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3480B1 -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 Google Patents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3480B1
KR102753480B1 KR1020240049175A KR20240049175A KR102753480B1 KR 102753480 B1 KR102753480 B1 KR 102753480B1 KR 1020240049175 A KR1020240049175 A KR 1020240049175A KR 20240049175 A KR20240049175 A KR 20240049175A KR 102753480 B1 KR102753480 B1 KR 102753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tooth
hole
dental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9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흥빈
윤성희
주형진
임현수
윤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Priority to KR102024004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348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3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348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61C13/1003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by embedding in bas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6/00Preparations for dentistry
    • A61K6/30Compositions f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fixing teeth or palates, e.g. primers for dental adhesives
    • A61K6/35Preparations for stabilising dentures in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10)에 관한 것으로, 교합 상부 표면(occlusal top surface) 및 이어지는(depending) 순측(labial) 혹은 협측(buccal), 근심측(mesial), 원심측(distal) 및 설측(lingual) 측면들을 가지고, 측면들은 서로 연결되어 보철물 경부(crown cervix)를 형성하며; 교합 상부 표면의 반대쪽 표면은 치아 혹은 지대주를 삽입하여 접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접착면을 형성하며; 보철물(10)의 내부 접착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을 형성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기공을 관통공(11)을 통해 배출하여 내부에 잔류 압력과 공극 발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보철물의 접착면에서 교합면 또는 외부 방향으로 관통 구조를 만들어 보철물의 접착부에 접착용 레진을 넣고 치아에 덮어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레진으로 완전히 메워 보철물의 탈락과 공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2차 치아우식을 예방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치과 치료용 보철물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치과의사 및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that prevents tooth caries and tooth lo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prosthesis (10)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and detachment, and to this end, the dental prosthesis has an occlusal top surface and depending labial or buccal, mesial, distal and lingual side surfaces, the side surface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rown cervix; a surface opposite to the occlusal top surface forms an adhesive surface in a concave shape so that a tooth or an abutment can be inserted and bonded;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11) is formed in an outward direction on the inner adhesive surface of the prosthesis (10), so that air pores gener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prosthesis on the tooth ar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 thereby preventing residual pressure and occurrence of a void inside.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ms a penetrating structure in the occlusal or external direction from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fills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with adhesive resin, and covers it on the tooth, thereby completely filling the gap cre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with resin,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dental caries caused by the loss of the prosthesis and the gap,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dental treatment prosthesis products, thereby satisfying the various needs of dentists and consumers who use them and creating a good image.

Description

치과 치료용 보철물{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철물의 접착면에서 교합면 또는 외부 방향으로 관통 구조를 만들어 보철물의 접착부에 접착용 레진을 넣고 치아에 덮어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레진으로 완전히 메워 보철물의 탈락과 공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2차 치아우식을 예방하는 것이고, 이로 인해 치과 치료용 보철물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치과의사 및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prosthesis for preventing tooth caries and loss,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for forming a penetrating structure in the occlusal surface or outward direction from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filling an adhesive resin in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and covering it on a tooth, in which a gap cre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is completely filled with the resin, thereby preventing loss of the prosthesis and secondary tooth caries caused by the gap, and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dental prosthesis products, thereby satisfying various needs of dentists and consumers who use the prosthesis and creating a good image.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ters described in this identifier are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their description in this identifier is not intended to be an admission that they are prior art.

주지하다시피 보철치료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부작용은 보철물의 탈락으로 임플란트와 일반 보철과의 차이는 있지만 부작용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다. As is well known, the most common side effect in prosthodontic treatment is the loss of the prosthesis.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implants and general prosthetics, it accounts for nearly half of the side effects.

상기 보철치료에서 접착은 기계적 결합(언더컷 등 물리적인 결합)과 화학적 결합(접착제 등 화학적인 결합)으로 나뉘는데 화학적 결합에는 한계가 있어 높은 접착강도가 필요할 때 기계적 결합이 중요하다. In the above prosthetic treatment, bonding is divided into mechanical bonding (physical bonding such as undercut) and chemical bonding (chemical bonding such as adhesive). Since chemical bonding has limitations, mechanical bonding is important when high bonding strength is required.

그러나 세라믹 보철의 경우 그 재질의 특성상 탄성이 낮아 기계적 결합을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However, in the case of ceramic prosthetics, the elasticity of the material is low, making it very difficult to form a structure for mechanical bonding.

따라서 일반적으로 접착용 레진을 이용한 화학적 결합으로 결합을 유지하며, 이로 인해 탈락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Therefore, the bond is generally maintained through chemical bonding using adhesive resin, which increases the risk of detachment.

특히 상기 보철물과 치아사이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대부분이 보철물 내면의 표면처리를 통해 접착용 레진의 화학적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며 이중 보철물의 내면에 샌드블라스팅을 사용하여 접착력을 높이는 방법만이 치료과정에서 유의미하게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methods for increasing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eeth have been suggested, but most of them are methods for increasing the chemical bonding strength of the adhesive resin through surface treatmen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rosthesis, and among these, only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adhesive strength by using sandblast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sthesis is being used significantly in the treatment process.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화학적 결합력에는 한계가 있어 보철물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확실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어렵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chemical bonding strength has limit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provide a reliable bonding strength that can prevent the prosthesis from falling off.

한편, 도 1(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보철물은 치아와의 밀착도를 높여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치아와 최대한 잘 맞도록 시술된다. 그렇기 때문에 치아와 보철물 사이의 틈새는 필연적으로 좁아질 수 밖에 없고 내부의 레진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압력이 발생하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ures 1(a)(b)(c), conventional prosthetics are made to fit the teeth as closely as possible in order to secure adhesive strength by increasing the degree of adhesion with the teeth. Therefore, the gap between the teeth and the prosthetics inevitably becomes narrower, and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resin inside.

상기 압력으로 인해 치아와 보철물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는 레진은 잇몸과 치아사이의 공간으로 파고들게 된다.The resin that is releas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tooth and the prosthesis due to the above pressure digs into the space between the gum and the tooth.

이렇게 잇몸 내부로 파고들게 된 레진은 제거가 쉽지않기 때문에 시술의 난이도가 상승하고, 제거 과정에서 환자의 잇몸에 상처가 발생하거나 씌워진 보철물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Since the resin that has penetrated into the gums in this way is not easy to remove, the difficulty of the procedure increases, and the removal process can cause injury to the patient's gums or problems with the fitted prosthesis.

