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2155B1 -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2155B1
KR102762155B1 KR1020220034366A KR20220034366A KR102762155B1 KR 102762155 B1 KR102762155 B1 KR 102762155B1 KR 1020220034366 A KR1020220034366 A KR 1020220034366A KR 20220034366 A KR20220034366 A KR 20220034366A KR 102762155 B1 KR102762155 B1 KR 102762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mulation
pulse
field generating
electromagnetic field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6842A (ko
Inventor
이일권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사이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사이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사이렉스
Priority to KR102022003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2155B1/ko
Publication of KR20230136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2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21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2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coils, including single turn loops or electro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펄스발생부와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자기장 발생부를 구비한 후 이들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하나의 자극원 생성장치를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치료 부위에 복수의 자기 자극원에 의한 각각의 자극이 동시 또는 조합 순차로 인가하면서, 과도한 자극으로 인해 부작용을 방지하고, 자극 치료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Treatment device with complex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전자기장 자극원 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로 이루어진 펄스발생부와 자기장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동시에 복수의 전자기 자극원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부 미용 및 의료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자기장 치료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등록특허공보 제10-1610762호의 자기장 치료장치는 심부자극 전자기장 치료와 레이저 치료의 복합치료장치인 것이다.
그러나, 자기장 치료에 사용되는 자극은 치료 방법에 따라 자극 세기와 자극의 시간 간격을 다르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는 일정한 세기의 자극은 시간 경과에 따라 익숙해지는 현상에 의해 자극감이 약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극의 세기를 강하게 조정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과도한 자극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치료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초래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자극 세기와 자극간 시간 간격을 조정하여 동적인 자극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자기장 치료장치는 단일 자기장 발생장치(코일)에 의하거나 전자기 발생장치(코일)를 복수개 구성하더라도 이를 구동하는 자극 펄스가 단일한 것에 의한 전자기 발생 구조로 되어 있는 등 자극원이 단일함에 따라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였고, 다양하고 복잡한 자극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만족할만한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10762호(공고일 2016.04.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복수개의 펄스발생부와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자기장 발생부를 구비한 후 이들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하나의 자극원 생성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치료 부위에 복수의 자기 자극원에 의한 각각의 자극이 동시 또는 조합 순차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는, 연결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펄스 입력단과 하나 이상의 펄스 출력단을 가지는 펄스 인가 연결부; 하나 이상인 상기 펄스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자극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 하나 이상인 상기 펄스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에 의한 상기 펄스 입력단과의 선택적인 연결시, 상기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자극 펄스를 인가받아 신체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펄스 발생부의 자극 펄스 출력을 제어하면서, 상기 펄스 인가 연결부에 상기 연결부를 통한 상기 펄스 입력단과 상기 펄스 출력단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자극 인가 교체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자극 펄스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변화되도록 하되, 변화되는 상기 자극 펄스에 따른 자극 세기와 자극 시간 및 상기 자극 시간에 따른 자극 주파수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생성되고,
상기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자극 펄스의 자극 세기는 최대 자극 세기를 분할하여 자속이 변화되도록 상기 자극 주파수는 소정의 자극 시간마다 상기 제어부에 탑재된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서로 다르게 제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프로브 하우징에 수용되면서 상기 자극 인가 연결부의 펄스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자극 펄스 인가시 자속에 의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원형의 코일 구조물인 것이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자극 펄스가 각각 인가됨에 따라 자속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이 합성되도록 복수개의 코일 구조물을 겹쳐셔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코일 하우징에 3개의 코일 구조물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복수개의 코일 구조물이 적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펄스발생부와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자기장 발생부를 구비한 후 이들을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하나의 