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7707B1 -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7707B1
KR102757707B1 KR1020190042452A KR20190042452A KR102757707B1 KR 102757707 B1 KR102757707 B1 KR 102757707B1 KR 1020190042452 A KR1020190042452 A KR 1020190042452A KR 20190042452 A KR20190042452 A KR 20190042452A KR 102757707 B1 KR102757707 B1 KR 102757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ubstrate
piezoelectric layer
transducer
ultrasonic prob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0062A (ko
Inventor
황원순
서민선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7707B1/ko
Priority to PCT/KR2019/015978 priority patent/WO2020209461A1/ko
Priority to US17/441,536 priority patent/US11911114B2/en
Priority to EP19924583.8A priority patent/EP3949864B1/en
Publication of KR2020012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7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77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Clinical applications
    • A61B8/0833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Clinical applications
    • A61B8/0833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61B8/0841Clinical application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for loca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45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obe, e.g. with respect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or to the patient
    • A61B8/4254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probe, e.g. with respect to an external reference frame or to the patient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7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the acoustic interface between the transducer and the tissue
    • A61B8/4281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involving the acoustic interface between the transducer and the tissue characterised by sound-transmitting media or devices for coupling the transducer to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05Device being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related to the probe
    • A61B8/4455Features of the external shape of the probe, e.g. ergonomic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8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 A61B8/4483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 A61B8/4494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diagnostic devic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ultrasound transducer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the transduc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4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 A61B8/546Control of the diagnostic device involving monitoring or regulation of device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4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single piezoelectric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61B2034/2046Tracking techniques
    • A61B2034/2051Electromagnetic tracking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대상체를 진단 또는 치료하도록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초음파 프로브는 케이스,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트랜스듀서, 케이스의 인근에서 대상체에 삽입되는 니들, 및 니들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트랜스듀서는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압전층, 압전층으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흡수하도록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층, 및 흡음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고, 센서유닛은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대상체를 진단 또는 치료하도록 초음파 영상을 획득하는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영상장치는 대상체의 체표로부터 체내의 타겟 부위를 향하여 초음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된 초음파 신호(초음파 에코 신호)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부 조직의 단층이나 혈류에 관한 이미지를 무침습으로 얻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영상장치는 본체, 및 초음파 신호를 진단하고자 하는 대상체에 송신하며,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초음파 영상장치에 의한 진단 중, 대상체의 내부에 종양 등이 존재할 것으로 의심되는 부위에는 생검법(Needle Biopsy)을 실시할 수 있다. 생검법은 대상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조직을 채취하는 니들(Needle)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대상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니들이 초음파 프로브에 의한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벗어나면 대상체의 정상 조직 또는 기관 등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즉, 초음파 프로브의 전방으로 이동되는 니들은 초음파 영상에서 주변 조직과 구분이 잘 되지 않을 수 있고, 니들이 삽입되는 경로가 초음파 영상장치로 투영되는 디스플레이에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니들의 이동 거리 파악이 어려울 수 있어 의료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생검법은 대상체의 원하는 위치(desired position)에 니들을 정확하게 가이드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고, 또한, 원하는 위치에 니들을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니들을 추적(track) 또는 모니터(monitor) 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는 니들의 위치 및 이동 거리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유닛은 기계적, 전기적, 자기적 특징 등을 이용하여 니들의 위치 및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프로브에 자화된 니들의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센서유닛이 트랜스듀서의 외측면에 위치되거나, 또는 센서유닛을 장착하도록 마련되는 별도의 마운팅케이스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니들의 위치 및 이동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생체 검사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자화된 니들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센서유닛을 배치하도록 개선된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접지기판, 신호기판, 또는 센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을 통합하도록 개선된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는 케이스,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트랜스듀서, 상기 케이스의 인근에서 대상체에 삽입되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듀서는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압전층, 상기 압전층으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흡수하도록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층, 및 상기 흡음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자화된 