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8244B1 - Uterine cervical stent assembly - Google Patents
Uterine cervical stent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8244B1 KR102768244B1 KR1020220108810A KR20220108810A KR102768244B1 KR 102768244 B1 KR102768244 B1 KR 102768244B1 KR 1020220108810 A KR1020220108810 A KR 1020220108810A KR 20220108810 A KR20220108810 A KR 20220108810A KR 102768244 B1 KR102768244 B1 KR 1027682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cervix
- guide
- projection piece
- connecting proj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3679 cervix uteri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0
- 210000004291 uterus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798 Uterine leiomy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6018 endometrial polyp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260 leiomy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6811 uterine polyp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17/4241—Instruments for manoeuvring or retracting the uterus, e.g. during laparoscopic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 A61B2017/4225—Cervix uter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자궁경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의 본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부에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가이드부는,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 배치시킬 때 자궁 내측방향으로 본체를 가압하고,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서 자궁경부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때 자궁 외측방향으로 본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rvical stent assembly including a main body in the shape of a tube with both ends open and disposed inside the cervix, a guide part detach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guide the main body to move inside the cervix, and the guide par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pressurize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uterus when the main body is disposed inside the cervix, and to pressurize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uterus when the main body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ervix to the outside of the cervix.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궁경 수술을 하는 동안 자궁경부의 자궁경관을 개대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rvical stent assembly that maintains the cervical canal of the uterus in a dilated state during hysteroscopic surgery.
일반적으로, 자궁경 수술은 자궁강 내 병변, 일예로 자궁내막용종이나 자궁점막하근종을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이다.In general, hysteroscopic surgery is a surgical method that can diagnose and treat lesions within the uterine cavity, such as endometrial polyps or submucosal fibroids.
이러한, 자궁경 수술은, 결석제거술 자세를 취한 환자를 소독한 후, 자궁경관을 메탈재질의 경관 확장기(Hegar dilator)로 개대시키고, 자궁경이 자궁경관을 통과하여 자궁강까지 진입시킨 뒤 수술하게 된다.In this type of hysteroscopic surgery, after disinfecting the patient in the lithotripsy position, the cervix is dilated with a metal cervical dilator (Hegar dilator), and the hysterococcus is passed through the cervix and advanced into the uterine cavity before the surgery is performed.
이같이, 자궁경을 통해 수술시, 병변의 크기와 종류, 특성에 따라서 자궁경이 자궁경관을 통하여 반복해서 진입 및 퇴출되면서 수술의 진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개대시킨 자궁경관이 다시 수축하게 되면 반복해서 경관 확장기를 사용하여 개대 작업을 해야한다.In this way, during surgery through the hysteroscope, depending on the siz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sion, the surgery progresses as the hysteroscope repeatedly enters and exits the cervix. During this process, if the dilated cervix contracts again, the dilatator must be used repeatedly to dilate it.
이로 인해, 종래의 경관 확장기를 이용한 자궁경의 수술이 이루어질 경우, 반복적인 경관 확장기의 삽입으로 인해 자궁경관의 손상이 유발됨과 더불어 수술대상자에게 스트레스 유발 및 수술관련 합병증이 발생될 위험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Because of this, when hysteroscopic surgery using conventional cervical dilators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ervix is damaged due to repeated insertions of cervical dilators, and there is an increased risk of stress and surgical complications in the surgical subject.
이러한, 경관 확장기에 대한 관련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26160호(2022.03.04)에 제시된다.The related technology for such a landscape expander is present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26160 (2022.03.04).
본 발명은, 자궁경부 내측인 자궁경관의 확장을 쉽고 빠르게 수행함과 더불어 확장된 자궁경관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수술대상자의 스트레스 및 수술관련 합병증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rvical stent assembly that can easily and quickly perform dilatation of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part of the uterine cervix, and stably maintain the dilated cervix, while minimizing stress on the surgical subject and induction of surgical-related complications.
본 발명은, 상기 자궁경부의 내측에 배치되며,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의 본체,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부에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 배치시킬 때 자궁 내측방향으로 본체를 가압하고,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서 자궁경부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때 자궁 외측방향으로 본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rvical stent assembly including a main body in the form of a tube with both ends open and disposed inside the cervix, a guide part detach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to guide the main body to move inside the cervix, and the guide par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pressurize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uterus when the main body is disposed inside the cervix, and to pressurize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uterus when the main body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ervix to the outside of the uterus.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 배치시킬 때 본체의 후측에 연결되고,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서 자궁경부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때 본체의 선측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placed inside the cervix,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main body is 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ervix to the outside of the cervix.
