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50258B1 - Conveyor for air cargo transport with 4-way heli-roll - Google Patents
Conveyor for air cargo transport with 4-way heli-ro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50258B1 KR102750258B1 KR1020240057564A KR20240057564A KR102750258B1 KR 102750258 B1 KR102750258 B1 KR 102750258B1 KR 1020240057564 A KR1020240057564 A KR 1020240057564A KR 20240057564 A KR20240057564 A KR 20240057564A KR 102750258 B1 KR102750258 B1 KR 1027502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li
- roll
- air cargo
- conveyor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6—Other airport installations
- B64F1/368—Arrangements or installations for routing, distributing or loading bagg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54—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4—Omni-directional ro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업장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항공화물을 타측의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복수의 파워 로울러 베드와; 4면에 3개의 유입구와 하나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들 중 어느 인접한 두 파워 로울러 베드 사이 및 업/다운 롤 베드 사이의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에 의해 일측 유입구로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은 타측 배출구 측으로 직진 이송시키고, 양측면 측에 구비된 측방향 유입구 중 어느 한 측방향 유입구를 통해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 자동 회전시켜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헬리 롤 컨베이어;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의 측방향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입구 측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는 업/다운 롤 베드; 및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들과 헬리 롤 컨베이어 및 업/다운 롤 베드의 구동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반;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four-way heli-ro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nfiguring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the conveyor comprises: a plurality of power roller beds which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loor of a work area and transport air cargo introduced through an inlet on one side to an outlet on the other side; a heli-roll conveyor which is provided with three inlets and one outlet on four sides and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work area between any two adjacent power roller beds among the power roller beds and between up/down roll beds, and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one inlet by the power roller beds is transported straight toward the outlet on the other side, and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any one of the lateral inlets provided on both sides is automatically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transport it toward the outlet; an up/down roll bed which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work area on the side of at least one inlet among the lateral inlets of the heli-roll conveyor; and a main control panel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functions for driving the power roller beds, the heli-roll conveyor, and the up/down roll beds.
Description
본 발명은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팰릿(pallet) 또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탑재용기를 이용하여 각종 항공화물을 포장한 다음, 이를 화물 운송용 차량 또는 항공기 등에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입 및 배출용 파워 로울러 베드 사이에 3개의 유입구와 1개의 배출구를 갖는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3개의 유입구 중 배출구와 동일선상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경우는 직선으로 이송시키고, 나머지 2개의 측방향 유입구 중 어느 한 측방향(좌측 또는 우측) 유입구를 통해서 항공화물이 유입될 경우는 자체의 상면에서 항공화물의 방향을 배출구 측으로 자동 전환(즉, 항공화물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이송할 수 있도록 발명한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that packages various types of air cargo using a loading vessel including a pallet or a container and automatically transports the same to a cargo transport vehicle or aircraft, wherein a 4-way heli-roll conveyor having three inlets and one outlet is installed between power roller beds for inlet and discharge, so that when air cargo is fed through an inlet that is in the same line as the outlet among the three inlets, it is transported in a straight line, and when air cargo is fed through one of the two lateral inlets (left or right), the direction of the air cargo is automatically switched on its upper surface toward the outlet (i.e., the air cargo is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so as to be transpor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의 유입구 중 측방향 유입구 측의 작업장 바닥에는 업/다운 롤 베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지게차 또는 핸드자키 또는 달리 등을 통해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이 작업장 바닥에서 상기 업/다운 롤 베드에 옮겨지면 이를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의 상면까지 승강시킨 후, 상기 업/다운 롤 베드에서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which selectively installs an up/down roll bed on the floor of a workplace on the side of a lateral inlet among the inlets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and when air cargo transported by a forklift, a hand jack, a dolly, etc. is transferred from the floor of the workplace to the up/down roll bed, it is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and then automatically transported from the up/down roll b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일반적으로 공항에 설치되는 공항수하물 이송컨베이어 시스템은 출국시 공항의 체크인 카운터 데스크에서 여객의 수하물을 적재하거나 입국시 공항 수하물의 이송방향을 변경시켜 수하물을 회전시키는 케로셀로 공급하는 이송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Airport baggage transfer conveyor systems, which are typically installed at airports, are equipped with transfer conveyors that load passengers' baggage at the airport's check-in counter desk when departing or supply baggage to a carousel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baggage transfer when arriving at the airport.
또, 여객 운송을 위한 항공기 내에서, 여객들은 그들의 수하물 중 일부를 기내에 반입하는 반면, 부피가 더욱 크고 무거운 수하물은 화물실 내에서 운송된다.Also, on board aircraft for passenger transport, passengers carry some of their baggage on board, while larger and heavier baggage is transported in the cargo hold.
상기에서 후자의 수하물은 컨베이어 또는 토우 트랙터(tow tractor)에 의하여 항공기까지 운반되는데, 수하물을 항공기 화물실의 출입문까지 운반할 수 있는 이송 컨베이어가 존재한다.The latter baggage in the above is transported to the aircraft by a conveyor or tow tractor, and there is a transfer conveyor capable of transporting the baggage to the door of the aircraft cargo hold.
물론, 입국시에는 항공기 화물실에 실린 수화물은 상기한 이송 컨베이어 또는 토우 트랙터(tow tractor)에 의하여 공항의 수화물 보관창고 또는 여객이 수화물을 찾아갈 수 있는 장소 등까지 운반된다.Of course, upon entry, baggage loaded in the aircraft cargo hold is transported to the airport's baggage storage warehouse or a location where passengers can retrieve their baggage by the aforementioned transfer conveyor or tow tractor.
또한, 입국시 수하물을 찾아가는 장소에는 수화물을 회전시키는 케로셀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가 구비되고, 둘 이상의 이송로와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되는 이송 컨베이어도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aggage claim area upon entry is equipped with a conveyor belt that supplies baggage to a carousel that rotates the baggage, and a conveyor belt that is positioned at a point that connects to two or more transfer routes.
한편, 공항에서 항공화물의 이동을 위한 탑재용기는 팰릿(pallet) 또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탑재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달리 또는 회전판 달리(turntable dolly)가 사용된다.Meanwhile, the containers for moving air cargo at the airport include pallets or containers, and a dolly or turntable dolly is used as a device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s.
이와 같은 탑재용기들은 항공화물 포장장소들로 옮겨져 각종 화물들이 탑재 및 고정된 다음 지게차 또는 핸드자키 등을 통해 포장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화물이송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옮겨져 탑재된 후, 항공화물 배출측으로 이송된 후, 트레일러 또는 토우 트랙터 등에 상차되어 항공기 또는 물류창고 등까지 운반된다.These loading containers are moved to the air cargo packing sites, where various cargoes are loaded and secured, and then moved to the cargo transfer conveyor system installed at the packing work site using forklifts or hand jacks, and after loading, they are transferred to the air cargo discharge side, and then loaded onto trailers or tow tractors to be transported to aircraft or logistics warehouses.
물론, 상기 항공기에 탑재되어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 역시 탑재용기에 탑재된 상태에서 항공기의 화물 베이(cargo bay) 안으로부터 항공기의 바닥에 장착된 롤러 컨베이어 시스템 및 하역용 컨베이어 등을 통해 밖으로 이동된 후, 트레일러 또는 토우 트랙터 등에 상차되어 물류창고 등까지 운반된다.Of course, the air cargo loaded onto the aircraft and transported is also moved out of the aircraft's cargo bay using roller conveyor systems and unloading conveyors mounted on the floor of the aircraft while still loaded onto containers, and then loaded onto trailers or tow tractors to be transported to logistics warehouses, etc.
또한,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물품을 짧은 구간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여러 종류가 제공되고 있고, 이러한 컨베이어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벨트형 컨베이어와 롤(Rool)형 컨베이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conveyors are generally provided in various types as a means for transporting goods over short distances, and the most common types of these conveyors are belt-type conveyors and roll-type conveyors.
이들은 상면에 이송물품을 올려놓게끔 되어 있으며 평면상에서 물품을 직선형 또는 곡선형으로 이송시킨다.They are designed to place items on a surface and transport items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on a flat surface.
회전롤을 사용하는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방향전환 기능을 위하여 보통 링크기구를 이용하여 왔으나, 이 링크기구에 의하면 방향전환이 가능한 최대각도에 제한이 따른다. Conventional conveyor systems using rotary rolls have usually used a link mechanism for the direction changing function, but this link mechanism places a limit on the maximum angle at which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그래서 다양성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미치지 못하였다.So it fell short of the needs of consumers who demand diversity.
그리고 방향전환롤러를 사용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종횡으로 배열된 다수의 회전롤러 유닛을 포함하고 있는데, 특정 회전롤러유닛에 오링(O-ring)으로 된 동력전달링이 끊기는 등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수리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었고, 오링이 뒤틀린 상태에서 동력을 전달하므로 마찰을 많이 받아 끊기는 현상이 있었던 것이다.And a conveyor device using a direction-changing roller includes a number of rotary roller units arranged longitudinally and transversely. When a problem occurs, such as a power transmission ring made of an O-ring breaking in a specific rotary roller unit, a lot of time and manpower are consumed to repair it. In addition, since the O-ring transmits power in a twisted state, it experiences a lot of friction and breaks.
이런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전체 장치를 정지시키고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는 해당 롤러유닛만을 교체할 수 없기 때문이다.When this phenomenon occurs, the entire device must be stopped and work must be done, as it is not possible to replace just the roller unit.
