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7596B1 - 전자 기계 구성 요소의 권선 직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계 구성 요소의 권선 직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7596B1
KR102757596B1 KR1020217006961A KR20217006961A KR102757596B1 KR 102757596 B1 KR102757596 B1 KR 102757596B1 KR 1020217006961 A KR1020217006961 A KR 1020217006961A KR 20217006961 A KR20217006961 A KR 20217006961A KR 102757596 B1 KR102757596 B1 KR 102757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winding
section
forming
ben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1762A (ko
Inventor
윤석천
김세윤
Original Assignee
보그워너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그워너 인크. filed Critical 보그워너 인크.
Publication of KR20210031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1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7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75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04Winding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or shape, form or construction, e.g. with bar conductors
    • H02K3/28Layout of windings or of connections between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30Manufacture of wind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their mounting into the machines
    • H02K15/043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their mounting into the machines winding flat conductive wires or she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their mounting into the machines
    • H02K15/043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their mounting into the machines winding flat conductive wires or sheets
    • H02K15/0432Distribu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their mounting into the machines
    • H02K15/043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windings prior to their mounting into the machines winding flat conductive wires or sheets
    • H02K15/0432Distributed windings
    • H02K15/0433Distributed windings of the wave winding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ndings For Motors And Generator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제1 권선 피치를 가지는 제1 복수 개의 단부 턴을 가지는 제1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적어도 제1 권선 피치를 가지는 제2 복수 개의 단부 턴을 가지는 제2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 복수 개의 단부 턴의 선택된 하나에서 제1 컨덕터의 제1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 제2 컨덕터를 제1 컨덕터의 제2 섹션 위에 겹치는 단계 및 제2 컨덕터의 제1 부분이 제1 컨덕터의 제1 섹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컨덕터의 제2 부분이 제1 컨덕터의 제2 섹션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1 컨덕터의 제1 섹션을 구부려서 제1 컨덕터 쌍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Description

전자 기계 구성 요소의 권선 직조 방법
본 발명은,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감소되고 보다 작은 고정자 코어에 통합될 수 있는 균형 잡힌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모터 또는 발전기의 고정자는 두 부분과 절연 재료를 포함한다. 제1 부분은 라미네이션이다. 라미네이션은 일반적으로 ID, OD 및 스택 높이를 가지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찍힌, 말린 또는 구부러진) 전기 강판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된다. 라미네이션은 ID 또는 OD로 개방된 슬롯을 추가로 포함한다. 슬롯은 너비와 깊이가 있다. 각 슬롯 사이에는 ID 또는 OD 라미네이션 백 아이언(요크)에서 연장되는 라미네이션 톱니가 있다.
제2 부분은 권선이다. 권선은 일반적으로 절연 구리선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알루미늄과 같은 다른 전도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권선은 일반적으로 3, 5 또는 6 개의 여러 위상을 포함한다. 위상의 수는 다를 수 있다. 각각의 위상에 대해, 권선은 슬롯 세그먼트와 단부 루프를 가지는 컨덕터를 포함한다. 슬롯 세그먼트는 라미네이션 슬롯에 보관된다. 단부 루프는 대부분 원주에 걸쳐 있으며 두 개의 슬롯 세그먼트를 함께 연결한다. 권선은 델타 권선 또는 와이 권선 일 수 있다.