그리고 보철물을 치아에 씌우는 과정에서 발생한 레진의 압력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잔류하면 보철물이 씌워진 후 잔류 압력에 의해 들뜨거나 비틀림으로써 치아에 정확하게 맞춰지는 것을 방해하여 탈락이나 파절, 2차 우식등의 발생 확률을 높이게 된다.In addition, if the pressure of the resin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placing the prosthesis on the tooth is not completely released and remains, the prosthesis may lift or twist due to the residual pressure after being placed, preventing it from fitting accurately to the tooth, there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falling out, breakage, or secondary caries.

또한 접착부에 레진을 채우는 과정에서 레진 내부에 기공이 생기게 되는데, 기공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보철물을 치아에 덮어씌우게 되면 보철물과 치아사이의 좁은 틈새로 인해 내부의 기공이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갇혀 레진에 잔류하고, 치아와 보철물 사이에 공극을 생성한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illing the bonding area with resin, pores are created inside the resin. When the prosthesis is placed over the tooth while the pores are present, the pores inside are not completely discharged due to the narrow gap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and are trapped, remaining in the resin, creating a gap between the tooth and the prosthesis.

이러한 공극으로 인해 보철물과 치아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짐으로써 접착력이 부족해져 보철물의 탈락이 발생하고 빈공간으로 음식물과 세균이 침투하여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치아우식을 발생시키며 보철물에 교합압이 주어질 때 공극으로 인해 응력이 집중되어 보철물의 파절을 야기한다.Due to these gap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eeth becomes smaller, resulting in insufficient adhesive strength, which may cause the prosthesis to fall off, and food and bacteria may infiltrate the empty space, causing secondary dental caries as shown in Fig. 1(d). In addition, when occlus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osthesis, stress is concentrated due to the gaps, which may cause the prosthesis to break.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have been developed in the past, but a major problem still occurred in that the problems of the above prior art could not be solved at on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87539호(2020. 03. 04)가 등록된바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87539 (March 4, 2020) has been registe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48344호(2011. 07. 05)가 등록된바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48344 (July 5, 2011) was registe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45499호(2013. 12. 19)가 등록된바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345499 (December 19, 2013) was register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8423호(2005. 10. 06)가 등록된바 있다.It was registered as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98423 (October 6, 20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치과 치료용 보철물에 관통공, 고정핀 및 손잡이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보철물의 접착면에서 교합면 또는 외부 방향으로 관통 구조를 만들어 보철물의 접착부에 접착용 레진을 넣고 치아에 덮어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레진으로 완전히 메워 보철물의 탈락과 공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2차 치아우식을 예방하는 것이고, 제3목적은 보철물에 교합면 방향으로 관통 구조를 만들어 레진 내부의 기공을 보철물을 씌우는 과정에서 관통 구조를 통해 배출시켜 치아와 보철물 사이에 공극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고, 제4목적은 보철물 내부의 잔류 압력을 낮추고, 일정한 압력으로 치아와의 보철물의 밀착도를 높혀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5목적은 보철물의 표면에서부터 치아까지 연결되는 관통구조를 형성한 후 접착용 레진과 함께 핀을 삽입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고정시켜 보철물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고, 제6목적은 보철물의 표면에서부터 치아까지 연결되는 관통구조를 형성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씌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레진 배출을 관통구조 쪽으로 제어하여 압력을 해소하고, 치은쪽으로의 레진 배출을 억제하고 아울러 관통구조를 통해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완전히 제거하여 보철물의 접착력을 높이고 더하여 공극으로 인한 2차 우식을 예방하며, 이후 관통구조를 통해 고정핀을 삽입하여 보철물을 기계적 결합을 통해 치아에 고정시켜 보철물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고, 제7목적은 핸들링에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아동용 시착 보철물의 형태를 개선하여 보철물 경부에서 순측 혹은 협측으로 뻗어나온 손잡이부를 추가하여 시착 시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이로 인해 치과 치료용 보철물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치과의사 및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nd the first purpose is to provide a dental treatment prosthesis with a through hole, a fixing pin, and a handle, and the second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configuration is to completely fill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with the resin by forming a through structure in the occlusal surface or outward direction from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and putting adhesive resin in the bonding portion of the prosthesis and covering it on the tooth, thereby preventing the fall-off of the prosthesis and secondary dental caries caused by the gap, and the third purpose is to prevent the fall-off of the prosthesis and secondary dental caries caused by the gap by forming a through structure in the occlusal surface direction of the prosthesis and discharging the pores inside the resin through the through structure during the bonding process of the prosthesis, and the fourth purpose is to reduce the residual pressure inside the prosthesis and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prosthesis to the tooth with a constant pressure, and the fifth purpose is to form a through structure connecting the surface of the prosthesis to the tooth, and then insert a pin together with adhesive resin to fix the prosthesis to the tooth, thereby preventing the fall-off of the prosthesis. The sixth purpose is to form a penetrating structure connecting the surface of the prosthesis to the tooth, thereb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resi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prosthesis on the tooth toward the penetrating structure to relieve pressure, suppress the discharge of resin toward the gingiva, and completely remove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through the penetrating structure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rosthesis and further prevent secondary caries caused by the gap, and then insert a fixing pin through the penetrating structure to fix the prosthesis to the tooth through mechanical coupling to prevent the fall-off of the prosthesis. The seventh purpose is to improve the shape of a children's fitting prosthesis that is prone to handling problems and to add a handle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cervical part of the prosthesis to the labial or buccal side to make it easier to handle when trying it on. The eighth purpose is to provide a dental treatment prosthesis that prevents tooth caries and fall-off 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dental treatment prosthesis products, thereby satisfying the various needs of dentists and consumers who are users and creating a good image.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10)에 관한 것으로, 교합 상부 표면(occlusal top surface) 및 이어지는(depending) 순측(labial) 혹은 협측(buccal), 근심측(mesial), 원심측(distal) 및 설측(lingual) 측면들을 가지고, 측면들은 서로 연결되어 보철물 경부(crown cervix)를 형성하며; 교합 상부 표면의 반대쪽 표면은 치아 혹은 지대주를 삽입하여 접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접착면을 형성하며; 보철물의 내부 접착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기공을 관통공을 통해 배출하여 내부에 잔류 압력과 공극 발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prosthesis (10) for preventing dental caries and tooth loss, which has an occlusal top surface and depending labial or buccal, mesial, distal and lingual side surfaces, the side surface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rown cervix; a surface opposite to the occlusal top surface forming an adhesive surface in a concave shape so that a tooth or an abutment can be inserted and adhered; and a dental prosthes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outward direction on the inner adhesive surface of the prosthesis so that air pores gener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prosthesis on the tooth ar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thereby preventing residual pressure and occurrence of a void inside.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보철물의 접착면에서 교합면 또는 외부 방향으로 관통 구조를 만들어 보철물의 접착부에 접착용 레진을 넣고 치아에 덮어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레진으로 완전히 메워 보철물의 탈락과 공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2차 치아우식을 예방하는 것이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econdary tooth caries caused by the prosthesis falling off and the gap by completely filling the gap cre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with resin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penetrating structure in the occlusal surface or outward direction from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putting adhesive resin in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and covering it on the tooth.

