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4753B1 - Field work machine and terminal for supporting field work - Google Patents
Field work machine and terminal for supporting field 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4753B1 KR102754753B1 KR1020180154392A KR20180154392A KR102754753B1 KR 102754753 B1 KR102754753 B1 KR 102754753B1 KR 1020180154392 A KR1020180154392 A KR 1020180154392A KR 20180154392 A KR20180154392 A KR 20180154392A KR 102754753 B1 KR102754753 B1 KR 1027547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 display screen
- unit
- screen
- display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01B51/026—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of the automotive vehicle type, e.g. including driver accommoda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4—Pav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조작성 및 시인성이 높은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를 탑재한 포장 작업기를 실현한다.
주행 기체 및 포장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로서, 상기 주행 기체는, 표시부와, 각각 상이한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표시 화면(D1 내지 D7)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인위적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D1 내지 D7) 안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하는 표시 화면 설정구를 구비하는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에 대한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D1 내지 D7)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변경하는 포장 작업기.
또한, 작업 중에 확인하는 빈도가 높은 정보를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는 포장 작업기를 실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주행 기체(1001)와, 포장 작업 장치(1002)와, 표시부(1014a)와, 제어부(1004)를 구비하고, 포장 작업 장치(1002)는, 포장에 대하여 농용 자재인 모를 식부하는 모 식부 작업을 행하는 모 식부 장치(1002)를 포함하고, 제어부(1004)는, 모 식부 장치(1002)에 의해 포장에 식부되는 모의 주간 거리에 관한 주간 거리 정보, 모 식부 장치에 의해 포장에 식부되는 모의 식부 깊이에 관한 식부 깊이 정보, 및 모 식부 장치에 의한 식부 작업의 단위 동작마다 포장에 식부되는 모의 양인 모취량에 관한 모취량 정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표시부(1014a)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e realize a packaging machine equipped with a packaging operation support terminal with high operability and visibility.
A packaging work machine having a driving body and a packaging work device, wherein the driving body has a display unit, a display control unit which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one display screen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D1 to D7) each of which has different functions assigned thereto, and an operating unit which has a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which sets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D1 to D7) based on a human operation, wherein the display control section changes the display screens (D1 to D7)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reset order based on a human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In addition, we realize a packaging work machine that can simply display frequently checked information during work.
A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iving body (1001), a packaging work device (1002), a display unit (1014a), and a control unit (1004), wherein the packaging work device (1002) includes a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that performs a seedling planting work of planting seedlings, which are agricultural materials, on a package, and the control unit (1004) display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weekly distance information regarding a weekly distance of seedlings planted on a package b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planting depth information regarding a depth of seedlings planted on a package b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and seedling amount information regarding a seedling amount, which is an amount of seedlings planted on a package for each unit operation of the planting work b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on the display unit (1014a).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장 작업기 및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work machine and a packaging work support terminal.
근년, 포장에 있어서의 농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포장 작업 지원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효율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게 작업자를 지원하는 포장 작업 지원 시스템을 탑재한 포장 작업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packaging work support systems have been used to support agricultural work in packaging. In particular, packaging machines equipped with packaging work support systems that support workers to perform work efficiently are being widely used.
이러한 포장 작업 지원 시스템을 구비한 포장 작업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터치 패널식 액정 디스플레이를 갖는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를 구비한 트랙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트랙터에 의하면, 작업자는,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를 통해서, 포장 경영 정보, 토양 정보, 인터넷 정보, 자율 주행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얻음으로써, 포장 작업의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지원은, 농작업을 생력화하는 관점에 있어서 유리하다.As a paving machine equipped with such a paving work support system, for example,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에서는, 터치 패널식 액정 디스플레이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운전 좌석과 화면의 이격 거리가 큰 경우에, 조작을 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에서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초기 화면으로서의 메인 메뉴 화면으로부터, 작업자가 원하는 표시 화면을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에 표시되는 정보를, 포장 작업을 행하면서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조작성 및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in a technology such as
그래서, 조작성 및 시인성이 높은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를 탑재한 포장 작업기의 실현이 요망된다.Therefore, it is desired to realize a packaging machine equipped with a packaging operation support terminal with high operability and visibility.
그런데,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술에서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초기 화면으로서의 메인 메뉴 화면으로부터, 작업자가 원하는 표시 화면을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표시되는 각종 정보를, 포장 작업을 행하면서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조작성 및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in a technology such as
그래서, 작업 중에 확인하는 빈도가 높은 정보를 간단하게 표시할 수 있는 포장 작업기의 실현이 요망된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o realize a packaging machine that can simply display frequently checked information during work.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주행 기체 및 포장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로서, 상기 주행 기체는, 표시부와, 각각 상이한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인위적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하는 표시 화면 설정구를 구비하는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에 대한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변경한다.A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work machine having a driving body and a packaging work device, wherein the driving body has a display unit,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one display screen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each of which has different functions assigned to it, and an operating unit having a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for set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based on a human operation, wherein the display control section changes the display screen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reset order based on a human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는, 주행 기체 및 포장 작업 장치를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에 의한 포장 작업을 지원하는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이며, 표시부와, 각각 상이한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인위적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하는 표시 화면 설정구를 구비하는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에 대한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변경한다.In addition, a packaging work support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work support terminal that supports a packaging work by a packaging work machine having a driving body and a packaging work device, and has a display unit, a display control unit that displays one display screen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each of which has different functions assigned to it, on the display unit, and an operation unit that has a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that sets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based on a human operation, wherein the display control section changes the display screens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reset order based on a human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이들 구성에 의하면, 표시 화면의 변경이 미리 설정된 순서로 행해지므로, 원하는 표시 화면을 선택할 때에 사용자가 원활하게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능에 할당된 표시 화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유리하다.According to these configurations, since the display screen changes are performed in a preset order, the user can smoothly perform operations when selecting a desired display screen.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menu screen to guide to the display screen assigned to each fun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주행 기체와, 포장 작업 장치와, 표시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 작업 장치는, 포장에 대하여 농용 자재인 모를 식부하는 모 식부 작업을 행하는 모 식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 식부 장치에 의해 상기 포장에 식부되는 상기 모의 주간 거리에 관한 주간 거리 정보, 상기 모 식부 장치에 의해 상기 포장에 식부되는 상기 모의 식부 깊이에 관한 식부 깊이 정보, 및 상기 모 식부 장치에 의한 식부 작업의 단위 동작마다 상기 포장에 식부되는 상기 모의 양인 모취량(苗取量)에 관한 모취량 정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riving body, a packaging work device,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packaging work device includes a seedling planting device that performs a seedling planting work of planting rice seedlings, which are agricultural materials, on a package, and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isplays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including: weekly distance information regarding a weekly distance of the seedlings planted on the package b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planting depth information regarding a depth of the seedlings planted on the package b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and seedling amount information regarding a seedling amount, which is an amount of seedlings planted on the package for each unit operation of the planting work b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on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은, 주행 기체와, 포장 작업 장치와, 표시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 작업 장치는, 포장에 대하여 분상의 농용 자재를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포장에 공급되는 상기 농용 자재의 상기 포장의 단위 면적당 양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작업기이기도 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work machine comprising a driving body, a packaging work device,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packaging work device includes a powder supply device that supplies powdery agricultural materials to a package,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he agricultural materials supplied to the package by the powder supply device per unit area of the package on the display unit.
또한, 본 발명은, 주행 기체와, 포장 작업 장치와, 표시부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포장 작업 장치는, 포장에 대하여 액상의 농용 자재를 공급하는 액체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포장에 공급되는 상기 농용 자재의 상기 포장의 단위 면적당 양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 작업기이기도 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work machine comprising a driving body, a packaging work device, a display unit, and a control unit, wherein the packaging work device includes a liquid supply device that supplies a liquid agricultural material to the packaging,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he agricultural material supplied to the packaging by the liquid supply device per unit area of the packaging on the display unit.
이들 구성에 의하면, 포장 작업기에 장비되어 있는 포장 작업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작업 중에 확인하는 빈도가 높은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se configurations, information that is frequently checked during work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epending on the type of packaging work device equipped on the packaging work machine.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양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에 기재하는 적합한 양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suitabl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uitabl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변경되는 상기 표시 화면의 표시 순서는, 상기 표시 화면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the display order of the changed display screens set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display screens.
이 구성에 의하면, 중요도가 높은 표시 화면이 빠른 순서로 표시되므로, 중요도가 높은 표시 화면을 빠르게 표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high priority display screens are displayed in a fast order, so high priority display screens can be displayed quickly.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에 대한 인위 조작이 행해지기 전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홈 표시 화면이,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의한 포장 작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화면인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hom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before artificial manipulation of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is performed, which is a display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regarding the packaging work by the packaging work device.
이 구성에 의하면, 초기 화면에 있어서, 확인하는 빈도가 높은 기본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basic information that is frequently checked can be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가, 일 방향, 및 상기 일 방향과는 반대측의 타 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이,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에 대한 인위 조작이 행해지기 전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홈 표시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가 상기 일 방향으로 조작될 때마다, 상기 홈 표시 화면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표시 화면을 거쳐서 순차로 표시 화면이 변경되고, 상기 타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표시 화면을 거쳐, 상기 홈 표시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또한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가 상기 타 방향으로 조작될 때마다, 상기 홈 표시 화면으로부터 상기 타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표시 화면을 거쳐서 순차로 표시 화면이 변경되고, 상기 일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표시 화면을 거쳐, 상기 홈 표시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표시 화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aspect, comprises: a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capable of being operated in one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a hom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before an artificial operation of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is performed; and whenever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is operat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display screens are sequentially changed from the home display screen through a display screen adjacent to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returned to the home display screen via a display screen adjacent to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direction; and whenever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is operat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display screens are sequentially changed from the home display screen through a display screen adjacent to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n returned to the home display screen via a display screen adjacent to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이 구성에 의하면, 각종 기능이 할당된 각각의 표시 화면이 순환상으로 변경되므로, 표시 화면 설정구를 좌우 어느 방향으로 조작한 경우에도, 결국은 원하는 표시 화면에 도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each display screen to which various functions are assigned changes in a circular manner, the desired display screen can be reached eventually regardless of whether the display screen setting tool is operated in either the left or right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주행 기체 또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알리는 이상 알림 화면을,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기, 당해 표시 화면에 겹치기, 및 당해 표시 화면과 나열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양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machine or the packaging work device, the display control unit preferably displays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notifying the content of the abnormality on the display unit in at least one of replacing the display screen, overlapping the display screen, and listing it with the display screen, even when a display screen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이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주행 기체 또는 포장 작업기에 발생한 이상의 내용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operator to quickly recognize any abnormalities that may have occurred in the operating unit or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상 알림 화면이 표시되는 원인이 된 이상이 해소될 때까지, 상기 표시부에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the display control unit continuously display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until the abnormality causing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to be displayed is resolved.
이 구성에 의하면, 이상의 내용을 작업자에 확실하게 전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above information can be clearly conveyed to the worker.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주행 기체 또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주의 환기 아이콘을, 당해 표시 화면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 a caution alert icon indicating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on the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display scree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machine or the packaging work device, even if any display screen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이 구성에 의하면, 어느 표시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도, 주행 기체 또는 포장 작업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or can recognize whether an abnormality is occurring in the driving machine or packaging work device, regardless of which display screen is being displayed.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주의 환기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에 대한 어떤 인위 조작을 검지하면,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detects any artificial manipulation of the operating unit while the caution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as a replacement for the display screen even when any display screen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이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조작에 의해, 빠르게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n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can be displayed quickly by simpl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주의 환기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에 대한 어떤 인위 조작을 검지하며, 또한 당해 주의 환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원인이 된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알리는 이상 알림 화면이 한번도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control unit detects any artificial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while the caution alert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further, when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notifying the abnormality that caused the caution alert icon to be displayed has never been displayed, even when any display screen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as a substitute for the display screen.
이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조작에 의해, 빠르게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과 함께, 이상의 내용을 적어도 한번 확인한 후에는 통상의 조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with a simple operation, and to return to normal operation after confirming the above contents at least once.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주의 환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원인이 된 이상에 대하여 알리는 이상 알림 화면을 적어도 한번 표시하였을 때, 상기 주의 환기 아이콘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tops displaying the caution alert ic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notifying of an abnormality that caused the caution alert icon to be displayed at least once.
이 구성에 의하면,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확인 완료의 상태인지, 미확인의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above content is in a confirmed or unconfirm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주행 기체 또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의 개요에 관한 통지를,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기, 당해 표시 화면에 겹치기, 및 당해 표시 화면과 나열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양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machine or the packaging work device, the display control section preferably displays a notification regarding a summary of the abnormality on the display section in at least one of replacing the display screen, overlapping the display screen, and listing it with the display screen, even when any display screen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이 구성에 의하면, 주행 기체 또는 포장 작업 장치에 발생하고 있는 이상의 개요를, 빠르게 작업자에게 전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n overview of what is happening in a driving machine or packaging work device can be quickly conveyed to the worker.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통지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에 대한 어떤 인위 조작을 검지하면,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detects any artificial manipulation of the operating unit while displaying the notification on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able that, even if any display screen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s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as a replacement for the display screen.
