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2312B1 -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2312B1
KR102752312B1 KR1020210015732A KR20210015732A KR102752312B1 KR 102752312 B1 KR102752312 B1 KR 102752312B1 KR 1020210015732 A KR1020210015732 A KR 1020210015732A KR 20210015732 A KR20210015732 A KR 20210015732A KR 102752312 B1 KR102752312 B1 KR 102752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polarizing plate
layer
polarizer
polariz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7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2134A (en
Inventor
이상흠
유정훈
신광호
조은솔
황선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2312B1/en
Priority to PCT/KR2022/001680 priority patent/WO2022169260A1/en
Priority to CN202280013383.9A priority patent/CN116964495A/en
Publication of KR2022011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1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2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231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화상 표시 영역 내에 포함되는 제1 영역 및 제2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영역은 제1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은 편광도가 0% 초과 30% 이하이고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이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간의 단체 투과율의 차이는 10% 이하인 것인,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가 제공된다.A polarizing plate and an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which compris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included in an image display region, wherein the first region includes a first layer, the first region has a polarization degre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and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and a difference in group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less than or equal to 10%.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n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편광판은 화상을 표시하거나 화상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광학표시장치에 포함된다. 핸드폰 등의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카메라 등의 이미지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Polarizing plates are included in optical display devices to display images or improve image quality. Mobile displays such as cell phones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taking pictures or videos by having an image sensor such as a camera.

최근, 편광판에 홀(hole)을 형성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이미지 센서를 배치시키는 광학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편광판의 일 영역은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화상 표시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편광판의 일 영역과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지 않는 편광판의 일 영역 간에 균일한 화면 품질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Recently, an optical display device is being developed that places an image sensor at the bottom of a display panel without forming a hole in a polarizing plate. In this case, a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must be able to perform not only the function of taking pictures or images but also the function of displaying images. Accordingly, it must be possible to implement uniform screen quality between a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nd a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not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한편, 핸드폰 등의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일 방향으로만 촬영하는 것이 아니다. 즉,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직사각형 형태로 장축 방향(모바일 디스플레이의 장변 방향)과 단축 방향(모바일 디스플레이의 단변 방향)이 존재한다. 그런데, 사용자에 따라서는 장축 방향으로 촬영할 수도 있고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90° 돌려서 단축 방향으로 촬영할 수도 있으며 단축 방향 또는 장축 방향이 아닌 임의의 방향으로 촬영할 수도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편광판의 일 영역은 어느 정도의 편광 성능을 가지고 있어 촬영 방향에 따라 화면 영상의 색감 또는 선명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촬영 방향에 관계없이 화면 영상의 색감 또는 선명도가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Meanwhile, when taking pictures or videos using a mobile display such as a cell phone, the pictures are not taken in only one direction. That is, the mobile display is rectangular and has a long axis direction (the long side direction of the mobile display) and a short axis directio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mobile display). However, depending on the user, the picture may be taken in the long axis direction, the mobile display may be rotated 90° to take the picture in the short axis direction, or the picture may be taken in any direction other than the short axis direction or the long axis direction. At this time, since one area of the polarizing plat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has a certain degree of polarization performance, the color or clarity of the screen image may vary depending on the shooting direction. Therefore, the color or clarity of the screen image needs to be uniform regardless of the shooting direction.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14-081482호 등에 기술되어 있다.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4-081482, etc.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 방향에 관계없이 사진 또는 영상의 색감 또는 선명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making the color or clarity of a photograph or video substantially the same regardless of the shooting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광 선글래스로 보았을 때 보는 방향에 따라 화면의 색감 또는 선명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making the color or clarity of a screen substantially the same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when viewed through polarizing sunglass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는 제2 영역 간에 화면 품질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minimizing the difference in screen quality between a first area where an image sensor is placed and a second area where an image sensor is not plac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뢰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having excellent reliability.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편광판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1.편광판은 화상 표시 영역 내에 포함되는 제1 영역 및 제2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영역은 제1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은 편광도가 0% 초과 30% 이하이고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이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간의 단체 투과율의 차이는 10% 이하이다.1. A polarizing plate ha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included within an image display region, the first region includes a first layer, the first region has a polarization degre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and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and a difference in group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less than or equal to 10%.

2.1에서, 상기 제2영역은 편광도가 80% 이상일 수 있다.In 2.1, the second region may have a polarization degree of 80% or more.

3.1-2에서,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편광자 영역,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편광자 영역 및 상기 제1층을 포함하는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3.1-2, the polarizing plate may include a first polariz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a second polariz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and a polarizer including the first layer.

4.3에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1 편광자 영역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될 수 있다.In 4.3, the first layer can be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5.3에서, 상기 제1 편광자 영역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In 5.3, the first polarizer region may include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6.5에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1 편광자 영역 대비 단체 투과율이 낮을 수 있다.6.5, the first layer may have a lower group transmittance compared to the first polarizer region.

7.5에서, 상기 제1편광자 영역과 상기 제1층의 적층체는 편광도가 0% 초과 30% 이하이고,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일 수 있다.In 7.5, the first polarizing region and the laminate of the first layer may have a polarization degre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and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8.5에서, 상기 제1층의 두께는 상기 제1편광자 영역의 두께의 1% 내지 20%일 수 있다.In 8.5,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can be 1% to 20%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9.1-8에서, 상기 제1층은 유기층, 무기층 또는 유무기 혼합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9.1-8, the first layer may include an organic layer, an in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mixed layer.

10.1-9에서, 상기 제1층은 염료, 안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10.1-9, the first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ye and a pigment.

11.3에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In 11.3, a protect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한다.The optic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광학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편광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제1영역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above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a polarizing plat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an image sensor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image sensor can be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of th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촬영 방향에 관계없이 사진 또는 영상의 색감 또는 선명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making the color or clarity of a photograph or video substantially the same regardless of the shooting direction.

본 발명은 편광 선글래스로 보았을 때 보는 방향에 따라 화면의 색감 또는 선명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making the color or clarity of a screen substantially the same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when viewed through polarizing sunglasses.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는 제2 영역 간에 화면 품질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minimizing the difference in screen quality between a first region where an image sensor is placed and a second region where an image sensor is not placed.

본 발명은 신뢰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having excellent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광학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lan view of a polarizing plat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er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ptic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d embodiments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였다.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길이, 크기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도면에 기재된 각 구성 요소의 길이, 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names are used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length and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ar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length and siz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in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고, 보는 시각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upper” and “lower”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 and depending on the viewing angle, “upper” may change to “lower” and “lower” may change to “upper.”

본 명세서에서 "단체 투과율(total transmittance, Ts)", "편광도"는 각각 파장 200nm 내지 800nm, 바람직하게는 파장 550nm에서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otal transmittance (Ts)” and “polarization degree” each mean a value measured at a wavelength of 200 nm to 800 nm, preferably at a wavelength of 550 nm.

본 명세서에서 "제1영역의 단체 투과율" 관련하여, 제1영역은 동일 파장에서는 제1 영역 전체에서 단체 투과율이 동일하다. 그러나, 동일 파장에서라도 제1 영역 전체에서 단체 투과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제1영역의 단체 투과율은 평균 단체 투과율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is the same throughout the first region at the same wavelength. However, if the group transmittance is not the same throughout the first region even at the same wavelength,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means the average group transmittance.

본 명세서에서 "제2영역의 단체 투과율" 관련하여, 제2영역은 동일 파장에서는 제2 영역 전체에서 단체 투과율이 동일하다. 그러나, 동일 파장에서라도 제 2영역 전체에서 단체 투과율이 동일하지 않을 경우, 제2영역의 단체 투과율은 평균 단체 투과율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with respect to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is the same throughout the second region at the same wavelength. However, if the group transmittance is not the same throughout the second region even at the same wavelength,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second region means the average group transmittance.

