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4384B1 -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4384B1
KR102764384B1 KR1020220131482A KR20220131482A KR102764384B1 KR 102764384 B1 KR102764384 B1 KR 102764384B1 KR 1020220131482 A KR1020220131482 A KR 1020220131482A KR 20220131482 A KR20220131482 A KR 20220131482A KR 102764384 B1 KR102764384 B1 KR 102764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oil
cosmetic composition
skin
amino ac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51609A (ko
Inventor
강경원
박현우
이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220131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4384B1/ko
Publication of KR2024005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4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43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2Gas releasing
    • A61K2800/222Effervesc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미노산 계면활성제와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더라도 세정 시 거품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1회 세안만으로도 클렌징 오일처럼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클렌징 폼처럼 사용 후 오일 잔여감을 낮추고 촉촉한 사용감을 지녀 메이크업의 제거와, 세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올인원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Cleansing Skin With Cleansing Oil Type and Forming Foam}
본 발명은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미노산 계면활성제와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더라도 세정 시 거품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클렌징 제품은 화장품의 첫 단계에서 사용되는 화장품으로서 피부에서 분비되는 피지와 땀, 먼지, 각질 및 메이크업 잔여물 등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노폐물들과 메이크업 잔여물들이 피부에 오랜 시간 머물게 되면 모공을 막아 피부의 신진대사를 저해하고, 피지와 메이크업 화장료가 방치되어 산화되면 염증, 부종, 색소 침착을 유발하거나 미생물이 번식하여 여드름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클렌징은 과잉의 피지나 메이크업 화장료를 깨끗하게 제거하여 피부 트러블을 막고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켜준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을 지우기 위한 1차 세안은 메이크업 화장료의 성분과 유사한 유성 성분을 이용하여 메이크업을 제거하지만, 1차 세안제의 주요 성분인 오일이 다 씻겨나가지 못하고 피부에 남아 있어 추가적인 2차 세안을 필요로 하게 된다. 2차 세안제는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세정력이 우수하여, 소비자로 하여금 산뜻한 세정효과를 경험하게 한다.
그러나, 이렇게 여러 단계의 세안 과정을 거치는 동안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건조함을 느끼기 쉽고, 피부에 수분 손실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오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메이크업 제거력을 높임과 동시에 거품력 및 씻김성이 우수한 클렌징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오일은 메이크업 성분의 분산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거품을 꺼뜨리는 성질이 있어, 오일을 함유하는 제품이 거품을 발생시키는 속성을 포함하도록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근래 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해 간편한 세안에 대한 니즈(needs)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메이크업뿐만 아니라 피지와 노폐물까지 한번에 제거하여 별도의 2차 세안과정 없이 세안을 마무리하고자 하는 올인원(All-in-one) 세정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여 클렌징 효과는 높이면서 거품이 발생하며 수성 세안이 가능해 이중 세안이 필요 없고, 사용 후 산뜻하면서 촉촉한 세정효과를 느낄 수 있는 신규한 제형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고함량의 오일을 포함하는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271354호는 천연오일을 고함량비로 함유하고, 계면활성제, 천연방부제를 포함하는 오일 고함유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우수한 클렌징력을 위해 고함량 오일을 함유함에도 세정 시 폼을 형성하여 세안 후 오일 잔여감을 낮추고 산뜻하면서 촉촉한 세정효과를 지닌 클렌징 오일타입의 세정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일,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은 합성오일,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을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 9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리포아미노산, 소듐코코일아미노산, 소듐코코일귀리아미노산, 소듐라우로일기장아미노산, 포타슘코코쌀아미노산, 포타슘라우로일실크아미노산, 소듐라우로일실크아미노산 및 소듐라우로일밀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0 ~ 4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12-14파레스-12,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및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고,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클렌징력이 우수하고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함에도 폼을 형성하여 세안 후 오일 잔여감을 낮추고 촉촉한 사용감을 지녀 이중 세안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은 1회 세안만으로도 클렌징 오일처럼 메이크업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고, 메이크업의 제거와, 세안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올인원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클렌징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기포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세정 후 피부 수분 함유량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오일,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오일은 합성오일, 식물성 오일, 동물성 