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1617B1 -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1617B1 KR102751617B1 KR1020210160873A KR20210160873A KR102751617B1 KR 102751617 B1 KR102751617 B1 KR 102751617B1 KR 1020210160873 A KR1020210160873 A KR 1020210160873A KR 20210160873 A KR20210160873 A KR 20210160873A KR 102751617 B1 KR102751617 B1 KR 1027516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sochlorogenic acid
- acid
- rosacea
- isochlorogenic
- sk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01000004700 rosacea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PZIRUHCJZBGLDY-UHFFFAOYSA-N Caffeoylqui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C(=O)C(C)C1C(=O)CC2C3CC(O)C4CC(O)CCC4(C)C3CCC12C)C(=O)O PZIRUHCJZBGLDY-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41001303601 Rosace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CWVRJTMFETXNAD-BMNNCGMMSA-N (1s,3r,4s,5r)-3-[(e)-3-(3,4-dihydroxyphenyl)prop-2-enoyl]oxy-1,4,5-trihydroxycyclohexane-1-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C@@](O)(C(O)=O)C[C@H]1OC(=O)\C=C\C1=CC=C(O)C(O)=C1 CWVRJTMFETXNAD-BMNNCGMM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KRZBCHWVBQOTNZ-DLDRDHNVSA-N isochloroge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C@H](C[C@@](O)(C[C@H]1OC(=O)C=Cc2ccc(O)c(O)c2)C(=O)O)OC(=O)C=Cc3ccc(O)c(O)c3 KRZBCHWVBQOTNZ-DLDRDHNV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UFCLZKMFXSILNL-RVXRWRFUSA-N 4,5-di-O-caffeoylqu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C@](O)(C[C@H]([C@@H]1OC(=O)\C=C\C=1C=C(O)C(O)=CC=1)O)C(O)=O)C(=O)\C=C\C1=CC=C(O)C(O)=C1 UFCLZKMFXSILNL-RVXRWRFU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8
- UFCLZKMFXSILNL-AALYGJCLSA-N 3,4-Dicaffeoyl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H]1[C@H](OC(=O)/C=C/c2cc(O)c(O)cc2)C[C@](O)(C(=O)O)C[C@@H]1O)/C=C/c1cc(O)c(O)cc1 UFCLZKMFXSILNL-AALYGJCLSA-N 0.000 claims description 70
- KRZBCHWVBQOTNZ-UHFFFAOYSA-N (-) 3,5-dicaffeoyl-muco-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1C(OC(=O)C=CC=2C=C(O)C(O)=CC=2)CC(O)(C(O)=O)CC1OC(=O)C=CC1=CC=C(O)C(O)=C1 KRZBCHWVBQOTN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8
- KRZBCHWVBQOTNZ-RDJMKVHDSA-M (-)-3,5-Dicaffeoyl 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CC(O)(C[C@H](C1O)OC(=O)\C=C\C=1C=C(O)C(O)=CC=1)C([O-])=O)C(=O)\C=C\C1=CC=C(O)C(O)=C1 KRZBCHWVBQOTNZ-RDJMKVHDSA-M 0.000 claims description 68
- KRZBCHWVBQOTNZ-PSEXTPKNSA-N 3,5-di-O-caffeoyl qu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C@](O)(C[C@H]([C@@H]1O)OC(=O)\C=C\C=1C=C(O)C(O)=CC=1)C(O)=O)C(=O)\C=C\C1=CC=C(O)C(O)=C1 KRZBCHWVBQOTNZ-PSEXTPKNSA-N 0.000 claims description 68
- CWVRJTMFETXNAD-JUHZACGLSA-N chlorogenic acid Chemical class O[C@@H]1[C@H](O)C[C@@](O)(C(O)=O)C[C@H]1OC(=O)\C=C\C1=CC=C(O)C(O)=C1 CWVRJTMFETXNAD-JUHZACGL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344 soap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6210 lo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7
- POIUWJQBRNEFGX-XAMSXPGMSA-N cathelicidin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NC(N)=N)C(=O)N[C@@H](CCCCN)C(=O)N[C@@H](CO)C(=O)N[C@@H](CCCCN)C(=O)N[C@@H](CCC(O)=O)C(=O)N[C@@H](CCCCN)C(=O)N[C@@H]([C@@H](C)CC)C(=O)NCC(=O)N[C@@H](CCCCN)C(=O)N[C@@H](CCC(O)=O)C(=O)N[C@@H](CC=1C=CC=CC=1)C(=O)N[C@@H](CCCCN)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O)N[C@@H](CCC(N)=O)C(=O)N[C@@H](CCCNC(N)=N)C(=O)N[C@@H]([C@@H](C)CC)C(=O)N[C@@H](CCCCN)C(=O)N[C@@H](CC(O)=O)C(=O)N[C@@H](CC=1C=CC=CC=1)C(=O)N[C@@H](CC(C)C)C(=O)N[C@@H](CCCNC(N)=N)C(=O)N[C@@H](CC(N)=O)C(=O)N[C@@H](CC(C)C)C(=O)N[C@@H](C(C)C)C(=O)N1[C@@H](CCC1)C(=O)N[C@@H](CCCNC(N)=N)C(=O)N[C@@H]([C@@H](C)O)C(=O)N[C@@H](CCC(O)=O)C(=O)N[C@@H](CO)C(O)=O)NC(=O)[C@H](CC=1C=CC=CC=1)NC(=O)[C@H](CC(O)=O)NC(=O)CNC(=O)[C@H](CC(C)C)NC(=O)[C@@H](N)CC(C)C)C1=CC=CC=C1 POIUWJQBRNEFGX-XAMSXPGM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102100034868 Kallikrein-5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0
- 101710176223 Kallikrein-5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30
- 206010015150 Erythema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NTYJJOPFIAHURM-UHFFFAOYSA-N Histamine Chemical compound NCCC1=CN=CN1 NTYJJOPFIAHURM-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108060001132 cathelicidin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1100000321 erythema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102000014509 cathelicidin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60001340 histamine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3508 mig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3556 vascular endothelial cell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012 mig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770 pro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40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ol Natural products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1 polyphenol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5167 vascula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01000004624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2510 kerat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CWVRJTMFETXNAD-FWCWNIRPSA-N 3-O-Caffeoyl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C@@H](O)C[C@@](O)(C(O)=O)C[C@H]1OC(=O)\C=C\C1=CC=C(O)C(O)=C1 CWVRJTMFETXNAD-FWCWNIRPSA-N 0.000 description 8
- CWVRJTMFETXNAD-KLZCAUPSSA-N Neochlorogenin-saeure Natural products O[C@H]1C[C@@](O)(C[C@@H](OC(=O)C=Cc2ccc(O)c(O)c2)[C@@H]1O)C(=O)O CWVRJTMFETXNAD-KLZCAUPSSA-N 0.000 description 8
- 229940074393 chloroge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8
- 235000001368 chloroge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FFQSDFBBSXGVKF-KHSQJDLVSA-N chloroge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C[C@](O)(C[C@@H](CC(=O)C=Cc2ccc(O)c(O)c2)[C@@H]1O)C(=O)O FFQSDFBBSXGVKF-KHSQJDLVSA-N 0.000 description 8
- BMRSEYFENKXDIS-KLZCAUPSSA-N cis-3-O-p-coumaroyl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C[C@@](O)(C[C@@H](OC(=O)C=Cc2ccc(O)cc2)[C@@H]1O)C(=O)O BMRSEYFENKXDIS-KLZCAUPS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306 compon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30003316 Vitamin 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7
- QYSXJUFSXHHAJI-XFEUOLMDSA-N Vitamin D3 Natural products C1(/[C@@H]2CC[C@@H]([C@]2(CCC1)C)[C@H](C)CCCC(C)C)=C/C=C1\C[C@@H](O)CCC1=C QYSXJUFSXHHAJI-XFEUOLMDSA-N 0.000 description 7
- 235000020964 calcitri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612 calcitri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GMRQFYUYWCNGIN-NKMMMXOESA-N calcitriol Chemical compound C1(/[C@@H]2CC[C@@H]([C@]2(CCC1)C)[C@@H](CCCC(C)(C)O)C)=C\C=C1\C[C@@H](O)C[C@H](O)C1=C GMRQFYUYWCNGIN-NKMMMXOESA-N 0.000 description 7
- 229960005084 calcitriol Drug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PRAKJMSDJKAYCZ-UHFFFAOYSA-N dodecahydro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PRAKJMSDJKAY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166 vitamin 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710 vitamin 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3710 vitamin 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29940046008 vitamin d Drug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8228 Toll-like receptor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10060888 Toll-like receptor 2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630 histam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RAXXELZNTBOGNW-UHFFFAOYSA-N imidazole Natural products C1=CNC=N1 RAXXELZNTBOG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06010040882 skin le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444 skin les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6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5
