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1247B1 -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 Google Patents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1247B1
KR102771247B1 KR1020220140037A KR20220140037A KR102771247B1 KR 102771247 B1 KR102771247 B1 KR 102771247B1 KR 1020220140037 A KR1020220140037 A KR 1020220140037A KR 20220140037 A KR20220140037 A KR 20220140037A KR 102771247 B1 KR102771247 B1 KR 10277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nsor
toothbrush
dental
mov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00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59144A (en
Inventor
이선아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4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1247B1/en
Publication of KR2024005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91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124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은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가 장착된 칫솔과, 상기 센서부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칫솔의 움직임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치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와, 상기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인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칫솔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센서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양치질 정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양치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wherein the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comprises: a toothbrush equipped with a sensor unit for measuring movement; a service server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sensor unit and provides a dental care system for a use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a user terminal that is a tool that communicates data with the service server and can utilize a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unit that measures movement information of a toothbrush body, and has a remarkable effect of allowing a user to easily recognize his or her own tooth brushing information 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user's toothbrushing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ensor unit through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본 발명은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칫솔이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치아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in which a toothbrush including a sensor unit for detecting movement is linked to a user terminal to facilitate the user's dental care.

일반적으로 칫솔은 치아 사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충치와 같은 치아 질병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주로 브러쉬(양치모)를 이용하여 물리적 마찰방식에 의해 치아 및 잇몸 사이에 잔류된 음식물 찌꺼기와 충치의 원인이 되는 플라그 및 치태 등을 제거하게 된다.In general, toothbrushes are us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between teeth and prevent the occurrence of dental diseases such as cavities. They mainly use brushes (toothbrush bristles) to physically remove food residue remaining between teeth and gums, as well as plaque and tartar that cause cavities, through friction.

이러한 칫솔을 활용하여 행해지는 올바른 양치는 구강 위생 효과 뿐만 아니라 치아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식생활 중 반드시 필요한 생활 규칙으로 여겨지고 있다.Proper brushing of teeth using this type of toothbrush is considered an essential lifestyle rule as it not only has an oral hygiene effect but also a teeth whitening effect.

특히, 구강 질환은 적당한 시기에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외모의 이상까지도 초래하므로 비록 작은 증세라 할지라도 조기 치료가 중요하며, 가능하다면 발병 전의 예방이 더욱 효과적이다.In particular, oral diseases, if not treated appropriately at the right time, not only cause great inconvenience in daily life but also cause appearance abnormalities, so early treatment is important even if the symptoms are minor, and if possible, prevention before the onset is more effective.

그러나, 지금까지의 구강 건강 사업은 구강 보건에 관한 조사 연구 및 교육 사업, 수돗물의 불소화 사업, 학교 구강 보건 사업, 사업장 구강 보건 사업, 노인 및 장애인 구강 보건 사업, 임산부 및 영유아 구강 보건 사업 등, 주로 오프라인 상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원이 동원되어 추진되고 있으나, 투자 대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oral health projects up to now have been carried out primarily offline and individually, including research and education on oral health, fluoridation of tap water, oral health projects at schools, oral health projects at workplaces, oral health projects for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nd oral health projects for pregnant women and infants. This has resulted in a problem of low efficiency compared to the investment, despite the mobilization of a lot of time and personnel.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736010호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No. 10-1736010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6-0149012호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16-014901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칫솔이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며, 칫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의 측정값에 따른 양치질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양치질 정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구강 질환이 발병하기 전 가정에서 쉽게 치아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oothbrush is linked to a user terminal, and tooth brush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measurement value of a sensor unit that detects movement of the toothbrush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tooth brushing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a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which enables easy dental care at home before oral diseases occur.

본 발명은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은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가 장착된 칫솔과, 상기 센서부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칫솔의 움직임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치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인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oothbrush equipped with a sensor unit for measuring movement; a service server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sensor unit and provides a dental care system for a user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a user terminal that communicates data with the service server and is a tool capable of utilizing a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또한, 상기 칫솔은, 양치모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몸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센서부 및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othbrush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ody part including bristles and a handle, a sensor part mounted on the body part to detect movement of the body part, a communication part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part and the service server, and a battery par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part and the communication part.

