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71212B1 -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71212B1
KR102771212B1 KR1020190081205A KR20190081205A KR102771212B1 KR 102771212 B1 KR102771212 B1 KR 102771212B1 KR 1020190081205 A KR1020190081205 A KR 1020190081205A KR 20190081205 A KR20190081205 A KR 20190081205A KR 102771212 B1 KR102771212 B1 KR 10277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digital
analog
control equipment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576A (ko
Inventor
김찬기
강지원
심수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081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712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12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25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using digital measurement techniques
    • G01R19/2513Arrangements for monitoring electric power systems, e.g. power lines or loads; Log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 H02H3/3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 H02H3/3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differenc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responsive to phase angle between voltages or between currents involving comparison of the voltage or current values at corresponding points in different conductors of a single system, e.g. of currents in go and return conductors of a three-phase syste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and to synchronisation
    • H03L2207/50All digital phase-locked lo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는, AC 전력계통으로부터 3상 전압의 위상을 아날로그 회로로 검출하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 AC 전력계통에 연계된 디지털 제어설비로부터 디지털 회로를 통해 검출된 위상을 입력받는 디지털 위상 입력부; 및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의 일치여부를 기반으로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ONITORING OPERATION OF POWER SYSTEM EQUIPM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AC 전력계통에서 아날로그 회로로 검출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제어설비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디지털 제어설비의 사이버 공격을 감시하는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은 전기 수요에 응하여 발전소, 변전소 및 부하를 송전선으로 연결하여 전력의 발생에서 소비까지 이루어지는 하나의 시스템이다.
전력계통은 전력의 발생과 소비의 동질성으로 수요와 공급이 평형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전력수요의 감시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초기의 소규모 계통에서는 감시가 용이하였으나 점차 산업의 고도화, 정보화로 전력수요가 증가되고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이 증가됨에 따라 전력설비도 대규모화, 복잡화되어 지금까지 수행하여 온 인위적인 방법으로 계통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에는 한계점에 도달하였다. 따라서 컴퓨터로 정보를 수집, 처리, 분석 및 제어하는 기능과 통신기능을 응용하여 전력계통 운용업무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설비 종합자동화가 급속히 추진되고 있다.
또한, AC 전력계통의 경우 발전기에서 정해진 상을 가진 즉, P1, P2, P3(절대 상)의 위상차(각 상별 Sin 120°의 차이)를 가진 전력을 상(P1, P2, P3) 별로 구분하여 송전하고 변전소에서는 발전소로부터 송전된 전력을 배전에 필요한 전압으로 감압하여 발전기에서 구분된 상 별로 배전한다.
따라서 전력계통에서 상 전원의 배전반 및 부하별로 발생되는 전압 전류의 순시 불평형 상태를 모니터함으로써, 불평형을 야기할 우려가 있는 부하를 조기에 파악하고 대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23420호(2013.01.17. 공고, 3상 전원의 평형 상태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력계통이 대규모화 복잡화되면서 전력계통의 운용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처리, 분석 및 제어하고 있고, 발전기, SCADA, 송전선로, 보호 계전기 및 배전망이 통신에 의해 모니터링 되고, 제어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AC 전력망에 포함된 디지털 제어설비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탐지하고 대처하기 위한 보안 및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사이버 공격으로는 시간지연 함수를 주입하거나, 같은 정보를 반복적으로 주입하거나, 잘못된 신호를 주입하여 시스템을 교란시키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버 공격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으나, 사이버 공격이 인가된 경우 이를 감지하고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AC 전력계통에서 아날로그 회로로 검출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제어설비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디지털 제어설비의 사이버 공격을 감시하는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는, AC 전력계통으로부터 3상 전압의 위상을 아날로그 회로로 검출하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 AC 전력계통에 연계된 디지털 제어설비로부터 디지털 회로를 통해 검출된 위상을 입력받는 디지털 위상 입력부; 및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의 일치여부를 기반으로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는, 아날로그 PLL을 이용하여 위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PLL은, DSOGI(Double Second Order Generalized Integrator) PL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제어설비는, 디지털 PLL을 이용하여 위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위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판단한 동작 상태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에서 판단한 동작 상태에 따라 디지털 제어설비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방법은, 제어부가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로부터 검출한 아날로그 위상을 입력받는 단계; 제어부가 디지털 위상 입력부를 통해 디지털 제어설비에서 검출한 디지털 위상을 입력받는 단계; 및 제어부가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위상차가 발생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위상차가 발생한 경우 디지털 제어설비로 