니들이 발생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자화된 니들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 및 상기 접지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압전층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센서가 장착되도록 상기 신호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압전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신호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신호기판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압전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접지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접지기판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기판은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센서기판, 및 상기 제1센서기판과 이격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센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센서기판에 장착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기판에 장착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센서기판에 장착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기판에 장착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신호기판을 향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센서기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방열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방열시트가 상기 센서를 방열하도록 상기 방열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흡음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유닛은 소독제가 상기 센서유닛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트랜스듀서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기판 및 상기 제2센서기판이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트랜스듀서의 음향 파장의 10배 내지 60배일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케이스는 몰딩 공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센서유닛의 자기장의 수신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자성 재질을 가지는 음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초음파 프로브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압전층, 상기 압전층으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흡수하도록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층, 및 상기 흡음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트랜스듀서, 상기 케이스의 인근에서 대상체에 삽입되는 자화된 니들, 및 상기 자화된 니들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 및 상기 접지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압전층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자화된 니들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도록 상기 신호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기판은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센서기판, 및 상기 제1센서기판과 이격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센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초음파 영상장치는 본체,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에 송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초음파 프로브, 및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위치검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압전층, 상기 압전층으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흡수하도록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층, 및 상기 흡음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를 가지는 트랜스듀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유닛은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위치검출유닛, 및 상기 제1위치검출유닛과 송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위치검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위치검출유닛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인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필드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검출유닛은 상기 필드제너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검출유닛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내부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필드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검출유닛은 상기 필드제너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니들의 위치 및 이동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생체 검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자화된 니들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센서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따라서 케이스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접지기판, 신호기판, 또는 센서기판을 포함하는 기판을 통합함으로써, 기판의 수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A-A′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와 위치검출유닛이 송 수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영상장치(1)는 본체(10), 및 초음파 신호를 진단하고자 하는 대상체에 송신하며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프로브(20)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20)는 대상체의 초음파 영상을 얻기 위해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로 송신하고, 대상체로부터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미 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20)는 케이블에 의해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통해 얻어진 진단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3)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에는 초음파 영상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3)에는 초음파 진단 과정에서 얻어진 초음파 영상 또는 초음파 영상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사항이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는 브라운관(Cathod Ray Tube: CRT),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가 복수 개 마련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3)는 메인디스플레이 및 서브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메인디스플레이에는 초음파 진단 과정에서 얻어진 초음파 영상이 표시될 수 있고, 서브디스플레이에는 초음파 영상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사항이 표시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입력장치(14)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장치(14)는 키보드(keyboard), 풋스위치(foot switch), 또는 풋페달(foot pedal)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장치(14)가 키보드인 경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입력장치(14)가 풋스위치 또는 풋페달인 경우,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장치(14)를 통해 초음파 영상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20)는 홀더(11)에 의해 본체(10)에 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초음파 영상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 초음파 프로브(20)를 홀더(11)에 거치시켜 보관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초음파 영상장치(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장치(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장치(12)는 본체(10)의 저면에 마련된 복수의 캐스터일 수 있다.