또한, 상기 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스코프센서, 모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un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치아 관리를 위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모듈,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양치질 횟수, 주기를 분석 및 관리하는 양치질관리모듈,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양치질관리모듈을 통해 전달받은 양치질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을 파악 및 분석하는 패턴분석모듈, 사용자의 전반적인 치아 관리를 위한 치아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ice server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content provision module that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for dental care, a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that analyzes and manages the number of times and cycle of a user's tooth brushing through mov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 pattern analysis module that identifies and analyzes the user's tooth brushing pattern based on body mov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tooth brush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and a tooth care module for the user's overall dental care.

또한, 상기 치아관리모듈은, 치과나 보건소와 같은 특정 기관의 서버와 연동되어 치과방문 내역, 치과진료 내역, 치과예약 내역과 같은 치료정보를 송신받아 사용자의 치아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ntal care module is characterized by being linked to the server of a specific institution, such as a dental clinic or public health center, to receive treatment information, such as dental visit history, dental treatment history, and dental appointment history, and comprehensively manage the user's dental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칫솔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센서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양치질 정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양치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his/her own toothbrushing information by including a sensor unit that measures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oothbrush body,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user's toothbrushing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ensor unit through a user terminal.

이에 따라 사용자의 치아 건강이 효율적으로 유지되며, 올바른 양치 습관을 가지게 되어 구강질환이 예방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user's dental health is effectively maintained, and it has a remarkable effect of preventing oral diseases by helping users develop proper brushing habits.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는 양치질 관리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양치질 횟수와, 양치질 시간을 쉽게 파악하는 등 모니터링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 service serv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and has a remarkable effect of enabling users to easily monitor the number of times they brush their teeth and the brushing tim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는 패턴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양치습관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service serv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tern analysis module,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monitor his or her brushing habits by analyzing the user's brushing pattern.

또한, 본 발명은 양치질 교육 컨텐츠 및 상기 패턴분석모듈에서 분석된 양치질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모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의 습관 교정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of enabling correction of user habits by including a content provision module that provides tooth brushing education content and educational content for solving problems in the tooth brushing pattern analyzed by the pattern analysis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치과나 보건소와 같은 특정 기관의 서버와 연동되어 치과방문 내역, 치과진료 내역, 치과예약 내역과 같은 치아 치료정보를 관리하는 치아관리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치아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mprehensively managing the user's teeth by including a dental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dental treatment information such as dental visit history, dental treatment history, and dental reservation history by linking with the server of a specific institution such as a dental clinic or public health cen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 관리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ntal car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례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commonly understood sense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은, 칫솔(100), 사용자 단말기(200), 서비스 서버(300)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 사용자 단말기, 서비스 서버는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 a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thbrush (100), a user terminal (200), and a service server (300), and the toothbrush, the user terminal, and the service ser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ommunication network so as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먼저, 상기 칫솔(100)은 사용자의 치아와 직접 접촉되어 물리적 마찰방식에 의해 치아 및 잇몸 등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요소이다.First, the toothbrush (100) is an element that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teeth and removes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teeth and gums through physical fric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칫솔(100)은 몸체부(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통신부(140), 배터리부(1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toothbrush (100) includes a body part (110), a sensor part (120), a control part (130), a communication part (140), and a battery part (150).

상기 몸체부(110)는 양치모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칫솔의 구성인 것으로, 사용자의 치아와 직접 접촉되어 물리적 마찰방식에 의해 치아 및 잇몸 등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한다.The above body part (110) is configured as a general toothbrush including bristles and a handle, and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user's teeth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remaining on the teeth and gums through physical friction.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120)는 몸체부(110)에 장착되어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요소이다.Next, the sensor part (120) is an element mounted on the body part (110) to detect movement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양치질 유무, 몸체부의 움직임(동작) 등의 움직임 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포함한다.The above sensor part includes various sensors for detecting movement information such as whether the user is brushing his/her teeth and movement (motion) of the body part.

상기 센서부(120)는, 몸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가속도 데이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회전 및 기울임 정도 등을 측정하는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스코프센서,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모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he above sensor unit (120)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for measuring acceleration data to detect movement of the body unit, a gyro sensor for measuring the degree of rotation and tilt, a gravity 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motion.

