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61429B1 - 로봇 청소기의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의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61429B1
KR102761429B1 KR1020190094786A KR20190094786A KR102761429B1 KR 102761429 B1 KR102761429 B1 KR 102761429B1 KR 1020190094786 A KR1020190094786 A KR 1020190094786A KR 20190094786 A KR20190094786 A KR 20190094786A KR 102761429 B1 KR102761429 B1 KR 10276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lever
duct
station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704A (ko
Inventor
나우진
김보상
이학봉
김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61429B1/ko
Priority to CN202080042161.0A priority patent/CN113924035B/zh
Priority to PCT/KR2020/010103 priority patent/WO2021025377A1/en
Priority to EP20849597.8A priority patent/EP3945976B1/en
Priority to US16/985,942 priority patent/US11452418B2/en
Publication of KR2021001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6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614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36Connecting plates, e.g. collars, end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9Emptying means; Reusable ba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 A47L9/1472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combined with security means, e.g. for preventing use, e.g. in case of absence of the ba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4Emptying dust or waste liqu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로봇 청소기의 먼지를 흡입하는 스테이션이 개시된다. 본 로봇 청소기의 먼지를 흡입하는 스테이션은 도킹흡입구, 먼지통, 도킹흡입구와 먼지통과 연결된 덕트, 먼지통 내에서 먼지봉투가 장착 가능한 홀더 및 먼지봉투가 홀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홀더 및 덕트의 연결을 방해하고, 먼지봉투가 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홀더 및 덕트의 연결을 허용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의 스테이션{STATION OF ROBOT CLEANER}
본 개시는 먼지봉투 인식 구조 및 내구성이 개선된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스스로 일정 영역을 움직이며 청소를 하는 장치이다. 스테이션은 로봇 청소기를 충전하고 로봇 청소기에 수집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다만, 스테이션에 로봇 청소기로부터의 먼지를 모으기 위한 먼지봉투가 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테이션이 로봇 청소기로부터 먼지를 흡입하게 되어 스테이션 내에 먼지가 비산하거나, 먼지를 흡입하는 모터에 먼지가 흡입되어 스테이션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먼지봉투를 감지하기 위한 전기적 센서를 구비하기도 하였으나, 센서의 내구성이 떨어지며 센서 자체의 비용으로 인한 스테이션의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1-0054948 A(2001.07.02)
본 개시의 목적은 먼지봉투 인식 구조 및 내구성이 개선된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는, 로봇 청소기의 먼지를 흡입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도킹흡입구, 먼지통, 상기 도킹흡입구와 상기 먼지통과 연결된 덕트, 상기 먼지통 내에서 먼지봉투가 장착 가능한 홀더 및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홀더 및 상기 덕트의 연결을 방해하고,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홀더 및 상기 덕트의 연결을 허용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도킹흡입구와 연결된 로봇 청소기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먼지봉투로 먼지를 흡입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덕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덕트 및 상기 홀더의 연결을 방해하는 제1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면 상기 먼지봉투에 밀려 상기 홀더 측으로 회전하는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먼지통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덕트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가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구와 이격되며, 상기 레버가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먼지통은,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레버와 간섭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2 상태의 상기 레버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용부는 상기 홀더 상에 상기 레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는,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먼지봉투의 일부와 간섭되어 회전하는 제1 레버부 및 상기 제1 레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와 간섭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2 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일면 상에 상기 먼지봉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레버는 상기 홀더의 일면 상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레버가 상기 홀더의 일면 상에 지속적으로 돌출 배치되도록 상기 레버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레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레버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홀더의 일면 상에 돌출 배치된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먼지봉투와 간섭되어 회전한 상기 제2 상태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먼지통의 내부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먼지통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간섭부재를 가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상부에 돌출된 커버 간섭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와 상기 덕트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간섭부는 상기 간섭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와 상기 덕트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먼지통의 접촉면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조에서 커버를 제거한 스테이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과 로봇 청소기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봉투와 결합한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레버를 나타낸 스테이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레버를 나타낸 스테이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의 레버를 나타낸 스테이션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조에서 하우징(2)을 제거한 스테이션(1)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테이션(1)과 로봇 청소기(100)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스테이션(1)은 로봇 청소기(100)를 충전시킴과 동시에 로봇 청소기(100)에 모아진 먼지들을 흡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션(1)은 스테이션(1)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2), 먼지봉투(200)가 배치되는 먼지통(10), 도킹흡입구(31)와 연결된 로봇 청소기(100)로부터 먼지봉투(200)로 먼지를 흡입하는 구동부(20), 먼지통(10)과 도킹흡입구(31)를 연결하는 덕트(40) 및 먼지통(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덕트(4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홀더(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은 스테이션(1)의 외형을 형성하며, 스테이션(1)의 내부에 배치된 여러 전자 장치들을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2)은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스테이션(1)의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스테이션(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먼지통(10)은 먼지봉투(200)가 배치되기 위한 내부 공간(S, 도 7a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먼지통(10)은 덕트(40)와 연결되고, 덕트(40)로부터 유입되는 먼지를 수집하는 먼지봉투(200)를 수용할 수 있다.
