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4595B1 -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4595B1
KR102764595B1 KR1020240089480A KR20240089480A KR102764595B1 KR 102764595 B1 KR102764595 B1 KR 102764595B1 KR 1020240089480 A KR1020240089480 A KR 1020240089480A KR 20240089480 A KR20240089480 A KR 20240089480A KR 102764595 B1 KR102764595 B1 KR 102764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pad
artificial grass
level
sh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89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철
심성완
Original Assignee
에이치그라운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그라운드(주) filed Critical 에이치그라운드(주)
Priority to KR1020240089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4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4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45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제 1 천연 패드 및 제 2 천연 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함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배치 환경 또는 사용 목적에 적합한 배수율로 형성 가능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인조잔디 매트의 하부측에 복수개가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인조잔디 매트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 충격 흡수 패드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 1 천연 패드 및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측에 절개부를 가지는 제 2 천연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목적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의 배수율에 따라 상기 제 1 천연 패드 및 제 2 천연 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배치한다.

Description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Artificial grass structure including natural shock absorbing pa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제 1 천연 패드 및 제 2 천연 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함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배치 환경 또는 사용 목적에 적합한 배수율로 형성 가능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잔디(Artificial turf) 운동장은 흙바닥에 콘크리트를 깔고 그 위에 인조잔디를 까는 식으로 조성됨에 따라 천연잔디처럼 탄력 및 푹신함을 주기 위해 인조잔디 위에 탄력이 있는 알갱이 타입의 충전재를 충진하게 된다.
인조잔디에서 운동 경기를 하는 과정 중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의 압력을 감소시키려면 충격력을 최대한 넓은 부위로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충돌 시 점진적으로 속도가 감소되도록 하고 운동량이 서서히 변화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매끈한 표면, 둥근 형태, 함몰되는 소재는 충돌 시 운동량이 서서히 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신체의 상해는 줄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인조잔디 구조체는 인조잔디 매트, 배수판, 충전재, 부가적으로 충격흡수 패드 등의 구성으로 천연잔디와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조합되어 마련되지만, 배수판은 물의 유출을 쉽게 하도록 인조잔디 하부에 시공되지만,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인조잔디 구조체의 가장 기본적인 물성인 충격 흡수성을 보상하지 못하고, 충격 흡수 패드는 단순히 충격 흡수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개발되며, 일정 부분 투수를 위한 투수 구멍을 뚫어 제작된다.
예를 들어, 인조잔디 운동장은 인조잔디 매트, 충전재, 부가적으로 충격흡수 패드로 구성되며, 충격 흡수 배수판은 수분 흡수 및 방출이 가능하여 인조잔디 운동장의 온도를 저감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인조잔디는 우천시 내지 인위적인 물 살포를 통해 일시에 배수됨으로써 천연 잔디와 같은 냉각 역할을 하지 못하며, 보습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조잔디의 하부층에 타이어 또는 우레탄 고무 칩을 재활용한 화학재료 칩을 사용함으로 인해 악취뿐만 아니라 발암물질 또는 중금속 물질 등과 같은 독성 화학물질을 발생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특허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충격 흡수 성능을 가지는 재질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장방형의 패드 본체, 상기 패드 본체의 상면에 전후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격자형을 이루는 우수 유도홈, 상기 패드 본체의 상면에 우수 유도홈의 가로 홈과 세로 홈으로 이루어진 격자형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 형성 돌기의 주위를 따라 형성되는 우수 저류 홈, 상기 우수 유도 홈보다 깊은 깊이를 가지는 우수 배출 홈을 포함하는 수평 배수형 인조잔디용 충격흡수 패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완충력을 갖는 형태 안정층, 상기 형태 안정층 위에 배치되어 상기 형태 안정층으로 규사, 고무 칩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완충력을 제공하는 물성 보완층, 상기 형태 안정층과 상기 물성 보완층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두께가 상기 형태 안정층 및 상기 물성 보완층보다 얇은 제1 특성 조절층, 상기 형태 안정층 아래에 배치되어 있고 다공질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에어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쿠션력을 가지는 충격 흡수층 및 상기 충격 흡수층 아래에 배치된 제2 특성 조절층을 포함하는 충격 흡수 패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인조잔디와 배수판 사이에 배치되어, 인조잔디를 지지하도록 된 충격흡수 패드로서, 상기 배수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인조잔디를 지지함과 아울러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완충 매트 부재, 상기 완충 매트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상부 필터 시트, 상기 배수판과 맞닿게 배치되며 상기 완충 매트 부재의 저면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하부 필터 시트로 이루어진 인조잔디용 충격 흡수 