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3065B1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3065B1 KR102773065B1 KR1020230181727A KR20230181727A KR102773065B1 KR 102773065 B1 KR102773065 B1 KR 102773065B1 KR 1020230181727 A KR1020230181727 A KR 1020230181727A KR 20230181727 A KR20230181727 A KR 20230181727A KR 102773065 B1 KR102773065 B1 KR 1027730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push rod
- door
- rotation speed
- refrig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푸시 로드;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모터 회전 감지부; 상기 푸시 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줄어든 것이 감지되면, 상기 푸쉬 로드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comprises: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push rod for moving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to open the door; a motor for providing power so that the push rod can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al state of the motor; a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push ro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to return the push rod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has decreased while the push rod is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 open the door.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실에서 음식물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A refrigerato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keeps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sealed by a door.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40030호(공개일 2011.04.20)에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방법이 개시된다. In prior literatur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40030 (published on April 20, 2011), a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is disclosed.
선행문헌의 경우, 냉장고 도어에 도어 핸들이 구비되며, 도어 핸들에 조작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된다.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를 구성하는 푸쉬로드가 도어를 밀어 도어를 개방시킨다.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a door handle is provided on the refrigerator door, and an operating unit is provided on the door handle. In addition, a door opening device is provided on a cabinet forming a storage space. When a user operates the operating unit, a push rod constituting the door opening device pushes the door to open the door.
상기 푸시로드는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다수의 기어에 의해서 전달받아 직선 운동한다. The above push rod receives driving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 through a number of gears and moves in a straight line.
상기 푸시로드는 전진하여 도어 개방을 위한 설정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감지부재가 상기 푸시로드가 설정 위치로 이동한 것을 감지하는 경우, 구동모터가 역회전되어 푸시로드가 최초위치로 복귀된다. The above push rod can move forward to a set position for door opening. Then, when the position detection member detects that the push rod has moved to the set position, the driving motor rotates in reverse to return the push rod to the initial position.
이와 같은 선행문헌에 의하면, 푸시로드가 설정 위치까지 이동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구동모터가 동작하므로, 구동모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외력이 상기 냉장고 도어로 가해지는 경우, 상기 푸시로드 및 기어가 파손되거나 상기 구동모터의 과부하에 의해서 구동모터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 to such prior literature, since the drive motor operates continuously until the push rod moves to the set pos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doo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the push rod and gear may be broken or the drive motor may be damaged due to an overload of the drive motor.
또한, 푸시로드의 이동 시 사용자의 도어 개방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푸시로드가 설정 위치까지 이동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구동모터가 동작하므로, 푸쉬로드가 전진하여 설정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킨 후 도어를 닫는 경우, 도어의 닫힘을 위한 회전력이 푸쉬로드를 통하여 다수의 기어로 전달되어, 푸쉬로드 및/또는 기어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rive motor operates continuously until the pushrod moves to the set posi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opens the door when the pushrod moves, if the user increase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and then closes the door while the pushrod moves forward to the set position, the rotational force for closing the door is transmitted to a number of gears through the pushrod, which causes a problem in which the pushrod and/or the gears are damaged.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푸시 로드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중 또는 푸시 로드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외부 부하의 작용에 의해서 푸시 로드 및/또는 푸시 로드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파손이 방지되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 push rod and/or a gear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push rod is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an external load while the push rod for opening a door is moving to a door opening position or while the push rod is moved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푸시 로드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도어의 열림 상태가 일정 시간 유지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the open state of the door can b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le the push rod is moved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도어의 덜컹거림이 방지되는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prevents the door from rattling during the door opening process.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푸시 로드;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모터 회전 감지부; 상기 푸시 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부; 및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로 향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aspect comprises: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push rod for moving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to open the door; a motor for providing power so that the push rod can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al state of the motor; a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push rod; a door open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by a set angle or mor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so that the push rod is directed to the first posi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ed by a set angle or more while the push rod is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푸시 로드의 위치이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도어가 도어 개방 각도만큼 개방된 상태에서의 상기 푸시 로드의 위치이다. The first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push rod when the door is closed, and the second position is the position of the push rod when the door is opened by the door opening angle.
상기 푸시 로드와 상기 모터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push rod and the above motor can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상기 푸시 로드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푸시 로드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위치센서 및 제2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ush rod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on which the above-mentioned push rod is mounted. The above-mentioned position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magnet provided on the above-mentioned push rod, and a first position sensor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provided on the above-mentioned housing for detecting the magnetism of the magnet.
상기 제1위치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의 제1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위치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의 제2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first position sensor can detect a first position of the push rod,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can detect a second position of the push rod.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푸시 로드의 제2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To open the door, the controller rotates the motor in one direction, and when the second position of the push rod is detected, the controller can stop the rotation of the motor.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의 타 방향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모터로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When the rotation of the above motor is stopped, voltage can be supplied to the motor to prevent rotation of the motor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모터의 회전이 정지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1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When the rotation of the above motor stops and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controller can rotate the motor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returns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의 일 방향 회전 과정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ler can control the motor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decreases during the one-way rotation of the motor.
