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5259B1 -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5259B1
KR102765259B1 KR1020230187982A KR20230187982A KR102765259B1 KR 102765259 B1 KR102765259 B1 KR 102765259B1 KR 1020230187982 A KR1020230187982 A KR 1020230187982A KR 20230187982 A KR20230187982 A KR 20230187982A KR 102765259 B1 KR102765259 B1 KR 102765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ipe
fire extinguishing
mounting hole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79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왕정한
Original Assignee
(주)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filed Critical (주)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Priority to KR1020230187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52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5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525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간격이나 구획을 두고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천장에 고정장착되는 천장 플레이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부는 개방되고, 양측에는 천장 플레이트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카메라 장착공과 감지기 장착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커버, 상기 플레이트 커버의 카메라 장착공에 장착되는 카메라와 상기 감지기 장착공에 장착되는 화재 감지기로 구성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플레이트 커버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와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와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는 화재 감지수단; 상기 천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서버를 통한 작동신호 전달시 하부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천장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장착되는 배관 파이프, 상기 배관 파이프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는 천장 부분을 관통하고 도중에는 전자밸브가 장착되는 수직 배관, 상기 수직 배관의 하부에 상부 연결부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 수로통로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노즐 장착공이 형성되는 곡면 형상의 하부 분사구 및 상기 하부 분사구의 노즐 장착공에 각각 장착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상부 소화수단; 바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서버를 통한 작동신호 전달시 상부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소화수를 공급하는 하부 파이프가 장착되는 바닥에 간격을 두고 바닥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장착홈에 각각 장착되고,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실린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실린더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전후진 작동하는 로드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반원형상의 차단판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실린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의 차단판을 지지하는 중앙 지지구, 상기 중앙 지지구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수평 끝단이 상기 하부 파이프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노즐 장착공이 형성되는 절곡 파이프, 상기 절곡 파이프의 노즐 장착공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무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 노즐로 구성되는 하부 소화수단; 및 화재 감지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와 입력된 화재 감지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 분석부, 상기 데이터 비교 분석부의 분석값을 관리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상부 소화수단 또는 하부 소화수단 또는 상하부 소화수단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신호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ly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nd comprises: a fire detection means comprising: a ceiling plate installed on a ceiling at regular intervals or sections so as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a plate cover having an interior space formed therein and an upper portion open, wing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to be fixed to the ceiling plate through fastening holes, and a lower portion formed with a camera mounting hole and a detector mounting hole; a fire detection unit comprising a camera mounted in the camera mounting hole of the plate cover and a fire detector mounted in the detector mounting hole; an image storage unit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plate cover and storing an image of the camera;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an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to a server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mprising: a pipe pipe installed horizontally at intervals on the ceiling so as to be able to spray extinguishing water in a downward direction when an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server; a vertical pipe arranged vertically at intervals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pipe, the lower portion penetrating the ceiling and having an electronic valve installed in the middle; a curved lower injection port having an upper connecting portion joi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a water passage formed inside, and a nozzle mounting hole formed at intervals on the lower portion; and a spray nozzle each mounted in the nozzle mounting hole of the lower injection port; A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mprising: a floor-mounting groove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and having a lower pipe mounted thereon to supply fire extinguishing water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can be sprayed upward when an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server; a lower case each mounted in the floor-mounting groov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cylinder mounting spac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a pair of horizontal cylinders each mounted in the cylinder mounting spaces of the lower case and having a semicircular blocking plate coupled to a rod that operates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or block the accommodation space; a central supporter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case and supporting the blocking plate of the horizontal cylinder; at least two or more bent pipes arrang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central supporter and having a right-angled shap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pipe at a horizontal end, and a nozzle mounting hole formed at the top; and a spray nozzle coupled to the nozzle mounting hole of the bent pipe and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lower pipe in a spray shape; And it includes a server including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data transmitted through a fire detection means, a data comparison analysis unit that compares th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with input fire detection setting data, a transceiver unit that transmits the analysis value of the data comparison analysis unit to a manager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nager, and an operation signal unit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manager to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a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or an upper and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Description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FIRE EXTINGUISHING APPARATUS}{FIRE EXTINGUI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에 따라 상부와 하부에서 소화수를 공급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ly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arly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capable of initially suppressing a fire by supplying extinguishing water from above and below according to the outbreak of a fire.

일반적으로, 화재 위험에서의 부상과 죽음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불에 타는 것보다 연기로부터 유발된 질식이다. In general, the most important cause of injury and death in fire hazards is smoke suffocation rather than burning.

구체적으로, 화재발생시 사람들은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대피를 시도하게 된다. 이때, 외부에서 내부로 탈출하는 사람들은 화재에 의해 생성된 연기 때문에 질식에 의한 부상과 인명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Specifically, when a fire breaks out, people try to escape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o the outside. At this time, people escap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re subject to injuries and deaths due to suffocation caused by smoke generated by the fire.

특히, 주상복합과 같은 건물과 상가 건물의 경우에는 복합적으로 구성됨에 따라 건물의 화재 발생시 초기에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하는 것이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building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and commercial buildings, it is very important to efficiently extinguish fires in the early stages when a fire breaks out in the building, as this can reduce safety accidents due to their complex structur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화재감지기의 화재 감지신호에 따라 화재경보기를 구동시켜 외부로 화재 발생을 안내함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지점으로 스프링쿨러, 비상용 셔터, 비상사다리, 뎀버,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초기화재 진압장비를 구동시켜 화재를 진압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conventionally, a fire alarm is activated based on a fire detection signal from a fire detector to inform the outside of a fire outbreak, and at the same time, early fire suppression equipment including a sprinkler, emergency shutter, emergency ladder, damper, and surveillance camera is activated at the point where the fire has occurred to extinguish the fire.

