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70840B1 - Lighting device - Google Patents
Ligh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70840B1 KR102770840B1 KR1020210085334A KR20210085334A KR102770840B1 KR 102770840 B1 KR102770840 B1 KR 102770840B1 KR 1020210085334 A KR1020210085334 A KR 1020210085334A KR 20210085334 A KR20210085334 A KR 20210085334A KR 102770840 B1 KR102770840 B1 KR 1027708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d package
- wavelength range
- lighting device
- emission peak
- waveleng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05B45/24—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의 태양광과 같이 주간에는 업무 집중도를 높이고 야간에는 수면 저해 효과가 저감되도록 하는 실내 조명을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파장 영역과 제2파장 영역에서 발광 피크를 갖는 제1LED 패키지, 제1파장 영역에서 발광 피크를 갖는 제2LED 패키지, 및 광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1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door lighting that, like outdoor sunlight, increases work concentration during the day and reduces sleep disruption at night.
Accordingly,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D package having emission peaks in a first wavelength range and a second wavelength range, a second LED package having an emission peak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and a control unit that varies the relative intensity of an emission peak existing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based on the intensity of an emission peak existing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on a light spectrum.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생체 리듬을 조절해주는 실내 조명 장치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ndoor lighting device that regulates a user's biological rhythm.
최근 LED 조명이 대중적으로 보급되는 추세가 되었다. LED 즉,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는 반도체의 p-n 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 캐리어(전자 또는 정공)를 만들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소정의 빛을 발산하는 소자를 지칭하며, GaAsP 등을 이용한 적색 발광 다이오드, GaP 등을 이용한 녹색 발광 다이오드, InGaN/AlGaN 더블 헤테로(double hetero) 구조를 이용한 청색 발광 다이오드 등이 있다. Recently, LED lighting has become popular. LED, or light emitting diode, refers to a device that creates injected minority carriers (electrons or holes) using the p-n junction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and emits a certain amount of light through their recombination. There are red light emitting diodes using GaAsP, green light emitting diodes using GaP, and blue light emitting diodes using InGaN/AlGaN double hetero structures.
최근의 조명용 발광장치는 발광 다이오드 칩과 형광체 몰드를 결합하여 백색광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청색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 칩 상부에 형광체를 배치시켜 발광 다이오드 칩의 청색 발광과 형광체의 황록색 또는 황색 발광에 의해 백색을 얻고 있다. 즉, 430nm 내지 480㎚ 파장을 발광하는 반도체 성분으로 이루어진 청색 발광 다이오드 칩과 청색광을 여기원으로 하여 황록색 및 황색광을 발생시키는 형광체의 조합으로 백색광을 구현한다. Recent lighting devices combine light-emitting diode chips and phosphor molds to produce white light. For example, a phosphor is placed on top of a blue light-emitting diode chip to obtain white light through the blue emission of the light-emitting diode chip and the yellow-green or yellow emission of the phosphor. That is, white light is produced by combining a blue light-emitting diode chip made of a semiconductor component that emits light with a wavelength of 430 nm to 480 nm and a phosphor that uses blue light as an excitation source to emit yellow-green and yellow light.
그런데 최근에는 백색을 출사하는 조명용 발광장치의 블루라이트에 대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블루라이트는 생체 리듬을 교란시켜 수면 주기를 파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발광 피크 파장를 갖는 제1 발광소자와 상대적으로 긴 발광 피크 파장을 갖는 제2 발광소자를 각각 구동하여 전체적인 색온도를 제어하는 인간 친화적 조명장치에 대항여 개시하고 있다. However, recently, adverse effects of blue light from white-emitting lighting devices have been reported. Blue light is known to disrupt biological rhythms and destroy sleep cycles. In response, prior art documents disclose human-friendly lighting devices that control the overall color temperature by driving a first light-emitting element with a relatively short emission peak wavelength and a second light-emitting element with a relatively long emission peak wavelength, respectively.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은 제1 발광소자의 색온도를 매우 낮게 설정하고 야간 환경에서 전체적인 색온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발광소자를 제어하기 때문에 멜라토닌의 활성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주간의 업무 환경에서 집중이 필요한 경우에는 일반 조명에 비해 그 집중도가 오히려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the prior art document sets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first light-emitting element very low and controls the light-emitting element in a way that lowers the overall color temperature in a nighttime environment, so although it may be helpful in activating melatonin, it has a problem that the concentration may actually decrease compared to general lighting in a work environment during the day when concentration is required.
