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1617B1 -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1617B1
KR102751617B1 KR1020210160873A KR20210160873A KR102751617B1 KR 102751617 B1 KR102751617 B1 KR 102751617B1 KR 1020210160873 A KR1020210160873 A KR 1020210160873A KR 20210160873 A KR20210160873 A KR 20210160873A KR 102751617 B1 KR102751617 B1 KR 102751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chlorogenic acid
acid
rosacea
isochlorogenic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6874A (ko
Inventor
노경백
장영수
조은애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1617B1/ko
Priority to PCT/KR2022/017867 priority patent/WO2023090781A1/ko
Publication of KR2023007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16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표피 세린프로테아제 칼리크레인-5의 발현 및 활성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의 LL-37로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활성화된 LL-37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매개인자인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히스타민의 분비 억제, 인간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로사시아성 피부의 홍반 및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면서도 로사시아성 피부의 홍반 및 염증을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로사시아성 피부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rosacea comprising isochlorogenic acid or salt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피의 세린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Kallikrein-5)의 발현 및 활성 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함으로써, LL-37에 의해 유도되는 로사시아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로사시아는 피부의 홍반, 구진, 모세혈관 확장증, 부종, 농포 또는 이러한 증상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은 일반적으로 얼굴의 중앙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에 발생하기도 한다. 환자는 안면홍조, 쏘임, 통증 또는 작열감과 같은 피부증상을 나타내며, 임상적으로 판단할 때 홍반혈관 확장성, 구진농포성, 비류성, 안구성 로사시아로 크게 구분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한 환자에서 다양한 하위 유형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더욱 다양한 임상 증상을 나타낸다. 로사시아는 남녀 모두 10대 이후 모든 연령에서 볼 수 있으나 30~50대에서 가장 흔하고 여성에게서 발생률이 높지만 심한 증상은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많은 요인이 로사시아의 분자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중 선천성 면역계 및 신경혈관 조절의 이상은 주로 로사시아의 병리 생리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간주되어 진다. 피부는 선천성 면역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기관으로, 피부의 물리적 장벽에 더하여, 항균 펩타이드 및 패턴인식 수용체 (Pattern recognition receptor)의 발현 증가 등을 통해 침입 병원균에 대한 숙주방어 체계를 가진다. 로사시아 환자의 피부장벽 파괴는 표피의 수분 손실을 가져오며, 이로 인해 피부 항상성을 깨뜨려 피부를 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킨다. 이는 알칼리성에서 활성이 증가하는 표피 프로테아제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특히 표피의 세린 프로테아제 (serine protease)인 칼리크레인-5 (Kallikrein-5,KLK-5)의 활성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선천성 면역계의 주요한 패턴인식 수용체인 톨유사수용체-2 (Toll like receptor-2, TLR-2)는 건선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 환자에서는 발현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으나, 여드름, 로사시아 피부질환에서 발현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로사시아에서 특별한 역할을 하는 것임을 암시한다. 톨유사수용체-2는 외부자극 또는 유발인자에 의해 활성화될 때,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등의 생성을 통해 염증반응을 유도한다. 톨유사수용체-2는 표피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칼리클레인-5는 피부의 항균 펩타이드인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을 활성 형태인 LL-37로 변환시키는 활성을 가진다. 특히 로사시아 환자의 피부병변에서는 칼리크레인-5의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LL-37 활성의 증가도 관찰된다.
