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8354B1 - Support device for farming crop and crop fa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Google Patents
Support device for farming crop and crop fa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8354B1 KR102758354B1 KR1020210144234A KR20210144234A KR102758354B1 KR 102758354 B1 KR102758354 B1 KR 102758354B1 KR 1020210144234 A KR1020210144234 A KR 1020210144234A KR 20210144234 A KR20210144234 A KR 20210144234A KR 102758354 B1 KR102758354 B1 KR 1027583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upport
- crop cultivation
- bed
- cultivation facilit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23—Greenhouse bench struc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는,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방으로 가면서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고,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판부; 및 개구를 가지되 상기 개구가 상방에 대해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을 바라보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놓여지는 복수의 베드를 구비하는 베드부를 포함한다.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portion including two frame members having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upward when viewed along a reference direction and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 support plat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connecting the two frame members; and a bed portion having an opening, the opening bein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eds plac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such that the opening faces an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물재배용 지지체와 이를 포함하는 작물재배 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for crop cultivation and a crop cultivation facility including the same.
작물, 그 중에서도 예를 들어 인삼의 재배를 위해서, 인삼의 묘종에 해당하는 묘삼의 생산이 필요하다. 묘삼을 재배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한다.In order to grow crops, such as ginseng, it is necessary to produce seedlings of ginseng.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growing seedlings.
묘삼은 밭에서 노지재배될 수 있다. 인삼 묘삼을 노지재배할 경우, 수직으로는 공간을 활용할 수 없어 면적의 사용 효율이 한정되며, 아무 장소나 재배를 위한 장소로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Ginseng seedlings can be grown in open fields. When ginseng seedlings are grown in open field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cannot be utilized vertically, so the efficiency of area use is limited, and any location cannot be selected for cultivation.
묘삼은 온실 등에서 재배될 수 있고, 수경재배 될 수도 있다. 온실, 하우스, 식물공장 등에서 묘삼을 재배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벤치형 방식은 시설규모, 하중 등의 요소에 의해서 재배상태가 제한되어, 생육환경 조절 및 재배/관리 제어에 편의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Ginseng seedlings can be grown in greenhouses, etc., and can also be grown hydroponically. When growing ginseng seedlings in greenhouses, houses, plant factories, etc., the bench-type method that can be used has the problem that the cultivation conditions are limited by factors such as facility size and load, and thus the convenience of controlling the growing environment and cultivation/management is low.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작물의 재배 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 각 베드에 대한 환경요인의 조절이 용이한 작물재배용 지지체와 이를 포함하는 작물재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problems, and provides a crop cultivation support which can increase space utilization during crop cultivation and facilitate control of environmental factors for each bed, and a crop cultivation facilit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는,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방으로 가면서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판부; 및 개구를 가지되 상기 개구가 상방에 대해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을 바라보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놓여지는 복수의 베드를 구비하는 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드 중 적어도 일부 베드들에서, 일 베드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보다, 상기 일 베드의 하측에 위치한 타 베드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가 더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베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의 각각에는, 상기 베드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고정홈이 복수 개 형성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는,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방으로 가면서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판부; 및 개구를 가지되 상기 개구가 상방에 대해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을 바라보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놓여지는 복수의 베드를 구비하는 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드는,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 중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한 측벽의 높이는 다른 측벽들의 높이보다 크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는,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방으로 가면서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2개의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판부; 및 개구를 가지되 상기 개구가 상방에 대해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을 바라보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놓여지는 복수의 베드를 구비하는 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안착되는 상기 베드의 개구가 향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가지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판은 상기 기준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지지부재, 상기 가로지지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봤을 때 하방으로 볼록한 곡선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곡선지지부재 및 상기 곡선지지부재를 따라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고정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상기 복수의 지지고정공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각도조절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재가 연장된 방향들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레임슬롯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p cultivation facility comprises: a frame portion including two frame members having a shape in which a width decreases upward when viewed along a reference direction and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 support plat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connecting the two frame members; and a bed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beds which are arrang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such that the openings face upwardly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wherein i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eds, the plurality of beds are arranged such that an angle of an opening of another bed located below one of the bed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ends to be smaller than an angle of an opening of one b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ar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so as to exten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such that an edge of the bed is inserted into and fixed there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p cultivation facility comprises: a frame portion including two frame members having a shape in which a width decreases upward when viewed along a reference direction and whic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 support plat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connecting the two frame members; and a bed portion having an opening, the opening being position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such that the opening faces upward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wherein the bed includes a plurality of side walls surrounding the opening, and a height of a side wall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mong the plurality of side walls is greater than the heights of the other side wall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rop cultivation facility, comprising: a frame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a width decreases upward when viewed along a reference direction, and two frame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 support plat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connecting the two frame members; And a bed section having a plurality of beds plac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such that the openings face upwardly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sec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each including a rotating support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section so as to selectively have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s of the beds to be seated face, the rotating support plate including a horizontal support member extending in the reference direction, a curved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having