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3780B1 -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eiling-type AI camera - Google Patents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eiling-type AI camer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3780B1 KR102763780B1 KR1020230151481A KR20230151481A KR102763780B1 KR 102763780 B1 KR102763780 B1 KR 102763780B1 KR 1020230151481 A KR1020230151481 A KR 1020230151481A KR 20230151481 A KR20230151481 A KR 20230151481A KR 102763780 B1 KR102763780 B1 KR 1027637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t
- location information
- ceiling
- logistics
- logistics manag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safety or protection criteria, e.g. avoiding hazardous area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형 AI 카메라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은 물류의 이송, 로딩 및 언로딩이 수행되는 물류 창고의 천장의 복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물류 창고 내에 있는 대차의 상부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 상기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대차의 위치 정보를 물품 운반체 또는 분류 로봇으로 전송하는 물류 관리 장치; 및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차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는 물품 운반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ceiling of a logistics warehouse where transportation, loading, and unloading of logistics are performed, and detecting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cart based on image information captur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rt within the logistics warehouse;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to a cart carrier or a sorting robot; and a cart carrier holding and transporting the car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형 AI 카메라로 대차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물류 관리를 수행하는 천장형 AI 카메라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that performs logistics management while monitoring the position of a bogie with a ceiling-type AI camera.
최근 이커머스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물류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물류 창고에 물류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with the explosive growth of the e-commerce market, there has been an active movement to introduce logistics management systems to logistics warehous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management.
물류 관리 시스템이란 개인이나 업체의 위탁을 받아 물품의 입고부터 출고까지의 전 과정 중 적어도 일부분에 대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일컫는다.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that can provide agency services for at least part of the entire process from receipt of goods to shipment of goods upon request from individuals or companies.
물류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서 다양한 물품 운반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품 운반체로서 AGV(Automated Guided Vehicel)라고 불리는 무인 운반체가 사용되고 있다. 무인 운반체는 물품을 직접 실어서 운반할 수도 있고, 대차에 물품을 실어서 운반할 수 있다. 대차에 물품을 실어서 운반하는 경우, 무인 운반체는 해당 대차를 물품의 로딩 또는 언로딩이 필요한 장소로 이동시킨다.To improve the efficiency of logistics management, various types of material carriers are being used. As such material carriers, unmanned carriers called AGVs (Automated Guided Vehicles) are being used. Unmanned carriers can transport goods by directly loading them or by loading them onto carts. When transporting goods by loading them onto carts, unmanned carriers move the carts to the locations where goods need to be loaded or unloaded.
무인 운반체를 이용한 GTP(Goods To Person) 기반 물류 관리 방식은, 종래의 수동적 개념으로부터 탈피하여, 무인 운반체가 작업자의 위치로 오더 박스나 주문 물품을 직접 전달해주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The GTP (Goods To Person)-based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unmanned transporters breaks away from the conventional passive concept and adopts a method in which unmanned transporters directly deliver order boxes or ordered items to the worker's location.
그리고 작업자의 역할을 대신하는 분류 로봇의 사용 또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use of sorting robots that replace workers is also expanding.
따라서 물류 관리 시스템은 물품 운반체와 분류 로봇의 협업을 통한 물류 관리가 주류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will become mainstream and will involve collaboration between material carriers and sorting robots.
이러한 물류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물류 관리가 수행되는 물류 창고에서의 분류 로봇에 의한 물품의 로딩과 언로딩은 분류 로봇과, 분류 로봇의 근방으로 위치하는 대차 사이에서 이루어진다.In this logistics management system,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by a sorting robot in a logistics warehouse where logistics management is performed is performed between the sorting robot and a cart located near the sorting robot.
분류 로봇이 대차에 물품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대차에 작용하는 힘이 작용하고, 이러한 힘에 의해 대차의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대차의 이동이 미세할 경우, 분류 로봇에 의한 물품의 로딩 또는 언로딩에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다.When a sorting robot loads or unloads items onto a cart, a force is applied to the cart, and this force may cause the cart to move. If the movement of the cart is slight, it does not cause problems in loading or unloading items by the sorting robot.
하지만 이동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발생될 경우, 물품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분류 로봇이 물품을 로딩하는 과정에서 물품을 잘못된 위치로 파지하여 물품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잘못된 물품의 파지는 잘못된 물품의 적재로 이어질 수 있다. 분류 로봇이 물품을 대차로 언로딩하는 과정에서도 목표 지점에서 벗어난 위치에 물품을 적재하거나 적재 과정에서 물품이 대차에서 떨어질 수 있다.However, if the moving distance exceeds a certain distance, errors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loading or unloading items. For example, during the process of loading items, a sorting robot may pick up items in the wrong location, causing damage to the items, or picking up the wrong items may lead to loading the wrong items. During the process of unloading items onto a cart, a sorting robot may load items in a loc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target point, or the items may fall off the cart during the loading process.