이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조작에 의해, 빠르게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n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can be displayed quickly by simple operation.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통지를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에 대한 어떤 인위 조작을 검지하며, 또한 당해 통지가 표시되는 원인이 된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알리는 이상 알림 화면을 한번도 표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is displaying the notification on the display unit, if any artifi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operation unit, and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informing of the abnormal content that caused the notification to be displayed has never been displayed, it is preferable that, even when any display screen is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a substitute for the display screen.
이 구성에 의하면, 단순한 조작에 의해, 빠르게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할 수 있음과 함께, 이상의 내용을 적어도 한번 확인한 후에는 통상의 조작으로 복귀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display an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with a simple operation, and to return to normal operation after confirming the above contents at least once.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통지가 표시되는 원인이 된 이상에 대하여 알리는 이상 알림 화면을 적어도 한번 표시하였을 때, 상기 통지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tops displaying the notification when the display control unit has displayed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notifying of an abnormality that caused the notification to be displayed at least once.
이 구성에 의하면,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확인 완료의 상태인지, 미확인의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determine whether the above content is in a confirmed or unconfirm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에 대한 어떤 인위 조작을 검지하면, 당해 이상 알림 화면에 대체하여,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하기 직전에 선택되어 있던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a display screen that was selected immediately before displaying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in place of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if the display control unit detects any artificial manipulation of the operation unit while displaying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이 구성에 의하면, 이상의 내용을 확인한 후에, 이상이 발생하기 직전의 표시 화면으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after checking the above contents, it is possible to quickly return to the display screen just before the abnormality occurred.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의 상기 이상 알림 화면의 표시를 개시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당해 이상 알림 화면에 대체하여,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하기 직전에 선택되어 있던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the display control unit display the display screen selected immediately before displaying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after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has elapsed after starting display of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in place of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이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이상 알림 화면의 표시를 정지하는 조작을 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도, 자동적으로 원래 표시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operator cannot perform an operation to stop the display of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the original display screen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주행 기체는, 원형의 손잡이, 축심, 및 상기 축심의 선단 부분과 상기 손잡이를 체결하는 스포크를 구비하는 인위 조향 조작부를 더 가지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축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조작구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구는,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 패널 중, 상기 축심으로부터 먼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comprises: a driving body further comprising an artificial steering operating section having a circular handle, an axis, and a spoke for connecting a front end of the axis and the handle, wherein the operating section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axis, and the operating sec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operating sections including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an operating section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ng sections be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of the operating section farthest from the axis.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를, 작업자의 곁에 가까운 장소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구를, 축심으로부터 이격된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상의 특징에 의해, 작업자가 조작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ing unit can be placed in a location close to the operator. In addition, the operating tool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can be placed in an easily operable location away from the center of the shaft. Due to the above features, it is easy for the operator to operate.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복수의 조작구 중 사용 빈도가 낮은 조작구는,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 패널 중, 상기 축심에 가까운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n operating tool with a low frequency of use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ng tools installed in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of the operating section close to the axis center.
이 구성에 의하면, 축심에 가까워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에도, 그 불이익의 영향이 작은 조작구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부 전체로서의 편리한 사용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조작부의 전방면 패널 상에 효율적으로 조작구를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operating mechanism can be placed in a position that is difficult to operate due to being close to the center of the shaft, but has a small disadvantageous effect, the operating mechanism can be efficiently placed on the front panel of the operating section without compromis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operating section as a whole.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상기 축심을 따른 하방 방향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조작구 중 시인 빈도가 높은 조작구는,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 패널 중, 상기 스포크에 의해 시인이 차단되지 않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operating section installed at a position in a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axis from the handle, and it is preferable that an operating section with a high frequency of visibility among the plurality of operating sections be installed at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of the operating section where visibility is not blocked by the spokes.
이 구성에 의하면, 시인 빈도가 높은 조작구를, 작업자가 보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ing tools with a high frequency of recognition can be placed in a location where the operator can easily see them.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인위 조향 조작부는 조작 레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축심에 대한 좌우 일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축심에 대한 좌우 일방측 중, 상기 조작부와는 다른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n operating lever, the artificial steering operating unit being install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shaft center,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ng lever be installed on a different side from the operating unit among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 respect to the shaft center.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와 조작 레버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operating unit and the operating lever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포장 작업 장치는, 상기 포장에 농용 자재인 분립상 농용 자재를 공급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립체 공급 장치에 의해 상기 포장에 공급되는 상기 분립상 농용 자재의 상기 포장의 단위 면적당 공급량에 관한 분립상 농용 자재 공급량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더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granula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a granular agricultural material, which is an agricultural material, to the packaging,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furthe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granular agricultural material supply amount information regarding the supply amount per unit area of the packaging of the granular agricultural material supplied to the packaging by the granular supply device.
이 구성에 의하면, 모 식부 장치 및 분립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에 있어서, 모 식부에 관련되는 정보 및 분립체 공급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a packaging machine equipped with a mother planting unit and a granular material supply un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ther planting unit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granular material supply can b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기체의 주행 거리에 관한 주행 거리 정보,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의해 작업이 행해지는 폭에 관한 작업폭 정보, 및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탑재된 상기 농용 자재의 잔량에 관한 자재량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주행 거리 정보와 상기 작업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이 이미 행해진 작업 완료 영역의 면적에 관한 작업 완료 면적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자재량 정보와 상기 작업 완료 면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완료 영역에 대한 상기 농용 자재의 단위 면적당 공급량에 관한 공급 완료 자재량 정보를 연산하고, 당해 공급 완료 자재량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v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the control unit obtains driving distance information regarding a driving distance of the driving body, working width information regarding a width along which work is performed by the paving work device, and material quantity information regarding a remaining amount of the agricultural material loaded on the paving work device; calculates working completion area information regarding an area of a work completion area in which the work has already been performed based on the driving distance information and the working width information; calculates supply completion material quantity information regarding a supply amount per unit area of the agricultural material for the work completion area based on the material quantity information and the work completion area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supply completion material quantit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이 구성에 의하면, 단위 면적당 자재 공급량을, 작업 중에 수시로 연산하고, 표시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을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작업 실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한 작업 실적을 바탕으로, 농용 자재를 보충하거나, 그 후의 작업에 있어서의 농용 자재의 공급량을 조정하거나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terial supply amount per unit area can be calculated and displayed at any time during work, so that work performance can be checked while work is being performed. In addition, based on the checked work performance, agricultural materials can be replenished or the supply amount of agricultural materials for subsequent work can be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기체 또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당해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알리는 이상 알림 화면을, 당해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현 표시 화면에 대체하기, 상기 현 표시 화면에 겹치기, 및 상기 현 표시 화면과 나열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양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notifying of the content of the abnormality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machine or the packaging work device, i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modes: replacing the current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abnormality occurs, overlapping the current display screen, and listing it with the current display screen.
이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가, 주행 기체 또는 포장 작업기에 발생한 이상의 내용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operator to quickly recognize any abnormalities that may have occurred in the operating unit or packaging machine.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 알림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원인이 된 상기 이상이 해소되었을 때는, 상기 이상 알림 화면의 표시를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the control unit stop displaying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when the abnormality that caused the abnormality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has been resolved.
이 구성에 의하면, 이상 알림 화면의 표시를 정지하기 위한 인위 조작을 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가, 이상이 해소된 것을 인식하기 쉽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orkability is improved because no artificial manipulation is required to stop the display of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In addition, it is easy for the worker to recognize that the abnormality has been resolved.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상이, 진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여 대처해야 할 중도 이상인지, 또는 당해 작업의 중단을 요하지 않는 경도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중도 이상 또는 상기 경도 이상의 구별을 상기 이상 알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the control unit determine whether the abnormality is a moderate abnormality that must be dealt with by stopping the ongoing work, or a mild abnormality that does not require stopping the work, and displa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oderate abnormality and the mild abnormality on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이 구성에 의하면, 발생한 이상의 중대성을 바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중단해야 할 것인지 여부의 판단을 빠르게 행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allows for a quick decision on whether to stop work or not, as the severity of the abnormality that has occurred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이상이 상기 중도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상 알림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원인이 된 상기 이상이 해소된 경우를 제외하고, 어떠한 때도 상기 이상 알림 화면의 표시를 정지할 수 없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as one embodiment, such that when the above-mentioned abnormality corresponds to the above-mentioned moderate abnormality, the display of the above-mentioned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cannot be stopped at any time except when the above-mentioned abnormality that caused the above-mentioned abnormality to be displayed on the above-mentioned display unit is resolved.
이 구성에 의하면, 중대한 이상을 확실하게 작업자에게 전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중대성에 따라서 다른 표시를 행함으로써, 작업자에 대하여 이상의 중대성을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convey a significant abnormality to the worker. In addition, by displaying different indication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abnormality, the severity of the abnormality can be effectively conveyed to the worker.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일 양태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행 기체, 상기 포장 작업 장치,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에 대한 설정 사항 중 변경 빈도가 낮은 것에 관한 변경을 입력 가능한 설정 변경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설정 변경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때는, 작업자로부터의 인위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설정 사항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aspec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a setting change screen that allows input of changes to settings with a low change frequency among the settings for the driving machine, the packaging work device, the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setting chang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settings of the setting item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 human operation by a worker.
이 구성에 의하면, 설정 변경을 행하는 빈도가 낮은 설정 항목에 대하여, 통상 작업 시에는 표시하지 않도록 함과 함께, 필요할 때에는 일괄해서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etting items that are changed infrequently can be displayed all at once when necessary, while not being displayed during normal opera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는 이하의 예시적 또한 비한정적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and non-limiting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의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컨트롤러의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핸들부 주변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화면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홈 표시 화면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조 정지 조작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의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에 있어서의 제어계의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Figure 1 is a top view of a rice transplan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top view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rawing of the area surrounding the handle por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a home display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ample of a pre-stop operation scre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of a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diagram of power transmission in a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trol system in a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isplay screen of a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가, 수전(P)(포장의 일례)에 있어서의 모내기 작업을 행하는 이앙기(100)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트랙터, 콤바인, 승용 관리기 등이어도 된다.A first embodiment of a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In this embodimen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rice transplanter (100) that performs rice seedling transplanting work in a field (P) (an example of packaging). In addition,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rice transplanter, and may be, for example, a tractor, a combine, a riding-type cultivator, etc.
[이앙기(100)의 기본 구성][Basic configuration of rice transplanter (100)]
먼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00)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1). 이앙기(100)는 주행 기체(1) 및 모 식부 장치(2)(포장 작업 장치의 예)를 구비한다. 주행 기체(1)는 액정 디스플레이(11)(표시부의 예), 표시 제어부(12), 컨트롤러(13)(조작부의 예), 및 핸들부(14)(인위 조향 조작부의 예)를 갖는다. 또한, 이후의 설명 중에서, 주행 기체(1)의 운전 좌석에 착좌한 작업자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정면 방향을 「전방」, 작업자의 배면 방향을 「후방」, 작업자의 우측을 「우측 방향」, 작업자의 좌측을 「좌측 방향」이라고 정의한다.First,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rice transpla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1). The rice transplanter (100) is equipped with a driving body (1) and a seedling planting device (2) (an example of a packaging work device). The driving body (1) has a liquid crystal display (11)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a display control unit (12), a controller (13) (an example of an operating unit), and a handle unit (14) (an example of a man-made steering operating unit).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spect to a worker seated on the driver's seat of the driving body (1), the front direction of the worker is defined as "front", the back direction of the worker is defined as "rear", the right side of the worker is defined as "right direction", and the left side of the worker is defined as "left direction".
모 식부 장치(2)는 모 식부부(21)와 시비부(22)를 갖는다. 모 식부부(21)와 시비부(22)는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 또는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 식부 장치(2)는 복수조 식부 형식(예를 들어 8조 식부)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조 클러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식부 조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2조마다, 모 식부 작업을 행할지 여부 및 시비 작업을 행할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mother planting device (2) has a mother planting unit (21) and a fertilization unit (22). The mother planting unit (21) and the fertilization unit (22)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to operate or stop. In addition, the mother planting device (2) is configured in a multi-tank planting form (e.g., 8-tank planting), and the number of planting groups can be changed by operating each group clutch (not shown). That i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trol whether to perform the mother planting work and whether to perform the fertilization work for every two groups.
