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1289B1 -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1289B1
KR102751289B1 KR1020190114881A KR20190114881A KR102751289B1 KR 102751289 B1 KR102751289 B1 KR 102751289B1 KR 1020190114881 A KR1020190114881 A KR 1020190114881A KR 20190114881 A KR20190114881 A KR 20190114881A KR 102751289 B1 KR102751289 B1 KR 10275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vehicle
information
control device
lo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311A (ko
Inventor
박민구
정재훈
김지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1289B1/ko
Priority to US16/800,845 priority patent/US11657374B2/en
Priority to CN202010177002.3A priority patent/CN112529566A/zh
Publication of KR20210033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12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4Transactions dependent on location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5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using wireless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8RFID or NFC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2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 G07F13/02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by volume wherein the volume is determined during delive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arking 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40/00Transportation facility access, e.g. fares, tolls or pa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결제 단말기와 보안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장치, 결제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장치, 및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차체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IN-VEHICLE PAYMENT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일 예로, 스마트폰(smartphone),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또는 전자키(FOB) 등의 모바일 장치를 활용하여 차량 출입(즉, 도어 잠금과 해제) 및 시동 등의 기능을 지원하는 디지털 키 시스템이 있다. 디지털 키 시스템은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을 이용하여 디지털 키 인증을 수행한다. 디지털 키는 앱(application, app) 형태로 모바일 장치에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장착된 네비게이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등을 통해 주유요금을 결제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결제하는 등의 전자상거래 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차량 운행 중 결제가 필요한 경우 예컨대, 주유소에서 주유하는 경우, 주차장 출차 시 주차비를 정산하는 경우, 또는 드라이브 스루(drive through) 상점에서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 운전자는 지갑 또는 가방 등에서 결제수단(예: 체크 카드 또는 현금 등)을 찾고 차량에 승차한 상태 또는 차량에서 하차한 후 결제해야 하므로, 신속한 결제가 어렵다.
또한, 차량에 승차한 상태로 결제 시 운전자가 신속한 결제를 위해 결제수단을 미리 준비하는 경우 운전자의 주의력이 분산되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20170124519 A
본 발명은 UWB(Ultra Wide Band) 통신을 활용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결제를 수행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시스템은 결제 단말기와 보안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장치, 결제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장치, 및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차체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통신장치는 초광대역(UWB) 통신을 상기 보안 통신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통신장치는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LF(Low Frequency)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보안 통신을 통해 차량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위치와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허용오차범위 이내이면 상기 결제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정위치는 주유 가능 위치, 주차 가능 위치 및 주문물품 수령위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위치와 상기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며 보안 통신 가능 범위 이내이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여 사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결제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제2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주유 완료, 주차장 출차 또는 주문물품 수령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주차요금표 및 상기 결제 단말기의 절대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상기 차량에 매칭되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방법은 차체제어장치가 보안 통신을 기반으로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차체제어장치가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체제어장치가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안 통신은 초광대역(UWB) 통신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이후, 상기 차체제어장치가 상기 보안 통신을 통해 차량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위치와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허용오차범위 이내이면 상기 결제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정위치는 주유 가능 위치, 주차 가능 위치 및 주문물품 수령위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이후, 상기 차체제어장치가 상기 차량위치와 상기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며 상기 결제 단말기의 보안 통신 가능 범위 이내이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여 사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차량에 탑재되는 결제장치 또는 차량에 승차한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주유 완료, 주차장 출차 또는 주문물품 수령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출입 및 시동 등을 위한 디지털 키의 인증 보안 기술로 사용되는 UWB 통신을 활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므로, 차량 내 결제 서비스의 보안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UWB 통신을 기반으로 결제 차량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어 사전 주문 및 하나의 결제 단말기로 원격 결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디지털 키 시스템의 구성 변경 없이 차량 결제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므로, 원가상승 없이 차량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면.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요금 알림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시스템(100)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면이고,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차량에 탑재되는 디지털 키 시스템을 활용한 무선 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의 무선 결제 서비스는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결제자(예: 운전자 또는 동승자 등)가 하차 없이 주유, 주차 또는 물품 주문 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결제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차량 내 통신(In-Vehicle Network, IVN)을 통해 연결되는 제1통신장치(110), 인증장치(120), 제2통신장치(130), 결제장치(140), 사용자 인터페이스(150), 공조장치(160) 및 차체 제어장치(170)를 포함한다. 