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5211B1 -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5211B1
KR102765211B1 KR1020220060662A KR20220060662A KR102765211B1 KR 102765211 B1 KR102765211 B1 KR 102765211B1 KR 1020220060662 A KR1020220060662 A KR 1020220060662A KR 20220060662 A KR20220060662 A KR 20220060662A KR 102765211 B1 KR102765211 B1 KR 102765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p
sleep quality
user
mattress
ti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6466A (ko
Inventor
김태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56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6466A/ko
Priority to US18/512,49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56398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52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5Sleep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Measur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61B5/1115Monitoring leaving of a patient support, e.g. a bed or a wheel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68Sexual arousal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1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7Computer input devices, e.g. mice or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syc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sychia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mat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어리스(wearless) 상태로 객관적인 수면의 질을 측정하며,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측정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수면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은, 웨어리스(wearless) 형태로 사용자의 객관적 수면 질 정보를 측정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행동 교정 보조기, 및 상기 매트리스에서 측정된 객관적 수면 질 정보와, 상기 사용자와 질의응답을 통해 파악되는 주관적 수면 질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는 AI 스피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 {SYSTEM FOR IMPROVING SLEEP QUA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웨어리스(wearless) 상태로 객관적인 수면의 질을 측정하며,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측정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올바른 수면 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면 산업 시장 기기들은 만성 불면증이 발생하게 되는 인지행동 오류를 간과한 채로 다양한 생체지표 취합과 일부 정보 획득의 정확성 혹은 편의성만을 강조한다. 이는 불면증 고위험군이나 불면증으로 실제 고생하는 대상자에게 임상적 가치를 갖지 못하며, 대중의 호기심에 의한 구매 이후에는 수면 관련 상품성의 가치와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불면증 발생의 주된 임심상적 원인 즉 수면에 관한 인지오류와 부적절한 수면보상행동에 초점을 맞춰 기술발달이 접목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접목기술이란 수면인지오류 수면 보상행동을 자동적으로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따라 교정행동을 제시하고, 나아가 제시행동의 순응과 수면인지오류 및 수면보상행동을 재측정하여 수면질 개선효과를 도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 10-2023524호는 불면증 치료 지원 장치 및 불면증 치료 지원용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불면증의 개선도를 시사하는 수면 효율에 따른 적절한 시각에 졸음 테스트가 실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졸음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712281호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면효율 연산 방법 및 수면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평균 침대시간(TB)을 연산하고, 평균 실제수면시간(TS)을 연산하고, 이에 따라 평균 수면효율(ES)을 연산하여 수면장애 여부를 판별하고 제안 침대시간(TBp)을 제공함으로써, 내원을 하지 않으면서도 정확하고 적시적인 치료가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2006-34966호는 불면증 평가와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수면 패턴 데이터 및 수면 유인 행동의 자극을 생성하는 행동 수정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수면 행동 치료 계획을 생성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상기 종래 기술들은 객관적인 수면의 질과 주관적인 수면의 질을 종합적으로 측정 및 분석하는 구성에 대해 개시하지 않고 있으며, 사용자 친화적인 개인 맞춤형 수면 가이드 기능을 하는 방식에 대해 개선의 여지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10-2023524호 한국등록특허 10-1712281호 일본공개특허 2006-349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질 개선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인지 오류 측정과 교정 행동을 측정하는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여, 올바른 수면 행동을 습관화하고 유지하도록 돕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은, 웨어리스(wearless) 형태로 사용자의 객관적 수면 질 정보를 측정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행동 교정 보조기, 및 상기 매트리스에서 측정된 객관적 수면 질 정보와, 상기 사용자와 질의응답을 통해 파악되는 주관적 수면 질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는 AI 스피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 또는 체압을 측정하여 사용자를 구분하는 체중/체압 측정부와, 상기 사용자의 수면과 각성을 구분하는 객관적 수면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면과 각성을 구분하는 방식은 뇌파 또는 심박수나 호흡수 또는 움직임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매트리스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구분하도록 상기 체중/체압 측정부에서 측정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행동 교정 보조기는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행동 교정 보조기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시 