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2347B1 - 사무용 의자 - Google Patents

사무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2347B1
KR102752347B1 KR1020230023214A KR20230023214A KR102752347B1 KR 102752347 B1 KR102752347 B1 KR 102752347B1 KR 1020230023214 A KR1020230023214 A KR 1020230023214A KR 20230023214 A KR20230023214 A KR 20230023214A KR 102752347 B1 KR102752347 B1 KR 10275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upport
coupling part
tilting
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29954A (ko
Inventor
조윤하
Original Assignee
(주)크레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디 filed Critical (주)크레디
Priority to KR102023002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2347B1/ko
Publication of KR2024012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23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사무용 의자는, 제1헤드본체 및 상기 제1헤드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높이조절부,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헤드설치프레임 및 상기 헤드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헤드설치결합구가 형성된 제2헤드본체 및 상기 제2헤드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제1헤드틸팅결합부 및 상기 헤드높이조절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헤드틸팅결합부가 형성된 제3헤드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무용 의자{Office Chair}
본 발명은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스프링을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지지하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소정의 형상으로 고정되고, 사용자의 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도록 제작되었다. 즉, 일반적인 의자는 사용자의 몸에 어떠한 자극을 주지 않으며 자세를 바꾸는 행위가 힘들게 제작되었다.
그에 따라, 장시간 의자에 착석시에 근육이 위축되며 신진대사 능력이 저해되는 등 사용자의 건강에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앉는 자세를 교정하여 바른 자세로 의자를 사용하거나 매시간마다 의자에서 일어나 스트레칭을 할 것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번거로운 조정이 필요없이 사용자에 움직임의 맞추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지지해주고 반응할 수 있는 사무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머리부분을 개별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지지하여 목부분의 압박감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통증을 방지할 수 있는 사무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무용 의자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상부 어셈블리 및 상기 상부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어셈블리는, 제1헤드본체 및 상기 제1헤드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높이조절부,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헤드설치프레임 및 상기 헤드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헤드설치결합구가 형성된 제2헤드본체 및 상기 제2헤드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제1헤드틸팅결합부 및 상기 헤드높이조절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헤드틸팅결합부가 형성된 제3헤드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헤드본체는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와 대응되는 제1헤드탄성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높이조절부는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와 대응되는 제2헤드탄성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3헤드본체는 상기 헤드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와 상기 제1헤드탄성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헤드설치결합구를 통해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와 상기 제2헤드탄성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헤드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3헤드본체는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와 상기 제1헤드탄성결합부는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와 상기 제2헤드탄성결합부보다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헤드본체는 4개의 제1헤드틸팅결합부 및 2개의 제2헤드틸팅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 개가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한 쌍이 좌우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헤드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심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헤드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제3헤드틸팅결합부 및 제4헤드틸팅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3헤드본체는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하는 럼버서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럼버서포트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제1지지본체, 상기 제1지지본체에 결합되는 제2지지본체 및 상기 제2지지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높이조절부,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설치프레임 및 상기 지지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지지설치결합구가 형성된 제3지지본체 및 상기 제3지지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제1지지틸팅결합부 및 상기 지지높이조절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지지틸팅결합부가 형성된 제4지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4지지본체는 탄성변형가능한 판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사무용 의자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입체적으로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자세를 더 자주 바꾸며 자연스러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사무용 의자는 번거로운 조정없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입체적으로 조정되도록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개별 사용자에 따라 그 특성을 고려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무용 의자는 머리부분을 개별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맞추어 지지함에 따라 일자목, 거북목, 목디스크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의 헤드 어셈블리의 상하방향 동작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의 헤드 어셈블리의 전후방향 동작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의 헤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의 럼버서포트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의 헤드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하방향은 Z축방향, 전후방향은 X축방향, 좌우방향 또는 양측방향은 Y축방향으로 정의된다. 특히, 전방방향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각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축방향으로 정의된 것으로 수직하거나 일 방향으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1)의 사시도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전면을 상부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무용 의자(1)는 헤드 어셈블리(10), 상부 어셈블리(20), 하부 어셈블리(30), 보조 어셈블리(40) 및 지지 어셈블리(5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사용자의 머리가 움직임에 따라 입체적으로 위치가 조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어셈블리(10)에 관하여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 어셈블리(20)는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어셈블리(20)는 개별 사용자의 요추 형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이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무용 의자(1)는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에 설치된 럼버서포트(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30)는 사용자의 엉덩이부분을 포함한 상부를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3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사용자의 팔부분을 지지하도록 위치한다. 