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3231B1 - 다기능 수공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3231B1
KR102773231B1 KR1020237023652A KR20237023652A KR102773231B1 KR 102773231 B1 KR102773231 B1 KR 102773231B1 KR 1020237023652 A KR1020237023652 A KR 1020237023652A KR 20237023652 A KR20237023652 A KR 20237023652A KR 102773231 B1 KR102773231 B1 KR 10277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rimping
conductor
contact sleeve
trim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3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8945A (ko
Inventor
다니엘 베쎌러
요아힘 크래머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230118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8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323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1Hand tools for crimping combined with other functions, e.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28Power-driven hand crimping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2Hand tools for crimping
    • H01R43/045Hand tools for crimping with contact member feeding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4)의 전도체(40) 상에 접촉 슬리브(5)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에 관한 것이며, 크림핑 공구(1)는 적어도 케이블 이송 장치(20),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크림핑 장치(22) 및 인쇄 장치(23)를 포함하고, 이러한 장치들은 일축(A1)을 갖는 크림핑 공구(1)의 케이블 통과부(100)에 이러한 순서로 연속적으로 방향(R)으로 배열되고, 크림핑 공구(1)는, 케이블 통과부(100)의 케이블 유입 개구(101)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4)의 케이블 단부가 케이블 이송 장치(20)에 의해 방향(R)으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크림핑 장치(22), 및 인쇄 장치(23)에 공급된 다음, 케이블 통과부(100)의 케이블 유입 개구(101) 반대쪽 케이블 배출 개구(102)를 통해 크림핑 공구(1)로부터 나오도록 안내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다기능 수공구
본 발명은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들을 크림핑하기 위한 다기능 수공구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특히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들을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크림핑 공구들은 접촉 슬리브들을 구비한 케이블들의 조립을 위해, 특히 예를 들어 제어 캐비닛 개축 시의 현장 처리를 위해 필요하다.
DE 10 2010 023 786 A1호로부터는, 케이블들을 피복 제거하기에, 그리고 피복 제거된 케이블들의 와이어들 상에 슬리브들을 크림핑하기에 적절한 전기 작동식 피복 제거- 및 크림핑 수공구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크림핑 수공구에서, 피복 제거 장치와 크림핑 장치는 구조적으로 통합되어 형성되고, 작동을 위해 피복 제거 장치와 크림핑 장치의 유사한 동작 시퀀스가 필요함으로써, 이러한 2개의 장치들의 구조적 통합에 의하여 작은 치수를 갖는 수공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목적한 바대로 크림핑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조적으로 통합된 피복 제거 장치 및 크림핑 장치의 상당히 복잡한 동작 시퀀스는 불리하게도 이에 상응하게 복잡한 기계 장치를 필요로 하고, DE 10 2010 019 124 A1호로부터 공지된 크림핑 수공구는 또한 불리하게도 케이블들을 피복 제거하는 것과 이러한 케이블들의 와이어들 상에 페룰을 크림핑하는 것으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기능적 특성들이 통합된,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들을 크림핑하기 위한 수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 크림핑을 위한 수공구는 특히 간단하게 취급 가능해야 한다. 아울러,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하게 실행 가능하고 특히 현장 처리에 적절한,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들을 크림핑하기 위한 포괄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에 관한 것이고, 이러한 크림핑 공구는 적어도 케이블 이송 장치,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 크림핑 장치 및 인쇄 장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장치들은 일축을 갖는 크림핑 공구의 케이블 통과부에 이러한 순서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이 경우, 상술된 장치들은 크림핑 공구의 케이블 통과부를 통과하는 케이블에 대한 케이블 통과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R)으로 순서대로 배열된다.
이 경우, 크림핑 공구는, 케이블 통과부의 케이블 유입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의 케이블 단부가 케이블 이송 장치에 의해 케이블 통과 방향으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 크림핑 장치, 및 인쇄 장치에 공급된 다음, 케이블 통과부의 케이블 유입 개구 반대쪽 케이블 배출 개구를 통해 크림핑 공구로부터 나오도록 안내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공구 내에 통합되고 상호 작용하는 상기 장치들에 의해서는 케이블의 컷오프, 트리밍, 피복 제거와, 피복 제거된 케이블 단부의 도체 상의 접촉 슬리브의 후속 크림핑, 그리고 실행된 크림핑의 문서화가 가능함으로써, 복수의 기능들을 갖는 다기능 공구가 제공된다.
이 경우, 케이블 단부가 크림핑 공구 내로의 케이블 유입 개구 내에 삽입되고, 완성 이후에는 가공된 그리고 접촉 슬리브가 제공된 케이블 단부가 케이블 배출 개구에서 크림핑 공구로부터 나오도록 안내됨으로써 케이블 단부의 가공이 실행되기 때문에, 크림핑 공구는 특히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취급 가능하며, 케이블 배출 개구는 케이블 유입 개구와는 상이하고, 케이블 유입 개구에 대해 대향되도록 배열된다.
케이블 이송 장치는, 케이블 유입 개구에 인접하게 케이블 통과부에 배열되고, 케이블 통과부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휠들을 구비한 마찰 휠 구동부에 의하여 적절하게 제공된다.
이 경우, 마찰 휠 구동부는 케이블 그리고 특히 컷오프될, 피복 제거될, 접촉 슬리브에 의해 크림핑될, 그리고 인쇄될 케이블 단부를 방향(R)으로 그리고 방향(R)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그리고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 크림핑 장치 및 인쇄 장치 내에 각각 목적한 바대로 사용하기 위해 위치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마찰 휠 구동부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값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케이블 릴로부터 크림핑 공구 내에 삽입된 케이블의 사전 결정된 길이를 컷오프하기 위한, 그리고 이 경우 크림핑될 제2 케이블 단부를 제공하기 위한 가능성이 제공된다. 이에 따라, 크림핑 공구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현장 사용 시에도, 설치될 그리고 연결될 케이블을 사전 결정된 알맞은 길이로 케이블 릴로부터 컷오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마찰 구동부는, 스탭 모터로서 형성될 수 있는 전기 모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구동 유닛을 적절하게 가지고 있으며, 케이블의 길이는 마찰 휠 구동부의 구동 유닛 또는 휠들의 회전 각도들의 포착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는, 케이블 통과부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나이프 블레이드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는, 나이프 블레이드들의 제1 위치에서 케이블을 절단 분할 또는 컷오프하고, 나이프 블레이드들의 제2 위치에서 케이블의 절연체를 절개하는 반면, 케이블의 도체는 나이프 블레이드들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가, 케이블을 컷오프할 수 있도록 하고 피복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이중 기능을 가짐에 따라,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를 갖는 크림핑 공구는 특히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위치는 케이블의 트리밍에 적절하고, 제2 위치는 케이블의 피복 제거 및 케이블의 도체의 노출에 적절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2 위치에서, 즉 케이블의 피복 제거 시에,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마찰 휠 구동부와 상호 작용하고, 마찰 휠 구동부는 도체의 피복 제거를 위하여 방향(R)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의 도체의 축방향 변위를 제공하므로, 케이블의 절연체의, 나이프 블레이드들에 의해 컷오프되고 홀딩되는 단편이 도체로부터 잡아 당겨진다.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의 작동 시에 나이프 블레이드들만 이동된 이후에,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크림핑 공구 내에 위치 고정되도록 배열될 수 있음으로써, 나이프 블레이드들의 구동부 외에 추가의 기계 장치가 불필요하다. 이 경우, 하기에 설명되는 크림핑 장치에서와 같이, 나이프 블레이드들의 구동부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양정 구동부, 선형 구동부 또는 적절한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크림핑 장치는, 케이블 통과부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가압 요소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가압 요소들은 크림핑 압력의 제공을 위하여 적절하게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이러한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서는 특히 크림핑 장치의 작동 상태 및 크림핑의 문서화에 사용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또한 가압 요소의 크림핑의 크림핑 압력 또는 크림핑 힘이 측정 가능하다.
인쇄 장치는, 접촉 슬리브에 의해 크림핑된 도체에 인접한 케이블의 영역을 접촉 슬리브에 의한 도체의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세부 사항들로 인쇄하도록 적절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특히 크림핑의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은, 예를 들어 온도 및 상술한 크림핑 압력 및 배터리의 충전 상태와 같이, 크림핑의 품질을 특징화하기에 적절한, 크림핑 중의 크림핑 공구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들과 함께 문서화될 수 있다.