컨트롤러(13)(도 2)는, 그 전방면 패널(13P)에, 설정 버튼(13A)(표시 화면 설정구의 예), 모 식부 장치 제어 스위치군(13B)(복수의 조작구의 예), 모 식부 작업 제어 스위치군(13C)(복수의 조작구의 예), 및 어태치먼트 조작 스위치군(13D)(복수의 조작구의 예)을 구비한다. 설정 버튼(13A)은, 우측 방향(일 방향의 예), 및 좌측 방향(타 방향의 예)의 회전 조작 입력을 접수함과 함께, 누름 조작 입력도 접수한다. 모 식부 장치 제어 스위치군(13B)은, 모 적재대에 모를 보급하기 위해 모 적재대를 끝으로 몰리게 하는 기능에 할당된 버튼이나, 모 식부 장치(2)의 좌우 방향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버튼 등을 포함한다. 모 식부 작업 제어 스위치군(13C)은, 자동 식부 개시 기능의 유효 또는 무효를 전환하는 버튼, 모 식부 장치(2)의 로터(도시하지 않음)의 운전 또는 정지를 전환하는 버튼, 및 모 식부 장치(2)에 대하여 수전(P)의 표면의 경도에 따른 미세 조정을 지시하는 버튼 등을 포함한다. 어태치먼트 조작 스위치군(13D)은, 제초제 살포 장치의 운전 또는 정지를 전환하는 버튼, 살충 살균제 살포 장치의 운전 또는 정지를 전환하는 버튼 등을 포함한다.The controller (13) (Fig. 2) is provided with a setting button (13A) (an example of a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a group of control switches (13B) (an example of multiple operating sections), a group of control switches (13C) (an example of multiple operating sections), and a group of attachment operating switches (13D) (an example of multiple operating sections) on its front panel (13P). The setting button (13A) receives a rotation operation input in the right direction (an example of one direction) and the left direction (an example of the other direction), and also receives a pressing operation input. The group of control switches (13B) includes a button assigned to a function of pushing a seedling loading platform to the end in order to supply seedlings to the seedling loading platform, a button for adjusting the left-right inclination angle of the seedling loading platform (2), and the like. The mother planting operation control switch group (13C) includes a button for switching the automatic planting start function to be effective or ineffective, a butt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r stop of the rotor (not shown) of the mother planting device (2), and a button for instructing the mother planting device (2) to make a fin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surface of the water tap (P), etc. The attachment operation switch group (13D) includes a butt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r stop of the herbicide spraying device, a butt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r stop of the insecticide/fungicide spraying device, etc.
이들 조작구는, 일반적인 작업자에 있어서, 사용 빈도 및 시인 빈도가 높은 제1군(모 식부 작업 제어 스위치군(13C)), 사용 빈도는 낮지만 시인 빈도는 높은 제2군(어태치먼트 조작 스위치군(13D)), 및 사용 빈도는 높지만 시인 빈도는 낮은 제3군(설정 버튼(13A) 및 모 식부 장치 제어 스위치군(13B))으로 분류된다. 또한, 일반적인 작업자에 있어서, 제3군의 조작구 중, 설정 버튼(13A)의 사용 빈도는 모 식부 장치 제어 스위치군(13B)의 사용 빈도보다도 높다.These operating tools are classified into a first group (group of control switches for planting unit operations (13C))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nd visibility for general workers, a second group (group of attachment operating switches (13D)) with a low frequency of use but a high frequency of visibility, and a third group (group of setting buttons (13A) and group of control switches for planting unit devices (13B))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but a low frequency of visibility. In addition, among the operating tools of the third group, the frequency of use of the setting button (13A) is higher for general workers than that of the group of control switches for planting unit devices (13B).
핸들부(14)는 스티어링(14A)(손잡이의 예), 스티어링 포스트(14B)(축심의 예), 스포크(14C), 및 조작 레버(14D)를 구비한다. 스티어링(14A)은 원형이며, 당해 원형 형상의 중심을 향해 스티어링 포스트(14B)가 주행 기체(1)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스티어링(14A)과 스티어링 포스트(14B)의 선단 부분은, 스포크(14C)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The handle part (14) is provided with a steering (14A) (an example of a handle), a steering post (14B) (an example of an axis), a spoke (14C), and an operating lever (14D). The steering (14A) is circular, and the steering post (14B) extends and protrudes from the driving body (1) toward the center of the circular shape. The tip portions of the steering (14A) and the steering post (14B) are connected by a spoke (14C).
컨트롤러(13) 및 조작 레버(14D)는, 스티어링 포스트(14B)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어링(14A)으로부터 스티어링 포스트(14B)를 따른 하방 방향의 위치이며, 스티어링 포스트(14B)의 좌측의 위치(좌우 일방측의 예)에 컨트롤러(13)가 스티어링 포스트(14B)의 우측의 위치(다른 측의 예)에 조작 레버(14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도 3).The controller (13) and the operating lever (14D) are installed adjacent to the steering post (14B).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3) is installed at a position on the left side of the steering post (14B) (an example of one side) and the operating lever (14D) is installed at a posi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steering post (14B) (an example of the other side) (Fig. 3) in a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steering post (14B) from the steering (14A).
조작 레버(14D)를 상측 방향으로 조작하면, 모 식부 장치(2)는 모 식부 동작을 정지함과 함께, 수전(P)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한다. 반대로, 조작 레버(14D)를 하측 방향으로 조작하면, 모 식부 장치(2)는 수전(P)에 접하도록 하강함과 함께, 모 식부 동작을 개시한다. 이 기능은, 두렁 근방에 있어서의 이앙기(100)의 선회 동작의 전후에 사용된다. 즉, 이앙기(100)가 수전(P)의 두렁 근방에 근접하면, 조작 레버(14D)를 상측 방향으로 조작하여 모 식부 작업을 중단하고, 선회 후, 다시 모 식부 작업을 수반하는 작업 주행에 들어갈 때, 조작 레버(14D)를 하측 방향으로 조작하여 모 식부 작업을 재개한다.When the operating lever (14D) is operated upward,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2) stops the seedling planting operation and rises away from the water source (P). Conversely, when the operating lever (14D) is operated downward,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2) descends to contact the water source (P) and starts the seedling planting operation. This function is used before and after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rice transplanter (100) near the ridge. That is, when the rice transplanter (100) approaches the ridge of the water source (P), the operating lever (14D) is operated upward to stop the seedling planting operation, and when it enters the work travel accompanying the seedling planting operation again after the turning, the operating lever (14D) is operated downward to resume the seedling planting operation.
상기 배치로 인해, 이앙기(100)가 직진할 때의 스티어링(14A)의 위치에 있어서, 컨트롤러(13)의 전방면 패널(13P)의 일부는, 운전 좌석에 착좌한 작업자로부터 보면, 스포크(14C)의 음지에 위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당해 부분에 배치된 조작구는 보이기 어렵다. 그래서, 당해 부분에, 사용 빈도는 높지만 시인 빈도는 낮은 제3군의 조작구가 배치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당해 개소가 작업자로부터 보기 어려운 것에 의한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다.Due to the above arrangement, when the rice transplanter (100) is moving straight, at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14A), a part of the front panel (13P) of the controller (13) is located in the shade of the spoke (14C) when viewed from the operator seated on the driver's seat. Therefore, the operating part arranged in that part is difficult to see. Therefore, the operating part of the third group, which is frequently used but has a low visibility frequency, is arranged in that part.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advantage caused by the operator having difficulty seeing that part.
이에 더하여, 제3군의 조작구 중, 보다 사용 빈도가 높은 설정 버튼(13A)이, 전방면 패널(13P)의 좌측, 즉, 스티어링 포스트(14B)로부터 원위측에 배치된다. 동시에, 비교적 사용 빈도가 낮은 모 식부 장치 제어 스위치군(13B)이, 전방면 패널(13P)의 우측, 즉, 스티어링 포스트(14B)의 근위측에 배치된다. 스티어링 포스트(14B)의 근위측은, 작업자의 손과 스티어링 포스트(14B)가 간섭될 우려가 있기 문에 조작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다 사용 빈도가 높은 설정 버튼(13A)을, 비교적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operating elements of the third group, the setting button (13A) that is more frequently used is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panel (13P), that is, on the distal side from the steering post (14B). At the same time, the control switch group (13B) of the modeling device that is relatively less frequently used is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13P), that is, on the proximal side of the steering post (14B). The proximal side of the steering post (14B) is difficult to operate because there is a risk that the operator's hand and the steering post (14B) may interfere. Therefore, by configuring as described above, the setting button (13A) that is more frequently used can be arranged in a position that is relatively easy to operate.
또한, 상기 배치로 인해, 컨트롤러(13)의 전방면 패널(13P) 중, 운전 좌석으로부터 원위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작업자로부터 멀기 때문에 조작하기 어렵다. 단, 당해 개소는 스포크(14C)에 의해 보기 어려워지는 일은 없다. 그래서, 당해 부분에, 사용 빈도는 낮지만 시인 빈도는 높은 제2군의 조작구가 배치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당해 개소가 조작하기 어려운 것에 의한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above arrangement, the part of the front panel (13P) of the controller (13) located farther away from the driver's seat is difficult to operate because it is far from the operator. However, the part is not difficult to see due to the spoke (14C). Therefore, a second group of operating elements that are less frequently used but have a high frequency of visibility are arranged in the part. 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advantage caused by the part being difficult to operate.
또한, 사용 빈도 및 시인 빈도가 높은 제1군의 조작구는, 컨트롤러(13)의 전방면 패널(13P) 중, 운전 좌석의 근위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된다. 당해 개소는 작업자로부터 가깝기 때문에 조작하기 쉬우며, 또한 스포크(14C)에 의해 보이기 어려워지는 일은 없다.In addition, the first group of operating elements with high usage and recognition frequency are arranged in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13P) of the controller (13) located near the driver's seat. Since this portion is close to the operator, it is easy to operate, and also does not become difficult to see due to the spokes (14C).
[표시 화면(D)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display screen (D)]
표시 제어부(12)는, 각각 상이한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표시 화면(D1 내지 D6)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표시 화면을 액정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부(12)는, 설정 버튼(13A)에 대한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액정 디스플레이(11)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변경한다(도 4).The display control unit (12) displays one display screen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D1 to D6) each of which has a different function assigned to it,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The display control unit (12) changes the display screen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in a preset order based on a human operation of the setting button (13A) (Fig. 4).
표시 화면(D1 내지 D6)은, 모든 표시 화면(D)에서 공통되게 표시되는 공통 부분(Dc)과, 각 표시 화면(D1 내지 D6)에 할당된 각각 다른 기능에 관련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개별 부분(Df)을 포함한다. 공통 부분(Dc)으로서, 주간 거리(Dc1), 시비량(Dc2), 시각(Dc3), 전파 상황(Dc4), 연료 게이지(Dc5), 및 수온계(Dc6)가 표시된다. 또한, 주행 기체(1) 또는 모 식부 장치(2)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액정 디스플레이(11)의 우측 상단 영역에 당해 이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주의 환기 아이콘(Dc7)이 표시된다.The display screens (D1 to D6) include a common portion (Dc) that is commonly displayed on all display screens (D), and an individual portion (Df) that displays information related to different functions assigned to each display screen (D1 to D6). As the common portion (Dc), a weekly distance (Dc1), a fertilizer amount (Dc2), a time (Dc3), a radio wave situation (Dc4), a fuel gauge (Dc5), and a water temperature gauge (Dc6) are displayed. In addition,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body (1) or the model planting device (2), a caution icon (Dc7) indicating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is displayed in the upper right are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설정 버튼(13A)에 대한 인위 조작이 행해지기 전에는, 액정 디스플레이(11)에 홈 표시 화면(D1)이 표시된다. 홈 표시 화면(D1)에는, 모 식부 장치(2)에 의한 모 식부 작업에 관한 정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주변속 레버의 설정 상태(Df11), 부변속 레버의 설정 상태(Df12), 시비 배출 레버의 설정 상태(Df13), 및 소식(疎植) 레버의 설정 상태(Df14)가 표시된다.Before any artificial manipulation of the setting button (13A) is performed,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displays a home display screen (D1). The home display screen (D1) displays information on the planting work by the planting device (2). Specifically, the setting status (Df11) of the main gear lever, the setting status (Df12) of the auxiliary gear lever, the setting status (Df13) of the fertilizer discharge lever, and the setting status (Df14) of the spacing lever are displayed.
액정 디스플레이(11)에 홈 표시 화면(D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 버튼(13A)을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표시 화면(D)이, 로터 높이 설정 화면(D2), 주간 설정 화면(D3), 전조 정지 조작 화면(D4), 식부 개시 위치 조정 화면(D5), 자동 직진 기능 설정 화면(D6), 홈 표시 화면(D1)의 순서로 변경된다. 이 표시 순서는, 일반적인 작업자에 있어서 중요도가 높은 기능일수록, 홈 표시 화면(D1)으로부터 열거하여 빠른 순서로 나타나게,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다.When the setting button (13A) is rotated to the right while the home display screen (D1)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the display screen (D) changes in the following order: rotor height setting screen (D2), weekly setting screen (D3), headlight stop operation screen (D4), planting start position adjustment screen (D5), automatic straight function setting screen (D6), and home display screen (D1). This display order is preset so that functions with higher importance to general workers are listed in the fastest order from the home display screen (D1).