또한 본 발명은 보철물에 교합면 방향으로 관통 구조를 만들어 레진 내부의 기공을 보철물을 씌우는 과정에서 관통 구조를 통해 배출시켜 치아와 보철물 사이에 공극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penetrating structure in the direction of the occlusal surface in the prosthesis, thereby preventing a gap between the tooth and the prosthesis by discharging pores inside the resin through the penetrating structure during the process of covering the prosthesis.

그리고 본 발명은 보철물 내부의 잔류 압력을 낮추고, 일정한 압력으로 치아와의 보철물의 밀착도를 높혀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residual pressure inside the prosthesis and increase the sealing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with a constant pressure.

특히 본 발명은 보철물의 표면에서부터 치아까지 연결되는 관통구조를 형성한 후 접착용 레진과 함께 핀을 삽입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고정시켜 보철물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enetrating structure connecting the surface of the prosthesis to the tooth, and then inserts a pin together with adhesive resin to fix the prosthesis to the tooth, thereby preventing the prosthesis from falling off.

아울러 본 발명은 보철물의 표면에서부터 치아까지 연결되는 관통구조를 형성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씌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레진 배출을 관통구조 쪽으로 제어하여 압력을 해소하고, 치은쪽으로의 레진 배출을 억제하고 아울러 관통구조를 통해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완전히 제거하여 보철물의 접착력을 높이고 더하여 공극으로 인한 2차 우식을 예방하며, 이후 관통구조를 통해 고정핀을 삽입하여 보철물을 기계적 결합을 통해 치아에 고정시켜 보철물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enetrating structure that connects from the surface of the prosthesis to the tooth, thereby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resi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prosthesis on the tooth toward the penetrating structure to relieve pressure and suppress the discharge of resin toward the gingiva, and furthermore, completely removing the gap gener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through the penetrating structure to increas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rosthesis and further prevent secondary caries caused by the gap, and thereafter, by inserting a fixing pin through the penetrating structure to fix the prosthesis to the tooth through mechanical coupling, thereby preventing the prosthesis from falling off.

더하여 본 발명은 핸들링에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아동용 시착 보철물의 형태를 개선하여 보철물 경부에서 순측 혹은 협측으로 뻗어나온 손잡이부를 추가하여 시착 시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a children's fitting prosthesis that is prone to handling problems by adding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cervical portion of the prosthesis to the labial or buccal side to facilitate manipulation during fitting.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치과 치료용 보철물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치과의사 및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of dental prosthetic products for treatment with the above-mentioned effects, thereby satisfying the various needs of dentists and consumers, thereby creating a good image.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se effec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의 (a)는 종래 보철물의 접착부에 레진을 채우는 과정 및 단면도를 보
인 것이고,
(b)는 종래 보철물에 기공이 형성된 단면도를 보인 것이고,
(c)는 종래 공극이 형성된 보철물에 치아를 삽입하는 상태를 보인
것이고,
(d)는 종래 보철물 내부의 2차 치아우식 및 보철물 파절을 보인 사
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
의 제1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
의 제2실시예 구성도.
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
용 보철물의 관통공 위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
의 관통공의 각도를 도시한 구성도.
도 6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
용 보철물의 제3실시예 구성도.
Figure 1 (a) shows the process of filling resin into the bonding part of a conventional prosthesis and a cross-sectional view.
It is,
(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rosthesis with pores formed therein.
(c) shows the state of inserting a tooth into a prosthesis with a conventional gap formed.
And,
(d) A case showing secondary caries and fracture of the prosthesis inside the conventional prosthesis.
jin.
Figure 2 is a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that prevents tooth caries and tooth los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3 is a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that prevents tooth caries and tooth los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cond embodiment.
Figures 4 (a) and (b) are dental treatment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ooth decay and loss.
Diagram showing the location of the through-holes in the dragon prosthesis.
Figure 5 is a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that prevents tooth caries and tooth los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the angle of the penetration hole.
Figures 6 (a) and (b) are dental treatment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ooth decay and loss.
A third embodiment of the dragon prosthesis.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은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The dental prosthesis for preventing tooth caries and tooth los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S. 2 to 6.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elow,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uch,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s intention or custom, and therefore, their definition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먼저, 본 발명은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10)에 관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treatment prosthesis (10) that prevents tooth caries and tooth loss and is configured as follows.

즉, 본 발명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합 상부 표면(occlusal top surface) 및 이어지는(depending) 순측(labial) 혹은 협측(buccal), 근심측(mesial), 원심측(distal) 및 설측(lingual) 측면들을 가지고, 측면들은 서로 연결되어 보철물 경부(crown cervix)를 형성하며; 교합 상부 표면의 반대쪽 표면은 치아 혹은 지대주를 삽입하여 접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접착면을 형성하며; 보철물(10)의 내부 접착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을 형성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기공을 관통공(11)을 통해 배출하여 내부에 잔류 압력과 공극 발생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을 제공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prosthesis for preventing tooth caries and fallou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cclusal top surface and, as illustrated in FIG. 2, dependent labial or buccal, mesial, distal and lingual side surfaces, the side surface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rown cervix; a surface opposite to the occlusal top surface forming a bonding surface in a concave shape so that a tooth or an abutment can be inserted and bonded; and at least one through hole (11) is formed in an outward direction on the inner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10), so that air pores gener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prosthesis on the tooth ar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 thereby preventing residual pressure and occurrence of a void inside.

이때 상기 관통공(11)은 보철물(10)의 교합면 방향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through hole (11) in the direction of the occlusal surface of the prosthesis (10).