상기 보조 어셈블리(4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의 양 측에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5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30) 및 그에 연결된 각 어셈블리들을 바닥면에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어셈블리(50)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상하로 길이가 조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1)의 헤드 어셈블리(10)의 상하방향 동작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헤드 어셈블리(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범위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범위로 이동가능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편안한 위치로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를 이동하여 머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1)의 헤드 어셈블리(10)의 전후방향 동작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상기 헤드 어셈블리(1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범위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범위로 이동가능하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편안한 위치로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를 이동하여 머리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상하방향 이동과 달리 도 3에 도시된 전후방향 이동은 탄성이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는 경우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전후방향 이동은 전체적으로 이동되는 것이 아닌 소정의 각도로 틸팅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상기 헤드 어셈블리(10)의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1)의 헤드 어셈블리(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제1헤드부재(12), 제2헤드부재(14) 및 제3헤드부재(16)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시트부재(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시트부재(18)는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충전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부재(12)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는 외관을 형성하는 프레임(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헤드부재(12)는 상기 프레임(2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드부재(12)는 헤드고정결합부(120), 제1헤드본체(122) 및 헤드높이조절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고정결합부(120)는 상기 프레임(22)에 결합부재 등을 통해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상 구분된 것으로 각 구성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헤드본체(122)는 상기 헤드고정결합부(120)에서 상부로 연장된 헤드후방커버(1220), 상기 헤드후방커버(1222)의 전면에 결합되는 헤드전방커버(1222) 및 상기 헤드후방커버(1220) 및 상기 헤드전방커버(1222)의 하부에 결합되는 헤드하부커버(1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전방커버(1222)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헤드높이조절구(12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는 상기 헤드전방커버(122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헤드본체(122)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는 상기 헤드후방커버(1222) 및 상기 헤드전방커버(1222)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는 상기 복수의 헤드높이조절구(1226)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헤드고정결합부(120) 및 상기 제1헤드본체(122)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는 상기 제1헤드본체(12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의 상하방향 이동을 도 2에 도시된 상기 헤드 어셈블리(10)의 상하방향 이동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2헤드부재(14)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제2헤드본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본체(140)는 전후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본체(140)의 전면에는 상기 헤드시트부재(18)가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헤드본체(140)의 전면은 상기 헤드시트부재(1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헤드시트부재결합부(14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드본체(140)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헤드설치프레임(14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은 전방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는 후술할 제3헤드본체(160)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드본체(140)는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의 내측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헤드설치결합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설치결합구(144)는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설치결합구(144)는 상기 제2헤드본체(14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헤드부재(16)는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의 내측에 수용되어 배치되는 제3헤드본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은 상기 제3헤드본체(160)와 대응되는 크기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3헤드본체(160)는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에 의해 전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은 결합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아닌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의 내측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3헤드본체(160)는 상기 제2헤드본체(140)와의 결합을 위한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 및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와의 결합을 위한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헤드부재(16)는 상기 제2헤드부재(14) 및 상기 제1헤드부재(12)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드본체(140)는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와 대응되는 제1헤드탄성결합부(1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탄성결합부(1400)는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의 내측 및 상기 헤드설치결합구(14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헤드본체(160)가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에 수용되며,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와 상기 제1헤드탄성결합부(140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는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와 대응되는 제2헤드탄성결합부(1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탄성결합부(1240)는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헤드본체(160)가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에 수용되며, 상기 헤드설치결합구(144)를 통해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와 상기 제2헤드탄성결합부(124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와 상기 제1헤드탄성결합부(1400)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와 상기 제2헤드탄성결합부(1240)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와 상기 제1헤드탄성결합부(1400)는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와 상기 제2헤드탄성결합부(1240)보다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헤드본체(160)는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보다 상기 제2헤드본체(140)에 더 많은 결합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3헤드본체(160)는 상하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3헤드본체(160)는 4개의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 및 2개의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는 상기 제3헤드본체(160)의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 개가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이격배치된다.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는 상기 제3헤드본체(160)의 하부에 위치하며, 한 쌍이 좌우로 이격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3헤드본체(16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헤드본체(160)는 상부가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에 의해 상기 제2헤드본체(140)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에 의해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나 다른 방향으로는 고정된다.
