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3829B1 -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3829B1
KR102763829B1 KR1020190041010A KR20190041010A KR102763829B1 KR 102763829 B1 KR102763829 B1 KR 102763829B1 KR 1020190041010 A KR1020190041010 A KR 1020190041010A KR 20190041010 A KR20190041010 A KR 20190041010A KR 102763829 B1 KR102763829 B1 KR 102763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support
support member
lens assembly
hou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8709A (ko
Inventor
변광석
강병권
류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3829B1/ko
Priority to PCT/KR2020/002357 priority patent/WO2020209492A1/en
Priority to CN202080027271.XA priority patent/CN113711124B/zh
Priority to EP20788627.6A priority patent/EP3931635A4/en
Priority to US16/815,831 priority patent/US11609411B2/en
Publication of KR20200118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8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3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38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23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for extending or folding an optical path, e.g. delay 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7Bodies with reflectors arranged in beam forming the photographic image, e.g. for reducing dimensions of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이용하는 외부의 광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배치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FOLDED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구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전자 장치는 외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특정 영역을 확대하는 줌-인(zoom-in) 기능을 수행할 때 얼마나 높은 배율까지 확대할 수 있는지에 따라 성능이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카메라에서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모으고 굴절시켜 외부 객체의 광학적 상(optical image)을 만드는 시스템인 광학계(optical system)의 초점 거리(focal length)는 배율에 비례하여 증가할 수 있다. 고 배율로 확대할 수 있는 카메라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초점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기존의 카메라는 촬영 화각 방향인 전자 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렌즈(lens)의 광 축이 형성될 수 있다. 기존의 카메라는 초점 거리를 전자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두께보다 길게 할 수 없어 고 배율의 카메라를 전자 장치에 내장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기존의 카메라의 초점 거리를 증가시키는 경우 전자 장치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카메라는 자동으로 초점 거리를 조정하여 객체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자동 포커스(auto focus, AF)를 위한 AF 구동부 및 사용자의 손의 떨림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손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OIS)을 위한 OIS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카메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촬영 화각과 비교하여 렌즈(lens)의 광 축을 직각으로 변경한 구조를 갖는 굴곡형(folded) 카메라가 개발되었다. 굴곡형 카메라는 거울(mirror)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반사시켜 내부에 배치된 렌즈로 입사시켜 광 축을 직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굴곡형 카메라는 광 축을 전자 장치의 전면 또는 후면과 평행하게 형성할 수 있어 전자 장치 내부에 보다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다.
굴곡형 카메라에서 AF 구동부 및 OIS 구동부를 대칭적으로 배치하는 경우, 굴곡형 카메라의 광학계보다 AF 구동부의 가장자리 및/또는 OIS 구동부의 가장자리가 전자 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굴곡형 카메라의 두께가 두꺼워져 전자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굴곡형 카메라의 두께를 감소시키려 하는 경우, 광학계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해 광학계의 크기를 감소시켜 굴곡형 카메라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의AF 구동부 및/또는 OIS 구동부가 전자 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방지할 수 있는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이용하는 외부의 광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배치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이용하는 외부의 광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배치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금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제2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이용하는 외부의 광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배치된 제1 지지부,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제2 지지부, 상기 광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입사시키는 거울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가 제1 반경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3 지지부의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 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반경보다 긴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외부 표면,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카메라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면, 상기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향하는 제 3면, 상기 제 3 방향과 반대인 제 4 방향으로 향하는 제 4면, 및 상기 제 1 방향, 제 3 방향, 상기 제 4 방향에 수직인 제 5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 3면과 접하는 제 5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5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 5 방향으로 향하는 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부, 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제 1 구조체로서, 상기 제 4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 1 구조체,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 2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6면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7면을 포함하는 제 2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제 4면까지의 제 1 거리는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제 3면까지의 제 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광학계의 크기를 유지하여 굴곡형 카메라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AF 구동부 및/또는 OIS 구동부가 전자 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예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제2 하우징,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지지부 및 거울을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카메라 