- GSEJCLTVZPLZKY-UHFFFAOYSA-N Triethanolamine Chemical compound OCCN(CCO)CCO GSEJCLTVZPLZ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615 epidermis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40057995 liquid paraffin Drug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33733 Papul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7513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871 bee w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166 bees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2292 cell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1061 fore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JYGXADMDTFJGBT-VWUMJDOOSA-N hydrocortisone Chemical compound O=C1CC[C@]2(C)[C@H]3[C@@H](O)C[C@](C)([C@@](CC4)(O)C(=O)CO)[C@@H]4[C@@H]3CCC2=C1 JYGXADMDTFJGBT-VWUMJDOO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BDJRBEYXGGNYIS-UHFFFAOYSA-N non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CC(O)=O BDJRBEYXGGNYI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761 scalp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CUNWUEBNSZSNRX-RKGWDQTMSA-N (2r,3r,4r,5s)-hexane-1,2,3,4,5,6-hexol;(z)-octadec-9-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C[C@H](O)[C@@H](O)[C@H](O)[C@H](O)CO.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CUNWUEBNSZSNRX-RKGWDQTMSA-N 0.000 description 3
- MZOFCQQQCNRIBI-VMXHOPILSA-N (3s)-4-[[(2s)-1-[[(2s)-1-[[(1s)-1-carboxy-2-hydroxyeth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3-[[2-[[(2s)-2,6-diaminohexanoyl]amino]acetyl]amino]-4-ox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C)NC(=O)[C@H](CCCN=C(N)N)NC(=O)[C@H](CC(O)=O)NC(=O)CNC(=O)[C@@H](N)CCCCN MZOFCQQQCNRIBI-VMXHOPILSA-N 0.000 description 3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44503 Antimicrobial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700042778 Antimicrobial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2438 Dermatitis atopic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3
- GDBQQVLCIARPGH-UHFFFAOYSA-N Leupeptin Natural products CC(C)CC(NC(C)=O)C(=O)NC(CC(C)C)C(=O)NC(C=O)CCCN=C(N)N GDBQQVLCIARP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02000035195 Peptid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05804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14 Polysorbate 60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7888 Rash pustular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2479 Serine Prote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22999 Serine Prote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06010043189 Telangiect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8060008682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0852 Tumor Necrosis Factor-alph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08937 atopic derm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28 culture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8000027866 inflammato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5007 innate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GDBQQVLCIARPGH-ULQDDVLXSA-N leupeptin Chemical compound CC(C)C[C@H](NC(C)=O)C(=O)N[C@@H](CC(C)C)C(=O)N[C@H](C=O)CCCN=C(N)N GDBQQVLCIARPGH-ULQDDVLXSA-N 0.000 description 3
- 108010052968 leupep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XTPJDDICSTXJX-UHFFFAOYSA-N n-Triaconta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JXTPJDDICSTXJ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20 nonprescription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WWZKQHOCKIZLMA-UHFFFAOYSA-N oc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CC(O)=O WWZKQHOCKIZL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818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989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113124 polysorbate 60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9561 pustul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60005078 sorbitan sesqui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40032094 squala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5 suspe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9056 telangiect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AIPRVGONGVQAS-DUXPYHPUSA-N trans-caffeic acid Chemical class OC(=O)\C=C\C1=CC=C(O)C(O)=C1 QAIPRVGONGVQAS-DUXPYHPUSA-N 0.000 description 3
- LADGBHLMCUINGV-UHFFFAOYSA-N tricaprin Chemical compound CCCCCCCCCC(=O)OCC(OC(=O)CCCCCCCCC)COC(=O)CCCCCCCCC LADGBHLMCUIN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AAWZDTNXLSGCEK-LNVDRNJUSA-N (3r,5r)-1,3,4,5-tetrahydroxycyclohexane-1-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C(O)(C(O)=O)C[C@@H](O)C1O AAWZDTNXLSGCEK-LNVDRNJUSA-N 0.000 description 2
- SGKRLCUYIXIAHR-AKNGSSGZSA-N (4s,4ar,5s,5ar,6r,12ar)-4-(dimethylamino)-1,5,10,11,12a-pentahydroxy-6-methyl-3,12-dioxo-4a,5,5a,6-tetrahydro-4h-tetracene-2-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H](C)[C@@H]([C@H](O)[C@@H]3[C@](C(O)=C(C(N)=O)C(=O)[C@H]3N(C)C)(O)C3=O)C3=C(O)C2=C1O SGKRLCUYIXIAHR-AKNGSSGZSA-N 0.000 description 2
- FFTVPQUHLQBXQZ-KVUCHLLUSA-N (4s,4as,5ar,12ar)-4,7-bis(dimethylamino)-1,10,11,12a-tetrahydroxy-3,12-dioxo-4a,5,5a,6-tetrahydro-4h-tetracene-2-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2=C(N(C)C)C=CC(O)=C2C(O)=C2[C@@H]1C[C@H]1[C@H](N(C)C)C(=O)C(C(N)=O)=C(O)[C@@]1(O)C2=O FFTVPQUHLQBXQZ-KVUCHLLUSA-N 0.000 description 2
- AZSNMRSAGSSBNP-UHFFFAOYSA-N 22,23-dihydroavermectin B1a Natural products C1CC(C)C(C(C)CC)OC21OC(CC=C(C)C(OC1OC(C)C(OC3OC(C)C(O)C(OC)C3)C(OC)C1)C(C)C=CC=C1C3(C(C(=O)O4)C=C(C)C(O)C3OC1)O)CC4C2 AZSNMRSAGSSB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PBDXSGPUHCETR-JFUDTMANSA-N 8883yp2r6d Chemical compound O1[C@@H](C)[C@H](O)[C@@H](OC)C[C@@H]1O[C@@H]1[C@@H](OC)C[C@H](O[C@@H]2C(=C/C[C@@H]3C[C@@H](C[C@@]4(O[C@@H]([C@@H](C)CC4)C(C)C)O3)OC(=O)[C@@H]3C=C(C)[C@@H](O)[C@H]4OC\C([C@@]34O)=C/C=C/[C@@H]2C)/C)O[C@H]1C.C1C[C@H](C)[C@@H]([C@@H](C)CC)O[C@@]21O[C@H](C\C=C(C)\[C@@H](O[C@@H]1O[C@@H](C)[C@H](O[C@@H]3O[C@@H](C)[C@H](O)[C@@H](OC)C3)[C@@H](OC)C1)[C@@H](C)\C=C\C=C/1[C@]3([C@H](C(=O)O4)C=C(C)[C@@H](O)[C@H]3OC\1)O)C[C@H]4C2 SPBDXSGPUHCETR-JFUDTMAN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874 Acne Vulgar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416162 Astragalus gummifer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7154 Coffea arabic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AAWZDTNXLSGCEK-UHFFFAOYSA-N Cordycepinsaeure Natural products OC1CC(O)(C(O)=O)CC(O)C1O AAWZDTNXLSGCE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RGHNJXZEOKUKBD-SQOUGZDYSA-N D-gluc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O RGHNJXZEOKUKBD-SQOUGZD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128004 Demodex Species 0.000 description 2
