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0675B1 -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 Google Patents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0675B1
KR102750675B1 KR1020200035718A KR20200035718A KR102750675B1 KR 102750675 B1 KR102750675 B1 KR 102750675B1 KR 1020200035718 A KR1020200035718 A KR 1020200035718A KR 20200035718 A KR20200035718 A KR 20200035718A KR 102750675 B1 KR102750675 B1 KR 102750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pipe
washer fluid
current value
control unit
restrai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9166A (ko
Inventor
박종민
공락경
한승식
이기홍
박민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5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0675B1/ko
Priority to US16/938,122 priority patent/US11845405B2/en
Priority to CN202010743623.3A priority patent/CN113442877A/zh
Publication of KR20210119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166A/ko
Priority to US18/074,139 priority patent/US11858479B2/en
Priority to US18/501,286 priority patent/US1221475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067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60S1/52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 B60S1/526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moving liquid spreading means, e.g. arranged in wiper arms according to vehicle movement characteristics, e.g. speed, or climatic conditions, e.g.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60S1/482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combined with the operation of windscreen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481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 B60S1/486Liquid supply therefor the operation of at least part of the liquid supply being controlled by electric means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5986Pumped fluid control
    • Y10T137/86027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01Sequential distributor or collecto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09Sequentially progressive opening or closing of plural ports
    • Y10T137/86517With subsequent closing of first port
    • Y10T137/86533Rot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863Rotary valve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노즐 유닛, 상기 노즐 유닛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일단은 상기 유입부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이송 도관, 상기 이송 도관의 일단에 위치하고, 워셔펌프로부터 워셔액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유입부, 상기 이송 도관에 상기 노즐 유닛의 수와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도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배출공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도록 상기 이송 도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Distribution Apparatus for wash-liquid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다수의 노즐 유닛을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의 워셔액 분배를 수행하기 위해 이송 도관의 회전을 수행하는 스텝모터의 제어 방법 및 이에 따른 페일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에 탑재되어 워셔탱크 내의 워셔액을 프론트 윈드실드 및 리어 윈드실드 중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워셔펌프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러한 윈드실드의 표면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에 자주 오염되기 때문에 전방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유리면에 묻은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렇게 차량의 윈드실드에 묻은 이물질 등의 제거를 위해 차량에는 와이퍼 시스템과 함께 와셔액 분사를 위한 와셔 노즐이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시야를 맑게 하기 위해 운전석에 설치된 와셔 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와셔 스위치와 연계된 와셔 모터가 작동하고, 와셔 모터의 작동에 의해 와셔액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와셔액은 와셔 노즐을 통해 윈드실드에 분사되며, 이렇게 분사된 와셔액과 와이퍼 작동을 통해 운전에 방해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는 시야가 확보된 상태에서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다.
다만, 최근 자율 주행을 위해 차량 외부에 부착되는 다양한 기기(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등)의 오염물이 부착되는 경우 자율 주행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측정하는데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측정 불가의 기기에 따라서 차량의 안정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위치로 분사되는 워셔액을 제공하기 위한 워셔액 분배장치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1: 한국공개특허 10-2009-004796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하나의 워셔펌프 모터를 통해 다수의 유로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노즐 유닛과 대응되도록 구성되는 이송 도관의 배출공을 포함하고, 이송 도관의 회전을 통해 각각의 노즐 유닛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출공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텝 모터와 워셔펌프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하여 이송 도관의 위치 및 구속 페일을 판단할 수 있는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워셔액 분재방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노즐 유닛; 상기 노즐 유닛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일단은 상기 유입부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이송 도관; 상기 이송 도관의 일단에 위치하고, 워셔펌프로부터 워셔액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유입부; 상기 이송 도관에 상기 노즐 유닛의 수와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도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배출공;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도록 상기 이송 도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노즐 유닛의 일단은 인접한 노즐 유닛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인접한 노즐 유닛의 타단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도관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인접한 상기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유체연결되는 위치를 초기위치로 설정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노즐 유닛은,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라이다 및 레이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도관의 타단에는 워셔액이 상기 노즐 유닛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스텝 모터;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구속 전류값을 판단하여, 측정된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로 판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로 판단되는 경우 보호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도관의 회전량을 설정하고, 상기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 여부를 판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워셔펌프 모터로 인가되는 전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로 판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노즐 유닛을 대상으로 상기 워셔펌프 모터로 인가되는 전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가 재발생되는 경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로 판단하는 상기 워셔펌프 모터 모터워셔액 