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8498B1 -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8498B1
KR102748498B1 KR1020220003576A KR20220003576A KR102748498B1 KR 102748498 B1 KR102748498 B1 KR 102748498B1 KR 1020220003576 A KR1020220003576 A KR 1020220003576A KR 20220003576 A KR20220003576 A KR 20220003576A KR 102748498 B1 KR102748498 B1 KR 10274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damage
preventing
fine dust
stick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3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8145A (ko
Inventor
성준엽
조혜선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3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849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8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8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84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자극을 차단시키거나 완화하여 미세먼지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거나 미세먼지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개선 또는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skin damage induced by fine dust comprising extract of Silene armeria L.}
본 발명은 장구채속 식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보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신체 부위로서, 우리 몸의 중요한 기관들을 보호하는 보호막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수분 증발을 조절하고 외부 감염으로부터 몸을 일차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아무리 외부로부터의 바이러스 침투를 막아내는 피부일지라도 미세먼지나 오염된 환경 등 외부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는 피부 자극을 유발하게 되고, 결국에는 피부 노화로 이어지게 된다.
한편, 미세먼지는 입자크기 10㎛ 이하인 먼지를 통칭하고 PM10(Particulate Matter 10)으로 약칭하며, 2.5㎛이하의 초미세먼지인 PM2.5(Particulate Matter 2.5)로 구분된다. 주로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하며, 석탄의존도가 70%인 중국발 미세먼지가 상당부분을 차지한다.
2013년 환경부의 공동연구 결과(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32(2), 2013, 495-498)에 따르면, 미세먼지 또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가 상승할 시 피부염의 증상이 더욱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는 그입자가 작아 피부 모공 깊숙이 들어가 피부 건조증, 자극성 피부염, 알레르기 피부염, 여드름, 기미, 주근깨 등 각종 피부 질환을 유발한다. 미세먼지와 같은 외부자극 의해 피부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화장품 업계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다수의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외부자극에 의한 피부 부작용을 완화 및 차단할 수 있는 소재가 부족한 상황이라, 미세먼지로부터 피부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소재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세먼지로부터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장구채속 식물은 끈끈이대나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이나 또는 이의 분획물은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피부에서 증가된 CYP1A1의 발현을 감소시켜 피부 자극이 억제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끈끈이대나물의 추출물과 이의 분획물을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피부 각질 세포에서 증가된 CYP1A1의 단백질 발현이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의하여 감소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피부 각질 세포에서 증가된 CYP1A1의 mRNA 발현이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에 의하여 감소됨을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장구채속(Silene)은 석죽과에서 가장 큰 속으로서, 현재까지 발견된 약 900종의 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장구채속 식물은 일반적으로 다년생으로 내한성이 좋고 양지나 반음지에서 자라며, 10~40cm 정도의 크기로 성장한다. 상기 장구채속 식물에는 대표적으로 끈끈이대나물(Silene armeria L.), 장구채(Silene firma Siebold & Zucc.), 가는장구채(Silene seoulensis Nakai), 분홍장구채(Silene capitata Kom.), 끈끈이장구채(Silene koreana Kom.), 애기장구채(Silene aprica Turcz. ex Fisch. & C.A.Mey.), 갯장구채(Silene aprica var. oldhamiana), 한라장구채(Silene fasciculata Nakai) 등이 있다.
특히, 상기 장구채속 식물은 끈끈이대나물(Silene armeria L.)일 수 있다. 상기 끈끈이대나물은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서, 식물체 전체가 분을 뒤집어 쓴 것처럼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상기 끈끈이대나물의 줄기는 50cm 정도의 높이로 자라고, 상기 줄기 윗부분의 마디 밑에서 끈끈한 갈색의 진이 나올 수 있다. 상기 끈끈이대나물에서 마주달리는 잎은 장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없다. 6~8월에 줄기 위쪽에서 갈라져 나온 꽃대 끝에 적색 또는 흰색의 꽃이 모여 달려 산형을 이룬다. 꽃은 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모여서 달리고, 홍색 또는 흰색, 화관의 지름은 1cm 가량이며 꽃받침은 곤봉 모양으로 길이는 15㎜이다. 가장자리가 흰색이고 막질이며 꽃잎은 5장으로 수평으로 퍼지고, 부수체가 있으며, 끝이 갈라진다. 화관통 안쪽에 작은 비늘 조각이 있고, 수술은 10개,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긴 타원형이고, 자루가 있으며, 6개로 갈라진다. 화단이나 집 근처에서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는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이며, 원산지는 유럽이다.
