made.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용제형 레진(resin) 코팅액에 의해 상기 1차 가경화의 건조 시간을 1분 이하, 구체적으로, 30초 내지 1.2분 동안의 짧은 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rying time of the first curing can be shortened to 1 minute or less, specifically, to a short time of 30 seconds to 1.2 minutes, by the solvent-type resin coating solu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상기 용제형 레진 코팅액은, 일반 UV 코팅액 대비 휘발 속도가 빠른 속건 용제 타입 레진으로, 용제가 휘발되는 과정에서 불소 성분이 부상하며, 오픈(open) 상태에 완전 경화되도록 함으로써, 1차 가경화에 걸리는 건조 시간을 약 4.5분(기존) 에서 60초 까지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으며, 레진 코팅액의 도포 시간 또한 약 27초(기존) 에서 12초까지 단축시켜 지연 시간(delay time)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로써, 생산 효율을 현저히 높이면서도, 두께 감소, 기포 문제 개선 등 표면 특성에 대하여 기존 대비 더욱 향상된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olvent-based resin coating solution is a fast-drying solvent-based resin with a faster volatilization rate than general UV coating solutions, whereby the fluorine component floats during the volatilization process of the solvent, and by completely curing in the open state, the drying time for primary curing can be significantly shortened from about 4.5 minutes (conventional) to 60 seconds, and the application time of the resin coating solution can also be shortened from about 27 seconds (conventional) to 12 seconds,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delay time. As a result, while significantly increasing production efficiency, it is possible to secure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compared to conventional surface characteristics, such as thickness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bubble problems.

상기 용제형 레진 코팅액은,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40 내지 50 중량%, 일례로, 40 중량%,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HPA)를 포함하는 모노머 2 내지 7 중량%, 일례로, 3 중량%, 불소제 0.1 내지 3 중량%, 일례로, 0.2 중량%, 아세톤(ACETO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용제 50 내지 60 중량%, 일례로, 53.8 중량%, 개시제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 1 내지 5 중량%, 일례로, 3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olvent-based resin coating solution may contain, based on the total weight, 40 to 50 wt%, for example, 40 wt%, of an oligomer including polyurethane acrylate, 2 to 7 wt%, for example, 3 wt%, of a monomer including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HPA), 0.1 to 3 wt%, for example, 0.2 wt%, of a fluorine, 50 to 60 wt%, for example, 53.8 wt%, of a solvent including acetone, ethyl ace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1 to 5 wt%, for example, 3 wt%, of an additive including an initiator.

상기 코팅층(300)은 추후, 탁본 단계 수행 시, 탁본이 가능한 정도의 두께, 일례로서 10 내지 15㎛ 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 coating layer (30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that allows for a rubbing when performing the rubbing step later, for example, a thickness of 10 to 15 ㎛.

다음으로, 1차 가경화된 코팅층(300)(도 1의 b)에 패턴 슬레이브를 사용하여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탁본할 수 있다. Next, a pattern exhibiting a matte effect can be copied using a pattern slave on the first cured coating layer (300) (b in FIG. 1).

상기 탁본은 구체적으로,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포함하는 탁본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탁본 장치(10)는, 패터닝 시작부(32),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30), LED 조사부(31) 및 이형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above rubbing can be performed specifically using a rubbing device including a belt-shaped pattern slave. Referring to Fig. 2, the rubbing device (10) can be equipped with a patterning start portion (32), a belt-shaped pattern slave (30), an LED irradiation portion (31), and a deformation portion (33).

예를 들어, 상기 탁본 장치(10) 내에서, 상기 베이스 필름(200) 상의 1차 가경화된 코팅층(300)이 상기 패터닝 시작부(32)를 통과하여 상기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30)에 압착되면서, 상기 코팅층(300) 상에 패턴이 탁본되는 것일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rubbing device (10), the first cured coating layer (300) on the base film (200) may pass through the patterning start portion (32) and be pressed against the belt-shaped pattern slave (30), thereby allowing a pattern to be rubbed on the coating layer (300).