체중 측정을 통해 상기 매트리스에 누워있던 사용자의 체중과 비교하여 동일인인지 확인하는 체중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중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매트리스와 상기 행동 교정 보조기에는 각각 송수신기가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스피커와 상기 행동 교정 보조기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면 질 개선 시스템은 상기 AI 스피커에서 전달하는 정보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스피커와 상기 디스플레이기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객관적 수면 질 정보는 수면 시간(Sleep duration 또는 Total Sleep time, TST), 수면 잠복기(Sleep onset Latency, SoL), 입면후각성시간(After Sleep Onset, WASO) 또는 수면 효율(Sleep efficiency, SE)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스피커에는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 측정을 위해 사용자에 대한 수면 관련 질의사항이 미리 프로그램화 되어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스피커는 주관적 수면 질 정보와 상기 매트리스에서 측정된 객관적 수면 질 정보의 일치도를 분석하여 인지 오류와 보상 행동을 측정하며, 측정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관적 수면 질 정보는 매트리스에 누운 시간, 매트리스에서 나온 시간, 잠이 든 시간, 잠이 깬 시간, 투약이나 술을 마신 시간, 운동 시간, 낮잠 시간 또는 자고 났을 때의 개운함 정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질 개선 방법은, (a) 매트리스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객관적 수면 질을 측정하며, 측정 정보를 AI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AI 스피커에서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을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객관적 수면 질 정보와 상기 주관적 수면 질 정보의 일치도를 분석하여 인지 오류와 보상 행동을 측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인지 오류와 보상 행동의 측정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의 사용자 확인을 위해 사용자의 체중 또는 체압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객관적 수면 질 정보는 수면 시간, 수면 잠복기, 각성 시간 또는 수면 효율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관적 수면 질 정보는 매트리스에 누운 시간, 매트리스에서 나온 시간, 잠이 든 시간, 잠이 깬 시간, 투약이나 술을 마신 시간, 운동 시간, 낮잠 시간 또는 자고 났을 때의 개운함 정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의 주관적 수면 질 측정은, 상기 매트리스에서 공간적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는 행동 교정 보조기에서 이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AI 스피커에는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 측정을 위해 사용자에 대한 수면 관련 질의사항이 미리 프로그램화 되어 내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e) 단계의 피드백 정보의 제공은 AI 스피커의 음성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e) 단계의 피드백 정보의 제공은 AI 스피커의 음성 및 디스플레이기의 시각화 된 정보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몸에 특정한 장치를 부착하지 않은 웨어리스(wearless) 상태로 객관적인 수면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은 수면 인지 및 보상 행동을 측정하고 패턴을 분석하여, 불면증 예방 및 교정을 촉진하는 개인 맞춤형 가이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은 임상에서 불면증 인지행동 치료에 활용되는 수면일지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은 불면증이 많은 노인이 사용하기에도 손쉽고, 노인의 정서적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은 불면증 개선을 통해 우울 및 치매 예방의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 조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될 뿐 아니라 그 동안 수면의 영향을 배제하지 않은 채 이루어져 온 기분 및 인지기능 관련 스마트기기 연구에도 상호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주관적 수면 질 파악을 위한 수면일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질 개선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면 질 개선 시스템(10)은 매트리스(100), 행동 교정 보조기(200) 및 AI(Artificial Intelligence) 스피커(30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기(400)를 더 포함한다.
불면증은 객관적 수면 질(objective sleep quality, OSQ)과 주관적 수면 질(subjective SQ, SSQ) 정보 사이에 불일치, 즉 인지 오류와 연관되며, 깨어 있는 상태로 침대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하는 보상 행동이 특징이다. 이러한 보상 행동을 줄여야 불면증의 만성화를 막게 되고 수면에 대한 걱정과 불안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 질 개선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자고 일어났을 때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친근하게 잘 잤는지 등의 내용으로 대화하고, 매트리스(100)로부터 측정된 정보와 취합하여 수면 질, 인지 오류, 보상 행동을 체크하고 결과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여 불면증의 예방 혹은 교정에 도움이 된다.
객관적 수면 질(OSQ) 정보는 액티와치(actiwatch) 등 웨어러블 형태로 측정하거나 병원의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측정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매트리스(100)는 집에서 웨어리스(wearless) 형태로 측정할 수 있어서, 객관적 수면 질 정보 측정을 손쉽게 하고, 불면증 악화 요인인 보상행동을 측정할 수 있다.
매트리스(100)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동안 수면 또는 각성을 측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중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매트리스에 누워있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매트리스(100)는 객관적 수면 측정부(110)와 체중/체압 측정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매트리스의 객관적 수면측정부(110)는 수면과 각성을 측정하여 수면잠복기(Sleep onset latency, SoL), 수면시간(Sleep duration 또는 Total Sleep Time, TST), 입면후각성(Wake After Sleep Onset, WASO) 등의 객관적 수면질 정보(Sleep Quality, OSQ)를 획득할 수 있으며 체중체압측정부(120)는 누워있는 시간(Time in Bed, TIB) 정보를 획득하여 객관적 수면질 정보인 수면효율(Sleep Efficiency, SE)을 분석할 수 있게 한다.