상기 설정 각도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했을 때의 상기 도어의 도어 개방 각도 보다 크다. The above setting angle is greater than the door opening angle of the door when the push rod ha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는, 상기 도어와 상기 도어의 회전을 위한 힌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도어와 상기 힌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magnet provided on one of the door and a hinge for rotating the door, and a detection sensor provided on the other of the door and the hinge to detect the magnetism of the magnet.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향하도록 상기 모터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으로 상기 도어가 상기 설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rotates the motor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is direct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f the door is manually opened by a user beyond the set angle before the push rod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o open the door, the controller can rotate the motor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는 상기 모터의 작동 과정에서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rpm)를 판단할 수 있다.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outputs a puls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the controller can determine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motor based on the pulse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한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door opening command for opening the door.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서 온되는 스위치이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이거나,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The above input unit may be a switch that is turned on by the user's contact,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the user's command, or a sensor that detects the user's gesture.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푸시 로드;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모터 회전 감지부; 상기 푸시 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감지부;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push rod for moving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to open the door; a motor for providing power so that the push rod can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al state of the motor; a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push rod; a door open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by a set angle or mor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상기 냉장고의 제어방법은, 상기 푸시 로드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 1 단계;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에 의해서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푸시 로드가 제 1 위치로 향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first step of controlling the motor to move the push ro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 secon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more than a set angle by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and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he motor to direct the push rod to the first position if it is determined in the second step that the door is opened more than the set angle.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can be reduced.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과정에서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출력된 펄스의 개수가 제1기준 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outputs pulses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motor, and when the number of pulses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reaches a first reference number,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can be reduced.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3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the motor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in the third step, the motor can be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단위 시간 당 출력되는 펄스의 개수가 부하 감지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In the first step, if the number of pulses output per unit time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load detection number, the controller can rotate the motor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returns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도어가 설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the second step,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door has been opened beyond a set angle before the push rod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푸시 로드;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모터 회전 감지부; 상기 푸시 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회전 속도 보다 줄어든 것이 감지되면, 상기 푸시 로드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refrigerator comprises: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space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 push rod for moving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to open the door; a motor for providing power so that the push rod can mov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rotational state of the motor; a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position of the push ro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to return the push rod to the first position when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has decreased below a set rotational speed while the push rod is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o open the door.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가 제1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다가 제 1시간 이후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 속도 보다 낮은 제2회전 속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ile the push rod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motor to rotate at a first rotation speed, and after a first time,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to become a second rotation speed low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는, 다수개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 방향에 배치된 발광부와, 상기 회전판의 타측 방향에 배치된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릿이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사이를 통과할 때마다, 펄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rotat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lits formed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to rotate, a light emitting unit arrang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plate, and a light receiving unit arrang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plate. Each time the slit passes between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 pulse signal may be output.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제 2 위치로 상기 푸시 로드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모터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The motor can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to move the push rod from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door maintains the storage space in a closed state to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door maintains the storage space in an open state.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상기 푸시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In order to move the push ro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motor can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모터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 후 제2시간 이후에, 상기 모터 회전 속도가 줄어든 것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외부 부하가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상기 모터를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푸시 로드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f, after a second time period after the motor starts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detected that the motor rotation speed has decreased,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closes, and the motor can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to return the push rod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펄스 신호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outputs a pulse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controller can detec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pulse signals output per unit time.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제3시간 동안, 상기 모터에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push rod can be controlled to supply voltage to the motor for a third time while the above push rod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stopped.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3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를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third time has elapsed while the push rod ha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stopped,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motor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returns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펄스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외부 부하가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푸시 로드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를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a pulse signal is detected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while the push rod ha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stopped,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closed, and the motor can be controlled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to return the push rod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푸시 로드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푸시 로드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위치센서 및 제2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in which the push rod is mounted, and the position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magnet provided on the push rod, and a first position sensor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provided on the housing for detecting magnetism of the magnet.
상기 제1위치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의 상기 제 1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위치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의 상기 제 2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The first position sensor can detect the first position of the push rod,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can detect the second position of the push rod.
상기 저장공간은, 좌측 저장영역과 우측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좌측 저장영역을 개폐하는 좌측 도어와 상기 우측 저장영역을 개폐하는 우측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푸시 로드에 의해 상기 우측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좌측 도어의 전면보다 상기 우측 도어의 후면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푸시 로드가 이동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rage space may include a left storage area and a right storage area, and the door may include a lef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eft storage area and a righ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ight storage area. The second posi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ush rod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right door is opened by the push rod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right door is positioned forward relative to the front side of the left door.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한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스위치, 터치 스크린, 감지 센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door opening command for opening the door, wherein the input unit is characterized by being one selected from a switch, a touch screen, and a detection sensor.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감지하는 도어개방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가 설정 각도이상으로 개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door opening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opened by a set angle or more,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motor so that the push rod returns to the first position.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푸시 로드와, 상기 푸시 로드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도어 개방장치;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refrigerator comprises: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n opening command for the door; a door opening device having a push rod capable of moving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door opening position to open the door, and a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the push rod;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motor.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에서 도어 개방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제1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다가 제1시간 이후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 속도 보다 낮은 제2회전 속도가 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모터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tor to rotate at a first rotation spe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oor opening signal has been input from the input unit, and then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to a second rotation speed low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after a first period of time, and supply voltage to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the push rod reaches the door opening position.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 속도에서 상기 제2회전 속도로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줄어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ler can control the motor so tha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linearly or nonlinearly decreases from the first rotational speed to the second rotational speed.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2회전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2회전 속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motor so that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reaches the second rotation speed,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maintained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until the push rod reaches the door opening position.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구간의 길이가 상기 제1회전 속도에서 상기 제2회전 속도로 감소하는 구간의 길이 보다 짧게 설정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controller can control the motor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tion rotating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is set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tion decreasing from the first rotation speed to the second rotation speed.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모터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과정에서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펄스 신호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motor, wherein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outputs a pulse signal during the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controller can detec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pulse signals output per unit time.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After the above-mentioned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motor so that the push ro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도어 개방을 위하여 푸시 로드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도어로 외부 부하가 작용하는 것이 감지되면, 푸시 로드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모터를 제어함에 따라서, 푸시 로드 및/또는 기어의 손상이 방지되고, 모터의 과부하에 의한 모터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when an external load is detected to be applied to the door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door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push rod for opening the door, the mo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push ro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ush rod and/or the gear,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motor due to overload of the motor.
또한, 푸시 로드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모터로 전압을 공급함에 따라서, 도어 자체의 하중, 도어와 캐비닛의 밀착을 위한 가스켓에 구비되는 자석의 자력,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한 자동 닫힘 기구에 의한 닫힘력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푸시 로드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여 도어가 닫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voltage is supplied to the motor while the push rod is moved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phenomenon of the push rod moving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door closing can be prevented by one or more of the load of the door itsel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rovided in the gasket for sealing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the closing force of the automatic closing mechanism for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또한, 상기 푸시 로드가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모터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푸시 로드의 이동 속도가 줄어들게 되며, 푸시 로드의 이동 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푸시 로드가 도어 개방 위치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상기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덜컹거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제1냉장실 도어의 회전이 부드럽게 정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push rod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decreases, and accordingly, the moving speed of the push rod decreases. Since the push rod stops at the door opening position in a state where the moving speed of the push rod is decreased, a rattling phenomenon is prevented during the door opening process,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can be stopped smoothly.
또한, 푸시 로드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의 도어의 개방 각도 보다 큰 기준 각도 이상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여 푸시 로드를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에 따라서, 푸시 로드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전에 도어가 닫히는 것에 의해서 푸시 로드가 파손되거나 푸시 로드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 들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detecting that the door is opened by a reference angle greater tha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when the push rod moves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and returning the push ro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push ro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or the gears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push rod from being broken due to the door closing before the push ro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냉장실 도어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제1냉장실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도어 개방 과정에서 모터의 회전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로드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냉장실 도어가 기준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ing device provided on a first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first refrigerator door.
FIGS. 6 and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during the door opening process.
FIG. 9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sh ro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o a door opening position and the door is opened.
FIG. 10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refrigerator door is opened to a reference ang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냉장실 도어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블럭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ing device provided on a first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0)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11)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inside, and a refrigerator door (12) that is rotatably or slidably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cabinet (11)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상세히,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11)과 냉동실(11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torage room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frigerator (111) and a freezer (112).
상기 냉장실(111)은 냉장실 도어(13)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상기 냉동실(112)은 냉동실 도어(16)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The above refrigerator (111)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refrigerator door (13), and the above freezer (112)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freezer door (16).
또한, 상기 냉장실(11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13)가 회동식 도어일 경우에는, 상기 냉장실 도어(13)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 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14, 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냉장실 도어(13)는 제1냉장실 도어(14)와 제2냉장실 도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frigerator door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or (111) is a swivel door, the refrigerator door (13) may include a pair of doors (14, 15) that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front of the cabinet (11), respectively. That is, the refrigerator door (13) may include a first refrigerator door (14) and a second refrigerator door (15).