또한, 크림핑 공구는 문서화를 위하여 신호 기술적으로 그리고 데이터 기술적으로 적절하게 네트워킹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크림핑 공구의 작동 상태 및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세부 사항들은 또한 네트워크의 지원으로 문서화 가능하다.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상술한 세부 사항들의 검출을 위하여, 크림핑 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 및 적어도 하나의 힘 센서를 갖는 적절한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길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그리고 특히 케이블 통과부에 있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 내에 케이블의 케이블 단부를 위치 설정하기 위하여, 또한 추가적으로 적절한 측정 장치가 제1 마찰 휠 구동부 및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에 인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크림핑 공구는, 크림핑의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지원으로 판독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적절하게 포함하고, 크림핑 공구는, 카메라에 의한 판독을 위하여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휴대폰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은 특히,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에 의해 마찬가지로 케이블 릴로부터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에 의해 사전 결정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는 케이블의 길이 및 직경 및 피복 제거 길이 및 유형 그리고 크림핑을 위해 제공된 접촉 슬리브의 접촉 유형을 포함한다.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이 2D 코드, QR 코드 또는 OCR로서 존재하는 데이터 및 정보가 휴대폰 외에 종이로부터도 판독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에 의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의 판독은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식 수공구로서 형성된 크림핑 공구는 적절하게는 길쭉한 손잡이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러한 손잡이의 일 단부에는 길쭉한 헤드가 이어지고, 타 단부에는 풋 영역이 이어지며, 헤드는 마찰 휠 구동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 크림핑 장치 및 인쇄 장치를 갖는 케이블 통과부를 수용한다. 하우징은 적절하게 플라스틱으로 또는 플라스틱 코팅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 내에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로부터의 케이블 자투리들 및 절연체 단편들을 수집하기 위한 폐기물 컨테이너와, 접촉 슬리브들을 크림핑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매거진이 적절하게 제공되고, 또한 손잡이는 크림핑 공구의 제어 유닛을 수용한다. 풋 영역은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적절하게 수용한다.
이 경우, 케이블 자투리들 및 절연체 단편들을 수집하기 위한 폐기물 컨테이너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의 방향으로 헤드 내로 연장되거나,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로부터의 케이블 자투리들 및 절연체 단편들의 상응하는 공급을 위한 적절한 장치를 거쳐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 아래에 배열된다.
접촉 슬리브들을 공급하기 위한 매거진은, 크림핑 장치의 방향으로 헤드 내로 연장되고, 접촉 슬리브들의 상응하는 공급을 위하여 크림핑 장치에 대해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적절하게 형성 및 배열된다. 이 경우, 접촉 슬리브들은 바람직하게는 비틀림형 접촉 슬리브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매거진은, 비틀림형 접촉 슬리브들을 갖는 접촉 슬리브 벨트를 수용할 수 있고, 크림핑될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 장치에 공급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매거진은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의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 매거진은 스탭 모터에 의해 적절하게 구동될 수 있다.
크림핑 공구는 길쭉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하우징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인체 공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형성되고, 그에 상응하게 간단히 취급 가능하고, 길쭉한 손잡이의 일 단부에는 길쭉한 헤드가 이어지고, 반대쪽 단부에는 풋 영역이 이어지고, 특히 케이블 통과부의 상술한 장치들은 길쭉한 헤드 내에 제공된다.
상술한 크림핑 공구의 바람직한 추가 세부 사항들은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하기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상술한 이동식 크림핑 공구는, 특히 현장 사용 시에 케이블 단부의 피복 제거된 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하여 특히 간단하게 취급 가능하고, 접촉 슬리브에 의한 도체의 특히 간단한 크림핑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술한 크림핑 공구의 사용 하에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방법은, 이동식 제어 유닛으로서의 휴대폰의 사용 하의 크림핑 공구의 현장 사용에 특히 적절한, 크림핑을 준비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크림핑을 준비하는 방법에서, 크림핑의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이 제1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의 사용 하에 결정되고 통합될 수 있음으로써, 제2 단계에서, 휴대폰에 의해 결정되고 통합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은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고, 크림핑 공구의 카메라에 의해 판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캐비닛 내의 사전 결정된 2개의 단자들 사이에 그리고 이 경우 사전 결정된 케이블 안내 레일 내에 설치될 케이블의 길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에 의해 우선 광학적으로 포착된 이후에, 소프트웨어의 지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폰에는, 예를 들어 제어 캐비닛의 사진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이 제공될 단자들 및 케이블 안내 레일을 디스플레이 상에 마킹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크림핑 공구는 케이블의 길이 및 직경 및 피복 제거 길이 및 유형 그리고 접촉 슬리브의 접촉 유형을 포함할 수 있는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의 사용 하에 제3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간단하게,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을 통해 특징화된, 접촉 슬리브에 의한 케이블의 사전 결정된 크림핑을 가능하게 하는 제1 작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적절하게는, 크림핑을 준비하는 방법의 제4 단계에서, 크림핑할 접촉 슬리브가 크림핑 장치 내의 목적한 바대로의 위치에 배열되는지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크림핑 장치에 공급되는지 여부가 검사될 수 있다.
크림핑을 준비하는 방법의 실행 이후에, 크림핑 공구는 케이블의 2개의 케이블 단부들 상에 접촉 슬리브들을 크림핑함으로써 케이블을 조립하도록 그리고 각각 하나의 제1 케이블 단부 및 제2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상응하는 제1 방법 및 제2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방법들의 개별 방법 단계들은 크림핑을 준비하는 상기 방법의 추가 특징들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설명부에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도시되고,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a는 크림핑될 케이블 단부 및 접촉 슬리브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핑 공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크림핑 공구의 일부를 다른 관점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c는 도 1a의 케이블 및 접촉 슬리브를 각각 다른 관점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크림핑될 케이블 단부 및 접촉 슬리브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핑 공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a 및 도 2의 크림핑 공구의 케이블 이송 장치의 요소들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케이블과 함께 도 1a 및 도 2의 크림핑 공구의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의 요소들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제1 작업 위치에 있는 도 3b의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d는 제2 작업 위치에 있는 도 3b의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케이블 단부 및 접촉 슬리브와 함께 도 1a 및 도 2의 크림핑 공구의 크림핑 장치의 요소들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1a 및 도 2의 크림핑 공구의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의 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의 방법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적 도시들을 포함한다. 부분적으로, 유사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는 않은 요소들에 동일한 도면 부호들이 사용된다. 유사한 요소들의 다양한 관점들은 상이하게 스케일링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크림핑될 케이블(4)의 케이블 단부 및 접촉 슬리브(5)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체(40) 상에 접촉 슬리브(5)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크림핑 공구(1)는 길쭉한 손잡이(11)를 구비한, 바람직하게 인체 공학적으로 뿐만 아니라 기능적으로도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러한 손잡이의 일 단부에는 길쭉한 헤드(10)가 이어지고, 반대쪽 단부에는 풋 영역(12)이 이어진다. 하우징은 적절하게 플라스틱으로 또는 플라스틱 코팅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복수의 기능 장치들을 수용한다.
도 1b는 도 1a를 요약하여, 크림핑 공구(1)의 일부를 다른 관점에서, 즉 도면 평면으로부터 90°만큼 회전되고, 케이블(4)의 케이블 삽입 방향 및 케이블 통과 방향(R)을 특징화하는 도 1a의 방향(R)에 대해 반대 방향인 관점에서 도시한다. 이를 위해, 도 1c는 도 1a의 케이블(4) 및 접촉 슬리브(5)의, 각각 축방향으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케이블(4)은, 절연체(41)가 제공된 도체(40)를 포함한다. 접촉 슬리브(5)는 도체(40)의 삽입을 위하여, 도체(40)에 대응하는 내부 에지(50)를 갖는다. 이러한 도체(40)는 단일 와이어(single wire), 와이어 메쉬(wire mesh), 코어(core) 또는 연선(stranded wire)일 수 있다. 접촉 슬리브(5)는 특히 비틀림형 접촉 슬리브(5)일 수 있다.