또한 로딩 또는 언로딩이 완료된 대차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물품 운반체가 대차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즉 지금 장소로 대차를 이동시킨 시점에서의 대차의 이전 위치와, 대차의 현재 위치 간에 오차가 발생한 경우, 물품 운반체가 해당 대차를 정확하게 홀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lso, problems occur when the goods carrier moves the cart to another location after loading or unloading is completed. That is, if there is an error between the previous location of the cart at the time of moving the cart to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cart,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goods carrier cannot accurately hold the car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가 위치한 지점에서 위치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물품 운반체로 대차를 정확히 홀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천장형 AI 카메라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that can accurately hold and move a cart as a goods carrier even if a change in location occurs at the location where the cart is loca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류 로봇이 물품을 대차로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억제할 수 있는 천장형 AI 카메라로 대차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물류 관리를 수행하는 천장형 AI 카메라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that monitors the position of a cart and performs logistics management by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that can suppress errors occurring during the process of a sorting robot loading or unloading goods onto a c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의 이송, 로딩 및 언로딩이 수행되는 물류 창고의 천장의 복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물류 창고 내에 있는 대차의 상부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하는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 상기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대차의 위치 정보를 물품 운반체 또는 분류 로봇으로 전송하는 물류 관리 장치; 및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차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는 물품 운반체;를 포함하는 물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ceiling of a logistics warehouse where transport,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are performed, and detecting and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cart based on image information captur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art within the logistics warehouse;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to a cart carrier or a sorting robot; and a cart carrier holding and transporting the car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상기 천장형 AI 카메라는 물류 창고의 천장에서 바닥면으로 촬영한 대차에 대한 2차원의 제1 영상으로 상기 대차의 제1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The above ceiling-type AI camera can detect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from a two-dimensional first image of the cart taken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of the logistics warehouse.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2차원 평면에 대한 대차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대차의 중심 위치와, 상기 중심 위치에 대한 기준 위치에 대해서 상기 대차가 회전한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position information i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gie with respect to a two-dimensional plane, and may include a center position of the bogie and an angle by which the bogie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sition.
상기 물품 운반체는 상기 물품 운반체에서 물류 창고의 측면으로 2차원의 제2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goods carrier may include a first camera for capturing a two-dimensional second image from the goods carrier to the side of the logistics warehouse.
상기 물품 운반체는 상기 제2 영상으로 상기 대차의 제2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융합하여 상기 대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3차원 위치 정보로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goods carrier can detect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with the second image, fus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o calculat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and hold and transport the cart with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은,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차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분류 로봇;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rting robot that loads or unloads goods onto a car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상기 분류 로봇은 상기 대차에 대한 2차원의 제3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classification robot may include a second camera that captures a two-dimensional third image of the cart.
상기 분류 로봇은 상기 제3 영상으로 상기 대차의 제3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3 위치 정보를 융합하여 상기 대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3차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다.The above classification robot can detect thir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with the third image, fus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o calculat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and load or unload goods onto the car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물류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물류 창고에 대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물품 운반체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물품 운반체에 전송할 수 있다.The abov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an calculate a driving path of the goods carrier based on images of the logistics warehouse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and transmit the calculated path to the goods carrier.
상기 물품 운반체는 수신한 주행 경로로 주행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goods carrier can drive along the received driving route.
본 발명은 또한, 물류 관리 장치가, 물류의 이송, 로딩 및 언로딩이 수행되는 물류 창고의 천장의 복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물류 창고 내에 있는 대차의 상부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로부터 상기 대차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 관리 장치가 상기 대차의 위치 정보를 물품 운반체로 전송하여 상기 물품 운반체로 하여금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including: a step of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bogie from a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wherein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is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ceiling of a logistics warehouse where transport, loading, and unloading of logistics are performed and detect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gie based on image information captur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bogie within the logistics warehouse; and a step of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gie to a goods carrier by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o cause the goods carrier to hold and transport the bogie.
본 발명에 따른 물류 관리 방법은, 상기 물류 관리 장치가 상기 대차의 위치 정보를 분류 로봇으로 전송하여 상기 분류 로봇으로 하여금 상기 대차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gistic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in which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to a sorting robot to cause the sorting robot to load or unload goods onto the cart.
그리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물류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가 촬영한 상기 물류 창고에 대한 영상을 수신한다. 상기 이송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물류 관리 장치는 상기 수신한 물류 창고에 대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물품 운반체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물품 운반체에 전송한다.And in the receiving step,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receives images of the logistics warehouse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In the transporting step,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alculates a driving path of the goods carrier based on the received images of the logistics warehouse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path to the goods carrier.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형 AI 카메라로 대차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물류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분류 로봇이 물품을 대차로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천장형 AI 카메라는 대차와 분류 로봇의 상부에서 검출한 대차의 위치 정보를 분류 로봇에 제공함으로써, 분류 로봇은 대차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에 대한 로딩 또는 언로딩을 수행하기 때문에, 물품에 대한 로딩 또는 언로딩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nitoring the position of a cart with a ceiling-type AI camera and performing logistics management, errors occurring during the process of a sorting robot loading or unloading goods onto a cart can be suppressed. That is, since the ceiling-type AI camera provides the cart's position information detected from above the cart and the sorting robot to the sorting robot, the sorting robot loads or unloads goods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and thus the loading or unloading of goods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그리고 대차를 이송하는 물품 운반체는 천장형 AI 카메라로부터 대차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대차가 위치한 지점에서 위치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물품 운반체로 대차를 정확히 홀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And the goods carrier transporting the cart can accurately hold and move the cart by receiving the cart'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ceiling-type AI camera even if the cart moves from its lo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AI 카메라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천장형 AI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 정보로 대차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AI 카메라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4는 기존의 대차 이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물류 관리 방법에 따른 대차 이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ampl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bogie us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eiling-type AI camera of Figure 1.