더욱 나아가 선행기술문헌의 제2 발광소자 또는 전체 조명 모듈에서 청색 계열에 존재하는 2가지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는 서로 유사하게 분포하되 상대적으로 파장이 긴 쪽 발광 피크의의 상대 강도가 더 크게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주간에는 멜라토닌 억제 효과가 발현되겠지만 야간의 멜라토닌 활성화 효과는 줄어들게 되고 상대적으로 파장이 짧은 쪽의 발광에 따라 에너지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야기된다.Furthermore, in the second light-emitting element of the prior art document or the entire lighting module, the relative intensities of the two emission peaks existing in the blue series are similarly distributed,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with a relatively longer wavelength is formed to be greater. In this case, the melatonin suppression effect is expressed during the day, but the melatonin activation effect at night is reduced, an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energy efficiency decreases due to the emission of the relatively shorter wavelength.
이처럼 엄밀한 의미에서 인간 친화적 조명은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시켜 주간의 집중도를 최대화시키고 야간에는 멜라토닌 분비를 최대화시켜 수면 유도를 최적화시켜야 되지만 아직 면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In this strict sense, human-friendly lighting should maximize concentration during the day by suppressing melatonin secretion and optimize sleep induction by maximizing melatonin secretion at night, but detailed research is still lacking.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의 태양광과 같이 주간에는 업무 집중도를 높이고 야간에는 수면 저해 효과가 저감되도록 하는 실내 조명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indoor lighting that, like outdoor sunlight, increases work concentration during the day and reduces sleep-disrupting effects at nigh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파장 영역과 제2파장 영역에서 발광 피크를 갖는 제1LED 패키지, 제1파장 영역에서 발광 피크를 갖는 제2LED 패키지, 및 광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1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D package having emission peaks in a first wavelength range and a second wavelength range, a second LED package having an emission peak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and a control unit that varies the relative intensity of an emission peak existing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based on the intensity of an emission peak existing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on a light spectrum.
이때, 상기 제1파장 영역은 400 내지 470nm로 형성되고, 상기 제2파장 영역은 470nm 내지 490nm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wavelength range may be formed from 400 to 470 nm, and the second wavelength range may be formed from 470 nm to 490 nm.
또한, 광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2LED 패키지에서 상기 제2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상대 강도는 상기 제1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elative intensity of a peak existing in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in the second LED package on the optical spectrum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relative intensity of a luminescence peak existing in the first wavelength region.
또한, 상기 제2LED 패키지는 1800 내지 6500K의 색온도를 가질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LED package may have a color temperature of 1800 to 6500K.
또한, 상기 제1LED 패키지에 존재하는 상기 제1파장 영역의 발광 피크 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는 1.2 내지 2.0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existing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based on the emission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ange existing in the first LED package may be 1.2 to 2.0.
또한, 상기 제1LED 패키지는 4000 내지 6500K의 색온도를 가질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LED package may have a color temperature of 4000 to 6500K.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파장 영역의 발광 피크 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파장 영역의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를 가변하여 상기 실내조명장치 전체의 색온도를 변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n vary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entire indoor lighting device by varying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of the second wavelength range based on the emission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ange.
또한, 상기 제1LED 패키지는 피크파장이 제1파장 영역과 제2파장 영역에 각각 1개씩 존재하고 제2LED 패키지는 피크파장이 제1파장 영역에만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LED package may have one peak wavelength in each of the first wavelength region and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and the second LED package may have a peak wavelength only in the first wavelength region.
또한, 상기 실내조명장치는 자연광 모드 또는 특수 모드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값에 따라 제1파장의 발광 피크 및 제2파장의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를 가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ligh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natural light mode or a special mode, and the control unit can vary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of the first wavelength and the emission peak of the second wavelength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또한, 상기 자연광 모드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일출 시부터 일몰 시까지의 시간을 설정된 개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natural light mode is input, the control unit can divide the time from sunrise to sunset into a set number of sections and set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amount in each section differently.
