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8814B1 -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8814B1
KR102748814B1 KR1020220004555A KR20220004555A KR102748814B1 KR 102748814 B1 KR102748814 B1 KR 102748814B1 KR 1020220004555 A KR1020220004555 A KR 1020220004555A KR 20220004555 A KR20220004555 A KR 20220004555A KR 102748814 B1 KR102748814 B1 KR 102748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stitution
information
health management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889A (ko
Inventor
조용원
Original Assignee
조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원 filed Critical 조용원
Priority to KR102022000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8814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88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alternative medicine, e.g. homeopathy or non-orthodo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신체의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여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체질분석장치; 및 수신된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한 후, 유추된 상기 사용자의 체형에 기반하여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및 소음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상체질(四象體質)을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사상체질 및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대응되는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체질분석장치에 제공하는 서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상체질이 보다 객관적으로 판별될 수 있으며, 판별된 사상체질에 따른 건강관리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HEALTHCARE SOLUTION BASED ON PERSONAL SASANG CONSTITUTION}
본 발명은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성분 분석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고, 판별된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건강하고 안정된 상태를 웰니스(wellness)라고 하며, 웰니스는 적절한 운동과 음식섭취를 통해 실현가능하다. 이러한 웰니스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있는데, 그중 자신의 체질을 정확히 파악한 후, 자신의 체질에 맞는 적절한 운동과 음식섭취를 지속함으로써 웰니스를 실현하는 것이 있다.
사상체질의학(四象體質醫學)은 이제마가 사상구조론을 바탕으로 제창한 것으로, 개개인의 체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예방의학적인 측면의 섭생과 치료방법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사상체질의학에서 체질은 선천적인 유전인자와 후천적 환경요소에 의하여 형성된 개개인이 지니는 유형적 특징으로, 사람은 일평생 바뀌지 않는 오장육부의 대, 소, 강, 약을 갖고 태어나며 사람마다 차이가 있고, 이 차이는 사람의 신체구조와 외관에 영향을 주어 체질별로 독특한 외모를 갖게 하며, 사람마다 생리, 병리현상이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사상체질의학에서는 체형기상(體形氣像), 용모사기(容貌詞氣), 성질재간(性質材幹) 및 병증약리(病證藥理)의 네 가지 구분지표들을 통해,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및 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로 분류하며, 각 체질에 따라 치료방법과 약물의 선택은 물론 생활과 음식 섭취도 다르게 적용한다.
한편, 사상체질을 판별함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사상체질분류검사지(四象體質分類檢査紙, QSCC)를 통한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지에 의하는 경우 검사자의 주관에 의존하기 때문에 설문 응답의 신뢰성 내지 객관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34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체성분 분석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고, 판별된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신체의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여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체질분석장치; 및 수신된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한 후, 유추된 상기 사용자의 체형에 기반하여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및 소음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상체질(四象體質)을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사상체질 및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대응되는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체질분석장치에 제공하는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질분석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상체질,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 및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피검자가 파지할 때 접촉되는 손에 전류를 인가하는 한 쌍의 전류공급전극과,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피검자가 파지할 때 접촉되는 손에서 전압을 감지하는 한 쌍의 전압감지전극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전류공급전극 및 상기 전압감지전극을 제어하고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류공급전극에 신체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모듈과, 상기 전압감지전극에서 감지된 전압을 수신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모듈과, 상기 전압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전압을 수신하여 신체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임피던스산출모듈과, 상기 임피던스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박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전류공급전극과 한 쌍의 상기 전압감지전극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인 결합공간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에는, 상기 전류공급전극 또는 상기 전압감지전극을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모듈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모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힌지결합공간이 형성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연장부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전면 하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에 형성된 단턱에 결속됨으로써 상기 결합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속부와, 상기 힌지결합공간에 설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운동정보와 식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식품의 성분, 식품의 가격 및 식품의 섭취용이성을 각각 고려하여 산출되는 점수에 따라 복수의 상기 식품정보의 나열 순서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체성분정보는, 상기 사용자 신체의 부위별 근육량정보 및 부위별 체지방량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부위별 근육량정보 및 상기 부위별 체지방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한 후, 상기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부와, 역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의 높이와 상기 제2부의 어느 한 변의 길이의 비는 1:0.5이고, 상기 제1부의 상단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기 제1부의 밑변의 길이의 비는 1:3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상체질이 보다 객관적으로 판별될 수 있으며, 판별된 사상체질에 따른 건강관리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체질분석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체질분석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체질분석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체질분석장치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결합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결합모듈의 정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결합모듈에 의해 전류공급전극과 전압감지전극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사상체질 판별 및 건강관리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및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리며, 각각의 "부", "모듈" 또는 "단계"는 전자 통신 상태에 있는 프로세서와 메모리에 기반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체질분석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체질분석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체질분석장치의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체질분석장치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결합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결합모듈의 정면도와 배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결합모듈에 의해 전류공급전극과 전압감지전극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의 사상체질 판별 및 건강관리정보 제공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체질분석장치(110)와, 서버부(120)를 포함한다.
