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9747B1 - 침투력이 향상된 경피 침습 패치 - Google Patents

침투력이 향상된 경피 침습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9747B1
KR102749747B1 KR1020240090185A KR20240090185A KR102749747B1 KR 102749747 B1 KR102749747 B1 KR 102749747B1 KR 1020240090185 A KR1020240090185 A KR 1020240090185A KR 20240090185 A KR20240090185 A KR 20240090185A KR 102749747 B1 KR102749747 B1 KR 10274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vitamin
temperature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90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무영
Original Assignee
고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무영 filed Critical 고무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97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피 침습 패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침투력이 향상된 경피 침습 패치{Transdermal invasive patch with improved penetration}
본 발명은 침투력이 향상된 경피 침습 패치에 관한 것이다.
근력이란 근육이나 근조직이 발휘할 수 있는 최대의 힘을 의미하며, 운동수행능력은 이러한 근력을 이용하여 일상생활 또는 스포츠에서 수행되는 신체동작을 빠르게, 강하게, 오래, 능숙하게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선천적으로 신체에 장애가 있거나 병원에 장기간 누워있는 등의 후천적인 이유로 근육이 소실되었을 경우, 근력이 감소하여 운동수행능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시키는 것이 요구되며, 운동선수의 경우 경기력 향상을 위해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운동수행능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운동 종목에 따른 과학적인 훈련, 식이요법, 기술장비의 개선 및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ergogenic aids)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법 중,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기능성 보조제와 관련된 연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서양에서 사용하는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들은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등으로 대부분이 부작용을 갖고 있으며, 도핑의 위험성도 있다. 이에, 최근에는 안전성이 보장된 천연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보조제를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미비한 실정이므로, 운동수행능력을 효과적으로 증강시키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보조제에 대한 연구가 요구 된다.
운동수행능력 증강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등록특허 제10-1191081호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 및 피로억제 효과를 갖는 겨우살이 추출물을 개시하였다.
한편, 경피 침습 패치, 경피 투여 패치 등은 피부 흡수를 통해 신체에 약물을 전달하는 제형으로, 편의성이 우수한 패치를 피부에 붙일 때 투여를 즉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경피 침습 패치는 피부미용이나 주름개선을 위한 미용품, 금연보조제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침투력이 향상된 경피 침습 패치로서, 침투력 향상제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피 침습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동수행능력 기능성을 나타내고, 우수한 피부 침투력으로 인해 기능성 또한 우수한 경피 침습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피 침습 패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비닐알콜(PVA),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EC), 히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알콜, 아라비아검, 알기네이트,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린, 포도당, 과당, 녹말, 트레할로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락툴로스, 프럭토스, 투라노스, 멜리토스, 멜레지토스, 덱스트란, 소르비톨, 크실리톨, 팔라티니트,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메타아크릴산 및 폴리말레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알긴산,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폴리라이신(polylysine), 카르복시메틸티틴,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피 침습 패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 기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피 침습 패치에 적용하기 위한 복합 조성물로,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지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카페인 63-64 중량부, 상기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도포하여 복합기능성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점착성 시트에 상기 복합기능성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기능성층; 및
상기 복합기능성층이 부착된 점착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기능성층은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침습 패치는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침습 패치는 운동수행능력 기능성을 나타내고, 우수한 피부 침투력으로 인해 기능성 또한 우수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침습 패치는 높은 폴리페놀 함량 및 높은 아미노산 함량을 가지는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여 기능성이 더욱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기능성층을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성 시트를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피 침습 패치를 모식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 적합성 고분자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습향상제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지버섯 추출액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12-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피 침습 패치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패치(patch)'는 피부에 부착하여 약물을 체내로 전달시키는 제형을 의미하고, '경피 침습 패치'는 경피에 의해 약물 전달이 가능한 패치를 의미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피 침습 패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침습 패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침습 패치는 기능성 조성물과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여, 상기 복합 조성물은 하이드로콜로이드 형태로 적용된다.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 및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조성물 19-21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8-80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9-1.1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한다. 일례로, 카페인 63.4-63.7 중량부, 비타민 A 1.7-1.9 중량부, 비타민 E 1.7-1.9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7-1.9 중량부, 산화아연 1.7-1.9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3-0.4 중량부, 비타민 B2 0.3-0.4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3-0.4 중량부, 엽산 0.3-0.4 중량부, 비오틴 0.3-0.4 중량부, 타우린 3.5-3.8 중량부, 옥타코사놀 3.5-3.8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5-3.8 중량부, 아르기닌 3.5-3.8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5-3.8 중량부, 벤토나이트 3.5-3.8 중량부 및 토르말린 3.5-3.8 중량부를 포함한다.
비타민 A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 동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녹황색의 식품성 식품에는 체내에서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테노이드의 형태로 들어있다. 눈의 간상세포에서 물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색소(로돕신)를 합성하는데 비타민 A가 필요하며, 눈에 영양을 공급한다.
비타민E는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 세포의 손상을 예방하여 항산화 작용을 하며, 비타민 E의 첨가 시 지방산들의 산화를 막는다.
니코틴산아미드는 에너지대사에 관여하고, 산화환원 작용을 하며, 엽산은 세포와 혈액생성 및 태아 신경관의 정산 발달에 필요하며, 혈액의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정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아연은 인체의 성장과 발육에 관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성인은 하루에 약 15mg의 아연을 보충해야 한다. 정상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에 있어 이러한 양은 음식에서 필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지만 성장단계에서 체중조절을 할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섭취해주어야 한다.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2 및 비타민 B6 염산염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3대 영양소, 즉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대사에 조효소로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비타민 B군은 다른 비타민들과 마찬 가지로 대부분의 몸조직에서 코엔자임(생화학 반응 시 촉매작용을 함)으로 사용된다. 단백질, 지방, 특히, 탄수화물의 대사에 필수적 역할을 한다. 피부, 눈, 간, 입, 머리카락 등의 조직 기능에 필수적이서 각종 피부문제, 입병, 입 주위가 헐거나 갈라지는 증상, 눈 불편함 등의 증상에 많이 사용된다. 에너지 발생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에너지 비타민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엽산은 핵산을 합성하고 적혈구를 생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이러한 엽산은 음식물 중 잎을 가지는 야채류와 동물의 간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비오틴은 비타민 B군 중에서 비타민 B7, 비타민 H 혹은 코엠자임 R이라고도 한다. 지방과 탄수화물의 대사에 관여하며, 장내 미생물에 의해 생합성 되기 때문에 결핍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부족할 경우 탈모나 지루성 피부염, 습진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카페인(caffeine)은 차, 커피 등에 함유되는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약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융점 238℃로 냄새가 없고 쓴맛을 가진 백색 결정인 것이 특징이다.
