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9529B1 -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 Google Patents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9529B1
KR102749529B1 KR1020230001908A KR20230001908A KR102749529B1 KR 102749529 B1 KR102749529 B1 KR 102749529B1 KR 1020230001908 A KR1020230001908 A KR 1020230001908A KR 20230001908 A KR20230001908 A KR 20230001908A KR 102749529 B1 KR102749529 B1 KR 10274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omposition
feed
fermented
aquacul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1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8323A (ko
Inventor
정용환
윤원종
이종철
이도승
양경식
이윤지
이종두
이승학
김태헌
이동헌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주식회사 새진 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주식회사 새진 비앤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23000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95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58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8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952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8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aquatic animals, e.g. fish, crustaceans or mollu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nc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양식 어류의 병원성 세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인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비브리오 파라하베이(Vibrio paraharveyi)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대해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for aquacultured marine fishes using citrus pulp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mtarum}
본 발명의 목적은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감귤은 우리나라 과수 중 생산량 1위, 생산액 부분 2위, 전 농축산물 중 10위의 작물로서 제주도 농업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제주의 생명산업이다. 감귤의 과육이나 과피에는 다량의 비타민 C와 flavonoid, limonoid 및 carotenoid(황과 윤, 1995; 김 등, 1996)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의 생리활성물질로서 항알러지성, 항염성, 항바이러스성, 항산화성 및 항암성 등의 기능성이 알려지고 있다(Calomme 등, 1996; 은 등, 1996; 김과 정, 1990; Oshiba와 Kato, 1981).
감귤의 소비 형태는 생산량의 80%가 생과용로 이용되고, 가공용은 20% 정도로 이용이 미비하다. 감귤 가공은 주로 감귤주스 생산을 위한 농축액 제조이고, 이 과정에서 가공 부산물인 감귤박이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발생되는 감귤박은 습기준으로 생과의 50~60%정도로 많은 양이다. 이러한 감귤박에는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리모닌, 리모넨, 향기 성분, 식이섬유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자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다. 온주 밀감의 경우, 그 색소는 베타-크립토잔틴, 베타-카로텐 및 지아잔틴 등의 카로테노이드(carotenoid)에 의한 것인데, 특히 베타-크립토잔틴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온주밀감 중의 베타-크립토잔틴 함량은 과육에는 0.78㎎/100g인 반면, 과피에는 5.26㎎ /100g으로 과육보다 과피에 6.7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
감귤박의 처리에 있어 이미 오래 전부터 건조될 경우 그 자체로도 진피, 귤피, 지실 등의 이름으로 한약재로 쓰일 뿐 만 아니라, 별도의 전치리 없이도 사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귤박은 제주에서만 연간 약 5-6만톤 가량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폐기물로 처리됨으로서 그 처리 비용만도 연간 10억원 가량 소요되고 있다. 감귤가공부산물의 대부분은 해양 투기되고 있어 이는 해양의 부영양화 등 환경오염을 초래할 우려가 있고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2012년부터 전면 금지됨에 따라 감귤가공부산물의 처리가 시급하다.
한편, 수산 양식업은 전 세계 약 1,500억 달러의 가치를 지닌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유망 산업이다. 한국의 경우, 2018년 넙치 양식 생산량은 37,238톤으로 전체 양식생산량의 46%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산금액도 4,954 억원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전체 생산량 중 59.5%인 22,169톤이 제주도에서 생산되었다(어류양식동향조사, 2018).