Figure 3 is a flow chart of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diagram explaining the conventional cart transport method.
Figure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art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the logistics management method of Figure 3.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conform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AI 카메라를 이용한 물류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100)은 물류 창고에서 물류의 흐름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물품의 이송, 로딩 및 언로딩이 수행되는 물류 창고의 천장에 설치된 천장형 AI 카메라(10)들로부터 수집한 정보를 기반으로 대차(50), 물품 운반체(30) 및 분류 로봇(40)을 제어하여 물류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Referring to FIG. 1, 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ystem that manages the flow of logistics in a logistics warehouse, and is a system that performs logistics management by controlling a cart (50), a material carrier (30), and a sorting robot (40)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ceiling-type AI cameras (10)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logistics warehouse where transport,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are performed.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 물류 관리 장치(20) 및 물품 운반체(30)를 포함하고, 분류 로봇(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는 물품의 이송, 로딩 및 언로딩이 수행되는 물류 창고의 천장의 복수 지점에 설치되며, 물류 창고 내에 있는 대차(50)의 상부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전송한다. 물류 관리 장치(20)는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물품 운반체(30) 또는 분류 로봇(4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물품 운반체(30)는 물류 관리 장치(20)로부터 수신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대차(50)를 홀딩하여 이송한다.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10),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and a product carrier (30), and may further include a sorting robot (40). The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10) are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ints on the ceiling of a logistics warehouse where transport, loading, and unloading of products are performed, and detect and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f a cart (50) based on image information captured from the top of the cart (50) inside the logistics warehouse.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10) to the product carrier (30) or the sorting robot (40). In addition, the product carrier (30) holds and transports the cart (5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pecifically described as follows.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와 물류 관리 장치(20) 간에는 유무선 통신망을 매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으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다.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multiple ceiling-type AI cameras (10) and logistics management devices (20) via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generally known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sed as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물류 관리 장치(20)와 물품 운반체(30) 사이, 물류 관리 장치(20)와 분류 로봇(40) 간에는 무선 통신망을 매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으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근거리 통신망이 사용할 수 있다.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and the goods carrier (30), and between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and the sorting robot (40)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generally known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sed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preferably,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used.
천장형 AI 카메라(10)는 물류 관리 장치(20)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형 카메라 단말 장치이다. 천장형 AI 카메라(10)는 복수 개가 물류 창고의 천장에 설치되며, 물류 창고 내에서 이동하는 대차(50), 물품 운반체(30), 분류 로봇(40) 및 적재된 물품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한다. 천장형 AI 카메라(10)는 획득한 영상 정보와, 획득한 영상 정보를 가공한 정보를 물류 관리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가공한 정보는 대차(50)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The ceiling-type AI camera (10) is a functional camera terminal device that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A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10)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logistics warehouse, and acquire image information about a cart (50), an article carrier (30), a sorting robot (40), and loaded articles moving within the logistics warehouse.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can transmit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information processed from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to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The processed information may b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이러한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는 제1 천장형 AI 카메라, 제2 천장형 AI 카메라, …, 제n 천장형 AI 카메라(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한다.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는 물류 창고의 천장에 랜덤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행과 열을 맞추어 규칙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는 물류 창고의 바닥면 전체를 촬영할 수 있는 범위에서 적절한 개수로 물류 창고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These multiple ceiling-type AI cameras (10) include a first ceiling-type AI camera, a second ceiling-type AI camera, …, an nth ceiling-type AI camera (n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2). The multiple ceiling-type AI cameras (10) may be installed randomly on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warehouse, but may be installed regularly in rows and columns. The multiple ceiling-type AI cameras (1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warehouse in an appropriate number within a range where they can capture the entire floor surface of the logistics warehouse.
천장형 AI 카메라(10)는 물류 창고의 천장에서 바닥면으로 촬영한 대차(50b)에 대한 2차원의 제1 영상으로 대차(50b)의 제1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위치 정보는, 도 2를 참조하면, 2차원 평면에 대한 대차(50b)의 위치 정보로서, 대차(50b)의 중심 위치(O')와, 중심 위치(O')에 대한 기준 위치(O)에 대해서 대차(50b)가 회전한 각도(θ)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천장형 AI 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 정보로 대차(50b)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면부호 50a는 기준 위치의 대차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50b는 현재 위치의 대차를 나타낸다. 실제 대차는 현재 위치에 위치한다.The ceiling-type AI camera (10) can detect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gie (50b) from a two-dimensional first image of the bogie (50b) taken from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warehouse to the floor. At this time,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a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gie (50b) with respect to a two-dimensional plane, with reference to FIG. 2, includes the center position (O') of the bogie (50b) and the angle (θ) by which the bogie (50b)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osition (O)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sition (O'). Here,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detec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gie (50b) from the image information taken by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of FIG. 1. Drawing
대차(50a)의 기준 위치(O)는 물품 운반체(30)에 의해 이송되어 위치한 최초 위치를 의미한다. 대차(50b)의 현재 위치는 대차(50b)의 중심 위치(O')를 기반으로 표시될 수 있다.The reference position (O) of the bogie (50a) refers to the initial position at which it was transported and positioned by the goods carrier (30). The current position of the bogie (50b) can be displayed based on the center position (O') of the bogie (50b).
