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8327B1 -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of fine dust - Google Patents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of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8327B1
KR102758327B1 KR1020220085068A KR20220085068A KR102758327B1 KR 102758327 B1 KR102758327 B1 KR 102758327B1 KR 1020220085068 A KR1020220085068 A KR 1020220085068A KR 20220085068 A KR20220085068 A KR 20220085068A KR 102758327 B1 KR102758327 B1 KR 10275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dust concentration
concentration measuring
branch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08105A (en
Inventor
문병래
Original Assignee
(주)인프라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프라칩 filed Critical (주)인프라칩
Priority to KR1020220085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8327B1/en
Publication of KR2024000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832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 G01N15/0211Investigating a scatter or diffraction patter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5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fil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imp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7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with screening; with classification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2015/0096Investigating consistence of powders, dustability, dusti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분리 공간, 상기 분리 공간의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 유로, 상기 복수의 분기 유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 및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와 연결되고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로;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 각각에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 및 상기 분리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분기 유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입자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기 유로는, 상기 입자 분리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입구가 형성된 제1 분기 유로; 및 상기 제1 분기 유로의 외부를 둘러싼 영역에 대응하도록 입구가 형성된 제2 분기 유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evice for measuring fine dust concentration includes: a channel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drawn in, a separation space connected to the inlet, a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space, a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channel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channels and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each of which is arrang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channels; and a particle separator arranged above the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within the separation space, wherein the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include: a first branch channel having an inlet formed corresponding to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icle separator; and a second branch channel having an inlet formed corresponding to an area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branch channel.

Description

미세먼지 입자 크기별 농도 측정이 가능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OF FINE DUST}{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OF FINE DUST}

본 개시(disclosure)의 기술적 사상은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별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particles according to their size.

미세먼지는 일반적으로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직경을 갖는 먼지로서, 자동차 배출가스나 공장의 굴뚝 등을 통해 주로 배출될 수 있다.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직경을 갖는 초미세먼지가 호흡기 및 혈관으로 침투하여 인체에 매우 유해함이 밝혀진 이후로, 초미세먼지 및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Fine dust is generally dust with a diameter of 10 micrometers or less, and can be mainly emitted through automobile exhaust fumes or factory chimneys. Since it was revealed that ultrafine dust with a diameter of 2.5 micrometers or less can penetrate the respiratory system and blood vessels and be very harmful to the human body, interest in ultrafine dust and fine dust has been increasing.

최근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에는, 주로 광의 회절, 반사, 굴절, 산란 등의 특성을 활용하여 입자의 크기와 수를 분석하여 측정하는 입자측정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입자측정기술이 적용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는 주로 적외선 LED 광 산란 방식과 레이저 광 산란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Recen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mainly use particle measurement technology that analyzes and measures the size and number of particles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such as diffraction, reflection, refraction, and scattering.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that use this particle measurement technology mainly adopt infrared LED light scattering and laser light scattering methods.

적외선 LED를 이용한 방식은 레이저에 비해 광의 집중도가 낮은 바, 이에 따라 측정 오차가 상대적으로 크며 정밀도 향상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사유로 최근에는 광 집중도가 높은 레이저 광 산란 방식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The method using infrared LEDs has a lower light concentration than lasers, so the measurement error is relatively large and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precision. For this reason, the use of laser light scattering methods with high light concentration is increasing recently.