본 발명의 상기 패턴 슬레이브(30)는 벨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패터닝 작업 시 다회성의 슬레이브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기존의 롤 형태의 슬레이브 대비, 원자재와 생산 비용에 대한 현저한 절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The above pattern slave (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belt shape, so that multiple slave reuse is possible during patterning work, and thus, a significant reduction in raw materials and production costs can be achieved compared to existing roll-shaped slaves.

상기 패턴 슬레이브는, 다양한 패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패턴 슬레이브는 열가소성이 좋은 폴리우레탄(Thermo Plastic Polyurethane; TPU))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0.15 내지 0.2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The above pattern slave can exhibit various pattern shapes. The above pattern slave can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or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nd can have a thickness of 0.15 to 0.20 mm.

상기 탁본 장치(10)는 상기 LED 조사부(31)를 구비하여, 패턴 탁본 이후에 동시에 2차 가경화가 수행되어 탁본된 패턴이 고정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기존과 같이 탁본 단계를 수행한 다음에 2차 가경화를 추가로 수행해야 하는 공정의 복잡함을 단순화시킴으로써, 공정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rubbing device (10) is equipped with the LED irradiation unit (31) so that secondary curing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after pattern rubbing so that the rubbed pattern can be fixed and maintained. As a result,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of having to additionally perform secondary curing after performing the rubbing step as in the past is simplified, thereby significantly shortening the process time and contributing to improved productivity.

상기 탁본 장치(10) 내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2차 가경화는, 예컨대, LED 등을 이용하여 광량 100 내지 400 mJ/cm2 및 조도 50 내지 80 mW/cm2로 조사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2차 가경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The secondary curing performed within the above-described rubbing device (10) can be performed by irradiating with light of 100 to 400 mJ/cm 2 and illuminance of 50 to 80 mW/cm 2 using, for example, an LED or the like. If the range is exceeded, the secondary curing may not be performed effectively.

다음으로, 상기 코팅층(300)이 형성된 데코레이션 필름은, 필름 외각을 곡면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포밍(forming) 공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포밍 공정은 당해 분야에 널리 알려진 공지된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Next, the decoration film on which the coating layer (300) is formed can further undergo a forming process to shape the outer surface of the film into a curved shape. The forming proces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a known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art.

다음으로, 도 1 (c)를 참조하면, 상기 코팅층(300)을 완전 경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전 경화는 수은등을 이용하여 예컨대, 950~1200 mJ/cm2 및 조도 200~250 mW/cm2로 조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완전 경화 공정은 2회 이상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회 정도 반복 수행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 (c), the coating layer (300) can be completely cured. At this time, the complete curing can be performed by irradiating with, for example, 950 to 1200 mJ/cm 2 and an illuminance of 200 to 250 mW/cm 2 using a mercury lamp. This complete curing process can be repeated two or more times, and preferably can be repeated about three times.

이후, 패턴화된 코팅층(300)이 완전 경화된 데코레이션 필름을 커팅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커팅하는 단계는 피착물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예컨대, CNC, 레이저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데코레이션 필름의 커팅을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a step of cutting the decoration film in which the patterned coating layer (300) is completely cured can be performed. The cutting step can be performed by cutting the decoration film using equipment such as CNC or laser,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adhere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200) 배면에 차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다채로운 굴절 효과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 배면에 UV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UV 패턴층에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ior to the step of forming a shielding printing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200), a step of forming a UV pattern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for a variety of refraction effects and a step of forming a deposition layer on the UV pattern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UV 패턴층은 입체적인 디자인 패턴을 나타내는 역할, 또는 추후 형성되는 무광효과의 코팅층(300)의 시인성 및 다채로운 굴절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The above UV pattern layer serves to display a three-dimensional design pattern, or to display the visibility and colorful refractive effects of the matte effect coating layer (300) formed later.