또,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기어의 섭동에 의해 기동하게끔 구성되어 있는데, 기어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고 마모에 의한 이물질이 생기고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conveyor devices are configured to operate by the perturbation of gears, but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lot of noise generated by physical contact between gears, foreign substances being generated due to wear, and durability being reduc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팰릿(pallet) 또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탑재용기를 이용하여 각종 항공화물을 포장한 다음, 이를 화물 운송용 차량 또는 항공기 등에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입 및 배출용 파워 로울러 베드 사이에 3개의 유입구와 1개의 배출구를 갖는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3개의 유입구 중 배출구와 동일선상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경우는 직선으로 이송시키고, 나머지 2개의 측방향 유입구 중 어느 한 측방향(좌측 또는 우측) 유입구를 통해서 항공화물이 유입될 경우는 자체의 상면에서 항공화물의 방향을 배출구 측으로 자동 전환(즉, 항공화물을 배출구 방향을 향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이송할 수 있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various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which packages various types of air cargo using a pallet or container-containing load vessel and automatically transports them to a cargo transport vehicle or aircraft, wherein a 4-way heli-roll conveyor having 3 inlets and 1 outlet is installed between power roller beds for inlet and discharge, so that when air cargo is fed in through an inlet that is in the same line as the outlet among the 3 inlets, it is transported in a straight line, and when air cargo is fed in through one of the lateral (left or right) inlets among the remaining 2 lateral inlets, the direction of the air cargo is automatically switched on its upper surface toward the outlet (i.e., the air cargo is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ward the outlet direction) and transpor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의 유입구 중 측방향애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측 작업장 바닥에는 업/다운 롤 베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지게차 또는 핸드자키 또는 달리 등을 통해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이 상기 작업장 바닥에 설치된 상기 업/다운 롤 베드에 옮겨지면,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을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의 상면까지 승강시킨 후, 상기 업/다운 롤 베드에 구비된 원봉형 로울러들을 작동시켜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wherein an up/down roll bed is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floor of a work area on at least one inlet side formed laterally among the inlets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and when air cargo transported by a forklift, a hand jack, a dolly, etc. is transferred to the up/down roll bed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 area, the up/down roll bed frame is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and then the cylindrical rollers provided on the up/down roll bed are operated to automatically transport the air cargo to the upper surface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detailed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determine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through the specific contents described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는,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업장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항공화물을 타측의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복수의 파워 로울러 베드와; 4면에 3개의 유입구와 하나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들 중 어느 인접한 두 파워 로울러 베드 사이 및 업/다운 롤 베드 사이의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에 의해 일측 유입구로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은 타측 배출구 측으로 직진 이송시키고, 양측면 측에 구비된 측방향 유입구 중 어느 한 측방향 유입구를 통해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 자동 회전시켜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헬리 롤 컨베이어;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의 측방향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입구 측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는 업/다운 롤 베드; 및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들과 헬리 롤 컨베이어 및 업/다운 롤 베드의 구동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반;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ower roller beds which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loor of a work area and transport air cargo introduced through an inlet on one side to an outlet on the other side, when configuring the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a heli-roll conveyor which is provided with three inlets and one outlet on four sides and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work area between any two adjacent power roller beds among the power roller beds and between up/down roll beds, and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one inlet by the power roller beds is transported straight toward the outlet on the other side, and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any one of the lateral inlets provided on both sides is automatically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transport it toward the outlet; an up/down roll bed which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a work area on the side of at least one inlet among the lateral inlets of the heli-roll conveyor; and a main control panel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functions for driving the power roller beds, the heli-roll conveyor, and the up/down roll beds.
또한, 상기 업/다운 롤 베드의 입구측 작업장 바닥면에는 포장된 항공화물이 일시적으로 적재 및 대기되었다가 상기 업/다운 롤 베드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슬래브 파레트 앗세이가 더 설치된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loor of the work area on the entrance side of the up/down roll bed includes a slab pallet assembly further installed so that packaged air cargo can be temporarily loaded and waited for transfer to the up/down roll bed side.
또,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는 로울러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되며, 저단부는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파워 로울러 베드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양단부는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원봉형 로울러; 상기 원봉형 로울러 사이 틈새를 막아줄 수 있도록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발판;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원봉형 로울러들의 일단부 축상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상기 서로 인접된 로울러의 축상에 설치된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들의 기어들을 교호로 연속해서 상호 결합시켜 주는 복수의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된 구동 스프라켓이 회전축 상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 중 어느 일측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원봉형 로울러들에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중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과 연결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드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및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을 통해 로울러에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 동력 전달 체인; 및 화물 유입구 및 배출구 측 발판 상면에 설치되고,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화물검출센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wer roller bed comprises a pair of power roller bed frames arranged in parallel while being spaced apart by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rollers; a power roller bed height-adjusting and support member arrang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 upper end of which is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power roller bed frame, and a lower end of which is fixed to a floor surface of a work place;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power roller bed frame,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bearings respectively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ower roller bed frame; a plurality of foot plates installed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power roller bed frame so as to block a gap between the cylindrical rollers; a plurality of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sprockets formed integrally with a pair of gears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ly installed on one end shaft of the cylindrical roll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ar transmission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sprocket coupling chains that alternately and continuously couple gears of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installed on the axles of the adjacent rollers; a geared motor, in which a pair of gears are integrally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provided on a rotational shaft and is fixedly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one of the pair of power roller bed frames, and operates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a control panel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for the cylindrical rollers; a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which is coupled between one of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sprocket coupling chain among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and the drive sprocket, and which transmits the power of the geared motor to the roller through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 and the sprocket coupling chain; and a cargo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s on the sides of the cargo inlet and outlet and detects the inflow and discharge status of air cargo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low and discharge status to the control panel.
또한,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는,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는 단위 프레임을 사각 틀체 형상을 갖게 상호 결합시킨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 4면을 따라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되며, 저단부는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 각각의 회전봉 상에 복수의 헬리 롤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단위 프레임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단위 프레임의 측면 바 내면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단위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된 위치의 회전봉 상에 설치된 헬리 롤들의 자전형 경사롤 로울러들의 경사방향은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고 교호로 배치되는 복수의 홀수 및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 상기 헬리 롤들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헬리 롤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덮개;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의 회전봉 일측 또는 상기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의 회전봉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홀수 및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서로 인접된 상기 홀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들 또는 상기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들을 연속해서 상호 결합시켜 주는 홀수 및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작동용 체인;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된 구동 스프라켓이 회전축 상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면 및 타측면 저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 또는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가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 상기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의 구동 스프라켓 또는 상기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의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스프라켓 작동용 체인이 결합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상기 홀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또는 상기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을 각각 상호 결합시켜 주는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 동력 전달 체인; 및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들의 조작신호 및 내부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대응하여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의 구동방향과 구동 및 정지시간을 제어하는 헬리 롤 제어반;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eli-roll conveyor comprises a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in which unit frames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are mutually connected to have a square frame shape; a conveyor height-adjusting and supporting member which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each of the four lower surface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 upper e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a lower end is fixed to the floor of a work area; a plurality of heli-roll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each rotating rod, and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unit fram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both ends are rotatably connected to bearing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bars of the unit frame, wherein the inclination directions of the rotating incline rollers of the heli-rolls installed on the rotating rods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frame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A conveyor cover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wherein heli-roll exposure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heli-rolls, respectively; odd-numbered and even-numbered group driven sprockets each having a pair of gears integrally form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installed on one side of a rotating shaft of the odd-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y or the other side of a rotating shaft of the even-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y, respectively; an odd-numbered and even-numbered group driven sprocket operating chain that continuously mutually connects the odd-numbered group driven sprockets or the even-numbered group driven sprockets adjacent to one another; an odd-numbered and even-numbered group driving motor each having a pair of gears integrally formed apart from one another and fixedly installed in opposite directions at the bottom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which generates power so that the odd-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y or the even-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y rotates in a direction determined by a control unit; The invention relates to an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which mutually connects one of the odd group driven sprockets or the even group driven sprockets, wherein the driving sprocket of the odd group driving motor or the driving sprocket of the even group driving motor and the driven sprocket operating chain are not connected; and a heli-roll control panel which has a plurality of switches and controls the driving direction and the driving and stopping time of the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s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signals of the switches and the execution results of the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또,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4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수직봉 상에 고무 로울러들이 각각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 또는 배출구들을 통해 유입 및 배출되는 항공화물의 어느 일면과 부딛칠 때마다, 수평 방향으로 아이들 회전하며 항공화물의 이탈을 탄력적으로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 로울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eli-roll conveyor further includes a guide roller for preventing detachment, which has rubber rollers respectively installed on vertical bars install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which idles horizontally and elastically prevents detachment of air cargo whenever it collides with one side of air cargo being fed in and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inlets or discharge ports formed on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또한,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유입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포함하여 배출구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통상시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락킹된 상태에 있다가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 발생으로 인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푸쉬 샤프트를 눌렀을 때, 상기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에서 락킹이 해제되며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자동 돌출되는 복수의 푸쉬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eli-roll conveyo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ush stoppers, which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including at least one inlet port among the inlet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which are normally in a locked state with the push shaft inserted into the housing, but when a worker presses the push shaft by hand, the push shaft is unlocked within the housing and automatically protrudes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an elastic spring due to a situation in which the inlet and discharge of air cargo must be blocked.
또,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배출구 및 유입구들 상면 양측에 설치되고,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화물검출센서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eli roll conveyo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argo detection sensors that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inlet port of the heli roll conveyor base frame and detect the inflow and discharge status of air cargo and transmit the detection to the control panel.
또한, 상기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는, 평단면이 "┗┛" 형상을 갖되, 저단부에는 볼트 볼트 결합판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수직판 상에는 한 쌍의 장방형 수직통공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단부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용접 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바닥 고정판의 상면에서 평단면이 "┗┛" 형상을 갖는 제1 지지부 결합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부 결합판의 수직판 상에는 한 쌍의 장방형 수직통공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형태를 갖고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볼트머리가 상기 제2 지지부의 바닥 고정판 상면에 위치되고, 나사부가 상기 제1 지지부의 볼트 결합판을 관통하게 나사 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장방형 통공들을 관통한 볼트에 너트와 체결되며, 상기 높이 조절 볼트에 의해 조절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복수의 지지부 고정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nveyor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comprises: a first support member having a cross-section having a "┗┛" shape, a bolt-bolt connecting plate formed by horizontal bending at a lower end, a pair of rectangular vertical hol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vertical plate, and an upper end welded and fix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 second support member having a first support connecting plate having a cross-section having a "┗┛" shape on an upper surface of a floor fixing plate, a pair of rectangular vertical hol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vertical plate of the first support connecting plate, and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a work site; a height adjustment bolt having a bolt head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loor fixing plat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a screw portion screw-connected so as to penetrate the bolt connecting plat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fixtures that are fastened with nuts to bolts that penetrate the rectangular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ixtures and maintain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ixtures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ment bolt.
또, 상기 헬리 롤 제어반은 상기 화물검출센서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일직선 상에 있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유입구로 항공화물이 유입된 것이 검출될 경우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된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를 모두 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들이 모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측 유입구로 유입된 항공화물이 타측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In addition, when the heli-roll control panel detects that air cargo has entered the inlet on one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in a straight line with the discharge port by the cargo detection sensor, it drives all of the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clockwise so that all of the odd and even group heli-roll assemblies rotate clockwise and the air cargo entered through the inlet on one sid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n the other side.
상기 배출구와 90도 위상각을 갖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면 유입구 중 일측 유입구(예를 들어 왼쪽)를 통해 항공화물이 유입된 것이 검출될 경우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는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타측에 설치된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들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항공화물의 저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상기 항공화물이 배출구 측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서 이송되게 하며,When it is detected that air cargo has entered through one of the inlets (for example, the left) on both side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having a 90-degree phase angle with the discharge port, the odd-numbered group driv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is driven clockwise, and the even-numbered group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s driven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odd-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ies rotate clockwise, and the even-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ies rotate counterclockwise, and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argo so that the air cargo is transported while rotating 90 degrees counterclockwise toward the discharge port.