또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는 나선형의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piral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부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body and the guide part may have elasticity.
또한, 상기 본체의 후측에는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 catch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본체의 후측에는 제1연결홈이 구비되고, 본체의 선측에는 제2연결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몸체, 상기 제1연결홈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몸체에 구비된 제1연결돌기부,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제2연결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에 구비된 제2연결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nnect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 second connect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guide part may include a guide bod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 first connect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guid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and a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guide body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through user control.
또한, 상기 제2연결돌기부는, 상기 가이드몸체에 구비된 연결돌기편, 상기 연결돌기편과 연결되도록 가이드몸체에 구비되어, 연결돌기편이 제2연결홈에 삽입되도록 연결돌기편의 위치를 제어하는 작동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rojection piece provided on the guide body, and an operating link portion provided on the guid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an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so that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또한, 상기 연결돌기편의 일단은 가이드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링크부는 연결돌기편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연결돌기편의 타단이 제2연결홈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guide body, the operating link part rotates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ed connecting projection piece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또한, 상기 연결돌기편은 가이드몸체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링크부는 연결돌기편을 가이드몸체 내측에서 가이드몸체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가이드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돌기편의 일측이 제2연결홈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is connected to the guide body so as to slide in and out of the guide body, and the operating link part moves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body to the outside of the guide body, and one sid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protruding out of the guide body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또한, 상기 본체의 선측 가장자리는 곡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몸체의 선단은 상기 본체의 선측 가장자리보다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몸체의 선단은 곡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ront side edge of the main body has a curved shape, and the front end of the guide body is arrang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main body more than the front side edge of the main body, and the front end of the guide body protruding forward of the main body may have a curved shape.
본 발명에 따른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의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 배치 또는 이탈시 가이드부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가이드부는,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 배치시 자궁 내측방향으로 본체를 가압하고,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서 자궁경부의 외측으로 이탈시 자궁 외측방향으로 본체를 가압할 수 있게 하는 바, 본체의 자궁경부 내측에 배치 및 자궁경부 내측에서의 이탈작업을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The cervical ste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 main body in the form of a tube with both sides open, which is placed or removed inside the cervix through a guide part. The guide part presses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uterus when the main body is placed inside the cervix, and presses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outside of the uterus when the main body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ervix to the outside of the uterus, thereby making it easy and stable to place the main body in the inside of the cervix and remove it from the inside of the cervix.
또한,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의 본체가 자궁경부 내측인 자궁경관에 삽입 배치되면서 자궁경관을 안정적인 개대상태로 유지한다.In addition, the cervical stent assembly maintains the cervix in a stable dilated state by inserting and placing a tube-shaped main body with both sides open into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part of the cervix.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의 분해상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의 자궁경부 설치시 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의 자궁경부 이탈시 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나타낸 부분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cervical sten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ervical sten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ed in the cervix.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ervical sten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ervix is dislodged.
Figure 4 i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guide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shown in Figure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conform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는, 본체(100), 가이드부(200)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는, 자궁경부(10)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자궁경관에 배치되면서 자궁경관을 개대시킨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cervical sten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d a guide part (200). This cervical stent assembly is positioned inside the cervix (10), more specifically, in the cervix, and maintains the cervix in an open state.