객관적 수면 측정부(110)는 뇌파, 심박동수, 호흡수 또는 움직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뇌파는 사용자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 위치하는 뇌파측정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심박동수 또는 호흡수는 Piezo sensor 또는 적외선PPG(photoplethysmography, 광혈류측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움직임은 가속도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면측정부는 렘수면 및 서파수면 등의 수면구조측정을 포함할 수 있지만 서파수면이나 렘수면 등을 모두 포함하는 수면상태와 수면이 아닌 각성상태를 일관성있게 구분한다
체중/체압 측정부(120)는 사용자의 체중 또는 체압을 측정하여, 매트리스(100)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구분하며, 사용자가 매트리스(100)에 누워있는 시간과 일어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수면 보상 행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정보 저장부(130)는 체중/체압 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체중 또는 체압 정보를 저장하며, 사용자를 식별한다. 매트리스(100)에는 여러 명의 다른 사용자가 누울 수 있으며, 체중/체압 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하여, 매트리스(100)에 위치하는 각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주관적 수면 질(SSQ) 정보는 개인이 지필로 작성하는 수면 일지로 파악되며, 수면 일지를 제대로 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반복적인 실시가 필요하다. 불면증을 겪고 있는 노인의 경우, 다양한 이유로 수면 일지 작성이 미흡하여 제대로 인지 행동 치료를 하기 곤란하다.
본 발명의 AI 스피커(300)는 주관적 수면 측정부(310)와 인지오류 및 보상행동분석부(320), 그리고 수면질 개선 교정행동 출력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주관적 수면측정부(310)는 친화적 대화형태와 적절한 내용으로 구성된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주관적 수면질을 파악하는 수면일지를 대체하여 주관적 수면질 측정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노인에게 적용하는데 용이하다.
인지오류 및 보상행동분석부(320)는 매트리스의 객관적 수면측정부(110)와 AI 스피커의 주관적 수면측정부(310)에서 측정한 수면시간 등의 측정값 일치도 및 격차의 정도에 따라 인지오류 유무인지 오류의 변화를 분석한다. 객관적 수면측정부(110)에서 획득한 수면시간(TST)과 체중/체압측정부(120)에서 획득한 침대에 누워있는 시간(TIB)을 이용하여 객관적 수면질에 해당하는 수면효율(SE) 정보를 계산하고 수면보상 행동유무 및 변화를 분석한다. 수면질 개선교정 행동출력부(330)는 수면 보상행동 및 수면 효율증가를 가이드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수면시간대 즉 잠자리에 드는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안한다.
본 발명의 AI 스피커는 주관적 수면측정부(310)와 객관적 수면측정부(110), 체중체압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정보를 취합하여 인지오류와 보상행동을 분석하며 각각의 유무와 패턴을 분석하고 보상행동의 시간을 줄이는 행동전략을 제시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잠자리에 들기 전 행동교정보조기로 위치하도록 가이드하거나 잠자리에 들었다가 잠자리에서 나와 행동교정보조기로 위치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수면 환경 문제, 폐쇄성 수면 호흡 증후군을 비롯하여 수면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만성 불면증을 굳히고 만성화 하는 기전은 수면에 대한 개인의 역기능적 사고와 부적응적 행동, 즉, 인지행동 오류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수면 산업 시장 기기들은 이러한 인지행동 오류를 간과한 채로 불면증 관련 생체 지표 정보 취합의 정확성(문제 진단)과 편의성에만 주안하고 있는데, 불면증의 위험이 있거나 불면증으로 실제 고생하는 대상에게는 수면 관련 객관적 자료와 환경 조절에 관심을 두게 하는 것은 오히려 수면에 대한 불안을 증가시키고 부적응적 보상 행동을 촉진하여 불면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기들은 임상적 가치를 기대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수면 질 개선 시스템(10)은 인지행동 오류를 개선 시킬 수 있는 실용적인 시스템이며, 개인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사물인터넷 및 인공지능 기술을 응용하여 최상의 수면을 위한 인지 및 행동을 측정하며, 행동의 교정을 촉진시킨다.
행동 교정 보조기(200)는 사용자의 각성 시 매트리스(100)와 구분된 장소에 머물게 하도록 행동을 교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행동 교정 보조기(200)는 매트리스(10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으나, 소파, 방석 등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물품이 될 수 있다. 행동 교정 보조기(200)는 센싱부(21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행동 교정 보조기(200)는 체중 측정부(22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착석 시 체중 측정을 통해 매트리스(100)에 누워있던 사용자의 체중과 비교하여 동일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체중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매트리스(100)와 행동 교정 보조기(200)에는 각각 송수신기가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행동교정보조기(200)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행동순응 또는 행동변화 및 불면증 개선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불면증의 개선은 수면시간값의 객관적 및 주관적 차이 또는 일치도 및 수면효율값을 이용하여 판단하며 그수치의 예로 각각 30분이내 8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행동 교정 보조기(200)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행동 순응 또는 행동 변화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
AI 스피커(300)는 매트리스(100)와 행동 교정 보조기(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분석을 실행한다. AI 스피커(300)는 주관적 수면 질(SSQ)을 분석하기 위해 자고 일어난 사용자의 수면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며, 매트리스(100)로부터 측정된 객관적 수면시간(TST) 및 객관적 수면 효율(SE)과 AI 스피커(300)로부터 측정한 주관적 수면시간(TST) 및 주관적 수면 효율(SE)을 비교하여 일치도를 평가한다.