체질분석장치(110)는 사용자 신체의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여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서버부(12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사상체질의학(四象體質醫學)에서는 체형기상(體形氣像), 용모사기(容貌詞氣), 성질재간(性質材幹) 및 병증약리(病證藥理)의 네 가지 구분지표들을 통해, 사람의 체질을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및 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로 분류한다.
체형기상에서 체형이란 머리를 포함한 상체를 4등분하여 어느 부위가 발달했는가를 의미하고, 기상이란 체형에서 보이는 크고 작고의 크기 뿐만 아니라 체형에서 느껴지는 포괄적인 이미지를 의미한다(날렵함, 왜소함, 묵직함, 날카로움 등). 또한, 용모사기에서 용모는 얼굴모습을, 사기는 목소리를 의미하고, 성질재간에서 성질은 성격을, 재간은 재주를 의미하는데, 사상체질의학에서는 성질재간, 항심, 성격, 심욕으로 각각 분류하여 각각의 체질을 구분한다. 그리고 병증약리에서는 평소 건강할 때의 생리적 조건이 체질마다 틀리고, 질병에 걸렸을 때에도 체질마다 독특한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설명하며, 사상체질의학에서는 완실무병, 대병, 중병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체질을 구분한다.
예를 들면, 체형기상을 기준으로 태양인은 머리가 상대적으로 크고 몸통이 작은 역삼각형 체형(물고기 체형)으로, 살이 비후하지 않고, 목덜미가 굵고 실하며 머리가 크고, 엉덩이가 작고, 가슴 윗부분이 발달하였고, 허리가 가늘고 약하며 하체가 약한 체형적 특징이 있다. 또한, 태음인은 몸통이 커보이는 삼각형 모양의 체형으로 골격이 건실한 체형적 특징이 있다. 대체로 키가 크고 살이 찌고 체격이 좋으며, 허리부위의 형세가 성장한 체형적 특징이 있다. 또한, 소양인은 골격이 연약한 편으로, 가슴 부위가 잘 발달하여 어깨가 벌어진 느낌을 주며, 엉덩이 부위가 빈약하고, 하체가 가벼운 체형적 특징이 있다. 또한, 소음인은 전체적으로 체격이 작고 말랐으며 약한 체형으로, 가슴둘레가 빈약하고 어깨가 축 처진 느낌이 들며, 엉덩이가 상대적으로 풍만한 체형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한 후, 상술한 사상체질의학의 네 가지 구분지표 중, 체형기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한다.
삭제
체질분석장치(110)는 보다 상세하게, 케이스(111)와, 디스플레이(112)와, 전류공급전극(113)과, 전압감지전극(114)과, 제어모듈(115)을 포함한다.
케이스(111)는 체질분석장치(1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케이스(111)는 제1부(111a)와, 제2부(111b)를 포함한다.
제1부(111a)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후술하는 제2부(111b) 및 디스플레이(112)가 설치되고, 하면에는 후술하는 전류공급전극(113) 및 전압감지전극(114)이 설치되고,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어모듈(115)이 설치된다.
제2부(111b)는 역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것으로, 제1부(111a)의 상면에 탈장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부(111b)는 세 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때 제1부(111a)의 높이와 제2부(111b)의 어느 한 변의 길이의 비는 1:0.5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부(111a)의 상단 꼭지점으로부터 제2부(111b)까지의 최단 거리와 제1부(111a)의 밑변의 길이의 비는 1:3가 되도록 제2부(111b)가 제1부(111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2부(111b)의 양 단부를 통해 체질분석장치(110)를 용이하게 파지한 후, 검지와 중지를 체질분석장치(110)의 하면에 배치된 전류공급전극(113)과 전압감지전극(114)에 각각 접촉시키면, 사용자 신체의 부위별 체성분이 분석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2부(111b)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실리콘이 기설정된 두께로 코팅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2)는 사상체질, 부위별 체성분정보 및 건강관리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케이스(111)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때, 디스플레이(112)는 터치신호 또는 디스플레이(112)신호를 송수신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12)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112)는 감압식 또는 정전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112)는 후술하는 제어모듈(115)에서 산출된 부위별 체성분정보 및 시각화된 체형과, 후술하는 서버부(120)에서 송신된 건강관리정보를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류공급전극(113)은 사용자의 신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피검자가 파지할 때 접촉되는 손에 전류를 인가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케이스(111)의 하면에 배치된다.