상기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은 식물체 전체를 대상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고, 또는 상기 식물체의 꽃, 줄기, 잎, 뿌리, 열매, 열매의 껍질 등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대상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식물체의 줄기 또는 잎을 대상으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장구채속 식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등이나, 이들의 희석액, 농축액, 조정제물, 정제물, 액상을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을 모두 포함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용매추출법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추출법은 상기 식물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는 방법이다. 추출온도는 저온, 상온, 고온일 수 있고, 추출시간은 1분 내지 30일, 5분 내지 15일, 10분 내지 10일 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이 용매추출법으로 얻어지는 경우, 상기 용매는 극성 용매, 비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극성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물, 저급 알코올, 아세톤, 프로필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저급 알코올은 탄소수 1 내지 6, 특히 탄소수 1 내지 4의 1급 또는 2급 알코올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비극성 용매의 대표적인 예로는 에테르, 클로로포름(chloroform), 헥산(hex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70% 에탄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용매추출법으로 끈끈이대나물을 추출하여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분획물은 상기 추출물로부터 통상의 분획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여 수득된 것이다. 예컨대 상기 통상의 분획 공정은 다양한 용매를 처리하여 수행하는 용매 분획법,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수행하는 한외여과 분획법,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를 수행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법 및 이의 조합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의 분획물은 용매 분획법으로 수득될 수 있는데, 상기 용매 분획법은 서로 섞이지 않는 용매 사이의 분배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물, 알코올,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 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비극성 용매;를 개별적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혼합물이 상기 용매 분획법의 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 분획법은 저온, 상온 또는 고온에서 1분 내지 30일, 5분 내지 15일, 10분 내지 10일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매분획시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분별깔때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이후 감압농축 또는/및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특히 상기 끈끈이 대나물의 추출물이나 이의 분획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 중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를 의미한다. 상기 미세먼지는 지름이 10μm 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μm보다 작은 초미세먼지(PM2.5)로 나뉜다. PM10이 사람의 머리카락 지름(50~70μm)보다 약 1/5~1/7 정도로 작은 크기라면, PM2.5는 머리카락의 약 1/20~1/30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다.
상기 피부손상은 피부에서 화학자극 또는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 피부각질층 및 표피층이 손상됨으로써 유발되는 피부건조, 염증 및 여드름 유발, 탄력 저하, 색소 침착 등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부손상은 미세먼지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는 입자의 크기가 피부의 모공의 5분의 1정도로 작기 때문에 미세먼지가 피부 안으로 침투하면 피부 바깥층의 보호막 기능이 손상되고 자극에 대해 민감해진다. 이는 피부 장벽 기능 저하 및 탄력 저하, 여드름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미세먼지 속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olyaromatic hydrocarbons)는 피부 모낭을 통하여 피부 속으로 들어와 피부 세포를 손상시키거나, 멜라닌 세포와 색소반점을 증가시키며, 콜라겐 합성 감소와 분해를 증가시켜 주름 생성 및 탄력을 저하시켜 피부와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이 피부 또는 표피 세포 내부로 유입되면 여러 유전자군의 발현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CYP1A1, CYP1A2, CYP1B1, COX-2, MMPs 등의 발현이 증가되어 나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CYP1A1, CYP1A2, CYP1B1, COX-2, MMPs 등의 발현이 증가되면, 피부 조직에서 수분 손실, 탄력 저하, 색소 침착, 염증 등이 유발될 수 있고, 결국 피부 기능이 저하되거나 또는 피부의 노화가 촉진되는 등의 피부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예컨대, 미세먼지는 피부각질세포의 AHR(Aryl Hydrocarbon Receptor)이라는 수용체를 통해 XRE(Xenobiotic Response Element)와 CYP1A1 등의 생체이물대사에 관여하는 인자를 활성화시킨다. 그러나, 미세먼지로부터 피부를 방어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XRE와 CYP1A1(CytochromeP450 1A1)가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염증, 수분 손실 등이 유발되어 피부가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특히 상기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피부세포에서 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CYP1A1(CytochromeP450 1A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고, 따라서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로의 자극이 차단되며, 그로 인해 결국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의 손상이 방지, 개선 또는 치료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끈끈이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서 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CYP1A1의 mRNA 및 단백질의 발현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피부 자극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손상을 예방하거나 개선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은 미세먼지에 의하여 피부 세포가 자극을 받지 않도록 하여 상기 유전자 군의 발현이 증가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하거나, 또는 미세먼지로 인해 피부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된 상기 유전자 군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 또는 이의 원료를 의미하며,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통상적인 의미로서 로션, 크림, 오일, 세정용 제품 및 기능성 화장품 및 이의 원료를 모두 포함한다. 