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49883B1 - Profile evaluation method of in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 Google Patents
Profile evaluation method of in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49883B1 KR102749883B1 KR1020190151325A KR20190151325A KR102749883B1 KR 102749883 B1 KR102749883 B1 KR 102749883B1 KR 1020190151325 A KR1020190151325 A KR 1020190151325A KR 20190151325 A KR20190151325 A KR 20190151325A KR 102749883 B1 KR102749883 B1 KR 1027498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k composition
- solvent
- ink
- profile
-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10—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 H10K71/12—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 H10K71/13—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 using liquid deposition, e.g. spin coating using printing techniques, e.g. ink-jet printing or screen printing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에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토출하는 제1 단계; 상기 용매 중 증발속도가 가장 낮거나 증발온도가 가장 높은 제1 용매를 기판 또는 그 주변에 뿌리는 제2 단계; 건조를 통해 상기 제1 용매의 증기를 형성시키고, 잉크막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잉크막의 프로파일(profile)을 관찰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 및 상기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k composition profile evaluation method including a first step of discharging an ink composition including one or more solvents onto a substrate; a second step of spraying a first solvent having the lowest evaporation rate or the highest evaporation temperature among the solvents onto the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a third step of forming vapor of the first solvent through drying and forming an ink film; and a fourth step of observing a profile of the formed ink fil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ink composition profile evaluation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잉크 조성물의 프로파일 평가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valuating the profile of an ink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종래에는 유기 발광 소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증착 공정을 주로 사용해 왔다. 그러나, 증착 공정으로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시, 재료의 손실이 많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료의 손실이 적어 생산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용액 공정을 통하여 소자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용액 공정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In the past, the deposition process was mainly used to manufactur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material loss occurs when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ing the deposition process.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devices through a solution process that can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by reducing material loss is being developed, and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the solution process is required.
용액 공정용 유기 발광 소자에서 사용되는 물질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져야 한다. Materials used i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for solution processes must have the following properties:
첫째로, 저장 가능한 균질한 용액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상용화된 증착 공정용 물질의 경우 결정성이 좋아서 용액에 잘 녹지 않거나 용액을 형성하더라도 결정이 쉽게 잡히기 때문에 저장기간에 따라 용액의 농도 구배가 달라지거나 불량 소자를 형성할 가능성이 크다.First, it must be possible to form a storable homogeneous solution. In the case of commercialized deposition process materials, they have good crystallinity and do not dissolve well in the solution, or even if a solution is formed, crystals are easily caught, so the concentration gradient of the solution changes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or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forming a defective element.
둘째로, 용액 공정에 사용되는 물질은 박막 형성시, 구멍(void)이나 뭉침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균일한 두께의 박막을 형성할 수 있도록 코팅성이 우수해야 하고, 유기 발광 소자 제조 시 전류 효율이 우수하며, 우수한 수명 특성이 요구된다.Second, the material used in the solution process must have excellent coating properties so that a film of uniform thickness can be formed without voids or clumping when forming the film, and excellent current efficiency and excellent life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when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최근에는 공정 비용 절감을 위하여 기존의 증착 공정 대신 용액 공정을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가 개발되고 있다. 용액 공정 중 잉크젯 프린틴 공정이 가장 많이 검토되고 있는데, 재료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미세 드롭(drop)을 토출하기 때문에 비접촉(non-contact) 방식의 정밀 패턴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Recently,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ing solution processes instead of conventional deposition processes are being developed to reduce process costs. Among the solution processes, the inkjet printing process is being studied the most, as it can minimize material consump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reate precise patterns in a non-contact manner because it discharges fine drops.
잉크젯 공정으로 잉크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소수성이 부여된 뱅크(bank) 기판에 잉크를 토출하고, 진공건조를 하게 된다. 진공 건조 후 잉크막의 프로파일(profile)이 평탄하게(flat)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프로파일은 주변의 환경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즉 랩 단위의 소량 스케일로 실험할 경우 양산 단위의 프로파일과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양산 스케일의 건조 공정을 거친 잉크 프로파일을 모사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In order to form an ink film using an inkjet process, ink is ejected onto a hydrophobic bank substrate and vacuum dried. After vacuum drying, it is important to make the profile of the ink film flat, but this profile is greatly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other words, if an experiment is conducted on a small scale in a lab, the problem of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profile of a mass-produced unit and the profile of a mass-produced unit. To solve this problem, an evaluation method that can simulate the ink profile that has gone through the drying process of a mass-produced scale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랩 스케일(lab scale)에서도 양산 스케일(pilot scale)을 모사할 수 있는 프로파일 평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profile evaluation method capable of simulating a pilot scale even at a lab scale.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판에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토출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charging an ink composition including one or more solvents onto a substrate;
상기 용매 중 증발속도가 가장 낮거나 증발온도가 가장 높은 제1 용매를 기판 또는 그 주변에 뿌리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spraying the first solvent having the lowest evaporation rate or the highest evaporation temperature among the above solvents onto the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건조를 통해 상기 제1 용매의 증기를 형성시키는 제3 단계; 및A third step of forming vapor of the first solvent through drying; and
건조 후 형성된 잉크막의 프로파일(profile)을 관찰하는 제4 단계;Step 4: observing the profile of the ink film formed after drying;
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A method for evaluating an ink composition profile including: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n ink composition profile evaluation method, wherein the third step further includes a heat treatment step.