그러나 종래의 화재 진압 기술은 단순히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그 지점에 위치되는 소화장치를 구동시킬 뿐만 아니라 화재 진압박스 자체를 화재로부터 보호할 수 없기 때문에 박스 자체가 손상되어 소방장치들이 오작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 fire suppression technology simply operates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located at the point where a fire breaks out, and cannot protect the fire suppression box itself from the fire, so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box itself was damaged and the fire-fighting devices malfunction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2023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720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상부 소화수단과 하부 소화수단을 통해 해당 부분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는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initial fire suppression device for a building, which can quickly extinguish a fire in a relevant area through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and a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ire when a fire occu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는 일정간격이나 구획을 두고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천장에 고정장착되는 천장 플레이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부는 개방되고, 양측에는 천장 플레이트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카메라 장착공과 감지기 장착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커버, 상기 플레이트 커버의 카메라 장착공에 장착되는 카메라와 상기 감지기 장착공에 장착되는 화재 감지기로 구성되는 화재 감지부, 상기 플레이트 커버의 수용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의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와 상기 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영상을 유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에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와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는 화재 감지수단; 상기 천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서버를 통한 작동신호 전달시 하부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천장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장착되는 배관 파이프, 상기 배관 파이프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는 천장 부분을 관통하고 도중에는 전자밸브가 장착되는 수직 배관, 상기 수직 배관의 하부에 상부 연결부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 수로통로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노즐 장착공이 형성되는 곡면 형상의 하부 분사구 및 상기 하부 분사구의 노즐 장착공에 각각 장착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상부 소화수단; 바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서버를 통한 작동신호 전달시 상부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소화수를 공급하는 하부 파이프가 장착되는 바닥에 간격을 두고 바닥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장착홈에 각각 장착되고,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실린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실린더 장착공간에 장착되고 전후진 작동하는 로드에는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반원형상의 차단판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실린더, 상기 하부 케이스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의 차단판을 지지하는 중앙 지지구, 상기 중앙 지지구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수평 끝단이 상기 하부 파이프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노즐 장착공이 형성되는 절곡 파이프, 상기 절곡 파이프의 노즐 장착공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무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 노즐로 구성되는 하부 소화수단; 및 화재 감지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의 데이터와 입력된 화재 감지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 분석부, 상기 데이터 비교 분석부의 분석값을 관리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상부 소화수단 또는 하부 소화수단 또는 상하부 소화수단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신호부를 포함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a fire suppression and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comprises: a ceiling plate fixedly mounted on the ceiling so as to detect the presence of a fire, a plate cover having an interior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wing portions formed on both sides to be fixed to the ceiling plate through fastening holes, and a lower portion formed with a camera mounting hole and a detector mounting hole; a fire detection unit comprising a camera mounted in the camera mounting hole of the plate cover and a fire detector mounted in the detector mounting hole; an image storage unit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plate cover and storing an image of the camera;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to a server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power suppl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fire detec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mprising: a pipe pipe installed horizontally at intervals on the ceiling so as to be able to spray extinguishing water in a downward direction when an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server; a vertical pipe arranged vertically at intervals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pipe, the lower portion penetrating the ceiling and having an electronic valve installed in the middle; a curved lower injection port having an upper connecting portion joi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a water passage formed inside, and a nozzle mounting hole formed at intervals on the lower portion; and a spray nozzle each mounted in the nozzle mounting hole of the lower injection port; A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mprising: a floor-mounting groove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floor and having a lower pipe mounted thereon to supply fire extinguishing water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can be sprayed upward when an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server; a lower case each mounted in the floor-mounting groov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therein and a cylinder mounting spac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a pair of horizontal cylinders each mounted in the cylinder mounting spaces of the lower case and having a semicircular blocking plate coupled to a rod that operates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or block the accommodation space; a central supporter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case and supporting the blocking plate of the horizontal cylinder; at least two or more bent pipes arranged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central supporter and having a right-angled shape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pipe at a horizontal end, and a nozzle mounting hole formed at the top; and a spray nozzle coupled to the nozzle mounting hole of the bent pipe and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lower pipe in a spray shape; And it includes a server including a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data transmitted through a fire detection means, a data comparison analysis unit that compares th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with input fire detection setting data, a transceiver unit that transmits the analysis value of the data comparison analysis unit to a manager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nager, and an operation signal unit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manager to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a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or an upper and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그리고 상기 하부 소화수단의 중앙 지지구의 상부 중앙에는 위치 안내를 위하여 야광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And, a luminous member may be mount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central support member of the lower digestive means for position guidance.

또한, 상기 하부 소화수단의 절곡 파이프는 복수의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추가 물배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추가 물배출부의 상부에는 분무 노즐이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nt pipe of the lower digestive means may be formed with an additional water discharge portion inclined so as to be able to spray water in multiple directions, and a spray nozzle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ditional water discharge portion.

본 발명의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 위치에 따라 상부 소화수단과 하부 소화수단을 통해 해당 부분의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인명사고와 재물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ire breaks out, it is possible to quickly extinguish the fire in the relevant part through the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and the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also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casualties and property loss resulting therefro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화재 감지수단과 상부 소화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화재 감지수단을 나타낸 단면구성도 및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화수단을 나타낸 배치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화수단을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솨수단을 나타낸 배치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화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화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
Figure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e detection means and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diagrams showing fire detection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layout diagram showing the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layout diagram showing an upper fire suppression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rver that constitutes an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The terms "comprises" or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화재 감지수단과 상부 소화수단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화재 감지수단을 나타낸 단면구성도 및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화수단을 나타낸 배치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화수단을 나타낸 단면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솨수단을 나타낸 배치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화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소화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를 구성하는 서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e detection means and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nd 4 are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and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fire detection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layout diagram showing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layout diagram showing an upper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constituting an initial fire suppression and fire fighting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diagram, and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server that constitutes an initial fire suppression device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발명인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10)는 화재 감지수단(20), 상부 소화수단(30), 하부 소화수단(40), 서버(50)를 포함한다.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device (10) for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e detection means (20),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a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and a server (50).