길쭉한 헤드(10)는 양측으로 개방되는 길쭉한 중앙 케이블 통과부(100)를 포함하고, 이러한 케이블 통과부는 중심 축(A1)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된다. 헤드(10)는 케이블 이송 장치(20),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크림핑 장치(22), 예를 들어 추가 케이블 이송 장치(20) 및 인쇄 장치(23)를 내부에 수용하고, 이러한 장치들은 이러한 순서로 케이블 삽입 방향(R)으로 케이블 통과부(100)를 따라 배열된다. 이 경우, 상기 첫번째로 언급한 케이블 이송 장치(20)는 케이블(4)의 삽입을 위해 제공된 케이블 통과부(100)의 개구(101)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2개의 추가 축(A2 및 A3)들은 각각 서로에 대해 그리고 축(A1)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축(A2)은 헤드(10), 손잡이(11) 및 풋 영역(12)을 통과하도록 중심에서 연장된다.
상술한 장치(20, 21, 22 및 23)들은 각각 적절한 기능 요소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기능 요소들은 명확성 및 명료성을 위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부들 및/또는 제어 요소들과 각각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케이블 이송 장치(20),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및 크림핑 장치(22)의 세부사항들은 각각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 그리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인쇄 장치(23)는 접촉 슬리브(5)에 의해 크림핑된 케이블(4)의 인쇄를 위하여 케이블 통과부(100)의 케이블 배출 개구(102)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케이블 통과부(100)의 영역 내에 인쇄 유닛을 포함하고, 이러한 인쇄 유닛의 제공을 위해서는 특히 잉크젯, 핫 스탬핑, 레이저, 패드, 스탬프 프린팅 등과 같은 기술들이 적절하다. 이 경우, 인쇄는 각각 케이블(4) 상에 직접적으로 또는 접착 라벨 상에 간접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케이블(4) 상에 직접적으로 인쇄하기 위해, 케이블(4)은 케이블 이송 장치(20)에 의하여 인쇄 장치 앞을 지나도록 안내된다. 간접 인쇄 시에는, 우선 라벨이 인쇄된 다음, 인쇄된 라벨이 예를 들어 소형 케이블 플래그로서 케이블(4) 상에 부착된다. 케이블(4)을 간접적으로 인쇄하는 이러한 유형의 인쇄 장치(23)가 이를 위해 원시 라벨 저장소를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적절한 인쇄 데이터와, 케이블(4)의 특징화 및 이러한 케이블의 크림핑에 적절한 정보가, 특히 하기에 설명된 센서(31 및 32)들의 신호 데이터와, 크림핑의 생산 주문 매개변수와 같은 추가 정보 및 추가 세부 사항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핑 방법과 함께, 카메라(31)에 대한 설명에서 그리고 또한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이 경우, 길쭉한 헤드(10)는 하나의 제1 광학 센서(31) 및 복수의 추가 센서(32)들, 그리고 특히 크림핑 공구(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33)를 포함한다. 광학 센서(31)는 카메라(31)로서 형성되고, 축(A1)에 대해 평행한 광축을 갖도록 케이블 통과부(100)의 개구(102)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카메라(31) 및 추가 센서(32)들은 손잡이(11) 내에 보다 적절하게 수용될 수 있는 전자 제어 유닛(3)과 상호 작용한다.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33)와 더불어, 크림핑 공구(1)는 작동 상태의 음향적 표시를 위한 수단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31)는, 특히 사전 결정된 케이블 길이(L), 그리고 케이블(4)의 직경 및 피복 제거 길이 및 유형과, 접촉 슬리브(5)의 접촉 유형을 갖는 특히 생산 주문 매개변수와 같은, 2D 코드, QR 코드 또는 OCR로서 존재하는 데이터 및 정보의 판독을 위해 제공된다. 텍스트로서 존재하는 데이터 및 정보의 판독을 위하여, 카메라(31)와 상호 작용하는 제어 유닛(3)은 적절한 텍스트 인식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1)에 의해 포착된 데이터 및 정보는 케이블(4)의 크림핑의 특징화에 적절하고, 이에 따라 케이블(4)의 인쇄에 적절하다. 카메라(31)의 추가 세부 사항들 및 특징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핑 방법과 함께,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또한, 손잡이(11)는 케이블 자투리들 및 절연체 단편들을 수집하기 위한 폐기물 컨테이너(24)와, 접촉 슬리브(5)들을 크림핑 장치(22)에 공급하기 위한 매거진(25)을 내부에 포함한다. 폐기물 컨테이너(24)에 의해 수집된 케이블 자투리 및 수집된 절연체 단편들은 폐기물 컨테이너(24) 내에 수집될 수 있고, 필요 시에는 재료 사이클에 공급될 수 있다. 매거진(25)은, 특히 비틀림형 접촉 슬리브(5)들을 갖는 접촉 슬리브 벨트(250)를 수용할 수 있고, 크림핑될 접촉 슬리브(5)를 크림핑 장치(22)에 공급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매거진(25)은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25)의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 매거진(25)은, 접촉 슬리브 벨트(250)를 스트립형 단편으로서뿐만 아니라 감긴 형태로도 수용할 수 있고, 크림핑 장치(22)에 공급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폐기물 컨테이너(24)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의 방향으로 헤드(10) 내로 연장되거나,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로부터의 케이블 자투리들 및 절연체 단편들의 상응하는 공급을 위한 적절한 장치를 거쳐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형성 및 배열된다. 이 경우, 매거진(25)은, 크림핑 장치(22)의 방향으로 헤드(10) 내로 연장되고, 접촉 슬리브(5)들의 상응하는 공급을 위하여 크림핑 장치(22)에 대해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형성 및 배열된다. 매거진(25)의 추가 세부 사항들 및 특징들은 도 4b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또한, 손잡이(11)에는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스위칭 장치가 조작 요소(30)로서 제공되고, 이러한 스위칭 장치는 제어 유닛(3)과 상호 작용하고, 이러한 스위칭 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크림핑 공구(1)의 사전 결정된 작동 상태들이 제공될 수 있다.
헤드(10)및 손잡이(11) 내에 수용된 상술한 전기적, 전자적 또는 전기 기계적 기능 요소들, 유닛들 및 장치들, 즉 조작 요소(30), 센서(31 및 32)들, 제어 유닛(3), 디스플레이 장치(33), 케이블 유입 개구(101)에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이송 장치(20),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크림핑 장치(22), 인쇄 장치(23), 폐기물 컨테이너(24) 및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25)에 의해서는 다기능 크림핑 공구(1)가 제공되고, 이러한 다기능 크림핑 공구는 접촉 슬리브(5)에 의해 크림핑될 케이블(4)의 도체(40)의 완전히 포괄적인 조립을 위한 복수의 가변 가능성들도 갖고, 이러한 다기능 크림핑 공구의 작동을 위하여 풋 영역(12) 내에는 최종적으로 배터리(26)가 수용된다.
제2 마찰 휠 구동부(20)는 순전히 예시적으로 크림핑 장치(22)와 인쇄 장치(23) 사이에 배열되고,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와 크림핑 장치(22)에 인접하게 이러한 장치들 사이에 배열되거나 제1 마찰 휠 구동부(20)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도 있다. 추가의 매거진(25) 및 추가의 적절한 크림핑 장치(22)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거울상 배열에서는, 케이블(4)의 1회 삽입 시에 접촉 슬리브(5)들에 의한 2개의 케이블 단부들의 크림핑도 실행될 수 있다. 마찰 휠 구동부(20),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매거진(25)들 및 크림핑 장치(22)들이 이에 적절하게 케이블 통과부(100)에 배열되고, 적절하게 제어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센서(31 및 32)들은 크림핑 공구(1)의 작동 상태들의 검출을 위하여 제어 유닛(3)과 신호 기술적으로 연결된다. 추가 센서(32)들은 적절한 추가 광학 센서들, 기계 센서들 및 온도 센서들일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들은 크림핑 공구(1)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작동 상태를 포착하기에 적절하다. 전자 제어 유닛(3)은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메모리 유닛, 그리고 특히 블루투스를 통한 양방향 무선 신호 전송 및/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적절하게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된 제어 유닛(3)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지원으로 크림핑 공구(1)의 작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제어할 수 있고, 그리고 데이터의 형태로 기록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제어 유닛(3)의 메모리 유닛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3)은 블루투스의 지원으로, 특히 휴대폰(6)일 수 있는 이동식 제어 유닛(6)과 적절하게 네트워킹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제어 유닛(6)은 카메라(31)와 적절하게 상호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핑 방법과 함께, 도 5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여, 특히 이러한 방식의 다기능 크림핑 공구(1)의 중요한 요소들 및 장치들 그리고 이들의 배열이 위에서 설명되었다. 특히, 크림핑 공구(1)의 개별 요소들 및 장치들의 특징들에 대한 그리고 그들의 작동 시 상호 작용에 대한 기능적 세부 사항들은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 그리고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핑 공구(1)의 사용 하에 케이블(4)의 전도체(40) 상에 접촉 슬리브(5)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이 도 5의 참조 하에 하기에 설명된다.