본 명세서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ink composition profile evaluation method.
양산 크기의 잉크 프로파일을 모사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과 같이 잉크를 기판의 픽셀부 발광영역 주위에 더미 제팅(dummy jetting)하여 엣지(edge)부의 잉크막 프로파일(profile)을 제어하는 경우, 용매 양이 충분하지 않을 때, 양산 조건의 프로파일을 충분히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When controlling the ink film profile of the edge by dummy jetting ink around the pixel emission area of the substrate as i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simulating the ink profile of mass production size, a problem occurs in which the profile of mass production conditions cannot be sufficiently reproduced when the amount of solvent is insufficient.
본 명세서에서는 잉크의 용매 중 증발속도가 가장 낮거나 증발온도가 가장 높은 용매를 기판 또는 그 주변에 뿌리는 방법을 사용하여 양산 조건의 프로파일을 재현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profile of mass production conditions can be reproduced by using a method of spraying a solvent having the lowest evaporation rate or the highest evaporation temperature among the ink solvents onto a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도 1은 잉크막에서 나타날 수 있는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기판 주변에 제1 용매를 뿌리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decahydronaphtalene), 1-MON(1-methoxynaphthalene, 1-메톡시나프탈렌), 에틸4-에톡시벤조에이트(ethyl 4-ethoxybenzoate) 및 EMB(ethy 4-methoxybenzoate, 에틸 4-메톡시벤조에이트)의 진공 건조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DEP(diethyl phthalate) 증기의 유무에 따른 진공 조건의 압력-시간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형성된 잉크막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광학 프로파일러를 이용하여 측정한 잉크막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광학 프로파일러를 이용하여 측정한 잉크막 프로파일의 X축 및 Y축 단면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Figure 1 illustrates a profile that may appear in an ink film.
Figure 2 illustrates a step of spraying a first solvent around a substrate.
Figure 3 illustrates the vacuum drying profiles of decahydronaphtalene, 1-MON (1-methoxynaphthalene), ethyl 4-ethoxybenzoate, and EMB (ethy 4-methoxybenzoate).
Figure 4 shows a pressure-time graph of vacuum condit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P (diethyl phthalate) vapor.
Figure 5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the formed ink film.
Figure 6 illustrates an ink film profile measured using an optical profiler.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X-axis and Y-axis cross-sections of an ink film profile measured using an optical profiler.
잉크젯 공정으로 유기 발광 소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소수성이 부여된 뱅크(bank) 기판이 필요하다. 뱅크 기판은 잉크가 픽셀부 이외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잉크젯 공정으로 제조된 유기 발광 소자는 뱅크로 구획된 기판에 잉크 방울을 토출하고, 고진공 조건에서 용매를 증발시키는 건조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 후 열처리를 통해 잔류 용매 제거 및 잉크막 안정화를 거치게 되는데, 픽셀 내 균일한 발광을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평탄한(flat) 잉크막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탄한 잉크막 형성을 위해서는 잉크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를 잘 선정하여야 하는데, 주로 단일 용매 조성보다는 혼합 용매 조성의 잉크를 제조하여 잉크막 프로파일(profile)을 조절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파일 평가를 통해 최적의 잉크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In order to manufacture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using an inkjet process, a hydrophobic bank substrate is required. The bank substrate prevents ink from falling on areas other than the pixel area.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manufactured using an inkjet process ejects ink droplets onto a substrate divided into banks, and goes through a drying process in which the solvent is evaporated under high vacuum conditions. Afterwards, the residual solvent is removed and the ink film is stabilized through heat treatment. In order to uniformly light-emits within the pixel, it is important to form a flat ink film, as shown in Fig. 1. In order to form a flat ink film, the solvent included in the ink composition must be selected appropriately. Mainly, ink having a mixed solvent composition is manufactured rather than a single solvent composition, and the ink film profile is controll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nufacture an optimal ink through profile evaluation.
잉크 프로파일 평가는 뱅크가 형성된 기판의 픽셀부에 잉크를 토출하는 단계, 고진공 조건에서 진공 건조하는 단계 및 열처리 후 광학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로 뱅크 내 형성된 잉크막의 프로파일을 관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하는 기판의 사이즈는 랩 크기(lab scale)의 소형 사이즈 (예를 들면, 50x50, 40x40, 100x100 mm)를 사용하게 되는데, 실제 양산 크기의 파일럿 평가와 잉크막 프로파일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나타났다. 이는 잉크 건조 과정이 주변의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바, 랩 크기의 평가와 양산 크기의 평가 시 서로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양산 크기의 평가 결과가 그대로 모사되는 랩 단위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Ink profile evaluation includes a step of discharging ink onto a pixel portion of a substrate on which a bank is formed, a step of vacuum drying under high vacuum conditions, and a step of observing the profile of the ink film formed within the bank with an optical profiler after heat treatment.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ubstrate used is a small size of a lab scale (e.g., 50x50, 40x40, 100x100 mm), but a problem has arisen in which the ink film profile does not match the pilot evaluation of an actual mass production size. It is thought that this occurs because the ink drying process is greatly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environments of the lab-scale evaluation and the mass production-scale evalua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fore, a lab-scale evaluation method that directly replicate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mass production size is required.