패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1257호(2017.10.23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1424호(2018.03.19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63889호(2020.01.0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제 1 천연 패드 및 제 2 천연 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함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배치 환경 또는 사용 목적에 적합한 배수율로 형성 가능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인조잔디 매트; 및 상기 인조잔디 매트의 하부측에 복수개가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인조잔디 매트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 충격 흡수 패드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 1 천연 패드 및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측에 절개부를 가지는 제 2 천연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목적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의 배수율에 따라 상기 제 1 천연 패드 및 제 2 천연 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천연 패드는, 천연 섬유층 및 상기 천연 섬유층의 저면에 형성되어 천연 섬유층을 고정 지지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천연 패드는, 천연 섬유층과, 상기 천연 섬유층의 저면에 형성되어 천연 섬유층을 고정 지지하는 코팅층 및 상기 천연 섬유층 및 코팅층 중 적어도 하나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천연 패드 또는 제 2 천연 패드는, 저면 일측에 착탈 가능한 기밀 유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기밀 유지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천연 패드 또는 제 2 천연 패드의 저면에 부착되고, 나머지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 또는 제 2 천연 패드의 일측 저면에 부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천연 패드 또는 제 2 천연 패드는, 상기 코팅층 또는 기밀 유지 부재 하부측에 방수 부재가 더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의 시공 방법은 a) 인조잔디 구조체를 시공할 설정 영역에 목적하는 배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b) 결정된 배수 레벨에 따라 제 1 천연 패드 및 제 2 천연 패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배치하는 단계; c) 배치된 상기 천연 충격 흡수 패드 상에 인조잔디 매트를 배치하는 단계; 및 d) 배치된 인조잔디 매트에 충전재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수 레벨은, 배수율이 높은 순서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제 1 레벨, 제 2 레벨, 제 3 레벨 및 제 4 레벨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천연 충격 흡수 패드는, 상기 배수 레벨이 제 1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와 제 2 천연 패드를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조합하여 이웃 배치하되, 천연 충격 흡수 패드의 전체 배치 면적 대비 제 1 천연 패드의 배치 면적이 20% 내지 50% 미만이며,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 또는 제 2 천연 패드의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가 탈착되고, 상기 배수 레벨이 제 2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와 제 2 천연 패드를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조합하여 이웃 배치하되, 천연 충격 흡수 패드의 전체 배치 면적 대비 제 1 천연 패드의 배치 면적이 50% 내지 80% 이하이며,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 또는 제 2 천연 패드의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가 탈착되고, 상기 배수 레벨이 제 3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로만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하되, 제 1 천연 패드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가 탈착되고, 상기 배수 레벨이 제 4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로만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하되,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 간에는 저면측에 기밀 유지 부재가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충격 흡수 패드의 배치 패턴을 조절함에 따라 인조잔디 구조체를 설치하고자 하는 배치 환경 또는 사용 목적에 적합한 배수율로 조절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천연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천연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밀 유지 부재가 탈착된 제 1 천연 패드만으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수율을 보다 감소시키기 위해 기밀 유지 부재가 부착된 제 1 천연 패드만으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밀 유지 부재가 탈착된 제 1 천연 패드 및 제 2 천연 패드의 조합으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천연 패드의 절개부 또는이웃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 사이 공간에 기밀 충진층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천연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천연 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밀 유지 부재가 탈착된 제 1 천연 패드만으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수율을 보다 감소시키기 위해 기밀 유지 부재가 부착된 제 1 천연 패드만으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배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밀 유지 부재가 탈착된 제 1 천연 패드 및 제 2 천연 패드의 조합으로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구성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1000)는 크게 인조잔디 매트(100) 및 상기 인조잔디 매트(100)의 하부측에 복수개가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인조잔디 매트(10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조잔디 매트(100)는 인조 잔디 형상의 필라멘트(110)와, 상기 필라멘트(110)를 지지하는 지지 매트(120)로 구성되고, 지지 매트(120) 상에는 규사 또는 탄성칩 등의 충전재가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조잔디 매트(100)는 인조잔디 구조체(1000)가 천연 잔디와 같은 충격 흡수력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천연 잔디보다 관리가 용이하고, 내구성을 높이도록 유도하는 특징을 가진다.
