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8685B1 -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 Google Patents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8685B1
KR102748685B1 KR1020220154004A KR20220154004A KR102748685B1 KR 102748685 B1 KR102748685 B1 KR 102748685B1 KR 1020220154004 A KR1020220154004 A KR 1020220154004A KR 20220154004 A KR20220154004 A KR 20220154004A KR 102748685 B1 KR102748685 B1 KR 102748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uide
laminate
edges
alignment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71919A (ko
Inventor
윤창기
Original Assignee
이씨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씨엠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씨엠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4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8685B1/ko
Priority to PCT/KR2023/003658 priority patent/WO2024106629A1/ko
Publication of KR20240071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1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8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868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B32B38/1841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during laying up
    • B32B38/185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during laying up combined with the cutting of one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43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using roll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16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infrared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artial melting of at least on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9/00Layout of apparatus or plants, e.g. modular lamin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는, 외측패널 및 내측패널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끼워지는 외피원단을 정렬하며 상기 외피원단의 양 가장자리에 접이부를 형성하는 외피가이드; 상기 외피원단보다 폭이 좁은 복수의 내피원단 각각을 독립적으로 정렬하여 서로 중첩 배치된 내피적층체로 인출하는 내피가이드; 상기 내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내피적층체 및 상기 외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외피원단이 압착된 원단적층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적층체는, 상기 내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내피적층체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외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외피원단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Fabric Arrangement Apparatus For Ultra Sonic Welding, Manufacturing Method For Cleanroom Mop Using The same, And Cleanroom Mop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클린룸맙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초음파 융착을 위하여 여러겹의 원단을 정렬하는 원단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약, 전자, 반도체 산업의 클린룸 청소 및 소독을 위한 기존의 섬유류 와이퍼(Wiper) 또는 맙(Mop) 제품은 파티클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편직물을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특히, 클린룸맙의 경우 여러겹(통상 3겹 이상)의 원단을 겹쳐서 사용해야 수분 또는 소독제를 충분히 흡수해서 클린룸 바닥, 벽, 천장 등을 한번에 넓은 면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기존의 클린룸맙 제조는 재봉틀을 이용한 봉제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파티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단을 사용하더라도, 여러겹의 원단을 재봉할 때 재봉틀의 바늘이 원단 조직을 파괴하여 파티클의 발생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재봉할 때 사용하는 봉제실 또한 파티클 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높은 등급의 클린룸에서는 기존의 봉제방식으로 제조된 맙을 사용할 수 없다. 아울러, 봉제방식으로 제조하는 경우, 낱개의 제품을 일일이 수작업을 통해 제조하므로, 봉제사의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초음파 융착(Ultra Sonic Welding)을 위한 자동화설비를 통해 클린룸맙을 생산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초음파 융착 금형에 투입할 때 여러겹의 원단을 구겨지지 않고 일정하게 배열해야 하지만, 직물 재질의 원단을 여러겹으로 구김없이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여 자동화 생산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겹의 원단을 이용하여 클린룸맙을 제조할 때 초음파 융착을 위해 원단들에 구김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렬할 수 있는 원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여러개의 원단들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외피원단의 가장자리에 