모듈(180)을 예시하는 블럭도(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80)은 렌즈 어셈블리(210), 플래쉬(220), 이미지 센서(230),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 메모리(250)(예: 버퍼 메모리), 또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이미지 촬영의 대상인 피사체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집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2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카메라 모듈(180)은, 예를 들면, 듀얼 카메라, 360도 카메라, 또는 구형 카메라(spherical camera)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 어셈블리(210)들 중 일부는 동일한 렌즈 속성(예: 화각, 초점 거리, 자동 초점, f 넘버(f number), 또는 광학 줌)을 갖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 어셈블리는 다른 렌즈 어셈블리의 렌즈 속성들과 다른 하나 이상의 렌즈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예를 들면, 광각 렌즈 또는 망원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쉬(22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는 빛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쉬(220)는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들(예: RGB(red-green-blue) LED, white LED, infrared LED, 또는 ultraviolet LED), 또는 xenon l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피사체로부터 방출 또는 반사되어 렌즈 어셈블리(210)를 통해 전달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피사체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센서(230)는, 예를 들면, RGB 센서, BW(black and white) 센서, IR 센서, 또는 UV 센서와 같이 속성이 다른 이미지 센서들 중 선택된 하나의 이미지 센서, 동일한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 또는 다른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에 포함된 각각의 이미지 센서는, 예를 들면,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카메라 모듈(180) 또는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렌즈 어셈블리(2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230)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이미지 센서(230)의 동작 특성을 제어(예: 리드 아웃(read-out) 타이밍을 조정 등)할 수 있다. 이는 촬영되는 이미지에 대한 상기 움직임에 의한 부정적인 영향의 적어도 일부를 보상하게 해 준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은 카메라 모듈(18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자이로 센서(미도시) 또는 가속도 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카메라 모듈(180) 또는 전자 장치(101)의 그런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태빌라이저(240)는, 예를 들면, 광학식 이미지 스태빌라이저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이미지 센서(230)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다음 이미지 처리 작업을 위하여 적어도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에 따른 이미지 획득이 지연되거나, 또는 복수의 이미지들이 고속으로 획득되는 경우, 획득된 원본 이미지(예: Bayer-patterned 이미지 또는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메모리(250)에 저장이 되고, 그에 대응하는 사본 이미지(예: 낮은 해상도의 이미지)는 표시 장치(160)을 통하여 프리뷰될 수 있다. 이후,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예: 사용자 입력 또는 시스템 명령) 메모리(250)에 저장되었던 원본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가, 예를 들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획득되어 처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50)는 메모리(130)의 적어도 일부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이미지 센서(230)을 통하여 획득된 이미지 또는 메모리(250)에 저장된 이미지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지 처리들은, 예를 들면, 깊이 지도(depth map) 생성, 3차원 모델링, 파노라마 생성, 특징점 추출, 이미지 합성, 또는 이미지 보상(예: 노이즈 감소, 해상도 조정, 밝기 조정, 블러링(blurring), 샤프닝(sharpening), 또는 소프트닝(softening)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는 카메라 모듈(18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이미지 센서(230))에 대한 제어(예: 노출 시간 제어, 또는 리드 아웃 타이밍 제어 등)를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는 추가 처리를 위하여 메모리(250)에 다시 저장 되거나 카메라 모듈(180)의 외부 구성 요소(예: 메모리(130), 표시 장치(160),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로 제공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360)는 프로세서(120)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거나, 프로세서(120)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이 프로세서(120)과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경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260)에 의해 처리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는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그대로 또는 추가의 이미지 처리를 거친 후 표시 장치(16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각각 다른 속성 또는 기능을 가진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광각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망원 카메라일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복수의 카메라 모듈(180)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 카메라이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후면 카메라일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예: 도 2의 카메라 모듈(180))의 분해도(3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하우징(310), 제1 지지부(320), 제2 지지부(330), 제3 지지부(340), 및/또는 커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우징(310)은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형성된 평면부 및 평면부와 수직인 방향인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평면부 및 측면부를 통해 카메라 모듈(300)의 외곽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제1 구동부(311), 제2 구동부(313), 제3 구동부(315), 및/또는 제1 내지 제3 회전부(316, 317, 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구동부(311)는 제1 지지부(320)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313)는 제2 지지부(330)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 구동부(315)는 제3 지지부(340)의 회전축(34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회전부(316, 317, 318)는 제1 지지부(320)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회전부(316, 317, 318)는 볼(ball) 또는 베어링(bearing)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320)는 하우징(310)의 평면부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20)는 제2 지지부(33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20)는 제4 내지 제6 회전부(321, 322, 3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4 내지 제6 회전부(321, 322, 323)는 제2 지지부(330)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내지 제6 회전부(321, 322, 323)는 볼(ball) 또는 베어링(bearing)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330)는 제1 지지부(320)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330)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지지부(340)는 제2 지지부(330)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지지부(340)는 거울(341)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지지부(340)는 거울(341) 및 회전축(3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울(341)은 외부의 광을 반사시켜 렌즈 어셈블리(210)로 입사시킬 수 있다. 