분배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워셔액 분배방법은 제어부는 초기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상기 초기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클리닝 요청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는 노즐 유닛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출공이 위치하도록 이송 도관을 이동하는 단계; 제어부는 이송 도관의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가된 경우, 워셔펌프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및 제어부는 상기 워셔펌프 모터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초기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의 자율주행 모드 진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셔펌프 모터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워셔펌프 모터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에러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초기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송 도관을 세팅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도관을 세팅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이송 도관이 세팅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구속전류가 미리 설정된 유지 시간 이상에서 상기 이송 도관이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셔펌프 모터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 및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제어부는 이송 도관의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로 제어된 상태에서 워셔펌프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율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전류 변화율이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측정된 전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동일한 노즐 유닛에서 워셔펌프 모터의 전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지 재판단하는 단계; 및 동일한 노즐 유닛에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페일 정보를 차량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측정된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페일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정된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한 경우, stall attempt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스텝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재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스텝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재초과하는 경우, 스텝모터를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노즐 유닛을 구성하고, 이송 도관의 선택적 위치를 제어하여 하나의 워셔펌프 모터의 구동을 통해서 다양한 분기로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구성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센서 구성없이 스텝 모터 또는 워셔펌프 모터로 인가되는 전류값을 기반으로 워셔액 분배장치의 페일을 판단할 수 있는바, 조립 단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워셔액 분배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워셔액 분배장치의 노즐 유닛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초기위치상태에서 이송 도관의 체결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채널 2 연결상태에서 이송 도관의 체결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채널 3 연결상태에서 이송 도관의 체결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d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채널 4 연결상태에서 이송 도관의 체결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e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채널 5 연결상태에서 이송 도관의 체결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f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채널 6 연결상태에서 이송 도관의 체결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 상태에 따른 전류값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 상태에 따른 전류값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 상태를 판단하는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 상태를 판단하는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 1, 제 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워셔액 분배장치(100) 및 분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여 오염물에 의해 오염되는 다양한 기기에 워셔액을 분배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기기로서, 차량의 전후방 및 측방 영상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기 위한 카메라, 주행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라이다(Lidar) 및 레이다(Radar)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자율주행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의 주행정보를 수신하는 라이다에 대하여 예를 들면, 라이다는 센서인 라이다 장치와 연결된다. 라이다 장치는 레이저 송신 모듈, 레이저 검출 모듈, 신호 수집 및 처리 모듈, 데이터 송수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고, 레이저의 광원은 250 nm 내지 11 μm의 파장 영역에서 파장을 가지거나 파장 가변이 가능한 레이저 광원들이 사용된다. 또한 라이다 장치는 신호의 변조 방식에 따라서, TOF(time of flight) 방식과 phase shift 방식으로 구분된다.
라이다는 라이다 장치 및 라이다 장치에 연결된 다른 장치(예컨대, 라이다 센싱 출력을 프로세싱하는 라이다 프로세서(미도시))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는 예를 들면 전원 공급 제어, 리셋 제어, 클럭(CLK) 제어, 데이터 통신 제어, 메모리 제어 등을 포함한다. 한편, 라이다 장치는 자동차의 전방 영역을 센싱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라이다 장치는 자동차의 내부 전면, 구체적으로는 전면 유리 아래에 위치하여 전면 유리를 통해서 laser 광원을 송수신한다.
또한, 레이다에 대하여 예를 들면, 레이다은 센서인 레이다 장치와 연결된다. 레이다 장치는 물체의 거리나 속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전자기파를 사용하는 센서 장치이다. 레이다 장치를 이용하면 주파수 변조 반송파(FMCW, Frequency Modulation Carrier Wave) 또는 펄스 반송파(Pulse Carrier) 방식을 이용하여 수평각도 30도 범위에서 150m 전방까지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레이다는 레이다 장치 및 레이다 장치에 연결된 다른 장치(예컨대, 레이다 센싱 출력을 프로세싱하는 레이다 프로세서(미도시)를 제어한다.
이처럼, 카메라뿐 아니라, 라이다 및 레이다에 오염물이 부착되는 경우, 차량의 자율주행 조건에서 주행 환경 정보수신이 불가능한바, 각각의 기기로 워셔액이 분사될 수 있는 분사장치의 구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도 1 내지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워셔액 분사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워셔액 분사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노즐 유닛(110)들의 결합을 포함하고, 노즐 유닛(110)들로부터 유체 연결되어 워셔액이 선택적으로 각각의 기기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노즐 유닛(110)은 6개로 구비되고, 각각의 노즐 유닛(110)은 워셔액 분사가 요구되는 각각의 기구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노즐 유닛(110)은 중공을 포함하여 위치하는바, 중공 내측으로 위치하는 이송 도관(130)을 포함한다. 이송 도관(130)의 일단에는 워셔액이 유입되도록 유입부(120)를 포함하고, 이송 도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입된 워셔액이 각각의 노즐 유닛(110)을 통해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노즐 유닛(110)의 수와 대응되는 배출공(131)을 포함한다.
배출공(131)은 이송 도관(130)의 회전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노즐 유닛(110)과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배출공(131)이 이송 도관(130)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고, 각각의 배출공(131)은 이송 도관(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60도 간격을 갖도록 형성된다.
유입부(120)와 인접한 이송 도관(130)의 일단은 스텝 모터(200)와 체결된다. 또한, 제어부(140)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량에 따라 스텝 모터(200)에 펄스 전류가 인가되어 이송 도관(130)이 회전되어 크리닝이 요구되는 기기와 유체 연결되는 노즐 유닛(110)과 배출공(131)이 마주하도록 위치하는바, 유입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워셔액이 선택된 노즐 유닛(110)을 통해 배출된다.