또한 상기 관통공(11)은 심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순측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form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11) in a positive direction considering aesthetic considerations.

그리고 상기 관통공(11)의 수는 설측과 순측 각각 1~2개로 형성하고, 한면에 3개이상의 관통공은 치아의 표면적과의 비율을 고려했을 때 보철물의 파절과 치아의 손상 가능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1~2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nd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s (11) is formed as 1 to 2 on each of the lingual and labial sides, and since having 3 or more through holes on one side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racture of the prosthesis and damage to the teeth when considering the ratio to the surface area of the teeth, it is preferable to form 1 to 2 through holes.

또한 본 발명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11)에 삽입되며, 관통공(11)을 통해 삽입되어 치아와 보철물(10)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핀(20)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20) tha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as shown in FIG. 3 and connects the tooth and the prosthesis (10) to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 (11).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삽입된 고정핀(20)이 관통공에 맞춰 생성한 치아의 홈에 끼워져 연결됨으로써 기계적 결합력을 확보하여 보철물(10)과 치아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을 제공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prosthesis for preventing tooth caries and tooth loss,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pin (20)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 is connected by being fitted into a groove of a tooth created to fit the through hole, thereby securing mechanical bonding strength and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rosthesis (10) and the tooth.

이때 상기 고정핀(20)은 관통공(11) 보다 약 5~10%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며, 고정핀(20)의 끝부분은 관통공(11)에서 연장되는 치아의 홈에 삽입되고, 삽입 길이는 1mm 이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xed pin (20) is formed with a diameter that is about 5 to 10%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 (11), and the end of the fixed pin (2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tooth extending from the through hole (11),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sertion length be within 1 mm.

그리고 상기 고정핀(20)은 금속 또는 고분자소재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fixed pin (20)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made of metal or polymer material.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관통공(11)의 지름은 0.1~1.5mm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be 0.1 to 1.5 mm.

이때 상기 관통공(11)의 지름이 0.1mm 보다 작으면 고정핀(20)의 강도가 부족해지고, 이 보다 크면 보철물(10)의 파절 위험도가 크기 때문에 상기 관통공(11)의 지름은 0.1~1.5mm가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diameter of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11) is smaller than 0.1 mm, the strength of the fixing pin (20) becomes insufficient, and if it is larger than this, the risk of fracture of the prosthesis (10) increases, so the diameter of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11) is preferably 0.1 to 1.5 mm.

또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관통공(11)의 위치가 1개 일때 치아 중심선 상에서 치아 끝단에서 치은까지 거리의 50~80%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한다.(도 4a) 즉, 불은선상의 상하 어느 위치에 형성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 (11) is one,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50 to 80% of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tooth to the gum on the center line of the tooth. (Fig. 4a) In other words, it can be formed at any position above or below the line of fir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관통공(11)의 위치가 2개 일때는 치아의 끝단에서 시작하여 중심선과의 각도가 10°~30°를 이루는 선 사이의 면과 치아 끝단에서 치은까지 거리의 50~80% 사이의 면이 겹치는 위치에 형성한다.(도 4b) 즉, 좌우 불은색 사각형 안의 어느 위치에 형성 가능하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two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 (11), it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plane between the line starting from the tip of the tooth and forming an angle of 10° to 30° with the center line overlaps with the plane between 50% to 80% of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tooth to the gum. (Fig. 4b) In other words, it can be formed at any position within the left and right gray squares.

또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관통공(11)과 치아의 세로 중심선의 각도는 45°~ 135°의 각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도 5)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through hole (1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tooth be an angle of 45° to 135° (Fig. 5).

이때 상기 각도가 45°이하이면 보철물의 이탈이 쉽고, 상기 각도가 135°이상이면 고정력이 높아지지만 시술의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관통공(11)과 치아의 세로 중심선의 각도는 45°~ 135°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angle is less than 45°, the prosthesis is easy to come off, and if the angle is more than 135°, the fixing force increases, but the difficulty of the procedure increases,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through hole (11)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tooth be between 45° and 135°.

또 한편, 본 발명은 도 6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철물(10)의 경부에서 순측 혹은 협측에 시착 시 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30)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handle (30) for easy manipulation when fitting on the labial or buccal side of the cervical portion of the prosthesis (10) as shown in FIG. 6 (a)(b).

상기 손잡이(30)는 보철물(10)을 환자의 구강내에 시착할 때, 보철물(10)을 직접적으로 잡고 시술할 경우 시야의 제한과 매끄러운 곡면으로 인해 구강내에서 보철물(10)을 놓치거나 시착 위치를 잘못 잡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손잡이(30)를 손 혹은 기구 등을 이용하여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The above handle (30) is designed to be easily manipulated by hand or a tool, to prevent problems such as losing the prosthesis (10) in the oral cavity or holding it in the wrong position due to limited field of vision and smooth curves when the prosthesis (10) is directly held and operated upon in the patient's mouth.

그리고 상기 손잡이(30)는 시술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하방 0~45°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handle (30) can b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0 to 45 ° so as not to obstruct the operator's view.

또한 상기 손잡이(30)는 전치부와 견치부에서는 순측 방향으로, 구치부에서는 협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구강내에서 시야확보 및 시술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근심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30) is formed in the labial direction in the anterior and canine regions, and in the buccal direction in the molar region, and may be formed in the mesial direction to secure a field of vision and ease of treatment in the oral cavity.

그리고 상기 손잡이(30)에는 구멍(3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구멍(31)에 뾰족한 기구를 삽입하여 조작하거나 실을 끼워 넣어 조작에 실패할 경우 보철물(10)을 삼키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And, a hole (31) can be formed in the handle (30). That is, in order to prevent an accident of swallowing the prosthesis (10) when manipulation fails by inserting a sharp tool into the hole (31) or inserting a thread.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take various forms when applying the above components.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should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dental prosthesis for preventing tooth caries and tooth los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본 발명은 보철물의 접착면에서 교합면 또는 외부 방향으로 관통 구조를 만들어 보철물의 접착부에 접착용 레진을 넣고 치아에 덮어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레진으로 완전히 메워 보철물의 탈락과 공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2차 치아우식을 예방하는 것이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econdary tooth caries caused by the prosthesis and the fall-off of the prosthesis and the gap cre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by completely filling the gap with the resin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penetrating structure in the occlusal surface or outward direction from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and putting adhesive resin into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and covering it on the tooth.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operational effects.

