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61071B1 - Fence using fence connector - Google Patents
Fence using fenc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61071B1 KR102761071B1 KR1020240059996A KR20240059996A KR102761071B1 KR 102761071 B1 KR102761071 B1 KR 102761071B1 KR 1020240059996 A KR1020240059996 A KR 1020240059996A KR 20240059996 A KR20240059996 A KR 20240059996A KR 102761071 B1 KR102761071 B1 KR 1027610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vertical column
- inner flange
- column
- flange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수직컬럼(10); 상기 제 1 수직컬럼(10)과 이격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수직컬럼(20);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의 하측을 연결하는 로어프레임(110);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의 상측을 연결하는 어퍼프레임(120); 상기 로어프레임(110) 및 어퍼프레임(120)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30);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이 관통되게 조립되는 울타리 결속구(200);를 포함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울타리 결속구를 통해 수직컬럼에 로어프레임 또는 어퍼프레임을 상호 걸림을 통해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nce including: a first vertical column (10); a second vertical column (20) vertically arrang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 lower frame (110) connecting lower sides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 upper frame (120) connecting upper sides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30) connecting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ence fastening member (200) inserted and fix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assembled so that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passes through i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a lower frame or an upper frame can be assembled to a vertical column by interlocking them through a fence faste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울타리 결속구를 이용한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using a fence fastener with improved construction convenience.
일반적으로 펜스는 도로변, 자전거 전용도로, 학교 주변, 등산로 등의 도로에 설치되거나, 현관, 거실, 조경시설물, 육각 정자, 파고라, 쉼터, 체육시설, 의자, 어린이 놀이시설 등과 같은 시설물의 외곽과 바닥의 데크에 설치되어, 일반 보행자나 어린이 또는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고 양방 통행을 원활하게 하며 특정구역에 대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In general, fences are installed on roadsides, bicycle lanes, around schools, hiking trails, etc., or on the perimeter and floor decks of facilities such as entrances, living rooms, landscaped structures, hexagonal pavilions, pergolas, shelters, sports facilities, chairs, and children's play facilities, to ensure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pedestrians, children, and cyclists, to facilitate two-way traffic, and to mark the boundaries of specific areas.
본 발명은 금속프레임의 조립이 간편하고,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울타리 결속구를 이용한 울타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nce using a fence fastener that is easy to assemble with a metal frame and has improved convenience in construction.
본 발명은 제 1 수직컬럼(10); 상기 제 1 수직컬럼(10)과 이격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수직컬럼(20);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의 하측을 연결하는 로어프레임(110);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의 상측을 연결하는 어퍼프레임(120); 상기 로어프레임(110) 및 어퍼프레임(120)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30);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이 관통되게 조립되는 울타리 결속구(200);를 포함하는 울타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ence including: a first vertical column (10); a second vertical column (20) vertically arranged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 lower frame (110) connecting lower sides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 upper frame (120) connecting upper sides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30) connecting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fence fastening member (200) inserted and fix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assembled so that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passes through it.
상기 결속구(200)는, 상기 컬럼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서포트플랜지(250);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컬럼홀(15) 내부로 삽입되는 이너플랜지; 상기 서포트플랜지(250)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이 삽입되는 결속구홀(20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member (200) may include a support flange (25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 inner flange that is formed by bending from the support flange (250) and inserted into the column hole (15)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a fastening member hole (205) tha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flange (250) and into which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is inserted.
상기 서포트플랜지(250)는, 일측에 길게 배치되는 제 1 플랜지부(251)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51)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플랜지부(252)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51) 및 제 2 플랜지부(25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3 플랜지부(253)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51) 및 제 2 플랜지부(25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 4 플랜지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upport flange (250) may include a first flange portion (251) that is arranged lengthwise on one side, a second flange portion (252) that is arranged opposite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 third flange portion (253) that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and a fourth flange portion (254) that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상기 이너플랜지는, 상기 제 1 플랜지부(251)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이너플랜지(210)와, 상기 제 2 플랜지부(252)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2 이너플랜지(220)와, 상기 제 3 플랜지부(253)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3 이너플랜지(230)와, 상기 제 4 플랜지부(254)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4 이너플랜지(2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flange may include a first inner flange (210) that is bent at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 second inner flange (220) that is bent at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 third inner flange (230) that is bent at the third flange portion (253)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a fourth inner flange (240) that is bent at the fourth flange portion (254)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는, 상기 제 3 플랜지부(253)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제 3 이너플랜지바디(235)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바디(235)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3 아우터절개부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바디(235)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3 이너절개부(233)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아우터절개부는,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제 1 이너플랜지(210) 또는 제 2 이너플랜지(22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상기 제 3 플랜지부(253)과 제 3 끼움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The third inner flange (230) includes a third inner flange body (235) formed by being bent from the third flange portion (253), a third outer cut portion formed by being cut outwardly from the third inner flange body (235), and a third inner cut portion (233) formed by being cut inwardly from the third inner flange body (235), and the third outer cut portion includes a 3-1 outer cut portion (231) and a 3-2 outer cut portion (232), and the 3-1 outer cut portion (231) and the 3-2 outer cut portion (232)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flange (210) or the second inner flange (220), and the The 3-1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the 3-2 outer cutting portion (232) form a third fitting gap with the third flange portion (253), and the 3-1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the 3-2 outer cutting portion (232) can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첫째, 본 발명은 울타리 결속구를 통해 수직컬럼에 로어프레임 또는 어퍼프레임을 상호 걸림을 통해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rs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a lower frame or an upper frame can be assembled to a vertical column by interlocking them through a fence fastener.
둘째, 본 발명은 아우터절개부 및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된 끼움간격에 수직컬럼이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결속구가 견고하게 조립되는 장점이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a fastener being firmly assembled because the vertical column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tting gap formed between the outer cutting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셋째, 본 발명은 울타리 결속구가 수직컬럼에 삽입될 때, 수직컬럼이 끼움간격이 삽입되면서 아우터절개부의 탄성변형이 해소되고, 이 과정에서 체결충격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조립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when a fence fastener is inserted into a vertical colum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outer cut portion is resolved as the vertical column is inserted at an insertion gap, and a fastening shock is provided during this process, so that a worker can intuitively check whether assembly has been completed.