항균 펩타이드는 다양한 유기체에 대한 첫 번째 방어 기작을 제공하고 적응성 면역계를 매개함으로써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건선 및 로사시아와 같은 많은 염증성 피부질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로사시아 환자의 표피에서는 카텔리시딘의 발현증가를 나타내는데 인간에서는 단일 카텔리시딘 유전자만이 확인되었다. LL-37의 로사시아 환자에서의 역할은 최근 여러 연구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로사시아 환자의 표피에서 특히 발현이 많이 높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LL-37과 관련된 최근의 연구결과에서는 LL-37 펩타이드를 주사한 BALB/c 마우스에서 혈관 이완증, 홍반 및 염증과 같은 로사시아의 주요한 임상적 특징을 나타내었다. LL-37은 건강한 사람에서는 항균활성과 함께 면역조절 기능을 수행하나, 로사시아 환자에서는 과도한 LL-37의 생성으로 인해 염증반응이 증가되고, 모세혈관 확장, 신생혈관 생성과 같은 홍반의 유발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LL-37의 다양한 기능들 중에서, 이 펩타이드의 혈관의 활성화 및 전염증 요인은 다른 피부 염증성질환과 달리 로사시아의 병리학적 생리에서 현저하게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로사시아의 유발원인에 대한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로사시아 환자에서 선천성 면역계의 이상이 관찰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후천성 면역계의 이상으로 인한 유발 관계에 대해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모낭충의 콜로니화, 미생물 자극, 자외선 (UV), 열 및 스트레스를 포함한 다양한 유발인자는 로사시아의 발생 또는 악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로사시아의 병인에 대한 선천성 면역이상은 외부환경에 대한 피부의 감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로사시아를 발생시키거나 악화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 두드러기와 같은 많은 피부 염증성 질환의 피부에서는 건강한 사람보다 비타민 D 수치가 현저히 낮은 반면, 로사시아 환자의 혈청 비타민 D 수준은 비환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비타민 D는 주로 자외선 노출에 의해서 합성되는 세코 스테로이드로, 미네랄 항상성 및 골대사에 주로 관여하며, 선천성 및 적응성 면역에 대한 면역 조절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비타민 D에는 많은 면역 조절 활성이 있기 때문에 비타민 D에 의한 여러 유형의 면역 세포의 조절은 만성 염증성 질환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결정하는 데 임상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비타민 D는 카텔리시딘의 강력한 유도제로 작용하며, 톨유사수용체-2 및 칼리크레인-5 mRNA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타민 D는 로사시아에서 톨유사수용체-2, 칼리크레인-5 및 LL-37 관련 경로에 영향을 미치고 로사시아 환자의 면역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염증성 캐스케이드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 로사시아의 주요한 치료법은 국소요법으로 항생제 요법이 쓰이고 있으며 이들 약제는 항염작용과 면역억제 작용 등 다양한 기전으로 효능을 나타낸다. 그 외에도 이미다졸, 트레티노인, 아젤라익산, 이버멕틴 크림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염증성 병변이 심한 경우에는 단기적으로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홍반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알파-아드레날린 수용체 작용제인 브리니모딘 또는 옥시메타졸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이용하여 혈관 평활근세포의 수축을 유도하여 홍반을 개선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전신요법으로 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메트리니다졸 등의 경구용 항생제 복용이 구진, 고름물집 병변과 홍반치료에 효과를 나타낸다. 이소트레티노인은 중증과 치료에 저항하는 로사시아 치료에 효과적이며, 특히 피지분비가 많은 환자의 경우에 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로사시아성 홍반 및 염증의 일시적인 개선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들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로사시아의 근본적인 발생 기작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소재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클로로겐산은 카페산과 퀸산의 유도체로 커피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생체 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 효과, 항산화 작용, 항암 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클로로겐산은 카페산과 퀸산의 결합 위치의 차이에 따라 이소클로로겐산, 네오클로로겐산, 슈도클로로겐산 등의 이성질체가 있다.
클로로겐산의 이성질체 중 하나인 이소클로로겐산의 효능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2510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2400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질환 예방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6271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면역증진 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948호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효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3297호는 클로로겐산 복합물의 주름개선 효과 등을 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소클로로겐산의 로사시아 피부 개선 효과에 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더불어 로사시아 환자의 피부 홍조 및 구진, 농포 등의 염증반응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인체 자극이 적고 홍반 및 염증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킬 수 있는 천연 소재를 연구하던 중, 이소클로로겐산이 로사시아성 피부의 홍반 및 염증 발생을 억제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2510호(2018.10.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2400호(2021.04.2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6271호(2018.11.0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8948호(2013.12.0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3297호(2018.06.01.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클로로겐산은 클로로겐산의 이성질체의 하나로서 화학식이 C25H24O12 이며, 이의 이성질체인 하기 화학식 1 내지 3의 구조를 갖는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화학식 1: Isochlorogenic acid A
화학식 2: Isochlorogenic acid B
화학식 3: Isochlorogenic acid C
본 발명에 있어서, 염은 약학적, 화장품학적 및/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 또는 체내에서 이소클로로겐산이 되는 형태(예로, 프로드러그)일 수 있다. 그와 같은 염으로는 약학적, 화장품학적 및/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되는 산부가염 또는 염기에 의해 형성되는 금속염이 있다. 상기 유리산은 무기산과 유기산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산의 예로는 염산, 황산, 브롬산, 아황산 또는 인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유기산의 예로는 구연산, 초산, 말레인산, 후마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이 있으며,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은 자연원(natural source)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미생물에 의해 합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자연원은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쑥(Artemisia)속, 커피나무(Coffea)속 및 고구마(Ipomoea batatas)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로사시아 (rosacea)"는 피부의 홍반, 염증, 구진 (1㎝ 미만 크기의 솟아 오른 피부 병변), 모세혈관 확장증, 부종, 농포 (고름) 또는 이러한 증상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은 일반적으로 얼굴의 중앙 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에 발생하기도 한다.
