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8164B1 -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 Google Patents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8164B1
KR102758164B1 KR1020230062773A KR20230062773A KR102758164B1 KR 102758164 B1 KR102758164 B1 KR 102758164B1 KR 1020230062773 A KR1020230062773 A KR 1020230062773A KR 20230062773 A KR20230062773 A KR 20230062773A KR 102758164 B1 KR102758164 B1 KR 102758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nitus
sound source
frequency band
speaker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65528A (ko
Inventor
임도형
문병종
김종운
Original Assignee
(주) 로완
주식회사 뉴라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로완, 주식회사 뉴라이브 filed Critical (주) 로완
Priority to KR1020230062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8164B1/ko
Priority to PCT/KR2024/003931 priority patent/WO2024237463A1/ko
Publication of KR2024016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5528A/ko
Priority to KR1020240177736A priority patent/KR20250005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81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5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소리 재생 기기로부터 제1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수신부, 수신한 상기 제1 음원에서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고 제2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변형기, 생성된 상기 제2 음원을 재생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소리 재생 기기가 실시간으로 다양하게 변형된다 하더라도 식별된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에 적용된 음원 변형 기능을 통해서 현재 시청자에게 적합한 이명 주파수 제거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소리 재생 기기에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SPEAKER HAVING SIGNAL CONTROL FUNCTION FOR MANAGING TINNITUS}
실시예들은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명 치료를 위한 특정 주파수를 획득하고 획득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역을 출력 스피커에서 출력하지 않도록 입력 신호를 필터링하는 기능이 탑재된 스피커에 관련된다.
최근 전자 기기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이어폰에 대한 사용이 증가하면서 청각 기능 장애가 증가하고 있다. 청각 기능 장애 중 이명은 외부 음원이 없는데도 귀 또는 머리에서 소리가 인지되는 형태의 기능 장애일 수 있다. 여기서, 이명 치료를 받는 이명 환자마다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이 상이할 수 있다. 즉, 이명 환자마다 이명 증상을 호소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할 수 있다. 이명 치료를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명 환자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정 주파수(이명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듣지 않도록 하거나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제거하여 해당 주파수 대역에 백색소음을 제공하는 방식이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상술한 이명 치료 방식을 고려하면 이명 환자별로 결정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콘텐츠 파일을 생성하여 치료 콘텐츠로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다만, 상술한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에 대한 필터링 과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명 환자마다 상이한 필터링을 적용한 콘텐츠를 생성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임의의 음원 재생기기로부터 수신한 음원 정보를 필터링하여 이명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특정 주파수대역의 음원을 제거하여 출력하는 스피커가 필요할 수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 10-2440818 B1
본 명세서는 임의 콘텐츠에 대한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이명 주파수대역의 음원 신호를 제거하고 출력하게 하는 기능이 탑재된 스피커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음원 변형기를 구비한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원 변형기는 노치 필터를 포함하고, 노치 필터에 의해 제1 음원에서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되어 제2 음원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는 이명 주파수 대역을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자별로 측정되어 전달되는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설정하여 음원 변형기에 적용하고, 사용자 식별 아이디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이명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제1 음원에서 제거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임의 콘텐츠에 대한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이명 주파수대역의 음원 신호를 제거하고 출력하게 하는 기능이 탑재된 스피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소리 재생 기기가 실시간으로 다양하게 변형된다 하더라도 식별된 소리를 출력하는 장치에 적용된 음원 변형 기능을 통해서 현재 시청자에게 적합한 이명 주파수 제거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소리 재생 기기에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음원 변형기를 구비한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통해 이명 관리를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3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력 장치에 음원 변형기를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변형기가 적용된 출력 장치에서 음원 변형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 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 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10), 하나 이상의 서버(120, 130, 14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서버들(120 - 140)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각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1)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정보 제공 등)를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배포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해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에서 서비스 서버는 도 1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그 밖의 서버들도 도 1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및 사업자 단말은 도 1의 사용자 중 하나일 수 있으며, 그 밖의 단말들도 도 1의 사용자 중 하나일 수 있다. 