상기 냉동실(112)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16)가 회동식 도어일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16)는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도어(17, 18)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freezer door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er (112) is a rotatably-mounted door, the freezer door (16) may include a pair of doors (17, 18) rotatably-mounted to the front left edge and right edge of the cabinet (11), respectively.
또는, 상기 냉동실 도어(16)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냉동실을 개폐하는 서랍식 도어인 경우에는 다수의 냉동실 도어가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freezer door (16) is a drawer-typ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freezer in a sliding manner, multiple freezer doors can be arranged in the up-down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냉장고 도어(12)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작동하는 도어 개방장치(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refrigerator (10)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ing device (25) that operates to open the refrigerator door (12).
이하에서는 냉장고 도어(12) 중 제1냉장실 도어(14)를 도어 개방장치(25)가 자동으로 개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제1냉장실 도어(14) 외에 다른 도어도 아래에서 설명되는 구조 및 방식에 의해서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Hereinafte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among the refrigerator doors (12)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door opening device (25), and other doors in addition to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can also be automatically opened by the structure and method described below.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개방이 필요한 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다수의 냉장실 도어 각각의 개방을 위하여 다수의 냉장실 도어 각각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냉장실 도어가 다수의 도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도어 중 하나 또는 전부에 도어 개방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door opening device (25) may be placed on a door that needs to be opened. For example, a door open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each of a plurality of refrigerator doors to open each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tor doors. Alternatively, when one refrigerator door includes a plurality of doors, a door open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one or all of the plurality of doors.
또한, 냉동실 도어(16)를 개방하기 위하여 냉동실 도어(16)에 도어 개방장치(25)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Additionall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door opening device (25) on the freezer door (16) to open the freezer door (16).
다른 예로서, 상기 캐비닛(11)에 도어 개방장치(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냉장고 도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cabinet (11) may be equipped with a door opening device (25). At this time, the number of door opening devices (25)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refrigerator doors.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가 개시되나, 도어 개방을 위한 사상은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 하나의 저장실과 하나의 도어 만을 구비하는 냉장고 등 종류에 제한없이 다양한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discloses a bottom freezer type refrigerato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cept for door opening can be applied to various refrigerators without limitation in type, such as a top mount type refrigerator,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a refrigerator having only one storage compartment and one door, etc.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는 힌지 어셈블리(30)에 의해서 캐비닛(1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는 회전 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축(32)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축(32)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 및/또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can be connected to the cabinet (11) by a hinge assembly (30).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can be rotated by a hinge shaft (32) providing a center of rotation. The hinge shaft (32) can be provided on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and/or the hinge assembly (30).
상기 냉장고(10)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를 구성하는 푸시 로드(push rod: 도 4의 27참조)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감지부(28)와, 상기 푸시 로드(도 4의 27)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261)의 회전을 감지하는 모터 회전 감지부(290)와, 상기 위치 감지부(28) 및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frigerator (10)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tection unit (28)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push rod (refer to 27 of FIG. 4) constituting the door opening device (25), a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a motor (261) that generates power to operate the push rod (27 of FIG. 4), and a controller (20) for controlling the door opening device (25)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8) and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또한, 상기 냉장고(10)는, 도어가 기준 각도 이상 개방되었음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 개방 감지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를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10) may further include a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for detecting that the door is opened more than a reference angle, and the controller (20) may control the door opening device (25)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상기 컨트롤러(20)에 의한 상기 도어 개방장치(25)의 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control of the door opening device (25) by the above controller (2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냉장고(10)는,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0)는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서 온되는 스위치이거나,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이거나,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하는 센서 등 다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구조 및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The refrigerator (1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50) for inputting a door opening command. The input unit (50) may be a switch that is turned on by a user's touch, a touch screen that receives a user's command, a sensor that detects a user's gesture, etc., and it is to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inputting a door opening comman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2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Below, the door opening device (2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가 제1냉장실 도어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first refrigerator doo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상측부에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frame: 14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41)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서 단열재(미도시)가 수용되는 공간과 상기 도어 개방장치(25)가 수용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door opening device (25) may b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A frame (frame: 141) form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oor opening device (25)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he frame (141) may partition a space in which an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is accommodated and a space in which the door opening device (25)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다른 예로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As another example, the door opening device (25) may be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상기 프레임(141) 내에 수용되는 하우징(housing: 250)과, 상기 하우징(250)에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moter: 261)와, 상기 모터(26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푸시 로드(27)와, 상기 푸시 로드(27)로 상기 모터(26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door opening device (25) may include a housing (housing: 250) accommodated within the frame (141), a motor (motor: 261) installed in the housing (250) and generating driving force, a push rod (27) that operates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61), and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61) to the push rod (27).
상기 하우징(250)은,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제1하우징(251)과, 상기 제1하우징(251)에 결합되는 제2하우징(25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housing (25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first housing (251) and a second housing (252)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251).
상기 제1하우징(251)에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254)가 결합되는 결합부(2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254)는 홀(255)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141)에는 상기 완충부(254)의 홀(255)에 삽입될 수 있는 설치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251) may be provided with a joining part (253) to which a buffer part (254) capable of absorbing shock or vibration is joined. The buffer part (254) may have a hole (255), and the frame (141) may be provided with an installation part (142) that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255) of the buffer part (254).
상기 완충부(254)에 의해서 상기 도어 개방장치(25)가 상기 프레임(141)에 결합됨에 따라서, 상기 모터(261)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 및 동력전달기구의 작동 시 발생하는 진동이 흡수되어 소음이 줄어들 수 있고, 상기 모터(261) 및 동력전달기구의 진동이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s the door opening device (25) is coupled to the frame (141) by the buffer member (254), vibration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motor (261) and vibrations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n be absorbed, thereby reducing noise, and vibrations of the motor (261)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n be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상기 동력전달기구는 하나 이상의 기어(262, 263, 264, 265, 26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may include one or more gears (262, 263, 264, 265, 266).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기구가 상기 모터(261)의 동력을 상기 푸시 로드(27)로 전달할 수 있는 한 기어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 5에는 일 예로 동력전달기구가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f gears as long as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an transmit the power of the motor (261) to the push rod (27), and FIG. 5 illustrates, as an exampl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including a plurality of gears.
상기 푸시 로드(27)는 랙 기어(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272)는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 중 마지막 번째 기어와 맞물릴 수 있다. The above push rod (27) may include a rack gear (272). The above rack gear (272) may mesh with the last gear among the plurality of gears (262, 263, 264, 265, 266).
상기 푸시 로드(27)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상기 랙 기어(272)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푸시 로드(27)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rack gear (272)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that the length of the push rod (27) is reduc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for the push rod (27) to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상기 모터(261)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가 정방향 회전되고, 이에 따라,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의 개방을 위하여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By the unidirectional rotation of the above motor (261), the above multiple gears (262, 263, 264, 265, 266)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push rod (27) can move in the direction of being pulled out from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for opening the door.
