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5099B1 -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selectively converting of plurality of tools - Google Patents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selectively converting of plurality of tool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5099B1 KR102765099B1 KR1020230030553A KR20230030553A KR102765099B1 KR 102765099 B1 KR102765099 B1 KR 102765099B1 KR 1020230030553 A KR1020230030553 A KR 1020230030553A KR 20230030553 A KR20230030553 A KR 20230030553A KR 102765099 B1 KR102765099 B1 KR 1027650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ey
- gear
- tool
- fixed part
-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57 laparoscopic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636 effe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683 abdomin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21 irrigation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93 pro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adapted to be inserted through a working channel of an endosco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35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one mechanical instrument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e.g. cutting and grasp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89—Button or wheel for performing multiple functions, e.g. rotation of shaft and end effec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 기구에 관한 것으로,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마련된 고정부에 설치된 2개 이상의 툴, 상기 고정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2 풀리, 상기 제2 풀리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기어,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크 및 상기 래크와 연결되어,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래크의 상대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instrument, which may include a body, two or more tools installed in a fix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body, a first pulley oper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a second pulley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via a wire, a gear op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a rack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mesh with the gear, and an operating button connected to the rack and configured to change a relative position of the rack with respect to th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과제번호 CMIT202208, 과제명 복수의 로봇수술 도구를 교체 없이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툴 체인져의 메커니즘 연구의 개발결과물로 도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다중 도구의 선택적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수술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 버튼의 조작으로 도구의 전환이 가능한 수술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a mechanism for a tool changer capable of converting and using multiple robotic surgical tools without replacement, as stated in Project No. CMIT202208, Project Nam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multiple tools with a simple oper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switching tools by operating an operation button.
복강경 수술은 환자에 미치는 상해나 영향을 줄인 최소 침습 수술 방법의 하나로서, 복부나 흉부를 절개하는 대신 0.5~1.5cm 크기의 작은 구멍을 뚫고 특수 카메라가 장착된 내시경(복강경)을 집어넣어 복강 내부를 관찰하면서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수술하는 방식이다. Laparoscopic surgery is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method that reduces injury or impact on the patient. Instead of making an incision in the abdomen or chest, a small hole of 0.5 to 1.5 cm is made and an endoscope (laparoscope) equipped with a special camera is inserted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abdominal cavity and surgical instruments are used to perform the surgery.
수술을 위해서는 환자의 복부에 다수의 트로카를 삽입한 후, 가스를 불어넣어 복강 내부의 관찰을 쉽도록 하고, 트로카를 통해 삽입되는 내시경 및 수술기구를 사용하여 환부를 시술하게 된다. For surgery, multiple trocars are inserted into the patient's abdomen, gas is blown in to make it easier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abdominal cavity, and an endoscope and surgical instruments inserted through the trocars are used to treat the affected area.
복강경 수술기구에는 조직을 잡고 당기는 집게 기구, 조직이나 실을 자르는 커팅 기구, 전기를 이용하여 조직을 절개, 지혈 및 봉합하는 기구, 그 밖의 봉합을 위해 필요한 실을 잡거나 꼬매는 기구, 석션(suction) 기구, 세척수 공급 기구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There are various types of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s, including forceps to grab and pull tissue, cutting instruments to cut tissue or thread, instruments to cut, stop bleeding, and suture tissue using electricity, instruments to grab or tie threads needed for suturing, suction instruments, and instruments to supply irrigation water.
종래의 복강경 수술 시 다양한 수술 기구를 트레이에 진열하고, 필요에 따라 각 수술 도구를 트로카를 통해 체내에 넣고 빼는 동작을 반복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수술 시간이 지연되어 수술 예후가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의료진의 도구 전환의 번거로움을 초래한다.In conventional laparoscopic surgery, various surgical instruments are displayed on a tray, and each surgical instrument is inserted and removed into the body through a trocar as needed. This process delays the surgical time, which may result in poor surgical outcomes, and causes inconvenience to the medical staff in changing instruments.
또한, 도구를 반복적으로 넣었다 빼는 과정 중에 감염의 위험도 존재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re may be a risk of infection during the process of repeatedly inserting and removing tools.
관련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다.Related prior art technologies are as follows.
미국등록특허문헌 제11432837 호는 하나의 엔드이펙터로 구성되고 손잡이의 조작으로 이펙터의 위치와 계패 조절만이 가능하므로, 집게 기구 외에 다양한 수술 도구가 필요한 복강경 수술 시, 체내에 삽입된 트로카를 통해 수술 도구를 넣고 빼는 동작을 반복해야하는 번거로움은 해결되지 않는다. U.S. Patent No. 11432837 consists of a single end effector and only the position and scale of the effector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handle. Therefor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peat the motion of inserting and removing surgical tools through a trocar inserted into the bod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hat requires various surgical tools in addition to forceps instruments is not resolved.
미국등록특허문헌 제 11129634호는 선택적으로 결합이 가능한 다수의 엔드이펙터가 존재하지만, 복강경 수술 중 수술 도구 교체 시 체내에 삽입된 트로카 밖으로 도구를 꺼내고, 필요에 따라 엔드 이펙터를 선택 결합시킨 후, 트로카를 통해 도구를 넣어 수술환부에 접근하므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도구 교체의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는다. Although U.S. Patent No. 11129634 has a plurality of end effectors that can be selectively combined, when replacing a surgical tool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he tool is taken out of a trocar inserted into the body, the end effector is selectively combined as needed, and then the tool is inserted through the trocar to access the surgical site. Therefore, the problem of tool replacem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trying to solve is not solved.
따라서, 복강경 수술 시 수술 도구를 트로카를 통해 넣고 빼는 과정 없이, 수술 도구가 트로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구를 교체할 수 있는 기구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본 발명자들은 기어와 하프기어의 작동으로 복강경 수술 시 기구가 트로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구를 전환 및 교체할 수 있는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n instrument that can change surgical instruments while they are inserted into a trocar without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removing surgical instruments through a trocar during laparoscopic surger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eveloped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change and change instruments while they are inserted into a trocar during laparoscopic surgery by the operation of gears and half gea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수술 중 다중 도구의 선택적인 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Specific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ool that can perform selective switching of multiple tools during surgery.