또한, 상기 설정된 개수의 구간은 3개의 구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3개의 구간 중 제1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은 제2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3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은 제1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t number of sections may be formed into three sections, and the amount of color temperature change in the first section among the three sections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color temperature change in the second section, and the amount of color temperature change in the third section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color temperature change in the first section.
또한, 상기 실내조명장치는 통신부 또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 또는 저장부는 일출 및 일몰 시각을 수신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ligh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or a storage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or the storage unit can receive or store the sunrise and sunset times.
또한, 상기 제1LED 패키지와 상기 제2LED 패키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LED 패키지와 제2LED 패키지의 구동 개수 또는 인가 전류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LED package and the second LED package are formed in multiples, and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number of driving or applied current of the first LED package and the second LED packag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파장의 파장 피크와 제2파장의 파장 피크를 갖는 제1LED 패키지, 제1파장의 파장 피크를 갖고 제2파장의 파장 피크를 갖지 않는 제2LED 패키지 및 광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1파장의 발광 피크 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파장의 발광 피크 강도를 가변하여 전체 색온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Meanwhile,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ED package having a wavelength peak of a first wavelength and a wavelength peak of a second wavelength, a second LED package having a wavelength peak of the first wavelength and not having a wavelength peak of the second wavelength, and a control unit that adjusts an overall color temperature by varying an emission peak intensity of the second wavelength based on an emission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on a light spectrum.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제1파장 영역과 제2파장 영역의 상대 강도를 조절하여 M/P 비율 변화를 극대화시켜 주간에는 업무 집중도를 높이고 야간에는 수면 저해 효과가 저감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change in the M/P ratio by adjusting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egion and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thereby increasing work concentration during the day and reducing the sleep-disrupting effect at nigh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서의 광원부를 구성하는 제1 LED 패키지 및 제2 LED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LED 패키지의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2 LED 패키지의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자연광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시간의 변화에 따라 광 스펙트럼이 변화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일상 모드, 휴식 모드, 집중 모드, 야간 활동 모드로 설정한 경우의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기상 모드로 설정한 경우의 광 스펙트럼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수면 유도 모드로 설정한 경우의 광 스펙트럼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and FIG.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first LED package and the second LED package constituting the light source unit in FIG. 1, respectively.
FIG. 3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optical spectrum of the first LED package of FIG. 2.
FIG. 4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optical spectrum of the second LED package of FIG. 2.
FIGS. 5A to 5D are drawings showing that the light spectrum changes over time when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in a natural light mode.
FIGS. 6A to 6D are diagrams illustrating light spectra when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a daily mode, a rest mode, a concentration mode, and a night activity mode, respectively.
FIGS. 7A and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changes in the light spectrum when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a weather mode.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the light spectrum when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a sleep induction mod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emplifying them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could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ould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에서의 광원부를 구성하는 제1 LED 패키지 및 제2 LED 패키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 LED 패키지의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제2 LED 패키지의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and 2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first LED package and a second LED package constituting a light source unit in FIG. 1, respectively,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spectrum of the first LED package of FIG. 2,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spectrum of the second LED package of FIG. 2.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조명 장치(1000)는 크게 광원부(100)와 광원부(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로 이루어지고,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부(300), 입력부(400) 및 통신부(5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ghting device (1000) is largely composed of a light source unit (100) and a control unit (20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light source unit (100), and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300), an input unit (400), and a communication unit (500) as illustrated in FIG. 1.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LED 패키지(110)와 적어도 하나의 제2 LED 패키지(120)로 구성된다. 이때 제1 LED 패키지(110) 및 제2 LED 패키지(120)는 기판(111,121), LED 베어칩(113,123), 및 형광체(114,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시한 바와 같이 리플렉터(112,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LED 패키지(110)와 제2 LED 패키지(120)는 기판(111,121), 리플렉터(112,122)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First, the light source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at least one first LED package (110) and at least one second LED package (120). At this time, the first LED package (110) and the second LED package (120) are formed by including a substrate (111, 121), an LED bare chip (113, 123), and a fluorescent substance (114, 124), and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112, 122) as illustrated. At this time, the first LED package (110) and the second LED package (120) may have the substrate (111, 121) and the reflector (112, 122) formed in the same manner.