타우린은 고혈압 예방 및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시켜 주며, 콜레스테롤 저하에도 효과적이다. 모유에도 함유되어 있으며, 어린이의 생육에 필수 불가결한 영양원으로 어린이의 신경과 뇌의 발달에 필요한 성분이다.
옥타코사놀은 내구력, 정력, 체력의 증진에 효과적이며,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주며, 성호르몬 분비 촉진의 기능을 한다.
분지쇄 아미노산(BCAA)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20종류의 아미노산 중 이소류신, 류신, 발린의 3종 아미노산으로 필수 아미노산의 35~40%, 근육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15~20%를 차지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분지쇄 아미노산은 크게 3가지 특성이 있다. 첫째, 직접적인 에너지를 공급한다.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간으로 운반이 되어서 대사되는 경로를 거치나 분지쇄 아미노산은 간을 지나쳐 곧 바로 말초조직에서 취해지는 특성이 있다. BCAA는 말초조직에서 산화되어 CO2와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둘째, 당신생 반응에 기질을 공급한다. 당신생 반응은 체내에서 직접 포도당을 합성하는 반응으로 이 반응은 간에서 일어나며 생성된 포도당은 혈중으로 나가 여러 곳에 이용된다. 이때 간에서 포도당을 합성할 수 있도록 그 자원 즉 포도당 합성의 전구 물질인 알라닌(alanine)과 피루베이트(pyruvate)를 공급해 주는 것이 근육에서 분해된 분지쇄 아미노산이다. 셋째, 근육에서 단백 분해 억제 및 합성을 촉진한다. 패혈증 등의 경우에 있어 순환 혈류 중의 아미노산 농도가 대단히 높은데 그 이유는 세포 내에서의 포도당 이용이 비정상적인 까닭으로 신체가 에너지 공급을 위해 신체 단백의 주 저장체인 근육을 이화 대사시켜 직접 분지쇄 아미노산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기타의 아미노산도 같이 근육으로부터 혈액으로 방출이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분지쇄 아미노산은 수액 주사 시 근육 단백 분해가 억제되고 오히려 단백 합성이 촉진된다.
아르기닌의 생리적 작용은 정자의 수와 운동성 부족으로 인한 남성불임증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며 근육조직을 정상 유지시킨다. 손상된 조직을 수복하고 상처 치료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흉선활동을 강화하여 T임파구 생산 촉진에 의한 면역력을 증대시킨다.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성장호르몬의 합성을 촉진하며 인슐린 생산능력을 향상시켜주고 지방대사에 관여한다. 지방간, 간경화증의 치료를 보조하는 기능이 있고 성장호르몬에 의한 체중 감량에 효과가 있다. 또한 간장에서 암모니아를 중화하여 해독기능을 높혀 주며, 콜라겐(Collagen)의 합성을 도와 관절염과 결합조직의 이상에 좋은 작용을 한다. 결합조직 강화작용으로 건, 인대를 강화한다고, 되어 있다.
코엔자임 Q10(CoQ-10)은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보효소(coenzyme)로, 우리 몸에서 에너지 대사가 가장 활발히 이뤄지는 각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전자전달계에 관여해 ATP생성에 깊은 관계가 있는 물질이다.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세포 에너지의 95%를 차지한다. 세포 에너지는 몸의 기능이 잘 작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음식물을 섭취할 때, 코엔자임 Q10은 음식물의 분해 및 소화를 도우며, 미토콘드리아는 섭취한 음식으로부터 지방과 당분을 받아 세포 에너지로 변환시켜 세포 성장과 유지를 돕는데 관여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은 신진대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심혈관개선 및 심장 건강과 근육 그리고 조직의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코엔자임 Q10은 항산화, 높은 혈압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코엔자임 Q10이 부족하면 에너지 생성이 원활하지 못해 신체 활력이 저하되는 현상 발생하게 된다.
토르말린(전기석, tourmaline)은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화학식은 (Na, Ca)(Mg, Li, Al, Fe2+, Fe3+)(Al, Mg, Cr)6B3Si6(OH, O, F)4이며, 화학성분은 철마그네슘알칼리 금속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규산염이다. 대개는 6각 또는 9각 때로는 3각 주상을 이루며, 주(柱)의 상하에서 결정형을 달리하는 경우도 있다. 또 상하가 편평한 능면체나 침상모상을 나타내며, 때로는 입상괴상을 이루기도 한다. 쪼개짐은 분명하지 않고, 단구는 평탄하지 않거나 패각상이다. 굳기 7.0~7.5, 비중 2.98~3.20이다.
벤토나이트(bentonite)는 층상규산염광물의 하나로 화산회의 변환으로 인해 생성되며 주로 스멕타이트(smectite)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몬모릴로나이트(monmorillonite) 광물의 점토를 주성분으로 한다. 따라서 주로 벤토나이트는 불순한 몬모릴로나이트를 말하며, 한국식품첨가물 공전에서는 천연에서 산출되는 콜로이드성 함수규산알루미늄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더 바람직하고, 4.8-5.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알리움 후커리(Allium hookeri)는 파속식물이며, 해발 1,400m 이상의 고랭지에 자생하고 있다. 상기 알리움 후커리는 삼채 또는 뿌리부추라고도 하며, 피를 맑게 해주고, 항암 효능을 가진 다량의 유황성분이 마늘보다 6배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야채로, 이외에도 배변촉진, 당뇨증상 개선, 아토피 완화 및 피부노화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적산파채는 학명이 Atriplex hortensis로서 아마란스과 (Amaranthaceae)에 속한다. 아시아와 유럽, 넓게는 캐나다나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적산파채는 다양하고 토양에 따라 높이가 2~6 피트까지 성장하며 강직한 분기 줄기를 가진다. 잎은 직사각형으로 비교적 얇은 질감이며, 맛에 약간 신맛이 있다. 꽃은 작고 불분명하고, 녹색 또는 빨강, 식물 잎의 색깔에 따른다. 씨앗은 작고 검게 얇고 엷은 황색의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적산파채는 짠 시금치의 맛이 나며, 잎은 조리 또는 샐러드로 사용되고 있다. 지중해 지역에서는 잎 채소가 될 때까지 일반적으로 재배되며, 잎은 빨강, 흰색, 녹색 품종으로 나타난다. 따뜻한 기후에서 열에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따뜻한 기후에서 시금치의 대체품으로 재배되며 이용되고 있다.