- LCGLNKUTAGEVQW-UHFFFAOYSA-N Dim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OC LCGLNKUTAGEV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8157 ELISA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OWOJBTEDSA-N Fuma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OWOJBTEDSA-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FVFQIVMOAPDHO-UHFFFAOYSA-N Methane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CS(O)(=O)=O AFVFQIVMOAPDH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SEQKRHFRPICQDD-UHFFFAOYSA-N N-tris(hydroxymethyl)methylglycine Chemical compound OCC(CO)(CO)[NH2+]CC([O-])=O SEQKRHFRPICQD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30113 Oed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100 Oxytetracyc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TUOYWHBWRKTHZ-UHFFFAOYSA-N Propane Chemical compound CCC ATUOYWHBWRK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1000004681 Psor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AAWZDTNXLSGCEK-ZHQZDSKASA-N Quinic acid Natural products O[C@H]1CC(O)(C(O)=O)C[C@H](O)C1O AAWZDTNXLSGCEK-ZHQZDSKA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8 Tetracyc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15 Tragacant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00496 acn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HGAZHPCJJPHSC-YCNIQYBTSA-N all-trans-reti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C=C(/C)\C=C\C1=C(C)CCCC1(C)C SHGAZHPCJJPHSC-YCNIQYBTSA-N 0.000 description 2
- POJWUDADGALRAB-UHFFFAOYSA-N allantoin Chemical compound NC(=O)NC1NC(=O)NC1=O POJWUDADGALRA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255 azela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ESFRYSPDFLNCH-UHFFFAOYSA-N benzyl benzoat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CC1=CC=CC=C1 SESFRYSPDFLN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71 b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501 co-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LNDAGDHSLMOKX-UHFFFAOYSA-N coumarin 120 Chemical compound C1=C(N)C=CC2=C1OC(=O)C=C2C GLNDAGDHSLMOK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722 doxycycl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595 endothelial cell mi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55 enzy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175 epidermal kerat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191 fatty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ZDXPYRJPNDTMRX-UHFFFAOYSA-N glutamine Natural products OC(=O)C(N)CCC(N)=O ZDXPYRJPNDTMR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890 hydrocortiso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19 immonomod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788 innate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418 ivermect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2 minera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023 minocycl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7249 oral antibiotic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625 oxytetracycl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IWVCMVBTMGNXQD-PXOLEDIWSA-N oxytetracycli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C@H]3[C@H](O)[C@H]4[C@H](N(C)C)C(O)=C(C(N)=O)C(=O)[C@@]4(O)C(O)=C3C(=O)C2=C1O IWVCMVBTMGNXQD-PXOLEDIW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66 oxytetracycl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7863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89193 pattern recognition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7557 pharmaceutic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80 propel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WTUHAXUUFROTF-UHFFFAOYSA-N pseudochlorogenic acid Natural products C1C(O)C(O)C(O)CC1(C(O)=O)OC(=O)C=CC1=CC=C(O)C(O)=C1 GWTUHAXUUFROT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700022109 ropocamp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431 ster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IWVCMVBTMGNXQD-UHFFFAOYSA-N terramycin dehydrate Natural products C1=CC=C2C(O)(C)C3C(O)C4C(N(C)C)C(O)=C(C(N)=O)C(=O)C4(O)C(O)=C3C(=O)C2=C1O IWVCMVBTMGNX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180 tetracycl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64 tetracycl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30101283 tetracyclin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522 tetracycl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87 tragacant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96 tragacant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16362 tragacanth Drugs 0.000 description 2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727 tretino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NYAEWCLZODPBN-JGWLITMVSA-N (2r,3r,4s)-2-[(1r)-1,2-dihydroxyethyl]oxolane-3,4-diol Chemical compound OC[C@@H](O)[C@H]1OC[C@H](O)[C@H]1O JNYAEWCLZODPBN-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LNAZSHAWQACDHT-XIYTZBAFSA-N (2r,3r,4s,5r,6s)-4,5-dimethoxy-2-(methoxymethyl)-3-[(2s,3r,4s,5r,6r)-3,4,5-trimethoxy-6-(methoxymethyl)oxan-2-yl]oxy-6-[(2r,3r,4s,5r,6r)-4,5,6-trimethoxy-2-(methoxymethyl)oxan-3-yl]oxyoxane Chemical compound CO[C@@H]1[C@@H](OC)[C@H](OC)[C@@H](COC)O[C@H]1O[C@H]1[C@H](OC)[C@@H](OC)[C@H](O[C@H]2[C@@H]([C@@H](OC)[C@H](OC)O[C@@H]2COC)OC)O[C@@H]1COC LNAZSHAWQACDHT-XIYTZBAFSA-N 0.000 description 1
- YYGNTYWPHWGJRM-UHFFFAOYSA-N (6E,10E,14E,18E)-2,6,10,15,19,23-hexamethyltetracosa-2,6,10,14,18,22-hexa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YYGNTYWPHWGJ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CEAELOMUCBPJP-UHFFFAOYSA-N (E)-3,4,5-trihydroxycinn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O)=C(O)C(O)=C1 ACEAELOMUCBP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NWHHMBRJJOGFJ-UHFFFAOYSA-N 16-methylheptadecan-1-ol Chemical class CC(C)CCCCCCCCCCCCCCCO WNWHHMBRJJOGF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MYNFMYTOJXKLE-UHFFFAOYSA-N 3-azaniumyl-2-hydroxypropanoate Chemical compound NCC(O)C(O)=O BMYNFMYTOJXK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8751 Album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027 Album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POJWUDADGALRAB-PVQJCKRUSA-N Allantoin Natural products NC(=O)N[C@@H]1NC(=O)NC1=O POJWUDADGALRAB-PVQJCKRU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26 Artemis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725 BALB/c mous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17 Bov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784 Burning sens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36 Camelus dromeda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707 Cap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9034 Chem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2236 Chem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377 Coff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460 Coffea arab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RGHNJXZEOKUKBD-UHFFFAOYSA-N D-gluconic acid Natural products OCC(O)C(O)C(O)C(O)C(O)=O RGHNJXZEOKU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073 Equus caba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326 Felis c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825 Flush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06 Ipomo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783 Ipomo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SHGAZHPCJJPHSC-NUEINMDLSA-N Isotretinoin Chemical compound OC(=O)C=C(C)/C=C/C=C(C)C=CC1=C(C)CCCC1(C)C SHGAZHPCJJPHSC-NUEINMDL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1399 Kallikr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60005987 Kallikr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166 Lanol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9113 Neovascularis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2139 Ocular rosac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94479 Pec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09328 