(실시예 1)(Example 1)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는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10)의 제1실시예 구성도이다.FIG. 2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dental treatment prosthesis (10) that prevents tooth caries and tooth loss.

상기한 본 발명은 보철물(10)의 교합면 방향으로 관통공(11)을 형성한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forms a through hole (11) in the direction of the occlusal surface of the prosthesis (10).

이때 심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상기 관통공(11)은 순측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considering the aesthetic aspect, it is desirable to form the through hole (11) in the positive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치아에 보철물(10)을 씌우는 과정에서 잔여 레진이 치근쪽으로 빠져나올 수 밖에 없는 일반 보철물은 내측의 기공은 결국 공극이 되어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남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lacing a prosthesis (10) on a tooth, the remaining resin in a general prosthesis inevitably leaks out toward the tooth root, and the pores on the inside eventually become a gap and remain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이때 접착면의 가장 내부 영역에서 교합면 쪽으로 관통공(11)을 형성하면 내측의 기공은 잔여 레진과 함께 관통공(11)을 통해 배출된다.At this time, if a through hole (11) is formed in the innermost area of the bonding surface toward the occlusal surface, the pores on the inner side ar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 together with the remaining resin.

이와 같이 배출된 잔여레진을 시술 후 제거하면 관통공(11)은 레진으로 채워짐으로써 보철물(10)의 강도와 심미적인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공극에 의한 접착력의 저하와 2차 치아우식을 예방할 수 있다.If the residual resin discharged in this way is removed after the procedure, the through hole (11) is filled with resin, thereby minimizing the strength and aesthetic impact of the prosthesis (10), and preventing a decrease in adhesive strength and secondary tooth caries due to the gap.

(실시예 2)(Example 2)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10)의 제2실시예 구성도이다.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of a dental treatment prosthesis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ooth caries and tooth loss.

상기한 본 발명은 보철물(10)의 내부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관통공(11)을 형성하고, 관통공(11)의 위치에 맞춰 치아 혹은 지대주에도 홈을 뚫은 후 보철물(10)의 관통공과 치아, 지대주의 구멍을 연결하는 고정핀(20)을 삽입한다. 삽입된 고정핀(20)은 접착용 레진으로 고정되어 보철물(10)과 치아 사이에서 기계적 결합력을 확보한다.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forms a through hole (11) that connects the inside of a prosthesis (10) to the outside, and a groove is drilled in a tooth or an abutmen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11), and then a fixing pin (20) that connects the through hole of the prosthesis (10) and the hole of the tooth or abutment is inserted. The inserted fixing pin (20) is fixed with an adhesive resin to secure a mechanical bond between the prosthesis (10) and the tooth.

아울러 본 발명의 관통공(11)은 치아나 지대주의 상태를 고려하여 순측(협측), 설측으로 각각 1~2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강한 결합력을 위해서 치아의 세로 중심선에서 높은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ough holes (1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1 to 2 each on the buccal side and the lingual sid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tate of the teeth or the abutment, and can be formed at a high angle from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teeth for stronger bonding force.

또한 상기 관통공(11)이 많아지면 보철물(10)의 강도가 낮아지게 되어 너무 많은 숫자는 보철물 파절의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In addition, as the number of the above-mentioned through holes (11)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prosthesis (10) decreases, and too many of them increase the possibility of the prosthesis breaking.

그리고 본 발명은 순측 방향의 시술보다 설측의 시술이 어렵기에 순측과 설측 관통 구조의 위치, 숫자, 각도는 다를 수 있다.And sinc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the lingual procedure more difficult than the labial procedure, the positions, numbers, and angles of the labial and lingual penetrating structures may be different.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핀(20)은 관통공(11)에 삽입되어 치아의 홈에 박혀 보철물(10)과 치아를 연결한다.In addition, the fixed pin (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 and embedded in the groove of the tooth to connect the prosthesis (10) and the tooth.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핀(20)은 보철물(10)의 탈락 압력에 견뎌야 하기 때문에 금속 혹은 고분자와 같은 탄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다.The fixed pin (20) applied to the above invention must withstand the detachment pressure of the prosthesis (10), so it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metal or polymer.

상기 본 발명은 보철물(10) 내면에 접착용 레진을 도포하고 치아에 장착하게 되면 관통공(11)을 따라 여분의 레진이 배출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dhesive resin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a prosthesis (10) and mounted on a tooth, excess resin is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고정핀(20)의 길이는 관통공(11)을 통해 치아의 홈까지 넣었을 때 보철물(10)의 표면까지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만들어져 시술 후 보철물 외부의 잔여 레진을 제거하면 보이지 않게 된다. The length of the fixed pin (2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lightly shorter than the length to the surface of the prosthesis (10) when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tooth through the through hole (11), so that it becomes invisible when the remaining resin on the outside of the prosthesis is removed after the procedure.

상기 본 발명은 관통공(11)에 고정핀(20)을 삽입할 때 설측의 시술이 어렵기 때문에 보철물(10) 표면에서 관통공(11)을 향해 약간의 경사를 주어 시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procedure on the lingual side when inserting the fixing pin (20) into the through hole (11), the convenience of the procedure can be increased by giving a slight incline from the surface of the prosthesis (10) toward the through hole (11).

한편, 도 4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10)의 관통공(11) 위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Meanwhile, (a) and (b) of FIG. 4 are diagrams showing the location of a through hole (11) of a dental treatment prosthesis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ooth caries and tooth loss.

즉,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관통공(11)의 위치가 1개 일때 치아 중심선 상에서 치아 끝단에서 치은까지 거리의 50~80%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한다.(도 4a) 즉, 불은선상의 상하 어느 위치에 형성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1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50 to 80% of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tooth to the gum on the center line of the tooth. (Fig. 4a) That is, it can be formed at any position above or below the line of fire.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관통공(11)의 위치가 2개 일때는 치아의 끝단에서 시작하여 중심선과의 각도가 10°~30°를 이루는 선 사이의 면과 치아 끝단에서 치은까지 거리의 50~80% 사이의 면이 겹치는 위치에 형성한다.(도 4b) 즉, 좌우 불은색 사각형 안의 어느 위치에 형성 가능하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two positions of the through hole (11), it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plane between the line starting from the tip of the tooth and forming an angle of 10° to 30° with the center line overlaps with the plane between 50% to 80% of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tooth to the gum. (Fig. 4b) In other words, it can be formed at any position within the left and right gray squares.