갈근(Puerariae Radix)은 콩과(Leguminosae)의 덩굴나무인 칡(Pueraria lobata (Willd.) Ohwi.)의 뿌리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배기환,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p.260, 2000). 갈근의 성분은 푸에라린(puerarin), 다이드제인(daizein), 다이드진(daidz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화합물과 소야사포닌(soyasaponin) 등의 사포닌(saponin) 및 전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생약학, 동명사, p.100-102, 2006).
본 발명에서는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으로부터 추출한 복합발효추출물을 기능성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상기 원료를 고온 습식 숙성하여 유효성분을 증량시키고, 운지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기술을 통해 폴리페놀 함량 및 아미노산의 함량을 증대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발효공정 후 가열 및 냉각하고,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효소반응을 수행하고, 초음파조사 추출함으로써 유효성분 추출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은 담자균류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 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균모는 얇고 단단한 가죽질이며 반원형이고, 침엽수나 활엽수의 고목에 군생하는 일년생이며,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산악지대에 주로 자생하고 있다. 운지버섯의 다당류가 항암작용,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와 항종 효과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비닐알콜(PVA),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EC), 히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알콜, 아라비아검, 알기네이트,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린, 포도당, 과당, 녹말, 트레할로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락툴로스, 프럭토스, 투라노스, 멜리토스, 멜레지토스, 덱스트란, 소르비톨, 크실리톨, 팔라티니트,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메타아크릴산 및 폴리말레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알긴산,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폴리라이신(polylysine), 카르복시메틸티틴,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평균분자량이 300-700 Da인 히알루론산 28-32 중량부 및 평균분자량이 500-700 MDa인 히알루론산 68-72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히알루론산을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습향상제를 적용하여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경피 침습 패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 기능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경피 침습 패치에 적용하기 위한 복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능성 조성물 19-21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8-80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한다.
비타민 A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 동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녹황색의 식품성 식품에는 체내에서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테노이드의 형태로 들어있다. 눈의 간상세포에서 물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색소(로돕신)를 합성하는데 비타민 A가 필요하며, 눈에 영양을 공급한다.
비타민E는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 세포의 손상을 예방하여 항산화 작용을 하며, 비타민 E의 첨가 시 지방산들의 산화를 막는다.
니코틴산아미드는 에너지대사에 관여하고, 산화환원 작용을 하며, 엽산은 세포와 혈액생성 및 태아 신경관의 정산 발달에 필요하며, 혈액의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정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아연은 인체의 성장과 발육에 관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성인은 하루에 약 15mg의 아연을 보충해야 한다. 정상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에 있어 이러한 양은 음식에서 필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지만 성장단계에서 체중조절을 할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섭취해주어야 한다.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2 및 비타민 B6 염산염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3대 영양소, 즉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대사에 조효소로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비타민 B군은 다른 비타민들과 마찬 가지로 대부분의 몸조직에서 코엔자임(생화학 반응 시 촉매작용을 함)으로 사용된다. 단백질, 지방, 특히, 탄수화물의 대사에 필수적 역할을 한다. 피부, 눈, 간, 입, 머리카락 등의 조직 기능에 필수적이서 각종 피부문제, 입병, 입 주위가 헐거나 갈라지는 증상, 눈 불편함 등의 증상에 많이 사용된다. 에너지 발생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에너지 비타민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엽산은 핵산을 합성하고 적혈구를 생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이러한 엽산은 음식물 중 잎을 가지는 야채류와 동물의 간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비오틴은 비타민 B군 중에서 비타민 B7, 비타민 H 혹은 코엠자임 R이라고도 한다. 지방과 탄수화물의 대사에 관여하며, 장내 미생물에 의해 생합성 되기 때문에 결핍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부족할 경우 탈모나 지루성 피부염, 습진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카페인(caffeine)은 차, 커피 등에 함유되는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약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융점 238℃로 냄새가 없고 쓴맛을 가진 백색 결정인 것이 특징이다.
타우린은 고혈압 예방 및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시켜 주며, 콜레스테롤 저하에도 효과적이다. 모유에도 함유되어 있으며, 어린이의 생육에 필수 불가결한 영양원으로 어린이의 신경과 뇌의 발달에 필요한 성분이다.
옥타코사놀은 내구력, 정력, 체력의 증진에 효과적이며,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주며, 성호르몬 분비 촉진의 기능을 한다.
분지쇄 아미노산(BCAA)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20종류의 아미노산 중 이소류신, 류신, 발린의 3종 아미노산으로 필수 아미노산의 35~40%, 근육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15~20%를 차지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분지쇄 아미노산은 크게 3가지 특성이 있다. 첫째, 직접적인 에너지를 공급한다.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간으로 운반이 되어서 대사되는 경로를 거치나 분지쇄 아미노산은 간을 지나쳐 곧 바로 말초조직에서 취해지는 특성이 있다. BCAA는 말초조직에서 산화되어 CO2와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둘째, 당신생 반응에 기질을 공급한다. 당신생 반응은 체내에서 직접 포도당을 합성하는 반응으로 이 반응은 간에서 일어나며 생성된 포도당은 혈중으로 나가 여러 곳에 이용된다. 이때 간에서 포도당을 합성할 수 있도록 그 자원 즉 포도당 합성의 전구 물질인 알라닌(alanine)과 피루베이트(pyruvate)를 공급해 주는 것이 근육에서 분해된 분지쇄 아미노산이다. 셋째, 근육에서 단백 분해 억제 및 합성을 촉진한다. 패혈증 등의 경우에 있어 순환 혈류 중의 아미노산 농도가 대단히 높은데 그 이유는 세포 내에서의 포도당 이용이 비정상적인 까닭으로 신체가 에너지 공급을 위해 신체 단백의 주 저장체인 근육을 이화 대사시켜 직접 분지쇄 아미노산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기타의 아미노산도 같이 근육으로부터 혈액으로 방출이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분지쇄 아미노산은 수액 주사 시 근육 단백 분해가 억제되고 오히려 단백 합성이 촉진된다.
아르기닌의 생리적 작용은 정자의 수와 운동성 부족으로 인한 남성불임증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며 근육조직을 정상 유지시킨다. 손상된 조직을 수복하고 상처 치료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흉선활동을 강화하여 T임파구 생산 촉진에 의한 면역력을 증대시킨다.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성장호르몬의 합성을 촉진하며 인슐린 생산능력을 향상시켜주고 지방대사에 관여한다. 지방간, 간경화증의 치료를 보조하는 기능이 있고 성장호르몬에 의한 체중 감량에 효과가 있다. 또한 간장에서 암모니아를 중화하여 해독기능을 높혀 주며, 콜라겐(Collagen)의 합성을 도와 관절염과 결합조직의 이상에 좋은 작용을 한다. 결합조직 강화작용으로 건, 인대를 강화한다고, 되어 있다.