자극원 생성장치를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치료 부위에 복수의 자기 자극원에 의한 각각의 자극이 동시 또는 조합 순차로 인가하면서, 과도한 자극으로 인해 부작용을 방지하고, 자극 치료를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원형의 코일 구조물로 이루어진 자기장 발생부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3의 a,b,c,d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자극펄스를 변화시켜 인가시 생성되는 자극 세기와 자극 시간 및 자극 주파수의 변화량 관계를 보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코일 구조물이 겹쳐지도록 구성한 자기장 발생부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코일 하우징에 3개의 코일 구조물이 연결되도록 구성한 자기장 발생부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복수개의 코일 구조물(C1, C2)이 적층되도록 구성한 자기장 발생부의 개략적인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원형의 코일 구조물로 이루어진 자기장 발생부의 개략적인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는, 펄스 인가 연결부(10), 펄스 발생부(20), 자기장 발생부(30), 제어부(4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펄스 인가 연결부(10)는 스위칭되는 연결부(11)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펄스 입력단(a)과 하나 이상의 펄스 출력단(b)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펄스 발생부(20)는 하나 이상인 상기 펄스 입력단(a)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자극 펄스(전류(i1))를 출력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펄스 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상기 자극 펄스는 첨부된 도 3에서와 같이 자극 펄스-1, 자극 펄스-2, 자극 펄스-3, 자극 펄스-4 등과 같이 상기 제어부(40)에 탑재되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며, 변화되는 상기 자극 펄스에 따른 자극 세기와 자극 시간 및 상기 자극 시간에 따른 자극 주파수는 상기 제어부(40)에 탑재되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펄스 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상기 자극 펄스의 자극 세기는 최대 자극 세기(예; 100세기)를 나누어 변화시키도록 상기 제어부(40)의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되, 자속(Φ1)이 변화되도록 상기 자극 주파수는 소정의 자극 시간마다 상기 제어부(40)에 탑재된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기장 발생부(30)는 하나 이상인 상기 펄스 출력단(b)에 각각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스위칭 제어되는 상기 연결부(11)에 의한 상기 펄스 입력단(a)과의 선택적인 연결시, 상기 펄스 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자극 펄스를 인가받아 신체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자기장 발생부(30)는 하나 이상으로서 프로브 하우징(미도시)에 수용되면서 상기 자극 인가 연결부(10)의 펄스 출력단(b)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자극 펄스(전류=i1) 인가시 자속(Φ1)에 의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원형의 코일 구조물(C1)이거나, 또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자극 펄스(i1, i2)가 각각 인가됨에 따라 자속(Φ1, Φ2)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이 합성되도록 복수개의 코일 구조물(C1, C2)을 겹쳐셔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자극 펄스(i1, i2, i3)가 각각 인가되도록 코일 하우징(31)에 3개의 코일 구조물(C1, C2, C3)이 연결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코일 구조물(C1, C2)이 위,아래로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된 것으로, 상기 펄스 발생부(30)의 자극 펄스 출력을 제어하면서, 상기 펄스 인가 연결부(10)에 포함되는 상기 연결부(11)의 스위칭 제어를 통한 상기 펄스 입력단(a)과 상기 펄스 출력단(b)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자극 인가 교체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40)에 의해 하나 이상인 상기 연결부(11)가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펄스 입력단(a)과 상기 펄스 출력단(b)을 연결시키면서, 적어도 하나의 자기장 발생부(30) 또는 하나 이상의 자기장 발생부(30)에 순차적으로 자극 펄스가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우선 제어부(40)에 탑재된 제어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청 또는 설정한 프로그램에 따라 펄스 인가 연결부(1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11) 중에서 하나의 연결부(11) 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11)를 연결 방향으로 스위칭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펄스 인가 연결부(1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펄스 입력단(a)과 하나 이상의 펄스 출력단(b) 중에서 하나의 펄스 입력단(a)과 하나의 펄스 출력단(b)이 연결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펄스 입력단(a)과 하나 이상의 펄스 출력단(b)이 각각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펄스 입력단(a)에 연결되는 펄스 발생부(20)의 자극 펄스(전류) 출력을 제어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펄스 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자극 펄스는 상기 펄스 입력단(a)과 연결부(11) 및 펄스 출력단(b)을 거쳐 자기장 발생부(30)를 이루는 코일 구조물(C1 또는 C1, C2 또는 C1,C2,C3)에 인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자기장 발생부(30)를 이루는 코일 구조물(C1 또는 C1, C2 또는 C1,C2,C3)에서는 인가되는 자극 펄스의 흐름에 따라 자속이 발생하면서 전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극 펄스는 서로 다른 자극 펄스로서, 자극펄스-1, 자극펄스-2, 자극펄스-3, 자극펄스-4 등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부(30)에서는 자극펄스-1, 자극펄스-2, 자극펄스-3, 자극펄스-4에 따라 변화된 자극 세기와 자극 시간, 그리고 자극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자극 주파수가 생성됨은 물론 자속이 변화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변화되는 자속 세기와 자극 시간은 물론, 자극 주파수 및 자속에 따라 시술자는 치료 부위에 변화되는 전자기장으로 변화된 자극감을 제공받게 되면서, 치료 부위에서의 과도한 자극으로 인한 부작용이 방지된 상태에서 자극 치료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펄스 인가 연결부 11; 연결부
20; 펄스 발생부 30; 자기장 발생부
31; 코일 하우징 40; 제어부
C1,C2,C3; 코일 구조물 a; 펄스 입력단
b; 펄스 출력단

Claims (8)