여기서, 수면 효율은 사용자가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 중 실제로 잠을 잔 시간을 의미한다. 즉, 수면 효율(%) = (실제로 잠을 잔 시간(TST) /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TIB)) X 100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면 효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효율성이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적절한 수면 효율은 최소 85%이다. 반대로 수면 효율이 85% 이하로 낮다면 다음 날 굉장한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잠을 자려고 노력했지만 노력한 만큼 자지 못했고, 그 시간동안 잠자리에서 뒤척였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AI 스피커(300)는 객관적 수면 효율과 주관적 수면 효율의 일치도를 이용하여 인지 오류와 수면 보상 행동 유무를 판단한 후, 사용자에게 적절한 그 날의 행동, 가령 잠자리에 드는 시간, 자다가 깼을 때의 행동을 알려준다. AI 스피커(300)가 사용자의 행동 정보를 알려주는 방식은 스피커에서 음성으로 할 수 있으며, AI 스피커(300)와 무선 연결된 디스플레이기(400)에 시각화 된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기(400)는 AI 스피커(300)에서 전달하는 정보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장치다. 디스플레이기(400)는 특별히 제한적이지 않으나, TV, 컴퓨터 모니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I 스피커(300)가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때, 스피커의 음성 지원 방식 외에 디스플레이기(400)를 통한 시각 지원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인식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불면증 위험이 높은 노인층에게 친화성을 갖는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다.
AI 스피커(300)는 사용자의 행동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한 후, 다음 날 제공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실천했는지를 알려준다. AI 스피커(300)는 행동 교정의 동기 수준에 따라 동기 강화 교육 자료를 디스플레이기(400)에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I 스피커(300)와 디스플레이기(40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AI 스피커(300)와 행동 교정 보조기(200)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수면 질 개선 시스템(10)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물품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관리의 편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면 질 개선 시스템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1)에서, 사용자가 수면 중 매트리스(100)에서 측정된 값이 AI 스피커(300)로 전달된다. 매트리스(100)에서 측정되는 사용자 정보는 체중/체압 정보, 수면/각성에 관한 정보 등이다.
도 2의 (2)에서, 사용자가 잠에서 깨면, 매트리스(100)에서 이탈하여 행동 교정 보조기(200)에 착석하여 AI 스피커(300)와 대화를 나눈다.
이때 사용자는 정해진 시나리오 프로그램에 따라 지난 밤 수면에 대한 생각묻고 응답할 수 있다. 가령, "4시간 정도 잔 것 같아(I think I slept for 4 hours.)"라는 멘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3)에서, AI 스피커(300)는 매트리스(100)로부터 전달되는 객관적 수면 질(OSQ) 정보 및 사용자와 대화를 통해 파악된 주관적 수면 질(SSQ) 정보로부터 객관적 수면 효율과 주관적 수면 효율을 산출하고, 양자의 일치도, 인지 오류 등을 분석한다.
도 2의 (4)에서, AI 스피커(300)는 분석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며, 더 나은 수면 질을 위한 행동을 구체적이면서 사용자 친화적인 방식으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측정한 것보다 못 주무셨다고 생각하시네요(You feel poor slept comparing the sleep record.)", "오늘은 밤 10시 전에 눕지마세요.(Don’t be lay down till 10 PM tonight.)"라고 AI스피커나 모니터를 통하여 청각과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주관적 수면 질 파악을 위한 수면일지의 예시를 나타낸다.
수면 장애를 겪고 있는 사용자의 수면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인지 행동 치료가 실행되며, 인지 행동 치료 기간 동안 내내 수면일지를 작성하게 해서 자신의 수면 보상 행동을 지각하게 하고, 수면 효율을 85% 이상으로 올리는 것을 목표로 개별화된 행동 처방을 한다.
수면 일지는 잠자리에 든 시간, 잠자리에서 나온 시간, 잠이 든 시간, 잠이 깬 시간, 투약이나 술을 마신 시간, 운동 시간, 낮잠 시간, 자고 났을 때의 개운함 정도 등과 같은 수면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사용자는 수면 일지에 해당 수면 관련 정보에 대해 시계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시간을 기입하기 보다 기억에 의지하여 스스로 지각하는 값(주관적 수면 질 정보)을 기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면을 참고하면, 간단한 인적 사항과 함께, 하루 중 불을 끄거나 자려고 누운 시간은 "↓"로 표시하고(Mark ↓ at the time of turning off the lights or lying down to sleep), 하루 중 불을 켜거나 잠자리에서 나온 시간에 "↑"로 표시하고(Mark ↑ at the time of turning on the lights or getting out of bed ), 하루 중 낮잠 포함하여 잠을 잔 때에는 "l--------l"로 표시하고(Mark ┣━┫on the times of the day you slept, including naps), 술을 마신 기간에는 "A"로(If applicable, put in mark at that time. Drank alcohol "A"), 커피 마신 시간에는 "C"표시(Took a cup of coffee "C")를, 수면제 먹은 시간에는 "P"표시를 하고(Took a pill for sleep "P“), 운동 한 시간에는 "E"표시를 하고(Did Exercise "E") 밤 동안 얼마나 눕고 얼마나 잤는지에 대한 기록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Please put in how many times you lay down and how long you fall asleep).