차량 내 통신망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X-by-Wire(Flexray) 등의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통신장치(110)는 차량 결제 시스템(100)이 결제 단말기(200)와 보안 통신을 수행하게 한다. 여기서, 보안 통신은 디지털 키 인증에 사용되는 통신 기술로, 초광대역(Ultra Wide Band, UWB) 통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UWB 통신은 차량의 위치(차량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결제 단말기(200)는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 POS(Point Of Sales)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결제 단말기(2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신모듈, 사용자 입력모듈, 출력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장치(110)는 결제 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BLE), LF(Low Frequency) 통신,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및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통신장치(110)는 블루투스 및/또는 LF 통신을 이용하여 UWB 통신 웨이크업(wakeup) 요청을 결제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장치(110)는 결제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예: 인증서)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인증장치(120)는 제1통신장치(110)를 통해 결제 단말기(200) 또는 디지털 키가 저장된 이동 단말기(300)와 보안이 필요한 데이터(예: 인증서)를 주고 받는다. 인증장치(120)는 결제 단말기(200) 및/또는 디지털 키의 아이덴티티 인증(Identity Authentication)(이하, ID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장치(120)는 결제 단말기(200) 또는 디지털 키가 저장된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인증서를 수신하면, 수신된 인증서에 기초하여 ID 인증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300)는 무선 및/또는 유선 통신이 가능한 기기로,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또는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한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300)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통신모듈, 사용자 입력모듈, 출력모듈,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통신장치(130)는 결제수단 정보가 저장된 이동 단말기(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 LF 통신, NFC, UWB, RFID 등의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제2통신장치(13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충전(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결제장치(140)는 차량에 장착되어 결제수단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된 결제수단 정보를 차체제어장치(17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결제장치(140)는 차량 내 룸 미러(room mirror)에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결제장치(140)는 결제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현금카드, 또는 스마트 카드(앱 카드) 등일 수 있고, 결제수단 정보는 카드번호, 유효기간, 생체정보 및 서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로부터 데이터(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차체 제어장치(170)의 동작에 따른 진행상황 및 결과를 출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또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지문센서 및/또는 홍채 센서 등의 생체정보 입력장치, 키보드, 버튼 및/또는 스위치 등의 입력장치 및 표시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디스플레이,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터치스크린 및 클러스터(clus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생체정보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예: 결제자)의 생체정보 예컨대, 지문 또는 홍채 등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입력받은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차체제어장치(17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를 차체제정장치(17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입력장치를 통해 특정 객체(예: 구매할 물품 등) 선택 정보 또는 주유량 등의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는 결제정보 및 결제승인내용 등을 시각 정보, 청각 정보 및/또는 촉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공조장치(air conditioning)(160)는 차량 실내의 온도, 습도 및/또는 공기 흐름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조장치(160)는 차체 제어장치(170)의 지시에 따라 동작 모드를 내기 모드 또는 외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차체제어장치(body controller)(170)는 스마트키, 차량 도어 개폐 및 타이어 공기압 등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장치(140) 또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차체제어장치(170)는 프로세서(171) 및 메모리(17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71)는 차체제어장치(1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71)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PLD(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72)는 프로세서(171)가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메모리(172)는 결제수단 등록정보 및 차량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수단 등록정보는 기정해진 등록절차에 따라 사전에 저장되는 정보로, 결제수단 식별정보(예: 카드번호), 결제수단 유효기간 및 사용자 인증 정보(결제자 인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정보는 차대번호 및 유종(연료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2)는 디지털 키 인증 프로그램, 사용자(결제자) 인증 프로그램, 측위 프로그램 및 요금 계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72)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및 착탈형 디스크 등의 저장매체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차체제어장치(170)의 프로세서(171)는 제1통신장치(110)를 통해 차량위치를 측정한다. 다시 말해서, 차체제어장치(170)는 UWB 통신을 통해 결제 단말기(200)로부터 결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절대위치)를 획득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UWB 통신이 가능한 범위(영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에 결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송신한다.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 단말기(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차량의 상대 위치(즉, 차량위치)를 산출한다. 즉, 프로세서(171)는 차량 즉, 차량 결제 시스템(100)과 결제 단말기(200)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를 기반으로 차량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삼각측량 및/또는 ToF(Time-of-Flight Technique)를 이용하여 차량위치(차량과 결제 단말기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차량위치와 지정위치 간의 오차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위치는 주유 가능 위치, 주차 가능 위치 및 주문물품(구매물품) 수령위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차량위치와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허용오차범위 이내인지를 확인한다. 허용오차범위는 사전에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설정된다.
