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7854B1 -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7854B1
KR102757854B1 KR1020190155902A KR20190155902A KR102757854B1 KR 102757854 B1 KR102757854 B1 KR 102757854B1 KR 1020190155902 A KR1020190155902 A KR 1020190155902A KR 20190155902 A KR20190155902 A KR 20190155902A KR 102757854 B1 KR102757854 B1 KR 102757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arm
vehicle
actuator
cas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6533A (ko
Inventor
이해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7854B1/ko
Priority to US16/849,669 priority patent/US11220148B2/en
Priority to CN202010391801.0A priority patent/CN112849266B/zh
Publication of KR2021006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7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78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60G7/003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adjustabl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7/00Means on vehicles for adjusting camber, castor, or to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0Links, e.g. trac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64Caster 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8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unsprung part of the vehicle, e.g. wheel knuckle or rigid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60G2206/1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of adjustabl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로워암이 래터럴암과 가이드암으로 구분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래터럴암의 경우 액추에이터 구동에 의해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캐스터 특성의 조절에 의해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특성이 변경되어 주행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캐스터 특성의 조절시 조향 휠의 의도치 않는 회전 운동이 방지됨에 따라 의도하지 않는 조향 휠의 변동이 최소화되어 정해진 주행 특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ADJUSTING CASTER ANGL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주행 모드에 따라 캐스터 특성이 변동되도록 하여 주행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륜의 캐스터는 스트럿을 사용하는 현가장치에서는 스트럿의 상단과 로우암의 볼조인트를 연결한 직선을 킹핀축이라고 하고, 킹핀축의 연장선과 타이어의 중심선이 교차하는 각도를 캐스터 각이라고 한다. 차륜에 캐스터 각을 형성시키면 차량의 직진 주행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여기서, 맥퍼슨 스트럿 타입 서스펜션의 경우 스트럿 상단과 조향 너클의 로워암 연결지점에 의해 캐스터 각과 트레일이 결정된다. 이러한 캐스터 트레일은 차량의 핸들링 특성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캐스터 각이 커지면 트레일도 커지는 캐스터 특성을 갖게 된다.
즉, 캐스터 트레일이 커질 경우 캐스터 각에 의한 선회 캠버가 증대되어 차량 한계성능 및 타이어 지지강성이 커진다. 이에 따라, 캐스터 트레일이 커지면 횡력에 의한 모멘트가 증대되고 조타반력이 증대되며 조타감이 향상된다. 다만, 노면 구배 등에 의한 영향도 민감해지므로 쏠림 등의 특성은 열세해진다.
캐스터 트레일이 작아질 경우 위의 캐스터 트레일이 커지는 상황과 반대되는 특성을 가지며, 노면 구배 등 외란에 둔감해지므로 쏠림 등에 강건해지는 특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차량은 캐스터 특성에 따라 주행성능이 상이한데, 종래의 경우 초기 설정된 캐스터 특성이 고정됨에 따라, 다양한 주행상황에 최적화된 주행 성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US 2015-0123367 A1 (2015.05.07)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행 모드에 따라 캐스터 특성이 변동되도록 하여 주행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는 서브프레임의 복수 지점에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조향 너클에는 단일 지점에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며, 서브프레임 연결된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서브프레임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태가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진 가변로워암; 및 서브프레임에 설치되고, 서브프레임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변로워암의 형태 변형을 통해 조향 너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여 캐스터 특성이 변경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연결부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시 이동되는 제1연결부와 제1연결부에서 이격 배치된 제2연결부와 조향 너클에 마련된 제3연결부로 구성되며, 가변로워암은 일단부가 제1연결부를 매개로 서브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연결부를 매개로 조향 너클에 연결된 래터럴암과, 일단부가 제2연결부를 매개로 