복수의 캐스터는 본체(10)를 특정 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도록 정렬(allign)되거나,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특정 위치에 정지되도록 록킹(locking)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의 A-A′단면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20)는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트랜스듀서(23)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20)는 트랜스듀서(23)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렌즈(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30)는 초음파 신호를 집속시킬 수 있다.
렌즈(30)는 대상체의 음향 임피던스와 유사한 음향 임피던스 값을 가진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은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렌즈(30)는 중앙부가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컨벡스 타입(Convex type)으로 구비되거나, 평평한 면을 갖는 리니어 타입(Linear type)으로 구비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20)는 트랜스듀서(23)가 수용되고 렌즈(30)가 외부의 대상체와 접촉되도록 일측에 개구(21a)를 포함하는 케이스(21), 및 케이스(21)의 타측에 장착되는 핸들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23)는 압전층(70), 압전층(7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정합층(60), 압전층(70)의 후방에 배치되는 흡음층(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트랜스듀서(23)는 자성체의 자왜 효과를 이용하는 자왜초음파 트랜스듀서(Magnetostrictive Ultrasonic Transducer), 미세 가공된 수백 또는 수천 개의 박막의 진동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정전용량형 미세가공초음파 트랜스듀서(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 또는 압전 물질의 압전 효과를 이용한 압전초음파 트랜스듀서(Piezoelectric Ultrasonic Transduc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부터는, 압전초음파 트랜스듀서를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23)의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소정의 물질에 기계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전압이 발생하고, 전압이 인가되면 기계적인 변형이 일어나는 효과를 압전 효과 및 역압전 효과라 할 수 있고, 이런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압전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압전 물질은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진동 에너지로, 기계적인 진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23)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이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압전 물질로 이루어진 압전층(70), 및 압전층(70)의 후방에 배치되는 음향층(8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층(70)은 공진 현상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지르콘산티탄산연(PZT)의 세라믹, 아연니오브산연 및 티탄산연의 고용체로 만들어지는 PZNT단결정, 및 마그네슘니오브산연 및 티탄산연의 고용체로 만들어지는 PZMT단결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전층(70)을 단결정(Single Crystal)으로 형성함으로써, 대역폭(Band width)이 넓은 초음파 프로브(20)를 형성할 수 있고, 저주파 영역뿐만 아니라, 고주파 영역의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듀서(23)를 채널 분할한 후, 분할된 트랜스듀서(23)의 곡률을 만드는 공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20)의 형태에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압전층(70)은 초음파 발생 성능을 극대화 하기 위해 커프(kerf)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층(80)은 압전층(70)보다 높은 음향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음향층(80)은 전기 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음향층(80)의 두께는 압전층(70)을 구성하는 압전 물질의 파장의 1/2, 1/4, 1/8 또는 1/16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층(80)은 음향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층(80)은 흡음층(5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층(80)은 흡음층(50)으로 진행하는 초음파를 전반사 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초음파 프로브(20)의 대역폭이 커지고 감도가 올라갈 수 있다.
음향층(80)은 초음파를 전반사 시킬 수 있도록 매우 높은 음향 임피던스를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층(80)은 텅스텐 카바이드(Tungsten Carbide), 또는 그라파이트(Graphite) 복합 물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압전층(70)의 전, 후면에는 전기적 신호가 인가될 수 있는 기판(40)이 형성될 수 있다. 기판(40)은 압전층(70)의 전방에 형성되는 접지기판(41), 및 압전층(70)의 후방에 형성되는 신호기판(4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지기판(41)과 신호기판(42)을 포함하는 기판(40)은 각각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23)는 전극(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층(70)의 후면에는 신호기판(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이 마련될 수 있고, 압전층(70)의 전면에는 접지기판(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전층(7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극이 신호기판(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압전층(7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전극이 접지기판(4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23)는 정합층(60)을 포함할 수 있다. 정합층(60)은 압전층(7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대상체에 최대한 전달되도록 압전층(70)과 대상체 사이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정합층(60)은 압전층(70)과 대상체의 음향 임피던스 차이를 감소시켜 압전층(70)과 대상체의 음향 임피던스를 정합시킴으로써 압전층(70)에서 발생된 초음파가 대상체로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정합층(60)은 압전층(7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정합층(60)은 압전층(7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정합층(60)은 압전층(70)의 음향 임피던스와 대상체의 음향 임피던스의 중간 값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고, 유리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정합층(60)은 음향 임피던스가 압전층(70)으로부터 대상체를 향해 점진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재질이 서로 다른 정합층(60)이 복수의 층으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정합층(60)은 제1정합층(61)과 제2정합층(6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정합층(60)은 서로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23)는 흡음층(5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음층(50)은 압전층(7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음층(50)은 압전층(7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흡음층(50)은 압전층(70)의 자유 진동을 억제하여 초음파의 펄스 폭을 감소시킬 수 있고, 초음파가 불필요하게 압전층(70)의 후방으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초음파 영상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음층(50)은 에폭시수지 및 텅스텐파우더 등이 추가된 고무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20)는 케이스(21)의 인근에서 대상체에 삽입되는 니들(90, Biopsy needle), 및 니들(90)을 가이드하도록 케이스(2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니들가이드(9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니들가이드(91)는 핸들(2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케이스(21) 및 핸들(2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니들가이드(91)는 케이스(21) 또는 핸들(2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장착부재(9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92)는 신축성 있는 재질을 가지는 고무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재(92)는 케이스(21) 또는 핸들(22)을 감쌀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장착부재(92)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는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는 등, 플렉서블하게 구성되어 크기와 모양이 다양한 초음파 프로브(2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니들(90)은 대상체, 예컨대 인체의 구멍 등을 통해 대상체 내부의 병변이 있는 부위에 삽입되어 치료 또는 조직 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바늘일 수 있다. 