상기와는 반대로, 액정 디스플레이(11)에 홈 표시 화면(D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 버튼(13A)을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표시 화면(D)이, 자동 직진 기능 설정 화면(D6), 식부 개시 위치 조정 화면(D5), 전조 정지 조작 화면(D4), 주간 설정 화면(D3), 로터 높이 설정 화면(D2), 홈 표시 화면(D1)의 순서로 변경된다.Conversely, when the setting button (13A) is rotated to the left while the home display screen (D1)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the display screen (D) changes in the following order: automatic straight-line function setting screen (D6), planting start position adjustment screen (D5), headlight stop operation screen (D4), weekly setting screen (D3), rotor height setting screen (D2), and home display screen (D1).
또한, 표시 화면(D1 내지 D6)의 어느 것을 표시한 상태에서, 설정 버튼(13A)을 아래로 누르면, 당해 표시 화면에 할당된 기능의 상세 설정을 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설정 버튼(13A)을 아래로 누르는 조작에 의해 다음 표시 화면으로 이행하는 것을,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확정한다」라고 기재한다.In addition, when the setting button (13A) is pressed down while any of the display screens (D1 to D6) is displayed, the screen moves to a screen where detailed settings of the function assigned to the display screen can be made. In this way, the operation of pressing down the setting button (13A) to move to the next display screen is described as “confirm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로터 높이 설정 화면(D2)을 확정하면, 설정 버튼(13A)의 회전 조작에 의해 액정 디스플레이(11) 상에 표시된 로터의 상하 위치(Df21)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희망하는 로터 높이가 표시된 상태에서 설정 버튼(13A)을 아래로 누르면, 모 식부 장치(2)의 로터 높이의 변경이 실행된다.When the rotor height setting screen (D2) is confirmed,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Df21) of the rotor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can be changed by rotating the setting button (13A). In addition, when the setting button (13A) is pressed down while the desired rotor height is displayed, the rotor height of the model planting device (2) is changed.
주간 설정 화면(D3)을 확정하면, 액정 디스플레이(11) 상에 표시된 주간의 값(Df31)(단위: cm) 및 주수의 값(Df32)(단위: 주/평)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당해 확정을 행하면, 주간의 값(Df31)의 주위가 명색 표시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설정 버튼(13A)을 회전하면, 명색 표시되는 항목이 주간의 값(Df31)과 주수의 값(Df32)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된다. 어느 항목이 명색 표시된 상태에서 확정하면, 설정 버튼(13A)의 회전 조작에 의해 확정된 항목의 값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희망하는 값이 표시된 상태에서 확정하면, 모 식부 장치(2)의 동작의 변경이 실행된다.When the weekly setting screen (D3) is confirmed, the weekly value (Df31) (unit: cm) and the week value (Df32) (unit: week/pyeong)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can be changed. When the confirmation is made, the surroundings of the weekly value (Df31) are displayed in a highlighted state, and when the setting button (13A)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items whose highlighted values are alternately switched between the weekly value (Df31) and the week value (Df32). When an item is confirmed in a highlighted state, the value of the confirmed item can be change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etting button (13A). In addition, when the desired value is confirmed in a displayed state, the operation of the model planting device (2) is changed.
전조 정지 조작 화면(D4)을 확정하면, 모 식부 장치(2)의 동작을 복수조에 걸쳐 일괄적으로 작동 또는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시비 살포의 작동 또는 정지를 설정할 수 있다. 시비 살포 동작이 작동된 상태에서 전조 정지 조작 화면(D4)을 확정하면, 「시비한다」의 문자 표시(Df41)가 명색 표시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설정 버튼(13A)을 회전하면, 명색 표시되는 항목이 「시비한다」의 문자 표시(Df41)와 「시비하지 않는다」의 문자 표시(Df42)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된다. 「시비하지 않는다」의 문자 표시(Df42)가 명색 표시된 상태에서 확정하면, 모 식부 장치(2)의 복수조 시비 살포 동작의 정지가 실행된다.When the pre-stop operation screen (D4) is confirmed, the operation of the parent planting device (2) can be operated or stopped collectively for multiple groups. For examp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operation or stop of fertilizer spraying can be set. When the pre-stop operation screen (D4) is confirmed while the fertilizer spraying operation is in operation, the text display (Df41) of "Fertilize" is displayed in a highlighted state, and when the setting button (13A)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displayed items alternately switch between the text display (Df41) of "Fertilize" and the text display (Df42) of "Do not fertilize." When the text display (Df42) of "Do not fertilize" is confirmed while it is displayed in a highlighted state, the stop of the multiple-group fertilizer spraying operation of the parent planting device (2) is executed.
또한, 「시비한다」의 문자 표시(Df41)가 명색 표시된 상태에서 확정하면, 시비량·비중 설정 화면(D4a)이 표시되고, 액정 디스플레이(11) 상에 표시된 시비량의 값(Df43)(단위: kg/단) 및 비중의 값(Df44)(단위: g)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당해 확정을 행하면, 시비량의 값(Df43)이 명색 표시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설정 버튼(13A)을 회전하면, 명색 표시되는 항목이 시비량의 값(Df43)과 비중의 값(Df44)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된다. 어느 항목이 명색 표시된 상태에서 확정하면, 설정 버튼(13A)의 회전 조작에 의해 확정된 항목의 값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희망하는 값이 표시된 상태에서 확정하면, 모 식부 장치(2)의 동작의 변경이 실행된다.In addition, when the character display (Df41) of "soiling" is confirmed in a state where it is highlighted, the fertilizer amount/specific gravity setting screen (D4a) is displayed, and the value (Df43) of the fertilizer amount (unit: kg/unit) and the value (Df44) of the specific gravity (unit: g)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can be changed. When the confirmation is made, the value (Df43) of the fertilizer amount is displayed in a state where it is highlighted, and when the setting button (13A) is rotated in this state, the items whose colors are displayed alternately switch between the value (Df43) of the fertilizer amount and the value (Df44) of the specific gravity. When an item is confirmed in a state where it is highlighted, the value of the confirmed item can be changed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etting button (13A). In addition, when the desired value is confirmed in a state where it is displayed, the operation of the planting device (2) is changed.
식부 개시 위치 조정 화면(D5)에서는, 이앙기(100)의 선회 후에 모 식부 작업을 재개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앙기(100)는 수전(P)의 두렁 근방에 근접하면, 모 식부 작업을 중단하고, 모 식부 장치(2)를 상승시켜, 선회 동작에 들어간다. 선회 후, 다시 모 식부 작업을 수반하는 작업 주행에 들어가기에 앞서, 두렁 근방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것을 검지한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모 식부 장치(2)가 하강한다. 그러나, 모 식부 장치(2)가 자동적으로 하강하는 지점(식부 개시 위치)의 두렁 근방으로부터의 거리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거리인 경우가 있다. 식부 개시 위치 조정 화면(D5)에서는, 두렁 근방 및 이앙기(100)를 나타내는 모식도와 함께, 식부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직선(Df51)이 표시된다. 식부 개시 위치 조정 화면(D5)을 확정하면, 식부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직선(Df51)이 점멸 표시되고, 설정 버튼(13A)의 회전 조작에 의해, 이것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식부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직선(Df51)이 원하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이것을 확정하면, 식부 개시 위치의 변경이 실행된다.In the planting start position adjustment screen (D5), the position at which the rice transplanting work is resumed after the rice transplanter (100) has been turned can be adjusted. When the rice transplanter (100) approaches the ridge of the paddy field (P), the rice transplanter stops the rice transplanting work, raises the rice planting device (2), and starts the turning operation. After the turning, before starting the work operation involving the rice planting work again, the rice planting device (2) is automatically lowered when it detects that it has separated from the rid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distance from the ridge of the point at which the rice planting device (2) is automatically lowered (the planting start position) is a distance that is not intended by the user. In the planting start position adjustment screen (D5), a straight line (Df51) indicating the planting start position is displayed together with a schematic diagram indicating the ridge and the rice transplanter (100). When the planting start position adjustment screen (D5) is confirmed, a straight line (Df51) indicating the planting start position blinks and can be moved up and down by rotating the setting button (13A). Then, when the straight line (Df51) indicating the planting start position is confirmed while it is at the desired position, the change of the planting start position is executed.
자동 직진 기능 설정 화면(D6)에서는, 진행 방향 정보(Df61), 자동 직진 기능의 기동 또는 정지를 나타내는 자동 직진 기능 상태 아이콘(Df62), 측위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전파 레벨 정보(Df63), 스티어링(14A)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는 회전 각도 인디케이터(Df64), 두렁에의 접근을 검출하면 점등하는 두렁 접근 표시 아이콘(Df65)이 표시된다. 자동 직진 기능 설정 화면(D6)을 확정하면, 설정 버튼(13A)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각 정보(Df61 내지 Df65)가 차례로 명전(明轉) 표시되게 하고, 임의의 정보에서 확정하면, 당해 정보의 상세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위 장치의 전파 레벨 정보(Df63)를 확정하면, 전파 레벨의 상세한 수치 데이터를 표시함과 함께, 전파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개선하기 위한 제안을 작업자에게 제시한다.In the automatic straight-line function setting screen (D6), the following are displayed: direction information (Df61), an automatic straight-line function status icon (Df62) indicating the start or stop of the automatic straight-line function, radio level information (Df63) of a positioning device (not shown), a rotation angle indicator (Df64) indica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14A), and a ridge approach indication icon (Df65) that lights up when approaching a ridge is detected. When the automatic straight-line function setting screen (D6) is confirmed,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Df61 to Df65) is displayed one after another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etting button (13A), and when any information is confirmed, the details of the information can be checked. For example, when the radio level information (Df63) of the positioning device is confirmed, detailed numerical data of the radio level is displayed, and when the radio state is poor, a suggestion for improvement is presented to the operator.
표시 화면(D1 내지 D6)의 어느 것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여도, 주행 기체(1) 또는 모 식부 장치(2)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액정 디스플레이(11)에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이상 알림 화면의 예)이 표시된다.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의 표시는, 당해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표시되어 있는 어느 표시 화면(D1 내지 D6)에 우선하여, 이것에 대체하여 표시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11)에 표시 화면(D1 내지 D6)의 어느 것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여도, 발생한 이상에 대하여 작업자에게 빠르게 통지할 수 있다.When any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body (1) or the model planting device (2) even when any of the display screens (D1 to D6) is displayed, an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an example of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The display of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in preference to and in place of any of the display screens (D1 to D6) that are displayed when the abnormality occurs. By configuring it in this way, even when any of the display screens (D1 to D6)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it is possible to quickly notify an operator of an abnormality that has occurred.
상기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11)에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이 자동적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컨트롤러(13)의 어느 조작구에 대한 인위 조작이 행해지면,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을 표시하기 직전에 표시되어 있던 표시 화면이 액정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이상의 내용에 관한 통지를 인식한 후에, 그 직전에 행하고 있던 작업으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n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if an artifi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ny operating part of the controller (13),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immediately before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By configuring in this way, after the operator recognizes the notification regarding the above contents, he/she can quickly return to the work he/she was performing immediately before that.
또한, 주의 환기 아이콘(Dc7)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컨트롤러(13)의 어느 조작구에 대한 인위 조작이 행해지면, 액정 디스플레이(11)에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이 표시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작업자가 자신의 의사로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을 표시하는 타이밍을 선택할 수 있음과 함께,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의 표시를 희망할 때에는 간단한 조작으로 이것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3)의 어느 조작구에 대한 인위 조작에 대해서도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이 표시되는 상기 기능을,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을 적어도 한번 표시한 후에는 무효로 하도록 설정해도 된다.In addition, when an artifi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ny operating section of the controller (13) while the caution alert icon (Dc7) is displayed, an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operator can select the timing for displaying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at his/her own discretion, and when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esired to be displayed, it can be displayed with a simple operation. In addition, the above function for displaying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for any artificial operation on the controller (13) may be set to be invalidated after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at least once.
