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9334B1 -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9334B1
KR102769334B1 KR1020210140179A KR20210140179A KR102769334B1 KR 102769334 B1 KR102769334 B1 KR 102769334B1 KR 1020210140179 A KR1020210140179 A KR 1020210140179A KR 20210140179 A KR20210140179 A KR 20210140179A KR 102769334 B1 KR102769334 B1 KR 102769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bovine
fecal
group
rotavir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305A (ko
Inventor
김현식
원태웅
배진우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0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933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9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93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50Livestock or poultry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은 육성기(12개월) 및 비육기(24개월) 단계에서 현저한 증체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도축 이후 도체중, 등심면적 및 근내지방 등급이 우수한 것을 확인한바, 이는 축산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eight gain in livestock comprising fecal microbiota}
본 발명은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송아지 설사는 원인이 매우 다양한 다인성 질병(multifactorial etiology of the disease)으로 알려져 있다. 축사의 청결상태, 어미소의 유질, 온도, 습도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더불어 바이러스(예: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ovine coronavirus, and group A rotavirus), 박테리아(예: Salmonella sp., and Clostridium perfringens), 원충(예: Eimeria zuernii) 등에 의한 감염 등이 송아지 설사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하지만 반추동물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신생아 설사(neonatial diarrhea)를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앞서 언급된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은 설사 증세와 관계없이 건강한 개체에서도 빈번히 관찰되며(Case-control study of microbiological etiology associated with calf diarrhea(2013), Vet microbiol), 반대로 설사 증세가 심한 개체에서 설사 유발 병원성 미생물의 감염이 전혀 발견되지 않음이 보고되었다.
갓 태어난 송아지의 장내미생물 군집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출생 초기 어미소로부터 유래한 장내미생물 군집 중 Proteobacteria와 같은 호기성 미생물(aerobic microbes)이 우점하며, 이들이 장내 환경의 산소를 소진하며 혐기성 미생물(anaerobic microbes)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Proteobacteria: microbial signature of dysbiosis in gut microbiota(2015), Trends Biotechnol) 이와 같은 초기 장내미생물 군집 형성 과정은 장내 환경에 정착 저항성(colonization resistance)를 부여하여 외부에서 유래된 병원성 미생물(allochthonous enteric pathogens)의 감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갓 태어난 송아지의 불완전한 초기 장내미생물 군집 형성 및 이에 따른 송아지의 장내미생물 군집 불균형(gut microbial dysbiosis)은 설사를 비롯한 다양한 장질환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소를 사육하는 과정에서 어린 시기의 가축들에게 설사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병이고, 폐사율도 높아 경제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지만 아직까지 항생제의 사용이나 호기적 조건에서 살 수 있는 미생물제제의 사용 외에는 별다른 대안이 없는 실정이다. 항생제를 사용할 경우 미생물에 의존적인 가축들의 성장에도 영향을 주고, 잔류 항생제의 문제, 항생제 내성에 의한 슈퍼박테리아의 출현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미생물제제들은 분리가 굉장히 쉽고, 작용기전의 명확한 생물학적 근거가 없을 뿐만 아니라 호기적 조건에서도 쉽게 자라는 미생물이지만 실제 가축들의 장내에서는 혐기성 균주들이 면역, 대사적으로 미치는 효과가 훨씬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변무리이식(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FMT)은 Clostridium difficile의 감염에 의해 심한 설사를 동반하는 환자들에게 엄격한 기준들로 선정한 건강한 사람들의 분변을 이식하여 치료하도록 미국에서 고안된 방법이다.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보다는 균형 있는 미생물균총의 유지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사료 조성물을 개발하고, 상기 조성물의 증체 효과 및 도축 등급 향상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 가축으로부터 대변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대변을 전해질 및 글리세롤과 혼합하여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분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의 분변 혼합액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가축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증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육량 및 육질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가축으로부터 대변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대변을 전해질 및 글리세롤과 혼합하여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분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의 분변 혼합액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가축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증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육량 및 육질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은 육성기(12개월) 및 비육기(24개월) 단계에서 현저한 증체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도축 이후 도체중, 등심면적 및 근내지방 등급이 우수한 것을 확인한바, 이는 축산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대변무리 이식, 체중 측정 및 도축 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대변무리 이식에 따른 송아지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FMT : 대변무리 이식 그룹, CON : 전해질 투여 그룹, ABX : 항생제 투여 그룹).