접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피원단들의 가장자리가 외피원단으로 감싸진 상태로 원단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는 원단정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원단정렬장치를 이용하여 여러겹의 원단들을 중첩 배치한 상태로 초음파 융착 공정을 통해 가장자리를 마감함으로써 클린룸을 오염시킬 수 있는 파티클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제조된 클린룸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는, 외측패널 및 내측패널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끼워지는 외피원단을 정렬하며 상기 외피원단의 양 가장자리에 접이부를 형성하는 외피가이드; 상기 외피원단보다 폭이 좁은 복수의 내피원단 각각을 독립적으로 정렬하여 서로 중첩 배치된 내피적층체로 인출하는 내피가이드; 상기 내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내피적층체 및 상기 외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외피원단이 압착된 원단적층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적층체는, 상기 내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내피적층체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외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외피원단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외피원단의 양 가장자리에 각각 접이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접침레일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피가이드를 인입영역, 연결영역 및 인출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접침레일 각각은, 상기 인입영역에서 상기 외측패널의 엣지선단이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접침부; 상기 연결영역에서 상기 엣지선단이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접침부; 상기 인출영역에서 상기 엣지선단이 외측으로 편평하게 유지되는 제3 접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접침부는 상기 외측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피가이드는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중첩 배치된 복수의 정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피원단 각각은 상하로 이웃하는 2개의 정렬패널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내피가이드는 상기 외피가이드의 상기 내측패널 상부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원단정렬장치에 외피원단 및 복수의 내피원단이 동시에 투입되는 원단투입단계와, 상기 원단정렬장치를 통과하면서 내피가이드를 통해 상기 복수의 내피원단이 중첩 배치된 내피적층체가 형성된 후, 상기 내피적층체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외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외피원단으로 감싸진 원단적층체로 배출되는 원단정렬단계와, 상기 원단적층체의 양 가장자리를 초음파 융착 금형으로 융착시키는 초음파융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초음파융착단계를 거친 상기 원단적층체를 일정한 길이로 커팅하여 맙 본체를 생성하는 본체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된 맙본체의 양단에 각각 포켓을 초음파 융착으로 부착하는 포켓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을 제공한다.
초음파 융착 공법은 자동화 생산에 유리하나, 종래에는 복수의 원단들로 제조되는 클린룸맙 생산에서는 원단들 사이의 마찰로 인해 구김이 발생하여 편평한 상태로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를 이용하면 복수의 원단들이 개별적으로 정렬된 후 편평하게 배치된 원단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를 통해 외피원단의 가장자리에 접이부가 형성된 상태로 내피적층체를 감싸도록 할 수 있으므로, 원단들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원단들이 중첩 배치된 클린룸맙을 제조함에 있어서, 원단들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파티클로 인한 클린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자동화 설비를 통한 대량생산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린룸맙의 제조 공정을 개요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를 통해 복수의 원단이 정렬된 상태를 개요적으로 설명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초음파 융착이 완료된 맙본체에 포켓을 융착하여 최종적인 클린룸맙을 형성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에서 복수의 원단이 투입되는 인입영역을 발췌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에서 외피가이드를 인입영역, 연결영역 및 인출영역에서의 단면을 개요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융착을 위한 클린룸맙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개요도를 도시하였다. 클린룸맙은 여러겹의 원단이 겹쳐진 상태로 제조된다. 도 1에서 보듯이, 각각의 원단이 감겨있는 복수의 롤(10a, 20a) 각각을 통해 외피원단(10) 및 복수의 내피원단(20)을 원단정렬장치(100)에 동시에 투입한다.
여기서, 외피원단(10)은, 예컨대 소정의 폭(약 15~20cm)으로 미리 롤재단된 극세사 편직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내피원단(20)은, 외피원단(10)보다 좁은 폭(약 10~14cm)으로 롤재단되어 형성되며, 예컨대 폴리에스터 부직포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외피원단(10)은 청소 또는 소독 과정에서 바닥을 닦는 역할을 수행하며, 내피원단(20)은 수분이나 소독제를 충분히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내피원단(20)은 복수개로 준비되고, 낱장의 내피원단(20) 각각이 내피가이드(120)를 통과하면서 서로 독립적으로 정렬된 후, 서로 중첩 배치된 내피적층체(21)로 형성된다. 아울러, 외피원단(10) 및 복수의 내피원단(20)이 원단정렬장치(100)를 통과하게 되면, 내피적층체(21)의 양 가장자리가 외피가이드(110)를 통과한 외피원단으로 감싸진 원단적층체(30)로 배출된다(도 2 참조).