또한, 상기 센서부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의 양치질 유무를 더욱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세척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수분 감지 센서, 양치모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및 사용자의 그립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unit, 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moistu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cleaning information,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brush head, and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gripping the brush head, in order to more accurately detect whether the user is brushing his or her teeth.

이때, 칫솔의 세척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수분 감지 센서와 양치모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는 상기 몸체부의 양치모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그립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몸체부의 손잡이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moistu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leaning information of the toothbrush and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bristles be mounted on the bristles portion of the body part, and that the touch sensor be mounted on the handle portion of the body part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gripping it.

이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센서부(120)에서 감지된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치질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요소이다.Next, the control unit (130) is an element for generating the user's tooth brushing information based on the body movement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120).

더욱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몸체부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움직임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몸체부의 움직임이 기설정된 움직임 범위에 속할 경우, 사용자가 양치질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양치질 정보를 생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does not generate a signal if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does not fall within a preset movement range, and if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falls within a preset movement rang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user is brushing teeth and generates tooth brushing information.

즉, 상기 제어부는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를 전달 받고, 기 설정된 수치를 기초로하여 몸체부의 움직임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양치질 수행 여부를 진단하게 된다.That is, the control unit receives body movement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sensor unit, analyzes the body movement signal based on a preset value, and diagnoses whether the user is brushing his or her teeth.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칫솔에 제어부가 포함되어 있다고 기재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는 후술할 서비스 서버(300) 혹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that a control unit is included in the toothbrush, the control unit may be replaced with a control unit of a service server (300) or a user terminal (200) described later, and this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상기 통신부(140)는 칫솔(100)과 서비스 서버(300) 또는 외부의 전자 장치간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요소이다.Next, 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an element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toothbrush (100) and the service server (300)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상기 통신부(140)는 WiFi(wireless fidelity), 지그비(ZigBee), NFC,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기술 등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지원하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above communication unit (140) supports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WiFi (wireless fidelity), ZigBee, NFC,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etc., but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배터리부(150)는 칫솔(100)의 센서부, 제어부 및 통신부가 작동하는데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요소이다. The above battery unit (150) is an element that provides the electric energy necessary for the sensor unit, control unit, and communication unit of the toothbrush (100) to operate.

상기 배터리부(150)의 배터리는 몸체부에 내장되어 별도의 충전 단자를 통해 유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몸체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The battery of the above battery section (150) may be built into the body section to enable wired and wireless charging through a separate charging terminal, or may be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body section to enable replacement,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덧붙여, 상기 칫솔의 몸체부(110)에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신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도면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기반하여 후술할 서비스 서버(300)에서 생성된 양치질 시간 등의 양치질 정보가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part (110) of the toothbrush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part (not shown in the drawing) that outputs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 part, and the display part may output tooth brushing information such as tooth brushing time generated by the service server (300)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part in real time.

또한, 상기 칫솔은 알람부(도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알람부는 설정된 시간동안 양치질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치질 동작이 시작되었음을 감지한 뒤 설정시간이 지나면 종료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출력한다.In addition, the toothbrush may further include an alarm unit (not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alarm unit detects that brushing has begun so that brushing is performed smoothly for a set period of time, and outputs an alarm signal to notify the end when the set period of time has elapsed.

또한, 상기 알람부는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양치 부위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된 시간 주기로 알람신호를 출력한다. Additionally, the alarm unit outputs an alarm signal at set time cycles so that the user can periodically change the brushing area.

이때, 상기 알람신호는 소리, 발광, 진동 등으로 마련되며, 사용자가 상황에 따른 알람신호를 직관할수 있도록 양치 부위를 변경하기 위한 알람신호와 양치질 동작 종료를 알리기 위한 알람신호에 차이를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alarm signal is provided in the form of sound, light, vibration, etc., and it is desir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alarm signal for changing the brushing area and the alarm signal for notifying the end of the brushing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perceive the alarm signal according to the situation.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칫솔(100)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데스크탑 PC, 태블릿PC, 스마트폰 단말기 등 서비스 서버(30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이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toothbrush (100)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a tool that can utilize a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a service server (300) such as a desktop PC, tablet PC, or smartphone terminal.

이 때, 상기 서비스플랫폼은 웹브라우저 형식으로 제공되거나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형식으로 제공되어 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rvice platform may be provided in a web browser format or an application format.