니들(90)은 예컨대, Clear track 또는 Virtual track 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23)는 니들(90)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90)은 자화될 수 있고(magnetized), 센서유닛(100)은 자화된 니들(90)이 발생하는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센서유닛(100)은 자회된 니들(90)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자화된 니들(90)은 소정 범위의 영역에 자기장(Magnetic field)을 형성할 수 있다. 센서유닛(100)은 지구의 자기장(earth's magnetic field), 및 임의의 다른 백그라운드 자기장(any other background magnetic field)과 함께, 니들(90)로부터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장치(1, 도 1 참조)는 센서유닛(100)에 의해 검출된 필드로부터 트랜스듀서(23)와 관련된 니들(90)의 방향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기로 검출된 니들(90)의 위치는 초음파 이미지와 함께 디스플레이(13, 도 1 참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3) 등을 통하여 니들(90)의 이동 거리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게 대상체의 채취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유닛(100)은 트랜스듀서(2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유닛(100)은 흡읍부재(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유닛(100)은 트랜스듀서(23)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트랜스듀서(23)의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센서유닛(100)을 트랜스듀서(23)의 외부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마운팅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어 초음파 프로브(20)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23)는 압전층(70, 도 3 참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41), 및 접지기판(4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압전층(70)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42)을 포함하는 기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의 센서유닛(100)은 센서(1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센서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기판(120)은 신호기판(4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23)는 흡음층(50)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51)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기판(120)은 흡음부재(51) 및 신호기판(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기판(42)은 센서기판(120) 및 접지기판(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기판(12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기판(120)은 흡음부재(51)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센서기판(121), 및 제1센서기판(121)과 이격되도록 흡음부재(51)의 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센서기판(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기판(121) 및 제2센서기판(122)이 이격되는 거리(S1)는 트랜스듀서(23)의 음향 파장의 10배 내지 60배일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110)는 제1센서기판(121)에 장착되는 제1센서(111), 및 제2센서기판(122)에 장착되는 제2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11)는 제1센서기판(121)에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제2센서(112)는 제2센서기판(122)에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센서(111) 및 제2센서(112)는 서로 대향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23)는 트랜스듀서(23)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4)는 CS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유닛(100)은 트랜스듀서(23)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커버부재(24)에 의해 함께 커버될 수 있다.
초음파 프로브(20)는 트랜스듀서(23)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렌즈(30)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23)는 렌즈(30, 도 3 참조)를 소독하는 소독제가 센서유닛(100)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듀서(23)는 센서유닛(100)이 트랜스듀서(23)의 외부가 아닌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렌즈(30)와 케이스(21)를 몰딩 공정으로 결합할 수 있다.
렌즈(30)와 케이스(21)를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과 달리, 렌즈(30)와 케이스(21)를 몰딩 공정으로 결합함에 따라, 초음파 프로브(20)의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불량 리스크를 감소할 수 있다.
트랜스듀서(23)는 센서유닛(100)의 자기장의 수신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자성 재질을 가지는 음향층(80, 도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유닛(100)이 트랜스듀서(23)의 내부에 배치되더라도, 음향층(80)에 의해 센서유닛(100)이 니들(90)의 자기장을 수신받는 것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a)은 트랜스듀서(23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유닛(100a)은 흡음부재(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 도 5 참조)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2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a)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a)는 압전층(70, 도 3 참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41), 및 접지기판(4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압전층(70)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42)을 포함하는 기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a)은 센서(110a)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센서기판(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기판(120a)은 신호기판(4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기판(120a)은 흡음부재(51) 및 신호기판(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기판(42)은 센서기판(120a) 및 접지기판(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기판(120a)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기판(120a)은 흡음부재(51)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센서기판(121a), 및 제1센서기판(121a)과 이격되도록 흡음부재(51)의 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센서기판(122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1센서기판(121a)과 제2센서기판(122a)이 이격되는 거리(S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센서기판(121)과 제2센서기판(122)이 이격되는 거리(S1, 도 5 참조)보다 작을 수 있다.