회전축(342)은 거울(341) 및 개구부(351) 사이의 각도를 제어하여 렌즈 어셈블리(210)로 입사하는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350)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커버(350)는 카메라 모듈(180)의 적어도 일 면을 덮을 수 있다. 커버(35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형성된 개구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개구부(351)로 입사한 외부의 광은 거울(341)에 의해서 반사되어 렌즈 어셈블리(210)로 입사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를 지난 광은 이미지 센서(230)로 입사되는 위치에서 초점이 맞추어진 상태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예: 도 2의 카메라 모듈(180))의 사시도(400)이다. 도 4에서는 도 3에서 하우징(310)에 가려져서 시인되지 않았던 제1 구동부(311, 312) 및 제2 구동부(314)가 시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구동부(311, 312)는 제1 지지부(320)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지지부(330) 역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311, 312)는 제2 지지부(330)를 이동시켜켜 렌즈 어셈블리(210)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구동부(311, 312)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 어셈블리(210)로 입사하는 빛과 평행하게 이동시키면서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구동부(311, 312)는 렌즈 어셈블리(210)의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자동 초점(auto focus, 이하 "AF")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구동부(314)는 제2 지지부(330)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렌즈 어셈블리(210)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구동부(314)는 카메라 모듈(180)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한 정도에 대응하여 렌즈 어셈블리(210)에 입사하는 빛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제2 구동부(314)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의 손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이하 "OIS")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지지부(340)의 회전축(342)은 거울(341)을 회전시켜 렌즈 어셈블리(210)로 입사하기 위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회전축(342)은 카메라 모듈(180)이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한 정도에 대응하여 렌즈 어셈블리(210)에 입사하는 빛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회전축(342)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의 OIS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어셈블리(210) 및 이미지 센서(230) 사이에서 빛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부재(410)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410)는 하우징(310)의 제1 구동부(311, 312)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예: 도 2의 카메라 모듈(180))의 단면도(5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어셈블리(210)는 카메라 모듈(180)의 초점 거리 또는 최대 배율과 같은 광학계(optical system)의 성능을 만족하기 위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80)에 AF 기능 및/또는 OIS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우징(310) 내에 제1 지지부(320), 제2 지지부(330), 및/또는 제3 지지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80)의 보호를 위해 커버(3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320), 제2 지지부(330), 제3 지지부(340), 및 커버(350)는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320), 제2 지지부(330), 제3 지지부(340), 및 커버(350)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대칭인 경우, 카메라 모듈(180)은 렌즈 어셈블리(210)보다 두껍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330)에 의해 커버(350)의 일 부분이 돌출되어 제3 방향(Z축 방향)의 일 측은 제2 두께(T2)만큼 제3 방향(Z축 방향) 중 어느 한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지지부(320)에 의해 커버(350)의 다른 부분이 돌출되어 제3 방향(Z축 방향)의 타 측은 일 측은 제3 두께(T3)만큼 제3 방향(Z축 방향) 중 다른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80)의 두께는 제1 두께(T1), 제2 두께(T2), 및 제3 두께(T3)를 합한 두께가 되어, 전자 장치(101)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180)의 두께를 감소시키려는 경우 광학계의 두께인 제1 두께(T1)를 감소시켜 광학계의 성능을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께(T1)를 감소시키는 경우 고 배율의 카메라 모듈(180)을 전자 장치(101) 내부에 실장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320), 제2 지지부(330), 및 제3 지지부(340)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경우, 커버(350)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80)의 두께를 광학계의 두께인 제1 두께(T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제1 지지부(320), 제2 지지부(330), 및 제3 지지부(340)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1 지지부(320) 및 제2 지지부(330)의 대칭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예: 도 2의 카메라 모듈(180))의 사시도(6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80)은 렌즈 어셈블리(210), 이미지 센서(230), 거울(341), 제1 하우징(610),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제2 지지부(640), 제3 지지부(650), 및/또는 프리즘(6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어셈블리(210)는 외부의 광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받을 수 있다. 외부의 광은 제2 하우징(620)의 개구부(351)를 통과하여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입사할 수 있다. 개구부(351)로 입사한 광은 거울(341)에 의해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진행 경로가 변화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는 외부의 광을 이미지 센서(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미지 센서(230)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면(XY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입사하는 광을 처리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로부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출력되는 외부의 광은 프리즘(660)에 의해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진행 경로가 변화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렌즈 어셈블리(210)로부터 출력된 광을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610)은 카메라 모듈(180)의 일 면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610)은 카메라 모듈(180)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과 평행한 면(XY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610)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돌출될 수 있다. 