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3014B1 - 빔인출기 - Google Patents

빔인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3014B1
KR102773014B1 KR1020220091226A KR20220091226A KR102773014B1 KR 102773014 B1 KR102773014 B1 KR 102773014B1 KR 1020220091226 A KR1020220091226 A KR 1020220091226A KR 20220091226 A KR20220091226 A KR 20220091226A KR 102773014 B1 KR102773014 B1 KR 102773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base
cylinder
cylinders
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3545A (ko
Inventor
김나영
Original Assignee
(주)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하 filed Critical (주)도하
Priority to KR1020220091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3014B1/ko
Publication of KR2024001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3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30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근입된 에이치빔을 인출하는 빔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 인출을 완료한 빔인출기를 다음 작업위치로 쉽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빔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빔인출기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좌우 승하강 실린더(20)와, 상기 좌우 승하강 실린더의 측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의 단부에 각각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가압판(32)을 구비한 회전식 홀더(30)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승강 발판(100)과, 각 승강 발판에 독립적으로 승강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승강유닛(2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빔인출기{Beam extractor}
본 발명은 지중에 근입된 에이치빔을 인출하는 빔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상태에 상관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된 빔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공사에서 터파기 공사시 토압에 의해 흙벽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벽을 설치함과 아울러 지하수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차수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흙막이 및 차수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법으로는 복수의 에이치빔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인접한 에이치빔 사이에 목재로 된 토류판을 삽입하여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한 후 공간이 형성된 흙막이 구조물의 뒤편에 흙을 메워 지반을 안정화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에이치빔은 고가의 장비이며 임시로 설치되는 구조물이므로, 지하 구조물을 구축하는 공사가 완료되면 지중에 근입된 상기 에이치빔을 인출하여 회수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에이치빔은 지하 깊이 박혀 있어 인력으로 뽑을 수 없기 때문에 통상 유압식 실린더를 사용하여 강한 상승 압력으로 지중에 근입된 에이치빔을 인출하는 인출기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빔인출기의 사용상태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빔인출기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좌우 승하강 실린더(20)와, 좌우 승하강 실린더(20)의 상부에서 에이치빔(H)을 향해 각각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회전식 홀더(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식 홀더(30)는 좌우 승하강 실린더(20)의 측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로드의 단부에 각각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가압판(3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좌우 가압판(32)을 에이치빔(H)의 양면에 밀착되게 가압한 상태에서 좌우 승하강 실린더(20)의 로드를 인출시키면 회전식 홀더의 실린더(31)가 상승하면서 에이치빔(H)이 지중으로부터 인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이치빔 인출기는 지면이 기울어진 경우에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10)가 지면을 따라 기울어지면서 에이치빔(H)을 원활하게 인출시킬 수 없게 된다.
이럴 경우, 현장에서는 베이스(10) 하부에 받침편을 삽입하여 베이스(10)의 수평을 맞추게 되는데, 작업 현장의 특성상 지면이 고르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라서 각 부위마다 경사도가 다르기 때문에 받침편을 이용하여 베이스(10)를 수평으로 맞추기가 매우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받침편이 설치되는 지면을 평탄화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는 번거로움도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인출기가 고중량이므로 베이스(10)를 수평으로 맞추는 과정에서 큰 인명사고가 종종 발생하는바,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이치빔 인출기는 인출 작업이 종료 된 후 다음 작업을 위하여 이동하여야 하지만 고중량인 관계로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동원하여 매달아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작업속도가 느려지고 크레인에 매달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다양한 안전사고가 종종 발생하는바,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86352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베이스의 수평 맞춤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중장비를 동원하지 않고 빔인출기를 다음 작업위치로 쉽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빔인출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빔인출기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좌우 승하강 실린더와, 상기 좌우 승하강 실린더의 측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의 단부에 각각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가압판을 구비한 회전식 홀더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승강 발판과, 각 승강 발판에 독립적으로 승강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승강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베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발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로드를 가지면서 각 승강 발판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복수의 수직실린더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판이 발판과 접촉하고 있는 지면의 기울기에 따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회동하면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실린더의 로드와 발판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볼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발판의 상부에는 상기 볼 부재를 감싸는 하우징이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상기 볼부재와 하우징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의 전단에 좌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제1실린더와, 