a curved profile convex downward when view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formed along the curved support member,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further including an angle adjusting member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and the frame member, and the frame section further includes a frame slot formed to extend along directions in which the frame member is extended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angle adjusting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지지체는,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방으로 가면서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2개의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고, 각각 작물재배를 위한 베드가 놓여지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의 각각에는, 상기 베드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고정홈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베드 중 적어도 일부 베드들에서, 일 베드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보다, 상기 일 베드의 하측에 위치한 타 베드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가 더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도록 상기 복수의 베드가 배치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지지체는,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방으로 가면서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2개의 프레임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고, 각각 작물재배를 위한 베드가 놓여지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안착되는 상기 베드의 개구가 향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가지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판은 상기 기준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지지부재, 상기 가로지지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봤을 때 하방으로 볼록한 곡선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곡선지지부재 및 상기 곡선지지부재를 따라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고정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상기 복수의 지지고정공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각도조절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재가 연장된 방향들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레임슬롯을 더 포함한다. A crop cultivation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rame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a width decreases upward when viewed along a reference direction, and two frame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nd a support plate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connecting the two frame members and provided so that a bed for crop cultivation is plac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wherein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re formed so that an edge of the bed is inserted into and fixed, and the plurality of beds are arranged so that, i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eds, an angle of an opening of another bed located below one of the bed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tends to be smaller than an angle of an opening of one b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p cultivation support comprises a frame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upward when viewed along a reference direction, and two frame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nd a support plate portion which connects the two frame members and ha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on which a bed for cultivating crops is placed,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each include a rotating support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so as to selectively have a direction in which an opening of the bed to be installed faces, and the rotating support plate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member extended in the reference direction, a curved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having a curved profile convex downward when view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formed along the curved support member,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ing member which can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and the frame member, and the frame portion further includes a frame slot which is formed to extend along directions in which the frame member is extended so as to allow the angle adjusting member to be coupled.
이에 따라, 작물의 재배 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면서 각 베드에 대한 환경요인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when growing crops, while environmental factors for each bed can be easily controll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전후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지지체를 전후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전후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의 작물재배용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전후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for crop cultiv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of a crop cultiv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IG. 5 is a drawing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cultivation support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rawing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전후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는 작물재배용 지지체와 베드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지지체는 프레임부(10)와 지지판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서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표시된 것이다. 기준방향은 전후방향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op cultivation support and a bed portion (30). The crop cultiv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ortion (10) and a support plate portion (20).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up/down direction mean mutually orthogonal directions, but are indicated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eference direction may be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프레임부(10)Frame part (10)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지지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용 지지체를 전후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p cultiv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of a crop cultivation suppo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프레임부(10)는 전측 프레임부재(11)와 후측 프레임부재(12)를 포함하여, 2개의 프레임부재(11, 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재(11, 12)는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방으로 가면서 폭이 줄어드는 형상을 가진다. 2개의 프레임부재(11, 12)는 기준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재(11, 1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2개로 설명하나, 2개보다 많은 개수로 구성될 수 있고,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frame member (10) may include two frame members (11, 12), including a front frame member (11) and a rear frame member (12). The frame members (11, 12)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upward when view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The two frame members (11, 12)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The number of frame members (11, 12) is described as two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configured in a number greater than two, and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프레임부재(11, 12)는 상방에 대해 프레임부(10)의 폭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서로 만나는 2개의 프레임로드(101, 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로드(101)와 제2 프레임로드(102)의 상단부가 서로 만나 결합되어 프레임부재(11, 12)를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부(10)의 폭방향은 좌우방향일 수 있다.The frame member (11, 12) may include two frame rods (101, 102) that are inclined in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10) with respect to the upper side and meet each other. The upper ends of the first frame rod (101) and the second frame rod (102) may meet each other and be combined to form the frame member (11, 12).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10) may be the left-right direction.
프레임부재(11, 12)는 지지로드(10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로드(103)는 2개의 프레임로드(101, 102)를 연결하도록 각각의 프레임로드(101, 10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프레임로드(101, 102)와 지지로드(103)가 'A'자 형의 프레임부재(11, 12)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로드(103)는 복수의 지지판(21, 22) 중 가장 하측의 지지판(21, 22)보다 하측에서 2개의 프레임로드(101, 102)에 연결될 수 있다.The frame members (11, 12) may include support rods (103). The support rods (103)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frame rods (101, 102) to connect the two frame rods (101, 102). Accordingly, the two frame rods (101, 102) and the support rods (103) may form an 'A'-shaped frame member (11, 12). The support rods (103) may be connected to the two frame rods (101, 102) at a lower side than the lowest support plate (21, 22)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21, 22).