한편, 종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는 대부분 2.5마이크로미터 이하 직경(PM2.5)의 미세먼지 농도만을 측정하고, 환산식을 이용하여 PM10의 미세먼지 농도를 산출하는 바, 정확한 PM10의 미세먼지 농도 제공이 어려울 수 있다. Meanwhile, most conventional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on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with a diameter of 2.5 micrometers or less (PM2.5) and calculate the concentration of PM10 fine dust using a conversion formula, so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ccurate PM10 fine dust concentr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장치 내부에서 미세먼지 입자들을 크기별로 분리하여,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별로 농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capable of separating fine dust particles by size inside the device and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particles by siz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양태(aspect)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분리 공간, 상기 분리 공간의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 유로, 상기 복수의 분기 유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 및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와 연결되고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로;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 각각에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 및 상기 분리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분기 유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입자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기 유로는, 상기 입자 분리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입구가 형성된 제1 분기 유로; 및 상기 제1 분기 유로의 외부를 둘러싼 영역에 대응하도록 입구가 형성된 제2 분기 유로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channel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 separation space connected to the inlet, a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space, a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and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one of which is arrang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and a particle separator arranged above the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within the separation space, wherein the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include a first branch channel having an inlet formed corresponding to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icle separator; and a second branch channel having an inlet formed corresponding to an area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branch channel.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자 분리기는 유입된 공기의 통과 시 미세먼지 입자들을 차단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article separator can block fine dust particles as they pass through the introduced air.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입자 분리기는 임팩터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터는, 상기 유입된 공기의 통과 시 상기 미세먼지 입자들을 차단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충돌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article separator comprises an impactor, and the impactor may comprise at least one collision plate that blocks the fine dust particles when 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it.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는, 상기 제1 분기 유로와 연결되는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 및 상기 제2 분기 유로와 연결되는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는 상기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에 배치된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 및 상기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에 배치된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 및 상기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 각각은, 대응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의 내부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조사된 레이저 광 중, 상기 대응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include a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channel; and a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channel, and th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include a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rranged in the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 and a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rranged in the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 and each of the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laser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corresponding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 and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fine dust particles in the air flowing inside the interior of the corresponding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 among the irradiated laser light.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광부는 상기 수신된 광에 대응하는 수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는 상기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의 수광부로부터 생성된 제1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크기 이상의 제1 미세먼지 입자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의 수광부로부터 생성된 제2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크기 미만의 제2 미세먼지 입자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receiving unit generates a light rece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ight, and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rocessor that measur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based on the light receiving signal, wherein the processor can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for first fine dust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based on the first light receiving signal generat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nd can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for second fine dust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smaller based on the second light receiving signal generated from the light receiving unit of the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는 상기 제2 분기 유로의 입구에 형성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미세먼지 입자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1 미세먼지 입자를 필터링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filter formed at the inlet of the second branch flow path, and the filter can be implemented to pass the second fine dust particles and filter the first fine dust particles.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는,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별로 이동 거리 또는 낙하 지점이 상이한 원리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입자들을 크기별로 분리함으로써, 미세먼지 농도를 입자 크기별로 측정 가능하고, 이에 따라 보다 정확한 미세먼지 농도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measur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by separating the fine dust particles by size using the principle that the moving distance or the falling poin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ne dust particles, thereby providing a more accurate fine dust concentration.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가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b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개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기 유로와 임팩터에 의해 미세먼지 입자들이 크기별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is disclosure,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s 2 and 3 are drawings showing how fine dust particles are separated by size by the branch path and impactor shown in Figure 1.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embodiments below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below.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faithfully and completely conve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개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부위 및/또는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다른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부위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regions, layers, portions, and/or compon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se elements, parts, regions, layers, portions, and/or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do not imply a particular order, hierarchy, or order, and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region, portion, or component from another element, region, portion, or component. Accordingly, a first element, region, portion, or component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element, region, portion, or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개시의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 In addition, terms commonly used, as defined i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where the embodiments are otherwise feasible, a particular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order described.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a reverse order from the order described.

첨부한 도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 과정에서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면 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attached drawings, for example, variations of the shapes depicted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Therefor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of the regions depicted in the present disclosure, and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s resulting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여기에서 사용된 '및/또는' 용어는 언급된 부재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absence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기 유로와 임팩터에 의해 미세먼지 입자들이 크기별로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s. 2 and 3 are drawings showing fine dust particles being separated by size by the branch path and impactor illustrated in Fig. 1.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a)는 소정 지역 내의 일부 위치들에 설치되어, 설치된 위치의 미세먼지 농도를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출력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다른 장치(서버, 단말기 등)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3,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10a) is installed at some locations within a predetermined area, measures the fine dust concentration at the installed location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and outputs the measurement results or transmits them to another device (server, terminal, etc.) connected via a network.