도 3은 체중 측정 결과를 토대로 증체량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FMT : 대변무리 이식 그룹, CON : 전해질 투여 그룹, ABX : 항생제 투여 그룹).
도 4는 도축 후 도체중, 근내지방등급 및 등심단면적을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FMT : 대변무리 이식 그룹, CON : 전해질 투여 그룹, ABX : 항생제 투여 그룹).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생물총(microbiota)은 어떤 구역에 있어서의 현미경적 생물군으로, 어떤 구역의 미생물총과 미소동물총을 합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변 미생물총은 대변에서 발견되는 미생물(박테리아, 효모 및 진균)의 세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대변 미생물총은 건강한 가축 유래의 대변 미생물총으로, 상기 건강한 가축은 하기의 조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i)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결핵(tuberculosis), 전염성 소 늑막폐렴(contagious bovine pleuropneumonia), 탄저병(anthrax) 또는 브루셀라병(brucellosis)에 감염된 병력이 없을 것
(ii) 항생제, 항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의 투여기록이 없을 것
(iii) 가축의 분변이 Fecal consistency score를 기준으로 1(단단함)-7(설사) 단계로 나누었을 때, 3-4 단계에 해당하는 분변을 배설할 것
(iv) group A rotavirus, group B rotavirus, group C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bovine torovirus, bovine norovirus, bovine enteric Nebraska-like calicivirus, bovine nebovirus, bovine viral diarrhea virus, Clostridium perfringens, Salmonella enterica,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imeria zuerni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대해 감염 진단 유전자 증폭 검사 (dignostic multiplex PCR)에서 양성을 나타내지 않을 것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글리세롤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액은 대변 5g; 및 4% 전해질 및 10% 글리세롤이 포함된 50ml 용액;을 혼합한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가축은 소, 양, 닭, 오리, 거위, 꿩, 돼지, 소, 염소, 개 및 고양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가축은 설사 증상을 보이는 가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사 증상을 보이는 가축에서도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할 경우 현저한 증체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육성기 또는 비육기 증체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육성기는 한우의 경우 생후 3-4개월령에서 12-13개월까지이며 이유를 마친 어린 동물을 성장, 발육시키는 기간이므로 구체적인 기간은 농가 별, 축종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비육기는 가축이 살이 찌는 시기이며 주로 지방 축적을 하는 성장 단계로 육성기 이후부터 출하 전까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사료첨가제 또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료첨가제는 영양적 또는 특정 목적을 위하여 사료에 미량으로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첨가제는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 그 자체이거나 공지의 사료 첨가물들과 일정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배합되는 경우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은 사료첨가제 전체 중량에서 0.01 내지 99 중량%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배합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0.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한다. 배합사료의 일 예로 옥수수 53.71중량%, 대두박 23.2중량%, 채종박 1.0중량%, 옥배아박 2.0중량%, 주정박 3.0중량%, 소맥피 2.7중량%, 감자전분 0.3중량%, 유지 2.8중량%, 탄산칼슘 9.9중량%, 제2인산칼슘 0.68중량%, 염화나트륨 0.23중량%, 인 분해효소제 0.03중량%, 염화콜린 0.05중량%, 메치오닌 0.2중량%, 미네랄 믹스 0.1중량%, 비타민 믹스 0.1중량%로 조성된다. 이외에도 통상적인 양계용 배합사료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배합사료는 사육대상인 가축의 종류에 따라 소, 돼지, 오리 등의 배합사료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사료 조성물을 급여하여 가축을 사육할 수 있으며, 가축의 사육 시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물에 희석하여 식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물 100ℓ에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 100 내지 500㎖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당업자가 예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다른 기타 영양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은 상업적으로 통상적인 동물 사료 조성물 내로 혼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소, 돼지, 양, 가금류 등에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은 통상적인 동물 사료 구성 성분들과 혼합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정제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통상적인 동물 사료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옥수수, 보리, 귀리, 대두, 어분, 겨, 대두유, 무기물, 미량 원소, 아미노산 및 비타민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가축으로부터 대변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대변을 전해질 및 글리세롤과 혼합하여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분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의 분변 혼합액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가축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증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a)의 가축은 하기의 조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는 가축인 것이 바람직하다.