상기 UV 패턴층은 투명한 UV 패턴 성형용 도료를 이용하여 소정의 패턴 형상을 갖도록 UV 몰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정의 패턴 형상에는 초정밀기계가공(super precision machine) 패턴, 홀로그램 패턴을 포함한 다양한 패턴 형상을 들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UV 패턴 형상이라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제조방법은 마이크로 광학 금형을 이용한 UV 몰딩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UV pattern layer can be formed by UV molding using a transparent UV pattern forming paint to have a predetermined pattern shape.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pattern shape can include various pattern shapes including a super precision machine pattern and a hologram pattern, and in addition, any UV pattern shape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be applied. At this time, the manufacturing method can be formed by a UV molding method using a micro optical mold.

상기 UV 몰딩 방식으로 UV 패턴층이 형성될 경우, 빛의 각도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a UV pattern layer is formed using the above UV molding method, it is possible to improve aesthetics by enabling various design expressions depending on the angle of light.

UV 패턴 성형용 도료는 바인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물질은 에폭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 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초산비닐계 수지, 석유계 수지, 페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우레탄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int for UV pattern forming may include a binder material. The binder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poxy resin, an acrylic resin, a polyolefin resin, a polyamide resin, a polyester resin, a polyvinyl chloride resin, a polyvinyl acetate resin, a petroleum resin, a phenol resin, a polystyrene resin, and a urethane resin.

상기 UV 패턴층은 제1 반투명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UV 패턴층은 소정의 수용 홈이 구비되어, 제1 반투명 컬러와 다른 색상의 틴트 컬러인 제2 반투명 컬러를 갖는 잉크가 메워지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The above UV pattern layer may have a first translucent color. In addition, the UV pattern layer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receiving groove, which may be utilized as a space filled with ink having a second translucent color, which is a tint color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first translucent color.

또한, 상기 UV 패턴층은 UV 몰딩용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한 후, 표면에 미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색상 및 패턴을 동시에 포함함으로써, 투톤 색상, 멀티 색상, 깊이감이 다양한 색상 등 다양한 색상 및 패턴 표현이 가능하여, 심미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V pattern layer forms a photocurable resin layer by applying a photo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UV molding, and then forms a micro pattern on the surface, thereby simultaneously including color and pattern, and thus enables expression of various colors and patterns such as two-tone colors, multi-colors, and colors with various depths, thereby dramatically improving aesthetics.

다음으로, 상기 UV 패턴층에 증착층을 형성할 수 있다. Next, a deposition layer can be formed on the UV pattern layer.

상기 증착층은 상기 UV 패턴층을 보호하고, 상기 UV 패턴층에 의한 입체 효과가 선명하게 나타나게 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상기 증착층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증착 방법, 예컨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증착 방법을 포함하는 비전도 증착(Non Conductive Vacuum Metallization; NCVM) 방법을 이용하여 UV 패턴층에 무기 박막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The above deposition layer is performed to protect the UV pattern layer and to clearly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effect by the UV pattern layer. The deposition layer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an inorganic thin film on the UV pattern layer using a deposition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such as a non-conductive vacuum metallization (NCVM) method including a physical or chemical deposition method.

물리적 증착 방법은 산화물 반도체나 GaAs 등을 기판에 증착시킬 때 화합물들을 녹여서 고체 상태의 타겟으로 제조해 열이나 전자빔으로 휘발시켜서 기판에 증착시킨다. 이때 원료물질은 열, 레이저, 전자빔 등을 통해 기체상태로 날려서 보내고 날아간 기체 상태의 원료 물질이 기판에 닿았을 때 고체 상태로 변화된다.The physical vapor deposition method melts compounds to create a solid target when depositing oxide semiconductors or GaAs on a substrate, volatilizes them with heat or an electron beam, and deposits them on the substrate. At this time, the raw material is blown away in a gaseous state using heat, laser, electron beam, etc., and when the blown-away gaseous raw material touches the substrate, it changes into a solid state.

