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2313B1 -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2313B1 KR102762313B1 KR1020220077139A KR20220077139A KR102762313B1 KR 102762313 B1 KR102762313 B1 KR 102762313B1 KR 1020220077139 A KR1020220077139 A KR 1020220077139A KR 20220077139 A KR20220077139 A KR 20220077139A KR 102762313 B1 KR102762313 B1 KR 1027623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solenoid valve
- food waste
- clamp
- cat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를 솔레노이드밸브 구동에 의해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되고,
내부의 하우징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도록 처리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힌지고정되며, 내측면 일측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일측벽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클램프 브라킷;
상기 클램프 브라킷에 형성된 결합홈에 중간에 돌출형성된 힌지축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축으로 회동시 상기 제1걸림턱과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제2걸림턱이 상단에 형성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 브라킷에 장착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구동되는 플런저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가압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걸림턱에 대한 상기 제2걸림턱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되고,
내부의 하우징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도록 처리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힌지고정되며, 내측면 일측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일측벽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클램프 브라킷;
상기 클램프 브라킷에 형성된 결합홈에 중간에 돌출형성된 힌지축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축으로 회동시 상기 제1걸림턱과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제2걸림턱이 상단에 형성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 브라킷에 장착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구동되는 플런저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가압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걸림턱에 대한 상기 제2걸림턱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를 솔레노이드밸브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한,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단순한 거름망을 통해 물기 만이 걸러진 후 폐기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은 비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자주 버려지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다.
최근 식생활의 개선과 외식 사업의 증가로 인하여 가정 또는 요식업소 등에서 많은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고, 또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이 수분을 많이 함유한 상태로 버려져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 원인이 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본체에 투입된 음식물을 교반, 분쇄, 및 건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각 단계의 과정을 통해서 분말 건조함으로써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하게 하고, 그 부피를 줄임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제품으로서 각광을 받아오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는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포함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교반, 분쇄, 건조과정을 거쳐 배출량을 줄이도록 처리되는 하우징(1)이 수용되는 본체(2)와,
본체(2)의 개구부에 개페가능하게 형성되는 도어(3)와,
본체(2)의 개구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도어(3) 내측면에 형성된 로커(4)를 로킹(locking) 및 언로킹(unlocking)시키기 위한 개폐버튼(5)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수동 조작방식의 도어 개폐구조가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모아진 봉투 또는 용기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3)가 닫힌상태의 본체(2)의 하우징(1)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킬 경우에, 다른 손을 이용하여 개폐버튼(5)을 가압하여야만 로커(4)의 로킹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본체(2)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도어(3)의 손잡이(미 도시)를 직접 파지하여 본체(2)로부터 도어(3)를 들어올려 수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3)를 개방시키는 과정이 번거럽고 불편하며, 부주의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를 바닥에 흘리거나, 쏟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또는 사용자 의류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06869호(2010.10.4)에 도어 안전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가 출원공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음식물 쓰레기를 들고 있는 사용자가 솔레노이드밸브 구동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본체의 하우징에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되고,
내부의 하우징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도록 처리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힌지고정되며, 내측면 일측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일측벽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클램프 브라킷;
상기 클램프 브라킷의 이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중간에 돌출형성된 힌지축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축으로 회동시 상기 제1걸림턱과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제2걸림턱이 상단에 형성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 브라킷에 장착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구동되는 플런저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가압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걸림턱에 대한 상기 제2걸림턱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음식물 쓰레기를 들고 있는 사용자 음성신호 입력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시킴에 따라 본체의 하우징에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 실용성 및 상품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의 도면,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를 개방시킨 사시도,