기능성 화장료란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화장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화장품 군이나 화장료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화장료를 의미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예를 들면, 크림, 로션, 앰플, 스킨, 에센스, 샴푸, 비누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초 화장료 조성물(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료 조성물(파운데이션, 립스틱, 메이크업 베이스), 또는 마스크 팩 또는 팩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부위는 미세먼지에 의해 피부 가 손상될 수 있는 신체 부위에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손상될 수 있는 피부를 포함하는 신체 부위는, 얼굴, 목, 손등, 두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적용되는 부위에 다양한 투여 경로, 예를 들면 전신 또는 국소, 특히 국소 투여, 경피, 또는 주사, 특히 경피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특히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외에,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크림 제형의 조성물은 식물성 오일, 유화제, 증점제, 향료, 물, 산화방지제, 및 UV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목적하는 제품의 구체적 용도 또는 제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체 조성물 중에 약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상기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이외에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또는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용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피부 손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피부 손상의 예방’은 미세먼지에 의하여 피부 세포가 자극을 받지 않도록 하여 상기 유전자 군의 발현이 증가되지 않도록 사전에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며, ‘피부 손상의 치료’는 미세먼지로 인해 피부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된 상기 유전자 군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키는 것 또는 피부의 손상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는 모든 효과를 의미한다. 상기 미세먼지가 피부를 자극하여 유발된 손상은 피부염(dermatitis), 아토피(atopy), 건선(psoriasis), 여드름(acne), 피부암(skin cancer), 습진(eczem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유효성분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carrier) 또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의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상기 담체는 세포 또는 조직 내로의 화합물의 부가를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로 정의된다.
상기 장구채속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특히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은 단독으로 또는 어떤 편리한 담체 등과 함께 혼합하여 투여될 수 있고, 그러한 투여 제형은 단회 투여 또는 반복 투여 제형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고형 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좌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형 제제에는 담체, 착향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활택제, 충진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상 제제로는 물,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같은 용액제, 현탁액제, 유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당한 착색제, 착향제, 안정화제, 점성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제는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인 끈끈이대나물 추출물과 유당,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등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담체를 단순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과립제는 본 발명의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담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결합제를 혼합한 후,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를 이용한 습식과립법 또는 압축력을 이용한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정제는 상기 과립제를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적당한 활택제와 혼합한 후, 타정기를 이용하여 타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1-1]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의 제조
끈끈이대나물의 잎 및 줄기의 분말건조물(농촌진흥청, 한국) 20g에, 200g의 70% 에탄올수용액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이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감압농축하여 1.59g의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1-2]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의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된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에, 200ml의 물과 200ml의 n-헥산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하여 n-헥산층을 분리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n-헥산층을 감압농축하여 0.134g의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Hex)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n-헥산층이 제거되고 남은 물층에, 200ml의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 다시 디클로로메탄층을 분리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디클로로메탄층을 감압농측하여 0.042g의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MC)을 수득하였다.
또한, 상기 디클로로메탄층이 제거되고 남은 물층에, 2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 다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분리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농측하여 0.024g의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A)을 수득하였다.
아울러,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층이 제거되고 남은 물층에, 200ml의 n-부탄올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정치한 후 다시 n-부탄올층을 분리하였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n-부탄올층을 감압농측하여 0.232g의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의 n-부탄올 분획물(BuOH)을 수득하였다.
