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9598B1 - 거푸집틀 - Google Patents

거푸집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9598B1
KR102769598B1 KR1020240084338A KR20240084338A KR102769598B1 KR 102769598 B1 KR102769598 B1 KR 102769598B1 KR 1020240084338 A KR1020240084338 A KR 1020240084338A KR 20240084338 A KR20240084338 A KR 20240084338A KR 102769598 B1 KR102769598 B1 KR 10276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frame
outer frame
frame part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84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95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가 결합되어 건축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성형면을 이루는 패널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뤄짐에 따라, 거푸집 틀의 무게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양생과정 및 거푸집 내부에 배치된 각종 자재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자재 누락 등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틀{formwork}
본 발명은 복수개가 결합되어 건축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시공시 건축물의 슬래브나 벽체와 같은 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다수개의 거푸집틀을 이용하여 일정 형상의 거푸집을 조립한 다음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거푸집을 탈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반적인 거푸집틀은 벽체, 보 또는 내력 기둥과 같은 각종 구조물을 형성할 때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이다.
이러한 거푸집은 초기에는 나무 재질의 판재와 해당 판재의 후면 측에 결합되어 보강재 기능을 하는 각 빔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으며, 근래에는 금속 재질의 거푸집틀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재질로 되는 거푸집을 유로폼(euroform), 스틸 폼(steel form), 알폼(al-form)이라 한다.
여기서, 구조 강도가 강한 합금 알루미늄 재질로 되는 알폼(al-form)의 경우 연결용 핀을 박거나 해체하는 과정에서 낙하소음이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고, 금속재질의 특성상 무겁고 내부를 확인할 수 없으며 콘크리트와 쉽게 융화되기 때문에 성형면에 인체에 유해한 알류미늄 전용 박리제를 도포해야 하므로 작업지연 및 작업자가 사고위험에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1524호(등록일: 2002. 03. 29)에는 '합성 수지 판재와 프레임을 이용한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프레임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패널과 프레임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특성상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쉽게 파손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의 성형면을 이루는 패널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뤄짐에 따라, 거푸집틀의 무게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양생과정 및 거푸집 내부에 배치된 각종 자재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자재 누락 등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거푸집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널부를 지지하는 일부 지지프레임부의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뤄짐으로써 지지프레임부를 최소한으로 구비하여 무게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거푸집틀의 내구성은 향상시킨 거푸집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각틀로 이루어져 외곽프레임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강플레이트부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외부 충격에도 외곽프레임부의 파손을 현저히 줄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거푸집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각틀로 이루어져 내측에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부;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 사각틀로 이루어져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강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간을 차폐하는 패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성형면을 이루는 패널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뤄짐에 따라, 거푸집틀의 무게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양생과정 및 거푸집 내부에 배치된 각종 자재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자재 누락 등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패널부를 지지하는 일부 지지프레임부의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뤄짐으로써 지지프레임부를 최소한으로 구비하여 무게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거푸집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각틀로 이루어져 외곽프레임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강플레이트부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외부 충격에도 외곽프레임부의 파손을 현저히 줄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푸집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푸집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에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푸집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푸집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푸집틀(10)은, 사각틀로 이루어져 내측에 결합공간(301)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부(201); 결합공간(301)에 배치되며 양단이 외곽프레임부(201)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203); 사각틀로 이루어져 외곽프레임부(20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101)와 수직플레이트(101)로부터 절곡되어 지지프레임부(203)를 지지하는 수평플레이트(103)를 포함하는 보강플레이트부(105); 및 지지프레임부(203)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수평플레이트(103)와 연결되어 결합공간(301)을 차폐하는 패널부(107);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가 결합되어 건축물의 시공시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는 거푸집틀(10)에 관한 것으로,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외곽프레임부(201)는 사각틀로 이루어져 지지프레임부(203) 및 패널부(107)가 결합되는 결합공간(3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외곽프레임부(201)는 또 다른 외곽프레임부(201) 또는 보강플레이트부(105)와 나사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결할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체결공(303)이 형성된다.