베이스 전단에 우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제2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의 후단에 좌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제3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의 후단에 우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제4실린더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실린더 내지 제4실린더의 로드 단부 마다 수직하게 결합된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바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 내지 제4실린더는 각각 빔인출기의 베이스 상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승강실린더들의 로드 단부에는 해당 바퀴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유닛들은 유,무선을 통해 연결된 컨트롤러를 통해 구동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빔인출기는 베이스의 하부에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승강 발판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지면과 베이스 사이에 받침편을 끼워 넣지 않고도 베이스를 쉽고 간편하게 수평 맞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발판과 접촉하고 있는 지면의 경사 상태에 따라 발판이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각도가 변경되므로 종래와 같이 발판과 접촉하는 지면을 평탄화시키는 선행작업 없이도 상기 베이스를 수평 맞춤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베이스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빔인출기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바퀴를 구비하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중장비를 동원하지 않고도 빔인출기를 다음 작업위치로 쉽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빔인출기의 사용상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빔인출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빔인출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빔인출기가 이동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구동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빔인출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빔인출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발판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요부확대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빔인출기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 상에 설치된 좌우 승하강 실린더(20)와, 회전식 홀더(30)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회전식 홀더(30)는 상기 좌우 승하강 실린더(20)의 측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실린더(31)와, 상기 실린더(31)의 로드의 단부에 각각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가압판(3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와 좌우 승하강 실린더(20)와 회전식 홀더(30)는 종래 빔인출기를 구성하는 베이스(10)와 좌우 승하강 실린더와 회전식 홀더와 대동소이 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는 복수의 승강발판(100)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발판(100)은 빔인출기 전체의 무게를 지탱해야 하므로 강도가 우수한 스틸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발판(100)이 빔인출기 전체의 무게를 균형있게 분산하여 지탱할 수 있도록 베이스(10)의 좌우측 전단과 후단에 각각 총 4개소에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나, 상기 승강발판(100)의 설치 위치와 개수를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베이스(10) 상에는 상기 승강발판(100)에 승강력을 부여하는 복수의 승강유닛이 설치된다.
상기 승강유닛은 각 승강발판(100)이 독립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각 승강발판(100)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승강유닛은 각 승강발판(100)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10) 상에 설치된 복수의 수직실린더(200)일 수 있다. 상기 수직실린더(200)의 로드(210)는 베이스(1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승강발판(100)의 상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수직실린더(200)로부터 로드(210)가 인출되면 해당 승강발판(100)이 베이스(1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면서 지면에 놓여진 베이스(10)의 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발판(100)이 승강발판(100)과 접촉하고 있는 지면의 경사에 따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회동하면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실린더(200)의 로드(210)와 승강발판(100)은 유니버셜조인트 또는 볼조인트와 같은 회동가능한 연결부재(300)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300)는 상기 로드(210)의 단부에 결합된 볼 부재(310)와, 상기 승강발판(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볼 부재(310)를 감싸는 하우징(3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20)의 저면에는 상기 볼 부재(310)와 하우징(320)이 삽입되는 홈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발판(100)이 설치되면, 작업현장에서 지면이 기울어져 있거나 지면의 상태가 불규칙하여 베이스(10)가 수평되게 놓여지지 않더라고 수직실린더(200)를 동작시켜 각 승강발판(100)들을 지면의 상태에 따라 독립적으로 승강시켜 가면서 쉽고 간편하면서 정밀하고 안전하게 베이스(10)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승강발판(100)은 승강발판(100)과 접촉하는 지면의 경사 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해당 지면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 안정적으로 밀착되므로 승강발판(100)과 접촉하는 지면을 평탄화시키는 선행작업 없이도 상기 베이스(10)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평 맞춤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빔인출기의 베이스(10)상에는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와, 상기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에 결합된 승강실린더(900)와 상기 승강실린더(900)에 결합된 바퀴(950)가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바퀴(950)는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후 또는 좌우에 위치한 한 쌍의 바퀴들(950,950)을 트랙으로 연결하여 무한궤도 구동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실린더(500)는 베이스(10)의 전단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실린더(500)는 로드가 좌측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면서 신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실린더(600)는 베이스(10)의 전단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2실린더(600)는 로드가 우측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면서 신축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500)와 제2실린더(600)는 베이스(10)의 전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3실린더(700)는 베이스(10)의 후단 좌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3실린더(700)는 