상기 배출구와 90도 위상각을 갖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면 유입구 중 타측 유입구(예를 들어 오른쪽)를 통해 항공화물이 유입된 것이 검출될 경우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타측에 설치된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는 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항공화물의 저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상기 항공화물이 배출구 측을 향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서 이송되게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When it is detected that air cargo has entered through the other inlet (for example, the right) among the inlets on both side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having a 90-degree phase angle with the discharge port, the odd-numbered group driv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is driven counterclockwise, and the even-numbered group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s driven clockwise, so that the odd-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ies rotate counterclockwise and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argo so that the air cargo is transported while rotating 90 degrees clockwise toward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업/다운 롤 베드는, 사각 틀체 형상을 갖는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과;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내에서 항공화물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양단부는 양측면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원봉형 로울러; 상기 원봉형 로울러 사이 틈새를 막아줄 수 있도록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양측면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포트 프레임;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양측면과 작업장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과 원봉형 로울러들 및 서포트 프레임을 업/다운시켜 주는 한 쌍의 업/다운 유닛;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로울러들의 일단부 축상에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상기 서로 인접된 로울러의 축상에 설치된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들의 기어들을 교호로 연속해서 상호 결합시켜 주는 복수의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된 구동 스프라켓이 회전축 상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업/다운 유닛 중 어느 일측 업/다운 유닛의 일측면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로울러들에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중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과 연결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드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및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을 통해 로울러에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 동력 전달 체인;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유입구 및 배출구 측 서포트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화물검출센서;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유입구 및 배출구 상면에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통상시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락킹된 상태에 있다가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 발생으로 인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푸쉬 샤프트를 눌렀을 때, 상기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에서 락킹이 해제되며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자동 돌출되는 복수의 푸쉬 스토퍼;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p/down roll bed comprises: an up/down roll bed frame having a square frame shape;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air carg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the up/down roll bed frame, and both ends of which are rotatably coupled to bearing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stal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between both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so as to block a gap between the cylindrical rollers; a pair of up/down units installed between both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and the floor of the workplace and raising/lowering the up/down roll bed frame, the cylindrical rollers, and the support frames; a plurality of rotational force transmitting sprockets in which a pair of gears are integrally form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and are fixedly installed on one end shaft of the rollers; A plurality of sprocket coupling chains which alternately and continuously couple gears of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installed on axles of the adjacent rollers; A geared motor in which a pair of gears are integrally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drive sprocket are provided on a rotational shaft and are fixedly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one of the up/down units among the pair of up/down units, and which operates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of a control panel and generates rotational power to the rollers; A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which is coupled between one of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sprocket coupling chain among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and the drive sprocket and which transmits the power of the geared motor to the roller through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 and the sprocket coupling chain; A cargo detection sensor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and detects the inflow and discharge status of air cargo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low and discharge status to the control panel; The above-mentioned up/down roll bed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push stoppers, which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let and outlet ports, and which are normally in a locked state with the push shaft inserted into the housing, but when a worker presses the push shaft by hand, the push shaft is unlocked within the housing and automatically protrudes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due to a situation in which the inlet and outlet of air cargo must be blocked.
이때, 상기 업/다운 유닛은,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양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양측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저면 양측 사이에 설치되고, 유압 실린더들의 승강 작동에 대응하여 펼쳐지거나 접히며 상기 제2 프레임을 통해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을 승강 작동시키는 한 쌍의 X자형 승강바; 몸체의 저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축지되고, 로드의 단부는 상기 X자형 승강바들의 축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up/down unit includes: a first frame arranged along both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workplace; a second fram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having inner sides respectively fixed to both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a pair of X-shaped lifting bars installed betwee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and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and which unfold or fold in response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s and lift the up/down roll bed frame via the second frame; and a pair of hydraulic cylinders which generate power required for lifting the second frame and the up/down roll bed frame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is supported on the first frame and the ends of the rods are coupled on the axes of the X-shaped lifting bars.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Meanwhile,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atent registration claims of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that conform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own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에 의하면, 팰릿(pallet) 또는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탑재용기를 이용하여 각종 항공화물을 포장한 다음, 이를 화물 운송용 차량 또는 항공기 등에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를 구성함에 있어서, 유입 및 배출용 파워 로울러 베드 사이에 3개의 유입구와 1개의 배출구를 갖는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를 설치하여 3개의 유입구 중 배출구와 동일선상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경우는 직선으로 이송시키고, 나머지 2개의 측방향 유입구 중 어느 한 측방향(좌측 또는 우측) 유입구를 통해서 항공화물이 유입될 경우는 자체의 상면에서 항공화물의 방향을 배출구 측으로 자동 전환(즉, 항공화물을 배출구 방향을 향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이송할 수 있어 항공화물의 유입 방향에 무관하게 빠르고 정확하게 방향전환시켜 안전하게 배출이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figuring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that packages various types of air cargo using a loading container including a pallet or a container and automatically transports them to a cargo transport vehicle or aircraft, a 4-way heli-roll conveyor having 3 inlets and 1 outlet is installed between power roller beds for inlet and discharge, so that when air cargo is fed through an inlet that is in the same line as the outlet among the 3 inlets, it is transported in a straight line, and when air cargo is fed through one of the lateral (left or right) inlets among the remaining 2 lateral inlets, the direction of the air cargo is automatically changed on its upper surface toward the outlet (i.e., the air cargo is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ward the direction of the outlet) so that it can be safely discharged by quickly and accurately changing the direction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inflow of the air cargo.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의 유입구 중 측방향애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측 작업장 바닥에는 업/다운 롤 베드를 선택적으로 설치하고, 지게차 또는 핸드자키 또는 달리 등을 통해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이 상기 작업장 바닥에 설치된 상기 업/다운 롤 베드에 옮겨지면, 상기 업/다운 롤 베드의 상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을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의 상면까지 승강시킨 후, 상기 업/다운 롤 베드에 구비된 원봉형 로울러들을 작동시켜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의 상면으로 자동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인양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중량체인 항공화물을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인건비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up/down roll bed is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on at least one inlet side formed laterally among the inlets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and when air cargo transported by a forklift, a hand jack, a dolly, etc. is transferred to the up/down roll bed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the commercial/down roll bed frame of the up/down roll bed is rai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and then the cylindrical rollers provided on the up/down roll bed are operated to automatically transport i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Therefore, heavy air cargo can be transported to the 4-way heli-roll conveyor without using a separate lifting device, and thus, the work time can be shortened and labor cost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making it a very useful invention.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공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determine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through the specific content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의 전체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대용 사진.
도 4는 본 발명 중 파워 로울러 베드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중 헬리 롤 컨베이어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헬리 롤 컨베이어의 헬리 롤의 구성을 설명하기 도면 대용 사진.
도 7은 본 발명 중 헬리 롤 컨베이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도면 대용 사진.
도 8은 본 발명 중 업/다운 롤 베드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
도 9는 도 8 중 업/다운 유닛의 작동상태 정면도.
도 10는 본 발명 중 헬리 롤 컨베이어와 업/다은 베드 롤 및 슬래브 파레트 앗세이의 결합상태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
도 11은 본 발명 중 슬래브 파레트 앗세이의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 중 각종 제어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FIG. 1 and FIG. 2 are overall plan views of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four-way heli-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hotograph substituted for a drawing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power roller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a heli-roll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hotograph substituted for a drawing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heli roll of a heli roll conveyor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hotograph substituted for a drawing explain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eli-roll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up/down roll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of the operating status of the up/down unit in Figure 8.
Fig. 10 is a photograph substituted for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combined state and operating state of the heli-roll conveyor and the up/down bed roll and slab pall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of a slab pall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hoto substitute for a drawing explaining various control panel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tak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ir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포함하여 각 구성에 따른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each configuration, includ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의 전체적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을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 중 파워 로울러 베드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and FIG. 2 are overall plan views of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graph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a power roller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도 5는 본 발명 중 헬리 롤 컨베이어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중 헬리 롤 컨베이어의 헬리 롤의 구성을 설명하기 도면 대용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며, 도 7은 본 발명 중 헬리 롤 컨베이어의 설치상태를 설명하기 도면 대용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 5 show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heli roll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photograph substituted for a drawing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li roll of the heli roll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 photograph substituted for a drawing explain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heli roll conveyo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8은 본 발명 중 업/다운 롤 베드의 평면도와 정면도 및 우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도 8 중 업/다운 유닛의 작동상태 정면도을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Fig. 8 show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right side view of the up/down roll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shows a front view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up/down unit of Fig. 8.
도 10는 본 발명 중 헬리 롤 컨베이어와 업/다은 베드 롤 및 슬래브 파레트 앗세이의 결합상태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 중 슬래브 파레트 앗세이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는 본 발명 중 각종 제어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대용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FIG. 10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ate and operating state of the heli-roll conveyor and the up/down bed roll and the slab pall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of the slab palle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drawing substitute photo for explaining various control panel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파워 로울러 베드(100)와 복수의 헬리 롤 컨베이어(200), 복수의 업/다운 롤 베드(400) 및 메인 제어반(700)을 포함한다.According to this, the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roller beds (100), a plurality of heli-roll conveyors (200), a plurality of up/down roll beds (400), and a main control panel (700), as shown in FIGS. 1 to 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업/다운 롤 베드의 입구측 작업장 바닥면에는 설치되는 복수의 슬래브 파레트 앗세이(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lab pallet assemblies (600)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work area on the entrance side of the up/down roll bed.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를 작업장의 바닥면에 일직선으로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를 작업장의 바닥면이 "ㄱ"자 형태로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Here, FIG.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on the floor surface of a workplace, and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n “ㄱ” shape on the floor surface of a workplace.
뿐만 아니라, 도 1 및 도 2 등에 표기된 화살표는 화물의 이송방향을 표시한 것이다.In addition, the arrows indicated in Figures 1 and 2 indicate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cargo.
이때, 상기 복수의 파워 로울러 베드(100)는 도 4와 같이, 한 쌍의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110)과 복수의 파워 로울러 베드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120), 복수의 원봉형 로울러(130), 복수의 발판(140), 복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150), 복수의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160), 기어드 모터(170), 기어드 모터 동력 전달 체인(180) 및 화물검출센서(19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ower roller beds (100)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pair of power roller bed frames (110), a plurality of power roller bed height-adjusting and support members (120),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130), a plurality of foot plates (140), a plurality of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150), a plurality of sprocket coupling chains (160), a geared motor (170), a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180), and a cargo detection sensor (190), as shown in FIG. 4.
이와 같은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10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작업장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1개씩 또는 2개가 연속해서 설치되고, 일측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항공화물을 받아 타측의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roller beds (100)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one at a time or two in seri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perform the function of receiving air cargo flowing in through an inlet on one side and transporting it to an outlet on the other side.
상기한 파워 로울러 베드(1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한 쌍의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110)은, "ㄷ"자 형강을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형성한 것으로, 후술하는 원봉형 로울러의 길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power roller bed (100) described above, the pair of power roller bed frames (110) are formed by cutting a “ㄷ” shaped steel to a certain length,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while being spaced apart by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a cylindrical roller described later.
또,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120)는,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110)들의 저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단부는 복수의 볼트와 너트를 통해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110)의 저면에 고정되며, 저단부는 앵커 볼트 등을 통해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ower roller bed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120) is arranged longitudin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power roller bed frames (110), the upper part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roller bed frame (110) through a plurality of bolts and nuts, and the lower part is fixed to the floor surface of the work site through anchor bolts or the like.
이와 같은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120)는,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100)에 대한 전체적인 높이 조절과,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100) 자체가 작업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고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wer roller bed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120)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power roller bed (100) and supporting the power roller bed (100) itself to maintain a fixed shape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of the workplace.