로사시아의 피부 홍반 및 염증은 내, 외부 자극인자에 의해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된 표피의 프로테아제 칼리크레인-5에 의해 발생되며, 이는 칼리크레인-5에 의해 활성화된 펩타이드 LL-37이 매개하여 피부 혈관에 영향을 주어 피부가 붉게 나타거나, 피부세포 및 면역세포에 영향을 주어 피부의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은 자외선, 모낭충 및 피부 박테리아와 같은 내부 및/또는 외부 자극인자에 의해 발현 및 활성이 증가되는 표피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 (Kallikrein-5)의 발현 및 활성 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함으로써 펩타이드 LL-37의 활성화를 저해할뿐 아니라, 활성화된 LL-37에 의해 유도되는 로사시아 피부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 예에서, 이소클로로겐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표피 프로테아제인 칼리크레인-5의 활성 억제능, 카텔리시딘의 활성 억제능,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발현 억제능, 비만세포의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 분비 억제능, 인간 혈관세포 증식 및 이동 억제능을 분석해 본 결과, 이소클로로겐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가 칼리크레인-5 (Kallikrein-5)의 활성 억제를 통해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 즉 펩타이드 LL-37의 활성화를 저해할 뿐 아니라,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의 분비, 인간 혈관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도 1 내지 도 6).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0.0001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로사시아 피부 홍반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로사시아 피부 증상의 개선효과가 미미하여 화장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예방"이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로사시아의 발병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로사시아의 의심 및 발병 개체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사시아의 예방 또는 치료는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에 의해 칼리크레인-5 (Kallikrein-5)의 발현 및 활성을 억제시키고, 카텔리시딘 (cathelicidin)의 LL-37로의 절단을 억제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염증 매개인자 히스타민 분지, 인간 혈관세포의 증식 및 이동을 억제함에 의해 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0.0001 내지 7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68.0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 로사시아 피부 홍반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7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함량 증가에 따른 상기 효과의 증가량이 미미하며 의약품 제형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용어, "약학 조성물"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고, 윤활제, 습윤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외용제, 좌제, 피부외용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굴의 중앙 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와 같은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부위에만 한정되지 않고 로사시아가 발병한 어느 부위든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컨대 완충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기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란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주입되는 유효성분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비자연적 담체 (non-naturally occuring carrie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여 개체의 몸무게 1 ㎏ 당 일반적으로 1일 0.001 ㎎ 내지 300 ㎎이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기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하여 또는 적당한 집합을 이루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외에 종래 로사시아 치료제로 쓰이는 이미다졸, 트레티노인, 아젤라익산, 이버멕틴 크림, 스테로이드 제제, 테트라사이클린,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메트리니다졸 등의 경구용 항생제 등을 선택하여 추가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투여 방식의 비제한적인 예로, 조성물을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소 투여 (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굴의 중앙 부위, 코 주변과 같이 돌출한 부위와 뺨, 턱, 이마, 두피, 목, 가슴, 등 및 눈 부위와 같은 로사시아의 피부병변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투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사시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란, 로사시아 피부 질환이 발병되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인간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소, 말, 양, 돼지, 염소, 낙타, 영양, 개, 고양이 등의 포유동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구체적으로, 로사시아 피부 질환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투여하는 방법은, 상기에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로사시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로사시아 피부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로사시아 발병 의심 개체에 투여하여 로사시아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 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의 투여량은 0.001~300 ㎎/Kg일 수 있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개선 및 치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선"은 개체에서 표피 프로테아제 칼리크레인-5의 발현 및 활성의 증가로 발생하는 로사시아 피부 홍반 또는 피부 염증의 발병 억제, 경감, 제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 (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 (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의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약사법에 따른 의약외품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은 피부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독청결제, 샤워폼, 가그린, 물티슈, 세제비누, 핸드워시, 또는 연고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보다 상세하게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고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여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물질로서 로사시아 피부 홍반 및 염증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안전하면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 즉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조성물은 피부자극 및 세포독성이 없어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면서도 로사시아의 피부증상을 개선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므로, 로사시아의 홍반, 염증 등의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도로, 구체적으로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정도를 카이네틱 모드로 측정한 형광값 결과 (A) 및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정도를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 무처리군의 형광값을 기준으로 표준화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 절단 억제 효과를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을 유발하는 염증매개인자인 히스타민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홍반을 유발하는 혈관내피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홍반을 유발하는 혈관신생에 있어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억제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효능 측정