반면, 상기 모터(261)의 타 방향 회전에 의해서,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푸시 로드(27)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인입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261)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plurality of gears (262, 263, 264, 265, 266)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push rod (27)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한편, 상기 위치 감지부(28)는, 제1위치 센서(281) 및 제2위치 센서(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센서(281) 및 상기 제2위치 센서(282)는 일 예로 상기 하우징(250)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position detection unit (28) may include a first position sensor (281)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282). The first position sensor (281)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282) may be placed in the housing (250), for example.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27)에는 자석(27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 센서(281) 및 상기 제2위치 센서(282)는 상기 자석(275)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자기감지센서일 수 있다. And, the push rod (27) may be equipped with a magnet (275). The first position sensor (281)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282) may be magnetic detection sensors for detecting the magnetism of the magnet (275).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위치 센서(281)가 상기 자석(275)을 감지할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 또는 상기 제1위치 센서(281)가 상기 자석(275)과 마주볼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를 초기 위치라 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position of the push rod (27) when the first position sensor (281) detects the magnet (275) or the position of the push rod (27) when the first position sensor (281) faces the magnet (275) may be referred to as the initial position.
상기 제2위치 센서(282)가 상기 자석(275)을 감지할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 센서(282)가 상기 자석(275)과 마주볼 때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를 도어 개방 위치(또는 최종 위치)라 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push rod (27) when the second position sensor (282) detects the magnet (275) or the position of the push rod (27) when the second position sensor (282) faces the magnet (275) can be referred to as the door opening position (or final position).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개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can be opened in the process of the push rod (27) mov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본 명세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것은, 상기 도어가 개폐하는 저장실이 상기 냉장고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opening of the "door" means that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or.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각 위치 센서(281. 282)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26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모터(261)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것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261)를 정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20) can control the motor (261)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from each position sensor (281, 282). For example, the controller (20) can rotate the motor (261) in one direction and stop the motor (261)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ush rod (27) has moved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모터(261)가 정지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2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20) can rotate the motor (261)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27)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while the motor (261) is stopped after the push rod (27) has moved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본 실시 예에 의해서, 상기 모터(261)가 정지된 후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상기 모터(2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유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ason why the motor (26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motor (261) has stopped is to ensure that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remains open.
즉,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바로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 자체의 하중,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와 상기 캐비닛(11)의 밀착을 위한 가스켓(미도시)에 구비되는 자석의 자력,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구비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한 자동 닫힘 기구(미도시)에 의한 닫힘력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바로 닫히는 문제가 발생한다. That is, when the push rod (27) moves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an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immediately without maintaining the stopped state,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s immediately closed by at least one of the load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tsel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rovided in the gasket (not shown)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and the cabinet (11), and the closing force of the automatic closing mechanism (not shown) provided in the hinge assembly (30) for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모터(261)가 정지된 후 일정 시간 경과한 후에 상기 모터(2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상기 일정 시간 동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를 쉽게 증가시킬 수 있다.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tor (26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the motor (261) has stopped,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can be maintained in an open state for the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a user can easily manually increase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위치 센서(281) 및 상기 제2위치 센서(282)는 광센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27)에는 홈 또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위치 센서(281, 282)는 홈 또는 돌출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position sensor (281) and the second position sensor (282) may be optical sensors. In addition, the push rod (27)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or a protrusion, and each position sensor (281, 282) may detect the groove or the protrus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configuration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push rod (27) in this embodiment.
한편,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자석(420)과,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420)의 자기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may include a magnet (420) provided in one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and the hinge assembly (30), and a detection sensor (410) provided in the other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and the hinge assembly (30) and detecting the magnetism of the magnet (420).
도 5에는 일 예로 상기 감지센서(410)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배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FIG. 5 illustrates, as an example, the detection sensor (410) being placed on the hinge assembly (30).
상기 감지센서(410)가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감지센서(410)의 조립 및 서비스가 용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를 분리하지 않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30)를 분리하여 상기 감지센서(410)에 접근할 수 있다. When the above detection sensor (410) is provided in the hinge assembly (30), the assembly and service of the detection sensor (410) can be easy. That is, the detection sensor (410) can be accessed by separating the hinge assembly (30) without separating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상기 감지센서(410) 및 상기 자석(420)은 상기 힌지축(3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센서(410)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자석(420)의 자기를 직접 감지할 수 있어,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기준 각도 만큼 회전한 것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The above detection sensor (410) and the magnet (420)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hinge axis (32). Therefore, the detection sensor (410) can directly detect the magnetism of the magnet (420)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hereby accurately detecting that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has rotated by a reference angle.
또한, 상기 감지센서(410) 및 상기 자석(420)이 상기 힌지축(32)과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주변의 다른 구성과 간섭없이 도어 개방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detection sensor (410) and the magnet (420) are positioned adjacent to the hinge axis (32), the door opening can be detected without interference with other surrounding structures.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자석(420)이 상기 감지센서(410)의 하방에 위치되면, 상기 감지센서(410)가 상기 자석(420)의 자기를 감지하게 되고,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261)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magnet (420) is positioned below the detection sensor (410) during the opening process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he detection sensor (410) detects the magnetism of the magnet (420), and the controller (20) can control the motor (261) so that the push rod (27)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한편,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는 상기 모터(261)의 축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모터(261)의 축에는 회전판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에는 다수의 슬릿이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can detect the rotation of the shaft of the motor (261). For example, a rotating plate can be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261). A plurality of slits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rotating plate.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는 일 예로 상기 회전판의 일측방에 위치되는 발광부와 회전판의 타측방에 위치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may include, for example, a light emitting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turntable and a light receiving unit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urntable.
따라서, 상기 모터(261)의 회전 시 회전판이 함께 회전되면,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는 상기 회전판이 회전될 때 슬릿의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는 슬릿을 감지할 때마나 펄스를 출력하고,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출력되는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rpm)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푸시 로드(27)의 이동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turntable rotates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motor (261),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can detect the number of slits when the turntable rotates. That is,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outputs a pulse every time it detects a slit, and the controller (20) can determine the rotation speed (rpm) of the motor (261) based on the pulse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and determine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ush rod (27).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Below,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8은 도어 개방 과정에서 모터의 회전 속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로드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냉장실 도어가 기준 각도 만큼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S. 6 and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door op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rotation speed of a motor during a door opening process, FIG. 9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sh r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to a door opening position and the door is opened, and FIG. 10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refrigerator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by a reference angle.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0)의 전원이 온된다(S1). Referring to Figures 1 to 9, the power of the refrigerator (10) is turned on (S1).
상기 냉장고(10)의 전원이 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 When the power of the refrigerator (10) is turned on,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push rod (27) is in the initial position (S2).