넷째, 본 발명은 상기 로어프레임 또는 어퍼프레임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있던 절개삽입부가 이너절개부로 삽입될 때, 탄성변형이 해소되면서 체결충격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조립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when the cut insertion part that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or upper frame is inserted into the inner cut part, elastic deformation is relieved and a fastening shock is provided, thereby allowing a worker to intuitively check whether assembly has been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결속구를 이용한 울타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속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컬럼 및 결속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및 결속구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결속구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결속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결속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결속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캡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nce using a fence faste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er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3 is an assembly perspective view of the column and fastener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and fasteners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 back view of the fastener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6 is a left side view of the fastener shown in Figure 1.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ence faste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ence faste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left side view of the cap illustrated in Figure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9.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A, B,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could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could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this document, "configured to"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for example, hardware-wise or software-wise, "suitable for," "capable of," "modified to," "made to," "capable of," or "designed to." In some contexts, the expression "a device configured to" can mean that the device is "capable of" doing so together with other devices or components.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order to facilitate an overall understanding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결속구를 이용한 울타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결속구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컬럼 및 결속구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 및 결속구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결속구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결속구의 좌측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nce using a fence faste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fastener illustrated in FIG. 1,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lumn and fastener illustrated in FIG. 1, FIG.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and fastener illustrated in FIG. 1, FIG. 5 is a back view of the fastener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6 is a left side view of the fastener illustrated in FIG. 1.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는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 수직컬럼(10)과, 상기 제 1 수직컬럼(10)과 이격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수직컬럼(20)과,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의 하측을 연결하는 로어프레임(110)과,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의 상측을 연결하는 어퍼프레임(120)과, 상기 로어프레임(110) 및 어퍼프레임(120)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30)을 포함한다. A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vertical column (10) arranged vertically, a second vertical column (20) arranged verticall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 lower frame (110) connecting the lower sides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 upper frame (120) connecting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30) connecting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는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의 상측을 연결하고, 상기 어퍼프레임(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수평바(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bar (30) that connects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frame (1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수직컬럼(10), 제 2 수직컬럼(20) 및 수평바(30)는 단면이 사각인 각관이 사용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원통형상의 원형관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the horizontal bar (30) are square tubes with a square cross section, but unlike this embodiment, a cylindrical circular tube may be used.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은 동일한 형상 및 구조이고, 위치에 따른 구분이다. 위치를 특별히 구분하지 않을 경우 컬럼이라 칭하여 설명한다. The abov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second vertical column (20) have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and are distinguished by location. If the location is not specifically distinguished, they are referred to as columns and explained.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는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에 상기 로어프레임(110) 및 어퍼프레임(120)이 조립될 때, 조립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울타리 결속구(200, 이하 결속구라 한다)가 더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Th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eature in that a fence fastener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astener) is further arranged to improve assembly convenience when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are assembled to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상기 결속구(200)는 컬럼에 형성된 컬럼홀(15)에 삽입될 수 있고, 삽입 반대 방향에 대해 상기 컬럼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The above-mentioned fastener (200) can be inserted into a column hole (15) formed in a column,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forming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colum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구(200)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결속구(200)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er (20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Unlike this embodiment, the fastener (20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결속구(200)는 로어프레임(11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어퍼프레임(120)이 좌측 및 우측에도 각각 배치된다. The above fasteners (200) are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is also respectively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좌측 및 우측의 결속구(200)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좌측에 배치된 것을 좌측결속구(201)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것을 우측결속구(202)라 한다. 상기 좌측결속구(201) 및 우측결속구(202)의 구성은 동일하다.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left and right fasteners (200), the one placed on the left is called the left fastener (201), and the one placed on the right is called the right fastener (202). The configurations of the left fastener (201) and the right fastener (202) are the same.
좌측결속구(201) 및 우측결속구(202)의 세구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좌측" 또는 "우측"의 접두어를 붙여 구분한다.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three-component configuration of the left fastener (201) and the right fastener (202), the prefix “left” or “right” is added to distinguish them.
상기 결속구(200)는, 상기 컬럼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서포트플랜지(250)과,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컬럼의 컬럼홀(15) 내부로 삽입되는 이너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플랜지는 적어도 2개가 배치된다. The above-mentioned fastener (200) includes a support flange (25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d an inner flange that is formed by bending the support flange (250) and inserted into the column hole (15) of the column. At least two inner flanges are arranged.
상기 이너플랜지가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플랜지는 4개가 배치된다. The inner flang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In this embodiment, four inner flanges are arranged.
상기 이너플랜지는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에서 절곡되고, 전방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 1 이너플랜지(210)와,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에서 절곡되고, 후방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 2 이너플랜지(220)와,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에서 절곡되고,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 3 이너플랜지(230)와,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에서 절곡되고, 우측을 향하게 배치되는 제 4 이너플랜지(240)를 포함한다. The inner flange includes a first inner flange (210) that is bent at the support flange (250) and arranged to face forward, a second inner flange (220) that is bent at the support flange (250) and arranged to face rearward, a third inner flange (230) that is bent at the support flange (250) and arranged to face left, and a fourth inner flange (240) that is bent at the support flange (250) and arranged to face right.
이너플랜지가 2개만 배치될 경우, 본 실시예의 제 3 이너플랜지(230) 및 제 4 이너플랜지(240)가 배치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When only two inner flanges are arranged,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inner flange (230) and the fourth inner flange (240) of the present embodiment be arranged.
상기 제 1 이너플랜지(210) 및 제 2 이너플랜지(220)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inner flange (210) and the second inner flange (220) are positioned opposite each other and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 및 제 4 이너플랜지(240)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third inner flange (230) and the fourth inner flange (240) are positioned opposite each other and formed in a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의 내측에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이 삽입되는 결속구홀(205)이 형성된다. A fastening hole (205) into which the lower frame (110) or upper frame (12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flange (250).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속구홀(205)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hole (205) is formed in a square shape.
