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7550B1 -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7550B1
KR102747550B1 KR1020190020493A KR20190020493A KR102747550B1 KR 102747550 B1 KR102747550 B1 KR 102747550B1 KR 1020190020493 A KR1020190020493 A KR 1020190020493A KR 20190020493 A KR20190020493 A KR 20190020493A KR 102747550 B1 KR102747550 B1 KR 102747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ased dyes
wavelength
light
wavelength disper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579A (ko
Inventor
이덕진
정우석
김민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0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7550B1/ko
Priority to US16/717,974 priority patent/US11221438B2/en
Priority to CN202010103913.1A priority patent/CN111596397B/zh
Publication of KR2020010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7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75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3Light 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3Absorbing filters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e.g. dyes, inks or pig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9/8792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black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된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QWP, Quarter waveplate); 및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층은 380nm ~ 43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흡수하는,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Polarizing film and Display apparutus employing the same}
본 개시는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흡수층을 갖는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구현하는 장치로,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전기영동표시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 등이 있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빛이 표시 장치의 정면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편광필름을 도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반사 방지 특성 및 반사 채도 특성이 우수한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된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QWP, Quarter waveplate); 및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층은 380nm ~ 43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제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역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DSP)과 상기 편광 필름의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19018572052-pat00001
단, T(430nm)는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을 의미한다. DSP는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을 의미한다. 파장분산성 DSP는 R(450nm)/R(550nm)의 값으로, R(λ)는 파장 λ값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380nm ~ 43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에 대한 광투과율은 40%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제는 안트라퀴논 베이스 염료(anthraquinone-based dyes), 메틴 베이스 염료(methine-based dyes), 아조메틴 베이스 염료(azomethine-based dyes), 옥사딘 베이스 염료(oxadine-based dyes), 아조 베이스 염료(azo-based dyes), 스티릴 베이스 염료(styryl-based dyes), 쿠머린 베이스 염료(coumarin-based dyes), 포르피린 베이스 염료(porphyrin-based dyes), 디벤조푸라노닌 베이스 염료(dibenzofuranone-based dyes), 디케토피롤로피롤 베이스 염료(diketopyrrolopyrrole-based dyes), 로다민 베이스 염료(rhodamine-based dyes), 키산텐 베이스 염료(kisanten-based dyes), 피로메텐 베이스 염료(pyrromethene-based dyes)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감압성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 하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에 이색성 색소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은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DSP(450nm) = R(450nm)/R(550nm) < 1,
DSP(650nm) = R(650nm)/R(550nm) > 1
이 때, R(λ)는 파장 λ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표시요소들; 상기 복수의 표시요소들을 밀봉하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밀봉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 필름은,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된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QWP, Quarter waveplate); 및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층은 380nm ~ 43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역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DSP)과 상기 편광 필름의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은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19018572052-pat00002
단, T(430nm)는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을 의미한다. DSP는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을 의미한다. 파장분산성 DSP는 R(450nm)/R(550nm)의 값으로, R(λ)는 파장 λ값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380nm ~ 43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에 대한 광투과율은 40%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제는 안트라퀴논 베이스 염료(anthraquinone-based dyes), 메틴 베이스 염료(methine-based dyes), 아조메틴 베이스 염료(azomethine-based dyes), 옥사딘 베이스 염료(oxadine-based dyes), 아조 베이스 염료(azo-based dyes), 스티릴 베이스 염료(styryl-based dyes), 쿠머린 베이스 염료(coumarin-based dyes), 포르피린 베이스 염료(porphyrin-based dyes), 디벤조푸라노닌 베이스 염료(dibenzofuranone-based dyes), 디케토피롤로피롤 베이스 염료(diketopyrrolopyrrole-based dyes), 로다민 베이스 염료(rhodamine-based dyes), 키산텐 베이스 염료(kisanten-based dyes), 피로메텐 베이스 염료(pyrromethene-based dyes)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감압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과 상기 밀봉부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박막봉지층으로, 상기 박막봉지층은 제1무기봉지층, 유기봉지층, 및 제2무기봉지층이 순차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밀봉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은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DSP(450nm) = R(450nm)/R(550nm) < 1,
DSP(650nm) = R(650nm)/R(550nm) > 1
이 때, R(λ)는 파장 λ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필름은 낮은 반사 채도를 가지는 바,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효과는 예시적인 것으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후술하는 내용을 통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a) 내지 (d)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파장 분산성(DSP)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a) 내지 (d)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반사 채도를 CIE L*a*b* 좌표에 나타낸다.