또한, 상기 어느 경우에도,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을 적어도 한번 표시한 후는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은, 설정 버튼(13A)의 회전에 의한 표시 화면(D1 내지 D6)의 표시 순서의 마지막에 도입된다. 즉, 전혀 이상이 없는 상태에서는, 홈 표시 화면(D1)을 표시한 상태에서 설정 버튼(13A)을 좌회전하면 자동 직진 기능 설정 화면(D6)이 표시되지만,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당해 좌회전 조작에 의해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이 표시된다.In addition, in any of the above cases, after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at least once,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introduced at the end of the display order of the display screens (D1 to D6) by the rotation of the setting button (13A). That is,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abnormality at all, when the home display screen (D1) is displayed and the setting button (13A) is turned left, the automatic straight function setting screen (D6) is displayed, but in a state where an abnormality occurs,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by the left turn operation.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 및 주의 환기 아이콘(Dc7)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 작업자에게 이상을 알릴지의 판단은, 발생한 이상의 중대성에 따라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생할 수 있는 이상에 대하여,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이 표시되는 중대 이상과, 주의 환기 아이콘(Dc7)만이 표시되는 경미 이상으로, 미리 할당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o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or the caution icon (Dc7) to notify the operator of an abnormality based on criteria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abnormality that has occurred. That is, it is desirable to pre-allocate, for abnormalities that may occur, a major abnormality for which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and a minor abnormality for which only the caution icon (Dc7) is displayed.
[그 밖의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의 그 밖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inally, other embodiments of the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each of the embodiments below can also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other embodiments, unless a contradiction occurs.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가, 액정 디스플레이(11), 및 액정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D)을 조작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이앙기(100)인 구성을 예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로서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ice transplanter (100) is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11) and a means for operating a display screen (D)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However,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may be configured as a packaging work support terminal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for exampl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가, 모 식부 장치(2)를 구비한 이앙기(100)인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예를 들어 파종 장치를 구비한 이앙기여도 되고, 또는 트랙터, 콤바인, 승용 관리기 등의 포장 작업기여도 된다. 포장 작업기가 트랙터일 경우에는, 포장 작업 장치로서, 묘립 장치, 묘립 파종 장치, 멀티 작업 장치, 비료 살포 장치, 붐 스프레이어 장치 등의 다양한 포장 작업 장치 등을 장착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포장 작업기 또는 포장 작업 장치에 의한 작업 내용에 대응한 각종 설정을 행할 수 있는 표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rice transplanter (100) is provided with a seeding device (2).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a rice transplanter provided with a sowing device, or may be a packaging work machine such as a tractor, a combine, or a riding-type cultivator. When the packaging work machine is a tractor, various packaging work devices such as a seedling device, a seedling sowing device, a multi-task device, a fertilizer spreading device, and a boom sprayer device can be installed as the packaging work device. In addition, a display screen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settings corresponding to the work content of each packaging work machine or packaging work device may be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기체(1) 또는 모 식부 장치(2)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당해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에 표시되어 있는 어느 표시 화면(D1 내지 D6) 대신에,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이 표시되는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상 알림 화면을, 다른 표시 화면에 겹쳐 표시해도 되고, 다른 표시 화면과 나열하여 표시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body (1) or the model planting device (2), an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instead of any of the display screens (D1 to D6) displayed when the abnormality occurs,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may be displayed overlapping another display screen or displayed in a row with other display screens.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11)에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이 표시된 상태에서, 컨트롤러(13)의 어느 조작구에 대한 인위 조작이 행해지면,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을 표시하기 직전에 표시되어 있던 표시 화면이 액정 디스플레이(11)에 표시되는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가, 이상 알림 화면이 표시되는 원인이 된 이상이 해소될 때까지 표시부에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계속해서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또는 표시부에의 이상 알림 화면의 표시를 개시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당해 이상 알림 화면에 대체하여,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하기 직전에 선택되어 있던 표시 화면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a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when an artifi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n operating part of the controller (13) while an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the display screen that was displayed immediately before the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is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for example, the display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continuously display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until the abnormality that caused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to be displayed is resolved, or, when a predetermined time set in advance has elapsed since the display of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has begun, the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display screen that was selected immediately before the display of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in place of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주행 기체(1) 또는 모 식부 장치(2)에 있어서의 이상에 대응하여, 에러 정보 표시 화면(D7) 및 주의 환기 아이콘(Dc7)의 적어도 한쪽이 표시됨으로써, 이상의 발생을 작업자에게 알리는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상의 개요에 관한 통지를, 그 때에 표시하고 있는 표시 화면과 겹쳐서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식부 작업을 행할 수 없는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홈 표시 화면의 일부에 「식부할 수 없습니다」의 문자 표시(이상의 개요에 관한 통지의 예)를 겹쳐서 표시하도록 구성하면, 발생하고 있는 이상의 개요에 대하여, 홈 표시 화면에 원래 표시되는 정보와 동시에,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상의 개요에 관한 통지는, 다른 표시 화면을 대신하여 표시해도 되고, 다른 표시 화면과 나열하여 표시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a configura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in response to an abnormality in the driving body (1) or the parent planting device (2), at least one of an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D7) and a caution icon (Dc7) is displayed to notify the operator of the occurrence of the abnormalit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a configuration may be used in which a notification regarding the outline of the abnormalit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o as to overlap the display screen currently being displayed. For example, in a situation in which some abnormality that makes it impossible to perform planting work has occurred, if a configuration is used in which the text “Planting is not possible” (an example of a notification regarding the outline of the abnormality) is overlapped and displayed on a part of the home display screen, the operator can be notified of the outline of the abnormality that has occurred at the same time as the information originally displayed on the home display screen. In addition, this notification regarding the outline of the abnormality may be displayed instead of another display screen, or may be displayed in series with another display screen.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에 이상의 개요에 관한 통지가 표시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또한 이상의 개요에 관한 통지의 예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의 어느 조작구에 대한 인위 조작이 행해지면, 표시부에 이상 알림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조작부의 어느 조작구에 대한 인위 조작에 대해서도 이상 알림 화면이 표시되는 상기 기능을, 이상 알림 화면을 적어도 한번 표시한 후에는 무효로 하도록 설정해도 된다.In a configuration in which a notification regarding an abnormal summar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s described above, further, when an example of a notification regarding an abnormal summary is displayed and an artificial operation is performed on any operating section of the operating unit, an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Furthermore, the above function in which an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is displayed for an artificial operation on any operating section of the operating unit may be set to be invalidated after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is displayed at least onc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100)의 액정 디스플레이(11)에 자동 직진 기능 설정 화면(D6)을 표시할 수 있음과 함께, 이앙기(100)가 자동 직진 기능을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기타의 가이던스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예를 들어, 포장의 형상에 적합한 작업 경로를 미리 결정해두고, 작업자의 자택 구비된 컴퓨터 등의 단말기를 사용하여 당해 경로를 입력하여, 입력된 당해 경로를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러한 경로의 입력 시에는, 포장 작업기는 어떤 포장 작업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지, 포장은 어떠한 형상인지, 포장에 대한 진입로는 어디인지, 기준면은 어디인지, 복수로 분할된 주행 라인의 주행 순서는 어떠한 순서인지, 각 조 클러치를 사용해야 할 주행 라인은 어디인지 등의 정보를 입력해두면, 포장 현지에 있어서의 작업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작업자를 안내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automatic straight-line function setting screen (D6) can be displayed 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11) of the rice transplant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ice transplanter (100) is provided with the automatic straight-line func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av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other guidance functions. For example, a work path suitable for the shape of the paving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and the path may be input using a terminal such as a computer provided at the worker's home, and the input path may be transmitted to the pav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putting such a path, if information such as what paving work device the paving work machine has, what shape the paving is, where the access road to the paving is, where the reference plane is, what the driving order of the driving lines divided into multiple parts is, and where the driving line on which each clutch should be used is input, the worker can be effectively guided during the work at the paving site.
또한, 가이던스 기능의 다른 예로서는, 포장에 진입하고, 작업을 행하며, 포장으로부터 퇴출하기에 이르기까지의, 당해 포장에 있어서의 모든 주행 라인을, 포장 작업기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기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동일 포장에 있어서의 다음 번 이후의 작업에 있어서, 당해 주행 라인에 기초하여 작업자를 안내하거나, 또는 당해 주행 라인과 동일한 주행 라인을 주행하도록 자동적으로 조타가 행해지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of the guidance function, all driving lines in the packaging, from entering the packaging, performing work, to exiting the packaging, may be stored in a memory provided to the packaging work machine. With this configuration, in the next and subsequent work in the same packaging, the worker can be guided based on the driving line, or the steer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so as to drive along the same driving li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가, 포장에 있어서의 모내기 작업을 행하는 이앙기(1100)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트랙터, 콤바인, 승용 관리기 등이어도 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a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In this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ce transplanter (1100) that performs rice seedling transplanting work in a fiel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rice transplanter, and may be, for example, a tractor, a combine, a riding-type management machine, etc.
[이앙기(1100)의 기본 구성][Basic configuration of rice transplanter (1100)]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100)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7). 이앙기(1100)는, 주행 기체(1001), 포장 작업 장치로서의 모 식부 장치(1002) 및 시비 장치(1003)(분립체 공급 장치의 예), 그리고 제어부(1004)를 구비한다.Below,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rice transplanter (1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7). The rice transplanter (1100) is equipped with a driving body (1001), a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as a packaging work device, a fertilization device (1003) (an example of a powde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unit (1004).
주행 기체(1001)는, 엔진(1011)과, 각각 좌우 한 쌍의 전륜(1012a) 및 후륜(1012b)을 포함하는 차륜(1012)과, 작업자가 착좌하여 각종 운전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운전 좌석(1013)을 구비하고, 운전 좌석(1013)의 전방에는, 모니터(1014a)(표시부의 예)를 포함하는 미터 패널(1014), 및 조작부(10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주행 기체(1001)는, 주변속 장치(1016) 및 부변속 장치(1017), 주간 변속 장치(1018), 그리고 식부 클러치(1019)를 갖는다. 또한, 이후의 설명 중에서, 운전 좌석(1013)에 착좌한 작업자를 기준으로, 작업자의 정면 방향을 「전방」, 작업자의 배면 방향을 「후방」, 작업자의 우측을 「우측 방향」, 작업자의 좌측을 「좌측 방향」이라고 정의한다.A driving machine (1001) is provided with an engine (1011), wheels (1012) including a pair of front wheels (1012a) and rear wheels (1012b) on the left and right, and a driver's seat (1013) on which an operator can sit and perform various driving operations. In front of the driver's seat (1013), a meter panel (1014) including a monitor (1014a) (an example of a display section) and an operating section (1015) are installed. In addition, the driving machine (1001) has a main transmission device (1016), an auxiliary transmission device (1017), a main transmission device (1018), and a plant clutch (1019).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spect to a worker seated on the driver's seat (1013), the front direction of the worker is defined as "front", the back direction of the worker is defined as "rear", the right side of the worker is defined as "right direction", and the left side of the worker is defined as "left direc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011)의 동력은, 주변속 장치(1016)에 의해 변속된 후에, 제1 동력과 제2 동력으로 분기된다. 제1 동력은, 또한 부변속 장치(1017)에 의해 변속된 후에, 차륜(1012)에 전달되는 주행 동력과, 시비 장치(1003)에 전달되는 시비 동력으로 분기된다. 한편 제2 동력은, 주간 변속 장치(1018) 및 식부 클러치(1019)를 통해 모 식부 장치(1002)에 전달된다.As shown in Fig. 8, the power of the engine (1011) is divided into the first power and the second power after being shifted by the main transmission device (1016). The first power is further divided into the driving power transmitted to the wheel (1012) and the gearing power transmitted to the gearing device (1003) after being shifted by the auxiliary transmission device (1017). Meanwhile, the secon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main gearing device (1002) through the main transmission device (1018) and the gearing clutch (1019).
여기서, 주변속 장치(1016)는 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이며, 조작부(1015)에 설치된 주변속 레버(1015a)에 의해, 중립 위치, 전진측, 후퇴측에 무단계로 변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부변속 장치(1017)는 기어 변속 형식의 변속 장치이며, 조작부(1015)에 설치된 부변속 레버(1015b)에 의해, 중립 위치, 주행속 위치, 작업속 위치로 변속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Here, the main transmission device (1016) is a hydraulic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device,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teplessly shifting to a neutral position, forward direction, and backward direction by a main transmission lever (1015a) installed on an operating unit (1015). Meanwhile, the auxiliary transmission device (1017) is a gear shift type transmission device,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hifting to a neutral position, a driving speed position, and a working speed position by a sub-shift lever (1015b) installed on an operating unit (1015).