코엔자임 Q10(CoQ-10)은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보효소(coenzyme)로, 우리 몸에서 에너지 대사가 가장 활발히 이뤄지는 각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전자전달계에 관여해 ATP생성에 깊은 관계가 있는 물질이다.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세포 에너지의 95%를 차지한다. 세포 에너지는 몸의 기능이 잘 작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음식물을 섭취할 때, 코엔자임 Q10은 음식물의 분해 및 소화를 도우며, 미토콘드리아는 섭취한 음식으로부터 지방과 당분을 받아 세포 에너지로 변환시켜 세포 성장과 유지를 돕는데 관여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은 신진대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심혈관개선 및 심장 건강과 근육 그리고 조직의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코엔자임 Q10은 항산화, 높은 혈압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코엔자임 Q10이 부족하면 에너지 생성이 원활하지 못해 신체 활력이 저하되는 현상 발생하게 된다.
토르말린(전기석, tourmaline)은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화학식은 (Na, Ca)(Mg, Li, Al, Fe2+, Fe3+)(Al, Mg, Cr)6B3Si6(OH, O, F)4이며, 화학성분은 철마그네슘알칼리 금속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규산염이다. 대개는 6각 또는 9각 때로는 3각 주상을 이루며, 주(柱)의 상하에서 결정형을 달리하는 경우도 있다. 또 상하가 편평한 능면체나 침상모상을 나타내며, 때로는 입상괴상을 이루기도 한다. 쪼개짐은 분명하지 않고, 단구는 평탄하지 않거나 패각상이다. 굳기 7.0~7.5, 비중 2.98~3.20이다.
벤토나이트(bentonite)는 층상규산염광물의 하나로 화산회의 변환으로 인해 생성되며 주로 스멕타이트(smectite)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몬모릴로나이트(monmorillonite) 광물의 점토를 주성분으로 한다. 따라서 주로 벤토나이트는 불순한 몬모릴로나이트를 말하며, 한국식품첨가물 공전에서는 천연에서 산출되는 콜로이드성 함수규산알루미늄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알리움 후커리(Allium hookeri)는 파속식물이며, 해발 1,400m 이상의 고랭지에 자생하고 있다. 상기 알리움 후커리는 삼채 또는 뿌리부추라고도 하며, 피를 맑게 해주고, 항암 효능을 가진 다량의 유황성분이 마늘보다 6배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야채로, 이외에도 배변촉진, 당뇨증상 개선, 아토피 완화 및 피부노화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적산파채는 학명이 Atriplex hortensis로서 아마란스과 (Amaranthaceae)에 속한다. 아시아와 유럽, 넓게는 캐나다나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적산파채는 다양하고 토양에 따라 높이가 2~6 피트까지 성장하며 강직한 분기 줄기를 가진다. 잎은 직사각형으로 비교적 얇은 질감이며, 맛에 약간 신맛이 있다. 꽃은 작고 불분명하고, 녹색 또는 빨강, 식물 잎의 색깔에 따른다. 씨앗은 작고 검게 얇고 엷은 황색의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적산파채는 짠 시금치의 맛이 나며, 잎은 조리 또는 샐러드로 사용되고 있다. 지중해 지역에서는 잎 채소가 될 때까지 일반적으로 재배되며, 잎은 빨강, 흰색, 녹색 품종으로 나타난다. 따뜻한 기후에서 열에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따뜻한 기후에서 시금치의 대체품으로 재배되며 이용되고 있다.
갈근(Puerariae Radix)은 콩과(Leguminosae)의 덩굴나무인 칡(Pueraria lobata (Willd.) Ohwi.)의 뿌리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배기환,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p.260, 2000). 갈근의 성분은 푸에라린(puerarin), 다이드제인(daizein), 다이드진(daidz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화합물과 소야사포닌(soyasaponin) 등의 사포닌(saponin) 및 전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생약학, 동명사, p.100-102, 2006).
본 발명에서는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으로부터 추출한 복합발효추출물을 기능성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상기 원료를 고온 습식 숙성하여 유효성분을 증량시키고, 운지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기술을 통해 폴리페놀 함량 및 아미노산의 함량을 증대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발효공정 후 가열 및 냉각하고,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효소반응을 수행하고, 초음파조사 추출함으로써 유효성분 추출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은 담자균류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 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균모는 얇고 단단한 가죽질이며 반원형이고, 침엽수나 활엽수의 고목에 군생하는 일년생이며,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산악지대에 주로 자생하고 있다. 운지버섯의 다당류가 항암작용,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와 항종 효과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비닐알콜(PVA),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EC), 히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알콜, 아라비아검, 알기네이트,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린, 포도당, 과당, 녹말, 트레할로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락툴로스, 프럭토스, 투라노스, 멜리토스, 멜레지토스, 덱스트란, 소르비톨, 크실리톨, 팔라티니트,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메타아크릴산 및 폴리말레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알긴산,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폴리라이신(polylysine), 카르복시메틸티틴,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평균분자량이 300-700 Da인 히알루론산 28-32 중량부 및 평균분자량이 500-700 MDa인 히알루론산 68-72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히알루론산을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습향상제를 적용하여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기능성층; 및
상기 복합기능성층이 부착된 점착성 시트를 포함하는 경피 침습 패치를 제공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피 침습 패치(1000)는 복합기능성층(100) 및 점착성 시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기능성층(100)은 대상 내부로 기능성 조성물을 공급한다.
상기 점착성 시트(200)는 기재층(20) 및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점착층(21)을 포함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점착성 시트 소재를 사용한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한다.
비타민 A는 지용성 비타민의 한 종류로 동물성 식품에 함유되어 있으며 녹황색의 식품성 식품에는 체내에서 비타민 A의 전구체인 카로테노이드의 형태로 들어있다. 눈의 간상세포에서 물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색소(로돕신)를 합성하는데 비타민 A가 필요하며, 눈에 영양을 공급한다.
비타민E는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이 파괴되는 것을 막아 세포의 손상을 예방하여 항산화 작용을 하며, 비타민 E의 첨가 시 지방산들의 산화를 막는다.
