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8930B1 -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 Google Patents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8930B1
KR102748930B1 KR1020210178823A KR20210178823A KR102748930B1 KR 102748930 B1 KR102748930 B1 KR 102748930B1 KR 1020210178823 A KR1020210178823 A KR 1020210178823A KR 20210178823 A KR20210178823 A KR 20210178823A KR 102748930 B1 KR102748930 B1 KR 102748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sawdust
alcohol
weight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9983A (ko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행과소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행과소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행과소통
Priority to KR102021017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89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89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9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8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89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101/00Chemical composition of materials used in disinfecting, sterilising or deodorising
    • A61L2101/32Organic compounds
    • A61L2101/34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알코올과, 상기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de-ionized water) 1 내지 10중량부; 보습제 1 내지 5중량부; 소나무 톱밥을 식물성 오일에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 점도조절제 0.1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EPIDEMIC DISINFECTANT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본 발명은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신종 인플루엔자(신종플루) 및 코로나 바이러스(SARS, MERS, COVID-19 등)가 전 세계에 창궐하면서 그 병증과 확산 속도 및 여파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전망 등이 쏟아지고 세계 각국은 방역 대책을 세우기에 부심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 항원 변이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감염인구 집단 내에서의 반복적인 재감염이 가능하며, 코로나 바이러스는 여러 변이를 형성하여 인간에게 심각한 전염성 폐렴과 같은 신종 감염병을 유발하고 있기에, 여러 감염증 확산에 따라 어느 때 보다도 소독의 생활화 및 위생 관리가 필요한 시기이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확산 뿐만 아니라, 감염에 취약한 노령 인구의 증가, 만성 질환자의 증가, 항암제 및 면역 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면역부전환자의 증가, 항생제 사용 증가 및 각종 침습적 의료처치의 이용 확대로 인해 감염에 노출될 위험은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사회적으로 식품 위생, 환경 위생 및 세균 오염 예방이 강조되고 있다.
세척, 소독, 살균, 멸균 등은 미생물의 숫자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과정으로 감염 관리의 중요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소독제를 사용하며, 소독제는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시키거나 사멸시키는 작용을 가진 제제라 할 수 있다. 소독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 소독제의 특성, 사용방법 등을 고려하여 소독제를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소독제의 종류는 염소계 소독제, 알코올계 소독제, 4급 암모늄 화합물계 소독제, 페놀계 소독제 등이 있으며, 알코올계 소독제의 주요 성분은 알코올을 포함하는데, 소독제 내 알코올의 함량 제한으로 인해 살균력이 떨어져 신종 전염병의 확산 방지에 대해서는 취약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하다. 또한, 알코올 특성상 자극적인 화학 냄새를 배제할 수 없어 사용자의 기호도를 만족시키기 어려운 한계점이 있었다.
관련해서 알코올계 소독제에 일부 천연 유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제품도 출시되고 있으나 천연 유래 추출물에 의한 친환경적 이미지를 제고하기 위한 것일 뿐, 항균력의 증진이나 알코올 향을 저감시킬 목적을 구현하기는 어렵다.
'탈취성 및 살균성이 우수한 소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등록번호: 10-2199015)'에서는 에탄올과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혼합물 50 내지 75중량%와, 첨가제로 시트러스 테르펜 0.01 내지 10중량% 및 효소 0.01 내지 10중량%와, 잔부로 물로 구성되는 소독제 조성물에 있어서, 효소로써 효모, 누룩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프티알린, 펩신, 말타아제 및 아밀라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1중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함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미생물인 효모, 누룩균과 같은 효소 특성상 온도, 습도 등의 조건에 민감하여 특정 온도나 습도 범위를 벗어나는 순간 물성 변형을 일으켜 오히려 고약한 냄새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부여되는 보습 기능이 미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녹차 추출물 함유 알코올성 살균소독제(공개번호: 10-2017-0109889)'에서는 녹차의 40 내지 80%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의 농축액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0.05 내지 1.5중량%, 에탄올 40 내지 75중량%, 이소프로판올 2 내지 10중량% 및 정제수 2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여 피부 보습효과가 증감되고 알코올취가 경감된 소독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레몬, 오렌지, 파인애플 등 과일 향, 라벤더, 장미, 자스민 등 꽃 향의 화학적인 향료를 첨가하기 때문에 소독제 보관 온도 범위가 높아지면 오히려 알코올 냄새를 자극적으로 유도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2199015호, 2020.12.30.