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50314B1 -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50314B1
KR102750314B1 KR1020240034752A KR20240034752A KR102750314B1 KR 102750314 B1 KR102750314 B1 KR 102750314B1 KR 1020240034752 A KR1020240034752 A KR 1020240034752A KR 20240034752 A KR20240034752 A KR 20240034752A KR 102750314 B1 KR102750314 B1 KR 102750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liding
fire
removal
faciliti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주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연기술 filed Critical (주)주연기술
Priority to KR102024003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50314B1/ko
Priority to KR1020240200638A priority patent/KR1027710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50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503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obo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 Alar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해 소방용 밸브 및 관로의 상태 모니터링 및 화재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firefighting facilities installed in industrial facilities}
본 발명은 산업시설물 및 플랜트시설에 설치된 소방시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해 소방용 밸브 및 관로의 상태 모니터링 및 화재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시설물 및 플랜트에서의 화재는 막대한 재산 피해 및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으며, 기존의 소방시설 관리 방법은 주로 수동적인 점검에 의존하고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소방시설의 유지 관리 이력 정보에 접근하기 어려워 시설 관리의 투명성이 낮고, 화재 상황 정보를 신속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461616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3428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상태 및 유지 관리 이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화재의 위치, 규모, 연기 이동 경로 등의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시설의 상태 및 유지 관리 이력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처리하는 관리 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리 서버(10)는, 센서 및 점검 모듈(70)을 이용하여 소방용 밸브 및 관로를 포함한 소방시설의 상태 및 유지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20), 상기 데이터 수집부(2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검색,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30),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잠재적 문제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모니터링부(40), 상기 모니터링부(40)에 의해 진단 및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화재 예측부(50), 관리자가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 예측부(50)에서의 대응 방안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점검 모듈(70)은, 각각의 소방시설의 현재 상태 및 유지 상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로 수집하는 영상 촬영부(80), 상기 영상 촬영부(80)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 모듈 이동부(90), 상기 모듈 이동부(90)에 내장되어 상기 영상 촬영부(80)가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소방시설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100)는, 상기 모듈 이동부(90)의 내부에 'ㅣㅣ'자 형상으로 일정 간격 설치된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 홈(160), 상기 슬라이딩 홈(160)의 말단부에 탄성 체결된 홈 스프링(170), 상기 슬라이딩 홈(160)에 체결되어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형상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홈 스프링(170)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 상기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이 양 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형상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소방시설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제거부재(190), 상기 모듈 이동부(9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유도하게 구비된 슬라이딩 구동부(110),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거부재(19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각도 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구동부(110)는, 상기 모듈 이동부(9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 상기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 상기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에서 상기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를 향해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이 회동하도록 회전하게 구비된 제 1 프레임 회동축(113), 상기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부 헤드(114), 상기 구동부 헤드(114)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 헤드(114)에 지지되도록 구비된 헤드 플레이트(115), 상기 모듈 이동부(90)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내장되되 상기 헤드 플레이트(115)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 상기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을 회동시키도록 삽입된 제 2 프레임 회동축(130), 상기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상부에 'ㄴ'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상기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회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을 후진시키도록 타격하게 구비된 후진 슬라이딩부재(140), 상기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일 측부에 설치된 스프링 고정부(141), 상기 스프링 고정부(141)에 탄성 체결되어 상기 구동부 헤드(114)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비된 구동부 스프링(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200)는, 상기 제거부재(190)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거부재(190)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부재 연결 돌기(230), 상기 부재 연결 돌기(230)에서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를 향해 내장되어 회동 가능하여 상기 제거부재(19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각도 조절 프레임(220), 상기 각도 조절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되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에 내장된 각도 조절 롤러(210), 상기 각도 조절 프레임(220)의 일 측부에 돌출 형성된 샤프트 연결 돌기(260), 상기 샤프트 연결 돌기(260)가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각도 조절 프레임(220)의 회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조절 샤프트(240), 상기 조절 샤프트(240)의 양 말단부가 삽입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조절 샤프트(240)의 상하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비된 조절부 스크류부(250), 상기 조절 샤프트(240) 및 상기 조절부 스크류부(250)를 수용하되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의 내부에 내장된 샤프트 하우징(27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해 소방용 밸브 및 관로의 상태 모니터링 및 화재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소방시설의 상태 및 유지 관리 이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시설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화재 위치 및 규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초기 대응 시간을 단축시키고, 화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시설 관리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화재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단계별 실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 모듈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에 의해"를 포함한 하기 조립 구성들과 실시예들을 위한 동력과 동력 전달 및 그에 대한 제어는 종래의 기술을 따르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개략적으로 기재한 동작 실시예들 및 구성들에 대하여는 종래의 기술을 따르며 본 발명의 목적과 그에 따른 효과를 집중적으로 기재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관계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10)은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시설의 상태 및 유지 관리 이력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처리하는 관리 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 서버(10)는, 센서 및 점검 모듈(70)을 이용하여 소방용 밸브 및 관로를 포함한 소방시설의 상태 및 유지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20), 상기 데이터 수집부(20)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검색,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30), 상기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잠재적 문제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모니터링부(40), 상기 모니터링부(40)에 의해 진단 및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화재 예측부(50), 관리자가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 예측부(50)에서의 대응 방안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단계별 실시 순서도이다.