기판(111,121)은 직선형,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기판(111,121)은 LED 베어칩(113,123)과 배선으로 연결되거나 솔더링부(미도시)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별도의 본딩 와이어를 갖지 않을 수 있다. 솔더링부는 표면실장 방식(SMT; Surface Mount Technology)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bstrate (111, 121) may be formed as a straight, circular or polygonal plate, and in this embodiment, the substrate (111, 12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ED bare chip (113, 123) through wiring or through a soldering portion (not shown) and may not have a separate bonding wire. The soldering portion may be formed using a surface mount technology (SMT).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 제1 LED 패키지(110)는 멜라토닌을 억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므로, 기본적으로 백색광을 출사하기 위한 베어칩1a(113a)이외에도 또 다른 파장 영역의 광을 출사하는 베어칩1b(113b)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ED package (110) suppresses melatonin and thus serves to provide vitality to the user, and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bare chip 1a (113a) for basically emitting white light,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the bare chip 1b (113b) for emitting light of another wavelength range.
여기서 베어칩1a(113a)는 400 내지 470nm의 광('제1파장 영역'이라 함, 이하 동일)을 출사하고, 베어칩1b(113b)는 470 내지 490nm의 광('제2 파장 영역'이라 함 이하 동일)을 출사한다. 나아가 도 3을 참조하면, 제1파장 영역 발광 피크의 강도를 기준으로 제2파장 영역 발광 피크의 강도 비율는 1.2 내지 2.0으로 형성된다. Here, bare chip 1a (113a) emits light of 400 to 470 nm (referred to as “first wavelength range”,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and bare chip 1b (113b) emits light of 470 to 490 nm (referred to as “second wavelength range”,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Furthermore, referring to Fig. 3, the intensity ratio of the second wavelength range emission peak based on the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ange emission peak is formed as 1.2 to 2.0.
이때 상기 발광 피크의 강도 비율이 1.2 미만인 경우에는 제1 파장 영역의 광이 광범위하게 인지되어 충분한 멜라토닌 억제 효과가 생성되지 않으며, 2.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멜라토닌 억제 효과는 발현되지만 광피로 현상에 따라 멜라토닌 억제 효과가 포화(saturation)되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if the intensity ratio of the above-mentioned luminescence peak is less than 1.2, the light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is widely recognized, so that a sufficient melatonin suppression effect is not generated. If it exceeds 2.0, the melatonin suppression effect is expressed, but the melatonin suppression effect is saturated due to the photofatigue phenomenon.
더욱 상세하게 본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제2 LED 패키지(120)가 출사하는 광을 제1 LED 패키지(110)가 출사하는 광과 혼합시켜 목적 색온도를 산출하게 되더라도 제1 LED 패키지(110)가 가지고 있는 제1파장 영역에서의 파장 피크가 잔존하여 사용자에게 조사됨에 따라 멜라토닌 억제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백색광의 파장 영역인 제1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에 대한 제2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의 비율을 설정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In more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light emitted by the second LED package (120) described below is mixed with the light emitted by the first LED package (110) to produce the target color temperature, the melatonin suppression effect may be reduced as the wavelength peak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of the first LED package (110) remains and is irradiated to the user.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t is highly desirable to set the ratio of the peak intensity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to the peak intensity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which is the wavelength range of basic white light.
이때, 도 2a에서와 같이 제1 LED 패키지(110)에는 형광체(114)가 포함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체(114)는 LED 베어칩(113)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여기하여 백색의 광이 출사되도록 한다. 형광체(114)는 주로 여기되어 방출되는 파장이 노란색인 형광체(Y)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될 수 있고, 레드 (R)계열 또는 그린(G) 계열의 형광체(114a,114b)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형광체(114)는 기지인 수지 매트릭스 내에서 분포하도록 형성되어 베어칩(113)을 덮도록 형성되고 제1 LED 패키지(110)의 멜라토닌 억제 효과를 위해서 최종 출사광이 4000 내지 6500K의 색온도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a, the first LED package (110) includes a phosphor (114). As shown, the phosphor (114) excites light emitted from the LED bare chip (113) to emit white light. The phosphor (114) can be manufactured mainly using a phosphor (Y) whose wavelength is yellow when excited, as a main component, and a red (R) series or green (G) series phosphor (114a, 114b) can be used. Meanwhile, the phosphor (114) is formed to be distributed within the base resin matrix so as to cover the bare chip (113),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al emitted light has a color temperature of 4000 to 6500K for the melatonin suppression effect of the first LED package (110).