하지만, 제주도를 비롯한 양식산업은 천연 어류와 달리 고밀도로 사육되기 때문에 과대 밀식에 의한 질병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세균성, 기생충성 및 복합 바이러스성 질병에 취약하며 치료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국내외에서 새로운 수산용 약품이 개발되어 양식어류에 적용되고 있으나 대부분 항생제에 의존하고 있고, 과다한 항생물질 사용으로 인해 양식장의 배출수 주변해역의 오염 및 내성균주를 출현시켜 인근 양어장으로 약제 내성균의 확산을 초래하여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항생제 사용 억제의 세계적 추세로, 천연원료를 이용한 천연 면역증강 물질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지고 있으나 (Kim et al 2008; Cha et al., 2013; Song et al., 2013) 면역력의 증강과 사료단가의 절감을 위해서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료 원료가 개발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항산화, 항암,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감귤박의 실용화 및 보편화를 위해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구체적으로 양식 어류의 병원성 세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인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비브리오 파라하베이(Vibrio paraharveyi)에 대한 항균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감귤 착즙 후의 부산물인 감귤 박을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으로 발효시켜 얻은 발효물이 어류에 안전하고 증체량, 성장률, 사료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어류 병원성 세균인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및 비브리오 파라하베이(Vibrio paraharveyi)에 대해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KCTC 12267)와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KCTC 3657)를 이용한 인위적 감염 실험에 있어서도 어류 생존율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인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비브리오 파라하베이(Vibrio paraharveyi)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어류 병원성 세균인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비브리오 파라하베이(Vibrio paraharveyi)의 양식 어류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양식 어류"는 양식 가능한 어류로서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비브리오 파라하베이(Vibrio paraharveyi)에 감염될 수 있는 어류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넙치류, 농어류, 능성어, 감성돔, 참돔, 돌돔, 조피볼락, 송어류(무지개송어), 전어, 참조기 등을 말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감귤 박"은 감귤 특히 온주 밀감을 착즙한 후 발생하는 부산물을 말한다. 이러한 감귤 박은 감귤에 함유된 섬유질과 수분의 혼합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히 감귤 박은 과피가 포함된 원과 자체를 착즙한 후에 얻어진 잔여물이거나 과피가 제거된 과육을 착즙한 후에 얻어진 잔여물일 수 있다. 이러한 감귤 박은 그대로 또는 건조 후에 멸균되어 발효에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발효물"은 그 발효 대상인 감귤 박에 탄소원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얻어진 배양물을 의미한다. 이 배양물은 배양 원액 그대로 이용되거나,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시켜 농축된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이용되거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물은 추출 용매가 일부 또는 전부 제거된 액상 또는 분말상일 수 있다. 상기 이용될 수 있는 탄소원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고, 따라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통상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당밀, 덱스트로스, 이들의 혼합물 등이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탄소원은 의도한 발효 시간, 발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통상 발효 대상인 감귤 박 100 중량부 기준 0.5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w/w)의 범위로 첨가될 것이다. 또 상기에서 접종 후의 배양은 20℃~45℃의 온도 조건 특히 25℃~35℃의 온도 조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을 경우 발효 속도가 느려질 수 있고 또한 원하지 않는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으며, 배양 온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을 경우도 발효 미생물의 사멸에 따라 마찬가지로 발효 속도가 느려지거나 원하지 발효 산물이 생겨날 수 있다. 또 배양 시간의 경우는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최대에 이를 때까지 지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종된 미생물이 생장이 최대에 이르는 시점은 배양 온도, 발효 원료의 양, 접종되는 미생물의 양 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과 양식 어류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감귤 박 발효물을 어류 병원성 세균인 에드워드시엘라 타다 등에 대한 항균 활성,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구체적인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내지 10.0 중량%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양식 어류용 사료 조성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감귤 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이외에 양식 어류의 성장에 필요한 사료의 통상적인 성분들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한 성분들로서는 양식 어류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 예컨대 전분 함유 물질, 단백질 함유 물질, 지방 함유 물질, 비타민 함유 물질, 무기질 함유 물질 등을 말한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옥수수, 콩, 밀, 수수, 보리, 귀리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로서는 옥수수 분쇄물이나 분말, 귀리 분쇄물이나 분말, 콩 분쇄물이나 분말, 밀 분쇄물이나 분말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적합한 전분 함유 물질은 귀리 분말이나 분쇄물, 옥수수 분말이나 분쇄물, 밀 분말이나 분쇄물, 콩 분말이나 분쇄물 등이다.