(i)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결핵(tuberculosis), 전염성 소 늑막폐렴(contagious bovine pleuropneumonia), 탄저병(anthrax) 또는 브루셀라병(brucellosis)에 감염된 병력이 없을 것
(ii) 항생제, 항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의 투여기록이 없을 것
(iii) 가축의 분변이 Fecal consistency score를 기준으로 1(단단함)-7(설사) 단계로 나누었을 때, 3-4 단계에 해당하는 분변을 배설할 것
(iv) group A rotavirus, group B rotavirus, group C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bovine torovirus, bovine norovirus, bovine enteric Nebraska-like calicivirus, bovine nebovirus, bovine viral diarrhea virus, Clostridium perfringens, Salmonella enterica,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imeria zuerni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에 대해 감염 진단 유전자 증폭 검사 (dignostic multiplex PCR)에서 양성을 나타내지 않을 것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c)의 가축은 설사 증상을 보이는 가축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방법이 설사 증상을 보이는 개체에서도 우수한 증체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단계(c)의 투여는 경구투여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육량 및 육질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상기 육질 개선은 근내지방등급(intramuscular fat) 및 등심단면적(sirloin area) 개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근내지방등급은 소고기를 구분하는 요소의 하나로, 마블링이라고도 불리운다. 근내지방등급은 축산물품질평가원에 소속된 등급판정사들이 각 도축장에서 근육내에 지방분포 정도, 육색, 성숙도 등을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1-9단계까지 평가하며, 숫자가 높을수록 높은 등급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등심단면적은 도축된 소의 등심 단면의 크기를 측정한 수치를 의미한다. 도축된 소의 등심단면적의 수치가 높을수록 고가에 거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육량 및 육질 개선용 사료 조성물은 육량(즉, 도체중) 뿐만 아니라 육질 개선 효과가 우수한바, 축산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건강한 분변공여 송아지 선별
대변무리 이식을 위한 분변공여 송아지를 선별하였다. 구체적인 선별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생후 21-50일령의 송아지 중 농림부령이 정하는 제 1종 및 2종 가축전염병(foot-and-mouth disease, contagious bovine pleuropneumonia, anthrax 또는 brucellosis)을 앓고 있지 않고, 눈, 코, 귀, 엉덩이에 분비물이 없고, 모색이 좋고, 움직임이 활발한 송아지를 1차로 선별하였다.
(2) 생후 2주일-1개월 이내의 송아지 중에서 항생제, 항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미생물 군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품의 투여 기록이 없는 송아지를 2차로 선별하였다.
(3) Fecal consistency score를 기준으로, 송아지의 분변을 1(단단함)-7(설사) 단계로 나누어 3-4 단계에 해당하는 분변을 3차로 선별하였다.
(4) Dignostic multiplex PCR 기법을 이용해서 송아지의 설사를 유발한다고 보고된 RNA viruse(group A rotavirus, group B rotavirus, group C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bovine torovirus, bovine norovirus, bovine enteric Nebraska-like calicivirus, bovine nebovirus 또는 bovine viral diarrhea virus), Bacterial pathogen(Clostridium perfringens, Salmonella enterica,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또는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및 원충(Eimeria zuernii)을 타켓으로 검사하여 양성의 반응이 나타나면 해당 분변은 모두 폐기하였다.
후술되는 실험은 도 1의 일정과 같이 수행되었다.