물품 운반체(30)에 의해 처음 이송된 대차(50a)의 위치는 기준 위치(O)에 있지만, 분류 로봇(40)을 이용한 물품을 대차로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대차에 힘이 작용할 수 있다. 대차는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대차(50a,50b)는 기준 위치(O)에서 이동하여 현재 위치(O')에 위치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cart (50a) initially transported by the goods carrier (30) is at the reference position (O), but a force may be applied to the cart during the process of loading or unloading goods onto the cart using the sorting robot (40). The cart may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As a result, the carts (50a, 50b) may mov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O) and be positioned at the current position (O').
따라서 대차(50)의 이송을 위해서는 대차(50b)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형 AI 카메라(10)로 획득한 대차(50b)가 포함된 영상 정보로부터 대차(50b)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transport the bogie (50),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determin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ogie (50b). In this embodimen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ogie (50b) can be accurately detected from image information including the bogie (50b) acquired by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천장형 AI 카메라(10)는 획득한 영상 정보와,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물류 관리 장치(20)로 전송한다.The ceiling-type AI camera (10) transmits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to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물류 관리 장치(20)는 천장형 AI 카메라(10)를 이용하여 물류 관리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물류 관리 장치(20)는 물류 관리를 위한 프로세싱이 가능한 PC,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is a device that performs logistics management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10). This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can be implemented as a PC, server, etc. capable of processing for logistics management.
물류 관리 장치(20)는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물류 창고에 대한 영상을 기반으로 물품 운반체(30)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물품 운반체(30)에 전송한다. 즉 물류 관리 장치(20)는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물류 창고에 대한 영상을 기반으로 물류 창고에 대한 지도를 작성할 수 있다. 물류 관리 장치(20)는 지도를 기반으로 이송이 필요한 대차(50)가 있는 경우, 지도에서의 대차(50) 위치를 확인하여 물품 운반체(30)의 주행 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물품 운반체(30)는 수신한 주행 경로로 주행하여 목표하는 대차(50)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calculates the driving path of the goods carrier (30) based on the images of the logistics warehouse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10)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path to the goods carrier (30). That is,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can create a map of the logistics warehouse based on the images of the logistics warehouse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10). If there is a cart (50) that needs to be transported based on the map,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can check the location of the cart (50) on the map and calculate the driving path of the goods carrier (30). The goods carrier (30) can drive along the received driving path and move to the target location of the cart (50).
물류 관리 장치(20)는 천장형 AI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물품 운반체(30) 또는 분류 로봇(40)으로 전송할 수 있다.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can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received from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to the goods carrier (30) or the sorting robot (4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천장형 AI 카메라(10)가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류 관리 장치(20)가 천장형 AI 카메라(10)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활용하여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a ceiling-type AI camera (10) det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bogie (50) is disclos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can detec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bogie (50) by utilizing the im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물품 운반체(30)는 물류 관리 장치(20)의 제어에 따라 대차(50)를 물류 창고의 목표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물품 운반체(30)는 물류 관리 장치(20)가 제공하는 주행 정보를 기반으로 자율 주행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물품 운반체(30)는 대차(50)를 홀딩하여 이동할 수 있는 AGV, 이동 로봇 등을 포함한다. 물품 운반체(30)는 대차(50)를 상부에 적재하여 이송하거나, 대차(50)의 측면을 파지하여 이송할 수 있다. 도 5에는 물품 운반체(30)가 대차(50b)의 하부로 이동한 후, 대차(50b)를 리프팅 방식으로 적재하여 이동하는 예를 개시하였다.The goods carrier (30) moves the cart (50) to the target point of the logistics warehouse under the control of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This goods carrier (30) may be a device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based on the driv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For example, the goods carrier (30) includes an AGV, a mobile robot, etc. that can hold and move the cart (50). The goods carrier (30) can transport the cart (50) by loading it on top or by gripping the side of the cart (50). 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goods carrier (30) moves to the bottom of the cart (50b) and then loads and moves the cart (50b) by lifting it.
물품 운반체(30)는 물류 관리 장치(20)로부터 수신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대차(50)를 홀딩하여 이송한다. 즉 천장형 AI 카메라(10)는 물류 창고의 천장에서 바닥면으로 촬영한 대차(50)에 대한 2차원의 제1 영상으로 대차(50)의 제1 위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The goods carrier (30) holds and transports the cart (5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That is,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can more accurately detect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by capturing a two-dimensional first image of the cart (50)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of the logistics warehouse.
이로 인해 물품 운반체(30)는 대차(50)의 제1 위치 정보로 대차(50)의 현재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대차(50)를 보다 정확하게 홀딩하여 이송할 수 있다. 즉 대차(50)의 이송에 있어서 대차(50)의 위치 정보로는, 물류 창고의 지면에 수직한 성분이 포함된 위치 정보 보다는, 물류 창고의 지면에 평행한 평면인 XY평면에서의 위치 정보가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천장형 AI 카메라(10)는 XY평면에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goods carrier (30)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rt (50) with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so that the cart (50) can be held and transported more accurately. That is, in transporting the cart (50), a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th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XY plane, which is a plane parallel to the ground of the logistics warehouse, is more important than the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omponent perpendicular to the ground of the logistics warehouse. From this perspective,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can provide image information that can detect the position information in the XY plane.