또한, 점수1(Score1)은 지난 밤 수면에 대한 만족도를 1 내지 5로 표시하고, 1은 매우 나쁨, 2는 나쁨, 3은 보통, 4는 좋음 그리고 5는 매우 좋음으로 평가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점수 2(Score2)는 자고 나서 아침에 개운한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 1은 매우 나쁨, 2는 나쁨, 3은 보통, 4는 좋음 그리고 5는 매우 좋음으로 평가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사용자가 불면증이 있는 경우, 수면 일지를 통해 확인한 주관적 수면 질 또는 수면 효율이 액티워치나 수면다원검사 등과 같은 객관적 수면 질 또는 수면 효율과 불일치를 나타내게 되며, 객관적으로는 5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였더라도, 본인은 그렇지 못하다고 느끼므로 약물에 집착하게 되는 현상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AI 스피커(300)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면 일지를 대체하여 주관적 수면 질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AI 스피커(300)는 매트리스(100)에 누운 시간, 매트리스(100)에서 나온 시간, 잠이 든 시간, 잠이 깬 시간, 투약이나 술을 마신 시간, 운동 시간, 낮잠 시간, 자고 났을 때의 개운함 정도 등과 같은 수면 관련 정보를 사용자에게 질의하고, 사용자의 답변을 획득 및 분석하여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I 스피커(300)에는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 측정을 위해 사용자에 대한 수면 관련 질의사항이 미리 프로그램화 되어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 질 개선 시스템(10)은 수면에 대한 인식과 수면 행동을 측정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건강한 수면 습관을 도울 수 있으며, 불면증 악화를 막고, 의료 시설, 혹은 수면 전문가 방문이 필요한 사례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면 질 개선 시스템(10)은 특히 노인층에게 실제 수면 개선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필 형식의 수면 일지는 노인이 작성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고 제대로 작성하기까지 일반 성인보다 훨씬 많은 설명과 반복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AI 스피커(300)는 음성을 통해 질의응답식으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종전에 노인층이 겪는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으며, 추후 임상과의 연계에도 실용성이 있다.
본 발명의 수면 질 개선 시스템(10)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기기의 장착 없이 매트리스에 눕는 형태로 객관적 수면 질 정보를 획득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면 질 개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매트리스(100)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확인하며(S210), 이를 위해, 체중/체압 측정부(120)는 사용자의 체중 또는 체압을 측정할 수 있다. 매트리스(100)에는 여러 명의 다른 사용자가 누울 수 있으므로, 체중/체압 측정부(120)에서 측정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 저장부(130)에 저장하여, 추후 매트리스(100)에 누군가 누웠을 때, 저장된 체중 또는 체압 정보를 이용하여 각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트리스(100)는 사용자의 객관적 수면 질을 측정하며, 측정 정보를 AI 스피커(300)로 전송한다(S220). 여기서, 객관적 수면 질 정보는 수면 시간, 수면 잠복기, 각성 시간 또는 수면 효율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AI 스피커(300)에서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을 측정한다(S230). 여기서, 주관적 수면 질 정보는 매트리스에 누운 시간, 매트리스에서 나온 시간, 잠이 든 시간, 잠이 깬 시간, 투약이나 술을 마신 시간, 운동 시간, 낮잠 시간 또는 자고 났을 때의 개운함 정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AI 스피커(300)에는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 측정을 위해 친화적인 대화 형태와 적절한 내용으로 구성된 사용자에 대한 수면 관련 질의사항이 미리 프로그램화 되어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AI 스피커(300)의 주관적 수면 질 측정은, 상기 매트리스(100)에서 공간적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는 행동 교정 보조기(200)에서 이뤄질 수 있다. 사용자가 잠에서 깼을 때, 매트리스(100)에서 이탈하여 행동 교정 보조기(200)에 착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잘못된 수면 보상 행동 등을 교정 시킬 수 있다.
이어서, AI 스피커(300)는 매트리스(100)로부터 전달되는 객관적 수면 질 정보와, 사용자와 질의응답을 통해 획득한 주관적 수면 질 정보의 일치도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수면 인지 오류와 보상 행동을 측정한다(S240).