본 명세서에서 "평균 단체 투과율"은 평균 단체 투과율을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에서의 단체 투과율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평균 단체 투과율은 평균 단체 투과율을 측정하고자 하는 영역 중 복수 개의 지점을 임의로 지정하고 해당 지점에서 얻은 단체 투과율의 평균값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verage group transmittance" means the average value of group transmittance in an area where the average group transmittance is to be measured. For example, the average group transmittance can be obtained by arbitrarily designating multiple points in an area where the average group transmittance is to be measured and obtaining the average value of group transmittance obtained at those points.

본 명세서에서 수치 범위 기재 시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X≤ 그리고 ≤Y)"를 의미한다.When describing a numerical range in this specification, “X to Y” means “X or more and Y or less (X≤ and ≤Y).”

본 발명의 편광판은 화상 표시 영역 및 상기 화상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된 제1영역과 제2영역을 구비한다. 상기 편광판이 광학표시장치에 적용되었을 때 광학표시장치 중 이미지 센서(예:카메라)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1영역이라 하고, 제1영역 이외의 영역 즉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을 제2영역이라고 한다. 제1영역은 영상 또는 사진 촬영 기능 및 화상 표시 기능 둘다 수행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mage display area and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formed within the image display area. When the polarizing plate is applied to an optical display device, an area corresponding to an image sensor (e.g., a camera) i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referred to as a first area, and an area other than the first area, i.e., an area not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is referred to as a second area. The first area can perform both an image or photographing function and an image display function.

상기 "화상 표시 영역"은 광학표시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화면 중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편광판이 광학표시장치에 적용되었을 때, 화상 표시 영역은 편광판 중 9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00%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학표시장치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above "image display area" means an area on a screen implemented by an optical display device where an image is displayed. When a polarizing plate is applied to the optical display device, the image display area may be comprised of 90% to 100% of the polarizing plate, preferably 100%.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발명의 편광판은 상기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되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때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더라도 방향에 따른 화면 영상의 색감 또는 선명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제1영역과 제2 영역 간에 화면 품질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고온 고습에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optical display device to make the color or clarity of the screen image substantially the same according to the direction even when the shooting direction is changed when taking a picture or video by an image sensor. 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ifference in screen quality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high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평면도이다.Referring to Fig. 1,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1 is a plan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편광판은 제1영역(110)과 제2영역(120)을 구비한다. 제1영역(110)과 제2영역(120)은 광학표시장치 중 화상 표시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olarizing plate has a first region (110) and a second region (120). The first region (110) and the second region (120) may be included in an image display region of an optical display device.

제1영역(110)은 광학표시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 중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는 영역이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광판을 광학표시장치에 적용시켰을 때, 제1영역(11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영역(110)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화상 표시 기능을 수행하고,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사진 또는 영상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region (110) i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sensor among the image display regions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Although not shown in Fig. 1, when a polarizing plate is applied to the optical display device, an image sensor may be plac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region (110). The first region (110) may perform an image display function when the image sensor is not used, and may perform a photo or video shooting function when the image sensor is used to take a photo or video.

제2영역(120)은 광학표시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 중 이미지 센서에 대응되지 않는 영역이다. 따라서, 제2영역(120)은 제1 영역과는 다르게 화상 표시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120) is an area of the image display area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image sensor. Therefore, unlike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120) can only perform an image display function.

제1영역(110)은 편광도가 0% 초과 30% 이하, 구체적으로 0% 초과 20% 이하, 더 구체적으로 0% 초과 15% 이하이다. 상기 범위에서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화상 표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이미지 센서에 의해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더라도 촬영 방향에 따라 화면 영상의 색감 또는 선명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학표시장치를 편광 선글래스로 보았을 때 화상을 보는 방향에 따라 영상이 많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선글래스의 사용에도 상술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The first region (110) has a polarization degre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specifically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20%, and more specifically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15%. In the above range, when the image sensor is not used, the image display function is performed, and when taking a picture or video by the image sensor, the color or clarity of the screen image can be made substantially the same depending on the shooting direction even if the shooting direction is changed. In addition,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viewed with polarizing sunglas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chang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but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even when using polarizing sunglasses.

일반적으로, 편광도와 단체 투과율은 서로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제1영역의 편광도를 30% 이하로 현저하게 낮추는 경우, 제1영역의 단체 투과율이 90% 초과로 매우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단체 투과율 90% 초과는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단체 투과율 차이를 현저하게 높임으로써 제1영역과 제2 영역 간의 영상의 밝기 차이가 심하게 되어, 화상 표시 영역으로부터 나오는 화상의 품질이 떨어지게 될 수 있다.In general, polarization and group transmittance are in a trade-off relationship. Therefore, if the polarization of the first region is significantly lowered to 30% or l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becomes very high, exceeding 90%. A group transmittance exceeding 90% significantly increases the difference in group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which severely increases the difference in image brightne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may deteriorate the image quality from the image display area.

반면에, 제1영역(110)은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 구체적으로 40% 내지 50%이다. 이를 통해, 편광판은 화상 표시 기능에서는 제1영역과 제2 영역 간의 화상의 밝기 차이 및 촬영 방향을 변경시켰을 때 색감의 균일 정도와 화상 품질의 차이도 최소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region (110) has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specifically 40% to 50%. Through this, the polarizing plate can minimize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of the imag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n the image display function, and also the difference in the uniformity of color and the image quality when the shooting direction is changed.

제1 영역(110)과 제2 영역(120) 간의 단체 투과율의 차이는 10% 이하, 구체적으로 0% 내지 10%, 0% 내지 5%가 됨으로써, 제1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광 투과를 서로 균일하게 함으로써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화면 품질 차이를 낮출 수 있고, 촬영 방향을 변경시켰을 때 색감의 균일 정도와 화상 품질의 차이도 최소화할 수 있다.The difference in group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region (110) and the second region (120) is 10% or less, specifically 0% to 10%, or 0% to 5%, so that light transmittance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made uniform, thereby reducing the difference in screen quality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lso minimizing the difference in color uniformity and image quality when the shooting direction is changed.

제2영역(120)은 제1 영역(110) 대비 편광도가 높다. 일 구체예에서, 제2 영역은 편광도가 80% 이상 예를 들면 9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 방지에 의한 화상 표시 영역에서의 화상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120) has a higher polarization degree than the first region (110). In one specific example, the second region may have a polarization degree of 80% or more, for example, 90% to 100%. In the above range, the image quality in the image display area due to anti-reflection may be excellent.

제2 영역(12)은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 구체적으로 4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화상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12) can have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specifically 40% to 50%. In the above range, the image quality can be excellent.

편광판은 제1영역에 제1층을 포함함으로써 상술 제1영역의 편광도를 가지면서도 제1영역의 단체 투과율과 제1영역과 제2 영역 간의 단체 투과율 차이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도는 제2 영역 대비 현저하게 낮으면서 단체 투과율은 제2영역 대비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준을 갖는 제1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can satisfy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group transmittanc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hile having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first region by including the first layer in the first regio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first region whose polarization degre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econd region while having the group transmittance at substantially the same level as that of the second region. Through thi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편광판에서 제1영역은 편광자 내에 형성된 홀(hole)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1층은 편광자 내에 형성된 홀을 포함하지 않는 제1영역이 상기 단체 투과율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region in the polarizing plate may not include a hole formed in the polarizer. The first layer may allow the first region, which does not include a hole formed in the polarizer, to reach the above-described group transmittance.