하기에는 도 2의 참조 하에 크림핑 공구(1)의 예시적인 일 변형예가 설명된다. 이에 대해, 도 2는 케이블(4)의 크림핑될 케이블 단부 및 접촉 슬리브(5)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림핑 공구(1)를 도시한다. 휴대폰(6)은 도 2에 도시되지 않으며, 이와 관련하여 도 1a가 참조된다. 도 2의 크림핑 공구(1)는, 실질적으로 손잡이(11)에 대한 헤드(10)의 배열에 있어서 도 1a의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이 경우, 손잡이(11)가 도 1a의 실시예에 비하여 헤드(10)에 대해 180°만큼 회전되고, 케이블 통과 방향(R)으로 전환되어 배열됨으로써, 크림핑 공구(1)는 전기 드릴 또는 무선 드라이버의 취급과 가능한 한 유사하게 크림핑 공구(1)를 취급하는 것을 선호하는 조작자에게 있어 인체 공학적으로 특히 간단하게 취급 가능하다.
즉, 도 2의 크림핑 공구(1)의 작동 시에, 케이블(4)은 손잡이(11)로부터 이격된 케이블 통과부(100)의 개구(101) 내에 삽입된다. 또한, 접촉 슬리브(5)에 의해 크림핑된 케이블(4)은 케이블 통과부(100)의 반대쪽 개구(102)에서 직접적으로 조작자를 향한 방향(R)으로 크림핑 공구(1)로부터 나오도록 안내된다.
또한, 도 1a의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카메라(31)는 케이블(4)의 삽입을 위한 개구(101)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카메라(31)는 특히 케이블(4)의 이미지 데이터를, 이러한 케이블이 크림핑 공구(1) 내에 삽입되기 이전에 간단한 방식으로 기록할 수도 있고, 이러한 이미지 데이터는 크림핑의 문서화에도 적절하다.
폐기물 컨테이너(24)는 도 1a의 실시예에 비하여 비교적 작고, 헤드(10) 내에만 제공되고, 폐기물 컨테이너(24)는 케이블 자투리 및 절연체 단편들의 수용 및 수집을 위하여 마찬가지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인접하게 그리고 이러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 아래에 배열된다.
도 3a는 도 1a 및 도 2의 크림핑 공구의 케이블 이송 장치(20)의 2개의 마찰 휠(200)들의 확대된 개략적 도면을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해 적절하게 제공되는 케이블 이송 장치(20)는, 축(A1)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배열된, 마찰 휠(200)들로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휠(200)들을 포함한다. 이 경우, 마찰 휠 구동부(20)는, 개구(101)를 통해 수동으로 삽입된 케이블(4)을 포착하고, 케이블(4)을 목적한 바대로 위치 설정하기 위한 사전 결정된 변위된 케이블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회전되고, 이 경우 케이블(4)을 변위 및 이송하도록 형성, 구성 및 배열된다.
이 경우, 케이블 길이의 결정은 마찰 휠 구동부(20)에서 마찰 휠 구동부(20)의 구동 유닛 또는 마찰 휠(200)들의 회전 각도의 결정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과되는 케이블(4) 상에서의 직접적인 길이 측정이, 예를 들어 마찰 휠 구동부(20)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추가 센서(32)들을 포함하는 광학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적절한 측정 장치(32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이러한 측정 장치는 마찬가지로 제어 유닛(3)과 신호 기술적으로 그리고 데이터 기술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마찰 휠 구동부(20)는, 케이블(4)을 케이블 통과 방향(R)으로 이송할 수 있고, 케이블 통과 방향(R)의 반대로도 이송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적절하게 구성된다. 케이블 통과부(100) 내에서의 케이블(4)의 이러한 2개의 이송 방향들은 크림핑 공구(1)의 작동 시에 연속적으로, 특히 케이블(4)의 케이블 단부에서의 도체(40)의 피복 제거 시에 사용되고, 마찰 휠 구동부(20)는 바람직하게는 도 3b,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여 하기에 설명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와 상호 작용한다.
상술한 추가의 광학적 또는 기계적 센서(32)가 도 1a 및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개구(101) 및 마찰 휠 구동부(20)에 인접하게 배열되고, 이러한 센서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개구(101) 내로의 케이블(4)의 첫번째 삽입이 검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32)의 상응하는 신호가 제어 유닛(3)에 대해 실행될 수 있으므로, 크림핑 기계(1)는 사전 결정된 작동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작동 상태에서 케이블 이송 장치(20) 및/또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등은 휴지 위치로부터 제1 작업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광학 센서(32)에 추가하여, 도 1a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이러한 유형의 추가 광학 센서(32)가 개구(102)에 인접하게 케이블 통과부(100)에 배열될 수 있으므로, 개구(102)로부터의 케이블(4)의 배출이 검출 가능하고, 그에 따라 크림핑 기계(1)는 마찬가지로, 상응하게 사전 결정된 작동 상태로 설정될 수 있다.
크림핑 공구(1)의 작동 상태의 표시를 위하여, 크림핑 공구(1)에는 디스플레이 장치(33)가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작동 상태는 특히 블루투스를 통해 이동식 제어 유닛(6)으로 송신될 수 있고, 이러한 모바일 제어 유닛에 의해 표시되고, 네트워크의 지원으로 문서화될 수도 있다. 특히, 작동 상태의 변화가, 적절한 장치에 의하여 음향적으로 각각 표시될 수도 있다.
도 3b는 휴지 위치(P0)에 있는 케이블(4)의 케이블 일부와 함께 도 1a 및 도 2의 크림핑 공구(1)의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의 요소들의 확대된 개략적 도면을 도시한다.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는 선택 가능한 절단 기하 구조들을 갖는 2개의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을 적절하게 포함하고,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은 바람직하게는 케이블(4)의 컷오프 또는 트리밍을 위해, 그리고 또한 사전에 컷오프된 케이블 단부의 후속 피복 제거를 위해 사용되고, 케이블 단부의 절연체(41)는 제거되고, 크림핑될 도체(40)는 노출된다.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은 케이블 통과부(100)의 축(A1)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배열되고, 케이블(4)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 블레이드(210)들 사이에서 케이블 통과부(100) 내에 배열된다.
이 경우, 휴지 위치(P0)에서,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은 서로로부터 그리고 케이블(4)로부터 이격된다.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에 의해 축(A2)에 평행하도록 케이블 통과부(100)에 배열될 수 있다.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가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에 의해 축(A3)에 평행하도록 또는 이러한 축에 대해 적절하게는 45°의 각도(α)만큼 경사지도록 배열될 수도 있음으로써, 헤드(10)의 특히 컴팩트한 형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는, 컷오프 또는 트리밍 시에 그리고 피복 제거 시에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이 서로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나이프 블레이드(210)의 이동 경로에 따라, 이 경우 케이블(4)의 컷오프 또는 트리밍이 발생하는데, 즉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이 절단 에지를 넘어 모아지도록 이동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케이블(4)의 케이블 단부의 트리밍 또는 컷오프에 적절한 이러한 위치(P1)는 도 3c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피복 제거 시에,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사전 결정된 양만큼 서로를 향해 이동됨으로써, 피복 제거될 도체(40)를 위하여 나이프 블레이드(210)들 사이에 간극이 유지된다. 절연체(41)의 피복 제거에 적절한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의 이러한 위치(P2)는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는 마찰 휠 구동부(20)와 적절하게 상호 작용하고, 마찰 휠 구동부는 도체(40)의 피복 제거를 위하여 케이블 통과 방향(R)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제공하므로, 케이블(4)의 절연체(41)의,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에 의해 컷오프되고 유지되는 단편이 도체(40)로부터 잡아 당겨지는 반면, 피복 제거된 도체(40)를 갖는 케이블(4)은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하여 케이블 통과 방향(R)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로부터 잡아 당겨진다.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의 작동 시에 나이프 블레이드(210)들만 이동된 이후에,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가 바람직하게는 크림핑 공구(1) 내에 위치 고정되도록 배열될 수 있음으로써,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의 구동부 외에 추가의 기계 장치가 불필요하다. 대안적으로,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해 케이블(4)이 홀딩되면서, 케이블 통과 방향(R)으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의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이 상응하게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a는, 크림핑을 위해 목적한 바대로 크림핑 장치(22) 내에 위치 설정되는, 제1 작업 위치에 있는 접촉 슬리브(5) 및 케이블(4)의 피복 제거된 도체(40)와 함께, 도 1a 및 도 2의 크림핑 공구(1)의 크림핑 장치(22)의 요소들의 확대된 개략적 도면을 도시한다.