니코틴산아미드는 에너지대사에 관여하고, 산화환원 작용을 하며, 엽산은 세포와 혈액생성 및 태아 신경관의 정산 발달에 필요하며, 혈액의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정상으로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아연은 인체의 성장과 발육에 관건 작용을 하는 것으로, 성인은 하루에 약 15mg의 아연을 보충해야 한다. 정상적으로 음식을 섭취하는 사람에 있어 이러한 양은 음식에서 필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지만 성장단계에서 체중조절을 할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섭취해주어야 한다.
비타민 B1 염산염, 비타민 B2 및 비타민 B6 염산염은 우리 몸에 필수적인 3대 영양소, 즉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대사에 조효소로 작용하는 역할을 한다. 비타민 B군은 다른 비타민들과 마찬 가지로 대부분의 몸조직에서 코엔자임(생화학 반응 시 촉매작용을 함)으로 사용된다. 단백질, 지방, 특히, 탄수화물의 대사에 필수적 역할을 한다. 피부, 눈, 간, 입, 머리카락 등의 조직 기능에 필수적이서 각종 피부문제, 입병, 입 주위가 헐거나 갈라지는 증상, 눈 불편함 등의 증상에 많이 사용된다. 에너지 발생과정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에너지 비타민으로 불려지기도 한다.
엽산은 핵산을 합성하고 적혈구를 생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이러한 엽산은 음식물 중 잎을 가지는 야채류와 동물의 간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비오틴은 비타민 B군 중에서 비타민 B7, 비타민 H 혹은 코엠자임 R이라고도 한다. 지방과 탄수화물의 대사에 관여하며, 장내 미생물에 의해 생합성 되기 때문에 결핍은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부족할 경우 탈모나 지루성 피부염, 습진 등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카페인(caffeine)은 차, 커피 등에 함유되는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중추신경을 흥분시키는 약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융점 238℃로 냄새가 없고 쓴맛을 가진 백색 결정인 것이 특징이다.
타우린은 고혈압 예방 및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시켜 주며, 콜레스테롤 저하에도 효과적이다. 모유에도 함유되어 있으며, 어린이의 생육에 필수 불가결한 영양원으로 어린이의 신경과 뇌의 발달에 필요한 성분이다.
옥타코사놀은 내구력, 정력, 체력의 증진에 효과적이며, 스트레스의 영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주며, 성호르몬 분비 촉진의 기능을 한다.
분지쇄 아미노산(BCAA)은 단백질을 구성하는 20종류의 아미노산 중 이소류신, 류신, 발린의 3종 아미노산으로 필수 아미노산의 35~40%, 근육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15~20%를 차지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분지쇄 아미노산은 크게 3가지 특성이 있다. 첫째, 직접적인 에너지를 공급한다.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간으로 운반이 되어서 대사되는 경로를 거치나 분지쇄 아미노산은 간을 지나쳐 곧 바로 말초조직에서 취해지는 특성이 있다. BCAA는 말초조직에서 산화되어 CO2와 에너지를 만들어낼 수 있다. 둘째, 당신생 반응에 기질을 공급한다. 당신생 반응은 체내에서 직접 포도당을 합성하는 반응으로 이 반응은 간에서 일어나며 생성된 포도당은 혈중으로 나가 여러 곳에 이용된다. 이때 간에서 포도당을 합성할 수 있도록 그 자원 즉 포도당 합성의 전구 물질인 알라닌(alanine)과 피루베이트(pyruvate)를 공급해 주는 것이 근육에서 분해된 분지쇄 아미노산이다. 셋째, 근육에서 단백 분해 억제 및 합성을 촉진한다. 패혈증 등의 경우에 있어 순환 혈류 중의 아미노산 농도가 대단히 높은데 그 이유는 세포 내에서의 포도당 이용이 비정상적인 까닭으로 신체가 에너지 공급을 위해 신체 단백의 주 저장체인 근육을 이화 대사시켜 직접 분지쇄 아미노산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서 기타의 아미노산도 같이 근육으로부터 혈액으로 방출이 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분지쇄 아미노산은 수액 주사 시 근육 단백 분해가 억제되고 오히려 단백 합성이 촉진된다.
아르기닌의 생리적 작용은 정자의 수와 운동성 부족으로 인한 남성불임증을 개선하는 작용을 하며 근육조직을 정상 유지시킨다. 손상된 조직을 수복하고 상처 치료를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흉선활동을 강화하여 T임파구 생산 촉진에 의한 면역력을 증대시킨다.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성장호르몬의 합성을 촉진하며 인슐린 생산능력을 향상시켜주고 지방대사에 관여한다. 지방간, 간경화증의 치료를 보조하는 기능이 있고 성장호르몬에 의한 체중 감량에 효과가 있다. 또한 간장에서 암모니아를 중화하여 해독기능을 높혀 주며, 콜라겐(Collagen)의 합성을 도와 관절염과 결합조직의 이상에 좋은 작용을 한다. 결합조직 강화작용으로 건, 인대를 강화한다고, 되어 있다.
코엔자임 Q10(CoQ-10)은 우리 몸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보효소(coenzyme)로, 우리 몸에서 에너지 대사가 가장 활발히 이뤄지는 각 세포 내의 미토콘드리아에서 전자전달계에 관여해 ATP생성에 깊은 관계가 있는 물질이다.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안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세포 에너지의 95%를 차지한다. 세포 에너지는 몸의 기능이 잘 작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음식물을 섭취할 때, 코엔자임 Q10은 음식물의 분해 및 소화를 도우며, 미토콘드리아는 섭취한 음식으로부터 지방과 당분을 받아 세포 에너지로 변환시켜 세포 성장과 유지를 돕는데 관여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은 신진대사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심혈관개선 및 심장 건강과 근육 그리고 조직의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코엔자임 Q10은 항산화, 높은 혈압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코엔자임 Q10이 부족하면 에너지 생성이 원활하지 못해 신체 활력이 저하되는 현상 발생하게 된다.
토르말린(전기석, tourmaline)은 육방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화학식은 (Na, Ca)(Mg, Li, Al, Fe2+, Fe3+)(Al, Mg, Cr)6B3Si6(OH, O, F)4이며, 화학성분은 철마그네슘알칼리 금속등과 알루미늄의 복잡한 붕규산염이다. 대개는 6각 또는 9각 때로는 3각 주상을 이루며, 주(柱)의 상하에서 결정형을 달리하는 경우도 있다. 또 상하가 편평한 능면체나 침상모상을 나타내며, 때로는 입상괴상을 이루기도 한다. 쪼개짐은 분명하지 않고, 단구는 평탄하지 않거나 패각상이다. 굳기 7.0~7.5, 비중 2.98~3.20이다.