상기 전분 함유 물질은 양식 어류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함량은 특정 범위로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전분 함유 물질은 약 30 내지 약 80 중량 %, 바람직하게 는 약 40 내지 약 70 중량 %,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단백질 함유 물질은 통상 어분, 콩 분말 등과 같은 단백질 함유 물질이 사용되고 있는데, 다른 것들로서는 콩 단백질 농축물, 혈분, 혈장 단백질, 탈지유 건체물, 유(乳) 단백질 농축물, 옥수수 글루텐(Gluten) 분말, 밀 글루텐 분말, 이스트, 해바라기씨 분말, 지렁이 분쇄물, 개구리 분쇄물, 새우 분쇄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어분, 혈분, 혈장 단백질, 콩 분말 등이다. 단백질 함유 물질도 양식 어류의 성장을 도움이 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함량은 중요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유 물질은 약 10 내지 약 5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40 중량 %, 더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는 지방 함유 물질도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지방 함유 물질로서는 라드(Lard), 우지, 콩기름, 레시틴, 코코넛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지방 함유 물질은 콩기름, 코코넛유, 라드 등이다. 지방 함유 물질도 양식 어류의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그것의 함량은 중요하지 않다. 지방 함유 물질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20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약 1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2 중량 %의 범위로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은 또한 수용성·지용성 비타민과 무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비타민으로서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리보플라빈,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나이아신, 비타민 B12, 엽산, 비오틴, 비타민 C 등을 들 수 있다. 적합한 무기물로서는 구리, 아연, 요오드, 셀렌, 망간, 철, 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타민이나 무기질이 본 발명의 기능성 사료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에 그 본 발명의 사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001 내지 약 5 중량 %로 포함될 것이다.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양식 어류용 약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품 조성물은 양식 어류용 사료에 직접 혼합되어 사료와 함께 투여되거나, 경구 제형, 주사 제형, 경피 제형 등 별도 제품으로 제조되어 사료와 별도로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양식 어류의 체중, 건강 상태, 식이량, 투여방법, 질병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통상은 일일 유효성분 기준 약 0.01~200㎎/kg 범위의 투여량으로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품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 이외에 제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투여 경로는 국소 경로, 경구 경로, 정맥 내 경로, 근육 내 경로, 및 점막 조직을 통한 직접 흡수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경로일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경로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품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에탄올, 그리세롤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적절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착색제, 희석제 등을 포함시킬 수 있다. 적절한 결합제로서는 전분,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페리스트, 젤라틴, 메틸셀룰로스,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글루코스, 옥수수 감미제, 소듐 알지네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 등을 들 수 있고, 윤활제로서는 올레산나트륨, 스테아르산나트륨,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벤조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실리카, 탈쿰, 스테아르산, 그것의 마그네슘염과 칼슘염, 폴리데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으며, 붕해제로서는 전분, 메틸 셀룰로스, 아가(agar), 벤토나이트, 잔탄 검, 전분, 알긴산 또는 그것의 소듐 염 등을 들 수 있다. 또 희석제로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소비톨, 셀룰로스, 글라이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품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경피 투여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할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수성 등장 용액 또는 현탁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로 제제화할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인 에드워드시엘라 타다(Edwardsiella tarda),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비브리오 파라하베이(Vibrio paraharveyi)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사료 조성물 또는 양식 어류용 의약품 형태로 제조되어, 에드워드시엘라 타다,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 또는 비브리오 파라하베이에 의한 양식 어류의 감염증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양식 어류의 인위적 감염 실험에서 생존율 조사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감귤박의 발효물 제조
감귤(온주 밀감) 원과(과피 포함) 착즙 박을 제주도개발공사로부터 제공받아 저온건조 및 동결건조 후 습식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발효에 이용하였다.
분쇄된 감귤박 100g에 증류수 1 L를 첨가한 후 당분(정백당 3%, w/w)을 첨가하였다. 그 후 3 N NaOH를 이용하여 pH를 6.5∼6.8로 조절한 후 121℃에서 15분간 멸균하였다. 발효에 사용된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mtarum) 균주이며, 해당 균주를 Lactobacilli MRS agar (BD Difco Co.)에 30℃에서 3일간 호기적 조건으로 교반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를 상기 멸균된 감귤박에 균 농도가 1.0 x 103 CFU/ml가 되도록 접종하고 최적 생육온도인 30℃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감귤박 발효물을 준비하였다. 발효 과정이 완료된 후 발효 산물의 pH는 4.0 부근까지 도달하였다.