본 발명자들은 양산과 랩 평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용하는 장비 또는 기판의 사이즈가 다르다는 것에 착안하였다. 이에 의하여, 기판에 토출되는 잉크 양이 다르고, 건조 시 형성되는 증기의 양이 달라 건조막 프로파일이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랩 평가에서도 양산 수준의 증기가 만들어지도록 인위적으로 증기를 형성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mass production and lab evaluation is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equipment or substrate used. Accordingly, the amount of ink discharged on the substrate is different, and the amount of vapor formed during drying is different, resulting in different drying film profiles. Therefore, in lab evaluation, a method of artificially forming vapor was applied to produce vapor at the mass production level, and evaluation was conducted.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The following describes this specification in more detail.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One embodiment of this specification is
기판에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토출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discharging an ink composition including one or more solvents onto a substrate;
상기 용매 중 증발속도가 가장 낮거나 증발온도가 가장 높은 제1 용매를 기판 또는 그 주변에 뿌리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spraying the first solvent having the lowest evaporation rate or the highest evaporation temperature among the above solvents onto the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건조를 통해 상기 제1 용매의 증기를 형성시키는 제3 단계; 및A third step of forming vapor of the first solvent through drying; and
건조 후 형성된 잉크막의 프로파일(profile)을 관찰하는 제4 단계;Step 4: observing the profile of the ink film formed after drying;
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A method for evaluating an ink composition profile including:
[제1 단계][Step 1]
상기 제1 단계는 기판에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한 잉크 조성물을 토출하는 단계이다.The above first step is a step of discharging an ink composition including one or more solvents onto a substrat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뱅크를 포함하는 뱅크 기판이다. 뱅크 기판은 소수성이 부여되어 있으므로, 잉크가 픽셀부 이외의 부분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ubstrate is a bank substrate including a bank. Since the bank substrate is provided with hydrophobicity,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ink from falling on a portion other than a pixel portion.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잉크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고,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때, 용매로는 비점이 180 ℃ 이상의 고비점인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탄화수소(hydrocarbon)계 용매, 에스터(ester)계 용매, 이써(ether)계 용매, 글리콜이써(glycol ether)계 용매 또는 알코올(alcohol)계 용매 등 기능성 재료를 녹일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스터(ester)계 용매, 탄화수소(hydrocarbon)계 용매, 방향족 이써(ether)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k composition includes one or more solvents and includes a functional material. At this time, a solvent having a high boiling point of 180° C. or higher can be used as the solvent. For example, a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the functional material, such as a hydrocarbon solvent, an ester solvent, an ether solvent, a glycol ether solvent, or an alcohol solvent, can be used, and preferably, an ester solvent, a hydrocarbon solvent, or an aromatic ether can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기능성 물질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발광 소자용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아민계 화합물 또는 카바졸계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the functional material, a commonly used material for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can be used. For example, an amine compound or a carbazole compound can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잉크 조성물은 계면활성제 또는 고분자 재료를 포함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계면활성제 또는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k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including a surfactant or a polymer material. In this case, the surfactant or additive may be made of a material commonly used in the ar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잉크 조성물의 반응 조건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용매는 상기 기능성 물질과 용매로 이루어진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해서 90 내지 99.5의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action conditions of the ink composition, etc. For example, the solv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90 to 99.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mposition of the functional material and the solven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온·상압 조건 하에서 진행된다. 이때, 잉크 조성물을 토출하는 과정은 Uni jet 장비(UJ-300 모델)를 사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step is carried out under room temperature and normal pressure conditions. At this time,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ink composition can be carried out using Uni jet equipment (UJ-300 model).
[제2 단계][Step 2]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의 용매 중 증발속도가 가장 낮거나 증발온도가 가장 높은 제1 용매를 기판 또는 그 주변에 뿌리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is a step of spraying the first solvent having the lowest evaporation rate or the highest evaporation temperature among the solvents of the first step onto the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본 명세서에서 상기 증발속도가 가장 낮거나 증발온도가 가장 느리다는 것은 고비점 및 저증기압의 특성을 가진 것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lowest evaporation rate or the slowest evaporation temperature means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a high boiling point and low vapor pressure.