복강경 수술기구에는 조직을 잡고 당기는 집게 기구, 조직이나 실을 자르는 커팅기구, 전기를 이용하여 조직을 절개, 지혈, 및 봉합하는 기구 등 여러 종류의 도구가 필요하다. 수술 중 수술기구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트로카를 통해 도구를 넣고 빼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s require various types of tools, such as forceps to grab and pull tissue, cutting instruments to cut tissue or thread, and instruments to cut, stop bleeding, and suture tissue using electricity. In order to replace surgical instruments during surgery, we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 of inserting and removing instruments through a troca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디, 상기 바디 내부에 마련된 고정부에 설치된 2개 이상의 툴, 상기 고정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2 풀리, 상기 제2 풀리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기어,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크, 상기 래크와 연결되어,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래크의 상대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수술 기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gical instrument including a body, two or more tools installed in a fix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body, a first pulley operably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a second pulley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via a wire, a gear op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a rack extending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mesh with the gear, and an operating button connected to the rack and configured to change a relative position of the rack with respect to the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에 배치된 공통의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on shaft disposed on the rotational axis of the fixed portion and the first pulle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래크와 상기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툴의 상기 바디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two or more tools with respect to the body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meshing position of the rack and the gea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툴은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wo or more tools may be form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툴은 상기 래크와 상기 기어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어느 하나의 툴이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툴은 상기 바디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wo or more tool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tool protrudes from the body and the other tool is housed within the body, depending on the meshing position of the rack and the gea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과 병렬 배치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바디, 상기 제1 공간에 마련된 제1 고정부에 설치된 제1 툴, 상기 제2 공간에 마련된 제2 고정부에 설치된 제2 툴, 상기 제1 고정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2 풀리, 상기 제2 풀리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하프 기어, 상기 제2 고정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풀리, 상기 제3 풀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4 풀리, 상기 제4 풀리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하프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1 하프 기어의 기엇니와 반대 방향에 기엇니가 형성된 제2 하프 기어 및 상기 제1 하프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수술 기구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rgical instrument is provided, comprising: a body including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pace; a first tool installed in a first fixing portion provided in the first space; a second tool installed in a second fixing portion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a first pulley operably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a second pulley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via a wire; a first half gear op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a third pulley op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a fourth pulley connected to the third pulley via a wire; a second half gear operably connected to the fourth pulley, the second half gear rotating together with the first half gear and having teeth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ose of the first half gear about a shaft; and an operating button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half gea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에 배치된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풀리의 회전축에 배치된 제3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haft arranged on the rotational axis of the first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pulley, and a third shaft arranged on the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third pulle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기어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에 배치된 제1 기어 및 상기 제2 하프 기어와 상기 제4 풀리 사이에 배치된 제2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1 하프 기어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툴의 상기 바디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gear disposed between the first half gear and the second pulley, and a second gea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alf gear and the fourth pulley, wherei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ools with respect to the body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meshing positions of the first gear and the first half gea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프 기어 및 제2 하프 기어는, 원판 형태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180도 연장되며 형성된 기엇니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half gear and the second half gear may include a disc-shaped body and gear teeth formed to extend 180 degre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side surface of the bod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툴은 제1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툴은 제2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 풀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3 풀리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tool is fixed to a first fixture, the second tool is fixed to a second fixture, the first fixture can rotate with the first pulley via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fixture can rotate with the third pulley via the third shaf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툴은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1 하프 기어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어느 하나의 툴이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거나, 다른 하나의 툴이 상기 바디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tool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tool protrudes from the body or the other tool is housed within the body, depending on the enga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gear and the first half gear.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와 하프기어의 작동으로 복강경 수술 시 기구가 트로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구의 전환 및 교체를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of the gear and half gear enables the switching and replacement of tools while the instruments are inserted into the trocar during laparoscopic surgery.
또한, 트로카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구의 전환이 가능하여, 도구 교체 시 지연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ol can be switched while inserted into the trocar, the time delay when replacing the tool can be shortened.
또한 도구 전환 과정에서 도구 교체 시간을 단축하여 수술의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hortening the tool change time during the tool change process, a positive prognosis of the surgery can be expected.
또한, 트로카를 통해 수술 도구를 반복적으로 넣었다 빼는 과정 없이, 트로카에 삽입된 상태로 도구의 전환이 가능하여, 감염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risk of infection can be reduced because the tools can be switched while still inserted into the trocar without having to repeatedly insert and remove them through the trocar.
또한, 복강경 수술 시 필요한 다량의 도구를 하나의 도구에 집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수술 시 도구를 선반에 도구를 진열하는 공간이 줄어들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a large number of tools required for laparoscopic surgery can be concentrated into a single tool, the space required to display tools on shelves during surgery can be reduced.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어, 래크 및 풀리가 회전하며 작동 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의 툴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제2 툴(5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어 제2 툴(50)을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b)는 조작버튼(34) 조작으로 제1 툴(40)과 제2 툴(50)이 바디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조작버튼(34) 조작으로 제1 툴(4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어 제1 툴(40)을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어, 하프기어 및 풀리가 회전하며 작동 가능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의 툴 전환 과정을 설명하기위한 도면이다. 도6(a)는 제2 툴(5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어 제2 툴(50)을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b)는 도구 전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 툴(4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6(c)는 제2 툴(50)이 바디(10)에 수납되어, 제1 툴(40)을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의 (d)는 제1 툴(40)이 바디(10)에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gear, rack, and pulle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rotatable and operable.
FIG.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ool switching process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3(a)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tool (50) protrudes from a body (10) so that the second tool (50) can be used for surgery. FIG. 3(b)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ool (40) and a second tool (50) are in a vert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by operating a control button (34), and FIG. 3(c)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ool (40) protrudes from a body (10) so that the first tool (40) can be used for surgery by operating a control button (34).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gear, a half gear, and a pulley are rotatable and oper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ool switching process of a surg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6(a)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tool (50) protrudes from a body (10) so that the second tool (50) can be used for surgery. FIG. 6(b) is a drawing illustrating a tool switching process, and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first tool (40) protrudes from a body (10). FIG. 6(c)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tool (50) is accommodated in a body (10) so that the first tool (40) can be used for surgery. FIG. 6(d)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tool (40) is accommodated in a body (1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1, a surgical instrument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본 발명의 제 1실시예 수술기구(100)는, 조작버튼(34)의 조작으로 구동될 수 있고, 바디(10), 제1 풀리(20), 제2 풀리(30), 제1 툴(40) 및 제2 툴(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rgical instrument (10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by operating the operating button (34) and can include a body (10), a first pulley (20), a second pulley (30), a first tool (40), and a second tool (50).
바디(10)는 조작버튼(34)의 설치 및 이동 반경 확보를 위한 홈(11)을 포함하고, 제1 툴(40) 및 제2 툴(50)의 설치 및 이동 반경 확보를 위해 개방된 선단 개방부(12a)를 포함한다. The body (10) includes a groove (11) for securing the installation and movement radius of the operating button (34), and an open tip opening (12a) for securing the installation and movement radius of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바디(10)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고, 외형과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The body (10) can include all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appearance and material are not limited.
홈(11)은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으로 구성된다. 홈(11)은 조작버튼(34)의 설치 및 이동 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조작버튼(34)은 홈(11)의 개방된 구조에서 이동할 수 있고,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홈(11)의 길이는, 조작버튼(34) 조작에 의해 제1 툴(40)과 제2 툴(50) 중 어느 하나의 툴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툴이 바디(10) 내부에 수납되는 것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2 및 도 3에는 2개의 툴인, 제1 툴(40) 및 제2 툴(50)이 회전하며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되면서, 바디(1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납되는 모습이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조작버튼(34)이 바디(10)에 형성된 홈(11)의 개방된 구조 사이로 상대 위치를 변경하여 3개 이상의 툴을 변환하여 적어도 하나의 툴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따라서, 홈(11)의 길이는 바디(10) 내부에 고정부(22)에 의해 설치된 3개 이상의 모든 툴이 회전하며 바디(10)로부터 돌출되는 길이와 같거나 그 이상의 길이 범위 중 임의의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The groove (11) is configured as a linear shape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The groove (11) is formed to secure the installation and movement radius of the operating button (34). Therefore, the operating button (34) can move in the open structure of the groove (11) and change its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groove (11) be longer than the length that allows one of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to protrude from the body (10) and the other tool to be stored inside the body (10) smoothly by operating the operating button (34). Although FIGS. 2 and 3 illustrate two tools, a first tool (40) and a second tool (50), protruding or being retracted from the body (10) while rotating and changing their relative positions with respect to the body (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n embodiment in which an operating button (34) changes its relative position between open structures of a groove (11) formed in the body (10) to convert three or more tools, so that at least one tool protrudes from the body (10). Accordingly, any numerical value in a length range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length of all three or more tools installed by the fixing member (22) inside the body (10) while rotating and protruding from the body (10) may be applied to the groove (11).
선단 개방부(12a)는 바디(10)의 끝단에서부터 툴의 회전축인 고정부(22)를 지나, 바디(10) 내부까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선단 개방부(12a)의 폭과 길이는 각각, 바디(10) 내부에 고정부(22)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툴의 폭과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조작버튼(34) 조작에 의해, 고정부(22)가 회전하고, 고정부(22)에 고정된 제 1 툴(40) 및 제 2 툴(50) 중 어느 하나의 툴은 바디(10)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툴은 바디(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The tip opening portion (12a) is formed in an open form from the end of the body (10) through the fixed portion (22), which is the rotation axis of the tool,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The width and length of the tip opening portion (12a)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and length of the tool installed by the fixed portion (22) inside the body (10), respectively. By operating the operating button (34), the fixed portion (22) rotates, and one of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fixed to the fixed portion (22) protrudes from the body (10), and the other tool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0).