실시예 2. 대변무리 이식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분변 공여 송아지로부터 분변을 채취하였다. 확보된 5g의 분변을 4부피% 전해질, 10부피% 글리세롤이 포함된 50ml 용액과 혼합하여 분변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전해질은 가축의 탈수를 방지하는 경구 투여용 분말로 나트륨, 칼륨, 포도당을 주 성분으로 하며 사용 전 따뜻한 물에 타서 탈수 (dehydration) 및 대사성산증 (acidosis) 증세가 있는 송아지에게 급여한다. 본 실험에 사용한 전해질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4.68% 시트르산나트륨 (w/v), 2.29% 프로피온산나트륨 (w/v), 3.92% 아세트산나트륨 (w/v), 5.59% 염화나트륨 (w/v), 3.56% 염화칼륨 (w/v), 75.2% 포도당 (w/v), 0.1% 선셋옐로우 (w/v), 3.0% 이산화규소 (w/v), 1.62% 인산칼륨 (w/v)].
제조된 분변 혼합액을 급속냉동시켰다. 상기 10% 글리세롤은 저온 환경에서 미생물 세포의 파괴를 막는 역할을 한다.
대변 무리 이식을 위하여, 냉동된 분변 혼합액을 온수중탕방법(1시간)으로 충분하게 녹였으며, 산소의 접촉을 최대한 줄였다. 이 후, 설사증세를 보이는 송아지에게 12시간 간격으로 3차례 경구투여하였다. 필요 시 설사 8일차, 48일차에 추가적으로 투여하였다.
설사증세를 보이는 송아지를 무작위로 선별하여 대변무리 이식 송아지 20마리, 전해질 투여 대조군 송아지 14마리, 항생제 투여 대조군 송아지 23마리에게 분변 혼합액, 전해질 혼합액, 항생제를 각각 12시간 간격으로 3차례 경구투여하였다. 상기 전해질 투여 대조군(CON)은 동량의 전해질/글리세롤 혼합액을 경구투여한 그룹으로, FMT 혼합액 제조과정에서 분변 현탁을 위해 사용되는 4부피% 전해질, 10부피% 글리세롤이 포함된 50ml 용액에 의한 효과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상기 항생제 투여 대조군(ABX)은 동량의 전해질/글리세롤 용액에 분말 형태의 neomycin을 1g 혼합하여 경구투여한 그룹으로, 농장에서 설사 송아지에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실시예 3. 송아지의 체중 측정
대변무리 이식 송아지 20마리, 전해질 투여 대조군 송아지 12마리(폐사로 인해 2마리 제외), 항생제 투여 대조군 송아지 19마리(폐사로 인해 4마리 제외)의 생후 6개월, 12개월, 24개월령의 체중을 각각 측정하였다. 체중 측정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그룹에서 6개월 체중은 차이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12개월 및 24개월 대변무리 이식 송아지 그룹(FMT)은 암/수 모두 전해질 투여 그룹(CON) 및 항생제 투여 그룹(ABX)과 비교하여 체중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체중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6-12개월 체중 증가량 및 12-24개월 체중 증가량을 산출하였다. 체중 증가량 산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수 모두 대변무리 이식 그룹(FMT)은 전해질 투여 그룹(CON) 및 항생제 투여 그룹(ABX)에 비해 증체량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도축성적 분석
실험에 이용된 개체를 충청북도 청주에 위치한 팜스토리 한국냉장 LPC 도축장에서 도축한 뒤 도체중(dressed weight), 근내지방등급(intramuscular fat) 및 등심단면적(sirloin area)을 산출하였다. 상기 도체중은 도축된 소의 머리, 다리, 우피, 지방, 내장 등 부산물을 제외한 무게를 의미한다. 또한. 근내지방등급은 흔히 마블링이라고 일컫는 용어로 축산물품질평가원에 소속된 등급판정사들이 각 도축장에서 근육내에 지방분포 정도, 육색, 성숙도 등을 체크하여 종합적으로 1-9단계까지 평가하는 것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높은 등급이다. 상기 등심단면적 등심단면의 크기를 측정한 수치로 단면적이 넓을수록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소의 도축성적을 분석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변무리 이식 그룹(FMT)은 성별에 상관없이 전해질 투여 그룹(CON) 및 항생제 투여 그룹(ABX)에 비해 도체중, 등심단면적 및 근내지방 등급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도체중의 경우 대변무리 이식 그룹(FMT)의 수컷 개체들은 평균 473kg으로 도축성적을 기준으로 전국 상위 10% 농가의 평균 출하 도체중인 442kg보다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등심단면적의 경우 대변무리 이식 그룹(FMT)의 수컷 개체들은 