상기 본체(100)는 자궁경부(10)의 내측, 즉 자궁경관을 개대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부분이다. 이러한, 본체(100)는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에 삽입 배치된다. 여기서, 본체(100)는 양측을 개방시킨 관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자궁경과 같은 수술도구 외에 자궁 내부로의 각종 진단이나 치료를 위한 도구의 진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본체(100)는 자궁경부(10)의 내측에 배치시, 삽입대상자에게 불편함이나 자궁경부(10) 내측의 손상을 발생하지 않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이나 실리콘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main body (100) is a part that maintain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that is, the cervix, in an open state. This main body (100) is inserted and placed into the cervix,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Here,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tube shape with both sides open, thereby enabling the entry of various diagnostic or therapeutic tools into the uterus in addition to surgical tools such as a hysteroscope.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o as not to cause discomfort to the insertion target or damage to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when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be applied with an elastic plastic or silicone.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나선형의 돌기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나선형의 돌기부(110)는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에 삽입 배치시 자궁경관 표면에 안정적인 걸림상태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자궁경관의 수축이 발생되더라도 자궁경관에서 본체(100)가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되게 한다. 더불어, 나선형의 돌기부(110)는 본체(100)의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100)가 자궁경부(10)의 내외측으로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구체적으로 본체(100)의 자궁경부(10) 내측인 자궁경관에서 본체(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자궁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본체(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자궁 내측으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A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a spiral protrusion (110). This spiral protrusion (110) allows the main body (100) to be stably fixed to the surface of the cervix when inserted into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so that even if the cervix contracts, the main body (100) does not come off the cervix and is stably maintained in its position. In addition, the spiral protrusion (110) allows the main body (100) to easily move inward and outward of the cervix (10) depending o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Specifically, when the main body (100) rotates clockwise in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it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uterus, and when the main body (100) rotates counterclockwise, it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uterus.
또한,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후측 가장자리 외주면에는 걸림돌기부(120)가 본체(100)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부(120)는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에 삽입 배치할 때, 자궁경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걸림되면서 본체(100)가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에 일정깊이만큼 삽입된 후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한다.In addition, a catch projection (12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dg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main body (100). When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the catch projection (120) catches the edge of the cervix (10) and prevents the main body (100) from being inserted into the cervix (10) to a certain depth and then no longer inserted.
더불어,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후측 가장자리에는 이후 설명될 가이드부(200)의 제1연결돌기부(220)를 삽입되게 하면서 가이드부(200)와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1연결홈(130)이 구비된다. 이때, 제1연결홈(130)은 가이드부(200)의 제1연결돌기부(220)와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후측 가장자리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nnection groove (130) is provided on the rear edg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20) of the guide par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therein and connected to the guide part (200).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grooves (130)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rear edg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so as to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with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220) of the guide part (200).
또한,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선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부(200)의 제2연결돌기부(230)에 구비된 연결돌기편(231)을 삽입되게 하면서 가이드부(200)와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는 제2연결홈(140)이 구비된다. 이때, 제2연결홈(140)은 가이드부(200)의 제2연결돌기부(230)와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후측 가장자리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is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so that a connection is made with the guide part (200) while allow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provided on 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230) of the guide part (200) to be inserte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grooves (140)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the rear edg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so as to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with 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230) of the guide part (200).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연결홈(130)은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후측 가장자리에 구비시, 제1연결돌기부(220)의 폭 크기 'a' 보다 크도록 본체(100)의 둘레방향으로 연장 구비됨으로써, 제1연결돌기부(220)가 제1연결홈(130)에 쉽게 삽입된다. 더불어, 제2연결홈(140)도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선측 가장자리에 구비시, 연결돌기편(231)의 폭 크기 'b'보다 크도록 본체(100)의 둘레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연결돌기편(231)을 본체(100)로부터 돌출되게 배치시 제2연결홈(140)에 쉽게 삽입된다. 이같이, 제1연결돌기부(220)가 제1연결홈(130)에 삽입 배치되거나 연결돌기편(231이 제2연결홈(140)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가이드부(200)는 본체(100) 내측에서 일정 회전각만큼 회전된 후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자궁경관 내측에서 가이드부(200)를 통한 본체(10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30) is provided on the rear edge of the main body (100)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and is provided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to be larger than the width size 'a' of the first connecting projection (220), so that the first connecting projection (220) is easily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30).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is also provided on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100)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to have a certain l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to be larger than the width size 'b'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so that when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is arranged to protrude from the main body (100), it is easi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In this way, when the first connecting projection (220) is inserted and placed in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30) or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is inserted and plac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the guide portion (200) is rotated by a certain rotation angle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n fixed so that it does not rotate any further, thereby enabling the main body (100)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rough the guide portion (200) inside the cervix.
더불어,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선측 가장자리는 곡면 형태로 구비되어, 자궁 외부에서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으로 삽입 이동시,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선측 가장자리가 자궁경관 내벽에 걸리지 않도록 하여 본체(100)에 의한 자궁경관 내벽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a curved shape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so that when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of the uterus into the cervix, which is the inside of the cervix (10),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100) does not get caught on the inner wall of the cervix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inner wall of the cervix caused by the main body (100).