Perr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ULUAUXLGCMPNKK-UHFFFAOYSA-N Sulfobu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S(O)(=O)=O ULUAUXLGCMPN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SNNMFCWUKXFEE-UHFFFAOYSA-N Sulfurous acid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98 Sus scrof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UZMAPBJVXOGOFT-UHFFFAOYSA-N Syringetin Natural products COC1=C(O)C(OC)=CC(C2=C(C(=O)C3=C(O)C=C(O)C=C3O2)O)=C1 UZMAPBJVXOGO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HEOSNUKNHRBNM-UHFFFAOYSA-N Tetramethyl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BHEOSNUKNHRB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97 Tricin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1710162629 Trypsin inhibi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2618 Trypsin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568 Urticaria chronic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5 acacia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PXJVFZANSGRMM-UHFFFAOYSA-N acetic acid;2,3,4,5,6-pentahydroxyhexanal;sodium Chemical compound [Na].CC(O)=O.OCC(O)C(O)C(O)C(O)C=O DPXJVFZANSGR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06 adaptive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1 adaptive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5 adrenergic alpha-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458 allanto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NROFYMDJYEPJX-UHFFFAOYSA-K alumi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OH-].[Al+3] WNROFYMDJYEPJ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02 analges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115 angiogen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75 anim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47 anti-immunosupp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46 aqueous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052 artemis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52 auxiliar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03 benzyl benzo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5 bio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1 block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97 bone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75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73 but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883 caffe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4360 caffe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7 calc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340 calcium silic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4 caus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411 cell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30 cell culture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27 chlorofluoro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976 chronic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93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376 chronic urtica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AIPRVGONGVQAS-UHFFFAOYSA-N cis-caffe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C(O)C(O)=C1 QAIPRVGONGVQ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KCFYHBSOLOXZIF-UHFFFAOYSA-N dihydrochrysin Natural products COC1=C(O)C(OC)=CC(C2OC3=CC(O)=CC(O)=C3C(=O)C2)=C1 KCFYHBSOLOXZI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06 diseas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4 emollie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5 emul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23 extracellular sp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37 fres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30 fumar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4259 gela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9 gel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74 gluc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08 gluc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06 hum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TNDZQHUAFNZQY-UHFFFAOYSA-N imidazoline Chemical class C1CN=CN1 MTNDZQHUAFNZQ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390 immune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75 immunomodulatory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1 indu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60 inflammatory cascad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2223 injectable soluti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UMDYPCJJOFFON-UHFFFAOYSA-N isethi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S(O)(=O)=O SUMDYPCJJOFFO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51 isotonicity adjus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80 isotretino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88 lanol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717 lano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02 liposo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6601 medicin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8779 methanesulfo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30 micro-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94 micro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31 microgran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5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9 mineral home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56 molecular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16 mo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CQDGTJPVBWZJAZ-UHFFFAOYSA-N monoethy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COC(O)=O CQDGTJPVBWZJA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JDNQMDRQITEOD-UHFFFAOYSA-N n-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IJDNQMDRQIT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BQJSOFQDEBGM-UHFFFAOYSA-N n-pentane Natural products CCCCC OFBQJSOFQDEB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119 neur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23 neuropath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GSGDTSDELPUTKU-UHFFFAOYSA-N nonoxybenz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OC1=CC=CC=C1 GSGDTSDELPUTK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62 oxymetazoline hydro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BEEDODBODQVSIM-UHFFFAOYSA-N oxymetazol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1=CC(C(C)(C)C)=C(O)C(C)=C1CC1=NCCN1 BEEDODBODQVS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37 past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10 pathophysiolo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3808 peripheral neur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VDDGKGOMKODPV-ZQBYOMGUSA-N phenyl(114C)methanol Chemical compound O[14CH2]C1=CC=CC=C1 WVDDGKGOMKODPV-ZQBYOMGU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479 physiological effects,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10 polypeptide antibio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6 polysorb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1 pro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2612 pro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94 prop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76 safety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1089 sarcos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FSYKKLYZXJSNPZ-UHFFFAOYSA-N sarcosine Chemical compound