이송 도관(130)의 일단에 위치하는 유입부(120)는 워셔액 리저버(미도시)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워셔액 리저버와 유입부(120) 사이에 워터펌프를 통해 워셔액이 유입부(12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노즐 유닛(110)은 서로 인접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노즐 유닛(110)의 개수가 설정될 수 있다. 노즐 유닛(110)은 서로 인접한 노즐 유닛(110)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삽입부(111)를 포함하고, 삽입부(111)를 고정하도록 인접한 노즐 유닛(110)에 위치하는 걸림홈(112)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노즐 유닛(110) 사이에는 삽입부(111)와 걸림홈(112)간의 체결이 이루어져 상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삽입부(111)와 걸림홈(112) 사이에는 밀봉링(113)을 포함할 수 있는바, 노즐 유닛(110) 사이의 결합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워셔펌프 모터(300), 스텝 모터(200)로 인가되는 전류값 및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워셔액 분배장치(100)에 위치하는 온도 센서로부터 주변의 온도값을 수신받을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140)는 차량의 자율주행조건에서 카메라, 라이다 및 레이더 등의 크리닝 요청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140)는 카메라, 라이다 및 레이더에서 측정되는 주행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해당 기기로 워셔액을 자동으로 분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의 회전 정보를 수신하고, 이송 도관(130)의 초기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의 초기위치를 설정함에 스텝 모터(200)의 가이드부(210)를 세팅 위치로 최초 회전하고 이후 상기 가이드부(210)를 초기위치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스텝 모터(200)의 가이드부(210)가 회전함에 따라 스텝 모터(200)의 일단에 체결되는 이송 도관(130)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40)는 워셔액 분배장치(100)에 위치하는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 조건 변화에 따라 스텝 모터(200) 및 워셔펌프 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값 및 인가되는 시간을 보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이 온도 조건의 변경에 대응하여 전류값 및 전류값이 인가되는 시간의 보상을 수행함에 따라 워셔펌프 모터(300)의 분당 회전수, 토크값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유입부(120)를 통해 유입되는 워셔액의 토출 압력이 변화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워셔액 분배장치(100)의 주변 온도 변화시에도 스텝 모터(200)를 통해 인가되는 펄스 전압 및 시간이 보상되어 이송 도관(130)의 회전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송 도관(130)의 초기위치는 이송 도관(130)의 길이 방향 중심에 가장 인접한 노즐 유닛(110)과 이에 대응하여 배출공(131)이 대응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도관(130)은 초기위치를 기준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택된 노즐 유닛(110)과 이에 대응되는 배출공(131)이 마주하도록 회전된다.
더 바람직하게,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이 세팅 위치로부터 초기위치로 회전하도록 스텝 모터(200)의 펄스입력을 제어하고, 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 도관(130)의 초기위치는 이송 도관(130) 길이 방향의 중심과 인접한 노즐 유닛(110)과 대응되도록 배출공(131)이 위치하는바, 스텝 모터(200)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이송 도관(130)의 회전에 따른 지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송 도관(130)은 시동 온 또는 전원 인가시 세팅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바, 스텝 모터(200)는 세팅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송 도관(130)이 이동하도록 펄스 전원을 인가한다.
제어부(140)는 세팅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송 도관(1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스텝 모터(200)로부터 인가되는 펄스 전원의 수와 인가 시간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제어부(140)가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 또는 위치 페일에 대응하여 저장된 펄스 전원을 인가하여 이송 도관(130)의 초기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어부(140)로부터 스텝 모터(200)로 전류가 인가된 상태에서 워셔펌프 모터(300)의 전류 변화율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측정되는 워셔펌프 모터(300)의 전류 변화율은 인가되는 전류값 및 상기 전류값이 인가되는 시간을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이처럼, 제어부(140)는 측정된 워셔펌프 모터(300)의 전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로 판단한다.
즉, 리저버를 통해 유입된 워셔액이 배출공(131)을 경유하여 노즐 유닛(110)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 워셔펌프 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율이 증가하는바, 워셔펌프 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율로서 전류값 및 전류 인가시간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로 판단한다.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로 판단되는 경우, 페일 상태를 사용자에게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의 물리적인 구속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로 판단하는바, 스텝 모터(200)에 인가되는 구속 전류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로 판단한다.
스텝 모터(200)의 구속 전류값은 스텝 모터(200)에 인가되는 전류값과 상기 전류값이 인가되는 시간을 모두 포함한 개념이다.
제어부(140)에서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을 세팅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재설정하고 동일한 노즐 유닛(110)으로 워셔액 배출을 재시도한다.