화학적 증착 방법은 IC 등의 제조공정에서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기판 위에 실리콘 등의 박막을 만드는 공업적 방법이다.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소막, 아모퍼스 실리콘(Amorphous Silicon) 박막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가스에 열이나 빛으로 에너지를 가하거나, 고주파로 플라스마화시키면 원료 물질이 라디칼화되어 반응성이 크게 높아져서 기판 위에 흡착되어 퇴적한다.Chemical vapor deposition is an industrial method that uses chemical reactions to create thin films of silicon, etc., on substrat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ICs, etc. It is used to create silicon oxide films, silicon nitride films, amorphous silicon films, etc. When heat or light is applied to a gas containing chemicals, or when plasma is created using high frequency, the raw materials become radicals, greatly increasing their reactivity, and are adsorbed and deposited on the substrate.

또한, 상기 증착층은 투톤 색상, 멀티 색상, 깊이감이 다양한 색상 등 다양한 색상으로 심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컬러 증착 층, 예를 들면 그라데이션 증착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라데이션 증착층은, 일례로, 통상의 전자빔 증착 장비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position layer may be formed as a color deposition layer, for example, a gradient deposition layer, to improve aesthetics with various colors such as two-tone colors, multi-colors, and colors with various depths. The gradient deposition layer may be formed using, for example, a conventional electron beam deposition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층별 분해된 모습을 보인 모식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ayer-by-layer exploded view of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manufactu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은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배면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UV 패턴층; 증착층; 및 차폐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형성되는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코팅층(UV pattern)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includes a base film, a UV pattern layer sequentially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a deposition layer; and a shielding printing layer, and may include a coating layer (UV pattern) exhibiting a matte effec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fil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을 스마트폰 백커버에 구현한 실제 사진들이다. FIG. 4 is an actual photograph of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implemented on a smartphone back co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렇게 제조된 데코레이션 필름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색상이 표현되고, UV 패턴층의 효과가 어우러져 다양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decoration film manufactured in this way can express various colors that exhibit a matte effect, as shown in FIG. 4, and can produce various effects by combining the effects of the UV pattern layer.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have been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have not been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200: 베이스 필름 300: 코팅층
10: 탁본 장치 30: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
31: LED 조사부 32: 패터닝 시작부
33: 이형부
200: Base film 300: Coating layer
10: Rubbing device 30: Belt-type pattern slave
31: LED irradiation section 32: Patterning start section
33: Lee Hyung-bu

Claims (8)