다음으로, AI 스피커(300)는 상기 인지 오류와 보상 행동의 측정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250). 이를 위해, AI 스피커(300)의 음성을 통해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거나, AI 스피커(300)의 음성 및 디스플레이기(400)의 시각화 된 정보를 통해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 (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 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국내외에 수면 산업에 대한 정의는 정립되어 있지 않지만, 슬립테크(Sleep-tech : Sleep + Technology), 슬리포노믹스(Sleepponomics : Sleep+Economnics)란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전세계 수면 산업이 거대 시장을 형성했고 최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미래 성장 동력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슬리포노믹스 시장 규모는 2012년 5000억원에 불과했지만 2020년 3조원 규모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트렌드는 새로운 IT기술을 융합한 미래 핵심 기술들로 '무구속 실시간 수면상태 분석', '무자각 생체리듬 유도기술', '수면관리 디바이스', '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수면 솔루션'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슬피포노믹스가 아직까지 생소한 분야지만 해외에서는 세계적 트렌드로 자리매김하여, 1990년도 후반부터 수면 관련 제품이 쏟아지며 산업이 발달해 미국, 중국, 일본은 각각 45조원, 38조원, 6조원 규모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조사업체 프로프쉐터(Profshare)에 따르면 2018년 글로벌 수면 보호 제품 시장은 659억 달러로 2020년 시장 규모는 751억(약 92조원)에 달하며, 향후 산업규모는 2026년까지 1115억달러(약 137조원) 규모로 활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온마켓리서치(Zion Market Research) 시장조사 결과로는, 수면 테크 기기 시장이 2018년 약 117억 9000만 달러에서 2025년 266억 2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고, 특히 노인 인구의 증가는 예측 기간동안 수면 기술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는 2011년 국제수면박람회가 최초로 개최되면서 수면산업에 대한 관심이 뒤늦게 시작되었지만 2011년 2,800억원, 2013년 8,000억원, 2014년 1조 5,000억원, 2015년 2조원으로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는 충분한 수면시간을 밤 7시간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비만, 당뇨병을 포함해 질병 위험이 증가하고, 수면 부족은 우울증과 ADHD, 불안장애를 포함한 정신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수면의 양 뿐 아니라 수면 질 저하도 만성 피로 및 만성 신체질환과 연관성을 갖는다. 수면 질 저하의 주된 원인으로 손꼽히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고혈압 및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치매와 관련된다.
수면의 양과 질의 저하로 인한 주간 졸음은 산업사고 현장의 사고 및 교통사고로 이어져 막대한 산업적, 경제적 손해를 일으키고, 순차적으로 개인과 조직에 부담을 주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2016년 기준, 국내 수면질환 유병자는 88만 3000명으로 집계 되었으며, 이로 인한 진료비 손실은 1178억원에 이른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수면장애 관련 청구를 보면 2013년 237만 건에 비해 2018년에는 무려 151% 증가한 360만 건으로 집계된다. 진료비 역시 530억에서 1102억으로 급증하여 의료비 전체 증가율이 6년간 10.4%인 것에 비해 수면 장애 관련 의료비는 15.8% 증가하였다.
그러나, 불면증 진단 및 치료에 일순위로 꼽히는 인지 행동 치료보다는 대표적 수면제로 알려진 졸피뎀 처방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면 장애 치료를 위한 근본적인 개선책이 요구된다.
수면 산업의 현재까지의 성장은 수면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좋은 수면에 대한 소비자 욕구가 증가 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플라시보 효과 이상의 실제적 효과가 없다면, 다양한 제품 출현과 경쟁 속에서 무분별한 제품 구입은 줄어들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상품들은 수면 동안의 생리적 지표(혈압, 맥박, 심전도, 뇌파, 체온, 움직임 등) 측정과 제시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특정 수면장애,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 진단, 수면 환경(온도, 습도, 침대나 베개의 위치, 소음, 밝기 등) 조절 기능에 주력하고 있다. 생체지표 측정 기술과 수면 환경 조절 기술이 발전했음에도 불면증을 타겟으로 한 제품은 20% 미만으로 수요 수준에 미치지 못하며, 불면증을 지속시키는 주요 요인을 다루는 제품은 없는 실정이다.
불면증 발생의 요인은 (1) 기저 요인(Predisposing factors) : 나이, 성별, 인종, 성격 (2) 촉발요인(precipitating factors) : 스트레스, 약물, 통증 등 신체 질병, 수면 환경 (3) 지속요인(Perpetuating factors) : 수면 인지 오류, 수면 보상 행동 등에 의한 수면 습관으로 나눌 수 있다.
기저요인은 바꾸기 어려운 성질의 것이다. 촉발요인은 일시적인 성질의 것으로 불면증의 주요인으로 꼽히지 않으며, 촉발요인이 해결되면 불면증은 사라지고 저절로 나아질 수 있다.
반면, 지속요인, 즉 수면 습관에 해당하는 인지와 행동은 불면증의 주요 원인에 해당하며, 촉발요인 이후에 지속요인이 형성되어 촉발요인이 해결된 이후에도 불면증은 사라지지 않는다. 또한, 스스로는 수면 습관의 문제 인식을 하지 못한다.