상기와 같이 워셔액 배출을 재시도하는 stall attempt 모드의 경우 실제로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이 발생하였는지 확인하기 위해 단위시간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모터의 구속을 재 확인하는 모드로서,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워셔액 배출을 재시도한 상태에서 스텝 모터(200)에 인가되는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스텝 모터(200)의 구동을 정지하도록 보호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에게 페일을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3a의 경우, 6개의 노즐 유닛(110)을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100)로서, 이송 도관(130)이 초기위치에 위치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송 도관(130)의 길이 방향의 중심에 가까운 제 1노즐 유닛(110a)과 상기 이송 도관(130)의 제 1배출공(131a)이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도록 초기위치가 설정된다.
즉, 이송 도관(130)은 차량의 시동 온 또는 자율주행 조건으로서 초기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스텝 모터(200)의 가이드부(210)가 최상단 위치를 기준으로 180도 각도를 갖는 위치에 초기위치를 갖는바, 제어부(140)에 인가된 신호에 대응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송 도관(130)이 회전되어 요청된 신호에 대응된 제 1노즐 유닛(110a)으로 워셔액이 배출되도록 제어된다.
더 바람직하게, 스텝 모터(200)의 가이드부(210)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립부(220)를 기준으로 0도의 각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바, 제어부(140)에 저장된 펄스의 수가 스텝 모터(200)로 인가되어 가이드부(210)가 초기위치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스텝 모터(200)는 초기조건으로서 차량의 시동 또는 자율주행 조건이 인가되는 경우, 가이드부(210)가 립부(220)와 접촉한 이후 초기위치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바, 별도의 센서 없이도 스텝 모터(200)의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립부(220)와 가이드부(210)의 접촉을 수행한 이후 초기위치로 전환되는바, 이송 도관(130)의 회전부족 등의 이유로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립부(220)와 가이드부(210)를 기준으로 이송 도관(130)의 회전량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최초위치에 이송 도관(130)은 이송 도관(130)의 길이 방향 중심과 가장 인접한 제 1노즐 유닛(110a)과 제 1배출공(131a)이 대응되도록 위치한다.
도 3b에서는 가이드부(210)가 립부(220)를 기준으로 120도 회전된 상태에서 제 2노즐 유닛(110b)과 제 2배출공(131b)이 대응되는 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의 세척 요청에 따라 제 2노즐 유닛(110b)으로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이송 도관(130)이 립부(220)를 기준으로 120도 각도를 갖도록 스텝 모터(200)로 펄스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이송 도관(130)은 립부(220)로부터 120도 각도를 갖도록 회전하고 제 2노즐 유닛(110b)과 이에 대응되는 제 2배출공(131b)이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도 3c에서는 가이드부(210)가 립부(220)를 기준으로 160도 회전된 상태에서 제 3노즐 유닛(110c)과 제 3배출공(131c)이 대응되는 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의 세척 요청에 따라 제 3노즐 유닛(110c)으로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이송 도관(130)이 립부(220)를 기준으로 60도 각도를 갖도록 스텝 모터(200)로 펄스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이송 도관(130)은 립부(220)로부터 60도 각도를 갖도록 회전하고 제 3노즐 유닛(110c)과 이에 대응되는 제 3배출공(131c)이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도 3d에서는 가이드부(210)가 립부(220)가 접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제 4노즐 유닛(110d)과 제 4배출공(131d)이 대응되는 위치로 전환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차량의 세척 요청에 따라 제 4노즐 유닛(110d)으로 워셔액을 분사하도록 가이드부(210)와 립부(220)가 접하여 0도의 각도를 갖도록 스텝 모터(200)로 펄스 전압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이송 도관(130)은 제 4노즐 유닛(110d)과 이에 대응되는 제 4배출공(131d)이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반대로, 도 3e에서는 립부(220)를 기준으로 이송 도관(130)이 240도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제 5노즐 유닛(110e)과 이에 대응되는 제 5배출공(131e)이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도 3f에서는 이송 도관(130)이 300도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제 6노즐 유닛(110f)과 이에 대응되는 제 6배출공(131f)이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초기위치를 기준으로 가이드부(21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각도고 회전되도록 구성되는바, 양 끝단에 위치하는 노즐 유닛(110)으로 워셔액이 배출되는 경우에도 이송 도관(130)이 양 방향으로 180도의 회전각도만 갖도록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40)는 크리닝이 요청된 노즐 유닛(110)으로 워셔액이 분사되도록 이송 도관(130)을 회전한 이후 초기위치로 이송 도관(130)을 원복하고 이후 요청된 크리닝을 수행하도록 이송 도관(130)을 제어한다.