프로세서(171)는 차량위치와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허용오차범위 이내이면 결제정보를 확인하고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한다. 프로세서(171)는 차량이 지정위치에 도달하기 전 또는 후 결제 단말기(200)로부터 결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차량이 지정위치에 도달하면 결제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출력한다. 다시 말해서, 프로세서(171)는 차량위치와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허용오차범위 이내이면 결제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에 출력한다. 프로세서(17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의 화면 상에 결제정보를 표시하고 결제정보에 포함된 비용을 결제할 결제자를 결정한다. 프로세서(17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운전자 또는 동승자를 결제자로 결정(선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71)는 결정된 결제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한다. 프로세서(171)는 결제자 인증 처리를 통해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한 결제의 승인을 결정한다. 예컨대, 프로세서(171)는 메모리(172)에 기저장된 결제수단 등록정보 내 지문정보와 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되는 지문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한다. 프로세서(171)는 두 지문정보가 일치하면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한 결제를 승인하고, 두 지문정보가 불일치하는 경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한 결제의 승인을 거부한다.
프로세서(171)는 결제 승인 시 결제수단 정보를 결제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하고, 결제 승인 결과를 차체제어장치(17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71)는 결제 승인 결과를 결제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량(V1)이 주차 가능 영역(A) 내 진입하면, 제1차량(V1)의 차체제어장치(170)는 제1통신장치(110)를 통해 결제 단말기(200)와의 보안 통신을 통해 차량위치를 측정한다. 제1차량(V1)의 차체제어장치(170)는 유종, 주유량 및 차량위치를 결제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위치를 확인하여 차량위치에 매칭되는 주유기(L)에 유종(연료 정보) 및 주유량 정보를 제공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주유 중 또는 주유 완료 시 주유요금을 계산하고 주유요금, 주유량 및/또는 주유가격 등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제1차량(V1)으로 전송한다. 제1차량(V1)의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정보를 토대로 결제처리한다.
또한, 제1차량(V1)의 차체제어장치(170)는 차량에 탑재된 SVM(Surround View Monitor)을 이용하여 주유기(L)의 위치를 파악하여 제1차량(V1)의 주유구를 자동으로 개방(open)할 수 있다.
제2차량(V2)의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 단말기(200)와의 통신을 통해 제2차량(V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3차량(V3)의 주유 여부를 확인한다. 제2차량(V2)의 차체제어장치(170)는 제3차량(V3)이 주유를 완료한 경우 제3차량(V3)의 운행으로 인한 매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공조장치(160)를 제어하여 동작 모드를 내기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공조장치(160)는 자신의 동작 모드가 외기 모드인 경우 내기 모드로 전환하고, 내기 모드인 경우 현재의 동작 모드를 유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차량(V1)의 차체제어장치(170)는 출차 전 주차 상태에서 보안 통신을 통해 결제 단말기 A(200A)와 연동하여 주차요금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요금 결제를 위해 대기하거나 또는 주차요금 사전 결제를 위해 주차요금 정산기를 찾아 다니는 수고를 덜 수 있다.
