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0415B1 -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0415B1
KR102750415B1 KR1020240071463A KR20240071463A KR102750415B1 KR 102750415 B1 KR102750415 B1 KR 102750415B1 KR 1020240071463 A KR1020240071463 A KR 1020240071463A KR 20240071463 A KR20240071463 A KR 20240071463A KR 102750415 B1 KR102750415 B1 KR 102750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core material
fireproof
fireproof coating
co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71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용
Original Assignee
김명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용 filed Critical 김명용
Priority to KR1020240071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0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04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hereby one or more of the layers is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2Pu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준불연재함침부에 의해 다수개의 타공과 허니콤패턴을 가지는 심재의 통과시 준불연코팅제가 심재의 타공과 허니콤패턴의 외면에 침투 및 도포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재코팅건조부에 의해 준불연코팅제가 도포된 심재의 통과시 열풍과 열복사를 통하여 준불연코팅제를 건조시키고 심재에 준불연코팅층이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외피합지부에 의해 준불연코팅층이 형성된 심재의 통과시 준불연외피가 심재의 일면에 합지되도록 하여 단열재가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Core semi-noncombustilble insul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포원단을 니들 타공하고 허니콤 구조로 타공한 심재에 준불연코팅제를 함침시키고 준불연외피가 합지된 단열재 구조체를 제조하여 심재가 우수한 준불연성과 단열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시 단열 마감 시공은 콘크리트 벽체에 단열재를 부착한다. 이러한, 건축물의 내외단열 시공시 주로 사용되는 단열재로는 스티로폼(EPS), 아이소핑크, 네오폴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단열재의 경우 불에 잘 타는 성질이 있어 화재시 많은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므로 화재안전성이 매우 취약하고, 단열성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015년 10월 국토교통부에서는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건축물 마감재료의 화재안전성 기준을 대폭 강화하였으며, 2016년 4월부터 시행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 2015년 10월 국토교통부에서는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여 건축물 마감재료의 화재안전성 기준을 대폭 강화하였으며, 2016년 4월부터 시행된 바 있다.
이에 화재안전성, 단열성이 우수하도록 PE재질의 발포원단으로 제조된 심재에 알루미늄필름이 합지된 단열재가 주목 받고 있는데, PE재질의 발포원단으로 제조된 심재의 경우 그 자체로 불연성능을 가지고 있지 못하며, 최근에는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이 개정되어 알루미늄필름을 제외한 심재가 준불연 성능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심재가 난연2급(준불연) 수준을 가지는 단열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0001) 공개특허 10-2020-0074738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 10-2534704
(특허문헌 0003) 공개특허 10-2018-0096002
(특허문헌 0004) 공개특허 10-2009-001908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포원단을 니들 타공하고 허니콤 구조로 타공한 심재에 준불연코팅제를 함침시키고 준불연외피가 합지된 단열재 구조체를 제조하여 심재가 우수한 준불연성과 단열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는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준불연재함침부에 의해 다수개의 타공과 허니콤패턴을 가지는 심재의 통과시 준불연코팅제가 심재의 타공과 허니콤패턴의 외면에 침투 및 도포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재코팅건조부에 의해 준불연코팅제가 도포된 심재의 통과시 열풍과 열복사를 통하여 준불연코팅제를 건조시키고 심재에 준불연코팅층이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외피합지부에 의해 준불연코팅층이 형성된 심재의 통과시 준불연외피가 심재의 일면에 합지되도록 하여 단열재가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준불연재함침부는, 준불연코팅제가 수용되고 심재가 준불연코팅제에 함침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와; 수조에 구성되고 심재가 수조에 통과되도록 하여 심재에 준불연코팅제가 도포되도록 하는 준불연재도포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준불연재코팅건조부는, 준불연코팅제가 도포된 심재가 통과되도록 하는 타공망을 회전시키는 심재이동수단; 타공망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제1건조램프와 제1열풍분사기를 통하여 타공망을 따라 이동되는 심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열을 복사시키고 열풍을 분사시켜 심재에 도포된 준불연코팅제가 건조되도록 하는 제1건조수단; 및 제1건조수단의 후방에 위치되고 타공망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제2열풍분사기와 제2건조램프를 통하여 타공망을 따라 이동되는 심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열풍을 분사시키고 열을 복사시켜 심재에 도포된 준불연코팅제가 건조되도록 하는 제2건조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타공과 허니콤패턴을 가지는 심재; 심재의 외면과 심재의 타공에 준불연코팅제가 도포 및 침투되어 형성되는 준불연코팅층; 및 준불연코팅층이 형성된 심재의 일면에 합지되는 준불연외피를 포함하는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가 제공된다.