벤토나이트(bentonite)는 층상규산염광물의 하나로 화산회의 변환으로 인해 생성되며 주로 스멕타이트(smectite)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몬모릴로나이트(monmorillonite) 광물의 점토를 주성분으로 한다. 따라서 주로 벤토나이트는 불순한 몬모릴로나이트를 말하며, 한국식품첨가물 공전에서는 천연에서 산출되는 콜로이드성 함수규산알루미늄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알리움 후커리(Allium hookeri)는 파속식물이며, 해발 1,400m 이상의 고랭지에 자생하고 있다. 상기 알리움 후커리는 삼채 또는 뿌리부추라고도 하며, 피를 맑게 해주고, 항암 효능을 가진 다량의 유황성분이 마늘보다 6배 정도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야채로, 이외에도 배변촉진, 당뇨증상 개선, 아토피 완화 및 피부노화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적산파채는 학명이 Atriplex hortensis로서 아마란스과 (Amaranthaceae)에 속한다. 아시아와 유럽, 넓게는 캐나다나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적산파채는 다양하고 토양에 따라 높이가 2~6 피트까지 성장하며 강직한 분기 줄기를 가진다. 잎은 직사각형으로 비교적 얇은 질감이며, 맛에 약간 신맛이 있다. 꽃은 작고 불분명하고, 녹색 또는 빨강, 식물 잎의 색깔에 따른다. 씨앗은 작고 검게 얇고 엷은 황색의 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러한 적산파채는 짠 시금치의 맛이 나며, 잎은 조리 또는 샐러드로 사용되고 있다. 지중해 지역에서는 잎 채소가 될 때까지 일반적으로 재배되며, 잎은 빨강, 흰색, 녹색 품종으로 나타난다. 따뜻한 기후에서 열에 강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따뜻한 기후에서 시금치의 대체품으로 재배되며 이용되고 있다.
갈근(Puerariae Radix)은 콩과(Leguminosae)의 덩굴나무인 칡(Pueraria lobata (Willd.) Ohwi.)의 뿌리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배기환,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p.260, 2000). 갈근의 성분은 푸에라린(puerarin), 다이드제인(daizein), 다이드진(daidzin)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계 화합물과 소야사포닌(soyasaponin) 등의 사포닌(saponin) 및 전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생약학, 동명사, p.100-102, 2006).
본 발명에서는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으로부터 추출한 복합발효추출물을 기능성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상기 원료를 고온 습식 숙성하여 유효성분을 증량시키고, 운지버섯 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기술을 통해 폴리페놀 함량 및 아미노산의 함량을 증대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다. 또한, 추가적으로 발효공정 후 가열 및 냉각하고, 프로테아제를 이용한 효소반응을 수행하고, 초음파조사 추출함으로써 유효성분 추출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기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운지버섯(Coriolus versicolor)은 담자균류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 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균모는 얇고 단단한 가죽질이며 반원형이고, 침엽수나 활엽수의 고목에 군생하는 일년생이며, 한국, 일본, 중국 등의 산악지대에 주로 자생하고 있다. 운지버섯의 다당류가 항암작용,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와 항종 효과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비닐알콜(PVA),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EC), 히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알콜, 아라비아검, 알기네이트,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린, 포도당, 과당, 녹말, 트레할로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락툴로스, 프럭토스, 투라노스, 멜리토스, 멜레지토스, 덱스트란, 소르비톨, 크실리톨, 팔라티니트,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메타아크릴산 및 폴리말레인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알긴산,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폴리라이신(polylysine), 카르복시메틸티틴,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및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평균분자량이 300-700 Da인 히알루론산 28-32 중량부 및 평균분자량이 500-700 MDa인 히알루론산 68-72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히알루론산을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습향상제를 적용하여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도포하여 복합기능성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점착성 시트에 상기 복합기능성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및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침습향상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상기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지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카페인 63-64 중량부, 상기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침습향상제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상기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도 4-1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에 대해 순서도로 나타내었으며, 이하, 도 4-10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카페인 63-64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카페인 63-64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평균분자량이 300-700 Da인 히알루론산 28-32 중량부 및 평균분자량이 500-700 MDa인 히알루론산 68-72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히알루론산을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침습향상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침습향상제를 적용하여 피부 침투력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7> 경피 침습 패치의 제조 1-7
카페인 63.63 중량부, 비타민 A 1.81 중량부, 비타민 E 1.81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81 중량부, 산화아연 1.81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36 중량부, 비타민 B2 0.36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36 중량부, 엽산 0.36 중량부, 비오틴 0.36 중량부, 타우린 3.63 중량부, 옥타코사놀 3.63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63 중량부, 아르기닌 3.63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63 중량부, 벤토나이트 3.63 중량부 및 토르말린 3.63 중량부를 혼합한 기능성 조성물, 폴리비닐알콜(PVA)와 평균분자량이 500 Da인 히알루론산 30 중량부 및 평균분자량이 500 MDa인 히알루론산 70 중량부를 혼합한 복합히알루론산을 1:1로 혼합한 생체 적합성 고분자 및 침습향상제를 하기 표 1에 표기된 양으로 적용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 조성물을 도포하고, 원심분리기를 통해 균일한 두께를 형성하고, 50℃의 온도에서 9시간 건조하여 복합기능성층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복합기능성층을 폴리우레탄 재질의 점착성 시트에 부착하여 경피 침습 패치를 제조하였다.
기능성 조성물 생체 적합성 고분자 침습향상제
종류 함량
실시예 1 20 79 - -
실시예 2 20 79 프로필렌글리콜 1
실시예 3 20 79 디프로필렌글리콜 1
실시예 4 20 79 트리에틸시트레이트 1
실시예 5 20 79 스테아로일-1-락틸레이트 1
실시예 6 20 79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 1
실시예 7 20 79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과 트리에틸시트레이트을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1
<실험예 1> 패치 피부 침투 효능 분석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침습 패치의 피부 침투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0-40대 성인 여성 35명을 대상으로 하여 무작위로 7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그룹 1에는 실시예 1의 경피 침습 패치, 그룹 2-7에는 실시예 2-7의 경피 침습 패치를 제공하고, 측정 부위(전박 내측 부위 2×3 cm2)에 경피 침습 패치를 부착하고 2시간 동안 흡수시킨 후 떼어내고, 라만 핑거프린트 스펙트라(Raman fingerprint spectra, 785 nm, 400-1800/cm)를 이용하여 표피의 최외각으로부터 0 ㎛, 10 ㎛ 및 20 ㎛의 깊이까지 5회 이상 반복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 깊이
(㎛)
패치 부착 전
(A.U.)
