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3053B1 - 셀프 세차기 - Google Patents

셀프 세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3053B1
KR102763053B1 KR1020230055278A KR20230055278A KR102763053B1 KR 102763053 B1 KR102763053 B1 KR 102763053B1 KR 1020230055278 A KR1020230055278 A KR 1020230055278A KR 20230055278 A KR20230055278 A KR 20230055278A KR 102763053 B1 KR102763053 B1 KR 102763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ar wash
unit
car
sel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5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58529A (ko
Inventor
이동효
Original Assignee
이동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효 filed Critical 이동효
Priority to KR1020230055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3053B1/ko
Publication of KR20240158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8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3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30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세차기에 관한 발명으로, 세차부스(101)의 상부 양측에서 차체의 전, 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1이동레일(110)과, 제1이동레일(110) 사이에 양단을 결합하여 횡으로 구비하고 제1구동수단(121) 및 제1공급수단(122)을 탑재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부(120)와, 제1이동부(120)의 양측에 결합하여 상, 하 종방향으로 구비하고 복수의 노즐(131)을 차체 양 측부를 향해 일정 간격 배치하는 제1분사부(130)와, 세차부스(101)의 상부 전측 및 후측 각각에서 차체의 좌, 우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2이동레일(140)과, 제2이동레일(140) 상에 결합하여 횡으로 구비하고 제2구동수단(151) 및 제2공급수단(152)을 탑재하여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부(150)와, 제2이동부(150)에 결합하여 좌, 우 횡방향으로 구비하고 복수의 노즐(161)을 차체 전측 및 후측을 향해 배치하는 제2분사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세차 대상 차종 별 분사 범위를 자동으로 설정 및 제어하고 분사 사각지대를 배제하여 효율적인 세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셀프 세차기{SELF CAR WASHING SYSTEM}
본 발명은 셀프 세차기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에 설치되는 셀프 세차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세차 대상 차종 별 차체 길이를 반영하여 분사 범위를 자동으로 설정 및 제어하고 차체의 전, 후면 등 분사 사각지대를 배제하여 효율적인 세차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셀프 세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운전자는 자동차의 성능을 유지하거나 청결한 상태를 조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차를 실시한다.
세차는 주로 문형 자동 세차기를 이용해 차체 외부를 세척하거나, 또는 셀프 세차기를 이용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셀프 세차기는 자동 세차기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고 차량의 실내 및 실외를 이용자가 선택하여 간편하게 세차할 수 있으므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셀프 세차기가 설치되는 세차장에는 각 차량별로 세차부스를 마련하며 이용자는 일측에 구비된 제어장치를 통해 일정 요금을 지불하고 세차부스 내에서 세차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셀프 세차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종래 공지된 기술을 통해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06797 호에는 차량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샤워공간이 형성된 부스본체와, 부스본체의 천장과 양측 벽면 및 바닥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노즐이 장착된 세척수 분사용 배관과, 배관의 길이방향 중 한쪽 단부와 연결되고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는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200244 호에는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이동바퀴를 장착한 세차기 본체에 구동모터부를 구비하고 본체에는 물 등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세정공급부를 구비하여 세차기 본체가 차량이 입고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세차를 하는 자동세차장치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2145412 호에는 세차부스의 프레임 상부에 설치하여 차량의 전, 후 방향으로 왕복하는 구동장치와, 구동장치에 장착하고 펌핑수단과 연결된 파이프 및 노즐을 통해 세척수 또는 세제를 분사하는 분사장치와, 세차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셀프 세차기의 제어방법을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1306797 호 (2013.09.10)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200244 호 (2000.10.16) 한국등록특허 제 10 - 2145412 호 (2020.08.18) 한국등록특허 제 10 - 1689689 호 (2016.12.27)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셀프 세차기는 차량을 진입하는 세차부스와, 요금 지불 및 제어를 위한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이용자가 분사 건을 이용해 세제와 세척수를 차체 외부에 분사하여 세척하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셀프 세차기는 이용자가 차량 외부에서 직접 분사 건을 조작하여 세제 및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고압 분사하여 세차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이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세차부스에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세제 및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자동으로 분사하는 장치를 탑재하여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셀프 세차기가 널리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셀프 세차기는 분사장치의 이동 거리가 차체의 형태에 무관하게 세차부스의 전, 후측까지 일괄적으로 적용되므로 세제 및 세척수가 불필요하게 낭비되어 효율성을 저하하고 환경부담을 가중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셀프 세차기는 분사장치의 노즐이 차체의 양 측부를 향해 위치하므로 주행 중 벌레나 각종 이물질이 들러붙어 오염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차체의 전, 후측에 대한 세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세차부스(101)의 상부 좌측 및 우측 각각에서 차체의 전, 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1이동레일(110)과,