한편, 제2 LED 패키지(120)는 멜라토닌의 활성화하여 휴식 및 숙면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LED 패키지(120)도 제1 LED 패키지(110)와 유사하게 기판(121), 베어칩2(123), 및 형광체(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리플렉터(112,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LED package (120) plays a role in activating melatonin and helping with rest and deep sleep. As shown in Fig. 2b, the second LED package (120) is similar to the first LED package (110) and includes a substrate (121), bare chip 2 (123), and a fluorescent substance (124), and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112, 122).
여기서 베어칩2(123)은 제1파장 영역(400 내지 470nm)에서 발광 피크를 갖는 광을 출사한다. 또한 도면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어부에 의한 전류 제어 및 색 균일성 확보를 위해 베어칩2(123)은 동일한 광을 출사하는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LED 패키지(120)는 멜라토닌의 활성화에 관여하기 때문에 제2파장 영역의 발광 피크를 갖는 베어칩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에는 광 스펙트럼 상에서 제2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상대 강도는 제1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멜라토닌 활성화를 위해 제2 LED 패키지(120)에서의 형광체(124)는 제1 LED 패키지(110)에서의 형광체(114) 보다 낮은 색온도의 최종 광이 출사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2 LED 패키지(120)의 최종 출사광의 색온도는 1800 내지 6500K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bare chip 2 (123) emits light having an emission peak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400 to 470 nm).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in order to secure current control and color uniformity by the aforementioned control unit, bare chip 2 (123) may be formed of two that emit the same light. In addition, since the second LED package (120) is involved in the activation of melatonin, when further including a bare chip having an emission peak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peak existing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on the light spectrum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existing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Furthermore, for the activation of melatonin,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sphor (124) in the second LED package (120) be set to emit final light having a lower color temperature than the phosphor (114) in the first LED package (110).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final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ED package (120) be in the range of 1800 to 6500K.
한편, 제어부(200)는 제1 LED 패키지(110)와 제2 LED 패키지(120)를 각각 제어하여 전체적인 조명 장치의 색온도를 제어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서는 제1파장 영역의 발광 피크 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파장 영역의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를 가변하여 조명 장치 전체의 색온도를 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에 따라 제1 LED 패키지(110)와 제2 LED 패키지(120)의 구동 전류비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더 높은 수준의 M/P 비율 변화가 가능해져 자연광과 유사한 멜라토닌 억제 또는 활성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the first LED package (110) and the second LED package (120) respectively to control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entire lighting device. However,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entire lighting device is changed by varying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of the second wavelength range based on the emission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ange. When the driving current ratio of the first LED package (110) and the second LED package (1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a higher level of M/P ratio change is possible, thereby inducing a melatonin suppression or activation effect similar to natural ligh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입력부(400)의 입력에 따라 자연광 모드 또는 선택 모드를 구비한다. Hereinafter,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natural light mode or a selection mode depending on the input of the input unit (400).
자연광 모드인 경우는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자연광 모드로 구동하는 경우 시간의 변화에 따라 광 스펙트럼이 변화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The case of natural light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D. FIGS. 5A to 5D are drawings showing that the light spectrum changes over time when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in natural light mode.
자연광 모드는 특정 시간대를 지정하여 멜라토닌 효과를 최대치로 나타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스케쥴링된 시간대별로 전체 조명 장치의 색온도를 3000(혹은 4000) 내지 6500K로 변화시킨다. Natural light mode performs the function of maximizing the melatonin effect by designating a specific time zone, and changes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entire lighting device to 3000 (or 4000) to 6500K according to the scheduled time zone.