물품 운반체(30)가 제1 위치 정보로 대차(50)를 홀딩하여 이송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an example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goods carrier (30) holds and transports a cart (50) with first location informa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물품 운반체(30)가 제1 카메라(31)를 구비하는 경우, 제1 카메라(31)로 촬영한 영상을 함께 활용하여 대차(50)의 이송에 활용할 수 있다. 즉 물품 운반체(30)에 구비된 제1 카메라(31)는 물품 운반체(30)에서 물류 창고의 측면으로 2차원의 제2 영상을 촬영한다. 물품 운반체(30)는 제2 영상으로 대차(50)의 제2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물품 운반체(30)는 물류 관리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제1 위치 정보와 제2 위치 정보를 융합하여 대차(50)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물품 운반체(30)는 3차원 위치 정보로 대차(50)를 홀딩하여 이송할 수 있다. 즉 제1 위치 정보가 XY평면에 대한 위치 정보라고 하면, 제2 위치 정보는 Z축 성분을 포함하는 XZ평면 또는 YZ평면에 대한 위치 정보이기 때문에, 제1 및 제2 위치 정보로부터 대차(50)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If the goods carrier (30) is equipped with the first camera (31),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31) can be utilized together for transport of the cart (50). That is, the first camera (31) equipped on the goods carrier (30) captures a second two-dimensional image from the goods carrier (30) to the side of the logistics warehouse. The goods carrier (30) detects seco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using the second image. The goods carrier (30) calculates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by merging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Then, the goods carrier (30) can hold and transport the cart (50) us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if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is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XY plane, the second position information is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XZ plane or YZ plane including the Z-axis component, so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gie (50) can be der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information.
분류 로봇(40)은 물류 창고의 특정 지점에 위치하며, 대차(50)를 이용한 물품의 로딩과 언로딩을 수행하는 로봇이다. 이러한 분류 로봇(40)은 물품의 픽앤플레이스가 가능한 다관절 암을 구비하는 로봇으로서, 일정 지점에 고정 설치된 로봇이거나, 작업 영역 내에서 이동이 가능한 이동 로봇일 수 있다.The sorting robot (40) is a robot that is located at a specific point in a logistics warehouse and performs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using a cart (50). This sorting robot (40) is a robot equipped with a multi-joint arm capable of picking and placing goods, and may be a robot that is fixedly installed at a specific point or a mobile robot that can move within a work area.
이러한 분류 로봇(40)은 물류 관리 장치(20)의 제어에 따라 물품에 대한 로딩과 언로딩을 수행한다. 분류 로봇(40)은 물류 관리 장치(20)로부터 수신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대차(50)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다.These sorting robots (40) perform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under the control of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The sorting robots (40) can load or unload goods onto the cart (5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분류 로봇(40)이 제2 카메라(41)를 구비하는 경우, 제2 카메라(41)로 촬영한 영상을 함께 활용하여 물품의 분류에 활용할 수 있다. 즉 분류 로봇(40)에 구비된 제2 카메라(41)는 분류 로봇(40)에서 물류 창고의 측면으로 2차원의 제3 영상을 촬영한다. 분류 로봇(40)은 제3 영상으로 대차(50)의 제3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분류 로봇(40)은 물류 관리 장치(20)로부터 수신한 제1 위치 정보와 제3 위치 정보를 융합하여 대차(50)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한다. 그리고 분류 로봇(40)은 3차원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물품의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위치 정보가 XY평면에 대한 위치 정보라고 하면, 제3 위치 정보는 Z축 성분을 포함하는 XZ평면 또는 YZ평면에 대한 위치 정보이기 때문에, 제1 및 제3 위치 정보로부터 대차(50)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If the sorting robot (40) is equipped with a second camera (41),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41) can be utilized together for classification of goods. That is, the second camera (41) equipped on the sorting robot (40) captures a two-dimensional third image from the side of the logistics warehouse from the sorting robot (40). The sorting robot (40) detects thir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using the third image. The sorting robot (40) fuses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to calculat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In addition, the sorting robot (40) can perform classification of goods by utilizing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That is, if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is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XY plane, the third position information is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XZ plane or YZ plane including the Z-axis component, so the three-dimensional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can be calculated from the first and third position informa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천장형 AI 카메라(10)로 대차(50)의 위치를 모니터링하면서 물류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분류 로봇(40)이 물품을 대차(50)로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천장형 AI 카메라(10)는 대차(50)와 분류 로봇(40)의 상부에서 검출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분류 로봇(40)에 제공함으로써, 분류 로봇(40)은 대차(50)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물품에 대한 로딩 또는 언로딩을 수행하기 때문에, 물품에 대한 로딩 또는 언로딩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performing logistics management while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cart (50) with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errors occurring during the process of the sorting robot (40) loading or unloading goods onto the cart (50) can be suppressed. That is,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provid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detected from above the cart (50) and the sorting robot (40), so that the sorting robot (40) loads or unloads goods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and thus the loading or unloading of goods can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그리고 대차(50)를 이송하는 물품 운반체(30)는 천장형 AI 카메라(10)로부터 대차(5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대차(50)가 위치한 지점에서 위치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물품 운반체(30)로 대차(50)를 정확히 홀딩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And the goods carrier (30) transporting the cart (50)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from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so that even if the location of the cart (50) moves from the location where it is located, the cart (50) can be accurately held and moved by the goods carrier (3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물류 관리 시스템(100)의 물류 관리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AI 카메라(10)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The logistics management method of the logistics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s follows. Here, FIG. 3 is a flow chart according to the logistics management method using a ceiling-type AI camera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S10단계에서 물류 관리 장치(20)는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10)로부터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즉 천장형 AI 카메라(10)는 물류 창고 내에 있는 대차(50)의 상부에서 촬영한 영상 정보를 기반으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검출한다. 천장형 AI 카메라(10)는 검출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물류 관리 장치(20)로 전송한다.First, in step S10,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from multiple ceiling-type AI cameras (10). That is,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based on image information captured from above the cart (50) in the logistics warehouse. The ceiling-type AI camera (1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cart (50) to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다음으로 이동이 필요한 대차(50)가 있는 경우, S20단계에서 물류 관리 장치(20)는 해당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물품 운반체(30)로 전송한다.Next, if there is a cart (50) that needs to be mov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to the goods carrier (30) at step S20.