트립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은 AC 전력계통에서 PLL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회로로 검출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제어설비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위상차를 기반으로 디지털 제어설비의 사이버 공격을 감시함으로써, 알람을 발생시키고 디지털 제어설비를 정지시키기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하여 사이버 공격에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10), 디지털 위상 입력부(70) 및 제어부(20)를 비롯하여 경고부(30) 및 출력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10)는 AC 전력계통으로부터 3상 전압을 입력받아 PLL 방식의 아날로그 PLL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위상을 검출하여 제어부(2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PLL(Phase Lock Loop)은 어떠한 PLL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고조파와 계통의 이상상태에서 강인한 특성을 갖는 DSOGI(Double Second Order Generalized Integrator) PLL을 기본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위상 입력부(70)는 AC 전력계통에 연계된 디지털 제어설비(50)로부터 디지털 회로를 통해 검출된 디지털 위상을 입력받아 제어부(2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제어설비(50)는 AC 전력계통에 연계되어 AC 전력계통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설비를 포함하며, 디지털 PLL을 이용하여 위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위상 검출부(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0)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10)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 입력부(7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의 일치여부를 기반으로 디지털 제어설비(5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정상상태에서는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갖게 되지만, 디지털 제어설비(50)가 사이버 공격 등을 받아 위상이 변하게 되면,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 간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고, 그 위상차가 설정오차 이상 발생할 경우 사이버 공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위상의 일치여부를 기반으로 디지털 제어설비(5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트립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경고부(30)는 제어부(20)에서 판단한 동작 상태에 따라 즉, 위상차가 설정오차 이상 발생하여 사이버 공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부(40)는 제어부(20)에서 판단한 동작 상태에 따라 즉, 위상차가 설정오차 이상 발생하여 사이버 공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경우 디지털 제어설비(50)를 정지시키기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에 따르면, AC 전력계통에서 PLL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회로로 검출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제어설비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위상차를 기반으로 디지털 제어설비의 사이버 공격을 감시함으로써, 알람을 발생시키고 디지털 제어설비를 정지시키기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하여 사이버 공격에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방법에서는 먼저, 제어부(20)가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10)로부터 검출한 아날로그 위상을 입력받는다(S10).
여기서,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10)는 AC 전력계통으로부터 3상 전압을 입력받아 PLL 방식의 아날로그 PLL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위상을 검출하여 제어부(20)에 제공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아날로그 위상을 입력받고, 제어부(20)는 디지털 위상 입력부(70)를 통해 디지털 제어설비(50)에서 검출한 디지털 위상을 입력받는다(S20).
여기서, 디지털 제어설비(50)는 AC 전력계통에 연계되어 AC 전력계통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전력설비로써, 전력설비의 동작을 감시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제어설비(50)에 포함된, 디지털 PLL을 이용하여 위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위상 검출부(60)로부터 디지털 위상을 입력받는다.
S20 단계에서 디지털 위상을 입력받은 후 제어부(20)는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의 일치여부를 판단한다(S30).
정상상태에서는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이 서로 동일한 값을 갖게 되지만, 디지털 제어설비(50)가 사이버 공격 등을 받아 위상이 변하게 되면,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 간 위상차가 발생하게 되고, 그 위상차가 설정오차 이상 발생할 경우 사이버 공격으로 판단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즉 위상차가 설정오차 미만인 경우에는 정상상태로 S10 단계로 리턴하여 위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 S30 단계에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위상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위상차가 설정오차 이상 발생한 경우, 제어부(20)는 디지털 제어설비(50)에 사이버 공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경고부(30)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고, 출력부(40)를 통해 디지털 제어설비(50)를 정지시키기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한다(S4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방법에 따르면, AC 전력계통에서 PLL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회로로 검출한 아날로그 위상과 디지털 제어설비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위상을 서로 비교하여 위상차를 기반으로 디지털 제어설비의 사이버 공격을 감시함으로써, 알람을 발생시키고 디지털 제어설비를 정지시키기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하여 사이버 공격에도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 20 : 제어부
30 : 경고부 40 : 출력부
50 : 디지털 제어설비 60 : 디지털 위상 검출부
70 : 디지털 위상 입력부

Claims (9)

  1. AC 전력계통으로부터 3상 전압의 위상을 아날로그 회로로 검출하는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
    상기 AC 전력계통에 연계된 디지털 제어설비로부터 디지털 회로를 통해 검출된 위상을 입력받는 디지털 위상 입력부; 및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아날로그 위상과 상기 디지털 위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위상을 비교하여 위상의 일치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아날로그 위상과 상기 디지털 위상간 위상차가 설정오차 이상 발생하여 사이버 공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디지털 제어설비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는, 아날로그 PLL을 이용하여 위상을 검출하고,