상기 서포트플랜지(250)는 일측에 길게 배치되는 제 1 플랜지부(251)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51)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플랜지부(252)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51) 및 제 2 플랜지부(25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3 플랜지부(253)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51) 및 제 2 플랜지부(25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 4 플랜지부(254)를 포함한다. The above support flange (250)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251) that is arranged lengthwise on one side, a second flange portion (252) that is arranged opposite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 third flange portion (253) that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and a fourth flange portion (254) that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상기 이너플랜지는 상기 제 1 플랜지부(251)에서 컬럼 내부로 절곡되게 배치되는 제 1 이너플랜지(210)와, 상기 제 2 플랜지부(252)에서 컬럼 내부로 절곡되게 배치되는 제 2 이너플랜지(220)와, 상기 제 3 플랜지부(253)에서 컬럼 내부로 절곡되게 배치되는 제 3 이너플랜지(230)와, 상기 제 4 플랜지부(254)에서 컬럼 내부로 절곡되게 배치되는 제 4 이너플랜지(240)를 포함한다. The above inner flange includes a first inner flange (210) that is arranged to be bent into the interior of the column at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 second inner flange (220) that is arranged to be bent into the interior of the column at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a third inner flange (230) that is arranged to be bent into the interior of the column at the third flange portion (253), and a fourth inner flange (240) that is arranged to be bent into the interior of the column at the fourth flange portion (254).
상기 제 1 이너플랜지(210) 및 제 2 이너플랜지(220)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 및 제 4 이너플랜지(240)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The first inner flange (210) and the second inner flange (220) are arranged opposite each other, and the third inner flange (230) and the fourth inner flange (240) are arranged opposite each other.
상기 제 1 이너플랜지(210), 제 2 이너플랜지(220), 제 3 이너플랜지(230) 및 제 4 이너플랜지(240)가 모두 같은 방향으로 절곡된다. The first inner flange (210), the second inner flange (220), the third inner flange (230), and the fourth inner flange (240) are all bent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제 1 이너플랜지(210)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 및 제 4 이너플랜지(240)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너플랜지(220)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 및 제 4 이너플랜지(240)와 각각 이격되어 배치된다. The first inner flange (210)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inner flange (230) and the fourth inner flange (240), respectively, and the second inner flange (220) is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inner flange (230) and the fourth inner flange (240), respectively.
상기 제 1 이너플랜지(210)는 제 1 플랜지부(251)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제 1 이너플랜지바디(215)와, 상기 제 1 이너플랜지바디(215)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1 이너절개부(211)를 포함한다. The above first inner flange (210) includes a first inner flange body (215) formed by bending from a first flange portion (251), and a first inner cut portion (211) formed by cutting from the first inner flange body (215) in an outward direction.
상기 제 1 이너절개부(211)는 쐐기 형태 또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The above first inner cut portion (211) is formed in a wedge shape or a triangular shape.
상기 제 1 이너절개부(211)가 외측 방향으로 절개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이너플랜지바디(215)에 상기 제 1 이너절개홈(211a)이 형성된다. Since the first inner cut portion (211) is cut in an outward direction, the first inner cut groove (211a) is formed in the first inner flange body (215).
상기 제 1 이너절개부(211) 및 제 1 플랜지부(251) 사이에 끼움간격(t)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이 상기 끼움간격(t)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An insertion gap (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ner cut portion (211) and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insertion gap (t).
상기 제 1 이너절개부(211)의 끝단(211a)이 삽입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에 상기 결속구(200)가 삽입될 경우, 상기 제 1 이너절개부(211)의 외측면 경사를 따라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nd (211a) of the first inner cut portion (211) is positioned so that it fac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entry can be easily made along the slo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cut portion (211).
상기 결속구(200)가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경우, 상기 제 1 이너절개부(211)의 끝단(211a)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측면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When the above-mentioned fastener (2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which the end (211a) of the first inner cut portion (211) forms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상기 제 2 이너플랜지(220)는, 제 2 플랜지부(252)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제 2 이너플랜지바디(225)와, 상기 제 2 이너플랜지바디(225)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2 이너절개부(221)를 포함한다. The above second inner flange (220) includes a second inner flange body (225) formed by bending from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and a second inner cut portion (221) formed by cutting from the second inner flange body (225) in an outward direction.
상기 제 2 이너절개부(221)는 쐐기 형태 또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The above second inner cut portion (221) is formed in a wedge shape or a triangular shape.
상기 제 2 이너절개부(221)가 외측 방향으로 절개되기 때문에, 상기 제 2 이너플랜지바디(225)에 상기 제 2 이너절개홈(221a)이 형성된다. Since the second inner cut portion (221) is cut in an outward direction, the second inner cut groove (221a) is formed in the second inner flange body (225).
상기 제 2 이너절개부(221) 및 제 2 플랜지부(252) 사이에 끼움간격(t)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이 상기 끼움간격(t)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An insertion gap (t)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inner cut portion (22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and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insertion gap (t).
상기 제 2 이너절개부(221)의 끝단(221a)이 삽입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에 상기 결속구(200)가 삽입될 경우, 상기 제 2 이너절개부(221)의 외측면 경사를 따라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nd (221a) of the second inner cut portion (221) is positioned so that it face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entry can be easily made along the slop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cut portion (221).
상기 결속구(200)가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경우, 상기 제 2 이너절개부(221)의 끝단(221a)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측면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When the above-mentioned fastener (2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the end (221a) of the second inner cut portion (221) has the characteristic of forming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상기 끼움간격(t)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 1 이너플랜지(210)와 형성되는 것을 제 1 끼움간격이라 하고, 제 2 이너플랜지(220)와 형성되는 것을 제 2 끼움간격이라 하고, 제 3 이너플랜지(230)와 형성되는 것을 제 3 끼움간격이라 하고, 제 4 이너플랜지(240)와 형성되는 것을 제 4 끼움간격이라 한다. When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above fitting intervals (t), the interval formed with the first inner flange (210) is called the first fitting interval, the interval formed with the second inner flange (220) is called the second fitting interval, the interval formed with the third inner flange (230) is called the third fitting interval, and the interval formed with the fourth inner flange (240) is called the fourth fitting interval.