도 4b는 이를 위해 크림핑 공구(1)의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25)의 요소들을 도시하고, 이러한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에서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25)의 매거진 내의 접촉 슬리브(5)들은 접촉 슬리브 벨트(250) 상에서 일렬로 연속적으로 크림핑 장치(22)에 공급되고,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25)는 크림핑이 실행된 이후에 접촉 슬리브 벨트(250)를 사전 결정된 벨트 피치 거리만큼 계속 안내한다. 이 경우,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25)는 스탭 모터에 의해 적절하게 구동될 수 있다.
크림핑 장치(22)는 도시되지 않은 접촉 벨트 분리 장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접촉 벨트 분리 장치에 의해서는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25)의 크림핑 장치(22)에 공급되고, 바로 다음에 위치하는 접촉 슬리브(5)가 접촉 슬리브 벨트(25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또한, 크림핑 장치(22)는 도시되지 않은 접촉 위치 설정 장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접촉 위치 설정 장치에 의해서는 접촉 벨트 분리 장치로부터 분리되고 크림핑 장치(22)에 의해 포착되는 접촉 슬리브(5)가 케이블(4)의 피복 제거된 도체(40) 상에 목적한 바대로 크림핑되기 위하여 크림핑 장치(22) 내에 위치 설정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4a는 크림핑 장치(22)의 제1 작업 위치를 도시하고, 이러한 제1 작업 위치에서 크림핑 장치(22) 내의 접촉 슬리브(5)는 목적한 바대로 케이블 통과부(100) 내의 중심 위치에서 도체(40)에 대한 축방향 정렬(A1)로서 배열된다. 이 경우, 접촉 단자 측면은 이미 피복 제거된 도체(40)를 향해 있고, 도 4a의 크림핑 장치(22)의 작업 위치에서는 이미 도체(40)가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하여 크림핑을 위해 목적한 바대로 접촉 슬리브(5) 내에 삽입되어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 4a의 크림핑 장치(22)의 구성은 가압 요소(220)들로서 4개의 맨드렐(220)들을 적절하게 포함하고, 이러한 맨드렐들의 구동은 도 4a의 화살표 방향으로 양정 구동부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각각 하나의 적절한 선형 구동부,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적절한 압전 액추에이터 또는 하나의 적절한 스핀들 양정 축이 각각 하나의 맨드렐(220)을 구동할 수 있음으로써, 바람직하게 각각의 맨드렐(220)의 프로세스력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 각각의 구동력은 언급된 구동부들에서 토글 레버에 의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크림핑 장치(22)의 맨드렐(220)들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축(A1)에 대해 수직인 2개의 축(A2 및 A3)들에 대하여 45°의 각도(α)만큼 적절하게 경사지도록 배열되는데, 이는 크림핑 공구(1)의 헤드(10)의 특히 콤팩트한 구조 형상을 가능하게 한다. 크림핑 공구(1)가 도 4a의 크림핑 장치(22)의 실시예의 4-맨드렐 크림핑 장치 대신에 2-맨드렐 크림핑 장치(22)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찰 휠 구동부(20),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크림핑 장치(22) 및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25)가 각각 개별 구동부를 가지고 있을 수 있지만, 그 대신에, 각각 실행될 부분 이동들의 상응하는 기계적 변환 장치들을 갖는 적절한 중앙 구동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4)의 전도체(40) 상에 접촉 슬리브(5)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V)의 방법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상술한 크림핑 공구(1)는 방법(V)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절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특히, 예를 들어 제어 캐비닛 개축 시의, 특히 전문 전기 설치 회사에 의한 현장 처리에서 실행되는 이동식 전기 설치 작업을 실행하기에 적절하다.
방법(V)에서는, 크림핑을 준비하는 바람직한 방법(V0)의 후속 단계(S01 내지 S04)들이 우선 실행된다.
우선, 케이블(4)의 2개의 케이블 단부들의 크림핑을 준비하는 제1 단계(S01)에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이 결정되고, 통합되고, 그리고 크림핑 공구(1)에 의한 크림핑 시에 사용하기에 적절하도록 처리된다. 이러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은 특히 제어 캐비닛 내에 설치 및 조립될 케이블(4)의 길이(L), 그리고 케이블(4)의 직경 및 피복 제거 길이 및 유형과, 제공된 접촉 슬리브(5)의 접촉 유형일 수 있다.
제어 캐비닛 내의 사전 결정된 2개의 단자들 사이에 그리고 이 경우 사전 결정된 케이블 안내 레일 내에 설치될 케이블(4)의 길이(L)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제공된 휴대폰(6)에 의해 우선 광학적으로 포착된 이후에, 소프트웨어의 지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휴대폰(6)에는, 예를 들어 제어 캐비닛의 사진을 휴대폰(6)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케이블(4)이 제공될 단자들 및 케이블 안내 레일을 디스플레이 상에 마킹할 수 있도록 하는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어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크림핑을 준비하는 제2 단계(S02)에서, 단계(S01)에서 결정되고 통합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은 크림핑 공구(1)의 카메라(31)에 의하여 포착된다. 이 경우,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은 2D 코드, QR 코드 또는 일반 텍스트로서 존재할 수 있고, 휴대폰(6)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이러한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크림핑 공구(1)의 카메라(31)가 조작자에 의해 적절하게 위치 설정되고, 이 경우 크림핑 공구(1)가 조작 요소(30)에 의하여 적절한 작동 상태가 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단계(S02)에서 휴대폰(6)에 의하여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상에 2D 코드, QR 코드 또는 일반 텍스트로서 표시되는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에 대안적으로, 이러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은 종이 상에 존재할 수도 있고, 카메라(31)에 의해 마찬가지로 상응하게 종이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 휴대폰(6)으로부터 크림핑 공구의 제어 유닛(3)으로의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의 데이터 전송은 또한 블루투스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크림핑을 준비하는 제3 단계(S03)에서, 카메라(31)에 의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판독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이 신호 기술적으로 그리고 데이터 기술적으로 제어 유닛(3)에 의해 결정되고, 소프트웨어의 지원으로 평가됨으로써, 제어 유닛(3)은 크림핑 공구(1)를 제1 작동 상태(B1)로 설정하고, 이러한 제1 작동 상태는 크림핑 공구(1)의 디스플레이 장치(33) 상에 적절하게 표시된다. 이 경우, 제1 작동 상태(B1)는,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의 포착 및 평가가 완료되고, 크림핑 공구(1)가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 상의 제1 접촉 슬리브(5)의 크림핑에 의하여 케이블(4)의 조립을 실행할 그리고 이를 위해 케이블(4)을 삽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통해 특징화된다.
크림핑을 준비하는 제4 단계(S04)에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에 상응하게, 크림핑할 접촉 슬리브(5)가 크림핑 장치(22) 내의 목적한 바대로의 위치에 있는지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접촉 슬리브 공급부(25)에 의하여 크림핑 장치(22)에 접촉 슬리브(5)가 공급되는지 여부가 우선 검사되고, 접촉 슬리브(5)는 크림핑 장치(22)에 의해 포착되고, 크림핑 장치(22) 내에서 케이블 통과부(100) 내의 중심 위치에서 도체(40)에 대한 축방향 정렬(A1)로서 위치 설정된다. 단계(S04)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크림핑 장치(22) 및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25)에 대한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크림핑을 준비하는 방법(V0)의 단계(S01 내지 S04)들이 완료된 이후, 방법(V)에서는 크림핑 공구(1)의 제1 작동 상태(B1)에서 제1 방법(V1)의 후속 단계(S11 내지 S17)들이 접촉 슬리브(5)에 의한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해 실행된다.