<실험예> 감귤박 발효물의 항균 활성 실험, 사료 첨가제 실험 및 어류의 인위적 감염 실험
<실험예 1> 감귤 박 발효물의 항균 활성 실험
어류 병원성 세균인, 에드워드시엘라 타다 KCTC 12267(Edwardsiella tarda KCTC 12267),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 KCTC 3657(Streptococcus iniae KCTC 3657), 비브리오 파라하베이 KCTC 2472(Vibrio paraharveyi KCTC 2472)를 BHI 아가 배지(Brain Heart Infusion agar medium, Difco/USA)에 도말한 후, 0.8cm 직경의 종이 디스크에 상기 제조한 감귤박 발효 원액을 50ul 떨어뜨려 디스크에 올린 다음 30℃ 배양기에 24~48시간 배양한 후, clean zone을 확인하였다. 2회 반복실험에 따른 결과를 평균값으로 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E. tarda S. iniae V. paraharvei
감귤박 발효액 9mm 12mm 28mm
상기 표 1을 참조하여 보면, 그람음성균인 E.tarda와 그람양성균인 S. iniae 및 그람음성균인 V. paraharveyi에 대해서 모두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V. paraharveyi에 대해서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사료 첨가제 실험
실험에 사용된 사료는 (주)대봉(제주 소재)에서 구입한 건조 배합사료(EP 사료)에 감귤박 발효 원액을 1%(v/w)가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어류는 제주도내 양식장에서 구입한 것으로, 제주도특별자치도 해양수산자원연구원로 운송하여, 2일 동안 배합사료를 공급하면서 실험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순치시킨 후 사료공급실험에 사용되었다. 실험에서의 넙치 치어(초기 평균무게: 87±1.6g)는 각각 총 10개의 1,000L 원형 플라스틱 수조에 각 수조 당 70마리씩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사양 실험을 위한 실험사료 공급은 매일(08:30와 18:00) 2회 반복급이를 실시하였으며, 사료섭취율, 성장률, 단백질 이용 효율, 일간 성장률, 사료전환효율 등의 성장관련 항목을 등을 조사하기 위해 매 2주마다 넙치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반복 실시하였다.
실험 사료의 배치는 완전확률계획법(Completely randomized design)을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는 SPSS(Version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로 통계 분석되었다. 데이터 값의 유의차는 Tukey's HSD로 비교하였다. 데이터는 평균값±표준편차(mean±SD)로 나타내었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에서 IBW(Initial body weight(g))는 최초 중량, FBW(Final body weight(g))는 최종 중량, WG(Weight gain(%))는 (최종 중량-최초 중량)/최초 중량×100, SGR(Specific growth rate(%))은 비성장률({(Ln(final weight)-Ln(initial weight)×duration(129day)}×100), FE(Feed efficiency(%))는 사료 효율(fish weight gain×100)/total feed intake), Survival는 생존율(%)(100×(final no. of fish / initial no. of fish)이다.
모든 평가 항목 즉 증체량, 성장률, 사료 효율 및 생존율에 대해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감귤박 발효 원액을 사료에 일정량 첨가하여 양식 어류에 급여하더라도 안전하고 또한 어류의 성장, 체중 증가, 사료 효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3> 양식 어류의 인위적 감염 실험
상기 실험예 2의 실험 종류 후의 양식 어류를 대상으로 공격실험을 실시하였다. 사료 내 감귤박 발효 원액의 첨가가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양식장에서 발병 빈도가 높은 그람양성 세균인 S. iniae와 그람음성균인 E. tarda를 이용하여 공격실험을 실시하였다. 균액은 1 x 107 CFU/ml의 농도가 되도록 멸균 생리식염수에 현탁한 후, 공격 실험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공격 실험은 각 수조당 무작위로 30마리씩 배정하여 실시하였으며, 1 ml 주사기를 이용하여 각 개체당 100 ul씩 복강 주사한 후, 20일 동안 누적 폐사율을 조사하였다. 감귤박 발효 원액의 투여는 상기 실험예 2와 같이 이루어졌다. 즉 인위적 감염 주사를 실시한 뒤 건조 배합사료(EP 사료)에 감귤박 발효 원액을 1%(v/w)가 되도록 첨가하여 매일(08:30와 18:00) 2회 반복급이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S.iniae를 인위감염 시켰을 때, 대조구에서는 9일째부터 사망개체가 발견되었고 감염 24일째까지 80%의 생존율을 보였다. 그에 반면 실험구에서는 14일째부터 사망개체가 발견되고 감염 24일째까지 90%의 생존율을 보였다. E. tarda를 인위감염 시켰을 때, 대조구에서는 9일째부터 사망개체가 발견되었고 감염 24일째까지 81.6%의 생존율을 보였고, 실험구에서는 14일째부터 사망개체가 발견되었고 감염 24일째까지 91.6%의 생존율을 보였다. 따라서 감귤박 발효액을 사용함으로서 국내 양식장에서의 과밀식에 의한 빈번한 질병 발생과 항생제 내성균의 생성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laims (6)

  1.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mtar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인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비브리오 파라하베이(Vibrio paraharveyi)에 대한 항균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식 어류 약품 조성물인 조성물.