그리고 S30단계에서 물품 운반체(30)는 해당 대차(50)를 홀딩하여 이송한다. 즉 물품 운반체(30)는 물류 관리 장치(20)로부터 해당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대차(50)가 있는 위치로 이동한다. 물품 운반체(30)는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대차(50)를 홀딩한다. 그리고 물품 운반체(30)는 홀딩한 대차(50)를 목표 지점을 이송한다.And in step S30, the goods carrier (30) holds and transports the corresponding cart (50). That is, when the goods carrier (3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cart (50)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it moves to the location where the corresponding cart (50) is located. The goods carrier (30) holds the cart (50)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And the goods carrier (30) transports the held cart (50) to the target point.
물품 운반체(30)가 대차(50)를 홀딩할 때,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대차(50)의 정확한 자세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물품 운반체(30)가 대차(50)를 정확하게 홀딩할 수 있다.When the goods carrier (30) holds the cart (50), the exact posture of the cart (50)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so the goods carrier (30) can accurately hold the cart (50).
다음으로 대차(50)에서의 물품의 로딩 또는 언로딩이 필요한 경우, S40단계에서 물류 관리 장치(20)는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분류 로봇(40)으로 전송한다.Next, when loading or unloading of goods from the cart (50) is required,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2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to the sorting robot (40) at step S40.
그리고 S50단계에서 분류 로봇(40)은 수신한 대차(50)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대차(50)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을 수행한다.And at step S50, the sorting robot (40) loads or unloads goods onto the cart (50) by utiliz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차(50b)의 이송 방식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기존의 대차 이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물류 관리 방법에 따른 대차 이송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The transport method of the cart (50b)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s follows. Here, FIG.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ventional cart transport method.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rt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the logistics management method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대차 이송 방식은 물품 운반체(30)로 대차(50b)의 위치 정보로 대차(50a)를 이송한 시점에서의 기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이다.Referring to Fig. 4, the existing cart transport metho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position at the time of transporting the cart (50a)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50b) as the material carrier (30).
도면부호 50a는 기준 위치에서의 대차를 나타낸다.Drawing
도면부호 50b는 현재 위치에서의 대차를 나타낸다. 기준 위치의 대차(50a)에 물리적인 힘에 의해 현재 위치로의 이동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실제 대차(50b)는 기준 위치가 아닌 현재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Drawing
그런데 물품 운반체(30)에 대차의 기준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될 경우, 물품 운반체(30)가 기준 위치의 대차를 홀딩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기준 위치와 현재 위치 간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물품 운반체(30)가 현재 위치의 대차(50a)를 정확히 홀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when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cart is provided to the goods carrier (30), the goods carrier (30) moves to a position where it can hold the cart at the reference position. In this case, since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goods carrier (30) cannot accurately hold the cart (50a) at the current position.
반면에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물품 운반체(30)에 대차(50b)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5, in this embodiment, information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rt (50b) is provided to the goods carrier (30).