이러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a)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1),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입자 크기별로 분리하는 분리 공간(102), 분리 공간(102)의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 유로(103, 104), 복수의 분기 유로(103, 104) 중 각각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분기 유로와 연결되는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105, 106), 및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105, 106)와 연결되고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구(107)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유출구(107)에는 상술한 유로들에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110)이 배치될 수 있으나, 팬(11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is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10a) may include an inlet (101) through which air is drawn in, a separation space (102) for separating fine dust contained in the drawn in air by particle size, a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103, 104)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space (102), a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105, 106) each connected to a corresponding one of the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103, 104), and an outlet (107)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105, 106) and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fan (110) for causing air to flow in the above-described channels may be arranged in the outlet (107), but the position of the fan (110) may be variously changed.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분기 유로(103, 104)는 입구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분기 유로 입구가 다른 분기 유로 입구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분기 유로(103)의 입구의 직경은 제2 분기 유로(104)의 입구의 직경보다 작고, 제1 분기 유로(103)의 입구가 제2 분기 유로(104)의 입구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분기 유로(104)의 입구는 제1 분기 유로(103)의 입구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복수의 분기 유로(103, 104)가 두 개인 경우를 설명하나, 분기 유로의 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서는 분기 유로(103, 104)의 입구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입구의 형상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urality of branch passages (103, 104)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inlet diameters, and one branch passage inlet may be formed inside the other branch passage inlet. As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first branch passage (103)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let of the second branch passage (104), and the inlet of the first branch passage (103) may be formed inside the inlet of the second branch passage (104). That is, the inlet of the second branch passage (104)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surrounds the inlet of the first branch passage (103). In this specification, a case where there are two branch passages (103, 104) is described, but the number of branch passages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lthough the inlets of the branch passages (103, 104)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 FIG. 3, the shape of the inlets is also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분리 공간(102)(또는 분기 유로(103, 104)의 상측)에는 입자 분리기(1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입자 분리기(120)는 임팩터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자 분리기(120)가 임팩터인 것으로 가정하면, 분리 공간(102)으로 유입된 공기가 임팩터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미세먼지 입자는 임팩터를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미세먼지 입자는 임팩터에 형성된 충돌판(미도시)과 충돌하여 임팩터의 외측으로 비산될 수 있다(튀어나갈 수 있다). Meanwhile, a particle separator (120) may be arranged in the separation space (102) (or above the branch flow paths (103, 104)). For example, the particle separator (120) may correspond to an impac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suming that the particle separator (120) is an impactor, when air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pace (102) passes through the impactor, fine dust particles in the air may not pass through the impactor and may be blocked. For example, the fine dust particles may collide with a collision plate (not shown) formed in the impactor and fly outward (bounce out) of the impactor.

본 명세서에서는 임팩터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임팩터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임팩터는 상면이 대략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충돌판에 충돌한 미세먼지 입자는 임팩터의 외측으로 튀어 나갈 수 있다. 한편, 임팩터의 충돌판은 미세먼지 입자를 제외한 나머지 공기는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분리 공간(102)으로 유입된 공기가 임팩터를 회피하여 분기 유로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impactor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disc shape, but the shape of the impactor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impactor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has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or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decreases from the center to the edge. Accordingly, the fine dust particles colliding with the collision plate may be bounced out of the impactor. Meanwhile, since the collision plate of the impactor is formed so that air other than the fine dust particles may pass throug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pace (102) may be minimized from avoiding the impactor and being introduced into the branch flow path.