로드가 좌측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면서 신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3실린더(700)는 제1실린더(500)와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4실린더(800)는 베이스(10)의 후단 우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4실린더(800)는 로드가 우측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면서 신축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4실린더(800)는 제2실린더(600)와 전후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실린더와 제4실린더(800)는 베이스(10)의 후단에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형태를 이루면서 베이스(10)의 상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의 내측에는 빔인출기의 좌우 승하강 실린더(20)와, 회전식 홀더(3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승강실린더(900)는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의 로드 단부 마다 수직하게 결합되어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의 로드를 따라 빔인출기의 베이스(10)의 외측에 위치할 때까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는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의 로드에 가해지는 승강실린더(900)의 수직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의 로드를 승강실린더(900)에 원활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는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B)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실린더(500)와 제2실린더(600)의 경사각도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승강실린더(900)의 하중과 제1실린더(500) 및 제2실린더(600)의 로드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상기 바퀴(950)는 승강실린더(900)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어 로드가 인출되는 경우에 지면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빔인출기는 빔 인출을 위하여 작업위치로 빔인출기를 이동시키거나 빔인출을 완료한 후에 다음 작업위치로 빔인출기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500) 내지 제4실린더(800)의 로드를 동시에 인출시키면 승강실린더(900)들이 동일 높이로 상승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동일거리 이동하면서 베이스(1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승강실린더(900)의 로드를 인출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의 단부에 설치된 바퀴(950)가 하강하여 지면에 닿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승강실린더(900)의 로드가 더욱 인출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인출기가 승강실린더(900)를 따라 지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빔인출기의 베이스(10)가 지면으로부터 돌출된 에이치빔(H)의 상단에 간섭되지 않는 높이까지 빔인출기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빔 인출기(1)가 지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되면 중장비를 동원하지 않고도 빔인출기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거나 당기면서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인출기가 자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주하는 한 쌍의 승강실린더(900)들의 로드 단부에는 해당 바퀴(95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유닛(9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960)은 바퀴(950)의 회전축에 연결된 정역모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960)에는 컨트롤러(도시 안됨)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각 구동유닛(960)들과 연결되어 구동유닛(960)의 구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유닛(960)이 승강실린더(900)의 로드 단부에 부착된 고정브라켓(970)에 결합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구동유닛(960)이 설치되면 작업자가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빔인출기를 작업자가 직접 밀거나 당기지 않고도 빔인출기를 전,후진 및 좌우로 선회시켜 가면서 원하는 위치에 쉽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유닛(960)과 컨트롤러와의 전원선 및 신호선의 배치는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며, 이상에서 기술한 작동관계에 맞추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승강발판 200...수직실린더
210...로드 310...볼 부재
320...하우징 400...홈부
500...제1실린더 600...제2실린더
700...제3실린더 800...제4실린더
900...승강실린더 950...바퀴
960...구동유닛

Claims (7)

  1.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좌우 승하강 실린더;
    상기 좌우 승하강 실린더의 측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결합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의 단부에 각각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우 가압판을 구비한 회전식 홀더;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승강발판;
    각 승강발판에 독립적으로 승강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복수의 승강유닛;
    상기 베이스의 전단에 좌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제1실린더;
    상기 베이스의 전단에 우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제2실린더;
    상기 베이스의 후단에 좌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제3실린더;
    상기 베이스의 후단에 우측으로 신축되도록 설치된 제4실린더;
    상기 베이스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제1실린더 내지 제4실린더의 로드 단부 마다 수직하게 결합된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바퀴를 포함하는 빔인출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베이스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승강발판의 상단에 연결되는 로드를 가지면서 각 승강발판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에 설치된 복수의 수직실린더이며;
    상기 승강발판이 승강발판과 접촉하고 있는 지면의 기울기에 따라 전후좌우로 자유롭게 회동하면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실린더의 로드와 승강발판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빔인출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단부에는 볼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승강발판의 상부에는 상기 볼 부재를 감싸는 하우징이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는 상기 볼 부재와 하우징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된 빔인출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 내지 제4실린더는 각각 빔인출기의 베이스 상에 경사지게 설치된 빔인출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주하는 한 쌍의 승강실린더들의 로드 단부에는 해당 바퀴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구동유닛이 설치된 빔인출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들은 유,무선을 통해 연결된 컨트롤러를 통해 구동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빔인출기.