원단정렬장치(100)에 의해 형성된 원단적층체(30)는 구동롤러(220)에 의해 초음파 발생장치(210)를 포함하는 융착 금형(200)으로 투입되어, 그 양 가장자리가 초음파 융착된다. 여기서, 원단적층체(30)의 양 가장자리는, 외피원단(10)이 내피적층체(21)의 양 가장자리를 감싸고 있는 상태이며, 내피적층체(21)를 감싸고 있는 외피원단(10)의 가장자리를 내피적층체(21)와 함께 초음파 금형(200)을 통해 융착한다. 이때, 원단적층체(30)의 본체 내부에는 내피적층체(21) 및 외피원단(10)이 구겨지지 않고 편평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예컨대, 격자 형태)로 융착부(4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원단적층체(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피원단(10)의 접이부(11)가 내피적층체(21)를 감싸게 되는데, 접이부(11)가 형성된 영역에 가장자리를 따라 점선(41) 형태로 융착한다. 외피원단(10)에 형성된 접이부(11)는 엣지선단이 내측으로 말려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외피원단(10)을 롤 재단할 때 형성되는 커팅된 엣지선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엣지선단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클린룸을 오염시키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원단적층체의 본체(30) 내부에 형성되는 융착부(42)는 본체 전체 영역을 일정한 간격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는데, 본체 내부에 형성된 융착부(42)에 의해 여러겹의 원단이 사용중에 구겨지지 않고 편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원단적층체(30) 본체 내부에 형성되는 융착부(42)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클린룸맙을 이용하여 청소할 때 바닥면과의 마찰을 감소시켜 작업이 용이하게 한다.
이렇게, 초음파 융착이 완료된 원단적층체(30)는 구동롤러에 의해 커팅 금형으로 투입되고, 커팅 금형을 통해 일정한 길이로 커팅되어 맙본체(40)를 형성한다. 맙본체(40)가 완성되면, 별도의 공정으로 준비된 한쌍의 포켓(50)을 양 가장자리에 부착하여 최종적인 클린룸맙(300)을 제조한다(도 3 참조). 포켓(50)은 여러겹의 내피원단(40)을 적층한 후, 별도로 구비된 포켓 형성용 금형(미도시)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포켓 형성용 금형은 초음파 융착 금형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서 보듯이, 원단정렬장치는, 외측패널(110a) 및 내측패널(110b)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끼워지는 외피원단(10)을 정렬하는 외피가이드(110)와, 외피원단(10)보다 폭이 좁은 복수의 내피원단(20) 각각을 독립적으로 정렬하여 서로 중첩 배치된 내피적층체(21)로 인출하는 내피가이드(120)와, 내피가이드(120)를 통과한 내피적층체(21) 및 외피가이드(110)를 통과한 외피원단(10)이 압착된 원단적층체(30)를 배출하는 배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단적층체(30)는, 내피가이드(120)를 통과되어 형성되는 내피적층체(21)의 양 가장자리가 외피가이드(110)를 통과한 외피원단(10)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패널(110a)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외피원단(10)의 양 가장자리에 각각 접이부(11)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접침레일이 형성되어 있다. 외피가이드(110a)를 인입영역(A), 연결영역(B) 및 인출영역(C)으로 구분할 때, 제1 및 제2 접침레일 각각에는, 인입영역(A)에서 외측패널(10)의 엣지선단이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접침부(e1)와, 연결영역(B)에서 엣지선단이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접침부(e2)와, 인출영역(C)에서 엣지선단이 외측으로 편평하게 유지되는 제3 접침부(e3)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접침부(e1, e2, e3)는 외측패널(1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외피원단(10)이 외측가이드(110)의 내측패널(110b)과 외측패널(110a)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인입된 후, 외피원단(10)의 가장자리가 제1 접침부(e1), 제2 접침부(e2) 및 제3 접침부(e3)를 통과하면서, 에지선단이 내측으로 말려 들어가게 되어 접이부(11)가 형성된다(도 6 참조). 참고로, 도 6에서는 외피원단(10) 및 내피원단(20)을 편의상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다음으로, 내피가이드(120)는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중첩 배치된 복수의 정렬패널(121)을 포함한다. 복수의 내피원단(20) 각각은 상하로 이웃하는 2개의 정렬패널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정렬된다. 내피가이드(120)는, 얇은 철판으로 구성된 정렬패널(121)들은 각각의 원단(20)들이 서로 마찰되어 구겨지거나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렬패널(121)들 사이에 끼워진 내피원단(20)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정렬된다. 그리하여, 내피가이드(120)를 통과한 복수의 내피원단(2)들은 구김없이 편평하게 펴진 상태로 서로 중첩 배치된 내피적층체(21)로 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피가이드(120)는 외피가이드(110)의 인입영역(A) 측에 배치되며, 외피가이드(110)의 내측패널(110b) 상부에 배치된다.