상기 제1이동레일(110) 사이에 양단을 결합하여 횡으로 구비하고 제1구동수단(121) 및 제1공급수단(122)을 탑재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부(120)와,
상기 제1이동부(120)의 양측에 결합하여 상, 하 종방향으로 구비하고 복수의 노즐(131)을 차체 좌측 및 우측를 향해 일정 간격 배치하는 제1분사부(130)와,
상기 제1이동부(120)의 일측에 장착하여 상기 제1이동레일(110)을 따라서 제1이동부(120)가 이동 시 세차부스(101) 내에 세차 대상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서 초음파 센서로 차체의 전측단 및 후측단을 감지하는 차체길이감지부(18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세차 대상 차종 별 분사 범위를 자동으로 설정 및 제어하고 분사 사각지대를 배제하여 효율적인 세차가 가능하도록 하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에 설치되는 셀프 세차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세차 대상 차종에 따라서 분사 범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세차 효율을 향상하는 셀프 세차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세차부스 내에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서 차체의 전, 후 길이에 상응하는 이동 거리를 왕복하면서 해당 차종에 대한 세차 범위를 자동으로 설정 및 제어하여 세제 및 세척수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환경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차체의 좌, 우 및 전, 후측에 대한 3축 분사 범위에서 세차가 가능하므로 분사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차체의 전, 후측에 들러붙는 벌레나 각종 이물질 등에 대해서도 보다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용자가 셀프 세차기를 이용 시 수작업을 최소화하고 신속하게 세차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용 시간 및 요금을 절감하고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세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세차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세차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세차기의 측면 사용 상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셀프 세차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세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세차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세차기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세차기의 측면 사용 상태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셀프 세차기는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에 설치되는 셀프 세차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차종에 따른 차체 길이를 반영하여 분사 범위를 자동으로 설정 및 제어하고 차체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세차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셀프 세차기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셀프 세차기는 차량이 진입하도록 프레임을 설치하여 세차구역을 형성하는 세차부스(101)와, 제1이동레일(110)과, 제1이동부(120) 및 제1분사부(130)와, 제2이동레일(140)과, 제2이동부(150) 및 제2분사부(160)와, 제3이동부(17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세차부스(101)는 지면에 설치하는 수직 프레임 및 수직 프레임을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을 구축하여 형성한다. 상기 세차부스(101)는 통상적인 차량의 폭 및 길이를 고려하여 세차구역을 형성하며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입,출구를 마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이동레일(110)은 상기 세차부스(101)의 상부 양측에서 차체의 전, 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여 구비한다.
상기 제1이동레일(110)은 상기 세차부스(101)의 상부 프레임 상에서 좌, 우측 각각에 차체의 전, 후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한다.
상기 제1이동레일(110) 상에는 후술하게 될 제1이동부(120)가 제1구동수단(121)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예컨대 롤러나 차륜 또는 궤도 구성을 장착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이동부(120)는 상기 좌, 우측 제1이동레일(110) 사이에 양단을 결합하여 횡으로 구비한다.
상기 제1이동부(120)는 상기 좌, 우 양측 제1이동레일(110)의 간격보다 긴 폭을 형성하여 제1이동레일(110)의 상부에 안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이동부(120)에는 제1구동수단(121)과, 세제 및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1공급수단(122)을 탑재한다.
상기 제1이동부(120)는 전동 모터 및 동력전달계통을 포함하는 제1구동수단(121)에 의해 상기 제1이동레일(110) 상에서 후술하게 될 제1분사부(130)와 함께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1이동부(120)에는 후술하게 될 제1분사부(130)에 세제 및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로 및 펌프를 탑재하는 제1공급수단(122)을 구비하여 세차의 진행 상태에 따라서 세제 및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이동부(120)의 일측에는 세차 대상 차체의 전측단 및 후측단을 감지하는 차체길이감지부(180)와, 해당 차체의 길이를 산출하는 로터리엔코더(190)를 포함한다.