제1 하우징(610)은 카메라 모듈(180)에 포함된 이미지 센서(230)를 실장할 수 있다. 제1 하우징(610)은 프리즘(660)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620)은 카메라 모듈(180)의 외곽 중 제1 하우징(610)이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620)은 렌즈 어셈블리(210), 거울(230), 제1 지지부(630), 제2 지지부(640), 제3 지지부(650)를 실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630)는 제2 하우징(62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부(630)는 제2 지지부(64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630)는 렌즈 어셈블리(210) 및 제2 지지부(640)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지지부(630)는 AF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630)는 렌즈 어셈블리(210)로부터 렌즈 어셈블리(210)가 광을 진행시키는 방향인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630)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축 방향) 중 일 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630)는 렌즈 어셈블리(210)의 일 측 면 중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640)는 제2 하우징(620) 내에 실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640)는 제1 지지부(630)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돌출부 및 렌즈 어셈블리(210)를 둘러싸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640)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640)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지지부(640)는 제1 방향(X축 방향)에 대한 OIS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640)는 렌즈 어셈블리(210)로부터 렌즈 어셈블리(210)가 광을 진행시키는 방향인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640)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기준으로 제1 지지부(630)와 동일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640)는 렌즈 어셈블리(210)의 일 측 면 중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지지부(650)는 제2 하우징(620)의 내부에 실장될 수 있다. 제3 지지부(650)는 거울(341)을 지지할 수 있다. 제3 지지부(650)는 거울(341)이 회전하여 외부의 광이 진행하는 각도를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2 지지부(640)는 제2 방향(Y축 방향)에 대한 OIS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지지부(640)는 거울(341)로부터 렌즈 어셈블리(210)가 광을 진행시키는 방향인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지지부(650)는 거울(341)을 기준으로 거울(341)의 일 측에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예: 도 2의 카메라 모듈(180))의 사시도(700)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80)은 렌즈 어셈블리(210), 이미지 센서(230), 거울(341), 제1 하우징(610),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제2 지지부(640), 제3 지지부(650), 및/또는 프리즘(66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630)는 제1 내지 제3 회전부(631, 632, 6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회전부(631, 632, 633)는 제1 지지부(630)에 형성된 홈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내지 제3 회전부(631, 632, 633)는 제2 지지부(640)의 돌출부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회전부(631, 632, 633)는 제2 지지부(640)의 돌출부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회전부(631, 632, 633)는 볼(ball) 또는 베어링(bearing)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640)의 본체부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광의 진행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둘러쌀 수 있다. 제2 지지부(640)의 돌출부는 렌즈 어셈블리(210)의 제2 방향(Y축 방향)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640)의 돌출부는 제1 지지부(630)로부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예: 도 2의 카메라 모듈(180))의 단면도(8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어셈블리(21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제1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제1 높이(H1)에 따라 렌즈 어셈블리(210)의 초점 거리 및/또는 최대 배율과 같은 광학계의 성능이 설정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210)가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제1 높이(H1)가 일정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하우징(610),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40)는 렌즈 어셈블리(210)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630)는 제2 하우징(620) 및 제2 지지부(6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640)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둘러싸고 있는 본체부 및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지지부(630)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640)의 본체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제2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2 높이(H2)는 제1 높이(H1)와 중첩된 부분의 높이일 수 있다. 제2 높이(H2)는 제1 높이(H1)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40)의 돌출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제3 높이(H3)를 가질 수 있다.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3 높이(H3)는 제1 높이(H1)와 중첩된 부분의 높이일 수 있다. 제3 높이(H3)는 제1 높이(H1)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메라 모듈(180)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높이는 렌즈 어셈블리(210)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높이인 제1 높이(H1)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40)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80)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높이는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40)의 높이와 관계 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예: 도 2의 카메라 모듈(180))을 나타낸 단면도(9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40)의 돌출부는 렌즈 어셈블리(210)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의 돌출부는 렌즈 어셈블리(210)보다 비중이 클 수 있다.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40)의 돌출부가 배치된 부분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수직 항력이 렌즈 어셈블리(210)가 배치된 부분의 수직 항력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40)의 돌출부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제1 회전력(F1)이 발생할 수 있다. 