단계 S2에서 판단 결과,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모터(261)를 작동시킨다(S3). In step S2,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ush rod (27) is not located at the initial position, the controller (20) operates the motor (261) to move the push rod (27) to the initial position (S3).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위치 센서(281)가 상기 푸시 로드(27)의 자석(275)을 감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When the above push rod (27)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 the first position sensor (281) is detecting the magnet (275) of the push rod (27).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20)는 입력부(50)를 통하여 도어 개방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 With the above push rod (27) positioned in the initial position,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a door opening signal has bee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0) (S4).
단계 S4에서 판단 결과, 도어 개방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푸시 로드(27)를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261)를 제어한다(S5). In step S4, if it is determined that a door opening signal has been input, the controller (20) controls the motor (261) to rotate in one direction to move the push rod (27)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S5).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다수의 기어(262, 263, 264, 265, 266)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캐비닛(11)을 밀고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회전하게 된다. When the above motor (261)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above multiple gears (262, 263, 264, 265, 266)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causing the push rod (27) to push the cabinet (11), and in reaction thereto,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o rotate.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외부 부하가 작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 While the above motor (261)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an external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closes (S6).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261)가 회전되면,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펄스가 출력된다. 이때, 외부 부하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 작용하면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출력되는 단위 시간 당 펄스의 개수가 줄어들게 된다. Specifically, when the motor (261) rotates, a pulse is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At this time, when an external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decreases,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pulses per unit time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decreases.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0)는 단위 시간 동안 출력되는 펄스의 개수가 제1부하 감지 개수 이하이면, 상기 외부 부하가 상기 제1냉장고 도어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the external load acts as the first refrigerator door if the number of pulses output per unit tim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load detection number.
다만, 상기 모터(261)의 작동 초기에는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출력되는 단위 시간 당 펄스의 개수가 제1 부하 감지 개수 이하일 수 있으므로, 외부 부하의 감지 여부 판단은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작동 하고 기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number of pulses per unit time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load detection number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motor (261),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an external load is detected may be performed after the motor (261) operates in one direction and a reference time has elapsed.
만약,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단위 시간 동안 출력되는 펄스의 개수가 제1부하 감지 개수 이하인 상태에서 상기 모터(261)가 계속 동작하는 경우, 상기 푸시 로드 및/또는 기어가 손상되거나 상기 모터(261)의 과부하에 의해서 상기 모터(261)가 손상될 수 있다. If the motor (261) continues to operate while the number of pulses output per unit time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load detection number, the push rod and/or gear may be damaged or the motor (261) may be damaged due to an overload of the motor (261).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외부 부하가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2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4).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he controller (20) rotates the motor (261)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27)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S14).
한편, 단계 S6에서 판단 결과, 외부 부하가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도어 개방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 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 that no external load has been detected,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has detected the door opening (S7).
본 명세서에서,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도어 개방을 감지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를 회전시키는 경우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detects the door opening while the motor (261) rotates in one direction, it means that the user rotates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opens.
이때,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도어 개방을 감지하였을 때의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θ2)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의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θ1) 보다 크다. At this time, the opening angle (θ2)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when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detects the door opening is greater than the opening angle (θ1)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when the push rod (27) moves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개방을 위하여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기준 각도 이상 회전되면,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도어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s rotated by more than the reference angle during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can detect the door opening.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는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부터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돌출 길이가 증가된다. 만약,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에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가 증가된 후에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닫히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캐비닛(11)과 충돌하게 되고, 상기 푸시 로드(27)가 손상되거나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구성하는 기어 들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When the motor (261) abov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ush rod (27) from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ncreases. I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s closed after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ncreases while the push rod (27) protrudes from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he push rod (27) collides with the cabinet (11),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ush rod (27) is damaged or the gears constituti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are damaged.
이때,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가 클수록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닫힐 때 상기 푸시 로드(27)로 가해지는 충격력이 크다. 또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부터의 상기 푸시 로드(27)의 돌출 길이가 길수록 상기 푸시 로드(27)의 파손 가능성이 증가된다. At this time, the larger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he greater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push rod (27) when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s closed. In addition, the longer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push rod (27) from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push rod (27).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열린 후 닫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푸시 로드(27) 및/또는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구성하는 기어 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2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4).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push rod (27) and/or the gears constituting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from being damaged by the user opening and then closing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while the motor (261) is rotating in one direction, when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detects that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ler (20) rotates the motor (261)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27)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S14).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동작하여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도어 개방을 감지한 경우,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기 전이라도 상기 모터(2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detects that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motor (261) oper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push rod (27)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push rod (27)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rotating the motor (261) in the other direction even before the push rod (27) moves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따라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상기 기준 각도 이상으로 회전된 후에 다시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푸시 로드(27)와 상기 캐비닛(11)의 충돌에 의한 상기 푸시 로드 및 상기 기어 들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push rod (27) moves to the initial position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s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after being rotated by the reference angle or more, damage to the push rod (27) and the gears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push rod (27) and the cabinet (11) can be prevented.
한편, 단계 S7에서 판단 결과,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에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 Meanwhile, if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does not detect the door opening while the motor (261) rotates in one direction as a result of the judgment in step S7, the controller (20) can determine whether the push rod (27) has reached the door opening position (S8).
즉,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위치 센서(281)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자석(275)이 미감지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 로드(27)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제2위치 센서(282)에서 상기 푸시 로드(27)의 자석(275)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motor (261) rotates in one direction while the push rod (27)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 the push rod (27) moves, and during this process, the magnet (275) of the push rod (27) is not detected by the first position sensor (281). Then, when the magnet (275) of the push rod (27) is detected by the second position sensor (282) during the movement of the push rod (27), the controller (20) can determine that the push rod (27) has reached the door opening position.
단계 S8에서 판단 결과,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로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모터(261)를 정지시킨다(S9). In step S8,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ush rod (27) has reached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controller (20) stops the motor (261) (S9).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가 일정한 경우,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여 상기 모터(261)가 정지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부드럽게 정지하지 못하고 덜컹거리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감성 불만이 야기될 수 있다. When the motor (261) rotates in one direction and the push rod (27)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if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is constant,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does not stop smoothly and rattles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push rod (27) reaches the door opening position and the motor (261) stops. In this case, the user's emotional dissatisfaction may be caused.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모터(26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가 가변되도록 한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motor (26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is varied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the push rod (27)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감지되는 펄스 개수가 제1기준 개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261)가 제1기준 속도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261)를 제어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ler (20) can control the motor (261) so that the motor (261) rotates at a first reference speed until the number of pulses detected by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reaches a first reference number.
그리고,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감지되는 펄스 개수가 제1기준 개수에 도달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감지되는 펄스 개수가 제2기준 개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도록 상기 모터(261)를 제어할 수 있다. And, when the number of pulses detected by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reaches the first reference number, the controller (20) can control the motor (261)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decreases until the number of pulses detected by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reaches the second reference number.
이때, 상기 컨트롤러(261)는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가 선형적으로 또는 비선형적으로 줄어들도록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61) can control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decreases linearly or nonlinearly.