오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오일은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옥틸도데칸올,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아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아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아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부틸렌글라이콜다이카프릴레이트/다이카프레이트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올리브오일, 쌀겨오일, 코코넛오일, 잇꽃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바바수씨오일, 호호바씨오일, 아르간커넬오일, 녹차씨오일 및 동백나무씨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물성 오일은 라놀린 및 스쿠알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90중량%, 바람직하게는 60~8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함량이 40중량% 미만이면 유성성분으로 부여하는 메이크업 클렌징력이 저하되고 클렌징 오일 특유의 부드럽고 유연한 사용감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90중량% 초과이면 유성성분의 함유량이 높아 물에 대한 세정력이 떨어져 사용성이 불편하여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리포아미노산, 소듐코코일아미노산, 소듐코코일귀리아미노산, 소듐라우로일기장아미노산, 포타슘코코쌀아미노산, 포타슘라우로일실크아미노산, 소듐라우로일실크아미노산 및 소듐라우로일밀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4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거품형성력이 저하되어 세정 시 폼형성이 어려우며, 40중량% 초과이면 사용량 대비 거품형성력이 낮아 효과 대비 비용이 높아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12-14파레스-12,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및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0중량%, 바람직하게는 5~15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거품형성력이 저하되어 세정 시 만족스러운 폼형성이 어려우며, 20중량% 초과이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세정 시 피부에 남아 끈적여 산뜻하게 세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필수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잔량의 정제수, 보습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점증제, 겔링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표 1의 성분과 함량비로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상과 계면활성제상을 아지믹서(Agi maixer)로 5분간 교반하여 혼합하였다. 교반된 내용물에 기타상(정제수, 향료, 방부제)을 각 각 서서히 첨가하여 고르게 혼합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3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단위: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오일 CAPRYLIC/CAPRIC TRIGLYCERIDE 40.00 40.00 40.00 40.00
OLEA EUROPAEA (OLIVE) FRUIT OIL 35.00 35.00 35.00 35.00
COCO-CAPRYLATE/CAPRATE 3.00 3.00 3.00 3.00
계면활성제 소듐코코일아미노산(SODIUM COCOYL AMINO ACIDS) 15.00 - 20.00 -
C12-14 파레스-12(C12-14 PARETH-12) 5.00 - - 20.00
솔베스-30테트라올리에이트
(Sorbeth-30 Tetraoleate)
- 20.00 - -
기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 클렌징력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클렌징력을 비교예 1(일반 워시오프가 가능한 클렌징 오일)과 비교 평가하였다.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및 립스틱을 각각 팔 안쪽에 도포한 후 10분간 방치한 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5g씩 적용하였다. 동일한 양과 압력으로 30회 원을 그리며 문지른 다음 미온수로 세정하고 물기를 제거하여 클렌징력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도 1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클렌징력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1이 메이크업 클렌징력이 가장 우수한 클렌징 오일타입인 비교예 1과 견주어도 우수한 메이크업 클렌징력을 보였으며, 클렌징 오일로 지우기 어려운 아이라인에서도 사용 중에 보다 우수한 클렌징력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 기포력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기포력을 평가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을 5% sol.을 50ml 용기에 10g을 넣고 20회 상하로 흔들어서 교반 후 거품 생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도 2에 나타내었다.
하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내지 3의 클렌징력을 비교한 결과 실시예 1의 우수한 기포력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 피부 객관적 자극성 확인
본 발명의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실시예 1의 객관적 자극을 확인하기 위해 인체 피부첩포 시험을 하였다.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피검자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시험 부위를 70% 에틸 알코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3을 15 ㎍씩 핀 챔버 (Finn chamber, 100×10, EPITEST, 핀란드국)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 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표시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첩포한 후 각각 24시간 후와 48시간 후의 자극 정도를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의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표 2, 피부 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기준
0 무반응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Figure 112022107820972-pat00001
구분 평균 피부 반응도 (n=15) 판정
실시예 1 0.00 무자극
비교예 1 0.00 무자극
비교예 2 0.00 무자극
비교예 3 0.69 미자극
상기 표 3을 통해 본 발명의 세정료 조성물 실시예 1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 사용성 평가
20 내지 30대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샘플을 메이크업 클렌징 시 사용하게 한 후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메이크업 클렌징력, 기포력, 세정력(씻김성), 사용 후 유분잔여감, 사용 후 촉촉함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매우 우수함 - 5, 우수함 - 4, 보통 - 3, 나쁨 - 2, 매우 나쁨 - 1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메이크업 클렌징력 5.0 4.9 4.2 4.5
기포력 4.8 0.5 2.1 1.4