베이스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배면에 차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전면에 용제형 레진 코팅액을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고 1차 가경화시키는 단계;
1차 가경화된 코팅층에 벨트형 패턴 슬레이브를 구비하는 탁본 장치를 사용하여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을 탁본하는 단계; 및
무광효과를 나타내는 패턴이 탁본된 코팅층을 완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제형 레진 코팅액은,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올리고머 40 중량%,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HPA)를 포함하는 모노머 3 중량%, 불소제 0.2 중량%, 아세톤(ACETO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용제 53.8 중량%, 개시제를 포함하는 첨가제 3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1차 가경화는, IR(적외선)을 이용하여 60 내지 80℃에서 30초 내지 1.2분 동안 건조시켜 상기 코팅층을 성형 가능한 젤 상태로 형성시키는 것이고,
상기 탁본 장치는, LED 조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탁본하는 단계 중에, 상기 코팅층은 LED 등을 이용하여 광량 100 내지 400 mJ/cm2 및 조도 50 내지 80 mW/cm2로 조사함으로써 2차 가경화가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완전 경화는, 수은등을 이용하여 광량 950 내지 1,200 mJ/cm2 및 조도 200 내지 250 mW/cm2로 조사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Steps to prepare the base film;
A step of forming a shielding printing layer on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film;
A step of forming a coating layer using a solvent-based resin coating solution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performing primary curing;
A step of rubbing a pattern exhibiting a matte effect using a rubbing device having a belt-shaped pattern slave on a first cured coating layer; and
A step of completely curing a coating layer having a pattern showing a matte effect;
The above solvent-based resin coating solution comprises, with respect to the total weight, 40 wt% of an oligomer including polyurethane acrylate, 3 wt% of a monomer including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HPA), 0.2 wt% of a fluorine agent, 53.8 wt% of a solvent including acetone, ethyl ace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3 wt% of an additive including an initiator.
The above primary curing is performed by drying the coating layer at 60 to 80°C for 30 seconds to 1.2 minutes using IR (infrared rays) to form the coating layer into a moldable gel state.
The above-mentioned rubbing device is equipped with an LED irradiation unit, and during the rubbing step, the coating layer is irradiated with a light amount of 100 to 400 mJ/cm 2 and an illuminance of 50 to 80 mW/cm 2 using an LED, etc., thereby performing secondary cur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complete curing is performed by irradiating with a mercury lamp at a light amount of 950 to 1,200 mJ/cm 2 and an illuminance of 200 to 250 mW/cm 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PC(Polycarbonate) 시트 또는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film is a PC (Polycarbonate) sheet or a PCPMMA (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 she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0.5~0.8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film has a thickness of 0.5 to 0.8 m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 내지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광효과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In the first paragraph,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tte effect decoration film,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layer is 10 to 1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73317A 2022-06-16 2022-06-16 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Active KR1027732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317A KR102773263B1 (en) 2022-06-16 2022-06-16 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317A KR102773263B1 (en) 2022-06-16 2022-06-16 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755A KR20230172755A (en) 2023-12-26
KR102773263B1 true KR102773263B1 (en) 2025-02-27

Family

ID=89320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317A Active KR102773263B1 (en) 2022-06-16 2022-06-16 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3263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5620B1 (en) * 1998-05-27 2000-12-15 김만석 Emboss coating method using embossing master roll
KR100500304B1 (en) * 2003-07-01 2005-07-11 주식회사 엘지에스 Apparatus of manufacturing optical film and method thereof
KR20070056922A (en) * 2006-08-11 2007-06-04 주식회사 카노텍 UV curable coating composition for hard coat film production, paint comprising the composition, hard coat film coated with the paint and the film manufacturing method
KR101231508B1 (en) 2009-06-25 2013-02-07 (주)엘지하우시스 Lusterless coating composition for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144273A (en) * 2019-06-18 2020-12-29 (주) 이지켐 Method for manufacturing back cover of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755A (en) 202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429754A (en) A 3D printed decorative film and products made thereof
KR102773263B1 (en) Sheet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KR102773265B1 (en) Sheet back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KR102773240B1 (en) Preparation method of matt decoration film with shortened curing time
KR102773267B1 (en) Roll to roll front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KR102773268B1 (en) Roll to roll back patterning method using belt-type pattern slave
KR102803882B1 (en) Decoration film manufacturing method that implements divided design pattern
KR102692204B1 (en) Preparation method of matt decoration film using roll rubbing
KR20240146793A (en) Decoration film having an eco-friendly UV pattern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16642B1 (en) Matt decoration film using roll rubbing
KR102537480B1 (en) Matt decoration film using roll rubbing
KR102516654B1 (en) Preparation method of matt decoration film using vacuum rubbing
KR20240146790A (en) Decoration film having color UV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40159678A (en) Decoration film having color UV pattern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40146794A (en) Decoration film having an eco-friendly UV pattern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16653B1 (en) Preparation method of matt decoration film using vacuum rubbing
KR20240146795A (en) Decoration film having an eco-friendly silk printing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2516651B1 (en) Preparation method of matt decoration film using vacuum rubbing
KR20250081190A (en) Decoration film having biomass UV resi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81367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on film comprising color composite sheet
KR20240172278A (en) Decoration film having eco-friendly UV color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50033470A (en) Back cover for mobile having groov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40161745A (en) Decoration film having antiviral polyurethane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40146792A (en) Decoration film having flow coating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40161363A (en) Decoration film having anti-viral soft-feel coating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3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