아울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력부, 무선 통신부, 메모리부, 출력부, 제어부, 인터페이스부, 전원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술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memory unit, an output unit, a control unit, an interface unit, a power supply unit, etc., and not all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essential components. 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components than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may be implemented with fewer components.

마지막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31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 및 데이터를 처리 및 가공하고 서비스 플랫폼의 구동 및 실행을 담당하는 모듈부(320)를 포함한다.Lastly, the service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network so as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includes a database (310) that stor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data, and a module unit (320) that processes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and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is responsible for driving and executing the service platform.

상기 데이터베이스(310)에는 사용자 이름, 나이,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와 하루동안의 양치질 횟수, 1회 양치질 수행시간, 칫솔질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칫솔질 압력, 칫솔질 방향, 칫솔질 패턴 등 사용자의 양치질 정보가 저장된다.The database (310) above stores user information such as user name, age, etc., and user brushing information such as number of times brushing per day, time spent brushing per time, start and end times of brushing, brushing pressure, brushing direction, and brushing patter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부(320)는, 양치방법 등 치아 관리를 위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모듈(322), 사용자의 양치질 횟수, 주기 등을 분석 및 관리하는 양치질관리모듈(324),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을 파악 및 분석하는 패턴분석모듈(326), 사용자의 스케일링 주기 등 사용자의 전반적인 치아 관리를 위한 치아관리모듈(328)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module (320) includes a content provision module (322) that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for dental care such as a tooth brushing method, a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324) that analyzes and manages the number of times and cycle of a user's tooth brushing, a pattern analysis module (326) that identifies and analyzes a user's tooth brushing pattern, and a dental care module (328) for the user's overall dental care such as the user's scaling cycle.

상기 컨텐츠제공모듈(322)은 올바른 양치습관을 위한 양치방법 등의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습관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듈이다.The above content provision module (322) is a module that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such as brushing methods for proper brushing habits,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correct their habits.

또한, 컨텐츠제공모듈(322)은 후술할 패턴분석모듈(326)에서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 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컨텐츠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sion module (322) receives information on the user's brushing pattern from the pattern analysis module (326) described later and provides solution content to resolve problems in the user's brushing pattern.

상기 양치질관리모듈(324)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를 통해 양치질 동작시점과 종료시점을 측정함으로써, 1회 양치질 수행시간, 양치질 횟수 등의 양치질 정보를 획득 및 기록한다.The above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324) measures the tooth brushing operation start and end times through mov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thereby obtaining and recording tooth brushing information such as the time for one tooth brushing and the number of times the tooth brushing is performed.

상기 양치질관리모듈은, 사용자가 하루 권장량만큼 양치를 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양치를 해야될 적정 시간에 알람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양치질을 유도하도록 마련된다. The above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is designed to encourage the user to brush their teeth by outputting an alarm at an appropriate time when brushing is requir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has not brushed their teeth the recommended amount per day.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양치질관리모듈을 통해 양치횟수, 양치시간 등의 정보를 하루, 주간, 월간 등 설정 기간 단위로 조회할 수 있다. And users can check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brushing times and brushing time by set period units such as daily, weekly, and monthly through the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상기 패턴분석모듈(326)은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양치질관리모듈을 통해 전달받은 양치질정보를 시초로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을 분석하는 모듈이다.The above pattern analysis module (326) is a module that analyzes the user's tooth brushing pattern based on the body mov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tooth brush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여기서, 움직임 정보는, 칫솔질 압력, 칫솔질 방향과 같은 위치변화정보 등을 포함하며, 상기 양치질 정보는, 하루동안의 양치질 횟수, 1회 양치질 수행시간, 칫솔질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등을 포함한다. Here, movement information includes position change information such as brushing pressure and brushing direction, and the tooth brushing information includes the number of times a day to brush teeth, the time taken for one tooth brushing, the start time and end time of brushing teeth, etc.

상기 패턴분석모듈에서는 특정 알고리즘을 통해 센서부에서 측정된 위치변화정보를 기초로 칫솔의 3차원 이동정보를 산출하고 칫솔의 이동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을 산출하도록 마련된다.The above pattern analysis module is designed to calculate three-dimensional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oothbrush based on position chang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nsor unit through a specific algorithm, and calculate the user's toothbrushing pattern based on the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oothbrush.