이때,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120)는 후술하는 헬리 롤 컨베이어(200)에 구비된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22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그의 구체적인 구성 및 결합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하고 후술하는 헬리 롤 컨베이어(2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요소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power roller bed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12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yor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220) equipped in the heli roll conveyor (200) described later,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its specific configuration and connection relationship is omitted here and replaced with a description of specific components of the heli roll conveyor (200)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복수의 원봉형 로울러(130)는 직송 컨베이어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로울러로, 축의 양단부에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부에 파이프 형상의 로울러 본체가 결합된 구성을 갖고,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110)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양단부는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110)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도면 부호 기입 생략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130) are rollers widely used in direct conveyors, etc., and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bearing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haft and a pipe-shaped roller body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earings, and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power roller bed frame (110), and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bearings (drawing symbols omitted)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ower roller bed frame (110).
이와 같은 상기 복수의 원봉형 로울러(130)는 후술하는 파워 로울러 베드(100) 구동용 기어드 모터(170)의 동력에 대응하여 회전되며, 중량체인 항공화물이 최소한의 마찰력을 갖고 원활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130) rotate in response to the power of a geared motor (170) for driving a power roller bed (100) described later, and perform the function of allowing the heavy air cargo to move smoothly with minimal friction.
또, 상기 복수의 발판(140)은,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110)의 내측면 사이에서 상기 원봉형 로울러(130)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아줄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한 파워 로울러 베드(100)의 상부에 올라가는 작업자의 발을 포함하여 상기 항공화물 및 특정 물체가 상기 원봉형 로울러(130) 사이의 틈새에 끼이거나 이 틈새를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ootrests (140)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lock the gap formed between the cylindrical rollers (130)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power roller bed frame (110), thereby preventing air cargo and specific objects, including the feet of a worker climbing on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wer roller bed (100), from getting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cylindrical rollers (130) or falling through the gap.
또한, 상기 복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150)은, 한 쌍의 기어(도면 부호 기입은 생략함)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원봉형 로울러(130)들의 일단부 축상에 고정 설치되어 후술하는 체인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150) have a form in which a pair of gears (drawing symbols are omitted) are integrally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fixedly installed on one end of the shafts of the above-described cylindrical rollers (130) to perform a function of enabling chains to be coupl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160)은 상기 서로 인접된 원봉형 로울러(130)의 축상에 설치된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150)들의 기어들을 교호로 연속해서 상호 결합시켜 주어 후술하는 기어드 모터(170)의 회전 동작시 상기 원봉형 로울러(130)들이 일제히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기어드 모터(170)의 회전동력을 최종적으로 상기 원봉형 로울러(130)들에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sprocket coupling chains (160) alternately and continuously connect the gears of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150) installed on the shafts of the adjacent cylindrical rollers (130) so that the cylindrical rollers (130) can rotate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geared motor (170) is rota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ultimately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geared motor (170) to the cylindrical rollers (130).
또한, 상기 기어드 모터(170)는 한 쌍의 기어(도면 부호 기입은 생략함)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된 구동 스프라켓(171)이 회전축 상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110) 중 어느 일측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geared motor (170) may have a form in which a drive sprocket (171) in which a pair of gears (drawing symbols are omitted) are formed integr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provided on a rotational axis,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one of the power roller bed frames (110).
이와 같은 상기 기어드 모터(170)는, 내부에 감속기어를 구비하고, 제어반(100a)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원봉형 로울러(130)들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geared motor (170) of this type has a reduction gear inside and operates in response to a driving signal output from a control panel (100a) to generate power required for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rollers (130).
또, 상기 기어드 모터 동력 전달 체인(180)은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150) 중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160)과 연결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150)과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구동 스프라켓(171) 사이에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동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150) 및 상기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160)을 통해 상기 원봉형 로울러(130)들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180) has a form that is connected between one of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150)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sprocket coupling chain (160) among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150) and the drive sprocket (171) of the geared motor (17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geared motor (170) to the cylindrical rollers (130) through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 (150) and the sprocket coupling chain (160).
또한, 상기 화물검출센서(19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100)의 화물 유입구 및 배출구 측 발판(140) 상면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100)로 유입되거나 그로부터 배출되는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반(100a)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argo detection sensor (190) is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part and a light receiving part,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 plate (140) on the cargo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power roller bed (100), respectively,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electrically detecting the inflow and discharge status of air cargo flowing into or discharged from the power roller bed (100)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panel (100a).
한편,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는 4면에 3개의 유입구(전방부와 양측면부)와 하나의 배출구(후방부)가 구비된 구성을 갖고,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100)들 중 어느 인접한 두 파워 로울러 베드 사이의 공간부 및 후술하는 업/다운 롤 베드(400)의 배출구와 인접된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heli-roll conveyor (200) has a configuration with three inlets (front and both sides) and one outlet (rear) on four sides, and can be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any two adjacent power roller beds among the above-described power roller beds (100) and on the floor of a work site adjacent to the outlet of an up/down roll bed (400) described below.
이와 같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는,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100)에 의해 일측 유입구로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은 타측 배출구 측으로 직진 이송시키고, 양측면 측에 구비된 측방향 유입구 중 어느 한 측방향 유입구를 통해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 자동 회전시켜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bove-described heli-roll conveyor (200)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porting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one side inlet by the power roller bed (100) straight to the other side outlet, and transporting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one of the lateral inlets provided on both sides to the outlet by automatically rotating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이와 같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는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크게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과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220), 복수의 홀수 및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230b), 컨베이어 덮개(240), 홀수 및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250a)(250b), 홀수 및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작동용 체인(260a)(260b),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270b),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 동력 전달 체인(280a)(280b), 헬리 롤 제어반(290)을 포함한다.The heli-roll conveyor (20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5 to 7, largely includes a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a conveyor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220), a plurality of odd and even group heli-roll assemblies (230a)(230b), a conveyor cover (240), an odd and even group driven sprocket (250a)(250b), an odd and even group driven sprocket operating chain (260a)(260b), an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 (270a)(270b), an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280a)(280b), and a heli-roll control panel (290).
또한,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는, 이탈방지용 가이드 로울러(300)와 복수의 푸쉬 스토퍼(310) 및 복수의 화물검출센서(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li-roll conveyor (200) may further include a guide roller (300) for preventing detachment, a plurality of push stoppers (310), and a plurality of cargo detection sensors (320).
이와 같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은, 직사각 틀체 형상을 갖는 복수의 단위 프레임(211)을 사각 틀체 형상을 갖게 상호 결합시킨 형태를 가질 수 있다.Among the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heli roll conveyor (200), the heli roll conveyor base frame (210) may have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frames (211) having a rectangular frame shape are mutually joined to have a square frame shape.
또, 상기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220)는 도 5의 확대도와 같이, 제1 지지부(221)와 제2 지지부(222), 높이 조절 볼트(223) 및 복수의 지지부 고정구(224)를 포함한 구성을 갖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저면 4면을 따라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단부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저면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며, 저단부는 앵커 볼트 등을 통해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veyor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220)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irst support member (221), a second support member (222), a height adjustment bolt (223), and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fixing members (224),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and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our lower surface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with the upper part being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through welding or the like, and the lower part being fixed to the floor surface of the work site through anchor bolts or the like.
이와 같은 상기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220)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에 대한 전체적인 높이 조절과, 더불어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 자체가 작업장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고 고정된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veyor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220) described above performs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overall height of the heli roll conveyor (200) and supporting the heli roll conveyor (200) itself to maintain a fixed shape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floor of the work place.
또한, 상기한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220)의 구성요소들 중 상기 제1 지지부(221)는, 평단면이 "┗┛" 형상을 갖되, 저단부에는 볼트 결합판(221-1)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수직판(221-2) 상에는 한 쌍의 장방형 수직통공(221-3)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단부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저면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 형태를 가진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conveyor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220) described above, the first support member (221) may have a cross-section having a “┗┛” shape, a bolt-joining plate (221-1) formed in a horizontally folded manner at the lower end, a pair of rectangular vertical holes (221-3)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vertical plate (221-2), and a form in which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by welding or the like.
또, 상기 제2 지지부(222)는 바닥 고정판(222-1)의 상면에서 평단면이 "┗┛" 형상을 갖는 제1 지지부 결합판(222-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 결합판(222-2)의 수직판(222-3) 상에는 한 쌍의 장방형 수직통공(222-4)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형태를 갖고 앵커 볼트 등에 의해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member (222) may have a first support member joining plate (222-2) having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oor fixing plate (222-1), and a pair of rectangular vertical holes (222-4)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vertical plate (222-3) of the first support member joining plate (222-2), and may have a form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the work site by an anchor bolt or the like.
또한, 상기 높이 조절 볼트(223)는 볼트머리가 상기 제2 지지부(222)의 바닥 고정판(222-1) 상면에 위치되고, 나사부가 상기 제1 지지부(221)의 볼트 결합판(221-1)을 관통하게 나사 결합된 형태를 갖고,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승강 이동하며, 상기 제1 지지부(221)의 승강 작동을 통해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의 높이를 조절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bolt (223) has a bolt hea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xing plate (222-1)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222) and a screw portion that penetrates the bolt joint plate (221-1)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1) and is screw-connected, moves up and down in respons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er rotates using the tool,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li-roll conveyor (200) through the up and down operation of the first support member (221).
또, 상기 복수의 지지부 고정구(224)는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221)(222)에 각각 형성된 장방형 통공(221-3)(222-4)들을 관통한 볼트에 너트를 체결시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221)(222)에 수직판(221-2)(222-3)들을 상호 고정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상기 높이 조절 볼트(223)에 의해 높이가 조절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221)(222)의 결합상태(즉,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221)(222)가 다리 형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fixtures (224) perform a function of maintain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21)(222) whose height is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ment bolt (223) by fastening nuts to bolts that pass through the rectangular holes (221-3)(222-4)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21)(222) respectively to mutually fix the vertical plates (221-2)(222-3) to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221)(222).
또한, 상기 복수의 홀수 및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230b)는 각각의 회전봉(231) 상에 복수의 헬리 롤(232)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단위 프레임(211)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단위 프레임(211)의 측면 바 내면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도면 부호 기입 생략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단위 프레임(211)의 길이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된 위치의 회전봉(231) 상에 설치된 헬리 롤(232)들의 자전형 경사롤 로울러(232-2)들의 경사방향은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고 교호로 배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odd and even group heli-roll assemblies (230a) (230b) may have a plurality of heli-rolls (23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stalled on each rotating rod (231), and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unit frame (211)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and both ends thereof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bearings (drawing symbols omitted)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bars of the unit frames (211), and the inclination directions of the rotating incline rollers (232-2) of the heli-rolls (232) installed on the rotating rods (231) adjacen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frames (211) may be arranged alternately with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이때, 상기 헬리 롤(232)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이 물결 형상으로 절곡된 한 쌍의 롤 지지판(232-1) 사이에 타원 봉 형상을 갖는 자전형 경사롤 로울러(232-2)들을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축지시킨 구성을 갖는 것으로, 서로 인접된 위치의 회전봉(231) 상에 설치되는 상기 헬리 롤(232)의 자전형 경사롤 로울러(232-2)들을 홀수 및 짝수로 나누어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고 교호로 배치하게 되면 홀수 및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230b)들의 회전 방향에 따라 마찰력이 작용되는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li-roll (232)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rotating inclined rollers (232-2) having an elliptical rod shape are axially slanted in one direction between a pair of roll support plates (232-1) whose outer peripheral surfaces are folded in a wave shape as illustrated in FIG. 6, and when the rotating inclined rollers (232-2) of the heli-roll (232) installed on the rotating rods (231) at adjacent positions are divided into odd and even numbers and arranged alternately with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ictional force is applied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dd and even group heli-roll assemblies (230a)(230b).