상기 가이드부(200)는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 상에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부분이다. 즉, 가이드부(200)는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에 배치시킬 때나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에서 이탈시킬 때 본체(100)에 구비되면서 자궁경부(10) 외부에서 본체(100)를 자궁경부(10) 내측인 자궁경관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거나 본체(100)를 자궁경부(10) 내측인 자궁경관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한다.The above guide part (200) is a part that guides the main body (100) to move on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That is, when the main body (100) is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or when the main body (100) is remov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the guide part (200)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100) and guides the main body (100) to move from the outside of the cervix (10) to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or guides the main body (100) to move in the direction of being removed from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200)는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에 삽입 배치시킬 때 사용자가 자궁 외부에서 자궁 내측방향으로 본체(100)를 가압할 수 있게 하고,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에서 자궁경부(10)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때 사용자가 자궁 외부에서 자궁 외측방향으로 본체(1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00)는,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에 삽입 배치시킬 때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후측에 구비된 제1연결홈(130)과 연결되고,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에서 자궁경부(10)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때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의 선측에 구비된 제2연결홈(140)과 연결된다.The above guide part (200)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main body (100),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that when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the user can press the main body (100) from the outside of the uterus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uterus, and when the main body (100) is removed from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uterus (10), to the outer side of the uterus (10), the user can press the main body (100) from the outside of the uterus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uterus. At this time, the guide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30)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when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when the main body (100) is removed from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to the outer side of the cervix (10).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00)는 가이드몸체(210), 제1연결돌기부(220), 제2연결돌기부(230)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uide part (200) may include a guide body (210), a first connecting protrusion part (220), and a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part (230).
상기 가이드몸체(210)는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가이드몸체(210)는 가이드몸체(210)의 길이방향 일측을 본체(100)의 내측에 삽입 배치하고, 가이드몸체(210)의 길이방향 타측은 자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자궁 외부에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가이드몸체(210)의 선단은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선측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됨으로써,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으로 삽입시킬 때, 가이드몸체(210)의 선단이 자궁경부(10)의 내측을 먼저 개대되게 하면서 본체(100)가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선측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가이드몸체(210)의 선단을 배치할 경우, 가이드몸체(210)의 선단은 곡면 형태로 구비되어,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 내벽과의 충돌시 자궁경관 내벽의 손상 발생이 방지된다.The above guide body (210) is a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guide body (210) may be formed in a bar shape so that one longitudinal side of the guide body (210)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other longitudinal side of the guide body (210) extends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uterus so that the user can grasp it from outside the uterus. At this time, the front end of the guide body (210) is position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so that when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ervix (10), the front end of the guide body (210) first dilate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so that the main body (100)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uterine cervix (10). Here, when the tip of the guide body (210) is position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the tip of the guide body (210) is provided in a curved shape, so that damage to the inner wall of the cervix (10) is prevented when it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cervix.
그리고, 상기 가이드몸체(210)는 본체(100)의 내부에 삽입 배치시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에서 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을 가지는 플라스틱이나 실리콘으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몸체(210)가 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몸체(210)의 내측 길이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는 와이어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가이드몸체(210)의 자유로운 형상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nd, the guide body (2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body (100) can stably move in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uterine cervix (10), when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More specifically, it can be applied with an elastic plastic or silicone. In another embodiment, the guide body (210) can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soft and elastic, and a wire member (not shown) that has elasticity is provided in the inn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210), so that the free shape deformation of the guide body (210) is possible.
상기 제1연결돌기부(220)는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 후측의 제1연결홈(130)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몸체(210)와 본체(100)를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제1연결돌기부(220)는 이후 설명될 제2연결돌기부(230)의 연결돌기편(231)보다 후측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몸체(210)에 구비된다. 이때, 제1연결돌기부(220)는 제1연결홈(130)에 대칭되도록 가이드몸체(210)의 외측 둘레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같이, 제1연결돌기부(220)는 본체(100)의 제1연결홈(130)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몸체(210)를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후측에 걸림상태로 연결되게 하는 바,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에 배치시킬 때 자궁 외부에서 사용자가 가이드몸체(210)를 통해 자궁 내측방향으로 본체(100) 후측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The first connecting projec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30)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to connect the guide body (210) and the main body (100). The first connecting projection (220) is provided on the guide body (210) so as to be positioned rearward relative to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of 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230)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projections (220)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guide body (210) so as to be symmetrical 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30). In this way, the first connecting projec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30)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guide body (210) is connected in a hooked state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thereby allowing a user to press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uterus through the guide body (210) from outside the uterus when the main body (100) is placed inside the uterus (10).