상기 화재 감지수단(20)은 천장(1)에 장착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The above fire detection means (20) is mounted on the ceiling (1) and detects whether there is a fire.

즉, 상기 화재 감지수단(20)은 일정간격이나 구획을 두고 천장(1)에 장착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That is, the fire detection means (20) is installed on the ceiling (1) at regular intervals or sections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fire.

그리고 상기 화재 감지수단(20)은 천장(1)에 고정장착되는 천장 플레이트(21), 내부에 수용공간(22a)이 형성되면서 상부는 개방되고, 양측에는 천장 플레이트(21)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날개부(22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카메라 장착공(22c)과 감지기 장착공(22d)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커버(22), 상기 플레이트 커버(22)의 카메라 장착공(22d)에 장착되는 카메라(23a)와 상기 감지기 장착공(22d)에 장착되는 화재 감지기(23b)로 구성되는 화재 감지부(23), 상기 플레이트 커버(22)의 수용공간(22a)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23a)의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24a)와 상기 영상 저장부(24a)에 저장된 영상을 유무선 통신(24b)을 통해 서버(50)에 전달하는 통신부(24) 및 상기 화재 감지부(23)와 통신부(2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로 구성된다. And the fire detection means (20) comprises a ceiling plate (21) fixedly mounted on the ceiling (1), a plate cover (22) having an opening at the top and a wing portion (22b) formed on both sides through fastening holes to the ceiling plate (21) while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22a) inside, and a camera mounting hole (22c) and a detector mounting hole (22d) formed at the bottom, a fire detection unit (23) comprising a camera (23a) mounted on the camera mounting hole (22d) of the plate cover (22) and a fire detector (23b) mounted on the detector mounting hole (22d), an image storage unit (24a) mounted on the accommodation space (22a) of the plate cover (22) and storing an image of the camera (23a), a communication unit (24) transmitting an image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24a) to a server (5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24b), and the fire detection unit (23). It consists of a power supply unit (25) that supplies power to the communication unit (24).

즉, 상기 화재 감지수단(20)은 천장(1)에 천장 플레이트(21)를 장착한 후, 상기 천장 플레이트(21)에 카메라(23a)와 화재 감지기(23b)이 구비된 화재 감지부(23), 영상 저장부(24a)와 유무선 통신(24b)이 구비된 통신부(24) 및 전원공급부(25)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커버(22)를 배치시킨 다음, 상기 천장 플레이트(21)와 플레이트 커버(22)의 날개부(22b)를 체결구를 통해 고정결합한 것이다. That is, the fire detection means (20) is formed by mounting a ceiling plate (21) on a ceiling (1), then placing a plate cover (22) on which a fire detection unit (23) equipped with a camera (23a) and a fire detector (23b), a communication unit (24) equipped with an image storage unit (24a)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4b), and a power supply unit (25) are mounted on the ceiling plate (21), and then the wing unit (22b) of the ceiling plate (21) and the plate cover (22) are fixedly connected through a fastening hole.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화재 감지수단(20)은 화재 감지부(23)의 카메라(23a)와 화재 감지기(23b)를 통해 화재 감지를 감시하고, 상기 카메라(23a)와 화재 감지기(23b)의 감시자료를 통신부(24)를 통해 서버(50)에 제공하여 화재 감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o explain a little more, the fire detection means (20) monitors fire detection through the camera (23a) and the fire detector (23b) of the fire detection unit (23), and provides the monitoring data of the camera (23a) and the fire detector (23b)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4) so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can be confirmed.

여기서, 상기 화재 감지기는 내부에 감지 센서와 보상 센서를 주위 온도가 일정한 온도 상승률 이상이 되면 작동하는 공지된 화재 감지기가 적용된다. Here, the fire detector is a known fire detector that has a detection sensor and a compensation sensor inside and operates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exceeds a certain temperature rise rate.

상기 상부 소화수단(30)은 천장(1)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The above upper extinguishing means (3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ceiling (1).

즉, 상기 상부 소화수단(30)은 서버(50)를 통한 작동신호 전달시 하부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사하게 된다. That is, the upper extinguishing means (30) sprays extinguishing water in a downward direction when an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50).

그리고 상기 상부 소화수단(30)은 천장(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장착되는 배관 파이프(31), 상기 배관 파이프(31)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는 천장(1) 부분을 관통하고 도중에는 전자밸브(33)가 장착되는 수직 배관(32), 상기 수직 배관(32)의 하부에 상부 연결부(35)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 수로통로(36)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노즐 장착공(37)이 형성되는 곡면 형상의 하부 분사구(34) 및 상기 하부 분사구(34)의 노즐 장착공(37)에 각각 장착되는 분사노즐(38)로 구성된다. And the upper extinguishing means (30) is composed of a pipe pipe (31) that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1), a vertical pipe (32) that is arranged vertically at intervals on the lower part of the pipe pipe (31) and penetrates the ceiling (1) at the lower part and has an electronic valve (33) installed in the middle, a curved lower injection port (34) in which an upper connecting part (35)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pipe (32), a water passage (36) is formed inside, and a nozzle mounting hole (37) is formed at intervals at the lower part, and a spray nozzle (38) that is installed in each of the nozzle mounting holes (37) of the lower injection port (34).