모 식부 장치(100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에 대하여 모를 식부하는 모 식부부(1021)와, 모 식부부(1021)에 의해 포장에 식부되는 모를 적재하는 모 적재대(1022)를 가지고, 모 식부 장치(1002)의 승강 동작을 행하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1023) 및 링크 기구(1024)를 통해 주행 기체(1001)에 연결되어 있다. 모 적재대(1022)는, 주변속 장치(1016)를 통해 엔진(1011)으로부터 전달되는 제2 동력에 의해 구동되고, 좌우 방향 왕복 횡이송 구동 및 상하 방향의 종이송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모 적재대(1022)의 왕복 횡이송 구동에 연동하여 모 식부부(1021)가 동작하고, 포장에 대하여 모를 식부한다. 모 식부 장치(1002)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1023)를 수축시키면 상승하고, 승강용 유압 실린더(1023)를 신장하면 포장면을 향해 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모 식부 장치(1002)가 가장 상승한 위치에 있어서는, 링크 기구(1024)가 수평의 자세를 취한다. 또한, 모 식부 장치(1002)를 하강시켜 모 식부부(1021)의 플로트(1021a)가 포장면에 접하는 자세를 취하면, 모 식부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has a seedling planting unit (1021) for planting seedlings on a package, and a seedling loading platform (1022) for loading seedlings to be planted on the package by the seedling planting unit (1021), and is connected to a driving body (1001) via a lifting hydraulic cylinder (1023) and a link mechanism (1024) for performing an elevating operation of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The seedling loading platform (1022) is driven by second power transmitted from an engine (1011) via a main gear (1016), and is capable of reciprocating lateral transpor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of transporting paper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In addition, the seedling planting unit (1021)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eciprocating lateral transport operation of the seedling loading platform (1022), and plants seedlings on the package. The mother planting device (1002) is configured to rise when the hydraulic cylinder for raising (1023) is contracted, and to descend toward the pavement surface when the hydraulic cylinder for raising (1023) is extended. When the mother planting device (1002) is in the highest position, the link mechanism (1024) assumes a horizontal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mother planting device (1002) is lowered so that the float (1021a) of the mother planting device (1021) assumes a position in which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avement surface, the mother planting work can be performed.
모 식부 장치(1002)에 의한 모 식부 작업에 있어서 포장에 식부되는 모는, 복수의 모를 묶은 「주」 단위로 식부된다. 주의 1단위당 포함되는 모의 양(모취량)은, 모 적재대(1022)의 왕복 횡이송 구동 및 종이송 구동의 구동폭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모 식부 장치(1002)에 의한 모 식부 작업에 있어서 포장에 식부되는 주끼리의 간격(주간 거리)은, 주간 변속 장치(1018)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모 식부 장치(1002)에 의한 모 식부 작업에 있어서 포장에 식부되는 모(주)의 식부 깊이는, 모 식부 장치(1002)가 유지되는 높이의 고저에 의해 제어된다. 당해 높이는, 승강용 유압 실린더(1023)의 신축에 의해 제어된다. 이들 제어는, 제어부(1004)가 발하는 신호에 의해, 또는 작업자의 인위 조작에 의해 실시된다.In the seedling planting work b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the seedlings to be planted in the package are planted in units of "stocks" which are a plurality of seedlings bundled together. The amount of seedlings (the amount of seedlings taken) included in one stock is controlled by the driving width of the reciprocating lateral transport drive and the paper transport drive of the seedling loading platform (1022). In addition, in the seedling planting work b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the interval between the stocks to be planted in the package (the distance between stocks) is controlled by the inter-stock transmission device (1018). In addition, in the seedling planting work by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the planting depth of the seedlings (stocks) to be planted in the package is controlled by the height at which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is maintained. The height is controll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1023) for lifting. These controls are performed by a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1004) or by human operation by a worker.
시비 장치(1003)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립상의 비료(분립상 농용 자재의 예)를 저류하는 비료 호퍼(1031), 비료 호퍼(1031)로부터 비료를 조출하는 조출부(1032), 조출부(1032)로부터 풀어내진 비료를 반송하기 위한 송풍을 행하는 블로워(1033), 조출부(1032)로부터 포장면에 비료를 공급하는 경로가 되는 호스(1034), 및 조출량 조정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제1 동력으로부터 분기된 시비 동력은, 조출량 조정 기구에 의한 변속을 받은 후에 조출부(1032)에 입력되고, 조출부(1032)를 구동한다. 포장에 공급되는 비료의 포장 단위 면적당 공급량, 즉, 시비량의 제어는, 제어부(1004)가 발하는 신호에 의해, 또는 작업자의 인위 조작에 의해, 조출량 조정 기구를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fertilizer application device (1003) has a fertilizer hopper (1031) for storing granular fertilizer (an example of granular agricultural materials), a discharge unit (1032) for discharging fertilizer from the fertilizer hopper (1031), a blower (1033) for blowing air to return the fertilizer released from the discharge unit (1032), a hose (1034) that serves as a path for supplying fertilizer to the pavement surface from the discharge unit (1032), and a discharge amount adjustment mechanism (not illustrated). Fertilization power branched from the first power source is input to the discharge unit (1032) after being changed by the discharge amount adjustment mechanism, and drives the discharge unit (1032). Control of the amount of fertilizer supplied to the packaging, i.e., the amount of fertilizer applied,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amount adjustment mechanism by a signal sent from the control unit (1004) or by artificial operation by the worker.
[이앙기(1100)의 제어계][Control system of rice transplanter (1100)]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4)는, 주행 기체(1001)의 제어를 행하는 주행 기체 제어부(1041)와, 모 식부 장치(1002)의 제어를 행하는 모 식부 장치 제어부(1042)와, 시비 장치(1003)의 제어를 행하는 시비 장치 제어부(1043)를 갖는다. 각 부 제어부(1041 내지 1043)는, 각각 대응하는 제어 대상(1 내지 3)에 관한 정보를 취득함과 함께, 각각 대응하는 제어 대상(1 내지 3)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한다. 또한 제어부(1004)는, 모니터(1014a)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의 내용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1044), 제어에 관한 각종 연산을 행하는 연산부(1045), 이앙기(1100)의 각 부에 관한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 검출부(1046), 및 이앙기(1100)의 각 부에 관한 각종 설정을 제어하는 설정부(1047)를 갖는다.As illustrated in Fig. 9, the control unit (1004) has a driving unit control unit (1041)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1001), a parent planting unit control unit (1042) that controls the parent planting unit (1002), and a fertilization unit control unit (1043) that controls the fertilization unit (1003). Each of the sub-control units (1041 to 1043) acquires information about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s (1 to 3), and issues signal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control targets (1 to 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004) has a display control unit (1044) that controls the contents of the screen display displayed on the monitor (1014a), a calculation unit (1045) that performs various calculations related to control, an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46) that detects abnormalities related to each part of the rice transplanter (1100), and a setting unit (1047) that controls various settings related to each part of the rice transplanter (1100).
주행 기체 제어부(1041)는 차륜(1012)의 회전수에 관한 회전수 정보를 취득한다. 연산부(1045)는, 미리 주행 기체 제어부(1041)에 기억된 차륜(1012)의 둘레 길이에 관한 정보와, 취득한 회전수 정보에 기초하여, 주행 기체(1001)의 주행 거리 정보를 연산한다.The driving body control unit (1041) acquires rotational speed information regard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wheel (1012). The calculation unit (1045) calculates the driving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body (1001) based on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1012) stored in advance in the driving body control unit (1041) and the acquired rotational speed information.
모 식부 장치 제어부(1042)는 조작부(1015)를 통해, 작업자가 희망하는 모의 식부 상태에 관한 설정값, 즉, 주간 거리, 식부 깊이, 및 모취량에 관한 입력을 받는다. 그리고 모 식부 장치 제어부(1042)는, 입력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모 식부 장치(1002)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44)는, 이들 설정값을 집약한 홈 화면(1D1)을 모니터(1014a)에 표시한다(도 10).The mother planting device control unit (1042) receives inputs of set values for the simulated planting state desired by the operator, i.e., the weekly distance, planting depth, and seeding amount, through the operating unit (1015). Then, the mother planting device control unit (1042) issu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ther planting device (1002) based on the input set values.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044) displays a home screen (1D1) that summarizes these set values on the monitor (1014a) (Fig. 10).
시비 장치 제어부(1043)는 조작부(1015)를 통해, 작업자가 희망하는 시비량의 설정값의 입력을 받는다. 그리고 시비 장치 제어부(1043)는, 입력된 설정값에 기초하여 시비 장치(1003)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044)는 당해 설정값을 모니터(1014a)에 표시한다.The fertilization device control unit (1043) receives input of a set value of the fertilization amount desired by the operator through the operating unit (1015). Then, the fertilization device control unit (1043) issues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fertilization device (1003) based on the input set value. 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044) displays the set value on the monitor (1014a).
또한, 모 식부 장치 제어부(1042)는 모 식부 장치(1002)의 작업폭에 관한 작업폭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이앙기(1100)에 의한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걸쳐, 모 적재대(1022)에 적재된 모의 잔량에 관한 모 잔량 정보(자재량 정보의 예)를 취득한다. 동일하게, 시비 장치 제어부(1043)는, 작업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에 걸쳐, 비료 호퍼(1031)에 저류된 비료의 잔량에 관한 비료 잔량 정보(자재량 정보의 예)를 취득한다. 또한, 모 적재대(1022) 및 비료 호퍼(1031)에는, 자재량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필요한 공지된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edling unit control unit (1042) acquires working width information regarding the working width of the seedling unit (1002). In addition, while the work by the rice transplanter (1100) is being performed, it acquires seedling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 example of material amount information) regarding the remaining amount of seedlings loaded in the seedling loading platform (1022). Similarly, the fertilization device control unit (1043) acquires fertilizer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 example of material amount information) regarding the remaining amount of fertilizer stored in the fertilizer hopper (1031) while the work is being performed. In addition, a known sensor (not shown) necessary for acquiring material amount information is installed in the seedling loading platform (1022) and the fertilizer hopper (1031).
연산부(1045)는, 주행 기체(1001)의 주행 거리 정보 및 모 식부 장치(1002)의 작업폭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이 이미 행해진 작업 완료 영역의 면적에 관한 작업 완료 면적 정보를 연산한다. 또한 연산부(1045)는, 연산된 작업 완료 면적 정보와, 모 잔량 정보 및 비료 잔량 정보의 추이에 기초하여, 작업 완료 영역에 대하여 식부된 모의 단위 면적당 양(공급 완료 자재량 정보의 예), 및 작업 완료 영역에 대하여 공급된 비료의 단위 면적당 양(공급 완료 자재량 정보의 예)을 연산한다. 표시 제어부(1044)는, 이렇게 연산된 작업 완료 면적 정보 및 공급 완료 자재량 정보를, 면적계 정보 표시 화면(1D4)으로서 모니터(1014a)에 표시한다(도 10),The calculation unit (1045) calculates the work completion area information regarding the area of the work completion area where the work has already been performed based on the travel distance information of the driving body (1001) and the work width information of the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In addition, the calculation unit (1045) calculates the amount per unit area of the seedlings planted for the work completion area (an example of the supply completion material amount information) and the amount per unit area of the fertilizer supplied for the work completion area (an example of the supply completion material amount information) based on the calculated work completion area information and the trend of the seedling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and the fertilizer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044) displays the thus calculated work completion area information and the supply completion material amount information on the monitor (1014a) as an area meter information display screen (1D4) (Fig. 10).
이상 검출부(1046)는 주행 기체(1001), 모 식부 장치(1002), 및 시비 장치(1003)에 관한 감시를 행한다. 이상 검출부(1046)가 감시 대상(1 내지 3)의 어느 것에 관한 이상을 검출하면, 표시 제어부(1044)는, 당해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알리는 이상 알림 화면(1D7)을 모니터(1014a)에 표시한다. 이 때, 모니터(1014a)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면이 어떤 것이어도,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여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한다. 일례로서, 조출부(1032)에 비료가 꽉 찬 것을 검출하였을 때는, 「비료가 꽉 찼습니다」라는 문언이 모니터(1014a)에 표시된다. 다른 예로서, 모 적재대(1022)에 적재된 모의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하회한 것을 검출하였을 때는, 「모종을 보급해 주세요」라는 문언이 모니터(1014a)에 표시된다.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46) monitors the driving body (1001), the seeding unit (1002), and the fertilization unit (1003). Whe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46) detects an abnormality in any of the monitoring targets (1 to 3), the display control unit (1044) displays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1D7) informing of the content of the abnormality on the monitor (1014a). At this time, regardless of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monitor (1014a),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is displayed in place of the display screen. As an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fertilizer is full in the feeding unit (1032), the phrase “Fertilizer is full” is displayed on the monitor (1014a). As another exampl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amount of seedlings loaded on the mother loading unit (1022) falls below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the phrase “Please supply seedlings” is displayed on the monitor (1014a).
표시 제어부(1044)에 의한 모니터(1014a)에의 이상 알림 화면의 표시는,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원인이 된 이상이 해소되었을 때는, 자동적으로 정지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의 경우에 있어서, 조출부(1032)에 꽉 찬 비료를 제거하였을 때는, 모니터(1014a)에의 「비료가 꽉 찼습니다」라는 문언의 표시가 정지된다.The display of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on the monitor (1014a) by the display control unit (1044) is automatically stopped when the abnormality that caused the display of the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is resolv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example described above, when the fertilizer that was full in the discharge unit (1032) was removed, the display of the phrase “Fertilizer is full” on the monitor (1014a) is stopped.