따라서 물품 운반체(30)는 도 5(a)와 같이 이송할 대차(50b)에 근방에 이동한 상태에서, 도 5(b)와 같이 현재 위치의 대차(50b)에 자세에 대응되게 중심 이동 및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c)와 같이 물품 운반체(30)가 대차(50b) 아래로 이동하여 대차(50b)를 정확하게 홀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goods carrier (30) can perform center movement and rot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rt (50b) as shown in Fig. 5(b) while moving near the cart (50b) to be transported as shown in Fig. 5(a). And as shown in Fig. 5(c), the goods carrier (30) can move below the cart (50b) and accurately hold the cart (50b).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위치의 대차(50b)에 대응되게 물품 운반체(30)가 중심 이동 및 회전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물품 운반체(30)가 대차(50b)를 움직이거나 홀딩할 수 있는 로봇 암을 구비하는 경우, 해당 로봇 암을 활용하여 대차(50b)의 위치를 홀딩에 적합한 위치로 변경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n example is disclosed in which the goods carrier (30) moves and rotates around its center in response to the cart (50b) at its current location,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the goods carrier (30) is equipped with a robot arm capable of moving or holding the cart (50b), the location of the cart (50b) can be changed to a position suitable for holding by utilizing the robot arm.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Meanwhil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specific examples presented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 : 천장형 AI 카메라
20 : 물류 관리 장치
30 : 물품 운반체
31 : 제1 카메라
40 : 분류 로봇
41 : 제2 카메라
50 : 대차
100 : 물류 관리 시스템10: Ceiling-mounted AI camera
20: Logistics Management Device
30: Goods carrier
31: 1st camera
40: Classification Robot
41: Second camera
50 : Cargo
100 :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laims (12)
상기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대차의 자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물품 운반체 또는 분류 로봇으로 전송하는 물류 관리 장치;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차의 자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분류 로봇; 및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대차의 자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는 물품 운반체;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운반체는 이송할 대차에 근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대차의 자세에 대응되게 상기 물품 운반체가 중심 이동 및 회전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고,
상기 천장형 AI 카메라는
물류 창고의 천장에서 바닥면으로 촬영한 대차에 대한 2차원의 제1 영상으로 상기 대차의 제1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2차원 평면에 대한 대차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대차의 중심 위치와, 상기 중심 위치에 대한 기준 위치에 대해서 상기 대차가 회전한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운반체는
상기 물품 운반체에서 물류 창고의 측면으로 2차원의 제2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상으로 상기 대차의 제2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융합하여 상기 대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3차원 위치 정보로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고,
상기 분류 로봇은
상기 대차에 대한 2차원의 제3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영상으로 상기 대차의 제3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3 위치 정보를 융합하여 상기 대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3차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시스템.A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installed at multiple points on the ceiling of a logistics warehouse where transport,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are performed, wherein the cameras can photograph the entire floor surface of the logistics warehouse from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warehouse, and detect and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ture of a cart based on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from the top of the cart within the logistics warehouse;
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hat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ture of a car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to a goods carrier or a sorting robot;
A sorting robot that loads or unloads goods onto a car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rt's posture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A material carrier that holds and transports a car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art's posture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he above-mentioned goods carrier is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cart to be transported, and after the goods carrier performs center movement and rot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cart, the cart is held and transported.
The above ceiling-type AI camera
Detecting first position information of a cart from a two-dimensional first image taken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of a logistics warehouse, the first position information i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rt with respect to a two-dimensional plane, and includes the center position of the cart and the angle at which the cart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sition,
The above goods carrier
Including a first camera for taking a two-dimensional second image from the side of the logistics warehouse in the above-mentioned goods carrier, detecting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with the second image, calculating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by f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holding and transporting the cart with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The above classification robot
A second camera is included to capture a two-dimensional third image of the cart, detect thir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with the third image, deriv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by fusing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and load or unload goods onto the car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by:
상기 물류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물류 창고에 대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물품 운반체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물품 운반체에 전송하고,
상기 물품 운반체는 수신한 주행 경로로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시스템.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alculates the driving path of the goods carrier based on the images of the logistics warehouse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path to the goods carrier.
A logistics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goods carrier drives along a received driving route.
상기 물류 관리 장치가 상기 대차의 자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물품 운반체로 전송하여 상기 물품 운반체로 하여금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 관리 장치가 상기 대차의 자세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분류 로봇으로 전송하여 상기 분류 로봇으로 하여금 상기 대차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물품 운반체는 이송할 대차에 근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대차의 자세에 대응되게 상기 물품 운반체가 중심 이동 및 회전을 수행한 이후에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고,
상기 천장형 AI 카메라는 물류 창고의 천장에서 바닥면으로 촬영한 대차에 대한 2차원의 제1 영상으로 상기 대차의 제1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는 2차원 평면에 대한 대차의 위치 정보로서, 상기 대차의 중심 위치와, 상기 중심 위치에 대한 기준 위치에 대해서 상기 대차가 회전한 각도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운반체는 상기 물품 운반체에서 물류 창고의 측면으로 2차원의 제2 영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물품 운반체는 상기 제2 영상으로 상기 대차의 제2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2 위치 정보를 융합하여 상기 대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3차원 위치 정보로 상기 대차를 홀딩하여 이송하고,
상기 분류 로봇은 상기 대차에 대한 2차원의 제3 영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대차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류 로봇은 상기 제3 영상으로 상기 대차의 제3 위치 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물류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제3 위치 정보를 융합하여 상기 대차의 3차원 위치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3차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차로 물품을 로딩하거나 언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방법.A logistics management device is installed at multiple points on the ceiling of a logistics warehouse where transport, loading, and unloading of logistics are performed, and is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entire floor surface of the logistics warehouse from the ceiling of the logistics warehouse, and a step of receiving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ture of the bogie from multiple ceiling-type AI cameras that detect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ture of the bogie based on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from the top of the bogie within the logistics warehouse;
A step in which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ture of the cart to the goods carrier so that the goods carrier holds and transports the cart; and
A step in which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ransmits pos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posture of the cart to the sorting robot to cause the sorting robot to load or unload goods onto the cart;
In the step of holding and transporting the above-mentioned vehicle,
The above-mentioned goods carrier is moved to the vicinity of the cart to be transported, and after the goods carrier performs center movement and rot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ture of the cart, the cart is held and transported.