즉, 상기 상부 소화수단(30)은 천장(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는 배관 파이프(31)를 장착한 후, 상기 배관 파이프(31)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전자밸브(33)가 장착되는 수직 배관(32)을 장착한 다음, 상기 수직 배관(32)의 하부로 곡면 형상으로 하부에 다양한 방면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는 하부 분사구(34)를 장착한 후, 상기 하부 분사구(34)의 노즐 장착공(37)에 분사노즐(38)을 장착한 것이다. That is, the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is configured to mount a pipe (31) capable of suppl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at interval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eiling (1), then mount a vertical pipe (32) equipped with an electronic valve (33) for opening or closing the interior at intervals on the lower portion of the pipe (31), then mount a lower injection port (34) capable of spraying fire extinguishing water in various directions in a curved shape on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32), and then mount a spray nozzle (38) on the nozzle mounting hole (37) of the lower injection port (34).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부 소화수단(30)은 서버(50)를 통한 작동신호시 전자밸브(33)가 작동하여 수직 배관(32)을 개방하고, 상기 수직 배관(32) 및 물 수로통로(36)를 통해 공급된 소화수는 분사노즐(38)를 통해 하부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To explain a little more, the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operates when an operat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rver (50), thereby opening the vertical pipe (32) through the electronic valve (33), and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vertical pipe (32) and the water passage (36) is sprayed downward through the spray nozzle (38).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은 바닥(2)에 간격을 두고 장착된다. The above lower digestive means (40) are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floor (2).

그리고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은 바닥(2)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서버(50)를 통한 작동신호 전달시 상부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사하게 된다. And the lower extinguishing means (40) is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floor (2) and sprays extinguishing water upward when an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50).

이를 위해, 상기 바닥(2)에는 소화수를 공급하는 하부 파이프(4)가 장착되고, 상기 하부 파이프(4)과 통과하는 바닥(2)에는 간격을 두고 바닥 장착홈(5)이 형성된다. To this end, a lower pipe (4) for supplying digestive water is mounted on the floor (2), and a floor mounting groove (5) is formed at a gap in the floor (2) passing through the lower pipe (4).

그리고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은 상기 바닥 장착홈(5)에 각각 장착되고,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실린더 장착공간(42b)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41), 상기 하부 케이스(41)의 실린더 장착공간(42b)에 장착되고 전후진 작동하는 로드(42a)에는 상기 수용공간(41a)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반원형상의 차단판(42b)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실린더(42), 상기 하부 케이스(41)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42)의 차단판(42b)을 지지하는 중앙 지지구(43), 상기 중앙 지지구(43)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수평 끝단(44a)이 상기 하부 파이프(4)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노즐 장착공(44b)이 형성되는 절곡 파이프(44), 상기 절곡 파이프(44)의 노즐 장착공(44b)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파이프(4)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무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 노즐(45)로 구성된다. And the lower extinguishing means (40) is respectively mounted in the bottom mounting groove (5),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 receiving space (41a) formed inside, and a cylinder mounting space (42b)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upper portion, a pair of horizontal cylinders (42) each having a semicircular blocking plate (42b) coupled to a rod (42a) mounted in the cylinder mounting space (42b) of the lower case (41) and operating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or block the receiving space (41a), a central support member (43)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case (41) and supporting the blocking plate (42b) of the horizontal cylinder (42), a bent pipe (44) having at least two or more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central support member (43) and having a horizontal end (44a) connected to the lower pipe (4) while being bent into a right angle shape, and a nozzle mounting hole (44b)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nozzle of the bent pipe (44). It is composed of a spray nozzle (45) that is connected to a mounting member (44b) and sprays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upplied through the lower pipe (4) in a spray shape.

즉,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은 하부 케이스(41)를 구성하는 실린더 장착공간(42b)에 차단판(42b)이 장착된 수평 실린더(42)를 양측에 각각 배치하고, 상기 수용공간(41a)에는 하부 파이프(4)와 연결된 절곡 파이프(44)를 결합하며, 상기 절곡 파이프(44)의 노즐 장착공(44b)에는 소화수를 상부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분무 노즐(45)을 장착한 것이다. That is, the lower extinguishing means (40) is configured to have a horizontal cylinder (42) equipped with a blocking plate (42b) on each side in a cylinder mounting space (42b) constituting a lower case (41), a folded pipe (44) connected to a lower pipe (4) is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41a), and a spray nozzle (45) is mounted in the nozzle mounting hole (44b) of the folded pipe (44) so as to spray extinguishing water upward.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은 최초 수평 실린더(42)의 차단판(42b)을 통해 내부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서버(50)를 통한 작동신호 전달시 상기 차단판(42b)이 후진 작동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41)를 개방한다. To explain a little more, the lower extinguishing means (40) maintains the interior closed through the blocking plate (42b) of the first horizontal cylinder (42), and when an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rver (50), the blocking plate (42b) operates backward to open the lower case (41).

이후, 상기 하부 파이프(4)와 절곡 파이프(44)를 통해 전달된 소화수는 분무 노즐(4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화재를 소화하게 된다. Thereafter,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delivered through the lower pipe (4) and the bending pipe (44)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ray nozzle (45) to extinguish the fire.

다음으로,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은 도시된 도 9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lower digestive means (40)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9.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의 중앙 지지구(43)의 상부 중앙에는 위치 안내를 위하여 야광부재(46)가 장착될 수 있다. Specifically, a luminous member (46) may be mount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central support member (43) of the lower digestive means (40) for position guidance.

즉,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은 중앙 지지구(43)의 상부 중앙에 야광부재(46)를 장착하여, 소화작동시 위치 안내와 함께 사용자가 피신시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is equipped with a luminous member (46) at the upper center of the central support member (43), so that it can provide location guidance during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and prevent collision when the user evacuates.

또한,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을 구성하는 절곡 파이프(44)는 복수의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추가 물배출부(44c)가 형성되고, 상기 추가 물배출부(44c)의 상부에는 분무 노즐(45)이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ent pipe (44) constituting the lower digestive means (40) is formed with an additional water discharge portion (44c) inclined so as to be able to spray water in multiple directions, and a spray nozzle (45)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ditional water discharge portion (44c).