상기 차체길이감지부(180)는 상기 제1이동부(120)에서 차체를 향하는 일측에 장착하여 제1이동부(120)가 이동 시 세차부스(101) 내에 세차 대상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서 차체의 전측단 및 후측단을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로터리엔코더(190)는 상기 차체길이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된 차체의 전측단 및 후측단 사이를 제1이동부(120)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차체의 길이를 산출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부(120)의 왕복 작동 시에는 산출된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제1구동수단(121)이 이동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차종에 상응하여 상기 제1이동부(120)의 불필요한 이동을 배제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분사부(130)는 상기 제1이동부(120)의 양측에 결합하여 상, 하 종방향으로 구비하고 복수의 노즐(131)을 차체 양 측부를 향해 일정 간격 배치하여 구비한다.
상기 제1분사부(130)는 상기 제1이동부(120)의 양측에서 상기 제1공급수단(122)과 연결되는 소정의 수직 관체 형상으로 구비하여 차체의 좌, 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1분사부(130)는 상기 제1이동부(120)와 함께 상기 제1구동수단(121)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분사부(130)에는 차체의 상, 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노즐(131)을 배치하여 세차의 진행 상태에 따라서 세제 및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차체에 분사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노즐(131)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하여 분사 유체의 비산을 최소화하면서 세척 범위를 극대화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이동레일(140)은 상기 세차부스(101)의 상부 전측 및 후측 각각에서 차체의 좌, 우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여 구비한다.
상기 제2이동레일(140)은 상기 세차부스(101)의 상부 프레임 상에서 전, 후측 각각에 차체의 좌, 우 길이 방향으로 설치한다.
상기 제2이동레일(140) 상에는 후술하게 될 제2이동부(150)가 제2구동수단(151)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예컨대 롤러나 차륜 또는 궤도 구성을 장착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왕복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이동부(150)는 상기 전, 후측 각각의 제2이동레일(140)에 결합하여 구비한다.
상기 제2이동부(150)는 상기 제2이동레일(140) 상에서 차체의 좌, 우 길이보다 긴 이동 범위를 형성하도록 제2이동레일(140) 상에 안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이동부(150)에는 제2구동수단(151)과, 세제 및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2공급수단(152)을 탑재한다.
상기 제2이동부(150)는 전동 모터 및 동력전달계통을 포함하는 제2구동수단(151)에 의해 상기 제2이동레일(140) 상에서 후술하게 될 제2분사부(160)와 함께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이동부(150)에는 후술하게 될 제2분사부(160)에 세제 및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로 및 펌프를 탑재하는 제2공급수단(152)을 구비하여 세차의 진행 상태에 따라서 세제 및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분사부(160)는 상기 제2이동부(150)에 결합하여 상, 하 종방향으로 구비하고 복수의 노즐(161)을 차체 전측 및 후측을 향해 일정 간격 배치하여 구비한다.
상기 제2분사부(160)는 상기 제2공급수단(152)과 연결되는 소정의 수직 관체 형상으로 구비하여 차체의 전, 후측에 위치하도록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제2분사부(160)는 상기 제2이동부(150)와 함께 상기 제2구동수단(151)에 의해 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2분사부(160)에는 차체의 전, 후측에서 상, 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노즐(161)을 배치하여 세차의 진행 상태에 따라서 세제 및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차체에 분사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노즐(161)은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하여 분사 유체의 비산을 최소화하면서 세척 범위를 극대화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제2분사부(160)의 상측에는 제2이동레일(140)에 결합된 제2분사부(160)의 양측을 결합하여 상, 하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동부(17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3이동부(170)는 상기 제2분사부(160)의 상측에 장착하고 전동 모터 및 동력전달계통, 혹은 실린더 구동 방식의 제3구동수단(171)에 의해 상기 제2분사부(160)를 Z축 방향으로 하향 또는 상향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이동부(120~170)에 의해 상기 제1분사부(130) 및 제2분사부(160)는 차체에 대해 3축 방향으로 이동 및 분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셀프 세차기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용자는 세차부스(101) 진입구에 설치되는 제어장치를 통해 이용 시간 및 요금을 결제하고 차량을 세차부스(101) 내의 세차구역에 정차한다.