여기서, 준불연코팅제는, 액상규산나트륨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발포원단을 니들 타공하고 허니콤 구조로 타공한 심재에 준불연코팅제를 함침시키고 준불연외피가 합지된 단열재 구조체를 제조하여 심재가 우수한 준불연성과 단열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에 있어서 심재의 주재료인 발포원단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에 있어서 발포원단이 니들 타공되고 허니콤 구조로 타공되어 심재로 제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니들타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1의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준불연재함침부, 준불연재코팅건조부 및 준불연외피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는, 발포원단(1)에 다수개의 타공과 허니콤패턴(11)이 가공되는 것을 통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심재(10), 심재(10)의 외면과 심재(10)의 타공에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 및 침투되어 형성되고 심재(10)가 우수한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준불연코팅층(20) 및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일면에 합지되어 심재(10)가 우수한 단열성과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준불연외피(30) 등을 포함한다.
발포원단(1)은,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의 심재(10)로서, 공지의 PE계열의 발포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심재(10)는,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의 주요 구성부로서, 발포원단(1)이 니들타공부(110)를 통해서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정을 통하여 준불연코팅제(21)가 내부까지 침투되도록 하는 흡수성을 가지고 발포원단(1)이 허니콤타공부(미도시)를 통해서 다수개의 허니콤패턴(11)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정을 통하여 단열 시공시 많은 공기층에 의해 단열성을 가지도록 하고 단열재(40)의 경량성을 향상시킨다.
준불연코팅층(20)은, 심재(10)에 준불연코팅제(21)가 코팅되는 것을 통해 형성되어 준불연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심재(10)가 준불연코팅제(21)가 수용된 수조에 함침되는 경우 심재(10)의 타공에 침투되고 심재(10)의 외면에 흡착 코팅되는 것을 통해 형성되어 심재(10)가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준불연코팅제(21)는, 액상규산나트륨 50%인 것이 바람직하며, 규산나트륨의 농도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심재(10)의 타공에 깊이 침투되지 못하여 준불연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준불연코팅층(20)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심재(10)의 유연성이 저하되며, 50%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심재(10)에 타공에 침투되더라도 낮은 농도로 인하여 준불연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고 준불연코팅층(20)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내구성이 저하되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농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준불연외피(30)는,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일면에 합지되어 심재(10)가 우수한 단열성과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알루미늄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장치는, 발포원단(1)의 통과시 다수개의 타공을 형성시켜 발포원단(1) 또는 심재(10)가 준불연재함침부(120) 통과시 준불연코팅제(21)의 흡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니들타공부(110), 니들타공부(110)를 통과한 발포원단(1)에 일정한 허니콤패턴(11)을 타공 및 형성시켜 단열 시공시 공기층을 통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는 심재(10)가 제조되도록 하는 허니콤타공부(미도시), 심재(10)의 통과시 준불연코팅제(21)가 심재(10)의 타공과 허니콤패턴(11)의 외면에 침투 및 도포되도록 하는 준불연재함침부(120),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된 심재(10)의 통과시 열풍과 열복사를 통하여 준불연코팅제(21)를 건조시키고 심재(10)에 준불연코팅층(20)이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하는 준불연재코팅건조부(130) 및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통과시 준불연외피(30)가 심재(10)의 일면에 합지되도록 하여 단열재(40)가 제조되도록 하는 준불연외피합지부(140) 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방법은, 니들타공부(110)에 의해 발포원단(1)의 통과시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어 발포원단(1) 또는 심재(10)가 준불연재함침부(120) 통과시 준불연코팅제(21)의 흡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단계와, 허니콤타공부(미도시)에 의해 니들타공부(110)를 통과한 발포원단(1)에 일정한 허니콤패턴(11)이 타공 및 형성되어 단열 시공시 공기층을 통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는 심재(10)가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재함침부(120)에 의해 심재(10)의 통과시 준불연코팅제(21)가 심재(10)의 타공과 허니콤패턴(11)의 외면에 침투 및 도포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재코팅건조부(130)에 의해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된 심재(10)의 통과시 열풍과 열복사를 통하여 준불연코팅제(21)가 건조되어 심재(10)에 준불연코팅층(20)이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외피합지부(140)에 의해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통과시 준불연외피(30)가 심재(10)의 일면에 합지되어 단열재(40)가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 등을 포함한다.