자연광 모드에서 제어부(200)는 일출 시부터 일몰 시까지의 시간을 설정된 개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의 색온도 증감량을 서로 다르게 설정한다. 멜라토닌의 활성화를 위해 기상 후 취침 시 까지 색온도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중요하지만 색온도의 변화율이 구간에 따라 변하는 경우에는 멜라토닌 활성화 효과가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 In natural light mode, the control unit (200) divides the time from sunrise to sunset into a set number of sections and sets the color temperature increase/decrease amount in each section differently. It is important to continuously change the color temperature from waking up to going to bed to activate melatonin, but the melatonin activation effect is greater when the rate of change in color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section.
이때, 상기 설정된 개수의 구간은 기상 후 취침 전까지의 시간에서 3개의 구간으로 형성되고, 3개의 구간 중 제1구간(예를 들어, 7시~12시)에서의 색온도 변화량은 제2구간(예를 들어, 12시~18시)에서의 색온도 변화량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3구간(예들 들어, 18시~24시)에서의 색온도 변화량은 제1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set number of sections is formed into three sections from the time after waking up to going to bed, and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amount in the first section (e.g., 7:00 to 12:00) of the three sections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amount in the second section (e.g., 12:00 to 18:00), and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amount in the third section (e.g., 18:00 to 24:00)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color temperature change amount in the first section.
제3구간에서는 취침 전에 색온도의 변화량이 가장 커져야 멜라토닌의 합성이 원활해지기 때문이고, 제2구간에서의 변화량이 가장 작은 것은 제3구간에서의 색온도 감소가 인체에서 원활하게 감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제1구간에서의 변화량은 주간 활동의 원활화를 위해 제3구간에서의 변화량보다는 적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In the third section, the amount of change in color temperature should be the greatest before going to bed to facilitate the synthesis of melatonin, and the amount of change in the second section should be the smallest so that the decrease in color temperature in the third section can be smoothly detected by the human body.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irst section be less than that in the third section to facilitate smooth daytime activities.
이러한 자연광 모드의 세부 실시 형태를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Detailed implementations of these natural light modes are described in Table 1 below.
비율Package Drive
ratio
기상 시간으로 설정된 7시의 발광 스펙트럼인 도 5a를 참조하면, 제2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가 제1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 대비 1.2 내지 2.0로 설정되고 색온도는 6500K로 설정된다. 이에 멜라토닌 분비의 강력한 억제 효과가 도출된다. Referring to Fig. 5a, which is a luminous spectrum at 7 o'clock set as the wake-up time, the peak intensity of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is set to 1.2 to 2.0 compared to the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egion, and the color temperature is set to 6500 K. This results in a strong suppression effect on melatonin secretion.
또한, 점심 시간인 낮 12시의 발광 스펙트럼인 도 5b를 참조하면, 제2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가 제1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 대비 1.2 내지 2.0로 설정되고 색온도는 6000K로 설정된다. 이에 멜라토닌 분비의 강력한 억제 효과가 계속적으로 도출하면서도 멜라토닌 억제의 완화가 시작되게 된다. Also, referring to Fig. 5b, which is the emission spectrum at 12:00 noon, which is lunch time, the peak intensity of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is set to 1.2 to 2.0 compared to the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egion, and the color temperature is set to 6000 K. Accordingly, a strong suppression effect on melatonin secretion is continuously elicited, while melatonin suppression begins to be alleviated.
또한, 저녁 시간인 오후 6시의 발광 스펙트럼인 도 5c를 참조하면, 제2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가 제1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 대비 0.8 내지 1.6으로 설정되고 색온도는 5700K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백색광의 잔존에 따라 작업에 필요한 활성 조명으로 기능하면서도 멜라토닌 활성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게 된다. Also, referring to Fig. 5c, which is the emission spectrum at 6 p.m. in the evening, the peak intensity of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is set to 0.8 to 1.6 compared to the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egion, and the color temperature is set to 5700 K. In this case, melatonin activation begins in earnest while functioning as active lighting necessary for work depending on the residual white light.