한편, 외곽프레임부(201)는 내측면을 따라 지지프레임부(203)의 단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돌기(305)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돌기(305)는, 다수개가 외곽프레임부(201)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들에서는 안착돌기(305)가 외곽프레임부(201)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외곽프레임부(201)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곽프레임부(201)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되는 한쌍의 가로프레임(307) 및 양측 단부가 각각 가로프레임(307)에 결합되는 한쌍의 세로프레임(309)을 포함한다.
즉, 외곽프레임부(201)는 한쌍의 가로프레임(307)과 한쌍의 세로프레임(309)의 단부가 서로 결합되어 사각틀을 형성하면서 내측에 지지프레임부(203) 및 패널부(107)가 결합되는 결합공간(301)을 형성한다.
여기서, 가로프레임(307)의 길이(L1)는 일예로 1,193mm일 수 있으며, 가로프레임(307)의 길이(L1)가 1,193mm일 때 세로프레임(309)의 길이(L2)는 593mm일 수 있으며, 이때 가로프레임(307) 및 세로프레임(309)의 높이(H1)는 각각 58mm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가로프레임(307)의 길이(L1)는 2,392mm일 수 있으며, 가로프레임(307)의 길이(L1)가 2,392mm일 때 세로프레임(309)의 길이(L2)는 443mm 또는 593mm일 수 있으며, 이때 가로프레임(307) 및 세로프레임(309)의 높이(H1)는 각각 58mm일 수 있다.
이러한 가로프레임(307)과 세로프레임(309)은 결합공간(301)을 향하는 면에 안착돌기(305)가 형성되며, 다수의 체결공(303)이 관통형성된다.
계속해서, 지지프레임부(203)는 결합공간(301)에 배치되며, 양측 단부가 외곽프레임부(201)에 결합되어 패널부(107)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지프레임부(203)는 복수개가 결합공간(301)의 내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패널부(107)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부(203)는 패널부(107)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지지프레임부(203)는 일예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부(2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지지프레임부(203)는 결합공간(301)에서 양단이 외곽프레임부(201)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311); 및 제1지지프레임(311)과 일정간격 이격되고 양단이 외곽프레임부(201)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313)과 지지프레임(313)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보강프레임(315)을 포함하는 제2지지프레임(317);을 포함한다.
제1지지프레임(311)은 결합공간(301)에 배치되며 외곽프레임부(201)의 내측면에 형성된 안착돌기(305)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이러한 제1지지프레임(311)은 세로프레임(309)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양측 단부가 안착돌기(305)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제2지지프레임(317)은 결합공간(301)의 내측에서 제1지지프레임(311)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양측 단부가 안착돌기(305)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이러한 제2지지프레임(317)은 지지프레임(313)과 보강프레임(315)을 포함한다.
먼저, 지지프레임(313)은 결합공간(301)의 내측에서 제1지지프레임(311)과 일정간격 이격되며 양측 단부가 안착돌기(305)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313)은 제1지지프레임(311)과 마찬가지로 세로프레임(309)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 형상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강프레임(315)은 지지프레임(313)의 하측면에서 돌출연장되어 지지프레임(313)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2지지프레임(317)은 측면에서 보았을때 대략 'T'자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다수개의 홀(h)이 관통형성되어 전체 무게를 줄이면서도 강도는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홀(h)이 형성된 제2지지프레임(317)이 구비됨에 따라, 외곽프레임부(201)를 보강하면서 패널부(107)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부(203)의 갯수를 최소화 하여 전체 무게를 줄이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보강플레이트부(105)는 사각틀로 이루어지며, 외곽프레임부(201)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외곽프레임부(201)를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강플레이트부(105)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FRP: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처럼 본 발명은 외곽프레임부(201)의 외측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부(105)가 저중량의 고강도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무게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등에 의한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한편, 가로프레임(307)의 길이(L1)가 1,193mm일 때, 가로프레임(307)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부(105)의 길이(L3)는 1,201mm이고 세로프레임(309)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부(105)의 길이(L4)는 601mm일 수 있으며, 이때 보강플레이트부(105)의 높이(H2)는 58mm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가로프레임(307)의 길이(L1)가 2,392mm일 때, 가로프레임(307)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부(105)의 길이(L3)는 2,400mm이고 세로프레임(309)에 결합되는 보강플레이트부(105)의 길이(L4)는 451mm 또는 601mm일 수 있으며, 이때 보강플레이트부(105)의 높이(H2)는 58mm일 수 있다.