분산 권선은 일반적으로 인접한 슬롯인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는 하나의 위상의 극을 가지는 권선이다. 각각의 위상은 여러 권선 층을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상 권선에는 24개의 극이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극이 두 개의 슬롯을 차지하고 권선은 8 개의 권선 층을 차지할 수 있다. 각각의 극은 세 개의 슬롯에 걸쳐있을 수 있지만, 주어진 권선 층에서 한 번에 두 개의 슬롯만 차지한다. 권선은 손실을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기적으로 균형이 잡혀야 한다. 보다 작은 고정자에 삽입될 수 있는 전기적으로 균형 잡힌 권선을 제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산업계는 두께가 감소되고 보다 작은 고정자 코어에 통합될 수 있는 균형 잡힌 고정자 권선을 형성하는 시스템을 수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두께가 감소되고 보다 작은 고정자 코어에 통합될 수 있는 균형 잡힌 고정자 권선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제1 권선 피치를 가지는 제1 복수 개의 단부 턴을 가지는 제1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제1 단부 부분과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제1 권선 피치를 가지는 제2 복수 개의 단부 턴을 가지는 제2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 제1 복수 개의 단부 권선 중 선택된 하나에서 제1 컨덕터의 제1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 제2 컨덕터를 제1 컨덕터의 제2 섹션 위에 겹치는 단계 및 제2 컨덕터의 제1 부분이 제1 컨덕터의 제1 섹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컨덕터의 제2 부분이 제1 컨덕터의 제2 섹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컨덕터 쌍을 형성하도록 제1 컨덕터의 제1 섹션을 펴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이 개시된다.
또한,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제1 권선 피치를 가지는 제1 복수의 단부 권선을 가지는 복수의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세로 축을 가지는 제1 컨덕터 권선으로 제1 복수의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 제2 세로 축을 가지는 제2 컨덕터 권선으로 제2 복수의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컨덕터 권선을 구부려서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단계, 제1 컨덕터 권선 위에 제2 컨덕터 권선을 겹치는 단계 및 제1 컨덕터 권선을 펴서 제1 세그먼트가 제2 컨덕터 권선의 상부에 있고 제2 세그먼트가 제2 컨덕터 권선의 하부에 있도록 하여, 결합된 컨덕터 권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은, 두께가 감소되고 보다 작은 고정자 코어에 통합될 수 있는 균형 잡힌 고정자 권선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라 형성된, 권선을 포함하는 전기 모터용 고정자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도 1의 고정자의 권선의 컨덕터를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도 1의 고정자의 다른 권선을 도시한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함께 짜여진 권선의 일부 및 다른 권선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직조 공정을 준비하는 도 2의 권선을 도시한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제1 방향으로 접힌 도 5의 권선의 제1 부분을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제1 방향으로 접힌 도 6의 권선의 제2 부분을 도시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도 7의 권선에 씌워진 도 3의 다른 권선을 도시한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다른 권선에 펴져서 제1 컨덕터 쌍을 형성하는 도 8의 권선의 제1 및 제2 부분을 도시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제1 컨덕터 쌍에 씌워진 제2 컨덕터 쌍을 도시한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제1 및 제2 컨덕터 쌍에 씌워진 제3 컨덕터 쌍을 도시한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제1, 제2 및 제3 컨덕터 쌍을 포함하는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을 도시한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라 형성된, 제2 여섯 컨덕터 쌍을 도시한다.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의 제1 부분을 도시한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에 겹쳐진 제2 여섯 컨덕터 권선을 도시한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제2 여섯 컨덕터 권선으로 회전되는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의 제1 부분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의 일 양태에 따른, 직조된 12 컨덕터 권선을 도시한다.
개시된 장치와 방법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제한이 아닌 예시로서 여기에 제시된다.
전기 기계용 고정자는 일반적으로 도 1에서 10으로 표시된다. 고정자(10)는 복수의 권선(14)을 지지하는 고정자 본체(12)를 포함한다. 고정자 본체(12)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부 환형 표면(미도시)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롯(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권선(14)은 직조 섹션(16)과 커넥트 리드 섹션(18)을 포함한다. 직조 섹션(16)은 원하는 유형의 인자와 전기 균형을 설정하기 위해 컨덕터가 짜맞추어질 수 있는 지점에서 권선(14)의 일부를 정의한다. 커넥터 리드 섹션(18)은 예를 들어, 전원에 상호 연결 및 결합될 수 있는 권선(14)을 형성하는 컨덕터의 단자 단부에서의 일부를 정의한다.