    상기 아날로그 PLL은, DSOGI(Double Second Order Generalized Integrator) PLL을 포함하며,
    상기 디지털 제어설비는, 디지털 PLL을 이용하여 위상을 검출하는 디지털 위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동작 상태에 따라 알람을 발생시키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6. 삭제
  7. 제어부가 아날로그 위상 검출부로부터 검출한 아날로그 위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디지털 위상 입력부를 통해 디지털 제어설비에서 검출한 디지털 위상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아날로그 위상과 상기 디지털 위상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아날로그 위상과 상기 디지털 위상간 위상차가 설정오차 이상 발생한 경우, 상기 디지털 제어설비를 정지시키기 위한 트립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제어설비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위상차가 발생한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아날로그 위상을 입력받는 단계는, DSOGI(Double Second Order Generalized Integrator) PLL을 포함하는 아날로그 PLL을 이용하여 검출한 아날로그 위상을 입력받고,
    상기 디지털 위상을 입력받는 단계는, 디지털 PLL을 이용하여 검출한 위상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90081205A 2019-07-05 2019-07-05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Active KR10277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05A KR102771212B1 (ko) 2019-07-05 2019-07-05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1205A KR102771212B1 (ko) 2019-07-05 2019-07-05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76A KR20210004576A (ko) 2021-01-13
KR102771212B1 true KR102771212B1 (ko) 2025-02-25

Family

ID=7414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205A Active KR102771212B1 (ko) 2019-07-05 2019-07-05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712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01377B1 (ko) * 2021-03-25 2025-05-02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2414473B1 (ko) * 2022-02-25 2022-06-29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고속 차단 기능을 가지는 전력 감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694B1 (ko) * 2009-07-15 2013-03-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오결선 검출 및 결선 변경이 가능한 디지털 계전기 및 이를 이용한 오결선 감지 및 결선 변경 방법
US8446191B2 (en) * 2009-12-07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Phase locked loop with digital compensation for analog integration
KR20170008584A (ko) * 2015-07-14 2017-01-2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계측시스템
KR20180102433A (ko) * 2017-03-07 2018-09-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의 불평형이 발생한 상의 전압크기 추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576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hoo et al. On detection of false data in cooperative DC microgrids—A discordant element approach
Roy et al. Detection and mitigation of cyber-attacks on AGC systems of low inertia power grid
Poudel et al. Real-time cyber physical system testbed for power system security and control
US10833507B2 (en) Island detection and control of a microgrid
Ghafouri et al. Detection and mitigation of cyber attacks on voltage stability monitoring of smart grids
Yuan et al. Modeling load redistribution attacks in power systems
Azim et al. An islanding detection methodology combining decision trees and Sandia frequency shift for inverter‐based distributed generations
Hong et al. A new load shedding scheme with consideration of distributed energy resources’ active power ramping capability
Rahman et al. A multi-agent approach for enhancing transient stability of smart grids
US20190103762A1 (en) Mitigation of gratuitous conditions on electric power delivery systems
Gupta et al. Islanding detection scheme for converter‐based DGs with nearly zero non‐detectable zone
Kundu et al. Wide area measurement based protection support during power swing
MX2013005895A (es) Comparador doble con proteccion contra falla a tierra restringida.
KR102801377B1 (ko) 전력계통 운영 장치 및 방법
KR102771212B1 (ko) 전력설비의 동작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Gursoy et al. On self-security of grid-interactive smart inverters
US20200185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Impact Of Compensator On Line Distance Protection
Alobaid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and assessment of islanding detection techniques for PV systems
Liu et al. Coordination of DERs in microgrids with cybersecure resilient decentralized secondary frequency control
Li et al. The impact of inverter-based resources (IBRs) on cascading failures in power systems
Huang et al. Algorithmic attack synthesis using hybrid dynamics of power grid critical infrastructures
Amulya et al. Cyber security of smart-grid frequency control: A review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framework
Wang et al. Indirect coordinated attack against relay via load-side power electronics and its defense strategy
Rahman et al. Cyber vulnerabilities on agent-based smart grid protection system
Meraj et al. Studying the impacts of cyber-attack on smart g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