상기 제 1 이너절개부(211) 및 제 2 이너절개부(22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inner cut portion (211) and the second inner cut portion (221) are formed by being bent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 1 이너플랜지바디(215) 및 제 2 이너플랜지바디(225)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The first inner flange body (215) and the second inner flange body (225)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제 1 이너플랜지바디(215) 및 제 2 이너플랜지바디(225)의 내측면에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이 밀착된다. The lower frame (110) or upper frame (120)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flange body (215) and the second inner flange body (225).
상기 제 1 이너플랜지바디(215) 및 제 2 이너플랜지바디(225)이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한다. The above first inner flange body (215) and the second inner flange body (225) gu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이너플랜지(210) 및 제 2 이너플랜지(220)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지만, 결속구(200)를 회전시켜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여도 무관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ner flange (210) and the second inner flange (220) ar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but it does not matter if the fastener (200) is rotated to arrange them in the up-down direction.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는, 제 3 플랜지부(253)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제 3 이너플랜지바디(235)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바디(235)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3 아우터절개부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바디(235)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3 이너절개부(233)를 포함한다. The third inner flange (230) includes a third inner flange body (235) formed by bending from a third flange portion (253), a third outer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outward from the third inner flange body (235), and a third inner cut portion (233) formed by cutting inward from the third inner flange body (235).
상기 제 3 아우터절개부 및 제 3 이너절개부(233)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The third outer cutting portion and the third inner cutting portion (233)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아우터절개부는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제 1 이너플랜지(210) 또는 제 2 이너플랜지(22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third outer cutting portion includes a 3-1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a 3-2 outer cutting portion (232), and the 3-1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the 3-2 outer cutting portion (232)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flange (210) or the second inner flange (220).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상기 제 3 이너절개부(233) 및 제 3 플랜지부(253) 사이에 배치된다. The above 3-1 outer cutting part (231) and the 3-2 outer cutting part (232) are positioned between the 3rd inner cutting part (233) and the 3rd flange part (253).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상기 제 3 플랜지부(253)과 제 3 끼움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The above 3-1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the 3-2 outer cutting portion (232) form a third fitting gap with the third flange portion (253), and the above 3-1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the 3-2 outer cutting portion (232) can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상기 제 3 플랜지부(253)에서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제 3 플랜지부(253)에 제 3-1 아우터절개홈(231a) 및 제 3-2 아우터절개홈(232a)을 형성한다. The above 3-1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the 3-2 outer cutting portion (232) are bent obliquely toward the outside from the 3rd flange portion (253), and a 3-1 outer cutting groove (231a) and a 3-2 outer cutting groove (232a) are formed in the 3rd flange portion (253).
상기 결속구(200)가 수직컬럼에 삽입될 때, 수직컬럼이 제 3 끼움간격에 삽입되면서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의 탄성변형이 해소되고, 이 과정에서 체결충격을 제공하여 작업자가 조립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colum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3-1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the 3-2 outer cutting portion (232) is resolved as the vertical column is inserted into the third fitting interval, and during this process, a fastening shock is provided, so that the worker can intuitively check whether or not assembly is completed.
상기 제 3 이너절개부(233)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제 3 플랜지부(253)에 제 3 이너절개홈(233a)을 형성한다. The third inner cut portion (233) is bent inwardly and forms a third inner cut groove (233a) in the third flange portion (253).
상기 제 3 이너절개부(233)가 상기 결속구(200)에 삽입되는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The third inner cutting portion (233) can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frame (110) or upper frame (12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member (200).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 3 이너절개부(233)가 삽입되는 제 3 절개삽입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A third cut insertion portion (113) into which the third inner cut portion (233) is inserted can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상기 제 3 절개삽입부(113)에 상기 제 3 이너절개부(233)가 삽입되어 삽입 반대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The third inner cut portion (233) can be inserted into the third cut insert portion (113) to form a mutual hook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thereby allowing the lower frame (110) or upper frame (120) to be easily assembled.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있던 상기 제 3 절개삽입부(113)가 상기 제 3 이너절개부(233)로 삽입될 때, 탄성변형이 해소되면서 체결충격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조립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When the third cut insertion part (113) that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or upper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third inner cut part (233), the elastic deformation is relieved, thereby providing a fastening shock, and through this,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allows the worker to intuitively check whether or not assembly is completed.
상기 제 3 절개삽입부(113)는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또는 제 3-2 아우터절개부(232)의 경사방향과 같은 제 3 삽입경사면(113a)을 형성한다. The above third incision insertion portion (113) forms a third insertion slope (113a) that is the same as the slope direction of the 3-1 outer incision portion (231) or the 3-2 outer incision portion (232).
상기 제 4 이너플랜지(240)는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와 대칭되게 배치된다. The above fourth inner flange (240) i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the above third inner flange (230).
상기 제 4 이너플랜지(240)는, 제 4 플랜지부(254)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제 4 이너플랜지바디(245)와, 상기 제 4 이너플랜지바디(245)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4 아우터절개부와, 상기 제 4 이너플랜지바디(245)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4 이너절개부(243)를 포함한다. The above fourth inner flange (240) includes a fourth inner flange body (245) formed by bending from the fourth flange portion (254), a fourth outer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outward from the fourth inner flange body (245), and a fourth inner cut portion (243) formed by cutting inward from the fourth inner flange body (245).