즉, 각각의 단말들과 각각의 서버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200)는 도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 또는 서버(120-14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장치와 서버들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하거나 제외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그리고 송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이 네트워크(1)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기기(110)와 서버(120 -14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110) 및/또는 서버(120 - 140) 각각이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24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부(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장치(200)는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 2의 컴퓨팅 장치(200)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여기서, 컴퓨팅 장치(200)는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운영되는 운영 시스템(operation system, OS)을 구비하고, OS에 기초하여 시스템 및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시스템은 OS에 기초하여 하드웨어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세스나 스레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및 그 밖의 OS에 기초하여 구동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기 컴퓨팅 장치(200)는 송수신부를 통해 다른 컴퓨팅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기에서 서술하는 컴퓨팅 장치(200)는 도 1에 기초하여 상호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주체일 수 있고, 각각의 컴퓨팅 장치(200)는 도 2에 기초한 메모리, 프로세서, 통신 모듈 및 송수신부와 그 밖의 구성을 구비하고, 동작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컴퓨팅 장치(200)를 기준으로 서술하지만, 컴퓨팅 장치(200)는 특정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300)는 음원수신부(310), 음원 변형기(320) 및 출력부(3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제어기(33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명 환자들은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명 환자별로 제거해야 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는 이명 환자로써 각각의 사용자별로 이명 관리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는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이명 관련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스피커와 블루투스 또는 기타 근접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 가능한 외부 서버이거나, 데이터 통신을 통해서 인터넷상으로 연결된 외부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는 병의원 서버이거나 사용자에 대한 이명 관리 DB를 가진 임의의 건강관리 회사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이명 관련 정보는 이명 환자로써 각각의 사용자별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명 관련 정보는 각 사용자의 이명 치료와 관련된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는 사용자 별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제거해야 하는 주파수 대역을 직접 결정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명 관련 정보는 사용자별로 결정된 제거된 주파수 대역 정보일 수 있으며,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는 해당 정보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노치 필터로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명 관련 정보는 사용자별로 이명 치료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는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거해야 되는 주파수 대역을 직접 결정할 수 있다. 이명 관련 정보는 사용자별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이명 치료를 고려하여 사용자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콘텐츠에 기초하여 피드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는 이명 관련 정보 및 그 밖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거해야 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직접 결정할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의 음원 수신부(310)는 소리 재생 기기로부터 제1 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 소리 재생 기기는 스마트폰, TV, 태블릿과 같이 음원 정보를 스피커(300)에 제공하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소리 재생 기기는 제1 음원이 스피커에서 재생 중 다른 소리 재생기기로 전환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스마트폰으로 스피커를 통해 음원이 출력되는 도중에 TV를 통해 다른 음원 또는 동일한 음원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명령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음원 수신부는 음원을 제공하는 소리 재생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음원 변형기(320)는 음원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한 음원에서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고 제2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출력부(340)는 생성된 상기 제2 음원을 재생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상기 음원 변형기(320)는 노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 필터에 의해 상기 제1 음원에서 상기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되어 상기 제2 음원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거되는 이명 주파수 대역은 사용자에의해 직접 설정되거나 외부 장치에 의해서 미리 또는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일 예에서 스피커(300)는 상기 스피커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330)는 상기 이명 주파수 대역을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자별로 측정되어 전달되는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설정하여 상기 음원 변형기에 적용하고, 사용자 식별 아이디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상기 이명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음원에서 제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이명 관련 정보를 기초로 각각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적용하여 상기 음원 변형기가 제1 음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하되, 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이명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첩되는 경우 중첩되는 영역에 대해서만 필터링을 적용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시청자가 하나의 음원을 청취하는 중 복수의 시청자가 모두 이명 환자인 경우 각 이명환자에 해당되는 주파수 대역을 모두 제거시 전체적으로 음원의 손실 및 변형이 시청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 경우를 대비하여 복수의 이명 환자가 시청하는 경우 2 이상의 이명환자의 이명 주파수에 해당되는 영역에 대해서만 필터링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기는, 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이명 관련 정보를 기초로 각각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적용하여 상기 음원 변형기가 제1 음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하되, 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청력 정보를 기초로 필터링으로 제거 또는 저감시키는 이명 주파수 대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노치 필터를 통해서 특정 이명 주파수 대역을 완전히 제거할 수도 있으나 완전히 제거하지 아니하고 특정 수준으로 해당 대역의 음원 크기를 줄이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각 이명 시청자(이명 환자)의 청력정보를 기초로 저감의 정도를 각 주파수 대역별로 결정하여 필터링이 수행될 수도 있다.