그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헤드본체(160)의 하부는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상측으로 구부러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머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함에 따라 상기 제3헤드본체(160)가 변형되며 이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1)의 럼버서포트(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럼버서포트(60)는 제1지지부재(62), 제2지지부재(64), 제3지지부재(66) 및 제4지지부재(6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럼버서포트(60)는 지지시트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시트부재(600)는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충전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62)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1지지부재(62)는 곡면을 형성하는 제1지지본체(620) 및 상기 제1지지본체(620)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지지본체결합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본체결합부(622)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20)의 프레임(2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64)는 제2지지본체(642) 및 지지높이조절부(6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본체(642)는 후면이 상기 제1지지부재(6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높이조절부(644)는 상기 제2지지본체(642)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부재(66)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된 제3지지본체(6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본체(660)는 전후방향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지지본체(660)의 전면에는 상기 지지시트부재(600)가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지지본체(660)의 전면은 상기 지지시트부재(6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지지시트부재결합부(66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지지본체(660)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지지설치프레임(66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설치프레임(662)은 전방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이는 후술할 제4지지본체(680)의 외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지지본체(660)는 상기 지지설치프레임(662)의 내측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지지설치결합구(6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설치결합구(664)는 상기 지지높이조절부(644)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설치결합구(644)는 상기 제3지지본체(66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부재(68)는 상기 지지설치프레임(662)의 내측에 수용되어 배치되는 제4지지본체(68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설지지치프레임(662)은 상기 제4지지본체(680)와 대응되는 크기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그에 따라, 상기 제4지지본체(680)는 상기 지지설치프레임(662)의 내측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된다.
상기 제4지지본체(680)는 상기 제3지지본체(660)와의 결합을 위한 제1지지틸팅결합부(6800) 및 상기 지지높이조절부(644)와의 결합을 위한 제2지지틸팅결합부(680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지지부재(68)는 상기 제3지지부재(66) 및 상기 제2지지부재(64)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지지본체(660)는 상기 제1지지틸팅결합부(6800)와 대응되는 제1지지탄성결합부(6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탄성결합부(6600)는 상기 지지설치프레임(662)의 내측 및 상기 지지설치결합구(664)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높이조절부(644)는 상기 제2지지틸팅결합부(6802)와 대응되는 제2지지탄성결합부(6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탄성결합부(6440)는 상기 지지높이조절부(644)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지지본체(660)가 상기 지지설치프레임(662)에 수용되며, 상기 지지설치결합구(664)를 통해 상기 제2지지틸팅결합부(6802)와 상기 제2지지탄성결합부(644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틸팅결합부(6800)와 상기 제1지지탄성결합부(6600)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틸팅결합부(6802)와 상기 제2지지탄성결합부(6440)는 각각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틸팅결합부(6800)와 상기 제1지지탄성결합부(6600)는 상기 제2지지틸팅결합부(6802)와 상기 제2지지탄성결합부(6440)보다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지지본체(680)는 상기 지지높이조절부(644)보다 상기 제3지지본체(660)에 더 많은 결합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를 참조하면, 상기 제4지지본체(680)는 상하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4지지본체(680)는 4개의 제1지지틸팅결합부(6800) 및 2개의 제2지지틸팅결합부(680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틸팅결합부(6800)는 상기 제4지지본체(680)의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 개가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이격배치된다. 상기 제2지지틸팅결합부(6802)는 상기 제4지지본체(680)의 하부에 위치하며, 한 쌍이 좌우로 이격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4지지본체(86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4지지본체(680)는 상부가 상기 제1지지틸팅결합부(6800)에 의해 상기 제3지지본체(660)에 고정되고, 하부가 상기 제2지지틸팅결합부(6802)에 의해 상기 지지높이조절부(644)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높이조절부(644)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나 다른 방향으로는 고정된다.
