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4162B1 -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Google Patents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4162B1 KR102754162B1 KR1020230189331A KR20230189331A KR102754162B1 KR 102754162 B1 KR102754162 B1 KR 102754162B1 KR 1020230189331 A KR1020230189331 A KR 1020230189331A KR 20230189331 A KR20230189331 A KR 20230189331A KR 102754162 B1 KR102754162 B1 KR 1027541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ease film
- measured
- ceramic sheets
- coating layer
- ceram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
입자 | 평균입경(nm) | 101.5 | 100 | 30 | 60 |
입자분포 변동계수(%) |
14.7 | 15 | 16.5 | 15.8 | |
단위 면적당 입자수 (EA/㎛2), A |
3.95 | 5.28 | 3.64 | 3.72 | |
이활 도포층 | 요철의 평균 폭(㎛), B | 1.642 | 1.454 | 1.508 | 1.533 |
평균 조도(nm) | 16.5 | 17 | 8.5 | 12.2 | |
평균 제곱근 조도(nm) | 23.5 | 27.4 | 13.8 | 19.4 | |
최대 골 깊이(nm) | 128 | 120 | 64 | 88 | |
조건(1) | A / B | 2.41 | 3.63 | 2.41 | 2.43 |
평균 조도의 변화율(%) | 102.9 | 105.8 | 51.5 | 87.3 | |
평균 제곱근 조도의 변화율(%) | 96.7 | 103.2 | 52.7 | 83.1 | |
최대 골 깊이의 변화율(%) | 106.7 | 100.9 | 50.8 | 83 | |
수축률 변화율(%) | 6 | 3 | 15 | 11 | |
정마찰(N) | 0.272 | 0.203 | 0.534 | 0.386 | |
동마찰(N) | 0.277 | 0.217 | 0.523 | 0.345 | |
정마찰과 동마찰의 비율(%) | 98.2 | 93.5 | 102.1 | 111.9 | |
마찰산포(N) | 0.1 | 0.08 | 0.7 | 0.45 | |
이형력의 변화율(%) | 6.9 | 1.9 | 33.2 | 9.8 | |
고온 경시 물성 변화 평가(블로킹/헤이즈) | 블로킹X/양호 | 블로킹X /양호 |
블로킹O /NG |
블로킹X /양호 |
|
핀홀 방지 평가 | 미발생 | 미발생 | 발생 | 미발생 |
구분 | 실시예5 | 실시예6 | 실시예7 | |
입자 | 평균입경(nm) | 140 | 170 | 98.5 |
입자분포 변동계수(%) |
14.4 | 14 | 30.3 | |
단위 면적당 입자수 (EA/㎛2), A |
3.93 | 3.55 | 3.88 | |
이활 도포층 | 요철의 평균 폭(㎛), B | 1.642 | 1.498 | 1.586 |
평균 조도(nm) | 36.3 | 52.5 | 18.3 | |
평균 제곱근 조도(nm) | 45.8 | 73.1 | 28.2 | |
최대 골 깊이(nm) | 183 | 224 | 126 | |
조건(1) | A / B | 2.39 | 2.37 | 2.45 |
평균 조도의 변화율(%) | 112.9 | 318.2 | 89.7 | |
평균 제곱근 조도의 변화율(%) | 117 | 279.0 | 97.9 | |
최대 골 깊이의 변화율(%) | 116.8 | 177.8 | 100 | |
수축률 변화율(%) | 3 | 3 | 7 | |
정마찰(N) | 0.223 | 0.218 | 0.328 | |
동마찰(N) | 0.208 | 0.224 | 0.316 | |
정마찰과 동마찰의 비율(%) | 107.2 | 97.3 | 103.8 | |
마찰산포(N) | 0.13 | 0.09 | 0.22 | |
이형력의 변화율(%) | 2.8 | 1.5 | 4.2 | |
고온 경시 물성 변화 평가(블로킹/헤이즈) | 블로킹X /양호 |
블로킹O /NG |
블로킹O /NG |
|
핀홀 방지 평가 | 미발생 | 발생 | 발생 |
구분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
입자 | 평균입경(nm) | 102.3 | 100.8 | 100 | 100 |
입자분포 변동계수(%) |
15.2 | 16.8 | 15.56 | 3.4 | |
단위 면적당 입자수 (EA/㎛2), A |
2.7 | 7.2 | 9.92 | 7.85 | |
이활 도포층 | 요철의 평균 폭(㎛), B | 1.821 | 1.286 | 1.03 | 1.132 |
평균 조도(nm) | 16.4 | 22 | 24 | 28 | |
평균 제곱근 조도(nm) | 23.6 | 30 | 31.8 | 47 | |
최대 골 깊이(nm) | 113 | 127 | 129 | 165 | |
조건(1) | A / B | 1.48 | 5.6 | 9.63 | 6.93 |
평균 조도의 변화율(%) | 101.2 | 129.4 | 131.6 | 164 | |