제1 풀리(2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가지며, 제1 샤프트(21)에 의해 고정된 회전축을 가진다. 제1 풀리(2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와이어(W)가 권취되며, 와이어(W)를 통해 조작 버튼(34)에 가해진 외력을 전달받게 된다. 제1 풀리(20)는 와이어(W)를 통해 전달된 외력으로 회전하며, 제1 샤프트(21)와 함께 회전한다. 제1 풀리(20)는 와이어(W)를 통해 제2 풀리(30)의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버튼(34)에 외력이 가해져서 움직이면, 제2 풀리(30)가 회전하며, 제2 풀리(30)에 권취된 와이어(W)에 의해 제1 풀리(20)가 함께 회전한다. 제1 풀리(20)의 회전에 따라, 제1 풀리(20)에 연결된 고정부(22)도 함께 회전하며, 고정부(22)에 고정된 툴들 역시 회전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툴들이 회전하면서 어느 하나의 툴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툴이 바디(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 외부로 돌출된 툴을 이용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first pulley (20) has a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s a rotation axis fixed by a first shaft (21). A wire (W) is wound around the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ulley (20), and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utton (34)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W). The first pulley (20) rotates with the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W),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21). The first pulley (20)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pulley (30) through the wire (W). More specificall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button (34) and moves, the second pulley (30) rotates, and the first pulley (20) rotates together with the wire (W) wound around the second pulley (30). As the first pulley (20) rotates, the fixed member (22)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20) also rotates, and the tools fixed to the fixed member (22) also rotate. As shown in Fig. 3, as the tools rotate, one tool may protrude from the body (10) and the other tool may be stored inside the body (1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surgery using the tool protruding outside the body (10).
제1 샤프트(21)는 제1 풀리(20) 및 고정부(22)의 중심을 관통하며, 제1 풀리(20) 및 고정부(22) 공통의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즉, 제1 풀리(20) 및 고정부(22)는 제1 샤프트(21)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샤프트(21)와 함께 회전하며, 이로 인해 고정부(22)에 설치된 제1 툴(40) 및 제2 툴(50)의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 변경이 이루어진다. The first shaft (21)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pulley (20) and the fixed part (22) and acts as a common rotation axis for the first pulley (20) and the fixed part (22). That is, the first pulley (20) and the fixed part (22)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21) using the first shaft (21) as the rotation axis, and as a result,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installed on the fixed part (22) with respect to the body (10) are changed.
고정부(22)는 제1 툴(40) 및 제2 툴(50)이 서로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1 툴(40) 및 제2 툴(50)이 설치된다. 도 2에는 2개의 툴(40, 50)이 고정부(22)에 설치된 모습이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3개 이상의 툴이 고정부(2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소정 각도는 180도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30도 내지 180도의 범위 중 임의의 수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각도는 고정부(22)를 중심으로 한 각 툴들 사이의 최단 각도를 의미한다. The fixed part (22) is installed with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so that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are position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angle. In Fig. 2, two tools (40, 50) are installed on the fixed part (2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ree or more tools may be installed on the fixed part (22). 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angle includes 180 degr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numerical value in the range of 30 degrees to 180 degrees may be applied. The predetermined angle means the shortest angle between each tool with the fixed part (22) as the center.
제2 풀리(3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가지며, 제2 샤프트(31)에 의해 고정된 회전축을 가진다. 제2 풀리(3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와이어(W)가 권취되며, 조작버튼(34)에 가해진 외력을 와이어(W)를 통해 제1 풀리(20)로 전달하게 된다. 제2 풀리(30)는 기어(32)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기어(32)가 회전하면 제2 풀리(30)도 동시에 회전한다. 제2 풀리(30)는 기어(32)의 회전 움직임을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와이어(W)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여 제1 풀리(20)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The second pulley (30) has a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s a rotation axis fixed by a second shaft (31). A wire (W) is wound around the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pulley (30), and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utton (34) is transmitted to the first pulley (20) through the wire (W). The second pulley (30) is operably coupled with the gear (32), so that when the gear (32) rotates, the second pulley (30) also rotates simultaneously. The second pulley (30) receive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gear (32) and rotates together,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wire (W) so that the first pulley (20) also rotates together.
제2 샤프트(31)는 제2 풀리(30) 및 기어(32)의 중심을 관통하며, 제2 풀리(30) 및 기어(32) 공통의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즉, 제2 풀리(30) 및 기어(32)는 제2 샤프트(31)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 샤프트(31)와 함께 회전하며, 이로 인해 제2 풀리(30)와 와이어(W)로 동력을 전달받는 제1 풀리(20)가 회전하며, 고정부(22)에 설치된 제1 툴(40) 및 제2 툴(50)가 회전 작동하게 된다. The second shaft (31)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pulley (30) and the gear (32) and acts as a common rotation axis for the second pulley (30) and the gear (32). That is, the second pulley (30) and the gear (32)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shaft (31) using the second shaft (31) as a rotation axis, and as a result, the first pulley (20) that receives power through the second pulley (30) and the wire (W) rotates, and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installed on the fixed part (22) rotate.
기어(32)는 제2 풀리(30)와 공통의 회전축(제2 샤프트(31))을 가지며, 기어(32)는 제2 풀리(3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제2 풀리(30)와 함께 회전한다. 또한, 기어(32)는 선형의 기어인 래크(3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조작 버튼(34)의 조작으로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되면, 조작버튼(34)과 연결된 래크(33)의 선형 움직임으로 인해, 래크(33)와 맞물린 기어(32)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며, 래크(33)와의 맞물림 위치가 변경된다. The gear (32) has a common rotation axis (second shaft (31)) with the second pulley (30), and the gear (32) is operably coupled with the second pulley (30)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pulley (30). In addition, the gear (32) is configured to mesh with a rack (33) which is a linear gear. When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 is changed by operating the operating button (34), the gear (32) meshed with the rack (33) rotates in place due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rack (33) connected to the operating button (34), and the meshing position with the rack (33) is changed.
래크(33)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의 기어이다. 한편, 래크(33)는 기어(3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래크(33)는 조작버튼(34)과 연결된다. 조작버튼(34)의 조작으로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되면, 조작버튼(34)과 연결된 래크(33)도 함께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된다. 래크(33)와 기어(32)가 맞물리며 기어(32)가 회전하게되고, 제2 샤프트(31)에 의해 기어(32)와 공통의 회전축을 가지는 제2 풀리(30)도 회전한다. 제2 풀리(30)와 와이어(W)로 연결된 제1 풀리(20)도 함께 회전하며, 제1 풀리(20)와 제1 샤프트(21)에 의해 공통의 회전축을 가지는 고정부(22)가 회전하게 된다. 고정부(22)가 회전하며 고정부(22)에 의해 설치된 어느 하나의 툴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툴이 바디(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즉, 조작버튼(34)의 조작으로 래크(33)와 기어(32)의 맞물려 기어(32)가 회전하면, 제2 풀리(30) 및 제1 풀리(20)가 회전하며, 고정부(22)에 설치된 툴이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 The rack (33) is a linear gear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Meanwhile, the rack (33) is configured to mesh with the gear (32), and the rack (33)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button (34). When the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 is changed by operating the operating button (34),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ack (33) connected to the operating button (34) with respect to the body (10) also changes. The rack (33) and the gear (32) mesh with each other, causing the gear (32) to rotate, and the second pulley (30) having a common rotation axis with the gear (32) by the second shaft (31) also rotates. The first pulley (20)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30) by the wire (W) also rotates, and the fixed part (22) having a common rotation axis with the first pulley (20) and the first shaft (21) rotates. As the fixed part (22) rotates, one tool installed by the fixed part (22) can protrude from the body (10), and the other tool can be stored inside the body (10). That is, when the rack (33) and the gear (32) are engaged by operating the operating button (34) and the gear (32) rotates, the second pulley (30) and the first pulley (20) rotate, and the tool installed in the fixed part (22) changes its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
조작버튼(34)은 래크(33)와 연결되어, 조작버튼(34)을 조작하면, 조작버튼(34)이 바디(10)기준으로 선형적 위치 변화를 만들게 되고, 이와 함께 래크(33)도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된다. 조작버튼(34)와 래크(33)의 선형적 움직임은 래크(33)와 맞물려 작동하는 기어(32)를 회전시킨다. 기어(32) 및 제2 샤프트(31)에 고정된 제2 풀리(30)가 함께 회전하며 와이어(W)를 통해 제1 풀리(2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The operating button (34) is connected to the rack (33), and when the operating button (34) is operated, the operating button (34) makes a linear position change with respect to the body (10), and at the same tim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ack (33) with respect to the body (10) is changed. The linear movement of the operating button (34) and the rack (33) rotates the gear (32) that operates in mesh with the rack (33). The gear (32) and the second pulley (30) fixed to the second shaft (31) rotate together and transmit rotational power to the first pulley (20) through the wire (W).