지지판부(20)Support board (20)
지지판부(20)는 2개의 프레임부재(11, 12)를 연결한다. 지지판부(20)는 2개의 프레임부재(11, 12)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판(21, 22)을 포함한다. 복수의 지지판(21, 22)은 프레임부재(11, 12)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판(21, 22) 중 일 지지판(21, 22)의 하단과, 일 지지판(21, 22)과 인접하여 일 지지판(21, 22)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판(21, 22)의 상단은,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하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서로 인접한 지지판(21, 22)은 서로 일부 중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부(20)의 구성에 의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0) connects two frame members (11, 12). The support plate (2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21, 22) connecting the two frame members (11, 12).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21, 22)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rame members (11, 12). The lower end of one support plate (21, 22)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21, 22)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late (21, 22) adjacent to one support plate (21, 22) and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one support plate (21, 22)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When view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lates (21, 22)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can partially overlap each other. The space can be efficiently utiliz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late (20) as described above.
도면에서 8개의 지지판(21, 22)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고, 프레임부(10)의 좌측에 좌측 지지판(21)이, 우측에 우측 지지판(22)이 각각 4개로 동일한 개수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 eight support plates (21, 22) are depicted as being arranged, and the left support plate (21) is depicted as being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part (10) and the right support plate (22) is depicted as being arranged in the same number of four,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가장 상측에 위치한 지지판(21, 22)의 상단은 프레임부재(11, 12)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가장 하측에 위치한 지지판(21, 22)의 하단은 프레임부재(11, 12)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support plate (21, 22)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frame member (11, 12).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support plate (21, 22)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frame member (11, 12).
지지판(21, 22)은, 제1 판부재(201)와 제2 판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판부재(201)와 제2 판부재(202)가 결합되어 지지판(21, 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판부재(201)는 2개의 프레임부재(11, 12)를 연결하고, 2개의 프레임부재(11, 12)가 형성하는 2개의 경사면 중 하나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2개의 프레임부재(11, 12)는 좌방을 바라보는 경사면과 우방을 바라보는 경사면을 하나씩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사면 중 어느 하나에 제1 판부재(201)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판부재(201)가 어느 한 경사면을 따라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나열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21, 22) may include a first plate member (201) and a second plate member (202). The first plate member (201)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2) may be combined to form the support plate (21, 22). The first plate member (201) connects two frame members (11, 12) and may be arranged along one of two inclined planes formed by the two frame members (11, 12). The two frame members (11, 12) may form one inclined plane facing left and one inclined plane facing right, and the first plate member (201) may be combined with one of these inclined planes. A plurality of first plate members (201) may be arranged along one inclined plan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2 판부재(202)는 제1 판부재(201)로부터 프레임부(10)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판부재(202)는 제1 판부재(201)의 하단과 인접한 영역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판부재(202)는, 프레임부(10)의 폭방향 외측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베드(31, 32)가 프레임부(10)의 폭방향 외측으로 제2 판부재(202)를 따라 미끄러져 이탈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판부재(202)와 제1 판부재(201)는 서로 나란하지 않게 배치되어, 서로 둔각을 형성할 수 있고, 베드(31, 32)의 서로 다른 부분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The second plate member (202) protrudes from the first plate member (201)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0). The second plate member (202) may protrude from an area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late member (201). The second plate member (202) may be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ed (31, 32) from sliding and falling off along the second plate member (202)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10). The second plate member (202) and the first plate member (201) may be arranged not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each other, and may support different parts of the beds (31, 32), respectively.
베드부(30)Bedbu (30)
베드부(30)는 작물의 재배를 위한 복수의 베드(31, 32)를 구비한다. 베드(31, 32)에 작물의 재배를 위한 토양이 채워질 수 있고, 작물이 심어질 수 있다. 복수의 베드(31, 32)는 각각 개구를 가지되 개구가 상방에 대해 프레임부(10)의 폭방향 외측을 바라보도록 복수의 지지판(21, 22)에 각각 놓여진다. 복수의 베드(31, 32)는, 각각 복수의 지지판(21, 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베드(31, 32)를 독립적으로 관리하여 각각의 베드(31, 32)에 심겨진 작물에 대한 적절한 생육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다.The bed section (30) has a plurality of beds (31, 32) for cultivating crops. The beds (31, 32) can be filled with soil for cultivating crops, and crops can be planted. The plurality of beds (31, 32) are placed on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21, 22) so that each has an opening and the opening faces upward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section (10). The plurality of beds (31, 32)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21, 22), respectively. Each of these beds (31, 32) can be managed independently to create an appropriate growing environment for crops planted in each bed (31, 32).