니들타공부(110)는, 발포원단(1)의 통과시 다수개의 타공을 형성시켜 발포원단(1) 또는 심재(10)가 준불연재함침부(120) 통과시 준불연코팅제(21)의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복수개의 니들펀칭롤러(111)를 통하여 발포원단(1)의 통과시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니들타공부(110)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니들타공부(110)에 의하면, 발포원단(1)이 심재(10)로 제조된 상태에서 준불연재함침부(120)를 통과하는 경우 준불연코팅제(21)가 타공을 통해 깊숙이 침투 또는 흡수되도록 하여 심재(10)가 우수한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허니콤타공부(미도시)는, 니들타공부(110)를 통과한 발포원단(1)에 일정한 허니콤패턴(11)을 타공 및 형성시켜 단열 시공시 공기층을 통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는 심재(10)가 제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발포원단(1)에 일정하게 허니콤패턴(11)을 타공시키는 허니콤커터롤러(미도시)와, 발포원단(1)에 소정의 열과 가압을 통하여 허니콤패턴(11)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오븐크로스(Oven Cloth;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허니콤타공부(미도시)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허니콤타공부(미도시)에 의하면, 발포원단(1)에 허니콤패턴(11)이 안정적인 구조로 유지되는 심재(10)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단열 시공시 복수의 공기층을 통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준불연재함침부(120)는, 심재(10)의 통과시 준불연코팅제(21)가 심재(10)의 타공과 허니콤패턴(11)의 외면에 침투 및 도포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준불연코팅제(21)가 수용되고 심재(10)가 준불연코팅제(21)에 함침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121)와, 수조(121)에 구성되고 심재(10)가 수조(121)에 통과되도록 하여 심재(10)에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되도록 하는 준불연재도포롤러(12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준불연재함침부(120)는, 공지의 망글로라 방식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준불연재함침부(120)에 의하면, 심재(10)가 준불연코팅제(21)가 수용된 수조(121)를 통과하면서 준불연코팅제(21)에 함침된 상태에서 준불연재도포롤러(122)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통하여 준불연코팅제(21)가 심재(10)의 타공 깊숙이 침투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심재(10)에 준불연코팅제(21)가 분사수단 등을 통해 분사 도포되는 것에 비하여 우수한 준불연성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준불연재코팅건조부(130)는,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된 심재(10)의 통과시 열풍과 열복사를 통하여 준불연코팅제(21)를 건조시키고 심재(10)에 준불연코팅층(20)이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된 심재(10)가 통과되도록 하는 타공망(131)을 회전시키는 심재이동수단(132), 타공망(13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제1건조램프(133a)와 제1열풍분사기(133b)를 통하여 타공망(131)을 따라 이동되는 심재(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열을 복사시키고 열풍을 분사시켜 심재(10)에 도포된 준불연코팅제(21)가 건조되도록 하는 제1건조수단(133) 및 제1건조수단(133)의 후방에 위치되고 타공망(13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제2열풍분사기(134a)와 제2건조램프(134b)를 통하여 타공망(131)을 따라 이동되는 심재(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열풍을 분사시키고 열을 복사시켜 심재(10)에 도포된 준불연코팅제(21)가 건조되도록 하는 제2건조수단(13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건조램프(133a)와 제2건조램프(134b)는, 각각 심재(10)의 상면과 하면을 향해 소정의 온도 일예로, 약 100℃의 온도를 가지는 열이 복사되도록 하여 심재(10)의 표면에 직접 열이 빠른 속도로 전달되도록 하고 심재(10)의 타공 깊숙이 전도를 통한 열이 확산되도록 하여 표면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열풍분사기(133b)와 제2열풍분사기(134a)는, 각각 심재(10)의 하면과 상면을 향해 소정의 온도 일예로, 약 100℃의 온도를 가지는 열풍이 분사 또는 대류되도록 하여 심재(10)의 표면 중 넓은 범위에 열풍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여 타공망(131)을 따라 이동되는 심재(10)로부터 준불연코팅제(21)가 흘러내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준불연코팅층(20)의 소정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심재(10)에 전달되는 열풍 또는 열의 온도는,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열풍 또는 열의 온도가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심재(10)가 손상되거나 화재 또는 기계적 문제가 발생되고 준불연코팅층(20)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으며, 100℃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심재(10)의 건조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저하되고 준불연코팅층(20)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심재(10)로부터 쉽게 박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한정된 온도를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준불연재코팅건조부(130)에 의하면,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된 심재(0이 통과시 열풍과 열복사를 통하여 준불연코팅제(21)가 건조되어 심재(10)에 준불연코팅층(20)이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건조수단(133)과 제2건조수단(134)의 건조램프와 열풍분사기가 전방과 후방에 교번 설치되어 심재(10)에 열의 전달이 일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균일하도록 하여 건조 속도와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준불연코팅층(20)이 균일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준불연외피합지부(140)는,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통과시 준불연외피(30)가 심재(10)의 일면에 합지되도록 하여 단열재(40)가 제조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일면에 외피공급롤러(141)에 권취된 준불연외피(30)가 접촉된 상태로 통과시 심재(10)와 준불연외피(30)가 합지되도록 하는 열라미네이팅롤러(142)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준불연외피합지부(140)는,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효과를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와 같은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가 제조된다.