도 4는 도 2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중간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도어의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를 로킹시키는 닫힘모드의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는 열림모드의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배면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정면에서 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도어 개폐장치가 장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를 개방시킨 사시도,
도 4는 도 2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중간도어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가 적용되는 도어의 단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를 로킹시키는 닫힘모드의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개폐장치에 의해 도어를 개방시키는 열림모드의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배면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정면에서 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는
전기적신호 인가시 플런저가 구동되는 통상의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되고,
내부의 하우징(10)에 투입되는 수분을 포함하는 각종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분쇄, 건조과정을 거쳐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도록 처리하는 본체(11);
본체(11)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며, 내측면 일측에 제1걸림턱(12)이 형성되는 도어(13);
본체(11)의 일측벽과 하우징(10) 사이에 형성되는 클램프 브라킷(14);
클램프 브라킷(14)의 이면에 형성된 결합홈(14b)에 중간 좌우측에 돌출형성된 힌지축(16a)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축(16a)을 중심축으로 회동시 제1걸림턱(12)과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제2걸림턱(15)이 상단에 형성되는 클램프(16);
클램프 브라킷(14)의 이면에 돌출형성된 안착부(14a)에 슬라이딩결합되고, 전원공급부(미 도시)로부터 전원 인가시 구동되는 플런저(17)에 의해 클램프(16)를 가압으로 회동시켜 제1걸림턱(12)에 대한 제2걸림턱(15)의 로킹을 해제시킴에 따라 본체(11)에 대한 도어(13)의 로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통상의 솔레노이드밸브(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5,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클램프(16) 이면과 이와 대향되는 클램프 브라킷(14)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고, 솔레노이드밸브(18)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될 경우 회동된 클램프(16)를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19)(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6,7,8,9,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도어(13)를 수동 조작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본체(11)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공(20)에 가압 방향으로 유동(함몰)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21)를 가압시 클램프(16)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힌지부(29)를 중심축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제1걸림턱(12)에 대한 제2걸림턱(15)의 로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개폐버튼(22);
버튼부(21)를 가압한 외력을 제거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폐버튼(22)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킴에 따라 클램프(16)를 회동시킨 외력을 제거하도록 하는 제2탄성부재(23)(일 예로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솔레노이드밸브(18)의 플런저(17)를 사용자 음성신호 입력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도록
클램프 브라킷(14)에 장착되고, 본체(11)의 일측벽에 형성된 음성신호 입력공(24)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통상의 음성인식부(미 도시)에서 수신하여 전기적신호로 변환시키되, 변환된 전기적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18)의 구동부에 인가시키기 위한 제어부(PCB)(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클램프(16)의 중간측에 형성되는 가압판(26) 밑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용 요홈(27);을 구비함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18)의 플런저(17)의 반구형태의 단부가 가압판(26)에 접촉될 경우, 미끄럼방지용 요홈(27)에 의해 미끄러짐(slip)을 방지하여 클램프(16)의 제2걸림턱(15)이 도어(13)의 제1걸림턱(12)으로부터 설정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개폐장치(B)는 본체(11)와 도어(13)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도어(30)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3,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도어(13)는
도어(13)를 본체(11)로부터 들어올려 직접 개방하거나, 또는 하우징(10)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킨 후 도어(13)를 본체(11)에 내려 닫을 수 있도록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11)의 개구부에 도어(13)가 닫힌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A)의 본체(11)에 수용된 하우징(10)에 음식물 쓰레기를 간편하게 투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음성신호(일 예로서, "도어(13)를 열어줘" 라고 말함)를 본체(11)의 일측벽에 형성된 음성신호 입력공(24)을 통해 입력시킬 경우, 클램프 브라킷(14)에 장착된 제어부(PCB)(25)의 음성인식부(미 도시)에서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변환된 전기적신호에 의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솔레노이드밸브(18) 구동부에 인가시켜 플런저(17)를 구동시킬 수 있다.
플런저(17)의 직선운동(이때, 밸브스프링(17a)은 압축력을 받게 됨)으로 인해 플런저(17)의 반구형태의 단부가 클램프 브라킷(14)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클램프(16)의 가압판(26)을 도 7의 도면상, 상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도 7 참조).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을 유지하는 클램프(16)의 제2걸림턱(15)은, 도 7에서와 같이, 클램프(16)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으로 인해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때, 가압판(26) 밑면에 형성된 미끄럼방지용 요홈(27)에 의해 플런저(17)의 반구형태의 단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클램프(16)의 제2걸림턱(15)이 도어(13)의 제1걸림턱(12)으로부터 설정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도 5에서와 같이, 클램프(16)가 이의 힌지축(16a)을 중심축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클램프(16) 상단에 형성된 제2걸림턱(15)이 이와 착탈되도록 도어(13)에 형성된 제1걸림턱(12)으로부터 이격된다.