내피가이드(120)를 통과하면서 형성된 내피적층체(21)는, 인출영역(C)에서 그 양 가장자리가 외피원단(1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인출영역(C)에서 외피원단(10)의 가장자리는 에지선단이 내측으로 말려 들어간 상태의 접이부(11)가 형성된다. 접이부가 형성된 외피원단(10) 내부로 내피적층체(21)가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스페이서(14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30)에서는 외피원단(10) 및 내피적층체(21)를 압착하여 원단적층체(30)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부(130)의 출구에는 최종적으로 형성될 원단적층체(30)의 두께를 고려하여 원단적층체의 편평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적절한 치수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단정렬장치(100)는 양쪽에 고정구(150)가 마련되어 작업대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를 이용하면, 복수의 원단들이 중첩 배치된 클린룸맙의 자동화 생산에 유리하다. 초음파 융착 공법은 자동화 생산에 유리하나, 종래에는 복수의 원단들로 제조되는 클린룸맙 생산에서는 원단들 사이의 마찰로 인해 구김이 발생하여 편평한 상태로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를 이용하면 복수의 원단들이 개별적으로 정렬된 후 편평하게 배치된 원단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정렬장치를 통해 외피원단의 가장자리에 접이부가 형성된 상태로 내피적층체를 감싸도록 할 수 있으므로, 원단들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티클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부호의 설명******
10 외피원단 20 내피원단
100 원단정렬장치 110 외피가이드
120 내피가이드 130 배출구
140 스페이서 150 고정구

Claims (8)

  1. 외측패널 및 내측패널을 구비하고 그 사이에 끼워지는 외피원단을 정렬하며 상기 외피원단의 양 가장자리에 접이부를 형성하는 외피가이드;
    상기 외피원단보다 폭이 좁은 복수의 내피원단 각각을 독립적으로 정렬하여 서로 중첩 배치된 내피적층체로 인출하는 내피가이드;
    상기 내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내피적층체 및 상기 외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외피원단이 압착된 원단적층체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적층체는, 상기 내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내피적층체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외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외피원단에 의해 감싸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패널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외피원단의 양 가장자리에 각각 접이부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접침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가이드를 인입영역, 연결영역 및 인출영역으로 구분할 때,
    상기 제1 및 제2 접침레일 각각은,
    상기 인입영역에서 상기 외측패널의 엣지선단이 내측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접침부;
    상기 연결영역에서 상기 엣지선단이 외측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접침부;
    상기 인출영역에서 상기 엣지선단이 외측으로 편평하게 유지되는 제3 접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접침부는 상기 외측패널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가이드는 일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중첩 배치된 복수의 정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피원단 각각은 상하로 이웃하는 2개의 정렬패널 사이의 이격 공간을 통해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가이드는 상기 외피가이드의 상기 내측패널 상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원단정렬장치에 외피원단 및 복수의 내피원단이 동시에 투입되는 원단투입단계와,
    상기 원단정렬장치를 통과하면서, 내피가이드를 통해 상기 복수의 내피원단이 중첩 배치된 내피적층체가 형성된 후, 상기 내피적층체의 양 가장자리가 상기 외피가이드를 통과한 상기 외피원단으로 감싸진 원단적층체로 배출되는 원단정렬단계와,
    상기 원단적층체의 양 가장자리를 초음파 융착 금형으로 융착시키는 초음파융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융착단계를 거친 상기 원단적층체를 일정한 길이로 커팅하여 맙 본체를 생성하는 본체생성단계와,
    상기 생성된 맙본체의 양단에 각각 포켓을 초음파 융착으로 부착하는 포켓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융착을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8. 제 6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KR1020220154004A 2022-11-16 2022-11-16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Active KR102748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004A KR102748685B1 (ko) 2022-11-16 2022-11-16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PCT/KR2023/003658 WO2024106629A1 (ko) 2022-11-16 2023-03-20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004A KR102748685B1 (ko) 2022-11-16 2022-11-16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1919A KR20240071919A (ko) 2024-05-23