조작버튼(34)은 래크(33)와 연결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무방하다. The operating button (34) may have any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rack (33).
제1 툴(40)은 고정부(22)에 설치되며 제1 풀리(20)와 공통된 회전축(제1 샤프트(21))을 가진다. 제1 풀리(20)가 와이어(W)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제1 샤프트(21)에 의해 공통된 회전축을 가지는 고정부(22)가 회전하며 고정부에 설치된 제1 툴(40) 역시 회전하면서, 툴의 작동 가능 상태와 바디(10)에 수납된 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The first tool (40) is installed in the fixed part (22) and has a common rotation axis (first shaft (21)) with the first pulley (20). When the first pulley (20) receives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wire (W) and rotates, the fixed part (22) having the common rotation axis by the first shaft (21) rotates, and the first tool (40) installed in the fixed part also rotates, allowing a transition between the tool's operable state and the state stored in the body (10).
제1 툴(40)은 집게 기구, 커팅 기구, 전기소작기 등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수술도구여도 상관없다.The first tool (40) may be any type of surgical tool that can be used for surgery, such as a forceps instrument, a cutting instrument, or an electric cautery device.
제2 툴(50)은 고정부(22)에 설치되며 제1 풀리(20)와 공통된 회전축(제1 샤프트(21))을 가진다. 제2 툴(50)은 고정부(22)에 의해 제1 툴(40)과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각 툴의 개별적인 작동 제어가 가능하다. 제1 풀리(20)가 와이어(W)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제1 샤프트(21)에 의해 공통된 회전축을 가지는 고정부(22)가 회전하며 고정부에 설치된 제2 툴(50) 역시 회전하면서, 툴의 작동 가능 상태와 바디(10)에 수납된 상태의 전환이 가능하다. The second tool (50) is installed in the fixed part (22) and has a common rotation axis (first shaft (21)) with the first pulley (20). The second tool (50)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ool (40) by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fixed part (22), so that individual operation control of each tool is possible. When the first pulley (20) receives rotational force through the wire (W) and rotates, the fixed part (22) having a common rotation axis by the first shaft (21) rotates, and the second tool (50) installed in the fixed part also rotates, so that the tool can be switched between an operable state and a state stored in the body (10).
제2 툴(50)은 집게 기구, 커팅 기구, 전기소작기 등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의 수술도구여도 상관없다.The second tool (50) may be any type of surgical tool that can be used for surgery, such as a forceps instrument, a cutting instrument, or an electric cautery device.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3(a)는 제2 툴(5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어 제2 툴(50)을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b)는 조작버튼(34) 조작으로 제1 툴(40)과 제2 툴(50)이 바디에 대해 수직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c)는 조작버튼(34) 조작으로 제1 툴(4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어 제1 툴(40)을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Referring to FIG. 3,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FIG. 3(a)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ool (50) protrudes from the body (10) and the second tool (50) can be used for surgery. FIG. 3(b)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are in a vert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by operating the operating button (34), and FIG. 3(c)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ol (40) protrudes from the body (10) by operating the operating button (34) and the first tool (40) can be used for surgery.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술기구(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4, a surgical instrument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수술기구(100)는, 조작버튼(95)의 조작으로 구동될 수 있고, 바디(10), 제1 툴(40) 및 제2 툴(5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urgical instrum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riven by the operation of an operation button (95) and can include a body (10), a first tool (40), and a second tool (50).
바디(10)는 제2 샤프트(94) 및 조작버튼(95)과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 툴(40) 및 제2 툴(50)의 설치 및 이동 반경 확보를 위해 개방된 선단 개방부(12b)를 포함한다. 제1 툴(40)은 제1 고정부(61)가 위치한 제1 공간(74)에 설치되고, 제2 툴(50)은 제2 고정부(81)가 위치한 제2 공간(96)에 설치된다. 제1 공간(74)과 제2 공간(96)은 바디(10) 내에서 병렬 배치되며, 이에 따라 제1 툴(40) 및 제2 툴(50)도 상호 병렬 배치된다. The body (10) is op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94) and the operating button (95), and includes an open tip opening (12b) for securing the installation and movement radius of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The first tool (40) is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74) where the first fixing part (61) is located, and the second tool (50) is installed in the second space (96) where the second fixing part (81) is located. The first space (74) and the second space (96)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in the body (10), and accordingly,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are also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선단 개방부(12b)는 바디(10)의 끝단에서부터 툴의 회전축인 제1 고정부(61) 및 제2 고정부(81)를 지나, 바디(10) 내부까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선단 개방부(12b)의 길이는 바디(10) 내부에 제1 고정부(61) 및 제2 고정부(81)에 의해 설치되어 있는 툴의 길이 이상일 수 있으며, 선단 개방부(12b)의 폭은 툴들의 폭을 합한 것 이상일 수 있다. 조작버튼(95)의 회전 조작에 의해, 제1 고정부(61)가 회전하거나, 제2 고정부(81)가 회전하게 된다. 1 고정부(61)가 회전하면, 제1 고정부(61)에 의해 고정된 회전축을 가지는 제 1 툴(40)이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경한다. 제2 고정부(81)가 회전하면, 제2 고정부(81)에 의해 고정된 회전축을 가지는 제 2 툴(50)이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경한다. 즉, 선단 개방부(12b)를 통해 제 1 툴(40) 및 제2 툴(50) 중 어느 하나의 툴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거나, 다른 하나의 툴이 바디(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The tip opening portion (12b) is formed in an open form from the end of the body (10) through the first fixing portion (6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81), which are the rotational axes of the tool, to the inside of the body (10). The length of the tip opening portion (12b)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tool installed by the first fixing portion (61)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81) inside the body (10), and the width of the tip opening portion (12b) may be longer than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tools.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95), the first fixing portion (61) rotates or the second fixing portion (81) rotates. When the first fixing portion (61) rotates, the first tool (40) having the rotational axis fixed by the first fixing portion (61) changes its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 When the second fixed part (81) rotates, the second tool (50) having a rotation axis fixed by the second fixed part (81) changes its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 That is, either one of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can protrude from the body (10) through the tip opening (12b), or the other tool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0).
제1 풀리(6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가지며, 제1 샤프트(62)에 의해 고정된 회전축을 가진다. 제1 풀리(6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와이어(W)가 권취되며, 와이어(W)를 통해 조작버튼(95)에 가해진 외력을 전달받는다. 제1 풀리(60)는 와이어(W)를 통해 제2 풀리(70)로부터 전달된 외력으로 회전하며, 제1 샤프트(62)와 함께 회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버튼(95)을 회전시키면, 조작버튼(95)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2 풀리(70)가 회전하며, 제2 풀리(70)에 권취된 와이어(W)에 의해 제1 풀리(60)가 함께 회전한다. 제1 풀리(60)의 회전에 따라, 제1 풀리(60)에 연결된 제1 고정부(61)도 함께 회전하며, 제1 고정부(61)에 고정된 제1 툴(40) 역시 회전한다. 도6에 도시된 것처럼, 툴들이 회전하면서 어느 하나의 툴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거나, 다른 하나의 툴이 바디(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 외부로 돌출된 툴을 이용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first pulley (60) has a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s a rotation axis fixed by a first shaft (62). A wire (W) is wound around the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pulley (60), and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utton (95)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W). The first pulley (60) rotates with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pulley (70) through the wire (W),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62). 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ng button (95) is rotated, the second pulley (70)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operating button (95) rotates, and the first pulley (60) rotates together with the wire (W) wound around the second pulley (70). As the first pulley (60) rotates, the first fixing member (61)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60) also rotates, and the first tool (40)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61) also rotates. As shown in Fig. 6, as the tools rotate, one tool may protrude from the body (10) or the other tool may be stored inside the body (1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surgery using the tool protruding outside the body (10).