즉,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은 수직방향이 이외에도 경사진 추가 물배출부(44c)를 통해 많은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is designed to spray fire extinguishing water in many directions through an additional inclined water discharge section (44c) in addition to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서버(50)는 건물의 내부 또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된다. The above server (50) is installed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즉, 상기 서버(50)는 화재 감지수단(20)을 전달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상부 소화수단(30)과 하부 소화수단(40)를 관리하게 된다. That is, the server (50) manages the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and the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based on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means (20).

그리고 상기 서버(50)는 화재 감지수단(20)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1), 상기 데이터 저장부(51)의 데이터와 입력된 화재 감지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 분석부(52), 상기 데이터 비교 분석부(52)의 분석값을 관리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53),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상부 소화수단(30) 또는 하부 소화수단(40) 또는 상하부 소화수단(30,4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신호부(54)를 포함한다. And the server (50) includes a data storage unit (51) that stores data transmitted through a fire detection means (20), a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hat compares th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51) with the input fire detection setting data, a transceiver unit (53) that transmits the analysis value of th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o a manager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nager, and an operation signal unit (54)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manager to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a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or upper and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40).

즉, 상기 서버(50)는 화재 감지수단(20)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 후, 상기 데이터 저장부(51)의 데이터와 입력된 화재 감지 설정 데이터를 비교한 다음, 상기 데이터 비교 분석부(52)의 분석값을 관리자에게 전달한다. That is, the server (50) stores th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fire detection means (20), compares th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51) with the input fire detection setting data, and then transmits the analysis value of the data comparison analysis unit (52) to the administrator.

이후, 상기 서버(50)는 관리자의 작동신호에 따라 화재 미감지시에는 평상시를 유지하고, 화재 감지시에는 해당 신호에 따라 상부 소화수단(30) 또는 하부 소화수단(40) 또는 상하부 소화수단(30,4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Thereafter, the server (50) maintains normal operation when a fire is not det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of the manager, and when a fire is detected,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to the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or upper and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40) according to the signal.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an initial fire suppression system for a building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내부에 수용공간(22a)이 형성되면서 상부는 개방되고, 양측에는 천장 플레이트(21)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날개부(22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카메라 장착공(22c)과 감지기 장착공(22d)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커버(22)를 형성한 후, 상기 플레이트 커버(22)의 카메라 장착공(22d)에 장착되는 카메라(23a)와 상기 감지기 장착공(22d)에 장착되는 화재 감지기(23b)로 구성되는 화재 감지부(23)를 장착한 다음, 상기 플레이트 커버(22)의 수용공간(22a)에 상기 카메라(23a)의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24a)와 상기 영상 저장부(24a)에 저장된 영상을 유무선 통신(24b)을 통해 서버(50)에 전달하는 통신부(24) 및 상기 화재 감지부(23)와 통신부(2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를 복수개수 준비한다. First, a plate cover (22) is formed with an opening at the top and a wing portion (22b) formed on both sides to be fixed to a ceiling plate (21) through a fastening hole, and a camera mounting hole (22c) and a detector mounting hole (22d) formed at the bottom, and then a fire detection unit (23) is formed, which comprises a camera (23a) mounted in the camera mounting hole (22d) of the plate cover (22) and a fire detector (23b) mounted in the detector mounting hole (22d), and then a plurality of image storage units (24a) for storing images of the camera (23a) in the storage space (22a) of the plate cover (22), a communication unit (24) for transmitting image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24a) to a server (50)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24b), and a power supply unit (25)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e detection unit (23) and the communication unit (24) are installed. Get ready.

이후, 상기 천장(1)에 일정간격 또는 구획을 두고 천장 플레이트(21)를 장착한 후, 상기 천장 플레이트(21)에 화재 감지부(23)와 통신부(24) 및 전원공급부(25)가 장착되는 플레이트 커버(22)를 배치한 다음, 상기 플래이트 커버(22)의 날개부(22b)와 천장 플레이트(21)를 체결구를 통해 고정하여 화재 감지수단(20)를 천장(1)에 장착한다. Afterwards, a ceiling plate (21) is mounted on the ceiling (1) at regular intervals or sections, and then a plate cover (22) on which a fire detection unit (23), a communication unit (24), and a power supply unit (25) are mounted is placed on the ceiling plate (21), and then the wing portion (22b) of the plate cover (22) and the ceiling plate (21) are fixed through a fastening hole to mount the fire detection means (20) on the ceiling (1).

다음으로, 상기 천장(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장착되는 배관 파이프(31), 상기 배관 파이프(31)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는 천장(1) 부분을 관통하고 도중에는 전자밸브(33)가 장착되는 수직 배관(32), 상기 수직 배관(32)의 하부에 상부 연결부(35)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 수로통로(36)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노즐 장착공(37)이 형성되는 곡면 형상의 하부 분사구(34) 및 상기 하부 분사구(34)의 노즐 장착공(37)에 각각 장착되는 분사노즐(38)로 구성되는 상부 소화수단(30)을 장착한다. Next,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is installed, which consists of a pipe pipe (31) installed horizontally at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1), a vertical pipe (32) arranged vertically at intervals on the lower part of the pipe pipe (31), penetrating the ceiling (1) at the lower part and having an electronic valve (33) installed in the middle, a curved lower injection port (34) in which an upper connecting portion (35) is joined to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pipe (32), a water passage (36) is formed inside, and a nozzle mounting hole (37) is formed at intervals at the lower part, and a spray nozzle (38) installed in each of the nozzle mounting holes (37) of the lower injection port (34).