[실시예]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소방시설에 설치된 센서와 점검 모듈(7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에는 소방용 밸브, 관로의 상태, 유지 관리 이력 등이 포함된다.
센서 및 점검 모듈(70): 소방시설의 다양한 구성 요소에서 상태 데이터를 수집한다. 점검 모듈(70)은 또한 영상 촬영부(80)를 포함하여 소방시설의 현재 상태와 유지 상태 데이터를 영상으로 수집한다.
데이터베이스(30): 수집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 검색, 관리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필수적이다.
모니터링부(40):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방시설의 잠재적 문제를 진단한다. 이는 정기적인 유지보수 및 긴급 상황 대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화재 예측부(50): 모니터링부(40)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필요한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이는 사전에 위험을 감지하고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 관리자는 이 부분을 통해 소방시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화재 예측부(50)에서 제시한 대응 방안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는 사용자 친화적이며, 관리자가 소방시설의 상태를 쉽게 이해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영상 촬영부(80) 및 모듈 이동부(90): 소방시설을 점검하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물질 제거부(100)는 영상 촬영 중 발견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소방시설의 효율적인 작동을 보장한다.
점검 모듈(70)에 있어서, 영상 촬영부(80), 모듈 이동부(90), 이물질 제거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영상 촬영부(80)는 고화질 카메라와 같이 소방시설을 촬영 및 영상 데이터를 생성 수집할 수 있는 장비로 구비된다.
모듈 이동부(90)는 바퀴가 설치되어 영상 촬영부(80)를 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이물질 제거부(100)는 모듈 이동부(90)의 내부에 내장되되 소방시설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 모듈의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이물질 제거부(100)에 있어서, 모듈 이동부(90)의 내부에 평면도 기준 'ㅣㅣ'자 형상으로 일정 간격으로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이 내장된다.
이때,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은 슬라이딩 홈(160)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홈(160)의 후단부에 홈 스프링(170)이 체결된다.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형상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가 배치된다.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의 양 측부에는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이 돌출 형성되고,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은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은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의 측부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의 전단부에는 제거부재(190)가 설치되어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스펀지, 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구동부(110)에 있어서,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제 2 프레임 회동축(130)에 의해 회동 가능하면서 모듈 이동부(90)의 내부에 고정된다.
이때, 제 2 프레임 회동축(130)은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중앙 측부를 관통 삽입한다.
후진 슬라이딩부재(140)가 'ㄴ'자 형상으로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상부에 설치되고,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회동에 의해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을 타격하여 후진하게 배치된다.
모듈 이동부(90)의 내부 하단면에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저면부가 고정되고,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이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에 제 1 프레임 회동축(1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되 제 1 프레임 회동축(113)은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의 하부에서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일 측부를 향해 관통 삽입된다.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의 상부에 구동부 헤드(114)가 설치되고, 구동부 헤드(114)의 전면부에 수직 방향으로 헤드 플레이트(115)가 설치된다.
헤드 플레이트(115)는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의 회동에 의해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의 하부를 타격하여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을 회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의 후단부에 스프링 고정부(141)가 설치되고, 구동부 스프링(142)이 스프링 고정부(141)의 상부에 체결되어 구동부 헤드(114)의 후면을 탄성 지지한다.
각도 조절부(200)에 있어서, 제거부재(190)의 내부에 부재 연결 돌기(230)가 내장된다.
각도 조절 프레임(220)의 전단부에 부재 연결 돌기(230)가 형성되고, 각도 조절 프레임(220)의 후단부에 각도 조절 롤러(210)가 체결된다.
이때, 각도 조절 롤러(210)는 회전 가능하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의 내부 전방에 내장된다.