편광판은 제1 편광자 영역 및 제2 편광자 영역을 갖는 편광자를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는 제1편광자 영역에 적층된 제1층을 추가로 갖는다. 제1층은 제2편광자 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A polarizing plate comprises a polarizer having a first polarizing region and a second polarizing region, wherein the polarizer further has a first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polarizing region. The first layer is not included in the second polarizing region.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 중 편광자의 단면도이다.Hereinafter,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er in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편광자(10)는 제1 편광자 영역(11), 제2 편광자 영역(12) 및 제1층(20)을 포함하고, 제1층(20)은 제1편광자 영역(11)의 일면에 적층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층(20)은 편광자(10)의 시인측 즉 관찰자 측에 적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olarizer (10) includes a first polarizer region (11), a second polarizer region (12), and a first layer (20), and the first layer (20)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Preferably, the first layer (20) can be laminat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polarizer (10), i.e., the observer side.

제1 편광자 영역(11)은 도 1의 제1영역(110)에 대응되고, 제2 편광자 영역(12)은 도 1의 제2 영역(120)에 대응될 수 있다.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may correspond to the first region (110) of Fig. 1, and the second polarizer region (12)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region (120) of Fig. 1.

제1 편광자 영역(11)과 제2 편광자 영역(12)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체로 형성"은 제1 편광자 영역이 물리적 펀칭 등에 의해 형성된 홀이 아니어서 제1 편광자 영역과 제2 편광자 영역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and the second polarizer region (12)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The above “formed integrally” means that the first polarizer region is not a hole formed by physical punching or the like, so that the first polarizer region and the second polarizer region are directly connected.

제2편광자 영역(12)은 제1 편광자 영역(11) 대비 편광도가 높다. 일 구체예에서, 제2 편광자 영역은 편광도가 80% 이상 예를 들면 9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반사 방지에 의한 화상 표시 영역에서의 화상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The second polarizer region (12) has a higher polarization degree than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In one specific example, the second polarizer region may have a polarization degree of 80% or more, for example, 90% to 100%. In the above range, the image quality in the image display region may be excellent due to anti-reflection.

제2 편광자 영역(12)은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 구체적으로 4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화상 품질이 우수할 수 있다.The second polarizer region (12) can have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specifically 40% to 50%. In the above range, the image quality can be excellent.

제1편광자 영역(11)은 편광도가 0% 초과 30% 이하, 구체적으로 0% 초과 15%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제1영역의 편광도에 쉽게 도달될 수 있어 상술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first polarizing region (11) can have a polarization degre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specifically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15%. In the above range,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first region can be easily reached, thereby obtaining the above-described effect.

제1편광자 영역(11)은 제1영역(110) 대비 단체 투과율이 높다. 그러나, 제1층(20)에 의해서 제1영역(110)의 단체 투과율은 제1 편광자 영역(11)의 단체 투과율 대비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편광자 영역(11)의 단체 투과율은 80% 이상 100% 이하가 될 수 있다.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has a higher group transmittance than the first region (110). However,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110) may be lowered than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due to the first layer (20). For example,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may be 80% or more and 100% or less.

제1층(20)은 제1 편광자 영역(11)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되어 있다. 제1층(20)은 제1편광자 영역(110)의 일면(상부면)에 적층될 수도 있고 또는 양면(상부면과 하부면)에 적층될 수도 있다.The first layer (20)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The first layer (20) may be laminated on one surfac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0) or may be laminated on both surfaces (upper surface and lower surface).

제1층(20)은 제1 편광자 영역(1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형성됨으로써 편광자의 박형화 및 수분에 의한 편광자의 신뢰성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제1 편광자 영역(11)은 광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데 외부의 수분이 제1 편광자 영역(11)으로 침투되는 경우 제1 편광자 영역 내에서 이색성 물질이 광 조사 전의 상태로 회복됨으로써 편광도가 상승될 수 있다. 제1층(20)은 외부의 수분이 제1편광자 영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편광자의 신뢰성을 개선함으로써 편광자의 신뢰성 개선층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The first layer (20) is formed by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thereby helping to thin the polarizer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olarizer due to moisture.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is formed by light irradiation, and when external moisture penetrates into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the dichroic material within the first polarizer region is restored to its state before the light irradiation, thereby increasing the degree of polarization. The first layer (20) can also function as a reliability improvement layer of the polarizer by blocking external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first polarizer region,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olarizer.

제1층(20)은 도 1의 제1영역(110)의 단체 투과율을 낮추는 광 투과율 조절층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제1층(20)은 제1 편광자 영역(11) 대비 낮은 단체 투과율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영역이 편광도 0% 초과 30% 이하 및 단체 투과율 2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를 갖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20) can also function as a light transmittance control layer that lowers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110) of Fig. 1. The first layer (20) has a lower group transmittance than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Therefore, the first region can have a polarization degre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and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preferably 40% to 50%.

제1편광자 영역(11)과 제1층(20)의 적층체는 편광도가0% 초과 30% 이하, 구체적으로 0% 초과 15%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화상 표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이미지 센서에 의해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할 때에는 촬영 방향을 변경시키더라도 촬영 방향에 따라 화면 영상의 색감 또는 선명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학표시장치를 편광 선글래스로 보았을 때 화상을 보는 방향에 따라 영상이 많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선글래스의 사용에도 상술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에 위상차 필름이 포함되는 경우 외광 반사 방지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The laminate of the first polarizing region (11) and the first layer (20) may have a polarization degre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specifically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15%. In the above range, when the image sensor is not used, the image display function is performed, and when taking a picture or video by the image sensor, the color or clarity of the screen image can be made substantially the same depending on the shooting direction even if the shooting direction is changed. In addition,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viewed with polarizing sunglas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chang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but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even when using polarizing sunglasses. In addi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hase difference film, an external light reflection prevention effect can also be provided.

제1편광자 영역(11)과 제1층(20)의 적층체는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 구체적으로 40%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편광판은 화상 표시 기능에서는 제1영역과 제2 영역 간의 화상의 밝기 차이도 최소화할 수 있고, 편광판에 위상차 필름이 포함되는 경우 외광 반사 방지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The laminate of the first polarizing region (11) and the first layer (20) can have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specifically 40% to 50%. Through this, the polarizing plate can minimize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of the imag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n the image display function, and if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phase difference film, it can als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external light reflection.

본 발명의 편광판은 제1편광자 영역(11) 및 제1 편광자 영역(11)에 직접적으로 적층된 제1층(20)의 적층체가 상술 편광도와 단체 투과율 범위를 각각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층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술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광 조사에 의해 제1 편광자 영역(11)을 형성하더라도 편광자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protective layer is not provid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by ensuring that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and the laminate of the first layer (20) directly laminated on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satisfy the above-described polarization degree and single layer transmittance ranges, and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olarizer even when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is formed by light irradiation.

제1층(20)은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 구체적으로 30% 내지 7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 영역의 단체 투과율에 도달할 수 있고, 편광자의 일면에 보호층 형성시 외광 반사 방지 효과가 있어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화면 품질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20) can have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specifically 30% to 70%. In the above range,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can be reached, and when a protective lay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 external light reflection prevention effect can be provided, thereby minimizing the difference in screen quality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제1층(20)은 두께가 0.1㎛ 내지 10㎛, 구체적으로 0.1㎛ 내지 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편광판의 박형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layer (20) may have a thickness of 0.1 ㎛ to 10 ㎛, specifically 0.1 ㎛ to 5 ㎛. In the above range, a thinning effect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provided without affecting the thickness of the polarizing plate.

제1층(20)의 두께는 제1편광자 영역(11)의 두께의 1% 내지 20%, 구체적으로 5%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단체 투과율 상승 효과 및 외광 반사 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20) can be 1% to 20%, specifically 5% to 20%,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11). I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increasing group transmittance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external light reflection can be provided.

제1층(20)은 상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성 재료 및 그 형성 방법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제1층(20)은 유기층, 무기층 또는 유무기 혼합층이 될 수 있다.The first layer (20) is not limited in its forming material or forming method as long as it can provide the above-described function. The first layer (20) can be an organic layer, an in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mixed layer.