이후, 바닥(2)에 소화수를 공급하는 하부 파이프(4)를 간격을 두고 장착한 후 상기 하부 파이프(4)과 통과하는 바닥(2)에 간격을 두고 바닥 장착홈(5)을 형성한다. Afterwards, a lower pipe (4) that supplies digestive water to the floor (2) is installed at intervals, and then a floor mounting groove (5) is formed at intervals in the floor (2) passing through the lower pipe (4).

다음으로, 상기 바닥 장착홈(5)에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실린더 장착공간(42b)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41), 상기 하부 케이스(41)의 실린더 장착공간(42b)에 장착되고 전후진 작동하는 로드(42a)에는 상기 수용공간(41a)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반원형상의 차단판(42b)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실린더(42), 상기 하부 케이스(41)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42)의 차단판(42b)을 지지하는 중앙 지지구(43), 상기 중앙 지지구(43)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수평 끝단(44a)이 상기 하부 파이프(4)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노즐 장착공(44b)이 형성되는 절곡 파이프(44), 상기 절곡 파이프(44)의 노즐 장착공(44b)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파이프(4)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무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 노즐(45)로 구성되는 하부 소화수단(40)을 각각 장착한다. Next, a lower case (41)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41a) formed inside the bottom mounting groove (5) and a cylinder mounting space (42b)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upper portion, a pair of horizontal cylinders (42) each having a semicircular blocking plate (42b) coupled to a rod (42a) that is mounted in the cylinder mounting space (42b) of the lower case (41) and operates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or block the accommodation space (41a), a central support member (43)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case (41) and supporting the blocking plate (42b) of the horizontal cylinder (42), a bent pipe (44) having at least two radially arranged centered on the central support member (43) and having a horizontal end (44a) connected to the lower pipe (4) while being bent into a right angle shape, and a nozzle mounting hole (44b)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 nozzle mounting hole (44b) coupled to the nozzle mounting hole (44b) of the bent pipe (44) and connected to the lower Each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is equipped with a spray nozzle (45) that sprays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a pipe (4) in a spray shape.

그리고 건축물의 내부 또는 건축물의 외부로 상기 화재 감지수단(20)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1), 상기 데이터 저장부(51)의 데이터와 입력된 화재 감지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 분석부(52), 상기 데이터 비교 분석부(52)의 분석값을 관리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53),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상부 소화수단(30) 또는 하부 소화수단(40) 또는 상하부 소화수단(30,4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신호부(54)를 포함하는 서버(50)를 설치하면,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10)의 설치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And when a server (50) including a data storage unit (51) that stores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fire detection means (20) to the inside or outside of a building, a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hat compares th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51) with the input fire detection setting data, a transceiver unit (53) that transmits the analysis value of th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o a manager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nager, and an operation signal unit (54)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manager to the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or the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or the upper and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40) is installed,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10) for a building is completed.

여기서, 상기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의 설치는 상기와 상이하게 진행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it is disclosed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for the above-mentioned building may proceed differently from the above-mentioned.

다음으로, 상기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10)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an example of an initial fire suppression fire fighting device (10) for the above-mentioned building will be examined as follows.

먼저, 상기 화재 감지수단(20)을 통해 화재 감지 데이터가 서버(50)에 전달되면, 상기 서버(50)는 데이터 저장부(51)를 통해 감지 데이터 값을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비교 분석부(52)는 설정 값과 감지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화재 발생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First, when fire detection data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fire detection means (20), the server (50) stores the detection data value through the data storage unit (51), and the data comparison analysis unit (52) compares the detection data value with the set value to confirm whether a fire has occurred.

이후, 상기 화재 감지수단(20)의 감지 데이터 값이 상기 데이터 비교 분석부(52)의 설정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평상시와 동일한 상황으로 인지하고 상기 송수신부(53)를 통해 관리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Thereafter, if the detection data value of the fire detection means (20) is smaller than the set value of the data comparison analysis unit (52), it is recognized as the same situation as normal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3).

다음으로, 상기 화재 감지수단(20)의 감지 데이터 값이 상기 데이터 비교 분석부(52)의 설정 값보다 큰 경우에는 화재발생초기 또는 화재발생 상황으로 인지하고 상기 송수신부(53)를 통해 관리자에게 전달하게 된다.Next, if the detection data value of the fire detection means (20)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of the data comparison analysis unit (52), it is recognized as the initial stage of a fire or a fire situation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53).

그리고 상기 송수신부(53)는 관리자의 상황 신호에 따라 작동신호부(54)를 통해 상부 소화수단(30) 또는 하부 소화수단(40) 또는 상하부 소화수단(30, 4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And the above-mentioned transmitter/receiver (53) transmits an operating signal to the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the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or the upper and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40) through the operating signal unit (54) according to the situation signal of the manager.