도면에서 8개의 지지판(21, 22)에 대응되는 8개의 베드(31, 32)가 각각의 지지판(21, 22)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고, 프레임부(10)의 좌측에 좌측 베드(31)가, 우측에 우측 베드(32)가 각각 4개로 동일한 개수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그 개수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drawing, eight beds (31, 32) corresponding to eight support plates (21, 22) are depicted as being arranged one on each support plate (21, 22), and four left beds (31) are depicted as being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frame part (10) and four right beds (32) are depicted as being arranged on the right side, but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전후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FIG. 5 is a drawing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복수의 베드(31, 32) 중 일 베드(31, 32)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보다, 일 베드(31, 32)의 하측에 위치한 타 베드(31, 32)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가 더 작도록, 복수의 베드(31, 3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방에 위치한 베드(31, 32)일수록 개구가 바라보는 방향이 상방보다는 좌우방향을 더 많이 바라볼 수 있다.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eds (31, 32) may be arranged so that the angle of the opening of one bed (31, 32)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angle of the opening of the other bed (31, 32) located below one bed (31, 32).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bed (31, 32) is, the more the opening face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ather than the upper direction.
도면을 참조해 구체적으로, 가장 상측에 위치한 제1 베드(311)는 제2 판부재(202)와 면접촉할 수 있고, 제1 베드(311)의 하측에 위치한 제2 베드(312)는 제2 판부재(202)와 제1 판부재(201)에 접촉할 수 있고, 제2 베드(312)의 하측에 위치한 제3 베드(313)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는 우측 베드(312)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보다 작고, 제3 베드(313)의 하측에 위치한 제4 베드(314)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는 제3 베드(313)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first bed (311)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member (202), the second bed (312) located below the first bed (311) can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plate member (202) and the first plate member (201), the angle that the opening of the third bed (313) located below the second bed (312) ha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angle that the opening of the right bed (312) ha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ngle that the opening of the fourth bed (314) located below the third bed (313) ha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smaller than the angle that the opening of the third bed (313) ha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러한 형상을 가져, 하측에 위치한 베드(31, 32)가 상측에 위치한 베드(31, 32)에 가려져 적절한 광량의 빛을 조사받지 못하는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By having this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situations in which the bed (31, 32)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covered by the bed (31, 32)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us does not receive an appropriate amount of light.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는, 베드의 측벽(301b, 302b)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의 작물재배 설비의 베드의 측벽(301b, 302b)의 형상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제1 실시예의 작물재배 설비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ntical or similar to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 of the side walls (301b, 302b) of the bed.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other parts of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except for the shape of the side walls (301b, 302b) of the b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베드부(30b)의 베드는, 개구를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301b, 30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측벽(301b, 302b) 중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한 측벽(301b, 302b)인 하측벽(302b)의 높이는 다른 측벽들(301b)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기울어진 베드의 개구로부터 작물이 하방으로 흘러내려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ed (30b) of the b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 walls (301b, 302b) surrounding the opening. Among these plurality of side walls (301b, 302b), the height of the lower side wall (302b), which is the side wall (301b, 302b)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art,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s of the other side walls (301b).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crops from flowing down and falling out of the opening of the inclined 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는, 지지로드(103c)의 구성 및 프레임힌지(105c), 보조 지지로드(104c)의 존재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제3 실시예의 작물재배 설비의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제1 실시예의 작물재배 설비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ntical or similar to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rod (103c) and the presence of the frame hinge (105c) and the auxiliary support rod (104c).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other parts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는, 2개의 프레임로드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프레임힌지(105c)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프레임로드의 상단부가, 프레임힌지(105c)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프레임로드를 서로에 대해 회전시켜, 2개의 프레임로드가 서로 형성하는 각도를 변경할 수 있고, 각각의 프레임로드가 지면에 대해 가지는 경사를 변경할 수 있다.The frame se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a frame hinge (105c) that rotatably couples two frame rods to each other. The upper ends of the two frame ro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rame hinge (105c) and can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ccordingly, by rotating the two frame rods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angle formed by the two frame rods with respect to each other can be changed, and the inclination that each frame rod has with respect to the ground can be changed.