기존에는 잉크를 기판의 픽셀부 발광영역 주위의 더미(dummy) 영역에 제팅하여(dummy jetting) 엣지(edge)부의 잉크막 프로파일(profile)을 제어해왔다. 그러나, 잉크에 포함된 용매 중 잉크 프로파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가장 마지막에 증발되는 용매 성분인데, 더미 제팅 시 그 양은 약 10-7 ml 내지 10-5 ml로, 실제 양산 스케일의 환경을 재현하기에 충분하지 않아, 더미 제팅만으로는 양산 조건의 프로파일을 충분히 재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잉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가장 마지막에 증발되는 용매의 비율이 충분하지 않아 양산 조건의 프로파일을 충분히 재현하지 못하는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였다.In the past, ink was jetted onto a dummy area around the pixel emission area of the substrate to control the ink film profile at the edge (dummy jetting). However, among the solvents contained in the ink, the on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ink profile is the solvent component that evaporates last. The amount during dummy jetting was about 10 -7 ml to 10 -5 ml, which is not sufficient to reproduce the environment of an actual mass production scale, and thus the problem occurred that the profile of the mass production conditions could not be sufficiently reproduced with dummy jetting alone. In addition, when a mixed solvent of ink was used, the same problem occurred that the profile of the mass production conditions could not be sufficiently reproduced because the ratio of the solvent that evaporates last was not sufficient.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잉크의 용매 중 증발속도가 가장 낮거나 증발온도가 가장 높은 제1 용매를 기판 또는 그 주변에 뿌리는 방법을 사용한다.Therefore, in this specification, a method of spraying a first solvent having the lowest evaporation rate or the highest evaporation temperature among the solvents of the ink onto a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is used.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1 용매는 상기 제1 단계의 용매 중 증발속도가 가장 낮거나 증발온도가 가장 느린 용매로, 고비점 및 저증기압의 특성을 갖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solvent is a solvent having the lowest evaporation rate or the slowest evaporation temperature among the solvents in the first step, and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high boiling point and low vapor pressur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1 용매는 증기압이 낮아 진공 하에서도 증발이 천천히 일어나는 용매이어야 한다. 상기 제1 단계의 용매가 단일 용매인 경우에는 상기 단일 용매를 그대로 기판 또는 그 주변에 첨가하고, 상기 제1 단계의 용매가 혼합 용매인 경우에는 그 중 가장 천천히 증발하는 용매 1종을 기판 또는 그 주변에 첨가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solvent must be a solvent that has a low vapor pressure and thus evaporates slowly even under vacuum. If the solvent of the first step is a single solvent, the single solvent is added as is to the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and if the solvent of the first step is a mixed solvent, one of the solvents that evaporates most slowly is added to the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1 용매는 잉크젯 공정이 가능하고, 유기 발광 소자용 재료를 잘 녹일 수 있는 용매이면 어떤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터류,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또는 이써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다이에틸프탈레이트(Diethyl phthalate), 다이메틸 프탈레이트(Dimethyl phthalate), 에틸4-메톡시벤조에이트(Ethyl 4-methoxy benzoate), 에틸4-에톡시벤조에이트(ethyl 4-ethoxy benzoate), 벤질벤조에이트(benzyl benzoate), 에틸바이페닐(ethyl biphenyl), 1-에틸나프탈렌(1-ethylnaphthalene) 또는 트리에틸렌글라이콜모노부틸이써 (tr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y solvent that can be used as the first solvent is an inkjet processable solvent and can dissolve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material well. Preferably, esters, hydrocarbons, alcohols, or ethers can be used, and more preferably, diethyl phthalate, dimethyl phthalate, ethyl 4-methoxy benzoate, ethyl 4-ethoxy benzoate, benzyl benzoate, ethyl biphenyl, 1-ethylnaphthalene, or tr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can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의 제1 용매의 첨가량은 펌프의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용매의 증기의 양이 충분히 많아야 하나, 너무 많이 넣으면 용매가 충분히 건조되지 않으므로, 펌프 용량에 맞게 첨가해야 한다. 예컨대, 제1 용매를 0.05 ml 내지 5 ml 첨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5 ml 내지 1 ml, 더 바람직하게는 0.1 ml 내지 1 ml,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ml 첨가할 수 있다. 이때 터보 펌프(turbo pump) 기준 에어 펌핑 속도(Pumping speed for Air)는 665 ℓ/s이고, 챔버(chamber) 용량은 7ℓ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mount of the first solvent added in the second step may vary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pump. The amount of vapor of the first solvent should be sufficiently large, but if too much is added, the solvent is not sufficiently dried, so it should be added according to the pump capacity. For example, the first solvent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5 ml to 5 ml, preferably 0.05 ml to 1 ml, more preferably 0.1 ml to 1 ml, and even more preferably 0.1 ml. At this time, the pumping speed for Air based on the turbo pump is 665 ℓ/s, and the chamber capacity is 7 ℓ.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의 제1 용매는 상기 펌프 용량의 에어(air) 기준 7.5 X 10-6 % 내지 7.5 X 10-4 % 첨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solvent of the second step can be added in an amount of 7.5 X 10 -6 % to 7.5 X 10 -4 % based on air of the pump capacity.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의 제1 용매의 양은 건조 단계에서 100초 이상 증발이 계속되고, 30분 이내에 모두 증발되는 양이다. 