각 이명 환자의 청력 정보는 시스템 동작시 사용자 인증 또는 식별 과정에서 직접 입력 받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획득할 수도 있으며 청력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 다른 일 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이명 관련 정보를 기초로 각각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적용하여 상기 음원 변형기가 제1 음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하되, 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이명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 각 이명 주파수 대역 사이의 주파수 대역도 필터링 대상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필터링의 대상이 되는 영역이 확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또는 미리 결정된 이명 주파수가 현재 시점에서 사용자의 이명 치료에 적절한지 여부를 전문가를 통해 매번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경우 최대한 넓은 폭으로 이명 주파수에 관련된 주파수 대역을 제거함으로써 불측의 이명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어기는, 상기 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청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이명 주파수 대역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저감 정도를 달리하여 필터링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저감 정도를 달리하는 것은 각 이명 주파수 대역 사이의 주파수 대역(이하 사이 구간이라 함)에 적용하는 저감의 정도는 고 주파수 대역으로 갈수록 증거하거나, 고 주파수 대역으로 갈수록 감소하거나,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저감의 정도가 감소 또는 증가하는 N차원 그래프의 형태를 가지도록 필터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중간 지점으로 갈수록 저감 비율이 커지다가 다시 적어지는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이명 관리 소프트웨어가 스피커에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에 설치된 이명 관리 소프트웨어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아이디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이명 관리 소프트웨어는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명 관리 소프트웨어는 오디오를 재생하는 출력 장치(e.g. 스피커)에 대한 시스템 콜과 연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명 관리 소프트웨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원 변형기를 동작시키는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명 관리 소프트웨어는 오디오 콘텐츠 중 음원 콘텐츠에 대해서만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여 변형된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TV 드라마나 기타 오디오 콘텐츠에 대해서는 특정 주파수 대역 제거가 수행되지 않고 음원 콘텐츠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이명 관리 소프트웨어는 특정 주파수 대역 제거에 기초하여 변형된 콘텐츠가 제공된 시간을 인지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외부 운영 관리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용 관리 시스템은 특정 사용자로서 이명 환자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노치 필터는 사용자별로 설정된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거 또는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노치 필터는 하드웨어적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적 구성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노치 필터는 사용자별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거 또는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노치 필터는 제거해야 하는 주파수 대역에 백색 소음을 더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출력 장치에 음원 변형기를 적용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원 변형기(821)가 적용된 오디오 출력 장치(820)를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음원 변형기(821)가 적용된 오디오 출력 장치(820)는 이명 치료 스피커(820)일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뿐, 음원 변형기(821)가 적용된 오디오 출력 장치(820)가 다른 형태의 오디오 출력 장치(820)일 수 있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명 치료 스피커(820)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일 예로, 이명 치료 스피커(820)는 상술한 음원 변형기(821)와 출력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822)는 음원 변형기(821)에 기초하여 노치필터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음원을 출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명 치료 스피커(820)는 소리 재생 기기(8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소리 재생 기기(810)는 상술한 도 2의 컴퓨팅 장치(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소리 재생 기기(810)는 음원 재생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음원을 재생할 수 있으며, 음원 재생을 위한 정보를 이명 치료 스피커(8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이명 치료 스피커(820)의 음원 변형기(821)가 소리 재생 기기(810)로부터 음원 정보를 획득하여 노치 필터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고, 변형된 음원을 출력부(822)로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822)는 변형된 음원을 전달받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이명 치료 스피커(820)는 자체적으로 음원 변형기(8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특정 사용자(또는 이명 환자)에 대한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음원 변형기(821)는 소프트웨어적 구성 또는 하드웨어적 구성이나 소프트웨어/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4및 도 5에 기초하면 별도의 이명 치료 스피커(820)를 통해 특정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소리 