일 구체예에서, 제1층(20)은 염료, 안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유기층일 수 있다. 상기 염료 또는 안료는 편광자의 색상, 화상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색상을 가지며, 최대 흡수 파장이 400nm 내지 700nm인 것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층(20)이 상술 단체 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제1 영역의 단체 투과율에 도달될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first layer (20) may be an organic layer formed of a composi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ye and a pigment. The dye or pigment may have a color that does not affect the color of the polarizer or the image quality, and may be used with a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of 400 nm to 700 nm. Through this, the first layer (20) may have the above-described group transmittance, thereby reaching the group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다른 구체예에서, 제1층(20)은 카본 블랙 등의 물질을 증착 또는 코팅하여 하여 형성된 무기층 또는 유기 블랙 염료 또는 유기 블랙 안료 등을 포함하는 물질을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된 유기층이 될 수 있다.In another specific example, the first layer (20) may be an inorganic layer formed by depositing or coating a material such as carbon black, or an organic layer formed by depositing or coating a material including an organic black dye or organic black pigment.

이하,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olarizer is described.

편광자는 요오드, 이색성 염료 중 1종 이상의 이색성 물질이 염착되고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제조하고,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일부분에 소정의 처리를 함으로써 제1 편광자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편광자 영역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제1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대해 상기 처리를 하지 않은 영역은 제2 편광자 영역이 된다.A polarizer can be manufactured by a method including the steps of manufactur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which at least one dichroic material,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is dyed and stretched, performing a predetermined treatment on a por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o form a first polarizer region, and forming a first layer on an upper surface and/or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A reg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hat is not subjected to the treatment becomes a second polarizer region.

먼저, 요오드, 이색성 염료 중 1종 이상의 이색성 물질이 염착되고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설명한다.First, a step for manufactur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dyed with at least one dichroic substance, such as iodine or a dichroic dye, and stretched is described.

염착 및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염착, 연신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서 염착, 연신의 순서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염착한 후 연신할 수도 있고, 연신한 후 염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염착과 연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The dyed and stretched polyvinyl alcohol film can be manufactured by a process of dyeing and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 film. The order of dyeing and stretching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er is not limited. That is, the polyvinyl alcohol film can be dyed and then stretched, or it can be dyed and then stretched, or the dyeing and stretching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종래 편광자 제조시 사용되는 통상의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로 형성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 또는 그 유도체의 중합도는 1000 내지 5000이 될 수 있고, 검화도는 80mol% 내지 100mol%가 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두께는 1㎛ 내지 30㎛, 구체적으로 3㎛ 내지 30㎛가 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박형의 편광자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a conventional polyvinyl alcohol-based film used in the conventional manufacture of polarizers. Specifically, a film formed of polyvinyl alcohol or a derivative thereof may be use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or a derivative thereof may be 1000 to 5000, and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may be 80 mol% to 100 mol%.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be 1 ㎛ to 30 ㎛, specifically 3 ㎛ to 30 ㎛, and within the above range, the film may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thin polarizer.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염착, 연신되기 전에, 수세, 팽윤 처리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수세 처리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팽윤 처리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염착 또는 연신이 더 잘되도록 할 수 있다. 팽윤 처리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팽윤조의 수용액에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방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팽윤조의 온도 및 팽윤 처리 시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팽윤조는 붕산, 무기산, 계면활성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고, 이들의 함량은 조절될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 film can be washed and swollen before being dyed or stretched. By wash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can be removed. By swell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the dyeing or stretching of the polyvinyl alcohol film can be improved. The swell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leav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in an aqueous solution of a swelling tank, a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temperature of the swelling tank and the swelling treatment tim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welling tank can further contain boric acid, an inorganic acid, a surfactant, etc., and the contents thereof can be adjusted.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요오드, 이색성 염료 중 1종 이상 함유 염착조에서 염착시킴으로써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염착시킬 수 있다. 염착 공정에서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염착 용액에 침지하게 되는데, 염착 용액은 요오드, 이색성 염료를 포함하는 수용액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오드는 요오드계 염료로부터 제공되며, 요오드계 염료는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수소,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나트륨, 요오드화아연,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알루미늄, 요오드화납, 요오드화구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염착 용액은 요오드, 이색성 염료 중 1종 이상을 1중량% 내지 5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소정 범위의 편광도를 가져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dyed by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 dyeing bath containing at least one of iodine and a dichroic dye. In the dyeing process,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s immersed in a dyeing solution, and the dyeing solution can b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iodine and a dichroic dye. Specifically, iodine is provided from an iodine-based dye, and the iodine-based dye can include at least one of potassium iodide, hydrogen iodide, lithium iodide, sodium iodide, zinc iodide, lithium iodide, aluminum iodide, lead iodide, and copper iodide. The dyeing solution can be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1 wt% to 5 wt% of iodine and at least one of a dichroic dye. In the above range, the film can have a predetermined range of polarization and can be used in a display device.

염착조의 온도는 20℃ 내지 45℃가 될 수 있고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염착조 침지 시간은 10초 내지 300초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도가 높은 편광자를 구현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dyeing tank can be 20°C to 45°C,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the dyeing tank can be 10 seconds to 300 seconds. In the above range, a polarizer with high polarization degree can be realized.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연신조에서 연신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요오드, 이색성 염료 중 1종 이상이 배향되어 편광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신은 건식 연신과 습식 연신법이 모두 가능하다. 건식 연신은 인터롤 연신, 압축 연신, 가열롤 연신 등이 가능할 수 있고, 습식 연신은 35℃ 내지 65℃의 물을 포함하는 습식 연신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습식 연신조는 붕산을 더 포함함으로써 연신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B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 stretching tank,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have polarization by orienting at least one of iodine and a dichroic dye. Specifically, stretching can be performed by both dry stretching and wet stretching. Dry stretching can be performed by interroll stretching, compression stretching, and heated roll stretching, and wet stretching can be performed in a wet stretching tank containing water at 35°C to 65°C. The wet stretching tank can further include boric acid to enhance the stretching effect.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소정의 연신비로 연신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총 연신비가 5 내지 7배, 구체적으로 5.5 내지 6.5배가 되도록 연신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연신되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절단 현상, 주름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고, 편광도와 투과율이 높인 편광자를 구현할 수 있다. 연신은 1축 연신으로서 1단 연신으로 연신할 수도 있지만 2단, 3단 연신 등의 다단 연신함으로써 박형의 편광자를 제조하면서도 파단을 막을 수도 있다.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stretched at a predetermined stretching ratio, and specifically, can be stretched so that the total stretching ratio becomes 5 to 7 times, specifically 5.5 to 6.5 times, and can prevent the phenomenon of cutting, wrinkles, etc.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stretched in the above range, and can implement a polarizer with high polarization degree and transmittance. Stretching can be performed as a single-stage stretching by uniaxial stretching, but by performing multi-stage stretching such as two-stage or three-stage stretching,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while manufacturing a thin polarizer.

상기에서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염착한 후 연신하는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염착과 연신은 동일 반응조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The above description describes the process of dyeing and then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 film, but dyeing and stretching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same reaction tank.

염착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연신하기 전에 또는 염착 후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가교조에서 가교 처리할 수도 있다. 가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에 요오드, 이색성 염료 중 1종 이상이 더 강하게 염착되도록 하는 공정으로서, 가교제로는 붕산을 사용할 수 있다. 가교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인산 화합물, 요오드화 칼륨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Before stretching the dyed polyvinyl alcohol film or after dyeing, the stretched polyvinyl alcohol film may be crosslinked in a crosslinking bath. Crosslinking is a process for dye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with iodine or at least one dichroic dye more strongly, and boric acid can be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To enhance the crosslinking effect, a phosphoric acid compound, potassium iodide, etc. may be further included.