피부의 세린계 단백질분해효소인 칼리크레인-5의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재조합 칼리크레인-5 (R&D systems, USA)과 7-Amino-4-methylcoumarin (AMC) 형광이 결합된 칼리크레인-5의 기질인 Boc-Val-Pro-Arg-AMC (R&D systems, USA)를 반응시켜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2 μg/ml 재조합 칼리크레인-5 50 μl에 농도별 (10, 20, 50 μM)로 처리하여 실온에서 10분간 먼저 반응 시킨 뒤, 800 μM 칼리크레인-5 기질 50 μl을 더하여 380 nm/480 nm 형광에서 5분간 카이네틱 모드로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트립신 저해제인 leupeptin (Sigam aldrich, 미국)을 사용하였고, 음성대조군으로는 재조합 칼리크레인을 처리하지 않은 조건을 사용하였다. 활성정도는 각 조건 측정값의 최고 형광값에서 최저 형광값을 빼준 값을 기준으로, 무처리군의 형광값과 비교하여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 처리군의 형광값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양성대조군인 leupeptin과 비교하여 우수한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인간 각질세포에서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 활성화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칼리크레인-5 활성 억제를 통한 카텔리시딘의 LL-37로의 cleavage 억제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웨스턴 블롯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human keratinocyte growth supplement (HKGS, Thermo Fisher, 미국)가 포함된 EpiLife™ Medium (Thermo Fisher, 미국)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200 nM의 칼시트리올 (Carbosynth, 미국)을 처리하여 72 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72 시간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조건별로 수집한 세포 배양액을 트리신 겔 (고마바이오텍, 한국)에 로딩 후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또는 polyvinylidene difluoride) 멤브레인으로 트랜스퍼하여 human LL-73 항체 (R&D systems, USA)를 이용하여 특이적으로 절단된 LL-37 펩타이드를 웨스턴 블롯으로 확인하였다. 세포외로 분비된 칼리크레인-5에 의해 카텔리시딘이 LL-37로 절단된 형태를 웨스턴 블롯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수치화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카텔리시딘이 LL-37로 절단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양성대조군인 leupeptin(Siagma aldrich, 미국)과 비교하여 카텔리시딘이 LL-37로 절단되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 유발인자 발현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염증 유발인자 발현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각질세포와 인간 면역세포인 대식세포를 공동배양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2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미분화된 단핵구 세포주인 THP-1 (ATCC, 미국)은 8 μm 기공 사이즈의 세포배양 인서트 (Millicell® Hanging Cell Culture Insert, millipore, 독일)에 2 × 105 세포수로 접종 시키고 500 nM PMA를 처리하여 대식세포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인간 각질세포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200 nM의 칼시트리올 (Carbosynth, 미국)을 처리하였다. 대식세포로 분화된 단핵구는 새로운 배지로 교체한 뒤,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와 칼시트리올이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 플레이트 삽입하여 72 시간 동안 공동 배양 하였다. 72시간 공동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β, TNF-α)의 측정은 각각의 ELISA 키트 (R&D systems, 미국)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실시 방법은 R&D systems사의 키트 사용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세포 외로 분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치는 각각의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그 양을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발현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칼시트리올 처리로 인해 활성화된 칼리크레인-5의 발현과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LL-37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LL-37로부터 유발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비만세포 탈과립화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로사시아 비만세포의 염증 매개인자 분비 억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각질세포와 마우스 비만세포인를 공동배양하여 히스타민의 분비 억제정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 (human epidermal keratinocytes)를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1 × 103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인간 각질세포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200 nM의 칼시트리올 (Carbosynth, 미국)을 처리하였다. 마우스 비만 세포주인 MC/9 (ATCC, 미국)은 0.4 μm 기공 사이즈의 세포배양 인서트 (Millicell® Hanging Cell Culture Insert, millipore, 독일)에 5 × 106 세포수로 접종 시키고,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와 칼시트리올이 처리된 인간 각질세포 플레이트 삽입하여 12 시간 동안 공동 배양 하였다. 12시간 공동 배양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덜어낸 다음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만을 수집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비만세포의 활성화로 인한 탈과립화된 염증 매개인자 히스타민의 측정은 Histamine ELISA 키트 (Enzo Life Science, 미국)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실시 방법은 Enzo Life Science사의 키트 사용 설명서에 따라 수행하였다. 