불면증과 관련된 생리적 지표 측정 기술들은 이미 탁월한 수준이고, 수면 환경을 조절하거나 명상, 빛 치료, 이완 등으로 촉발요인을 일부 제품이 다루고 있지만 지속요인을 다룰 수 있는 제품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불면증을 예방하고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속요인을 다뤄야만 하고, 지속요인은 인지행동적 접근이 필요하다.
촉발요인에 의한 불면증이라면 단시간 동안 수면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지속요인으로 넘어가면, 약물의 효과도 제한적이다. 따라서 불면증에 대한 기저요인을 가진 사람이나, 촉발요인으로 불면을 경험하는 사람은 약물로 접근하기보다는 수면에 대한 인식과 행동을 실생활에서 바꿔 나가는 것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불면증 치료를 위해서는 인지 오류, 보상 행동, 수면 효율 등과 같은 핵심적인 변수를 측정해야 한다.
임상에서는 4-8회기에 걸친 인지행동치료를 통해 만성 불면증 환자의 지속요인을 다루며, 그 내용은 수면에 관한 교육, 개인의 잘못된 수면에 대한 생각과 믿음 교정, 수면 보상행동으로, 침대에 갔을 때 잠이 달아나고 오히려 잠에 대한 집착이 생기는 조건화 반응을 중재, 수면 효율을 개선하는 기법으로 구성된다.
수면에 대한 인식과 수면 행동을 측정하고, 피드백을 제공하여 건강한 습관을 돕는 수면 제품이 존재한다면, 불면증 악화를 막고, 의료 시설, 혹은 수면 전문가 방문이 필요한 사례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은 수면 행동을 관리하고 실질적으로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으며, 신개념의 수면 산업 기기와 서비스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고 있다.
10: 수면 질 개선 시스템 100: 매트리스
110: 객관적 수면측정부 120: 체중/체압 측정부
130: 사용자 정보 저장부 200: 행동 교정 보조기
210: 센싱부 220: 체중 측정부
300: AI 스피커 310 : 주관적 수면측정부
320 : 인지오류 및 보상행동분석부
330 : 수면질 개선 교정 행동추출부 400: 디스플레이기

Claims (21)

  1. 웨어리스(wearless) 형태로 사용자의 객관적 수면 질 정보를 측정하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행동 교정 보조기; 및
    상기 매트리스에서 측정된 객관적 수면 질 정보와, 상기 사용자와 질의응답을 통해 파악되는 주관적 수면 질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는 AI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매트리스는,
    상기 사용자의 수면과 각성을 구분하는 객관적 수면측정부와, 상기 사용자의 체중 또는 체압을 측정하여 사용자를 구분하는 체중/체압 측정부를 포함하고, 수면과 각성을 구분하는 방식은 뇌파 또는 심박수나 호흡수 또는 움직임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상기 행동 교정 보조기는 상기 사용자의 착석 시 체중 측정을 통해 상기 매트리스에 누워있던 사용자의 체중과 비교하여 동일인인지 확인하는 체중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리스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구분하도록 상기 체중/체압 측정부에서 측정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교정 보조기는 상기 사용자가 착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체중 정보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매트리스와 상기 행동 교정 보조기에는 각각 송수신기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 스피커와 상기 행동 교정 보조기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 스피커에서 전달하는 정보를 시각화 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I 스피커와 상기 디스플레이기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관적 수면 질 정보는 수면 시간, 수면 잠복기, 입면후 각성 시간 또는 수면 효율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 스피커에는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 측정을 위해 사용자에 대한 수면 관련 질의사항이 미리 프로그램화 되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I 스피커는 주관적 수면 질 정보와 상기 매트리스에서 측정된 객관적 수면 질 정보의 일치도를 분석하여 인지 오류와 보상 행동을 측정하며, 측정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적 수면 질 정보는 매트리스에 누운 시간, 매트리스에서 나온 시간, 잠이 든 시간, 잠이 깬 시간, 투약이나 술을 마신 시간, 운동 시간, 낮잠 시간 또는 자고 났을 때의 개운함 정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시스템.