그리고,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가 제2기준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컨트롤러(261)는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가 제2기준 속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모터(261)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261)가 제2기준 속도로 유지되는 중에 상기 제2위치 센서(182)가 상기 푸시 로드(27)의 자석(275)을 감지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모터(261)를 정지시킬 수 있다. And,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reaches the second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261) can control the motor (261)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is maintained at the second reference speed. And, when the second position sensor (182) detects the magnet (275) of the push rod (27) while the motor (261) is maintained at the second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20) can stop the motor (261).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푸시 로드(20)가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푸시 로드(20)의 이동 속도가 줄어들고, 속도가 줄어든 상태에서 도어 개방 위치에서 정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과정에서 덜컹거리는 현상이 방지되고,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부드럽게 정지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moving speed of the push rod (20) decreases during the process of mov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door opening position and stops at the door opening position in a state of decreased speed, a rattling phenomenon during the opening process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s prevented, and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can be stopped smoothly.
이때,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출력되는 펄스 개수가 제1기준 개수에 도달하는 지점은, 푸시 로드의 초기 위치와 도어 개방 위치 간의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과 도어 개방 위치 사이의 일 지점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oint at which the number of pulses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reaches the first reference number may be a point between the point that bis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ush rod and the door opening position and the door opening position.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가 빠를수록 도어 개방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As the rotation speed of the above motor (261) increases, the door opening time can be reduced.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출력되는 펄스 개수가 제1기준 개수에 도달하는 지점이, 푸시 로드의 초기 위치와 도어 개방 위치 간의 거리를 이등분하는 지점과 도어 개방 위치 사이의 일 지점인 경우, 상기 모터(261)의 고속 회전 시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어 도어 개방 시간이 증가되는 것이 최소화되면서도 도어 개방 시 도어의 덜컹거림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int at which the number of pulses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reaches the first reference number is a point between the point that bisects the distance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ush rod and the door opening position and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high-speed rotation time of the motor (261) can be sufficiently secured, so that an increase in the door opening time can be minimized, while preventing the door from rattling when opening the door.
한편,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로 도달한 경우,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배면(14c)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냉장실 도어(15)의 전면(15a)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배면(14c)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냉장실 도어(15)의 전면(15a)의 일측 단부 사이에 일정 거리의 갭이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push rod (27) reaches the door opening position, at least a part of the back surface (14c)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can be positioned forward of the front surface (15a) of the second refrigerator door (15), and accordingly, a gap of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back surface (14c)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and one end of the front surface (15a) of the second refrigerator door (15).
상기 갭은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에, 사용자의 팔꿈치 또는 발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The above gap can be set to a level where the user's elbow or foot can be inserted when both hands of the user are not free.
따라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일정 각도(θ1)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갭으로 팔꿈치 또는 발을 삽입하여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를 수동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Therefore,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can be manually increased by inserting an elbow or foot into the gap while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s rotated at a certain angle (θ1).
한편,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로 도달되어 상기 모터(261)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모터(261)로 전압을 공급한다(S10). Meanwhile, when the push rod (27) reaches the door opening position and the motor (261) is stopped, the controller (20) supplies voltage to the motor (261) to keep the push rod (27) stopped at the door opening position (S1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 자체의 하중,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와 상기 캐비닛(11)의 밀착을 위한 가스켓(미도시)에 구비되는 자석의 자력, 상기 힌지 어셈블리(30)에 구비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기 위한 자동 닫힘 기구(미도시)에 의해서 발생되는 닫힘력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를 향하여 밀려 상기 모터(261)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ush rod (27) may be pushed toward the initial position by one or more of the load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tsel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provided in the gasket (not shown) for sealing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and the cabinet (11), and the closing force generated by the automatic closing mechanism (not shown) provided in the hinge assembly (30) for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thereby causing the motor (261) to rotate in another direction.
그러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모터(261)로 전압을 공급하므로, 상기 푸시 로드(27)가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모터(261)의 타 방향 회전이 방지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voltage is supplied to the motor (261) to keep the push rod (27) stationary in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push rod (27) does not move and remains stationary, thereby preventing the motor (261) from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다만, 상기 모터(261)로 공급되는 전압의 공급 주기는, 상기 푸시 로드(27)로 작용하는 외력의 크기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However, the supply cycle of the voltage supplied to the motor (261) can be set based on the size of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ush rod (27).
즉, 상기 모터(261)로 전압이 공급되어도 상기 푸시 로드(27)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해서 상기 모터(261)의 회전축은 회전되지 않고, 상기 푸시 로드(27)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261)로 전압이 공급되어도 상기 회전 감지부(290)에서는 펄스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That is, even if voltage is supplied to the motor (261), the rotational axis of the motor (261) does not rotate due to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push rod (27), and the push rod (27) can be maintained in a stopped state. Accordingly, even if voltage is supplied to the motor (261), no pulse is output from the rotation detection unit (29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는 상기 모터(261)로 공급되는 전압의 듀티(duty)에 의해서 가변될 수 있다. 일정 크기의 전압이 주기적으로 상기 모터(261)로 공급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261)로 공급되는 전압의 공급 주기가 짧을수록(또는 듀티가 클 수록) 상기 모터(261)의 회전 속도가 빠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can be varied by the duty of the voltage supplied to the motor (261). A voltage of a certain size can be supplied periodically to the motor (261), and the shorter the supply cycle of the voltage supplied to the motor (261) (or the larger the duty), the faster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261).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모터(261)가 제2기준 속도를 유지할 때의 상기 모터(261)로 공급되는 전압의 공급 주기 보다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의 상기 모터(261)로 공급되는 전압의 공급 주기가 길다. In this embodiment, the supply cycle of the voltage supplied to the motor (261) when the push rod (27) reaches the door opening position is longer than the supply cycle of the voltage supplied to the motor (261) when the motor (261) maintains the second reference speed.
상기 모터(261)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컨트롤러(20)는 제1냉장실 도어(14)가 닫히는 방향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작용하는 외부 부하가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 With the above motor (261) stopped,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an external load acting on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n the direction of closing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has been detected (S11).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261)가 정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펄스가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외부 부하가 작용하게 되면, 상기 모터(261)가 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290)에서 펄스가 출력된다. Specifically, when the motor (261) is stopped, no pulse is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However, when an external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the motor (261) rotates in a different direction, so a pulse is output from th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290).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0)는 단위 시간 동안 출력되는 펄스의 개수가 제2부하 감지 개수 이상이면, 외부 부하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모터(261)가 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강제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를 닫는 경우, 상기 푸시 로드 및/또는 기어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Accordingly,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that an external load is acting on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f the number of pulses output during a unit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load detection number. If the user forcibly closes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while the motor (261) is stopped, there is a risk that the push rod and/or gear may be damaged.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푸시 로드가 도어 개방 위치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외부 부하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2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14).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load is applied to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while the push rod is stopped at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controller (20) rotates the motor (261)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27)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S14).