떼어낸 직후
(A.U.)
떼어내고 1시간 경과
(A.U.)
실시예 1 0 511.8 9501.3 7949.3
10 862.1 3661.6 3863.5
20 1637.6 1851.2 1779.1
실시예 2 0 691.3 9637.4 8014.6
10 940.3 3804.5 3896.4
20 1603.4 1842.3 1780.5
실시예 3 0 584.3 9830.2 8102.3
10 868.4 3892.6 3883.6
20 1678.3 1896.7 1805.7
실시예 4 0 539.6 10482.3 8459.5
10 860.2 4050.4 3930.2
20 1650.7 1943.7 1849.4
실시예 5 0 604.2 9548.4 8015.7
10 910.2 3789.7 3785.5
20 1580.4 1820.4 1760.8
실시예 6 0 548.7 10958.2 9048.6
10 862.8 4112.3 4006.2
20 1599.8 1968.8 1896.8
실시예 7 0 587.8 11503.3 10582.6
10 877.5 4783.2 4386.7
20 1634.3 2106.8 2004.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피 침습 패치는 우수한 피부 침투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피부 깊이(Skin depth)가 깊어질수록 해당 깊이에 따라 얼만큼 많은 양의 성분이 검출되는 지 라만 강도(A.U.)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4 및 실시예 6에서 제조한 경피 침습 패치의 피부 침투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실시예 7의 경우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와 트리에틸시트레이트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침습향상제로 적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피부 침투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1>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1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5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50 중량부 및 정제수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에탄올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50℃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2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50℃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10일 동안 숙성하고, 5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50 중량부 및 정제수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에탄올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50℃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3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90℃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10일 동안 숙성하고, 5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50 중량부 및 정제수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에탄올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50℃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4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90℃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10일 동안 숙성하고, 5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50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에탄올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50℃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복합발효추출물의 제조-5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90℃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10일 동안 숙성하고, 5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50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70℃의 온도로 가열하고, 25℃의 온도로 냉각한 후, 프로테아제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효소반응하였다. 효소반응 후, 에탄올 50 중량부를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50℃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복합발효추출물의 유효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1-5에서 제조한 복합발효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기(Amino acid analyzer biochrom 30, Biochrom, UK)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mg/g)
총 아미노산 함량
(mg/kg)
필수아미노산 함량
(mg/kg)
제조예 1 84.12 4632.61 1483.23
제조예 2 86.52 4671.23 1479.95
제조예 3 142.35 6843.21 2085.39
제조예 4 182.41 7803.23 3048.86
제조예 5 198.04 9502.37 3386.30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발효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조예 6>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1
카페인 63.63 중량부, 비타민 A 1.81 중량부, 비타민 E 1.81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81 중량부, 산화아연 1.81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36 중량부, 비타민 B2 0.36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36 중량부, 엽산 0.36 중량부, 비오틴 0.36 중량부, 타우린 3.63 중량부, 옥타코사놀 3.63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63 중량부, 아르기닌 3.63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63 중량부, 벤토나이트 3.63 중량부 및 토르말린 3.63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7> 기능성 조성물의 제조-2
카페인 63.63 중량부, 상기 제조예 5에서 제조한 복합발효추출물 5 중량부, 비타민 A 1.81 중량부, 비타민 E 1.81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81 중량부, 산화아연 1.81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36 중량부, 비타민 B2 0.36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36 중량부, 엽산 0.36 중량부, 비오틴 0.36 중량부, 타우린 3.63 중량부, 옥타코사놀 3.63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63 중량부, 아르기닌 3.63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63 중량부, 벤토나이트 3.63 중량부 및 토르말린 3.63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운동수행능력 향상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6-7에서 제조한 기능성 조성물의 운동수행능력 향상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7주령의 ICR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일간 예비사육한 후 10마리씩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1그룹은 인산완충식염수를 투여하여 음성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2그룹 및 3그룹은 실험군 1 및 실험군 2로 각각 제조예 6 및 제조예 7에서 제조한 기능성 조성물(300 mg/kg의 농도)을 4주 동안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조성물에 의한 마우스의 지구성 운동수행능력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운동수행군의 동물들은 트레드밀 운동(Panlab & Harvard, Spain)을 실시하였다. 운동수행 프로토콜은 경사도 5°에서 25 ㎝/초 속도로 20분, 30 ㎝/초 속도로 20분, 33 ㎝/초의 속도로 20분, 36 ㎝/초 속도로 15분, 그리고 경사도 10°에서 38 ㎝/초 속도로 15분, 41 ㎝/초 속도로 지칠 때까지 달리도록 구성되었다. 실험 전날, 트레드밀 달리기에 적응시키기 위해 경사도 5°에서 27 ㎝/초 속도로 10분간 운동을 수행시켰다. 실험 당일, 트레드밀 달리기를 하기 2시간 전 실험동물들을 금식시킨 후 최대 운동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최대 운동수행능력의 결정시점은 운동수행 시작 후 실험동물이 트레드밀 속도를 20초 이상 따라잡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전기 충격의 누적수가 5분 안에 100회를 넘는 시점으로 정의하였으며,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운동수행 지속거리 (m) 운동수행 지속시간 (분)
음성대조군 1300 70
실험군 1(제조예 6) 1550 95
실험군 3(제조예 7) 2300 120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인 인산완충식염수 투여군에 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조성물을 투여한 실험군의 운동수행 지속시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능성 조성물의 섭취로 인해 체력증진에 크게 기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운동수행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4)