염착 및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은 보색조에서 보색 처리될 수도 있다. 보색 처리는 상기 염착 및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보색액을 포함하는 보색조에서 침지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편광자의 색상값을 낮추고 편광자 내의 요오드 음이온 I-을 제거하여 내구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보색조의 온도는 20℃ 내지 45℃가 될 수 있고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의 보색조 침지 시간은 10초 내지 300초가 될 수 있다. The dyed and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may also be color-treated in a complementary color bath. The complementary color treatment is to immerse the dyed and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in a complementary color bath containing a complementary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odide. Through this, the color value of the polarizer can be lowered and the iodine anion I - inside the polarizer can be removed,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The temperature of the complementary color bath can be 20°C to 45°C, and the complementary color bath immersion tim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 10 seconds to 300 seconds.

다음으로, 상기 처리가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일부분에 가해짐으로써 제1 편광자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Next, the above treatment can be applied to a por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to form a first polarizing region.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일부에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pulsed light), 펨토초 레이저 중 1종 이상을 조사하여 조사된 영역은 제1 편광자 영역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술 방법으로 제1 편광자 영역을 형성하였다.A region irradiated with at least one of pulsed light from a Xenon Flash Lamp and a femtosecond laser to a portion of the abov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can become a first polarizer reg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olarizer region is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o form the first layer.

Xenon Flash Lamp는 파장 200nm 내지 800nm의 연속적인 파장에서 광을 펄스 형태로 조사함으로써 종래 펨토초나 피코초 레이저 대비할 때 조사전 대비 편광도가 낮은 영역 형성시 편광 해소 영역 중 요오드, 이색성 염료 중 1종 이상이 염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의 손상을 낮출 수 있다.A xenon flash lamp irradiates light in the form of pulses at a continuous wavelength of 200 nm to 800 nm, thereby reducing damage to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dyed with at least one iodine or dichroic dye in a depolarized region when forming a region with a lower degree of polarization than before irradiation, compared to a conventional femtosecond or picosecond laser.

Xenon Flash Lamp에 의해 펄스 형태의 광을 조사할 때, 상세 조사 조건은 에너지 파워가 300V 내지 500V, 펄스 주기가 0.5Hz 내지 2Hz, 조사 시간이 5ms(millisecond) 내지 15ms, 조사 회수는 1회 내지 10회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제1 편광자 영역을 얻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해당 광원을 조사 시 원하는 모양의 마스크를 염착 및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위에 밀착시킴으로써 편광 해소가 불필요한 부분은 해당 광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When irradiating pulsed light by a Xenon Flash Lamp, the detailed irradiation conditions may be an energy power of 300 V to 500 V, a pulse cycle of 0.5 Hz to 2 Hz, an irradiation time of 5 ms (milliseconds) to 15 ms, and an irradiation number of times of 1 to 10. In the above range, it can be helpful to obtain the first polarizer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rradiating the light source, by closely contacting a mask of a desired shape on a dyed and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a portion where polarization depolarization is unnecessary can be controlled to maintain the light transmittance.

펨토초 레이저는 빔 사이즈(Beam Size) 10㎛ 내지 30㎛, 펄스 주파수(Pulse Frequency) 200kHz 내지 400kHz, 펄스 당 에너지 밀도(Energy Density per Pulse) 0.1 내지 0.5J/cm2/Puls에서 조사될 수 있다. Femtosecond lasers can be irradiated at a beam size of 10 μm to 30 μm, a pulse frequency of 200 kHz to 400 kHz, and an energy density per pulse of 0.1 to 0.5 J/cm 2 /Puls.

일 구체예에서, 펨토초 레이저는 파장 340nm 내지 346nm 영역 및 파장 510nm 내지 520nm 영역에서 각각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의 펨토초 레이저를 포함한다.In one specific embodiment, the femtosecond laser includes at least two femtosecond lasers each selected from a wavelength range of 340 nm to 346 nm and a wavelength range of 510 nm to 520 nm.

파장 510nm 내지 520nm 영역의 빛은 편광자에 염착된 요오드, 이색성 염료를 바닥 상태에서 들뜬 상태로 전이시킴으로써 요오드, 이색성 염료를 분해시킴으로써 해당 빛이 조사된 영역에서의 편광 기능을 해소할 수 있다. 파장 340nm 내지 346nm 영역 및 파장 510nm 내지 520nm 영역에서 각각 선택되는 적어도 2종의 펨토초 레이저가 편광자에 조사되는 경우 상술한 편광 기능을 해소 및 광 투과율을 높임과 동시에, 편광자 또는 편광판의 고온 고습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Light in the wavelength range of 510 nm to 520 nm can decompose iodine and dichroic dyes attached to a polarizer by transitioning them from the ground state to the excited state, thereby eliminating the polarization function in the region irradiated with the light. When at least two femtosecond lasers selected respectively in the wavelength ranges of 340 nm to 346 nm and 510 nm to 520 nm are irradiated on a polarizer, the polarization function described above can be eliminated and the light transmittance can be increased, while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reliability of the polarizer or polarizing plate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파장 340nm 내지 346nm 영역에서는 파장 340nm, 341nm, 342nm, 343nm, 344nm, 345nm, 346nm, 바람직하게는 343nm의 펨토초 레이저가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파장 510nm 내지 520nm 영역에서는 파장 510nm, 511nm, 512nm, 513nm, 514nm, 515nm, 516nm, 517nm, 518nm, 519nm, 520nm, 바람직하게는 515nm의 펨토초 레이저가 선택될 수 있다. 최적으로는, 파장 343nm 및 파장 515nm 각각에서 펨토초 레이저가 조사될 수 있다.Specifically, in a wavelength range of 340 nm to 346 nm, a femtosecond laser having a wavelength of 340 nm, 341 nm, 342 nm, 343 nm, 344 nm, 345 nm, 346 nm, preferably 343 nm, can be selected. Specifically, in a wavelength range of 510 nm to 520 nm, a femtosecond laser having a wavelength of 510 nm, 511 nm, 512 nm, 513 nm, 514 nm, 515 nm, 516 nm, 517 nm, 518 nm, 519 nm, 520 nm, preferably 515 nm, can be selected. Optimally, a femtosecond laser can be irradiated at each of the wavelengths of 343 nm and 515 nm.

일 구체예에서, 제1 편광자 영역은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 조사 단독 또는 펨토초 레이저 조사 단독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In one specific embodiment, the first polarizer region can be formed by pulsed light irradiation alone by a Xenon Flash Lamp or by femtosecond laser irradiation alone.

다른 구체예에서, 제1 편광자 영역은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pulsed light) 조사와 펨토초 레이저 조사의 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편광자 영역은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을 조사하고 펨토초 레이저를 조사하거나, 펨토초 레이저를 조사하고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을 조사하거나, 또는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과 펨토초 레이저를 동시에 조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을 조사한 후 펨토초 레이저를 조사한다. 단, 펨토초 레이저는 본 발명의 제1 편광자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최소한의 조사 조건으로 조사되어야 한다.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first polarizer region can be formed by a combination of pulsed light irradiation by a Xenon Flash Lamp and femtosecond laser irradiation. For example, the first polarizer region can be formed by irradiating pulsed light by a Xenon Flash Lamp and irradiating femtosecond laser, irradiating femtosecond laser and irradiating pulsed light by a Xenon Flash Lamp, or irradiating pulsed light by a Xenon Flash Lamp and femtosecond laser simultaneously. Preferably, the femtosecond laser is irradiated after irradiating pulsed light by a Xenon Flash Lamp. However, the femtosecond laser should be irradiated under the minimum irradiation conditions that do not affect the first polarizer reg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편광자 제조 방법은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 조사 또는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 조사와 레이저 조사의 조합 이후에 상기 조사된 영역을 열 처리, 수세 처리 중 1종 이상의 처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처리는 제1 편광자 영역을 고온 및/또는 고온 고습에서 장기간 방치하였을 때 제1 편광자 영역의 편광도가 제1 편광자 영역을 형성하기 전의 상태로 원복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제1 편광자 영역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t least one of heat treatment and water washing treatment of the irradiated region after pulsed light irradiation by a Xenon Flash Lamp or a combination of pulsed light irradiation by a Xenon Flash Lamp and laser irradiation. The treatment may help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by preventing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from returning to the state before forming the first polarizer region when the first polarizer region is left at high temperature and/o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열 처리는 제1 편광자 영역이 형성된 편광자를 70℃ 내지 90℃에서 1분 내지 10분 동안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 편광자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제1 편광자 영역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The heat treatment may include treating the polarizer having the first polarizer region formed therein at 70° C. to 90° C. for 1 minute to 10 minutes. In this range, the reliability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can be increased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n regions other than the first polarizer region.