샤프트 연결 돌기(260)가 각도 조절 프레임(220)의 일 측부에 돌출 형성된다.
조절 샤프트(240)는 각도 조절 프레임(220)을 도면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가로질러 체결된다.
이때, 샤프트 연결 돌기(260)는 조절 샤프트(240)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조절부 스크류부(250)가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의 내부 전단부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특히, 조절부 스크류부(25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의 내부 전단부에 고정된다.
또한, 조절부 스크류부(25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조절 샤프트(240)의 양 말단부는 조절부 스크류부(250)의 내부를 향해 삽입되되, 조절부 스크류부(250)의 회전에 의해 조절 샤프트(24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샤프트 하우징(270)이 조절부 스크류부(250) 및 조절 샤프트(240)를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배치된다.
[실시예]
1. 모듈 이동부(90)에 소방시설들이 닿게 되면서 제거부재(190)도 소방시설들과 닿게 된다.
2. 1에 의해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가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에 의해 슬라이딩 홈(160)을 따라 홈 스프링(170)을 향해 후진한다.
3. 홈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이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를 전진 슬라이딩시킨다.
4. 전진하는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에 의해 제거부재(190)가 소방시설 장치들의 표면 이물질을 제거한다.
5. 3에 의해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이 후진 슬라이딩부재(140)를 타격한다.
6. 5에 의해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제 2 프레임 회동축(130)에 지지되면서 회동하여 헤드 플레이트(115)를 타격한다.
7. 6에 의해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이 제 1 프레임 회동축(113)에 지지되면서 구동부 스프링(142)을 향해 회동한다.
8. 7에 의해 구동부 스프링(142)의 탄성력으로 다시 구동부 헤드(114)에 전달하여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이 헤드 플레이트(115)를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을 향해 회동시킨다.
9. 8에 의해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이 회동하여 후진 슬라이딩부재(140)가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을 타격하여 홈 스프링(170)을 향해 슬라이딩시킨다.
10. 4에 이어서 제거부재(190)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각도 조절 롤러(210)가 각도 조절 프레임(220)을 회동시킨다.
11. 10에 이어서 조절 샤프트(240)가 조절부 스크류부(25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12. 11의 조절부 스크류부(250)의 회전을 샤프트 하우징(270)이 보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관리 서버(10)
데이터 수집부(20)
데이터베이스(30)
모니터링부(40)
화재 예측부(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0)
점검 모듈(70)
영상 촬영부(80)
모듈 이동부(90)
이물질 제거부(100)
슬라이딩 구동부(110)
구동부 지지 플레이트(111)
구동부 회동 프레임(112)
제 1 프레임 회동축(113)
구동부 헤드(114)
헤드 플레이트(115)
후진 슬라이딩 프레임(120)
제 2 프레임 회동축(130)
후진 슬라이딩부재(140)
스프링 고정부(141)
구동부 스프링(142)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150)
슬라이딩 홈(160)
홈 스프링(170)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180)
샤프트 슬라이딩 축(180a)
제거부재(190)
각도 조절부(200)
각도 조절 롤러(210)
각도 조절 프레임(220)
부재 연결 돌기(230)
조절 샤프트(240)
조절부 스크류부(250)
샤프트 연결 돌기(260)
샤프트 하우징(270)

Claims (3)

  1.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시설의 상태 및 유지 관리 이력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처리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센서 및 점검 모듈을 이용하여 소방용 밸브 및 관로를 포함한 소방시설의 상태 및 유지 관리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 검색,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잠재적 문제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부에 의해 진단 및 분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화재 예측부;
    관리자가 소방시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화재 예측부에서의 대응 방안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 모듈은,
    각각의 소방시설의 현재 상태 및 유지 상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로 수집하는 영상 촬영부;
    상기 영상 촬영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 모듈 이동부;
    상기 모듈 이동부에 내장되어 상기 영상 촬영부가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소방시설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모듈 이동부의 내부에 일정 간격 설치된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슬라이딩 홈;
    상기 슬라이딩 홈의 말단부에 탄성 체결된 홈 스프링;
    상기 슬라이딩 홈에 체결되어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의 형상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며 상기 홈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비된 샤프트 슬라이딩 축;
    상기 샤프트 슬라이딩 축이 양 측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레일의 형상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소방시설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제거부재;
    상기 모듈 이동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를 슬라이딩시키도록 유도하게 구비된 슬라이딩 구동부;