따라서, 배출구와 동일 선상에 위치된 유입구를 통해 이송되어 오는 항공화물은 곧바로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양측 방향에 구비된 유입구들을 통해 이송되어 오는 항공화물은 각각 시계 또는 반기계 방향으로 90도 방향 전환시켜 하나의 배출구 측으로 정확히 이송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an inlet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outlet can be moved directly to the outlet side, and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inlets provided on both sides can be accurately transported to one outlet side by turning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espectively.
또, 상기 컨베이어 덮개(240)는 비교적 두께운 철판을 이용하여 형성한 것으로, 상기 헬리 롤(232)들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헬리 롤 노출공(241)이 형성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상면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onveyor cover (240) is formed using a relatively thick iron plate, and heli-roll exposure holes (241)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heli-rolls (232), and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따라서,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의 상부에 올라가는 작업자는 물론 항공화물을 보다 안정하게 지지해 줄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발이나 특정 물체가 상기 헬리 롤(232)의 외부와 상기 헬리 롤 노출공(241)들 사이의 틈새에 끼이거나 이 틈새를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ort workers and air cargo more stably when climbing on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li-roll conveyor (200),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workers' feet or specific objects from being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outside of the heli-roll (232) and the heli-roll exposure holes (241) or from falling through the gap.
또한,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250a)(250b)은,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의 회전봉(231) 일측 또는 상기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b)의 회전봉(231) 타측에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odd and even group driven sprockets (250a) (250b) are formed integrally with a pair of gea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231) of the odd group heli roll assembly (230a) or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231) of the even group heli roll assembly (230b).
또,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작동용 체인(260a)(260b)은, 서로 인접된 상기 홀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250a)들 또는 상기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250b)들을 연속해서 상호 결합시켜 주는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odd and even group driven sprocket operating chains (260a)(260b) have a form that continuously mutually connects the odd group driven sprockets (250a) or the even group driven sprockets (250b)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270b)는,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된 구동 스프라켓(271)이 회전축 상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측면 및 타측면 저부에서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motors (270a) (270b) for driving the odd and even groups are provided with a drive sprocket (271) in which a pair of gears are integrally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rotation shaft, and are fixedly installed in opposite directions on the bottom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이와 같은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270b)는,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 또는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b)가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bove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s (270a)(270b) perform the function of generating power to rotate the odd group heli roll assembly (230a) or the even group heli roll assembly (230b) in a direc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또,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 동력 전달 체인(280a)(280b)은, 상기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의 구동 스프라켓(271) 또는 상기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b)의 구동 스프라켓(271)과 종동 스프라켓 작동용 체인이 결합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상기 홀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260a) 또는 상기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260b)을 각각 상호 결합시켜 주는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280a)(280b) for driving the odd and even groups has a form that mutually connects the driving sprocket (271) of the odd group driving motor (270a) or the driving sprocket (271) of the even group driving motor (270b) and either the odd group driven sprocket (260a) or the even group driven sprocket (260b) to which the driven sprocket operating chain is not connected.
이와 같은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 동력 전달 체인(280a)(280b)은,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270b)에서 각각 발생되는 동력을 상기 홀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260a) 또는 상기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260b)을 통해 각각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들 및 상기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b)들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bove-described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s (280a)(280b) perform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from the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s (270a)(270b), respectively, to the odd group heli-roll assemblies (230a) and the even group heli-roll assemblies (230b) via the odd group driven sprocket (260a) or the even group driven sprocket (260b), respectively.
또한, 상기 헬리 롤용 제어반(290)은,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들의 조작신호 및 내부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270b)의 구동방향과 구동 및 정지시간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290) for the heli-roll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driving direction and driving and stopping time of the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s (270a) (270b) in response to the operating signals of the switches and the execution results of the control program stored inside.
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된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에 더 포함된 구성요소 중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 로울러(300)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4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수직봉 상에 고무 로울러들이 각각 설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mong the components further included in the heli-roll conveyor (200) to whic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guide roller (300) for preventing detachment may have a form in which rubber rolle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vertical bars install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이와 같은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 로울러(300)들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 또는 배출구들을 통해 유입 및 배출되는 항공화물의 어느 일면과 부딛칠 때마다, 그 마찰력에 의해 고무 로울러가 수평 방향으로 아이들 회전함과 동시에 항공화물의 외면에 탄력을 주어 상기 항공화물이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을 이탈하지 않고 중앙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Whenever the above-described guide rollers (300) for preventing detachment collide with one side of air cargo being fed in and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inlets or outlets formed in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the frictional force causes the rubber rollers to rotate horizontally while providing elasticit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cargo, thereby allowing the air cargo to move toward the center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또한, 상기 복수의 푸쉬 스토퍼(310)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유입구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를 포함하여 배출구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ush stoppers (310)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 including at least one inlet port among the inlet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이와 같은 상기 복수의 푸쉬 스토퍼(310)는 각각 통상시 푸쉬 샤프트(311)가 하우징(312) 내부로 삽입되어 락킹된 상태에 있다가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 발생으로 인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푸쉬 샤프트(311)를 눌렀을 때, 상기 푸쉬 샤프트(311)가 하우징(312) 내에서 락킹이 해제되며 탄성스프링(313)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자동 돌출되며, 항공화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한다.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push stoppers (310) are each in a locked state with the push shaft (311) normally inserted into the housing (312), and when a situation arises where the inflow and discharge of air cargo must be blocked, when the worker presses the push shaft (311) by hand, the push shaft (311) is unlocked within the housing (312) and automatically protrudes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313), thereby performing a stopper function of blocking the movement of air cargo.
또, 상기 복수의 화물검출센서(32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배출구 및 유입구들 상면 양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상태를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상기 헬리 롤용 제어반(290)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cargo detection sensors (320) are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and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and inlet port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and perform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inflow and discharge status of air cargo as an electrical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heli-roll control panel (290).
또한, 상기 헬리 롤용 상기 제어반(290)은 상기 화물검출센서(320)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반대편 일직선 상에 있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측 유입구로 항공화물이 유입된 것이 검출될 경우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된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270b)를 모두 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230b)들이 모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측 유입구로 유입된 항공화물이 타측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panel (290) for the heli-roll detects that air cargo has entered the inlet on one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located in a straight line opposite the discharge port by the cargo detection sensor (320), it drives all of the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s (270a)(270b)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clockwise so that all of the odd and even group heli-roll assemblies (230a)(230b) rotate clockwise and control the air cargo entered through the inlet on one side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n the other side.
또, 상기 화물검출센서(320)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90도 위상각을 갖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양측면 유입구 중 일측 유입구(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위상각을 갖는 왼쪽의 유입구)를 통해 항공화물이 유입된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헬리 롤용 상기 제어반(290)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측에 설치된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는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타측에 설치된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b)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들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b)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항공화물의 저면에 진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가하여 상기 항공화물이 배출구 측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서 이송되게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cted by the cargo detection sensor (320) that air cargo has entered through one of the inlets on both side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having a 90-degree phase angle with the discharge port (for example, the left inlet having a 90-degree phase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 panel (290) for the heli-roll drives the odd-numbered group driving motor (270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clockwise and drives the even-numbered group driving motor (270b) installed on the other side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odd-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ies (230a) rotate clockwise and the even-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ies (230b) rotate counterclockwise and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argo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air cargo is transported while rotating 90 degrees counterclockwise toward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화물검출센서(320)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90도 위상각을 갖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양측면 유입구 중 타측 유입구(예를 들어 시계 방형으로 90도 위상각을 갖는 오른쪽 유입구)를 통해 항공화물이 유입된 것이 검출될 경우 상기 헬리 롤용 상기 제어반(290)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측에 설치된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타측에 설치된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b)는 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항공화물의 저면에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가하여 상기 항공화물이 배출구 측을 향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서 이송되게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cted by the cargo detection sensor (320) that air cargo has entered through the other inlet (for example, the right inlet having a 90 degree phase angle clockwise) among the inlets on both side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having a 90 degree phase angle with the discharge port, the control panel (290) for the heli-roll drives the odd-numbered group driving motor (270a)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210) counterclockwise and drives the even-numbered group driving motor (270b) installed on the other side clockwise, so that the odd-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ies (230a) rotate counterclockwise and apply frictional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of trav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argo so that the air cargo is transported while rotating 90 degrees clockwise toward the discharge port.
따라서,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는 3개의 유입구 중 배출구와 동일선상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될 경우는 직선으로 이송시키고, 나머지 2개의 측방향 유입구 중 어느 한 측방향(좌측 또는 우측) 유입구를 통해서 항공화물이 유입될 경우는 자체의 상면에서 항공화물의 방향을 배출구 측으로 자동 전환(즉, 항공화물을 배출구 방향을 향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이송할 수 있어 항공화물의 유입 방향에 무관하게 빠르고 정확하게 방향전환시켜 안전하게 배출이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heli-roll conveyor (200) can transport air cargo in a straight line when the air cargo is fed through an inlet that is on the same line as the discharge port among the three inlets, and can automaticall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cargo toward the discharge port on its upper surface (i.e., rotate the air cargo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ward the discharge port) when the air cargo is fed through one of the two lateral inlets (left or right). Therefor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of the air cargo's inflow, the direction can be changed quickly and accurately to safely discharge the air cargo.
물론, 작업자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 위에 탑재된 항공화물을 배출구와 반대측에 형성된 유입구 측으로 후진하고자 후진 스위치를 조작한 경우, 상기 헬리 롤용 상기 제어반(290)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된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270a)(270b)를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230a)(230b)들이 모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항공화물이 배출구의 반대측 유입구로 후진되게 제어한다.Of course, if the worker operates the reverse switch to move the air cargo loaded on the heli roll conveyor (200) backward toward the inlet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ort, the control panel (290) for the heli roll drives both the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s (270a)(270b)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li roll conveyor base frame (210) respectively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all the odd and even group heli roll assemblies (230a)(230b) rotate counterclockwise and control the air cargo to move backward toward the inle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port.
한편,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과 복수의 원봉형 로울러(420), 복수의 서포트 프레임(430), 한 쌍의 업/다운 유닛(440), 복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450), 복수의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460), 기어드 모터(470), 기어드 모터 동력 전달 체인(480), 화물검출센서(490) 및 복수의 푸쉬 스토퍼(500)를 포함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의 측방향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입구 측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up/down roll bed (400) may include an up/down roll bed frame (410),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420),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430), a pair of up/down units (440), a plurality of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450), a plurality of sprocket coupling chains (460), a geared motor (470), a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480), a cargo detection sensor (490), and a plurality of push stoppers (500),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a work site on th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lateral inlets of the heli-roll conveyor (200).