C[NH2+]CC([O-])=O FSYKKLYZXJSNP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74 seb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338 secoster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52 sequeste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148 sequestering of metal 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1 skin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91 skin home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14 skin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2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027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UJBNYBVVQSIOU-UHFFFAOYSA-M sodium;4-[2-(4-iodophenyl)-3-(4-nitrophenyl)tetrazol-2-ium-5-yl]benzene-1,3-disulfonate Chemical compound [Na+].C1=CC([N+](=O)[O-])=CC=C1N1[N+](C=2C=CC(I)=CC=2)=NC(C=2C(=CC(=CC=2)S([O-])(=O)=O)S([O-])(=O)=O)=N1 JUJBNYBVVQSIO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1439 squal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TUHBEKDERLKLEC-UHFFFAOYSA-N squal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TUHBEKDERLKL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121 systemic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04261 tau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WVRJTMFETXNAD-NXLLHMKUSA-N trans-5-O-caffeoyl-D-qu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C@](O)(C(O)=O)C[C@H]1OC(=O)\C=C\C1=CC=C(O)C(O)=C1 CWVRJTMFETXNAD-NXLLHMKU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3 trypsin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92 va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09 vascular smooth muscl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24883 vasodi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표피 세린프로테아제 칼리크레인-5의 발현 및 활성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의 LL-37로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활성화된 LL-37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매개인자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히스타민의 분비 억제, 인간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로사시아성 피부의 홍반 및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로사시아성 피부의 홍반 및 염증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로사시아성 피부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피의 세린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Kallikrein-5)의 발현 및 활성 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함으로써, LL-37에 의해 유도되는 로사시아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로사시아는 피부의 홍반, 구진, 모세혈관 확장증, 부종, 농포 또는 이러한 증상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은 일반적으로 얼굴의 중앙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에 발생하기도 한다. 환자는 안면홍조, 쏘임, 통증 또는 작열감과 같은 피부증상을 나타내며, 임상적으로 판단할 때 홍반혈관 확장성, 구진농포성, 비류성, 안구성 로사시아로 크게 구분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한 환자에서 다양한 하위 유형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낸다. 로사시아는 남녀 모두 10대 이후 모든 연령에서 볼 수 있으나 30~50대에서 가장 흔하고 여성에게서 발생률이 높지만 심한 증상은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많은 요인이 로사시아의 분자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중 선천성 면역계 및 신경혈관 조절의 이상은 주로 로사시아의 병리 생리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어 진다. 피부는 선천성 면역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기관으로, 피부의 물리적 장벽에 더하여, 항균 펩타이드 및 패턴인식 수용체 (Pattern recognition receptor)의 발현 증가 등을 통해 침입 병원균에 대한 숙주방어 체계를 가진다. 로사시아 환자의 피부장벽 파괴는 표피의 수분 손실을 가져오며, 이로 인해 피부 항상성을 깨뜨려 피부를 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킨다. 이는 알칼리성에서 활성이 증가하는 표피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표피의 세린 프로테아제 (serine protease)인 칼리크레인-5 (Kallikrein-5,KLK-5)의 활성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선천성 면역계의 주요한 패턴인식 수용체인 톨유사수용체-2 (Toll like receptor-2, TLR-2)는 건선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환자에서는 발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으나, 여드름, 로사시아 피부질환에서 발현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로사시아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암시한다. 톨유사수용체-2는 외부자극 또는 유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등의 생성을 통해 염증반응을 유도한다. 톨유사수용체-2는 표피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칼리클레인-5는 피부의 항균 펩타이드인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을 활성 형태인 LL-37로 변환시키는 활성을 가진다. 특히 로사시아 환자의 피부병변에서는 칼리크레인-5의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LL-37 활성의 증가도 관찰된다.
항균 펩타이드는 다양한 유기체에 대한 첫 번째 방어 기작을 제공하고 적응성 면역계를 매개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건선 및 로사시아와 같은 많은 염증성 피부질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로사시아 환자의 표피에서는 카텔리시딘의 발현증가를 나타내는데 인간에서는 단일 카텔리시딘 유전자만이 확인되었다. LL-37의 로사시아 환자에서의 역할은 최근 여러 연구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로사시아 환자의 표피에서 특히 발현이 많이 높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LL-37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결과에서는 LL-37 펩타이드를 주사한 BALB/c 마우스에서 혈관 이완증, 홍반 및 염증과 같은 로사시아의 주요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LL-37은 건강한 사람에서는 항균활성과 함께 면역조절 기능을 수행하나, 로사시아 환자에서는 과도한 LL-37의 생성으로 인해 염증반응이 증가되고, 모세혈관 확장, 신생혈관 생성과 같은 홍반의 유발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LL-37의 다양한 기능들 중에서, 이 펩타이드의 혈관의 활성화 및 전염증 요인은 다른 피부 염증성질환과 달리 로사시아의 병리학적 생리에서 현저하게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로사시아의 유발원인에 대한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로사시아 환자에서 선천성 면역계의 이상이 관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후천성 면역계의 이상으로 인한 유발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모낭충의 콜로니화, 미생물 자극, 자외선 (UV), 열 및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유발인자는 로사시아의 발생 또는 악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로사시아의 병인에 대한 선천성 면역이상은 외부환경에 대한 피부의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로사시아를 발생시키거나 악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 두드러기와 같은 많은 피부 염증성 질환의 피부에서는 건강한 사람보다 비타민 D 수치가 현저히 낮은 반면, 로사시아 환자의 혈청 비타민 D 수준은 비환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비타민 D는 주로 자외선 노출에 의해서 합성되는 세코 스테로이드로, 미네랄 항상성 및 골대사에 주로 관여하며, 선천성 및 적응성 면역에 대한 면역 조절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비타민 D에는 많은 면역 조절 활성이 있기 때문에 비타민 D에 의한 여러 유형의 면역 세포의 조절은 만성 염증성 질환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결정하는 데 임상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비타민 D는 카텔리시딘의 강력한 유도제로 작용하며, 톨유사수용체-2 및 칼리크레인-5 mRNA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타민 D는 로사시아에서 톨유사수용체-2, 칼리크레인-5 및 LL-37 관련 경로에 영향을 미치고 로사시아 환자의 면역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염증성 캐스케이드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 로사시아의 주요한 치료법은 국소요법으로 항생제 요법이 쓰이고 있으며 이들 약제는 항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 등 다양한 기전으로 효능을 나타낸다. 그 외에도 이미다졸, 트레티노인, 아젤라익산, 이버멕틴 크림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염증성 병변이 심한 경우에는 단기적으로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홍반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인 브리니모딘 또는 옥시메타졸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혈관 평활근세포의 수축을 유도하여 홍반을 개선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전신요법으로 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메트리니다졸 등의 경구용 항생제 복용이 구진, 고름물집 병변과 홍반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 이소트레티노인은 중증과 치료에 저항하는 로사시아 치료에 효과적이며, 특히 피지분비가 많은 환자의 경우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로사시아성 홍반 및 염증의 일시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로사시아의 근본적인 발생 기작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클로로겐산은 카페산과 퀸산의 유도체로 커피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생체 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효과,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로겐산은 카페산과 퀸산의 결합 위치의 차이에 따라 이소클로로겐산, 네오클로로겐산, 슈도클로로겐산 등의 이성질체가 있다.