접촉 슬리브(5)에 의한 제1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1 단계(S11)에서, 케이블(4)은 크림핑 공구(1)의 제1 작동 상태(B1)에서 조작자에 의하여 접촉 슬리브(5)에 의한 크림핑을 위해 크림핑 공구(1)의 케이블 유입 개구(101)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케이블(4)은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해 포착되고, 크림핑 공구(1)의 케이블 통과부(100)의 케이블 통과 방향(R)으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로 안내되고, 제1 케이블 단부가 컷오프되는 사전 결정된 양만큼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내에 삽입된다.
제1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2 단계(S12)에서, 사전 결정된 양만큼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내에 삽입되고 그에 상응하게 위치 설정되는 케이블(4)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컷오프되고, 컷오프되는 길이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내에 밀려들어간 케이블(4)의 양에 상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단부에서 절연체(41)가 도체(40)와 같은 높이에 있는 상태가 바람직하게 보장되므로, 케이블(4)의 피복 제거 시에는, 크림핑을 위하여 사전 결정된 접촉 슬리브(5)와 일치하는, 바람직한 사전 결정된 길이를 갖는 피복 제거된 도체(40)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제2 단계(S12)에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의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은 도 3b의 휴지 위치(P0)로부터 시작하여 도 3c의 위치(P1)로 이동되고, 위치(P0)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단계(S12)에서, 컷오프된 케이블 자투리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의 배출 장치에 의해 폐기물 컨테이너(24)에 공급된다.
제1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3 단계(S13)에서, 케이블(4)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피복 제거되고, 이 경우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는 마찰 휠 구동부(20)와 적절하게 상호 작용한다. 우선, 컷오프 시에 케이블 통과부(100) 내의 규정된 위치에 케이블 단부가 유지되는, 단계(S12)에서 컷오프된 케이블(4)은 제1 케이블 단부의 피복 제거될 길이에 상응하는 사전 결정된 양만큼 방향(R)으로 이송된다. 이어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의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은 도 3d의 위치(P2)가 되고, 이 경우 케이블(4)의 절연체(41)는 도체(40)에 이르기까지 절개된다.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이 위치(P2)로 유지되는 동안, 도체(40)를 갖는 케이블(4)은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해 상기 사전 설정된 양만큼 방향(R)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고,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은 케이블(4)의 절연체(41)를 홀딩하므로, 도체(40)는 사전 결정된 길이로 케이블 단부에서 노출된다. 또한, 단계(S13)에서, 피복 제거된 절연체 단편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의 배출 장치에 의해 폐기물 컨테이너(24)에 공급된다. 단계(S13)가 단계(S12) 이후에 적절하게 실행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1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4 단계(S14)에서, 케이블(4)은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해 방향(R)으로 이송되고, 크림핑 장치(22)에 공급되고, 케이블 단부의 피복 제거된 도체(40)에 의하여, 크림핑 장치 내에 위치 설정된 접촉 슬리브(5) 내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이어서, 접촉 슬리브(5)는 크림핑 장치(22)에 의하여 도체(40)와 크림핑된다. 단계(S14)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도 4a를 참조하여 크림핑 장치에 대한 상기 설명이 마찬가지로 참조된다.
단계(S14)에 이어서, 접촉 슬리브(5)에 의해 크림핑된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는 제5 단계(S15)에서 제1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하여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해 인쇄 장치(23)를 향한 방향(R)으로 이송되고,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는 인쇄 장치(23)에 의하여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 및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추가 세부 사항들로 인쇄된다.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추가 세부 사항들은, 예를 들어 온도 및 압력과 같이 크림핑 공구(1)의 센서(31 및 32)들에 의해 검출된 값들 그리고 적절하게 모니터링된 배터리(26)의 충전 상태이며, 이러한 추가 세부 사항들은 크림핑의 품질을 특징화하기에 적절하다.
실행된 크림핑은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에 의해 그리고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추가 세부 사항들에 의해 또한 특히 블루투스를 통해 휴대폰(6)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크림핑은 휴대폰(6) 상에서 그리고 네트워크의 지원으로도 문서화될 수 있다.
케이블 통과부(100)의 길이가 공지되어 있고, 이에 따라 단계(S15)에서 케이블 통과부(100) 내에 삽입된 케이블(4)의 길이도 공지되어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또한, 상기 단계(S11 내지 S15)들은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한 케이블(4)의 이송 시에, 측정 장치(320) 또는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한 케이블(4)의 변위의 검출 하에 각각 적절하게 실행된다. 이 경우,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3a의 설명이 참조된다.
단계(S15)에 이어서, 인쇄 장치(23)에 의해 인쇄된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는 제1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6 단계(S16)에서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해 방향(R)으로, 이미 크림핑된 제1 케이블 단부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의 나이프 블레이드(210)들로부터, 단계(S01)에서 결정된 길이(L)에 상응하는 케이블(4)을 따른 거리를 갖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이송된다. 이 경우, 접촉 슬리브(5)에 의해 크림핑되고 인쇄된 제1 케이블 단부는 이미 케이블 통과부(100)의 케이블 배출 개구(102)로부터 배출되어 있다. 이 경우, 길이(L)는 측정 장치(320)에 의해 또는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마찰 휠 구동부(20)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서, 케이블(4)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컷오프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길이(L)를 갖는 케이블(4) 및 제2 케이블 단부가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제1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7 단계(S17)에서, 크림핑 공구(1)는 제2 작동 상태(B2)가 된다. 이러한 작동 상태(B2) 및 단계(S11 내지 S16)들의 성공적인 실행이 시각적으로 또는 음향적으로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33) 상에서도 적절하게 표시됨에 따라, 케이블(4)은 조작자에 의해 크림핑 공구(1)로부터 완전히 잡아 당겨진다.
이 경우, 제2 작동 상태(B2)는,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 상의 제1 접촉 슬리브(5)의 크림핑이 완료되고, 크림핑 공구(1)는 케이블(4)을 제거할 그리고 접촉 슬리브(5)에 의해 케이블(4)의 제2 케이블 단부를 크림핑하기 위하여 케이블(4)을 추가 삽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특징화하고, 제2 작동 상태에서는 우선 새로이 단계(S04)가 실행되고, 이에 상응하게 피복 제거된 제2 케이블 단부의 도체(40)의 수용을 위한 새로운 접촉 슬리브(5)가 크림핑 장치(22) 내에 목적한 바대로 위치 설정된다.
방법(V1)의 단계(S11 내지 S17)들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이후, 방법(V)에서는 크림핑 공구(1)의 제2 작동 상태(B2)에서 접촉 슬리브(5)에 의한 케이블(4)의 제2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2 방법(V2)의 후속 단계(S21 내지 S25)들이 실행된다.
작동 상태(B2)에서, 케이블(4)의 아직 크림핑되지 않은 제2 케이블 단부는 접촉 슬리브(5)에 의한 제2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1 단계(S21)에서 조작자에 의하여 접촉 슬리브(5)에 의한 크림핑을 위해 크림핑 공구(1)의 케이블 유입 개구(101)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케이블(4)은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해 포착되고, 크림핑 공구(1)의 케이블 통과부(100)의 케이블 통과 방향(R)으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로 안내되고, 제2 케이블 단부가 제1 케이블 단부와 같이 컷오프되는 사전 결정된 양만큼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내에 삽입된다.
제2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2 단계(S22)에서, 사전 결정된 양만큼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내에 삽입되고 그에 상응하게 위치 설정되는 케이블(4)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컷오프되고, 컷오프되는 길이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내에 밀려들어간 케이블(4)의 양에 상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블(4)의 피복 제거 시에는, 크림핑을 위하여 사전 결정된 접촉 슬리브(5)와 일치하는, 바람직한 사전 결정된 길이를 갖는 피복 제거된 도체(40)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보장된다.