내부 공간(S)은 먼지봉투(20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며, 내부 공간(S)은 먼지통(10)과 연결된 커버부재(5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먼지통(1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테이션(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먼지통(10)은 제1 상태의 레버(70)와 간섭되는 돌출부(11) 및 제2 상태의 레버(70)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1)와 수용부(12)는 홀더(60) 상에 레버(7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수용부(12)는 레버(70)의 일부분을 안착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와 수용부(12)는 먼지통(10) 내의 홀더(60)가 배치된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돌출부(11)와 수용부(1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구동부(20)는 먼지통(10)의 내부 공간(S)과 연결되어, 스테이션(1)에 연결된 로봇 청소기(100)로부터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0)는 스테이션(1) 내의 먼지를 흡입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미도시) 및 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는 스테이션(1) 내부로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유로(A1) 및 흡입유로(A1)에서 먼지가 제거된 이후의 스테이션(1)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유로(A2)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유로(A1)는 구동부(20)의 흡입력을 통해, 로봇 청소기(100) 내의 모아진 이물질이 도킹흡입구(31), 도킹흡입구(31)와 연결된 덕트(40), 덕트(40)와 연결된 먼지통(10), 먼지통(10) 내에 배치된 먼지봉투(200)로 모아질 수 있다.
아울러, 먼지봉투(200)에서 먼지가 걸러진 이후의 공기는 구동부(20) 및 배출구(3)를 통해 스테이션(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유로(A1)는 스테이션(1) 내의 덕트(40)를 통해 이동하며, 배출유로(A2)는 덕트(40) 외부의 공간을 통해 형성하므로, 흡입유로(A1)와 배출유로(A2)는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또한, 배출유로(A2)는 먼지봉투(200) 자체의 필터로 인한 1차 필터, 배출구(3)에 배치된 필터(미도시)를 통해, 스테이션(1) 외부로 깨끗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덕트(40)는 스테이션(1)의 내부에 배치되어 흡입유로(A1)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덕트(40)는 로봇 청소기(100)로부터 먼지를 흡입하는 도킹흡입구(31)와 먼지통(10) 사이에 배치되어, 도킹흡입구(31)와 먼지통(10)을 연결할 수 있다.
덕트(40)는 흡입유로(A1) 내에 이동하는 먼지가 스테이션(1) 내부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먼지통(10) 내에 배치된 먼지봉투(200)로 가이드할 수 있다.
아울러, 덕트(40)의 일단부(40a, 도 7a 참조)는 먼지통(10)의 내부 공간(S)을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즉, 덕트(40)의 일단부(40a)는 먼지통(10)의 내부 공간(S)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60)가 덕트(40)가 배치된 위치로 회전하여 홀더(60)와 덕트(40)가 연결됨과 동시에 홀더(60)에 고정된 먼지봉투(200)는 덕트(4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홀더(60)는 먼지봉투(200)와 결합되며, 덕트(40)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덕트(40)와 먼지봉투(200)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홀더(60)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한다.