또 한편,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10)의 관통공의 각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Meanwhile, FIG. 5 is a diagram showing the angle of the through hole of a dental treatment prosthesis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ooth caries and tooth loss.

즉,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관통공(11)과 치아의 세로 중심선의 각도는 45°~ 135°의 각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through hole (1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tooth be an angle of 45° to 135°.

이때 상기 각도가 45°이하이면 보철물의 이탈이 쉽고, 상기 각도가 135°이상이면 고정력이 높아지지만 시술의 난이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상기 관통공(11)과 치아의 세로 중심선의 각도는 45°~ 135°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f the angle is less than 45°, the prosthesis is easy to come off, and if the angle is more than 135°, the fixing force increases, but the difficulty of the procedure increases, so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between the through hole (11)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tooth be between 45° and 135°.

(실시예 3)(Example 3)

도 6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10)의 제3실시예 구성도이다.Figures 6 (a) and (b) are configuration diagrams of a third embodiment of a dental treatment prosthesis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ooth caries and tooth loss.

상기한 본 발명은 아동 보철치료 시 보철물 제작 전, 보철물의 디자인이 치료되는 치아와 잘 맞는지, 대합치와의 교합 등의 다른 문제점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한 임시 보철물로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보다 안전하고 용이한 시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temporary prosthesis formed with a handle portion to enable safer and easier fitting prior to fabrication of the prosthesis for pediatric prosthetic treatment to check whether the design of the prosthesis fits well with the teeth being treated and whether there are any other problems such as occlusion with the opposing teeth.

즉, 아동 보철 치료는 영구치 이전 유치에 대한 치료로써 성인 보철 치료와 달리 기성 보철물을 사용한다. 성장과정에서 빠지게 될 유치지만 보철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유치는 기본적으로 영구치보다 약하며, 유치 치아우식은 신경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고, 신경치료 후 유치는 더욱 약해지게 된다. 이때 보철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약해진 치아로 인한 치아 파절 등의 문제가 생길 위험이 높고, 치아우식 치료로 인해 치아 삭제가 진행된 경우 삭제된 공간으로 인접치아가 기울어져 치아의 공간이 협소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영구치가 나올 자리를 확보하지 못한 채 영구치가 자라게 된다면 부정교합을 유발하여 차후 교정치료 또한 진행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In other words, pediatric prosthetic treatment is a treatment for baby teeth before permanent teeth, and unlike adult prosthetic treatment, it uses ready-made prosthetics. Baby teeth that will fall out during the growth process sometimes require prosthetic treatment. Baby teeth are basically weaker than permanent teeth, and in many cases, root canal treatment is performed for baby teeth, and after root canal treatment, baby teeth become even weaker. If prosthetic treatment is not performed at this time, there is a high risk of problems such as tooth fracture due to weakened teeth, and in cases where teeth are removed due to dental caries treatment, adjacent teeth may tilt into the removed space, narrowing the space between teeth. If permanent teeth grow without securing a space for permanent teeth to come in, it can cause malocclusion, which may require orthodontic treatment in the future.

상기와 같이 아동 보철 치료의 과정은 치아의 삭제 후 기성 보철물을 선택하여 치아에 덮어씌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치아를 정밀 측정하여 맞춤형 보철물을 제작하는 영구치 치료와 달리 기성 보철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크기가 맞는 보철물을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만약 크기가 적절하지 못한 보철물을 사용하게 될 경우 치아와 보철물 사이에 틈이 벌어지고 이 틈사이에서 2차 치아우식이 발생하며, 주변 치아에 영향을 주어 부정교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process of pediatric prosthetic treatment is to select a ready-made prosthesis after removing the teeth and cover the teeth. In this process, unlike permanent tooth treatment where the teeth are precisely measured and customized prosthesis is made, a process of selecting a prosthesis of the right size is necessary because ready-made prosthesis is used. If a prosthesis of the wrong size is used, a gap will open between the teeth and the prosthesis, and secondary caries will occur in this gap, affecting the surrounding teeth and possibly causing malocclusion.

이로 인해 시착 보철물을 사용하여 적합성을 확인하게 된다.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임시 보철물을 시착하는데, 현재 출시된 임시 보철물은 일반 보철물과 형태가 동일하고 크기가 작아 아동의 구강내에서 조작이 어렵다. 일반 보철물과는 달리 시착 후 제거 과정까지 필요하여 아동치료 특성상 돌발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때문에, 조작에 실패하면 구강에 상처가 생기거나, 임시 보철물을 삼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This is why we use trial prostheses to check the fit. Temporary prostheses made in various sizes are tried on, but the currently available temporary prostheses are the same in shape as general prostheses and are small in size, making them difficult to manipulate in the child's mouth. Unlike general prostheses, they require a removal process after fitting,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unexpected situations occurring due to the nature of child treatment. If the manipulation fails, problems such as wounds in the mouth or swallowing of the temporary prosthesis may occur.

한국소비자원에서 2019년부터 올해 6월까지 종합한 결과에 따르면 4년간 치과 이물질 삼킴 사고건수가 112건이며 그중 보철치료 도중 발생한 사고가 83.2%라고 한다.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results from 2019 to June of this year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ere were 112 cases of dental foreign body ingestion accidents over a four-year period, and 83.2% of them occurred during prosthetic treatment.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핸들링에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아동용 시착 보철물의 형태를 개선하여 보철물(10) 경부에서 순측 혹은 협측으로 뻗어나온 손잡이(30)를 추가하여 시착 시 조작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hape of a children's fitting prosthesis that is prone to handling problems by adding a handle (30) extending from the cervical portion of the prosthesis (10) to the labial or buccal side to facilitate manipulation during fitting.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30)는 보철물(10)을 환자의 구강내에 시착할 때, 보철물(10)을 직접적으로 잡고 시술할 경우 시야의 제한과 매끄러운 곡면으로 인해 구강내에서 보철물(10)을 놓치거나 시착 위치를 잘못 잡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손잡이(30)를 손 혹은 기구 등을 이용하여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when fitting the prosthesis (10) into the patient's mouth, the handle (30) prevents the problem of missing the prosthesis (10) in the mouth or holding it in the wrong posi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field of vision and the smooth curve when the prosthesis (10) is held directly and the procedure is performed, and the handle (30) is easily manipulated using a hand or a tool.