권선(14)은 A/B 컨덕터 및 B/D 컨덕터의 직조 컨덕터 쌍을 생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명백한 바와 같이, B 컨덕터는 A 컨덕터의 거울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고 D 컨덕터는 C 컨덕터의 거울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으며, A 및 C 컨덕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B 및 D 컨덕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컨덕터(34)는 제1 단부(36), 제2 단부(37), 40으로 도시된 복수 개의 슬롯 세그먼트를 결합하며 그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단부 턴(39)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1 컨덕터(34)는 위치에 따라 A 컨덕터 또는 C 컨덕터를 나타낼 수 있다.
제1 컨덕터(34)의 제1 단부(36)는 제1 커넥터 리드(41)를 정의하고 제2 단부(37)는 제2 커넥터 리드(42)를 정의한다. 복수 개의 단부 턴(39)은 제1 권선 피치(X1)를 가지는 제1 복수 개의 절곡부(44A), 제1 권선 피치(X1)를 가지는 제2 복수 개의 절곡부(44B), 그리고 제1 권선 피치(X1)를 가지는 제3 복수 개의 절곡부(44C)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단부 턴(39)은 또한 제2 권선 피치(X2)를 가지는 절곡부(46) 및 제3 권선 피치(X3)를 가지는 절곡부(48)를 포함한다. 제2 권선 피치(X2)는 제1 권선 피치(X1)보다 클 수 있고 제3 권선 피치(X3)는 제1 권선 피치(X1)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권선 피치(X1)는 6 피치를 나타낼 수 있고, 제2 권선 피치(X2)는 7 피치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3 권선 피치(X3)는 5 피치를 나타낼 수 있다. 특정 피치 값은 다를 수 있다. 6 피치라는 문구는 특정 단부 루프가 5 개의 슬롯에 걸쳐 있는 두 개의 슬롯 세그먼트를 연결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컨덕터(52)는 제1 단부 부분(54), 제2 단부 부분(56), 그리고 제1 단부 부분(54)과 제2 단부 부분(56)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단부 턴(57)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제2 컨덕터(52)의 제1 단부 부분(54)은 제1 커넥터 리드(59)를 정의하고 제2 단부 부분(56)은 제2 커넥트 리드(60)를 정의한다. 복수 개의 단부 턴(57)은 제1 권선 피치(X1)를 가지는 제1 복수 개의 절곡부(62A), 제1 권선 피치(X1)를 가지는 제2 복수 개의 절곡부(62B), 그리고 제1 권선 피치(X1)를 가지는 제3 복수 개의 절곡부(62C)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단부 턴(57)은 또한 제2 권선 피치(X2)를 가지는 절곡부(64)와 제3 권선 피치(X3)를 가지는 절곡부(66)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컨덕터(52)의 절곡부(66)는 제1 컨덕터(34)의 절곡부(46) 내에 위치하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배열로, 제1 및 제2 컨덕터(34, 52)의 상대적인 위치는 제1 단부(36, 54)와 제2 단부(37, 55) 사이에서 한 번 이상 변경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컨덕터(34)는 제2 컨덕터(52)의 수용을 준비하기 위해서 위치되고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덕터(34)는 제1 단부(36)와 절곡부(46) 또는 절곡부(46)에 인접한 복수 개의 단부 턴(39) 중 하나 사이에서 정의된 제1 섹션(70)을 형성하는 제1 방향으로, 절곡부(46) 또는 절곡부(46)에 인접한 단부 턴(39)에서 위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덕터(34)는 또한 제2 단부(37)와 절곡부(48)에 인접한 복수 개의 단부 턴(39) 중 하나 사이에서 정의된 제2 섹션(72)을 형성하기 위해서 위쪽으로 그러나 제2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도 7에서 제1 방향은 반대 방향으로 도시되며 제1 섹션(70)은 반시계 방향으로 위쪽으로 구부러지고 제2 섹션(72)은 시계 방향으로 위쪽으로 구부러진다. 그러나, 제1 섹션(70) 및 제2 섹션(72)이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위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3 섹션(74)은 절곡부(46)에 인접한 복수 개의 단부 턴(39) 중 다른 하나와 절곡부(48)에 인접한 복수 개의 단부 턴(39) 중 또 다른 하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덕터(52)는 제1 컨덕터(34) 위에 겹쳐질 수 있다. 도 8은 제1 컨덕터(34) 위에 겹쳐지는 과정에 있는 제2 컨덕터(52)를 도시한다. 