입자 분리기(120)에 의해 분리되는 미세먼지 입자는 공기 유동 또는 중력에 의해 낙하하면서 복수의 분기 유로(103, 104)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미세먼지 입자는 크기에 따라 비산 거리(튀어나가는 거리)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비산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기초하여, 소정 크기 이상의 제1 미세먼지 입자(예컨대 PM10 입자; D1)는 입자 분리기(120)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입구가 형성된 제1 분기 유로(103)로 유입될 수 있고, 소정 크기 미만의 제2 미세먼지 입자(예컨대 PM2.5 입자; D2)는 제1 분기 유로(103)의 외측을 둘러싼 영역에 입구가 형성되는 제2 분기 유로(104)로 유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a)를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분기 유로(103)의 입구 및 제2 분기 유로(104)의 입구 각각의 중심 위치는 입자 분리기(120)가 배치된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1 분기 유로(103)의 직경과 제2 분기 유로(104)의 직경은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의 제조 시 테스트 등에 의해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Fine dust particles separated by the particle separator (120) may fall due to air flow or gravity and flow into a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103, 104). At this time, the flight distance (the distance that the fine dust particles bounce off)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For example, the larger the size of the fine dust particles, the shorter the flight distance. Based on this principle, first fine dust particles (e.g., PM10 particles; D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may flow into a first branch channel (103) in which an inlet is formed to correspond to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icle separator (120), and second fine dust particles (e.g., PM2.5 particles; D2)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ess may flow into a second branch channel (104) in which an inlet is formed in an area surrounding the outer side of the first branch channel (1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10a) is viewed from above, the center positions of the inlet of the first branch flow path (103) and the inlet of the second branch flow path (104) may be included within the area where the particle separator (120) is placed. Meanwhile, the diameter of the first branch flow path (103)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branch flow path (104) may be set to appropriate values through tests, etc. during the manufacturing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10).

제1 분기 유로(103)로 유입된 제1 미세먼지 입자(D1)는 제1 분기 유로(103)와 연결된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105)로 이동하고, 제2 분기 유로(104)로 유입된 제2 미세먼지 입자(D2)는 제2 분기 유로(104)와 연결된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106)로 이동할 수 있다.The first fine dust particle (D1) introduced into the first branch flow path (103) can move to the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flow path (105)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flow path (103), and the second fine dust particle (D2) introduced into the second branch flow path (104) can move to the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flow path (106)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flow path (104).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105, 106) 각각에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130, 132, 140, 142)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130, 132, 140, 142)는 레이저 광 산란 방식을 활용하여 미세먼지 입자의 수를 측정하는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는 레이저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130, 140) 및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레이저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132, 142)로 구성될 수 있다. 발광부(130, 140)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고, 수광부(132, 142)는 포토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ach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105, 106) may be provided with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130, 132, 140, 142). For exampl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130, 132, 140, 142) may correspond to a configuration that measures the number of fine dust particles by utilizing a laser light scattering method. In this cas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may be configur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130, 140) that emits laser light and a light receiving unit (132, 142) that receives laser light scattered by fine dust particles. The light emitting unit (130, 140) may be implemented with a laser diode, and the light receiving unit (132, 142) may be implemented with a photodi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수광부(132, 142)는 상기 산란된 레이저 광의 수신 결과에 대응하는 수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a)의 프로세서(미도시)는, 생성된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미세먼지 입자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제1 수광부(132)로부터 제공되는 제1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미세먼지 입자(D1)에 대한 농도를 측정하고, 제2 수광부(142)로부터 제공되는 제2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미세먼지 입자(D2)에 대한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제1 수광 신호로부터 제1 미세먼지 입자(D1)에 대한 농도를 측정하는 알고리즘과, 제2 수광 신호로부터 제2 미세먼지 입자(D2)에 대한 농도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은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에 따라 수광 신호의 특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며, 상기 알고리즘이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됨으로써,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별 농도가 보다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unit (132, 142) can generate a light rece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of receiving the scattered laser light. The processor (not shown)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10a)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particles based on the generated light receiving signal. The processor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fine dust particle (D1) based on the first light receiving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132), and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fine dust particle (D2) based on the second light receiving signal provided from the second light receiving unit (142). At this time, the algorithm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irst fine dust particle (D1) from the first light receiving signal and the algorithm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econd fine dust particle (D2) from the second light receiving signal may be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reception signal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ne dust particles, and since the above algorithm is implemen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ine dust particles,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particles by size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4를 참조하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b)는 제2 분기 유로(104)의 입구 측에 형성되는 필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150)는 제2 미세먼지 입자(D2)는 통과시키고 제1 미세먼지 입자(D1)는 차단할 수 있는 성능의 필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10b)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150) formed on the inlet side of the second branch path (104). The filter (150) may be implemented as a filter having a performance capable of passing second fine dust particles (D2) and blocking first fine dust particles (D1).