상기 제2연결돌기부(230)는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 선측의 제2연결홈(140)에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선택적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몸체(210)와 본체(100)를 연결되게 한다. 이같이, 제2연결돌기부(230)는 사용자의 제어를 통한 작동이 이루어질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본체(100)의 외측면보다 돌출시켜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선측에 걸림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 바,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자궁 외부로 이탈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가이드몸체(210)를 통해 자궁 외측방향으로 본체(100) 선측을 가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2연결돌기부(230)는 본체(100)의 내측으로 가이드몸체(210)를 삽입시키고자 하거나 본체(100)의 내측에서 가이드몸체(210)를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가이드몸체(210)의 외측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가이드몸체(210)의 외측면에 밀착되거나 가이드몸체(210)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본체(100)와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230)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through the user's control, thereby connecting the guide body (210) and the main body (100). In this way, 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230)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to protrude beyond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only when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user's control, and to be caught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press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uterus through the guide body (210) when the main body (100) needs to be removed from the uterus while being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uterus (10). In addition, when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230) is intended to insert the guide body (210)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or to detach the guide body (210) from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t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main body (100)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ody (210) or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body (210) so as not to protrude beyond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ody (210).
이러한, 상기 제2연결돌기부(230)는 가이드몸체(210)에 구비되며, 연결돌기편(231)과, 작동링크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part (230) is provided on the guide body (210) and may include a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and an operating link part (232).
상기 연결돌기편(231)은 가이드몸체(210)에 구비되며, 작동링크부(232)에 의해 동작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여기서, 연결돌기편(231)의 일단은 가이드몸체(2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돌기편(231)의 회전 위치에 따라 연결돌기편(231)의 타단이 가이드몸체(210)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접힘상태로 회전 배치된 경우, 연결돌기편(231)의 타단은 제2연결홈(140)에 삽입되지 않아 가이드몸체(210)와 본체(100)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된다. 반대로, 연결돌기편(231)의 타단이 가이드몸체(210)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펼침상태로 회전 배치된 경우, 연결돌기편(231)의 타단은 제2연결홈(140)에 삽입되면서 가이드몸체(210)와 본체(100)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is provided on the guide body (210) and is a part that operates by the operating link part (232). Here, one end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guide body (210) with a hinge structure. Therefore, whe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is rotated and arranged in a folded state so that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ody (210) depending on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is not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so that the guide body (210) and the main body (100) are not connected. Conversely, when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is rotated and arranged in an unfolded state so that it is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body (210),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thereby connecting the guide body (210) and the main body (100).
상기 작동링크부(232)는 연결돌기편(231)과 연결되도록 가이드몸체(210)에 구비된다. 이러한, 작동링크부(232)는 연결돌기편(231)을 제2연결홈(140)에 삽입되도록 연결돌기편(23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같이, 작동링크부(232)는 자궁 외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연결돌기편(231)이 회전되게 하면서 연결돌기편(231)이 제2연결홈(140)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작동링크부(232)는 각각의 연결돌기편(231) 일단과 연결된 복수 개의 제1링크바부재(233)와, 복수 개의 제1링크바부재(233) 타단에 연결된 제2링크바부재(234)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연결돌기편(231)을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링크 구조를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작동링크부(232)는 연결돌기편(231)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operating link part (232) is provided on the guide body (2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The operating link part (232)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so that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In this way, the operating link part (232) allows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while rotat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through the user's manipulation from outside the uterus. Here, the operating link part (232) is illustrated a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irst link bar members (233)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s (231) and a plurality of second link bar members (234)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first link bar members (23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link structures capable of rotat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can be applied. Additionally, the operating link part (232)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driving means (not shown) such as a motor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otate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돌기부(230a)는, 가이드몸체(210)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몸체(210)의 선측에 구비된 연결돌기편(231a)과, 상기 연결돌기편(231a)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가이드몸체(210)에 구비되어, 연결돌기편(231a)이 가이드몸체(210) 내측에서 가이드몸체(210)의 외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연결돌기편(231a)을 제2연결홈(140)에 삽입되도록 돌출되게 하는 