수세 처리는 제1 편광자 영역이 형성된 편광자를 30℃ 내지 60℃의 물에 1분 내지 10분 동안 접촉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하는 처리는 제1 편광자 영역이 형성된 편광자를 상기 물에 침지 처리하거나, 상기 물로 세척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는 등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The washing treatment may include a treatment in which the polarizer having the first polarizer region formed is contacted with water at 30° C. to 60° C. for 1 to 10 minutes. The contacting treatment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s a treatment in which the polarizer having the first polarizer region formed is immersed in the water or a treatment in which the polarizer is washed with the water.

다음으로, 상기 제1 편광자 영역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제1층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Next, a polarizer can be manufactured by forming a first layer on the upper surface and/or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제1 편광자 영역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염료, 안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 유기 블랙 염료, 카본 블랙 등을 포함하는 무기 블랙 염료를 증착 또는 코팅시킴으로써 제1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증착, 코팅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e first layer can be formed by depositing or coating a composi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ye and a pigment, an inorganic black dye including an organic black dye, carbon black, etc., on the upper surface and/or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The deposition and coating methods can be performed by conventional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편광자(10)는 두께가 3㎛ 내지 50㎛, 구체적으로 3㎛ 내지 3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The polarizer (10) may have a thickness of 3 ㎛ to 50 ㎛, specifically 3 ㎛ to 30 ㎛. In the above range, it may be used in a polarizing plate.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Referring to Fig. 3,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편광판(100)은 편광자(10), 편광자(10)의 상부면에 적층된 제1보호층(30) 및 편광자(10)의 하부면에 적층된 제2보호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은 제1영역(110) 및 제2영역(120)을 구비하고, 제1영역(110)은 제1층(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a polarizing plate (100) may include a polarizer (10), a first protective layer (30) lamin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olarizer (10),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40) lamin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polarizer (10). The polarizing plate has a first region (110) and a second region (120), and the first region (110) includes a first layer (20).

도 3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광자(10)의 상부면은 관찰자 측이고, 편광자(10)의 하부면은 광학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 측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편광자(10)의 상부면은 편광자의 광 출사면이고, 편광자(10)의 하부면은 편광자의 광 입사면이 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3, the upper surface of the polarizer (10) may be the observer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larizer (10) may be the display panel side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polarizer (10) may be the light-emitting surface of the polariz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larizer (10) may be the light-incident surface of the polarizer.

편광자(10), 제1층(20)은 각각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편광자(10) 및 제1층(20)과 제1보호층(30) 사이에는 접착층(50)이 형성됨으로써 제1보호층(30)을 편광자(10)에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50)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수계 접착제 또는 광경화성 접착제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층(50)은 두께가 제1층(20) 대비 크고, 두께는 0.1㎛ 내지 10㎛, 구체적으로 0.1㎛ 내지 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편광판에 사용될 수 있다.The polarizer (10) and the first layer (2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 adhesive layer (50) is formed between the polarizer (10) and the first layer (20) and the first protective layer (30), so that the first protective layer (30) can be adhered to the polarizer (10). The adhesive layer (50) can be formed using a typical water-based adhesive or photocurable adhesiv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adhesive layer (50)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layer (20), and can have a thickness of 0.1 ㎛ to 10 ㎛, specifically, 0.1 ㎛ to 5 ㎛. In the above range, it can be used in a polarizing plate.

제1보호층(30)은 편광자(10)의 상부면에 적층되어 편광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layer (30) can be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larizer (10) to perform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polarizer.

제1보호층(30)은 광경화성 코팅층 또는 보호 필름이 될 수 있다. 광경화성 코팅층은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형성된 경화층 또는 액정성 폴리머로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은 편광자의 보호 필름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호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스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오스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리형 폴리올레핀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술폰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릴레이트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중 하나 이상의 수지로 된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protective layer (30) may be a photocurable coating layer or a protective film. The photocurable coating layer may include a cured layer formed of a composition including a photocurable compound or a liquid crystal layer formed of a liquid crystal polymer. The protective film may be a protective film commonly used as a protective film for a polarizer. For example, the protective film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made of one or more resins from among cellulose-based films including triacetyl cellulose, polyester-based films inclu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naphthalate, cyclic polyolefin-based films, polycarbonate-based films, polyether sulfone-based films, polysulfone-based films, polyamide-based films, polyimide-based films, polyolefin-based films, polyarylate-based films, polyvinyl alcohol-based films, polyvinyl chloride-based films, and polyvinylidene chloride-based films.

제1보호층(30)은 두께가 1㎛ 내지 100㎛, 예를 들면 1㎛ 내지 50㎛가 될 수 있다.The first protective layer (30) may have a thickness of 1 µm to 100 µm, for example, 1 µm to 50 µm.

제2보호층(40)은 편광자의 하부면에 적층되어 편광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보호층(40)은 소정 범위의 위상차를 가짐으로써 편광판에 반사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protective layer (40) can be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olariz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protecting the polarizer. The second protective layer (40) can provide an anti-reflection function to the polarizing plate by having a phase difference of a predetermined range.

제2보호층은 위상차층 1매형일 수도 있고 위상차층이 복수개 적층된 적층체일 수도 있다.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be a single-layer phase-shift layer or a laminate in which multiple phase-shift layers are laminated.

일 구체예에서, 제2보호층은 제1 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위상차층은 외광이 편광자를 통과한 후 출사되는 선 편광을 원편광시킴으로써 외광에 대한 반사를 막아 화면 품질을 좋게 할 수 있다.In one specific example,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can prevent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by circularly polarizing linearly polarized light emitted after passing through a polarizer, thereby improving screen quality.

제1 위상차층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100nm 내지 220nm, 구체적으로 100nm 내지 180nm, 예를 들면 λ/4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외광에 대한 반사율을 낮추어 화면 품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may have an in-plane phase difference (Re) of 100 nm to 220 nm, specifically 100 nm to 180 nm, for example, a λ/4 phase difference, at a wavelength of 550 nm. In this range, the reflectivity for external light can be lowered,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improving screen quality.

다른 구체예에서, 제2보호층은 상기 제1위상차층 및 제2위상차층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제2위상차층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Re)가 225nm 내지 350nm, 구체적으로 225nm 내지 300nm, 예를 들면 λ/2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외광에 대한 반사율을 낮추어 화면 품질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may have an in-plane phase difference (Re) of 225 nm to 350 nm, specifically 225 nm to 300 nm, for example, a phase difference of λ/2, at a wavelength of 550 nm. In this range, the reflectivity for external light can be lowered, thereby obtaining an effect of improving screen quality.

본 명세서에서 '면내 위상차(Re)'는 Re = (nx - ny) x d(nx, ny는 각각 위상차층의 지상축(slow axis) 방향, 진상축(fast axis) 방향의 굴절률, d는 위상차층의 두께(단위: nm))으로 계산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in-plane phase difference (Re)' can be calculated as Re = (nx - ny) x d (where nx and ny are the refractive indices in the slow axis direction and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respectively,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unit: nm)).

제1위상차층, 제2위상차층은 각각 상기 제1보호층에서 설명된 광경화성 코팅층 또는 보호 필름이 될 수 있다.The first phase difference layer and the second phase difference layer can each be a photocurable coating layer or protective film described in the first protective layer.