세차부스(101)의 좌, 우측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이동부(120)가 제1구동수단(121)을 작동하여 제1이동레일(110)을 따라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이동부(120)의 일측에 장착된 차체길이감지부(180)는 차체의 전측 단부를 초음파 센서로 감지한다.
세차부스(101)의 전측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이동부(150)가 제2구동수단(151) 및 제2공급수단(152)을 작동하여 차체의 전측에서 제2이동레일(140)을 따라서 좌, 우 X축 방향으로 왕복하고, 제2이동부(150) 상에 구비되는 제2분사부(160)가 노즐(161)을 통해 차체의 전측에 세척수 및 세제를 세차 진행 상태에 따라서 분사한다. 제3이동부(170)는 제3구동수단(171)을 구동하여 제2분사부(160)를 차체의 전측에서 상, 하 Z축 방향으로 종동하여 분사 사각지대를 배제하면서 세차를 수행한다.
동시에, 제1이동부(120)가 제1공급수단(122)을 작동하고 제1이동부(12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분사부(130)가 노즐(131)을 통해 차체의 좌, 우 측면에 세척수 및 세제를 세차 진행 상태에 따라서 분사한다.
제1이동부(120)가 차체의 후측 단부에 도달하면 차체길이감지부(180)는 차체의 후측 단부를 초음파 센서로 감지한다. 로터리엔코더(190)는 차체길이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된 차체의 전측단을 기점으로 후측단까지 제1이동부(120)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차종의 차체의 길이를 산출하고 왕복 시 산출된 길이에 따라서 제1구동수단(121)이 이동 거리를 제어하여 세차부스(101) 내에 정차된 차체의 전, 후 길이에 상응하는 이동 범위 내에서 왕복하면서 세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세차부스(101)의 후측 상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2이동부(150)가 제2구동수단(151) 및 제2공급수단(152)을 작동하여 차체의 후측에서 제2이동레일(140)을 따라서 좌, 우 X축 방향으로 왕복하고, 제2이동부(150) 상에 구비되는 제2분사부(160)가 노즐(161)을 통해 차체의 후측에 세척수 및 세제를 세차 진행 상태에 따라서 분사한다. 제3이동부(170)는 제3구동수단(171)을 구동하여 제2분사부(160)를 차체의 후측에서 상, 하 Z축 방향으로 종동하여 분사 사각지대를 배제하면서 세차를 수행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세차기는 세차 대상 차종에 따라서 분사 범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세차 효율을 향상하는 셀프 세차기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세차부스 내에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서 차체의 전, 후 길이에 상응하는 이동 거리를 왕복하면서 해당 차종에 대한 세차 범위를 자동으로 설정 및 제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셀프 세차기에 비해 세제 및 세척수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환경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차체의 좌, 우 및 전, 후측에 대한 3축 분사 범위에서 세차가 가능하므로 분사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차체의 전, 후측에 들러붙는 벌레나 각종 이물질 등에 대해서도 보다 효과적인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된다.
101: 세차부스
110: 제1이동레일
120: 제1이동부
121: 제1구동수단
122: 제1공급수단
130: 제1분사부
131: 노즐
140: 제2이동레일
150: 제2이동부
151: 제2구동수단
152: 제2공급수단
160: 제2분사부
161: 노즐
170: 제3이동부
171: 제3구동수단
180: 차체길이감지부
190: 로터리엔코더

Claims (4)

  1. 세차부스(101)의 상부 좌측 및 우측 각각에서 차체의 전, 후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1이동레일(110)과,
    상기 제1이동레일(110) 사이에 양단을 결합하여 횡으로 구비하고 제1구동수단(121) 및 제1공급수단(122)을 탑재하여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이동부(120)와,
    상기 제1이동부(120)의 양측에 결합하여 상, 하 종방향으로 구비하고 복수의 노즐(131)을 차체 좌측 및 우측를 향해 일정 간격 배치하는 제1분사부(130)와,
    상기 제1이동부(120)의 일측에 장착하여 상기 제1이동레일(110)을 따라서 제1이동부(120)가 이동 시 세차부스(101) 내에 세차 대상 차량이 정차된 위치에서 초음파 센서로 차체의 전측단 및 후측단을 감지하는 차체길이감지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세차부스(101)의 상부 전측 및 후측 각각에는,
    차체의 좌, 우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제2이동레일(140)과,
    제2이동레일(140) 각각에 결합하고 제2구동수단(151) 및 제2공급수단(152)을 탑재하여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이동부(150)와,
    제2이동부(150)에 결합하여 상, 하 종방향으로 구비하고 복수의 노즐(161)을 차체 전측 및 후측을 향해 일정 간격 배치하는 제2분사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세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부(120)의 일측에는,
    차체길이감지부(180)에 의해 감지된 차체의 전측단 및 후측단 사이를 제1이동부(120)가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여 해당 차체의 길이를 산출하는 로터리엔코더(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세차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부(160)의 상측에는,
    제2이동레일(140)에 결합된 제2분사부(160)의 양측을 결합하여 상, 하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이동부(170)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제1분사부(130) 및 제2분사부(160)가 상기 제1이동부(120) 내지 제3이동부(170)에 의해 차체에 대해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세차기.