한편 이러한 인조잔디 매트(100) 하부측에는 지반과 인조잔디 매트(100) 사이에 배치되어 인조잔디 매트(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는 천연 섬유층(210) 및 천연 섬유층(210)을 지지하도록 하부측에 코팅액을 스프레이 분사 또는 함침 등의 방식으로 형성되는 코팅층(2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천연 섬유층(210)으로는 대표적으로 야자 나무의 열매인 코코넛으로부터 추출된 코이어 섬유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코이어 섬유를 통해 천연 섬유층(210)을 형성하게 되면, 친환경적이고 충격 흡수도 및 배수성이 향상되고 슬립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천연 재질의 식물 섬유 또는 동물 섬유로 천연 섬유층(210)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코팅층(220)은 천연 섬유층(210)이 하나로 연결된 섬유 조직이 아닌 천연 섬유가 서로 엉킨 상태로 형성됨에 따라 천연 섬유층(210)의 하부측에 위치하는 천연 섬유 조직을 코팅시켜 형성 모양을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코팅층(220)은 코팅액을 스프레이 분사하여 형성시키거나 코팅액이 담긴 용기에 천연 섬유층(210)의 하부측이 일정 두께 침지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코팅액에는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조성물을 통해 코팅액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를 배수율 조절을 위해 제 1 천연 패드(201)와 제 2 천연 패드(202)로 구성하고, 목적하는 배수율에 따라 제 1 천연 패드(201) 및 제 2 천연 패드(202)의 조합 패턴을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천연 섬유층(210) 및 상기 천연 섬유층(2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천연 섬유층(210)을 고정 지지하는 코팅층(22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 2 천연 패드(202)는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와 마찬가지로 천연 섬유층(210) 및 코팅층(220)으로 구성되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측에 형성된 절개부(2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230)는 천연 섬유층(210) 및 코팅층(220)을 완전히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고, 천연 섬유층(210)만을 절개하거나 천연 섬유층(210)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천연 패드(202)의 중앙측에 지그 재그 형상으로 절개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바둑판 형태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스트라이프 형태로 절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230)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배수율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며 절개부(230)의 형성에 따라 보다 배수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절개부(230)의 형성 면적이 클수록 배수율이 향상되며 절개부(230)가 형성된 위치에 주변 천연 섬유층(210)으로 침투된 물이 집수되어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이웃하는 제 2 천연 패드(202) 간에 절개부(230)의 형성 위치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할 경우, 목적하는 인조잔디 구조체의 설치 장소의 지반 구배에 따라 목적하는 위치로 배수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천연 패드(201) 및 제 2 천연 패드(202)를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도록 배치할 경우, 이들 사이의 공간과 제 2 천연 패드(202)의 절개부(230)가 인조잔디 매트(100)로부터 유입된 물의 이동 유로가 될 수 있다.
물론 인조잔디 매트(100)로부터 유입되는 물은 제 1 천연 패드(201) 및 제 2 천연 패드(202)의 천연 섬유층(210) 및 코팅층(220)을 통과하여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 하부측으로 배출될 수 있으나, 이보다 많은 양이 보다 이동하기 유리한 각 패드 간 사이 공간이 제 2 천연 패드(202)의 절개부(230)를 통해 이동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제 1 천연 패드(201) 및 제 2 천연 패드(202) 간의 사이 공간 또는 절개부(230)를 통해 지반으로 배출되는 배수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지반의 구배에 따라 특정 위치로 인조잔디 매트(100) 및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로 유입된 물을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 및 제 2 천연 패드(202) 간의 사이 공간에 수집되는 물이 지반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 일측에 착탈 가능한 기밀 유지 부재(24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 유지 부재(2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에 부착되고, 나머지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일측 저면에 부착된다.
또한 기밀 유지 부재(240)는 필요에 따라 직사각형 형태의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총 4개소 변 중에서 긴 변과 짧은 변에 각각 하나의 기밀 유지 부재(2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 간의 사이 공간에서 지반으로 직접 배출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수율을 조절하는 이유는 인조잔디 구조체(10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환경에 따라 지반으로 배수가 되는 경우와 배수량이 최소화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배수율이 낮을 경우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 내에 포함된 물의 비율인 함수율은 높게 되는데, 이러한 함수율은 해당 설치 위치의 환경에 따라 높을수록 유리할 수 있다.