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알코올의 자극적인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습 기능을 높여 사용자의 기호도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코올과, 상기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de-ionized water) 1 내지 10중량부; 보습제 1 내지 5중량부; 소나무 톱밥을 식물성 오일에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1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톱밥 추출물은, 상기 식물성 오일 100㎖ 당 분말 형태의 상기 소나무 톱밥 10 내지 30g을 첨가한 후, 18 내지 25℃에서 15 내지 50시간 동안 상기 냉침 추출한 다음, 상기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이 분리된 오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n-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 오일은, 살구씨 오일, 호호바 오일, 티트리잎 오일, 달맞이꽃 오일 및 캐모마일꽃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의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에 따르면, 식물성 오일에 소나무 톱밥을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도포 시 유분 막 형성을 통해 피부 수분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코올이 순간적으로 휘발되면서 피부의 표피 수분도 함께 휘발됨에 따라 피부가 건조해지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기존 외용 소독제의 알코올 의존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코올에 의한 불쾌한 취기가 최소화되고 인체 안전성이 우수하여 상품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핸드크림과 같은 대용제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소독은 미생물을 사멸 또는 불활성화하여 감염력을 억제하는 조작을 의미하며, 위생 관리, 감염 및 전염병 방지의 목적을 가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소독제는 손 소독제로써, 소독이 빈번하게 요구되는 신체 부위 및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소독제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부위를 대표적으로 칭하는 것으로, 손에만 사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고, 신체의 다른 부위, 특히 신체의 피부 상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방역용 소독 조성물은 알코올과, 상기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de-ionized water) 1 내지 10중량부, 보습제 1 내지 5중량부 및 소나무 톱밥을 식물성 오일에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코올은 세포막의 변경 또는 세포단백질의 응고 촉진을 통해 살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소독제의 베이스 성분으로 포함되어 소독제에 살균력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알코올의 혼합량이 너무 적으면 소독제의 살균력이 저하되고, 반대로 혼합량이 많으면 피부를 자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알코올의 냄새로 거부감을 줄 수 있으므로, 적정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농도는 60 내지 90%일 수 있는 바, 농도가 60% 미만일 경우 소독제의 살균력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90%를 초과하면 피부에 건조함을 제공하고 알코올 특유의 냄새로 인해 사용자의 선호도가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알코올은 소독제의 살균력을 최대화하면서 톱밥 추출물에 의해 알코올 냄새 저감에 효율적이도록, 75%의 농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코올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n-프로판올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소독제가 피부에 사용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수(de-ionized water)는 물에 함유되어 있는 용해된 이온, 고체 입자, 미생물, 유기물 및 용해된 기체 등을 제거하여 제조된 것으로, 알코올의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정제수는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정제수가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미만이면 알코올을 희석하기에 적은 양이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알코올의 살균력을 저해할 수 있다.
보습제는 본 발명의 소독제에 보습 기능을 부여하여 피부에 보습 효과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보습제는 소독제 사용 후의 피부 보습 및 산뜻한 느낌이 들도록 하는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글리세린과 같은 보습제는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중량부 범위로 첨가될 수 있으며,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독제에 보습 효과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여 피부가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소독 효과 저하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톱밥 추출물은 소나무 톱밥을 식물성 오일에 냉침 추출하여 수득되는 구성이다.
톱밥 추출물은 식물성 오일에 소나무 톱밥이 냉침 추출된 오일 형태로, 피부에 소독제 도포 시 유분 막을 형성하여 피부 수분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알코올계 소독제 사용에 따른 피부 건조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톱밥 추출물로 인하여 알코올의 냄새 제거를 위해 별도의 화학적 향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계 소독제의 알코올 냄새 및 잔존하는 기타 냄새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범위가 광범위하게 확장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해진다.
소나무 톱밥은 나무 바이오매스(wood biomass)로써, 소나무(Pinus densiflora)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발행하는 부산물인 바, 자연의 소나무 향을 함유하고 있어 식물성 오일과의 시너지 효과를 발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톱밥 추출물은 폐기되고 있는 소나무 톱밥을 이용하여 자원 업사이클링(upcycling)을 할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여기서 바이오매스라 함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광합성에 의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로부터 생성되는 지속가능한 자원이므로, 라이프 사이클 속에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는 탄소중립 특성을 갖는다 할 수 있다.
냉침 추출 시, 식물성 오일 100㎖ 당 소나무 톱밥을 10 내지 30g을 첨가할 수 있으며, 소나무 톱밥이 식물성 오일 100㎖ 당 10g 미만으로 혼합되면 지속적으로 폐기되고 있는 소나무 톱밥을 빠른 시간 안에 소진하기에 부족한 양이고, 식물성 오일 100㎖ 당 30g을 초과하면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들이 뭉쳐져 버리는 단점이 있다.