이와 같은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는, 지게차 또는 핸드자키 또는 달리 등을 통해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이 도 3과 같이 작업장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를 갖는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에 옮겨지면,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을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200)의 상면까지 승강시킨 후,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에 구비된 원봉형 로울러(420)들을 작동시켜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200)의 상면으로 도 10과 같이 자동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bove-described up/down roll bed (400)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air cargo transported by a forklift, a hand jack, a dolly, etc. to be moved to the up/down roll bed (400)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f a workplace as shown in FIG. 3, and then elevating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200), and then operating the cylindrical rollers (420) provided on the up/down roll bed (400) to automatically transport the air cargo to the upper surface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200) as shown in FIG. 10.
따라서, 별도의 인양장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중량체인 항공화물을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를 이용하여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200)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의 단축 및 인건비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heavy chain air cargo can be transported to the 4-way heli-roll conveyor (200) using the up/down roll bed (400) without using a separate lifting devic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work time and labor costs.
이때,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은, "ㄷ"자 형상 등을 이용하여 사각 틀체 형상으로 성형한 것을 포함한다.At this time, among the components of the up/down roll bed (400),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includes a square frame shape formed using a “ㄷ” shape or the like.
이와 같은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은, 통상시 작업장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항공화물이 탑재되게 하고, 후술하는 한 쌍의 업/다운 유닛(440)의 승강작동시 탑재된 항공화물을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200)의 상면과 일치되게 승강시켜 준다.The above-described up/down roll bed frame (410) is normal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workplace so that air cargo can be loaded, and when a pair of up/down units (440) described later are operated to elevate the loaded air cargo so that it is alig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4-way heli-roll conveyor (200).
물론, 탑재된 항공화물이 상기 4웨이 헬리 롤 컨베이어(200) 측으로 이송되면, 업/다운 유닛(440)들의 하강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는 다시 작업장의 바닥면으로 내려오고, 이후 다시 항공화물의 적재와 승강 및 이동 동작이 반복된다.Of course, when the loaded air cargo is transferred to the 4-way heli-roll conveyor (200), the up/down roll bed (400) is lowered to the floor of the work site again in response to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up/down units (440), and then the loading, lifting, and moving operations of the air cargo are repeated again.
또, 상기 복수의 원봉형 로울러(420)는, 직송 컨베이어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로울러로, 축의 양단부에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베어링의 외부에 파이프 형상의 로울러 본체가 결합된 구성을 갖고,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의 내에서 항공화물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양단부는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의 양측면 내측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420) are rollers widely used in direct conveyors, etc., and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bearing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haft and a pipe-shaped roller body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earings, and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right angle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air cargo within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and both ends are rotatably coupled to bearing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side of both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이와 같은 상기 복수의 원봉형 로울러(420)는 후술하는 업/다운 롤 베드(400) 구동용 기어드 모터(470)의 동력에 대응하여 회전되며, 중량체인 항공화물이 최소한의 마찰력을 갖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 측으로 원활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420) rotate in response to the power of a geared motor (470) for driving an up/down roll bed (400) described later, and perform a function of allowing a heavy chain air cargo to move smoothly toward the heli-roll conveyor (200) with minimal friction.
또한, 상기 복수의 서포트 프레임(430)은,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의 내측면 사이에서 상기 원봉형 로울러(420)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막아줄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한 업/다운 롤 베드(400)의 상부에 올라가는 작업자의 발을 포함하여 상기 항공화물 및 특정 물체가 상기 원봉형 로울러(420) 사이의 틈새에 끼이거나 이 틈새를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upport frames (430)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lock the gap formed between the cylindrical rollers (420)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and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air cargo and specific objects, including the feet of a worker climbing onto the upper part of the up/down roll bed (400), from getting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cylindrical rollers (420) or falling through the gap.
또, 상기 한 쌍의 업/다운 유닛(440)은 도 9와 같이, 제1 프레임(441)과 제2 프레임(442), 한 쌍의 X자형 승강바(443) 및 한 쌍의 유압 실린더(444)를 포함하고,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의 양측면과 작업장 바닥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과 원봉형 로울러(420)들 및 서포트 프레임(430) 등을 업/다운시켜 주는 기능을 수향한다.In addition, the above pair of up/down units (440) include, as shown in FIG. 9, a first frame (441), a second frame (442), a pair of X-shaped lifting bars (443), and a pair of hydraulic cylinders (444), and, when installed between both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and the floor of the work place, perform the function of raising/lowering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the cylindrical rollers (420), and the support frame (430).
이때, 상기 업/다운 유닛(440)의 구성요소 중 상기 제1 프레임(441)은 전단면이 "┗┛" 형상을 갖고,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의 양측면을 따라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장의 바닥면에 앵커 볼트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At this time, among the components of the up/down unit (440), the first frame (441) has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 site using anchor bolts or the like while being arranged along both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또한, 상기 제2 프레임(442)은 정단면이 "┏┓" 형상을 갖고, 상기 제1 프레임(441)의 상부로 이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내측면이 복수의 볼트 등을 통해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rame (442) has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 “┏┓” and is position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441) while its inner surface is fixed to each side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using a plurality of bolts or the like.
또, 상기 한 쌍의 X자형 승강바(443)는 각각 적어도 두 쌍의 승강바들이 중앙의 축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프레임(441)의 상면 양측과 상기 제2 프레임(442)의 저면 양측 사이에 설치된 형태를 갖고, 후술하는 유압 실린더(444)들의 승강 작동에 대응하여 펼쳐지거나 접히며 상기 제2 프레임(442)을 통해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 등을 승강 작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air of X-shaped lifting bars (443) are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sides of the first frame (441) and the lower surface sides of the second frame (442) in a state where at least two pairs of lifting bars are connected in an X shape centered on a central axis, and unfold or fold in response to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s (444) described below, and perform the function of lifting and lowering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etc., through the second frame (442).
또한, 상기 한 쌍의 유압 실린더(444)는, 몸체의 저부는 상기 제1 프레임(441)에 축지되고, 로드의 단부는 상기 X자형 승강바(443)들의 축상에 결합된 형태를 갖고,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제2 프레임(442) 및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 등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hydraulic cylinders (444) have a lower part of the body that is supported on the first frame (441) and an end of the rod that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X-shaped lifting bars (443), and are operated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from the control panel to generate power required for lifting the second frame (442) and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또, 상기 복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450)은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원봉형 로울러(420)들의 일단부 축상에 고정 설치되어 후술하는 체인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450) have a form in which a pair of gears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spaced apart, and are fixedly installed on one end shaft of the above-described cylindrical rollers (420) to perform the function of enabling chains to be coupl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복수의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460)은, 상기 서로 인접된 상기 원봉형 로울러(420)의 축상에 설치된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450)들의 기어들을 교호로 연속해서 상호 결합시켜 주어 후술하는 기어드 모터(470)의 회전 동작시 상기 원봉형 로울러(420)들이 일제히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기어드 모터(470)의 회전동력을 최종적으로 상기 원봉형 로울러(420)들에 전달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sprocket coupling chains (460) alternately and continuously connect the gears of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450) installed on the shafts of the adjacent cylindrical rollers (420) so that the cylindrical rollers (420) can rotate simultaneously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geared motor (470) is rota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ultimately transmit the rotational power of the geared motor (470) to the cylindrical rollers (420).
또,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 구동용 기어드 모터(470)는 내부에 감속기어를 구비한 것으로, 회전축 상에는 한 쌍의 기어가 서로 이격되게 일체로 형성된 구동 스프라켓(471)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업/다운 유닛(440) 중 어느 일측 업/다운 유닛의 일측면 상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반에서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원봉형 로울러(420)들의 회전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geared motor (470) for driving the up/down roll bed (400) has a reduction gear inside, and a driving sprocket (471) in which a pair of gears are integrally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installed on the rotation shaft, and is operated in response to a driving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panel while being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one of the up/down units (44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generating power required for the rotation of the cylindrical rollers (420).
또한, 상기 기어드 모터 동력 전달 체인(480)은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450) 중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460)과 연결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450)과 상기 기어드 모터(470)의 구동 스프라켓(471) 사이에 결합된 형태를 갖고, 상기 기어드 모터(470)의 동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450) 및 상기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460)을 통해 상기 원봉형 로울러(420)들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480) has a form that is connected between one of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450)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sprocket coupling chain (460) among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450) and the drive sprocket (471) of the geared motor (470),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geared motor (470) to the cylindrical rollers (420) through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 (450) and the sprocket coupling chain (460).
또, 상기 화물검출센서(49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고,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의 유입구 및 배출구 측 서포트 프레임(430) 상면에 각각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로 유입되거나 그로부터 배출되는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argo detection sensor (490) is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part and a light receiving part,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430)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respectively,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electrically detecting the inflow and discharge status of air cargo flowing into or discharged from the up/down roll bed (400)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panel.
또한, 상기 복수의 푸쉬 스토퍼(500)는,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410)의 유입구 및 배출구 상면에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ush stoppers (500)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410).
이와 같은 상기 복수의 푸쉬 스토퍼(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통상시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락킹된 상태에 있다가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 발생으로 인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푸쉬 샤프트를 눌렀을 때, 상기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에서 락킹이 해제되며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자동 돌출되며, 항공화물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push stoppers (500) are normally in a locked state with the push shaft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when a situation arises where the inflow and discharge of air cargo must be blocked, when the worker presses the push shaft by hand, the push shaft is unlocked within the housing and automatically protrudes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spring, thereby performing a stopper function of blocking the movement of air cargo.
한편, 상기 메인 제어반(700)은 각각의 제어반들과 연결된 형태를 갖고,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100)들과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200) 및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의 구동에 대하여 통합하여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한다.Meanwhile, the main control panel (7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control panels and performs an overall control function by integrating the driving of the power roller beds (100), the heli-roll conveyor (200), and the up/down roll bed (400).
또, 상기 슬래브 파레트 앗세이(600)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사각형의 파레트 프레임(610)의 내부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의 비교적 넓은 발판(620)이 설치되고, 상기 파레트 프레임(610)의 양측바 내면과 상기 발판(620)들 사이의 공간부에는 복수의 프리 로울러(630)를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lab pallet assembly (60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relatively wide steps (620) are installed at set intervals inside a square pallet frame (610) as shown in FIGS. 10 and 11, and a plurality of free rollers (630) are installed at set intervals in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both sides of the pallet frame (610) and the steps (620).
이와 같은 상기 슬래브 파레트 앗세이(600)는 이동형으로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의 입구측 작업장 바닥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형태를 갖고, 포장된 항공화물이 일시적으로 적재 및 대기되었다가, 작업자에 필요에 따라 강제로 밀어 상기 업/다운 롤 베드(400)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above slab pallet assembly (600) is of a movable type that is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 area on the entrance side of the up/down roll bed (400), so that packaged air cargo can be temporarily loaded and waited for, and then, when necessary, forcibly pushed by a worker to be transferred to the up/down roll bed (400).
한편, 상기한 제어반(100a)(290)(700)들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작업장 바닥면에 분산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Meanwhile, the above-mentioned control panels (100a)(290)(700) have various shapes as shown in Fig. 12 and are installed dispersedly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r main characteristics thereof.