지지로드(103c)는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구멍인 복수의 프레임체결공(1031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체결공(1031c)중 어느 하나에는, 프레임 폭조절구(106c)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폭조절구(106c)는 볼트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레임 폭조절구(106c)는 프레임체결공(1031c)에 결합됨과 동시에 프레임로드에 결합되어, 지지로드(103c)와 프레임로드를 결합할 수 있다. 다만 프레임체결공(1031c)이 복수로 구성되므로, 어떠한 프레임체결공(1031c)에 프레임 폭조절구(106c)가 결합되느냐에 따라서, 프레임로드가 지면에 대해 형성되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프레임체결공(1031c)에 프레임 폭조절구(106c)가 결합되느냐에 따라서, 기준방향을 따라 봤을 때 2개의 프레임로드 사이에 위치한 지지로드(103c)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The support rod (103c) may include a plurality of frame fastening holes (1031c), which are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 frame width adjusting member (106c) may be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frame fastening holes (1031c). The frame width adjusting member (106c) may be a bolt, but its type is not limited thereto. The frame width adjusting member (106c) may be coupled to the frame fastening hole (1031c) and the frame rod at the same time, thereby coupling the support rod (103c) and the frame rod. However, since the frame fastening hole (1031c) is configured in plurality, the angle formed by the frame rod with respect to the ground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which frame fastening hole (1031c) the frame width adjusting member (106c) is coupled to. Additionally, depending on which frame fastener (1031c) the frame width adjustment member (106c) is connected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rod (103c) located between the two frame rods when view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can be determined.
프레임부는 지지로드(103c)보다 상측에서 2개의 프레임로드를 연결하는 보조 지지로드(104c)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로드(104c)는 프레임힌지(105c)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The frame por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support rod (104c) connecting two frame rods from above the support rod (103c). The auxiliary support rod (104c)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rame hinge (105c).
보조 지지로드(104c)는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구멍인 복수의 보조 프레임체결공(1041c)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프레임체결공(1041c)중 어느 하나에는, 프레임 보조폭조절구(107c)가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 보조폭조절구(107c)는 볼트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레임 보조폭조절구(107c)는 보조 프레임체결공(1041c)에 결합됨과 동시에 프레임로드에 결합되어, 보조 지지로드(104c)와 프레임로드를 결합할 수 있다. 다만 보조 프레임체결공(1041c)이 복수로 구성되므로, 어떠한 보조 프레임체결공(1041c)에 프레임 보조폭조절구(107c)가 결합되느냐에 따라서, 프레임로드가 지면에 대해 형성되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보조 프레임체결공(1041c)에 프레임 보조폭조절구(107c)가 결합되느냐에 따라서, 기준방향을 따라 봤을 때 2개의 프레임로드 사이에 위치한 보조 지지로드(104c)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The auxiliary support rod (104c) may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frame fastening holes (1041c), which are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 frame auxiliary width adjustment member (107c) may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frame fastening holes (1041c). The frame auxiliary width adjustment member (107c) may be a bolt, but its type is not limited thereto. The frame auxiliary width adjustment member (107c)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frame fastening hole (1041c) and the frame rod at the same time, thereby coupling the auxiliary support rod (104c) and the frame rod. However, since the auxiliary frame fastening holes (1041c) are configured in plurality, the angle formed by the frame rod with respect to the ground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which auxiliary frame fastening hole (1041c) the frame auxiliary width adjustment member (107c) is coupled to. In addition, depending on which auxiliary frame fastening hole (1041c) the frame auxiliary width adjustment hole (107c) is connected to, the length of the auxiliary support rod (104c) located between the two frame rods when view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can be determined.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의 작물재배용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cultivation support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는, 지지판에 형성된 고정홈(2011d, 2021d)의 존재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제4 실시예의 작물재배 설비의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제1 실시예의 작물재배 설비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ntical or similar to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presence of fixing grooves (2011d, 2021d) formed on the support plate.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other parts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제4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부(20d)의 복수의 지지판이 포함하는 제1 판부재(201d)와 제2 판부재(202d)에는, 베드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기준방향을 따라 연장된 고정홈(2011d, 2021d)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판부재(201d)에는 제1 고정홈(2011d)이, 제2 판부재(202d)에는 제2 고정홈(2021d)이 형성될 수 있다. 베드가 지지판에 안착될 때, 각각의 고정홈(2011d, 2021d) 중 어느 2개에 베드의 2개의 모서리가 각각 삽입되어, 다양한 각도로 베드가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011d, 2021d) extending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first plate member (201d)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2d)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of the support plate portion (20d) so that the corners of the bed are inserted and fixed. The first plate member (201d) may be formed with a first fixing groove (2011d), and the second plate member (202d) may be formed with a second fixing groove (2021d). When the bed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two corners of the bed are inserted into any two of the respective fixing grooves (2011d, 2021d), so that the bed can be arranged at various angles.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를 전후방향을 따라 바라본 도면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of a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는, 지지판이 포함하는 회전지지판(203e)의 존재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물재배 설비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따라서 제5 실시예의 작물재배 설비의 상술한 구성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해서, 제1 실시예의 작물재배 설비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ntical or similar to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presence of a rotating support plate (203e) included in the support plate.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other parts except for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crop cultiv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제5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지지판은 회전지지판(203e)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하나의 회전지지판(203e)만이 표시되었고, 도 10에서는 좌측의 지지판에만 회전지지판(203e)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회전지지판(203e)의 배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may each include a rotation support plate (203e). In FIG. 9, only one rotation support plate (203e) is shown, and in FIG. 10, the rotation support plate (203e) is shown as being arranged only on the left support plate, but the arrangement of the rotation support plates (203e) is not limited thereto.