제1 회전력(F1)은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의 무게에 비례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이 제1 회전력(F1)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렌즈 어셈블리(210)가 손상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180)이 제1 회전력(F1)을 받는 경우,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가 렌즈 어셈블리(210)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 모듈(180)이 제1 회전력(F1)을 받는 경우,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가 제1 회전력(F1)에 견디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가 견디기 위해서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40)가 서로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에에 따른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 제2 지지부(640)를 나타낸 단면도(1000)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630)는 제1 및 제2 회전부(631, 632)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회전부(631, 632)는 제1 지지부(630)가 제2 하우징(620) 및/또는 제2 지지부(640)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접한 상태에서 제1 방향(X축 방향) 및/또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sliding)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630)는 자석 부재(1005)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 부재(1005)는 제1 지지부(630)의 내부 또는 일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석 부재(1005)는 제1 지지부(63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하우징(620)은 제1 금속 부재(10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속 부재(101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자석 부재(1005)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금속 부재(1010)는 자석 부재(1005)와 부착되려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640)는 제2 금속 부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금속 부재(1020)는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자석 부재(1005)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금속 부재(1020)는 자석 부재(1005)를 기준으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제1 금속 부재(1010)와 반대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금속 부재(1020)는 자석 부재(1005)와 부착되려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1005)는 제1 및 제2 금속 부재(1010, 1020)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잡아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는 서로 밀착되려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받는 수직 항력에 의해 회전력(예: 도 9의 제1 회전력(F1))이 발생하더라도, 제2 하우징(620), 제1 지지부(630), 및/또는 제2 지지부(64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 지지부(340) 및 거울(341)을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1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회전 구동부(1100)는 제1 축(1111), 제2 축(1112), 금속 부재(1120), 자석 부재(1130), 지지 부재(1140), 및/또는 센서(1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축(1111)은 제3 지지부(340) 및 거울(341)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축(1111)은 제3 지지부(340)의 일 측 모서리 중앙부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축(1111)은 제3 지지부(340) 및 거울(341)을 회전시키는 중심 축일 수 있다. 제1 축(1111)은 제3 지지부(340) 및 거울(341)을 제1 반경(R1)을 따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축(1111)은 베이링 또는 원통형 회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축(1112)은 지지 부재(1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축(1112)은 제3 지지부(340)의 일 측 꼭지점에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축(1112)은 제3 지지부(340) 및 거울(341)이 회전할 때 제3 지지부(340)를 잡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축(1112)은 제1 축(1111)으로부터 제1 반경(R1)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축(1112)이 제1 축(1111)으로부터 멀리 이격될수록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할 때의 회전 구동 거리가 증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금속 부재(1120)는 지지 부재(1140)로부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금속 부재(1120)는 자석 부재(1130)와 부착되려는 힘을 가질 수 있다. 금속 부재(1120)는 하우징(예: 도 6의 제2 하우징(620))과 연결된 지지부(예: 도 6의 제3 지지부(65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석 부재(1130)는 지지 부재(114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자석 부재(1130)는 금속 부재(1120)와 부착되려는 힘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150)는 지지 부재(1140)의 일 측 중 제1 방향(X축 방향)에 부착될 수 있다. 센서(1150)는 제3 지지부(340) 및 거울(341)이 움직인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150)는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1150)는 제1 축(1111)으로부터 제1 반경(R1)보다 길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센서(1150)와 제1 축(1111) 사이의 거리가 제1 축(1111)으로 제3 지지부(340) 및 거울(341)이 회전하는 제1 반경(R1)보다 큰 경우, 센서(1150)가 제3 지지부(340) 및 거울(341)이 움직인 각도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댜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이 이용하는 외부의 광을 제1 방향(예: 도 6의 X축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렌즈 어셈블리(예: 도 6의 렌즈 어셈블리(210)), 상기 카메라 모듈(180)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예: 도 6의 제1 및 제2 하우징(610, 620)), 상기 하우징(610, 620)의 내부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로부터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예: 도 6의 Y축 방향)에 배치된 제1 지지부(예: 도 6의 제1 지지부(630)),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제2 지지부(예: 도 6의 제2 지지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630) 및 상기 제2 지지부(64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63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 및 상기 제2 지지부(640)를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63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의 초점 길이를 조정하는 자동 포커스(auto focus, AF)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640)는, 상기 제1 지지부(630)와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예: 도 6의 Z축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치된 돌출부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를 둘러싸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지지부(640)는,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에 대한 사용자의 손의 떨림에 따른 영향을 감소시키는 손 떨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광을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에 입사시키는 거울(예: 도 6의 거울(341)) 및 상기 거울(341)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예: 도 6의 제3 지지부(6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부(650)는 상기 거울(341)이 회전하여 상기 광이 진행하는 각도를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지지부(650)는, 상기 거울(341)로부터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거울(341)을 기준으로 상기 거울(341)의 일 측에 