한편, 단계 S11에서 판단 결과, 외부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도어 개방을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Meanwhil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 that no external load is applied, the controller (20) determines whether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has detected the door opening (S12).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도어 개방을 감지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이다. When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detects the door opening while the push rod (27) has reached the door opening position, it means that the user increases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의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θ1)는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을 감지할 때의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θ2) 보다 작다.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angle (θ1)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when the push rod (27) reaches the door opening position is smaller than the opening angle (θ2)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when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detects the opening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로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의 개방 각도가 증가되는 경우,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도어 개방을 감지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ncreases while the push rod (27) reaches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detects the door opening.
단계 S12에서 판단 결과,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가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2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S1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has detected the opening of the door, the controller (20) can rotate the motor (261)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27)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S12).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에서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냉장실 도어(14)가 상기 기준 각도 이상으로 회전된 후에 다시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상기 푸시 로드(27) 및/또는 상기 기어 들이 손상될 수 있다. Even if the first refrigerator door (14) is rotated by more than the reference angle while the push rod (27) is stopped at the door opening position and then rotated in the closing direction again, the push rod (27) and/or the gears may be damaged.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푸시 로드(27)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라도,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에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261)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푸시 로드(27) 및/또는 상기 기어 들이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before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passed while the push rod (27) is positioned at the door opening position, if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determines that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ler (20) rotates the motor (261) in the other direction so that the push rod (27)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ush rod (27) and/or the gears.
단계 S12에서 판단 결과, 상기 도어 개방 감지부(40)에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후 또는 상기 모터(261)가 정지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2 that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40) has not detected the door opening, the controller (20) can determine whether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passed after the push rod (27) has reached the door opening position or the motor (261) has stopped (S13).
상기 푸시 로드(27)가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한 후 일정 시간 경과되었으면,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모터(261)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모터(261)를 제어할 수 있다(S14). When a certain amount of time has passed since the push rod (27) reached the door opening position, the controller (20) can control the motor (261) to rotate in the other direction to return the push rod (27) to the initial position (S14).
상기 모터(261)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컨트롤러(20)는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 While the above motor (261) is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controller (20) can determine whether the push rod (27) has reached the initial position (S15).
상기 푸시 로드(27)가 초기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20)는 모터(261)를 정지시킬 수 있다(S16).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ove push rod (27) has reached the initial position, the controller (20) can stop the motor (261) (S16).
위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 개방 감지부가 자기센서와 자석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도어 개방 감지부가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is described as including a magnetic sensor and a magnet, but alternatively, the door opening detection unit may include an optical sensor.
일 예로 상기 광센서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와 상기 제1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발광부와 다른 하나에 구비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냉장실 도어가 기준 각도 만큼 회전되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수광부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로 광이 도달하면 상기 푸시 로드가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ght sensor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one of the hinge assembly and the first refrigerator door and a light receiv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and when the first refrigerator door is rotated by a reference angl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may reach the light receiving unit. In addition, when the light reaches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tor so that the push rod may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또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와 제1냉장실 도어 중 어느 하나에 발광부와 수광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반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냉장실 도어가 기준 각도 만큼 회전되면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판에 의해서 반사되어 수광부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광부로 광이 도달하면 상기 컨트롤러가 푸시 로드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one of the hinge assembly and the first refrigerator door may be provid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other may be provided with a reflector. Then, when the first refrigerator door is rotated by a reference angl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reflected by the reflector to reach the light receiving unit. Then, when the light reaches the light receiving uni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tor so that the push ro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또한, 위의 실시 예에서는 위치 감지부를 이용하여 푸시 로드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모터의 작동 시간을 기초로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을 위하여 모터가 작동하고 제1기준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모터를 정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시 로드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위하여 모터가 작동하고 제2기준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push rod was detected using the position detection unit and the motor was controlled based on this, but unlike this, the operation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operating time of the motor. For example, the motor can be stopped when the motor is operated to open the door and the first reference time has elapsed. In addition, the motor can be stopped when the motor is operated to return the push rod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has elap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combined to operate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as one or more.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캐비닛 12: 냉장고 도어
20: 컨트롤러 25: 도어 개방장치
27: 푸시 로드 28: 위치 감지부
40: 도어 개방 감지부 261: 모터
290: 모터 회전 감지부11: Cabinet 12: Refrigerator Door
20: Controller 25: Door opener
27: Push rod 28: Position sensor
40: Door opening detection unit 261: Motor
290: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Claims (20)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푸시 로드;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모터 회전 감지부;
상기 푸시 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 및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회전 속도 보다 줄어든 것이 감지되면,
상기 푸시 로드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냉장고. A cabinet in which storage space is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bove storage space;
A push rod that moves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to open the door;
A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move the push ro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r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rotation status of the above motor;
A posi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above push rod; and
To open the door, the above push rod
While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f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has decreased below the set rotation speed,
To return the above push rod to the first positio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bove motor.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중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가 제1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다가
제 1시간 이후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 속도 보다 낮은 제2회전 속도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1,
While the above push rod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above controller,
Controlling the motor so that the motor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first hour,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controlled to a second rotation speed low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는,
다수개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 방향에 배치된 발광부와,
상기 회전판의 타측 방향에 배치된 수광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판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릿이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사이를 통과할 때마다,
펄스 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A rotating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lits formed thereon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A light emitting unit arranged on one side of the above turntable,
Including a light receiving unit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above turntable,
Each time the slit passes between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by the rotation of the above turntable,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outputting a pulse signal.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저장공간을 개방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제 2 위치로
상기 푸시 로드를 이동하기 위해,
상기 모터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상기 푸시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모터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1,
In the first position, wherein the said door maintains the said storage space clos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above door maintains the above storage space open.
To move the above push rod,
The above motor is controlled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In order to move the push ro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is controlled to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상기 모터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 후 제2시간 이후에,
상기 모터 회전 속도가 줄어든 것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외부 부하가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모터를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푸시 로드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4,
After the above motor starts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after the second time,
When the above motor rotation speed is detected to have decreased,
It is judged that an external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ove door closes.
By rotating the above motor in the second direction,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push rod to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펄스 신호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4,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outputs a pulse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otor,
The above controller determines the number of pulse signals output per unit time.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detect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제3시간 동안, 상기 모터에 전압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4,
When the above push rod ha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stopped,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voltage is supplied to the motor during the third hour.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3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를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7,
When the above push rod ha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stopped,
After the above 3rd hour has elapsed,
The above controller causes the push rod to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motor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에서 펄스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외부 부하가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푸시 로드를 상기 제 1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모터를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6,
The above push rod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stopped.
When a pulse signal is detected from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It is judged that an external load is appli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bove door closes.
To return the above push rod to the first position,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motor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푸시 로드가 장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감지부는,
상기 푸시 로드에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제1위치센서 및 제2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the above push rod is mounted,
The above position detection unit,
A magnet provided on the above push rod,
Equipped with the above housing,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position sensor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magnetism of the magnet.