아울러, 스테이션(1)은 스테이션(1)과 연결된 로봇 청소기(10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32)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단자(32)는 외부의 전원(미도시)을 통해 스테이션(1)에 연결된 로봇 청소기(100)를 충전할 수 있으며, 도킹흡입구(3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100)가 스테이션(1)에 연결된 경우, 스테이션(1)은 도킹흡입구(31)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 내부의 먼지를 흡입함과 동시에, 충전 단자(32)를 통해 로봇 청소기(10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아울러, 스테이션(1)은 먼지통(10) 내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먼지통(10)의 내부 공간(S)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커버부재(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할 때, 커버부재(50)는 먼지통(10)과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먼지통(10)의 내부 공간(S)을 향해 돌출된 간섭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재(51)는 먼지통(10) 내에 홀더(60)가 배치된 위치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간섭부재(51)는 기 설정된 길이(L)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길이(L)는 먼지통(10) 내에서 홀더(60)가 회전함으로써, 커버 간섭부(62)의 회전 반경과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60)의 래치(68)가 먼지통(10)의 래치 홈(14)에 삽입 및 고정되기 이전까지, 홀더(60)의 커버 간섭부(62)는 간섭부재(51)와 간섭되어, 커버부재(50)가 먼지통(10) 내부를 폐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6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60)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60)를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봉투(200)와 결합한 홀더(6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홀더(60)는 먼지통(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덕트(4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먼지봉투(20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고정된 먼지봉투(200)를 덕트(4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즉, 홀더(60)는 먼지통(10) 내에서 먼지봉투(200)가 장착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가 고정 배치되는 일면(60-1), 일면(60-1) 상에 형성되며 덕트(40)의 일단부(40a)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61), 커버부재(50)와 간섭될 수 있는 커버 간섭부(62),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가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63),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를 고정시키는 고정부(64), 홀더(60)의 회전 축을 형성하는 한 쌍의 회전 돌기(65)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60)는 일면(60-1) 및 타면(60-2)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중앙부에 일면(60-1) 및 타면(60-2)을 통과하는 삽입구(61)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홀더(6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회전 돌기(65)를 통해 먼지통(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홀더(60)는 먼지통(10) 내부에 결합되어 먼지통(10) 내부를 스윙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60)가 배치되는 위치는 홀더(60)가 회전 돌기(65)를 축으로 회전하는 경우, 홀더(60)의 삽입구(61)에 덕트(40)의 일단부(40a)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일 수 있다.
홀더(60)의 일면(60-1)의 양 측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 홈(63)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홈(63)의 일단부에는 일면(60-1) 상에 돌출된 고정부(6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홈(63)은 홀더(60)의 일면(60-1) 상에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가 한 쌍의 슬라이딩 홈(63)에 의해 슬라이딩 삽입되고, 고정부(64)에 의해 간섭되어 홀더(60)의 일면(60-1) 상에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먼지봉투(200)는 스테이션(1)에 정합되는 규격을 가지는 제품으로서, 먼지봉투(200) 내부와 연결되고, 유입구(201)가 형성된 고정 플레이트(2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먼지봉투(200)는 일정 수준 이상의 먼지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먼지봉투(200) 내에 먼지가 유입되더라도, 먼지는 먼지봉투(200)의 외면에 의해 필터될 수 있으며, 먼지가 필터링된 공기는 먼지봉투(200)를 투과하여 구동부(20)에 의해 스테이션(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고정부(64)는 고정 플레이트(202)가 홀더(60) 상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202) 상에 형성된 유입구(201)와 홀더(60)의 삽입구(61)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구(61)는 홀더(6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삽입구(61)는 고정 플레이트(202)의 유입구(201)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60)가 고정 플레이트(202)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덕트(40)의 일단부(40a)가 삽입구(61)에 삽입됨과 동시에 덕트(40)의 일단부(40a)는 먼지봉투(200)의 유입구(201)에도 삽입될 수 있다.
즉, 홀더(60)가 덕트(40)와 연결됨과 동시에, 덕트(40)는 먼지봉투(200)와 공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홀더(60)의 삽입구(61)와 다른 위치에 형성된 레버 홈(66)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홈(66)에는 레버(70)가 회전 가능하도록 홀더(60)와 연결될 수 있다.