센서(110a)는 제1센서기판(121a)에 장착되는 제1센서(111a), 및 제2센서기판(122a)에 장착되는 제2센서(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11a) 및 제2센서(112a)는 신호기판(42)을 향하도록 흡음부재(51)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110a)는 센서기판(120a) 및 신호기판(42) 사이에 배치되도록 센서기판(120a)에 장착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23a)는 트랜스듀서(23a)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24)는 CS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유닛(100a)은 트랜스듀서(23a)의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커버부재(24)에 의해 함께 커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b)은 트랜스듀서(23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유닛(100b)은 흡음부재(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2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a, 도 6 참조)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3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b)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b)는 압전층(70, 도 3 참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41), 및 접지기판(4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압전층(70)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42)을 포함하는 기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b)은 센서(110b)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센서기판(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기판(120b)은 신호기판(4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기판(120b)은 흡음부재(51) 및 센서(1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신호기판(42)은 센서(110b) 및 접지기판(4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기판(120b)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센서기판(120b)은 흡음부재(51)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센서기판(121b), 및 제1센서기판(121b)과 이격되도록 흡음부재(51)의 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센서기판(12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제1센서기판(121b)과 제2센서기판(122b)이 이격되는 거리(S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1센서기판(121a)과 제2센서기판(122a)이 이격되는 거리(S2)와 같을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110b)는 제1센서기판(121b)에 장착되는 제1센서(111b), 및 제2센서기판(122b)에 장착되는 제2센서(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111b) 및 제2센서(112b)는 신호기판(42)을 향하도록 흡음부재(51)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센서(110b)는 센서기판(120b) 및 신호기판(42) 사이에 배치되도록 센서기판(120b)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b)은 센서기판(120b)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방열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시트(130)는 흡음부재(51) 및 센서기판(120b) 사이에 배치되도록 센서기판(120b)에 접촉할 수 있다. 방열시트(130)는 센서기판(120b)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유닛(100b)은 방열시트(130)가 센서(110b)를 방열하도록 방열시트(130)와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저(140)는 흡음부재(51)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테빌라이저(140)는 흡음부재(51)의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b)는 센서기판(120b)과 접촉하는 방열시트(130), 및 방열시트(130)와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저(140)를 포함함으로써, 발열하는 센서(110b)를 방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c)은 트랜스듀서(23c)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유닛(100c)은 흡음부재(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1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 도 5 참조)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4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c)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c)는 압전층(70, 도 3 참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41), 및 접지기판(4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압전층(70)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42)을 포함하는 기판(4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c)는 신호기판(4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센서(110c)는 흡음부재(51)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42)에 장착되는 제1센서(111c), 및 흡음부재(51)의 내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42)에 장착되는 제2센서(112c)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c)는 신호기판(42)에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센서(111c) 및 제2센서(112c)는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센서(110c)는 흡음부재(51) 및 신호기판(42) 사이에 배치되도록 신호기판(42)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110c)는 신호기판(42)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c)는 센서(110c)가 신호기판(42)에 장착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와 달리 센서(110c)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기판(120, 도 5 참조)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어, 기판(40)의 수를 줄일 수 있고, 초음파 프로브(20c)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신호기판(42)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신호기판(42) 및 센서기판(120, 도 5 참조)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에 있어서,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d)은 트랜스듀서(23d)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유닛(100d)은 흡음부재(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4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c, 도 8 참조)과 차이점을 중심으로 제5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d)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d)는 압전층(70, 도 3 참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41d)을 포함하는 기판(40d)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d)는 접지기판(41d)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센서(110d)는 흡음부재(51)의 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41d)에 장착되는 제1센서(111d), 및 흡음부재(51)의 내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41d)에 장착되는 제2센서(112d)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d)는 접지기판(41d)에 이격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센서(111d) 및 제2센서(112d)는 서로 대향될 수 있다. 센서(110d)는 흡음부재(51) 및 접지기판(41d) 사이에 배치되도록 접지기판(41d)에 장착될 수 있다. 센서(110d)는 접지기판(41d)의 내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d)는 센서(110d)가 접지기판(41d)에 장착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듀서(23c, 도 8 참조)와 달리 센서(110d)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신호기판(42, 도 8 참조)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어, 기판(40d)의 수를 보다 줄일 수 있고, 초음파 프로브(20d)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접지기판(41d)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신호기판(42) 및 접지기판(41)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와 위치검출유닛이 송 수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20e)는 위치검출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검출유닛(200)은 초음파 프로브(20e)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100e)을 포함하는 제1위치검출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e)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센서유닛(100, 도 5 참조)과 같을 수 있다.