냉침 추출은 식물성 오일에 소나무 톱밥을 투입한 후 가열하지 않고 18 내지 25℃에서 실시될 수 있다. 소나무 톱밥의 냉침 추출 시 18℃ 미만이면 낮은 온도에 의해 식물성 오일이 응고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추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25℃를 초과하면 냉침 추출되는 톱밥 추출물이 변질되어 알코올의 냄새를 저감시키는데 방해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냉침 추출 시 15 내지 50시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15시간 미만이면 냉침 추출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50시간을 초래하면 오히려 톱밥 추출물의 물성 변형을 야기시켜 방역용 소독제에 포함시키기 어려둬지는 단점이 있다. 냉침 추출 효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20시간 동안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단, 냉침 추출에 이용되는 식물성 오일은 살구씨 오일, 호호바 오일, 티트리잎 오일, 달맞이꽃 오일 및 캐모마일꽃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냉침 추출이 완료된 후 사용을 다 한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을 톱밥 추출물로부터 분리하여 오일 형태의 톱밥 추출물만을 수득하여 알코올에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식물성 오일에 소나무 톱밥이 냉침 추출된 톱밥 추출물은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 범위로 혼합될 수 있다. 톱밥 추출물이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본 발명의 알코올계 소독제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피부 건조 현상을 완화시키기 부족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소독제를 피부에 도포하게 되면 너무 두꺼운 유분 막 형성으로 피부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력 저하를 초래한다.
이처럼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이 식물성 오일에 냉침 추출된 톱밥 추출물은 천연 그대로의 소나무 향이 식물성 오일에 포함되어 알코올계 소독제의 알코올 냄새 또는 취기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점도조절제는 소독제의 제형을 구성함에 있어 안정적이고 자연스러운 제형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성이다.
점도조절제는 카보머, 구아검, 산탄검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점도조절제는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0.5중량부 범위로 첨가될 수 있으며, 0.1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알코올과 톱밥 추출물이 혼합됨에 있어 안정적인 제형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0.5중량부를 초과하면 제형 안정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60 내지 90% 농도의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 내지 10중량부와, 보습제 1 내지 5중량부와, 소나무 톱밥을 식물성 오일에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와, 점도조절제 0.1 내지 0.5중량부로 이루어진 방역용 소독 조성물을 혼합하여 방역용 알코올계 소독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종래 활용성이 떨어져 많은 양이 폐기되고 있던 소나무 톱밥을 업사이클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사용 시 유분 막 형성으로 피부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알코올 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소독제는 유효성분의 소독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상기 조성물 외에도 목적에 따라 색소, 방부제, 산화방지제, 소포제 및 담체 등의 첨가제가 더 추가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75% 농도의 에탄올 100g을 기준으로, 정제수 5g과, 글리세린 3g과,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10g을 20℃에서 20시간 동안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8g과, 점도조절제 0.5g을 혼합하여 소독제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75% 농도의 에탄올 100g을 기준으로, 정제수 5g과, 글리세린 3g과,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20g을 20℃에서 20시간 동안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8g과, 점도조절제 0.5g을 혼합하여 소독제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75% 농도의 에탄올 100g을 기준으로, 정제수 5g과, 글리세린 3g과,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30g을 20℃에서 20시간 동안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0g과, 점도조절제 0.5g을 혼합하여 소독제 샘플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는 달리, 호호바 오일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을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소독제 샘플을 제조하였다. 즉 75% 농도의 에탄올 100g을 기준으로, 정제수 5g과, 글리세린 3g과, 점도조절제 0.5g을 혼합하여 소독제 샘플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는 달리,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10g을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0.1g만을 첨가하여 소독제 샘플을 제조하였다. 즉 75% 농도의 에탄올 100g을 기준으로, 정제수 5g과, 글리세린 3g과,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10g을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0.1g과, 점도조절제 0.5g을 혼합하여 소독제 샘플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 내지 3에서와는 달리,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10g을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5g을 첨가하여 소독제 샘플을 제조하였다. 즉 75% 농도의 에탄올 100g을 기준으로, 정제수 5g과, 글리세린 3g과,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10g을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5g과, 점도조절제 0.5g을 혼합하여 소독제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실험예에서는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소독제 샘플을 이용하여 알코올 냄새 등 취기에 대한 관능을 비교하는 평가를 실험해 보았다.