이후, 상기 상부 소화수단(30) 또는 하부 소화수단(40) 또는 상하부 소화수단(30, 40)는 소화수를 화재발생 부분에 신속하게 분사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after, the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or the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or the upper and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40) can quickly spray fire extinguishing water to the part where the fire occurred, thereby extinguishing the fire at an early stag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intended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equivalent thereto or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천장 2 : 바닥
4 : 하부 파이프 5 : 바닥 장착홈
10 :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20 : 화재 감지수단 21 : 천장 플레이트
22 : 플레이트 커버 22a : 수용공간
22b : 날개부 22c : 카메라 장착공
22d : 카메라 장착공 23 : 화재 감지부
23a : 카메라 23b : 화재 감지기
24 : 통신부 24a : 영상 저장부
24b : 유무선 통신 25 : 전원공급부
30 : 상부 소화수단 31 : 배관 파이프
32 : 수직 배관 33 : 전자밸브
34 : 하부 분사구 35 : 상부 연결부
36 : 물 수로통로 37 : 노즐 장착공
38 : 분사노즐
40 : 하부 소화수단 41 : 하부 케이스
41a : 수용공간 42 : 수평 실린더
42a : 로드 42b : 차단판
43 : 중앙 지지구 44 : 절곡 파이프
44a : 수평 끝단 44b : 노즐 장착공
45 : 분무 노즐
50 : 서버 51 : 데이터 저장부
52 : 데이터 비교 분석부 53 : 송수신부
54 : 작동신호부
1: Ceiling 2: Floor
4: Lower pipe 5: Floor mounting groove
10: Initial fire suppression equipment for buildings
20: Fire detection means 21: Ceiling plate
22 : Plate cover 22a : Receiving space
22b: Wing 22c: Camera Mounting Hole
22d: Camera Mounting 23: Fire Detection Unit
23a: Camera 23b: Fire detector
24: Communication section 24a: Image storage section
24b: Wireless communication 25: Power supply
30: Upper extinguishing means 31: Plumbing pipe
32: vertical pipe 33: solenoid valve
34: Lower nozzle 35: Upper connection
36: Water channel 37: Nozzle mounting hole
38 : Injection nozzle
40: Lower extinguishing means 41: Lower case
41a: Accommodation space 42: Horizontal cylinder
42a : Road 42b : Block
43: Central support 44: Bend pipe
44a: Horizontal end 44b: Nozzle mounting hole
45 : Spray nozzle
50: Server 51: Data storage
52: Data comparison analysis section 53: Transmission/reception section
54 : Operating signal section

Claims (3)

일정간격이나 구획을 두고 천장(1)에 설치되어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천장(1)에 고정장착되는 천장 플레이트(21), 내부에 수용공간(22a)이 형성되면서 상부는 개방되고, 양측에는 천장 플레이트(21)에 체결구를 통해 고정되는 날개부(22b)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카메라 장착공(22c)과 감지기 장착공(22d)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커버(22), 상기 플레이트 커버(22)의 카메라 장착공(22d)에 장착되는 카메라(23a)와 상기 감지기 장착공(22d)에 장착되는 화재 감지기(23b)로 구성되는 화재 감지부(23), 상기 플레이트 커버(22)의 수용공간(22a)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23a)의 영상이 저장되는 영상 저장부(24a)와 상기 영상 저장부(24a)에 저장된 영상을 유무선 통신(24b)을 통해 서버(50)에 전달하는 통신부(24) 및 상기 화재 감지부(23)와 통신부(2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5)로 구성되는 화재 감지수단(20);
상기 천장(1)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서버(50)를 통한 작동신호 전달시 하부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천장(1)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장착되는 배관 파이프(31), 상기 배관 파이프(31)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는 천장(1) 부분을 관통하고 도중에는 전자밸브(33)가 장착되는 수직 배관(32), 상기 수직 배관(32)의 하부에 상부 연결부(35)가 결합되고, 내부에는 물 수로통로(36)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노즐 장착공(37)이 형성되는 곡면 형상의 하부 분사구(34) 및 상기 하부 분사구(34)의 노즐 장착공(37)에 각각 장착되는 분사노즐(38)로 구성되는 상부 소화수단(30);
바닥(2)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서버(50)를 통한 작동신호 전달시 상부 방향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소화수를 공급하는 하부 파이프(4)가 장착되는 바닥(2)에 간격을 두고 바닥 장착홈(5)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장착홈(5)에 각각 장착되고, 원통 형상으로 내부에는 수용공간(41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실린더 장착공간(42b)이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41), 상기 하부 케이스(41)의 실린더 장착공간(42b)에 장착되고 전후진 작동하는 로드(42a)에는 상기 수용공간(41a)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반원형상의 차단판(42b)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수평 실린더(42), 상기 하부 케이스(41)의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42)의 차단판(42b)을 지지하는 중앙 지지구(43), 상기 중앙 지지구(43)를 중심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직각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면서 수평 끝단(44a)이 상기 하부 파이프(4)와 연결되고, 상부에는 노즐 장착공(44b)이 형성되는 절곡 파이프(44), 상기 절곡 파이프(44)의 노즐 장착공(44b)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파이프(4)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를 분무형상으로 분사하는 분무 노즐(45)로 구성되는 하부 소화수단(40); 및
화재 감지수단(20)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1), 상기 데이터 저장부(51)의 데이터와 입력된 화재 감지 설정 데이터를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 분석부(52), 상기 데이터 비교 분석부(52)의 분석값을 관리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송수신부(53), 상기 관리자의 작동신호를 상부 소화수단(30) 또는 하부 소화수단(40) 또는 상하부 소화수단(30,40)에 작동신호를 전달하는 작동신호부(54)를 포함하는 서버(5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의 중앙 지지구(43)의 상부 중앙에는 위치 안내를 위하여 야광부재(46)가 장착되며,
상기 하부 소화수단(40)의 절곡 파이프(44)는 복수의 방향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추가 물배출부(44c)가 형성되고,
상기 추가 물배출부(44c)의 상부에는 분무 노즐(45)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A ceiling plate (21) installed on the ceiling (1) at regular intervals or sections to detect the presence of a fire, the upper part of which is open while an accommodation space (22a) is formed inside, wing parts (22b) that are fixed to the ceiling plate (21) through fastening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and a camera mounting hole (22c) and a detector mounting hole (22d) are formed on the lower part, a fire detection unit (23) composed of a camera (23a) mounted in the camera mounting hole (22d) of the plate cover (22) and a fire detector (23b) mounted in the detector mounting hole (22d), an image storage unit (24a)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2a) of the plate cover (22) and storing images of the camera (23a), and a communication unit (24) that transmits images stored in the image storage unit (24a) to a server (5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24b), and the fire detection unit (23) A fire detection means (20) comprising a power supply unit (25) that supplies power to a detection unit (23) and a communication unit (24);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comprising: a pipe pipe (31) installed at intervals on the ceiling (1) and horizontally mounted at intervals on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1) so as to be able to spray extinguishing water in a downward direction when an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server (50); a vertical pipe (32) arranged at intervals on the lower part of the pipe pipe (31) and having a lower portion penetrating the ceiling (1) and having an electronic valve (33) mounted in the middle; a curved lower injection port (34) having an upper connecting portion (35) joi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ipe (32), a water passage (36) formed inside, and a nozzle mounting hole (37) formed at intervals on the lower portion; and a spray nozzle (38) mounted on each of the nozzle mounting holes (37) of the lower injection port (34);
A floor mounting groove (5) is formed at a spaced interval on the floor (2) and a lower pipe (4) is mounted to supply fire extinguishing water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can be sprayed upward when an operating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a server (50), and a lower case (41) is mounted in each of the floor mounting grooves (5)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receiving space (41a) formed inside and a cylinder mounting space (42b)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top, a pair of horizontal cylinders (42) each having a semicircular blocking plate (42b) coupled to a rod (42a) that is mounted in the cylinder mounting space (42b) of the lower case (41) and operates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or block the receiving space (41a), a central support (43)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case (41) and supporting the blocking plate (42b) of the horizontal cylinder (42), at least two or more are arranged radially around the central support (43) and are formed by bending in a right-angled shape while being formed. A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comprising a bent pipe (44) having a horizontal end (44a) connected to the lower pipe (4) and a nozzle mounting hole (44b) formed at the upper end, a spray nozzle (45) connected to the nozzle mounting hole (44b) of the bent pipe (44) and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lower pipe (4) in a spray shape; and
A server (50) including a data storage unit (51) that stores data transmitted through a fire detection means (20), a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hat compares the data of the data storage unit (51) with the input fire detection setting data, a transceiver unit (53) that transmits the analysis value of th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unit (52) to a manager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manager, and an operation signal unit (54) that transmits the operation signal of the manager to an upp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or a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40) or upper and lower fire extinguishing means (30, 40).
A luminous member (46) is mounted on the upper center of the central support member (43) of the lower digestive means (40) to provide position guidance.
The bending pipe (44) of the lower digestive means (40) above is formed with an additional water discharge section (44c) inclined so that water can be sprayed in multiple directions.
An initial fire suppression device for a building, characterized in that a spray nozzle (45)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dditional water discharge portion (44c).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87982A 2023-12-21 2023-12-21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ctive KR102765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7982A KR102765259B1 (en) 2023-12-21 2023-12-21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7982A KR102765259B1 (en) 2023-12-21 2023-12-21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65259B1 true KR102765259B1 (en) 2025-02-07