즉, 함수율이 높게 되면 여름이나 낮에 뜨거운 기온을 증발열을 통해 하강시킬 수 있어 운동 선수의 운동 환경을 보다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인조잔디 구조체(1000)가 설치되는 환경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조합 구성 및 기밀 유지 부재(240)의 탈착 여부에 따라 인조잔디 구조체(1000)의 배수율 및 함수율 조절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라 인조잔디 구조체(1000)의 설치 환경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배수율 및 함수율을 배수 레벨을 통해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 레벨은 배수율이 높은 순서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제 1 레벨, 제 2 레벨, 제 3 레벨 및 제 4 레벨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수 레벨이 제 1 레벨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는, 제 1 천연 패드(201)와 제 2 천연 패드(202)를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조합하여 이웃 배치하되,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전체 배치 면적 대비 제 1 천연 패드의 배치 면적이 20% 내지 50% 미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이때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는 탈착되어 절개부(230) 및 패드 간 사이 공간으로 원활하게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수 레벨이 제 2 레벨인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천연 패드(201)와 제 2 천연 패드(202)를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조합하여 이웃 배치하되,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전체 배치 면적 대비 제 1 천연 패드(201)의 배치 면적이 50% 내지 80% 이하이며,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는 탈착시킨다.
또한 상기 배수 레벨이 제 3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로만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하되, 제 1 천연 패드(201)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는 탈착시킨다.
아울러 상기 배수 레벨이 제 4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로만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하되,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간에는 저면측에 기밀 유지 부재(24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이 배수율이 가장 높은 제 1 레벨의 경우, 제 2 천연 패드(202)의 절개부(230) 및 패드 간 사이 공간을 통해 원활하게 지반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수율이 가장 낮은 제 4 레벨의 경우 절개부(230)가 없는 제 1 천연 패드(201)로만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를 구성하고, 제 1 천연 패드(201) 간의 사이 공간은 기밀 유지 부재(240)를 통해 지반으로 배출되는 물의 배출량을 최소화시킨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는, 상기 코팅층(220) 또는 기밀 유지 부재(240) 하부측에 방수 부재(250)가 더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방수 부재(250)는 합성 수지 재질인 비닐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반으로 배출되는 물 배출량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천연 패드의 절개부 또는이웃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 사이 공간에 기밀 충진층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 간의 사이 공간과 제 2 천연 패드(202)의 절개부(230)에는 기밀 충진층(2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 충진층(260)은 이웃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 또는 천연 섬유층(210)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투입되는 코르크 부재(261)와, 코르크 부재(261)의 상, 하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밀 코팅층(262)과, 상기 충진된 코르크 부재(261)에 기밀 코팅층(262)을 형성시키기 위해 코르크 부재(261)와 혼합되는 프라이머(2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르크 부재(261)는 천연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고, 가볍고, 충격 흡수력은 물론 소리 및 진동의 흡수력이 우수하고 재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하여 기밀 충진층(260)에 적용되는 충격 흡수 부재로 매우 적합하다.
아울러 이러한 코르크 부재(261)는 항균 특성을 가짐에 따라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에 발생되는 미생물 및 박테리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항균 특성은 기밀 코팅층(262)의 형성에 따라 바로 작용될 수는 없으나, 장시간 사용에 따라 기밀 코팅층(262)의 일부가 유출 또는 분리되면 천연 충격 흡수 패드 내 미생물 및 박테리아 등과 접촉하게 되어 항균 효과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밀 충진층(260)이 형성됨으로써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 내 함수율은 매우 높게 형성될 수 있어 인조잔디 구조체(1000)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구조체의 시공 방법은 크게 인조잔디 구조체(1000)를 시공할 설정 영역에 목적하는 배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S100)와, 결정된 배수 레벨에 따라 제 1 천연 패드(201) 및 제 2 천연 패드(20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를 배치하는 단계(S200)와, 배치된 상기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 상에 인조잔디 매트(100)를 배치하는 단계(S300) 및 배치된 인조잔디 매트(100)에 충전재를 포설하는 단계(S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S100 단계에서는 인조잔디 구조체(1000)를 배치할 영역의 환경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 우선 배수 레벨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수 레벨은 배수율이 높은 순서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제 1 레벨, 제 2 레벨, 제 3 레벨 및 제 4 레벨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수 레벨의 결정에 의해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가 제 1 천연 패드(201) 및 제 2 천연 패드(202)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성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조합 비율이 달라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라 상기 배수 레벨이 제 1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와 제 2 천연 패드(202)를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조합하여 이웃 배치하되,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전체 배치 면적 대비 제 1 천연 패드(201)의 배치 면적이 20% 내지 50% 미만이며,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가 탈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 레벨이 제 2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와 제 2 천연 패드(202)를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조합하여 이웃 배치하되,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전체 배치 면적 대비 제 1 천연 패드(201)의 배치 면적이 50% 내지 80% 이하이며,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가 탈착되게 된다.