재생 기기(810)의 OS는 하드웨어를 제어하여 음원을 이명 치료 스피커(82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명 치료 스피커(820)에서 음원 변형기(821)를 통해 변형된 음원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소리 재생 기기(810)는 음원을 이명 치료 스피커(820)로 전달만 하므로 사용자별로 특정되는 특정 주파수는 이명 치료 스피커(820)에서 확인될 필요성이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기(830)가 음원 변형기(821)와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기(830)는 이명 치료 스피커(820)에 내장되는 형태이거나 외부에서 어플리케이션(또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연동되는 형태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제어기(830)는 상술한 운영 관리 시스템(331)에 대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기(830)에 기초하여 사용자별 제거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이 결정될 수 있다. 이명 치료 스피커(820)의 음원 변형기(821)는 결정된 특정 사용자에 기초하여 제거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을 인지하고, 해당 주파수 대역을 노치 필터를 통해 제거하여 출력부(822)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별도의 이명 치료 스피커(820)로 이명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기(830) 음원이 재생된 시간을 모니터링하여 리포팅 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이명 주파수 대역은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자별로 측정되어 전달되는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설정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 식별 아이디에 기초하여 이명 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식별 아이디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이명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제1 음원에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에 대한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고, 컴퓨팅 장치가 제1 사용자 식별 아이디를 획득한 경우, 제1 음원에서 제1 주파수 대역이 노치 필터에 의해 제거되어 제2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2사용자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제2사용자에 대한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2주파수 대역으로 설정되고, 컴퓨팅 장치가 제2 사용자 식별 아이디를 획득한 경우, 제1 음원에서 제2주파수 대역이 노치 필터에 의해 제거되어 제2 음원이 생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컴퓨팅 장치는 상술한 이명 치료 스피커(820)일 수 있다. 일 예로, 컴퓨팅 장치는 소리 재생 기기(810)로부터 제1 음원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1 음원을 음원 변형기에 적용하여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2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컴퓨팅 장치(200)는 생성된 제2 음원을 출력부(822)로 전달하여 제2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음원 변형기(821)는 노치 필터를 포함하고, 노치 필터에 의해 제1 음원에서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되어 제2 음원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200)는 제어부(830)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830)는 이명 주파수 대역을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자별로 측정되어 전달되는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설정하여 음원 변형기(821)에 적용하고, 사용자 식별 아이디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이명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제1 음원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에 있어서,
    소리 재생 기기로부터 제1 음원을 수신하는 음원 수신부;
    수신한 상기 제1 음원에서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고 제2 음원을 생성하는 음원 변형기;
    생성된 상기 제2 음원을 재생하는 출력부; 및
    상기 스피커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명 주파수 대역을 다른 장치에 의해 사용자별로 측정되어 전달되는 이명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별로 설정하고 상기 음원 변형기에 적용하여, 상기 이명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음원에서 제거하며,
    상기 제어기는,
    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이명 관련 정보를 기초로 각각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적용하여 상기 음원 변형기가 제1 음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하되,
    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이명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첩되는 경우 중첩되는 영역에 대해서만 필터링을 적용하는,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변형기는 노치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 필터에 의해 상기 제1 음원에서 상기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되어 상기 제2 음원이 생성되는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
    사용자 식별 아이디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상기 이명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 음원에서 제거하는,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이명 관련 정보를 기초로 각각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적용하여 상기 음원 변형기가 제1 음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하되,
    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청력 정보를 기초로 필터링으로 제거 또는 저감시키는 이명 주파수 대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한 이명 관련 정보를 기초로 각각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적용하여 상기 음원 변형기가 제1 음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하되,