클램프(16) 회동시, 클램프(16) 이면과 이와 대향되는 클램프 브라킷(14)의 상단 사이에 장착된 제1탄성부재(19)는 압축력을 받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음성신호 입력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18)의 플런저(17)에 의해 클램프(16)를 회동시킴에 따라 도어(13)의 제1걸림턱(12)으로부터 클램프(16)의 제2걸림턱(15)을 이격시켜 로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솔레노이드밸브(18)의 구동부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될 경우, 밸브스프링(17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클램프(16)의 가압판(26)을 가압한 플런저(17)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클램프(16)의 제2걸림턱(15)과 이와 대응되는 도어(13)의 제1걸림턱(12)을 로킹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어(13)를 본체(11)에 개폐시킬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시킨 힌지부(29)에 구비된 탄성부재(미 도시된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13)를 힌지부(29)(힌지축을 말함)를 중심축으로 들어올림에 따라 본체(11)의 개구부로부터 도어(13)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도 3 참조).
따라서, 도어(13)가 개방된 본체(11)의 하우징(10)에 소정의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킨 후, 도어(13) 일측에 돌출형성된 손잡이(28)를 파지하여 도어(13)를 내려 본체(11)의 개구부를 닫을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
한편, 도 2,3,4,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1)의 일측벽에 형성된 관통공(20)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버튼(22)을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가압하여 도어(13)를 본체(11)의 개구부로부터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본체(11)의 일측벽에 형성된 관통공(20)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된 개폐버튼(22)의 버튼부(21)를 터치하여 임의압력으로 본체(11) 내부를 향하여 가압할 경우, 개폐버튼(22)이 본체(11) 내부를 향하여 임의깊이만큼 이동(함몰)되므로 개폐버튼(22)의 원통부(22a)에 하단의 돌출부(16b)가 결합된 클램프(16) 하단부를 도 5의 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클램프(16)를 이의 힌지축(16a)을 중심축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클램프(16) 상단에 형성된 제2걸림턱(15)을 이와 착탈가능하게 도어(13)에 형성된 제1걸림턱(12)으로부터 이격시켜 로킹을 해제시키게 된다.
한편, 전술한 버튼부(21)를 가압한 외력을 제거할 경우, 제2탄성부재(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개폐버튼(22)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클램프(16)의 제2걸림턱(15)과 이와 대응되는 도어(13)의 제1걸림턱(12)을 로킹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개폐버튼(22) 조작에 의해 클램프를 회동시켜 클램프(16)의 제2걸림턱(15)을 이와 착탈되는 도어(13)의 제1걸림턱(12)으로부터 이격시켜 로킹을 해제시킴에 따라, 도어(13)를 본체(11)에 대해 개폐시키도록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킨 힌지부(29)에 구비된 탄성부재(미 도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어(13)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11)의 하우징(10)에 투입시킨 후, 도어(13)를 이의 손잡이(28)를 파지하여 본체(11)의 개구부에 닫을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본체(11)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도어(13)를 사용자의 음성신호 입력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18) 구동으로 인해 도어(13)의 로킹상태를 해제시켜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는 본체(11)의 일측벽 외측면에 형성된 개폐버튼(22)을 터치에 의한 가압으로 인해 도어(13)의 로킹상태를 해제시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11)의 하우징(10)에 투입시킬 음식물 쓰레기를 들고 있는 사용자가 본체(11)의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된 도어(13)를 파지하여 직접 개방시켜야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세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사상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본체
12; 제1걸림턱
13; 도어
14; 클램프 브라킷
15; 제2걸림턱
16; 클램프
17; 플런저
18; 솔레노이드밸브
19; 제1탄성부재
20; 관통공
21; 버튼부
22; 개폐버튼
23; 제2탄성부재
24; 음성신호입력공
25; 제어부
26; 가압판
27; 미끄럼방지용 요홈
28; 손잡이
29; 힌지부
30; 중간도어
11; 본체
12; 제1걸림턱
13; 도어
14; 클램프 브라킷
15; 제2걸림턱
16; 클램프
17; 플런저
18; 솔레노이드밸브
19; 제1탄성부재
20; 관통공
21; 버튼부
22; 개폐버튼
23; 제2탄성부재
24; 음성신호입력공
25; 제어부
26; 가압판
27; 미끄럼방지용 요홈
28; 손잡이
29; 힌지부
30; 중간도어
Claims (7)
-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적용되고, 내부의 하우징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줄이도록 처리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힌지고정되며, 내측면 일측에 제1걸림턱이 형성되는 도어; 상기 본체의 일측벽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클램프 브라킷; 상기 클램프 브라킷에 형성된 결합홈에 중간에 돌출형성된 힌지축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축으로 회동시 상기 제1걸림턱과 로킹 또는 언로킹되는 제2걸림턱이 상단에 형성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 브라킷에 장착되고,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 인가시 구동되는 플런저에 의해 상기 클램프를 가압으로 회동시켜 상기 제1걸림턱에 대한 상기 제2걸림턱의 로킹을 해제시키는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수동 조작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벽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가압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에 의해 버튼부를 가압시 상기 클램프의 하단부를 가압하여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걸림턱에 대한 상기 제2걸림턱의 로킹을 해제시키기 위한 개폐버튼;