여기서,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는, 발포원단(1)에 다수개의 타공과 허니콤패턴(11)이 가공되는 것을 통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심재(10), 준불연코팅제(21)가 심재(10)의 외면과 심재(10)의 타공에 침투 형성되어 심재(10)가 우수한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준불연코팅층(20) 및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일면에 합지되어 심재(10)가 우수한 단열성과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준불연외피(30) 등을 포함하며, 이때, 준불연코팅제(21)는, 액상규산나트륨 50%이다.
먼저, 상기와 같은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가 제조된다.
여기서,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는, 발포원단(1)에 다수개의 타공과 허니콤패턴(11)이 가공되는 것을 통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심재(10), 준불연코팅제(21)가 심재(10)의 외면과 심재(10)의 타공에 침투 형성되어 심재(10)가 우수한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준불연코팅층(20) 및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일면에 합지되어 심재(10)가 우수한 단열성과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준불연외피(30) 등을 포함하며, 이때, 준불연코팅제(21)는, 액상규산나트륨 40%이다.
먼저, 상기와 같은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가 제조된다.
여기서,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는, 발포원단(1)에 다수개의 타공과 허니콤패턴(11)이 가공되는 것을 통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심재(10), 준불연코팅제(21)가 심재(10)의 외면과 심재(10)의 타공에 침투 형성되어 심재(10)가 우수한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준불연코팅층(20) 및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일면에 합지되어 심재(10)가 우수한 단열성과 준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준불연외피(30) 등을 포함하며, 이때, 준불연코팅제(21)는, 액상규산나트륨 60%이다.
이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와, 이들의 참고예 또는 평가예로서, 시중에 유통되는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제품(A사 제품임)을 이용하여, 공지의 시험방식으로 시험항목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40)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열방출율과 가스유해성 등의 난연성 시험 성능에서 매우 우수한 물성 특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발포원단(1)을 니들 타공하고 허니콤 구조로 타공한 심재(10)에 준불연코팅제(21)를 함침시키고 준불연외피(30)가 합지된 단열재(40)를 제조하여 심재(10)가 우수한 준불연성과 단열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니들타공부(110)에 의해 발포원단(1)의 통과시 다수개의 타공이 형성되어 발포원단(1) 또는 심재(10)가 준불연재함침부(120) 통과시 준불연코팅제(21)의 흡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단계와, 허니콤타공부(미도시)에 의해 니들타공부(110)를 통과한 발포원단(1)에 일정한 허니콤패턴(11)이 타공 및 형성되어 단열 시공시 공기층을 통하여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는 심재(10)가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재함침부(120)에 의해 심재(10)의 통과시 준불연코팅제(21)가 심재(10)의 타공과 허니콤패턴(11)의 외면에 침투 및 도포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재코팅건조부(130)에 의해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된 심재(10)의 통과시 열풍과 열복사를 통하여 준불연코팅제(21)가 건조되어 심재(10)에 준불연코팅층(20)이 균일하게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와, 준불연외피합지부(140)에 의해 준불연코팅층(20)이 형성된 심재(10)의 통과시 준불연외피(30)가 심재(10)의 일면에 합지되어 단열재(40)가 제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준불연재함침부(120)는,
    준불연코팅제(21)가 수용되고 심재(10)가 준불연코팅제(21)에 함침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121)와; 수조(121)에 구성되고 심재(10)가 수조(121)에 통과되도록 하여 심재(10)에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되도록 하는 준불연재도포롤러(122)를 포함하며,
    준불연코팅제(21)는,
    액상규산나트륨 50%이고,
    준불연재코팅건조부(130)는,
    준불연코팅제(21)가 도포된 심재(10)가 통과되도록 하는 타공망(131)을 회전시키는 심재이동수단(132); 타공망(13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제1건조램프(133a)와 제1열풍분사기(133b)를 통하여 타공망(131)을 따라 이동되는 심재(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열을 복사시키고 열풍을 분사시켜 심재(10)에 도포된 준불연코팅제(21)가 건조되도록 하는 제1건조수단(133); 및 제1건조수단(133)의 후방에 위치되고 타공망(13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구성되는 제2열풍분사기(134a)와 제2건조램프(134b)를 통하여 타공망(131)을 따라 이동되는 심재(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열풍을 분사시키고 열을 복사시켜 심재(10)에 도포된 준불연코팅제(21)가 건조되도록 하는 제2건조수단(134)을 포함하며,