상기 제4지지본체(680)의 하부는 고정되고 외력에 의해 상측으로 구부러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허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함에 따라 상기 제4지지본체(680)가 변형되며 요추부분을 효과적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 및 목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특히,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판스프링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틸팅되어 탄성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럼버서포트(60)는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허라부분 및 요추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특히, 상기 럼버서포트(60)는 판스프링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틸팅되어 탄성이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한 사무용 의자(1)의 헤드 어셈블리(10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과 대응되는 도면으로, 전후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방향으로 틸팅이동가능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과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설명을 인용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어셈블리(10a)는 제1헤드부재(12), 제2헤드부재(14a) 및 제3헤드부재(16a)를 포함한다. 상기 제1헤드부재(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헤드고정결합부(120), 제1헤드본체(122) 및 헤드높이조절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헤드부재(14a)는 헤드설치프레임(142a), 헤드설치결합구(144) 및 헤드시트부재결합부(1406)가 형성된 제2헤드본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헤드부재(16a)는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a)의 내측에 수용되어 배치되는 제3헤드본체(160a)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설치프레임(142a)은 상기 제3헤드본체(160a)와 대응되는 크기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3헤드본체(160a)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헤드본체(16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스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헤드본체(160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심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헤드본체(160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부에서 좌우로 연장된 'ㅜ'자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에서 좌우로 연장된 'ㅗ'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헤드본체(160a)는 상기 제2헤드본체(140)와의 결합을 위한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 및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와의 결합을 위한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제3헤드본체(160a)는 상기 제2헤드본체(140)와의 결합을 위한 제3헤드틸팅결합부(1604) 및 제4헤드틸팅결합부(16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1600)는 상기 제3헤드본체(160a)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는 상기 제3헤드본체(160a)의 하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3헤드틸팅결합부(1604)는 상기 제3헤드본체(160a)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헤드틸팅결합부(1606)는 상기 제3헤드본체(160a)의 우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헤드본체(140)는 상기 제1, 3, 4헤드틸팅결합부(1600, 1604, 106)와 각각 대응되는 제1, 3, 4헤드탄성결합부(1400, 1402, 14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높이조절부(124)는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1602)와 대응되는 제2헤드탄성결합부(1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헤드본체(160a)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판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3헤드본체(160a)의 외력에 의해 상측으로 구부러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머리를 뒤로 젖히는 동작을 함에 따라 상기 제3헤드본체(160a)가 변형되며 이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헤드본체(160a)의 외력에 의해 좌우로 구부러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머리를 양측으로 이동하거나 돌리는 동작을 함에 따라 상기 제3헤드본체(160a)가 변형되며 이를 탄성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 어셈블리(1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머리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사무용 의자 10 : 헤드 어셈블리
122: 제1헤드본체 124: 헤드높이조절부
140: 제2헤드본체 142: 헤드설치프레임
144: 헤드설치결합구 160: 제3헤드본체
1240: 제2헤드탄성결합부 1400: 제1헤드탄성결합부
1600: 제1헤드틸팅결합부 1602: 제2헤드틸팅결합부

Claims (6)

  1. 사용자의 등부분을 지지하는 상부 어셈블리 및 상기 상부 어셈블리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는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 어셈블리는,
    제1헤드본체 및 상기 제1헤드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높이조절부;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헤드설치프레임 및 상기 헤드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헤드설치결합구가 형성된 제2헤드본체; 및
    상기 제2헤드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제1헤드틸팅결합부 및 상기 헤드높이조절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헤드틸팅결합부가 형성된 제3헤드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헤드본체는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와 대응되는 제1헤드탄성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높이조절부는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와 대응되는 제2헤드탄성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3헤드본체는 상기 헤드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배치되어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와 상기 제1헤드탄성결합부가 결합되고, 상기 헤드설치결합구를 통해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와 상기 제2헤드탄성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헤드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판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3헤드본체는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와 