다만, 도 3a 내지 3f에서는 6개의 노즐 유닛(110)을 포함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노즐의 개수에 따라 이송 도관(130)의 회전되는 각도는 및 배출공(131)의 위치는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이 발생하는 경우, 인가되는 워셔펌프 모터(300)의 전류 변화율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차량의 주행환경이 자율 주행 조건에서, 노즐 유닛(110)을 통해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기기의 크리닝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이렇게 수신된 크리닝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부(140)는 스텝 모터(200)로 펄스 신호를 인가하여 이송 도관(130)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회전된 이송 도관(130)의 일단으로 워셔액이 유입되도록 구성되고, 배출공(131)을 통해 유체 연결된 노즐 유닛(110)으로 유입된 워셔액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배출공(131)과 노즐 유닛(110)이 유체 연결되도록 대응되는 위치로 이송 도관(130)이 회전되지 않는 경우, 워셔펌프 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값 및 상기 전류값이 인가되는 시간이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값을 초과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워셔펌프 모터(300)의 전류 변화율로서, 인가되는 전류값 및 상기 전류값이 인가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로 판단한다.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40)는 페일을 차량으로 송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을 판단하기 위한 스텝 모터(200)로 인가되는 구속 전류값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이 하우징에 소착되거나, 스텝 모터(200)와 이송 도관(130) 사이의 소착 등의 이유로 이송 도관(130)이 구속되는 경우를 판단한다.
제어부(140)는 스텝 모터(200)로 인가되는 구속 전류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구속 전류값은 스텝 모터(200)로 인가되는 전류 및 상기 전류가 인가되는 시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모터(200)로부터 측정되는 구속 전류값은 정상작동구간에서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된 전류값 이하의 전류가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송 도관(130)의 구속이 발생하는 경우, 이송 도관(130)의 회전에 따라 스텝 모터(200)로 인가되는 전류값 및 인가되는 시간이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스텝 모터(200)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로 판단하고, 스텝 모터(200)의 구동을 정지하는 한편 가이드부(210)의 위치 초기화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의 구속 여부를 판단하는바, 이송 도관(130)의 회전을 수행하도록 스텝 모터(200)로 인가되는 구속 전류값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여부를 판단한다. 더욱이, 페일된 상태에서 스텝 모터(200)와 이송 도관(130)의 회전을 정지하도록 제어되는바, 스텝 모터(200) 및 이송 도관(13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워셔액 분배방법을 수행함에,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을 판단하는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습니다.
본 발명의 워셔액 분배장치(100)는 차량의 자율 주행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어부(140)로 차량의 기기 크리닝 요청이 인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의 크리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요청이 수신된 노즐 유닛(110)으로 워셔액이 배출되도록 이송 도관(13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이송 도관(130)은 노즐 유닛(110)과 대응되는 개수의 배출공(131)을 포함하고, 배출공(131)은 이송 도관(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바, 이송 도관(130)을 회전하여 차량의 크리닝이 요청되는 노즐 유닛(110)과 이에 대응되는 배출공(131)이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이송 도관(130)은 스텝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바,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의 회전량을 제어하도록 스텝 모터(200)로 펄스 전압을 인가한다.
이후, 이송 도관(130)의 일단과 체결되는 유입부(120)로 워셔액이 유입되도록 워셔펌프 모터(30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제어부(140)는 워셔펌프 모터(300)의 전류 변화값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바, 워셔펌프 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워셔펌프 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값 이하인 경우, 지속적으로 워셔펌프 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 변화값을 측정하고, 워셔펌프 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값을 초과하는 경우 동일한 노즐 유닛(110)에서 워셔펌프 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 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값을 초과하는지 다시 판단한다.
동일한 노즐 유닛(110)에서 워셔펌프 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 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값을 초과하는 경우 이는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로 판단하고, 제어부(140)는 상기 페일을 차량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의 회전량 부족 또는 과다에 의해 워셔펌프 모터(300)에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크리닝 요청에 대응되는 노즐 유닛(110)과 이송 도관(130)에 위치하는 배출공(131)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페일로 판단된다.
동일한 노즐 유닛(110)에서 워셔펌프 모터(300)로 인가되는 전류 변화값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값 이하인 경우, 스텝 모터(2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단계별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른 워셔펌프 모터(300)의 전류값을 센싱한다.
스텝 모터(200)의 단계별 이동에 따른 워셔펌프 모터(300)의 전류 변화값이 정상범위인 경우, 로직을 종료하고, 스텝 모터(200)의 단계별 이동에 따른 워셔펌프 모터(300)의 전류 변화값이 정상범위가 아닌 경우, 스텝 모터(200)의 단계별 이동에 따른 전류 변화값 센싱을 유지한다.
스텝 모터(200)의 단계별 이동의 경우, 이는 최소 단위의 펄스 전압이 인가되어 이송 도관(130)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바, 각각의 노즐 유닛(110)을 통해 워셔액이 토출됨에 따라 워셔펌프 모터(300)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값을 측정하여 해당 노즐 유닛(110)의 워셔액 토출이 정상범위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노즐 유닛(110)과 대응되는 배출공(131)이 상기 노즐 유닛(110)의 토출부와 일치하는 위치로 제어되는지 판단하고, 일치되는 위치로 배출공(131)이 제어되지 않는 경우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로 판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 여부를 판단하는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워셔액 분배장치(100)는 최초 스텝 모터(200)의 가이드부(210)가 립부(220)와 접하는 위치인 세팅 위치로 전환되었다가 시작위치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후, 자율주행 여부를 판단하고, 차량이 자율주행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40)로 차량의 기기 크리닝 요청이 인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의 크리닝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40)는 상기 요청이 수신된 노즐 유닛(110)으로 워셔액이 배출되도록 이송 도관(13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노즐 유닛(110)과 대응되는 수가 위치하는 이송 도관(130)의 배출공(131)을 포함하고, 배출공(131)은 이송 도관(13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되어 위치되는바, 이송 도관(130)을 회전하여 차량의 크리닝이 요청되는 노즐 유닛(110)과 배출공(131)이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이송 도관(130)은 스텝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는바, 제어부(140)는 스텝 모터(200)로 인가되는 구속 전류값 및 회전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스텝 모터(200)의 구속 전류값이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측정된 스텝 모터(200)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Stall attempt 모드로 전환하고, 이후 스텝 모터(200)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재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텝 모터(200)의 구속 전류값이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 이하인 경우 또는 재판단을 통해서 스텝 모터(200)의 구속 전류값이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워셔액 분배장치(100)를 구동한다.