서브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래터럴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암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추에이터는 동작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입출되는 로드부로 구성되고, 제1연결부는 서브프레임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액추에이터의 구동시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암은 타단부가 래터럴암의 일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연결부는 내통과 외통 및 내통과 외통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로 구성되며, 내통에는 액추에이터가 연결되고 외통에는 래터럴암의 일단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서브프레임에서 제1연결부가 마련되는 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연결부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슬롯과, 가이드슬롯에서 래터럴암이 외부로 통과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개통된 개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는 로워암이 래터럴암과 가이드암으로 구분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래터럴암의 경우 액추에이터 구동에 의해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캐스터 각 및 트레일의 조절에 의해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특성이 변경되어 주행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캐스터 각 및 트레일의 조절에 따른 캐스터 특성 조절시 조향 휠의 의도치 않는 회전 운동이 방지됨에 따라 의도하지 않는 조향 휠의 변동이 최소화되어 정해진 주행 특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1연결부와 액추에이터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제1연결부와 액추에이터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100)의 복수 지점에 연결부(200)를 매개로 연결되고 조향 너클(N)에는 단일 지점에 연결부(200)를 매개로 연결되며, 서브프레임(100) 연결된 연결부(200) 중 어느 하나는 서브프레임(100)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태가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진 가변로워암(300); 및 서브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서브프레임(100)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200)에 연결되어 연결부(200)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변로워암(300)의 형태 변형을 통해 조향 너클(N)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여 캐스터 특성이 변경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브프레임(100)은 서브프레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브프레임(100)과 조향 너클(N)에 연결되는 가변로워암(300)과, 가변로워암(300)의 형태 변형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변로워암(300)의 경우 복수의 연결부(200)를 매개로 서브프레임(100)과 조향 너클(N)에 연결된다. 특히, 가변로워암(300)은 서브프레임(100)의 복수 지점에 연결부(200)를 매개로 연결되되 어느 하나의 연결부(200)가 서브프레임(100)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조향 너클(N)에는 단일 지점에 연결부(200)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로 인해, 가변로워암(300)은 어느 하나의 연결부(200)의 이동시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조향 너클(N)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서브프레임(100)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200)에는 액추에이터(400)가 연결된다. 즉, 액추에이터(400)의 동작시 서브프레임(100)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200)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라 가변로워암(300)의 형태가 변형되어 조향 너클(N)의 각도가 가변되고, 이에 따라 캐스터 특성이 변경되어 주행 특성이 상이해진다. 액추에이터(400)의 경우 스티어링 휠, 주행상황, 주행모드 등에 따른 정보를 취합하여 차량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주행 상황에 따라 액추에이터(400)를 제어하여 주행 특성을 조절함으로써 주행 성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는, 액추에이터(400)의 구동시 이동되는 제1연결부(210)와 제1연결부(210)에서 이격 배치된 제2연결부(220)와 조향 너클(N)에 마련된 제3연결부(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연결부(210)는 수평형 부시(A부시)가 될 수 있고, 제2연결부(220)는 수직형 부시(G부시)가 될 수 있으며, 제3연결부(230)는 볼조인트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변로워암(300)은 연결부(200)를 매개로 서브프레임(100)과 조향 너클(N)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가변로워암(300)은, 일단부(311)가 제1연결부(210)를 매개로 서브프레임(100)에 연결되고 타단부(312)가 제3연결부(230)를 매개로 조향 너클(N)에 연결된 래터럴암(310)과, 일단부(321)가 제2연결부(220)를 매개로 서브프레임(100)에 연결되고 타단부(322)가 래터럴암(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암(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암(320)은 타단부(322)가 래터럴암(310)의 일단부(311)에 필로우볼 부싱으로 피봇되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래터럴암(310)이 액추에이터(40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면, 가이드암(320)이 래터럴암(310)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조향 너클(N)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이처럼, 가변로워암(300)은 래터럴암(310)과 가이드암(320)으로 구분되어 구성되며, 래터럴암(310)이 제1연결부(210)를 매개로 서브프레임(100)에 연결됨에 따라 액추에이터(400) 구동시 래터럴암(310)의 위치가 이동된다. 