작동링크부(23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같이, 작동링크부(232a)는 연결돌기편(231a)을 제2연결홈(140)에 삽입되도록 연결돌기편(231a)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즉, 작동링크부(232a)는 자궁 외부에서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연결돌기편(231a)이 가이드몸체(210) 내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면서 연결돌기편(231a)이 제2연결홈(140)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작동링크부(232a)는 각각의 연결돌기편(231a) 일단과 연결된 복수 개의 제1링크바부재(233a)와, 복수 개의 제1링크바부재(233a) 타단에 연결된 제2링크바부재(234a)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연결돌기편(231a)이 가이드몸체(210)의 내외측으로 왕복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링크 구조를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의 작동링크부(232a)는 연결돌기편(231a)을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FIG. 4 shows a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230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ich may include a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body (210) so as to slide in and out of the guide body (210), and an operating link piece (232b) provided on the guide body (210) so as to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thereby caus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to move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body (210) to the outside of the guide body (210) and caus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to protrud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In this way, the operating link piece (232a) can control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so that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That is, the operating link part (232a) allows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to slide so that it protrud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guide body (210) through the user's manipulation from outside the uterus, while allow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Here, the operating link part (232a) is illustrated as being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rst link bar members (233a) connected to one end of each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and a plurality of second link bar members (234a) connected to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first link bar members (233a),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pply various link structures that allow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to reciprocate in and out of the guide body (210).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operating link part (232a) of another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not shown) that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slide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a).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를 이용한 자궁경부 개대유지를 위한 설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us, the installation operation for maintaining cervical dilatation using a cervical sten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가이드부(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연결돌기부(220)가 본체(100)의 제1연결홈(130)에 삽입되면, 본체(100)와 가이드부(200)의 가이드몸체(210)가 연결된다.First, when 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2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130) of the main body (100) while the guide portion (2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and the guide body (210) of the guide portion (200) are connected.
이렇게, 상기 본체(100)와 가이드부(200)의 가이드몸체(2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선측이 자궁경부(10) 내측인 자궁경관으로 진입되도록 가이드부(200)를 통해 본체(100)를 가압한다.In this way, with the main body (100) and the guide body (210) of the guide part (200) connected, the main body (100) is pressed through the guide part (200) so that the anterior side of the main body (100) enters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uterine cervix (10).
이같이, 상기 가이드부(200)가 상기 자궁경부(10)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0)의 후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이드부(200)를 통해 본체(100)를 자궁 내측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본체(100)는 자궁경부(10) 내측인 자궁경관에 삽입 배치된다.In this way, when the user presses the main body (100)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uterus through the guide part (200) while the guide part (200)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10),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cervical canal,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이후, 상기 가이드부(200)가 자궁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본체(100)만 자궁경관에 배치되는 바, 본체(100)에 의해 자궁경관은 개대상태로 유지된다. 이같이, 본체(100)가 자궁경관에 삽입 배치되는 바, 자궁경부(10)의 내측을 안정적인 개대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guide part (200) is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uterus, only the main body (100) is placed in the cervix, and the cervix is maintained in a dilated state by the main body (100). In this way, when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and placed in the cervix,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dilated state.
그리고, 자궁경관에서 본체(100)의 이탈이 필요한 경우, 자궁경관에 배치된 본체(100)의 내측으로 상기 가이드부(200)가 삽입되도록 다시 자궁 내측방향으로 가이드부(200)의 선측 부분을 이동시킨다.And, when it is necessary to detach the main body (100) from the cervix, the anterior portion of the guide part (200) is moved again toward the inside of the uterus so that the guide part (2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placed in the cervix.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00)의 제2연결돌기부(230)가 제2연결홈(140)에 삽입상태로 걸림되면서 상기 가이드부(200)와 본체(100)가 연결되게 한다. 이때, 제2연결돌기부(230)의 작동링크부(232)를 통해 연결돌기편(231)이 가이드몸체(210)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면서 연결돌기편(231)이 제2연결홈(140)에 삽입 배치된다.Then, 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230) of the guide portion (2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and hooked, thereby connecting the guide portion (200) and the main body (10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1) is position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guide body (210) through the operating link portion (232) of 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0), thereby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140).