레버 홈(66)의 크기는 레버(70)가 홀더(60)에 연결되어 홀더(60)의 일부분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아울러, 홀더(60)는 레버(70)와 연결되는 결합 축(67)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축(67) 내에 레버(70)가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레버(70)는 홀더(60)에 대해 결합 축(6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커버 간섭부(62)는 홀더(60)의 상부에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 간섭부(62)는 홀더(60)와 덕트(40)가 이격된 상태에서 간섭부재(51)와 접촉하여 커버부재(5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사출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60)의 삽입구(61), 커버 간섭부(62), 슬라이딩 홈(63), 고정부(64), 회전 돌기(65), 레버 홈(66), 결합 축(67)이 별도의 공정 없이 일체로 형성되며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1)은 먼지봉투(200)가 홀더(6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홀더(60) 및 덕트(40)의 연결을 방해하고, 먼지봉투(200)가 홀더(6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홀더(60) 및 덕트(40)의 연결을 허용하는 레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레버(70)는 홀더(6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먼지봉투(200)가 홀더(60)로부터 분리되면 덕트(40) 방향으로 돌출되어 덕트(40) 및 홀더(60)의 연결을 방해하는 제1 상태로 유지되고, 먼지봉투(200)가 홀더(60)에 장착되면 먼지봉투(200)에 밀려 홀더(60) 측으로 회전하는 제2 상태가 될 수 있다.
레버(70)는 결합 축(67)을 통해 홀더(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먼지봉투(200)가 홀더(60)에 결합되는 경우 먼지봉투(200)의 일부와 간섭되어 회전하는 제1 레버부(70-1), 제1 레버부(70-1)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상태일 경우 돌출부(11, 도 7a)와 간섭되며 제2 상태일 경우 수용부(12, 도 7a) 내에 배치되는 제2 레버부(7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상태에서 제1 레버부(70-1)는 홀더(60)의 일면(60-1) 상에 돌출 배치되고, 제2 레버부(70-2)는 돌출부(11)와 접촉하여 홀더(60)와 덕트(40)가 연결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아울러, 제2 상태에서 제1 레버부(70-1)는 홀더(60)의 타면(60-2) 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레버부(70-2)는 홀더(60)의 타면(60-2)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더(60)와 덕트(40)가 연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레버부(70-1)와 제2 레버부(70-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버부(70-1) 결합 축(67)을 기준으로 홀더(60)의 일면(60-1)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와 간섭될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70)는 홀더(60)의 일면(60-1) 상에 돌출 배치된 제1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상태에서 제1 레버부(70-1)는 홀더(60)의 일면(60-1) 상에 돌출 배치되며, 제2 레버부(70-2)는 홀더(60)의 타면(60-2) 상에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아울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가 홀더(60)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경우, 제1 레버부(70-1)는 고정 플레이트(202)와 간섭되어 결합 축(6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70)는 제1 상태로부터 먼지봉투(200)와 간섭되어 회전한 제2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레버부(70-1)는 레버 홈(66) 내로 회전하게 되며, 제1 레버부(70-1)와 연결된 제2 레버부(70-2) 또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홀더(60)는 홀더(60)의 결합 축(67)에는 레버(70)를 제1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레버(70)를 가압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80)는 제1 상태의 레버(70)가 홀더(60)의 일면(60-1) 상에 지속적으로 돌출 배치되도록 레버(70)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80)는 제1 레버부(70-1)가 홀더(60)의 일면(60-1) 상에 배치되고, 제2 레버부(70-2)가 홀더(60)의 타면(60-2) 상에 배치되도록 레버(70)를 가압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80)는 홀더(60)에서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가 분리되는 경우, 레버(70)를 제2 상태에서 다시 제1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60) 및 레버(70)의 기능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레버(70)를 나타낸 스테이션(1)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태의 레버(70)를 나타낸 스테이션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태의 레버(70)를 나타낸 스테이션(1)의 일부 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7a 내지 도 8은 먼지봉투(200)가 홀더(6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며, 레버(70)가 제1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먼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통(10) 내에 먼지봉투(200)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레버(70)는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에 간섭되지 않으며, 제1 레버부(70-1)는 홀더(60)의 일면(60-1) 상에 돌출 배치되고, 제2 레버부(70-2)는 홀더(60)의 타면(60-2) 상에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는 덕트(40)의 일단부(40a)와 이격된 상태이므로, 홀더(60)와 덕트(40)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레버(70)가 제1 상태일 경우, 간섭부재(51)는 홀더(60)의 커버 간섭부(62)와 간섭되어 커버부재(50)가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먼지봉투(20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의 홀더(60)를 덕트(40)가 인접한 곳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버(70)는 먼지통(10)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11)에 의해 간섭되며, 홀더(60)와 덕트(40)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버(70)의 제1 레버부(70-1)는 홀더(60)의 일면(60-1) 상에 돌출 배치된 상태이고, 제1 상태의 제1 레버부(70-1)와 연결된 제2 레버부(70-2)는 홀더(60)의 타면(60-2)에 대해 제2 상태보다 멀리 떨어진 상태일 수 있다.