제1 고정부(61)에는 제1 툴(40)이 설치되어 있고, 제1 고정부(61)는 제1 풀리(6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함께 회전한다. 제1 풀리(60)가 와이어(W)를 통해 제2 풀리(70)의 외력을 전달받으면, 제1 고정부(61)는 제1 풀리(60)와 함께 회전하며 제1 고정부(61)에 설치된 제1 툴(40)의 회전으로 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A first tool (40) is installed in the first fixed part (61), and the first fixed part (61) is operatively coupled with the first pulley (60)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first pulley (60) receives an external force from the second pulley (70) through the wire (W), the first fixed part (61)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pulley (60), and tool switching can be achieved by rotation of the first tool (40) installed in the first fixed part (61).
제1 샤프트(62)는 제1 풀리(60) 및 제1 고정부(61)의 중심을 관통하며, 제1 풀리(60) 및 제1 고정부(61) 공통의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즉, 제1 풀리(60) 및 제1 고정부(61)는 제1 샤프트(6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1 샤프트(62)와 함께 회전하며, 이로 인해 제1 고정부(61)에 설치된 제1 툴(40)이 바디(10)에 대한 상대 위치를 변경한다. The first shaft (62)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pulley (60) and the first fixed part (61) and acts as a common rotation axis for the first pulley (60) and the first fixed part (61). That is, the first pulley (60) and the first fixed part (61) rotate together with the first shaft (62) with the first shaft (62) as the rotation axis, and as a result, the first tool (40) installed on the first fixed part (61) changes its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
제2 풀리(7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가지며, 제4 샤프트(72)에 의해 고정된 회전축을 가진다. 제2 풀리(7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와이어(W)가 권취되며, 와이어(W)를 통해 조작버튼(95)에 가해진 외력을 전달받게 된다. 제2 풀리(70)는 제4 샤프트(72)에 의해 제1 기어(71)와 공통의 회전축을 가지며, 제1 기어(71)와 함께 회전한다. 제1 기어(71)의 회전으로 제2 풀리(70)가 함께 회전하게되고, 제2 풀리(70)에 권취된 와이어(W)를 통해 전달된 외력으로 제1 풀리(60)가 회전한다. 따라서, 제2 풀리(70)는 제1 기어(71)와 함께 회전하여, 와이어(W)를 통해 외력을 전달하여 제1 풀리(60)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The second pulley (70) has a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s a rotation axis fixed by a fourth shaft (72). A wire (W) is wound around the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econd pulley (70), and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utton (95)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W). The second pulley (70) has a common rotation axis with the first gear (71) through the fourth shaft (72),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71). The second pulley (70)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71), and the first pulley (60) rotates due to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W) wound around the second pulley (70). Therefore, the second pulley (70)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gear (71), and transmits an external force through the wire (W), so that the first pulley (60) also rotates together.
제1 기어(71)는 제2 풀리(70)와 공통된 회전축(제4 샤프트(72))을 가지며, 제1 기어(71)는 제2 풀리(70)와 함께 회전한다. 제1 기어(71)는 제1 하프기어(73)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조작버튼(95)을 회전시키면, 조작버튼(95)과 연결된 제1 하프기어(73)가 함께 회전한다. 제1 하프기어(73)가 회전하면, 제1 하프기어(73)와 맞물려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 기어(71)가 맞물려 회전한다. 제1 기어(71)가 회전하면 제1 기어(71)와 공통의 회전축을 가지는 제2 풀리(70)가 함께 회전하며 와이어(W)로 외력을 전달한다. 즉, 조작버튼(95)의 회전 조작으로 제1 기어(71)와 제1 하프기어(73)의 맞물림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 툴(4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납된다.The first gear (71) has a common rotation axis (fourth shaft (72)) with the second pulley (70), and the first gear (71)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pulley (70). The first gear (71) is configured to rotate in mesh with the first half gear (73). When the operating button (95) is rotated, the first half gear (73) connected to the operating button (95) rotates together. When the first half gear (73) rotates, the first gear (71)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mesh with the first half gear (73) rotates in mesh with it. When the first gear (71) rotates, the second pulley (70) having a common rotation axis with the first gear (71) rotates together and transmits an external force to the wire (W). That is, as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first gear (71) and the first half gear (73) changes by rotating the operation button (95), the first tool (40) is protruded or retracted from the body (10).
제4 샤프트(72)는 제1 기어(71), 제2 풀리(70), 제2 기어(91) 및 제4 풀리(90)의 중심을 관통하며, 이들의 공통의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제2 풀리(70) 및 제1 기어(71)는 제4 샤프트(72)를 회전축으로 하여 함께 회전하고, 제1 고정부(61)의 회전 움직임을 만들게 된다. 제4 풀리(90) 및 제2 기어(91)는 제4 샤프트(72)를 회전축으로 하여 함께 회전하고, 제2 고정부(81)의 회전 움직임을 만들게 된다. The fourth shaft (72) passes through the centers of the first gear (71), the second pulley (70), the second gear (91), and the fourth pulley (90), and acts as their common axis of rotation. The second pulley (70) and the first gear (71) rotate together with the fourth shaft (72) as the axis of rotation, and create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fixed part (61). The fourth pulley (90) and the second gear (91) rotate together with the fourth shaft (72) as the axis of rotation, and create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fixed part (81).
제1 하프기어(73)는 원판 형태의 바디 측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180도 연장된 기엇니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하프기어(73)는 제2 샤프트(94)에 의해 회전축을 가지며, 제2 샤프트(94)와 함께 회전한다. 조작버튼(95)의 회전 조작으로 제2 샤프트(94) 및 제1 하프기어(73)가 회전하고, 제1 하프기어(73)와 맞물려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1 기어(71)가 맞물려 회전한다. 제1 기어(71)의 회전으로 제1 풀리(6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제1 고정부(61)에 설치된 제1 툴(40)가 회전하게 된다. 제1 하프기어(73)의 기엇니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제1 기어(71)와 대면하는 경우 제1 기어(71)는 회전하지 않고, 제2 풀리(70), 제1 풀리(60) 및 제1 고정부(61)가 변동이 없이 위치하게 되어 제1 툴(40)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작버튼(95)의 회전 조작으로 제1 하프기어(73)의 기엇니가 형성된 부분과 제1 기어(71)의 맞물림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 툴(4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납된다. The first half gear (73) is formed with a gear extending 18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body in the shape of a disk. The first half gear (73) has a rotation axis by the second shaft (94)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shaft (94).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95), the second shaft (94) and the first half gear (73) rotate, and the first gear (71) configured to be operable by meshing with the first half gear (73) meshes and rotates.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71), the first pulley (60) also rotates, and the first tool (40) installed on the first fixing part (61) rotates. When the part of the first half gear (73) where the teeth are not formed faces the first gear (71), the first gear (71) does not rotate, and the second pulley (70), the first pulley (60), and the first fixed part (61) are positioned without chang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tool (40) does not change. Accordingly, as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art of the first half gear (73) where the teeth are formed and the first gear (71) is change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95), the first tool (40) is protruded from or retracted from the body (10).
제1 공간(74)은 제2 공간(96)과 병렬 배치되고, 제1 툴(40)이 회전 작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제1 공간(74)에는 제1 툴(40), 제1 풀리(60), 제1 고정부(61), 제1 샤프트(62), 제2 풀리(70), 제1 기어(71), 제4 샤프트(72), 제1 하프기어(73) 및 제2 샤프트(94)가 위치하고,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작동 가능하다. The first space (74) is arranged parallel to the second space (96) and provides a space for the first tool (40) to rotate. The first tool (40), the first pulley (60), the first fixing part (61), the first shaft (62), the second pulley (70), the first gear (71), the fourth shaft (72), the first half gear (73) and the second shaft (94) are positioned in the first space (74), and these components are mechanically connected and can operate together.