치우쳐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630)는, 상기 제1 지지부(630)에 형성된 홈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예: 도 7의 제1 내지 제3 회전부(631, 632, 633))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631, 632, 633)는 상기 제2 지지부(640)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댜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80)이 이용하는 외부의 광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렌즈 어셈블리(210), 상기 카메라 모듈(180)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610, 620), 상기 하우징(610, 620)의 내부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로부터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제1 지지부(630),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제2 지지부(6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630)는 자석 부재(예: 도 10의 자석 부재(1005))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610, 620)은 제1 금속 부재(예: 도 10의 제1 금속 부재(101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640)는 제2 금속 부재(예: 도 10의 제2 금속 부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석 부재(1005)는 상기 제1 지지부(630)의 내부 또는 일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금속 부재(1010) 및 상기 제2 금속 부재(1020)는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상기 자석 부재(1005)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석 부재(1005)는 상기 제1 금속 부재(1010) 및 상기 제2 금속 부재(1020)를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잡아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630) 및 상기 제2 지지부(64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180)의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높이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의 상기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댜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80)이 이용하는 외부의 광을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렌즈 어셈블리(210), 상기 카메라 모듈(180)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610, 620), 상기 하우징(610, 620)의 내부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로부터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Y축 방향)에 배치된 제1 지지부(630),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를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된 제2 지지부(640), 상기 광을 상기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210)에 입사시키는 거울(341)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650), 및 상기 제3 지지부(650)가 제1 반경(예: 도 11의 제1 반경(R1))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예: 도 11의 회전 구동부(11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부(1100)는 상기 제3 지지부(650)의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예: 도 11의 센서(115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1150)는 상기 회전 구동부(1100)의 회전 축(예: 도 11의 제1 축(1111))으로부터 상기 제1 반경(R1)보다 긴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1100)는, 상기 센서(115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예: 도 11의 지지 부재(1140)) 및 상기 지지 부재(1140)로부터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된 금속 부재(예: 도 11의 금속 부재(1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부재(1120)는 상기 하우징(610, 620)과 연결된 상기 제3 지지부(65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 축(1111)은 상기 제3 지지부(650)의 일 측 모서리 중앙부에 상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 지지부(650) 및 상기 거울(34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댜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 1 방향(예: 도 6의 +Z축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외부 표면,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예: 도 6의 -Z축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카메라 하우징(예: 도 6의 제1 및 제2 하우징(610, 620)으로서, 상기 제 1 방향(+Z축 방향)으로 향하고 개구부(예: 도 6의 개구부(351))를 포함하는 제 1면, 상기 제 2 방향(-Z축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 상기 제 1 방향(+Z축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예: 도 6의 -Y축 방향)으로 향하는 제 3면, 상기 제 3 방향과 반대인 제 4 방향(예: 도 6의 +Y축 방향)으로 향하는 제 4면, 및 상기 제 1 방향(+Z축 방향), 제 3 방향(-Y축 방향), 상기 제 4 방향(+Y축 방향)에 수직인 제 5 방향(예: 도 6의 +X축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 3면과 접하는 제 5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610, 620), 상기 카메라 하우징(610, 620) 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예: 도 6의 이미지 센서(230)), 상기 카메라 하우징(610, 620)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5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 5 방향(+X축 방향)으로 향하는 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부(예: 도 6의 렌즈 어셈블리(210)), 상기 카메라 하우징(610, 62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210)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제 1 구조체(예: 도 6의 제2 지지부(640))로서, 상기 제 4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 1 구조체(640),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610, 620) 내에,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 2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Z축 방향)으로 향하는 제 6면 및 상기 제 2 방향(-Z축 방향)으로 향하는 제 7면을 포함하는 제 2 구조체(예: 도 6의 제1 지지부(630))를 포함하고,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제 4면까지의 제 1 거리는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제 3면까지의 제 2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돌출부 내에 OIS(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구동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구조체 내에 AF(auto focus) 구동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구조체(630)의 내부 또는 상기 제 7면 상에 배치된 자석 부재(1005), 상기 제 1면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돌출부 내에 상기 자석 부재(1005)와 적어도 일부분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 1 금속 부재(1010), 및 상기 제 1면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하우징의 제 2면 내에 상기 자석 부재와 적어도 일부분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 2 금속 부재(10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610, 620) 내 배치되고, 상기 제 1면의 상기 개구부(351)를 통하여 들어온 빛을 상기 렌즈부(210) 쪽으로 반사하는 거울(3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구조체(640) 및 상기 제 2 구조체(630)를 상기 렌즈부(210)와 함께 상기 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예: 도 6의 제3 지지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표면을 통하여 보이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예: 도 1의 표시 장치(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메모리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또는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180: 카메라 모듈