클로로겐산의 이성질체 중 하나인 이소클로로겐산의 효능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2510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2400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질환 예방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6271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면역증진 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948호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3297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주름개선 효과 등을 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소클로로겐산의 로사시아 피부 개선 효과에 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더불어 로사시아 환자의 피부 홍조 및 구진, 농포 등의 염증반응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인체 자극이 적고 홍반 및 염증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를 연구하던 중, 이소클로로겐산이 로사시아성 피부의 홍반 및 염증 발생을 억제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클로로겐산은 클로로겐산의 이성질체의 하나로서 화학식이 C25H24O12 이며, 이의 이성질체인 하기 화학식 1 내지 3의 구조를 갖는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화학식 1: Isochlorogenic acid A
화학식 2: Isochlorogenic acid B
화학식 3: Isochlorogenic acid C
본 발명에 있어서, 염은 약학적, 화장품학적 및/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 또는 체내에서 이소클로로겐산이 되는 형태(예로, 프로드러그)일 수 있다. 그와 같은 염으로는 약학적, 화장품학적 및/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있다. 상기 유리산은 무기산과 유기산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산의 예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산의 예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후마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있으며,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은 자연원(natural source)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미생물에 의해 합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연원은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쑥(Artemisia)속, 커피나무(Coffea)속 및 고구마(Ipomoea batatas)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로사시아 (rosacea)"는 피부의 홍반, 염증, 구진 (1㎝ 미만 크기의 솟아 오른 피부 병변), 모세혈관 확장증, 부종, 농포 (고름) 또는 이러한 증상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은 일반적으로 얼굴의 중앙 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에 발생하기도 한다.
로사시아의 피부 홍반 및 염증은 내, 외부 자극인자에 의해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된 표피의 프로테아제 칼리크레인-5에 의해 발생되며, 이는 칼리크레인-5에 의해 활성화된 펩타이드 LL-37이 매개하여 피부 혈관에 영향을 주어 피부가 붉게 나타거나, 피부세포 및 면역세포에 영향을 주어 피부의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은 자외선, 모낭충 및 피부 박테리아와 같은 내부 및/또는 외부 자극인자에 의해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되는 표피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 (Kallikrein-5)의 발현 및 활성 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함으로써 펩타이드 LL-37의 활성화를 저해할뿐 아니라, 활성화된 LL-37에 의해 유도되는 로사시아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이소클로로겐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피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의 활성 억제능, 카텔리시딘의 활성 억제능,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발현 억제능, 비만세포의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 분비 억제능, 인간 혈관세포 증식 및 이동 억제능을 분석해 본 결과, 이소클로로겐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가 칼리크레인-5 (Kallikrein-5)의 활성 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 즉 펩타이드 LL-37의 활성화를 저해할 뿐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의 분비, 인간 혈관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도 1 내지 도 6).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0.0001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로사시아 피부 홍반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로사시아 피부 증상의 개선효과가 미미하여 화장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로사시아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로사시아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사시아의 예방 또는 치료는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에 의해 칼리크레인-5 (Kallikrein-5)의 발현 및 활성을 억제시키고,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염증 매개인자 히스타민 분지, 인간 혈관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억제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0.0001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로사시아 피부 홍반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상기 효과의 증가량이 미미하며 의약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윤활제, 습윤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용제, 좌제, 피부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굴의 중앙 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와 같은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부위에만 한정되지 않고 로사시아가 발병한 어느 부위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완충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유효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여 개체의 몸무게 1 ㎏ 당 일반적으로 1일 0.001 ㎎ 내지 300 ㎎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기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하여 또는 적당한 집합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외에 종래 로사시아 치료제로 쓰이는 이미다졸, 트레티노인, 아젤라익산, 이버멕틴 크림, 스테로이드 제제, 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메트리니다졸 등의 경구용 항생제 등을 선택하여 추가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 (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굴의 중앙 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와 같은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사시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로사시아 피부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로사시아 피부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하는 방법은,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로사시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로사시아 피부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로사시아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로사시아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 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의 투여량은 0.001~300 ㎎/Kg일 수 있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개체에서 표피 프로테아제 칼리크레인-5의 발현 및 활성의 증가로 발생하는 로사시아 피부 홍반 또는 피부 염증의 발병 억제, 경감,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 (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 (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보다 상세하게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물질로서 로사시아 피부 홍반 및 염증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안전하면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로사시아의 피부증상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로사시아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도로, 구체적으로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정도를 카이네틱 모드로 측정한 형광값 결과 (A) 및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정도를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 무처리군의 형광값을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 절단 억제 효과를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홍반을 유발하는 혈관내피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홍반을 유발하는 혈관신생에 있어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억제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 절단 억제 효과를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홍반을 유발하는 혈관내피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홍반을 유발하는 혈관신생에 있어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억제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효능 측정
피부의 세린계 단백질분해효소인 칼리크레인-5의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재조합 칼리크레인-5 (R&D systems, USA)과 7-Amino-4-methylcoumarin (AMC) 형광이 결합된 칼리크레인-5의 기질인 Boc-Val-Pro-Arg-AMC (R&D systems, USA)를 반응시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2 μg/ml 재조합 칼리크레인-5 50 μl에 농도별 (10, 20, 50 μM)로 처리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먼저 반응 시킨 뒤, 800 μM 칼리크레인-5 기질 50 μl을 더하여 380 nm/480 nm 형광에서 5분간 카이네틱 모드로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트립신 저해제인 leupeptin (Sigam aldrich, 미국)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재조합 칼리크레인을 처리하지 않은 조건을 사용하였다. 활성정도는 각 조건 측정값의 최고 형광값에서 최저 형광값을 빼준 값을 기준으로, 무처리군의 형광값과 비교하여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 처리군의 형광값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양성대조군인 leupeptin과 비교하여 우수한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인간 각질세포에서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