이는 용매 자체의 진공 건조 프로파일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진공 건조 프로파일의 측정에는 드라이 펌프(DUO 10M), 터보 펌프(HiPace 700)가 장착된 펌핑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고, 상온 하에서 진행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amount of the first solvent in the second step is an amount that continues to evaporate for more than 100 seconds in the drying step and is completely evaporated within 30 minutes. This can be confirmed by measuring the vacuum drying profile of the solvent itself. The measurement of the vacuum drying profile can use a pumping system equipped with a dry pump (DUO 10M) and a turbo pump (HiPace 700), and is performed at room temperatur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고비점 및 저증기압 특성을 갖는 제1 용매를 선정하여, 기판 또는 그 주변에 뿌린다. 예컨대, 도 2와 같이 빈 샬레 중앙에 기판을 두고 용매를 샬레의 가장 자리에만 뿌린 뒤 건조를 진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판에 직접 뿌리거나, 기판 주변에 뿌려, 기판 주변에 증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나 상관없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first solvent having high boiling point and low vapor pressure characteristics is selected and sprayed on a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substrate may be placed in the center of an empty petri dish, and the solvent may be sprayed only on the edges of the petri dish and then dri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ethod may be used, such as spraying the solvent directly on the substrate or around the substrate so that vapor can be formed around the substrat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제1 용매를 선정하기 위하여 용매 자체의 진공 건조 프로파일을 확인한다. 예컨대, 각 용매 0.1 내지 0.2ml를 용기에 넣고 진공 장비에 넣어 용매 자체의 진공 건조 프로파일을 얻는다. 그 다음, 그래프에서 용매가 증발하는 구간(bare 상태와 기울기가 달라지는 부분)을 확인하여 가장 늦게 증발되는 용매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decahydronaphtalene), 1-MON(1-methoxynaphthalene, 1-메톡시나프탈렌), 에틸4-에톡시벤조에이트(ethyl 4-ethoxybenzoate), EMB(ethy 4-methoxybenzoate, 에틸 4-메톡시벤조에이트)의 진공 건조 프로파일에서 bare 상태와 기울기가 달라지는 구간이 각 용매의 증발 구간이므로, 상기 용매 중에서는 기울기가 달라지는 구간이 제일 늦게 나타나는 에틸4-에톡시벤조에이트(ethyl 4-ethoxybenzoate)가 제1 용매가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order to select the first solvent, the vacuum drying profile of the solvent itself is checked. For example, 0.1 to 0.2 ml of each solvent is placed in a container and placed in a vacuum device to obtain the vacuum drying profile of the solvent itself. Then, by checking the section where the solvent evaporates in the graph (the section where the slope is different from the bare state), the solvent that evaporates the slowest can be identified. For example, in the vacuum drying profiles of decahydronaphtalene, 1-MON (1-methoxynaphthalene), ethyl 4-ethoxybenzoate, and EMB (ethyl 4-methoxybenzoate) in FIG. 3, the section where the slope differs from the bare state is the evaporation section of each solvent, so among the solvents, ethyl 4-ethoxybenzoate, which has the section where the slope differs the latest, becomes the first solvent.
상기 진공 건조 프로파일의 측정에는 드라이 펌프(DUO 10M), 터보 펌프(HiPace 700)가 장착된 펌핑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고, 상온 하에서 진행된다.The measurement of the above vacuum drying profile can be performed using a pumping system equipped with a dry pump (DUO 10M) and a turbo pump (HiPace 700) at room temperature.
[제3 단계][Step 3]
상기 제3 단계는 건조를 통해 상기 제1 용매의 증기를 형성시키고, 잉크막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is a step of forming vapor of the first solvent through drying and forming an ink film.
본 명세서에서는 잉크에 사용되는 용매 중 제1 용매를 기판 또는 그 주변에 뿌려, 건조 시 인위적으로 제1 용매의 증기가 다량 형성되도록 한다.In this specification, a first solvent among solvents used in ink is sprayed onto a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so that a large amount of vapor of the first solvent is artificially formed when dryin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에서는 건조를 통해 상기 제1 용매의 증기를 형성시키고, 형성된 제1 용매의 증기 하에서 상기 잉크 조성물을 건조시켜 잉크막을 형성시킨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third step, vapor of the first solvent is formed through drying, and the ink composition is dried under the formed vapor of the first solvent to form an ink film.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건조 단계는 진공 하에서 수행된다. 이때, 진공도는 10-4 torr 내지 10-6 torr 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범위를 유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시료의 양이 많아지거나, 비점이 높은 경우 또는 시료의 증발에 의해서 상기 건조 단계의 진공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rying step is performed under a vacuum. At this time, the vacuum level may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10 -4 torr to 10 -6 torr or a commonly used range. Since the vacuum level of the drying step may vary when the amount of the sample increases, the boiling point is high, or the sample evaporates,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rang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건조 단계는 5분 내지 1시간 동안 진행되고,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30분 동안 진행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rying step is performed for 5 minutes to 1 hour, and preferably for 5 minutes to 30 minutes.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열처리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hird step further includes a heat treatment step.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의 온도는 85 ℃ 내지 250 ℃이고,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100 ℃ 내지 250 ℃일 수 있으며, 또 하나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150 ℃ 내지 220 ℃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step is 85° C. to 250° C., in one embodiment, it may be 100° C. to 250° C., and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150° C. to 220° C.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 단계는 5분 내지 1시간,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40분 동안 진행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eat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for 5 minutes to 1 hour, preferably 20 minutes to 40 minutes.