제1 섹션(70)과 제2 섹션(72)은 펼쳐질 수 있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덕터(52)의 제1 및 제2 부분(별도로 라벨링되지 않음)은 제1 섹션(70) 하부에 놓이고 제2 컨덕터(52)의 제3 부분은 제3 섹션(74)의 상부에 놓여져 제1 전기 위상을 전달하기 위한 제1 컨덕터 쌍(80)을 형성한다. 제1 컨덕터 쌍(80)은 직조된 A 및 B 컨덕터로서 형성된다. 이 때 “하부” 및 “상부”라는 용어는 명확성을 위해서 표현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제1 및 제2 컨덕터(34, 52)의 위치에 어떠한 제한도 부과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제1 컨덕터 쌍(8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 제2 컨덕터 쌍(82)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제2 컨덕터 쌍(82)은 제1 컨덕터 쌍(8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컨덕터 쌍(84)이 제1 컨덕터 쌍(80) 및 제2 컨덕터 쌍(82)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컨덕터 쌍(84)은 제1 컨덕터 쌍(80) 및 제2 컨덕터 쌍(82)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1 여섯 컨덕터 권선(90)을 형성한다. 이 때, 제1 여섯 컨덕터 권선(90)은 A/B 컨덕터의 두 개의 컨덕터 쌍 세 개가 겹쳐져서 형성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여섯 컨덕터 권선(94)은 제1 여섯 컨덕터 권선(90)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2 여섯 컨덕터 권선(94)은 C/D 컨덕터의 두 개의 컨덕터 쌍 세 개가 겹쳐져서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여섯 컨덕터 권선(90)은 축(96)을 중심으로 회전되거나 구부러져서, 제1 섹션(98) 및 제2 섹션(10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여섯 컨덕터 권선(94)은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의 상부에 배치된다. 도 15는 제2 여섯 컨덕터 권선(94)이 제1 여섯 컨덕터 권선(90) 상에 배치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제2 여섯 컨덕터 권선(94)은 제1 부분(104) 및 제2 부분(106)을 포함한다. 제1 섹션(98)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104)이 제1 섹션(98)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2 부분(106)이 제2 섹션(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열둘 컨덕터 권선(120)을 형성하도록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질 수 있다. 열둘 컨덕터 권선(12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정자 본체(12)에 적재될 수 있다.
이 때, 예시적인 실시예는 위상당 폴당 2 개의 슬롯을 가지는 고정자를 위한 A 와 B 권선 및 공통 피치 권선과 특수 피치 영역을 가지는 권선의 직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다른 배열 또한 가능하다. 또 다른 공통 권선은 서로 다른 공통 피치를 가질 수 있는 위상당 극당 3 개의 슬롯이 있는 권선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9의 피치와, 11 피치가 두 개의 8 피치의 상부 위로 확장되는 특수 섹션과 같은 다른 공통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는 위상당 극당 3 개의 슬롯이 있는 권선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권선당 두 개 이상의 특수 피치 영역(예를 들어 5-7 피치 영역)이 다른 권선에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방사상 열로 슬롯에 수용된 권선을 가지는 고정자는 슬롯 세그먼트 층을 가진다. 가장 바깥쪽 층에 수용된 슬롯 세그먼트는 층 #1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두 번째 가장 바깥쪽 층에 수용된 권선의 슬롯 세그먼트는 각 슬롯의 8 층 모두에 대해 층 2 등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위상당 극당 두 개의 슬롯이 있는 대부분의 고정자는 각 극의 왼쪽 슬롯과 오른쪽 슬롯을 가진다. 위상당 극당 2 개의 슬롯과 각 극에 4-8-4 위상 벨트를 가지는 고정자는 왼쪽 슬롯, 중간 슬롯 및 오른쪽 슬롯을 가진다. 손실과 낮은 효율로 이어질 수 있는 재순환 전류를 줄이기 위해서, 예를 들어 A, B, C, D 컨덕터와 같은 병렬 컨덕터가 각 위상에 대해 병렬로 연결되어 모든 극의 왼쪽 슬롯에서 유사한 평균 층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중간 슬롯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오른쪽 슬롯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러한 균형을 이루기 위해 권선의 다른 영역(5-7 피치 영역 제외)은 직조가 필요할 수 있다.