    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이명 주파수 대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경우 각 이명 주파수 대역 사이의 주파수 대역도 필터링 대상으로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둘 이상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청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각 이명 주파수 대역 사이의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저감 정도를 달리하여 필터링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KR1020230062773A 2023-05-16 2023-05-16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Active KR10275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773A KR102758164B1 (ko) 2023-05-16 2023-05-16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PCT/KR2024/003931 WO2024237463A1 (ko) 2023-05-16 2024-03-28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KR1020240177736A KR20250005915A (ko) 2023-05-16 2024-12-03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2773A KR102758164B1 (ko) 2023-05-16 2023-05-16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77736A Division KR20250005915A (ko) 2023-05-16 2024-12-03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5528A KR20240165528A (ko) 2024-11-25
KR102758164B1 true KR102758164B1 (ko) 2025-01-21

Family

ID=935192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2773A Active KR102758164B1 (ko) 2023-05-16 2023-05-16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KR1020240177736A Pending KR20250005915A (ko) 2023-05-16 2024-12-03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77736A Pending KR20250005915A (ko) 2023-05-16 2024-12-03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758164B1 (ko)
WO (1) WO202423746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3651B2 (ja) * 2010-04-16 2014-03-19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耳鳴りを軽減する補聴器および方法
KR101517143B1 (ko) * 2013-07-12 2015-05-04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이명 치료 장치 및 이명 치료 기능을 가지는 보청기
KR101567496B1 (ko) * 2014-01-10 2015-11-11 주식회사 메디스윙 이명 치료 장치
CN108141680B (zh) * 2015-10-29 2021-04-02 唯听助听器公司 用于管理助听器中的可定制配置的系统和方法
KR102341346B1 (ko) 2018-12-03 2021-12-20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이명 치료용 음향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EP3687188B1 (en) * 2019-01-25 2022-04-27 ams AG A noise cancellation enabled audio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target transfer function of a noise cancellation enabled audi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5915A (ko) 2025-01-10
WO2024237463A1 (ko) 2024-11-21
KR20240165528A (ko) 202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7337B1 (en)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for adaptive audio rendering
JP6006749B2 (ja) 動画マルチメディアを利用した着信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149089B1 (en) Remote personalization of audio
US11134353B2 (en) Customized audio processing based on user-specific and hardware-specific audio information
US9319792B1 (en) Audio capture and remote output
US12277366B2 (en) Audio control metho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CN110100460B (zh) 用于产生声场的方法、系统和介质
US11838570B2 (en) Loudness normalization method and system
CN108924227A (zh) 基于车载设备的音乐播放方法以及音乐播放装置
JP2024534274A (ja) 振動モータの制御方法、振動モータの制御装置、記憶媒体及び電子機器
CN119847472A (zh) 动态处理效果体系架构
US10027994B2 (en) Interactive audio metadata handling
KR102758164B1 (ko) 이명 관리용 신호 제어 기능을 갖는 스피커
US112100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independently variable audio outputs
US9152374B2 (en) Control and capture of audio data intended for an audio endpoint device of an application executing on a data processing device
CN105072534B (zh) 一种无线音箱系统的控制方法及终端
CN113437773B (zh) 一种降低充电场景下边带辐射杂散的方法、装置及终端
CN110855539B (zh) 设备发现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0073562A1 (zh) 音频处理方法和装置
KR20240159173A (ko) 음원 재생 소프트웨어와 운영 시스템 사이의 후킹에 의한 임의 콘텐츠에 대한 이명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7406654B (zh) 音效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102758392B1 (ko) 음원 재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US20240113675A1 (en) Earphone control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device
US2024021451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real-time multi-channel audio and video integration
CN111381797B (zh) 一种在客户端上实现ktv功能的处理方法、装置及用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