제3 풀리(8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가지며, 제3 샤프트(82)에 의해 고정된 회전축을 가진다. 제3 풀리(8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와이어(W)가 권취되며, 와이어(W)를 통해 조작버튼(95)에 가해진 외력을 전달받는다. 제3 풀리(80)는 와이어(W)를 통해 제4 풀리(90)로부터 전달된 외력으로 회전하며, 제3 샤프트(82)와 함께 회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버튼(95)을 회전 조작시키면, 조작버튼(95)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 제4 풀리(90)가 회전하며, 제4 풀리(90)에 권취된 와이어(W)에 의해 제3 풀리(80)가 함께 회전한다. 제3 풀리(80)의 회전에 따라, 제2 고정부(81)도 함께 회전하며, 제2 고정부(81)에 설치된 제2 툴(50) 역시 회전한다. 도6에 도시된 것처럼, 툴들이 회전하면서 어느 하나의 툴이 바디(10)로부터 돌출거나, 다른 하나의 툴이 바디(1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바디(10) 외부로 돌출된 툴을 이용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third pulley (80) has a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rotation axis fixed by a third shaft (82). A wire (W) is wound around the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hird pulley (80), and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utton (95)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W). The third pulley (80) rotates with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fourth pulley (90) through the wire (W),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third shaft (82). 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ng button (95) is rotated, the fourth pulley (90)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operating button (95) rotates, and the third pulley (80) rotates together with the wire (W) wound around the fourth pulley (90). As the third pulley (80) rotates, the second fixing member (81) also rotates, and the second tool (50) installed on the second fixing member (81) also rotates. As shown in Fig. 6, when the tools rotate, one tool may protrude from the body (10) or the other tool may be stored inside the body (10).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erform surgery using the tool protruding outside the body (10).
제2 고정부(81)에는 제2 툴(50)이 설치되어 있고, 제2 고정부(81)는 제3 풀리(8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함께 회전한다. 제3 풀리(80)가 와이어(W)를 통해 제4 풀리(90)의 외력을 전달받으면, 제2 고정부(81)는 제3 풀리(80)와 함께 회전하며 제2 고정부(81)에 설치된 제2 툴(50)의 회전으로 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A second tool (50) is installed in the second fixed part (81), and the second fixed part (81) is operatively coupled with the third pulley (80) and rotates together. When the third pulley (80) receives an external force from the fourth pulley (90) through the wire (W), the second fixed part (81) rotates together with the third pulley (80), and tool switching can be achieved by rotation of the second tool (50) installed in the second fixed part (81).
제3 샤프트(82)는 제3 풀리(80) 및 제2 고정부(81)의 중심을 관통하며, 제3 풀리(80) 및 제2 고정부(81) 공통의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즉, 제3 풀리(80) 및 제2 고정부(81)는 제3 샤프트(82)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3 샤프트(82)와 함께 회전하며, 이로 인해 제2 고정부(81)에 설치된 제2 툴(50)이 바디(1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가 생긴다.The third shaft (82)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third pulley (80) and the second fixed part (81) and acts as a common rotation axis for the third pulley (80) and the second fixed part (81). That is, the third pulley (80) and the second fixed part (81) rotate together with the third shaft (82) using the third shaft (82) as the rotation axis, and as a result, the second tool (50) installed on the second fixed part (81) changes its relativ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dy (10).
제4 풀리(90)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을 가지며, 제4 샤프트(72)에 의해 고정된 회전축을 가진다. 제4 풀리(9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에 와이어(W)가 권취되며, 와이어(W)를 통해 조작버튼(95)에 가해진 외력을 전달받게 된다. 제4 풀리(90)는 제4 샤프트(72)에 의해 제2 기어(91)와 공통의 회전축을 가지며, 제2 기어(91)와 함께 회전한다. 제2 기어(91)의 회전으로 제4 풀리(90)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4 풀리(90)에 권취된 와이어(W)를 통해 전달된 외력으로 제3 풀리(80)가 회전한다. 따라서, 제4 풀리(90)는 제2 기어(91)와 함께 회전하여, 와이어(W)를 통해 외력을 전달시켜 제3 풀리(80)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The fourth pulley (90) has a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s a rotation axis fixed by a fourth shaft (72). A wire (W) is wound around the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ourth pulley (90), and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utton (95) is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W). The fourth pulley (90) has a common rotation axis with the second gear (91) through the fourth shaft (72),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gear (91). The fourth pulley (90)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91), and the third pulley (80) rotates due to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 (W) wound around the fourth pulley (90). Therefore, the fourth pulley (90)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gear (91), and transmits an external force through the wire (W), so that the third pulley (80) also rotates together.
제2 기어(91)는 제4 풀리(90)와 공통된 회전축(제4 샤프트(72))을 가지고, 제2 기어(91)는 제2 하프기어(93)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조작버튼(95)을 회전시키면, 조작버튼(95)과 연결된 제2 하프기어(93)가 함께 회전한다. 제2 하프기어(93)가 회전하면, 제2 하프기어(93)와 맞물려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2 기어(91)가 맞물려 회전한다. 제2 기어(91)의 회전으로 제2 기어(91)와 공통의 회전축을 가지는 제4 풀리(90)가 함께 회전하며 와이어(W)로 외력을 전달한다. 즉, 조작버튼(95)의 회전 조작으로 제2 기어(91)와 제2 하프기어(93)의 맞물림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2 툴(5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납된다.The second gear (91) has a common rotation axis (fourth shaft (72)) with the fourth pulley (90), and the second gear (91) is configured to rotate in mesh with the second half gear (93). When the operating button (95) is rotated, the second half gear (93) connected to the operating button (95) rotates together. When the second half gear (93) rotates, the second gear (91) configured to be operable in mesh with the second half gear (93) rotates in mesh with it. As the second gear (91) rotates, the fourth pulley (90) having a common rotation axis with the second gear (91) rotates together and transmits an external force to the wire (W). That is, as the meshing position of the second gear (91) and the second half gear (93) changes due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ng button (95), the second tool (50) protrudes from or is retracted in the body (10).
제2 하프기어(93)는 원판 형태의 바디 측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180도 연장된 기엇니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하프기어(93)의 기엇니는 제2 샤프트(94)를 중심으로 제1 하프기어(73)의 기엇니와 반대 방향에 기엇니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하프기어(93)는 제2 샤프트(94)에 의해 회전축을 가지며, 제2 샤프트(94)와 함께 회전한다. 조작버튼(95)의 회전 조작으로 제2 샤프트(94) 및 제2 하프기어(93)가 회전하고, 제2 하프기어(93)와 맞물려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2 기어(91)가 맞물려 회전한다. 제2 기어(91)의 회전으로 제3 풀리(80)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제2 고정부(81)에 설치된 제2 툴(50)이 회전하게 된다. 제2 하프기어(93)의 기엇니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제2 기어(91)가 대면하게 되면 제2 기어(91)는 회전하지 않고, 제4 풀리(90), 제3 풀리(80) 및 제2 고정부(81)는 변동이 없이 위치하게 되어 제2 툴(50)의 위치도 변하지 않는다. 즉, 조작버튼(95)의 회전 조작으로 제2 하프기어(93)의 기엇니가 형성된 부분과 제2 기어(91)의 맞물림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2 툴(5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거나 수납된다.The second half gear (93) is formed with gear teeth that extend 180 degre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disc-shaped body. The gear teeth of the second half gear (93) ar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gear teeth of the first half gear (73) with the second shaft (94) as the center. The second half gear (93) has a rotation axis by the second shaft (94)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shaft (94). The second shaft (94) and the second half gear (93) rotate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95), and the second gear (91) configured to be operable by meshing with the second half gear (93) meshes and rotates.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91) causes the third pulley (80) to also rotate, so that the second tool (50) installed on the second fixing part (81) rotates. When the part of the second half gear (93) where the teeth are not formed and the second gear (91) come into contact, the second gear (91) does not rotate, and the fourth pulley (90), the third pulley (80), and the second fixed part (81) are positioned without chang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tool (50) does not change. That is, as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art of the second half gear (93) where the teeth are formed and the second gear (91) changes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95), the second tool (50) protrudes from or is retracted from the body (10).