즉, 배수 레벨이 제 1 레벨인 경우, 절개부(230)를 통해 배수 유도가 보다 유리한 제 2 천연 패드(202)의 구성 비율이 제 1 천연 패드(201)의 구성 비율 보다 높고, 배수 레벨이 제 2 레벨인 경우에는 제 1 천연 패드(201)의 구성 비율이 제 2 천연 패드(202)의 구성 비율 보다 높도록 구성함으로써 제 1 레벨이 보다 배수율이 높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배수 레벨이 제 3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로만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하되, 제 1 천연 패드(201)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는 탈착되고, 상기 배수 레벨이 제 4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로만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하되,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간에는 저면측에 기밀 유지 부재(240)가 부착된다.
즉, 제 3 레벨과 제 4 레벨은 제 1 천연 패드(201)로만 구성하는 점에서 동일하나 보다 배수율이 낮은 제 4 레벨의 경우 기밀 유지 부재(240)가 포함됨으로써 배수율이 낮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 가능한 실시예로 배수 레벨이 제 5 레벨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 5 레벨은 제 1 레벨과 같이 제 1 천연 패드(201)와 제 2 천연 패드(202)를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조합하여 이웃 배치하되,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전체 배치 면적 대비 제 1 천연 패드(201)의 배치 면적이 20% 내지 50% 미만인 점에서는 동일하나,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는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 사이 공간 및 제 2 천연 패드(202)의 절개부(230) 내에 기밀 충진층(26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배수율은 매우 낮고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함수율은 매우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인조잔디 매트
110 : 필라멘트
120 : 지지 매트
200 : 천연 충격 흡수 패드
201 : 제 1 천연 패드
202 : 제 2 천연 패드
210 : 천연 섬유층
220 : 코팅층
230 : 절개부
240 : 기밀 유지 부재
250 : 방수 부재
260 : 기밀 충진층
261 : 코르크 부재
262 : 기밀 코팅층
263 : 프라이머
1000 : 인조잔디 구조체

Claims (7)

  1. 인조잔디 매트(100); 및
    상기 인조잔디 매트(100)의 하부측에 복수개가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되어 인조잔디 매트(10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를 포함하고,
    상기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제 1 천연 패드(201) 및
    일정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측에 절개부를 가지는 제 2 천연 패드(20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목적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2)의 배수율에 따라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 및 제 2 천연 패드(20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배치하되,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는,
    천연 섬유층(210) 및
    상기 천연 섬유층(2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천연 섬유층(210)을 고정 지지하는 코팅층(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천연 패드(202)는,
    천연 섬유층(210)과,
    상기 천연 섬유층(2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천연 섬유층(210)을 고정 지지하는 코팅층(220) 및
    상기 천연 섬유층(210) 및 코팅층(220) 중 적어도 하나를 절개하여 형성되는 절개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는,
    저면 일측에 착탈 가능한 기밀 유지 부재(240)를 포함하되,
    상기 기밀 유지 부재(24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에 부착되고, 나머지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일측 저면에 부착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는,
    상기 코팅층(220) 또는 기밀 유지 부재(240) 하부측에 방수 부재(250)가 더 배치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6. 제1항 또는 제5항의 특징을 가지는 인조잔디 구조체의 시공 방법으로서,
    a) 인조잔디 구조체(1000)를 시공할 설정 영역에 목적하는 배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b) 결정된 배수 레벨에 따라 제 1 천연 패드(201) 및 제 2 천연 패드(202)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를 배치하는 단계;
    c) 배치된 상기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 상에 인조잔디 매트(100)를 배치하는 단계; 및
    d) 배치된 인조잔디 매트(100)에 충전재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배수 레벨은,
    배수율이 높은 순서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제 1 레벨, 제 2 레벨, 제 3 레벨 및 제 4 레벨로 이루어지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충격 흡수 패드는,
    상기 배수 레벨이 제 1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와 제 2 천연 패드(202)를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조합하여 이웃 배치하되,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전체 배치 면적 대비 제 1 천연 패드(201)의 배치 면적이 20% 내지 50% 미만이며,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가 탈착되고,
    상기 배수 레벨이 제 2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와 제 2 천연 패드(202)를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조합하여 이웃 배치하되, 천연 충격 흡수 패드(200)의 전체 배치 면적 대비 제 1 천연 패드(201)의 배치 면적이 50% 내지 80% 이하이며,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또는 제 2 천연 패드(202)의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가 탈착되고,
    상기 배수 레벨이 제 3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로만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하되, 제 1 천연 패드(201) 저면에 부착된 기밀 유지 부재(240)가 탈착되고,
    상기 배수 레벨이 제 4 레벨인 경우, 제 1 천연 패드(201)로만 횡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치하되, 이웃하는 제 1 천연 패드(201) 간에는 저면측에 기밀 유지 부재(240)가 부착되는,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의 시공 방법.