세포 외로 탈과립화된 염증 매개인자 히스타민의 수치는 각각의 표준곡선에 대비하여 그 양을 환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염증 매개인자히스타민의 탈과립화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칼시트리올 처리로 인해 활성화된 칼리크레인-5의 발현과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LL-37의 생성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LL-37로부터 유발되는 히스타민의 탈과립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증식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내피세포 증식 억제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혈관세포 (human microvascular epithelial cells, HMEC-1, ATCC, 미국)를 10 ng/ml EGF, 1 μg/mL 코티솔, 10 mM 글루타민, 10% FBS가 포함된 MCDB131 Medium (Thermo Fisher, 미국)에 배양한 후 24-웰 플레이트에 웰 당 5 × 104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각 웰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의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5 μg/mL 농도의 LL-37을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혈관세포의 증식 정도를 WST-1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는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증식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LL-37에 의해 유도된 인간 혈관세포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이동 억제 효과 측정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내피세포 미동 억제에 대한 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인간 혈관세포 (human microvascular epithelial cells, HMEC-1, ATCC, 미국)를 10 ng/ml EGF, 1 μg/mL 코티솔, 10 mM 글루타민, 10% FBS가 포함된 MCDB131 Medium (Thermo Fisher, 미국)에 배양한 후 12-웰 플레이트에 웰 당 2 × 105 세포수로 접종시키고 5% 농도의 CO2 배양기에서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각 웰이 90% 이상 차게 배양한 후 200 μl 멸균 피펫팁을 사용하여 균일하게 자란 단일 세포층을 scratch를 가한 뒤 멸균인산완충용액으로 웰을 세척 후 배양배지를 다시 교체해 주었다. 각 웰에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의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5 μg/mL 농도의 LL-37을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다시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 후 혈관세포의 이동 정도를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은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간 혈관세포 이동 억제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LL-37에 의해 유도된 인간 혈관세포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이 인체피부에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안전성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피부누적자극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의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 0.1%, 0.5% 및 1%를 함유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상인 정제수, 트리에탄올아민 및 프로필렌 글리콜을 70℃로 가열하고 용해시킨 후, 밀납, 유동파라핀, 유상성분, 유화제 및 방부제를 70℃로 가열하여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켰다. 유화가 완료된 후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키고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각각 0.1%, 0.5% 및 1%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였다.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의 함량을 0.1%, 0.5% 및 1%로 증가시킴에 따라서 유동파라핀의 함량을 각각 9.91%, 9.51% 및 9.01%로 줄여가며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영양크림을 사용하여 건강한 3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 첩포를 시행하여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가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 (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각 피부외용제를 15 ㎕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의 정도를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평균반응도 = [[{(반응지수 × 반응도)/(총 피검자수 × 최고점수(4점))}] × 100]÷검사회수(9회)
상기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및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된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 + ++ ± + ++ ± + ++
대조군
(스쿠알렌)
-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9
이소클로로겐산 A
(0.1%)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A
(0.5%)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A
(1%)
[시험군 1]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B
(0.1%)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B
(0.5%)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B
(1%) [시험군 2]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C
(0.1%)
[시험군 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C
(0.5%)
[시험군 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이소클로로겐산 C
(1%)
[시험군 3]
0 - - 0 - - - - - - - - - - - - - - - - - - - - - - - 0.0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험군 1, 2 및 3 모두 ±, + 및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모두 0명이고, 평균 반응도 역시 0.00이었다. 상기 시험결과 3 이하의 평균반응도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는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는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와 같이 제제예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1. 유연화장수
하기의 표 2와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 정제수 82.79
총계 100.0
1-2. 영양화장수
하기의 표 3과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69.69
총계 100.0
1-3. 영양크림
하기의 표 4과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56.79
총계 100.0
1-4. 마사지 크림
하기의 표 5와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27.49
총계 100.0
1-5. 팩
하기의 표 6과 같이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이소클로로겐산 A, 이소클로로겐산 B 또는 이소클로로겐산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0.01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및 미량정제수 81.39
총계 100.0
제제예 2 : 약제학적 제제
2-1. 산제의 제조
성분 함량(g)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2
유당 1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2. 정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3. 캡슐제의 제조
성분 함량(mg)
클로로겐산 이성질체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8)