이와 비교하여, 재판단을 수행한 스텝 모터(200)의 구속 전류값이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스텝 모터(200)를 정지하고, 이송 도관(130)의 위치 초기화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차량으로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을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이송 도관(130)의 구속 페일을 판단하도록 스텝 모터(200)의 구속 전류값을 판단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도 6 내지 7에 개시된 이송 도관(130)의 위치 페일과 구속 페일의 경우, 이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워셔액 분배장치
110: 노즐 유닛
110a: 제 1노즐 유닛
110b: 제 2노즐 유닛
110c: 제 3노즐 유닛
110d: 제 4노즐 유닛
110e: 제 5노즐 유닛
110f: 제 6노즐 유닛
111: 삽입부
112: 걸림턱
113: 밀봉링
120: 유입부
130: 이송 도관
131: 배출공
131a: 제 1배출공
131b: 제 2배출공
131c: 제 3배출공
131d: 제 4배출공
131e: 제 5배출공
131f: 제 6배출공
140: 제어부
200: 스텝 모터
210: 가이드부
220: 립부
300: 워셔펌프 모터

Claims (20)

  1.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노즐 유닛;
    상기 노즐 유닛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일단은 유입부와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이송 도관;
    상기 이송 도관의 일단에 위치하고, 워셔펌프로부터 워셔액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유입부;
    상기 이송 도관에 상기 노즐 유닛의 수와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도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배출공; 및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도록 상기 이송 도관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노즐 유닛의 일단은 인접한 노즐 유닛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가 인접한 노즐 유닛의 타단에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도관의 길이 방향 중심과 인접한 상기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유체연결되는 위치를 초기위치로 설정되는 워셔액 분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유닛은,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카메라, 라이다 및 레이더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유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워셔액 분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도관의 타단에는 워셔액이 상기 노즐 유닛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스텝 모터;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구속 전류값을 판단하여, 측정된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로 판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로 판단되는 경우 보호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하는 워셔액 분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 도관의 회전량을 설정하고, 상기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 여부를 판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워셔펌프 모터로 인가되는 전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로 판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노즐 유닛을 대상으로 상기 워셔펌프 모터로 인가되는 전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가 재발생되는 경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로 판단하는 워셔액 분배장치.
  11. 제어부는 초기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초기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는 클리닝 요청 입력을 판단하는 단계;
    제어부는 노즐 유닛에 대응되는 위치로 배출공이 위치하도록 이송 도관을 이동하는 단계;
    제어부는 이송 도관의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인가된 경우, 워셔펌프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및
    제어부는 상기 워셔펌프 모터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차량의 자율주행 모드 진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셔펌프 모터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워셔펌프 모터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사용자에게 에러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송 도관을 세팅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도관을 세팅 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이송 도관이 세팅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구속전류가 미리 설정된 유지 시간 이상에서 상기 이송 도관이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셔펌프 모터 및 스텝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 및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제어부는 이송 도관의 배출공이 상기 노즐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로 제어된 상태에서 워셔펌프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율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전류 변화율이 제어부에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측정된 전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경우, 동일한 노즐 유닛에서 워셔펌프 모터의 전류 변화율이 미리 설정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지 재판단하는 단계; 및
    동일한 노즐 유닛에서 전류 변화율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도관의 위치 페일로 판단하는 단계에서,
    페일 정보를 차량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측정된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이송 도관의 구속 페일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페일 정보를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스텝 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초과한 경우, 워셔액 배출을 재시도하는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스텝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재 초과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스텝모터의 구속 전류값이 미리 설정된 구속 전류값을 재초과하는 경우, 스텝모터를 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워셔액 분배방법.