Family

ID=9463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7982A Active KR102765259B1 (en) 2023-12-21 2023-12-21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525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775B1 (en)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Fire fighting device for extinguish ac fire
KR101772023B1 (en) 2017-02-10 2017-08-28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KR102069294B1 (en) * 2019-07-01 2020-01-22 주식회사 건일방재 Prevention of fire spread of building exterior wall structure
KR102286749B1 (en) * 2021-03-03 2021-08-06 (주)건축사사무소건일종합기술 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 nozzle clamping structure for building fire extinguishing
KR102349350B1 (en) * 2021-03-18 2022-01-11 (주)하나종합테크 Fire fighting equipment for emergency evacuation for apartment house
KR102445473B1 (en) * 2022-04-12 2022-09-21 (주)지여이앤씨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775B1 (en)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Fire fighting device for extinguish ac fire
KR101772023B1 (en) 2017-02-10 2017-08-28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KR102069294B1 (en) * 2019-07-01 2020-01-22 주식회사 건일방재 Prevention of fire spread of building exterior wall structure
KR102286749B1 (en) * 2021-03-03 2021-08-06 (주)건축사사무소건일종합기술 Fire extinguishing water spray nozzle clamping structure for building fire extinguishing
KR102349350B1 (en) * 2021-03-18 2022-01-11 (주)하나종합테크 Fire fighting equipment for emergency evacuation for apartment house
KR102445473B1 (en) * 2022-04-12 2022-09-21 (주)지여이앤씨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fire monitoring and suppres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1815B1 (en) Fire detection an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US20150254952A1 (en) Platform of Smart Security Protection Integrated System
KR101851319B1 (en) Fire fighting alarm apparatus using electric and communication equipment of apartment house
JP5559199B2 (en) Sprinkler with integrated valve and early fire suppress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836117B1 (en) Fire fighting safety management system of apartment
KR102169181B1 (en) Fire fighting management system
KR101728521B1 (en) Real-time fire fighting sensing and monitoring system
KR102045416B1 (en) Remot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and remote anti-crime equipment
KR101990977B1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JP2014063485A (en) Fire site handling support system and fire site handling support method
KR101720748B1 (en) Smart fire preven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 by electric equipment
KR101654704B1 (en) Fire mansgement systen comprising fire fighting device for building of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sprinkler type
KR102765259B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KR102082567B1 (en) Fire Protection System of Building
KR102395973B1 (en) Firefighting facility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houses using robots
KR101683442B1 (en) Fir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fire fighting device for building of upward and downward jet sprinkler type
KR20070085192A (en) CO2 (or clean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ing facility remote control system
JP2016140414A (en) Automatic fire alarm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1663989B1 (en) Intelligent firefighting system
JP7712311B2 (e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20090126972A (en) Fire protection for windows and methods
KR102701615B1 (en) Building automatic fire detection and firefighting device
KR102651919B1 (en) System for fire suppression of warehouse
WO2013110172A1 (en) Smar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518640B1 (en) Mobile firefighting system in apartment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