도 5는 파장 분산성(DSP)과 편광필름의 투과율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상기의 관계식을 적용한 실시예들 및 종래기술에 대한 광투과율 그래프를 나타내다.
도 7은 각 실시예들의 반사광 채도를 CIE L*a*b* 좌표계에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광흡수층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적용한 경우의 채도(Chorma) 변화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5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 필름(500)은 편광층(520), 역파장 분산 1/4 파장판(QWP, quarter waveplate)(520), 및 광흡수층(530)을 포함한다.
편광층(520)은 광원(미도시)으로 부터 입사된 빛을 편광축과 동일한 방향의 빛으로 편광하는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편광층(16)은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 필름에 편광자 또는/및 이색성 색소(dichroic dye)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색성 색소는 요오드 분자 또는/및 염료 분자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편광층(520)은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일 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요오드 또는/및 이색성 염료의 용액에 침지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오드 분자 또는/및 이색성 염료 분자는 연신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요오드 분자와 염료 분자는 이색성을 보이기 때문에 연신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흡수하고, 그에 직각인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은 투과시킬 수 있다.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QWP, quarter waveplate)(520)은 편광층(5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편광층(520)을 통과하여 편광된 빛을 λ/4 만큼 위상을 지연시켜, 원형 편광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빛의 반사율을 낮출 수 있다.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QWP, quarter waveplate)(520)은 광원에 대해서 편광층(520) 보다 멀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외부광이 편광층(520)의 상부에서 입사되는 경우,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은 편광층(5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은 파장에 따른 의존성을 가질 수 있으며, 더 짧은 파장을 향하여 위상 지연 값이 감소할 수 있다. 이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의 파장 분산성(DSP)은 DSP(λ)=R(λ)/R(550nm)로 표현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할 수 있다.
DSP(450nm) = R(450nm)/R(550nm) < 1,
DSP(650nm) = R(650nm)/R(550nm) > 1
이 때, R(λ)는 파장 λ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광흡수층(530)은 편광층(5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광흡수층(530)은 편광층(5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에서와 같이, 광흡수층(530)은 편광층(520)과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2b에서와 같이,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흡수층(530)은 반사 채도를 낮추기 위해서 도입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광흡수층(530)은 가시광영역 중에 단파장 영역의 광, 즉, 380nm ~ 430nm 범위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흡수할 수 있다.
광흡수층(530)은 380nm ~ 430nm 범위의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광흡수층(530)은 안트라퀴논 베이스 염료(anthraquinone-based dyes), 메틴 베이스 염료(methine-based dyes), 아조메틴 베이스 염료(azomethine-based dyes), 옥사딘 베이스 염료(oxadine-based dyes), 아조 베이스 염료(azo-based dyes), 스티릴 베이스 염료(styryl-based dyes), 쿠머린 베이스 염료(coumarin-based dyes), 포르피린 베이스 염료(porphyrin-based dyes), 디벤조푸라노닌 베이스 염료(dibenzofuranone-based dyes), 디케토피롤로피롤 베이스 염료(diketopyrrolopyrrole-based dyes), 로다민 베이스 염료(rhodamine-based dyes), 키산텐 베이스 염료(kisanten-based dyes), 피로메텐 베이스 염료(pyrromethene-based dyes) 등의 광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흡수층(530)에 포함된 상기 광흡수제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광흡수층(530)의 광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530)에 의한 편광필름(500)의 광투과율(T)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19018572052-pat00003
단, T(430nm)는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을 의미한다. DSP는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을 의미한다. 파장분산성 DSP는 R(450nm)/R(550nm)의 값으로, R(λ)는 파장 λ값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편광 필름(500) 하부에서 발생하여 상면으로 진행하는 광의 투과를 확보하는 동시에, 편광 필름(500)의 상부에서 발생하여 편광 필름(500)의 상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컬러 시프트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편광 필름(500)의 상면에서 반사되는 광의 반사 채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광흡수층(530)은 편광층(520)을 지지하여 편광층(520)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흡수층(530)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편광 필름(500)은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 편광층(520), 광흡수층(530) 이외에 다른 구성, 예컨대, 보호층, 지지층, 접착층, 하드코팅층 등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 있어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부재를 의미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편광 필름(501)은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 광흡수층(530), 및 편광층(520)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광흡수층(530)은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과 편광층(5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흡수층(530)은 380nm ~ 430nm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동시에, 편광층(520)을 지지하여 편광층(520)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흡수층(530)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흡수층(530)은 편광층(520)과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을 서로 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흡수층(530)은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감압성 접착제(PSA: press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편광 필름(502)은 광흡수층(530),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 및 편광층(520)의 순서로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광흡수층(530)은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광흡수층(530)은 380nm ~ 430nm 파장의 광을 흡수하는 물질을 포함하면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감압성 접착제(PSA: press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광흡수층(530)은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의 하면에 배치되는 바, 편광 필름(502)이 표시 장치 등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편광 필름(503)은 접착층(515),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 광흡수층(530), 제1보호층(541), 편광층(520), 제2보호층(543), 및 하드코팅층(550)이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접착층(515)은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의 하면에 배치되며, 감압성 접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515)은 편광 필름(503)이 표시 장치 등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은 편광층(520)과 함께 편광 필름(503)으로 입사되는 광을 원형 편광시킬 수 있다.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은 파장에 따른 의존성을 가질 수 있으며, 더 짧은 파장을 향하여 위상 지연 값이 감소할 수 있다.