한편, 제2차량(V2)의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 단말기 B(200B)에 결제 단말기 위치 정보 및 주차요금표 등의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결제 단말기 B(200B)는 UWB 통신을 통해 결제 단말기 B(200B)의 절대 위치 정보 및 주차요금표를 제2차량(V2)로 전송한다. 제2차량(V2)의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 단말기 B(200B)로부터 제공받은 절대 위치 및 주차요금표를 기반으로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산출한다. 제2차량(V2)의 차체제어장치(170)는 산출된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 정보를 제2차량(V2)에 매칭되는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300)는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주차요금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차량 결제 시스템(100)이 주유소에서 주유요금을 결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주유소에 배치된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이 주유소에 진입하면 주유가격 정보를 해당 차량으로 송신한다(S110). 주유가격 정보는 유종별로 기준 단위(예: 리터)당 가격을 포함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주유가격 정보를 송신할 때 결제 단말기(200)의 절대 위치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차량이 주유 가능 영역에 주차하면 결제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주유가격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에 표시한다(S120). 여기서, 주유 가능 영역은 사전에 지정되는 위치(지정위치)이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의 차체제어장치(170)는 UWB 통신을 기반으로 차량위치를 측정한다. 여기서, 차량위치는 결제 단말기(200)의 절대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위치(상대거리)를 말한다. 차체제어장치(1700)는 차량위치와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허용오차범위 내이면 주유가격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주유량을 선택한다(S130). 차체제어장치(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주유량을 결정한다. 이때, 차체제어장치(17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주유금액을 결정할 수도 있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주유량이 선택되면 주유량, 유종 및 차량위치를 결제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주유구를 개방한다(S140). 차체제어장치(170)는 주유량, 유종 및 차량위치를 포함하는 주유 요청 메시지를 결제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위치에 매핑되는 주유기에 주유 명령을 전송한다(S150). 주유 명령은 주유량 및 유종 정보를 포함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 결제 시스템(100)으로부터 주유금액을 제공받는 경우, 주유금액과 주유가격 정보를 기반으로 주유량을 계산하여 주유기에 제공한다. 주유기는 결제 단말기(200)의 주유 명령에 따라 해당 유종만 공급할 수 있게 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주유를 하는 동안 주유량, 유종 및 주유가격에 기반하여 주유요금을 계산하고 계산된 주유요금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전송한다(S160). 결제 단말기(200)는 주유 중에 결제정보를 차량 결제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유를 시작하는 시점 또는 주유가 완료되는 시점에 결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결제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에 출력한다(S17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자를 결정한다(S180). 차체제어장치(170)는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 중 어느 한 명을 결제자로 결정한다. 이때, 차체제어장치(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제자를 선택할 수 있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한다(S190).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자가 차량 소유자인 경우 결제장치(140)로부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한다. 결제장치(140)는 결제장치(140)에 탑재된 결제수단의 정보를 판독하여 차체제어장치(170)에 전송한다. 한편,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자가 동승자인 경우 제2통신장치(130)를 통해 결제자의 이동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통해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수단 정보에 대한 결제자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S200).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수단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결제자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결제자 인증은 지문 인증 또는 홍채 인증 등의 인증 기술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체제어장치(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를 통해 결제자의 지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지문 정보와 기등록된 결제수단에 매핍되는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두 지문 정보가 일치하면 결제자 인증 성공으로 판단한다. 한편, 차체제어장치(170)가 결제자의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300)는 결제수단 정보에 대한 결제자 인증 처리를 수행한 후 결제자 인증 결과를 차체제어장치(170)에 전송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자 인증에 성공하면 결제수단 정보를 결제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차체제어장치(170)는 UWB 통신을 통해 결제수단 정보를 송신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승인 처리를 수행한다(S220). 이때, 결제 단말기(200)는 주유 완료 후 결제 승인 처리를 수행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PG(Payment Gateway)사 서버(미도시)에 결제수단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PG사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응답을 수신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결제 승인 결과를 차량 결제 시스템(100)에 전송한다(S230). 결제 단말기(200)는 수신된 결제 승인 응답에 기반하여 결제 승인 결과를 차량에 전송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 승인 결과를 결제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에 출력한다(S240).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 승인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주차비를 결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UWB 통신을 기반으로 결제 단말기(200)과 연동하여 주차비 결제를 수행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주차비(주차요금) 정산을 요청할 수 있다(S310). 차체제어장치(170)는 주차장으로부터 출차 전 또는 출차 시 주차요금 정산을 결제 단말기(200)에 요청할 수 있다. 차체제어장치(170)는 주차비 정산을 요청할 때, 차량번호 및/또는 주차위치 등과 같은 식별정보를 함께 전송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 결제 시스템(100)의 요청에 따라 주차비를 정산한다(S320). 결제 단말기(200)는 주차요금표에 근거하여 주차시간에 따른 주차요금을 계산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정산된 주차비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생성하여 주차비 정산을 요청한 해당 차량에 전송한다(S33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 단말기(200)로부터 결제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결제정보를 출력한다(S340). 차체제어장치(1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결제정보를 표시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정보를 출력한 후 결제자를 결정한다(S35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자가 결정되면 결제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한다(S36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의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정된 결제자에 매칭되는 결제장치(140) 또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수단 정보에 대한 결제자 인증을 처리한다(S37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자 인증이 성공하면 결제수단 정보를 결제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380).