그리고 상기 손잡이(30)는 시술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하방 0~45°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And the handle (30) can b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0 to 45 ° so as not to obstruct the operator's view.

또한 상기 손잡이(30)는 전치부와 견치부에서는 순측 방향으로, 구치부에서는 협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구강내에서 시야확보 및 시술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근심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30) is formed in the labial direction in the anterior and canine regions, and in the buccal direction in the molar region, and may be formed in the mesial direction to secure a field of vision and ease of treatment in the oral cavity.

그리고 상기 손잡이(30)에는 구멍(31)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구멍(31)에 뾰족한 기구를 삽입하여 조작하거나 실을 끼워 넣어 조작에 실패할 경우 보철물(10)을 삼키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And, a hole (31) can be formed in the handle (30). That is, in order to prevent an accident of swallowing the prosthesis (10) when manipulation fails by inserting a sharp tool into the hole (31) or inserting a threa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보철물의 접착면에서 교합면 또는 외부 방향으로 관통 구조를 만들어 보철물의 접착부에 접착용 레진을 넣고 치아에 덮어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레진으로 완전히 메워 보철물의 탈락과 공극으로 인해 발생하는 2차 치아우식을 예방하는 것이고, 보철물에 교합면 방향으로 관통 구조를 만들어 레진 내부의 기공을 보철물을 씌우는 과정에서 관통 구조를 통해 배출시켜 치아와 보철물 사이에 공극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고, 보철물 내부의 잔류 압력을 낮추고, 일정한 압력으로 치아와의 보철물의 밀착도를 높혀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보철물의 표면에서부터 치아까지 연결되는 관통구조를 형성한 후 접착용 레진과 함께 핀을 삽입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고정시켜 보철물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고, 보철물의 표면에서부터 치아까지 연결되는 관통구조를 형성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씌우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레진 배출을 관통구조 쪽으로 제어하여 압력을 해소하고, 치은쪽으로의 레진 배출을 억제하고 아울러 관통구조를 통해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공극을 완전히 제거하여 보철물의 접착력을 높이고 더하여 공극으로 인한 2차 우식을 예방하며, 이후 관통구조를 통해 고정핀을 삽입하여 보철물을 기계적 결합을 통해 치아에 고정시켜 보철물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고, 핸들링에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아동용 시착 보철물의 형태를 개선하여 보철물 경부에서 순측 혹은 협측으로 뻗어나온 손잡이부를 추가하여 시착 시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secondary tooth caries caused by the gap by completely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in the process of putting adhesive resin in the bonding part of the prosthesis and covering it on the tooth by forming a penetrating structure in the occlusal direction or outwardly from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and preventing the fall-off of the prosthesis and secondary tooth caries caused by the gap, and by forming a penetrating structure in the occlusal direction of the prosthesis and discharging the pores inside the resin through the penetrating structure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prosthesis, and by reducing the residual pressure inside the prosthesis and increasing the adhesion of the prosthesis to the tooth with a constant pressure, and by forming a penetrating structure connecting from the surface of the prosthesis to the tooth and then inserting a pin together with adhesive resin to fix the prosthesis to the tooth, and by forming a penetrating structure connecting from the surface of the prosthesis to the tooth,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resi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overing the prosthesis on the tooth toward the penetrating structure to relieve pressure, suppressing the discharge of resin toward the gingiva, and also preventing the discharge of resin gener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through the penetrating structure. By completely removing the voi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rosthesis is increased and secondary caries caused by the void is prevented. Afterwards, a fixing pin is inserted through a penetrating structure to mechanically fix the prosthesis to the teeth and prevent the prosthesis from falling off.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hildren's fitting prosthesis, which is prone to handling problems, is improved by adding a handle portion that extends from the cervical part of the prosthesis to the labial or buccal side,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manipulate when fitting.

본 발명 치아 우식과 탈락을 방지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The technical idea of the dental treatment prosthesis for preventing tooth caries and tooth lo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t is actually possible to repeatedly achieve the same result, and in particular, by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as such, it can promot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ontribut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refore, it is sufficiently worth protect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치과 치료용 보철물
11: 관통공
20: 고정핀
30: 손잡이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the drawing>
10: Prosthetics for dental treatment
11: Penetration
20: Fixed pin
30: Handle

Claims (5)