여기서, 래터럴암(310)의 경우 가이드암(320)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래터럴암(310)의 일단부(311)가 액추에이터(400)에 의해 이동시 타단부(312)가 일단부(311)의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연결부(230)와 함께 조향 너클(N)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래터럴암(310)의 일단부(311)가 회전 이동됨은 제1연결부(210)가 부시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시의 탄성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퍼슨 서스펜션의 경우 조향 너클(N)에 연결되는 스트럿(S)의 상단 연결지점(C점)과 조향 너클(N)에 래터럴암(310)이 연결되는 연결지점(B점)에 의해 캐스터 특성이 결정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400)의 구동시 래터럴암(310)과 가이드암(320)의 연동에 의해 조향 너클(N)의 위치가 조정됨에 따른 캐스터 특성의 조절에 의해 차량의 주행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0)는 동작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410)와, 구동부(4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입출되는 로드부(420)로 구성되고, 제1연결부(210)는 서브프레임(100)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액추에이터(400)의 구동시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액추에이터(400)의 구동부(410)는 유압식 또는 전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410)의 동작에 의해 로드부(420)가 전후방향으로 입출되어 제1연결부(210)를 이동시킨다. 이렇게, 제1연결부(210)가 서브프레임(100)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 조향 너클(N)에 제3연결부(230)을 매개로 래터럴암(310)이 연결되는 연결지점(B점)이 이동됨에 따라 조향 너클(N)의 위치 변동되어 캐스터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액추에이터(400)의 구동부(410)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로드부(420)의 인출량 또는 인입량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210)는 내통(211)과 외통(212) 및 내통(211)과 외통(212)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213)로 구성되며, 내통(211)에는 액추에이터(400)가 연결되고 외통(212)에는 래터럴암(310)의 일단부(31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부(210)는 내통(211), 외통(212), 탄성체(213)로 이루어진 수평형 부시(A부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부(210)의 내통(211)은 액추에이터(400)의 로드부(420)가 연결되어 로드부(420)와 함께 이동되고, 외통(212)에는 래터럴암(310)이 결합되어 조향 너클(N)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가변로워암(300)의 래터럴암(310)은 제1연결부(210)의 탄성체(213)를 통해 진동이 흡수되고 탄성체(213)의 변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연결부(210)에 결합된 래터럴암(310)은 액추에이터(400)의 구동시 제1연결부(210)를 이루는 탄성체(213)의 변형에 의해 위치가 변동되되 가이드암(3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조향 너클(N)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서브프레임(100)에서 제1연결부(210)가 마련되는 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연결부(210)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슬롯(110)과, 가이드슬롯(110)에서 래터럴암(310)이 외부로 통과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개통된 개통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연결부(210)는 서브프레임(100)에서 가이드슬롯(11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100)에는 가이드슬롯(110)에서 래터럴암(310)이 조향 너클(N)에 연결될 수 있도록 개통된 개통홀(120)이 형성됨으로써 래터럴암(310)은 제1연결부(210)를 매개로 서브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개통홀(120)의 경우 래터럴암(310)이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이동되는 것을 수용할 수 있도록 래터럴암(310)의 이동 변위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400)가 구동됨에 따라 제1연결부(21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래터럴암(310)도 후방으로 함께 이동되되 래터럴암(310)에는 가이드암(320)이 피봇됨에 따라 래터럴암(310)의 일단부(311)가 후방으로 회전시 타단부(312)는 전방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래터럴암(310)의 타단부(312)에 제3연결부(230)를 매개로 연결된 조향 너클(N)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조향 너클(N)의 각도가 변경됨에 따른 캐스터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주행모드(Comport, Normal, Sport), 스티어링휠, ECS, 구동력 등에 연계된 주행 상황에 따라 캐스터 특성을 조절하여, 차량의 노면 외란에 대한 영향도, 조타반력 등 주행 성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의 기호 및 도로 조건에 따라, 운전자가 차량 특성을 쉽게 변경하여 다양한 주행감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는 로워암이 래터럴암(310)과 가이드암(320)으로 구분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래터럴암(310)의 경우 액추에이터 구동에 의해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캐스터 특성의 조절에 의해 주행모드에 따른 주행 특성이 변경되어 주행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캐스터 특성의 조절시 조향 휠의 의도치 않는 회전 운동이 방지됨에 따라 의도하지 않는 조향 휠의 변동이 최소화되어 정해진 주행 특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서브프레임 110:가이드슬롯