즉,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r having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 파워 로울러 베드
100a : 제어반 110 : 파워 로울러 베드 프레임
120 : 파워 로울러 베드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
130 : 원봉형 로울러 140 : 발판
150 :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160 :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
170 : 기어드 모터 171 : 구동 스프라켓
180 : 기어드 모터 동력 전달 체인 190 : 화물검출센서
200 : 헬리 롤 컨베이어
210 :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 211 : 단위 프레임
220 :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
221 : 제1 지지부 221-1 : 볼트 결합판
221-2 : 수직판 221-3 : 장방형 수직통공
222 : 제2 지지부
222-1 : 바닥 고정판 222-2 : 제1 지지부 결합판
222-3 : 수직판 222-4 : 장방형 수직통공
223 : 높이 조절 볼트 224 : 지지부 고정구
230a :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 230b :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
231 : 회전봉 232 : 헬리 롤
232-1 : 롤 지지판 232-2 : 자전형 경사롤 로울러
240 : 컨베이어 덮개 214 : 헬리 롤 노출공
250a : 홀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250b :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260a : 홀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작동용 체인
260b :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작동용 체인
270a :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 270b :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
271 : 구동 스프라켓
280a :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 동력 전달 체인
280b :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 동력 전달 체인
290 : 헬리 롤 제어반 300 : 이탈방지용 가이드 로울러
310 : 푸쉬 스토퍼 311 : 푸쉬 샤프트
312 : 하우징 313 : 탄성스프링
320 : 화물검출센서
400 : 업/다운 롤 베드
410 :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 420 : 원봉형 로울러
430 : 서포트 프레임 440 : 업/다운 유닛
441 : 제1 프레임 442 : 제2 프레임
443 : X자형 승강바 444 : 유압 실린더
450 :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460 :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
470 : 기어드 모터 471 : 구동 스프라켓
480 : 기어드 모터 동력 전달 체인
490 : 화물검출센서 500 : 푸쉬 스토퍼
600 : 슬래브 파레트 앗세이 610 : 파레트 프레임
620 : 발판 630 : 프리 로울러
700 : 메인 제어반100 : Power Roller Bed
100a: Control panel 110: Power roller bed frame
120: Power roller bed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130 : Circular roller 140 : Footrest
150: Sprocket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160: Chain for connecting sprocket
170: Geared motor 171: Drive sprocket
180: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190: Cargo detection sensor
200 : Heli Roll Conveyor
210: Heli Roll Conveyor Base Frame 211: Unit Frame
220: Conveyor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221: First support 221-1: Bolt joint plate
221-2: Vertical plate 221-3: Rectangular vertical hole
222: 2nd support
222-1: Floor fixing plate 222-2: First support joint plate
222-3: Vertical plate 222-4: Rectangular vertical hole
223: Height adjustment bolt 224: Support fixture
230a: Odd group heli roll assy 230b: Even group heli roll assy
231: Rotating bar 232: Heli roll
232-1: Roll support plate 232-2: Rotating inclined roller
240: Conveyor cover 214: Heli roll exposure hole
250a: Odd group driven
260a: Chain for odd group driven sprocket operation
260b: Chain for operating even-numbered group driven sprockets
270a: Motor for driving
271 : Drive sprocket
280a: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for odd group drive
280b: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for even group drive
290: Heli-roll control panel 300: Guide roller for anti-separation
310 : Push stopper 311 : Push shaft
312 : Housing 313 : Elastic spring
320: Cargo detection sensor
400 : Up/Down Roll Bed
410: Up/down roll bed frame 420: Circular roller
430: Support Frame 440: Up/Down Unit
441: First frame 442: Second frame
443: X-shaped lifting bar 444: Hydraulic cylinder
450: Sprocket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460: Chain for connecting sprocket
470: Geared motor 471: Drive sprocket
480 :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490: Cargo detection sensor 500: Push stopper
600 : Slab Pallet Assy 610 : Pallet Frame
620 : Foothold 630 : Free Roller
700 : Main Control Panel
Claims (9)
작업장의 바닥면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일측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항공화물을 타측의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복수의 파워 로울러 베드와;
4면에 3개의 유입구와 하나의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들 중 어느 인접한 두 파워 로울러 베드 사이 및 업/다운 롤 베드 사이의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에 의해 일측 유입구로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은 타측 배출구 측으로 직진 이송시키고, 양측면 측에 구비된 측방향 유입구 중 어느 한 측방향 유입구를 통해 이송되어 온 항공화물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90도 자동 회전시켜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헬리 롤 컨베이어;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의 측방향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입구 측 작업장 바닥면에 설치되는 업/다운 롤 베드; 및
상기 파워 로울러 베드들과 헬리 롤 컨베이어 및 업/다운 롤 베드의 구동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제어반;을 포함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는,
단위 프레임을 사각 틀체 형상을 갖게 상호 결합시킨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 4면을 따라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고정되며, 저단부는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
각각의 회전봉 상에 복수의 헬리 롤이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단위 프레임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상기 단위 프레임의 측면 바 내면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단위 프레임의 길이방향에 대해 서로 인접된 위치의 회전봉 상에 설치된 헬리 롤들의 자전형 경사롤 로울러들의 경사방향은 서로 180도 위상차를 갖고 교호로 배치되는 복수의 홀수 및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
상기 헬리 롤들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헬리 롤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덮개;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의 회전봉 일측 또는 상기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의 회전봉 타측에 각각 설치되는 홀수 및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서로 인접된 상기 홀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들 또는 상기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들을 연속해서 상호 결합시켜 주는 홀수 및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작동용 체인;
구동 스프라켓이 회전축 상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면 및 타측면 저부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 또는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가 제어부에 의해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
상기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의 구동 스프라켓 또는 상기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의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스프라켓 작동용 체인이 결합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상기 홀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 또는 상기 짝수 그룹 종동 스프라켓을 각각 상호 결합시켜 주는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 동력 전달 체인; 및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들의 조작신호 및 내부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대응하여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의 구동방향과 구동 및 정지시간을 제어하는 헬리 롤 제어반;을 포함하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
In constructing a conveyor for transporting air cargo,
A plurality of power roller bed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and transporting air cargo entering through an inlet on one side to an outlet on the other side;
A heli-roll conveyor having three inlets and one outlet on four sides, and installed on the floor of a work place between any two adjacent power roller beds among the power roller beds and between the up/down roll beds, wherein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one inlet by the power roller bed is transported straight toward the other outlet, and air cargo transported through any one of the lateral inlets provided on both sides is automatically rotated 90 degre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transported toward the outlet;
An up/down roll bed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 area on the side of at least one of the lateral inlets of the above-mentioned heli-roll conveyor; and
Includes a main control panel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functions for driving the above power roller beds, heli roll conveyor, and up/down roll bed;
The above heli-roll conveyor is,
A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in which unit frames are mutually joined to form a square frame shape;
A conveyor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which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four lower surface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has an upper e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has a lower end fixed to the floor of the work place;
A plurality of odd and even group Heli-roll assemblies, each of which has a plurality of Heli-roll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each rotating rod and arranged longitudinally within a unit fram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each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a bearing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bar of the unit frame, wherein the inclination directions of the rotating incline rollers of the Heli-rolls installed on the rotating rods adjacent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nit frame are alternately arranged with a phase difference of 180 degrees;
A conveyor cove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wherein heli-roll exposure holes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heli-rolls;
Odd and even group driven sprockets each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odd group heli roll assembly or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shaft of the even group heli roll assembly;
A chain for operating odd and even group driven sprockets which sequentially mutually connects the odd group driven sprockets or the even group driven sprockets adjacent to each other;
A motor for driving odd and even groups, each of which has a driving sprocket on a rotating shaft and is fixedly installed in opposite direction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ottom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generates power to rotate the odd group heli-roll assembly or the even group heli-roll assembly in a direction determined by a control unit;
An odd-numbered and even-numbered group driving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that mutually connects one of the odd-numbered group driven sprockets or the even-numbered group driven sprockets, respectively, to which the driving sprocket of the odd-numbered group driving motor or the driving sprocket of the even-numbered group driving motor and the driven sprocket operating chain are not connected; and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comprising: a heli-roll control panel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and controlling the driving direction and driving and stopping time of motors for driving odd and even groups in response to the operating signals of the switches and the execution results of a control program stored therein;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4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수직봉 상에 고무 로울러들이 각각 설치된 구성을 갖고,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유입구 또는 배출구들을 통해 유입 및 배출되는 항공화물의 어느 일면과 부딛칠 때마다, 수평 방향으로 아이들 회전하며 항공화물의 이탈을 탄력적으로 방지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 로울러;를 더 포함하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
In claim 1,
The above heli-roll conveyor is,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wherein rubber rolle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vertical bars installed at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further comprising a guide roller for preventing separation by horizontally rotating idle whenever it collides with one side of air cargo being fed in and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inlets or discharge ports formed on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thereby flexibly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air cargo.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유입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를 포함하여 배출구의 상면 양측에 각각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통상시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락킹된 상태에 있다가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 발생으로 인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푸쉬 샤프트를 눌렀을 때, 상기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에서 락킹이 해제되며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자동 돌출되는 복수의 푸쉬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
In claim 3,
The above heli-roll conveyor is,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push stoppers, each of which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 both sides of an upper surface of an outlet, including at least one inlet among the inlet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wherein, when a worker manually presses the push shaft while the push shaft is normally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locked, the push shaft is unlocked within the housing and automatically protrudes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an elastic spring due to a situation in which the inlet and outlet of air cargo must be blocked.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배출구 및 유입구들 상면 양측에 설치되고,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복수의 화물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
In claim 3,
The above heli-roll conveyor is,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which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argo detection sensor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and inlet port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nd detecting the inflow and discharge status of air cargo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control panel.