  14. (a) 행동교정보조기에서 매트리스에 위치하는 사용자를 확인하되 사용자의 착석 시 체중 측정을 통해 상기 매트리스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체중과 비교하여 동일인인지 확인하는 단계;
    (b) 객관적 수면 측정부에서 상기 사용자의 객관적 수면 질을 측정하며, 측정 정보를 AI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AI 스피커에서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을 측정하는 단계;
    (d) 인지오류 및 보상행동분석부는 상기 객관적 수면 질 정보와 상기 주관적 수면 질 정보의 일치도를 분석하여 인지 오류와 보상 행동을 측정하는 단계; 및
    (e) AI스피커에서 상기 인지 오류와 보상 행동의 측정 결과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면 질 개선 방법.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객관적 수면 질 정보는 수면 시간, 수면 잠복기, 각성 시간 또는 수면 효율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관적 수면 질 정보는 매트리스에 누운 시간, 매트리스에서 나온 시간, 잠이 든 시간, 잠이 깬 시간, 투약이나 술을 마신 시간, 운동 시간, 낮잠 시간 또는 자고 났을 때의 개운함 정도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주관적 수면 질 측정은, 상기 매트리스에서 공간적으로 이격된 위치에 있는 행동 교정 보조기에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I 스피커에는 사용자의 주관적 수면 질 측정을 위해 사용자에 대한 수면 관련 질의사항이 미리 프로그램화 되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피드백 정보의 제공은 AI 스피커의 음성을 통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의 피드백 정보의 제공은 AI 스피커의 음성 및 디스플레이기의 시각화 된 정보를 통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질 개선 방법.
KR1020220060662A 2021-05-18 2022-05-18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2765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512,490 US20240156398A1 (en) 2021-05-18 2023-11-17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leep qual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126 2021-05-18
KR20210064126 2021-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6466A KR20220156466A (ko) 2022-11-25
KR102765211B1 true KR102765211B1 (ko) 2025-02-07

Family

ID=8414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662A Active KR102765211B1 (ko) 2021-05-18 2022-05-18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56398A1 (ko)
KR (1) KR102765211B1 (ko)
WO (1) WO20222451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58804B (zh) * 2023-03-27 2023-06-20 安徽星辰智跃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睡眠情绪活跃水平动态调节的方法、系统和装置
KR102773209B1 (ko) * 2024-08-01 2025-02-28 주식회사 플랙스 수면 장애로 인한 우울증의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의료 진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2732A (ja) * 2018-08-06 2020-02-13 ライオン株式会社 睡眠状態判定装置、睡眠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睡眠状態判定プログラム
US20200281521A1 (en) * 2019-03-07 2020-09-10 Barbara Cai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leep patter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9224A1 (en) 2004-07-23 2006-01-26 Pics, Inc. Insomnia assessment and treatment device and method
WO2010140117A1 (en) * 2009-06-04 2010-12-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havioural therapy for insomnia
KR20130032891A (ko) * 2013-03-11 2013-04-02 (주)알앤디글로벌 웰니스 겸용 휴먼 케어 로봇
KR101712281B1 (ko) 2015-08-12 2017-03-13 (의료)길의료재단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수면효율 연산 방법 및 수면 조절 방법
US10772555B2 (en) 2016-10-11 2020-09-15 Sustainable Medicine, Inc. Insomnia treatment assistance device and insomnia treatment assistance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22732A (ja) * 2018-08-06 2020-02-13 ライオン株式会社 睡眠状態判定装置、睡眠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睡眠状態判定プログラム
US20200281521A1 (en) * 2019-03-07 2020-09-10 Barbara Cail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leep patte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56398A1 (en) 2024-05-16
WO2022245127A1 (ko) 2022-11-24
KR20220156466A (ko)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318214B2 (en) Stress reduction and sleep promotion system
US119748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brain activity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220105308A1 (en) Stress reduction and sleep promotion system
US8979730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havioural therapy for insomnia
Olischar et al. The influence of music on aEEG activity in neurologically healthy newborns≥ 32 weeks’ gestational age
US8348840B2 (en) Device and method to monitor, assess and improve quality of sleep
KR102765211B1 (ko) 수면 질 개선 시스템 및 방법
CN114901134A (zh) 用于失眠症筛查和管理的系统和方法
KR20230053547A (ko) 수면-관련 파라미터 분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Borchardt et al. Recovery from stress: An experimental examination of focused attention meditation in novices
Conrad et al. The psychophysiolog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1. Pretreatment characteristics
Bodart et al. The duration discrimination respiratory task: A new test to measure respiratory interoceptive accuracy
Ravishani et al. IoT Based Smart Pillow for Improved Sleep Experience
Chiang et al. Introduction to modern sleep technology
CN116888684A (zh) 群组睡眠表现评估
JP2023516210A (ja) 個人の眠気を増加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Samadi et al. A Review of Recent Advances in Smart Homes for Improving Sleep Hygiene, and Sleep Quality
US20240404662A1 (en) Support system
Sonni Sleep, and its relation to non-motor deficits in patients with cerebellar ataxia
Zhang Application and Research of Wearable Smart Devices to Assist Sleep
Russell The role of diaphragmatic breathing in self-regulation skills training
Chang Human Computing: Feature Extraction and Storage Considerations for Multi-Channel Biometric Data
KR20230038251A (ko) 대상자의 수면 개시를 가속화 및/또는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
Babcock et al. Evaluating the sleep/wake cycle in persons with asthma: Three case scena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