제2 하프기어(93)의 기엇니는 제1 하프기어(73)의 기엇니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제2 샤프트(94)가 회전하면 제1 툴(40) 및 제2 툴(50)의 회전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제2 샤프트(94)가 반바퀴(180도) 회전하게 되면, 먼저 제1 하프기어(73)의 기엇니가 형성된 부분과 제1 기어(71)가 맞물려 작동하게 된다. 제2 샤프트(94)가 반바퀴 더 회전하게 되면, 제2 하프기어(93)의 기엇니가 형성된 부분과 제2 기어(91)가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제1 하프기어(73)의 기엇니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제1 기어(71)가 대면하는 경우, 제1 기어(71)가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술기구는 하프기어와 기어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제1 툴(40)이 회전하며 바디(10)로부터 돌출, 제2 툴(50)도 회전하며 바디(10)로부터 돌출, 제1 툴(40)이 회전하여 바디(10) 내부로 먼저 수납, 제2 툴(50)도 회전하며 바디(10) 내부로 수납되는 순서로 작동된다. Since the gear teeth of the second half gear (93) are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gear teeth of the first half gear (73), when the second shaft (94) rotates, the first tool (40) and the second tool (50) rotate sequentially. When the second shaft (94) rotates half a turn (180 degrees), the part of the first half gear (73) where the gear teeth are formed and the first gear (71) first mesh with each other and operate. When the second shaft (94) rotates another half turn, the part of the second half gear (93) where the gear teeth are formed and the second gear (91) mesh with each other and rotate. At this time, if the part of the first half gear (73) where the gear teeth are not formed faces the first gear (71), the first gear (71) does not operate. Accordingly, the surg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following order: the first tool (40) rotates and protrudes from the body (10), the second tool (50) also rotates and protrudes from the body (10), the first tool (40) rotates and is first stored inside the body (10), and the second tool (50) also rotates and is stored inside the body (10).
제2 샤프트(94)는 제1 하프기어(73) 및 제2 하프기어(93)의 중심을 관통하며, 제2 샤프트(94)는 제1 하프기어(73) 및 제2 하프기어(93) 공통의 회전축으로 작용한다. 제2 샤프트(94)는 조작버튼(95)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한다. 즉, 조작버튼(95)를 회전 조작하면 조작버튼(95)과 연결된 제2 샤프트(94)이 따라 회전하고, 제2 샤프트(94)를 회전축으로 갖는 제1 하프기어(73) 및 제2 하프기어(93)도 동시에 함께 회전한다. 제1 하프기어(73) 및 제1 기어(71)의 맞물림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제1 툴(40)이 움직이고, 제2 하프기어(93) 및 제2 기어(91)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제2 툴(50)이 움직인다.The second shaft (94) passes through the centers of the first half gear (73) and the second half gear (93), and the second shaft (94) acts as a common rotation axis of the first half gear (73) and the second half gear (93). The second shaft (94) is connected to the operating button (95) and rotates together. That is, when the operating button (95) is rotated, the second shaft (94) connected to the operating button (95) rotates accordingly, and the first half gear (73) and the second half gear (93) having the second shaft (94) as a rotation axis also rotate together simultaneously. As the enga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half gear (73) and the first gear (71) change, the first tool (40) moves, and the second tool (50) moves according to the engagement positions of the second half gear (93) and the second gear (91).
조작버튼(95)은 제2 샤프트(94)와 연결되어, 조작버튼(95)의 회전과 함께 제2 샤프트(94)도 회전하게 된다. 조작버튼(95)은 제2 샤프트(94)를 중심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하다. 조작버튼(95)을 회전시키면 제2 샤프트(94)에 회전축을 가지는 제1 하프기어(73) 및 제2 하프기어(93)도 함께 회전하며 작동하게 된다.The operating button (95) is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94), so that the second shaft (94) rotates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button (95). The operating button (95) can be rotated around the second shaft (94). When the operating button (95) is rotated, the first half gear (73) and the second half gear (93), which have a rotation axis on the second shaft (94), also rotate and operate together.
조작버튼(95)의 회전 방향은 제한되지 않고, 제2 샤프트(94)와 연결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무방하다.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operating button (95) is not limited, and any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94) may be used.
제2 공간(96)은 제1 공간(74)와 병렬 배치되고, 제2 툴(50)이 회전 작동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제2 공간(96)에는 제2 툴(50), 제3 풀리(80), 제2 고정부(81), 제3 샤프트(82), 제4 풀리(90), 제2 기어(91), 제4 샤프트(72), 제2 하프기어(93) 및 제2 샤프트(94)가 위치하고,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작동 가능하다. The second space (96) is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space (74) and provides a space for the second tool (50) to rotate. The second tool (50), the third pulley (80), the second fixing part (81), the third shaft (82), the fourth pulley (90), the second gear (91), the fourth shaft (72), the second half gear (93) and the second shaft (94) are positioned in the second space (96), and these components are mechanically connected and can operate together.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6(a)는 제2 툴(5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어 제2 툴(50)을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b)는 도구 전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1 툴(40)이 바디(10)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6(c)는 제2 툴(50)이 바디(10)에 수납되어, 제1 툴(40)을 수술에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의 (d)는 제1 툴(40)이 바디(10)에 수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Referring to FIG. 6,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FIG. 6(a)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ool (50) protrudes from the body (10) and the second tool (50) can be used for surgery. FIG. 6(b) is a drawing showing a tool switching process and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ol (40) protrudes from the body (10). FIG. 6(c)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ool (50) is accommodated in the body (10) and the first tool (40) can be used for surgery. FIG. 6(d)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ol (40) is accommodated in the body (10).
100: 수술기구
10: 바디
11: 홈
12a: 선단 개방부
12b: 선단 개방부
20: 제1 풀리
21: 제1 샤프트
22: 고정부
30: 제2 풀리
31: 제2 샤프트
32: 기어
33: 래크
34: 조작버튼
40: 제1 툴
50: 제2 툴
60: 제1 풀리
61: 제1 고정부
62: 제1 샤프트
70: 제2 풀리
71: 제1 기어
72: 제4 샤프트
73: 제1 하프기어
74: 제1 공간
80: 제3 풀리
81: 제2 고정부
82: 제3 샤프트
90: 제4 풀리
91: 제2 기어
93: 제2 하프기어
94: 제2 샤프트
95: 조작버튼
96: 제2 공간100: Surgical instruments
10: Body
11: Home
12a: Fleet opening
12b: Fleet opening
20: 1st pulley
21: 1st shaft
22: Fixed part
30: 2nd pulley
31: 2nd shaft
32: Gear
33: Rack
34: Control buttons
40: Tool 1
50: 2nd tool
60: 1st pulley
61: 1st fixed part
62: 1st shaft
70: 2nd pulley
71: 1st gear
72: 4th shaft
73: 1st Half Gear
74: The first space
80: Third pulley
81: Second fixed part
82: 3rd shaft
90: 4th pulley
91: 2nd gear
93: 2nd Half Gear
94: Second shaft
95: Control Buttons
96: The Second Space
Claims (11)
상기 바디 내부에 마련된 고정부에 설치된 2개 이상의 툴;
상기 고정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2 풀리;
상기 제2 풀리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기어;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기어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래크;
상기 래크와 연결되어, 상기 바디에 대한 상기 래크의 상대 위치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수술 기구.
body;
Two or more tools installed in a fixed part provided inside the above body;
A first pulley operably connected to the above fixing member;
A second pulley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through a wire;
A gear op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A rack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bove body and configured to mesh with the above gear;
comprising an operating button connected to the rack and configured to chang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ack with respect to the body;
Surgical instruments.