KR102748685B1 true KR102748685B1 (ko) 2024-12-31

Family

ID=9108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004A Active KR102748685B1 (ko) 2022-11-16 2022-11-16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48685B1 (ko)
WO (1) WO202410662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835B1 (ko) 2011-07-19 2012-03-21 황영문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0005B1 (ko) 2015-03-27 2016-03-15 주식회사 아미 일체형 방진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
US20190223682A1 (en) 2010-12-31 2019-07-25 Foamtec International Co., Ltd. All surface cleanroom mop
US20210030253A1 (en) 2019-07-31 2021-02-04 Filtration Group Clean Wipes Clean room wipe mop head un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2912B1 (ko) * 1999-12-13 2002-07-04 정인선 내압용 호스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06094A (ko) * 2009-03-23 2010-10-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네트형 컨베이어 벨트의 변부 마감용 봉제장치
KR102020114B1 (ko) * 2017-09-13 2019-11-04 (주)씨앤지코리아 마스크 제조방법
KR102548880B1 (ko) * 2020-11-13 2023-06-30 (주)애니토이 마스크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23682A1 (en) 2010-12-31 2019-07-25 Foamtec International Co., Ltd. All surface cleanroom mop
KR101121835B1 (ko) 2011-07-19 2012-03-21 황영문 악세사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0005B1 (ko) 2015-03-27 2016-03-15 주식회사 아미 일체형 방진마스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제조방법
US20210030253A1 (en) 2019-07-31 2021-02-04 Filtration Group Clean Wipes Clean room wipe mop head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6629A1 (ko) 2024-05-23
KR20240071919A (ko) 202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24242B (zh) Cleaning items
US3733238A (en) Apparatus for vibration welding of sheet materials
JP6116590B2 (ja) 清掃部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JP2928410B2 (ja) 掃除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442267B2 (ja) 開孔部を有する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2748685B1 (ko) 초음파 융착을 위한 원단정렬장치, 이 장치를 이용한 클린룸맙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클린룸맙
JP2018119248A (ja) 不織布ワイパ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849638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luffing a cleaning implement
KR102192056B1 (ko) 침구용 격벽체 제조 장치 및 방법
JP2868628B2 (ja) 掃除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88113A (ja) 掃除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9151247A1 (ja) 起毛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清掃シート
RU2687646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мешков из рукава, изготовленного из ткани
JPH04312430A (ja) 掃除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116589B2 (ja) 清掃部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清掃部材を製造するシステム
US10568486B2 (en)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apparatus for cleaning implement
JP7263662B2 (ja) 不織布ワイパー包装体
JP6141023B2 (ja) トウを含むウエブ部材の製造方法
KR101996991B1 (ko) 화장솜 제조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404604B2 (ja) 清掃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90626B1 (ko) 나무 돗자리용 바닥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22052294A (ja) 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CN113832692A (zh) 熔喷布拼接方法
DK144557B (da) Fremgangsmaade og apparat til kontinuerlig fremstilling af et aflangt boelget materi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3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