위치검출유닛(200)은 초음파 영상장치(1, 도 1 참조)와 연결되는 제2위치검출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위치검출유닛(220)은 자기장을 발생하는 필드제너레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위치검출유닛(210)은 센서유닛(100e)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위치검출유닛(22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자화된 니들(90, 도 4 참조)과 같이 자기장을 발생하는 필드제너레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 프로브(20e)는 센서유닛(100e)과 필드제너레이터(300)를 통해 초음파 프로브(20e)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영상장치(1)를 통해 획득한 초음파 영상은 다른 의료 영상장치로부터 획득된 의료 영상과 정합될 수 있다. 영상 정합(image registration)은 서로 다른 영상을 변형하여 하나의 좌표계에 나타내는 처리 기법에 해당할 수 있다.
영상 정합은 둘 이상의 영상들을 한 장의 합성된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영상 정합 기술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영상들이 어떻게 대응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의료 영상을 이용한 진단 분야에서, 환부의 영상을 시간에 따라 비교하거나, 정상인 조직의 영상과 비교하기 위해서, 영상 정합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영상 획득 방식(modality)들 간의 장점 또는 단점이 보완된 영상을 진단에 이용하기 위해서, 획득된 영상들을 같은 공간에 나타내어 비교하여 볼 수 있게 하는 영상 정합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의료 영상 정합을 위해서, 초음파 프로브(20e)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검출유닛(200)이 사용될 수 있고, 제1위치검출유닛(210)이 초음파 프로브(20e)에 장착되어 초음파 프로브(20e)의 위치를 감지해야 영상 정합을 위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필드제너레이터(300)를 포함하는 제2위치검출유닛(220)은 초음파 영상장치(1)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케이블 등에 연결되어 초음파 영상장치(1)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필드제너레이터(300)는 센서유닛(100e)을 포함하는 제1위치검출유닛(210)의 좌표 정보가 결정되기 위한 기준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필드제너레이터(300)를 기준으로 센서유닛(100e)이 공간 상의 어떤 좌표 상에 있는지 결정될 수 있다.
즉, 필드제너레이터(300)는 센서유닛(100e)이 위치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센서유닛(100e)은 필드제너레이터(30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고, 3차원 공간 속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를 초음파 영상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초음파 프로브(20e)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위치검출유닛(210)은 필드제너레이터(300)를 포함할 수 있고, 초음파 영상장치(1)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위치검출유닛(220)은 센서유닛(100e)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필드제너레이터(300)는 초음파 프로브(20e)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센서유닛(100e)은 초음파 프로브(20e)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필드제너레이터(300)를 포함하는 제1위치검출유닛(210)은 센서유닛(100e)을 포함하는 제2위치검출유닛(220)이 위치하는 영역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센서유닛(100e)을 포함하는 제2위치검출유닛(220)은 필드제너레이터(300)를 포함하는 제1위치검출유닛(210)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검출할 수 있고, 3차원 공간 속에서 검출된 위치 정보를 초음파 영상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초음파 영상장치 10: 본체
11: 홀더 12: 이동장치
13: 디스플레이 14: 입력장치
20, 20a, 20b, 20c, 20d, 20e: 초음파 프로브
21: 케이스 21a: 개구
22: 핸들부
23, 23a, 23b, 23c, 23d: 트랜스듀서
24: 커버부재 30: 렌즈
40, 40d: 기판
41, 41d: 접지기판
42: 신호기판
50: 흡음층 51: 흡음부재
60: 정합층 61 제1정합층
62: 제2정합층 70: 압전층
80: 음향층 80a: 음향반사판
90: 니들 91: 니들가이드
92: 장착부재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센서유닛
110, 110a, 110b, 110c, 110d: 센서
111, 111a, 111b, 111c, 111d: 제1센서
112, 112a, 112b, 112c, 112d: 제2센서
120, 120a, 120b: 센서기판
121, 121a, 121b: 제1센서기판
122, 122a, 122b: 제2센서기판
130: 방열시트 140: 스테빌라이저
S1, S2: 제1센서기판 및 제2센서기판이 이격되는 거리
200: 위치검출유닛 210: 제1위치검출유닛
220: 제2위치검출유닛 300: 필드제너레이터

Claims (20)

  1. 케이스;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트랜스듀서;
    상기 케이스의 인근에서 대상체에 삽입되는 니들; 및
    상기 니들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마련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듀서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듀서는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압전층, 상기 압전층으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흡수하도록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층, 상기 흡음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 및 상기 접지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압전층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센서가 장착되도록 상기 신호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초음파 프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니들이 발생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니들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초음파 프로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압전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신호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신호기판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초음파 프로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압전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접지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접지기판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초음파 프로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기판은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센서기판, 및 상기 제1센서기판과 이격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센서기판을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센서기판에 