편광층(520)의 하면 및 상면에는 각각 제1보호층(541) 및 제2보호층(543)이 배치될 수 있다. 제1보호층(541) 및 제2보호층(543)은 편광층(520)을 지지하여 편광층(520)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는 보호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보호층(541) 및 제2보호층(543)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코팅층(550)은 외부 충격에서 편광 필름(503)의 구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편광 필름(503)의 최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드코팅층(550)은 스크래치 방지 기능을 가지며, 약 9H의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 광흡수층(530)은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과 제1보호층(541)에 배치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흡수층(53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광흡수층(530)은 추가적으로 더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하드 코팅층(550), 제1보호층(541), 제2보호층(543), 및 접착층(515) 중 적어도 하나가 광흡수층(530)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드 코팅층(550), 제1보호층(541), 제2보호층(543), 및 접착층(515) 중 적어도 하나에 광흡수층(530)에 포함될 수 있는 광흡수제가 포함될 수 있다.
광흡수층(530)은 광흡수제를 포함하며, 380nm ~ 430nm 파장의 광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광흡수층(530)에 의해서 편광 필름(503)의 광투과율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Figure 112019018572052-pat00004
단, T(430nm)는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을 의미한다. DSP는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을 의미한다. 파장분산성 DSP는 R(450nm)/R(550nm)의 값으로, R(λ)는 파장 λ값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필름(500, 501, 502, 503)은 광흡수층(530)을 포함하고 있는 바, 반사 채도가 감소하여 우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며, 광흡수층(530)에 의한 메카니즘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포함된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은 이를 구성하는 재료 특성의 한계에 의해서 파장대별로 λ/4의 위상지연을 정확하게 맞출 수 없다. 이는, 재료에 따라서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의 파장 분산성(DSP)이 상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은 (a) 내지 (d)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파장 분산성(DSP)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a) 내지 (d)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반사 채도를 CIE L*a*b* 좌표에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파장 분산성(DSP)은 파장(λ)에 따른 위상차값의 비율, R(λ)/R(550nm)을 나타낸다. (a) 타입의 경우, 450nm에서의 파장 분산성, (a)_DSP(450nm)는 0.77이다. (b) 타입의 경우, 450nm에서의 파장 분산성, (b)_DSP(450nm) 는 0.82이다. (c) 타입의 경우, 450nm에서의 파장 분산성, (c)_DSP(450nm)는 0.86이다. (d) 타입의 경우, 450nm에서의 파장 분산성, (d)_DSP(450nm)는 0.91이다.
또한, 도 3에 의해서, (a) 내지 (d) 타입 모두 이상적인(ideal)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파장 분산성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이상적인(ideal)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경우, CIE L*a*b* 색공간 좌표에서 반사광의 채도는 a*=0, b*=0 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반사 채도가 neutral black임을 의미한다.
CIE L*a*b* 좌표계에서 a*=0, b*=0 에서 멀어질수록, 제1사분면의 경우 빨간색 계열, 제2사분면의 경우 초록색 계열, 제3사분면의 경우 파란색 계열, 제4사분면의 경우 보라색 계열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a*이 음수이면 초록에 치우친 색깔이며, 양수이면 빨강/보라 쪽으로 치우친 색깔로 이해할 수 있으며, b*이 음수이면 파랑이고 b*이 양수이면 노랑 쪽으로 치우친 색깔로 이해할 수 있다.