관련하여, 20 내지 40대 성인남녀 5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소독제 샘플의 냄새를 평가하였으며, 10점 평점법(1점으로 갈수록 알코올 냄새 또는 불쾌한 냄새가 많이 나고, 10점으로 갈수록 알코올 냄새 또는 불쾌한 냄새가 나지 않음을 의미한다.)을 이용하여 그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취기
관능 평균값
8.9 9.2 8.8 4.8 6.5 8.2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톱밥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 및 톱밥 추출물 0.1g만을 첨가한 비교예 2에 비하여, 톱밥 추출물 8g을 사용한 실시예 1, 톱밥 추출물을 8g 사용한 실시예 2, 톱밥 추출물을 10g 사용한 실시예 3이 알코올 냄새와 같은 불쾌한 취기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에 있어서 대동소이한 결과값을 나타내긴 하였으나, 실시예 1 내지 3 중에서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20g을 20℃에서 20시간 동안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이 8g 첨가된 실시예 2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비교예 3의 경우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10g을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5g을 첨가하여 취기가 다소 감소하긴 하였으나, 오히려 오일의 향이 강해 선호도가 다소 감소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실험예에서는 실험예 1에서 관능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실시예 2의 소독제 샘플과, 실험예 1에서 선호도가 가장 낮고 톱밥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소독제 샘플과, 톱밥 추출물이 과량 첨가된 비교예 3의 소독제 샘플의 살균 활성을 비교하는 평가를 실험해 보았다.
관련하여, 시험 균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살모넬라(Salmonella enteritidis) 균주를 사용하고, 초기 균수 1.0 × 105 - 1.0 × 107CFU/ml 범위가 되도록 조절하였으며, 각 샘플은 증류수에 1/200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각 샘플과 균액을 100 : 1 중량비율로 접종하고, 접종 균액의 희석은 PBS를 사용하였다. 접종 균액은 10분 경과 후 각 샘플에서 1ml를 평판 배지에 주입하고, 이를 35℃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재생된 집락을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와 같다.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3
S. aureus 0 0 2.0 × 102
S. enteritidis 0 0 5.0 × 102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의 경우 처리 10분 경과 후 미생물이 모두 관찰되지 않은 반면, 비교예 3의 경우 처리 10분 경과 후 미생물이 잔존하고 있어 톱밥 추출물이 오히려 과다하게 포함될 경우 살균 효과가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에서와 같이 톱밥 추출물이 첨가되어도 미생물이 잔존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톱밥 추출물이 소독제 샘플의 살균 활성을 저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본 실험예에서는 실험예 1에서 관능 선호도가 가장 높았던 실시예 2의 소독제 샘플과, 실험예 1에서 선호도가 가장 낮고 톱밥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소독제 샘플과, 톱밥 추출물이 과량 첨가된 비교예 3의 소독제 샘플의 항바이러스를 비교하는 평가를 실험해 보았다.
관련하여,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를 MDCK(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에 감염하여 증폭시킨 후, 15%(w/v) 아가로스(agarose), 5%(v/v) FBS 및 1%(v/v) PS(penicillinstreptomycin)가 포함된 DMEM 배지를 넣고 40시간 동안 37.2℃ 배양기에서 배양하고 0.5%(v/v)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으로 염색하여 용균반을 측정하였다. 항바이러스 결과는 바이러스를 억제하지 못함을 (-)로, 부분적으로 억제함을 (+)로, 완벽히 억제함을 (++)로 구별하였으며, 소독 조성물이 첨가되지 않은 군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대조군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3
인플루엔자 A - ++ ++ +
표 3을 참조하면, 호호바 오일 100㎖에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 20g을 20℃에서 20시간 동안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8g이 첨가된 실시예 2의 소독제 샘플은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대하여 우수한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에서와 같이 톱밥 추출물의 첨가로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를 완벽히 억제함으로써 톱밥 추출물이 소독제 샘플의 항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저해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톱밥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실험예 1에서 취기에 대한 관능평가는 낮았던 반면,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실시예 2와 유사하게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알코올 자체의 살균력이 그대로 유지되었음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톱밥 추출물이 과량 첨가된 비교예 3의 경우, 실시예 2에서와 달리 톱밥 추출물이 과량 첨가됨으로 인해 항바이러스 활성이 오히려 감소하여 항바이러스 효과가 상대적으로 미흡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은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에 관한 것으로, 60 내지 90% 농도의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 내지 10중량부와, 보습제 1 내지 5중량부와, 소나무 톱밥을 식물성 오일에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와, 점도조절제 0.1 내지 0.5중량부로 이루어진 방역용 소독 조성물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식물성 오일에 소나무 톱밥을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 활용성이 떨어져 많은 양이 폐기되고 있던 소나무 톱밥을 업사이클링할 수 있으므로, 단순히 자원 재활용 차원을 넘어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할 수 있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독제를 피부에 도포 시 톱밥 추출물에 의해 유분 막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알코올이 순간적으로 휘발되면서 발생되는 피부 수분 증발을 방지할 수 있어 피부 건조 현상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톱밥 추출물에 의해 알코올 냄새를 저감시켜 기존 외용 소독제의 알코올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