The above ceiling-type AI camera detect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by capturing a two-dimensional first image of the cart from the ceiling to the floor of the logistics warehouse,
The above first position information i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ogie on a two-dimensional plane, and includes the center position of the bogie and the angle at which the bogie is rotated with respect to a reference position for the center position.
The above-mentioned goods carrier includes a first camera for taking a two-dimensional second image from the above-mentioned goods carrier to the side of the logistics warehouse,
In the step of holding and transporting the above-mentioned vehicle,
The above-mentioned goods carrier detects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with the second image, fus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o calculate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and holds and transports the cart with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The above classification robot includes a second camera that captures a two-dimensional third image of the above cart,
At the step of loading or unloading goods using the above cart,
The above classification robot detects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with the third image, fuses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third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to calculate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art, and loads or unloads goods onto the car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information.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by: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물류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천장형 AI 카메라가 촬영한 상기 물류 창고에 대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이송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물류 관리 장치는 상기 수신한 물류 창고에 대한 영상을 기반으로 상기 물품 운반체의 주행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물품 운반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관리 방법.In Article 8,
At the above receiving step,
The abov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receives images of the logistics warehouse captured by the plurality of ceiling-type AI cameras,
At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above,
A logistics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gistics management device calculates a driving path of the goods carrier based on an image of the received logistics warehouse and transmits the calculated driving path to the goods carri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1481A KR102763780B1 (en) | 2023-11-06 | 2023-11-06 |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eiling-type AI camer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51481A KR102763780B1 (en) | 2023-11-06 | 2023-11-06 |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eiling-type AI camer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63780B1 true KR102763780B1 (en) | 2025-02-07 |
Family
ID=94630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51481A Active KR102763780B1 (en) | 2023-11-06 | 2023-11-06 |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eiling-type AI camer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63780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4232B1 (en) * | 2018-07-02 | 2018-08-30 | 국무상 | A logistics system including automatic driving truck and truck elevation system |
KR20210026567A (en) * | 2019-08-30 | 2021-03-10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Vision recognition based object placing robot and logistics system using the same |
US11295471B1 (en) * | 2019-12-11 | 2022-04-05 | Amazon Technologies, Inc. | Camera-based pallet placeme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
KR20230081730A (en) | 2021-11-29 | 2023-06-08 | 주식회사포스아이 | Multipurpose logistic agv sorter and system of multipurpose logistic management |
-
2023
- 2023-11-06 KR KR1020230151481A patent/KR1027637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4232B1 (en) * | 2018-07-02 | 2018-08-30 | 국무상 | A logistics system including automatic driving truck and truck elevation system |
KR20210026567A (en) * | 2019-08-30 | 2021-03-10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Vision recognition based object placing robot and logistics system using the same |
US11295471B1 (en) * | 2019-12-11 | 2022-04-05 | Amazon Technologies, Inc. | Camera-based pallet placement detection and notification |
KR20230081730A (en) | 2021-11-29 | 2023-06-08 | 주식회사포스아이 | Multipurpose logistic agv sorter and system of multipurpose logistic management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Scienceon, CCD-Camera를 이용한 목적대상의 3차원 위치좌표 추출 (2010.05.)* *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134200B2 (en) | Singulation of arbitrary mixed items | |
TWI823858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a pallet load | |
US11325253B2 (en) | Autonomous device for transporting items | |
KR102301909B1 (en) | Collaborative inventory monitoring | |
US1012299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 3D model of items in a warehouse | |
JP7364534B2 (en) | Handl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 |
AU2015346577B2 (en) | Position-controlled robotic fleet with visual handshakes | |
CN111776557B (en) | Item picking system, related method, apparatus and readable storage medium | |
US9216857B1 (en) | Automated inventory management system | |
JP2021104900A (en) | Robot system with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for operating robot system | |
US9457970B1 (en) | Modular cross-docking system | |
CN111328408B (en) | Shape information generating device, control devic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logistics system, program and control method | |
US1137011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bin picking for manufacturing | |
US12333486B2 (en) | Sorting system and method | |
US11648676B2 (en) | Robotic system with a coordinated transfer mechanism | |
Chiaravalli et al. | Integration of a multi-camera vision system and admittance control for robotic industrial depalletizing | |
JP7318713B2 (en) | Conveying system, control device, conveying method and program | |
JP2018087083A (en) | Picking facility and physical distribution facility | |
US20150019006A1 (en) | Robot system and robot controller | |
CN117464695A (en) | Intelligent express access robot, system and method | |
KR102763780B1 (en) | Logis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eiling-type AI camera | |
JP2022074742A (en) | Luggage loading system | |
US12122610B2 (en) | Transfer of conveying good from inertia-based delivering vehicle to continuous conveyor | |
WO2024154179A1 (en) | Inspection management system, inspection management method, and inspection management device | |
CN119305895A (en) | Transport control method, device,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7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10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