즉, (a) 내지 (d)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경우, 반사광 채도에 대한 좌표가 제3사분면에 배치되고 있는 바, 반사 채도는 파란색 계열로 나타날 수 있으며, 파장 분산성이 가장 높은 (d) 타입에서 가장 많은 컬러 시프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컬러 시프트는 cyanic shift일 수 있다. 한편, a*=0, b*=0인 좌표에서 멀어진다는 것은 반사광 채도가 높아진다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반사광 채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색감이 시인되는 것으로, black 시감이 떨어짐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데이터를 하기 표1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SP(430nm) b*
(a) 타입 0.77 -0.57
(b) 타입 0.82 -1.22
(c) 타입 0.86 -2.06
(d) 타입 0.91 -3.13
상기 표1을 참조하면, 파장 분산성(DSP)이 높을수록 b*의 절대값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에 의해서, 본 발명자들은 b*을 0로 수렴시키기 위해서는 CIE XYZ 좌표계에서의 Z 영역(파란색 영역)에서의 투과율을 감소시켜야 함을 도출하였다. 이는 CIE L*a*b* 좌표계와 CIE XYZ 좌표계의 변환식인 다음 식으로부터도 유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표시 장치의 청색 화소에서 방출하는 Blue spectrum을 고려할 때, 430nm 파장 이하에서의 투과율을 조절해야하고, 상기 투과율은 각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파장 분산성(DSP)와 다음 관계식을 만족해야 함을 도출하였다.
Figure 112019018572052-pat00006
단, T(430nm)는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을 의미한다. DSP는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을 의미한다. 파장분산성 DSP는 R(450nm)/R(550nm)의 값으로, R(λ)는 파장 λ값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상기 수학식 2를 그래프로 나타내면 도 5와 같다. 도 5는 파장 분산성(DSP)과 편광필름의 투과율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450nm에서의 파장 분산성(DSP)이 클수록 430nm에서의 광투과율은 작아져야 함을 나타낸다.
도 6은 상기의 관계식을 적용한 실시예들 및 종래기술에 대한 광투과율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 7은 각 실시예들의 반사광 채도를 CIE L*a*b* 좌표계에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종래기술은 광흡수층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편광 필름에 대한 광투과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3은 모두 광흡수층을 적용한 것이며, 실시예 1((b)')은 (b)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을 포함하고, 실시예 2((c)')는 (c)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 실시예 3((d)')은 (d)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을 포함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표시 화소에서 방출하는 청색 화소의 스펙트럼인 blue spectrum은 430nm ~500nm 영역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색 화소 영역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반사광 채도를 낮추는 것이 요구될 수 으며, 실시예 1 내지 3은 모두 430nm에서의 광투과율을 조절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포함된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파장 분산성이 클수록 430nm에서의 광투과율이 낮은 특성을 구비함을 알 수 있다.
즉, 파장 분산성이 DSP(450nm) = 0.91인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경우, 430nm에서의 광 투과율은 30% 미만이다.
파장 분산성이 DSP(450nm) = 0.86인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을 포함하는 실시예 2의 경우, 430nm에서의 광 투과율은 37% 미만이다.
파장 분산성이 DSP(450nm) = 0.82인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을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 430nm에서의 광 투과율은 40% 미만이다.