상기 제 4 아우터절개부 및 제 4 이너절개부(243)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다. The above fourth outer cutting portion and the fourth inner cutting portion (243) are bent in opposite directions.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4 아우터절개부는 제 4-1 아우터절개부(241) 및 제 4-2 아우터절개부(2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4-1 아우터절개부(241) 및 제 4-2 아우터절개부(242)가 제 1 이너플랜지(210) 또는 제 2 이너플랜지(22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ourth outer cutting portion includes a 4-1 outer cutting portion (241) and a 4-2 outer cutting portion (242), and the 4-1 outer cutting portion (241) and the 4-2 outer cutting portion (242)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flange (210) or the second inner flange (220).
상기 제 4-1 아우터절개부(241) 및 제 4-2 아우터절개부(242)가 상기 제 4 이너절개부(243) 및 제 4 플랜지부(254) 사이에 배치된다. The above 4-1 outer cutting part (241) and the 4-2 outer cutting part (242) are positioned between the 4th inner cutting part (243) and the 4th flange part (254).
상기 제 4-1 아우터절개부(241) 및 제 4-2 아우터절개부(242)가 상기 제 4 플랜지부(254)과 제 4 끼움간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 4-1 아우터절개부(241) 및 제 4-2 아우터절개부(242)가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The above 4-1 outer cutting portion (241) and the 4-2 outer cutting portion (242) form a fourth fitting gap with the 4th flange portion (254). The above 4-1 outer cutting portion (241) and the 4-2 outer cutting portion (242) can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1st vertical column (10) or the 2nd vertical column (20).
상기 제 4-1 아우터절개부(241) 및 제 4-2 아우터절개부(242)가 상기 제 4 플랜지부(254)에서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제 4 플랜지부(254)에 제 4-1 아우터절개홈 및 제 4-2 아우터절개홈을 형성한다. The above 4-1 outer cutting portion (241) and the 4-2 outer cutting portion (242) are bent obliquely toward the outside in the 4th flange portion (254), and form the 4-1 outer cutting groove and the 4-2 outer cutting groove in the 4th flange portion (254).
상기 제 4 이너절개부(243)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고, 상기 제 4 플랜지부(254)에 제 4 이너절개홈(243a)을 형성한다. The fourth inner cut portion (243) is bent inwardly and forms a fourth inner cut groove (243a) in the fourth flange portion (254).
상기 제 4 이너절개부(243)가 상기 결속구(200)에 삽입되는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The above fourth inner cutting portion (243) can elastically support the lower frame (110) or upper frame (12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member (200).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제 4 이너절개부(243)가 삽입되는 제 4 절개삽입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A fourth incision insertion portion (114) into which the fourth inner incision portion (243) is inserted can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상기 제 4 절개삽입부(114)에 상기 제 4 이너절개부(243)가 삽입되어 삽입 반대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The fourth inner cut portion (243) can be inserted into the fourth cut insert portion (114) to form a mutual hook in the opposite insertion direction, thereby allowing the lower frame (110) or upper frame (120) to be easily assembled.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있던 상기 제 4 절개삽입부(114)가 상기 제 4 이너절개부(233)로 삽입될 때, 탄성변형이 해소되면서 체결충격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조립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When the fourth cut insertion portion (114) that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or upper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fourth inner cut portion (233), elastic deformation is relieved, thereby providing a fastening shock, and through this,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that the worker can intuitively check whether or not assembly is completed.
상기 제 4 절개삽입부(114)는 상기 제 4-1 아우터절개부(241) 또는 제 4-2 아우터절개부(242)의 경사방향과 같은 제 4 삽입경사면(114a)을 형성한다. The above fourth incision insertion portion (114) forms a fourth insertion slope (114a) that is the same as the slope direction of the 4-1 outer incision portion (241) or the 4-2 outer incision portion (242).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결속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ence faste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결속구(200)는, 상기 컬럼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서포트플랜지(250)과,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컬럼의 컬럼홀(15) 내부로 삽입되는 이너플랜지와,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에서 상기 컬럼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의 외측면을 감싸게 배치되는 아우터플랜지(260)를 포함한다.The fence faste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flange (25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 inner flange that is formed by being bent from the support flange (250) and inserted into the column hole (15) of the column, and an outer flange (260) that protrudes from the support flange (25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lumn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상기 아우터플랜지(260)는 상기 제 1 이너플랜지(210)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 1 아우터플랜지(261)와, 상기 제 2 이너플랜지(220)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 2 아우터플랜지(262)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 3 아우터플랜지(263)와, 상기 제 4 이너플랜지(240)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 4 아우터플랜지(264)를 포함한다. The above outer flange (260) includes a first outer flange (261) arranged in a row with the first inner flange (210), a second outer flange (262) arranged in a row with the second inner flange (220), a third outer flange (263) arranged in a row with the third inner flange (230), and a fourth outer flange (264) arranged in a row with the fourth inner flange (24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플랜지(260)는 사각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outer flange (260) is formed in a square pipe shap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아우터플랜지(261) 및 제 2 아우터플랜지(262)의 상단을 상기 제 3 아우터플랜지(263)가 연결하고, 상기 제 1 아우터플랜지(261) 및 제 2 아우터플랜지(262)의 하단을 상기 제 4 아우터플랜지(264)가 연결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nds of the first outer flange (261) and the second outer flange (262) are connected by the third outer flange (263),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outer flange (261) and the second outer flange (262) are connected by the fourth outer flange (264).
상기 아우터플랜지(260)의 내측에 사각기둥 형태의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속구홀(205)과 연통된다. A hollow rectangular colum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lange (260) and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205).
상기 아우터플랜지(260)가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의 외측면을 감싸 빗물 등이 상기 결속구홀(205)을 통해 컬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above outer flange (260) has a feature that can block rainwater and the like from flowing into the column through the fastening hole (205) by wrapping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110) or upper frame (120).
또한 상기 아우터플랜지(260)가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을 넓은 면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에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서포트플랜지(250) 또는 컬럼이 압괴 또는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flange (260) supports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over a large area, even if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the support flange (250) or the colum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rushed or deformed.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결속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캡의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ence faste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left side view of the cap illustrated in FIG. 8,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9.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결속구(200)는, 컬럼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는 이너플랜지와, 상기 이너플랜지와 일렬로 연결되고 컬럼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아우터플랜지(260)와, 상기 아우터플랜지(260)를 감싸도록 조립되는 캡(300)을 포함한다. A fence faste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ner flange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a column, an outer flange (260) connected in a line with the inner flange and arranged to protrude to the exterior of the column, and a cap (300) assembled to surround the outer flange (260).