KR1020230055278A 2023-04-27 2023-04-27 셀프 세차기 Active KR102763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278A KR102763053B1 (ko) 2023-04-27 2023-04-27 셀프 세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5278A KR102763053B1 (ko) 2023-04-27 2023-04-27 셀프 세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8529A KR20240158529A (ko) 2024-11-05
KR102763053B1 true KR102763053B1 (ko) 2025-02-07

Family

ID=93462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5278A Active KR102763053B1 (ko) 2023-04-27 2023-04-27 셀프 세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30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2581A1 (en) * 1999-12-29 2002-11-07 Alfred Kaercher Gmbh & Co. Vehicle washing installation
JP2014085284A (ja) * 2012-10-26 2014-05-12 Mk Seiko Co Ltd 車体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車機
JP2018020654A (ja) * 2016-08-03 2018-02-08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車形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洗車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4Y1 (ko) 2000-05-31 2000-10-16 김준기 자동세차장치
KR101306797B1 (ko) 2012-03-15 2013-09-10 주식회사 세진 셀프 세차장의 세차부스
KR101689689B1 (ko) 2015-09-16 2016-12-27 주식회사 세진디테일링 셀프 세차장용 세제발포 및 왁스분사 장치
KR102145412B1 (ko) 2019-04-19 2020-08-18 이동효 셀프 세차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62581A1 (en) * 1999-12-29 2002-11-07 Alfred Kaercher Gmbh & Co. Vehicle washing installation
JP2014085284A (ja) * 2012-10-26 2014-05-12 Mk Seiko Co Ltd 車体検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車機
JP2018020654A (ja) * 2016-08-03 2018-02-08 エムケー精工株式会社 車形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洗車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8529A (ko) 202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760B1 (ko) 자동 세차장치
JP5747829B2 (ja) 洗車機
KR100898982B1 (ko) 터널 및 방음벽 자동세척장치
JPH08226243A (ja) 洗車機能付きのカーポートと、それに使用可能な排水弁
KR102763053B1 (ko) 셀프 세차기
US20040065349A1 (en) Vehicle washing apparatus with improved control
JP2002294648A (ja) 壁面清掃車
KR102145412B1 (ko) 셀프 세차기 제어방법
JP5229639B2 (ja) 処理装置付き洗車設備の制御方法
KR100343440B1 (ko) 가변되는 고압살수노즐이 구비된 문형식 세차기 및 그세차방법
KR101202618B1 (ko) 터널등 청소장치
CN214385476U (zh) 一种猪圈清洗装置
KR20240141996A (ko) 자동 샤워기 세차 시스템 및 방법
CN116080593A (zh) 一种无人值守式大巴洗车设备及洗车方法
KR20240054771A (ko) 셀프세차기용 건조장치
CN207931687U (zh) 一种往复式自动洗车机
JP6743205B2 (ja) 洗車装置
JP6853641B2 (ja) 車体下部洗浄装置
KR970003564B1 (ko) 건물 유리외벽 세척용 로봇
JPH10315930A (ja) 洗車装置
JP6819644B2 (ja) 洗車機
JPS61266800A (ja) トンネル内壁面自動洗浄車
JP2549969B2 (ja) 洗車機
JP2020142801A (ja) 洗車装置
CN207141036U (zh) 一种新型卡车自动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2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