회전지지판(203e)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지지판(203e)이 회전 가능하게 프레임부에 결합됨에 따라, 회전지지판(203e)에 안착되는 베드의 개구가 향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The rotation support plate (203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portion. As the rotation support plate (203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por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bed mounted on the rotation support plate (203e) faces can be selective.
회전지지판(203e)은, 기준방향을 따라 바라봤을 때 하방으로 볼록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회전지지판(203e)의 상면의 프로파일이 상방에 대해 오목한 형상을 가져, 회전지지판(203e)의 상면에 베드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The rotating support plate (203e) may have a downward convex profile when view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ccordingly, the profil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203e) has a concave shape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bed can be stably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support plate (203e).
회전지지판(203e)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지지부재(2031e)와, 가로지지부재(2031e)와 결합되는, 전후방향을 따라 봤을 때 하방으로 볼록한 곡선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곡선지지부재(2032e)를 포함할 수 있다. 전후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곡선지지부재(2032e)를 가로지지부재(2031e)가 연결할 수 있다. 가로지지부재(2031e)는 복수로 구성되어 곡선지지부재(2032e)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rotary support plate (203e) may include a horizontal support member (2031e) extending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nd a curved support member (2032e) having a curved profile convex downward when viewed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2031e). A plurality of curved support members (2032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may be connected by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2031e).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s (2031e) may be configured in pluralit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urved support member (2032e).
곡선지지부재(2032e)를 따라서, 복수의 지지고정공(2033e)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고정공(2033e)중 어느 하나에는, 각도조절구(204e)가 결합될 수 있다. 각도조절구(204e)는 볼트일 수 있으나 그 종류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도조절구(204e)는 지지고정공(2033e)에 결합됨과 동시에 프레임로드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로드에는 프레임슬롯(1011e)이 프레임로드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각도조절구(204e)가 결합될 수 있다. 각도조절구(204e)는 프레임슬롯(1011e)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해, 프레임로드에 결합되는 높이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지지고정공(2033e)이 복수로 구성되므로, 어떠한 지지고정공(2033e)에 각도조절구(204e)가 결합되느냐에 따라서, 회전지지판(203e)의 양단을 연결한 직선이 지면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회전지지판(203e)은 각도조절구(204e)를 통해 프레임로드에 결합되고, 제2 판부재(202e)에 안착되어, 회전지지판(203e)의 양단을 연결한 직선이 지면에 대해 형성하는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회전지지판들이 다양한 각도로 배치된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2033e) may be formed along the curved support member (2032e). An angle adjusting member (204e) may be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2033e). The angle adjusting member (204e) may be a bolt, but its type is not limited thereto. The angle adjusting member (204e)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fixing hole (2033e) and may be coupled to the frame rod at the same time. A frame slot (1011e) may be formed in the frame rod so as to exten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ame rod is extended, and the angle adjusting member (204e) may be coupled thereto. The angle adjusting member (204e) may slid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rame slot (1011e), so as to arbitrarily select a height at which it is coupled to the frame rod. Since the support fixing hole (2033e) is configured in multiple numbers, the angle formed by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ends of the rotation support plate (203e) with respect to the ground can be determined depending on which support fixing hole (2033e) the angle adjusting member (204e)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upport plate (203e) is connected to the frame rod through the angle adjusting member (204e) and is secured to the second plate member (202e),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ends of the rotation support plate (203e) with respect to the ground can be fixed. In Fig. 10,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otation support plates are arranged at various angl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 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as one or operating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one or more times.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 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 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프레임부
11 : 전측 프레임부재
12 : 후측 프레임부재
20, 20d : 지지판부
21 : 좌측 지지판
22 : 우측 지지판
30, 30b : 베드부
31 : 좌측 베드
32 : 우측 베드
101 : 제1 프레임로드
102 : 제2 프레임로드
103 : 지지로드
104c : 보조 지지로드
105c : 프레임힌지
106c : 프레임 폭조절구
107c : 프레임 보조폭조절구
201, 201d : 제1 판부재
202, 202d : 제2 판부재
203e : 회전지지판
204e : 각도조절구
301b : 다른 측벽
302b : 하측벽
311 : 제1 베드
312 : 제2 베드
313 : 제3 베드
314 : 제4 베드
1011e : 프레임슬롯
1031c : 프레임체결공
1041c : 보조 프레임체결공
2011d : 제1 고정홈
2021d : 제2 고정홈
2031e : 가로지지부재
2032e : 곡선지지부재
2033e : 지지고정공10: Frame section
11: Front frame member
12: Rear frame member
20, 20d: Support plate
21: Left support plate
22: Right support plate
30, 30b : Bed room
31: Left bed
32: Right bed
101: First frame load
102: Second frame load
103 : Support Road
104c : Auxiliary support rod
105c : Frame hinge
106c: Frame width adjustment device
107c: Frame Auxiliary Width Adjustment Device
201, 201d: 1st edition
202, 202d: Second Edition
203e : Rotating support plate