    제1건조램프(133a)와 제2건조램프(134b)는,
    각각 심재(10)의 상면과 하면을 향해 100℃의 온도를 가지는 열이 복사되도록 하고,
    제1열풍분사기(133b)와 제2열풍분사기(134a)는,
    각각 심재(10)의 하면과 상면을 향해 100℃의 온도를 가지는 열풍이 분사 또는 대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따른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5. 삭제
KR1020240071463A 2024-05-31 2024-05-31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275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71463A KR102750415B1 (ko) 2024-05-31 2024-05-31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71463A KR102750415B1 (ko) 2024-05-31 2024-05-31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50415B1 true KR102750415B1 (ko) 2025-01-03

Family

ID=9424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71463A Active KR102750415B1 (ko) 2024-05-31 2024-05-31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504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087A (ko) 2007-08-20 2009-02-25 최진영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20180096002A (ko) 2017-02-20 2018-08-29 주식회사 리드파워 건식 벽체
KR20200072085A (ko) * 2018-12-12 2020-06-22 장명우 판재 코팅장치
KR20200074738A (ko) 2018-12-17 2020-06-25 박병철 준불연성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1272B1 (ko) * 2021-08-26 2022-04-27 프라임에너텍(주)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KR102534704B1 (ko) 2022-12-15 2023-05-30 주식회사 에어론 난연 및 내구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9087A (ko) 2007-08-20 2009-02-25 최진영 건축 보온 단열재용 난연 질석 스티로폼 보드
KR20180096002A (ko) 2017-02-20 2018-08-29 주식회사 리드파워 건식 벽체
KR20200072085A (ko) * 2018-12-12 2020-06-22 장명우 판재 코팅장치
KR20200074738A (ko) 2018-12-17 2020-06-25 박병철 준불연성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91272B1 (ko) * 2021-08-26 2022-04-27 프라임에너텍(주) 준불연 발포폼시트 제조장치
KR102534704B1 (ko) 2022-12-15 2023-05-30 주식회사 에어론 난연 및 내구성이 향상된 복합 단열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535B1 (ko) 난연또는불연장식용적층시트
US3934066A (en) Fire-resistant intumescent laminates
US9314995B2 (en) Composites comprising nonwoven structures and foam
US20070275617A1 (en) Decorative flame barrier surface covering
JP2009525441A (ja) フェノールフォームボード
EA011292B1 (ru) Ламинированные строительные материалы
KR101423398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750415B1 (ko)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7511A (ko) 난연성 및 불연성을 가지는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2750417B1 (ko) 심재 준불연 저방사 단열재 및 그 제조장치
KR20150029252A (ko) 발포성 수지에 적합한 미네랄울을 이용한 천공 단열시트와 그 제조방법
KR200471442Y1 (ko) 내장마감재용 불연성 타공판
JP2007144655A (ja) 化粧不燃材
KR101060521B1 (ko) 유리장섬유를 이용한 발수성 보온단열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수성 보온단열재
KR20180128815A (ko) 천공된 피막구조를 가지는 준불연 스티로폼 패널의 제조방법
KR102703522B1 (ko) 준불연 흡음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89182B1 (ko) 난연 및 불연성 발포폴리스티렌 패널의 제조방법
KR101470212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5225749B2 (ja) 難燃フェノール樹脂発泡体積層板とその製造方法
JP5014902B2 (ja) 軽量難燃板
KR20150056218A (ko) 불연성 로이단열재
KR102142863B1 (ko) 건축용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71585A (ja) 調湿不燃性化粧板
KR100577495B1 (ko) 샌드위치 패널용 내부심재 및 이를 내장한 샌드위치 패널
KR20210002614U (ko) 조습 및 난연성을 가지는 기능성 실내 건축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5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