상기 이너플랜지는, 전방을 향하게 배치되고, 컬럼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는 제 1 이너플랜지(210)와, 후방을 향하게 배치되고, 컬럼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는 제 2 이너플랜지(220)와, 좌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컬럼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는 제 3 이너플랜지(230)와, 우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컬럼 내부로 삽입되게 배치되는 제 4 이너플랜지(240)를 포함한다.The above inner flange includes a first inner flange (210) arranged to face forward and be inserted into the column, a second inner flange (220) arranged to face rearward and be inserted into the column, a third inner flange (230) arranged to face left and be inserted into the column, and a fourth inner flange (240) arranged to face right and be inserted into the column.
상기 이너플랜지의 구조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structure of the above inner flange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아우터플랜지(260)는, 상기 제 1 이너플랜지(210)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 1 아우터플랜지(261)와, 상기 제 2 이너플랜지(220)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 2 아우터플랜지(262)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 3 아우터플랜지(263)와, 상기 제 4 이너플랜지(240)와 일렬로 배치되는 제 4 아우터플랜지(264)를 포함한다. The above outer flange (260) includes a first outer flange (261) arranged in a row with the first inner flange (210), a second outer flange (262) arranged in a row with the second inner flange (220), a third outer flange (263) arranged in a row with the third inner flange (230), and a fourth outer flange (264) arranged in a row with the fourth inner flange (240).
본 실시예에 따른 울타리 결속구(200)는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달리 서포트플랜지가 생략된다. Unlike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the fence faste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mits the support flange.
상기 아우터플랜지의 구조는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structure of the above outer flange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기 이너플랜지 및 아우터플랜지(260)는 일체로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30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flange and outer flange (260) above are formed integrally and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The cap (30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캡(300)은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측에 캡홀(305)이 형성되며, 상기 캡홀(305)에 상기 아우터플랜지(260)가 삽입되어 조립된다. The above cap (300) is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has a cap hole (305) formed on the inside, and is assembled by inserting the outer flange (260) into the cap hole (305).
상기 캡(300)은, 상기 제 1 아우터플랜지(261)의 외측에 밀착되는 제 1 캡바디(310)와, 상기 제 2 아우터플랜지(262)의 외측에 밀착되는 제 2 캡바디(320)와, 상기 제 3 아우터플랜지(263)의 외측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캡바디(310) 및 제 2 캡바디(320)를 연결하는 제 3 캡바디(330)와, 상기 제 4 아우터플랜지(264)의 외측에 밀착되고, 상기 제 1 캡바디(310) 및 제 2 캡바디(320)를 연결하는 제 4 캡바디(340)를 포함한다. The cap (300) includes a first cap body (31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first outer flange (261), a second cap body (32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second outer flange (262), a third cap body (33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third outer flange (263) and connects the first cap body (310) and the second cap body (320), and a fourth cap body (34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fourth outer flange (264) and connects the first cap body (310) and the second cap body (320).
상기 제 1 캡바디(310)의 내측면(311)에 상기 제 1 아우터플랜지(261)의 외측면이 밀착되고, 상기 제 2 캡바디(320)의 내측면(321)에 상기 제 2 아우터플랜지(262)의 외측면이 밀착되고, 상기 제 3 캡바디(330)의 내측면(331)에 상기 제 3 아우터플랜지(263)의 외측면이 밀착되고, 상기 제 4 캡바디(340)의 내측면(341)에 상기 제 4 아우터플랜지(264)의 외측면이 밀착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flange (26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311) of the first cap body (310),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flange (26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321) of the second cap body (320),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outer flange (26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331) of the third cap body (3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ourth outer flange (26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341) of the fourth cap body (340).
상기 캡(300)은, 상기 제 1 캡바디(310)의 내측면(311)에서 제 2 캡바디(32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아우터플랜지(261)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 1 스토퍼부(315)와, 상기 제 2 캡바디(320)의 내측면(321)에서 제 1 캡바디(31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아우터플랜지(262)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 2 스토퍼부(325)와, 상기 제 3 캡바디(330)의 내측면(331)에서 제 4 캡바디(34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3 아우터플랜지(263)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 3 스토퍼부(335)와, 상기 제 4 캡바디(340)의 내측면(341)에서 제 3 캡바디(330)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4 아우터플랜지(264)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 4 스토퍼부(345)를 더 포함한다. The cap (300) comprises a first stopper part (315)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311) of the first cap body (310) toward the second cap body (320) and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rst outer flange (261), a second stopper part (325)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321) of the second cap body (320) toward the first cap body (310) and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second outer flange (262), a third stopper part (335)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331) of the third cap body (330) toward the fourth cap body (340) and limi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third outer flange (263), and a fourth cap body (340) It further includes a fourth stopper portion (345) that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341) toward the third cap body (330) and limits the insertion depth of the fourth outer flange (264).
상기 제 1 스토퍼부(315), 제 2 스토퍼부(325), 제 3 스토퍼부(335) 및 제 4 스토퍼부(345)의 돌출길이(P)는 각 아우터플랜지의 두께와 같다. The protrusion length (P) of the first stopper part (315), the second stopper part (325), the third stopper part (335), and the fourth stopper part (345)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each outer flange.