즉, 홀더(60) 내에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가 결합된 상태가 아니므로, 제1 레버부(70-1)는 고정 플레이트(202)와 간섭되지 않은 상태이며, 탄성부재(80)에 의해 제1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홀더(60)가 회전 돌기(65)를 축으로 회전하더라도, 덕트(40)의 일단부(40a)가 홀더(60)의 삽입구(61) 내에 삽입되기 이전에 제2 레버부(70-2)가 먼지통(10)의 돌출부(11)와 먼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레버부(70-2)와 돌출부(11)는 덕트(40)의 일단부(40a)가 홀더(60)의 삽입구(61)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먼지봉투(200)가 홀더(60)에 고정된 상태가 아닐 경우 홀더(60)를 덕트(40)와 연결시킬 수 없다.
즉, 홀더(60)의 타면(60-2)과 먼지통(10)의 접촉면(13)이 레버(70)에 의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덕트(40)의 일단부(40a)는 삽입구(61)와 이격될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의 커버 간섭부(62)는 커버부재(50)의 간섭부재(51)와 간섭된 상태이므로, 커버부재(50)는 먼지통(10)의 내부 공간(S)을 폐쇄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적, 물리적으로 커버부재(50)가 닫히지 않은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홀더(60)에 고정 플레이트(202)를 포함하는 먼지봉투(20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테이션(1)은 사용자가 스테이션(1) 내에 일정 이상의 먼지 필터 기능 및 고정 플레이트(202)를 구비하는 설정된 먼지봉투(200)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비닐봉투 등의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을 스테이션(1)의 구조적 구성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스테이션(1)은 먼지봉투(200)의 결합 여부를 구조적으로 인식하여, 사용자에게 먼지봉투(200)의 결합 여부를 구조적으로 알릴 수 있다.
아울러, 간섭부재(51)는 돌출부(11)와 제2 레버부(70-2)가 간섭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길이(L)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레버부(70-2)가 돌출부(11)와 간섭됨과 동시에 홀더(60)의 커버 간섭부(62)는 커버부재(50)의 간섭부재(51)와 간섭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홀더(60)와 덕트(40)의 결합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먼지봉투(200)가 홀더(60)에 삽입된 상태이며, 레버(70)가 제2 상태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먼지통(10) 내에는 먼지봉투(2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는 홀더(60)와 결합할 수 있다. 즉,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는 홀더(60)의 한 쌍의 슬라이딩 홈(63)을 따라 삽입되어 고정부(64)를 통해 기 설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 플레이트(202)의 유입구(201)와 홀더(60)의 삽입구(61)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 플레이트(202)에 의해 일 방향으로 밀린 레버(70)는 결합 축(67)을 중심으로 홀더(60)의 일면(60-1)에서 타면(60-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버부(70-1)는 고정 플레이트(202)와 간섭되어 회전하게 되고, 제1 레버부(70-1)와 일체로 형성된 제2 레버부(70-2)는 홀더(60)의 타면(60-2)과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홀더(60)는 회전 돌기(65)를 중심으로 먼지통(10) 내의 접촉면(13)으로 이동하게 되며, 홀더(60)의 래치(68)가 먼지통(10)의 래치 홈(14)에 삽입 및 고정됨으로써, 홀더(60)는 먼지통(10)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레버(70)가 제2 상태일 경우, 홀더(60)는 먼지통(10)의 접촉면(13)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홀더(60)와 덕트(40)가 결합한 상태에서, 홀더(60)는 먼지통(10)의 접촉면(13)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60)는 먼지통(10)의 내부 공간(S)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먼지봉투(200) 내에 담을 수 있는 이물질 및 먼지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홀더(60)가 먼지통(10)의 일면에 고정됨에 따라, 먼지통(10) 내부로 연장 배치된 덕트(40)의 일단부(40a)는 홀더(60)의 삽입구(61)내에 삽입되게 되며, 덕트(40)의 일단부(40a)는 먼지봉투(200)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레버(70)가 제2 상태일 경우, 덕트(40)의 일단부(40a)는 삽입구(61)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먼지봉투(200)의 고정 플레이트(202)가 레버(70)와 지속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제2 레버부(70-2)는 홀더(60)의 타면(60-2)과 가까이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레버부(70-2)는 먼지통(10)의 수용부(1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레버(70)는 먼지봉투(200)와 간섭되어 회전한 제2 상태일 수 있다. 