상기 버튼부를 가압한 외력을 제거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버튼을 초기위치로 복귀시킴에 따라 상기 클램프를 회동시킨 외력을 제거하도록 하는 제2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플런저를 사용자 음성신호 입력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브라킷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벽에 형성된 음성신호입력공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신호를 음성인식부에서 수신하여 전기적신호로 변환시키되, 변환된 전기적신호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구동부에 인가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이면과 상기 클램프 브라킷의 상단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될 경우 회동된 상기 클램프를 탄성복원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중간측에 형성되는 가압판 밑면에 형성되는 미끄럼방지용 요홈;을 더 구비함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플런저의 반구형태의 단부가 상기 가압판에 접촉될 경우, 상기 미끄럼방지용 요홈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상기 클램프의 제2걸림턱이 상기 도어의 제1걸림턱으로부터 설정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도어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로부터 들어올려 개방하거나, 상기 하우징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킨 후 상기 도어를 내려 닫을 수 있도록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7139A KR102762313B1 (ko) | 2022-06-23 | 2022-06-23 |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7139A KR102762313B1 (ko) | 2022-06-23 | 2022-06-23 |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304A KR20240000304A (ko) | 2024-01-02 |
KR102762313B1 true KR102762313B1 (ko) | 2025-02-07 |
Family
ID=8951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7139A Active KR102762313B1 (ko) | 2022-06-23 | 2022-06-23 |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6231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4536B1 (ko) * | 2022-03-07 | 2022-04-08 |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세대 내 투입구 개폐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1988A (ko) * | 2001-06-28 | 2003-01-08 | (주) 티엔케이텍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힌지장치 |
KR100694100B1 (ko) * | 2005-04-06 | 2007-03-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합기 |
KR101311168B1 (ko) * | 2011-09-11 | 2013-09-23 | 김준규 | 냉장고 자동문 |
-
2022
- 2022-06-23 KR KR1020220077139A patent/KR10276231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4536B1 (ko) * | 2022-03-07 | 2022-04-08 | 주식회사 귀뚜라미환경테크 |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세대 내 투입구 개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304A (ko) | 2024-0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59670B2 (en) | Safety system to prevent the functioning of a blender or food processor if the top of its cup is not in place | |
JP2007531618A (ja) | オン/オフ・スイッチ用のロックを備えたシュレッダ | |
WO2020000639A1 (zh) | 一种具有新型锁盖结构的电压力锅 | |
EP0699409A1 (fr) | Mixeur ménager | |
KR102762313B1 (ko) |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도어 개폐장치 | |
KR20060125654A (ko) | 음식물 쓰레기통 | |
US20050224496A1 (en) | Trash can receptacle | |
CN102415830A (zh) | 包括容纳有由电动机驱动旋转的切割工具的容器的烹饪制备家电设备 | |
CN102415831B (zh) | 包括容纳有由电动机驱动旋转的切割工具的容器的烹饪制备家电设备 | |
KR102038601B1 (ko) | 빨대가 구비된 텀블러 | |
CN110522301A (zh) | 一种烹饪器具的开盖控制方法 | |
KR200460648Y1 (ko) | 쓰레기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통 | |
CN210654710U (zh) | 一种可存放垃圾袋的垃圾桶 | |
JP3377055B2 (ja) | 塵 箱 | |
KR20110060078A (ko) | 오물처리분쇄기 및 그의 제어방법 | |
CN208973563U (zh) | 一种具有双重开盖功能的食品加工机 | |
CN113425158A (zh) | 液体加热容器 | |
KR100922038B1 (ko) | 휴지통 뚜껑 | |
KR20090114739A (ko) | 쓰레기통 | |
WO2020042620A1 (zh) | 一种除毛球机 | |
CN108338656B (zh) | 烹饪器具 | |
CN215993624U (zh) | 一种电压力锅 | |
CN220293392U (zh) | 一种杯盖及弹跳杯 | |
CN219183613U (zh) | 隐藏式的超声波洗碗机 | |
CN212912885U (zh) | 盖体和烹饪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2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