    상기 제거부 슬라이딩 샤프트의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제거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는,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40034752A 2024-03-12 2024-03-12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 Active KR102750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4752A KR102750314B1 (ko) 2024-03-12 2024-03-12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40200638A KR102771069B1 (ko) 2024-03-12 2024-12-30 산업현장 소방시설 관리 대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4752A KR102750314B1 (ko) 2024-03-12 2024-03-12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200638A Division KR102771069B1 (ko) 2024-03-12 2024-12-30 산업현장 소방시설 관리 대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50314B1 true KR102750314B1 (ko) 2025-01-07

Family

ID=942396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4752A Active KR102750314B1 (ko) 2024-03-12 2024-03-12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40200638A Active KR102771069B1 (ko) 2024-03-12 2024-12-30 산업현장 소방시설 관리 대응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200638A Active KR102771069B1 (ko) 2024-03-12 2024-12-30 산업현장 소방시설 관리 대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750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1069B1 (ko) * 2024-03-12 2025-02-21 (주)주연기술 산업현장 소방시설 관리 대응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230A (ko) * 2007-11-26 2009-05-29 (주)다산기업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KR102028880B1 (ko) * 2019-05-20 2019-11-04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20200063033A (ko) * 2019-08-08 2020-06-04 최근주 소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1648B1 (ko) * 2019-11-22 2021-03-2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234285B1 (ko) 2020-09-04 2021-03-31 주식회사 비밍코어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KR102308608B1 (ko) * 2021-04-02 2021-10-0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KR102461616B1 (ko) 2021-11-15 2022-11-03 세종종합기술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585B1 (ko) * 2018-01-29 2019-11-11 주식회사 하나안전소방 소방 방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452515B1 (ko) * 2020-08-27 2022-10-07 정성호 IoT 기반의 소방 방재 훈련 시스템
KR102750314B1 (ko) * 2024-03-12 2025-01-07 (주)주연기술 산업시설물에 설치된 소방시설의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4230A (ko) * 2007-11-26 2009-05-29 (주)다산기업 각종 건물에 설비된 소방장비의 관리시스템
KR102028880B1 (ko) * 2019-05-20 2019-11-04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물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20200063033A (ko) * 2019-08-08 2020-06-04 최근주 소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1648B1 (ko) * 2019-11-22 2021-03-25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234285B1 (ko) 2020-09-04 2021-03-31 주식회사 비밍코어 실시간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KR102308608B1 (ko) * 2021-04-02 2021-10-06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KR102461616B1 (ko) 2021-11-15 2022-11-03 세종종합기술 주식회사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소방시설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71069B1 (ko) * 2024-03-12 2025-02-21 (주)주연기술 산업현장 소방시설 관리 대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71069B1 (ko) 202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71069B1 (ko) 산업현장 소방시설 관리 대응 시스템
CN110610556B (zh) 机器人巡检管理方法及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CN103986855B (zh) 一种煤矿综采工作面用具有自除尘功能的摄像仪
CN113112723A (zh) 具有警报防盗功能的安防监控及使用方法
KR101238303B1 (ko) 영상 감시장치, 이를 이용한 영상 감시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17669429U (zh) 一种智能巡检机器人
CN118158504A (zh) 一种互联网信息安全防护用机房监控设备
CN217481273U (zh) 一种掘进机
JP4929191B2 (ja) 遠隔監視装置
KR102671675B1 (ko) 빅데이터를 활용한 경비 인력 지원 시스템
CN116052375A (zh) 一种高危特殊作业用报警装置
CN119152632B (zh) 采用光电感烟探测及图像传输识别的复合式火灾报警系统
CN222459068U (zh) 一种酒店安全监控巡检装置
CN212137817U (zh) 一种用于高空作业的监控系统
CN222318755U (zh) 一种钢桥腐蚀程度检测装置
CN216286255U (zh) 一种实兵交战系统
CN222395728U (zh) 一种安防监控设备及可视化楼宇管理平台系统
CN103297760A (zh) 具有全景监控和定点细化摄像功能的监控装置
CN223022757U (zh) 一种火灾报警控制用数据采集装置
CN216531581U (zh) 一种物联网安防监控器
CN222028674U (zh) 一种可视化火灾监管系统
CN220355096U (zh) 一种安防用监控装置
CN222437425U (zh) 一种基于视频识别协同操作合规性的装置
CN222880741U (zh) 一种火灾风险因子监测预警装置
CN219890488U (zh) 线路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6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23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