“약”과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출원시 이용 가능한 장비에 기초한 특정 양의 측정과 관련된 오차 정도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약” 및/또는 “실질적으로”는 주어진 값의 ±8% 또는 5%, 또는 2%의 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오직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이 명백히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언급된 형상, 정수, 단계, 연산, 요소, 및/또는 구성 요소의 존재를 명시하지만,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형상, 정수, 단계, 연산, 구성 요소, 및/또는 그룹 등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 또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등가물이 그 요소를 대체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교시에 특정 상황 또는 재료를 적용하기 위해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된 최상의 양태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권리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할 것이다.
10 : 고정자 12 : 고정자 본체
14 : 권선 16 : 직조 섹션
18 : 커넥트 리드 섹션 34 : 제1 컨덕터
52 : 제2 컨덕터 80 : 제1 컨덕터 쌍
82 : 제2 컨덕터 쌍 84 : 제3 컨덕터 쌍
90 : 제1 여섯 컨덕터 권선 94 : 제2 여섯 컨덕터 권선

Claims (21)

  1.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제1 권선 피치를 가지는 제1 복수 개의 단부 턴을 가지는 제1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
    제1 단부 부분, 제2 단부 부분 및 상기 제1 단부 부분과 상기 제2 단부 부분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상기 제1 권선 피치를 가지는 제2 복수 개의 단부 턴을 가지는 제2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복수 개의 단부 턴 중 선택된 하나에서 상기 제1 컨덕터의 제 1 섹션을 제 1 컨덕터의 제 2 섹션에 대해 회전시켜 구부러진 제1 컨덕터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컨덕터의 제1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
    상기 제2 컨덕터를 상기 구부러진 제1 컨덕터의 제2 섹션 위에 겹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덕터의 제1 부분이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컨덕터의 제2 부분이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2 섹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컨덕터 쌍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컨덕터가 상기 구부러진 제1 컨덕터의 제2 섹션 위에 겹쳐진 후, 상기 복수 개의 단부 턴 중 선택된 하나에서 상기 구부러진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펴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덕터를 상기 구부러진 제1 컨덕터에 겹치기 전에 상기 제1 복수 개의 단부 턴 중 또 다른 선택된 하나에서 상기 제1 컨덕터의 제3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덕터의 상기 제1 부분이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컨덕터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2 섹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컨덕터의 제3 부분이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컨덕터 쌍을 추가적으로 형성하도록, 상기 제2 컨덕터가 상기 구부러진 제1 컨덕터의 제2 섹션 위에 겹쳐진 후, 상기 제1 복수 개의 단부 턴 중 선택된 하나에서 상기 구부러진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을 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제1 방향으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제1 방향으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을 제2 방향으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시계 방향으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을 반시계 방향으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제2 권선 피치를 포함하는 제1 피치 변경 단부 턴, 제1 권선 피치 및 상기 제2 권선 피치와는 다른 제3 권선 피치를 포함하는 제2 피치 변경 단부 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권선 피치를 포함하는 제3 피치 변경 단부 턴, 상기 제3 권선 피치를 포함하는 제4 피치 변경 단부 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치 변경 단부 턴에 인접한 단부 턴에서 상기 제1 컨덕터를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치 변경 단부 턴에서 상기 제1 컨덕터를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컨덕터를 상기 구부러진 제1 컨덕터의 상기 제2 섹션 위에 겹치는 단계는 상기 제2 컨덕터의 상기 제3 피치 변경 단부 턴을 상기 구부러진 제1 컨덕터의 제1 피치 변경 단부 턴과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1 섹션을 상기 제1 피치 변경 단부 턴에 인접한 단부 턴에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을 구부리는 단계는 상기 제1 컨덕터의 상기 제3 섹션을 상기 제2 피치 변경 단부 턴에서 