덧붙여, 사용자는 상기 패턴분석모듈을 통해 양치질 패턴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양치질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컨텐츠를 컨텐츠제공모듈(322)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e results of the tooth brushing pattern analysis through the pattern analysis module, and can check solution content for resolving problems in the tooth brushing pattern through the content provision module (322).

상기 치아관리모듈(328)은 사용자의 스케일링 주기를 알려주는 등 사용자의 전반적인 치아 관리를 위한 모듈이다.The above dental care module (328) is a module for the overall dental care of the user, such as informing the user of the scaling cycle.

상기 치아관리모듈은 치과나 보건소와 같은 특정 기관의 서버와 연동되어 치과방문 내역, 치과진료 내역, 치과예약 내역 등의 치료정보를 송신받아 사용자의 치아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above dental care module can be linked to the server of a specific institution, such as a dental clinic or public health center, to receive treatment information, such as dental visit history, dental treatment history, and dental appointment history, and comprehensively manage the user's dental information.

또한, 상기 치아관리모듈은 사용자의 치아 관리를 위해 사용자에게 설문지를 제공하고, 입력된 설문지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치아 상태를 1차적으로 진단 및 평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ntal care module may be arranged to provide a questionnaire to the user for dental care, and analyze the entered questionnaire information to initially diagnose and evaluate the user's dental condi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칫솔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센서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양치질 정보를 확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양치정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tooth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his/her own toothbrushing information by including a sensor unit that measures movement information of the toothbrush body,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user's toothbrushing information analyzed by the sensor unit through a user terminal.

이에 따라 사용자의 치아 건강이 효율적으로 유지되며, 올바른 양치 습관을 가지게 되어 구강질환이 예방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user's dental health is effectively maintained, and it has a remarkable effect of preventing oral diseases by helping users develop proper brushing habits.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는 양치질 관리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양치질 횟수와, 양치질 시간을 쉽게 파악하는 등 모니터링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The service serv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and has a remarkable effect of enabling users to easily monitor the number of times they brush their teeth and the brushing time.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는 패턴분석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양치습관을 모니터링이 할 수 있으며, 컨텐츠제공모듈을 통해 양치질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습관 교정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 service server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ttern analysis module, which analyzes a user's brushing pattern,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monitor his or her brushing habits, and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for solving problems in the brushing pattern through a content provision module, thereby having a remarkable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correct his or her habit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들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invention,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atent claims.

100: 칫솔
110: 몸체부
120: 센서부
130: 제어부
140: 통신부
150: 배터리부
200: 사용자 단말기
300: 서비스 서버
310: 데이터베이스
320: 모듈부
322: 컨텐츠제공모듈
324: 양치질관리모듈
326: 패턴분석모듈
328: 치아관리모듈
100: Toothbrush
110: Body
120: Sensor section
130: Control Unit
140: Communications Department
150: Battery compartment
200: User terminal
300: Service Server
310: Database
320: Module section
322: Content provision module
324: Toothbrushing Management Module
326: Pattern Analysis Module
328: Dental Care Module