결제 단말기(200)는 결제수단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승인 처리를 수행한다(S390).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이 주차장을 출차한 후 또는 주차위치(주차구획)로부터 이탈을 시작하는 시점에 PG사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결제 단말기(200)는 결제 승인 결과를 차량 결제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40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제1통신장치(110)를 통해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 승인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에 출력한다(S410). 차체제어장치(170)는 제1통신장치(110)를 통해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제 승인 결과를 시각 정보 및/또는 청각 정보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요금 알림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주차 완료 후 주차요금표 및 결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결제 단말기(200)에 요청한다(S510). 이때, 차체제어장치(170)는 차량식별정보 및 차종 등을 포함하는 차량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주차요금표는 차종 및 주차시간별 주차요금이 정의된 테이블이다.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 결제 시스템(100)의 요청에 따라 주차요금표 및 결제 단말기(200)의 절대 위치 정보를 차량 결제 시스템(100)로 전송한다(S520).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의 주차장 입차 시간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주차요금표 및 절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계산한다(S530). 차체제어장치(170)는 주차요금표에 근거하여 예상 주차요금을 계산한다.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 단말기(200)와의 UWB 통신을 통해 차량과 결제 단말기(200)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차량의 주차위치를 산출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산출된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차량에 매칭되는 이동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540). 차체제어장치(170)는 차량용 무선 통신(예: 텔레매틱스)을 이용하여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이동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이동 단말기(300)는 수신되는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S550). 예컨대, 이동 단말기(300)는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는 드라이브 스루 상점에서 주문 결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7를 참조하면, 결제 단말기(200)는 판매상품 정보를 전송한다(S710). 결제 단말기(200)는 기설정된 주기로 판매상품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결제 단말기(200)의 UWB 통신 가능 범위 내로 차량이 진입하면 판매상품 정보를 송신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 단말기(200)로부터 제공받은 판매상품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의 화면 상에 표시한다(S72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구매상품을 결정한다(S730). 예를 들어, 운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의 화면에 표시되는 판매상품들 중 구매할 상품을 선택하면, 차체제어장치(17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을 구매물품으로 결정한다. 차체제어장치(170)는 구매상품이 결정되면 결정된 구매상품을 포함하는 주문서를 결제 단말기(200)에 전송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 결제 시스템(100)으로부터 주문서를 받으면 주문서 내 구매상품을 토대로 결제금액을 계산한다(S740).
결제 단말기(200)는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차량 결제 시스템(100)으로 송신한다(S75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에 출력한다(S76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정보를 출력한 후 결제자를 결정한다(S77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자가 결정되면 결제자에 매핑되는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한다(S78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의 차체제어장치(170)는 결제장치(140) 또는 이동 단말기(300)로부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수단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결제자 인증을 처리한다(S790).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자 인증이 성공하면 결제수단 정보를 결제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800).
결제 단말기(200)는 결제수단 정보를 기반으로 결제 승인을 처리한다(S810). 결제 단말기(200)는 차량이 구매물품 수령위치에 도달하기 전 또는 후 PG사 서버에 결제 승인을 요청할 수 있다. 결제 단말기(200)는 PG사 서버로부터 결제 승인 응답을 수신한다.
결제 단말기(200)는 결제 승인 결과를 차량 결제 시스템(100)으로 전송한다(S820). 결제 단말기(200)는 결제 승인 응답에 근거하여 결제 승인 결과를 차량에 제공한다.