도 7을 참조하면, (a)' ~ (d)'은 각각 (a) 타입 ~ (d)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에 광흡수층을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 실시예들에 대한 반사광 채도의 좌표는 광흡수층을 적용하지 않은 도 4의 좌표에 비해서 a*=0, b*=0에 근접하게 조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광흡수층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와 적용한 경우의 채도(Chorma) 변화를 나타내는 표로써, (a) 내지 (d)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에 대한 반사광 채도와 (a) 내지 (d) 타입의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에 광흡수층을 적용한 반사광 채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반사광 채도는 광흡수층을 적용한 경우, 0.24 내지 1 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채도가 감소한다는 것은 neutral black의 구현이 가능하며, 우수한 시인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 필름은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기판(100)의 디스플레이영역(DA)에는 유기발광다이오드와 같은 표시요소를 포함하는 복수의 화소(PX)들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PX)는 표시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화소에 포함되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수는 1개 내지 7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기판(100)의 주변영역(PA)에는 디스플레이영역(DA)에 인가할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다양한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주변영역(PA)에도 박막트랜지스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주변영역(PA)에 배치되는 박막트랜지스터는 디스플레이영역(DA) 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부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무기 EL 표시 장치(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퀀텀닷 발광 표시 장치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의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기판(100), 기판(100) 상에 배치된 박막트랜지스터(T1, T2), 및 박막트랜지스터(T1, T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유기발광다이오드(300)를 포함한다. 또한,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다양한 절연층(111, 112, 113, 115, 118, 119),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100)은 글라스재,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100)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는데, 예컨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폴리에테르 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elenen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e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와 같은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기판(100) 상에 위치하여, 기판(100)의 하부로부터 이물, 습기 또는 외기의 침투를 감소 또는 차단할 수 있고, 기판(100)상에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버퍼층(111)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과 같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기물과 유기물의 단층 또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00)과 버퍼층(111) 사이에는 외기의 침투를 차단하는 배리어층(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버퍼층(111)은 실리콘산화물(SiO2) 또는 실리콘질화물(SiNX)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1) 상부에는 제1박막트랜지스터(T1) 및/또는 제2박막트랜지스터(T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박막트랜지스터(T1)는 반도체층(A1), 게이트전극(G1), 소스전극(S1), 드레인전극(D1)을 포함하고, 제2박막트랜지스터(T2) 반도체층(A2), 게이트전극(G2), 소스전극(S2), 드레인전극(D2)을 포함한다. 제1박막트랜지스터(T1)는 유기발광다이오드(300)와 연결되어 유기발광다이오드(300)를 구동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로 기능할 수 있다. 제2박막트랜지스터(T2)는 데이터선(DL)과 연결되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로 기능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박막트랜지스터로 두 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박막트랜지스터의 개수는 1 ~ 7 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반도체층(A1, A2)은 비정질 실리콘을 포함하거나,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반도체층(A1, A2)은 인듐(In), 갈륨(Ga), 스태늄(Sn), 지르코늄(Zr), 바나듐(V), 하프늄(Hf), 카드뮴(Cd), 게르마늄(Ge), 크롬(Cr), 티타늄(Ti) 및 아연(Zn)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의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1, A2)은 채널영역과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1, A2) 상에는 제1게이트절연층(112)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전극(G1, G2)이 배치된다. 게이트전극(G1, G2)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며 단층 또는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게이트전극(G1, G2)은 Mo의 단층일 수 있다.
제1게이트절연층(112)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전극(G1, G2)을 덮도록 제2게이트절연층(113)이 구비될 수 있다. 제2게이트절연층(113)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1스토리지 전극(CE1)은 제1박막트랜지스터(T1)와 중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박막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전극(G1)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1스토리지 전극(CE1)으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박막트랜지스터(T1)와 중첩되지 않고 박막트랜지스터(T1, T2)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제2스토리지 전극(CE2)은 제2게이트절연층(113)을 사이에 두고 제1스토리지 전극(CE1)과 중첩한다. 이 경우, 제2게이트절연층(113)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의 유전체층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스토리지 전극(CE2)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스토리지 전극(CE2) Mo의 단층이거나 또는 Mo/Al/Mo의 다층일 수 있다.
층간절연층(115)은 상기 제2스토리지 전극(CE2)을 덮도록 기판(100) 전면(全面)에 형성된다. 층간절연층(115)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전극(S1, S2) 및 드레인전극(D1, D2)은 층간절연층(115) 상에 배치된다. 소스전극(S1, S2) 및 드레인전극(D1, D2)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등을 포함하는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를 포함하는 다층 또는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소스전극(S1, S2)과 드레인전극(D1, D2)은 Ti/Al/Ti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스전극(S1, S2)과 드레인전극(D1, D2) 상에는 평탄화층(118)이 위치하며, 평탄화층(118) 상에 유기발광다이오드(300)가 위치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300)는 제1전극(310), 유기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320), 및 제2전극(330)을 포함한다.