310: 하우징 320, 630: 제1 지지부
330, 640: 제2 지지부 340, 650: 제3 지지부
350: 커버

Claims (22)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이용하는 외부의 광을 제1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렌즈 어셈블리;
    상기 카메라 모듈의 외곽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렌즈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에 배치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둘러싸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를 둘러싸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초점 길이를 조정하는 자동 포커스(auto focus, AF)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한 사용자의 손의 떨림에 따른 영향을 감소시키는 손 떨림 방지(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입사시키는 거울; 및
    상기 거울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거울이 회전하여 상기 광이 진행하는 각도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조절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부는,
    상기 거울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거울을 기준으로 상기 거울의 일 측에 치우쳐서 배치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에 형성된 홈 내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전부는 상기 제2 지지부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1 금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제2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의 내부 또는 일 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금속 부재 및 상기 제2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상기 자석 부재와 중첩되도록 배치된 전자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자석 부재는 상기 제1 금속 부재 및 상기 제2 금속 부재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으로의 높이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자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에 입사시키는 거울을 지지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가 제1 반경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제3 지지부의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회전 구동부의 회전 축으로부터 상기 제1 반경보다 긴 길이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전자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센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돌출된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금속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상기 제3 지지부와 연결된 전자 장치.
  15. 삭제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1 외부 표면, 및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 외부 표면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외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카메라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 1면;
    상기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2면;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3 방향으로 향하는 제 3면;
    상기 제 3 방향과 반대인 제 4 방향으로 향하는 제 4면; 및
    상기 제 1 방향, 제 3 방향, 상기 제 4 방향에 수직인 제 5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 3면과 접하는 제 5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하우징;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5 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중심으로 배열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제 5 방향으로 향하는 면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제 1 구조체로서, 상기 제 4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 1 구조체;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에,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 2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제 6면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제 7면을 포함하는 제 2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1면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구조체와 중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제 4면까지의 제 1 거리는, 상기 축으로부터 상기 제 3면까지의 제 2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내에 OIS(optical image stabilizer, OIS)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조체 내에 AF(auto focus)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2구조체의 내부 또는 상기 제 7면 상에 배치된 자석 부재;
    상기 제 1면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돌출부 내에 상기 자석 부재와 적어도 일부분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 1 금속 부재; 및
    상기 제 1면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하우징의 제 2면 내에 상기 자석 부재와 적어도 일부분 중첩되어 배치되는 제 2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하우징 내 배치되고, 상기 제 1면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들어온 빛을 상기 렌즈부 쪽으로 반사하는 거울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체 및 상기 제 2 구조체를 상기 렌즈부와 함께 상기 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2. 삭제
KR1020190041010A 2019-04-08 2019-04-08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tive KR102763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10A KR102763829B1 (ko) 2019-04-08 2019-04-08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20/002357 WO2020209492A1 (en) 2019-04-08 2020-02-19 Folded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080027271.XA CN113711124B (zh) 2019-04-08 2020-02-19 折叠式相机和包括该折叠式相机的电子设备
EP20788627.6A EP3931635A4 (en) 2019-04-08 2020-02-19 FOLDED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6/815,831 US11609411B2 (en) 2019-04-08 2020-03-11 Folded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10A KR102763829B1 (ko) 2019-04-08 2019-04-08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8709A KR20200118709A (ko) 2020-10-16
KR102763829B1 true KR102763829B1 (ko) 2025-02-07

Family

ID=7266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010A Active KR102763829B1 (ko) 2019-04-08 2019-04-08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09411B2 (ko)
EP (1) EP3931635A4 (ko)