상기 고정부와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에 배치된 공통의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수술 기구.
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 common shaft arrang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above fixed part and the first pulley;
Surgical instruments.
상기 래크와 상기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상기 2개 이상의 툴의 상기 바디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수술 기구.
In the second paragraph,
Depending on the meshing position of the above rack and the above gear,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above two or more tools with respect to the above body are changed.
Surgical instruments.
상기 2개 이상의 툴은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된,
수술 기구.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wo or more tools are each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apart from the fixed part.
Surgical instruments.
상기 2개 이상의 툴은 상기 래크와 상기 기어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어느 하나의 툴이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하나의 툴은 상기 바디 내부에 수납되는,
수술 기구.
In paragraph 4,
The above two or more tools are such that, depending on the meshing position of the rack and the gear, one tool protrudes from the body and the other tool is housed inside the body.
Surgical instruments.
상기 제1 공간에 마련된 제1 고정부에 설치된 제1 툴;
상기 제2 공간에 마련된 제2 고정부에 설치된 제2 툴;
상기 제1 고정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2 풀리;
상기 제2 풀리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하프 기어;
상기 제2 고정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3 풀리;
상기 제3 풀리와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제4 풀리;
상기 제4 풀리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하프 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샤프트를 중심으로 제1 하프 기어의 기엇니와 반대 방향에 기엇니가 형성된 제2 하프 기어; 및
상기 제1 하프 기어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 조작 버튼;을 포함하는,
수술 기구.
A body comprising a first space and a second space arranged parallel to the first space;
A first tool installed in a first fixed part provided in the first space;
A second tool installed in a second fixed part provided in the second space;
A first pulley operably connect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 second pulley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through a wire;
A first half gear op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pulley;
A third pulley oper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A fourth pulley connected to the third pulley through a wire;
A second half gea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fourth pulley, rotating together with the first half gear and having teeth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eeth of the first half gear about the shaft; and
including an operating button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half gear;
Surgical instruments.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풀리의 회전축에 배치된 제1 샤프트; 및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3 풀리의 회전축에 배치된 제3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수술 기구.
In Article 6,
A first shaft arrang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fixed part and the first pulley; and
Further comprising a third shaft arranged on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fixed part and the third pulley;
Surgical instruments.
상기 제1 하프 기어와 상기 제2 풀리 사이에 배치된 제1 기어; 및
상기 제2 하프 기어와 상기 제4 풀리 사이에 배치된 제2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1 하프 기어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툴의 상기 바디에 대한 상대 위치가 변경되는,
수술 기구.
In Article 6,
a first gear arranged between the first half gear and the second pulley;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ear arranged between the second half gear and the fourth pulley;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ools with respect to the body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meshing positions of the first gear and the first half gear.
Surgical instruments.
상기 제1 하프 기어 및 제2 하프 기어는,
원판 형태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측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180도 연장되며 형성된 기엇니;를 포함하는,
수술기구.
In Article 7,
The above first half gear and second half gear,
A disc-shaped body; and
Including a gear formed and extending 180 degre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side of the above body;
Surgical instruments.
상기 제1 툴은 제1 고정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2 툴은 제2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 풀리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3 풀리와 함께 회전하는,
수술 기구.
In Article 7,
The first tool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tool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member.
The first fixed part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pulley via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fixed part rotates together with the third pulley via the third shaft.
Surgical instruments.
상기 제1 및 제2 툴은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1 하프 기어의 맞물림 위치에 따라, 어느 하나의 툴이 상기 바디로부터 돌출되거나, 다른 하나의 툴이 상기 바디 내부에 수납되는,
수술 기구.
In Article 8,
The first and second tools are configured such that, depending on the engagement positions of the first gear and the first half gear, one tool protrudes from the body or the other tool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Surgical instrument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0553A KR102765099B1 (en) | 2023-03-08 | 2023-03-08 |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selectively converting of plurality of tool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30553A KR102765099B1 (en) | 2023-03-08 | 2023-03-08 |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selectively converting of plurality of tool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7304A KR20240137304A (en) | 2024-09-20 |
KR102765099B1 true KR102765099B1 (en) | 2025-02-11 |
Family
ID=9292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30553A Active KR102765099B1 (en) | 2023-03-08 | 2023-03-08 |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selectively converting of plurality of tool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65099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74599B2 (en) | 2014-08-15 | 2018-05-22 | Medtronic Ps Medical, Inc. | Multipurpose electrosurgical device |
US10085728B2 (en) | 2014-07-28 | 2018-10-02 | Olympus Corporation | Treatment-tool driving device |
US10265131B2 (en) | 2013-10-31 | 2019-04-23 | Olympus Corporation | Surgical instrument |
JP6848025B2 (en) | 2012-01-25 | 2021-03-24 |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 Medical equipment for fluid transfer and electronic surgery |
US11129634B2 (en) | 2017-10-30 | 2021-09-28 | Cilag Gmbh International | Surgical instrument with rotary drive selectively actuating multiple end effector function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58693B2 (en) | 2006-03-24 | 2010-12-28 | Kratonpolymers U.S. Llc | Unhydrogenated block copolymer compositions |
KR101693355B1 (en) * | 2009-08-10 | 2017-01-06 | (주)미래컴퍼니 | Instrument structure of surgical apparatus |
KR101765727B1 (en) * | 2010-09-01 | 2017-08-08 | (주)미래컴퍼니 | Coupling structure and zero point calibration method of surgical instrument |
KR101129634B1 (en) | 2011-01-10 | 2012-03-28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device for reclosing control using a harmonic ratio |
-
2023
- 2023-03-08 KR KR1020230030553A patent/KR10276509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48025B2 (en) | 2012-01-25 | 2021-03-24 |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Boston Scientific Scimed,Inc. | Medical equipment for fluid transfer and electronic surgery |
US10265131B2 (en) | 2013-10-31 | 2019-04-23 | Olympus Corporation | Surgical instrument |
US10085728B2 (en) | 2014-07-28 | 2018-10-02 | Olympus Corporation | Treatment-tool driving device |
US9974599B2 (en) | 2014-08-15 | 2018-05-22 | Medtronic Ps Medical, Inc. | Multipurpose electrosurgical device |
US11129634B2 (en) | 2017-10-30 | 2021-09-28 | Cilag Gmbh International | Surgical instrument with rotary drive selectively actuating multiple end effector functio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7304A (en) | 2024-09-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6232B1 (en) |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s and how to use them | |
KR101056204B1 (en) |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s | |
US10905411B2 (en) | Surgical suturing and grasping device | |
CN102046101B (en) | Tool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JP4654165B2 (en) | Working mechanism and manipulator | |
JP5611946B2 (en) |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 | |
US9451946B2 (en) | Laparoscopic suturing instrument with parallel concentric shaft pairs | |
US9585655B2 (en) | Laparoscopic suturing instrument with multi-drive sequenced transmission | |
US9724089B1 (en) | Reciprocating needle drive without cables | |
KR101301783B1 (en) | Tool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CN101120888A (en) | Working mechanism and manipulator | |
US20180235601A1 (en) | Surgical suturing instruments | |
WO2011140444A1 (en) | Laparoscopic devices with flexible actuation mechanisms | |
JP2014502189A (en) | Minimally invasive surgical instrument | |
KR101429797B1 (en) | Tool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WO2013158622A1 (en) | Laparoscopic suturing instrument with coaxial drive shafts | |
JP6861963B2 (en) | Remote control device | |
KR20110127563A (en) | Surgical Instruments | |
KR102765099B1 (en) | 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selectively converting of plurality of tools | |
JP7681367B2 (en) | Surgical Instruments End Tools | |
KR102557020B1 (en) | Surgical robot apparatus | |
KR102557017B1 (en) | Surgical robot apparatus | |
JP2025111750A (en) | End tools of surgical instruments | |
JP2001137257A (en) | Medical master-slave system | |
KR102103818B1 (en) | Medical Surger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