204e : Angle adjustment device
301b : Other side wall
302b : Lower wall
311: Bed 1
312: 2nd bed
313: Third Bed
314: 4th bed
1011e : Frame slot
1031c : Frame fastener
1041c : Auxiliary frame fastener
2011d : 1st fixed home
2021d: 2nd fixed home
2031e: Absence of cross support
2032e: Curved support member
2033e: Fixed support
Claims (17)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판부; 및
개구를 가지되 상기 개구가 상방에 대해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을 바라보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놓여지는 복수의 베드를 구비하는 베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안착되는 상기 베드의 개구가 향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가지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판은 상기 기준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지지부재, 상기 가로지지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봤을 때 하방으로 볼록한 곡선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곡선지지부재 및 상기 곡선지지부재를 따라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고정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상기 복수의 지지고정공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각도조절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재가 연장된 방향들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레임슬롯을 더 포함하는, 작물재배 설비.A frame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upward when viewed along a reference direction and including two frame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 support plate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connecting the two frame members; and
A bed s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beds plac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so that the opening faces upward toward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section,
The abov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each include a rotating support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so as to selectively have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bed to be settled faces,
The above-mentioned rotary support plate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member extending in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direction, a curved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having a curved profile convex downward when viewed along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formed along the curved support member.
The abov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ing member that can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and the frame member,
A crop cultivation facility, wherein the frame portion further includes a frame slot formed to extend along the directions in which the frame member extends so that the angle adjustment member can be coupled.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가 형성하는 2개의 경사면 중 하나를 따라 배열되는 제1 판부재; 및
상기 제1 판부재로부터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판부재를 포함하는, 작물재배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ultiple support plates are,
A first plate member connecting the two frame members and arranged along one of the two inclined planes formed by the two frame members; and
A crop cultivation facility including a second plate member protrud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from the first plate member.
상기 제2 판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에 대해 상방으로 경사진, 작물재배 설비.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second plate member is a crop cultivation facility that is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상기 복수의 베드는, 각각 상기 복수의 지지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물재배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A crop cultivation facility, wherein the plurality of beds are each detachab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방에 대해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내측으로 경사져 서로 만나는 2개의 프레임로드를 포함하는, 작물재배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A crop cultivation facility, wherein the above frame member includes two frame rods that meet each other while being inclined inwardl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with respect to the upper side.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2개의 프레임로드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프레임힌지를 더 포함하는, 작물재배 설비.In paragraph 5,
A crop cultivation facility, wherein the frame part further includes a frame hinge that rotatably connects the two frame rods to each other.
상기 프레임부재는, 상기 복수의 지지판 중 가장 하측의 지지판보다 하측에서 상기 2개의 프레임로드를 연결하는 지지로드를 더 포함하는, 작물재배 설비.In paragraph 5,
A crop cultivation facility, wherein the frame member further includes a support rod connecting the two frame rods at a lower side than the lowest support plate among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상기 지지로드는,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을 따라 나열된 복수의 프레임체결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봤을 때 상기 2개의 프레임로드 사이에 위치한 상기 지지로드의 길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복수의 프레임체결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프레임로드에 결합되는 프레임 폭조절구를 더 포함하는, 작물재배 설비.In Article 7,
The above support rod includes a plurality of frame fastening holes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 crop cultivation facility, wherein the frame section further includes a frame width adjustment device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frame fastening holes and the frame rod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support rod located between the two frame rods when viewed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상기 지지로드보다 상측에서 상기 2개의 프레임로드를 연결하는 보조 지지로드를 더 포함하는, 작물재배 설비.In Article 7,
A crop cultivation facility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support rod connecting the two frame rods from above the support rod.