이후, 취침 시간인 오후 24시의 발광 스펙트럼인 도 5d를 참조하면, 제2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가 제1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 대비 0.3 이하로 설정되고 색온도는 4000K로 설정된다. 이 경우에는 제2파장 영역에서 피크가 생성되지 않게 되므로 취침 환경이 조성되게 된다. Afterwards, referring to Fig. 5d, which is the emission spectrum at 24:00 PM, which is the bedtime, the peak intensity of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is set to 0.3 or less compared to the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egion, and the color temperature is set to 4000 K. In this case, since no peak is generated in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a sleeping environment is created.
한편, 선택 모드의 경우에는 일상 모드, 휴식 모드, 집중 모드, 야간 활동 모드, 및 수면 유도 모드를 입력할 수 있고, 제어부는 입력에 따라 제1파장의 발광 피크 및 제2파장의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를 가변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selection mode, the daily mode, rest mode, concentration mode, night activity mode, and sleep induction mode can be input, and the control unit varies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of the first wavelength and the emission peak of the second wavelength according to the input.
도 6a 내지 도 6d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일상 모드, 휴식 모드, 집중 모드, 야간 활동 모드로 설정한 경우의 광 스펙트럼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기상 모드로 설정한 경우의 광 스펙트럼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수면 유도 모드로 설정한 경우의 광 스펙트럼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6A to 6D are diagrams illustrating light spectra when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a daily mode, a rest mode, a concentration mode, and a night activity mode, respectively, and FIGS. 7A to 7B are diagrams illustrating changes in a light spectrum when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a wake-up mode,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nges in a light spectrum when a 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a sleep induction mode.
이러한 선택 모드의 세부 실시 형태를 아래 [표 2] 및 [표 3]에 기재하였다. Detailed implementations of these selection modes are described in [Table 2] and [Table 3] below.
구동
비율Package
Drive
ratio
비율Package Drive
ratio
기상 모드에서는 도 7a와 같이 제2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가 제1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 대비 0.6 내지 1.2로 개시한 5000K의 광이 발광되고 설정 시간 후 제2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가 제1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 대비 1.2 내지 2.0인 6500K의 광이 발광되므로 멜라토닌 억제의 각성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In the weather mode, as shown in Fig. 7a, light of 5000 K with a peak intensity of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of 0.6 to 1.2 compared to the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egion is emitted, and after a set time, light of 6500 K with a peak intensity of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of 1.2 to 2.0 compared to the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egion is emitted, thereby maximizing the awakening effect of melatonin suppression.
또한 수면 유도 모드에서는 도 8과 같이 제2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가 제1파장 영역의 피크 강도 대비 0.3 이하 4000K의 광이 발광되고 설정 시간 후 소등되도록 하여 멜라토닌 활성 효과를 극대화하게 된다. In addition, in sleep induction mode, as shown in Fig. 8, light of 4000K with a peak intensity of the second wavelength range of 0.3 or less compared to the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ange is emitted and turned off after a set time, thereby maximizing the melatonin activation effect.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ave disclos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have been used only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help understand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0: 조명 장치
100: 광원부
110: 제1 LED 패키지
120: 제2 LED 패키지
111, 121: 기판
112: 122: 리플렉터
113: 베어칩1
113a: 베어칩1a, 113b: 베어칩1b
123: 베어칩2
114, 124: 형광체
200: 제어부
300: 저장부
400: 입력부
500: 통신부1000: Lighting Device
100: Light source
110: 1st LED package
120: 2nd LED package
111, 121: Substrate
112: 122: Reflector
113: Bare Chip 1
113a: Bare Chip 1a, 113b: Bare Chip 1b
123: Bare Chip 2
114, 124: Phosphor
200: Control Unit
300: Storage
400: Input section
500: Communications Department
Claims (14)
제1파장 영역과 제2파장 영역에서 발광 피크를 갖는 제1LED 패키지;
제1파장 영역에서 발광 피크를 갖는 제2LED 패키지; 및
광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1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강도를 가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일출 시부터 일몰 시까지의 시간을 설정된 개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각 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을 서로 다르게 설정하거나,
상기 제어부는 입력값에 따라 제1파장의 발광 피크 및 제2파장의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In lighting devices,
A first LED package having emission peaks in the first wavelength region and the second wavelength region;
A second LED package having an emission peak in the first wavelength region; and
A control unit that varies the intensity of an emission peak existing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based on the intensity of an emission peak existing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on the optical spectrum;
Including,
The above control unit divides the time from sunrise to sunset into a set number of sections and sets the amount of color temperature change in each section differently, or
A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varies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of the first wavelength and the emission peak of the second wavelength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광 스펙트럼 상에서 상기 제2LED 패키지에서 상기 제2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피크의 상대 강도는 상기 제1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intensity of a peak existing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in the second LED package on the light spectrum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relative intensity of a luminescence peak existing in the first wavelength range.