도 4는 DEP(diethyl phthalate) 증기의 유무에 따른 진공 조건의 압력-시간 그래프를 도시한 것으로, 도 4와 같이, 제1 용매로 고비점 및 저증기압 특성을 갖는 용매를 사용하여 증기를 형성시키는 경우, 진공 그래프의 압력 값이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잉크막의 프로파일 또한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충분한 양의 제1 용매 증기가 형성되므로, 양산 건조 조건의 모사가 가능해진다.FIG. 4 illustrates a pressure-time graph of vacuum condit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EP (diethyl phthalate) vapor. As shown in FIG. 4, when a solvent having high boiling point and low vapor pressure characteristics is used as the first solvent to form vapor, the pressure value of the vacuum graph changes, and accordingly, the profile of the ink film also changes. In this case, since a sufficient amount of first solvent vapor is formed, simulation of mass production drying conditions becomes possible.
[제4 단계][Step 4]
상기 제4 단계는 건조 후 형성된 잉크막의 프로파일을 관찰하는 단계이다.The fourth step is the step of observing the profile of the ink film formed after drying.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형성된 잉크막의 프로파일을 관찰하는 단계는 광학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tep of observing the profile of the formed ink film can be performed using an optical profil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 내지 제3 단계를 거친 후 형성된 잉크막의 프로파일은 양산 크기에서 형성된 잉크막의 프로파일과 일치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ofile of the ink film formed after the first to third steps is consistent with the profile of the ink film formed in a mass production siz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잉크막은 30 nm 내지 200 nm, 바람직하게는 50 nm 내지 150 nm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k film can be formed to a thickness of 30 nm to 200 nm, preferably 50 nm to 150 nm.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잉크 조성물은 유기 발광 소자용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k composition is for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은 랩 크기에서 양산 크기의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을 예측하는 방법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k composition profile evaluation method is a method of predicting an ink composition profile of a mass production size in a lab siz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은 유기 발광 소자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k composition profile evaluation method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는 전술한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ink composition profile evaluation method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은 형성된 잉크막의 막 평탄도를 측정하여, 유기 발광 소자용 잉크 조성물을 선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es a method of selecting an ink composition for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by measuring the film flatness of a formed ink film.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잉크막의 막 평탄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유기 발광 소자용 잉크 조성물을 선택할 수 있다. 막 평탄도의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lm flatness of the ink film can be measured to select an appropriate ink composition for an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film flatness is as follows.
<막 평탄도 측정><Measurement of the flatness of the membrane>
뱅크가 형성된 ITO 기판에 상기 잉크 조성물을 젯팅(jetting)한 후, 15분 동안 진공건조(10-6 torr) 한다. 220 ℃ hot plate에서 열처리를 30분 동안 진행한 후, 막이 잘 형성되었는지를 광학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고, OP(Optical Profiler)를 이용하여 막 두께를 측정한다.After jetting the ink composition onto the ITO substrate on which the bank is formed, vacuum drying (10 -6 torr) is performed for 15 minutes. After heat treatment on a 220 ℃ hot plate for 30 minutes, the film is observed through an optical microscope to determine whether the film is well formed, and the film thickness is measured using an OP (Optical Profiler).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H90-HC| / HC 값이 0.25 미만인 잉크 조성물을 유기 발광 소자용 잉크 조성물로서 선택할 수 있다. |H90-HC| / HC 값이 0.25 미만인 경우, 우수한 평탄도를 가지므로, 유기 발광 소자용 잉크로 적합하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ink composition having a |H 90 -H C | / H C value of less than 0.25 can be selected as an ink composition for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When the |H 90 -H C | / H C value is less than 0.25, it has excellent flatness and is therefore suitable as an ink for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Hc는 하기 도 5에서의 잉크층의 중앙부(center)의 높이를 의미하고, 상기 H90은 잉크층의 중앙부로부터 뱅크 벽면까지의 길이 기준 90% 위치에서의 높이를 의미한다. 즉, 픽셀의 x축 길이가 총 100이라면, Hc는 50의 위치에서의 높이를 의미하고, H90은 5 또는 95의 위치에서의 높이를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Hc refers to the height of the center of the ink layer in FIG. 5 below, and the H 90 refers to the height at a position 90% of the length from the center of the ink layer to the bank wall. That is, if the x-axis length of the pixel is 100 in total, Hc refers to the height at a position of 50, and H 90 refers to the height at a position of 5 or 95.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in order to specifically explain this specification, examples will be given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examples 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scope of this specifica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The examples of this specifica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is specification to a person having average knowledge in the art.