전압감지전극(114)은 사용자의 신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피검자가 파지할 때 접촉되는 손에서 전압을 감지하는 것으로, 한 쌍으로 마련되어 케이스(111)의 하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전류공급전극(113)과 한 쌍의 전압감지전극(114)은 케이스(111)의 하면에 배치되되 사용자가 체질분석장치(110)를 양손으로 파지할 때 접촉되는 손가락의 위치에 설치되는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좌측손 및 우측손의 검지는 각각 한 쌍의 전류공급전극(113)에 접촉되고, 사용자의 좌측손 및 우측손의 중지는 각각 한 쌍의 전압감지전극(114)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체질분석장치(110)를 파지하게 되면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은 체질분석장치(110)의 하면에 접촉되며, 이때 한 쌍의 전류공급전극(113)에 접촉된 검지 또는 중지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로 전류가 공급되고, 이에 따른 전압을 전압감지전극(114)에 접촉된 중지 또는 검지로부터 감지하게 된다.
한편, 케이스(111)의 하면에는 박형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전류공급전극(113)과 한 쌍의 전압감지전극(114)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인 결합공간(S)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공간(S)은 후술하는 결합모듈(111c)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결합모듈(111c)의 결속부(111c3)의 결합을 위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1) 하면의 결합공간(S)에는 결합모듈(111c)이 설치될 수 있다.
결합모듈(111c)은 박형의 전류공급전극(113) 또는 전압감지전극(114)을 케이스(11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복수개로 마련되어 결합공간(S)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에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모듈(111c)은 보다 상세하게, 제1연장부(111c1)와, 제2연장부(111c2)와, 결속부(111c3)와, 샤프트(111c4)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111c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에 후술하는 샤프트(111c4)가 삽입되어 케이스(111)와 힌지결합될 수 있게 하는 공간인 힌지결합공간이 형성된다.
제2연장부(111c2)는 제1연장부(111c1)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제1연장부(111c1)의 하부에 형성된다.
결속부(111c3)는 결합공간(S)에 형성된 단턱에 결속되어 결합모듈(111c)을 케이스(11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1연장부(111c1)의 전면 하부에 절곡되어 연장형성된다.
샤프트(111c4)는 결합모듈(111c)이 케이스(11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1연장부(111c1)의 힌지결합공간에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1)의 제2부(111b)를 제1부(111a)로부터 탈착시키면, 제1부(111a)의 내부에 설치된 결합모듈(111c)이 노출된다. 이후, 결합모듈(111c)을 상방으로 회동시켜 결합공간(S)으로부터 이탈시킨 상태에서 박형의 전류공급전극(113) 또는 전압감지전극(114)을 결합공간(S)에 삽입시킨 후, 결합모듈(111c)을 하방으로 회동시켜 결속부(111c3)가 케이스(111)의 단턱에 결속되게 함으로써 전류공급전극(113) 또는 전압감지전극(114)이 케이스(1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합모듈(111c)에 따르면, 전류공급전극(113) 또는 전압감지전극(114)의 전기적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과 동시에 전류공급전극(113) 또는 전압감지전극(114)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모듈(115)은 디스플레이(112), 전류공급전극(113) 및 전압감지전극(114)을 제어하고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케이스(111)의 내부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112), 전류공급전극(113) 및 전압감지전극(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모듈(115)은 보다 상세하게, 전류공급모듈(115a)과, 전압측정모듈(115b)과, 임피던스산출모듈(115c)과, 연산모듈(115d)과, 저장모듈(115e)과, 통신모듈(115f)을 포함한다.