평균 제곱근 조도의 변화율(%) | 96.1 | 109.5 | 121.2 | 167 | |
최대 골 깊이의 변화율(%) | 104.2 | 105.8 | 119.8 | 138 | |
수축률 변화율(%) | 13 | 3 | 3 | 8 | |
정마찰(N) | 1.808 | 0.194 | 0.189 | 0.286 | |
동마찰(N) | 1.081 | 0.17 | 0.173 | 0.255 | |
정마찰과 동마찰의 비율(%) | 167.3 | 114.1 | 109.3 | 112 | |
마찰산포(N) | 3.6 | 0.14 | 0.15 | 0.23 | |
이형력의 변화율(%) | 9.8 | 0.9 | 0.8 | 5.3 | |
고온 경시 물성 변화 평가(블로킹/헤이즈) | 블로킹O /NG |
블로킹O /NG |
블로킹O /NG |
블로킹O /NG |
|
핀홀 방지 평가 | 발생 | 발생 | 발생 | 발생 |
10a: 입자
20: 기재층
30: 이형층
100: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Claims (11)
-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포함되고, 복수 개의 입자를 포함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요철을 포함하는 이활 도포층; 및
상기 기재층의 배면에 포함되는 이형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형층 상에서 세라믹 그린시트가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이활 도포층은 하기 조건 (1)을 만족하는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1) 1.6 ≤ A / B ≤ 5.5
이때, 상기 A는 단위 면적 당 입자수(EA/㎛2)이고, 상기 B는 이활 도포층 복수 개의 요철의 평균 폭(RSm)(㎛)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활 도포층은 단위 면적 당 포함되는 입자수가 3 ~ 6EA/㎛2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요철의 평균 폭(RSm)은 1.1 ~ 1.65㎛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활 도포층은 하기 측정방법 1로 측정한 평균 조도(Ra)의 변화율이 86 ~ 114% 이하, 평균 제곱근 조도(Rq)의 변화율이 82 ~ 118% 이하, 및 최대 골 깊이(Rv)의 변화율이 82 ~ 118%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측정방법 1]
실험군으로써 상기 이활 도포층의 평균 조도(Ra), 평균 제곱근 조도(Rq) 및 최대 골 깊이(Rv)를 각각 측정하고, 대조군으로써 상기 이활 도포층과 동일한 입자를 포함하여 형성된 복수 개의 요철을 포함하되 단위 면적 당 포함되는 입자수가 1 EA/㎛2 이상 ~ 3 EA/㎛2 미만인 이활도포층의 평균 조도(Ra), 평균 제곱근 조도(Rq) 및 최대 골 깊이(Rv)를 각각 측정한 후, 상기 실험군의 평균 조도(Ra), 평균 제곱근 조도(Rq) 및 최대 골 깊이(Rv)와 상기 대조군의 평균 조도(Ra), 평균 제곱근 조도(Rq) 및 최대 골 깊이(Rv) 각각의 비율을 측정한 후, 상기 실험군의 평균 조도(Ra), 평균 제곱근 조도(Rq) 및 최대 골 깊이(Rv) 각각을 상기 대조군의 평균 조도(Ra), 평균 제곱근 조도(Rq) 및 최대 골 깊이(Rv)로 각각 나누어 비율을 계산하여 각각의 변화율을 측정함. -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측정방법 2로 측정한 수축률 변화율이 12% 이하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측정방법 2]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상의 MD 방향 두 점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온도 150℃로 30분간 열처리한 뒤, 열처리 후 MD 방향 두 점 간의 거리를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수축률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활 도포층은 정마찰이 0.6N 이하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활 도포층은 하기 측정방법 3으로 측정한 이형력의 변화율이 10.5% 이하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측정방법 3]
온도 60℃에서 10일 간 방치한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에 표준테이프(TESA7475-아크릴계)를 이활 도포층 상에 붙이고, 표준테이프(TESA7475)를 180°방향으로 300mm/min의 속도로 박리하여 이형력을 측정한 뒤,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이형력의 변화율을 측정함.