제2보호층(40)은 두께가 1㎛ 내지 100㎛, 예를 들면 1㎛ 내지 50㎛가 될 수 있다.The second protective layer (40) may have a thickness of 1 µm to 100 µm, for example, 1 µm to 50 µm.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표시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tic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한다. 광학표시장치는 유기발광표시장치, 액정표시장치, 바람직하게는 유기발광표시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ptic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display device may include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eferably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etc.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4, the optic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를 참조하면, 광학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200),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상부에 배치된 편광판(100) 및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하부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optical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panel (200), a polarizing plate (10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panel (200), and an image sensor (300)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panel (200).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기재층 및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이미지 센서(300)의 삽입을 위하여 관통되어 있지 않다.The display panel (200) can have a substrate layer and a plurality of light-emitting elements formed thereon. The display panel (200) is not perforated for insertion of an image sensor (300).

편광판(100)은 제1영역(110) 및 제2영역(120)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한다. 제1영역(110) 및 제2영역(120) 모두 광학표시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을 이룬다. 편광판(100)은 이미지 센서(300)의 삽입을 위해 관통되어 있지 않다.The polarizing plate (100) includes a first region (110) and a second region (120), and includes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first region (110) and the second region (120) form an image display region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The polarizing plate (100) is not perforated for insertion of the image sensor (300).

제1영역(110)은 제2영역(120) 대비 발광 소자가 덜 밀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300)에 의한 영상 표시 기능도 구현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의한 화상 표시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The first region (110) has light-emitting elements formed less densely than the second region (120). Through this, the image display function by the image sensor (300) can be implemented while the image display function by the display panel (200)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이미지 센서(300)는 제1영역(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300)는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image sensor (30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region (110). The image sensor (300) may include a camera,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are presented as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The specific specifications of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as follows.

(1)편광자의 재료: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VF-PE3000, 일본 Kuraray社, 두께:30㎛)(1) Polarizer material: Polyvinyl alcohol film (VF-PE3000, Kuraray, Japan, thickness: 30㎛)

(2)보호 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KC4UYW, 일본 Konica社, 두께 40㎛)(2) Protective film: Triacetyl cellulose film (KC4UYW, Konica, Japan, thickness 40㎛)

실시예 1Example 1

물로 수세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30℃ 물의 팽윤조에서 팽윤 처리하였다.A polyvinyl alcohol film washed with water was subjected to swelling treatment in a swelling tank containing water at 30°C.

팽윤조를 통과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요오드화칼륨 3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함유하는 30℃의 염착조에서 30초 내지 200초 동안 처리하였다. 염착조를 통과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붕산 3중량%를 함유하는 30℃ 내지 60℃ 수용액인 습식 가교조를 통과시켰다. 가교조를 통과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붕산 3중량%를 함유하는 50℃ 내지 60℃ 수용액인 연신시키되, 총 연신비가 6배가 되도록 연신시켜 염착 및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passed through the swelling tank was treated in a dyeing tank at 30°C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3 wt% of potassium iodide for 30 to 200 seconds.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passed through the dyeing tank was passed through a wet crosslinking tank containing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3 wt% of boric acid at 30 to 60°C.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passed through the crosslinking tank was stretch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3 wt% of boric acid at 50 to 60°C, but the stretching was performed so that the total stretching ratio was 6 times, thereby producing a dyed and stretched polyvinyl alcohol-based film.

Xenon Flash Lamp 를 사용하여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필름 중 일 부분에만 파장 200nm 내지 800nm의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을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1회씩 조사하였다.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이 조사된 영역은 편광자 중 제1편광자 영역이 되고,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이 조사되지 않은 영역은 편광자 중 제2 편광자 영역이 된다. Using a Xenon Flash Lamp, pulse light of a wavelength of 200 nm to 800 nm by a Xenon Flash Lamp was irradiated once to only a por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film under the conditions of Table 1 below. The area irradiated with the pulse light by the Xenon Flash Lamp becomes the first polarizer area among polarizers, and the area not irradiated with the pulse light by the Xenon Flash Lamp becomes the second polarizer area among polarizers.

제1편광자 영역의 상부면에 카본 블랙과 같은 유기 블랙 염료 또는 유기 블랙 안료 등을 포함하는 물질을 증착 또는 코팅시켜 제1층을 형성함으로써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제1층은 제1편광자 영역에 접촉하여 형성되었다. A polarizer was manufactured by forming a first layer by depositing or coating a material including an organic black dye such as carbon black or an organic black pig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olarizer region. The first layer was formed in contact with the first polarizer region.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접착제(Z-200, Nippon Goshei社)를 사용하여 보호 필름을 각각 접착시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편광판 중 제1층이 형성된 부분은 제1영역이 되고, 편광판 중 제1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제2영역이 된다.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by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each side of the polarizer using an adhesive (Z-200, Nippon Goshei Co., Ltd.). The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where the first layer was formed became the first region, and the portion of the polarizing plate where the first layer was not formed became the second region.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 Examples 2 to 3

실시예 1에서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의 조사 조건을 하기 표 1의 조건과 같이 변경하거나 제1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제1영역과 제2영역이 형성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A polarizing plat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med therein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irradiation conditions of pulsed light by a xenon flash lamp in Example 1 were changed to the conditions in Table 1 below or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st layer was changed.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1에서 Xenon Flash Lamp에 의한 펄스 광을 조사하고 50℃의 미온수에 3분 동안 침지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pulsed light was irradiated by a Xenon Flash Lamp and the plate was immersed in lukewarm water at 50°C for 3 minute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에서, 제1편광자 영역에 제1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In Example 1, 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rst layer was not formed in the first polarizing region.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에 대하여 하기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the polarizing plat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1)제1영역, 제2영역의 편광도: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 중 제1영역, 제2영역 각각에 대하여 UV-Visible Spectrophotometer V730(JASCO社)을 사용하여 파장 200nm 내지 800nm에서 편광도를 측정하였다.(1) Polarization degre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he polarization degre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the polarizing plat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200 nm to 800 nm using a UV-Visible Spectrophotometer V730 (JASCO).

(2)제1영역, 제2영역, 제1편광자 영역, 제2편광자 영역의 단체 투과율(단위:%)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 중 제1영역, 제2영역 각각에 대하여 UV-Visible Spectrophotometer V730(JASCO社)을 사용하여 파장 200nm 내지 800nm에서 단체 투과율을 측정하였다.(2) Group transmittance (unit: %) of the first region, the second region, the first polarizer region, and the second polarizer region among the polarizing plat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for group transmittance at wavelengths of 200 nm to 800 nm for each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using a UV-Visible Spectrophotometer V730 (JASCO).

실시예, 비교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자를 제조하고, 편광자 중 제1편광자 영역, 제2편광자 영역에 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체 투과율을 측정하였다.A polarizer was manufactured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as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group transmittance was measured for the first polarizer region and the second polarizer region among the polarizer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3)카메라 촬영 방향에 따른 사진 또는 영상의 색감의 균일 정도: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시인측 편광판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하였다. 디스플레이의 장축 방향을 90°, 단축 방향을 0°로 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의 장축 방향을 90° 회전시키기 전과 90° 회전시킨 후 각각 선글라스 효과(sunglass effect)를 평가하였다. 선글라스 효과는 카메라의 각도에 따른 품질 차이를 의미한다. 90° 회전 전후에서 화상의 색상 차이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 색상의 왜곡이 발생되는 경우 X로 평가하였다.(3) Uniformity of color of a photo or video according to the camera shooting direction: The polarizing plat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as the viewing-side polarizing plates. When the long-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was 90° and the short-axis direction was 0°, the sunglasses effect was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long-axis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was rotated 90°. The sunglasses effect refers to the qualit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camera. If there was no color difference in the image before and after 90° rotation, it was evaluated as ○, and if color distortion occurred, it was evaluated as X.