세정력(씻김성) 4.9 4.5 3.7 3.5
사용 후 유분잔여감 4.8 2.7 3.9 4.1
사용 후 촉촉함 4.5 3.8 4.3 3.5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은 메이크업 클렌징력이 우수하며 동일한 유상함량을 지닌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기포력이 매우 우수하였다. 물 세안 시 세정력과 함께 사용 후 유분잔여감이 제일 적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세정 후 촉촉함 부분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은 메이크업 클렌징력과 세정력에서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나 거의 발생하지 않는 기포력과 함께 사용 후 유분 잔여감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 세정 후 피부 수분보유량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세정료 조성물에 대한 사용 후 수분 보유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25 명에게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세정료 조성물을 팔의 상박에 도포한 후 동일한 압력으로 10회 문지른다음 미온수로 세정하고 물기를 제거하여 피부 수분함량을 비교하였다. 피부 수분함량은 Corneometer CM 820 (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표피 수분량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변화로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5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사용 전 사용 2주 후
실시예 1 30.4 35.2
비교예 1 29.5 33.3
무처치 26.8 27.7
상기 표 5 및 도 3을 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피부 수분 측정 결과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피부 수분 함량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오일,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40.0 ~ 90.0 중량%의 오일, 5.0 ~ 40.0 중량%의 아미노산 계면활성제, 및 1.0 ~ 20.0 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상기 아미노산 계면활성제는 소듐코코일아미노산이고,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C12-14파레스-12인,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합성오일, 식물성 오일 및 동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20220131482A 2022-10-13 2022-10-13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764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482A KR102764384B1 (ko) 2022-10-13 2022-10-13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482A KR102764384B1 (ko) 2022-10-13 2022-10-13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09A KR20240051609A (ko) 2024-04-22
KR102764384B1 true KR102764384B1 (ko) 2025-02-07

Family

ID=9088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482A Active KR102764384B1 (ko) 2022-10-13 2022-10-13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43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17207B1 (ko) 2024-06-24 2025-06-09 주식회사 페네트레 사철쑥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고 항염 기능을 갖는 클렌징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360B1 (ko) * 2007-12-26 2014-09-17 (주)아모레퍼시픽 유성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된 ‘Greentea Pure Cleansing Foam’에 관한 내용(https://incidecoder.com/products/round-around-greentea-pure-cleansing-foam)(2020.07.25.)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된 ‘Neogen Real Fresh Foam Cleanser’에 관한 내용(https://incidecoder.com/products/skinfood-tea-tree-skin-clearing-bubble-foam)(2020.06.04.)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된 ‘Neogen Real Fresh Foam Cleanser’에 관한 내용(https://missmonmon.com/2020/09/18/kbeauty-neogen-real-fresh-foam-cleanser/)(2020.09.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09A (ko) 202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6438B1 (en) Skin-compatible hand cleanser, especially a course hand cleanser
US7001603B2 (en) Gelled two phase cosmetic compositions
KR101347727B1 (ko) 클렌징과 마사지가 가능한 고형 화장료 조성물
KR102694014B1 (ko) 수용성 계면활성제 및 유용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H0778010B2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KR20150014279A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5089A (ko) 클렌징 기능 융합 워시-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KR101437727B1 (ko) 유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CN114848540A (zh) 一种洁净嫩肤的双连续相卸妆组合物、卸妆凝露及卸妆组合物的制备方法
KR102764384B1 (ko) 폼을 형성하는 클렌징 오일 타입의 피부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6292B1 (ko) 비수계 분산형 클렌징밤 조성물
KR20220084125A (ko) 친유성 펩타이드를 가지는 스킨 케어 제제
JP4763474B2 (ja) 油性皮膚クレンジング料
CN116672286A (zh) 一种温和卸妆油及其制备方法
JPWO2020116011A1 (ja) 化粧料用組成物
JP2001072573A (ja) 洗顔用の化粧料
JP2001072574A (ja) 洗顔用の化粧料
KR102230822B1 (ko) 표면 개질된 천연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5857734B2 (ja) 皮膚用洗浄剤組成物
JPH07215842A (ja) 洗顔用組成物
KR100754750B1 (ko) 파우더 타입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유성 고형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0740732B1 (ko) 유사-비이온성 복합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메이크업 클렌징조성물
KR102376366B1 (ko) 고함량의 오일을 함유하는 고체 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829584B1 (ko) 메이크업 제거제 및 세정 캡슐을 포함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3460869B2 (ja) 親水性乳化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