이에 따라, 제2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1 단계(S21) 및 제2 단계(S22)는 제1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1 단계(S11) 및 제2 단계(S12)에 각각 상응한다.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케이블(4)이 트리밍되고, 케이블 길이(L)를 갖는 케이블(4) 및 제2 케이블 단부가 제공되는 상술한 제6 단계(S16)에서는, 케이블(4)의 피복 제거 시에, 크림핑을 위하여 사전 결정된 접촉 슬리브(5)와 일치하는, 바람직한 사전 결정된 길이를 갖는 피복 제거된 도체(40)가 제공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2 케이블 단부도 컷오프되는 상술한 사전 결정된 양이 고려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2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3 단계(S23)에서, 상술한 제3 단계(S13)와 유사하게,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하여 도체(40)가 사전 결정된 길이로 제2 케이블 단부에서 노출되므로, 이와 관련하여 단계(S13)의 설명이 참조된다.
제2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4 단계(S24)에서, 상술한 제4 단계(S14)와 유사하게, 크림핑 장치(22)에 의하여 접촉 슬리브(5)에 의한 피복 제거된 도체(40)의 크림핑이 실행되므로, 이와 관련하여 단계(S14)의 설명이 참조된다.
제2 케이블 단부의 크림핑을 위한 제5 단계(S25)에서, 상술한 제5 단계(S15)와 유사하게, 접촉 슬리브(5)에 의해 크림핑된 케이블 단부에 인접한 케이블(4)의 영역이 인쇄되므로, 이와 관련하여 단계(S15)의 설명이 참조된다.
단계(S25)에 이어서, 케이블(4)의 크림핑된 2개의 케이블 단부들은 크림핑 공구(1)로부터 제거되고, 크림핑 공구(1)는 적절하게 다시금 제1 작동 상태(B1)로 설정되고, 또한 단계(S04)가 다시금 실행되고, 이에 상응하게 피복 제거된 케이블 단부의 도체(40)의 수용을 위한 새로운 접촉 슬리브(5)가 크림핑 장치(22) 내에 목적한 바대로 위치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따라 크림핑 공구(1)는 단계(S01 내지 S03)들에 의해 실행되는 크림핑 공구(1)의 설정에 상응하게 케이블(4)을 트리밍할 그리고 접촉 슬리브에 의해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를 크림핑할 준비가 되어 있다. 추가 케이블(4)의 조립을 위한 추가 주문의 새로운 생산 매개변수들을 판독하기 위해, 크림핑 공구(1) 및 휴대폰(6)에 의하여 단계(S01 내지 S03)들이 새로이 실행될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크림핑 공구(1)는, 상술한 제1 작동 상태(B1) 및 제2 작동 상태(B2) 그리고 개별 방법 단계(S11 내지 S17 및 S21 내지 S25)들이 각각 마찬가지로 수동으로 조작자에 의해 조작 요소(30)의 상응하는 작동에 의하여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도면들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되어 나타나더라도,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도시되고 논의된 조합이 유일하게 가능한 조합이 아님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의 서로 상응하는 단위체들 또는 특징 복합체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1 크림핑 공구
10 헤드
100 케이블 통과부
101 개구, 케이블 유입 개구
102 개구, 케이블 배출 개구
11 손잡이
12 풋 영역
20 케이블 이송 장치, 마찰 휠 구동부
200 휠, 마찰 휠
21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
210 블레이드, 나이프 블레이드
22 크림핑 장치
220 가압 요소, 맨드렐
23 인쇄 장치
24 폐기물 컨테이너
25 접촉 슬리브 공급 장치, 매거진
250 접촉 슬리브 벨트
26 배터리
3 제어 유닛
30 스위칭 장치, 조작 요소
31 광학 센서, 카메라
32 센서
320 측정 장치
33 디스플레이 장치
4 케이블
40 도체, 연선, 코어, 와이어
41 절연체
5 접촉 슬리브
50 내부 에지
6 이동식 제어 유닛, 휴대폰
A1, A2, A3 축
α 각도
B1, B2 작동 상태
L 길이, 케이블 길이
PO, P1, P2 위치
R 방향, 케이블 삽입 방향
케이블 통과 방향
S01, S02, S03, S04 단계
S11, S12, S13, S14, 단계
S15, S16, S17
S21, S22, S23, S24, 단계
S25
V, V0, V1, V2 방법

Claims (12)

  1. 케이블(4)의 전도체(40) 상에 접촉 슬리브(5)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이며, 크림핑 공구(1)는 적어도 케이블 이송 장치(20),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크림핑 장치(22) 및 인쇄 장치(23)를 포함하고, 이러한 장치들은 일축(A1)을 갖는 크림핑 공구(1)의 케이블 통과부(100)에 상기 순서로 연속적으로 방향(R)으로 배열되고, 크림핑 공구(1)는, 케이블 통과부(100)의 케이블 유입 개구(101)를 통해 삽입되는 케이블(4)의 케이블 단부가 케이블 이송 장치(20)에 의해 방향(R)으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크림핑 장치(22), 및 인쇄 장치(23)에 공급된 다음, 케이블 통과부(100)의 케이블 유입 개구(101) 반대쪽 케이블 배출 개구(102)를 통해 크림핑 공구(1)로부터 나오도록 안내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이송 장치(20)는, 케이블 유입 개구(101)에 인접하게 케이블 통과부(100)에 배열되고, 케이블 통과부(100)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휠(200)들을 구비한 마찰 휠 구동부(20)에 의하여 제공되고, 마찰 휠 구동부(20)는 케이블(4)이 방향(R)으로 그리고 방향(R)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고 위치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마찰 휠 구동부(20)는 케이블(4)의 길이(L)를 결정하기 위한 측정값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
  3. 제2항에 있어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는, 케이블 통과부(100)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을 포함하고,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는,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의 제1 위치(P1)에서 케이블(4)을 절단 분할 또는 컷오프하고, 제2 위치(P2)에서 케이블(4)의 절연체(41)를 절개하는 반면, 케이블(4)의 도체(40)는 나이프 블레이드(210)들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제1 위치(P1)는 케이블(4)의 트리밍에 적절하고, 제2 위치(P2)는 케이블(4)의 피복 제거 및 도체(40)의 노출에 적절하고,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는 제2 위치(P2)에서 케이블(4)의 피복 제거를 위하여 마찰 휠 구동부(20)와 상호 작용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림핑 장치(22)는, 케이블 통과부(100)에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도록 배열되는 적어도 2개의 가압 요소(220)들을 포함하고, 가압 요소(220)들은 크림핑 압력의 제공을 위하여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고, 압전 액추에이터에 의해서는 또한 가압 요소(220)의 크림핑의 크림핑 압력 또는 크림핑 힘이 검출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쇄 장치(23)는, 접촉 슬리브(5)에 의해 크림핑된 도체(40)에 인접한 케이블(4)의 영역을 접촉 슬리브(5)에 의한 도체(40)의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세부 사항들로 인쇄하도록 구성되고, 크림핑 공구(1)는 신호 기술적으로 그리고 데이터 기술적으로 네트워킹되므로,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세부 사항들은 또한 네트워크의 지원으로 문서화 가능한,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
  6. 제2항에 있어서, 크림핑 공구(1)는 도체(40)의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값들의 검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32) 및 적어도 하나의 힘 센서(32)를 갖는 센서(31, 32)들을 포함하고, 케이블 길이(L)를 결정하기 위한 그리고 케이블 통과부(100)에 있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내에 케이블(4)의 케이블 단부를 위치 설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320)가 마찰 휠 구동부(20) 및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크림핑 공구(1)는, 크림핑의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을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지원으로 판독하기 위한 카메라(31)를 포함하고, 크림핑 공구(1)는, 카메라(31)에 의한 판독을 위하여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을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휴대폰(6)과 상호 작용하고,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은 케이블(4)의 길이(L) 및 직경 및 피복 제거 길이 및 유형 그리고 접촉 슬리브(5)의 접촉 유형을 포함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
  8. 제2항에 있어서, 크림핑 공구(1)는 손잡이(11)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러한 손잡이의 일 단부에는 신장형 헤드(10)가 이어지고, 타 단부에는 풋 영역(12)이 이어지며, 헤드(10)는 케이블 통과부(100), 마찰 휠 구동부(20),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크림핑 장치(22) 및 인쇄 장치(23)를 수용하고, 손잡이(11)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로부터의 케이블 자투리들 및 절연체 단편들을 수집하기 위한 폐기물 컨테이너(24)와, 접촉 슬리브(5)들을 크림핑 장치(22)에 공급하기 위한 매거진(25)과, 그리고 크림핑 공구(1)의 제어 유닛(3)을 수용하고, 풋 영역(12)은 크림핑 공구(1)의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수용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1).