(4)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는 제2 영역 간에 화면 품질의 차이: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시인측 편광판으로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하였다. 제1영역과 제2영역 각각에서 이미지의 밝기, 픽셀 해상도, 색상 등을 이미지를 현미경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영역별 차이가 적은 경우 ○, 다소 시인되는 경우 △, 확연히 차이가 들어나는 경우 X로 평가하였다.(4) Difference in screen quality between the first area where the image sensor is placed and the second area where the image sensor is not placed: The polarizing plat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as the viewing-side polarizing plates. The brightness, pixel resolution, color, etc. of the images in each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were compared by examining the images under a microscope. If the difference between areas was small, it was evaluated as ○, if it was somewhat visible, it was evaluated as △, and if the difference was clearly visible, it was evaluated as X.

(5)신뢰성: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60℃ 및 95% 상대 습도에서 500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제1영역에 대하여 광 투과율 측정 장치 UV-Visible Spectrophotometer V730(JASCO社)을 사용하여 방치하기 전과 방치한 후의 광 투과율을 측정하여 변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변화폭이 5% 이하인 경우 ○, 5% 초과 30% 이하인 경우 △, 30% 초과 60% 이하인 경우 △△, 60% 초과인 경우 X로 평가하였다.(5) Reliability: The polarizing plat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left at 60℃ and 95% relative humidity for 500 hours. Then,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first regio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leaving using a UV-Visible Spectrophotometer V730 (JASCO) to evaluate the degree of change. If the change range was 5% or less, it was evaluated as ○, if it was more than 5% but less than or equal to 30%, it was evaluated as △, if it was more than 30% but less than or equal to 60%, it was evaluated as △△, and if it was more than 60%, it was evaluated as X.

실시예Example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1 22 33 44 11 에너지 파워(V)Energy Power (V) 500500 300300 300300 500500 500500 조사 시간(ms)Survey time (ms) 1515 1515 55 1515 1515 제1층 포함 여부Including the first floor 포함include 포함include 포함include 포함include 미포함Not included 편광도Polarization 제1영역Area 1 5%5% 10%10% 15%15% 2%2% 5%5% 제2영역Area 2 99%99% 99%99% 99%99% 99%99% 99%99% 단체 투과율Group penetration rate 제1영역Area 1 43%43% 43%43% 43%43% 43%43% 99%99% 제2영역Area 2 43%43% 43%43% 43%43% 43%43% 43%43% 단체 투과율Group penetration rate 제1편광자 영역First polarizer region 90%90% 85%85% 80%80% 90%90% 90%90% 제2편광자 영역Second polarizer region 44%44% 44%44% 44%44% 44%44% 44%44% 촬영 방향에 따른 색감 균일 정도Color uniformity according to shooting direction XX 화면 품질의 차이Difference in screen quality XX 신뢰성reliability XX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편광판은 촬영 방향에 관계없이 사진 또는 영상의 색감 또는 선명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고 편광 선글래스로 보았을 때 보는 방향에 따라 화면의 색감 또는 선명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제1영역과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지 않는 제2 영역 간에 화면 품질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신뢰성이 우수하였다.As shown in Table 1 abov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the color or clarity of a photograph or video substantially the same regardless of the shooting direction, and can make the color or clarity of the screen substantially the same depending on the viewing direction when viewed with polarizing sunglasses, and minimize the difference in screen quality between the first area where the image sensor is placed and the second area where the image sensor is not placed, and has excellent reliability.

반면에, 제1층을 구비하지 않는 비교예의 편광판은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On the other hand, the polarizing plate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at did not have the first layer could not obtai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considered t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화상 표시 영역 내에 포함되는 제1 영역 및 제2영역을 구비하는 편광판으로서,
상기 제1영역은 편광도가 0% 초과 30% 이하이고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이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간의 단체 투과율의 차이는 10% 이하이고,
상기 편광판은 제1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층은 상기 제1영역에만 형성된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included within an image display area,
The above first region has a polarization degre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and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The difference in group transmittance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10% or less,
The above polarizing plate further comprises a first layer,
A polarizing plate, wherein the first layer is formed only in the first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편광도가 80% 이상인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1, wherein the second region has a polarization degree of 80%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제1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편광자 영역, 상기 제2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편광자 영역 및 상기 제1층을 포함하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the first aspect, wherein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 first polariz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a second polariz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region, and a polarizer including the first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1 편광자 영역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3, wherein the first layer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first polarizing reg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자 영역은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rst polarizing region includes a polyvinyl alcohol-based fil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상기 제1 편광자 영역 대비 단체 투과율이 낮은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5, wherein the first layer has a lower group transmittance compared to the first polarizing reg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자 영역과 상기 제1층의 적층체는 편광도가 0% 초과 30% 이하이고, 단체 투과율이 20% 내지 90%인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5, wherein the first polarizing region and the laminate of the first layer have a polarization degree of more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30% and a group transmittance of 20% to 9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두께는 상기 제1편광자 영역의 두께의 1% 내지 20%인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5,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ayer is 1% to 20%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polarizing reg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유기층, 무기층 또는 유무기 혼합층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1, wherein the first layer includes an organic layer, an inorganic layer, or an organic-inorganic mixed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은 염료, 안료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claim 1, wherein the first layer contains at least one of a dye and a pig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층이 더 형성된 것인, 편광판.
A polarizing plate in accordance with claim 3, wherein a protective layer is furth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n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편광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편광판의 상기 제1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인, 광학표시장치.

In claim 12, the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the polarizing plat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an image sensor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wherein the image sensor is dispos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of the polarizing plate.

KR1020210015732A 2021-02-03 2021-02-03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ctive KR1027523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732A KR102752312B1 (en) 2021-02-03 2021-02-03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CT/KR2022/001680 WO2022169260A1 (en) 2021-02-03 2022-02-03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CN202280013383.9A CN116964495A (en) 2021-02-03 2022-02-03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732A KR102752312B1 (en) 2021-02-03 2021-02-03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134A KR20220112134A (en) 2022-08-10
KR102752312B1 true KR102752312B1 (en) 2025-01-09

Family

ID=8274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732A Active KR102752312B1 (en) 2021-02-03 2021-02-03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752312B1 (en)
CN (1) CN116964495A (en)
WO (1) WO2022169260A1 (e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7550A (en)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having locally depolarizied area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102426386B1 (en) * 2014-04-18 2022-07-2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atterned polarizing film and its production process
JP6215261B2 (en) *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Long polarizer, long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737175B1 (en) * 2014-09-01 2017-05-18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polarizing plate
JP6422415B2 (en) * 2015-09-28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N110785685A (en) * 2017-06-23 2020-02-11 日东电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polarizing film, and in-vehicl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KR102807198B1 (en) * 2017-10-27 2025-05-13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film and polarizing film
KR20210115374A (en) * 2020-03-12 2021-09-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olarizing plate,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134A (en) 2022-08-10
WO2022169260A1 (en) 2022-08-11
CN116964495A (en)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69245B2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002369B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for polarizing element, polarizing element roll and single sheet type polarizing element having locally bleaching areas
CN105229500B (en) Local polarizer with the region that depolariz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950855B1 (en) Polyvinyl alcohol polarizer manufacturing method
TWI768636B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same
KR102752312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2014191050A (en) Laser processing method of polarizer
KR102659449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230072697A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752314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US20220413199A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00129509A (en) How to improve optical durability of polarizer
KR102576988B1 (en)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tus comprising the same
KR20210115374A (en) Polarizing plate,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2593640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10009229A (en) Method for preparing polarizing plate, polarizing plate prepared from the same and display appartus comprising polarizing plate prepared from the same
KR102591795B1 (en) Polarizer,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30023433A (en) Polarizing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0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