실시예 1Example 1
하기 화합물 1 및 화학식 A(중량비 9:1)를 EMB(ethyl4-methoxybenzoate)에 1 wt%의 농도로 용해시켜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합물 1 및 화학식 A가 충분히 용해되도록 교반한 뒤, 상기 잉크 조성물을 UJ300 장비(Uniget사)에 주입하여, 소수성 뱅크가 형성된 기판에 10 내지 14 drop 조건으로 잉크를 토출하였다. 그 다음, 제1 용매 0.1ml를 샬레 가장자리에 도포하고, 기판을 샬레 중앙에 놓았다. 기판이 놓인 샬레를 진공 장비에 넣은 다음, 20분 간 진공 건조를 진행하여 제1 용매의 증기를 형성시키고, 잉크가 제1 용매의 증기 하에서 진공 건조되도록 하였다. 그 후 200 ℃에서 30분 간 열처리 단계를 진행하여 100 nm 두께의 잉크막을 형성하였다. 그 다음, 상기와 같이 형성된 잉크막을 광학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로 관찰하여 잉크막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다.An ink composi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the following compound 1 and chemical formula A (weight ratio 9:1) in EMB (ethyl4-methoxybenzoate) at a concentration of 1 wt%. After stirring so that the compound 1 and chemical formula A were sufficiently dissolved, the ink composition was injected into UJ300 equipment (Uniget), and ink was discharged under 10 to 14 drop conditions on a substrate on which a hydrophobic bank was formed. Next, 0.1 ml of the first solvent was applied to the edge of the petri dish, and the substrate wa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petri dish. The petri dish with the substrate placed thereon was placed in a vacuum equipment, and vacuum drying was performed for 20 minutes to form vapor of the first solvent, and the ink was vacuum-dried under the vapor of the first solvent. Thereafter, a heat treatment step was performed at 200° C. for 30 minutes to form an ink film with a thickness of 100 nm. Next, the ink film formed as described above was observed with an optical profiler to measure the ink film profile.
실시예에서 사용한 화합물은 하기와 같다.The compounds used in the examples are as follows.
[화학식 A][Chemical Formula A]
[화합물 1][Compound 1]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13Examples 2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3
실시예에서 잉크 조성물의 용매 및 제1 용매로 하기 표 1에 기재된 화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다.The same method as Example 1 was used except that the compounds described in Table 1 below were used as the solvent of the ink composition and the first solvent in the example.
(vapor)First solvent
(vapor)
잉크막의 프로파일 일치 여부 판단 방법How to determine if the ink film profile matches
잉크막의 프로파일에서, X축 단면은 광학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로 측정한 단축 프로파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잉크막의 광학 프로파일을 측정하면 도 6과 같은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고, 중심축에 교차된 선을 단면으로 표시하여 도 7의 X축 단면 그래프와 Y축 단면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랩 프로파일과 양산 프로파일을 각각 측정하여 얻은 X축 및 Y축 단면을 그래프로 도시하여 랩 프로파일과 양산 프로파일의 일치 여부를 측정한다.In the profile of the ink film, the X-axis cross-section means a short-axis profile measured by an optical profiler. For example, if the optical profile of the ink film is measured, a profile such as that in Fig. 6 can be obtained, and by indicating the line intersecting the central axis as a cross-section, the X-axis cross-section graph and the Y-axis cross-section graph of Fig. 7 can be obtained. Accordingly, the X-axis and Y-axis cross-sections obtained by measuring the lap profile and the mass-production profile, respectively, are plotted as graphs to measure whether the lap profile and the mass-production profile match.
랩 프로파일과 양산 프로파일의 X축 및 Y축 단면의 프로파일 모양(shape)이 모두 일치하는 경우, 랩 크기는 양산 크기를 그대로 재현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양산 프로파일과 랩 프로파일을 비교하여 오른쪽, 왼쪽의 엣지부와 센터부의 기본적인 모양이 동일하면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동일한 두께 하에서 관찰해야 하고, X축 및 Y축 프로파일 중 어느 하나의 모양이 다르거나, 오른쪽, 왼쪽의 엣지부와 센터부 중 어느 한 부분이라도 그래프 모양이 다르면 불일치로 판단한다.If the profile shapes of the X-axis and Y-axis cross sections of the wrap profile and the mass-produced profile are all the same, the wrap size can be judged to be a direct reproduction of the mass-produced size. If the mass-produced profile and the wrap profile are compared and the basic shapes of the right and left edges and the center are the same, it is judged to be a match. At this time, it must be observed under the same thickness, and if the shape of any one of the X-axis and Y-axis profiles is different, or if the graph shape of any one of the right and left edges and the center is different, it is judged to be a mismatch.
실시예 1 내지 8에서는 용매 중 가장 늦게 증발하는 용매인 제1 용매를 이용하여 증기를 형성하였고, 비교예 1 내지 11에서는 제1 용매를 기판에 뿌리지 않거나, 가장 늦게 증발하지 않는 용매를 기판에 뿌려 증기를 형성하였다. 또한, 비교예 12 및 13에서는 잉크 또는 가장 늦게 증발하지 않는 용매를 더미제팅하여 증기를 형성하였다.In Examples 1 to 8, the vapor was formed using the first solvent, which is the solvent that evaporates the slowest among the solvents, an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11, the vapor was formed by not spraying the first solvent on the substrate or spraying the solvent that evaporates the slowest on the substrate. In addition, in Comparative Examples 12 and 13, the vapor was formed by dummy jetting ink or the solvent that evaporates the slowest.