이러한 보강플레이트부(105)는 수직플레이트(101)와 수평플레이트(103)를 포함한다.
수직플레이트(101)는 사각틀로 이루어져 외곽프레임부(201)를 감싸도록 외곽프레임부(201)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수직플레이트(101)는 외곽프레임부(201)에 형성된 체결공(303)과 연통되는 결합홀(319)이 형성되는데, 이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거푸집틀(10)은 복수개가 나사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플레이트(103)는 수직플레이트(101)로부터 절곡되어 지지프레임부(203)를 지지한다.
또한, 수평플레이트(103)는 수직플레이트(101)와 마찬가지로 사각틀로 이루어져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패널부(107)에 밀착됨으로써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성형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수평플레이트(103)는 패널부(107)와 밀착되는 테두리를 따라 패널부(107)가 삽입되는 패널결합홈(501)이 함몰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강플레이트부(105)는, 수평플레이트(103)로부터 결합공간(301)으로 돌출되어 패널부(107)가 지지되는 패널지지돌기(321);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패널지지돌기(321)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부(203)의 사이에 복수개가 돌출형성되어 지지프레임부(203)와 함께 패널부(107)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보강플레이트부(105)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강플레이트부(105)는, 수직플레이트(101)와 수평플레이트(103)가 형성되되 외곽프레임부(20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측면플레이트(323); 및 외곽프레임부(201)의 모서리에 결합되며 측면플레이트(323)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모서리플레이트(325);를 포함한다.
측면플레이트(323)는 복수개로 이루어지며 서로 연결되거나 모서리플레이트(325)와 연결되어 외곽프레임부(201)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측면플레이트(323)는 가로프레임(307)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1측면플레이트(327)와 세로프레임(309)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제2측면플레이트(329)를 포함한다.
제1측면플레이트(327)는 가로프레임(307)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복수개가 서로 연결되면서 가로프레임(307)에 결합되어 가로프레임(307)을 보강한다.
제2측면플레이트(329)는 세로프레임(309)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세로프레임(309)에 결합되어 세로프레임(309)을 보강한다.
여기서, 제1측면플레이트(327)와 제2측면플레이트(329)는 수직플레이트(101)와 수직플레이트(101)로부터 절곡되며 패널지지돌기(321) 및 패널결합홈(501)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103)를 포함한다.
즉, 제1측면플레이트(327)와 제2측면플레이트(329) 각각은 단면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모서리플레이트(325)는 외곽프레임부(201)의 모서리에 결합되는데, 이때 어느 한쪽 단부는 제1측면플레이트(327)의 단부와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제2측면플레이트(329)의 단부 연결된다.