이처럼 알코올에 의한 불쾌한 취기가 최소화되고 자연 소나무 향을 발현하는 톱밥의 사용으로 인체 안전성이 우수해 소독제의 상품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핸드크림과 같은 대용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알코올과, 상기 알코올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de-ionized water) 1 내지 10중량부;
    보습제 1 내지 5중량부;
    소나무 톱밥을 식물성 오일에 냉침 추출한 톱밥 추출물 1 내지 10중량부; 및
    점도조절제 0.1 내지 0.5중량부;를 혼합하여 형성되되,
    상기 톱밥 추출물은,
    상기 식물성 오일 100㎖ 당 분말 형태의 상기 소나무 톱밥 10 내지 30g을 첨가한 후, 18 내지 25℃에서 15 내지 50시간 동안 상기 냉침 추출한 다음, 상기 분말 형태의 소나무 톱밥이 분리된 오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및 n-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살구씨 오일, 호호바 오일, 티트리잎 오일, 달맞이꽃 오일 및 캐모마일꽃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염병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KR1020210178823A 2021-12-14 2021-12-14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Active KR102748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23A KR102748930B1 (ko) 2021-12-14 2021-12-14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823A KR102748930B1 (ko) 2021-12-14 2021-12-14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983A KR20230089983A (ko) 2023-06-21
KR102748930B1 true KR102748930B1 (ko) 2024-12-30

Family

ID=86989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823A Active KR102748930B1 (ko) 2021-12-14 2021-12-14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893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98B1 (ko) * 2011-06-08 2014-06-12 (주) 앤디 천연약초를 이용한 아로마 에센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3141A (ko) * 2004-01-09 2005-07-13 신승엽 살균용 알코올 핸드린스
CN104994878A (zh) * 2012-12-13 2015-10-21 纽约市哥伦比亚大学理事会 植物抗微生物组合物
KR102199015B1 (ko) 2020-04-20 2021-01-07 이종수 탈취성 및 살균성이 우수한 소독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798B1 (ko) * 2011-06-08 2014-06-12 (주) 앤디 천연약초를 이용한 아로마 에센스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9983A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879B1 (ko) 녹차 추출물 함유 알코올성 살균소독제
KR102124592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손소독제 조성물
KR20160079473A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1652700B1 (ko) 항균기능을 갖는 화장지
JP2008534675A (ja) 天然抽出物、ナノシルバー、および天然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を含有する抗菌剤組成物
CN111802409B (zh) 一种广谱抗病毒抗菌消毒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493097A (zh) 一种抑制病毒和致病菌的集合型消毒剂及其制备方法
CN111631996A (zh) 一种滋养皮肤免洗手消毒凝胶液及其制备方法
CN102251438A (zh) 一种抗菌消毒清香擦手纸及其制造方法
KR102748930B1 (ko)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용 소독제
KR102292707B1 (ko)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160079459A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CN103283722A (zh) 一种医院用复配消毒剂及其应用
CN111494260A (zh) 一种含植物精油的消毒液
CN103110541A (zh) 纯天然免洗消毒净手液
CN115211438B (zh) 含中药提取物和银离子的杀菌组合物及其应用
KR20110030992A (ko) 천연물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활성 및 알코올소취용 손소독제 조성물
KR102553206B1 (ko) 나노화된 벌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CN112167273A (zh) 一种消毒液
WO2012080186A1 (en) Composition and use of a fermented olive leaf product for the treatment of nail and skin infections.
CN113521042A (zh) 一种儿童专用无醇免洗病毒灭活消毒剂及其制备方法
KR20230126555A (ko) 손 소독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003999A (ko) 살균 소독용 조성물
JP7175467B2 (ja) ノロウイルスおよびその代替ウイルスに対する抗ウイルス剤および抗ウイルス組成物
KR20050034271A (ko) 천연 추출물, 나노실버 및 천연 에센셜오일을 함유한항균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