활성화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를 통한 카텔리시딘의 LL-37로의 cleavage 억제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human keratinocyte growth supplement (HKGS, Thermo Fisher, 미국)가 포함된 EpiLife™ Medium (Thermo Fisher, 미국)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200 nM의 칼시트리올 (Carbosynth, 미국)을 처리하여 72 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72 시간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건별로 수집한 세포 배양액을 트리신 겔 (고마바이오텍, 한국)에 로딩 후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polyvinylidene difluoride) 멤브레인으로 트랜스퍼하여 human LL-73 항체 (R&D systems, USA)를 이용하여 특이적으로 절단된 LL-37 펩타이드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세포외로 분비된 칼리크레인-5에 의해 카텔리시딘이 LL-37로 절단된 형태를 웨스턴 블롯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수치화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이 LL-37로 절단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양성대조군인 leupeptin(Siagma aldrich, 미국)과 비교하여 카텔리시딘이 LL-37로 절단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 유발인자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 유발인자 발현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각질세포와 인간 면역세포인 대식세포를 공동배양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2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미분화된 단핵구 세포주인 THP-1 (ATCC, 미국)은 8 μm 기공 사이즈의 세포배양 인서트 (Millicell® Hanging Cell Culture Insert, millipore, 독일)에 2 × 105 세포수로 접종 시키고 500 nM PMA를 처리하여 대식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인간 각질세포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200 nM의 칼시트리올 (Carbosynth, 미국)을 처리하였다. 대식세포로 분화된 단핵구는 새로운 배지로 교체한 뒤,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와 칼시트리올이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 플레이트 삽입하여 72 시간 동안 공동 배양 하였다. 72시간 공동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측정은 각각의 ELISA 키트 (R&D systems, 미국)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실시 방법은 R&D systems사의 키트 사용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세포 외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치는 각각의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그 양을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칼시트리올 처리로 인해 활성화된 칼리크레인-5의 발현과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LL-37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LL-37로부터 유발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비만세포
탈과립화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비만세포의 염증 매개인자 분비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각질세포와 마우스 비만세포인를 공동배양하여 히스타민의 분비 억제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 103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인간 각질세포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200 nM의 칼시트리올 (Carbosynth, 미국)을 처리하였다. 마우스 비만 세포주인 MC/9 (ATCC, 미국)은 0.4 μm 기공 사이즈의 세포배양 인서트 (Millicell® Hanging Cell Culture Insert, millipore, 독일)에 5 × 106 세포수로 접종 시키고,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와 칼시트리올이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 플레이트 삽입하여 12 시간 동안 공동 배양 하였다. 12시간 공동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비만세포의 활성화로 인한 탈과립화된 염증 매개인자 히스타민의 측정은 Histamine ELISA 키트 (Enzo Life Science, 미국)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실시 방법은 Enzo Life Science사의 키트 사용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세포 외로 탈과립화된 염증 매개인자 히스타민의 수치는 각각의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그 양을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염증 매개인자히스타민의 탈과립화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칼시트리올 처리로 인해 활성화된 칼리크레인-5의 발현과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LL-37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LL-37로부터 유발되는 히스타민의 탈과립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증식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내피세포 증식 억제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혈관세포 (human microvascular epithelial cells, HMEC-1, ATCC, 미국)를 10 ng/ml EGF, 1 μg/mL 코티솔, 10 mM 글루타민, 10% FBS가 포함된 MCDB131 Medium (Thermo Fisher, 미국)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5 × 104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의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5 μg/mL 농도의 LL-37을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혈관세포의 증식 정도를 WST-1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증식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LL-37에 의해 유도된 인간 혈관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이동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내피세포 미동 억제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혈관세포 (human microvascular epithelial cells, HMEC-1, ATCC, 미국)를 10 ng/ml EGF, 1 μg/mL 코티솔, 10 mM 글루타민, 10% FBS가 포함된 MCDB131 Medium (Thermo Fisher, 미국)에 배양한 후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2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각 웰이 90% 이상 차게 배양한 후 200 μl 멸균 피펫팁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자란 단일 세포층을 scratch를 가한 뒤 멸균인산완충용액으로 웰을 세척 후 배양배지를 다시 교체해 주었다. 각 웰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의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5 μg/mL 농도의 LL-37을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혈관세포의 이동 정도를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이동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LL-37에 의해 유도된 인간 혈관세포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 0.1%, 0.5% 및 1%를 함유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킨 후, 밀납, 유동파라핀, 유상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 0.1%, 0.5% 및 1%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함량을 0.1%, 0.5% 및 1%로 증가시킴에 따라서 유동파라핀의 함량을 각각 9.91%, 9.51% 및 9.01%로 줄여가며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영양크림을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평균반응도 = [[{(반응지수 × 반응도)/(총 피검자수 × 최고점수(4점))}] × 100]÷검사회수(9회)
상기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 평균반응도 | ||||||||
1주 | 2주 | 3주 |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7차 | 8차 |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조군 (스쿠알렌) |
-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9 |
이소클로로겐산 A (0.1%) [시험군 1]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이소클로로겐산 A (0.5%) [시험군 1]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이소클로로겐산 A (1%) [시험군 1]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이소클로로겐산 B (0.1%) [시험군 2]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이소클로로겐산 B (0.5%) [시험군 2]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이소클로로겐산 B (1%) [시험군 2]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이소클로로겐산 C (0.1%) [시험군 3]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이소클로로겐산 C (0.5%) [시험군 3]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이소클로로겐산 C (1%) [시험군 3] |
0 - -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모두 0명이고, 평균 반응도 역시 0.00이었다. 상기 시험결과 3 이하의 평균반응도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제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하기의 표 2와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중량% |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 0.01 |
글리세린 | 3.0 |
부틸렌 글리콜 | 2.0 |
프로필렌 글리콜 | 2.0 |
카복시비닐폴리머 | 0.1 |
에탄올 | 10.0 |
트리에탄올아민 | 0.1 |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 정제수 | 82.79 |
총계 | 100.0 |
1-2.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 3과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중량% |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 0.01 |