아울러, 레버(70)는 먼지봉투(200)와 간섭되어 제2 상태일 경우, 덕트(40)와 홀더(60)가 결합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아울러, 홀더(60)가 먼지통(10)의 접촉면(13) 상에 고정 배치됨에 따라, 홀더(60)의 상단부에 형성된 커버 간섭부(62)도 먼지통(10)의 일면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커버 간섭부(62)는 커버부재(50)의 간섭부재(51)와 간섭되지 않으며, 커버부재(50)는 먼지통(10)의 내부 공간(S)을 닫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테이션(1)의 먼지봉투(200)의 탈착여부를 홀더(60), 레버(70), 돌출부(11) 및 간섭부재(51)를 통해 감지한 후 스테이션(1)의 오작동 및 사용자의 비정상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션(1)에 적합한 먼지봉투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스테이션(1) 내부에 필터링 되지 않은 먼지가 비산하며 스테이션(1)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스테이션(1)은 기구적인 구성을 통해 스테이션(1)의 먼지봉투(200) 탈착 여부를 알 수 있음으로써, 스테이션(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스테이션 10: 먼지통
20: 구동부 40: 덕트
50: 커버부재 60: 홀더
70: 레버 80: 탄성부재
100: 로봇 청소기

Claims (12)

  1. 로봇 청소기의 먼지를 흡입하는 스테이션에 있어서,
    도킹흡입구;
    먼지통;
    상기 도킹흡입구와 상기 먼지통과 연결된 덕트;
    상기 먼지통 내에서 먼지봉투가 장착 가능한 홀더; 및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홀더 및 상기 덕트의 연결을 방해하고,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홀더 및 상기 덕트의 연결을 허용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흡입구와 연결된 로봇 청소기로부터 먼지를 흡입하여 상기 먼지봉투로 먼지를 흡입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홀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덕트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덕트 및 상기 홀더의 연결을 방해하는 제1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면 상기 먼지봉투에 밀려 상기 홀더 측으로 회전하는 제2 상태가 되는 스테이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먼지통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덕트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가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구와 이격되며,
    상기 레버가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는 스테이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은,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레버와 간섭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2 상태의 상기 레버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수용부는 상기 홀더 상에 상기 레버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스테이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먼지봉투가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먼지봉투의 일부와 간섭되어 회전하는 제1 레버부; 및
    상기 제1 레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와 간섭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 내에 배치되는 제2 레버부;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면 상에 상기 먼지봉투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레버는 상기 홀더의 일면 상에 돌출 배치된 스테이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상태의 상기 레버가 상기 홀더의 일면 상에 지속적으로 돌출 배치되도록 상기 레버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스테이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레버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 레버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상기 홀더의 일면 상에 돌출 배치된 상기 제1 상태와 상기 먼지봉투와 간섭되어 회전한 상기 제2 상태 사이를 이동하는 스테이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통의 내부 공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먼지통의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간섭부재를 가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의 상부에 돌출된 커버 간섭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와 상기 덕트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간섭부는 상기 간섭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커버부재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스테이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상기 덕트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먼지통의 접촉면 상에 결합된 스테이션.