치과 치료용 보철물(10)에 관한 것으로,
교합 상부 표면(occlusal top surface) 및 이어지는(depending) 순측(labial) 혹은 협측(buccal), 근심측(mesial), 원심측(distal) 및 설측(lingual) 측면들을 가지고, 측면들은 서로 연결되어 보철물 경부(crown cervix)를 형성하며; 교합 상부 표면의 반대쪽 표면은 치아 혹은 지대주를 삽입하여 접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접착면을 형성하며; 보철물(10)의 내부 접착면에서 외부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11)을 형성하여 보철물을 치아에 씌우는 과정에서 보철물과 치아 사이에 발생하는 기공을 관통공(11)을 통해 배출하여 내부에 잔류 압력과 공극 발생을 방지하되,
상기 관통공(11)은 보철물(10)의 교합면 방향으로 형성하거나, 상기 관통공(11)은 심미적인 면을 고려하여 순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1)의 위치가, 1개 일때 치아 중심선 상에서 치아 끝단에서 치은까지 거리의 50~80%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2개 일때는 치아의 끝단에서 시작하여 중심선과의 각도가 10°~30°를 이루는 선 사이의 면과 치아 끝단에서 치은까지 거리의 50~80% 사이의 면이 겹치는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보철물(10)의 경부에서 순측 혹은 협측에 시착 시 조작이 용이하도록 손잡이(30)를 형성하되, 상기 손잡이(30)는 시술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하방 0~45°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30)는 전치부와 견치부에서는 순측 방향으로, 구치부에서는 협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구강내에서 시야확보 및 시술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근심측 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30)에는 뾰족한 기구를 삽입하여 조작하거나 실을 끼워 넣어 조작에 실패할 경우 보철물(10)을 삼키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구멍(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
Regarding a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10),
A prosthesis having an occlusal top surface and depending labial or buccal, mesial, distal and lingual sides, the side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rown cervix; a surface opposite to the occlusal top surface forming a bonding surface in a concave shape so that a tooth or an abutment can be inserted and bonded; at least one through hole (11) is formed in an outward direction on the inner bonding surface of the prosthesis (10), so that air pores generated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tooth in the process of placing the prosthesis on the tooth are discharged through the through hole (11), thereby preventing residual pressure and occurrence of a void inside,
The above through hole (11)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occlusal surface of the prosthesis (10), or the through hole (11) is formed in the labial dir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aspect,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11) is one, i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50 to 80% of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tooth to the gum on the center line of the tooth, and when there are two, it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plane between the line starting from the tip of the tooth and forming an angle of 10° to 30° with the center line and the plane between 50 to 80% of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tooth to the gum overlap.
A dental prosthesis (10) characterized in that a handle (30) is formed so as to facilitate manipulation when fitted on the labial or buccal side of the cervical portion thereof, and the handle (30) is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0 to 45° so as not to obstruct the operator's field of vision, the handle (30) is formed in a labial direction in the anterior and canine regions, and in a buccal direction in the molar region, and is formed in a mesial direction to secure a field of vision and ease of manipulation in the oral cavity, and a hole (31) is formed in the handle (30) to prevent accidents of swallowing the prosthesis (10) in the event of failure in manipulation by inserting a sharp instrument or inserting a thread.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에 삽입되며,
관통공(11)을 통해 삽입되어 치아와 보철물(10)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핀(20); 및
관통공(11)을 통해 삽입된 고정핀(20)이 관통공에 맞춰 생성한 치아의 홈에 끼워져 연결됨으로써 기계적 결합력을 확보하여 보철물(10)과 치아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
In claim 1,
It is inserted into the above through hole (11),
A fixing pin (20) inserted through a through hole (11) to interconnect the tooth and the prosthesis (10); and
A dental prosthesis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pin (20) inserted through a through hole (11) is connected by being fitted into a groove of a tooth created to fit the through hole, thereby securing mechanical bonding strength and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rosthesis (10) and the tooth.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의 지름은,
0.1~1.5mm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
In claim 1,
The diameter of the above through hole (11) is
A dental prosthesis characterized by a thickness of 0.1 to 1.5 mm.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과 치아의 세로 중심선의 각도는,
45°~ 135°의 각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보철물.
In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ngle between the above through hole (11) and the vertical center line of the tooth is
A dental prosthesis characterized by an angle of 45° to 135°.
KR1020240049175A 2024-04-12 2024-04-12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Active KR1027534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9175A KR102753480B1 (en) 2024-04-12 2024-04-12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49175A KR102753480B1 (en) 2024-04-12 2024-04-12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53480B1 true KR102753480B1 (en) 2025-01-14

Family

ID=94240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9175A Active KR102753480B1 (en) 2024-04-12 2024-04-12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3480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339A (en) * 1995-05-12 1997-12-09 Abere; Dennis J. Method and apparatus for reattaching a detached crown of an installed dental bridge
KR20010044362A (en) * 2001-02-13 2001-06-05 김승기 Post retented inlay bridge and a surgical operation method
KR100398423B1 (en) 2000-05-22 2003-09-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A video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10051465A (en) * 2009-11-10 2011-05-18 노병길 Dental crown
KR101048344B1 (en) 2009-12-28 2011-07-14 오영만 Dental prosthesis
JP2012036136A (en) * 2010-08-09 2012-02-23 Takeshi Kameda Dental prosthesis with metal clay to be whitened by baking
KR20120111047A (en) * 2011-03-31 2012-10-10 박기훈 Mounting structure of dental crown
KR101345499B1 (en) 2012-03-13 2013-12-27 박형욱 dental prosthesis
KR20140003932U (en) * 2012-12-18 2014-06-26 주식회사 피란트 Molar teeth for easy-tem Crown
KR102087539B1 (en) 2019-03-04 2020-03-10 성요길 Dental prosthesis
KR102396859B1 (en) * 2020-06-01 2022-05-11 주식회사 디오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5339A (en) * 1995-05-12 1997-12-09 Abere; Dennis J. Method and apparatus for reattaching a detached crown of an installed dental bridge
KR100398423B1 (en) 2000-05-22 2003-09-19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A video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010044362A (en) * 2001-02-13 2001-06-05 김승기 Post retented inlay bridge and a surgical operation method
KR20110051465A (en) * 2009-11-10 2011-05-18 노병길 Dental crown
KR101048344B1 (en) 2009-12-28 2011-07-14 오영만 Dental prosthesis
JP2012036136A (en) * 2010-08-09 2012-02-23 Takeshi Kameda Dental prosthesis with metal clay to be whitened by baking
KR20120111047A (en) * 2011-03-31 2012-10-10 박기훈 Mounting structure of dental crown
KR101345499B1 (en) 2012-03-13 2013-12-27 박형욱 dental prosthesis
KR20140003932U (en) * 2012-12-18 2014-06-26 주식회사 피란트 Molar teeth for easy-tem Crown
KR102087539B1 (en) 2019-03-04 2020-03-10 성요길 Dental prosthesis
KR102396859B1 (en) * 2020-06-01 2022-05-11 주식회사 디오 system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812B2 (en) Temporary dental prosthesis
US5569037A (en) Implant fixture
Wagnild et al. Restoration of the endodontically treated tooth
KR20210109542A (en) Indirect bonding device for orthodontics
JPH03505680A (en) Dental products and methods using translucent materials
WO2001034056A1 (en) One-part dental implant
AU2002236309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KR101793092B1 (en) Implant assembly to enhance alveolar bone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US20170020635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Keogh et al. Creating tight, anatomically correct interproximal contacts
KR100963432B1 (en) Hole cap for implant super structure
KR102753480B1 (en) Prosthesis for dental treatment
US20050255428A1 (en) Dental insert and method of tooth restoration
KR101210234B1 (en) Temporary teeth bridge and method for combination of temporary teeth bridge
Grande et al. Adapting fiber-reinforced composite root canal posts for use in noncircular-shaped canals
CN213941022U (en) Fixing false tooth for quick repair
KR102152397B1 (en) Fixture for the regeneration of maxillary sinus
KR101124004B1 (en) Prosthesis structure for bridge implant
KR200398423Y1 (en) Dental prosthesis
US20230053661A1 (en) Dental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of building a restoration
US12336883B2 (en) Protective shield for dental implant
JP2011045425A (en) Elastically deformable buckling type artificial dental root and method of mounting and fixing the same
KR200493322Y1 (en) Dental implant
EP4018964A1 (en) One-piece tissue level ceramic dental implant with a dual internal and external connection for a custom-made dental rest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4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