평균 113cm2으로 전국 상위 10% 농가의 평균 출하 등심단면적 98cm2보다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근내지방 등급의 경우 대변무리 이식 그룹(FMT)의 수컷 개체들은 평균 7.4으로 전국 상위 10% 농가의 평균 근내지방 등급 6.5보다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설사하는 송아지에 대변무리를 이식을 통해 건강한 송아지의 대변 미생물총을 이식해줄 경우 육성기(12개월) 및 비육기(24개월) 단계에서 증체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도축 이후 도체중, 등심면적 및 근내지방 등급이 우수한 것을 확인한바, 이는 축산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육성기 또는 비육기 소이고,
    상기 조성물은 도체중 증가, 근내지방등급(intramuscular fat) 개선 및 등심단면적(sirloin area)을 증진하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글리세롤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대변 미생물총은 건강한 소 유래의 대변 미생물총으로, 상기 건강한 소는 하기의 조건을 충족하는 소인 것인, 가축 증체용 사료 조성물:
    (i)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결핵(tuberculosis), 전염성 소 늑막폐렴(contagious bovine pleuropneumonia), 탄저병(anthrax) 또는 브루셀라병(brucellosis)에 감염된 병력이 없을 것;
    (ii) 항생제, 항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의 투여기록이 없을 것;
    (iii) 가축의 분변이 Fecal consistency score를 기준으로 1(단단함)-7(설사) 단계로 나누었을 때, 3-4 단계에 해당하는 분변을 배설할 것; 및
    (iv) group A rotavirus, group B rotavirus, group C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bovine torovirus, bovine norovirus, bovine enteric Nebraska-like calicivirus, bovine nebovirus, bovine viral diarrhea virus, Clostridium perfringens, Salmonella enterica,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imeria zuernii에 대해 감염 진단 유전자 증폭 검사 (dignostic multiplex PCR)에서 양성을 나타내지 않을 것.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설사 증상을 보이는 가축인, 가축 증체용 사료 조성물.
  6. 삭제
  7.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가축은 육성기 또는 비육기 소이고,
    상기 조성물은 도체중 증가, 근내지방등급(intramuscular fat) 개선 및 등심단면적(sirloin area)을 증진하고,
    상기 조성물은 상기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글리세롤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대변 미생물총은 건강한 소 유래의 대변 미생물총으로, 상기 건강한 소는 하기의 조건을 충족하는 소인 것인, 가축 증체용 사료 첨가제 조성물:
    (i)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결핵(tuberculosis), 전염성 소 늑막폐렴(contagious bovine pleuropneumonia), 탄저병(anthrax) 또는 브루셀라병(brucellosis)에 감염된 병력이 없을 것;
    (ii) 항생제, 항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의 투여기록이 없을 것;
    (iii) 가축의 분변이 Fecal consistency score를 기준으로 1(단단함)-7(설사) 단계로 나누었을 때, 3-4 단계에 해당하는 분변을 배설할 것; 및
    (iv) group A rotavirus, group B rotavirus, group C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bovine torovirus, bovine norovirus, bovine enteric Nebraska-like calicivirus, bovine nebovirus, bovine viral diarrhea virus, Clostridium perfringens, Salmonella enterica,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imeria zuernii에 대해 감염 진단 유전자 증폭 검사 (dignostic multiplex PCR)에서 양성을 나타내지 않을 것.