차량 결제 시스템(100)은 결제 승인 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50)에 출력한다(S830).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결제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0)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1100)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차량 결제 시스템 110: 제1통신장치
120: 인증장치 130: 제2통신장치
140: 결제장치 150: 사용자 인터페이스
160: 공조장치 170: 차체제어장치
200: 결제 단말기 300: 이동 단말기

Claims (18)

  1. 결제 단말기와 보안 통신을 수행하는 제1통신장치,
    결제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결제장치, 및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정보를 제공받으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차체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결제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전방 타차량의 주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타차량이 주유를 완료한 경우 공조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장치는 초광대역(UWB) 통신을 상기 보안 통신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장치는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 LF(Low Frequency)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보안 통신을 통해 차량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위치와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허용오차범위 이내이면 상기 결제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위치는 주유 가능 위치, 주차 가능 위치 및 주문물품 수령위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차량위치와 상기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며 보안 통신 가능 범위 이내이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여 사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통신장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제2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주유 완료, 주차장 출차 또는 주문물품 수령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결제 단말기로부터 주차요금표 및 상기 결제 단말기의 절대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예상 주차요금 및 주차위치를 상기 차량에 매칭되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시스템.
  12. 차체제어장치가 보안 통신을 기반으로 결제 단말기로부터 결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차체제어장치가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차체제어장치가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여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체제어장치는,
    상기 결제 단말기와의 통신을 통해 전방 타차량의 주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타차량이 주유를 완료한 경우 공조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통신은 초광대역(UWB) 통신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이후,
    상기 차체제어장치가 상기 보안 통신을 통해 차량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차량위치와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허용오차범위 이내이면 상기 결제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위치는 주유 가능 위치, 주차 가능 위치 및 주문물품 수령위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이후,
    상기 차체제어장치가 상기 차량위치와 상기 지정위치 간의 오차가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며 상기 결제 단말기의 보안 통신 가능 범위 이내이면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 단말기와 연동하여 사전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차량에 탑재되는 결제장치 또는 차량에 승차한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주유 완료, 주차장 출차 또는 주문물품 수령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상기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결제 방법.
KR1020190114881A 2019-09-18 2019-09-18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275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81A KR102751289B1 (ko) 2019-09-18 2019-09-18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6/800,845 US11657374B2 (en) 2019-09-18 2020-02-25 In-vehicle payment system and method
CN202010177002.3A CN112529566A (zh) 2019-09-18 2020-03-13 车载支付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81A KR102751289B1 (ko) 2019-09-18 2019-09-18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11A KR20210033311A (ko) 2021-03-26
KR102751289B1 true KR102751289B1 (ko) 2025-01-09

Family

ID=7486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881A Active KR102751289B1 (ko) 2019-09-18 2019-09-18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57374B2 (ko)
KR (1) KR102751289B1 (ko)
CN (1) CN1125295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1289B1 (ko) * 2019-09-18 202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4150A (ko) * 2021-04-19 2022-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Uwb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장치
CN113191761A (zh) * 2021-05-14 2021-07-30 Tcl通讯(宁波)有限公司 基于uwb的车辆控制方法、装置、智能终端及存储介质
KR102631448B1 (ko) * 2021-06-09 2024-01-30 주식회사 지오플랜 Uwb를 이용한 대중교통 결제 방법 및 시스템
CN113408990B (zh) * 2021-06-29 2023-04-18 满帮信息咨询有限公司 货运订单处理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418584A (zh) * 2022-01-20 2022-04-29 深圳市雪球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业务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775136B1 (ko) * 2022-02-03 2025-03-05 이대근 구매자 위치 정보에 기반한 주문 및 자동 결제 처리가 가능한 지연 결제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4881628A (zh) * 2022-05-17 2022-08-09 中国银联股份有限公司 支付方法、装置、设备、介质及产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909B1 (ko) * 2016-11-09 2018-06-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내장형 결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9219B2 (ja) * 2000-01-31 2007-08-1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両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US20090024525A1 (en) * 2007-07-16 2009-01-22 Blumer Frederick T Vehicle Wallet