KR1020190094786A 2019-08-05 2019-08-05 로봇 청소기의 스테이션 Active KR10276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86A KR102761429B1 (ko) 2019-08-05 2019-08-05 로봇 청소기의 스테이션
CN202080042161.0A CN113924035B (zh) 2019-08-05 2020-07-31 机器人清洁器的站
PCT/KR2020/010103 WO2021025377A1 (en) 2019-08-05 2020-07-31 Station of robot cleaner
EP20849597.8A EP3945976B1 (en) 2019-08-05 2020-07-31 Station of robot cleaner
US16/985,942 US11452418B2 (en) 2019-08-05 2020-08-05 Station of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786A KR102761429B1 (ko) 2019-08-05 2019-08-05 로봇 청소기의 스테이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04A KR20210016704A (ko) 2021-02-17
KR102761429B1 true KR102761429B1 (ko) 2025-02-05

Family

ID=74501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786A Active KR102761429B1 (ko) 2019-08-05 2019-08-05 로봇 청소기의 스테이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52418B2 (ko)
EP (1) EP3945976B1 (ko)
KR (1) KR102761429B1 (ko)
CN (1) CN113924035B (ko)
WO (1) WO2021025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4141B2 (en) 2021-01-25 2023-10-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use home station
USD939436S1 (en) 2019-06-14 2021-12-28 Sharkninja Operating Llc Auto-emptying docking station
DE102019122060A1 (de) * 2019-08-16 2021-02-18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zum stationären Entleeren eines Schmutzraumes eines mobilen Reinigungsgerätes, Reinigungssystem sowie Verfahren
USD948822S1 (en) * 2020-01-07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for dust canister
JP1716815S (ja) * 2020-08-07 2022-06-07 埃除去及び充電機能付き掃除機用スタンド
EP4195990A4 (en) * 2020-08-14 2024-05-15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DOCK WITH FLUID MANAGEMENT
USD1002136S1 (en) * 2020-09-08 2023-10-17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 vacuum docking station
USD1002976S1 (en) * 2020-09-08 2023-10-24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 vacuum docking station
CA209740S (en) * 2021-01-04 2022-11-21 Beijing Roborock Technology Co Ltd Charging station with dust collector for sweeping machines
USD997095S1 (en) * 2021-02-22 2023-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ing holder for vacuum cleaner
USD993916S1 (en) * 2021-02-22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ing holder for vacuum cleaner
KR20220119980A (ko) * 2021-02-22 2022-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USD993915S1 (en) * 2021-02-22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ing holder for vacuum cleaner
CN113208515A (zh) * 2021-06-03 2021-08-06 深圳市威睿晶科电子有限公司 一种扫拖一体的家用智能扫地机器人
JP1707525S (ja) * 2021-06-16 2022-02-15 電気掃除機用充電台
US12279745B2 (en) 2021-07-07 2025-04-22 Irobot Corporation Filtering devices for evacuation stations
USD982861S1 (en) * 2021-07-07 2023-04-04 Irobot Corporation Latch for a filtering device
US20230030775A1 (en) * 2021-08-02 2023-02-02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USD1043009S1 (en) * 2021-08-11 2024-09-17 Ecovacs Robotics Co., Ltd Base station for cleaning robot
USD996754S1 (en) * 2021-12-07 2023-08-22 Beijing Roborock Technology Co., Ltd. Docking station for cleaning robot
CA212097S (en) * 2022-01-01 2023-02-07 Beijing Roborock Technology Co Ltd Docking station for cleaning robot
USD979869S1 (en) * 2022-01-21 2023-02-28 Sharkninja Operating Llc Robot vacuum docking station
USD1048617S1 (en) * 2022-01-24 2024-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er for electric cleaner
JP1740369S (ja) * 2022-01-29 2023-03-29 掃除機用集塵袋固定具
KR102672216B1 (ko) * 2022-03-10 202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스테이션
USD975391S1 (en) * 2022-04-28 2023-01-10 Shenzhen Kuajingjianbing E-Commerce Co., Ltd Vacuum bag cover
BE1030624B1 (de) 2022-06-14 2024-01-23 Miele & Cie Reinigungsstation und Reinigungssystem
USD1062123S1 (en) * 2022-06-24 2025-02-11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docking station
USD988626S1 (en) * 2022-07-27 2023-06-06 Liping Zheng Debris container component