이후, 상기 가이드부(200)가 자궁 외측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가이드부(200)에 의해 상기 본체(100)도 자궁 외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자궁경관에서 자궁 외측으로 이탈이 이루어지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guide part (200) moves toward the outside of the uterus, the main body (100) is also pres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uterus by the guide part (200), causing it to be removed from the cervix toward the outside of the uterus.
이와 같이, 일 실시예의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의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에 배치 또는 이탈시 가이드부(200)를 통해 이루어지게 하는데, 상기 가이드부(200)는, 상기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에 배치시킬 때 자궁 내측방향으로 본체(100)를 가압하고, 본체(100)를 자궁경부(10)의 내측에서 자궁경부(10)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때 자궁 외측방향으로 본체(100)를 가압할 수 있게 하는 바, 본체(100)의 자궁경부(10) 설치 및 해체작업을 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In this way, the cervical stent assembly of one embodiment allows the main body (100) in the form of a tube with both sides open to be placed or removed inside the cervix (10) through a guide part (200). The guide part (200) allows the main body (100)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inside of the uterus when placed inside the cervix (10) and to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side of the uterus when the main body (100)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ervix (10) to the outside of the uterus (10), thereby allowing the installation and removal of the main body (100) on the cervix (10) to be easily and stably performed.
또한,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는, 양측이 개방된 관 형태의 본체(100)가 자궁경부(10)의 자궁경관에 삽입 배치되게 하면서 자궁경부(10)의 내측인 자궁경관을 안정적인 개대상태로 유지되게 한다.In addition, the cervical stent assembly maintains the cervix, which is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10), in a stable dilated state while the main body (100) in the form of a tube with both sides open is inserted and placed into the cervical canal of the cervix (1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본체 110: 돌기부
120: 걸림돌기부 130: 제1연결홈
140: 제2연결홈 200: 가이드부
210: 가이드몸체 220: 제1연결돌기부
230,230a: 제2연결돌기부 231,231a: 연결돌기편
232,232a: 작동링크부100: Body 110: Protrusion
120: stumbling block 130: first connecting groove
140: 2nd connection home 200: Guide section
210: Guide body 220: First connecting projection
230,230a: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231,231a: Connecting projection piece
232,232a: Operating link section
Claims (10)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부에서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 배치시킬 때 자궁 내측방향으로 본체를 가압하고,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서 자궁경부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때 자궁 외측방향으로 본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자궁경부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후측에는 제1연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자궁경부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의 선측에는 제2연결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가이드몸체와, 상기 제1연결홈에 삽입되도록 가이드몸체에 구비된 제1연결돌기부 및, 사용자의 제어를 통해 제2연결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에 구비된 제2연결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돌기부는, 상기 가이드몸체에 구비된 연결돌기편와, 상기 연결돌기편과 연결되도록 가이드몸체에 구비되어, 연결돌기편이 제2연결홈에 삽입되도록 연결돌기편의 위치를 제어하는 작동링크부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
A tube-shaped body that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and is open on both sides;
A guide part is provided detachably on the main body and guides the main body to move inside the cervix;
The above guide par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that when the main body is placed inside the cervix, the main body can be press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uterus, and when the main body is moved from the inner side of the cervix to the outer side of the uterus, the main body can be press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uterus.
A first connect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and a second connect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The above guide part includes a guide bod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a first connect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guide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ng groove, and a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guide body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through user control.
A cervical stent assembly including the second connecting projection portion, a connecting projection piece provided on the guide body, and an operating link portion provided on the guide body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and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so that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상기 가이드부는,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 배치시킬 때 자궁경부로의 삽입방향으로 기준으로 본체의 후측에 연결되고, 본체를 자궁경부의 내측에서 자궁경부의 외측으로 이탈시킬 때 자궁경부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본체의 선측에 연결되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
In claim 1,
The above guide part is a cervical stent assembly which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cervix when the main body is placed inside the cervix,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direction of insertion into the cervix when the main body is removed from the inside of the cervix to the outside of the cervix.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는 나선형의 돌기부가 구비된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
In claim 1,
A cervical stent assembly having a spiral protrus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와 상기 가이드부는 탄성을 가지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
In claim 1,
A cervical stent assembly having the above main body and the above guide portion having elasticity.