필터(150)가 형성됨에 따라, 제1 미세먼지 입자(D1) 중 일부가 제2 분기 유로(104)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10b)는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별 농도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As the filter (150) is formed, the phenomenon of some of the first fine dust particles (D1) flowing into the second branch path (104)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10b) can more accurately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particles by size.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50)는 분리 공간(502), 제1 분기 유로(503), 제2 분기 유로(504), 및 입자 분리기(520)의 형태나 배치가 도 1의 실시 예와 상이하게 구현될 수 있고, 나머지 구성들(501, 505, 506, 507, 510, 530, 532, 540, 542)은 도 1의 실시 예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50)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in terms of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separation space (502), the first branch flow path (503), the second branch flow path (504), and the particle separator (520),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501, 505, 506, 507, 510, 530, 532, 540, 542) may be implemented similarly to the embodiment of FIG. 1.

구체적으로, 분리 공간(502)의 입구, 즉 유입구(501)와 분리 공간(502)이 연결되는 위치는 분리 공간(502)의 상부 중심에 형성되지 않고 가장자리 측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 공간(502)으로 유입된 공기가 낙하하면서 입자 분리기(520)를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입자 분리기(520; 임팩터)는 분리 공간(502)의 입구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입자 분리기(520)는 상면이 분리 공간(502)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자 분리기(520)의 상면은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let of the separation space (502), i.e., the location where the inlet (501) and the separation space (502) are connected, may not be formed at the upper center of the separation space (502), but may be formed offset toward the edge. 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pace (502) to pass through the particle separator (520) as it falls, the particle separator (520; impactor) may be formed below the inlet of the separation space (502). In addition, the particle separator (520) may be arranged so that its upper surfac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paration space (502).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cle separator (520) may have a flat shape.

입자 분리기(520)가 분리 공간(502)의 중앙 부분을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공기 중의 미세먼지 입자는 입자 분리기(520)와 충돌한 후 분리 공간(502)의 중앙 측으로 튀어나갈 수 있다. 이 때, 제1 분기 유로(503)는 분리 공간(502) 내에서 입자 분리기(520)와 소정 거리 이내의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제2 분기 유로(504)는 분리 공간(502) 내에서 입자 분리기(520)와 소정 거리를 벗어난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분리 공간(502)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입자 분리기(520)의 상면, 제1 분기 유로(503)의 입구 및 제2 분기 유로(504)의 입구 또한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particle separator (520) is arranged to be inclined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paration space (502), fine dust particles in the air may bounce out toward the central side of the separation space (502) after colliding with the particle separator (520). At this time, the first branch flow path (503)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icle separator (520) within the separation space (502), and the second branch flow path (504)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an area outside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icle separator (520) within the separation space (502). In this case, the separation space (502) may have an approximately semi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cle separator (520), the inlet of the first branch flow path (503), and the inlet of the second branch flow path (504) may also have a semicircular sh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 내지 도 3의 실시 예와 유사하게, 입자 분리기(520)와 충돌하여 튀어나가는 미세먼지 입자는, 그 크기에 따라 이동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1 미세먼지 입자(예컨대 도 2의 D1)는 제1 분기 유로(503)로 유입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제2 미세먼지 입자(예컨대 도 2의 D2)는 제2 분기 유로(504)로 유입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분기 유로(504)의 입구에는 도 4와 유사하게 필터가 형성되어, 제1 미세먼지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milar to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3, fine dust particles that bounce off after colliding with the particle separator (520) may have different travel distances depending on their sizes. Accordingly, relatively large first fine dust particles (e.g., D1 of FIG. 2) may flow into the first branch channel (503), and relatively small second fine dust particles (e.g., D2 of FIG. 2) may flow into the second branch channel (504). Although not shown, a filter may be formed at the inlet of the second branch channel (504) similar to FIG. 4 to prevent the first fine dust particles from flowing in.