또한, 이상 검출부(1046)는, 검출된 이상이, 진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여 대처해야 할 중도 이상인지, 또는 당해 작업의 중단을 요하지 않는 경도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조출부(1032)에 비료가 꽉 찼을 때는, 이것을 방치하여 작업을 계속하면 시비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작업이 진행되어버리므로, 이상 검출부(1046)는 이것을 중도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이 때 표시 제어부(1044)는 경고 화면(1D7a)을 모니터(1014a)에 표시한다(도 10). 한편, 모 적재대(1022)에 적재된 모의 양이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하회하였을 때는, 모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는 작업을 계속할 수 있으므로, 이상 검출부(1046)는 이것을 경도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이 때 표시 제어부(1044)는 통지 화면(1D7b)을 모니터(1014a)에 표시한다(도 10).In addition,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46)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abnormality is a moderate abnormality that must be dealt with by stopping the ongoing work, or a mild abnormality that does not require stopping the work. For example, when the fertilizer discharge unit (1032) is full, if this is left as is and work is continued, work will proceed without fertilization, so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46) determines this to be a moderate abnormality. At this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1044) displays a warning screen (1D7a) on the monitor (1014a) (Fig. 10).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seedlings loaded on the seedling loading unit (1022) falls below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work can be continued until the seedlings are completely gone, so the abnormality detection unit (1046) determines this to be a mild abnormality. At this time, the display control unit (1044) displays a notification screen (1D7b) on the monitor (1014a) (Fig. 10).
또한, 이상이 중도 이상에 해당할 때는, 당해 이상이 해소된 경우를 제외하고, 어떠한 때도 경고 화면(1D7a)의 표시를 정지할 수 없다. 한편, 이상이 경도 이상에 해당할 때는, 조작부(1015)를 통한 인위 조작에 의해, 통지 화면(1D7b)의 표시를 일시적으로 정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의 중대성에 따라서 다른 거동을 취함으로써, 작업자에 대하여 이상의 중대성을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bnormality is a moderate abnormality, the display of the warning screen (1D7a) cannot be stopped at any time except when the abnormality is resol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bnormality is a mild abnormality, the display of the notification screen (1D7b) can be temporarily stopped by a human operation via the operating unit (1015). In this way, by taking different actions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abnormality, the severity of the abnormality can be effectively conveyed to the operator.
설정부(1047)를 기동하면, 표시 제어부(1044)는, 설정부(1047)에 있어서 설정 변경이 가능한 항목을 표시하는 설정 변경 화면(1D6)을 모니터(1014a)에 표시한다(도 10). 그리고, 조작부(1015)를 통한 인위 조작에 의해, 각 항목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어 두렁 근방에 있어서의 선회 후에 자동적으로 모 식부 작업을 재개하는 위치인 식부 개시 위치에 관한 설정, 모니터(1014a)의 휘도에 관한 설정, 조출부(1032)가 막혔다고 판단하는 감도에 관한 설정, 비료 호퍼(1031)에 저류된 비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센서의 감도에 관한 설정, 및 조출부(1032)의 회전수에 관한 설정 등을 들 수 있다. 설정 변경 화면(1D6)에 있어서 설정 변경이 가능한 항목은 변경 빈도가 낮은 것이므로, 통상 작업 시에는 표시하지 않도록 함과 함께, 필요할 때에는 일괄해서 모니터(1014a)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setting unit (1047) is started, the display control unit (1044) displays a setting change screen (1D6) that displays items whose settings can be changed in the setting unit (1047) on the monitor (1014a) (Fig. 10). Then, the settings of each item can be changed by manual manipulation via the operating unit (1015). Such items include, for example, a setting related to a planting start position, which is a position where the seedling planting work is automatically resumed after turning near the ridge, a setting related to the brightness of the monitor (1014a), a setting related to the sensitivity for determining that the discharge unit (1032) is blocked, a setting related to the sensitivity of a sensor for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fertilizer stored in the fertilizer hopper (1031), and a setting related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discharge unit (1032). In the setting change screen (1D6), items whose settings can be changed are not frequently changed, so they are not displayed during normal work, but can be displayed all at once on the monitor (1014a) when necessary.
또한, 표시 제어부(1044)는, 조작부(1015)를 통한 인위 조작에 응답하여, 끝으로 몰기 지원 기능 설정 화면(1D2), 자동 직진 기능 설정 화면(1D3), 몬로 설정 화면(1D5)의 각 표시 화면을, 모니터(1014a)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control unit (1044) can display each display screen of the end-driving support function setting screen (1D2), the automatic straight-line function setting screen (1D3), and the Monroe setting screen (1D5) on the monitor (1014a) in response to an artificial operation through the operating unit (1015).
[그 밖의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의 그 밖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은,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한, 다른 실시 형태에서 개시되는 구성과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Finally, other embodiments of the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each of the embodiments below can also be applied in combination with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other embodiments, unless a contradiction occurs.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가 모 식부 장치(1002) 및 시비 장치(1003)를 구비하는 이앙기(1100)인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포장 작업 장치로서, 모 식부 장치, 분립체 공급 장치, 및 액체 공급 장치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여도 되고, 이들 포장 작업 장치를 복수 구비하는 포장 작업기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이앙기에 한정되지 않고, 트랙터, 콤바인, 승용 관리기 등의 포장 작업기여도 된다. 포장 작업기가 트랙터일 경우에는, 포장 작업 장치로서, 묘립 장치, 묘립 파종 장치, 멀티 작업 장치, 비료 살포 장치, 붐 스프레이어 장치 등의 다양한 포장 작업 장치 등을 장착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rice transplanter (1100) is provided with a seedling planting device (1002) and a fertilizing device (1003). However,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ackaging work machine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of a seedling planting device, a granular material supply device, and a liquid supply device as the packaging work device, or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se packaging work devices. Furthermore, the packag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rice transplanter, and may be a packaging work machine such as a tractor, a combine, or a riding-type cultivator. When the packaging work machine is a tractor, various packaging work devices such as a seedling seeding device, a seedling sowing device, a multi-task device, a fertilizer spreading device, and a boom sprayer device can be installed as the packaging work device.
전단락에서 게재된 다른 실시 형태 중, 액체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당해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해 포장에 공급되는 액상의 농용 자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액상 비료, 액상 제초제 등이어도 된다.Among the oth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vious paragraph, in an embodiment having a liquid supply device, the liquid agricultural material supplied to the package by the liquid supply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liquid fertilizer, a liquid herbicide, or the lik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가, 분립체 공급 장치로서 시비 장치(1003)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가 구비하는 분립체 공급 장치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포장에 볍씨(분립상 농용 자재의 예)를 파종하는 파종 장치(분립체 공급 장치의 예)이면 되고, 포장에 제초제(분립상 농용 자재의 예)를 살포하는 약제 살포 장치(분립체 공급 장치의 예)이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작업기는, 분립체 공급 장치를 하나만 구비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파종 장치와, 시비 장치 및 약제 살포 장치의 적어도 한쪽을 구비한 포장 작업기이면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fertilizer application device (1003) is provided as a powder supply device. However, the powder supply device provided to the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may be, for example, a seeding device (an example of a powder supply device) for sowing rice seeds (an example of a powdery agricultural material) in a field, or a chemical spraying device (an example of a powdery agricultural material) for spraying herbicide (an example of a powdery agricultural material) in a field. In addition, the packag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configuration in which only one powder supply device is provided, and may be, for example, a packaging machine provided with a seeding device, a fertilizer application device, and at least one of a chemical spraying device.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니터(1014a)에 이상 알림 화면(1D7)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모니터(1014a)에 표시되어 있는 표시 화면이 어떤 것이어도,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여 이상 알림 화면(1D7)을 표시하는 구성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상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데 있어서, 당해 표시 화면에 겹쳐 표시해도 되고, 당해 표시 화면과 나열하여 표시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displaying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1D7) on a monitor (1014a),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1D7) is displayed in place of any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monitor (1014a)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configuration, and when displaying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it may be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display screen or by being displayed in a row with the display screen.
기타의 구성에 대해서도,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것들에 의해 한정되는 일은 없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개변이 가능한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개변된 다른 실시 형태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s for other configuration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m.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at appropriate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other embodiments that are modified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aturally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이앙기에 이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in a rice transplanter.
100: 이앙기
1: 주행 기체
11: 액정 디스플레이
12: 표시 제어부
13: 컨트롤러
13A: 설정 버튼
13B: 모 식부 장치 제어 스위치군
13C: 모 식부 작업 제어 스위치군
13D: 어태치먼트 조작 스위치군
13P: 전방면 패널
14: 핸들부
14A: 스티어링
14B: 스티어링 포스트
14C: 스포크
14D: 조작 레버
2: 모 식부 장치
21: 모 식부부
22: 시비부
D: 표시 화면
Dc: 공통 부분
Df: 개별 부분
Dc1: 주간 거리
Dc2: 시비량
Dc4: 전파 상황
Dc5: 연료 게이지
Dc6: 수온계
Dc7: 주의 환기 아이콘
D1: 홈 표시 화면
Df11: 주변속 레버의 설정 상태
Df12: 부변속 레버의 설정 상태
Df13: 시비 배출 레버의 설정 상태
Df14: 소식 레버의 설정 상태
D2: 로터 높이 설정 화면
Df21: 로터의 상하 위치
D3: 주간 설정 화면
Df31: 주간의 값
Df32: 주수의 값
D4: 전조 정지 조작 화면
D4a: 비중 설정 화면
Df41: 「시비한다」의 문자 표시
Df42: 「시비하지 않는다」의 문자 표시
Df43: 시비량의 값
Df44: 비중의 값
D5: 위치 조정 화면
Df51: 식부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직선
D6: 자동 직진 기능 설정 화면
Df61: 진행 방향 정보
Df62: 자동 직진 기능 상태 아이콘
Df63: 전파 레벨 정보
Df64: 회전 각도 인디케이터
Df65: 두렁 접근 표시 아이콘
D7: 에러 정보 표시 화면
1100: 이앙기
1001: 주행 기체
1011: 엔진
1012: 차륜
1012a: 전륜
1012b: 후륜
1013: 운전 좌석
1014: 미터 패널
1014a: 모니터
1015: 조작부
1015a: 주변속 레버
1015b: 부변속 레버
1016: 주변속 장치
1017: 부변속 장치
1018: 주간 변속 장치
1019: 식부 클러치
1002: 모 식부 장치
1021: 모 식부부
1021a: 플로트
1022: 모 적재대
1023: 승강용 유압 실린더
1024: 링크 기구
1003: 시비 장치
1031: 비료 호퍼
1032: 조출부
1033: 블로워
1034: 호스
1004: 제어부
1041: 주행 기체 제어부
1042: 모 식부 장치 제어부
1043: 시비 장치 제어부
1044: 표시 제어부
1045: 연산부
1046: 이상 검출부
1047: 설정부
1D1: 홈 화면
1D2: 지원 기능 설정 화면
1D3: 자동 직진 기능 설정 화면
1D4: 면적계 정보 표시 화면
1D5: 몬로 설정 화면
1D6: 설정 변경 화면
1D7: 이상 알림 화면
1D7a: 경고 화면
1D7b: 통지 화면100: Rice transplanter
1: Driving Aircraft
11: Liquid crystal display
12: Display Control Unit
13: Controller
13A: Settings button
13B: Mother Plant Device Control Switch Group
13C: Mother Plant Operation Control Switch Group
13D: Attachment operating switch group
13P: Front panel
14: Handle part
14A: Steering
14B: Steering Post
14C: Spoke
14D: Control lever
2: Mother planting device
21: Mother and son
22: Sibibu
D: Display screen
Dc: common part
Df: Individual parts
Dc1: Weekly distance
Dc2: The amount of fertilizer
Dc4: Radio situation
Dc5: Fuel Gauge
Dc6: Thermometer
Dc7: Caution Alert Icon
D1: Home display screen
Df11: Setting status of peripheral lever
Df12: Setting status of the sub-shift lever
Df13: Setting status of the discharge lever
Df14: Settings of the news lever
D2: Rotor height setting screen
Df21: Rotor up/down position
D3: Weekly Settings Screen
Df31: Weekly Value
Df32: The value of the stock
D4: Pre-Stop Operation Screen
D4a: Gravity setting screen
Df41: Character display of "Civil"
Df42: Character display of "Do not quarrel"
Df43: The value of the amount of fertilizer
Df44: The value of the specific gravity
D5: Position adjustment screen
Df51: A straight line indicating the starting position of a planting.