USD980563S1 (en) * 2022-08-17 2023-03-07 Shenzhen Xincheng Innovation Technology Co., Ltd. Connection plate for a dust bag
USD981060S1 (en) * 2022-09-09 2023-03-14 Shenzhen Yicheng Electronic Commerce Co., Ltd. Vacuum bag
USD980564S1 (en) * 2022-09-14 2023-03-07 Suzhou HIFINE Environment Protection Technology Co., Ltd Dust bag
JP1783456S (ja) * 2022-12-30 2024-10-29 掃除ロボット用集塵器付き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DE102023100690A1 (de) 2023-01-13 2024-07-18 Miele & Cie. Kg Reinigungsstation und Reinigungssystem
USD989429S1 (en) * 2023-02-21 2023-06-13 Dongguan Huaying Zhizao Co., Ltd. Dust ba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3399A1 (en) 2015-06-25 2019-05-09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722B2 (ja) 1982-11-04 1985-03-19 東洋キヤツプ製造株式会社 飲料用ストロ−
DE4339297C1 (de) * 1993-11-18 1994-09-22 Branofilter Gmbh Filterbeutel für einen Staubsauger
KR100203437B1 (ko) * 1997-03-31 1999-06-15 전주범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장착구조
KR20000004922U (ko) 1998-08-19 2000-03-15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장착 확인장치
JP3540622B2 (ja) 1998-08-31 2004-07-0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KR20000040258A (ko) 1998-12-17 2000-07-05 구자홍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장착 확인장치
KR20010054948A (ko) 1999-12-08 2001-07-02 이충전 진공청소기의 안전장치
US6560816B1 (en) * 2001-01-31 2003-05-13 Vacs America, Inc. Central vacuum system with bag mounting assembly
KR100545237B1 (ko) 2003-12-24 2006-01-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사이클론 진공 청소기의 필터 장착 확인 장치
JP4661335B2 (ja) * 2005-05-10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US7325272B2 (en) * 2005-09-30 2008-02-05 Bosses Mark D Vacuum bag guide with telescopic nozzle
KR100692577B1 (ko) 2005-12-21 2007-03-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진공 청소기용 필터감지장치
WO2010028120A2 (en) * 2008-09-04 2010-03-11 Steven Frackowiak Vacuum cleaner bag docking assembly
CN101991389A (zh) * 2009-08-28 2011-03-3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吸尘器的集尘袋支架结构
JP6010722B2 (ja) * 2010-08-01 2016-10-19 ライフラボ株式会社 ロボット掃除機、塵埃排出ステーション及び多段サイクロン掃除機
EP2661208B1 (en) * 2011-01-07 2014-10-08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system
US9232880B2 (en) 2011-05-31 2016-01-12 Zenith Technologies, Llc Vacuum bag attachment assembly
KR101990832B1 (ko) 2013-06-11 2019-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집진장치 및 이를 갖는 청소기
JP6371971B2 (ja) * 2014-08-20 2018-08-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掃除機
EP3795048A1 (en) * 2014-12-24 2021-03-24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CN109480714B (zh) 2018-12-25 2023-10-03 北京享捷科技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吸尘充电装置以及吸尘充电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33399A1 (en) 2015-06-25 2019-05-09 Irobot Corporation Evacuation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45976A1 (en) 2022-02-09
KR20210016704A (ko) 2021-02-17
US20210038034A1 (en) 2021-02-11
CN113924035A (zh) 2022-01-11
EP3945976A4 (en) 2022-06-01
CN113924035B (zh) 2024-01-02
WO2021025377A1 (en) 2021-02-11
EP3945976B1 (en) 2023-05-24
US11452418B2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61429B1 (ko) 로봇 청소기의 스테이션
KR102161708B1 (ko) 스테이션
KR102470035B1 (ko)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EP3860417B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KR102730954B1 (ko) 로봇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 시스템
EP2417893B1 (en) Robot cleaner
JP2010508883A (ja) 真空掃除機
CN111150327B (zh) 机器人吸尘器
KR20220010298A (ko) 청소기
CN113940582A (zh) 一种手持式吸尘装置及吸尘设备
US20230136405A1 (en) Vacuum cleaner
US20250040773A1 (en) Dust collection pile, and automatic cleaning system
CN216854575U (zh) 集尘桩及自动清洁系统
KR100692577B1 (ko) 진공 청소기용 필터감지장치
CN113940584A (zh) 一种便携手持式吸尘装置及吸尘设备
KR20240009277A (ko) 청소기와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KR101136667B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