CN101960497B (zh) * 2007-12-26 2015-09-30 约翰逊控制技术公司 管理车辆中商务的系统和方法
US20100017118A1 (en) * 2008-07-16 2010-01-21 Apple Inc. Parking & location management processes & alerts
US20110136429A1 (en) * 2009-12-04 2011-06-0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ular wireless payment authorization method
KR101326424B1 (ko) * 2012-01-31 2013-11-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에어컨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150206181A1 (en) * 2013-01-14 2015-07-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n-vehicle digital advertisement
US10332104B2 (en) * 2013-08-01 2019-06-25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an in-vehicle electronic wallet
EP2887018B1 (en) * 2013-12-18 2018-02-07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ueling cost information in a vehicle
US10580001B2 (en) * 2014-01-13 2020-03-03 Epona Llc Vehicle transaction data communication using communication device
US9639907B2 (en) * 2014-06-27 2017-05-02 Paypal, Inc. Communication of orders and payments in a drive through using wireless beacons
CN104318427A (zh) * 2014-11-10 2015-01-28 江苏本能科技有限公司 一种涉车后台电子支付系统及方法
DE102014224113A1 (de) * 2014-11-26 2016-06-02 Robert Bosch Gmbh Parkplatzverwaltungsserver für einen Parkplatz
US9477970B2 (en) * 2014-12-19 2016-10-25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Usa, Inc. Wireless incentive system for vehicle users
KR101670423B1 (ko) * 2015-01-14 2016-10-31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매체 매칭을 이용한 역방향 주유 결제 처리 방법
CN104660679A (zh) * 2015-01-21 2015-05-27 上海修源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语音提示功能的汽车操作系统及其控制方法
US20170148061A1 (en) * 2015-11-23 2017-05-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fuel price advertising and fulfillment
AU2016365707B2 (en) * 2015-12-07 2020-06-2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vehicle connectivity in association with payment transactions
KR20170076448A (ko) * 2015-12-24 2017-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어 방법
US10896417B2 (en) * 2016-04-06 2021-0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reless payment transactions in a vehicle environment
CN107516344A (zh) * 2016-06-15 2017-12-2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停车费用结算方法及车载终端
KR101861700B1 (ko) * 2016-10-14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57421B1 (ko) * 2016-11-21 2018-05-16 (주) 하나텍시스템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20180137648A (ko) * 2017-06-16 2018-12-28 주식회사 오윈 신호장치를 이용한 주유결제 방법
CN107352497B (zh) * 2017-07-21 2018-10-12 北京图森未来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的自动加油方法、装置和系统
KR101850454B1 (ko) 2017-11-02 2018-04-19 주식회사 경신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326732A1 (en) * 2019-04-11 2020-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uel level display systems and methods
JP7155065B2 (ja) * 2019-05-15 2022-10-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751289B1 (ko) * 2019-09-18 202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909B1 (ko) * 2016-11-09 2018-06-20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내장형 결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57374B2 (en) 2023-05-23
KR20210033311A (ko) 2021-03-26
US20210081912A1 (en) 2021-03-18
CN112529566A (zh)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51289B1 (ko)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1699142B1 (en) Merchant terminal for receiving payment from a vehicle
US1232192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data messages from a user vehicle
US110939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vehicle connectivity in association with payment transactions
US11093941B2 (en) Electronic system hardware for secure payments for vehicles
US10580001B2 (en) Vehicle transaction data communication using communication device
US100322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based secure ordering and payment
CA2932923C (en) In-vehicle data entry
US201502429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activating an electromechanically controlled fuel dispenser
US201501615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a transaction using a fuel dispensing nozzle
WO2015016929A1 (en) Techniques for an in-vehicle electronic wallet
US10896417B2 (en) Wireless payment transactions in a vehicle environment
US201803420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Personalizing Vehicles Based on User Profiles
US20180174139A1 (en)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a transaction with a motor vehicle
KR20220052324A (ko) 차량 프로파일에 기초한 사용자 인증을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3414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card online purchase authentication
US11880819B2 (en) Contactless fuel payment systems and methods
KR2016007746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WO2025071626A1 (en) Authenticated interaction for autonomous vehicles
CN116579770A (zh) 系统、机动车、方法、控制装置和服务器设备
KR20150076294A (ko) 서버 및 그의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8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