Claims (5)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가 장착된 칫솔;
상기 센서부와 무선 통신하며,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칫솔의 움직임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치아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 통신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도구인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칫솔은,
양치모와 손잡이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장착되어 몸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된 상기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양치질 수행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양치질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센서부 및 제어부와 상기 서비스 서버 간의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
상기 센서부, 통신부 및 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부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센서, 자이로스코프센서, 모션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양치모 부분에 장착되어 칫솔의 세척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수분 감지 센서, 양치모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및 몸체부의 손잡이 부분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그립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몸체부의 움직임이 기 설정된 움직임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몸체부의 움직임이 기설정된 움직임 범위에 속할 경우, 사용자가 양치질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양치질 정보를 생성하고,
서비스 서버는,
치아 관리를 위한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모듈;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움직임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양치질 횟수, 주기를 분석 및 관리하는 양치질관리모듈;
상기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몸체부의 움직임 정보와, 상기 양치질관리모듈을 통해 전달받은 양치질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양치질 패턴을 파악 및 분석하는 패턴분석모듈; 및
사용자의 전반적인 치아 관리를 위한 치아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치아관리모듈은,
치과나 보건소와 같은 특정 기관의 서버와 연동되어 치과방문 내역, 치과진료 내역, 치과예약 내역과 같은 치료정보를 송신받아 사용자의 치아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우식 예방용 칫솔을 이용한 치아 관리 시스템.
A toothbrush equipped with a sensor unit to measure movement;
A service server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sensor unit and provides a user's dental care system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toothbrush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It includes a user terminal which is a tool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ice server and utilize the service platform provided by the service server;
The above toothbrush,
A body portion including a bristles and a handle;
A sensor part mounted on the above body part to detect movement of the body part;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tooth brushing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brushed his or her teeth, based on movement information of the body part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 communication unit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the service server;
Includes a batter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unit, communication unit, and control unit;
The above sensor par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gravity 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mo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body part, a moisture detection sensor mounted on the toothbrush bristles part of the body part for detecting cleaning information of the toothbrush,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of the toothbrush bristles, and a touch sensor mounted on the handle part of the body part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gripping it.
The above control unit,
If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transmitted from the sensor part does not fall within the preset movement range, no signal is generated, and if the movement of the body part transmitted from the sensor part falls within the preset movement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brushing teeth and tooth brushing information is generated.
The service server is,
Content provision module that provides educational content for dental care;
A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that analyzes and manages the number of times and cycle of brushing the user's teeth through mov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bove sensor unit;
A pattern analysis module that identifies and analyzes the user's tooth brushing pattern based on the body move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tooth brush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ooth brushing management module; and
Includes a dental care module for the user's overall dental care;
The above dental care module is,
A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which is characterized by comprehensively managing the user's dental information by receiving treatment information such as dental visit history, dental treatment history, and dental appointment history through linkage with the server of a specific institution such as a dental clinic or public health cen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40037A 2022-10-27 2022-10-27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Active KR102771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037A KR102771247B1 (en) 2022-10-27 2022-10-27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0037A KR102771247B1 (en) 2022-10-27 2022-10-27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144A KR20240059144A (en) 2024-05-07
KR102771247B1 true KR102771247B1 (en) 2025-02-20

Family

ID=9107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0037A Active KR102771247B1 (en) 2022-10-27 2022-10-27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1247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012A (en) 2015-06-17 2016-12-27 정재경 Tooth care method, tooth care device thereof, terminal thereof and system thereof
KR102429444B1 (en) * 2015-12-23 2022-08-03 차희찬 Customized oral care system, oral care device, applica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1736010B1 (en) 2016-07-06 2017-05-15 문호현 Dental monitoring toothbrush
KR102128608B1 (en) * 2018-11-26 2020-06-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Toothbrush for Detecting Dental Pla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9144A (en) 202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45997B1 (en) A toothbrush system
JP5907967B2 (en) Toothpaste monitoring device
JP6551110B2 (en) Oral care support system
CN204048584U (en) A kind of Intelligent toothbrush system
CN109803558B (en) Intelligent toothbrush
US20220240661A1 (en) Toothbrush system
KR102429444B1 (en) Customized oral care system, oral care device, application system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N105012035A (en) Intelligent toothbrush sleeve system
JP2018515248A (en) Dental brush monitoring system with magnetometer
JP2008543418A (en) Tooth brushing pattern analysis and calibration device, bidirectional tooth brushing habit calibration method and system
JP7394622B2 (en) Network for collaborative personal care devices
KR101911834B1 (en) Smart Toothbrush and the method
JP6467657B2 (en) Tooth brushing support system, tooth brushing support method, tooth brushing support device, and tooth brushing support program
WO2015073062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toothbrush with smart sensors for communication with electronic devices
US12080181B2 (en) Oral care method using electric toothbrush which is capable of being interlinked with application
CN109788845B (en) Intelligent toothbrush
CN109640738A (en) Toothbrush and system
CN109862807B (en) Intelligent toothbrush
KR102771247B1 (en) Dental care system using a toothbrush
TR2024019616A2 (en) System that Collects Oral and Dental Health Data with a Toothbrush
KR20250102821A (en) Smart electric toothbrush and system for providing oral health management service using thereof
WO2024133385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instantaneous oral care feedb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