  1. 연결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펄스 입력단과 하나 이상의 펄스 출력단을 가지는 펄스 인가 연결부;
    하나 이상인 상기 펄스 입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자극 펄스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펄스 발생부;
    하나 이상인 상기 펄스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부에 의한 상기 펄스 입력단과의 선택적인 연결시, 상기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자극 펄스를 인가받아 신체 부위를 자극하기 위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복수 펄스 발생부 의 자극 펄스 출력을 제어하면서, 상기 펄스 인가 연결부에 상기 연결부를 통한 상기 펄스 입력단과 상기 펄스 출력단을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자극 인가 교체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자극 펄스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변화되도록 하되, 변화되는 상기 자극 펄스에 따른 자극 세기와 자극 시간 및 상기 자극 시간에 따른 자극 주파수는 상기 제어부에 탑재되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생성되고,
    상기 펄스 발생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자극 펄스의 자극 세기는 최대 자극 세기를 분할하여 자속이 변화되도록 상기 자극 주파수는 소정의 자극 시간마다 상기 제어부에 탑재된 상기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서로 다르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프로브 하우징에 수용되면서 상기 자극 인가 연결부의 펄스 출력단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자극 펄스 인가시 자속에 의한 전자기장을 형성하는 원형의 코일 구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자극 펄스가 각각 인가됨에 따라 자속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기장이 합성되도록 복수개의 코일 구조물을 겹쳐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코일 하우징에 3개의 코일 구조물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복수개의 코일 구조물이 적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KR1020220034366A 2022-03-19 2022-03-19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Active KR102762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66A KR102762155B1 (ko) 2022-03-19 2022-03-19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366A KR102762155B1 (ko) 2022-03-19 2022-03-19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842A KR20230136842A (ko) 2023-09-27
KR102762155B1 true KR102762155B1 (ko) 2025-02-05

Family

ID=88189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366A Active KR102762155B1 (ko) 2022-03-19 2022-03-19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6215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2276B1 (ja) * 2020-01-08 2020-11-25 株式会社Ifg 磁気刺激装置
KR102195670B1 (ko) * 2018-11-15 2020-12-28 주식회사 리메드 펄스 자기장 자극 장치
KR102256659B1 (ko) * 2018-05-23 2021-05-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투석기 제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762B1 (ko) 2015-09-04 2016-04-08 모성희 자기장 레이저 복합치료장치
KR102545657B1 (ko) * 2020-04-10 2023-06-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자기장 및 음파 인가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659B1 (ko) * 2018-05-23 2021-05-27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투석기 제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195670B1 (ko) * 2018-11-15 2020-12-28 주식회사 리메드 펄스 자기장 자극 장치
JP6792276B1 (ja) * 2020-01-08 2020-11-25 株式会社Ifg 磁気刺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842A (ko) 2023-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7826A (en) Combined nerve fiber and body tissue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AU2005304453B2 (en) Method and system of matching information from cochlear implants in two ears
EP1015070B1 (en) Dual channel implantation neurostimulation techniques
US6611717B1 (en) Implant device
JP2021041170A (ja) エネルギーを低減したインターリーブ・マルチコンタクト神経調節治療
JP5539867B2 (ja) 神経刺激システム
EP0557562A1 (en) Combined nerve fiber and body tissue stimul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18660A (ko) 경두개 펄스 전류 자극
KR20200124730A (ko) 중추신경 자기 자극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건강관리 또는 의료 기기
US20220331602A1 (en) Apparatus and method
HRP20000641A2 (en) Multichannel implantable inner ear stimulator
WO2011127917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erkrankungen des gehirns und/oder rückenmarks mittels neurofeedback
KR102762155B1 (ko) 복합 전자기장 발생 기능을 가지는 자극원 생성장치
JP4610131B2 (ja) 電気刺激装置
CN117042837A (zh) 非侵入性电刺激方法及装置
KR20190043944A (ko) 신경 보철용 다채널 전류 자극기
US74964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fitting a cochlear implant sound processor using alternative signals
JP2009119011A (ja) 電気刺激装置
KR101585035B1 (ko) 전기 자극 치료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5016168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Medical Stimulation with Stimulatory and Rest Treatment Phases
KR101128867B1 (ko) 전기침 치료장치
JP5470530B2 (ja) リズム刺激付干渉低周波治療器
US114265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bitrary current waveform generation
GB2625372A (en) A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requencies
GB2634713A (en) Magnetic stimulation coi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