  1.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피 침습 패치는 운동수행능력 향상 기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 19-21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8-80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 20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9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4-63.7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4-6 중량부, 비타민 A 1.7-1.9 중량부, 비타민 E 1.7-1.9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7-1.9 중량부, 산화아연 1.7-1.9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3-0.4 중량부, 비타민 B2 0.3-0.4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3-0.4 중량부, 엽산 0.3-0.4 중량부, 비오틴 0.3-0.4 중량부, 타우린 3.5-3.8 중량부, 옥타코사놀 3.5-3.8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5-3.8 중량부, 아르기닌 3.5-3.8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5-3.8 중량부, 벤토나이트 3.5-3.8 중량부 및 토르말린 3.5-3.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4-63.7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4.5-5.5 중량부, 비타민 A 1.7-1.9 중량부, 비타민 E 1.7-1.9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7-1.9 중량부, 산화아연 1.7-1.9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3-0.4 중량부, 비타민 B2 0.3-0.4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3-0.4 중량부, 엽산 0.3-0.4 중량부, 비오틴 0.3-0.4 중량부, 타우린 3.5-3.8 중량부, 옥타코사놀 3.5-3.8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5-3.8 중량부, 아르기닌 3.5-3.8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5-3.8 중량부, 벤토나이트 3.5-3.8 중량부 및 토르말린 3.5-3.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4-63.7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4.8-5.2 중량부, 비타민 A 1.7-1.9 중량부, 비타민 E 1.7-1.9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7-1.9 중량부, 산화아연 1.7-1.9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3-0.4 중량부, 비타민 B2 0.3-0.4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3-0.4 중량부, 엽산 0.3-0.4 중량부, 비오틴 0.3-0.4 중량부, 타우린 3.5-3.8 중량부, 옥타코사놀 3.5-3.8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5-3.8 중량부, 아르기닌 3.5-3.8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5-3.8 중량부, 벤토나이트 3.5-3.8 중량부 및 토르말린 3.5-3.8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3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5 중량부, 비타민 A 1.81 중량부, 비타민 E 1.81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81 중량부, 산화아연 1.81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36 중량부, 비타민 B2 0.36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36 중량부, 엽산 0.36 중량부, 비오틴 0.36 중량부, 타우린 3.63 중량부, 옥타코사놀 3.63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63 중량부, 아르기닌 3.63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63 중량부, 벤토나이트 3.63 중량부 및 토르말린 3.6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
  9. 경피 침습 패치에 적용하기 위한 복합 조성물로,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 19-21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8-80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조성물은 기능성 조성물 20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9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3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5 중량부, 비타민 A 1.81 중량부, 비타민 E 1.81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81 중량부, 산화아연 1.81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36 중량부, 비타민 B2 0.36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36 중량부, 엽산 0.36 중량부, 비오틴 0.36 중량부, 타우린 3.63 중량부, 옥타코사놀 3.63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63 중량부, 아르기닌 3.63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63 중량부, 벤토나이트 3.63 중량부 및 토르말린 3.6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성물.
  13.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지버섯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카페인 63-64 중량부, 상기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혼합하여 기능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기능성 조성물 18-22 중량부, 생체 적합성 고분자 77-81 중량부 및 침습향상제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을 포함하는 복합기능성층; 및
    상기 복합기능성층이 부착된 점착성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조성물은,
    카페인 63-64 중량부, 복합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비타민 A 1-2 중량부, 비타민 E 1-2 중량부, 니코틴산아미드 1-2 중량부, 산화아연 1-2 중량부, 비타민 B1 염산염 0.1-0.5 중량부, 비타민 B2 0.1-0.5 중량부, 비타민 B6 염산염 0.1-0.5 중량부, 엽산 0.1-0.5 중량부, 비오틴 0.1-0.5 중량부, 타우린 3-4 중량부, 옥타코사놀 3-4 중량부, 분지사슬형 아미노산(Bracnched chain amino acid; BCAA) 3-4 중량부, 아르기닌 3-4 중량부, 코엔자임 Q10(CoQ-10) 3-4 중량부, 벤토나이트 3-4 중량부 및 토르말린 3-4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발효추출물은,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세척하고, 88-92℃의 온도 및 90% 습도에서 8-12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숙성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알리움 후커리, 적산파채 및 갈근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복합물 48-52 중량부 및 운지버섯 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 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68-7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냉각하는 단계; 냉각 후, 프로테아제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에탄올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초음파조사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얻은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운지버섯 추출액은,
    운지버섯을 세척하고, 0.095-0.105 MPa의 압력 및 190-210℃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운지버섯 18-22 중량부 및 정제수 78-82 중량부를 혼합하고, 108-112℃의 온도로 가열하여 10-14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생체 적합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알콜 및 히알루론산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침습향상제는 스테아로일-2-락틸레이트(stearoyl-2-lactylate) 및 트리에틸시트레이트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 침습 패치.
KR1020240090185A 2024-07-09 2024-07-09 침투력이 향상된 경피 침습 패치 Active KR102749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40090154 2024-07-09
KR1020240090154 2024-07-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49747B1 true KR102749747B1 (ko) 2025-01-07

Family

ID=9423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90185A Active KR102749747B1 (ko) 2024-07-09 2024-07-09 침투력이 향상된 경피 침습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97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038A1 (en) * 2020-07-17 2022-01-20 Dt Ip Holdings I, Llc Formulation bases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formulations of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6038A1 (en) * 2020-07-17 2022-01-20 Dt Ip Holdings I, Llc Formulation bases comprising hyaluronic acid and formulations of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19605B (zh) 一种蜂蜜药酒及蜂蜜保健药酒的制备方法
CN103416625A (zh) 一种大麦型仔猪饲料及其制备方法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20100022137A (ko)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CN107648454A (zh) 一种补肾膏滋及其制备方法
CN103484308A (zh) 一种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5533574A (zh) 一种排毒纤体青梅果及其制作工艺
CN109198538A (zh) 一种山楂六物膏的配方及制备方法
CN105533688A (zh) 一种辅助降血糖保健软胶囊及其制备方法
JP2016077283A (ja) 農産物と穀物菌糸体とが混合され、発酵された抗癌、抗糖尿、免疫増進用の発酵禅食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Fermentedfoodcompositioncomprisingagriculturalproductsandmyceliummixtureforpreventingortratingcancer、diabeticsandimprovingimmunefunction、andpreparationmethodthereof}
CN1900255A (zh) 男性健美长寿液
CN101878874A (zh) 长生景天面条及其制作方法
CN102940219A (zh) 一种土豆饼及其制作方法
KR102749747B1 (ko) 침투력이 향상된 경피 침습 패치
KR102749751B1 (ko)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경피침습 에너지 패치
KR102322276B1 (ko) 비만 예방 및 부종 개선용 음료 조성물
CN107412345A (zh) 一种百香果籽油含片及其制备方法
CN105031408B (zh) 一种改善痛风的组合物
CN101427833B (zh) 糜米低醇饮料的制作方法
KR101425477B1 (ko) 삼채 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삼채 환
KR101365410B1 (ko) 온열찜질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조성물
KR20190118720A (ko) 사철쑥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및 친환경성 돼지사료용 보조제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돼지사육방법 및 그 돈육
CN104430720A (zh) 黄秋葵、菌、藻植物组合物制作功能性饼干的方法
KR101289871B1 (ko) 꾸지뽕과 유기산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청국장 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7594526A (zh) 一种海藻胶为囊材的助消化软胶囊制剂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7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