그래서 상기 제 1 스토퍼부(315), 제 2 스토퍼부(325), 제 3 스토퍼부(335) 및 제 4 스토퍼부(345)의 각 내측면과 각 아우터플랜지의 내측면이 연속된 평면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의 삽입 시 마찰 또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stopper part (315), the second stopper part (325), the third stopper part (335), and the fourth stopper part (345) and the inner surface of each outer flange form a continuous plane, thereby minimizing friction or interference when inserting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본 실시예에 상기 캡(300)은 상기 아우터플랜지(260)와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캡걸림부가 더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cap (3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ap engaging portion that forms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outer flange (26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캡걸림부는 상기 제 1 캡바디(310)의 내측면(311)에서 상기 제 2 캡바디(320) 측으로 돌출된 제 1 캡걸림부(370)와, 상기 제 2 캡바디(320)의 내측면(321)에서 상기 제 1 캡바디(310) 측으로 돌출된 제 2 캡걸림부(380)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ap catch portion includes a first cap catch portion (37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311) of the first cap body (310) toward the second cap body (320), and a second cap catch portion (380)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321) of the second cap body (320) toward the first cap body (310).
상기 아우터플랜지(260)는, 상기 제 1 아우터플랜지(261)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1 걸림홀(271)과, 상기 제 2 아우터플랜지(262)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2 걸림홀(272)을 더 포함한다. The above outer flange (260) further includes a first catch hole (271)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outer flange (261) and a second catch hole (272)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outer flange (262).
상기 제 1 캡걸림부(370)가 상기 제 1 걸림홀(271)에 삽입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캡걸림부(380)가 상기 제 2 걸림홀(272)에 삽입되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The first cap catch portion (370)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tch hole (271) to form a mutual catch, and the second cap catch portion (38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catch hole (272) to form a mutual catch.
상기 제 1 캡바디(310) 및 제 1 아우터플랜지(261)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 1 캡걸림부(370)에 경사면이 형성된다.To facilitate assembly of the first cap body (310) and the first outer flange (261),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first cap engaging portion (370).
상기 제 1 캡걸림부(370)는 상기 제 1 아우터플랜지(261)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 1 캡경사면(371)과, 상기 제 1 캡경사면(371)의 삽입 방향 끝단에서 상기 제 1 캡바디(310)의 내측면(311)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1 걸림단(372)을 포함한다.The first cap-catching portion (370) includes a first cap-slanted surface (371) that protrudes obliquely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flange (261), and a first catch end (372) that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end of the first cap-slanted surface (371) to the inner surface (311) of the first cap body (310).
상기 제 1 캡경사면(371)은 상기 아우터플랜지(260)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캡바디(32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아우터플랜지(261)의 삽입 시 상호 걸림을 방지한다. The above first cap slope (371)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econd cap body (320) as it increases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outer flange (260), thereby preventing mutual interference when inserting the first outer flange (261).
상기 제 1 걸림단(372)이 상기 제 1 걸림홀(271)에 삽입되어 상기 아우터플랜지(260)의 삽입반대 방향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The above first catch (372) is inserted into the above first catch hole (271) to form a mutual catch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outer flange (260).
상기 제 2 캡걸림부(380)는 상기 제 2 아우터플랜지(262)의 삽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 2 캡경사면(미도시)과, 상기 제 2 캡경사면의 삽입 방향 끝단에서 상기 제 2 캡바디(320)의 내측면(321)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제 2 걸림단(미도시)을 포함한다.The second cap-catching portion (380) includes a second cap-slanted surface (not shown) that protrudes obliquely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econd outer flange (262), and a second catch end (not shown) that is formed to be bent from the insertion direction end of the second cap-slanted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321) of the second cap body (320).
상기 제 1 캡걸림부(370) 및 제 2 캡걸림부(380)는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Since the first cap-catching portion (370) and the second cap-catching portion (380) ar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상술한 구조를 통해 상기 캡(300) 및 아우터플랜지(260)가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캡(300)이 상기 아우터플랜지(260)를 감싸게 배치되고, 상기 컬럼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컬럼홀(15)을 보다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고, 빗물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cap (300) and the outer flange (260) can be easily assembled. Since the cap (30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flange (26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lumn, the column hole (15) can be sealed more effectively, and rainwat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similar to the second embodiment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but also by equivalents of the scope of the claims.
10 : 제 1 수직컬럼
20 : 제 2 수직컬럼
110 : 로어프레임
120 : 어퍼프레임
200 : 울타리 결속구
210 : 제 1 이너플랜지
220 : 제 2 이너플랜지
230 : 제 3 이너플랜지
240 : 제 4 이너플랜지
250 : 서포트플랜지
260 : 아우터플랜지
300 : 캡10: 1st vertical column
20: 2nd vertical column
110 : Lower Frame
120 : Upper Frame
200 : Fence tie-down
210: 1st inner flange
220: 2nd inner flange
230: 3rd inner flange
240: 4th inner flange
250 : Support flange
260 : Outer flange
300 : Cap
Claims (5)
상기 제 1 수직컬럼(10)과 이격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2 수직컬럼(20);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의 하측을 연결하는 로어프레임(110);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및 제 2 수직컬럼(20)의 상측을 연결하는 어퍼프레임(120);
상기 로어프레임(110) 및 어퍼프레임(120)을 상하 방향으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30);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이 관통되게 조립되는 울타리 결속구(200);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200)는,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서포트플랜지(250); 상기 서포트플랜지(250)에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컬럼홀(15) 내부로 삽입되는 이너플랜지; 상기 서포트플랜지(250)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로어프레임(110) 또는 어퍼프레임(120)이 삽입되는 결속구홀(205);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플랜지(250)는, 일측에 길게 배치되는 제 1 플랜지부(251)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51)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 2 플랜지부(252)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51) 및 제 2 플랜지부(25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3 플랜지부(253)와, 상기 제 1 플랜지부(251) 및 제 2 플랜지부(25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 4 플랜지부(254)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플랜지는, 상기 제 1 플랜지부(251)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1 이너플랜지(210)와, 상기 제 2 플랜지부(252)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2 이너플랜지(220)와, 상기 제 3 플랜지부(253)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3 이너플랜지(230)와, 상기 제 4 플랜지부(254)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4 이너플랜지(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이너플랜지(230)는,
상기 제 3 플랜지부(253)에서 절곡되어 형성된 제 3 이너플랜지바디(235)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바디(235)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3 아우터절개부와, 상기 제 3 이너플랜지바디(235)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제 3 이너절개부(233)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아우터절개부는,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제 1 이너플랜지(210) 또는 제 2 이너플랜지(22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상기 제 3 플랜지부(253)과 제 3 끼움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제 3-1 아우터절개부(231) 및 제 3-2 아우터절개부(232)가 상기 제 1 수직컬럼(10) 또는 제 2 수직컬럼(20)과 상호 걸림을 형성하는 울타리.