  1.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은 전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은 전체 약학적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70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성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8. 이소클로로겐산 및 이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사시아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상기 이소클로로겐산은 이소클로로겐산 A(Isochlorogenic acid A), 이소클로로겐산 B(Isochlorogenic acid B) 및 이소클로로겐산 C(Isochlorogenic acid 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이소클로로겐산 이성질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210160873A 2021-11-22 2021-11-22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ctive KR102751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873A KR102751617B1 (ko) 2021-11-22 2021-11-22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CT/KR2022/017867 WO2023090781A1 (ko) 2021-11-22 2022-11-14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873A KR102751617B1 (ko) 2021-11-22 2021-11-22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874A KR20230076874A (ko) 2023-06-01
KR102751617B1 true KR102751617B1 (ko) 2025-01-10

Family

ID=8639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873A Active KR102751617B1 (ko) 2021-11-22 2021-11-22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51617B1 (ko)
WO (1) WO202309078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54112A1 (en) * 2018-04-13 2021-05-27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Use of a new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appearance of signs of inflam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630A (ko) * 2003-07-07 2005-01-14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아이쥐에프-1 분비 촉진 활성이 뛰어난 인동 추출물, 이의제조방법 및 용도
ATE464055T1 (de) * 2004-09-14 2010-04-15 Ajinomoto Omnichem S A Topische zusammensetzungen mit phosphorylierten polyphenolen
WO2008125237A2 (en) * 2007-04-17 2008-10-23 Bayer Consumer Care Ag Use of vernonia appendiculata extract for improving the skin status
KR101338948B1 (ko) 2011-08-30 2013-12-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청신경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49114B1 (ko) * 2012-08-21 2014-10-13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푸마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CN104546819A (zh) * 2013-10-09 2015-04-29 中国医学科学院药物研究所 二咖啡酰奎宁酸在治疗系统性自身免疫性疾病中的用途
KR101863297B1 (ko) 2016-04-01 2018-06-01 (주)에스디생명공학 클로로겐산 및 루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FR3050455B1 (fr) * 2016-04-26 2019-06-14 Temisis Derives amides des acides polycafeoylquiniques,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KR101916271B1 (ko) 2017-08-07 2018-11-07 애경산업(주) 면역 증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02510B1 (ko) 2017-08-07 2018-10-01 애경산업(주)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및 약제학적 조성물
KR102162842B1 (ko) * 2017-12-20 2020-10-08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며느리밑씻개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42400B1 (ko) 2018-08-23 2021-04-20 애경산업(주) 스트레스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용 기능성 식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54112A1 (en) * 2018-04-13 2021-05-27 Societe D'exploitation De Produits Pour Les Industries Chimiques Seppic Use of a new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slowing the appearance of signs of inflam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90781A1 (ko) 2023-05-25
KR20230076874A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524B1 (ko)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RU2671492C2 (ru)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берберин или его аналоги для лечения кож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связанных с розацеа или с покраснением лица
US7994141B2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KR102336218B1 (ko) 콜히친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소양증 치료용 조성물
US2012006526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for stimulating hair growth
KR20220123618A (ko) 울산도깨비바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KR20110017599A (ko)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1623375B1 (ko) 키토산 및 디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주사 질환의 치료용 조성물
KR102751617B1 (ko) 이소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70097291A (ko)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한 항균제
KR102790058B1 (ko) 쑥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로사시아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230080174A (ko) 미성숙 탱자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5438239B1 (ja) シコニン誘導体を有するペリオスチンの発現抑制剤
KR102514975B1 (ko) 이소오카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민감성 피부용 조성물
KR101906896B1 (ko) 티몰 및 미르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5591B1 (ko) 휴매닌 또는 이의 유사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51396B1 (ko)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또는 피부 소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718114B1 (ko) 배롱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피지 분비 및 비듬 억제용 조성물
JP7690469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US20230383330A1 (en) Reelin/vegf-c production/activation promoter and skin external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102248513B1 (ko) 무좀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4197534A1 (en) Reelin/vegf-c production/activation promoter and skin external composition using the same
US20240189377A1 (en) Methods of us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iceland moss extract
KR100528033B1 (ko) 4-하이드록시-5-메톡시-4-[2-메틸-3-(3-메틸-2-부테닐)-2-옥시란닐]-1-옥사스피로[2,5]옥탄-6-온을 함유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1949855B1 (ko) 4-n-부틸레조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반응 억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7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