상기 컨베이어 높이 조절겸 지지부재는,
평단면이 "┗┛" 형상을 갖되, 저단부에는 높이 조절 볼트 결합판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수직판 상에는 한 쌍의 장방형 수직통공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단부가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저면에 용접 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바닥 고정판의 상면에서 평단면이 "┗┛" 형상을 갖는 결합판이 설치되고, 상기 결합판의 수직판 상에는 한 쌍의 장방형 수직통공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형태를 갖고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지지부;
볼트머리가 상기 제2 지지부의 바닥 고정판 상면에 위치되고, 나사부가 상기 제1 지지부의 높이 조절 볼트 결합판을 관통되게 결합되는 높이 조절 볼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장방형 통공들을 관통한 볼트에 너트와 체결되며, 상기 높이 조절 볼트에 의해 조절된 상기 제1 및 제2 지지부의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복수의 지지부 고정구;를 포함하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
In claim 3,
The above conveyor height adjustment and support member is,
A first support section having a flat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 "┗┛", a height-adjusting bolt joint plate formed by bending horizontally at the lower end, a pair of rectangular vertical holes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vertical plate, and an upper end welded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 second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the floor surface of a work place, in which a connecting plate having a cross-section in the shape of a “┗┛”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floor fixing plate, and a pair of rectangular vertical hole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vertical plate of the connecting plate;
A height adjustment bolt having a bolt head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fixing plat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and a screw portion connected to penetrate the height adjustment bolt joint plat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fixtures, each of which is fastened with nuts to bolts penetrating the rectangular hole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ixtures, and which maintain a joint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fixtures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ment bolts;
상기 헬리 롤 제어반은,
상기 화물검출센서에 의해 상기 배출구와 일직선 상에 있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유입구로 항공화물이 유입된 것이 검출될 경우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된 홀수 및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를 모두 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및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들이 모두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일측 유입구로 유입된 항공화물이 타측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고,
상기 배출구와 90도 위상각을 갖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면 유입구 중 일측 유입구를 통해 항공화물이 유입된 것이 검출될 경우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는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타측에 설치된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들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짝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항공화물의 저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상기 항공화물이 배출구 측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서 이송되게 하며,
상기 배출구와 90도 위상각을 갖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면 유입구 중 타측 유입구를 통해 항공화물이 유입된 것이 검출될 경우는, 상기 헬리 롤 컨베이어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홀수 그룹 구동용 모터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타측에 설치된 짝수 그룹 구동용 모터는 시계 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홀수 그룹 헬리 롤 앗세이들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항공화물의 저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상기 항공화물이 배출구 측을 향해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면서 이송되게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
In claim 5,
The above heli-roll control panel is,
When the cargo detection sensor detects that air cargo has entered the inlet on one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in a straight line with the discharge port, all of the odd and even group driving motor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are driven clockwise so that all of the odd and even group heli-roll assemblies rotate clockwise and the air cargo entered through the inlet on one side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on the other side.
When it is detected that air cargo has entered through one of the inlets on both side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having a phase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discharge port, the odd-numbered group driv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is driven clockwise, and the even-numbered group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s driven counterclockwise, so that the odd-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ies rotate clockwise, and the even-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ies rotate counterclockwise, and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argo so that the air cargo is transported while rotating 90 degrees counterclockwise toward the discharge port.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which comprises: when it is detected that air cargo has entered through the other inlet among the inlets on both sides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having a 90-degree phase angle with the discharge port, the odd-numbered group driving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heli-roll conveyor base frame is driven counterclockwise, and the even-numbered group driving motor installed on the other side is driven clockwise, so that the odd-numbered group heli-roll assemblies rotate counterclockwise and apply frictional forc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cargo so that the air cargo is transported while rotating 90 degrees clockwise toward the discharge port.
상기 업/다운 롤 베드는,
사각 틀체 형상을 갖는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과;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내에서 항공화물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양단부는 양측면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원봉형 로울러;
상기 원봉형 로울러 사이 틈새를 막아줄 수 있도록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양측면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서포트 프레임;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양측면과 작업장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과 원봉형 로울러들 및 서포트 프레임을 업/다운시켜 주는 한 쌍의 업/다운 유닛;
상기 로울러들의 일단부 축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상기 서로 인접된 로울러의 축상에 설치된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들의 기어들을 교호로 연속해서 상호 결합시켜 주는 복수의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
구동 스프라켓이 회전축 상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업/다운 유닛 중 어느 일측 업/다운 유닛의 일측면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제어반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로울러들에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중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과 연결되지 않은 어느 하나의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과 상기 구동 스프라켓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기어드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력 전달용 스프라켓 및 스프라켓 결합용 체인을 통해 로울러에 전달하는 기어드 모터 동력 전달 체인;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유입구 및 배출구 측 서포트 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고,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반으로 전달하는 화물검출센서;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유입구 및 배출구 상면에서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통상시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락킹된 상태에 있다가 항공화물의 유입 및 배출을 차단해야 하는 상황 발생으로 인해, 작업자가 손으로 상기 푸쉬 샤프트를 눌렀을 때, 상기 푸쉬 샤프트가 하우징 내에서 락킹이 해제되며 탄성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자동 돌출되는 복수의 푸쉬 스토퍼;를 포함하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
In claim 1,
The above up/down roll bed,
An up/down roll bed frame having a square frame shape;
A plurality of cylindrical rollers arranged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ir cargo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in the above up/down roll bed frame, and having both ends rotatably connected to bearing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both sides;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both sides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so as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above cylindrical rollers;
A pair of up/down units installed between both sides of the above up/down roll bed frame and the floor of the work place, and which raise/lower the above up/down roll bed frame, cylindrical rollers, and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sprockets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installed on one end shaft of the above rollers;
A plurality of sprocket coupling chains that alternately and continuously couple the gears of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installed on the axles of the adjacent rollers;
A geared motor having a drive sprocket mounted on a rotating shaft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one of the pair of up/down units, and operating in response to an output signal from a control panel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for the rollers;
A geared motor power transmission chain which is connected between any one of the abov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s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sprocket coupling chain and the driving sprocket, and which transmits the power of the geared motor to the roller through the rotational power transmission sprocket and the sprocket coupling chain;
A cargo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on the inlet and outlet sides of the above up/down roll bed frame, detecting the inlet and outlet status of air cargo and transmitting it to the control panel;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comprising: a plurality of push stoppers, which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bove-mentioned up/down roll bed frame, and are normally in a locked state with the push shaft inserted into the housing, so that when a worker presses the push shaft by hand, the push shaft is unlocked within the housing and automatically protrudes up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an elastic spring due to a situation in which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cargo must be blocked.
상기 업/다운 유닛은,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양측면을 따라 배치되고, 작업장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면 양측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저면 양측 사이에 설치되고, 유압 실린더들의 승강 작동에 대응하여 펼쳐지거나 접히며 상기 제2 프레임을 통해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을 승강 작동시키는 한 쌍의 X자형 승강바; 및
몸체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축지되고, 로드의 단부는 상기 X자형 승강바들의 축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프레임 및 상기 업/다운 롤 베드 프레임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4웨이 헬리 롤이 구비된 항공화물 이송용 컨베이어.In claim 8,
The above up/down unit is,
A first frame arranged along both sides of the above up/down roll bed frame and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workshop;
A second fram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and having its inner side fixed to each side of the up/down roll bed frame;
A pair of X-shaped lifting bar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lower and upper sides of the second frame, which are unfolded or folded in response to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s and lift and lower the up/down roll bed frame through the second frame; and
An air cargo transport conveyor equipped with a 4-way heli-roll, the body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first frame, and the ends of the rods are connected to the axles of the X-shaped lifting bars, and which includes a pair of hydraulic cylinders that generate power required for lifting the second frame and the up/down roll bed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57564A KR102750258B1 (en) | 2024-04-30 | 2024-04-30 | Conveyor for air cargo transport with 4-way heli-ro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57564A KR102750258B1 (en) | 2024-04-30 | 2024-04-30 | Conveyor for air cargo transport with 4-way heli-ro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50258B1 true KR102750258B1 (en) | 2025-01-06 |
Family
ID=9423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57564A Active KR102750258B1 (en) | 2024-04-30 | 2024-04-30 | Conveyor for air cargo transport with 4-way heli-ro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5025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9774178A (en) * | 2025-01-17 | 2025-04-08 | 广东宏德钢铁集团有限公司 | Hot casting billet roller conveyor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3588Y1 (en) | 2001-11-21 | 2002-02-06 | 주식회사 한화/기계 | A right angle conveyor for conveyance of an airport cargo |
JP2005187142A (en) * | 2003-12-25 | 2005-07-14 | Nihon Medi Physics Co Ltd | Conveying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roller conveying system using the same |
KR101449085B1 (en) | 2007-06-15 | 2014-10-08 | 에어버스 오퍼레이션즈 | Conveyor device for objects in an aircraft hold |
JP2015048247A (en) * | 2013-09-05 | 2015-03-16 | 株式会社イケミズ | Transport direction turning device |
KR20150065257A (en) * | 2013-12-05 | 2015-06-15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Pallet lifting apparatus |
KR101865015B1 (en) | 2018-01-12 | 2018-07-13 |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 Height and Tension Variable Moving Conveyor System for airport baggage |
KR102321233B1 (en) | 2021-02-05 | 2021-11-03 | 우양정공주식회사 | Conveyor Apparatus Can be Assembled Having Function For Change Direction Using Friction Force |
KR102547627B1 (en) * | 2022-07-07 | 2023-06-26 | 대한공조(주) | Automatic system for transporting parts for loading vehicle |
-
2024
- 2024-04-30 KR KR1020240057564A patent/KR1027502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63588Y1 (en) | 2001-11-21 | 2002-02-06 | 주식회사 한화/기계 | A right angle conveyor for conveyance of an airport cargo |
JP2005187142A (en) * | 2003-12-25 | 2005-07-14 | Nihon Medi Physics Co Ltd | Conveying direction changing device and roller conveying system using the same |
KR101449085B1 (en) | 2007-06-15 | 2014-10-08 | 에어버스 오퍼레이션즈 | Conveyor device for objects in an aircraft hold |
JP2015048247A (en) * | 2013-09-05 | 2015-03-16 | 株式会社イケミズ | Transport direction turning device |
KR20150065257A (en) * | 2013-12-05 | 2015-06-15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Pallet lifting apparatus |
KR101865015B1 (en) | 2018-01-12 | 2018-07-13 | 에임시스템 주식회사 | Height and Tension Variable Moving Conveyor System for airport baggage |
KR102321233B1 (en) | 2021-02-05 | 2021-11-03 | 우양정공주식회사 | Conveyor Apparatus Can be Assembled Having Function For Change Direction Using Friction Force |
KR102547627B1 (en) * | 2022-07-07 | 2023-06-26 | 대한공조(주) | Automatic system for transporting parts for loading vehicl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9774178A (en) * | 2025-01-17 | 2025-04-08 | 广东宏德钢铁集团有限公司 | Hot casting billet roller convey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337066A (en) | Vehicl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 |
US4544319A (en) | Cargo transfer system | |
JP5914705B2 (en) |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100331B1 (en) | Conveyor Pallets for Forklifts | |
JP2009120317A (en) | Automatic warehouse | |
KR100702263B1 (en) | Angle changer for automatic transfer system | |
CN109761008B (en) | AGV carrier and use its conveying system | |
KR102290236B1 (en) | Roll Container Unloading Device | |
EP174159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pallets | |
US20070104563A1 (en) | Materials handling system | |
KR102750258B1 (en) | Conveyor for air cargo transport with 4-way heli-roll | |
CN210213645U (en) | Lifting mechanism for cargo handling | |
KR102750260B1 (en) | Air cargo transfer conveyor with low-floor lifting conveyor | |
KR101320958B1 (en) | A manual guided vehicle with a transter device of the driving direction | |
CN118744855A (en) | A sorting system | |
KR102610963B1 (en) |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cargo truck container having weight sensor | |
JP7334808B2 (en) | Goods storage facility | |
CN215401294U (en) | Elevator and transportation system | |
JPH06297992A (en) | Truck provided with automatic loading device | |
US7543827B2 (en) | Lifting device | |
CN215100414U (en) | Automobile seat delivery platform compatible with punctuality and storage modes | |
CN112722671B (en) | A walking hydraulic combined platform | |
JP3942929B2 (en) | Pallet transport device | |
CN210392605U (en) | AGV carrier and use its conveying system | |
KR940007895Y1 (en) | Shelf apparatus utilizing roll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4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5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