First vertical column (10);
A second vertical column (20) arranged verticall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 lower frame (110) connecting the lower sides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 upper frame (120) connecting the upper sides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and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130) connecting the lower frame (110) and the upper frame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ncludes a fence fastening member (200)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at least one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is assembled so that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passes through it;
The above-mentioned fastener (200) is
It includes a support flange (250)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 inner flange that is formed by bending in the support flange (250) and inserted into the column hole (15)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a fastening hole (205) that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pport flange (250) and into which the lower frame (110) or the upper frame (120) is inserted.
The above support flange (250)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251) that is arranged long on one side, a second flange portion (252) that is arranged opposite to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 third flange portion (253) that connects the upper ends of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and a fourth flange portion (254) that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nd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The inner flange includes a first inner flange (210) that is bent at the first flange portion (251)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 second inner flange (220) that is bent at the second flange portion (252)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 third inner flange (230) that is bent at the third flange portion (253)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and a fourth inner flange (240) that is bent at the fourth flange portion (254) and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vertical column (10) or the second vertical column (20).
The above third inner flange (230) is
It includes a third inner flange body (235) formed by bending from the third flange portion (253), a third outer cut portion formed by cutting outward from the third inner flange body (235), and a third inner cut portion (233) formed by cutting inward from the third inner flange body (235).
The above third outer cutting part includes a 3-1 outer cutting part (231) and a 3-2 outer cutting part (232).
The above 3-1 outer cutting part (231) and the 3-2 outer cutting part (232) ar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inner flange (210) or the second inner flange (220),
A fence in which the 3-1st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the 3-2nd outer cutting portion (232) form a third fitting gap with the 3rd flange portion (253), and the 3-1st outer cutting portion (231) and the 3-2nd outer cutting portion (232) form a mutual engagement with the 1st vertical column (10) or the 2nd vertical column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59996A KR102761071B1 (en) | 2024-05-07 | 2024-05-07 | Fence using fenc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59996A KR102761071B1 (en) | 2024-05-07 | 2024-05-07 | Fence using fence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61071B1 true KR102761071B1 (en) | 2025-01-31 |
Family
ID=94385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59996A Active KR102761071B1 (en) | 2024-05-07 | 2024-05-07 | Fence using fenc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61071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11360B (en) * | 2013-12-30 | 2016-01-27 | 无锡帝安福科技有限公司 | Assembled fense |
KR101645161B1 (en) * | 2015-12-28 | 2016-08-12 | (주)엠에스티통상 | Pillar inserting type rail connec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KR101729175B1 (en) | 2016-05-17 | 2017-04-21 | 이남희 | Wood fence structure including wood support having rigidity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KR102157134B1 (en) * | 2020-02-17 | 2020-09-17 | 양희숙 | Railing structure that can be assembled |
KR102273524B1 (en) | 2019-08-23 | 2021-07-06 | 주식회사 퍼팩트 | Wood fence |
KR102451668B1 (en) * | 2022-05-26 | 2022-10-06 | (주)제이엠에스씨 | Handrail structure |
-
2024
- 2024-05-07 KR KR1020240059996A patent/KR1027610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711360B (en) * | 2013-12-30 | 2016-01-27 | 无锡帝安福科技有限公司 | Assembled fense |
KR101645161B1 (en) * | 2015-12-28 | 2016-08-12 | (주)엠에스티통상 | Pillar inserting type rail connect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KR101729175B1 (en) | 2016-05-17 | 2017-04-21 | 이남희 | Wood fence structure including wood support having rigidity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KR102273524B1 (en) | 2019-08-23 | 2021-07-06 | 주식회사 퍼팩트 | Wood fence |
KR102157134B1 (en) * | 2020-02-17 | 2020-09-17 | 양희숙 | Railing structure that can be assembled |
KR102451668B1 (en) * | 2022-05-26 | 2022-10-06 | (주)제이엠에스씨 | Handrail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38457B1 (en) | Screen support assembly with wide lateral support efficiency | |
CN110494616A (en) | Rattan teapoy building system and bracket | |
KR101345989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parapet | |
US11598116B1 (en) | Mounting system for separating and connecting fencing slabs | |
US9044100B1 (en) | Bed frame | |
KR101702348B1 (en) | Structural system for floor deck | |
JP2016108893A (en) | Connection structure | |
KR102761071B1 (en) | Fence using fence connector | |
DE202005011222U1 (en) | Fence fastening with fence post and holding device consist of U-shaped clamp connected to the post using U-legs pushed into slits on fence post | |
KR102249911B1 (en) | Handrail post for deck rod with welding joint uint | |
US20050067609A1 (en) | Vertical fencing | |
JP6667273B2 (en) | Mounting structure of tension rod | |
US20070131919A1 (en) | Picket fence assembly | |
KR102190330B1 (en) | Fastening device with clearance adjustment function in the non-weld fence | |
KR101477752B1 (en) | Guard fence for easy construction of free ang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JP3883820B2 (en) | Brace mounting structure | |
KR101282747B1 (en) | Width-pipe of expansion joint fence for possibility | |
US20040131417A1 (en) | Connectors | |
CA3049483C (en) | Connection system with connector piece for timber constructions | |
KR102023043B1 (en) | A post for wood fence | |
KR102760714B1 (en) | wood coupling structure | |
JP6664282B2 (en) | Connecting device and roof structure using the connecting device | |
JP7669212B2 (en) | fence | |
KR102023039B1 (en) | A post for wood fence | |
KR200482966Y1 (en) | Screw assembly and structure for supporting tree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6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