상기 제1위치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의 상기 제 1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제2위치센서는 상기 푸시 로드의 상기 제 2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Article 10,
The above first position sensor detects the first position of the push rod,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osition sensor detects the second position of the push rod.
상기 저장공간은,
좌측 저장영역과 우측 저장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좌측 저장영역을 개폐하는 좌측 도어와 상기 우측 저장영역을 개폐하는 우측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푸시 로드에 의해 상기 우측 도어가 개방되어
상기 좌측 도어의 전면보다 상기 우측 도어의 후면이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푸시 로드가 이동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paragraph 4,
The above storage space is,
Contains a left storage area and a right storage area,
The above door
It includes a lef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eft storage area and a right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ight storage area.
The second position above is,
The right door is opened by the above push rod.
So that the rear of the right door is positioned further forward than the front of the left do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push rod is moved to a certain position.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한 도어 개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스위치, 터치 스크린, 감지 센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n input section for inputting a door opening command for opening the above do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unit is one selected from a switch, a touch screen, and a detection sensor.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를 감지하는 도어개방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가 설정 각도이상으로 개방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Article 13,
It additionally includes a door opening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f it is detected that the opening angle of the above door is opened more than the set angle,
The above controller causes the push rod to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above motor.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초기 위치에서 도어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푸시 로드와, 상기 푸시 로드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하는 도어 개방장치;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부에서 도어 개방 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모터가 제1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다가
제1시간 이후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 속도 보다 낮은 제2회전 속도가 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하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모터에 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Cabinet with storage space form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bove storage space;
An input section for entering an opening command for the above door;
A door opening device having a push rod that can move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door opening position to open the door, and a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the push rod; and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bove motor;
The above controller,
If it is determined that a door opening signal has been input from the above input section,
Controlling the motor so that the motor rotates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fter the first hour,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reduc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becomes a second rotation speed lower than the first rotation speed,
When the above push rod reaches the above door opening position,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voltage to the moto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1회전 속도에서 상기 제2회전 속도로 선형적 또는 비선형적으로 줄어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Article 15,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tor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linearly or nonlinearly decreases from the first rotation speed to the second rotation speed.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2회전 속도에 도달하면,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도어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상기 제2회전 속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Article 15,
The above controller,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above motor reaches the second rotation speed,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tor is controll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maintained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until the push rod reaches the door opening position.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구간의 길이가
상기 제1회전 속도에서 상기 제2회전 속도로 감소하는 구간의 길이 보다 짧게 설정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Article 15,
The above controller,
The length of the section rotating at the above second rotation speed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tion decreasing from the first rotation speed to the second rotation speed.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above motor.
상기 모터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모터 회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 회전 감지부는,
상기 모터의 회전 과정에서 펄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펄스 신호 개수를 판단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In Article 15,
Further comprising a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rotation of the above motor,
The above motor rotation detection unit,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above motor, a pulse signal is output,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er detect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pulse signals output per unit time.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푸시 로드가 상기 초기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냉장고. In Article 15,
After the above period of time has elapsed,
A refrigerator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motor so that the push ro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81727A KR102773065B1 (en) | 2015-07-30 | 2023-12-14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40059686A KR20240072974A (en) | 2015-07-30 | 2024-05-07 | Home appliance,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162A KR102421650B1 (en) | 2015-07-30 | 2015-07-30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20082262A KR102616258B1 (en) | 2015-07-30 | 2022-07-05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30181727A KR102773065B1 (en) | 2015-07-30 | 2023-12-14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2262A Division KR102616258B1 (en) | 2015-07-30 | 2022-07-05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59686A Division KR20240072974A (en) | 2015-07-30 | 2024-05-07 | Home appliance,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4126A KR20240004126A (en) | 2024-01-11 |
KR102773065B1 true KR102773065B1 (en) | 2025-02-27 |
Family
ID=5815506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8162A Active KR102421650B1 (en) | 2015-07-30 | 2015-07-30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20082262A Active KR102616258B1 (en) | 2015-07-30 | 2022-07-05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30181727A Active KR102773065B1 (en) | 2015-07-30 | 2023-12-14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40059686A Pending KR20240072974A (en) | 2015-07-30 | 2024-05-07 | Home appliance,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8162A Active KR102421650B1 (en) | 2015-07-30 | 2015-07-30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20082262A Active KR102616258B1 (en) | 2015-07-30 | 2022-07-05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59686A Pending KR20240072974A (en) | 2015-07-30 | 2024-05-07 | Home appliance,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1024216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3923B1 (en) * | 2017-04-24 | 2022-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102425367B1 (en) * | 2017-04-26 | 2022-07-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
KR102530915B1 (en) * | 2017-11-27 | 2023-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orlling the same |
KR102530693B1 (en) * | 2017-11-27 | 2023-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orlling the same |
CN110274432B (en) * | 2019-06-14 | 2024-10-29 | 无锡海达尔精密滑轨股份有限公司 | Control system of electric sliding rail of refrigerator drawer |
CN112212593B (en) * | 2019-07-12 | 2022-02-11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A kind of refrigerator |
CN112212592B (en) * | 2019-07-12 | 2022-02-15 |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 A kind of refrigerator |
KR20210157160A (en) | 2020-06-19 | 2021-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N114688790B (en) * | 2020-12-31 | 2023-06-16 |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 Control method of refrigerator |
KR20230004035A (en) | 2021-06-30 | 2023-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40053306A (en) * | 2022-10-17 | 2024-04-24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55437A (en) | 2013-09-13 | 2015-03-23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Opening device and equipment provided with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19924A1 (en) * | 2008-03-26 | 2009-10-01 | Lg Electronics Inc. | Refrigerator,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a drawer of the refrigerator |
KR101443639B1 (en) * | 2008-08-20 | 2014-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enser of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equipped with same |
KR20100064022A (en) * | 2008-12-04 | 2010-06-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5
- 2015-07-30 KR KR1020150108162A patent/KR102421650B1/en active Active
-
2022
- 2022-07-05 KR KR1020220082262A patent/KR102616258B1/en active Active
-
2023
- 2023-12-14 KR KR1020230181727A patent/KR102773065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5-07 KR KR1020240059686A patent/KR20240072974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55437A (en) | 2013-09-13 | 2015-03-23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Opening device and equipment provided with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4564A (en) | 2017-02-08 |
KR102616258B1 (en) | 2023-12-21 |
KR20240072974A (en) | 2024-05-24 |
KR20220100832A (en) | 2022-07-18 |
KR20240004126A (en) | 2024-01-11 |
KR102421650B1 (en) | 2022-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73065B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11041671B2 (en) | Refrigerator | |
EP3489599B1 (en) | Refrigerator | |
US10927587B2 (en) | Refrigerator | |
KR102403037B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530693B1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orlling the same | |
US20110087376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refrigerator | |
KR20200045798A (en) | Refrigerator possible with open the door | |
KR101739723B1 (en) | apparatus for auto opening and closing of draw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2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20705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2008226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0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