[수학식 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입자는 입자분포 변동계수(CV 값)가 5 ~ 25%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입자는 평균입경이 50 ~ 150㎚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활 도포층은 정마찰력과 동마찰력의 비율이 80 ~ 120%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활 도포층은 하기 측정방법 4로 측정한 마찰산포가 0.8N 이하인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측정방법 4]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의 이활 도포층의 동마찰력을 측정하고, 동마찰력의 최소 값과 최대 값의 차이를 계산함으로써 마찰산포를 측정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89331A KR102754162B1 (ko) | 2023-12-22 | 2023-12-22 |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89331A KR102754162B1 (ko) | 2023-12-22 | 2023-12-22 |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54162B1 true KR102754162B1 (ko) | 2025-01-14 |
Family
ID=9424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89331A Active KR102754162B1 (ko) | 2023-12-22 | 2023-12-22 |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4162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896B1 (ko) | 1998-05-11 | 2006-07-06 |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그린 시트 성형용 이형 필름 |
KR20140004278A (ko) * | 2012-06-29 | 2014-01-13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이형필름 |
KR20190008201A (ko) * | 2016-05-16 | 2019-01-23 |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용 이형 필름 |
KR20200080280A (ko) * | 2017-11-02 | 2020-07-06 |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용 이형 필름 |
KR20220043117A (ko) * | 2019-07-31 | 2022-04-05 |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
JP2022057020A (ja) * | 2020-09-30 | 2022-04-11 | ユニチカ株式会社 | 離型フィルム |
-
2023
- 2023-12-22 KR KR1020230189331A patent/KR10275416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896B1 (ko) | 1998-05-11 | 2006-07-06 | 미쓰비시 가가꾸 폴리에스테르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 그린 시트 성형용 이형 필름 |
KR20140004278A (ko) * | 2012-06-29 | 2014-01-13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이형필름 |
KR20190008201A (ko) * | 2016-05-16 | 2019-01-23 |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용 이형 필름 |
KR20200080280A (ko) * | 2017-11-02 | 2020-07-06 |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 세라믹 그린 시트 제조용 이형 필름 |
KR20220043117A (ko) * | 2019-07-31 | 2022-04-05 |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
JP2022057020A (ja) * | 2020-09-30 | 2022-04-11 | ユニチカ株式会社 | 離型フィル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4965B1 (ko) |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JP5319329B2 (ja) | セラミック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 |
JP5485605B2 (ja) | 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キャリヤーフィルム | |
KR20040111342A (ko) | 이형 필름 | |
JP2015033811A (ja) | セラミックシート成形用離型フィルム | |
KR20160038438A (ko) | 이형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JP4183962B2 (ja) | 離型フィルム | |
KR102754162B1 (ko) |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
KR102754163B1 (ko) |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
JP2006051661A (ja) | 離型フィルム | |
KR102755460B1 (ko) |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
KR102754164B1 (ko) | 세라믹 시트용 이형필름 | |
JP5346640B2 (ja) | 離型フィルム | |
JP5319328B2 (ja) | セラミック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 |
JP2005022201A (ja) | 薄層セラミック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010260315A (ja) | 離型フィルム | |
JP3765271B2 (ja) | セラミックシート付き離型フィルム | |
JP7593163B2 (ja) | 離型フィルムロール | |
JP5689579B2 (ja) | 離型フィルムロール | |
JP5378703B2 (ja) | 離型フィルム | |
KR20230014317A (ko) | 대전방지 폴리에스테르 이형필름 | |
JP6481725B2 (ja) | 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離型フィルム | |
JP2006022136A (ja) | 離型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JP5202057B2 (ja) | 燃料電池用両面離型フィルム | |
KR20110067749A (ko) | 이형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312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5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