KR1020240089480A 2024-07-08 2024-07-08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Active KR102764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89480A KR102764595B1 (ko) 2024-07-08 2024-07-08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89480A KR102764595B1 (ko) 2024-07-08 2024-07-08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64595B1 true KR102764595B1 (ko) 2025-02-07

Family

ID=9463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89480A Active KR102764595B1 (ko) 2024-07-08 2024-07-08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45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168B1 (ko) * 2008-03-14 2009-02-04 백점숙 충격흡수 및 배수가 가능한 운동장용 패드
KR20150041530A (ko) * 2013-10-08 2015-04-16 조순영 고무매트
KR101791257B1 (ko) 2017-03-07 2017-11-21 (주)에스빌드 수평배수형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1841424B1 (ko) 2017-06-08 2018-03-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63889B1 (ko) 2019-05-22 2020-01-08 양숙현 어성초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건강 개선용 스프레이 조성물
KR102065896B1 (ko) * 2019-10-22 2020-01-13 이성림 친환경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천연 충격흡수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40751A (ko) * 2021-09-16 2023-03-23 (주)다오코리아 결합부재가 적용된 매트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168B1 (ko) * 2008-03-14 2009-02-04 백점숙 충격흡수 및 배수가 가능한 운동장용 패드
KR20150041530A (ko) * 2013-10-08 2015-04-16 조순영 고무매트
KR101791257B1 (ko) 2017-03-07 2017-11-21 (주)에스빌드 수평배수형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1841424B1 (ko) 2017-06-08 2018-03-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충격흡수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구조체
KR102063889B1 (ko) 2019-05-22 2020-01-08 양숙현 어성초 성분을 포함하는 두피 건강 개선용 스프레이 조성물
KR102065896B1 (ko) * 2019-10-22 2020-01-13 이성림 친환경 인조잔디용 또는 놀이터용 천연 충격흡수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40751A (ko) * 2021-09-16 2023-03-23 (주)다오코리아 결합부재가 적용된 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257B1 (ko) 수평배수형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KR100881167B1 (ko)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US6800339B2 (en) Filled synthetic turf with ballast layer
US20030039511A1 (en) Drainage system for artificial grass using spacing grid
EP2401435B1 (en) Areas for equestrian activities using structural modules
WO2004042149A1 (en) Improved sports playing surfaces for realistic game play
DK2794257T3 (en) SURFACE
KR101844463B1 (ko) 수평배수형 인조잔디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충격흡수 배수판
CA2942099A1 (en) Sports field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EP0185645A2 (en) Rapid draining artificial turf playing field
KR102764595B1 (ko) 천연 충격 흡수 패드를 포함한 인조잔디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EP3332066B1 (en) Sports pitch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CA3051716A1 (en) Riding surfa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riding surface
KR20110006071U (ko) 축구장용 인조잔디 구조체
KR101106577B1 (ko) 고투수성 친환경 인조잔디 구조체
KR200451272Y1 (ko) 이동 설치가 가능한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EP3656919B1 (en) Sports field and methods for forming and operating the same
KR100881168B1 (ko) 충격흡수 및 배수가 가능한 운동장용 패드
KR102065876B1 (ko) 식생 토낭을 이용한 친환경 및 천연 잔디형 복합 잔디 구조체
CN115003882A (zh) 具有贮水性的自冷却人造草皮系统
WO2009030951A1 (en) Artificial playing surface
KR102673756B1 (ko) 배수성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격흡수패드
CA2393240A1 (en) Drainage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grass using spacing grid
KR102745101B1 (ko) 인조잔디 기능성 충격흡수패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인조잔디 기능성 충격흡수패드
WO2020074876A1 (en) Artificial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7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