  9. 제2항에 따른 크림핑 공구(1)의 사용 하에 케이블(4)의 전도체(40) 상에 접촉 슬리브(5)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V)이며, 이러한 방법은
    Figure 112025003049625-pct00001
    크림핑을 준비하는 방법(V0)의 단계들이 실행되는 단계;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에 있는 제1 접촉 슬리브(5)를 도체(40) 상에 크림핑하기 위한 제1 방법(V1)의 단계들이 실행되는 단계;
    케이블(4)의 제2 케이블 단부에 있는 제2 접촉 슬리브(5)를 도체(40) 상에 크림핑하기 위한 제2 방법(V2)의 단계들이 실행되는 단계;를 갖고,
    방법(V0)에서는,
    케이블(4)의 길이(L) 및 직경 및 피복 제거 길이 및 유형 그리고 접촉 슬리브(5)의 접촉 유형을 포함하는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이 결정되고, 크림핑 공구(1)에 의해 포착되고;
    크림핑 공구(1)는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의 사용 하에 제1 작동 상태(B1)로 설정되고;
    방법(V1) 및 방법(V2)에서는,
    케이블(4)의 각각 피복 제거될 그리고 크림핑될 제1 케이블 단부 및 제2 케이블 단부는 우선 케이블 통과부(100)의 케이블 유입 개구(101)를 통해 크림핑 공구(1) 내에 삽입되고;
    마찰 휠 구동부(20)의 사용 하에 케이블 통과부(100) 내에서는 케이블(4)의 크림핑될 케이블 단부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 크림핑 장치(22) 및 인쇄 장치(23)로 이송되고, 목적한 바대로 위치 설정되고;
    방법(V1) 및 방법(V2)의 실행 이후 각각 케이블 배출 개구(102)를 통해 크림핑 공구(1)로부터 나오도록 안내되고;
    방법(V0), 방법(V1) 및 방법(V2)은 이 순서로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V).
  10. 제9항에 있어서, 방법(V1)에서,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사전 결정된 양만큼 컷오프되고;
    도체(40)는 케이블(4)의 제1 케이블 단부에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피복 제거되고;
    제1 케이블 단부의 피복 제거된 도체(40)는 크림핑 장치(22)에 의하여 제1 접촉 슬리브(5)에 의해 크림핑되고;
    도체(40)에 의해 크림핑된 제1 접촉 슬리브(5)에 인접한 케이블(4)의 영역은 인쇄 장치(23)에 의해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추가 세부 사항들로 인쇄되고;
    케이블(4)은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길이(L)로 재단되므로, 케이블(4)의 제2 케이블 단부가 제공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V).
  11. 제9항에 있어서, 방법(V2)에서,
    케이블(4)의 제2 케이블 단부는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사전 결정된 양만큼 컷오프되고;
    도체(40)는 케이블(4)의 제2 케이블 단부에서 트리밍- 및 피복 제거 장치(21)에 의해 피복 제거되고;
    제2 케이블 단부의 피복 제거된 도체(40)는 크림핑 장치(22)에 의하여 제2 접촉 슬리브(5)에 의해 크림핑되고;
    도체(40)에 의해 크림핑된 제2 접촉 슬리브(5)에 인접한 케이블(4)의 영역은 인쇄 장치(23)에 의해 크림핑을 특징화하는 추가 세부 사항들로 인쇄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V).
  12. 제9항에 있어서, 방법(V0)은 하기 단계들, 즉
    제1 단계(S01)에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이 휴대폰(6)의 사용 하에 결정되고 통합되는 단계;
    제2 단계(S02)에서,
    휴대폰(6)에 의해 결정되고 통합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이 휴대폰(6)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고, 크림핑 공구(1)의 카메라(31)에 의해 판독되는 단계;
    제3 단계(S03)에서,
    크림핑 공구(1)가, 판독된 생산 주문 매개변수들의 고려 하에 제1 작동 상태(B1)가 되는 단계;
    제4 단계(S04)에서,
    크림핑할 접촉 슬리브(5)가 크림핑 장치(22) 내의 목적한 바대로의 위치에 배열되는지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크림핑 장치(22)에 공급되는지 여부가 검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의 전도체 상에 접촉 슬리브를 크림핑하기 위한 방법(V).
KR1020237023652A 2020-12-14 2021-12-06 다기능 수공구 Active KR102773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33326.9A DE102020133326A1 (de) 2020-12-14 2020-12-14 Multifunktionales Handwerkzeug
DE102020133326.9 2020-12-14
PCT/DE2021/100974 WO2022127982A1 (de) 2020-12-14 2021-12-06 Multifunktionales handwerk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8945A KR20230118945A (ko) 2023-08-14
KR102773231B1 true KR102773231B1 (ko) 2025-02-27

Family

ID=79831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3652A Active KR102773231B1 (ko) 2020-12-14 2021-12-06 다기능 수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11916A1 (ko)
EP (1) EP4260414B1 (ko)
KR (1) KR102773231B1 (ko)
CN (1) CN116601838A (ko)
DE (1) DE102020133326A1 (ko)
WO (1) WO20221279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347993A1 (en) * 2023-04-14 2024-10-17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Quality of Termination of Wire Using Thermal Characteristic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2617A1 (fr) 1986-08-07 1988-02-12 Aerospatiale Dispositif de montage d'une cosse ou de tout autre element de connexion a une extremite d'un cable electrique
DE4241224C1 (de) 1992-12-08 1994-01-20 Wezag Gmbh Werkzeug zum Verpressen von isolierten Aderendhülsen in Bandform
WO2003045616A1 (en) 2001-11-24 2003-06-05 Delphi Technologies, Inc. Improvements in wire harness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3950A (ja) * 1998-10-13 2000-04-28 Yazaki Corp 自動切断圧着装置
JP2000123948A (ja) * 1998-10-19 2000-04-28 Yazaki Corp 自動切断圧着装置
US6196045B1 (en) * 1999-12-20 2001-03-06 Chromatography Research Supplies, Inc. Powered crimping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2617A1 (fr) 1986-08-07 1988-02-12 Aerospatiale Dispositif de montage d'une cosse ou de tout autre element de connexion a une extremite d'un cable electrique
DE4241224C1 (de) 1992-12-08 1994-01-20 Wezag Gmbh Werkzeug zum Verpressen von isolierten Aderendhülsen in Bandform
WO2003045616A1 (en) 2001-11-24 2003-06-05 Delphi Technologies, Inc. Improvements in wire harnes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133326A1 (de) 2022-06-15
US20230411916A1 (en) 2023-12-21
CN116601838A (zh) 2023-08-15
WO2022127982A1 (de) 2022-06-23
EP4260414A1 (de) 2023-10-18
KR20230118945A (ko) 2023-08-14
EP4260414B1 (de) 202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306257A (ja) ハーネス製造方法と圧接機及びコネクタ保持竿並びに圧接装置
US7134190B2 (en) Wire harness manufacturing machine
US7607217B2 (en) Device for processing a wire
US20100071202A1 (en) Cable-crimping tool for connectors
KR102773231B1 (ko) 다기능 수공구
KR200450026Y1 (ko) 전동식 전선피복 탈피기
US4847992A (en)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JP2023549306A (ja) 電気導体の切断及び/又は被覆剥ぎ取り及び/又は圧着用の工具セット
CN110380309A (zh) 一种端子线多线并打机
US20070062024A1 (en) System for processing a cable using at least two tools
JP5931228B1 (ja) 巻線を備える電機子及び電機子の巻線端末を端子に接続する方法
CN212849254U (zh) 一种双绞线束的分线装配装置
JPS6014780A (ja) 自動圧接機
JPH0999943A (ja) マルチハーネスの結束体並びに結束方法及び結束装置
JP6061964B2 (ja) 電線被覆除去ユニットおよびワイヤ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6014437B2 (ja) 電線加工方法
US200301193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organizing wires of a cable
JPH0136316Y2 (ko)
CN118472852B (zh) 一种多口剥线钳及其使用方法
JPH0650658B2 (ja) 結線装置
JPS6316856B2 (ko)
JP3280333B2 (ja) 端子圧着装置
JP3012659B2 (ja) ハーネス製造装置
JPH05217652A (ja) 自動配線装置
JPH013544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2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