KR (1) KR102763829B1 (ko)
CN (1) CN113711124B (ko)
WO (1) WO20202094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8027A1 (en) * 2018-01-26 2019-08-01 Apple Inc. Folded camera with actuator for moving optics
JP1676286S (ko) * 2020-01-16 2021-01-12
JP1676285S (ko) * 2020-01-16 2021-01-12
EP4408005A4 (en) * 2021-10-25 2025-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same
TWI815299B (zh) * 2022-01-12 2023-09-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與電子裝置
KR20230143430A (ko) * 2022-04-05 2023-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TWI828107B (zh) * 2022-04-08 2024-01-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模組與電子裝置
CN117170085A (zh) * 2022-05-26 2023-12-05 晋城三赢精密电子有限公司 镜头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US12328494B2 (en) * 2022-11-09 2025-06-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306168A1 (en) * 2015-04-17 2016-10-20 The Lightco Inc. Camera device methods, apparatus and components
KR101922310B1 (ko) * 2013-08-08 2018-11-26 애플 인크. 미러 틸트 작동
JP2018205683A (ja) * 2017-05-25 2018-12-2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用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14050B2 (ja) * 2013-02-04 2017-04-12 Hoya株式会社 撮像装置
US10489205B2 (en) 2013-07-19 2019-11-26 Apple Inc. Enqueuing kernels from kernels on GPU/CPU
JP6207955B2 (ja) * 2013-10-03 2017-10-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016038505A (ja) * 2014-08-08 2016-03-22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US10295783B2 (en) * 2014-10-27 2019-05-21 Sharp Kabushiki Kaisha Camera module
CN111175926B (zh) * 2015-04-16 2021-08-20 核心光电有限公司 紧凑型折叠式相机中的自动对焦和光学图像稳定
JP6548526B2 (ja) * 2015-06-12 2019-07-2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ユニット及びカメラ
CN107533272B (zh) 2015-06-24 2020-09-11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镜头相机的低剖面三轴致动器
KR102143730B1 (ko) * 2015-09-06 2020-08-12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소형의 접이식 카메라의 롤 보정에 의한 자동 초점 및 광학식 손떨림 방지
JP6173416B2 (ja) * 2015-12-04 2017-08-02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CN116661090A (zh) * 2016-05-10 2023-08-29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系统
WO2018007981A1 (en) * 2016-07-07 2018-01-11 Corephotonics Ltd. Linear ball guided voice coil motor for folded optic
US10303042B2 (en) * 2016-07-12 2019-05-28 Tdk Taiwan Corp. Lens driving module
KR102594466B1 (ko) * 2016-09-07 2023-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2625247B1 (ko) * 2016-11-11 202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와 음향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40659B1 (ko) * 2017-01-19 2024-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장치
US10678062B2 (en) * 2017-02-08 2020-06-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eflecting module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46472B1 (ko) 2017-02-15 201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8508678B (zh) * 2017-02-27 2021-11-09 纳木加有限公司 Ois摄像头模块及包括该ois摄像头模块的双摄像头系统
KR102473411B1 (ko) 2017-07-03 2022-1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435025B1 (ko) 2017-09-25 202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자기장의 방향을 갖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27818B1 (ko) 2017-09-29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력을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전자 장치
CN207588990U (zh) * 2017-12-11 2018-07-06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双摄像模组
KR102497828B1 (ko) * 2018-02-23 2023-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TWI672538B (zh) * 2018-09-12 2019-09-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機模組及電子裝置
JP6776392B2 (ja) * 2019-03-29 2020-10-28 エーエーシー コミュニケ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ジョウシュウ)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カメラ用レンズ駆動装置
KR102255271B1 (ko) * 2019-06-14 2021-05-2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2310B1 (ko) * 2013-08-08 2018-11-26 애플 인크. 미러 틸트 작동
US20160306168A1 (en) * 2015-04-17 2016-10-20 The Lightco Inc. Camera device methods, apparatus and components
JP2018205683A (ja) * 2017-05-25 2018-12-2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用アクチュエータ、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搭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09411B2 (en) 2023-03-21
CN113711124A (zh) 2021-11-26
US20200319439A1 (en) 2020-10-08
KR20200118709A (ko) 2020-10-16
WO2020209492A1 (en) 2020-10-15
EP3931635A1 (en) 2022-01-05
EP3931635A4 (en) 2022-04-27
CN113711124B (zh) 2024-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63829B1 (ko) 굴곡형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099198B (zh) 相机模块
CN111133376B (zh) 包括具有不同磁场方向的多个驱动单元的相机模块
US11108961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haking of lens part contained in camera module and opera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US1141214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 motion
KR102635884B1 (ko)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1609405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9052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9581616B (zh) 相机模块和包括相机模块的电子装置
KR102813625B1 (ko) 카메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47712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740286B1 (ko) 카메라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2838070B1 (ko) 카메라 이동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1012883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838531B1 (ko) 카메라 전환에 따른 영상 보정 방법 및 장치
KR102837211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157496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3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4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