120:개통홀 200:연결부
210:제1연결부 211:내통
212;외통 213:탄성체
220:제2연결부 230:제3연결부
300:가변로워암 310:래터럴암
320:가이드암 400:액추에이터
410:구동부 420:로드부

Claims (6)

  1. 서브프레임의 복수 지점에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고 조향 너클에는 단일 지점에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며, 서브프레임 연결된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서브프레임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형태가 변형 가능하게 이루어진 가변로워암; 및
    서브프레임에 설치되고, 서브프레임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에 연결되어 연결부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변로워암의 형태 변형을 통해 조향 너클의 위치가 이동되도록 하여 캐스터 특성이 변경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액추에이터의 구동시 이동되는 제1연결부와 제1연결부에서 이격 배치된 제2연결부와 조향 너클에 마련된 제3연결부로 구성되며,
    가변로워암은 일단부가 제1연결부를 매개로 서브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3연결부를 매개로 조향 너클에 연결된 래터럴암과, 일단부가 제2연결부를 매개로 서브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래터럴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암으로 구성되며,
    제1연결부는 내통과 외통 및 내통과 외통 사이에 구비된 탄성체로 구성되고, 내통에는 액추에이터가 연결되며 외통에는 래터럴암의 일단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는 동작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와,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입출되는 로드부로 구성되고,
    제1연결부는 서브프레임에서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액추에이터의 구동시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이드암은 타단부가 래터럴암의 일단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에서 제1연결부가 마련되는 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연결부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슬롯과, 가이드슬롯에서 래터럴암이 외부로 통과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개통된 개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KR1020190155902A 2019-11-28 2019-11-28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Active KR102757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02A KR102757854B1 (ko) 2019-11-28 2019-11-28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US16/849,669 US11220148B2 (en) 2019-11-28 2020-04-15 Caster angle adjustment device for vehicle
CN202010391801.0A CN112849266B (zh) 2019-11-28 2020-05-11 车辆、用于车辆的后倾角调节装置及改变后倾角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902A KR102757854B1 (ko) 2019-11-28 2019-11-28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533A KR20210066533A (ko) 2021-06-07
KR102757854B1 true KR102757854B1 (ko) 2025-01-20

Family

ID=7599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902A Active KR102757854B1 (ko) 2019-11-28 2019-11-28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20148B2 (ko)
KR (1) KR102757854B1 (ko)
CN (1) CN112849266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01319A1 (en) * 2017-01-19 2018-07-19 Geoffrey William Rogers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setting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1191A (en) * 1977-08-22 1983-02-01 Springhill Laboratories, Inc. Adjusting automobile suspension system
JPS6280173A (ja) * 1985-10-03 1987-04-13 Mazda Motor Corp 車両の4輪操舵装置
JPS6285705A (ja) * 1985-10-11 1987-04-20 Honda Motor Co Ltd 転舵輪用多リンク式トレーリングアーム型サスペンション