  4.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mtarum)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인 스트렙토코쿠스 이니애(Streptococcus iniae) 또는 비브리오 파라하베이(Vibrio paraharveyi)의 양식 어류 감염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식 어류 사료 조성물인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양식 어류 약품 조성물인 조성물.

KR1020230001908A 2020-02-13 2023-01-05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Active KR102749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1908A KR102749529B1 (ko) 2020-02-13 2023-01-05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382A KR20210103076A (ko) 2020-02-13 2020-02-13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KR1020230001908A KR102749529B1 (ko) 2020-02-13 2023-01-05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382A Division KR20210103076A (ko) 2020-02-13 2020-02-13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323A KR20230058323A (ko) 2023-05-03
KR102749529B1 true KR102749529B1 (ko) 2025-01-10

Family

ID=774992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382A Ceased KR20210103076A (ko) 2020-02-13 2020-02-13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KR1020230001908A Active KR102749529B1 (ko) 2020-02-13 2023-01-05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382A Ceased KR20210103076A (ko) 2020-02-13 2020-02-13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03076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570B1 (ko) * 2014-07-07 2016-10-07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평위산 부산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사료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사료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Fish Dis, 36:617-628(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8323A (ko) 2023-05-03
KR20210103076A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ncarnação Functional feed additives in aquaculture feeds
Abdel-Latif et al. Evaluation of two phytobiotics, Spirulina platensis and Origanum vulgare extract on growth, serum antioxidant activities and resistanc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to pathogenic Vibrio alginolyticus
Musthafa et al. Protective efficacy of Mucuna pruriens (L.) seed meal enriched diet on growth performance, innate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in Oreochromis mossambicus against Aeromonas hydrophila
Lee et al.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itrus by‐products fermented with a probiotic microbe on growth performance, innate immunity and disease resistance against E dwardsiella tarda in juvenile olive flounder, P aralichthys olivaceus (T emminck & S chlegel)
Hoseinifar et al. Dietary apple peel-derived pectin improved growth performance, antioxidant enzymes and immune response in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innaeus, 1758)
WO2017147130A2 (en) Direct fed microbial for prevention of shrimp disease
KR20200007742A (ko) 항바이러스 효과 및 면역조절 효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cjlp475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EP372171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ermented porcine blood and antibacterial composition and poultry feed composition using same
KR101749065B1 (ko) 상온 발효가 가능한 엔테로코쿠스 파에시움 mss2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OKEY Alternative feed additives to antibiotics in improving health and performance in poultry and for the prevention of antimicrobials: A review
Thazeem et al. Developments in feeds in aquaculture sector: contemporary aspects
Denli et al. Replacement of antibiotics in poultry diets.
KR101836365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WiKim32를 첨가한 김치 양념소 및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2313769B1 (ko) 제주산 방울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US20250099529A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immunity of companion animals
CN106720956A (zh) 一种鲤鱼饲料
KR102313770B1 (ko) 제주산 양배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27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2749529B1 (ko) 감귤 박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발효물을 이용한 양식 어류용 항균 조성물
KR102407131B1 (ko) 증체율 또는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사료용 생균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humsrisuk et al. Evaluation of pineapple waste crude extract in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and resistance to Aeromonas hydrophila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Xuan et al. Modulation of growth, immunity, and immune‐antioxidant gene expression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culture under biofloc system by dragon fruit, Hylocereus undatus, peel powder
DE MESQUITA et al. Probiotics and Prebiotics in Fish Aquaculture
Salama et al. Effect of adding Pediococcus acidilactici at low plant protein diets on growth performanc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ingerlings
KR20160039097A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wikim2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60918B1 (ko) 미생물 기반의 사료용 생균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1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0021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0001738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30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