전류공급모듈(115a)은 전류공급전극(113)에 신체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전류공급전극(113) 및 연산모듈(115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압측정모듈(115b)은 전압감지전극(114)에서 감지된 전압을 수신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한 쌍의 전압감지전극(114) 및 연산모듈(115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임피던스산출모듈(115c)은 전압측정모듈(115b)에서 측정된 전압을 수신하여 신체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것으로, 전압측정모듈(115b) 및 연산모듈(115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산모듈(115d)은 체질분석장치(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임피던스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여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디스플레이(112), 전류공급모듈(115a), 전압측정보듈, 임피던스산출모듈(115c), 저장모듈(115e) 및 통신모듈(115e)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연산모듈(115d)이 생성하는 부위별 체성분정보는 사용자의 머리, 몸통, 좌측팔, 우측팔, 좌측다리, 우측다리로 각각 구분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보다 세부적으로 우측위팔, 우측아래팔, 좌측위팔, 좌측아래팔, 우측허벅지, 우측장딴지, 좌측허벅지, 좌측장딴지, 어깨, 가슴, 등, 배, 허리, 엉덩이 등으로 보다 세분화되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112)는 이러한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는데, 이때, 디스플레이(112)는 시각화된 사용자의 체형을 사용자가 직접 보정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면, 사용자의 장딴지 굵기가 실제보다 굵게 시각화된 경우, 이를 얇게 보정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12)에는 조절바가 마련될 수 있다).
저장모듈(115e)은 디스플레이(112)에서 입력되는 개인정보, 즉, 신장, 체중, 성별, 연령 등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연산모듈(115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통신모듈(115e)은 네트워크를 통해 개인정보와, 생성된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후술하는 서버부(120)로 송신하고, 건강관리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연산모듈(115d)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체질분석장치(110)에 따르면, 사용자 신체의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서버부(120)는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기초하여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및 소음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고, 판별된 사상체질 및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대응되는 건강관리정보를 체질분석장치(110)에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체질분석장치(110)에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서버부(120)는 전형적으로 컴퓨팅 장치(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장치, 출력장치 및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장치 또는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 등)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서버부(120)를 구성하는 프로세서는 MPU(micro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캐쉬메모리(cache memory) 또는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부(120)는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질분석장치(110)에서 부위별 체성분정보는 사용자의 머리, 몸통, 좌측팔, 우측팔, 좌측다리, 우측다리로 각각 구분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보다 세부적으로 우측위팔, 우측아래팔, 좌측위팔, 좌측아래팔, 우측허벅지, 우측장딴지, 좌측허벅지, 좌측장딴지, 어깨, 가슴, 등, 배, 허리, 엉덩이 등으로 보다 세분화되어 생성될 수 있는데, 서버부(120)는 이렇게 세분화된 체성분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한 후, 사상체질의학의 네 가지 구분지표 중, 체형기상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2)는 이러한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체형을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시각화된 사용자의 체형을 직접 보정할 수 있는데, 서버부(120)는 보정된 사용자의 체형을 기초로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서버부(120)는 복수 개의 임상 데이터를 분류 모델에 입력하여 함수식을 산출할 수 있고, 이때 산출된 함수식이 사상체질 판별 함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분류 모델은 선형 판별 분석(LDA), 로지스틱 회귀 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등일 수 있다.
이후, 서버부(120)는 사상체질 및 부위별 체성분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신장, 체중, 성별, 연령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저장된 복수의 건강관리정보와의 유사도를 측정한 후, 유사도에 기반하여 이에 대응되는 특정 건강관리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체질분석장치(110)로 송신할 수 있는데, 여기서 건강관리정보는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추천되는 운동정보와 식품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운동정보는 유산소운동 리스트와 근력운동 리스트로 구분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식품정보는 한약재 리스트, 곡물류 리스트, 채소류 리스트, 과일류 리스트, 육류 리스트 및 생선류 리스트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사상체질은 소양인으로 판별되었고, 체성분 분석 결과 약간 비만인 것으로 나타난 경우,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되는 운동정보는 상부의 화기(火氣)를 아래로 내리는 단전호흡, 적당한 조깅, 수영, 겨울스포츠 등의 유산소운동이 추천될 수 있으며, 상체보다 하체가 튼튼하지 못한 소양인의 특성상, 하체를 단련하는 스쿼트, 데드리프트 등의 근력운동이 추천될 수 있다.
또한, 소양인으로 판별된 해당 사용자에게 한약재는 숙지황, 산수유, 치자, 복령, 인동등, 방풍, 황련, 차전자, 연교 등이 추천되고, 곡물류는 보리쌀, 피, 밭, 녹두, 메밀 등이 추천되고, 채소류는 배추, 오이, 호박, 상추, 가지, 우엉 등이 추천되고, 과일류는 수박, 참외, 포도, 딸기 등이 추천되고, 육류는 돼지고기 등이 추천되고, 생선류는 해삼, 굴, 새우, 게, 복어, 북어 등이 추천될 수 있다.