KR1020200035718A 2020-03-24 2020-03-24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Active KR102750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718A KR102750675B1 (ko) 2020-03-24 2020-03-24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US16/938,122 US11845405B2 (en) 2020-03-24 2020-07-24 Washer fluid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of distributing washer fluid
CN202010743623.3A CN113442877A (zh) 2020-03-24 2020-07-29 清洗液分配装置和分配清洗液的方法
US18/074,139 US11858479B2 (en) 2020-03-24 2022-12-02 Washer fluid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of distributing washer fluid
US18/501,286 US12214757B2 (en) 2020-03-24 2023-11-03 Washer fluid distribution device and method of distributing washer flu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718A KR102750675B1 (ko) 2020-03-24 2020-03-24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166A KR20210119166A (ko) 2021-10-05
KR102750675B1 true KR102750675B1 (ko) 2025-01-06

Family

ID=77808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718A Active KR102750675B1 (ko) 2020-03-24 2020-03-24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1845405B2 (ko)
KR (1) KR102750675B1 (ko)
CN (1) CN1134428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50675B1 (ko) * 2020-03-24 2025-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KR102589044B1 (ko) * 2021-12-20 2023-10-13 주식회사 케이퓨얼셀 자율주행 차량용 센서세척장치
CN114906097B (zh) * 2022-05-30 2025-03-07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基于可调喷嘴的洗涤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240074957A (ko) 2022-11-15 2024-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서부 클리닝 제어 방법
KR20240083900A (ko) * 2022-12-05 202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서 클리닝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7900A (ja) * 2013-08-30 2015-03-16 アスモ株式会社 車載光学センサ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382A (en) * 1910-11-21 1912-02-06 Arthur W Weeden Valve for intermingling and controlling fluids.
US1893896A (en) * 1926-09-03 1933-01-10 Zenith Carburateur Soc Du Carburetor
US1789390A (en) * 1927-07-11 1931-01-20 William E Potteiger Combination faucet
US2381910A (en) * 1942-03-18 1945-08-14 Joseph F Joy Pump
US2641280A (en) * 1948-06-23 1953-06-09 Henry G Fleischhauer Automatic control valve for branch pipe lines
US3033226A (en) * 1957-08-26 1962-05-08 Valentine E Macy Jr Valve
US3057300A (en) * 1958-03-06 1962-10-09 Otmar M Ulbing Pump and metering apparatus
US3090396A (en) * 1960-02-10 1963-05-21 Bruner Corp Rotatable spindle valve
US3094173A (en) * 1960-04-11 1963-06-18 Schlepperwerk Nordhausen Veb Hydraulic installation for tractors
US3395046A (en) * 1963-12-19 1968-07-30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Fuel cell and method of operation
US3601139A (en) * 1970-02-24 1971-08-24 Aerospace America Inc Fluid distributing apparatus
US3837360A (en) * 1972-09-20 1974-09-24 Caterpillar Tractor Co Fluidic selector valve
US3941154A (en) * 1972-12-18 1976-03-02 Bishop Kenneth M Swimming pool water circulation system
US4263937A (en) * 1978-04-21 1981-04-28 Rudenko Nikolai V Scanning valve
DE2906353C3 (de) * 1979-02-19 1983-02-03 Gebrüder Bühler AG, 9240 Uzwil Verfahren und Filtersteueranlage zur zyklischen Gegenspülung membranventilbetätigter Filterschläuche
US4312377A (en) * 1979-08-29 1982-01-26 Teledyne Adams, A Division Of Teledyne Isotopes, Inc. Tubular valve device and method of assembly
US4391572A (en) * 1980-11-12 1983-07-05 Lew Hyok S Angular position belt valve pump
US4553566A (en) * 1984-04-06 1985-11-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Rotary multiposition valve
CA1255186A (en) * 1985-11-14 1989-06-06 Patrick Tolley Digital servo-valve
US5474102A (en) * 1991-07-15 1995-12-12 Lopez; Robert Fluid distribution manifold
US5343893A (en) * 1993-03-12 1994-09-06 Irvin Industries Canada Ltd. Distribution valve
US5517800A (en) * 1994-06-21 1996-05-21 Brenner; Joseph H. Conveyor with intermittent fluid supply
US5524822A (en) * 1995-03-13 1996-06-11 Simmons; Thomas R. Apparatus for producing variable-play fountain sprays
KR980008910A (ko) * 1996-07-23 1998-04-30 양재신 자동차의 와셔액 분사장치
US5937903A (en) * 1997-10-15 1999-08-17 Pac-Fab, Inc. High performance diverter valve
US6669109B2 (en) 1998-11-06 2003-12-30 Micro-Heat Inc Apparatus for cleaning or de-icing a vehicle window
US6490740B1 (en) * 1999-06-24 2002-12-10 Saratoga Spa & Bath Co., Inc. Motorized control of water delivery through ports of tub, spa or shower
US6951223B2 (en) 2001-10-17 2005-10-04 Asmo Co., Ltd. Cleaning liquid supply system having pumps connected to tank
US6681805B2 (en) * 2001-11-28 2004-01-27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Automotive coolant control valve