마지막으로, 상기 n-부탄올층이 제거하고 남은 물층을 감압농측하여 1.222g의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의 물 분획물(DW)을 수득하였다.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손상 방지 효과 확인
[2-1] CYP1A1 단백질의 발현 감소 확인
먼저,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미세먼지에 의해서 피부각질세포에서 증가된 CYP1A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피부각질세포인 HaCaT 세포(ATCC, USA)를 10% FBS 및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포함된 DMEM(Gibco, USA) 배지에서 배양한 다음, 1.25x105cell/ml의 세포에 PM10의 미세먼지(ERM-CZ100 fine dust, Joint research centre)를 100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끈끈이대나물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5종의 분획물들을 각각 12.5ug/ml, 25ug/ml 및 50ug/ml의 농도로 같이 처리한 다음 24동안 37℃조건에서 배양한 후, CYP1A1 ELISA 키트 (Mybiosource)로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 내 CYP1A1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한편, 미세먼지 방어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α-NF(α-Naphthoflavone)를 10uM의 농도로 처리하여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 대비 50ug/ml의 끈끈이 대나물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CYP1A1의 단백질 발현이 11.2% 감소하였다. 12.5ug/mL 및 25ug/mL의 MC 분획물을 처리하는 경우 CYP1A1의 단백질 발현이 각각 9.25%, 9.83% 감소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인체 피부 각질세포에서 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CYP1A1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미세먼지가 유발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 농도(ug/mL) CYP1A1의 단백질 발현 감소 정도(%)
미처리 0
α-NF 10 uM 26.89%
70% 에탄올 12.5 3.03%
25 6.24%
50 11.15%
n-헥산 (Hex) 12.5 1.56%
25 -0.86%
50 2.30%
디클로로메탄 (MC) 12.5 9.25%
25 9.83%
50 8.75%
에틸아세테이트 (EA) 12.5 -3.46%
25 0.21%
50 -0.46%
n-부탄올 (n-BuOH) 12.5 -9.10%
25 -0.75%
50 0.27%
증류수 (DW) 12.5 -7.08%
25 -0.80%
50 -3.07%
[2-2] CYP1A1 mRNA의 발현 감소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끈끈이대나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미세먼지에 의해서 피부각질세포에서 증가된 CYP1A1 mRNA의 발현을 감소시키는지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1]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12.5ug/ml, 25ug/ml 및 50ug/ml의 농도로 처리하고 18시간동안 37℃ 조건에서 배양한 후, RT-PCR로 CYP1A1 mRNA의 발현이 감소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음성대조군 대비 50μg/ml의 끈끈이 대나물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CYP1A1 mRNA의 발현이 약 10.6%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로부터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은 인체 피부 각질세포에서 미세먼지에 의해 증가된 CYP1A1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로부터, 끈끈이대나물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미세먼지가 일으키는 피부자극을 감소시켜 피부의 손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2)

  1. 끈끈이대나물의 알코올수용액 추출물 또는 이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손상은 미세먼지에 의해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member A1)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거나 또는 CYP1A1이 과활성화되어 유발되는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끈끈이대나물은 끈끈이대나물의 잎 또는 줄기인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끈끈이대나물의 7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끈끈이대나물의 알코올수용액 추출물에 물과 n-헥산을 첨가하여 물층을 분리하고, 상기 물층에 추가로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분리된 디클로로메탄층에서 수득되는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수용액은 70% 에탄올인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끈끈이대나물의 알코올수용액 추출물 또는 이의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피부 손상은 미세먼지에 의해 CYP1A1(Cytochrome P450, family 1, member A1)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거나 또는 CYP1A1이 과활성화되어 유발되는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끈끈이대나물의 70% 에탄올 추출물인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끈끈이대나물의 알코올수용액 추출물에 물과 n-헥산을 첨가하여 물층을 분리하고, 상기 물층에 추가로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여 분리된 디클로로메탄층에서 수득되는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수용액은 70% 에탄올인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피부 손상은 피부염(dermatitis), 아토피(atopy), 건선(psoriasis), 여드름(acne), 피부암(skin cancer) 및 습진(eczema)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인, 피부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220003576A 2022-01-10 2022-01-10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ctive KR102748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76A KR102748498B1 (ko) 2022-01-10 2022-01-10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3576A KR102748498B1 (ko) 2022-01-10 2022-01-10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45A KR20230108145A (ko) 2023-07-18
KR102748498B1 true KR102748498B1 (ko) 2025-01-02

Family

ID=8742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3576A Active KR102748498B1 (ko) 2022-01-10 2022-01-10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849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338B1 (ko) * 2016-07-21 2019-05-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사위질빵 또는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염증 완화용 저자극성 화장품 조성물
KR102024987B1 (ko) * 2016-07-22 2019-09-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8145A (ko) 202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2177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венериной мухоловки dionaea muscipula,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придатков кожи
KR20200138142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102189330B1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73945B1 (ko) 갯괴불주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가려움증 개선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177A (ko) 사카로미세스 효모발효여과물, 아스파라거스줄기 추출물 및 관동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8666A (ko) 발효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2008184441A (ja) 細胞増殖促進用皮膚外用剤
KR101702621B1 (ko) 꽃잔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KR102748498B1 (ko) 끈끈이대나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232B1 (ko) 구아바잎, 제주조릿대 및 보검선인장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03542B1 (ko) 오레가노 추출물 및 병풀 유래 엑소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934976B1 (ko)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JP5717958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並びに該セラミド産生促進剤を用いた医薬品組成物、皮膚外用剤、化粧料組成物、及び化粧料
KR101987422B1 (ko) 호박씨, 녹두, 호두 및 쐐기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284648A (ja) 育毛剤組成物
US20020041908A1 (en) Iridacea extracts for stimulating the immune system
KR20220114396A (ko) 달맞이꽃의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튼살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H04164013A (ja) フケ菌発育阻害成分含有物の抽出方法
KR102531790B1 (ko) 천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780319B1 (ko) 동백나무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4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