장착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기판에 장착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서로 대향되는 초음파 프로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센서기판에 장착되는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기판에 장착되는 제2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상기 신호기판을 향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초음파 프로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센서기판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방열시트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방열시트가 상기 센서를 방열하도록 상기 방열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흡음부재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저를 더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소독제가 상기 센서유닛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트랜스듀서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는 초음파 프로브.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기판 및 상기 제2센서기판이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트랜스듀서의 음향 파장의 10배 내지 60배인 초음파 프로브,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발생된 초음파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렌즈와 상기 케이스는 몰딩 공정으로 결합되는 초음파 프로브.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듀서는 상기 센서유닛의 자기장의 수신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자성 재질을 가지는 음향층을 더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15.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압전층, 상기 압전층으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흡수하도록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층, 상기 흡음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 및 상기 접지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압전층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을 포함하는 트랜스듀서;
    상기 케이스의 인근에서 대상체에 삽입되는 자화된 니들; 및
    상기 자화된 니들의 위치를 측정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센서가 장착되도록 상기 신호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센서기판을 포함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기판은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센서기판, 및 상기 제1센서기판과 이격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센서기판을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18. 본체;
    초음파 신호를 대상체에 송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초음파 프로브; 및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마련되는 위치검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프로브는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압전층, 상기 압전층으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를 흡수하도록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층, 상기 흡음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흡음부재, 상기 압전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지기판, 및 상기 접지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압전층의 타측에 배치되는 신호기판을 가지는 트랜스듀서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검출유닛은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위치검출유닛, 및 상기 제1위치검출유닛과 송 수신하도록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위치검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위치검출유닛은 상기 초음파 프로브의 인근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필드제너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위치검출유닛은 상기 필드제너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을 검출하도록 상기 흡음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신호기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초음파 영상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190042452A 2019-04-11 2019-04-11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Active KR102757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52A KR102757707B1 (ko) 2019-04-11 2019-04-11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PCT/KR2019/015978 WO2020209461A1 (ko) 2019-04-11 2019-11-20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US17/441,536 US11911114B2 (en) 2019-04-11 2019-11-20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imag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19924583.8A EP3949864B1 (en) 2019-04-11 2019-11-20 Ultrasonic probe and ultrasonic imaging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452A KR102757707B1 (ko) 2019-04-11 2019-04-11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62A KR20200120062A (ko) 2020-10-21
KR102757707B1 true KR102757707B1 (ko) 2025-01-21

Family

ID=72752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452A Active KR102757707B1 (ko) 2019-04-11 2019-04-11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11114B2 (ko)
EP (1) EP3949864B1 (ko)
KR (1) KR102757707B1 (ko)
WO (1) WO2020209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01679B2 (ja) * 2020-07-10 2023-12-19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装置、及び、画像生成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6514A (ja) 2000-11-01 2002-05-14 Hitachi Ltd 超音波探触子
US20060004290A1 (en) 2004-06-30 2006-01-05 Smith Lowell S Ultrasound transducer with additional sensors
JP2016509884A (ja) * 2013-03-05 2016-04-04 エゾノ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画像案内処置のためのシステム