상기 제1LED 패키지에 존재하는 상기 제1파장 영역의 발광 피크 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파장 영역에 존재하는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는 1.2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existing in the second wavelength range is 1.2 to 2.0 based on the emission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ange existing in the first LED pack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파장 영역의 발광 피크 강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2파장 영역의 발광 피크의 상대 강도를 가변하여 상기 조명 장치 전체의 색온도를 변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A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an vary the color temperature of the entire lighting device by varying the relative intensity of the emission peak of the second wavelength range based on the emission peak intensity of the first wavelength range.
상기 설정된 개수의 구간은 3개의 구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3개의 구간 중 제1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은 제2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3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은 제1구간에서의 색온도 변화량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set number of sections is formed into three sections, the amount of color temperature change in the first section among the three sections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color temperature change in the second section, and the amount of color temperature change in the third section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color temperature change in the first section.
상기 제1LED 패키지와 상기 제2LED 패키지는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1LED 패키지와 제2LED 패키지의 구동 개수 또는 인가 전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ED package and the second LED package are formed in multiples,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number of driving or applied current of the first LED package and the second LED packa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5334A KR102770840B1 (en) | 2021-06-30 | 2021-06-30 | Ligh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85334A KR102770840B1 (en) | 2021-06-30 | 2021-06-30 | Ligh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3802A KR20230003802A (en) | 2023-01-06 |
KR102770840B1 true KR102770840B1 (en) | 2025-02-21 |
Family
ID=8492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85334A Active KR102770840B1 (en) | 2021-06-30 | 2021-06-30 | Ligh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70840B1 (en)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678209A (en) * | 2007-05-31 | 2010-03-24 |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llumination and physiological stimuli |
KR20200113133A (en) * | 2019-03-22 | 2020-10-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White light emitting module |
-
2021
- 2021-06-30 KR KR1020210085334A patent/KR102770840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3802A (en) | 2023-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640582B (en) | Light genera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 |
US8860300B2 (en) | Color-temperature-tunable device | |
CN112534188B (en) | LED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having the same | |
US20110299277A1 (en) | Illu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illuminating apparatus | |
US20160007424A1 (en) | Illumination and grow ligh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 |
JP7312920B2 (en) | Melanopic optical system using cyan-excited white LEDs | |
KR20200130320A (en) | Light emitting device | |
CN111542370B (en) | LED lighting device with cell activation function | |
CN112524501A (en) |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with same | |
JP7274060B1 (en) | Melanopic light system with high CRI using cyan direct emitter | |
JP2010282974A (en) | Lighting fixture | |
US20130271974A1 (en) | Light-emitting diode module with a first component and a second compon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 |
KR101313907B1 (en) | Led lighting module for plant-culture factory, and led lighting apparatus for plant-culture factory using the same | |
KR102770840B1 (en) | Lighting device | |
KR20160081470A (en) | White light emitting device | |
CN1612365A (en) | Aluminum InGaN Light Emitting Diode and Solid State White Light Device with Broad Spectrum | |
CN213983148U (en) | Light source module and lamp | |
CN112413455B (en) | A lamp | |
KR101104230B1 (en) | Light emitting device | |
CN112413456A (en) | Light source modules, lamps | |
KR20190085694A (en) |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 |
KR102556270B1 (en) | LED sunlight and LED luminaire | |
KR102654335B1 (en) |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 |
CN119585565A (en) |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fixture | |
KR20240171871A (en) | Near infrared phosphor and light emit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11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1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