물론, 모서리플레이트(325) 또한 수직플레이트(101)와 패널결합홈(501)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103)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패널부(107)는 지지프레임부(203)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수평플레이트(103)와 연결되어 결합공간(301)을 차폐하면서 콘크리트를 양생하기 위한 성형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패널부(107)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거푸집의 내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예로 패널부(107)는 투명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패널부(107)는 수평플레이트(103)와 밀착되는 외측 테두리를 따라 패널결합홈(501)에 삽입되는 씰링돌기(50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패널부(107)가 밀착되는 수평플레이트(103)의 단부를 따라 패널결합홈(501)이 형성되고, 패널부(107)의 단부를 따라 패널결합홈(501)에 삽입되는 씰링돌기(503)가 형성됨으로써, 수평플레이트(103)와 패널부(107)가 홈, 돌기 구조를 통해 씰링구조를 형성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시 콘크리트 등이 거푸집의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성형면을 이루는 패널부(107)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이뤄짐에 따라, 거푸집틀(10)의 무게를 현저히 줄이면서도 양생과정 및 거푸집 내부에 배치된 각종 자재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어 자재 누락 등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각틀로 이루어져 외곽프레임부(201)를 감싸도록 구성된 보강플레이트부(105)가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외부 충격에도 외곽프레임부(201)의 파손을 현저히 줄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거푸집틀
101 : 수직플레이트
103 : 수평플레이트
105 : 보강플레이트부
107 : 패널부
201 : 외곽프레임부
203 : 지지프레임부
301 : 결합공간
303 : 체결공
305 : 안착돌기
307 : 가로프레임
309 : 세로프레임
311 : 제1지지프레임
313 : 지지프레임
315 : 보강프레임
317 : 제2지지프레임
319 : 결합홀
321 : 패널지지돌기
323 : 측면플레이트
325 : 모서리플레이트
327 : 제1측면플레이트
329 : 제2측면플레이트
501 : 패널결합홈
503 : 씰링돌기

Claims (5)

  1. 사각틀로 이루어져 내측에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부;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
    사각틀로 이루어져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강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간을 차폐하는 패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부는,
    상기 수평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결합공간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널부가 지지되는 패널지지돌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틀.
  2. 사각틀로 이루어져 내측에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부;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
    사각틀로 이루어져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강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간을 차폐하는 패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플레이트부는,
    상기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가 형성되되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모서리에 결합되며 상기 측면플레이트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모서리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틀.
  3. 사각틀로 이루어져 내측에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외곽프레임부;
    상기 결합공간에 배치되며 양단이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부;
    사각틀로 이루어져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와 상기 수직플레이트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지지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수평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강플레이트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부에 밀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공간을 차폐하는 패널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곽프레임부는,
    내측면을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부의 단부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상기 결합공간에서 양단이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 및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일정간격 이격되고 양단이 상기 외곽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으로부터 돌출연장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지지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틀.
  5. 삭제
KR1020240084338A 2024-05-08 2024-06-27 거푸집틀 Active KR102769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40060407 2024-05-08
KR1020240060407 2024-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69598B1 true KR102769598B1 (ko) 2025-02-19

Family

ID=9482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4338A Active KR102769598B1 (ko) 2024-05-08 2024-06-27 거푸집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95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01B1 (ko) * 2008-02-21 2008-08-29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연결구조
KR102151343B1 (ko) * 2019-04-01 2020-09-02 김명준 거푸집용 프레임부재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01B1 (ko) * 2008-02-21 2008-08-29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 연결구조
KR102151343B1 (ko) * 2019-04-01 2020-09-02 김명준 거푸집용 프레임부재와 이를 이용한 거푸집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70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1683641B1 (ko) 거푸집 선조립형 기둥 구조물
KR101781603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2011835B1 (ko)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20100009969U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20210093114A (ko)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KR102149461B1 (ko) 데크가 용접 설치될 수 있는 보 거푸집
KR102011838B1 (ko)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보 구조물
KR200448085Y1 (ko) 거푸집패널 조립식 프레임
KR102769598B1 (ko) 거푸집틀
KR102115990B1 (ko) 거푸집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선조립 보 구조물
KR102115986B1 (ko) 거푸집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102769599B1 (ko) 거푸집틀
KR101818060B1 (ko) 수벽 처리용 프레임이 구비된 거푸집 일체형 보 구조물
KR101660760B1 (ko) 건물 개구부에 대한 내부 부착형 내진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보강방법
KR10100242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인코너부재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KR102012470B1 (ko) 벽체와 연결보의 프레임유닛 및 이를 이용한 건축구조물 시공방법
KR101326176B1 (ko) 거푸집용 폼
KR102491433B1 (ko) 보데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보데크
KR20220090968A (ko) 다기능 커튼월 시스템
KR102550738B1 (ko) 건축용 다목적 보거푸집
KR102344553B1 (ko) 건축물 프레임 구조
KR20240139854A (ko) 마그네슘 거푸집 조립체
KR102516906B1 (ko) 콘크리트 기둥의 철골보 연결부 거푸집 조인트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6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