한편, 서버부(120)는 하기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되는 점수에 따른 식품정보의 리스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점수에 따라, 복수의 식품정보의 나열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Figure 112022004016649-pat00001
여기서 FIS는 식품정보 점수(food information score)를 의미하고, S는 식품의 수를 의미하고, Com, Pri 및 Ease는 각각 성분(component), 가격(price) 및 섭취용이성(ease of intake)을 의미한다.
또한,
Figure 112022004016649-pat00002
는 식품의 주요 성분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상수이고,
Figure 112022004016649-pat00003
는 식품의 가격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상수이고,
Figure 112022004016649-pat00004
는 식품의 섭취용이성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예를 들면, 추가적인 설문을 통해 사용자가 식품의 주요 성분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식품의 섭취용이성을 다음으로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난 경우, 상술한 상수들은
Figure 112022004016649-pat00005
의 관계가 된다.
또한, 각각의 변수들은 사용자의 식품에 대한 선호도값을 의미하는데, 식품의 주요 성분과 관련된 변수로,
Figure 112022004016649-pat00006
는 식품에 함유된 주요 성분의 수에 대한 점수를 의미하고(예를 들면, 함유된 주요 성분 수가 많을수록 높은 점수),
Figure 112022004016649-pat00007
는 식품에 함유된 주요 성분의 각각의 함량에 대한 점수를 의미한다(예를 들면, 함유된 주요 성분의 각각의 함량이 많을수록 높은 점수).
또한, 식품의 가격과 관련된 변수로,
Figure 112022004016649-pat00008
는 식품의 1회 제공분 당 가격에 대한 점수를 의미하고(예를 들면, 식품의 1회 제공분 당 가격이 낮을수록 높은 점수),
Figure 112022004016649-pat00009
는 식품의 주요 성분의 각각의 함량 당 가격에 대한 점수를 의미한다(예를 들면, 식품의 주요 성분의 각각의 함량 당 가격이 낮을수록 높은 점수).
또한, 식품의 섭취용이성과 관련된 변수로,
Figure 112022004016649-pat00010
는 식품의 섭취주기에 대한 점수를 의미하고(예를 들면, 섭취주기가 길수록 높은 점수),
Figure 112022004016649-pat00011
는 식품의 형태에 대한 점수를 의미하고(예를 들면, 식품의 형태가 귀리와 같이 단단한 형태여서 섭취가 용이하지 못한 경우 낮은 점수),
Figure 112022004016649-pat00012
는 식품의 맛에 대한 점수를 각각 의미한다(예를 들면, 식품의 맛이 떨어져 섭취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낮은 점수).
상술한 방식을 통해 식품정보의 리스트들을 생성하는 서버부(120)에 따르면, 주요 성분 뿐만 아니라 가격 및 섭취용이성과 관련된 선호도까지 고려될 수 있으므로, 더욱 적절한 식품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체질분석장치(110)와, 서버부(1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따르면, 사용자의 사상체질이 보다 객관적으로 판별될 수 있으며, 판별된 사상체질에 따른 건강관리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110 : 체질분석장치
111 : 케이스
111a : 제1부
111b : 제2부
111c : 결합모듈
S : 결합공간
111c1 : 제1연장부
111c2 : 제2연장부
111c3 : 결속부
111c4 : 샤프트
112 : 디스플레이
113 : 전류공급전극
114 : 전압감지전극
115 : 제어모듈
115a : 전류공급모듈
115b : 전압측정모듈
115c : 임피던스산출모듈
115d : 연산모듈
115e : 저장모듈
115f : 통신모듈
120 : 서버부

Claims (6)

  1. 사용자 신체의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여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체질분석장치; 및
    수신된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한 후, 유추된 상기 사용자의 체형에 기반하여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및 소음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사용자의 사상체질(四象體質)을 판별하고, 판별된 상기 사상체질 및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에 대응되는 건강관리정보를 상기 체질분석장치에 제공하는 서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질분석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상체질,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 및 상기 건강관리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피검자가 파지할 때 접촉되는 손에 전류를 인가하는 한 쌍의 전류공급전극과,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임피던스 측정을 위해 피검자가 파지할 때 접촉되는 손에서 전압을 감지하는 한 쌍의 전압감지전극과,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전류공급전극 및 상기 전압감지전극을 제어하고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전류공급전극에 신체 임피던스 측정용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공급모듈과, 상기 전압감지전극에서 감지된 전압을 수신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모듈과, 상기 전압측정모듈에서 측정된 전압을 수신하여 신체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임피던스산출모듈과, 상기 임피던스산출모듈에서 산출된 신체 임피던스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부위별 체성분을 분석하여 상기 부위별 체성분정보를 생성하는 연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는,
    박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전류공급전극과 한 쌍의 상기 전압감지전극이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인 결합공간이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에는,
    상기 전류공급전극 또는 상기 전압감지전극을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합모듈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결합모듈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면에 힌지결합공간이 형성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연장부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전면 하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간에 형성된 단턱에 결속됨으로써 상기 결합모듈을 상기 케이스에 결합시키는 결속부와, 상기 힌지결합공간에 설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운동정보와 식품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식품의 성분, 식품의 가격 및 식품의 섭취용이성을 각각 고려하여 산출되는 점수에 따라 복수의 상기 식품정보의 나열 순서를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정보는,