제1 분기 유로(503)로 유입된 제1 미세먼지 입자는 제1 분기 유로(503)와 연결된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505)로 이동하고, 제2 분기 유로(504)로 유입된 제2 미세먼지 입자는 제2 분기 유로(504)와 연결된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506)로 이동할 수 있다. 프로세서(미도시)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505, 506) 각각에 배치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530, 532, 540, 542)의 구동을 제어하여, 제1 미세먼지 입자 및 제2 미세먼지 입자 각각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first fine dust particles flowing into the first branch channel (503) can move to the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 (505)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channel (503), and the second fine dust particles flowing into the second branch channel (504) can move to the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 (506) connected to the second branch channel (504). A processor (not shown)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530, 532, 540, 542) arranged in each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505, 506), there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s of the first fine dust particles and the second fine dust particles, respectively.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는 내부로 유입되는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별 이동 거리(비산 거리 또는 낙하 거리) 차이에 기초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입자를 크기별로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는 미세먼지 입자의 크기별 농도를 각각 측정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미세먼지 입자 크기별 농도를 보다 정확히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is implemented so as to separate fine dust particles in the air by size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movement distance (flying distance or falling distance) of fine dust particles flowing inward by size. Accordingly, th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can provide fine dust particle size-specific concentrations more accurately than in the past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particles by size separately.

상기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개시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들에 불과하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is merely an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또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개시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Claims (6)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와 연결되는 분리 공간, 상기 분리 공간의 하부에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 유로, 상기 복수의 분기 유로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 및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와 연결되고 공기가 유출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는 유로;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 각각에 어느 하나가 배치되는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 및
상기 분리 공간 내에서 상기 복수의 분기 유로의 상부에 배치되는 입자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 분리기는,
유입된 공기의 통과 시 미세먼지 입자들을 차단시키는 임팩터를 포함하고,
상기 임팩터는,
상기 유입된 공기의 통과 시 상기 미세먼지 입자들을 차단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충돌판을 포함하되,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부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분기 유로는,
상기 입자 분리기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영역에 대응하도록 입구가 형성된 제1 분기 유로; 및
상기 제1 분기 유로의 외부를 둘러싼 영역에 대응하도록 입구가 형성된 제2 분기 유로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
A channel including an inlet for drawing in air, a separation space connected to the inlet, a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eparation space, a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ranch channels,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and through which air flows out;
A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one of which is plac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channels; and
Including a particle separator arranged above the plurality of branch paths within the above separation space,
The above particle separator,
Includes an impactor that blocks fine dust particles as they pass through the incoming air.
The above impactor,
At least one collision plate is included to block the fine dust particles when the air introduced above passes through,
It is formed so that the height decreases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o the edge.
The above multiple branch euros are,
A first branch path having an inlet formed to correspond to an area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rticle separator; and
Including a second branch duct having an inlet formed corresponding to an area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irst branch duc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는,
상기 제1 분기 유로와 연결되는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 및
상기 제2 분기 유로와 연결되는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는 상기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에 배치된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 및 상기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에 배치된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 및 상기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 각각은,
대응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의 내부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조사된 레이저 광 중, 상기 대응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유로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입자에 의해 반사 또는 산란된 광을 수신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ultiple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channels are:
A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path connected to the first quarter path above; and
Including a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ement path connected to the second quarter path above,
The above plurality of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s include a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rranged in the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path, and a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rranged in the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path,
Each of the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nd the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laser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corresponding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path;
A light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light reflected or scattered by fine dust particles in the air flowing inside the corresponding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path among the above-mentioned investigated laser ligh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는 상기 수신된 광에 대응하는 수광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의 수광부로부터 생성된 제1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소정 크기 이상의 제1 미세먼지 입자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2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의 수광부로부터 생성된 제2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 크기 미만의 제2 미세먼지 입자에 대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
In paragraph 4,
The above light receiving unit generates a light receiving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ight,
Further comprising a processo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ased on the above light-receiving signal,
The above processor,
Based on the first light-receiving signal generated from the light-receiving unit of the first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for the first fine dust particle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or larger is measured,
Based on the second light-receiving signal generated from the light-receiving unit of the secon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the fine dust concentration for the second fine dust particle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ize is measured.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기 유로의 입구에 형성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기 제2 미세먼지 입자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1 미세먼지 입자를 필터링하도록 구현되는,
미세먼지 농도 측정 장치.
In paragraph 5,
Further comprising a filter formed at the inlet of the second quarter euro,
The above filter is,
It is implemented to pass the second fine dust particles and filter the first fine dust particles.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KR1020220085068A 2022-07-11 2022-07-11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of fine dust Active KR1027583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68A KR102758327B1 (en) 2022-07-11 2022-07-11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of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68A KR102758327B1 (en) 2022-07-11 2022-07-11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of fine dus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105A KR20240008105A (en) 2024-01-18
KR102758327B1 true KR102758327B1 (en) 2025-01-22