US6896199B2 (en) 2002-05-31 2005-05-24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Washing apparatus for multiple vehicle surfaces
US7641131B2 (en) 2002-10-02 2010-01-05 Sbr Investments Company Llc Vehicle windshield cleaning system
WO2005080843A1 (en) * 2004-02-13 2005-09-01 Rheodyne, Llc Valve drive
US10384653B2 (en) 2004-03-09 2019-08-20 Uusi, Llc Vehicle windshield cleaning system
US7343933B2 (en) * 2004-04-27 2008-03-18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Multi-port flow selector manifold valve and manifold system
KR100906639B1 (ko) 2007-11-09 2009-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분사노즐
US7997302B2 (en) 2007-12-20 2011-08-16 Caterpillar Inc. Valv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US8534642B2 (en) * 2009-02-02 2013-09-17 Dale Moretz Seal member for fluid transfer system
CA2767364C (en) * 2009-07-13 2017-05-16 Idex Health & Science Llc Rotary shear valve assembly with hard-on-hard seal surfaces
US8905076B2 (en) * 2010-05-10 2014-12-09 Paccar Inc Coolant-return manifold shut-off valve
US8985480B2 (en) 2011-08-09 2015-03-24 Asmo Co., Ltd. Washer apparatus for vehicle
US9032819B2 (en) * 2012-07-17 2015-05-19 Idex Health & Science Llc Liquid sampling valve
US9644905B2 (en) * 2012-09-27 2017-05-0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Valve with flow modulation device for heat exchanger
DE102015003210A1 (de) * 2015-03-13 2016-09-15 Wabco Gmbh Ventilbaueinheit für ein Antiblockiersystem einer Bremsanlage eines Fahrzeugs
US11357966B2 (en) * 2015-04-23 2022-06-14 B. Braun Medical Inc. Compounding device, system, kit, software, and method
GB2549980B (en) * 2016-05-05 2018-10-31 Plumis Ltd Fire Suppression system
US10344878B1 (en) * 2016-06-07 2019-07-09 Avalanche Waterslides, Inc. Rotary hydraulic distribution manifold for water play features
CN105972289A (zh) * 2016-07-15 2016-09-28 郑州佛光发电设备有限公司 一种铝空燃料电池用供液分配泵
FR3056527B1 (fr) 2016-09-28 2021-11-1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nettoyage destine a projeter au moins un fluide vers une surface a nettoyer d'un vehicule automobile
JP7273711B2 (ja) 2017-06-13 2023-05-1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クリーナシステムおよび車両用クリーナシステムを備える車両
JP7069844B2 (ja) * 2017-08-28 2022-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センサ洗浄装置
US11407384B2 (en) 2018-03-06 2022-08-09 Uusi, Llc Method and apparatus to dispense fluid onto a target area of a surface
EP3466774B1 (en) 2018-12-18 2021-04-07 Fico Transpar, S.A. Fluid dispensing system, arrangement and method
CN110388676B (zh) * 2019-06-27 2021-05-18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分集水器
US10918569B2 (en) 2019-07-15 2021-02-16 Wexco Incorporated Integrated manifold and valve assembly
KR102750675B1 (ko) * 2020-03-24 2025-0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7900A (ja) * 2013-08-30 2015-03-16 アスモ株式会社 車載光学センサ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58479B2 (en) 2024-01-02
US20210300303A1 (en) 2021-09-30
CN113442877A (zh) 2021-09-28
US20230099826A1 (en) 2023-03-30
US20240059254A1 (en) 2024-02-22
KR20210119166A (ko) 2021-10-05
US11845405B2 (en) 2023-12-19
US12214757B2 (en) 2025-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50675B1 (ko) 워셔액 분배장치 및 분배방법
US20230303037A1 (en) Device of unmanned vehicle with sensor device and cleaning mechanism
KR102777791B1 (ko) 워셔액 분배장치
US10442402B2 (en) Sensor and cleaning apparatus
US11827187B2 (en) Apparatus embodied to detect the surroundings and method for cleaning a cover of such an apparatus
US10189449B2 (en) Vehicle cleaning
WO2020003875A1 (ja) 車両用清掃装置、車両用清掃システム及び車両用清掃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1077472B2 (en)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object detection sensor
US20230126082A1 (en) System for cleaning a sensor/transmitter of a motor vehicle
KR102803883B1 (ko) 객체 감지 센서의 세척 장치 및 방법
US12202445B2 (en) Optical or optoelectronic device having a cleaning device
CN114056290A (zh) 用于车辆传感器的流体系统
US202403676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flow of air about a lens of a sensor of a vehicle
JP2020001601A (ja) 車両用洗浄装置
KR102777787B1 (ko) 워셔액 분배장치
US20240343226A1 (en) Wiper with element for spraying cleaning fluid
US20220236380A1 (en) Rotating sensor assembly
JP7156042B2 (ja) 車両用清掃装置
CN116552453A (zh) 用于清洁测量单元的洗涤器系统
KR102603643B1 (ko) 라이다센서 세정장치
US20240412570A1 (en) Vehicle senso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40096157A (ko) 센서부 세척 장치
CN117916133A (zh) 具有用于喷射清洁液的元件的雨刷
US20230256942A1 (en) Nozzle insert for vehicle sensor cleaning
CN118936504A (zh) 一种用于港口自动驾驶技术的定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