그 결과, 비교예 1 내지 13에서는 양산 잉크막 프로파일과 랩 잉크막 프로파일의 모양이 불일치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8에서는 양산 잉크막 프로파일과 랩 잉크막 프로파일의 모양이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As a result,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13, the shapes of the mass-produced ink film profile and the lab ink film profile did not match, but in Examples 1 to 8, the shapes of the mass-produced ink film profile and the lab ink film profile matched.
Claims (11)
상기 용매 중 증발속도가 가장 낮거나 증발온도가 가장 높은 제1 용매를 기판 또는 그 주변에 뿌리는 제2 단계;
건조를 통해 상기 제1 용매의 증기를 형성시키고, 잉크막을 형성시키는 제3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잉크막의 프로파일(profile)을 관찰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A first step of discharging an ink composition including one or more solvents onto a substrate;
A second step of spraying the first solvent having the lowest evaporation rate or the highest evaporation temperature among the above solvents onto the substrate or its surroundings;
A third step of forming vapor of the first solvent through drying and forming an ink film; and
A fourth step of observing the profile of the ink film formed above;
A method for evaluating an ink composition profile comprising:
상기 제2 단계의 제1 용매의 양은 건조 단계에서 100초 이상 증발이 계속되고, 30분 이내에 모두 증발되는 양인 것인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In claim 1,
A method for evaluating an ink composition profile, wherein the amount of the first solvent in the second step is such that evaporation continues for 100 seconds or longer in the drying step and is completely evaporated within 30 minutes.
상기 제1 용매는 에스터류, 탄화수소류, 알코올류 또는 이써류인 것인 잉크 조성물 프로파일 평가 방법.In claim 1,
A method for evaluating an ink composition profile, wherein the first solvent is an ester, a hydrocarbon, an alcohol or an isotherm.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ink composition profile evaluation method includes a method for selecting an ink composition for a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by measuring the film flatness of a formed ink fil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325A KR102749883B1 (en) | 2019-11-22 | 2019-11-22 | Profile evaluation method of in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325A KR102749883B1 (en) | 2019-11-22 | 2019-11-22 | Profile evaluation method of in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2991A KR20210062991A (en) | 2021-06-01 |
KR102749883B1 true KR102749883B1 (en) | 2025-01-02 |
Family
ID=7637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1325A Active KR102749883B1 (en) | 2019-11-22 | 2019-11-22 | Profile evaluation method of in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9883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198389B1 (en) | 1997-03-18 | 1999-06-15 | 전주범 | Fuzes battery |
US8053973B2 (en) * | 2005-02-15 | 2011-11-08 | Pioneer Corporation | Film forming composition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US20080022885A1 (en) * | 2006-07-27 | 2008-01-31 | Applied Materials, Inc. | Inks for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
-
2019
- 2019-11-22 KR KR1020190151325A patent/KR102749883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2991A (en) | 2021-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9574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rface-treated transparent conductive high molecular thin film and transparent electrod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 |
KR102650363B1 (en) | Heat exchange sheet | |
KR101679711B1 (en) | Ink composition comprising conductive polymer | |
KR20170139592A (en) | Non-aqueous com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organic electronic devices | |
WO2017093145A1 (en) | Fluoropolymer compositions comprising a copolymer of vinylidene fluoride and trifluoroethylene and a fluorinated elastomer | |
KR102749883B1 (en) | Profile evaluation method of ink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same | |
CN108110140A (en) | For can print the dicyandiamide solution based on ester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k formulations | |
KR20180108917A (en) | Polythiophene-containing ink compositions for inkjet printing | |
KR101831384B1 (en) | Film-forming composition, film formed therefro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semiconductor element using same | |
CN106575617A (en) | Sacrificial film composition, method for preparing same,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oids formed using sa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id composition | |
CN110023841A (en) | The method of the method and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of lithography composition, formation corrosion-resisting pattern | |
WO2006132128A1 (en) | Coating liquid for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method for producing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
CN111630633B (en) | Chemical solution for forming water-repellent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treating surface of wafer | |
CN102081172B (en) | Method of producing an optical device | |
JP2022509254A (en) | How to prepare a porous fluoropolymer film | |
KR101735915B1 (en) | Conductive Ink composition comprising conductive polymer | |
KR20180057339A (en) | Composition for hard mask | |
DE10252903A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 has antireflection layer of organic polymeric material containing evenly-distributed, closed-cell meso-pores | |
KR20220164714A (en) |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ubstrate | |
KR102145655B1 (en) | Ink composition for forming OLED functional layer and OLED functional layer formed by using the same | |
JP5430070B2 (en) | Method for producing functional membrane | |
KR101950981B1 (en) | Composition for hard mask | |
KR101891501B1 (en) | Washing liquid composition for deposition material and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452808B1 (en) | Composition for hard mask | |
CN112117208B (en) | Film drying method, film drying device and device comprising fil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1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