평탄화층(118)은 제1전극(310)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평탄한 상면을 가질 수 있다. 평탄화층(118)은 유기 물질 또는 무기 물질로 이루어진 막이 단층 또는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탄화층(118)은 BCB(Benzocyclobutene), 폴리이미드(polyimide), HMDSO(Hexamethyldisiloxane), Polymethylmethacrylate(PMMA)나, Polystylene(PS)과 같은 일반 범용고분자, 페놀계 그룹을 갖는 고분자 유도체, 아크릴계 고분자, 이미드계 고분자, 아릴에테르계 고분자, 아마이드계 고분자, 불소계고분자, p-자일렌계 고분자, 비닐알콜계 고분자 및 이들의 블렌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평탄화층(118)은 실리콘산화물(SiO2), 실리콘질화물(SiNx), 실리콘산질화물(SiON), 알루미늄산화물(Al2O3), 티타늄산화물(TiO2), 탄탈산화물(Ta2O5), 하프늄산화물(HfO2), 또는 아연산화물(ZnO2)등을 포함할 수 있다. 평탄화층(118)을 형성한 후, 평탄한 상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이 수행될 수 있다.
평탄화층(118)에는 제1박막트랜지스터(T1)의 소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 중 어느 하나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존재하며, 제1전극(310)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소스전극(S1) 또는 드레인전극(D1)과 컨택하여 제1박막트랜지스터(T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전극(310) 상에는 화소정의막(119)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19)은 각 부화소들에 대응하는 개구(119OP), 즉 적어도 제1전극(310)의 중앙부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119OP)를 가짐으로써 화소를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화소정의막(119)은 제1전극(310)의 가장자리와 제2전극(33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들 사이에서 아크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소정의막(119)은 예컨대 폴리이미드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화소정의막(119) 상부에는 스페이서(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유기발광다이오드(300)의 중간층(320) 형성 등에 필요한 마스크 공정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마스크 찍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스페이서는 폴리이미드 또는 HMDSO(hexamethyldisiloxane) 등과 같은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화소정의막(119)과 동일 물질로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프톤 마스크를 이용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300)의 중간층(320)은 유기발광층(EML)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은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방출하는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일 수 있으며, 유기발광층의 아래 및 위에는, 정공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정공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전자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과 같은 기능층이 선택적으로 더 배치될 수 있다. 중간층(320)은 복수의 제1전극(310)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층(320)은 복수의 제1전극(310)에 걸쳐서 일체(一體)인 층을 포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2전극(330)은 투광성 전극 또는 반사 전극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전극(33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전극일 수 있으며, Li, Ca, LiF/Ca, LiF/Al, Al, Ag, Mg 및 이들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일함수가 작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금속 박막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막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330)은 디스플레이영역(DA) 및 주변영역(PA)에 걸쳐 배치되며, 중간층(320)과 화소정의막(119)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330)은 복수의 유기발광다이오드(300)들에 있어서 일체(一體)로 형성되어 복수의 제1전극(310)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다이오드(3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300) 상부에는 디스플레이영역(DA)을 밀봉하는 박막봉지층(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막봉지층(400)은 디스플레이영역(DA)을 덮어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로부터 유기발광다이오드(30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박막봉지층(400)은 제1무기봉지층(410), 유기봉지층(420) 및 제2무기봉지층(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무기봉지층(410)은 제2전극(330)을 덮으며, 세라믹, 금속산화물, 금속질화물, 금속탄화물, 금속산질화물, 인듐산화물(In2O3), 주석 산화물(SnO2), 인듐 주석 산화물(ITO), 실리콘산화물, 실리콘질화물 및/또는 실리콘산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제1무기봉지층(410)과 제2전극(330) 사이에 캡핑층(capping layer) 등의 다른 층들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무기봉지층(410)은 그 하부의 구조물을 따라 형성되기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상면이 평탄하지 않게 된다.