밀납 | 4.0 |
폴리소르베이트 60 | 1.5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
유동파라핀 | 5.0 |
스쿠알란 | 5.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글리세린 | 3.0 |
부틸렌 글리콜 | 3.0 |
프로필렌 글리콜 | 3.0 |
카복시비닐폴리머 | 0.1 |
트리에탄올아민 | 0.2 |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 69.69 |
총계 | 100.0 |
1-3. 영양크림
하기의 표 4과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중량% |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 0.01 |
밀납 | 10.0 |
폴리소르베이트 60 | 1.5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5 |
유동파라핀 | 10.0 |
스쿠알란 | 5.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5.0 |
글리세린 | 5.0 |
부틸렌 글리콜 | 3.0 |
프로필렌 글리콜 | 3.0 |
트리에탄올아민 | 0.2 |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 56.79 |
총계 | 100.0 |
1-4. 마사지 크림
하기의 표 5와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중량% |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 0.01 |
밀납 | 10.0 |
폴리소르베이트 60 | 1.5 |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 0.8 |
유동파라핀 | 40.0 |
스쿠알란 | 5.0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4.0 |
글리세린 | 5.0 |
부틸렌 글리콜 | 3.0 |
프로필렌 글리콜 | 3.0 |
트리에탄올아민 | 0.2 |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 27.49 |
총계 | 100.0 |
1-5. 팩
하기의 표 6과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 중량% |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 0.01 |
폴리비닐알콜 | 13.0 |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 0.2 |
알란토인 | 0.1 |
에탄올 | 5.0 |
노닐페닐에테르 | 0.3 |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 81.39 |
총계 | 100.0 |
제제예 2 : 약제학적 제제
2-1. 산제의 제조
성분 | 함량(g) |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 2 |
유당 | 1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성분 | 함량(mg) |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 100 |
옥수수전분 | 100 |
유당 | 100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성분 | 함량(mg) |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 100 |
옥수수전분 | 100 |
유당 | 100 |
스테아린산마그네슘 |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8)
-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은 전체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소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0873A KR102751617B1 (ko) | 2021-11-22 | 2021-11-22 |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PCT/KR2022/017867 WO2023090781A1 (ko) | 2021-11-22 | 2022-11-14 |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0873A KR102751617B1 (ko) | 2021-11-22 | 2021-11-22 |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76874A KR20230076874A (ko) | 2023-06-01 |
KR102751617B1 true KR102751617B1 (ko) | 2025-01-10 |
Family
ID=8639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0873A Active KR102751617B1 (ko) | 2021-11-22 | 2021-11-22 |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1617B1 (ko) |
WO (1) | WO2023090781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154112A1 (en) * | 2018-04-13 | 2021-05-27 |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 Use of a new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appearance of signs of inflamm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5630A (ko) * | 2003-07-07 | 2005-01-14 |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 아이쥐에프-1 분비 촉진 활성이 뛰어난 인동 추출물, 이의제조방법 및 용도 |
ATE464055T1 (de) * | 2004-09-14 | 2010-04-15 | Ajinomoto Omnichem S A | Topische zusammensetzungen mit phosphorylierten polyphenolen |
WO2008125237A2 (en) * | 2007-04-17 | 2008-10-23 | Bayer Consumer Care Ag | Use of vernonia appendiculata extract for improving the skin status |
KR101338948B1 (ko) | 2011-08-30 | 2013-12-09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1449114B1 (ko) * | 2012-08-21 | 2014-10-13 |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 푸마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
CN104546819A (zh) * | 2013-10-09 | 2015-04-29 |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 二咖啡酰奎宁酸在治疗系统性自身免疫性疾病中的用途 |
KR101863297B1 (ko) | 2016-04-01 | 2018-06-01 | (주)에스디생명공학 |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FR3050455B1 (fr) * | 2016-04-26 | 2019-06-14 | Temisis | Derives amides des acides polycafeoylquiniques,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
KR101916271B1 (ko) | 2017-08-07 | 2018-11-07 | 애경산업(주) |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
KR101902510B1 (ko) | 2017-08-07 | 2018-10-01 | 애경산업(주) |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
KR102162842B1 (ko) * | 2017-12-20 | 2020-10-08 |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2242400B1 (ko) | 2018-08-23 | 2021-04-20 | 애경산업(주) |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
-
2021
- 2021-11-22 KR KR1020210160873A patent/KR102751617B1/ko active Active
-
2022
- 2022-11-14 WO PCT/KR2022/017867 patent/WO202309078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154112A1 (en) * | 2018-04-13 | 2021-05-27 |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 Use of a new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appearance of signs of inflamm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90781A1 (ko) | 2023-05-25 |
KR20230076874A (ko) | 2023-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7524B1 (ko) |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RU2671492C2 (ru) |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берберин или его аналоги для лечения кож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связанных с розацеа или с покраснением лица | |
US7994141B2 (en) |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 |
KR102336218B1 (ko) | 콜히친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소양증 치료용 조성물 | |
US20120065262A1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for stimulating hair growth | |
KR20220123618A (ko) | 울산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 |
KR20110017599A (ko) |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 |
KR101623375B1 (ko) | 키토산 및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주사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 |
KR102751617B1 (ko) |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
KR20070097291A (ko) |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제 | |
KR102790058B1 (ko) |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
KR20230080174A (ko) | 미성숙 탱자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JP5438239B1 (ja) | シコニン誘導体を有するペリオスチンの発現抑制剤 | |
KR102514975B1 (ko) | 이소오카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 |
KR101906896B1 (ko) | 티몰 및 미르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85591B1 (ko) | 휴매닌 또는 이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
KR102651396B1 (ko) |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102718114B1 (ko) | 배롱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피지 분비 및 비듬 억제용 조성물 | |
JP7690469B2 (ja) |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 |
US20230383330A1 (en) | Reelin/vegf-c production/activation promoter and skin external composition using the same | |
KR102248513B1 (ko) | 무좀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
EP4197534A1 (en) | Reelin/vegf-c production/activation promoter and skin external composition using the same | |
US20240189377A1 (en) | Methods of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iceland moss extract | |
KR100528033B1 (ko) | 4-하이드록시-5-메톡시-4-[2-메틸-3-(3-메틸-2-부테닐)-2-옥시란닐]-1-옥사스피로[2,5]옥탄-6-온을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
KR101949855B1 (ko) | 4-n-부틸레조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반응 억제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7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