구부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덕터 쌍과 유사한 제2 컨덕터 쌍 및 상기 제2 컨덕터 쌍과 유사한 제3 컨덕터 쌍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컨덕터 쌍을 상기 제1 컨덕터 쌍 위에 겹치고, 상기 제3 컨덕터 쌍을 상기 제2 컨덕터 쌍 위에 겹쳐서 제1 세로 축을 가지는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세로 축을 가지는 제2 여섯 컨덕터 권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을 구부려서 제1 세그먼트 및 제2 세그먼트를 갖는 구부러진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섯 컨덕터 권선을 상기 구부러진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에 겹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의 상기 제1 세그먼트가 상기 제2 여섯 컨덕터 권선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의 상기 제2 세그먼트가 상기 제2 여섯 컨덕터 권선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부러진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을 펴서, 실질적으로 전기적으로 균형 잡힌 모터 권선인 12 컨덕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을 구부리는 것은 상기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의 축에서 상기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의 상기 제2 세그먼트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여섯 컨덕터 권선의 상기 제1 세그먼트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정자 권선 형성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217006961A 2018-08-10 2019-08-09 전자 기계 구성 요소의 권선 직조 방법 Active KR102757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7692P 2018-08-10 2018-08-10
US62/717,692 2018-08-10
PCT/US2019/045949 WO2020033858A1 (en) 2018-08-10 2019-08-09 Method for weaving wires for a component of an electric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1762A KR20210031762A (ko) 2021-03-22
KR102757596B1 true KR102757596B1 (ko) 2025-01-21

Family

ID=6940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6961A Active KR102757596B1 (ko) 2018-08-10 2019-08-09 전자 기계 구성 요소의 권선 직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33435B2 (ko)
KR (1) KR102757596B1 (ko)
CN (1) CN112544030B (ko)
DE (1) DE112019004024T5 (ko)
WO (1) WO20200338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2773A1 (en) 2018-02-01 2019-08-08 Borgwarner Inc. Distributed stator winding
CN112585848B (zh) 2018-08-10 2024-07-26 博格华纳公司 形成用于电机的部件的方法
DE112019004037T5 (de) 2018-08-10 2021-05-06 Borgwarner Inc. Verfahren zum Wickeln einer Komponente einer elektrischen Maschine
DE102020105606B4 (de) * 2020-03-03 2024-02-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Gefaltete Wellenwicklung mit Umschlag
DE102020120846A1 (de) * 2020-08-07 2022-02-1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icklungsmatte für eine elektrische Maschine
CN114640205A (zh) * 2020-12-15 2022-06-17 博格华纳公司 在相带中具有多个移位的定子绕组
US12170460B2 (en) * 2021-05-20 2024-12-17 Borgwarner Inc. Stator with phase shift
EP4213353A1 (de) 2022-01-14 2023-07-19 Grob-Werke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esteckten wellenwickl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8147A (ja) 2007-11-20 2009-07-02 Denso Corp 回転電機のコイル組立体製造方法
US20150054374A1 (en) * 2013-08-23 2015-02-26 Remy Technologies, Llc Distributed cascaded winding for electric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8786A (ja) * 1997-09-18 1999-04-09 Denso Corp 車両用交流発電機
JP4014071B2 (ja) 2000-03-13 2007-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発電機及びその巻線アッセンブリ並びに巻線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JP3745707B2 (ja) * 2002-06-12 2006-02-15 株式会社デンソー セグメント順次接合型ステータコイルを有する高電圧車両用回転電機
DE102004035084A1 (de) 2004-07-20 2006-02-16 Elmotec Statomat Vertrieb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Spulenwicklung für Statoren oder Rotoren elektrischer Maschinen sowie damit herzustellender Stator oder Rotor
US7269888B2 (en) * 2004-08-10 2007-09-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king cascaded multilayer stator winding with interleaved transitions