유기봉지층(420)은 이러한 제1무기봉지층(410)을 덮는데, 제1무기봉지층(410)과 달리 그 상면이 대략 평탄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기봉지층(420)은 디스플레이영역(DA)에 대응하는 부분에서는 상면이 대략 평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봉지층(420)은 아크릴, 메타아크릴(metacrylic), 폴리에스터,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설포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릴레이트, 헥사메틸디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무기봉지층(430)은 유기봉지층(420)을 덮으며, 세라믹, 금속산화물, 금속질화물, 금속탄화물, 금속산질화물, 인듐산화물(In2O3), 주석 산화물(SnO2), 인듐 주석 산화물(ITO), 실리콘옥사이드, 실리콘나이트라이드 및/또는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무기봉지층(430)은 디스플레이영역(DA) 외측에 위치한 그 가장자리에서 제1무기봉지층(410)과 컨택함으로써, 유기봉지층(4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막봉지층(400)은 제1무기봉지층(410), 유기봉지층(420) 및 제2무기봉지층(430)을 포함하는바, 이와 같은 다층 구조를 통해 박막봉지층(400) 내에 크랙이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제1무기봉지층(410)과 유기봉지층(420) 사이에서 또는 유기봉지층(420)과 제2무기봉지층(430) 사이에서 그러한 크랙이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 등이 디스플레이영역(DA)으로 침투하게 되는 경로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300)를 밀봉하는 봉지부재로 박막봉지층(400)을 이용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유기발광다이오드(300)를 밀봉하는 부재로써, 실런트 또는 프릿에 의해서 기판(100)과 합착되는 밀봉기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박막봉지층(400) 상부 또는 밀봉기판의 상부에는 야외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편광 필름(500)이 배치된다. 편광 필름(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 편광층(520), 및 광흡수층(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 필름(500)은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510)이 편광층(520) 보다 박막봉지층(400)에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편광 필름(500) 대신, 도 2a 내지 도 2c에서 예시한 편광 필름(501, 502, 503)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박막봉지층(400) 상부에는 터치스크린층, 윈도우 등 다양한 기능층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제2전극(330)과 박막봉지층(400) 사이에는 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캡핑층(capping layer)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0, 501, 502, 503: 편광 필름
515: 접착층
510: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
520: 편광층
530: 광흡수층
541: 제1보호층
543: 제2보호층
550: 하드 코팅층

Claims (20)

  1.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된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QWP, Quarter waveplate); 및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층은 380nm ~ 43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제를 포함하며,
    상기 역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DSP)과 상기 편광 필름의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은 다음 식을 만족하는, 편광 필름:
    Figure 112024030270316-pat00007

    단, T(430nm)는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을 의미한다. DSP는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을 의미한다. 파장분산성 DSP는 R(450nm)/R(550nm)의 값으로, R(λ)는 파장 λ값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380nm ~ 43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에 대한 광투과율은 40% 미만인, 편광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제는 안트라퀴논 베이스 염료(anthraquinone-based dyes), 메틴 베이스 염료(methine-based dyes), 아조메틴 베이스 염료(azomethine-based dyes), 옥사딘 베이스 염료(oxadine-based dyes), 아조 베이스 염료(azo-based dyes), 스티릴 베이스 염료(styryl-based dyes), 쿠머린 베이스 염료(coumarin-based dyes), 포르피린 베이스 염료(porphyrin-based dyes), 디벤조푸라노닌 베이스 염료(dibenzofuranone-based dyes), 디케토피롤로피롤 베이스 염료(diketopyrrolopyrrole-based dyes), 로다민 베이스 염료(rhodamine-based dyes), 키산텐 베이스 염료(kisanten-based dyes), 피로메텐 베이스 염료(pyrromethene-based dyes)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편광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감압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편광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편광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 하면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편광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폴리비닐알코올(PVA: Poly Vinyl Alcohol)에 이색성 색소가 포함되는, 편광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편광 필름:
    DSP(450nm) = R(450nm)/R(550nm) < 1,
    DSP(650nm) = R(650nm)/R(550nm) > 1
    이 때, R(λ)는 파장 λ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1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표시요소들;
    상기 복수의 표시요소들을 밀봉하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밀봉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편광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편광 필름은,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된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QWP, Quarter waveplate); 및 상기 편광층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흡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층은 380nm ~ 43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제를 포함하며,
    상기 역파장 분산 1/4 파장판의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DSP)과 상기 편광 필름의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은 다음 식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Figure 112024030270316-pat00008

    단, T(430nm)는 430nm 파장에서의 광투과율을 의미한다. DSP는 450nm 파장에서의 파장분산성을 의미한다. 파장분산성 DSP는 R(450nm)/R(550nm)의 값으로, R(λ)는 파장 λ값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의 380nm ~ 430nm의 파장을 가지는 광에 대한 광투과율은 40% 미만인,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제는 안트라퀴논 베이스 염료(anthraquinone-based dyes), 메틴 베이스 염료(methine-based dyes), 아조메틴 베이스 염료(azomethine-based dyes), 옥사딘 베이스 염료(oxadine-based dyes), 아조 베이스 염료(azo-based dyes), 스티릴 베이스 염료(styryl-based dyes), 쿠머린 베이스 염료(coumarin-based dyes), 포르피린 베이스 염료(porphyrin-based dyes), 디벤조푸라노닌 베이스 염료(dibenzofuranone-based dyes), 디케토피롤로피롤 베이스 염료(diketopyrrolopyrrole-based dyes), 로다민 베이스 염료(rhodamine-based dyes), 키산텐 베이스 염료(kisanten-based dyes), 피로메텐 베이스 염료(pyrromethene-based dyes)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감압성 접착제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흡수층은 상기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과 상기 밀봉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박막봉지층으로, 상기 박막봉지층은 제1무기봉지층, 유기봉지층, 및 제2무기봉지층이 순차 적층되어 구비된, 표시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밀봉기판인, 표시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보호층 및 제2보호층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트리아세틸 셀루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us), 사이클로 올레핀 폴리머(Cyclo olefin polymer),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역 파장 분산 1/4 파장판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표시 장치:
    DSP(450nm) = R(450nm)/R(550nm) < 1,
    DSP(650nm) = R(650nm)/R(550nm) > 1
    이 때, R(λ)는 파장 λ에서의 위상차값을 의미한다.