KR1020220091226A 2022-07-22 2022-07-22 빔인출기 Active KR102773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226A KR102773014B1 (ko) 2022-07-22 2022-07-22 빔인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226A KR102773014B1 (ko) 2022-07-22 2022-07-22 빔인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545A KR20240013545A (ko) 2024-01-30
KR102773014B1 true KR102773014B1 (ko) 2025-02-27

Family

ID=8971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226A Active KR102773014B1 (ko) 2022-07-22 2022-07-22 빔인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30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472B1 (ko) * 2007-01-30 2007-12-07 한두희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에이취 빔 인출장치
CN212956528U (zh) 2020-06-17 2021-04-13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桥梁桩基护筒拔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9927A (en) * 1974-05-08 1975-06-17 Drill Systems Inc Apparatus for pulling drill pipe
KR101863526B1 (ko) 2018-04-03 2018-06-29 황선복 에이치빔 인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472B1 (ko) * 2007-01-30 2007-12-07 한두희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에이취 빔 인출장치
CN212956528U (zh) 2020-06-17 2021-04-13 中交第三公路工程局有限公司 桥梁桩基护筒拔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3545A (ko)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642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driving and extractor of sheet piles
US20040149520A1 (en) Inground lift
CN108999225B (zh) 旋转移位砖混结构建筑物纠倾法
JP2014080781A (ja) 曳家工法
KR102773014B1 (ko) 빔인출기
CN106284333B (zh) 一种快速定位接桩平台及接桩方法
CN214832836U (zh) 一种沉箱式地下车库施工设备
CN111042173B (zh) 一种流沙层沉井施工方法
CN211368678U (zh) 一种灌注桩机的底部移位机构
CN114875925B (zh) 一种填海地层临近地铁隧道的超大深基坑施工方法
KR20230172923A (ko) 빔인출기 이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빔인출기
KR102833645B1 (ko) 중장비용 수평자세 유지 장치
JP2779389B2 (ja) 沈下修正用鋼管杭の回転圧入装置
CN215057501U (zh) 一种掘锚一体机
JP2004270304A (ja) アースオーガ掘削機および削孔方法
JP5865760B2 (ja) 鋼管圧入装置の移動装置、及び、鋼管圧入装置の設置方法
JP2967508B2 (ja) 壁面作業用足場装置
KR20110019806A (ko) 이동식 고가 사다리차
JP3219579U (ja) コンクリート塀の施工構造
CN213682095U (zh) 一种桩机移位的装置
JP3741784B2 (ja) 昇降架台
KR20240025137A (ko) 중장비용 수평자세 유지 장치
CN211777192U (zh) 低净空钻机
JP6368519B2 (ja) 掘削装置
CN222332714U (zh) 一种用于基坑支护的可移动挡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