상기 복수의 지지판 중 일 지지판의 하단과, 상기 일 지지판과 인접하여 상기 일 지지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판의 상단은,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작물재배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A crop cultivation facility, wherein the lower part of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and the upper part of a support plate adjacent to the one support plate and positioned below the one support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베드 중 일 베드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보다, 상기 일 베드의 하측에 위치한 타 베드의 개구가 수평방향에 대해 가지는 각도가 더 작도록, 상기 복수의 베드가 배치되는, 작물재배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A crop cultivation facility, wherein the plurality of beds are arranged so that the angle of the opening of one b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angle of the opening of the other bed located below the one b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베드는, 상기 개구를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벽 중 상기 프레임부의 폭방향 외측에 위치한 측벽의 높이는 다른 측벽들의 높이보다 큰, 작물재배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ed comprises a plurality of side walls surrounding the opening,
A crop cultivation facility, wherein the height of the side wall located on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rame portion among the above plurality of side walls is greater than the heights of the other side walls.
상기 2개의 프레임부재를 연결하고, 각각 작물재배를 위한 베드가 놓여지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지지판을 구비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안착되는 상기 베드의 개구가 향하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가지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판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판은 상기 기준방향으로 연장된 가로지지부재, 상기 가로지지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기준방향을 따라 봤을 때 하방으로 볼록한 곡선형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곡선지지부재 및 상기 곡선지지부재를 따라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고정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판은, 상기 복수의 지지고정공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결합될 수 있는 각도조절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재가 연장된 방향들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각도조절구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프레임슬롯을 더 포함하는, 작물재배용 지지체.A frame portion having a shape in which the width decreases upward when viewed along a reference direction and including two frame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eference direction; and
It includes a support plate part that connects the above two frame members and has a plurality of support plates on which beds for crop cultivation are placed,
The abov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each include a rotating support plate rotatably coupled to the frame portion so as to selectively have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of the bed to be settled faces,
The above-mentioned rotary support plate includes a horizontal support member extending in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direction, a curved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horizontal support member and having a curved profile convex downward when viewed along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formed along the curved support member.
The above plurality of support plates further include an angle adjusting member that can be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fixing holes and the frame member,
A crop cultivation support, wherein the frame portion further includes a frame slot formed to extend along the directions in which the frame member extends so that the angle adjustment member can be coup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4234A KR102758354B1 (en) | 2021-10-27 | 2021-10-27 | Support device for farming crop and crop fa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4234A KR102758354B1 (en) | 2021-10-27 | 2021-10-27 | Support device for farming crop and crop fa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0034A KR20230060034A (en) | 2023-05-04 |
KR102758354B1 true KR102758354B1 (en) | 2025-01-23 |
Family
ID=8637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4234A Active KR102758354B1 (en) | 2021-10-27 | 2021-10-27 | Support device for farming crop and crop fa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8354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2640U (en) * | 1993-01-08 | 1994-07-19 | カネコ種苗株式会社 | Flower stand structure |
JP2663341B2 (en) * | 1994-12-15 | 1997-10-15 | 長野木田工業株式会社 | Planter support shelf |
JP3017043U (en) * | 1995-04-17 | 1995-10-17 |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 Flower stand |
KR20210067147A (en) * | 2019-11-29 | 2021-06-08 | 원예복지협동조합 | Vegetation device for wall greening |
-
2021
- 2021-10-27 KR KR1020210144234A patent/KR102758354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0034A (en) | 2023-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09564B1 (en) | Vertical greening module | |
KR102369285B1 (en) | double platform beds for cultivation | |
KR102077224B1 (en) | Chain conveyor type unmanned automatic crop cultivating machine for increase of production volume | |
AU2009338088A1 (en) | Post or wall mounted stackable plant pot | |
KR102758354B1 (en) | Support device for farming crop and crop fa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
US4334387A (en) | Retainer for growth supporting medium | |
KR102175155B1 (en) | Plant cultivating bed | |
US20180220594A1 (en) | Interlocking modular planting system for roof applications | |
KR102048147B1 (en) | Folwerpot Modume | |
KR102646422B1 (en) | Repositionable bed assembly for crop cultivation facility | |
JP4940089B2 (en) | Greening unit | |
KR100864274B1 (en) | Seedling box | |
KR102598903B1 (en) | Bed for growing animals and plants | |
KR101247568B1 (en) | Semi-Integrated Bed | |
JP2004254688A (en) | Plant cultivation unit, plant cultivation facility and cultivation vessel | |
KR20210054881A (en) | Prefabricated Flowerpot | |
US20220330491A1 (en) | Extendable Plant Tray Assembly | |
JPH10309130A (en) | Apparatus for cultivation installed at high level | |
KR102263635B1 (en) | Vertical planting apparatus | |
US20220240459A1 (en) | Interlocking modular planting system for roof applications | |
KR102642024B1 (en) | An apparatus for connecting seeder | |
JP6867031B2 (en) | Racks for hydroponics planters and hydroponics systems | |
KR102520431B1 (en) | Up-down hanging bed system and dropping prevention apparatus for greenhouse | |
KR20210024785A (en) | Surface type wet harvesting equipment of cut flowers | |
KR102559427B1 (en) | Structure for cultiva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10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5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