  8. (a) 가축으로부터 대변을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의 대변을 전해질 및 글리세롤과 혼합하여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분변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단계(b)의 분변 혼합액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가축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a)의 가축은 하기의 조건을 충족하는 소인 것인, 가축 증체 방법으로서,
    상기 가축 증체는 육성기 또는 비육기 소의 도체중 중가, 근내지방등급(intramuscular fat) 개선 및 등심단면적(sirloin area) 증진인 것인, 가축 증체 방법:
    (i)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결핵(tuberculosis), 전염성 소 늑막폐렴(contagious bovine pleuropneumonia), 탄저병(anthrax) 또는 브루셀라병(brucellosis)에 감염된 병력이 없을 것;
    (ii) 항생제, 항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의 투여기록이 없을 것;
    (iii) 가축의 분변이 Fecal consistency score를 기준으로 1(단단함)-7(설사) 단계로 나누었을 때, 3-4 단계에 해당하는 분변을 배설할 것; 및
    (iv) group A rotavirus, group B rotavirus, group C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bovine torovirus, bovine norovirus, bovine enteric Nebraska-like calicivirus, bovine nebovirus, bovine viral diarrhea virus, Clostridium perfringens, Salmonella enterica,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imeria zuernii에 대해 감염 진단 유전자 증폭 검사 (dignostic multiplex PCR)에서 양성을 나타내지 않을 것.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가축은 설사 증상을 보이는 것인, 가축 증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투여는 경구투여인, 가축 증체 방법.
  12.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육량 및 육질 개선용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육성기 또는 비육기 소의 도체중을 증진하고, 상기 동종 유래 대변 미생물총(fecal microbiota)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글리세롤의 혼합액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대변 미생물총은 건강한 소 유래의 대변 미생물총으로, 상기 건강한 소는 하기의 조건을 충족하는 소인 것인, 육량 및 육질 개선용 사료 조성물:
    (i) 구제역(foot-and-mouth disease), 결핵(tuberculosis), 전염성 소 늑막폐렴(contagious bovine pleuropneumonia), 탄저병(anthrax) 또는 브루셀라병(brucellosis)에 감염된 병력이 없을 것;
    (ii) 항생제, 항진균제 또는 항바이러스제의 투여기록이 없을 것;
    (iii) 가축의 분변이 Fecal consistency score를 기준으로 1(단단함)-7(설사) 단계로 나누었을 때, 3-4 단계에 해당하는 분변을 배설할 것; 및
    (iv) group A rotavirus, group B rotavirus, group C rotavirus, bovine coronavirus, bovine torovirus, bovine norovirus, bovine enteric Nebraska-like calicivirus, bovine nebovirus, bovine viral diarrhea virus, Clostridium perfringens, Salmonella enterica, Salmonella enterica typhimurium, enterotoxigenic Escherichia coli, shigatoxigenic Escherichia coli,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imeria zuernii에 대해 감염 진단 유전자 증폭 검사 (dignostic multiplex PCR)에서 양성을 나타내지 않을 것.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육질 개선은 근내지방등급(intramuscular fat) 및 등심단면적(sirloin area) 개선인, 육량 및 육질 개선용 사료 조성물.