JPS63106118A (ja) * 1986-10-23 1988-05-11 Mazda Motor Corp 車両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JPS63159116A (ja) * 1986-12-24 1988-07-02 Honda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970011358B1 (ko) * 1992-10-13 1997-07-10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의 휠 얼라인먼트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H06127244A (ja) 1992-10-14 1994-05-10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アライメント制御方法
JPH071933A (ja) * 1993-06-16 1995-01-06 Mitsubishi Motors Corp アライメント制御装置
JP2848191B2 (ja) * 1993-06-16 1999-01-20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アクチュエータ構造
CN1057494C (zh) * 1995-07-21 2000-10-18 三菱自动车工业株式会社 车辆的撑杆式悬架装置
KR19980048707U (ko) 1996-12-30 1998-09-25 양재신 현가 장치의 캐스터 각도 및 트레일 조정 장치
JP3863615B2 (ja) * 1997-01-31 2006-12-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US6478318B1 (en) * 2000-10-31 2002-11-12 Ingalls Engineering Company, Inc. Apparatus providing adjustable vehicle ball joint positioning
KR100397982B1 (ko) * 2001-02-21 2003-09-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지오메트리 특성 학습장치
GB0106331D0 (en) * 2001-03-15 2001-05-02 Hendrickson Europ Ltd Vehicle axle
JP2005104225A (ja) * 2003-09-29 2005-04-21 Aisin Seiki Co Ltd アライメント制御装置
KR100747287B1 (ko) * 2005-12-08 200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의 캐스터 제어 장치
KR100986088B1 (ko) * 2008-11-11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US9387880B2 (en) 2012-06-04 2016-07-12 John Victor Gano Multi-axis caster angle control system of an extendable wheel assembly
KR101448761B1 (ko) * 2013-08-20 2014-10-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캐스터 능동 제어 장치
CN104709351A (zh) * 2013-12-16 2015-06-17 财团法人金属工业研究发展中心 车辆侧倾中心与车轮外倾角的调整方法及其调整装置
US9186945B2 (en) * 2014-02-07 2015-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m adjustable shim assembly
US9186944B2 (en) * 2014-02-07 2015-1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m adjustable shim assembly
CN104260781B (zh) * 2014-10-20 2016-06-15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轮外倾角和后倾角调校方法
ITUB20153575A1 (it) * 2015-09-11 2017-03-11 Fca Italy Spa "Sospensione per una ruota sterzante di autoveicolo, con asse di sterzo semi-virtuale"
US10940730B2 (en) * 2017-10-19 2021-03-09 Nsk Ltd. Extension-retraction link and suspension
CN207955233U (zh) * 2018-01-15 2018-10-12 上海义赫文化传媒有限公司 一种参数快捷可调的双横臂推杆悬架装置
KR102463210B1 (ko) * 2018-06-05 2022-11-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01319A1 (en) * 2017-01-19 2018-07-19 Geoffrey William Rogers Electromechanical devices for controlling vehicle suspension set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0148B2 (en) 2022-01-11
CN112849266A (zh) 2021-05-28
US20210162827A1 (en) 2021-06-03
CN112849266B (zh) 2024-08-20
KR20210066533A (ko) 2021-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092B2 (en) Active roll control system for vehicle
EP1818243B1 (en)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JP2009226972A (ja) ジオメトリ可変装置
JP2009113796A (ja) 車両のアライメント調整装置
US12252199B2 (en) Independent corner module
US12246569B2 (en) In-corner modular electric wheel system integrating adjustable king pin and king pin-type steering unit
EP2794307B1 (en) Front leaf spring
CN103158475B (zh) 主动侧倾控制系统
CN110650887A (zh) 车辆
US20090140479A1 (en) Variable compliance suspension bushing
US6585275B1 (en) Assembly for adjusting roll rate responsive to changing steering angle
KR102757854B1 (ko)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CN115214286A (zh) 稳定杆总成、悬架系统、车辆及悬架刚度控制方法
CN1138649C (zh) 扭转驱动桥
JP5151307B2 (ja) サスペンション
KR101592352B1 (ko) 능동제어 서스펜션 시스템
US20130154208A1 (en) Suspension system and method of varying a stiffness of a suspension of a vehicle
JP4996956B2 (ja) 操舵特性制御装置
KR20080055076A (ko) 차량의 가변 스테빌라이저
KR100462242B1 (ko) 토션 빔 서스펜션
JP2003136928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223262B1 (ko) 가변형 커플드 토션빔 액슬
KR100350275B1 (ko) 액티브 휠 얼라이먼트 제어 시스템
KR100475907B1 (ko) 자동차용 앤티롤바의 구조
KR20220006393A (ko) 차량용 캐스터 특성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