KR1020190020493A 2019-02-21 2019-02-21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Active KR102747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493A KR102747550B1 (ko) 2019-02-21 2019-02-21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US16/717,974 US11221438B2 (en) 2019-02-21 2019-12-17 Polarizing film an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CN202010103913.1A CN111596397B (zh) 2019-02-21 2020-02-20 偏振膜和采用其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493A KR102747550B1 (ko) 2019-02-21 2019-02-21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579A KR20200102579A (ko) 2020-09-01
KR102747550B1 true KR102747550B1 (ko) 2025-01-02

Family

ID=7214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493A Active KR102747550B1 (ko) 2019-02-21 2019-02-21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21438B2 (ko)
KR (1) KR102747550B1 (ko)
CN (1) CN1115963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12774A (zh) * 2020-02-25 2020-06-19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EP4291002A3 (en) * 2022-05-16 2024-02-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066B1 (ko) 2004-01-08 2006-03-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시야각이 개선된 수직 배향 액정 표시장치
JP4618675B2 (ja) * 2005-02-08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偏光素子、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6094090B (zh) * 2011-12-19 2017-12-22 Lg化学株式会社 偏光板
JP6335422B2 (ja) * 2012-06-29 2018-05-30 日東電工株式会社 円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KR102079276B1 (ko) 2012-10-22 2020-02-19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위상차판, 원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970569B1 (ko) * 2012-12-17 2019-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1436441B1 (ko) * 2013-07-23 2014-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 방지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2442909B1 (ko) * 2015-03-02 2022-09-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6658213B2 (ja) 2015-06-30 2020-03-04 Jsr株式会社 視野角補償フィルム、視野角補償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液晶表示素子及び有機el素子
JP2017102443A (ja) 2015-11-20 2017-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WO2017110631A1 (ja) 2015-12-25 2018-10-1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異方性層及びその製造方法、光学異方性積層体並びに円偏光板
JP2017165941A (ja) * 2015-12-25 2017-09-21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及び有機el表示装置
KR101847714B1 (ko) 2016-06-21 2018-04-1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광시야각 역파장분산 보상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보상필름
KR102608417B1 (ko) * 2016-08-19 2023-12-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유기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6937169B2 (ja) * 2017-06-09 2021-09-22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1438B2 (en) 2022-01-11
CN111596397B (zh) 2025-02-25
KR20200102579A (ko) 2020-09-01
US20200271844A1 (en) 2020-08-27
CN111596397A (zh)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935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10243031B2 (en) Display device
KR2021010757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7790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1127928B2 (en) Display device
KR2018000772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31372B1 (ko)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US11818918B2 (en) Display apparatus
CN111697026A (zh) 显示面板
KR102747550B1 (ko)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US20230109286A1 (en) Display apparatus
KR102738041B1 (ko) 표시 장치
EP4283350B1 (en) Polarizing film an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20240012655A (ko)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US20240040842A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371347A1 (en) Display apparatus
KR20230160678A (ko) 표시 장치
US20230371351A1 (en) Polarization film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30160686A (ko) 편광 필름 및 이를 채용하는 표시 장치
US20240324415A1 (en) Display apparatus
US20240065080A1 (en) Display device
CN117075245A (zh) 偏振膜及采用其的显示装置
CN117082906A (zh) 显示装置
KR102459893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