상기 제1헤드탄성결합부는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와 상기 제2헤드탄성결합부보다 더 많은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헤드본체는 4개의 제1헤드틸팅결합부 및 2개의 제2헤드틸팅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복수 개가 서로 상하 및 좌우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제2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한 쌍이 좌우로 이격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헤드본체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심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헤드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제3헤드틸팅결합부 및 제4헤드틸팅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4헤드틸팅결합부는 상기 제3헤드본체의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3헤드본체는 좌우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지지하는 럼버서포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럼버서포트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에 결합되는 제1지지본체;
    상기 제1지지본체에 결합되는 제2지지본체 및 상기 제2지지본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높이조절부;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지지설치프레임 및 상기 지지설치프레임의 내측에 소정의 크기로 개구된 지지설치결합구가 형성된 제3지지본체; 및
    상기 제3지지본체와의 결합을 위한 제1지지틸팅결합부 및 상기 지지높이조절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지지틸팅결합부가 형성된 제4지지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4지지본체는 탄성변형가능한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
KR1020230023214A 2023-02-21 2023-02-21 사무용 의자 Active KR102752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214A KR102752347B1 (ko) 2023-02-21 2023-02-21 사무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214A KR102752347B1 (ko) 2023-02-21 2023-02-21 사무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9954A KR20240129954A (ko) 2024-08-28
KR102752347B1 true KR102752347B1 (ko) 2025-01-10

Family

ID=92591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214A Active KR102752347B1 (ko) 2023-02-21 2023-02-21 사무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234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5121A1 (en) 1992-06-15 1993-12-23 Herman Miller, Inc. Office chair
KR200401273Y1 (ko) 2005-08-19 2005-11-15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머리받침대
WO2008041868A2 (en) 2006-10-04 2008-04-10 Formway Furniture Limited A chair
US20150208809A1 (en) 2014-01-28 2015-07-30 James E. Grove Progressively curved lumbar support for the back of a chair
WO2016127066A1 (en) 2015-02-06 2016-08-11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with headrest assembly
US20160227931A1 (en) 2015-02-09 2016-08-11 Harmony Lifestyle, LLC Reclinable chair having a locking gas spring reclining back rest
US20170290432A1 (en) 2014-10-28 2017-10-12 iii solutions GmbH Rebmattli 9a CH-6340 Baar Office, work and leisure chair and retrofit kit for a chair or a seat surface for causing subliminal movements of the person sitting thereon
KR102002053B1 (ko) 2019-04-22 2019-10-01 (주)광일체어 소음방지구조와 위치고정구조 및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US20210212468A1 (en) 2018-12-21 2021-07-15 Ferenc BENESCH Chair support device primarily for office 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758A (en) * 1997-04-30 1999-08-10 Haworth, Inc. Membrane chai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25121A1 (en) 1992-06-15 1993-12-23 Herman Miller, Inc. Office chair
KR200401273Y1 (ko) 2005-08-19 2005-11-15 주식회사 다원산업 의자용 머리받침대
WO2008041868A2 (en) 2006-10-04 2008-04-10 Formway Furniture Limited A chair
US20150208809A1 (en) 2014-01-28 2015-07-30 James E. Grove Progressively curved lumbar support for the back of a chair
US20170290432A1 (en) 2014-10-28 2017-10-12 iii solutions GmbH Rebmattli 9a CH-6340 Baar Office, work and leisure chair and retrofit kit for a chair or a seat surface for causing subliminal movements of the person sitting thereon
WO2016127066A1 (en) 2015-02-06 2016-08-11 Steelcase Inc. Seating arrangement with headrest assembly
US20160227931A1 (en) 2015-02-09 2016-08-11 Harmony Lifestyle, LLC Reclinable chair having a locking gas spring reclining back rest
US20210212468A1 (en) 2018-12-21 2021-07-15 Ferenc BENESCH Chair support device primarily for office use
KR102002053B1 (ko) 2019-04-22 2019-10-01 (주)광일체어 소음방지구조와 위치고정구조 및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9954A (ko) 202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1306B1 (en) Seats
KR102433495B1 (ko) 자세 유지구
US20110031794A1 (en) Link mechanism for a chair and a chair
KR102130324B1 (ko) 의자용 어셈블리 및 그가 적용된 의자
JPH10151033A (ja) 椅 子
JP2013132402A (ja) 椅子
WO2007080667A1 (ja) 座席構造
KR102752347B1 (ko) 사무용 의자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KR102545154B1 (ko) 3d 모션 의자
KR200499125Y1 (ko) 요추 지지대가 결합된 의자 등받이판
JP3105880U (ja) 正座椅子
KR102585464B1 (ko) 3d 모션 의자
KR102561429B1 (ko) 3d 모션 의자
KR101052551B1 (ko) 의자
KR102491240B1 (ko) 틸트기능을 갖는 의자
JP6777281B2 (ja) 椅子
KR102560676B1 (ko) 3d 모션 의자
JP7436743B1 (ja) リラックスチェア
KR102497164B1 (ko) 등받이모듈을 포함하는 의자
KR102558131B1 (ko) 3d 모션 의자
JP2709333B2 (ja) 椅 子
JP3100353B2 (ja) 椅 子
JPH0529651Y2 (ko)
KR101506601B1 (ko) 의자용 플렉시블 등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