KR1020210140179A 2021-10-20 2021-10-20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 Active KR102769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179A KR102769334B1 (ko) 2021-10-20 2021-10-20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179A KR102769334B1 (ko) 2021-10-20 2021-10-20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305A KR20230056305A (ko) 2023-04-27
KR102769334B1 true KR102769334B1 (ko) 2025-02-14

Family

ID=86100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179A Active KR102769334B1 (ko) 2021-10-20 2021-10-20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93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1380A (zh) 2016-10-25 2017-03-22 重庆市畜牧科学院 一种粪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182925A (zh) * 2017-06-12 2017-09-22 浙江大学 粪便菌群移植技术及其应用
CN110974851A (zh) * 2020-01-03 2020-04-10 四川农业大学 一种缓解断奶仔猪腹泻的藏猪粪菌胶囊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298B1 (ko) * 2000-03-20 2004-05-04 조정일 축산 사료 첨가용 및 축분 처리용 미생물제제
KR200210202Y1 (ko) * 2000-06-27 2001-01-15 박효근 발광귀걸이
KR20040106673A (ko) * 2003-06-11 2004-12-18 주식회사 코미팜 가축의 설사 및 탈수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치료방법
DE102004026706A1 (de) * 2004-05-28 2005-12-15 Merck Patent Gmbh Orale Darreichungsform enthaltend probiotische Bakterien
CN102843921B (zh) * 2010-04-26 2015-11-25 酶学技术有限公司 用于促进肠道菌群发育的方法和脂质组合物
KR20170109751A (ko) * 2016-03-22 2017-10-10 박민경 동물의 대변을 이용한 동물대변 미생물의 제조방법
GB201609811D0 (en) * 2016-06-05 2016-07-20 Snipr Technologies Ltd Methods, cells, systems, arrays, RNA and kits
EP3600304A4 (en) * 2017-03-28 2021-01-06 IRP Health Pty Ltd BERBERINE ALKALOIDS IN THE PREVENTION AND / OR TREATMENT OF INTESTINAL DISEASE
KR102350473B1 (ko) * 2018-03-23 2022-01-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기능 개선 또는 장내 유익균 증가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1380A (zh) 2016-10-25 2017-03-22 重庆市畜牧科学院 一种粪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182925A (zh) * 2017-06-12 2017-09-22 浙江大学 粪便菌群移植技术及其应用
CN110974851A (zh) * 2020-01-03 2020-04-10 四川农业大学 一种缓解断奶仔猪腹泻的藏猪粪菌胶囊及其制备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arly Life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in Neonatal Dairy Calves Promotes Growth Performance and Alleviates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during Weaning" Animals 11, 2704. (20210915)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의 최근 동향"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2014) Vol. 50, No. 4, pp. 265-274
한우신문 "마이크로바이옴, 육질·증체량 조절…설사치료까지"(202102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305A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89038A1 (en) Yeast And Bacterial Probiotics Combinations And Methods Of Use To Improve Swine Production
EP2007222A2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increased productivity in animals
DK2371226T3 (en) BILD SALT ADJUSTMENT TO ANIMALS TO IMPROVE THE FAT USE EFFECTIVENESS OF ANIMAL ORGANIZATIONS
EP0706397A1 (en) Animal husbandry methods and compositions therefor
Johnson Jr et al. Effect of addition of inedible tallow to a calf starter fed to Holstein calves
KR102769334B1 (ko) 대변 미생물총을 포함하는 가축 증체용 조성물
Pontarolo et al. Effects of including autolyzed yeast in the finishing of feedlot steers.
Jatta et al. Effect of different dietary levels of concentrate and roughage for optimum growth performance in Thalli lambs.
JPS5811828B2 (ja) 飼料及び飼料添加剤
RU2211578C1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кисолан" и способ ее скармливания
El-Karim et al. Cyclophosphamide hepatotoxicity: The role of 4-hydroxynonenal and cytochrome C oxidase and the possible protective effect of Ganoderma lucidum extract
CN108617856A (zh) 苯甲酸锌在制备动物饲料添加剂中的应用
RU2749752C2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животного
Ambar et al. Effect of stocking density and dietary phyt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in rabbit during summer season
US20210299152A1 (en) Or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ffecting mammalian offspring
Lückstädt Effects of dietary potassium diformate on feed intake, weight loss and back fat reduction in sows: Pre-farrowing till weaning
Yunus Effect of Probiotic (RE3) supplement on growth performance, diarrhea incidence and blood parameters of N’dama calves
Lyons Goal 2000: a truly global science-based company that responds rapidly to emerging issues.
JP2583382B2 (ja) スベリヒユを含有する家畜、家禽用の飼料
Coates et al. Vitamins in animal nutrition
KR102136559B1 (ko) 케피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및 사료 첨가제
Onabanjo et al. Microbial population and blood profile of finisher broiler chicken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Crina poultry plus®.
Pavlović et al. Impact of inorganic phosphorus in broilers diet on bone mineralization
Sardinha Use of narasin for lactating ewes and feedlot lambs
AU202341484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roved utilization of non-digestible fiber in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5010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