상기 자궁경부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후측에는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부가 구비된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
In claim 1,
A cervical stent assembly having a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상기 연결돌기편의 일단은 가이드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작동링크부는 연결돌기편을 회전시키고, 회전된 연결돌기편의 타단이 제2연결홈에 삽입되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
In claim 1,
One end of the abov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guide body,
A cervical stent assembly in which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link portion rotates a connecting projection piece, and the other end of the rotated connecting projection piece is inserted into a second connecting groove.
상기 연결돌기편은 가이드몸체의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작동링크부는 연결돌기편을 가이드몸체 내측에서 가이드몸체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가이드몸체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돌기편의 일측이 제2연결홈에 삽입되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
In claim 1,
The abov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is connected to the guide body so as to slide in and out of the guide body,
A cervical stent assembly in which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link moves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from the inside of the guide body to the outside of the guide body, and one side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guide body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groove.
상기 자궁경부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선측 가장자리는 곡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몸체의 선단은 상기 자궁경부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선측 가장자리보다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가이드몸체의 선단은 곡면 형태를 가지는 자궁경부 스텐트 조립체.
In claim 1,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the anterior edge of the main body has a curved shape.
The tip of the above guide body is positioned to protrude forward of the main body from the front edge of the main body based on the insertion direction into the cervix.
A cervical stent assembly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guide body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has a curved sha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8810A KR102768244B1 (en) | 2022-08-30 | 2022-08-30 | Uterine cervical stent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08810A KR102768244B1 (en) | 2022-08-30 | 2022-08-30 | Uterine cervical stent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0151A KR20240030151A (en) | 2024-03-07 |
KR102768244B1 true KR102768244B1 (en) | 2025-02-18 |
Family
ID=9027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08810A Active KR102768244B1 (en) | 2022-08-30 | 2022-08-30 | Uterine cervical stent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6824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9003A (en) * | 2005-09-06 | 2007-03-22 | Tyco Healthcare Group Lp | Instrument introducer |
US20070173736A1 (en) * | 2005-10-07 | 2007-07-26 | Femspec Llc | Apparatus and methods for endometrial biopsies |
US20080039864A1 (en) * | 2006-08-10 | 2008-02-14 | Femsuite, Llc | Cervical tenaculum and methods of use |
-
2022
- 2022-08-30 KR KR1020220108810A patent/KR10276824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69003A (en) * | 2005-09-06 | 2007-03-22 | Tyco Healthcare Group Lp | Instrument introducer |
US20070173736A1 (en) * | 2005-10-07 | 2007-07-26 | Femspec Llc | Apparatus and methods for endometrial biopsies |
US20080039864A1 (en) * | 2006-08-10 | 2008-02-14 | Femsuite, Llc | Cervical tenaculum and methods of us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0151A (en) | 2024-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031690Y2 (en) | High frequency dissector for endoscope | |
JP3086166B2 (en) | High frequency incision device for endoscope | |
US8747414B2 (en) | Vacuum device for sealing an anatomical opening | |
CN116327271A (en) | System for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within a body cavity | |
BRPI0617888A2 (en) | adjustable vaginal appliance for pelvic floor support | |
BRPI0617886A2 (en) | adjustable vaginal appliance for pelvic floor support | |
US20190282261A1 (en) | Resection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deployment | |
WO2004002347A1 (en) | Thermal ablation with deployable cage | |
WO2002067772A3 (en) | Intra-uterine devices and method of use | |
CN103732127B (en) | Surgical instrument | |
US20100256623A1 (en) | Cervical Seal | |
JP6886200B2 (en) | Endoscope assist device and endoscopy system | |
KR102768244B1 (en) | Uterine cervical stent assembly | |
BRPI0406034B1 (en) | APPLICATOR FOR A SURGICAL DEVICE | |
US20180078283A1 (en) | Vacuum-Assisted Vaginal Positioning Device | |
JP6913243B2 (en) | Tip cover device and endoscope | |
JPH07163516A (en) | Guide tube | |
JP2023506728A (en) | Assembled inserter for manipulating hysteroscope instruments | |
CN215349771U (en) | Ureteral stent | |
KR20190137443A (en) | Medical appliance for urethra expansion | |
CN117357234A (en) | Bending-controlled slitting knife | |
CN107343814A (en) | A kind of incision knife | |
JP2002095677A (en) | Resectoscope | |
JP2003225242A (en) | Hemostatic instrument for endoscope | |
KR102296937B1 (en) | Overtub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