    상기 사용자 신체의 부위별 근육량정보 및 부위별 체지방량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부위별 근육량정보 및 상기 부위별 체지방량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형을 유추한 후, 상기 사용자의 사상체질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는 제1부와, 역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2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의 높이와 상기 제2부의 어느 한 변의 길이의 비는 1:0.5이고, 상기 제1부의 상단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부까지의 최단 거리와 상기 제1부의 밑변의 길이의 비는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20004555A 2022-01-12 2022-01-12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Active KR10274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55A KR102748814B1 (ko) 2022-01-12 2022-01-12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4555A KR102748814B1 (ko) 2022-01-12 2022-01-12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889A KR20230108889A (ko) 2023-07-19
KR102748814B1 true KR102748814B1 (ko) 2024-12-31

Family

ID=8742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4555A Active KR102748814B1 (ko) 2022-01-12 2022-01-12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8814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598A (ko) * 2000-03-31 2001-11-01 박원희 체성분 분석장치
KR20190119236A (ko) * 2018-04-05 2019-10-22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및 습관정보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인공지능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33433B1 (ko) 2019-01-30 2021-03-26 김연호 음양오행체질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체질별 건강정보 제공방법
KR20200141261A (ko) * 2019-06-10 2020-12-18 박종선 개인의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KR20210086941A (ko) * 2020-01-01 2021-07-09 조용원 음양 사상체질 감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889A (ko) 2023-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orde et al. Fast or slow-foods? Describing natural variations in oral processing characteristics across a wide range of Asian foods
Lee et al. Validation of two portable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es for the assessment of body composition in school age children
US12106841B2 (en) System and methods for calculating, displaying, modifying, and using single dietary intake score reflective of optimal quantity and quality of consumables
TW514511B (en) Visceral fat meter having pace counting function
Ricciardi et al. Use of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 the evalu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JPH052164Y2 (ko)
KR100909400B1 (ko) 부위별 체지방 분석이 가능한 체성분 분석기 및 분석방법
US10548528B2 (en) Smartphone device for body analysis
Chapple et al. Nutrition-related outcomes and dietary intake in non–mechanically ventilated critically ill adult patients: a pilot observational descriptive study
Schoenfeld et al. Comparison of amplitude‐mode ultrasound versus air displacement plethysmography for assessing body composition changes following participation in a structured weight‐loss programme in women
KR102748814B1 (ko) 개인의 사상체질에 기반한 건강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JP3120546U (ja) 体成分分析結果シート
JP2004180939A (ja) 身体指標出力装置
Liu et al. New application of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y the back propag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mathematically predictive model of tissue composition in the lower limbs of elderly people
US20170273618A1 (en) Use of dexa scans to assess body fat outside of healthcare settings
Rizwan et al. Skin conductance as proxy for the identification of hydration level in human body
KR100481677B1 (ko) 사상 의학을 기초로 하는 운동 및 음식물 관리 기능을갖는 체지방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03111734A (ja) 健康情報表示装置
JP3112317U (ja) 体成分分析結果紙
JP7120676B2 (ja) 食事法支援プログラム
Lima et al. Tracking upper limbs fatigue by means of electronic dynamometry
Jackson Discover the average bicep size in males and females and learn how to take an accurate upper arm circumference measurement
KR200322850Y1 (ko) 체성분 분석결과지
Gallegos Assessing and evaluating nutritional status, diets and physical activity
Deep et al. Smart Wellness Machine: Health Parameters Measurement System with Dietary Plans and Progress Grap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