D6: Auto straight function setting screen
Df61: Directional Information
Df62: Auto-straight function status icon
Df63: Radio level information
Df64: Rotation angle indicator
Df65: Ridge Approach Indicator Icon
D7: Error information display screen
1100: Rice transplanter
1001: Driving Aircraft
1011: Engine
1012: Wheel
1012a: Front wheel
1012b: Rear wheel
1013: Driver's seat
1014: Meter Panel
1014a: Monitor
1015: Control Panel
1015a: Peripheral gear lever
1015b: Shift lever
1016: Peripheral Devices
1017: Sub-transmission device
1018: Weekly Shifter
1019: Food Clutch
1002: Mother Plant Device
1021: Mother and son
1021a: Float
1022: Mother Loader
1023: Hydraulic cylinder for lifting
1024: Link mechanism
1003: Sibi Device
1031: Fertilizer Hopper
1032: The first part
1033: Blower
1034: hose
1004: Control Unit
1041: Driving Aircraft Control Unit
1042: Mother Plant Device Control Unit
1043: Control Unit of the Sibi Device
1044: Display Control Unit
1045: Operation section
1046: Anomaly Detection Unit
1047: Settings section
1D1: Home Screen
1D2: Support Function Settings Screen
1D3: Auto straight function setting screen
1D4: Area Meter Information Display Screen
1D5: Monroe Setup Screen
1D6: Change Settings Screen
1D7: Abnormal Notification Screen
1D7a: Warning screen
1D7b: Notification screen
Claims (31)
상기 주행 기체는,
표시부와,
각각 상이한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인위적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하는 표시 화면 설정구를 구비하는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에 대한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주행 기체 또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의 내용에 관한 통지하는 문자 표시를,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기, 당해 표시 화면에 겹치기, 및 당해 표시 화면과 나열하기 중, 적어도 하나의 양태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주행 기체 또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주의 환기 아이콘을, 당해 표시 화면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주의 환기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에 대한 어떤 인위 조작을 검지하며, 또한, 당해 주의 환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원인이 된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알리는 이상 알림 화면이 한번도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포장 작업기.A packaging machine equipped with a driving body and packaging work device.
The above driving machine is,
Display section,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one display screen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each of which has a different function assigned to it, on the display unit;
Having an operating unit having a display screen setting unit for set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based on artificial manipulation,
The above display control unit changes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reset order based on an artificial manipulation of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The above display control uni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machine or the packaging work device, displays a text display notifying the content of the abnormality on the display unit i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modes: replacing the display screen, overlapping the display screen, and listing it with the display screen, even if any display screen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The above display control uni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machine or the packaging work device, displays a cau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on the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display screen, even if any display screen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The above display control unit detects any artificial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while the above warning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further, when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notifying the abnormality that caused the display of the warning icon has never been displayed, a packaging work machine that displays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as a replacement for the display screen even when any of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is selected.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이,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에 관한 인위 조작이 행해지기 전에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홈 표시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가 상기 일 방향으로 조작될 때마다, 상기 홈 표시 화면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표시 화면을 거쳐 순차로 표시 화면이 변경되고, 상기 타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표시 화면을 거쳐, 상기 홈 표시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또한,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가 상기 타 방향으로 조작될 때마다, 상기 홈 표시 화면으로부터 상기 타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표시 화면을 거쳐서 순차로 표시 화면이 변경되고, 상기 일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표시 화면을 거쳐, 상기 홈 표시 화면으로 복귀되도록, 또한,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가 누름 조작되면, 그때의 표시 화면을 확정하도록,
상기 표시 제어부가 상기 표시 화면을 변경하는 포장 작업기.In the first or second paragraph,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is a setting button that can be operated in one direction and in an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and can be operated by pressing.
The abov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include a hom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section before any artificial manipulation is performed on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Whenever the above display screen setting tool is operated in the above one direction, the display screen is sequentially changed from the home display screen to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and then returns to the home display screen via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direction.
Whenever the above display screen setting tool is oper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display screen is sequentially changed from the home display screen to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direction, and then returned to the home display screen via the display screen adjacent to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one direction.
When the above display screen setting tool is pressed, the display screen at that time is confirmed.
A packaging machine in which the above display control unit changes the above display screen.
상기 주행 기체는,
표시부와,
각각 상이한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인위적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하는 표시 화면 설정구를 구비하는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에 대한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주행 기체는,
원형의 손잡이, 축심, 및 상기 축심의 선단 부분과 상기 손잡이를 체결하는 스포크를 구비하는 인위 조향 조작부를 더 가지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축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를 포함하는 복수의 조작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조작구 중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구는,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 패널 중, 상기 축심으로부터 먼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A packaging machine equipped with a driving body and packaging work device.
The above driving machine is,
Display section,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one display screen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each of which has a different function assigned to it, on the display unit;
Having an operating unit having a display screen setting unit for set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based on artificial manipulation,
The above display control unit changes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reset order based on an artificial manipulation of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The above driving machine is,
An artificial steering operation part further comprising a circular handle, an axle, and a spoke connecting the handle to the tip portion of the axle,
The above operating unit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haft,
The above operating unit has a plurality of operating units including the display screen setting unit,
A packaging work machine in which the operating tool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among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operating tools is installed at a location farthest from the axis center among the front panel of the operating section.
상기 복수의 조작구 중 시인 빈도가 높은 조작구는, 상기 조작부의 전방면 패널 중, 상기 스포크에 의해 시인이 차단되지 않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In the 14th or 15th clause, the operating part is installed at a posi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handle along the axis,
A packaging work machine in which, among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operating devices, an operating device with a high frequency of recognition is installed in a part of the front panel of the operating section where recognition is not blocked by the spoke.
상기 조작부는 상기 축심에 대한 좌우 일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축심에 대한 좌우 일방측 중, 상기 조작부와는 다른 측에 설치되어 있는 포장 작업기.In claim 14 or 15, the artificial steering oper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n operation lever,
The above operating uni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above axis,
A packaging machin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lever is installed o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bove-mentioned axis, but on a different side from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unit.
표시부와,
각각 상이한 기능이 할당된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인위적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정하는 표시 화면 설정구를 구비하는 조작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화면 설정구에 대한 인위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 화면을 미리 설정된 순서로 변경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주행 기체 또는 상기 포장 작업 장치에 어떠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주의 환기 아이콘을, 당해 표시 화면과 함께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주의 환기 아이콘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조작부에 대한 어떤 인위 조작을 검지하며, 또한, 당해 주의 환기 아이콘이 표시되는 원인이 된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알리는 이상 알림 화면이 한번도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표시 화면 중에서 어느 표시 화면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도, 당해 이상 알림 화면을, 당해 표시 화면에 대체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
It is a packaging work support terminal that supports packaging work by a packaging work machine equipped with a driving machine and packaging work device.
Display section,
A display control unit for displaying one display screen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each of which has a different function assigned to it, on the display unit;
Having an operating unit having a display screen setting unit for setting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based on artificial manipulation,
The above display control unit changes the displa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 preset order based on an artificial manipulation of the display screen setting section,
The above display control uni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ing machine or the packaging work device, displays a cau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abnormality has occurred on the display unit together with the display screen, even if any display screen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The above display control unit detects any artificial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while the above warning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further, if an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notifying of the abnormality that caused the warning icon to be displayed has never been displayed, a packaging work support terminal that displays the abnormality notification screen on the display unit as a replacement for the display screen even when any of the plurality of display screens is selec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236349A JP7018755B2 (en) | 2017-12-08 | 2017-12-08 | Field work machine and field work support terminal |
JPJP-P-2017-236349 | 2017-12-08 | ||
JP2018063117A JP6999471B2 (en) | 2018-03-28 | 2018-03-28 | Field work machine |
JPJP-P-2018-063117 | 2018-03-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0276A KR20190070276A (en) | 2019-06-20 |
KR102754753B1 true KR102754753B1 (en) | 2025-01-14 |
Family
ID=67076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4392A Active KR102754753B1 (en) | 2017-12-08 | 2018-12-04 | Field work machine and terminal for supporting field work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4753B1 (en) |
CN (2) | CN109964572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42828A (en) * | 2019-12-31 | 2020-05-12 | 江苏常发农业装备股份有限公司 | Operation shadow display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KR102418899B1 (en) * | 2020-06-09 | 2022-07-08 | 주식회사 티와이엠 | A device for keeping a steering wheel in agricultural work machine using hydraulic motor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88509A (en) * | 2014-10-29 | 2016-05-23 |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 Running vehicle for work |
US20170113548A1 (en) * | 2015-10-27 | 2017-04-27 | Cnh Industrial America Llc | User interface for an agricultural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01252B2 (en) | 2000-12-19 | 2011-10-26 | ヤンマー株式会社 | Agricultural work vehicle |
JP2004201529A (en) * | 2002-12-24 | 2004-07-22 | Iseki & Co Ltd | Implement |
JP2004261147A (en) * | 2003-03-04 | 2004-09-24 | Iseki & Co Ltd | Combine operating device |
JP4102269B2 (en) * | 2003-08-18 | 2008-06-18 | ヤンマー株式会社 | Control device for work vehicle |
JP4902314B2 (en) * | 2006-11-02 | 2012-03-21 | ヤンマー株式会社 | Farm work vehicle |
KR101419006B1 (en) * | 2009-09-14 | 2014-07-14 |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 Rice planting machine |
CN101773001B (en) * | 2010-01-08 | 2012-10-24 | 明日新 | Multifunctional working rigmachine used on a dry field |
JP5714822B2 (en) * | 2010-01-15 | 2015-05-07 | 株式会社クボタ | Paddy field machine |
JP2013066449A (en) * | 2011-09-26 | 2013-04-18 | Iseki & Co Ltd | Seedling transplanter |
JP5984691B2 (en) * | 2013-01-21 | 2016-09-06 | 株式会社クボタ | Paddy field machine |
CN105992513A (en) * | 2013-12-02 | 2016-10-05 | 洋马株式会社 | Combine |
CN204466220U (en) * | 2013-12-17 | 2015-07-15 | 井关农机株式会社 | Working truck |
JP2015116142A (en) * | 2013-12-17 | 2015-06-25 | 井関農機株式会社 | Working vehicle |
JP2016010361A (en) * | 2014-06-30 | 2016-01-21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ling transplanter |
JP6224540B2 (en) * | 2014-07-24 | 2017-11-01 | ヤンマー株式会社 | Work vehicle |
JP6393925B2 (en) * | 2014-10-28 | 2018-09-26 | ヤンマー株式会社 | Work vehicle |
WO2016063721A1 (en) * | 2014-10-24 | 2016-04-28 | ヤンマー株式会社 | Work vehicle |
JP6571440B2 (en) * | 2015-08-05 | 2019-09-04 |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 Working vehicle |
TWI611754B (en) * | 2015-04-07 | 2018-01-21 | Iseki & Co Ltd | Work vehicle |
JP6545632B2 (en) * | 2016-03-04 | 2019-07-17 | ヤンマー株式会社 | Rice transplanter |
-
2018
- 2018-12-04 KR KR1020180154392A patent/KR102754753B1/en active Active
- 2018-12-07 CN CN201811494862.9A patent/CN109964572B/en active Active
- 2018-12-07 CN CN202210836529.1A patent/CN115299204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88509A (en) * | 2014-10-29 | 2016-05-23 |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 Running vehicle for work |
US20170113548A1 (en) * | 2015-10-27 | 2017-04-27 | Cnh Industrial America Llc | User interface for an agricultural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5299204A (en) | 2022-11-08 |
CN109964572B (en) | 2022-09-20 |
CN115299204B (en) | 2024-04-30 |
KR20190070276A (en) | 2019-06-20 |
CN109964572A (en) | 201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30509C2 (en) | Automatic control system of moving grain based on real-time simulation of filling level for areas of receiving container | |
KR102687030B1 (en) | Work vehicle | |
JP6750588B2 (en) | Work vehicle | |
JP2016011024A (en) | Planting and seeding system farm field working machine | |
KR102754753B1 (en) | Field work machine and terminal for supporting field work | |
JP6464615B2 (en) | Work planning support method | |
JP6477812B2 (en) | Work vehicle | |
JP7044477B2 (en) | Automatic steering control device | |
JP2021040496A (en) | Work vehicle, and work support apparatus for work vehicle | |
KR20220074774A (en) | Working machine | |
JP6999471B2 (en) | Field work machine | |
KR20220074697A (en) | Working machine | |
US20230380323A1 (en) | Agricultural machine, agricultural work assistance apparatus, and agricultural work assistance system | |
JP3853693B2 (en) | Control device in combine | |
JP7322926B2 (en) | work vehicle | |
JP7185834B2 (en) | work vehicle | |
JP7515260B2 (en) | Agricultural vehicle | |
JP2021145610A (en) | Transplanter | |
JP7018755B2 (en) | Field work machine and field work support terminal | |
JP2005080550A (en) | Control system for working implement | |
JP7042668B2 (en) | Field work machine | |
JP7641834B2 (en) | Paddy field farming machine | |
JPH11206208A (en) | Warning device for rice paddy working machine | |
US20230078766A1 (en) | Agricultural Machine | |
JP7593387B2 (en) | Work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