Family

ID=8971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068A Active KR102758327B1 (en) 2022-07-11 2022-07-11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of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8327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802B2 (en) 1996-03-15 2002-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Toner manufacturing method and toner manufacturing system
KR101030329B1 (en) 2008-10-14 2011-04-20 (주)에이치시티 Particle measuring unit
KR101246661B1 (en) 2012-06-28 2013-03-25 국방과학연구소 Real time particle fluorescence detection device
KR101490328B1 (en) 2014-09-23 2015-02-16 대한민국 Particle Counter
JP2016118459A (en) 2014-12-19 2016-06-30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Measurement system for mass concentration of microparticulate matters
KR101683433B1 (en) * 2016-10-28 2016-12-07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Apparatus For Detecting Total Suspended Particle
KR102220213B1 (en) 2019-10-21 2021-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TSP Measuring System
US20210405007A1 (en) 2020-06-30 2021-12-30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 Low-flow size-selective inlet for air quality sensors and air quality sensor
JP7289221B2 (en) 2019-05-29 2023-06-09 日本製鉄株式会社 Dust fall classifi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70059B (en) * 2010-03-01 2015-08-12 普欧达加恩公司 Flow control system and comprise the monitoring device for detecting airborne analysis thing of described flow control system
KR102467875B1 (en) * 2020-12-24 2022-11-16 주식회사 센트리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light scattering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8802B2 (en) 1996-03-15 2002-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Toner manufacturing method and toner manufacturing system
KR101030329B1 (en) 2008-10-14 2011-04-20 (주)에이치시티 Particle measuring unit
KR101246661B1 (en) 2012-06-28 2013-03-25 국방과학연구소 Real time particle fluorescence detection device
KR101490328B1 (en) 2014-09-23 2015-02-16 대한민국 Particle Counter
JP2016118459A (en) 2014-12-19 2016-06-30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Measurement system for mass concentration of microparticulate matters
KR101683433B1 (en) * 2016-10-28 2016-12-07 주식회사 동일그린시스 Apparatus For Detecting Total Suspended Particle
JP7289221B2 (en) 2019-05-29 2023-06-09 日本製鉄株式会社 Dust fall classifier
KR102220213B1 (en) 2019-10-21 2021-02-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Real-time TSP Measuring System
US20210405007A1 (en) 2020-06-30 2021-12-30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 Low-flow size-selective inlet for air quality sensors and air quality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105A (en)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0522B2 (en) Micro object detection apparatus
CN102192898B (en) Smoke detector
US4113386A (en) Photometer
KR101905275B1 (en) Particle sensor and electronic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KR101681422B1 (en) Apparatus for analyzing cells using multi laser
EP0225009A2 (en) Fibre size monitor
CN112858145A (en) Aerosol particle optical detection device
KR20170026108A (en) Particle detecting apparatus for measuring size and concentration of particles by photon counting
CN103282763B (en) High speed cell sorts device is measured the system and method for narrow and wide angle light scattering
CN103575624A (en) Optical particle measurement device
ES2933279T3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 laser beam
KR102644216B1 (en) Apparatus for sensing particle
KR102758327B1 (en) Fine dust concentration measuring apparatus capable of measuring concentration by particle size of fine dust
WO2023029733A1 (en) Optical particle counter
CN214408612U (en) Aerosol particle optical detection device
KR102258807B1 (en) Detection apparatus for micro dust and organism
JPH08159949A (en) Particle detection device
KR102258809B1 (en) Detection apparatus for micro dust and organism
CN112789496A (en) Aerosol measuring device and aerosol measuring method
JPH1123460A (en) Smoke detector
KR20160103291A (en) Detection apparatus for micro dust and organism
CN210051664U (en) Particle diameter and particle concentration on-line measuring device
KR20180113341A (en) Apparatus for sensing particle
CN112585447B (en) Particulate matter sensor
CN109754565B (en) Photoelectric smoke sensing dark room for smoke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7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