KR102182134B1 (ko) 2018-12-07 2020-11-23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마커를 이용하는 니들 시술 가이드 기능을 가진 초음파 영상 기기
JP7154135B2 (ja) 2016-06-01 2022-10-17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永久磁石および磁化可能特徴部を利用する医療用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6533B2 (ja) * 2003-03-25 2009-12-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超音波探触子
US7303530B2 (en) * 2003-05-22 2007-12-0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Transducer arrays with an integrated sensor and methods of use
US10026338B2 (en) 2004-11-30 2018-07-1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mbedded motion sensing technology for integration within commercial ultrasound probes
US10368838B2 (en) * 2008-03-31 2019-08-06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Surgical tools for laser marking and laser cutting
CA2800810C (en) * 2010-05-28 2019-11-05 C.R. Bard, Inc. Insertion guidance system for needles and medical components
KR101525336B1 (ko) * 2011-01-06 2015-06-02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메디코 초음파 탐촉자
KR101938807B1 (ko) 2011-02-15 2019-04-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시술용 바늘의 위치 가이드 장치
JP2013169382A (ja) 2012-02-22 2013-09-02 Jvc Kenwood Corp 磁化検出装置及び磁化検出方法
US10820885B2 (en) 2012-06-15 2020-11-03 C. R. Bar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on of a removable cap on an ultrasound probe
US20140128739A1 (en) 2012-11-07 2014-05-08 General Electric Company Ultrasound imaging system and method
US9459087B2 (en) 2013-03-05 2016-10-04 Ezono Ag Magnetic position detection system
KR102271172B1 (ko) 2014-07-14 2021-06-30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흡음 부재,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84255A (ko) * 2015-01-05 2016-07-13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US20170347914A1 (en) * 2016-06-01 2017-12-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Invasive Medical Devices Including Magnetic Region And Systems And Methods
JP2018023677A (ja) 2016-08-12 2018-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超音波診断システム
US20200367856A1 (en) 2017-08-22 2020-11-26 C. R. Bard, Inc. Ultrasound imaging probe for use in an ultrasound imaging system
KR102016941B1 (ko) * 2017-09-26 2019-09-02 주식회사 에프씨유 자기 센서 최적 위치를 위한 초음파 프로브
KR102704220B1 (ko) * 2019-01-08 2024-09-09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초음파 프로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6514A (ja) 2000-11-01 2002-05-14 Hitachi Ltd 超音波探触子
US20060004290A1 (en) 2004-06-30 2006-01-05 Smith Lowell S Ultrasound transducer with additional sensors
JP2016509884A (ja) * 2013-03-05 2016-04-04 エゾノ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画像案内処置のためのシステム
JP7154135B2 (ja) 2016-06-01 2022-10-17 ベクトン・ディキンソン・アンド・カンパニー 永久磁石および磁化可能特徴部を利用する医療用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182134B1 (ko) 2018-12-07 2020-11-23 한국 한의학 연구원 마커를 이용하는 니들 시술 가이드 기능을 가진 초음파 영상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09461A1 (ko) 2020-10-15
EP3949864A4 (en) 2022-05-11
KR20200120062A (ko) 2020-10-21
EP3949864A1 (en) 2022-02-09
EP3949864B1 (en) 2024-03-13
US20220183763A1 (en) 2022-06-16
US11911114B2 (en)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3012B2 (en) Ultrasound 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071398A1 (en) Three-dimensional probe apparatus
US9089875B2 (en) Ultrasound backing element, transducer and ultrasound probe including the same
US20130181577A1 (en) Ultrasonic 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995943B1 (en) Ultrasonic probe device
US20170135673A1 (en) An ultrasound transducer probe having a curved imaging face
KR102185362B1 (ko)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한 의료 장치
US11607193B2 (en) Ultrasonic probe
KR20170090304A (ko) 초음파 트랜스듀서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프로브
US10390793B2 (en) Backing element of ultrasonic probe, backing layer of ultrasonic 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757707B1 (ko) 초음파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영상장치
US11406358B2 (en) Ultrasonic probe
KR20210105023A (ko) 초음파 프로브 및 그 제조방법
US20140292147A1 (en) Ultrasonic prob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10003057A (ko)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진단장치
US20220395255A1 (en) Transducer for ultrasound measuring systems and methods
KR102704220B1 (ko) 초음파 프로브
KR101053286B1 (ko) 초음파 프로브 및 초음파 진단장치
JP3462904B2 (ja) 針状超音波探触子
KR102607016B1 (ko) 초음파 프로브
Ssekitoleko Design and fabrication of micro-scale high frequency ultrasonic diagnostic devices for in-vivo pathology
KR20180068586A (ko) 초음파 진단 장치용 프로브
Frijlink Harmonic Intravascular Ultrasound
KR20150084635A (ko) 초음파 프로브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4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4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