JP2006211810A (ja) 2005-01-27 2006-08-10 Denso Corp セグメント連接型回転電機
FR2896350B1 (fr) 2006-01-16 2008-02-29 Valeo Equip Electr Moteur Procede pour realiser le bobinage d'un stator d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et stator obtenu par ce procede
JP5016969B2 (ja) 2007-04-25 2012-09-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電機の配電部品
DE102008019479A1 (de) * 2008-04-17 2009-10-29 Elmotec Statomat Vertriebs Gmbh Stator oder Rotor für elektrische Maschin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4505764B2 (ja) * 2008-04-21 2010-07-21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コイル組立体製造方法
JP5201400B2 (ja) * 2008-06-30 2013-06-05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のコイル組立体製造方法
JP5770074B2 (ja) 2011-11-29 2015-08-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回転電機
US8878414B2 (en) 2012-08-09 2014-11-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ator weld joint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FR3020205B1 (fr) * 2014-04-17 2017-11-03 Valeo Equip Electr Moteur Procede de realisation d'un bobinage de stator de machine electrique comportant une etape de pre-formation et stator bobine correspondant
KR102272772B1 (ko) 2014-08-07 2021-07-02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회전 전기 기계용 와이어 조립체 및 그 와이어 조립체를 얻기 위한 대응 방법
CN106787337B (zh) * 2016-12-27 2019-01-18 江西江特电机有限公司 一种可节省出线端布线空间的新型双层波绕组方法
WO2019152773A1 (en) 2018-02-01 2019-08-08 Borgwarner Inc. Distributed stator winding
DE112019004037T5 (de) 2018-08-10 2021-05-06 Borgwarner Inc. Verfahren zum Wickeln einer Komponente einer elektrischen Maschine
CN112585848B (zh) 2018-08-10 2024-07-26 博格华纳公司 形成用于电机的部件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8147A (ja) 2007-11-20 2009-07-02 Denso Corp 回転電機のコイル組立体製造方法
KR101139021B1 (ko) * 2007-11-20 2012-04-26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회전 전기의 코일 조립체 제조 방법
US20150054374A1 (en) * 2013-08-23 2015-02-26 Remy Technologies, Llc Distributed cascaded winding for electric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44030B (zh) 2023-11-28
US11233435B2 (en) 2022-01-25
US20200052537A1 (en) 2020-02-13
CN112544030A (zh) 2021-03-23
DE112019004024T5 (de) 2021-04-29
WO2020033858A1 (en) 2020-02-13
KR20210031762A (ko) 202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57596B1 (ko) 전자 기계 구성 요소의 권선 직조 방법
US11843295B2 (en) Flat-wire continuous wave-wound staggered winding and stator comprising the same
US11316415B2 (en) Method of winding a stator of an electric machine
US11843291B2 (en) Component for an electric machine
US11063488B2 (en) Stator for electric rotating machine
JP6261809B2 (ja) 固定子および回転電機
US10116179B2 (en) Three-phase alternating current motor
US11081943B2 (en) Distributed stator winding
KR102046187B1 (ko) 연속 전치 전도체
US10615655B2 (en) Electric machine with stator having a plurality of lead wires extending from a common winding layer
EP3550575A1 (en) Winding electric wire, rotary machine coil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winding electric wire
JP6638629B2 (ja) 回転電機のステータ
US20210351651A1 (en) Electrical machine
US11296570B2 (en) Electric machine with stator having multi-tiered end turns
JPH0757077B2 (ja) 三相電機子巻線
US11183897B2 (en) Stator of rotating electric apparatus
CN113708521B (zh) 一种卷绕的电机定子及电机
US20110266912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with a stator win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coil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H04289744A (ja) 三相6極電機子巻線
JPH0427783B2 (ko)
CN119231804A (zh) 定子绕组、定子总成和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